KR20150005631A - 항-pdgf-c 항체 - Google Patents

항-pdgf-c 항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631A
KR20150005631A KR1020147032459A KR20147032459A KR20150005631A KR 20150005631 A KR20150005631 A KR 20150005631A KR 1020147032459 A KR1020147032459 A KR 1020147032459A KR 20147032459 A KR20147032459 A KR 20147032459A KR 20150005631 A KR20150005631 A KR 20150005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seq
ser
pdgf
le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디아 프로몽
호아 투 응고
리하르트 즈발
소피 노테베르트
Original Assignee
쓰롬보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롬보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쓰롬보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5000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2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growth factors ; against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1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multispecif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4Identification of a linear epitope shorter than 20 amino acid residues or of a conformational epitope defined by amino acid resid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2Affinity (KD), association rate (Ka), dissociation rate (Kd) or EC50 value

Abstract

본 발명은 PDGF-C 항원에 결합하고, PDGFRα 수용체에 대한 PDGF-C의 결합을 억제할 수 있고, PDGF-C에 의한 PDGFRα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는 항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항체의 응용도 또한 개시된다. 이들에는 암의 치료가 포함된다.

Description

항-PDGF-C 항체{ANTI-PDGF-C ANTIBODIES}
본 발명은 PDGF-C 항원에 결합하며, PDGFRα 수용체에 대한 PDGF-C의 결합을 억제할 수 있고, PDGF-C에 의한 PDGFRα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는 항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항체의 응용도 개시된다. 이들은 암의 치료를 포함한다.
혈소판-유래 성장 인자 C(PDGF-C)는 인간에서, 323-아미노산 단백질로서 분비되는 345-아미노산 단백질이다(문헌[Hamada et al. 2000, FEBS Lett 475:97-102]; 문헌[Li & Eriksson 2003, Cytokine Growth Factor Rev 14, 91-98]). 그것은 PDGF-A, -B, -C 및 -D로 구성된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 패밀리의 구성원이다(문헌[Li et al. 2000, Nat Cell Biol 2:302-309]; 문헌[Bergsten et al. 2001, Nat Cell Biol 3:512-516]; 문헌[La Rochelle et al. 2001, Nat Cell Biol, 3:517-521]). 4가지 PDGF의 특징적인 시스테인 노트(knot) 모티프는 동종이량체 또는 이종이량체(PDGF-AA, -AB, -BB, -CC, -DD) 중 어느 하나의 형성에 중요하다(문헌[La Rochelle et al. 2001, Nat Cell Biol 3:517-521]; 문헌[Bergsten et al. 2001, Nat Cell Biol 3:512-516]).
보존된 시스테인 노트 모티프에 더하여, 이들 4개의 성장 인자는 서열 상동성을 보인다. 4가지 PDGF는 그들의 단량체 형태에서 불활성이다. PDGF-C의 경우에, 그것은 잠재 성장 인자로서 분비되며, N-말단 CUB 도메인의 단백질 분해에 의한 제거는 그의 수용체에 대한 결합과 그의 수용체의 활성화에 요구된다. CUB 도메인이 생물학적으로 활성이라는 보고가 몇몇 있지만, 우세적인 생각은 그들이 분비된 PDGF-C를 국소화시키면서, 그의 활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문헌[Reigstad et al. 2005, FEBS J 272:5723-5741]). PDGF-C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프로테아제는 플라스민 및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tPA)를 포함한다(문헌[Lei et al. 2007, Invest Ophthalmol Vis Sci 48:2335-2342]; 문헌[Lei 2008, Invest Ophthalmol Vis Sci 49:42-48]).
PDGF-C는 동종이량체 PDGF 수용체 알파(PDGFRα)를 통해, 그리고 아마도 이종이량체 PDGFRα/β를 통해 생물학적 과정을 조절한다. 수용체의 세포외 영역은 5개의 면역글로불린-유사 도메인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세포내 부분은 티로신 키나제 도메인이다. 그의 수용체에 대한 PDGF-CC 결합은 티로신 키나제 도메인의 활성을 상승시키며, 이에 의해, 세포 반응, 예를 들어, 증식, 이동, 수축 및 생존을 촉발시키는 세포내 신호전달 사건을 개시한다(문헌[Li et al. 2000, Nat Cell Biol 2:302-309]). 따라서, PDGF-C는 포유류의 발생 및 건강에 필요한 수많은 생물학적 과정에 필수적인 다수의 세포 반응이 개입되는 세포내 신호전달 사건을 활성화시킨다. 마우스 낙아웃 연구에 의해, PDGF-C가 입천장발생(palatogenesis)에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문헌[Fredriksson et al. 2004, Cytokine Growth Factors Rev 15:197-204]; 문헌[Reigstad et al. 2005, J Biol Chem 278:17114-17120]). PDGF/PDGFR 시스템의 이상, 예를 들어, PDGFR 키나제의 구성적 활성화, PDGFR 키나제의 활성화 돌연변이, PDGF 및 PDGFR의 과발현으로 인한 자가분비 신호전달은 수많은 인간 질환, 특히, 골육종, 폐 암종, 신경교종 및 악성 성상세포종 및 수모세포종을 비롯한 악성종양의 원인이 된다(문헌[Locker et al 2002, Cancer Res 62:3729-3735]; 문헌[Ekman et al. 1999, Oncogene 18:2481-2488]; 문헌[Zwerner & May 2002, Oncogene 21:3847-3854]). PDGF-C는 형질전환 세포 인자이며, 종양 세포의 생존 및 증식, 암 관련 섬유모세포의 화학주성 및 종양 신혈관형성(neovascularization)을 비롯한 몇몇 메커니즘을 통해 종양 성장을 조장한다. PDGF-C가 누드 마우스에서 종양을 유도하고, 부착 의존성 성장을 활성화시키고, NIH/3T3 세포의 강력한 형질전환 성장 인자인 것이 입증되었다(문헌[Li et al. 2002, Oncogene 22:1501-1510]). 생체내 종양발생은 종양 혈관신생(angiogenesis)의 자극을 간접적으로 조장하는 PDGFC-매개의 VEGF 발현에 의해 일부가 설명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PDGF-C는 화학치료에 내성인 암 종양에서 상향조절된다. 암의 전임상 모델에서, siRNA-매개의 PDGF-C 수준의 감소는 시스플라틴에 대한 내성을 바꾼다(문헌[Yamano et al. 2010, Int J Cancer 126:437-449]).
사용되는 PDGF-C는 VEGF-E(W099/47677호) 또는 ZVEGF3(WO00/34474호)으로 표기된다. PDGF-C 활성에 대응하는 항체의(또는 이중특이적 항-VEGF/항-PDGF-C 항체의) 이용이 제안되어 있지만(W099/47677호, WO00/34474호, WO01/28586호, WO2005/011742호, WO00/18212호, WO2005/087812호), 항-종양발생 또는 항-혈관신생 활성이 입증된 임의의 특이적 모노클로널 항체가 아직 보고되어 있지 않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PDGF-C 항원에 높은 친화성으로 결합하며, PDGFRα 수용체에 대한 PDGF-C의 결합을 억제할 수 있고, PDGF-C에 의해 PDGFRα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는 분리된 모노클로널 항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체는 특히 SEQ ID NO: 96에 의해 정의된 펩티드에 결합한다.
항원 PDGF-C에 높은 친화성으로 결합하며, PDGFRα에 대한 PDGF-C의 결합을 억제할 수 있고, PDGF-C에 의한 PDGFRα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는 예시적인 분리된 항체는 하기의 조합의 상보성 결정 영역(CDR) 아미노산 서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한다:
(i) 각각 SEQ ID NO: 26, 24 및 25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 1 내지 3; 및 각각 SEQ ID NO: 35 내지 37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1 내지 3;
(ii) SEQ ID NO: 22 또는 23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 1; 각각 SEQ ID NO: 24 및 25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 2 및 3; SEQ ID NO: 27 또는 28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1; SEQ ID NO: 29, 30 또는 31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2; 및 SEQ ID NO: 32, 33 또는 34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3;
(iii) 각각 SEQ ID NO: 22, 24 및 25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 1 내지 3; SEQ ID NO: 27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1; SEQ ID NO: 29 또는 30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2; 및 SEQ ID NO: 32 또는 33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3;
(iv) 각각 SEQ ID NO: 23 내지 25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 1 내지 3; SEQ ID NO: 28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1; SEQ ID NO: 31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2; 및 SEQ ID NO: 34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3;
(v) 각각 SEQ ID NO: 38, 24 및 25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 1 내지 3; SEQ ID NO: 27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1; SEQ ID NO: 30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2; 및 SEQ ID NO: 33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3; 또는
(vi) (i) 내지 (v) 중 임의의 것의 친화성 성숙 항체.
상기 항체 중 임의의 것은 포유류 항체, 인간 항체 또는 인간화 항체일 수 있다. 추가로, 상기 항체 중 임의의 것은 1가 또는 다가 항체, 그리고 추가로 단일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일 수 있되, 단 항원 PDGF-C에 대한 결합 및 PDGF-C에 의한 PDGFRα의 활성화의 억제는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체 중 임의의 것의 항원-결합 단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상기 항체 또는 항원-결합 단편 중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분리된 핵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체, 항원-결합 단편 또는 그의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 중 임의의 것은 약제(medicament)로 이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용은 단일 이용(단일요법) 또는 부가적인 치료제와의 병용(병용 요법)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항체, 항원-결합 단편 또는 그의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 중 적어도 하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약제학적 조성물은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임의로 부가적인 치료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는 암, 안과 장애 및 신혈관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의 치료용으로 의도된다.
상기 핵산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벡터, 및 이러한 벡터를 포함하고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결합 단편 중 임의의 것을 발현하는 숙주 세포는 상기 항체 또는 그의 항원-결합 단편 중 임의의 것의 생성 방법과 같이 본 발명의 추가의 부분이다.
도 1은 패쓰헌터(PathHunter)® PDGFRα 검정에서, 인간 PDGF-C에 의한 PDGFRα 활성화에 대한 5가지 항-인간 PDGF-C 항체 2D3, 5A2, 5H7, 16B1 및 29H1의 억제 활성을 예시한다. 활성화제 PDGF-C를 그의 EC80 값(실시예 4 참조)으로 적용하였다. 항체 부재의 대조군(활성화제 존재 또는 부재)도 또한 포함시켰다.
도 2는 패쓰헌터® PDGFRα 검정에서, 인간 PDGF-C에 의한 PDGFRα 활성화에 대한 항-인간 PDGF-C 폴리클로널 염소 IgG 항체(알앤디 시스템즈(R&D Systems) 사의 카탈로그 번호 AF1560)의 억제 활성을 예시한다. 활성화제 PDGF-C를 그의 EC80 값(실시예 4 참조)으로 적용하였다. 항체 부재의 대조군(활성화제 존재 또는 부재)도 또한 포함시켰다.
도 3은 패쓰헌터® PDGFRα 검정에서, 인간 PDGF-C에 의한 PDGFRα 활성화에 대한 재조합 인간 PDGFRα Fc 키메라(알앤디 시스템즈 사의 카탈로그 번호 6765-PR)의 억제 활성을 예시한다. 활성화제 PDGF-C를 그의 EC80 값(실시예 4 참조)으로 적용하였다. 수용체 부재의 대조군(활성화제 존재 또는 부재)도 또한 포함시켰다.
도 4는 경쟁 ELISA 환경(실시예 5 참조)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항-PDGF-C 모노클로널 항체 2D3, 5A2, 5H7, 16B1 및 29H1이 PDGF-C가 그의 수용체로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을 예시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용어 "PDGF-C"(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 C)는 본 명세서에 일반 용어로 사용되며, 이에 따라, 이는 또한 PDGF-CC를 지칭할 수 있다. PDGF-C는 단량체를 지칭하는 한편, PDGF-CC는 PDGF-C의 동종이량체 형태를 지칭한다.
치료 표적으로서 PDGF-C에서의 연구에 의해, 항원 PDGF-C에 높은 친화성으로 결합하고(실시예 3 및 9 참조), PDGFRα에 대한 PDGF-C의 결합을 억제할 수 있고(실시예 5 참조), PDGF-C에 의한 PDGFRα(PDGF 수용체 알파)의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는(실시예 4 및 9 참조) 본 발명의 일련의 분리된 모노클로널 항체가 야기되었다. 예시적인 항체의 치료능은 항체에 의한 교모세포종 종양 성장의 생체내 억제에 의해 입증되었다(실시예 7 참조). 이러한 치료능이 있는 이러한 항체가 현재 이용가능한 것으로 여겨지지 않기 때문에, 당업계에서 여전히 명백히 필요하다.
항원 PDGF-C에 높은 친화성으로 결합하고, PDGFRα에 대한 PDGF-C의 결합을 억제할 수 있으며, PDGF-C에 의한 PDGFRα의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는 예시적인 분리된 항체는 SEQ ID NO: 96에 정의된 서열을 갖는 펩티드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한다.
특히, SEQ ID NO: 96에 대한 이들 항체의 결합은 ELISA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ELISA에서, PDGF-C에 대한 상기 항체의 결합은 반복적으로 3(삼) 이상인 신호 대 백그라운드 비를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구체적인 분석 조건은 실시예 6 및 표 6에 대한 범례에 약술되어 있다. PDGF-C에 대한 예시적인 항체의 친화성은 나노몰 범위로 존재하며, 특히, 친화성은 10 nM 이하, 9 nM 이하, 8 nM 이하, 7 nM 이하, 6 nM 이하, 또는 5 nM 이하의 해리 상수 KD, 예를 들어, 0.5 nM 내지 2.5 nM, 5 nM 또는 10 nM(즉, 0.5 nM의 하한, 및 2.5 nM, 5 nM 또는 10 nM로부터 선택되는 상한); 또는 0.1 nM 내지 2.5 nM, 5 nM 또는 10 nM(즉, 0.1 nM의 하한, 및 2.5 nM, 5 nM 또는 10 nM로부터 선택되는 상한)의 KD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친화성은 예를 들어, 표면 플라스몬 공명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구체적인 분석 조건은 실시예 3에 약술되어 있다.
항원 PDGF-C에 높은 친화성으로 결합하고, PDGFRα에 대한 PDGF-C의 결합을 억제할 수 있으며, PDGF-C에 의한 PDGFRα의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는 예시적인 분리된 항체는 하기의 상보성 결정 영역(CDR) 아미노산 서열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항체를 포함한다:
(i) 각각 SEQ ID NO: 26, 24 및 25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 1 내지 3(즉, CDR1은 SEQ ID NO: 26에서 정의되고, CDR2는 SEQ ID NO: 24에서 정의되며, CDR3은 SEQ ID NO: 25에서 정의됨); 및 각각 SEQ ID NO: 35 내지 37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1 내지 3;
(ii) SEQ ID NO: 22 또는 23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 1; 각각 SEQ ID NO: 24 및 25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 2 및 3; SEQ ID NO: 27 또는 28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1; SEQ ID NO: 29, 30 또는 31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2; 및 SEQ ID NO: 32, 33 또는 34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3;
(iii) 각각 SEQ ID NO: 22, 24 및 25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 1 내지 3; SEQ ID NO: 27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1; SEQ ID NO: 29 또는 30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2; 및 SEQ ID NO: 32 또는 33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3;
(iv) 각각 SEQ ID NO: 23 내지 25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 1 내지 3; SEQ ID NO: 28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1; SEQ ID NO: 31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2; 및 SEQ ID NO: 34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3;
(v) 각각 SEQ ID NO: 38, 24 및 25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 1 내지 3; SEQ ID NO: 27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1; SEQ ID NO: 30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2; 및 SEQ ID NO: 33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3; 또는
(vi) (i) 내지 (v) 중 임의의 것의 친화성 성숙 항체.
상기 항체 중 임의의 것은 포유류 항체, 인간 항체 또는 인간화 항체일 수 있다. 추가로, 상기 항체 중 임의의 것은 1가 또는 다가 항체, 그리고 추가로 단일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일 수 있되, 단 항원 PDGF-C에 대한 결합 및 PDGF-C에 의한 PDGFRα의 활성화의 억제는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체 중 임의의 것의 항원-결합 단편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항체"는 생성이 면역계에 의해 유도되는 임의의 자연 발생 항체 또는 항원-결합 단백질을 지칭한다(면역글로불린 또는 IgG). "통상의" 항체는 이황화 결합에 의해 함께 연결된 2개의 중쇄 및 2개의 경쇄를 포함하며, 하나의 경쇄는 이황화 결합에 의해 중쇄 각각에 연결된다. 각각의 중쇄는 일단에 가변 도메인(VH)에 이어서, 수많은 불변 도메인(항체 분류에 따라 3 또는 4개의 불변 도메인, CH1, CH2, CH3 및 CH4)을 갖는다. 각각의 경쇄는 일단에 가변 도메인(VL) 및 그의 타단에 불변 도메인(CL)을 갖고; 경쇄의 불변 도메인은 각각 중쇄의 제1 불변 도메인과 정렬되고, 경쇄 가변 도메인은 각각 중쇄의 가변 도메인과 정렬된다. 이러한 유형의 항체는 오직 2개의 중쇄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경쇄가 없는 "비통상적인" 자연 발생 항체 유형과 함께, 낙타(camel), 단봉낙타(dromedary) 및 라마(llama)에 존재한다. 다른 "비통상적인" 자연 발생 항체는 너스샤크(nurse shark)(깅글리모스토마티대(Ginglymostomatidae)) 및 워베공 샤크(wobbegong shark)(오렉톨로비대(Orectolobidae))의 혈청 중에 존재한다. 이들 후자의 항체는 Ig 신규 항원 수용체(IgNAR)로 지칭된다. 그들은 5개의 불변 도메인(CNAR) 및 1개의 가변 도메인(VNAR)으로 구성된 이황화-결합 동종이량체이다. 경쇄가 존재하지 않으며, 개별 가변 도메인은 용액 중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소수성 계면을 가로질러 회합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문헌[Greenberg et al. 1995, Nature 374, 168-173]; 문헌[Nuttall et al. 2001, Mol Immunol 38, 313-326]; 문헌[Diaz et al. 2002, Immunogenetics 54, 501-512]; 문헌[Nuttall et al. 2003, Eur J Biochem 270, 3543-3554]). 낙타 및 상어 항체의 특징적인 중쇄 이량체 구조 때문에, 이들은 때때로 "중쇄 미니-항체(Heavy-Chain Mini-Antibody; mnHCAb)" 또는 간단하게 "미니-항체(Mini-Antibody; mnAb)"로 지칭된다(문헌[Holliger & Hudson 2005, Nature Biotechnol 23, 1126-1136]). 낙타 항체 및 상어 항체의 상보성 결정 영역 3(CDR3)은 통상적으로 마우스 VH 영역의 CDR3(약 9개 아미노산 포함)보다 더 길다(각각 약 16 내지 21개 아미노산 및 약 16 내지 27개 아미노산 포함)(문헌[Muyldermans et al. 1994, Prot Eng 7, 1129-1135]; 문헌[Dooley & Flajnik 2005, Eur J Immunol 35, 936-945]). 경쇄의 부재 하에, 이들 중쇄 항체는 하나의 단일 도메인, Vab(낙타 항체) 또는 V-NAR(상어 항체)로 지칭되는 중쇄 면역글로불린의 가변 항원 결합 도메인에 의해 그들의 항원에 결합한다. 이들 가장 작은 무손상(intact)이며, 독립적으로 기능성인 항원-결합 단편 Vab는 나노-항체 또는 나노바디로 지칭된다(문헌[Muyldermans 2001, J Biotechnol 74, 277-302]). 다가(2가, 3가, 4가 및 5가 등) Vab 및/또는 V-NAR 도메인은 그들의 잠재적으로 더 높은 세포 흡수 및 보유 때문에, 일부 예에서 바람직할 수 있으며, 재조합 기술에 의해, 또는 예를 들어, WO 2010/033913호에 기재된 화학적 수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경쇄 및/또는 중쇄의 가변 도메인은 항원에 대한 항체의 결합에 직접 수반된다. 자연 발생 경쇄 및 중쇄의 가변 도메인은 동일한 일반 구조를 갖는다: 3개의 상보성 결정 영역(CDR)에 의해 연결된 4개의 프레임워크 영역(FR)(예를 들어, 문헌[Kabat et al. 1991,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5th Ed.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참조). 경쇄 또는 중쇄의 CDR은 FR과 가까이에 유지되며, 항원 결합 부위의 형성에 기여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상보성 결정 영역" 또는 "CDR"은 일반적으로, 통상의 4-쇄 항체의 경쇄 및 중쇄의 초가변 영역을 말하며, 카바트(Kabat) 규칙, 더욱 구체적으로는, http://www.bioinf.org.uk/abs/에서 이용가능한 바와 같은 카바트 규칙, 더욱 구체적으로는 "How to identify the CDRs by looking at a sequence" 섹션에 정의된 바와 같다. CDR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대안적인 규칙은 초티아(Chothia) 시스템에서 정의된다(문헌[Chothia & Lesk 1987, J Mol Biol 196, 901-917]). 추가의 대안은 예를 들어, 문헌[Lefranc 1997 (Immunology Today 18, 509)]에 의해 제안된 바와 같은 통합 CDR 결정 시스템을 따른다.
항체를 변형시켜, 2개의 IgG 사이에 티오에테르 결합을 도입함에 의한 화학적 동종이량체화(예를 들어, 문헌[Ghetie et al. 1997, Proc Natl Acad Sci USA 94, 7509-7514]; WO 99/02567호; 문헌[Wolff et al. 1993, Cancer Res 53, 2560-2565]),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을 중쇄 카르복시말단으로 조작한 후의 분자간 이황화 결합을 통한 이량체화 또는 중합화(예를 들어, 문헌[Shopes 1992, J Immunol 148, 2918-2922]; W091/19515호; 문헌[Smith & Morrison 1994, BioTechnology 12, 683-688])를 포함하는 몇몇 수단에 의해 그들의 항원-결합가를 증가시켰다.
이중특이적 항체의 요망되는 특이성을 갖는 쥣과 모노클로널 항체를 발현하는 2개의 상이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의 체세포 융합에 기초한 쿼드로마(quadroma) 기술을 사용하여 이중특이적 또는 이작용성 항체를 생성하였다(문헌[Milstein & Cuello 1983, Nature 305, 537-540]). 대안적으로, 이중특이적 또는 이작용성 항체는 2가지 상이한 mAb 또는 Ab 단편의 화학적 컨쥬게이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문헌[Staerz et al. 1985, Nature 314, 628-631]; 문헌[Brennan et al. 1985, Science 229, 81-83]). 추가로, 이중특이적 또는 이작용성 재조합 항체 포맷을 개발하였다(문헌[Kriangkum et al. 2001, Biomol Eng 18, 31-40]). 그들 중에서, 탠덤(tandem) 단일-사슬 Fv 분자, 및 상이한 항원을 인식하는 2개의 단일-사슬 Fv(scFv) 단편으로부터 시작하는 디아바디(diabody)가 있다(문헌[Economides et al. 2003, Nat Med 9, 47-52] 참조). 탠덤 scFv 분자(taFv)에서, 추가의 펩티드 링커를 사용하여 2개의 scFv 분자를 단순히 함께 연결된다. 다양한 링커를 사용하여 2개의 scFv 단편을 연결시킬 수 있고 링커의 길이는 63개 이하의 잔기이다(문헌[Nakanishi, et al. (2001) Ann. Rev. Immunol. 19: 423-74]). 매우 짧은 Ala3 링커 또는 긴 글리신/세린-풍부 링커를 사용하여, 박테리아에서 용해성 탠덤 scFv 분자의 발현을 달성하였으며(문헌[Leung et al. 2000, J Immunol 164, 6495-6502]; 문헌[Ito et al.2003, J Immunol 170, 4802-4809]; 문헌[Kami et al. 2002, J Neuroimmunol 125, 134-140]), 그에 대한 바람직한 링커는 문헌[Amdt & Krauss 2003, Methods Mol Biol 207, 305-321]에 기술된 것일 수 있다.
디아바디는 VH와 VL 도메인을 연결하는 링커의 길이를 대략 5개 잔기로 줄임으로써 scFv 단편으로부터 생성된다(문헌[Peipp & Valerius 2002, Biochem Soc Trans 30, 507-511]). 이러한 링커 크기의 감소에 의해 VH 및 VL 도메인의 교차 쌍형성에 의한 2개의 폴리펩티드 사슬의 이량체화가 용이하게 된다. 이중특이적 디아바디는 동일한 세포 내에서 구조 VHA-VLB 및 VHB-VLA(VH-VL 배열) 또는 VLA-VHB 및 VLB-VHA(VL-VH 배열) 중 어느 하나를 갖는 2개의 폴리펩티드 사슬을 발현시킴으로써 생성된다. 다가 "아바디(abody)", 예를 들어, 트리아바디 및 테트라바디도 또한 존재한다.
불활성 동종이량체 형성의 문제를 없애기 위하여, 이중특이적 디아바디가 생성되게 하는 방법은 노브-인투-홀(knob-into-hole) 디아바디를 생성시키는 것이다(문헌[Holliger et al. 1993, Proc Natl Acad Sci USA 90, 6444-6448]). 아미노산 변화에 의해, 큰 노브가 VH 도메인에서 조작되며, 상보성 홀이 VL 도메인에서 조작된다.
단일-사슬 디아바디(scDb)는 이중특이적 디아바디-유사 분자의 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체 전략을 나타낸다(문헌[Holliger & Winter 1997, Cancer Immunol Immunother 45, 128-130]; 문헌[Wu et al. 1996, Immunotechnology 2, 21-36]). 이중특이적 단일-사슬 디아바디는 2개의 디아바디-형성 폴리펩티드 사슬을, 대략 15개 아미노산 잔기의 길이를 갖는 추가의 중간 링커와 연결시킴으로써 생성된다. 결과적으로, 단량체 단일 사슬 디아바디(50 내지 60 kDa)에 상응하는 분자량을 갖는 모든 분자는 이중특이적이다.
디아바디는 Fc에 융합되어, 디아디아바디(didiabody)로 지칭되는, 더욱 Ig와 유사한 분자를 생성할 수 있다(문헌[Lu et al. 2004, J Biol Chem 279, 2856-2865]). 또한, IgG의 중쇄 내에 2개의 Fab 반복체를 포함하며, 4개의 항원 분자에 결합할 수 있는 다가 항체 작제물이 기재되어 있다(WO 0177342A1호 및 문헌[Miller et al. 2003, J Immunol 170, 4854-4861] 참조).
용어 "항체 단편"은 모 항체가 결합하는 동일한 항원에 결합하도록 항체(모 항체)의 하나 이상의 단편(통상 하나 이상의 CDR)을 포함하는 임의의 분자를 말한다. 항체 단편은 Fv, Fab, Fab', Fab'-SH, 단일 사슬 항체 분자(예를 들어, scFv), F(ab')2, 단일 가변 VH 도메인 및 단일 가변 VL 도메인을 포함한다(문헌[Holliger & Hudson 2005, Nature Biotechnol 23, 1126-1136]). 상기 용어는 마이크로항체(microantibody), 즉, 통상 단지 하나의 CDR만을 포함하는 모 항체의 최소 인식 단위를 추가로 포함한다(문헌[Heap et al. 2005, J Gen Virol 86, 1791-1800]). 임의의 단편은 보다 큰 다가 및/또는 다중특이적 분자, 예를 들어, 단일- 또는 이중-특이적 Fab2, 단일- 또는 삼중-특이적 Fab3, 비스-scFv(단일- 또는 이중특이적), 디아바디(단일- 또는 이중특이적), 트리아바디(예를 들어, 삼가 단일특이적), 테트라바디(예를 들어, 사가 단일특이적), 미니바디(minibody) 등에 혼입될 수 있다(문헌[Holliger & Hudson 2005, Nature Biotechnol 23, 1126-1136]). 단편 중 임의의 것이 예를 들어, 상어 항체의 V-NAR 도메인 또는 낙타 항체의 VhH 도메인에 추가로 혼입될 수 있다(나노바디(nanobody)). 이들 모두는 용어 "항체 단편"에 포함된다.
용어 "모노클로널 항체"는 실질적으로 균질한 항체의 집단을 말한다. 전형적으로 상이한 결정요소(에피토프)에 대하여 유도된 상이한 항체를 포함하는 폴리클로널 항체 제제와 대조적으로, 각각의 모노클로널 항체는 항원 상의 단일의 결정요소에 대해 유도된다. 수식어 "모노클로널"은 임의의 특정 방법에 의한 항체의 생성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모노클로널 항체는 문헌[Kohler & Milstein 1975, Nature 256, 495-497]에 의해 처음 기술된 하이브리도마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거나, 재조합 DNA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816,567호). 또한, 모노클로널 항체는 예를 들어, 문헌[Clackson et al. 1991, Nature 352, 624-628] 또는 문헌[Marks et al. 1991, J Mol Biol 222, 581-597]에 기술된 기술 또는 또 다른 기술 및 기법을 사용하여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용어 "키메라 항체"는 그들이 요망되는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한, 동일한 종(예를 들어, 상이한 분류의 항체) 또는 상이한 종의 항체 및 및 이러한 항체의 단편으로부터 유도되는 부분과 함께 조합된 항체를 말한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816,567호; 문헌[Morrison et al. 1984, Proc Natl Acad Sci USA 81, 6851-6855]). 예를 들어, 비-인간(예를 들어, 쥣과) 항체의 "인간화" 형태는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으로부터 유도된 최소 서열을 함유하는 키메라 항체이다. 대부분, 인간화 항체는 수여자의 초가변 영역 유래의 잔기가 요망되는 특이성, 친화성 및 능력을 갖는 비-인간 종(공여자 항체), 예를 들어, 마우스, 랫트, 토끼 또는 비인간 영장류 유래의 잔기로 대체되는 인간 면역글로불린(수여자 항체)이다. 일부 경우에, 인간 면역글로불린의 프레임워크 영역(FR) 잔기는 상응하는 비-인간 잔기에 의해 대체된다. 또한, 인간화 항체는 수여자 항체 또는 공여자 항체에서 관찰되지 않는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변형은 항체 성능을 더욱 개선시키기 위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인간화 버전의 항체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 CDR 외측의 영역에 16개 이하의 돌연변이를 지니는 SEQ ID NO: 18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된 바와 같은 가변 중쇄;
(ii) CDR 외측의 영역에 9개 이하의 돌연변이를 지니는 SEQ ID NO: 14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된 바와 같은 가변 경쇄;
(iii) 하기의 돌연변이 중 하나 이상을 지니는 SEQ ID NO: 18에 제공된 바와 같은 가변 중쇄: Val5Leu, Asp1OGly, Lys13Gln, Lys19Arg, Asp42Gly, Arg44Gly, Ser74Asn, Ser84Asn, Lys87Arg, Ser88Ala, Met93Val 및/또는 Thr114Leu;
(iv) 하기의 돌연변이 중 하나 이상을 지니는 SEQ ID NO: 20에 제공된 바와 같은 가변 중쇄: Val5Leu, Asp1OGly, Lys13Gln, Lys19Arg, Asp42Gly, Arg44Gly, Phe80Tyr, Ser84Asn, Lys87Arg, Ser88Ala, Ile93Val, Val97Ala 및/또는 Thr114Leu;
(v) 하기의 돌연변이 중 하나 이상을 지니는 SEQ ID NO: 21에 제공된 바와 같은 가변 중쇄: Val5Leu, Asp1OGly, Lys13Gln, Lys19Arg, Asp42Gly, Arg44Gly, Ser74Asn, Ser77Asn, Ser84Asn, Ser88Ala, Ile93Val 및/또는 Thr114Leu;
(vi) 하기의 돌연변이 중 하나 이상을 지니는 SEQ ID NO: 15에 제공된 바와 같은 가변 경쇄: Leu3Val, Thr7Ser, Ser14Thr, Asp17Gln, Gln18Pro, Lys50Arg, Leu88Val 및/또는 Gly105Gln;
(vii) 하기의 돌연변이 중 하나 이상을 지니는 SEQ ID NO: 16에 제공된 바와 같은 가변 경쇄: Leu3Val, Thr7Ser, Ser14Thr, Asp17Gln, Gln18Pro, Ala45Pro, Lys50Arg, Leu88Val 및/또는 Gly105Gln; 또는
(viii) 하기의 돌연변이 중 하나 이상을 지니는 SEQ ID NO: 17에 제공된 바와 같은 가변 경쇄: Leu3Val, Thr7Ser, Ser14Thr, Asp17Gln, Gln18Pro, Asn50Arg, Leu88Val 및/또는 Gly105Gln.
본 발명의 인간화 버전의 항체의 특정 예에는 (i) SEQ ID NO: 102에 의해 정의된 가변 중쇄 및 SEQ ID NO: 103에 의해 정의된 가변 경쇄, 또는 (ii) SEQ ID NO: 104에 의해 정의된 가변 중쇄 및 SEQ ID NO: 105에 의해 정의된 가변 경쇄, 또는 (iii) SEQ ID NO: 106에 의해 정의된 가변 중쇄 및 SEQ ID NO: 107에 의해 정의된 가변 경쇄가 포함된다. 이들 인간화 항체 중 임의의 것의 항원-결합 단편도 또한 본 발명의 대상이다.
"인간 항체"는 인간에 의해 생성되고/거나 인간 항체를 제조하기 위한 기술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항체이다. 인간 항체는 인간 항체를 발현하는 파지 라이브러리로부터의 선택에 의해서와 같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문헌[Vaughan et al. 1996, Nature Biotechnol 14, 309-314 (1996)]; 문헌[Sheets et al. 1998, Proc Natl Acad Sci USA 95, 6157-6162]; 문헌[Hoogenboom & Winter 1991, J Mol Biol 227, 381-388]; 문헌[Marks et al. 1991, J Mol Biol 222, 581-597]). 인간 항체는 또한 인간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좌(loci)를 트랜스제닉 동물, 예를 들어, 내인성 면역글로불린 유전자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불활성화된 마우스에 도입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시험감염(challenge) 시에, 인간 항체 생성이 관찰된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545,807호; 미국 특허 제5,545,806호; 미국 특허 제5,569,825호; 미국 특허 제5,625,126호; 미국 특허 제5,633,425호; 미국 특허 제5,661,016호; 문헌[Marks et al. 1992, BioTechnology 10, 779-783]; 문헌[Lonberg et al. 1994, Nature 368, 856-859]; 문헌[Morrison 1994, Nature 368, 812-813]; 문헌[Fishwild et al. 1996, Nature Biotechnol 14, 845-851]; 문헌[Lonberg & Huszar 1995, Internat Rev Immunol 13,65-93]). 대안적으로, 인간 항체는 표적 항원에 대해 유도된 항체를 생성하는 인간 림프구의 불멸화(immortalization)를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러한 림프구는 개체로부터 회수되거나 시험관내에서 면역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문헌[Cole et al. 1985, Monoclonal Antibodies and Cancer Therapy, Alan R. Liss, p. 77]; 문헌[Boerner et al. 1991, J Immunol 147, 86-95]; 미국 특허 제5,750,373호).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SEQ ID NO: X에/에 의해 정의되는"은 SEQ ID NO: X에 제공되는 아미노산 또는 뉴클레오티드의 서열로 구성된 생물학적 서열을 말한다. 예를 들어, SEQ ID NO: X에/에 의해 정의되는 항원은 SEQ ID NO: X에 제공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다. 추가의 예는 SEQ ID NO: X를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이며, 이는 SEQ ID NO: X에 제공되는 아미노산을 완전히 포함하지만, SEQ ID NO: X에 제공되는 아미노산 서열보다 더 큰 아미노산 서열(여기서, SEQ ID NO: X에 제공된 아미노산 서열은 보다 긴 아미노산 서열에서 N-말단 또는 C-말단에 위치하거나 보다 긴 아미노산 서열에 임베딩(embed)될 수 있음), 또는 SEQ ID NO: X에 제공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아미노산 서열을 말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항원 PDGF-C에 대한 친화성이 증가된 항체의 선택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i) 상기 기재된 항체 중 임의의 것을 친화성 성숙 과정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ii) 항원 PDGF-C에 대한 친화성이 증가된 항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친화성 성숙 항체"는 모 항체에 적용되는 친화성 성숙 과정의 결과이다. 친화성 성숙 항체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CDR 영역 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위치에서 그의 모 항체와 상이하며, 상기 차이는 항원에 대한 모 항체의 친화성에 비한, 동일한 항원에 대한 친화성 성숙 항체의 친화성의 향상을 야기한다. 친화성 성숙 과정은 예를 들어, 문헌[Marks et al. 1992, BioTechnology 10, 779-783](VH 및 VL 도메인 셔플링(shuffling)에 의한 친화성 성숙)에 의해 기재되는 바와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CDR 및/또는 프레임워크 잔기의 무작위 돌연변이유발은 예를 들어, 문헌[Barbas et al. 1994, Proc Natl Acad Sci USA 91, 3809-3813]; 문헌[Schier et al. 1996, Gene 169: 147-155]; 문헌[Yelton et al. 1995, J Immunol 155, 1994-2004]; 문헌[Jackson et al. 1995, J Immunol 154, 3310-3319]; 문헌[Hawkins et al. 1992, J Mol Biol 226, 889-896]에 의해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항체 또는 상기 항체의 항원-결합 단편의 유도체는 적절한 표지로 표지된 항체 또는 그의 단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표지는 예를 들어, 효소, 비색, 화학발광, 형광 또는 방사성 유형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의 유도체는 일반적으로 상기 항체 또는 그의 단편과 다른 화합물의 컨쥬게이션으로부터 야기되는 모든 분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른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항체 또는 항체-단편의 안정성(예를 들어, 반감기) 및/또는 용해성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전구약물을 그의 활성 형태(예를 들어, 화학요법에 사용하기 위함)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소일 수 있거나; 그 자체가 세포분열억제(cytostatic) 및/또는 세포독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유도체화 변형에는 PEG화(pegylation), 항체 또는 항체-단편 백본(bacbone)에서 비자연 발생 시스테인의 도입(삽입 또는 돌연변이에 의함)(교차-결합 부위를 생성하기 위함), 글리코실화(합성 또는 재조합 수단을 통함) 등이 포함된다. 유도의 추가의 예는 세포독성제(세포의 기능을 억제하거나 예방하고/거나 세포의 파괴를 야기하는 물질), 예를 들어, 방사성 동위원소(예를 들어, At211, I131, I125, Y90, Re186, Re188, Sm153, Bi212, P32 및 Lu의 방사성 동위원소), 화학치료제 및 독소, 예를 들어, 박테리아, 진균, 식물 또는 동물 기원의 소분자 독소 또는 효소적 활성 독소(그의 단편 및/또는 변이체 포함)의 결합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항체의 다른 유도체는 이중특이적 항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항체는 한편으로는 PDGF-C 단백질(상술됨)에 특이적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제2 항원에 특이적이다. 제2 항원은 예를 들어, 임의의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종양-특이적 항원 또는 종양-관련 항원일 수 있다. 이러한 PDGF-C- 및 종양-항원-이중특이적 항체는 PDGF-C-발현 세포의 사멸 효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중특이적 항체의 PDGF-C-특이성은 본 발명의 항체의 경쇄 또는 중쇄 가변 도메인 중 하나 이상, 또는 경쇄 및/또는 중쇄 가변 도메인의 CDR 중 하나 이상을 포함시킴으로써 수득될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상술된 PDGF-C-결합 항체 또는 그의 항원-결합 단편 중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분리된 핵산에 관한 것이다. 유전자 암호가 다소 친숙한 누구나, 임의의 단백질 서열을 뉴클레오티드 서열로 번역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리버스 번역(reverse translation)" 또는 "역번역(backtranslation)"을 수행하기 위한 도구는 예를 들어, http://www.bioinformatics.org/sms2/rev_trans.html 또는 http://arbl.cvmbs.colostate.edu/molkit/rtranslate/index.html 또는 http://www.entelechon.com/2008/10/backtranslation-tool/에서 널리 이용가능하다. 필요에 따라, 주어진 종에 대한 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조정, 즉, 주어진 종에서의 발현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코돈 사용의 조정도 또한, 현재는 통상 인식되어 있으며, 또한 http://www.kazusa.or.jp/codon/에서의 코돈 사용 데이터베이스 또는 http://genomes.urv.es/OPTIMIZER(150개 초과의 원핵 종)와 같이 자유롭게 접근가능한 웹-도구가 이용가능하다.
상기 항체, 항원-결합 단편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 중 임의의 것은 약제로서 이용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이용은 단일 이용(단일요법) 또는 부가적인 치료제와의 병용(병용 요법)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항체, 항원-결합 단편 또는 그의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 중 적어도 하나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임의로 부가적인 치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항체, 항원-결합 단편 또는 그의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 중 임의의 것은 어떤 형태 또는 제형일지라도, 키트의 제조 부품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키트는 다른 구성성분 또는 기타 구성성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여기서, 그들 모두는 약제학적 조성물일 필요가 없다. 비-약제학적 구성성분은 예를 들어, 상기 항체, 항원-결합 단편 또는 그의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리플릿(leaflet)일 수 있다. 또한, 키트는 병용 요법의 상이한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추가의 설명 참조).
상기 약제는 예를 들어, 양성, 전-악성 또는 악성 종양, 안과 장애 및 혈관신생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를 위해 의도된다.
"암"은 악성 신생물 종양을 말하며, 암종(장기의 막을 형성하거나 이를 덮는 피부 또는 조직에서 시작; 피부-, 폐-, 결장-, 췌장- 및 난소암 및 상피-, 편평상피- 및 기저 세포 암종, 흑생종, 유두종 및 선종 포함); 육종(뼈, 연골, 지방, 근육, 혈관 또는 다른 연결 또는 지지 조직에서 시작; 뼈- 및 연조직 암 및 골육종, 활액막육종, 지방육종, 혈관육종, 람브도사르코마(rhabdosarcoma) 및 섬유육종 포함), 백혈병(혈액 형성 조직, 예를 들어, 골수에서 시작하여, 다수의 비정상 혈액 세포가 생성되고 혈액에 유입되게 함; 백혈병, 림프모구성 백혈병(ALL 및 CLL), 골수성 백혈병(AML 및 CML), T-세포 백혈병 및 모발상 세포 백혈병 포함), 림프종 및 골수종(면역계의 세포에서 시작; 림프종, T-세포 림프종, B-세포 림프종, 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 및 림프구증식 림프종 포함), 중추신경계 암(뇌 및 척수의 조직에서 시작; 뇌 및 척수 종양, 신경아교종, 수막종, 뇌하수체샘종, 전정신경초종, 일차 CNS 림프종 및 원시 신경외배엽 종양 포함) 및 전이암(통상적으로 암 세포가 처음부터 발생되지 않았던 조직 내에 현재 존재하는 상기 열거된 세포 유형으로부터 야기)을 포함한다. 암의 특정 예는 에스트로겐 수용체(E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 또는 Her2/neu에 대한 유전자를 발현하지 않는 삼중-음성 유방암이다.
"안과 장애"는 당뇨병 망막병증(비증식성 또는 증식성), 연령-관련 황반 부종, 홍채 신혈관형성(홍채 내의 신규 비정상 혈관의 성장), 맥락막 신혈관형성(CNV; 눈의 맥락막의 신규 혈관의 성장), 퇴행성 황반병증, 각막 신혈관형성, 신혈관형성 녹내장, 미숙아 망막병증, 유리질 과다형성 증후군(hyperplastic vitreous syndrome)을 포함한다.
신혈관형성, 또는 혈관신생 또는 병적 혈관신생(모두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는 소위 "혈관신생 질환"에서 전형적으로 관찰되는 흔치 않은 부위에서의 신규한 혈관의 형성(모세혈관 내증식 및 내피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 또는 질환을 말한다. 신혈관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의 광범위한 목록은 문헌[Carmeliet 2003 (Nature Medicine 9, 653-660)]의 표 1에 제공되어 있으며, 종양을 제외하고, 안과 장애;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 장애, 혈관 기형, 디죠지 증후군(DiGeorge syndrome), HHT, 해면혈관종, 죽상동맥경화증, 이식 동맥병증, 비만, 건선, 사마귀, 알러지성 피부염, 켈로이드성 흉터, 화농성 육아종, 수포성 질환, 폐동맥고혈압, 천식, 비 용종, 염증성 장 및 치주병, 복수, 복막 유착, 자궁내막증, 자궁 출혈, 난소낭, 난소 과다자극, 관절염, 윤활막염, 골수염 및 골증식체 형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병용 요법"은 임의의 유형의 병용을 말한다. 기술적으로 실행가능하고, 화학적으로 유의미하다면, 둘 이상의 상이한 활성 물질이 단일 약제 또는 제형에서 병용될 수 있으며, 하나는 본 발명에 따른 항-PDGF-C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이다. 대안적으로, 둘 이상의 상이한 활성 물질은 순차 및/또는 동시 투여(들)를 수반할 수 있는 처방된 투여 요법에서 환자에게 투여될 개별 약제(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항-PDGF-C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을 포함하지 않는 약제도 여전히 둘 이상의 다른 활성 물질의 병용일 수 있음)로서 제공된다. 다른 활성 물질의 다중 투여가 필요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본 발명에 따른 항-PDGF-C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의 투여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특히 상기 다른 활성 물질의 약동학이 본 발명에 따른 항-PDGF-C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의 약동학과 완전히 상이한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체는 실제로 그들이 상대적으로 긴 반감기를 갖는다는 점에서 유리한 약동학을 갖는 이점을 갖는다. 2개의 약제의 순차적 투여는 본 발명에 따른 항-PDGF-C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의 투여가 다른 활성 물질 또는 약제의 적어도 1회의 투여 전에 또는 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암시한다. 명백하게, 상기의 것 중 임의의 것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PDGF-C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의 다수의 투여가 필요한 경우에 적용된다.
추가의 활성 물질 또는 활성제는 의도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당업계에 인식되어 있는 임의의 제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추가의 활성 물질 또는 활성제는 예를 들어, 화학 제제(예를 들어, 표적화 효소 또는 단백질, 합성 압타머, siRNA, 안티센스 RNA 등을 포함하는 DNA 또는 RNA) 또는 화학치료제(예를 들어, 일반적인 세포분열억제 또는 세포독성제), 생물학적 제제(예를 들어,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단백질 스캐폴드-기반의 분자), 항염증제, 항바이러스제, 항박테리아제, 항바이러스제, 항-혈관형성제, 항-유사분열제, 항히스타민, 마취제, 산동 유도제 및 조절마비 유도제일 수 있다. 추가의 활성 물질 또는 제제는 추가로 방사선조사(예를 들어, 일부 암의 치료에서) 또는 레이저 요법(예를 들어, 일부 안구 질환의 치료에서)일 수 있다.
항-혈관형성제의 예에는 항체(또는 그의 단편), 예를 들어, 항-VEGF(혈관 내피 성장 인자) 또는 항-PlGF(태반 성장 인자) 항체 및 제제, 예를 들어, 마큐젠(macugen)(페가타닙 나트륨(pegaptanib sodium)), 트립토파닐-tRNA 신테타제(synthetase)(TrpRS), 아네코르타브 아세테이트(anecortave acetate), 콤브레스타틴(combrestatin) A4 전구약물, AdPEDF(색소 상피-유래 인자를 발현할 수 있는 아데노벡터), VEGF 수용체-2의 억제제, VEGF, PlGF 또는 TGF-β의 억제제, 시롤리무스(Sirolimus)(라파마이신(rapamycin)) 및 엔도스타틴(endostatin)이 포함된다.
암 또는 안과 장애의 치료에 사용되는 승인된 생물학적 제제의 예에는 베바시주맙(bevacizumab)(항-VEGF), 라니비주맙(ranibizumab)(항-VEGF), 아플리베르셉트(aflibercept)(또는 VEGF Trap-Eye), 리툭시맙(rituximab) 및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ibritumomab tiuxetan)(항-CD20),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항-Her2), 젬투주맙 오조가미신(gemtuzumab ozogamicin)(항-CD33) 및 알렘투주맙(alemtuzumab)(항-CD52)이 포함된다.
암의 치료에 유용한 화학치료제의 예에는 알킬화제, 예를 들어 티오테파(thiotepa) 및 사이클로포스파미드(사이톡산(CYTOXAN)™); 알킬 술포네이트, 예를 들어 부술판(busulfan), 임프로술판(improsulfan) 및 피포술판(piposulfan); 아지리딘(aziridine), 예를 들어 벤조도파(benzodopa), 카르보쿠온(carboquone), 메트우레도파(meturedopa) 및 우레도파(uredopa); 에틸렌이민 및 메틸아멜라민(methylamelamine), 예를 들어 알트레타민(altretamine), 트리에틸렌멜라민, 트리에틸렌포스포르아미드, 트리에틸렌티오포스포르아미드 및 트리메틸올로멜라민; 아세토게닌(acetogenin)(예를 들어, 불라타신(bullatacin) 및 불라타시논(bullatacinone)); 캄프토테신(camptothecin)(합성 유사체 토포테칸(topotecan) 포함); 브리오스타틴(bryostatin); 칼리스타틴(callystatin); CC-1065(그의 아도젤레신(adozelesin), 카르젤레신(carzelesin) 및 비젤레신(bizelesin) 합성 유사체 포함); 크립토파이신(cryptophycin)(특히 크립토파이신 1 및 크립토파이신 8); 돌라스타틴(dolastatin); 두오카르마이신(duocarmycin)(합성 유사체, KW-2189 및 CB1-TM1 포함); 에류테로빈(eleutherobin); 판크라티스타틴(pancratistatin); 사르코딕타이인(sarcodictyin); 스폰기스타틴(spongistatin); 질소 머스타드, 예를 들어 클로람부실(chlorambucil), 클로나파진(chlornaphazine), 클로로포스파미드(cholophosphamide), 에스트라무스틴(estramustine),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메클로레타민(mechlorethamine), 메클로레타민 옥시드 염산염, 멜팔란(melphalan), 노벰비친(novembichin), 페네스테린(phenesterine), 프레드니무스틴(prednimustine), 트로포스파미드(trofosfamide), 우라실 머스타드; 니트로스우레아(nitrosurea), 예를 들어 카르무스틴(carmustine), 클로로조토신(chlorozotocin), 포테무스틴(fotemustine), 로무스틴(lomustine), 니무스틴(nimustine) 및 라니무스틴(ranimustine); 항생제, 예를 들어 에네디와인(enediyne) 항생제(예를 들어, 칼리케아미신(calicheamicin), 특히 칼리케아미신 γ1 I 및 칼리케아미신 θ1 I(예를 들어, 문헌[Nicolaou et al. 1994, Agnew, Chem Intl Ed Engl 33, 183-186] 참조); 다이네미신(dynemicin), 예를 들어 다이네미신 A; 에스페라미신(esperamicin); 및 네오카르지노스타틴 발색단(neocarzinostatin chromophore) 및 관련 발색단백질 에네디와인(enediyne) 항생제 발색단), 아클라시노마이신(aclacinomysin), 악티노마이신(actinomycin), 아우트라마이신(authramycin), 아자세린(azaserine), 블레오마이신(bleomycin), 칵티노마이신(cactinomycin), 카라비신(carabicin), 카르미노마이신(carminomycin), 카르지노필린(carzinophilin), 크로모마이신(chromomycin),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데토루비신(detorubicin), 6-디아조-5-옥소-L-노르류신, 독소루비신(doxorubicin)(모르폴리노-독소루비신, 시아노모르폴리노-독소루비신, 2-피롤리노-독소루비신 및 데옥시독소루비신 포함), 에피루비신(epirubicin), 에소루비신(esorubicin), 이다루비신(idarubicin), 마르셀로마이신(marcellomycin), 미토마이신(mitomycin), 미코페놀산(mycophenolic acid), 노갈라마이신(nogalamycin), 올리보마이신(olivomycin), 페플로마이신(peplomycin), 포트피로마이신(potfiromycin), 푸로마이신(puromycin), 쿠엘라마이신(quelamycin), 로도루비신(rodorubicin), 스트렙토니그린(streptonigrin), 스트렙토조신(streptozocin), 튜버시딘(tubercidin), 우베니멕스(ubenimex), 지노스타틴(zinostatin), 조루비신(zorubicin); 항-대사물질, 예를 들어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및 5-플루오로우라실(5-FU); 엽산 유사체, 예를 들어 데노프테린(denopterin), 프테로프테린(pteropterin), 트리메트렉세이트(trimetrexate); 퓨린 유사체, 예를 들어 플루다라빈(fludarabine), 6-머캅토퓨린(6-mercaptopurine), 티아미프린(thiamiprine), 티오구아닌(thioguanine); 피리미딘 유사체, 예를 들어 안시타빈(ancitabine), 아자시티딘(azacitidine), 6-아자우리딘(6-azauridine), 카르모푸르(carmofur), 시타라빈(cytarabine), 디데옥시우리딘(dideoxyuridine), 독시플루리딘(doxifiuridine), 에노시타빈(enocitabine), 플록스우리딘(floxuridine); 5-FU; 안드로겐, 예를 들어 칼루스테론(calusterone), 드로모스타놀론 프로피오네이트(dromostanolone propionate), 에피티오스타놀(epitiostanol), 메피티오스탄(mepitiostane), 테스토락톤(testolactone); 항-아드레날, 예를 들어 아미노글루테티미드(aminoglutethimide), 미토탄(mitotane), 트릴로스탄(trilostane); 엽산 보충제, 예를 들어 프롤린산(frolinic acid); 아세글라톤(aceglatone); 알도포스파미드 글리코사이드(aldophosphamide glycoside); 아미노레불린산(aminolevulinic acid); 암사크린(amsacrine); 베스트라부실(bestrabucil); 비산트렌(bisantrene); 에다트렉세이트(edatraxate); 데포파민(defofamine); 데메콜신(demecolcine); 디아지쿠온(diaziquone); 엘포르니틴(elfornithine); 엘립티늄 아세테이트(elliptinium acetate); 에포틸론(epothilone); 에토글루시드(etoglucid); 질산갈륨; 하이드록시우레아; 렌티난(lentinan); 로니다민(lonidamine); 메이탄시노이드(maytansinoid), 예를 들어 메이탄신(maytansine) 및 안사미토신(ansamitocin); 미토구아존(mitoguazone); 미톡산트론(mitoxantrone); 모피다몰(mopidamol); 니트라크린(nitracrine); 펜토스타틴(pentostatin); 페나메트(phenamet); 피라루비신(pirarubicin); 포도필린산(podophyllinic acid); 2-에틸히드라지드(2-ethylhydrazide); 프로카르바진(procarbazine); PSK®; 로족산(razoxane); 리족신(rhizoxin); 시조피란(sizofiran); 스피로게르마늄(spirogermanium); 테누아존산(tenuazonic acid); 트리아지쿠온(triaziquone); 2,2',2"-트리클로로트리에틸아민; 트리코테센(trichothecene)(특히 T-2 독소, 베라쿠린(verracurin) A, 로리딘(roridin) A 및 안귀딘(anguidine)); 우레탄(urethan); 빈데신(vindesine), 다카르바진(dacarbazine); 만노무스틴(mannomustine); 미토브로니톨(mitobronitol); 미토락톨(mitolactol); 피포브로만(pipobroman); 가시토신(gacytosine); 아라비노시드(arabinoside)("Ara-C");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탁소이드, 예를 들어, 파클리탁셀(paclitaxel)(탁솔(TAXOL)®,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 온콜로지(Bristol-Myers Squibb Oncology,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톤)) 및 독세탁셀(doxetaxel)(탁소테레(TAXOTERE)®, 롱-프랑 로라(Rhone-Poulenc Rorer, 프랑스 안토니)); 클로람부실(chlorambucil); 겜시타빈(gemcitabine); 6-티오구아닌; 머캅토퓨린; 백금 유사체, 예를 들어 시스플라틴(cisplatin) 및 카르보플라틴(carboplatin); 빈블라스틴(vinblastine); 백금; 에토포시드(etoposide)(VP-16);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미톡산트론(mitoxantrone);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비노렐빈(vinorelbine); 나벨빈(navelbine); 노반트론(novantrone); 테니포시드(teniposide); 다우노마이신(daunomycin); 아미노프테린(aminopterin); 젤로다(xeloda); 이반드로네이트(ibandronate); CPT-11;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 RFS 2000; 디플루오로메틸오르니틴(DMFO); 레티노산; 카페시타빈(capecitabine); 및 상기 임의의 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산 또는 유도체가 포함된다. 또한, 종양에 대한 호르몬의 작용을 조절 또는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항호르몬제, 예를 들어, 항-에스트로겐, 예를 들어, 타목시펜(tamoxifen), 랄록시펜(raloxifene), 아로마타제 억제성 4(5)-이미다졸, 4-히드록시타목시펜, 트리옥시펜(trioxifene), 케옥시펜(keoxifene), LY117018, 오나프리스톤(onapristone), 및 토레미펜(toremifene)(파레스톤(Fareston)); 및 항-안드로겐, 예를 들어 플루타미드(fiutamide), 닐루타미드(nilutamide), 비칼루타미드(bicalutamide), 류프롤리드(leuprolide) 및 고세렐린(goserelin); 및 상기 임의의 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산 또는 유도체가 포함된다.
항염증제의 예에는 스테로이드(예를 들어,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메틸프레드니솔론(methylprednisolone), 코르티손(cortisone),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프레드니손(prednisone), 트리암시놀론(triamcin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SAID; 예를 들어, 아세트아미노프렌(acetaminophren), 이부프로펜(ibuprofen), 아스피린(aspirin))가 포함된다.
항바이러스제의 예에는 트리플루리딘(trifluridine), 비다라빈(vidarabine), 아시클로버(acyclovir), 발라시클로버(valacyclovir), 팜시클로버(famciclovir) 및 독수리딘(doxuridine)이 포함된다.
항박테리아제 또는 항생제의 예에는 암피실린(ampicillin), 페니실린(penicill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프라마이세틴(framycetin), 가티플록사신(gatifloxacin), 젠타마이신(gentamicin), 토브라마이신(tobramycin), 바시트라신(bacitracin), 네오마이신(neomycin) 및 폴리믹신(polymyxin)이 포함된다.
항곰팡이제(anti-mycotic)/정진균제(fungistatic)/항진균제의 예에는 플루코나졸(fluconazole), 암포테리신(amphotericin), 클로트리마졸(clotrimazole), 에코나졸(econazole),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미코나졸(miconazole), 5-플루오로시토신, 케토코나졸(ketoconazole) 및 나타마이신(natamycin)이 포함된다.
항유사분열제의 예에는 미토마이신 C 및 5-플루오로우라실이 포함된다.
항히스타민의 예에는 케토티펜 푸마레이트(ketotifen fumarate) 및 페니라민 말레에이트(pheniramine maleate)가 포함된다.
마취제의 예에는 벤조카인(benzocaine), 부탐벤(butamben), 디부카인(dibucaine), 리도카인(lidocaine), 옥시부프로카인(oxybuprocaine), 프라목신(pramoxine), 프로파라카인(proparacaine), 프록시메타카인(proxymetacaine), 테트라카인(tetracaine) 및 아메토카인(amethocaine)이 포함된다.
안과 응용 또는 사용을 위하여, 동공확대/동공 확장 유도제(예를 들어, 스코폴라민(scopolamine), 아트로핀(atropine) 또는 트로피카미드(tropicamide) 및/또는 사이클로플레지아(cycloplegia)(안구 집중 근육(eye focusing muscle)의 마비)를 포함하는 다른 보조제 또는 약물이 본 발명에 따른 항-PDGF-C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안구 환경에서, 윤활제가 필요할 수 있으며, 이에는 프로필렌 글리세롤, 글리세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대두 레시틴, 폴리비닐 알콜, 백색 바셀린, 광유, 포비돈(povidone), 카르보폴(carbopol) 980,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덱스트란 70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PDGF-C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이 후유리체박리(PVD)를 유도할 수 있는 제제와 병용될 수 있다. 신생 혈관형성의 억제는 실제로 PVD를 유도한 후에 더욱 효율적인 것으로 보였다(문헌[Lee and Koh 2011, Ophthalmology 118, 101-110]). PVD를 유도할 수 있는 제제에는 플라스민(plasmin) 및 마이크로플라스민이 포함된다(미국 특허 제5,304,118호; WO2004/052228호).
신생혈관 녹내장을 치료하거나 억제하는 경우에, 안구 내압을 조절하기 위한 제제도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PDGF-C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약제는 아드레날린 차단제(베타 차단제 또는 교감신경 차단제, 예를 들어, 베탁솔롤(betaxolol), 카르테올롤(carteolol), 레보부놀롤(levobunolol), 메티프라놀롤(metipranolol) 및 티몰롤(timolol)), 아드레날린 자극제(교감신경작용 약물, 예를 들어, 아프로클로니딘( aproclonidine), 에피네프린(epinephrine), 하이드록시 암페타민(hydroxy amphetamine), 페닐에프린(phenylephrine), 나파졸린(naphazoline) 및 테트라하이드로잘린(tetrahydrozaline)), 탄산 무수화효소 억제제(예를 들어, 전신 아세토졸라미드(acetozolamide) 및 국소 브린졸라미드(brinzolamide) 및 도르졸라미드(dorzolamide)), 동공축소제(콜린성 자극제, 부교감신경작용 약물, 예를 들어, 카르바콜(carbachol) 및 필로카르핀(pilocarpine)), 삼투 작용제(osmotic agent)(예를 들어, 글리세린 및 만니톨), 프로스타글란딘 및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프로스타미드(prostamide), 비마토프로스트(bimatoprost), 유노프로스톤 아이소프로필(unoprostone isopropyl), 트라보프로스트(travoprost), 라타노프로스트(latanoprost), 천연 프로스타글란딘, 프로스타글란딘 F2α 및 FP 프로스타노이드 수용체 효능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PDGF-C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은 약제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활성 물질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제형"으로 제형화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은 일반적으로 제형화될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과 양립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보조제(adjunvant)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전체 제형은 의도된 조직 또는 기관 등에서의 의도된 용도와 양립가능하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제형 및 그들의 제조 방법의 예는 예를 들어,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20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0)] 또는 임의의 약전 편람(예를 들어, 미국, 유럽 또는 국제 약전)에서 찾을 수 있다.
"희석제, 담체 또는 보조제"는 그 자체가 조성물을 제공받는 개체에 유해한 항체의 생성을 유도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부형제, 희석제, 담체 및/또는 보조제이다. 전형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화합물(예를 들어, 희석제, 담체 및 부보조제)은 예를 들어, 약전 편람(예를 들어, 미국, 유럽 또는 국제 약전)에서 찾을 수 있다.
"희석제" 또는 보다 자세하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는 희석제, 예를 들어, 물, 염수, 생리적 식염수,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포함한다. 보조 물질, 예를 들어, 습윤화제 또는 유화제, pH 완충 물질, 보존제가 이러한 희석제에 포함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보조제는 예를 들어, 연장된 기간에 걸친 본 발명에 따른 항체 또는 그의 단편의 지속적 방출을 제공함으로써(서방형 제형), 본 발명에 따른 항체 또는 그의 단편에 의해 유도되는 반응을 증진시킬 수 있다. 용어 "보조제"는 통상적으로 다른 제제(예를 들어, 약물, 백신)의 효과를 변경시키면서(바람직하게는 증가시키면서), 그들 자체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 직접적인 효과가 있더라도 거의 없는 약리학적 또는 면역학적 제제를 말한다. 보조제의 일 예로서,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 또는 성분이 흡수될 수 있는 보조제 수산화알루미늄(alum)이 제공된다. 또한, 많은 다른 보조제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을 용해시키거나, 분산시키거나 또는 확산시킴으로써 처리될 자리로의 그의 적용 또는 분산을 용이하기 위하여, 및/또는 그의 유효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그의 보관, 수송 또는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활성 성분이 함께 제형화되는 임의의 재료 또는 물질을 의미한다. 그들은 임의의 및 모든 용매, 분산 매질, 코팅제, 항박테리아 및 항진균제(예를 들어, 소르브산 또는 클로로부탄올), 등장화제(예를 들어, 당 또는 염화나트륨) 등을 포함할 수 있되, 단, 이들은 약무와 일치하며, 다시 말하면, 담체 및 담체를 제공받는 대상체에 대하여 영구적인 손상을 생성하지 않는 첨가제이다. 조성물 중의 활성 성분의 작용 기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추가의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또는 액체를 형성하도록 응축될 수 있는 기체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농축제, 에멀젼, 용액, 과립, 더스트, 스프레이, 에어로졸, 현탁액, 연고, 크림, 정제, 알약 또는 분말로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들의 제형에서 사용하기 위한 적절한 약제학적 담체는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본 발명 내에서 그들의 선택을 특히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임의의 공지된 수단, 예를 들어, 선택적인 담체 물질, 필요에 따라 다른 첨가제, 예를 들어, 표면 활성제를 사용하여 단일 단계 또는 다단계 과정으로 활성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코팅하고/하거나, 연마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화, 예를 들어, 약 1 내지 10 ㎛의 직경을 통상적으로 갖는 미소구체의 형태로 그들을 수득하기 위하여, 즉 활성 분의 제어 또는 지속된 방출을 위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를 위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는 주사가능한 것으로서, 액체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주사는 피하, 근육내, 정맥내, 동맥내, 복막내, 경막내, 피내, 표피내일 수 있다. 눈으로의 국소 투여의 경우에, 유리체내 주사, 전방으로의 주사 또는 결막하 주사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은 그것이 다른 유형의 투여, 예를 들어, 이식, 좌제, 경구 섭취, 장 응용, 흡입, 에어로졸화, 점안액, 비강용 스프레이 또는 점적액 또는 의료 장치, 예를 들어, 스텐트를 통한 투여에 적절하게 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주사 전에, 액체 비히클에 용해시키기에 적절한 고체 형태 또는 그 내의 현탁액도 또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제는 그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유화되거나 또는 리포좀에 캡슐화될 수 있다. 제제는 볼루스 투여(bolus dose)로서 또는 연속 주입에 의해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제제는 예를 들어, 삼투 미니펌프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의도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예방 또는 억제를 위하여, 그리고 의도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예방 또는 억제 방법에서, 유효량의 본 발명에 따른 항-PDGF-C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이 의도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예방 또는 억제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조성물 중의 활성 물질의 "유효량"은 의도되거나 표적화된 의학적 징후의 예방 또는 치료 또는 감소에 있어서, 적당한 반응을 유도하는데 필요하고 충분한 상기 물질의 양이다. 이러한 반응이 투여 계획 또는 -스케쥴의 일부로서 조성물의 연속적인(적기의) 투여를 필요로 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유효량은 치료할 개체의 건강 및 신체 상태, 치료할 개체의 연령(예를 들어, 유아에 대한 용량은 성인에 대해서보다 더 낮을 수 있음), 치료할 개체의 분류군(예를 들어, 인간, 비인간 영장류, 영장류 등), 효율적으로 반응하는 개체의 시스템의 능력, 요망되는 반응 정도, 활성 물질의 제형, 치료의의 평가 및 다른 관련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유효량은 또한, 그것이 단일요법에서 사용되는지 병용 요법에서 사용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 물질(항-PDGF-C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그들의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의 유효량은 통상의 시험을 통해 결정될 수 있는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에 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양은 0.01 내지 1000 ㎍/용량, 더욱 자세히는 0.1 내지 100 ㎍/용량으로 달라질 것이다. 대안적으로, 활성 물질은 1 ㎍/㎏(체중) 내지 10 ㎎/㎏(체중), 또는 10 ㎍/㎏(체중) 내지 5 ㎎/㎏(체중), 또는 100 ㎍/㎏(체중) 내지 2 ㎎/㎏(체중)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치료는 단일 투여 스케쥴 또는 다중 투여 스케쥴일 수 있다. 활성 성분이 지속적으로 투여된다면, 투여된 용량은 1 내지 100㎍/㎏/분, 1 내지 50 ㎍/㎏/분, 5 내지 50 ㎍/㎏/분, 또는 5 내지 20 ㎎/㎏/분일 수 있다.
(유효량의) 본 발명에 따른 항-PDGF-C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의 예방적 투여는 예를 들어, 안과 환경에서 유용할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항-PDGF-C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을 사용한 치료에 반응하는 안과 질환 또는 장애의 경우에, 대상체는 단일 안구에서 이러한 질환 또는 장애를 앓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동일한 대상체의 다른 한쪽의 안구에서 동일한 질환 또는 장애가 발병하기 쉽다는 것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이환되지 않은 안구는 본 발명에 따른 항-PDGF-C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이들 중 임의의 것을 암호화하는 핵산으로 예방적으로 처치될 수 있다.
"치료"는 치료되지 않게 두는 경우의 질환 또는 장애의 진행 또는 예상되는 진행에 비한 질환 또는 장애의 진행의 임의의 속도의 감소 또는 지연을 말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치료는 질환 또는 장애의 진행 없음/부재(즉, "억제") 또는 심지어, 이미 발병된 질환 또는 장애의 임의의 속도의 퇴행을 야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단 도구로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임의의 것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체(또는 그의 임의의 것의 단편 또는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하나의 진단 방법은 종양 세포인 것으로 의심되는 분리된 세포(예를 들어, 생검에 의해 분리)에서의 PDGF-C 단백질의 검출이다. 이후에, 분리된 세포 내의 PDGF-C의 존재는 특히, 과발현된다면, 종양 세포를 근절하기 위한 치료법에서 항-PDGF-C 항체를 적용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PDGF-C 항체 또는 그의 단편을 암호화하는 분리된 핵산은 재조합 벡터, 특히 발현 벡터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태양은 본 발명에 따른 항-PDGF-C 항체 또는 그의 단편을 발현하는 분리된 세포주 또는 재조합 숙주 세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숙주 세포는 상기 항체 또는 그의 단편을 발현할 수 있는 임의의 세포일 수 있다. 적절한 숙주 세포는 배양된 포유류(예를 들어, HEK293) 또는 곤충 세포, 배양된 식물 세포 또는 트랜스제닉 식물, 효모, 예를 들어,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스키조사카로마이세스(Schizosaccharomyces), 피키아(Pichia), 한세눌라(Hansenula), 토룰롭시스(Torulopsis) 및 박테리아 세포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항체 또는 그의 기능적으로 동등한 단편의 발현은 일시적이거나 구성적일 수 있다. 특히, 숙주 세포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예를 들어, 상술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본 발명의 항체를 발현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특히 임의의 생물학적 기탁물 수탁 번호 LMBP 9483CB(항-PDGF-C 항체 2D3), LMBP 9484CB(항-PDGF-C 항체 5A2), LMBP 9485CB(항-PDGF-C 항체 5H7), LMBP 9486CB(항-PDGF-C 항체 16B1), 또는 LMBP 9487CB(항-PDGF-C 항체 29H1)를 갖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포괄한다. 이들 기탁은 2012년 3월 15일에, 벨기에 겐트(즈웨이나르더) 9052 테크놀로지파크 927 소재의 BCCM/LMBP(the Belgian Co-ordinated Collections of Micro-organisms/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Plasmid collection)에서 부다페스트 조약의 조건 하에 행해졌다.
상술된 PDGF-C 결합 항체 또는 그의 항원 결합 단편의 생성 방법은 본 발명의 필수적인 양태를 형성한다. 특히, 이러한 방법은
(i) 상기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의 재조합 발현의 수단에 의해, 또는 상기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의 화학적 합성의 수단에 의해, 상기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의 미정제 제제를 수득하는 단계;
(ii) (i)에서 수득된 미정제 제제로부터 상기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을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PDGF-C에 결합하는 본 발명의 항체의 항원-결합 단편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수득되거나 생성될 수 있다:
(i) 상기 항체의 재조합 발현 수단에 의해 또는 항체의 화학적 합성 수단에 의해 상기 단편을 포함하는 항체의 미정제 제제를 수득하는 단계;
(ii) 상기 항체를 (i)에서 수득된 미정제 제제로부터 정제하는 단계;
(iii) (ii)에서 정제된 항체로부터 항원-결합 단편을 분리하는 단계.
실시예
이후에 포함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입증하는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실시예 1. PDGF-C를 사용한 면역화, 및 하이브리드 생성 및 선택
암컷 Balb/c 마우스를 재조합 인간 PDGF-C로 면역화시켰다(항원의 2회의 피하 주사, 각각 50 ㎍, 처음의 주사는 완전 프레운트 보조제(complete Freund's adjuvant)에서 이루어지고, 두번째 주사는 불완전 프레운트 보조제에서 이루어졌다).
혈액 시료를 마우스의 꼬리로부터 수집하고, 혈청을 ELISA에 의해 항-인간 PDGF-C 항체의 존재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약술하면, 96-웰 ELISA 플레이트를 PBS 중 1 ㎍/㎖의 인간 PDGF-C(100 ㎕/웰, 4℃)로 하룻밤 코팅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시간 동안 1% BSA로 블로킹하고, 혈청 시료(100 ㎕/웰)를 플레이트에 첨가하고(1/500 내지 1/32000 범위의 희석), 항체가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결합되게 하였다. 결합 항체를 HRP-표지, 염소 항-쥣과 IgG(시그마(Sigma), 100 ㎕/웰, 실온에서 1시간)으로 검출한 다음, OPD와 반응시켰다.
두번째 피하 주사한 지 9개월 후에, 마우스에 불완전 프레운트 보조제 중의 50 ㎍의 항원의 세번째 피하 주사를 제공하고, 세번째 피하 주사한 지 7주 후에, 마우스에 염수 완충제 중의 50 ㎍의 항원의 최종 복막내 주사를 제공하고, 융합을 수행하였다.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비장 세포를 문헌[Galfre & Milstein (Methods Enzymol. 73, 3-46, 1981)]의 절차에 따라 SP2/0 골수종 세포와 융합시켰다. HAT(하이폭산틴, 아미노프테린, 티미딘) 배지에서의 선택 후에, 상술된 바와 같은 ELISA에 의해 배양 상청액을 스크리닝함으로써 양성 클론을 선택하였다.
양성 클론을 증량시키고, 항체를 단백질 A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추가의 특성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실시예 2. 쥣과 모노클로널 항-PDGF-C 항체의 VH 및 VL 사슬을 암호화하는 cDNA의 클로닝
RNA를 퀴아젠(Qiagen)(네덜란드 벤로 소재) 사의 알엔이지 미니 키트(RNeasy Mini Kit)를 사용하여 5-10 × 106개 하이브리도마 세포로부터 분리하고, cDNA를 퀴아젠(네덜란드 벤로 소재) 사의 퀀티텍트 리버스 트랜스크립션 키트(QuantiTect Reverse Transcription Kit)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리더 서열 및 불변 영역 각각에 대하여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가변 영역은 PCR 생성물에 포함되었으나, 프라이머 서열에 포함되지 않았다. 표 1에 제공된 바와 같은 프라이머 조합을 하이브리도마 2D3, 5A2, 5H7, 16B1, 29H1 각각에 대하여 사용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1

VH 및 VL 사슬을 증폭시키기 위하여, 25 ㎕ 반응에서, 아큐프라임(Accuprime) Pfx 슈퍼믹스(Supermix)(미국 캘리포니아주 칼스배드 소재의 라이프 테크놀로지즈(Life Technologies))와 함께 터치다운(touchdown) PCR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95℃에서 30초 후에, 95℃에서 30초, 64℃에서 30초 및 68℃에서 1분의 3 사이클을 시행한 다음, 95℃에서 30초, 61℃에서 30초 및 68℃에서 1분의 3 사이클, 95℃에서 30초, 58℃에서 30초 및 68℃에서 1분의 3 사이클, 95℃에서 30초, 55℃에서 30초 및 68℃에서 1분의 3 사이클, 95℃에서 30초, 52℃에서 30초 및 68℃에서 1분의 25 사이클을 시행하여, 72℃에서 5분을 사용하여 종결시켰다.
수득된 PCR 생성물을 겔로부터 분리하고, pCR4Blunt-TOPO(미국 캘리포니아주 칼스배드 소재의 라이프 테크놀로지즈)로 삽입하고, 빅다이 터미네이터(BigDye Terminator) V3.1 사이클 시퀀싱 키트(Cycle Sequencing Kit)(미국 캘리포니아주 샌 디에고 소재의 라이프 테크놀로지즈)를 사용하여, M13 정방향(-20) 프라이머(GTAAAACGACGGCCAG; SEQ ID NO: 5) 및 M13 역방향 프라이머(CAGGAAACAGCTATGAC; SEQ ID NO: 6)를 사용해 시퀀싱하였다.
정제된 하이브리도마 5H7 상청액으로부터의 중쇄 및 경쇄 서열을 N-말단 시퀀싱을 위해 유로시퀀스(Eurosequence)(네덜란드 흐로닝겐 소재)로 보냈다. 경쇄 서열은 Asp-Val-Leu-Met-Thr-Gln-Thr-Pro-Leu-Ser-Leu(SEQ ID NO: 7)인 것으로 관찰된 한편, 중쇄 서열은 Glu-Val-Gln-Leu-Val-Glu-Ser-Gly-Gly-Asp-Leu(SEQ ID NO: 8)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들 결과는 모든 5개의 클로닝된 항체에 대하여 하기에 기재되는 뉴클레오티드 및 아미노산 서열과 부합된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상술된 모노클로널 항체에서 상보성 결정 영역(CDR)이 표 2 및 3에 도시된다.
[표 2]
Figure pct00006

모든 5개의 하이브리도마의 CDR1 서열 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모두는 동일한 경쇄 CDR2 및 CDR3 서열 및 동일하거나 유사한 중쇄 CDR1, CDR2 및 CDR3 서열을 추가로 가짐), 일반적인 CDR1 서열 RSXQXIVHSXGXTYLE(SEQ ID NO:26, 위치 3에서 X는 Asn 또는 Ser이고, 위치 5에서 X는 Ser 또는 Thr이며, 위치 10에서 X는 Asp 또는 Asn이고, 위치 12에서 X는 Asp 또는 Thr임)가 설계될 수 있다.
[표 3]
Figure pct00007

모든 5개의 하이브리도마의 CDR1 서열 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모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중쇄 CDR2 및 CDR3 서열 및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쇄 CDR1, CDR2 및 CDR3 서열을 추가로 가짐), 일반적인 CDR1 서열 XYGMS(SEQ ID NO: 35, X는 Asn 또는 Ser임)가 설계될 수 있다.
모든 5개의 하이브리도마의 CDR2 서열 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모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중쇄 CDR1 및 CDR3 서열 및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쇄 CDR1, CDR2 및 CDR3 서열을 추가로 가짐), 일반적인 CDR2 서열 TIGXGGXXTYYPDSXKG(SEQ ID NO: 36, 위치 4에서 X는 Ser 또는 Tyr이고, 위치 7에서 X는 Ser 또는 His이며, 위치 8에서 X는 Phe 또는 Tyr이고, 위치 15에서 X는 Val 또는 Met임)가 설계될 수 있다.
모든 5개의 하이브리도마의 CDR3 서열 간의 유사성에 기초하여(모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중쇄 CDR1 및 CDR2 서열 및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쇄 CDR1, CDR2 및 CDR3 서열을 추가로 가짐), 일반적인 CDR3 서열 QAPLWDXXDY(SEQ ID NO: 37, 위치 7에서 X는 Cys 또는 Tyr이고, 위치 8에서 X는 Ser 또는 Phe임)가 설계될 수 있다.
상술된 항체를 발현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2012년 3월 15일에, 수탁 번호 LMBP 9483CB(항-PDGF-C 항체 2D3), LMBP 9484CB(항-PDGF-C 항체 5A2), LMBP 9485CB(항-PDGF-C 항체 5H7), LMBP 9486CB(항-PDGF-C 항체 16B1) 및 LMBP 9487CB(항-PDGF-C 항체 29H1) 하에, 벨기에 겐트(즈웨이나르더) 9052 테크놀로지파크 927 소재의 BCCM/LMBP(the Belgian Co-ordinated Collections of Micro-organisms/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Plasmid collection)에서 부다페스트 조약의 조건 하에 기탁하였다.
실시예 3. PDGF-C로의 결합에 대한 항-PDGF-C 항체의 친화성
2D3, 5A2, 5H7, 16B1 및 29H1 항체의 친화성을 표면 플라스몬 공명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이한 항체를 표준 아민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1680 RU의 밀도로 CM5 칩에 각각 따로 코팅하였다. 상이한 농도(200, 175, 150, 125, 100, 75, 50, 25, 12.5, 6.25, 3.125 및 0 nM)의 PDGF-C(알앤디 시스템즈, 카탈로그 번호 1687-CC/CF)를 5분 동안 코팅된 항체 위에 주입한 다음, 완충제를 10분 동안 유동시켜, 포획된 항원의 해리를 모니터링하였다. 글리신-HCl, pH 2.5의 단일의 주입을 사용한 각 시행 사이에 표면을 재생시켰다. 1:1 상호작용을 가정하는 비아이밸류에이션(BIAevaluation) 4.1 소프트웨어의 도움으로, 센서그램(sensorgram)을 분석함으로써 친화성을 수득하였다. 비아코어(Biacore) 3000 기기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친화성 데이터는 표 4에 요약되어 있다.
[표 4]
Figure pct00008

실시예 4. 인간 PDGF-C에 의한 PDGFRα 활성화에 대한 항-인간 PDGF-C 항체의 억제 활성.
PDGFRα 검정의 원리
인간 PDGF-C에 의한 PDGFRα 활성화에 대한 항-인간 PDGF-C 항체의 억제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디스커버엑스(DiscoveRx)® 사의 PDGFRα(93-0823C3)에 대한 패쓰헌터®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검정을 사용하였다. 상기 검정은 β-갈락토시드(β-gal) 효소가 2개의 불활성 단편으로 분열되는 디스커버엑스® 독점 효소 단편 상보성(EFC) 기술에 기초한다. β-gal의 작은 상보성 단편, 프로링크(Prolink)™ 태그(PK)를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PDGFRα의 세포내 C-말단에 재조합에 의해 융합시켰다. 효소 수용체에 대하여 EA로 표기되는 β-gal의 보다 큰 부분은 SH2(Src Homology 2) 포스포티로신 결합 도메인과 공동-발현된다. 수용체의 리간드-유도 활성화에 의해, 수용체의 이량체화 및 세포내 교차-인산화가 야기된다. 결과적으로, SH2 도메인은 인산화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2개의 β-gal 단편 PK 및 EA의 상보성 및 기능성 β-gal 효소의 형성을 야기한다. β-gal 기질의 첨가 후에, 용이하게 검출가능한 화학발광 신호가 생성되며, 이는 수용체 활성화와 직접 관련된다. 루미라이트(LumiLITE)™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는 디스커버엑스®의 모든 EFC-기반의 검정과 완전히 양립가능하며, 이에 따라 이를 사용한다.
패쓰헌터 ® PDGFRα 검정 방법
패쓰헌터® PDGFRα 검정을 위하여, 디스커버엑스®로부터의 U20S PDGFRα PLCG1(SH2 도메인의 공급원으로서 포스포리파제 Cγ) 세포를 사용하였다. 동결된 세포를 액체 질소에 보관하였다. 해동 시에, 세포를 사전-가온 해동 배지(즉, 선택 항생제 제네티신 및 하이그로마이신 B가 없는 배양 배지)에 재현탁화시켰다. 37℃에서 5% CO2 인큐베이션에서의 48시간의 배양 후에, 해동 배지를 배양 배지(MEM 이글(Eagle) 1×(인비트로겐(Invitrogen) 사의 30-2003), 10% 우태아혈청(퍼비오 사이언스(Perbio Science) 사의 SH30071.03), 1×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글루타민(인비트로겐 사의 10378-016), 250 ㎍/㎖ 하이그로마이신 B(인비트로겐 사의 10687-010), 500 ㎍/㎖ 제네티신(인비트로겐 사의 10131-035))로 교체하였다. 일단 컨플루언스(confluence)에 도달하면, 세포를 아큐타제(Accutase)(PAA 사의 L11-007)를 사용하여 2 내지 3일마다 1/3 희석으로 계대하였다. 세포를 통상의 배양 동안 비-컨플루언트 상태로 유지하였다.
패쓰헌터® PDGFRα 검정에서, 10회 이하의 계대로 배양된 디스커버엑스®로부터의 U20S PDGFRα PLCG1 세포를 사용하였다. 세포를 투명한 바닥을 갖는 96-웰 백색 배양-처리 마이크로플레이트(코닝(Corning) 사의 3610)에서 웰당 100 ㎕ 중 20,000개 세포로 씨딩하였다. 패쓰헌터® 셀 플레이팅(Cell Plating) 16 시약(디스커버엑스® 사의 93-0563R16)을 씨딩 배지로서 사용하였다. 37℃에서 5% CO2에서 24시간의 배양 후에, 웰마다 셀 플레이팅 16 시약 중 5배 농축 효능제 용액 25 ㎕를 사용하여, 세포를 자극하였다. 알앤디 시스템즈 사의 재조합 인간 PDGF-C(1687-CC/CF; Val235-Gly345)를 효능제로 적용하였다. 실온에서의 3시간 인큐베이션 후에, 60 ㎕의 패쓰헌터® 검출 시약(디스커버엑스® 사의 93-0001; 1 부의 갈락톤(Galacton) 스타(Star)® 기질, 5 부의 에메랄드(Emerald) II™ 용액 및 19 부의 패쓰헌터® 세포 검정 완충제)을 첨가하였다. 다시 1시간 동안 세포를 실온에, 그리고 암 중에 둔 다음, 루미라이트™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발광을 측정하였다. 그래프패드 프리즘(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득된 발광 값을 사용해 비-선형 회귀 분석을 수행하여, 가변적인 기울기를 갖는 S자형 효능제 용량-반응 곡선을 생성하였다. 인간 PDGF-C에 대한 EC50(즉, 최대 유효 농도의 절반) 및 EC80 값(즉, 최대 반응의 80%를 야기하는 유효 농도)을 계산하였다.
패쓰헌터 ® PDGFRα 검정에서의 항-인간 PDGF-C 항체의 억제 활성
먼저, 패쓰헌터® PDGFRα 검정에서 인간 PDGF-C에 대한 효능제 용량-반응 곡선을 생성하고, EC50 및 EC80 값을 측정하였다. 상이한 실험 중에, 인간 PDGF-C는 낮은 나노몰 범위(5-20 nM)의 EC50 값을 갖는 매우 강력한 효능제였다. 결과적으로, 20 내지 50 nM 범위의 EC80 값을 항-인간 PDGF-C 항체를 사용한 실험 동안 사용하였다.
인간 PDGF-C에 의한 PDGFRα 활성화에 대한 항-인간 PDGF-C 항체의 억제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동 부피의, 셀 플레이팅 16 시약에서 제조된 인간 PDGF-C의 EC80 및 항-인간 PDGF-C 항체의 6배 농축 용액을 혼합하고, 검정을 상술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항-인간 PDGF-C 폴리클로널 염소 IgG 항체(알앤디 시스템즈 사의 AF1560) 및 재조합 인간 PDGFRα Fc 키메라(알앤디 시스템즈 사의 6765-PR)를 사용하였다. 마우스 모노클로널 IgG1(항-KLH 항체; 아빔(Abeam) 사의 ab34607) 및 IgG2b(항-GST 항체; 산타 크루즈 바이오테크놀로지(Santa Cruz Biotechnology) 사의 sc-57753) 항체를 아이소타입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모든 조건을 2벌로 시험하였다. 측정된 발광에 기초하여, 길항제 용량-반응 곡선을 수득하고, IC50 값(즉, 최대 억제 농도의 절반)을 그래프패드 프리즘® 소프트웨어로 계산하였다. 5개의 항-인간 PDGF-C 항체 2D3, 5A2, 5H7, 16B1 및 29H1을 먼저 패쓰헌터® PDGFRα 검정에서 4가지 상이한 농도에서 시험하였다: 50, 16.67, 5.56 및 1.85 ㎍/㎖. 가장 높은 농도에서, 모든 항체는 인간 PDGF-C에 의한 PDGFRα의 활성화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었다(도 1). 그들은 항-인간 PDGF-C 폴리클로널 염소 IgG 항체(알앤디 시스템즈 사의 AF1560)보다 더욱 강력하였으며, 재조합 인간 PDGFRα Fc 키메라(알앤디 시스템즈 사의 6765-PR)와 동등하게 활성이었다(도 2 및 3). 마우스 모노클로널 IgG1 및 IgG2b 아이소타입 대조군 항체는 인간 PDGF-C에 의한 PDGFRα 활성화의 어떠한 억제도 보이지 않았다(데이터 미도시).
5개의 항-인간 PDGF-C 항체 2D3, 5A2, 5H7, 16B1 및 29H1도 또한 패쓰헌터® PDGFRα 검정에서 상이한 농도로 시험하였다. 50 ㎍/㎖로부터 시작하여 2.54 ng/㎖까지의 10점의 3배 희석 시리즈를 조사하였다. 길항제 용량 반응 곡선을 생성하고, IC50 값을 결정하였다. 5개의 항-인간 PDGF-C 항체는 낮은 나노몰 범위의 IC50 값을 가지며, 이에 따라, 인간 PDGF-C에 의한 PDGFRα 활성화의 매우 강력한 억제제로서 확인되었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항-PDGF-C 항체 중 일부도 또한 PDGF-C에 의한 PDGFRα의 활성화를 억제한다.
[표 5]
Figure pct00009

도 1로부터, 1.85 ㎍/㎖ 농도의 항체 2D3, 5A2, 5H7, 16B1 및 29H1이 각각 PDGF-C에 의한 PDGFRα 활성화의 49%, 30%, 32%, 38% 및 23%만을 허용하는 것이 유도될 수 있다(여기서, 100% 값은 임의의 항체의 부재 하에 결정된다). 확인된 다른 PDGF-C-결합 모노클로널 항체를 동일한 검정에 포함시키고(및 동일한 실험에 포함시켜, 정면으로 비교할 수 있게 함), 그 중 2개를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재된 검정에 포함시켰다: 마우스 모노클로널 항체 12E5 및 19F12. 1.85 ㎍/㎖의 농도에서, PDGF-C에 의한 PDGFRα의 거의 완전한 활성화인, 각각 82% 및 80%가 측정됨에 따라, 이들은 억제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5. 항-PDGF-C 항체는 PDGF-C가 그의 수용체 PDGF-Rα로 결합하는 것을 차단한다.
경쟁 ELISA를 사용하여, 항-PDGF-C 항체가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지 여부, 즉, 그들이 PDGF-C의 그의 수용체 PDGF-Rα에 대한 결합을 차단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재조합 인간 PDGF-Ra/Fc 및 인간 PDGF-C를 알앤디 시스템즈로부터 구입하였다. PDGF-C를 하기와 같이 비오티닐화시켰다: 동결건조 PDGF-C를 공급처에 의해 권고되는 바와 같이 4 mM HC1 중 1 ㎎/㎖로 용해시킨 다음, 용액을 20 mM NaOH의 첨가에 의해 중화시켰다. 설포-NHS-LC-비오틴(EZ-링크 설포(Link Sulfo)-NHS-LC-비오틴(Biotin), 써모 사이언티픽(Thermo Scientific))을 PDGF-C에 대하여 15배 몰 과량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얼음에서 2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ELISA 플레이트를 수용체(PBS 중 1 ㎍/㎖, 웰당 100 ㎕, 4℃에서 하룻밤 인큐베이션)로 코팅하였다. 웰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200 ㎕의 블로킹 완충제로 블로킹하였다. 사용 직전에, 플레이트를 PBST(0.004% 트윈-80이 보충된 PBS)로 3회 세척하였다. 비오티닐화 PDGF-C(0.1 ㎍/㎖ 최종 농도)를 PBSTA(1% 알부민이 보충된 PBST) 중의 시험 항체(PDGF-C에 대하여 10배 몰 과량)와 사전-인큐베이션시키고, 100 ㎕의 이들 시료를 관련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가습 챔버에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그 다음, 웰을 PBST로 5회 세척하였다. PBSTA 중에 1:200 희석된 스트렙트아비딘-HRP(알앤디 시스템즈) 100 ㎕를 웰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0분 동안 인큐베이션시킨 다음, 웰을 PBST를 사용하여 다시 5회 세척하였다. HRP 활성의 검출을 100 ㎕의 1-스텝 울트라(Step Ultra) TMB 기질(써모 사이언티픽 피어스)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암 중에서 50분 인큐베이션 후에, 100 ㎕의 2 M H2SO4의 첨가에 의해 반응을 중단시키고, 플레이트를 450 nm에서 판독하였다. 수득된 신호를 항체의 부재 하에 수득된 것과 비교하였다. 도 4는 5개의 모노클로널 항-PDGF-C 항체 각각이 PDGF-C가 그의 수용체 PDGF-Rα로 결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실시예 6. 항-PDGF-C 항체에 의해 인식되는 PDGF-C 에피토프의 결정
전체 인간 PDGF-C 분자를 포괄하는 중첩 펩티드, 15-mer에 대한 항-PDGF-C 항체의 결합을 ELISA에 의해 평가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포함되는 항체는 PDGF-C에 의한 PDGF-Rα의 활성화를 강력하게 억제하는 5개의 항체, 즉, 모노클로널 항체 2D3, 5A2, 5H7, 16B1 및 29H1이다. 또한, PDGF-C에 결합할 수 있으나, PDGF-C에 의한 PDGF-Rα의 활성화를 억제하지 않거나 매우 불충분하게 억제할 수 있는 2개의 항체, 즉, 모노클로널 항체 12E5(IgG1) 및 19F12(IgG2b)가 포함된다(실시예 4 참조). 마지막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모노클로널 항체 sc-80290(아미노산 잔기 230 내지 345를 포괄하는 면역원, 쥣과 PDGF-C에 대하여 유도된 랫트 모노클로널 항체; 산타-크루즈) 및 MAB1560(아미노산 잔기 235 내지 345를 포괄하는 면역원, 인간 PDGF-C에 대해 유도된 마우스 모노클로널 항체; 알앤디 시스템즈)도 포함되며, 이 중 오직 MAB1560만이 PDGF-C에 의한 PDGF-Rα의 활성화의 억제를 보였다(실시예 4 참조). 모든 항체에 대하여, 그들이 인간 PDGF-C에 결합하며, 시험한 모든 항체에 대하여 전장 인간 PDGF-C로의 결합이 하기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확인된 임의의 펩티드에 대한 결합보다 더욱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데이터는 표 6에 요약되어 있다. 항체 2D3, 5A2, 5H7 및 29H1의 에피토프를 펩티드 번호 58에 대하여 맵핑하고, 항체 중 하나, 19F12를 펩티드 번호 49에 대하여 맵핑하였다. 유사하게, 상업적 항체 sc-80290(산타-크루즈)의 결합이 펩티드 번호 44, 49 50 및 51에 대하여 관찰되었다. 대조적으로, 항체 16B1 및 12E5, 및 상업적 항체 MAB1560(알앤디 시스템즈)의 에피토프가 이러한 방법에서 확인될 수 없었는데, 이는 아마도 이들 항체가 입체형태 에피토프를 인식하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항체 5A2 및 19F12의 유의미한 결합이 펩티드 번호 9 및 27에 대하여 검출되었다. 그러나, 이들 2개의 펩티드가 평균 백그라운드보다 더 높은 신호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이것은 시험한 항체와 관련이 없는 것이 여기서 강조되어야 한다. 대조군 실험에 의해, 이것이 코팅된 펩티드에 대한 이차 항체(염소 항-마우스 IgG-HRP)의 무시할 수 없는 결합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미도시). 또한, sc-80290 항체의 결합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염소 항-랫트 IgG-HRP 이차 항체를 사용하여 보다 낮은 정도이지만, 펩티드 번호 49, 50 및 51에 대하여 이러한 결합이 우연히 관찰되었다. 따라서, 후자의 항체의 에피토프가 펩티드 번호 44에 제한될 수 있다.
모노클로널 항체 19F12 및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모노클로널 항체 sc-80290은 PDGF-C에 의한 PDGF-Rα 활성화의 불량한 억제제이거나 그의 억제제가 아니나(실시예 4 참조), 그럼에도 불구하고, PDGF-C의 성장 인자 도메인(인간 PDGF-C의 아미노산 235 내지 345)에 결합하고, 더욱 구체적으로, 펩티드 번호 49(19F12)에, 그리고 펩티드 번호 44에 결합하며, 아마도 펩티드 번호 49 내지 51(sc-80290)에 결합할 것이다. 반면, 모노클로널 항체 2D3, 5A2, 5H7 및 29H1은 명백하게 동일한 에피토프, 즉 인간 PDGF-C의 성장 인자 도메인의 펩티드 번호 58에 결합하며, PDGF-C에 의한 PDGF-Rα의 활성화를 강력하게 억제한다. 마지막으로, PDGF-C 상의 모노클로널 항체 16B1의 결합 부위는 완전히 밝혀져 있지 않다(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모노클로널 항체 MAB1560은 사용된 면역원에 관한 이용가능한 정보에 기초하여, PDGF-C의 성장 인자 도메인에 결합할 것이지만, 그것이 어디인지는 명백하지 않다). 종합하여, 이들 데이터는 PDGF-C에, 또는 PDGF-C의 성장 인자 도메인에 결합하는 임의의 항체만이 PDGF-C에 의한 PDGF-Rα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나타낸다.
[표 6]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실시예 7. 항-PDGF-C 항체의 항-종양 활성
항-PDGF-C 항체의 항종양 활성을 암컷 BALB/c 누드(nude) 또는 SCID 마우스(그룹당 n=10 마우스, 처리군 및 대조군)에서 피하 이식된 인간 이종이식 교모세포종, 난소, 폐 또는 결정암에 대하여 2가지 용량 수준(예를 들어, 4 및 10 ㎎/㎏)으로 평가한다. 종양 크기가 150 ㎣에 도달하는 경우 치료를 시작한다. 항-PDGF-C 항체를 종양이 대조군에서 1000 ㎣의 체적에 도달할 때까지 복막내로, 주 2회 투여한다. 대조군을 단독의 PBS로 처리한다.
암컷 SCID 베이지(Beige) 마우스에 이식된 교모세포종 종양, U118에 대한 항-PDGF-C 항체의 항종양 효과
항체의 항종양 활성의 평가를 위하여, 동물을 칭량하고, 종양을 캘리퍼(caliper)를 사용하여 주 2회 측정한다. 종양 중량을 하기의 식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질량(㎎)= [길이(㎜)×폭(㎜)2]/2. 항종양 활성 평가를 20 ㎎/㎏의 단일의 용량에서 행하였다. 20%의 체중 감소(bwl) 또는 10% 이상의 약물 사망을 야기한 용량은 과도한 독성 용량으로 고려하였다. 동물 체중에는 종양 중량을 포함시켰다. 일차 효능 종점은 종양 성장 억제(TGI%)이다. 각각의 처리군(T) 및 대조군(C)에 대한 종양 체적의 변화를 특정 관찰일의 종양 체적으로부터 처음 치료일(실행 당일)의 종양 체적을 제함으로써 각 종양에 대하여 계산한다. 중간 ΔT를 처리군에 대하여 계산하고, 중간 ΔC를 대조군에 대하여 계산한다. 그 다음, 비 ΔT/ΔC를 계산하고, TGI의 백분율로서 표현한다:
ΔT= Tt-TO
ΔC= Ct-CO
TGI% = [1-(중간(Tt-TO)/중간(Ct-CO)]* 100
29H1, 5A2 및 16B1의 항종양 효과를 암컷 SCID 베이지 마우스에 피하 이식된, PDGF-C 및 그의 수용체, PDGFRα 둘 모두를 발현하는 측정가능한 교모세포종 종양, U118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대조군을 PBS 단독으로 처리하였다. 항체를 복막내(IP) 주사에 의해 투여하고, 치료를 종양 이식 28일 후에 시작하고, 주 2회 수행하였다. 29H1 및 5A2를 사용한 치료는 종양 체중 감소 없이 잘 허용되었으며, 교모세포종, U118에 대하여 항종양 활성을 보였으며, 56일에 29H1(TGI = 53.0%) 및 5A2(TGI = 58.5%)에 대하여 더 높은 억제가 관찰되었다. 16B1의 복막내 투여는 평가한 상이한 시점에 종양 성장을 차단할 수 없었다.
[표 7]
Figure pct00012

실시예 8. 다른 항암 약물과 병용한 항-PDGF-C 항체의 항종양 활성
병용 요법의 효능을 치료 상승작용의 결정에 의해 확립할 수 있다. 2가지 약물의 병용(그 중 하나는 본 발명의 항-PDGF-C 항체 중 적어도 하나임)은 그것이 그의 최대 허용 용량(MTD)에서 단독으로 사용되는 각각의 구성물질보다 치료적으로 뛰어나다면, 치료 상승작용을 보이는 것이다. 병용의 효능을 입증하기 위하여, 병용의 최대 허용 용량을 대상 연구에서 개별 구성물질 각각의 최대 허용 용량과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효능은 처리군으로부터의 종양 체적(및/또는 종양 중량, 실시예 6 참조)을 대조군으로 나누고, 100을 곱함으로써 계산되는 TGI%(종양 성장 억제)를 결정함으로써 정량화될 수 있다. 약물에 의해 15% 초과의 체중 감소 또는 10% 초과의 사망이 야기되게 유도하는 용량에서 독성이 선언된다. 사용되는 다른 기준은 반응 속도이다: 편회귀(PR)는 초기 종양 크기의 50% 초과의 감소에 해당하며, 완전 회귀(CR)는 촉진 한계 미만의 회귀에 해당한다.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통계 도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한다.
본 발명의 항-PDGF-C 항체 중 적어도 하나와 화학요법의 병용의 종양 성장 억제 효능을 하기의 방식으로 실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면역결핍 동물을 교모세포종, 난소, 폐 또는 결장암 세포주로 피하 이식시킨다. 종양 크기가 150 ㎣의 체적에 도달할 때 치료를 시작한다. 종양이 대조군에서 1000 ㎣의 체적에 도달할 때까지 항-PDGF-C 항체를 복막내로, 주 2회, 3 내지 5 용량-수준으로 투여한다. 3-용량 수준으로 독소루비신, 시스플라틴 또는 탁산을 사용한 화학요법을 파일롯 연구에서 이전에 결정된 그들의 최적의 치료 스케쥴을 사용하여 항-PDGF-C 항체와 동시에 시작한다. 상이한 동물 그룹을 최대 체중 감소에 도달할 때까지 주 3 또는 4회 칭량한 다음, 그룹을 시험의 마지막까지 주 적어도 1회 칭량한다. 종양이 대략 2 g에 도달할 때까지 또는 종양이 2 g에 도달하기 전에 동물의 사망이 발생한다면, 동물이 사망할 때까지 종양을 주 2 또는 3회 측정한다. 동물을 희생시켜 부검한다.
그들의 최적의 용량으로 사용되는 화학요법 및 단독의 항-PDGF-C 항체, 및 병용의 처리로 수득되는 결과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통계 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실시예 9. 쥣과 항-PDGF-C 항체의 인간화
인간에 주입되는 경우, 마우스 항체는 인간 항-마우스 항체 반응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치료 효능을 방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반응을 제한하기 위하여, 마우스 항체를 인간화로 지칭되는 과정에서 내인성 인간 서열과 더욱 유사하게 보이게 한다. 마우스 및 인간 항체 서열을 비교하고, 필요에 따라, 마우스 아미노산 잔기를 인간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된다. 친화성 및 안정성과 같은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갖는 치환을 회피하고, 마우스 항체의 인간화 변이체를 친화성의 보존에 대하여 평가한다.
제1 단계에서, 마우스 항체 2D3, 5A2, 5H7, 16B1 및 29H1의 구조를 프로그램 MOE(캐나다 소재의 케미컬 컴퓨팅 그룹 인코포레이티드(Chemical Computing Group Inc))를 사용하여 모델링하였다. 항체 주형 서열을 표적 항체 서열과의 높은 상동성 정도에 기초하여 PDB(단백질 데이터 은행, www.rcsb.org/)로부터 선택하였다. 이러한 단계 동안, 주형의 기원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는데, 이는 가장 높은 상동성을 갖는 서열이 선택되기 때문이다. 이는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 서열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행해지며,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 서열 둘 모두에 대하여 우수한 상동성을 갖는 주형을 선택한다. 서열이 매우 상동성이기 때문에, 기본 주형, 1IGF는 모두에 대하여 동일하다. 측쇄가 동일하다면, 측쇄를 주형에서와 같이 유지시켰다. 상이하다면, 데드-엔드(Dead-End) 제거 방법을 에너지적으로 최적의 배향의 측쇄의 위치에 적용하였다.
CDR(이는 MOE에서 CDR 영역의 카바트 및 초티아 결정의 복합임)의 모델링을 위하여, CDR 루프는 동일한 주형 또는 PDB 유래의 상이한 항체로부터 취해질 수 있었다. 하기의 기준을 선택하여 최적의 CDR 루프를 선택하였다: (i) CDR 내의 잔기에 대한 최적의(=가장 낮은) B-인수; (ii) CDR 대 주형 구조의 나머지의 기하학적 구조; (iii) CDR에 대한 Rfree 값에 대한 최적의 R. 최종 모델을 얻기 위하여, 모든 잔기를 필요한 마우스 서열로 변화시키고, 에너지를 최적화시켰다. 이차 구조를 계산하고, 용매 노출 VH 및 VL 잔기를 모든 측쇄의 상대 접근성을 계산함으로써 확인하였다.
다음 단계에서, 마우스 서열을 인간 서열과 비교하기 위하여, 표적 서열과 높은 상동성을 갖는 인간 모노클로널 서열을 인간 단백질의 데이터베이스에서 blastp 검색(http://blast.ncbi.nlm.nih.gov/)을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서열 중 일부를 생략하였는데, 이는 이들이 인간 단백질에 결합하지만 항체가 아마도 인간이 아니었거나; 또는 항체가 이미 인간화 마우스 항체였기 때문이다.
마우스 및 인간 서열 간에 상이하며, CDR로부터 5 Å 이상 떨어져 있고, 25% 초과의 상대 접근성을 갖는 측쇄를 인간화 대상으로 고려하였다. 그래픽 스테레오(graphical stereo)가 장착된 스크린에서의 육안의 검사에 의해, 모든 이들 잔기를 인간 변이체로의 돌여변이에 대하여 점검하였다. 전체적인 3차원 입체형태를 방해하지 않는 잔기를 인간 대응부 잔기로의 변화 대상으로 고려하였다.
따라서, 하기 표에 열거된 바와 같이, 가장 유사한 인간 항체에 존재하는 그들의 대응부로 돌연변이될 수 있는 중쇄 가변 영역 내의 16개 이하의 잔기 및 경쇄 가변 영역 내의 9개 이하의 잔기가 확인되었다.
[표 8]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표 8에 기초하여, 하기의 인간화 항체(아미노산 서열 및 핵산 서열 열거)를 생성하고 예시적인 인간화 항체로 삼았다.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PDGF-C에 대한 상기 열거된 예시적인 인간화 항-PDGF-C 항체의 친화성을 분석하고(실시예 3에서와 같이), 이후에 인간화 항체를 실시예 4에 기재된 시험관내 생물검정에서 평가하였다. 결과는 각각 표 9 및 10에 요약되어 있다. 인간화 항체 5H7(그의 제조)에 관한 기술적 문제는 이러한 항체가 명백하게 PDGFR-α의 활성화를 억제하지 않지만, 그것이 여전히 PDGF-C에 높은 친화성으로 결합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으며, 이는 추가 조사 중이다.
[표 9]
Figure pct00021

[표 10]
Figure pct00022
SEQUENCE LISTING <110> ThromboGenics NV <120> Anti-PDGF-C antibodies <130> TG-055 <150> EP 12165314.1 <151> 2012-04-24 <150> US 61/637,372 <151> 2012-04-24 <150> EP 12192943.4 <151> 2012-11-16 <150> US 61/727,231 <151> 2012-11-16 <160> 113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oligonucleotide <400> 1 atgaagttgc ctgttaggct gttg 24 <210> 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oligonucleotide <400> 2 gctcactgga tggtgggaag atgg 24 <210> 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oligonucleotide <400> 3 atggayttyg ggctgakytt kdtt 24 <210> 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oligonucleotide <400> 4 casaymcagg ggccagtgga tagac 25 <210> 5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oligonucleotide <400> 5 gtaaaacgac ggccag 16 <210> 6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oligonucleotide <400> 6 caggaaacag ctatgac 17 <210> 7 <211> 11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7 Asp Val Leu Met Thr Gln Thr Pro Leu Ser Leu 1 5 10 <210> 8 <211> 11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8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Asp Leu 1 5 10 <210> 9 <211> 336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9 gatgttttga tgacccaaac tccactctcc ctgcctgtca gtcttggaga tcaagcctcc 60 atctcttgca gatctaatca gascattgta catagtaatg gagacaccta tttagaatgg 120 tacctgcaga aaccaggcca gtctccaaak ctcctgatct acaaagtttc caaccgattt 180 tctggggtcc cagacaggtt cagtggcagt ggatcaggga cagatttcac actcaagatc 240 agcagagtgg aggctgagga tctgggagtt tattactgct ttcaaggttc acatgttcct 300 cccacgttcg gaggggggac caagctggaa ataaaa 336 <210> 10 <211> 336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10 gatgttttga tgacccaaac tccactctcc ctgcctgtca gtcttggaga tcaagcctcc 60 atctcttgca gatctagtca gaccattgta catagtgatg gaaccaccta tttagaatgg 120 taccttcaga aagcaggcca gtctccaaag ctcctgatct acaaagtttc caaccgattt 180 tctggggtcc cagacaggtt cagtggcagt ggatcaggga cagatttcac actcaagatc 240 agcagagtgg aggctgagga tctgggagtt tattactgct ttcaaggttc acatgttcct 300 cccacgttcg gaggggggac caagctggaa ataaaa 336 <210> 11 <211> 357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11 gaggtgcagc tggtggartc tgggggagac ttagtgaagc ctggagggtc cctgaaactc 60 tcctgtgcag cctctggatt cactttcagt aactatggca tgtcttgggt tcgccagact 120 ccagacaaga ggctggagtg ggtcgcaacc attggtagtg gtggtagtta cacctactat 180 ccrgacagtg tgaaggggcg attcaccatc tccagagaca gtgccaagaa caccctgtac 240 ctgcaaatga gcagtctgaa gtctgaggac acagccatgt attactgtgc aagacaggcc 300 cccctctggg actactctga ctactggggc caaggcacca ctctcactgt ctcctcg 357 <210> 12 <211> 357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12 gaggtgcagc tggtggaatc tgggggagac ttagtgaagc ctggagggtc cctgaaactc 60 tcctgtgcag cctctggatt cactttcagt aactatggca tgtcttgggt tcgccagact 120 ccagacaaga ggctggagtg ggtcgcaacc attggtagtg gtggtcatta cacctactat 180 ccagacagtg tgaaggggcg attcaccatc tccagagaca gtgccaagag caccctgtac 240 ctgcaaatga gcagtctgar gtctgasgac acagccatat attactgtgc aagacaggcc 300 cccctctggg actgctctga ctactggggc caaggcacca ctctcactgt ctcctcg 357 <210> 13 <211> 357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13 gaggtgcagc tggtggagtc tgggggagac ttagtgaagc ctggagggtc cctgaaactc 60 tcctgtgcag cctctggatt cactttcagt agctatggca tgtcttgggt tcgccagact 120 ccagacaaga ggctggagtg ggtcgcaacc attggttatg gtggtagttt cacctactat 180 ccagatagta tgaaggggcg cttcaccatc tccagagaca atgccaagaa caccctgttc 240 ctgcaaatga gcagtctgaa gtctgaggac acagccatat attactgtgt aagacaggcc 300 cccctctggg actactttga ctactggggc caaggcacca ctctcacagt ctcctca 357 <210> 14 <211> 112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4 Asp Val Leu Met Thr Gln Thr Pro Leu Ser Leu Pro Val Ser Leu Gly 1 5 10 15 Asp Gln Ala Ser Ile Ser Cys Arg Ser Asn Gln Thr Ile Val His Ser 20 25 30 Asn Gly Asp Thr Tyr Leu Glu Trp Tyr Leu Gln Lys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sn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Leu Gly Val Tyr Tyr Cys Phe Gln Gly 85 90 95 Ser His Val Pro Pro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15 <211> 112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5 Asp Val Leu Met Thr Gln Thr Pro Leu Ser Leu Pro Val Ser Leu Gly 1 5 10 15 Asp Gln Ala Ser Ile Ser Cys Arg Ser Asn Gln Ser Ile Val His Ser 20 25 30 Asn Gly Asp Thr Tyr Leu Glu Trp Tyr Leu Gln Lys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Lys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Leu Gly Val Tyr Tyr Cys Phe Gln Gly 85 90 95 Ser His Val Pro Pro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16 <211> 112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6 Asp Val Leu Met Thr Gln Thr Pro Leu Ser Leu Pro Val Ser Leu Gly 1 5 10 15 Asp Gln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Thr Ile Val His Ser 20 25 30 Asp Gly Thr Thr Tyr Leu Glu Trp Tyr Leu Gln Lys Ala Gly Gln Ser 35 40 45 Pro Lys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Leu Gly Val Tyr Tyr Cys Phe Gln Gly 85 90 95 Ser His Val Pro Pro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17 <211> 112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7 Asp Val Leu Met Thr Gln Thr Pro Leu Ser Leu Pro Val Ser Leu Gly 1 5 10 15 Asp Gln Ala Ser Ile Ser Cys Arg Ser Asn Gln Ser Ile Val His Ser 20 25 30 Asn Gly Asp Thr Tyr Leu Glu Trp Tyr Leu Gln Lys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sn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Leu Gly Val Tyr Tyr Cys Phe Gln Gly 85 90 95 Ser His Val Pro Pro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18 <211> 119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8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Asp Leu Val Lys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Lys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Asn Tyr 20 25 30 Gly Met Ser Trp Val Arg Gln Thr Pro Asp Lys Arg Leu Glu Trp Val 35 40 45 Ala Thr Ile Gly Ser Gly Gly Ser Tyr Thr Tyr Tyr Pro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Ser Ala Lys Asn Th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Ser Ser Leu Lys Ser Glu Asp Thr Ala Met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n Ala Pro Leu Trp Asp Tyr Ser Asp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Thr Leu Thr Val Ser Ser 115 <210> 19 <211> 119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9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Asp Leu Val Lys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Lys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Asn Tyr 20 25 30 Gly Met Ser Trp Val Arg Gln Thr Pro Asp Lys Arg Leu Glu Trp Val 35 40 45 Ala Thr Ile Gly Ser Gly Gly His Tyr Thr Tyr Tyr Pro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Ser Ala Lys Ser Th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Ser Ser Leu Lys Ser Glu Asp Thr Ala Ile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n Ala Pro Leu Trp Asp Cys Ser Asp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Thr Leu Thr Val Ser Ser 115 <210> 20 <211> 119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0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Asp Leu Val Lys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Lys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Ser Tyr 20 25 30 Gly Met Ser Trp Val Arg Gln Thr Pro Asp Lys Arg Leu Glu Trp Val 35 40 45 Ala Thr Ile Gly Tyr Gly Gly Ser Phe Thr Tyr Tyr Pro Asp Ser Met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Ala Lys Asn Thr Leu Phe 65 70 75 80 Leu Gln Met Ser Ser Leu Lys Ser Glu Asp Thr Ala Ile Tyr Tyr Cys 85 90 95 Val Arg Gln Ala Pro Leu Trp Asp Tyr Phe Asp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Thr Leu Thr Val Ser Ser 115 <210> 21 <211> 119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1 Glu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Asp Leu Val Lys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Lys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Asn Tyr 20 25 30 Gly Met Ser Trp Val Arg Gln Thr Pro Asp Lys Arg Leu Glu Trp Val 35 40 45 Ala Thr Ile Gly Ser Gly Gly His Tyr Thr Tyr Tyr Pro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Ser Ala Lys Ser Th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Ser Ser Leu Arg Ser Asp Asp Thr Ala Ile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n Ala Pro Leu Trp Asp Cys Ser Asp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Thr Leu Thr Val Ser Ser 115 <210> 22 <211> 16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2 Arg Ser Asn Gln Ser Ile Val His Ser Asn Gly Asp Thr Tyr Leu Glu 1 5 10 15 <210> 23 <211> 16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3 Arg Ser Ser Gln Thr Ile Val His Ser Asp Gly Thr Thr Tyr Leu Glu 1 5 10 15 <210> 24 <211> 7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4 Lys Val Ser Asn Arg Phe Ser 1 5 <210> 25 <211> 9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5 Phe Gln Gly Ser His Val Pro Pro Thr 1 5 <210> 26 <211> 16 <212> PRT <213> Mus musculus <220> <221> MISC_FEATURE <222> (3)..(3) <223> Xaa can be Asn or Ser <220> <221> MISC_FEATURE <222> (5)..(5) <223> Xaa can be Ser or Thr <220> <221> MISC_FEATURE <222> (10)..(10) <223> Xaa can be Asp or Asn <220> <221> MISC_FEATURE <222> (12)..(12) <223> Xaa can be Asp or Thr <400> 26 Arg Ser Ser Gln Xaa Ile Val His Ser Xaa Gly Xaa Thr Tyr Leu Glu 1 5 10 15 <210> 27 <211> 5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7 Asn Tyr Gly Met Ser 1 5 <210> 28 <211> 5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8 Ser Tyr Gly Met Ser 1 5 <210> 29 <211> 17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9 Thr Ile Gly Ser Gly Gly His Tyr Thr Tyr Tyr Pro Asp Ser Val Lys 1 5 10 15 Gly <210> 30 <211> 17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30 Thr Ile Gly Ser Gly Gly Ser Tyr Thr Tyr Tyr Pro Asp Ser Val Lys 1 5 10 15 Gly <210> 31 <211> 17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31 Thr Ile Gly Tyr Gly Gly Ser Phe Thr Tyr Tyr Pro Asp Ser Met Lys 1 5 10 15 Gly <210> 32 <211> 10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32 Gln Ala Pro Leu Trp Asp Cys Ser Asp Tyr 1 5 10 <210> 33 <211> 10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33 Gln Ala Pro Leu Trp Asp Tyr Ser Asp Tyr 1 5 10 <210> 34 <211> 10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34 Gln Ala Pro Leu Trp Asp Tyr Phe Asp Tyr 1 5 10 <210> 35 <211> 5 <212> PRT <213> Mus musculus <220> <221> MISC_FEATURE <222> (1)..(1) <223> Xaa can be Asn or Ser <400> 35 Xaa Tyr Gly Met Ser 1 5 <210> 36 <211> 17 <212> PRT <213> Mus musculus <220> <221> MISC_FEATURE <222> (4)..(4) <223> Xaa can be Ser or Tyr <220> <221> MISC_FEATURE <222> (7)..(7) <223> Xaa can be Ser or His <220> <221> MISC_FEATURE <222> (8)..(8) <223> Xaa can be Phe or Tyr <220> <221> MISC_FEATURE <222> (15)..(15) <223> Xaa can be Val or Met <400> 36 Thr Ile Gly Xaa Gly Gly Xaa Xaa Thr Tyr Tyr Pro Asp Ser Xaa Lys 1 5 10 15 Gly <210> 37 <211> 10 <212> PRT <213> Mus musculus <220> <221> MISC_FEATURE <222> (7)..(7) <223> Xaa can be Cys or Thr <220> <221> MISC_FEATURE <222> (8)..(8) <223> Xaa can be Ser or Phe <400> 37 Gln Ala Pro Leu Trp Asp Xaa Xaa Asp Tyr 1 5 10 <210> 38 <211> 16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38 Arg Ser Asn Gln Thr Ile Val His Ser Asn Gly Asp Thr Tyr Leu Glu 1 5 10 15 <210> 39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9 Glu Ser Asn Leu Ser Ser Lys Phe Gln Phe Ser Ser Asn Lys Glu 1 5 10 15 <210> 40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0 Ser Lys Phe Gln Phe Ser Ser Asn Lys Glu Gln Asn Gly Val Gln 1 5 10 15 <210> 41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1 Ser Ser Asn Lys Glu Gln Asn Gly Val Gln Asp Pro Gln His Glu 1 5 10 15 <210> 42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2 Gln Asn Gly Val Gln Asp Pro Gln His Glu Arg Ile Ile Thr Val 1 5 10 15 <210> 4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3 Asp Pro Gln His Glu Arg Ile Ile Thr Val Ser Thr Asn Gly Ser 1 5 10 15 <210> 44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4 Arg Ile Ile Thr Val Ser Thr Asn Gly Ser Ile His Ser Pro Arg 1 5 10 15 <210> 45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5 Ser Thr Asn Gly Ser Ile His Ser Pro Arg Phe Pro His Thr Tyr 1 5 10 15 <210> 46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6 Ile His Ser Pro Arg Phe Pro His Thr Tyr Pro Arg Asn Thr Val 1 5 10 15 <210> 47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7 Phe Pro His Thr Tyr Pro Arg Asn Thr Val Leu Val Trp Arg Leu 1 5 10 15 <210> 48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8 Pro Arg Asn Thr Val Leu Val Trp Arg Leu Val Ala Val Glu Glu 1 5 10 15 <210> 49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9 Leu Val Trp Arg Leu Val Ala Val Glu Glu Asn Val Trp Ile Gln 1 5 10 15 <210> 50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50 Val Ala Val Glu Glu Asn Val Trp Ile Gln Leu Thr Phe Asp Glu 1 5 10 15 <210> 51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51 Asn Val Trp Ile Gln Leu Thr Phe Asp Glu Arg Phe Gly Leu Glu 1 5 10 15 <210> 52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52 Leu Thr Phe Asp Glu Arg Phe Gly Leu Glu Asp Pro Glu Asp Asp 1 5 10 15 <210> 5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53 Arg Phe Gly Leu Glu Asp Pro Glu Asp Asp Ile Cys Lys Tyr Asp 1 5 10 15 <210> 54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54 Asp Pro Glu Asp Asp Ile Cys Lys Tyr Asp Phe Val Glu Val Glu 1 5 10 15 <210> 55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55 Ile Cys Lys Tyr Asp Phe Val Glu Val Glu Glu Pro Ser Asp Gly 1 5 10 15 <210> 56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56 Phe Val Glu Val Glu Glu Pro Ser Asp Gly Thr Ile Leu Gly Arg 1 5 10 15 <210> 57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57 Glu Pro Ser Asp Gly Thr Ile Leu Gly Arg Trp Cys Gly Ser Gly 1 5 10 15 <210> 58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58 Thr Ile Leu Gly Arg Trp Cys Gly Ser Gly Thr Val Pro Gly Lys 1 5 10 15 <210> 59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59 Trp Cys Gly Ser Gly Thr Val Pro Gly Lys Gln Ile Ser Lys Gly 1 5 10 15 <210> 60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60 Thr Val Pro Gly Lys Gln Ile Ser Lys Gly Asn Gln Ile Arg Ile 1 5 10 15 <210> 61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61 Gln Ile Ser Lys Gly Asn Gln Ile Arg Ile Arg Phe Val Ser Asp 1 5 10 15 <210> 62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62 Asn Gln Ile Arg Ile Arg Phe Val Ser Asp Glu Tyr Phe Pro Ser 1 5 10 15 <210> 6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63 Arg Phe Val Ser Asp Glu Tyr Phe Pro Ser Glu Pro Gly Phe Cys 1 5 10 15 <210> 64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64 Glu Tyr Phe Pro Ser Glu Pro Gly Phe Cys Ile His Tyr Asn Ile 1 5 10 15 <210> 65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65 Glu Pro Gly Phe Cys Ile His Tyr Asn Ile Val Met Pro Gln Phe 1 5 10 15 <210> 66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66 Ile His Tyr Asn Ile Val Met Pro Gln Phe Thr Glu Ala Val Ser 1 5 10 15 <210> 67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67 Val Met Pro Gln Phe Thr Glu Ala Val Ser Pro Ser Val Leu Pro 1 5 10 15 <210> 68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68 Thr Glu Ala Val Ser Pro Ser Val Leu Pro Pro Ser Ala Leu Pro 1 5 10 15 <210> 69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69 Pro Ser Val Leu Pro Pro Ser Ala Leu Pro Leu Asp Leu Leu Asn 1 5 10 15 <210> 70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70 Pro Ser Ala Leu Pro Leu Asp Leu Leu Asn Asn Ala Ile Thr Ala 1 5 10 15 <210> 71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71 Leu Asp Leu Leu Asn Asn Ala Ile Thr Ala Phe Ser Thr Leu Glu 1 5 10 15 <210> 72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72 Asn Ala Ile Thr Ala Phe Ser Thr Leu Glu Asp Leu Ile Arg Tyr 1 5 10 15 <210> 7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73 Phe Ser Thr Leu Glu Asp Leu Ile Arg Tyr Leu Glu Pro Glu Arg 1 5 10 15 <210> 74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74 Asp Leu Ile Arg Tyr Leu Glu Pro Glu Arg Trp Gln Leu Asp Leu 1 5 10 15 <210> 75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75 Leu Glu Pro Glu Arg Trp Gln Leu Asp Leu Glu Asp Leu Tyr Arg 1 5 10 15 <210> 76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76 Trp Gln Leu Asp Leu Glu Asp Leu Tyr Arg Pro Thr Trp Gln Leu 1 5 10 15 <210> 77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77 Glu Asp Leu Tyr Arg Pro Thr Trp Gln Leu Leu Gly Lys Ala Phe 1 5 10 15 <210> 78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78 Pro Thr Trp Gln Leu Leu Gly Lys Ala Phe Val Phe Gly Arg Lys 1 5 10 15 <210> 79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79 Leu Gly Lys Ala Phe Val Phe Gly Arg Lys Ser Arg Val Val Asp 1 5 10 15 <210> 80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80 Val Phe Gly Arg Lys Ser Arg Val Val Asp Leu Asn Leu Leu Thr 1 5 10 15 <210> 81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81 Ser Arg Val Val Asp Leu Asn Leu Leu Thr Glu Glu Val Arg Leu 1 5 10 15 <210> 82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82 Leu Asn Leu Leu Thr Glu Glu Val Arg Leu Tyr Ser Cys Thr Pro 1 5 10 15 <210> 8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83 Glu Glu Val Arg Leu Tyr Ser Cys Thr Pro Arg Asn Phe Ser Val 1 5 10 15 <210> 84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84 Tyr Ser Cys Thr Pro Arg Asn Phe Ser Val Ser Ile Arg Glu Glu 1 5 10 15 <210> 85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85 Arg Asn Phe Ser Val Ser Ile Arg Glu Glu Leu Lys Arg Thr Asp 1 5 10 15 <210> 86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86 Ser Ile Arg Glu Glu Leu Lys Arg Thr Asp Thr Ile Phe Trp Pro 1 5 10 15 <210> 87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87 Leu Lys Arg Thr Asp Thr Ile Phe Trp Pro Gly Cys Leu Leu Val 1 5 10 15 <210> 88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88 Thr Ile Phe Trp Pro Gly Cys Leu Leu Val Lys Arg Cys Gly Gly 1 5 10 15 <210> 89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89 Gly Cys Leu Leu Val Lys Arg Cys Gly Gly Asn Cys Ala Cys Cys 1 5 10 15 <210> 90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90 Lys Arg Cys Gly Gly Asn Cys Ala Cys Cys Leu His Asn Cys Asn 1 5 10 15 <210> 91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91 Asn Cys Ala Cys Cys Leu His Asn Cys Asn Glu Cys Gln Cys Val 1 5 10 15 <210> 92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92 Leu His Asn Cys Asn Glu Cys Gln Cys Val Pro Ser Lys Val Thr 1 5 10 15 <210> 9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93 Glu Cys Gln Cys Val Pro Ser Lys Val Thr Lys Lys Tyr His Glu 1 5 10 15 <210> 94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94 Pro Ser Lys Val Thr Lys Lys Tyr His Glu Val Leu Gln Leu Arg 1 5 10 15 <210> 95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95 Lys Lys Tyr His Glu Val Leu Gln Leu Arg Pro Lys Thr Gly Val 1 5 10 15 <210> 96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96 Val Leu Gln Leu Arg Pro Lys Thr Gly Val Arg Gly Leu His Lys 1 5 10 15 <210> 97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97 Pro Lys Thr Gly Val Arg Gly Leu His Lys Ser Leu Thr Asp Val 1 5 10 15 <210> 98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98 Arg Gly Leu His Lys Ser Leu Thr Asp Val Ala Leu Glu His His 1 5 10 15 <210> 99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99 Ser Leu Thr Asp Val Ala Leu Glu His His Glu Glu Cys Asp Cys 1 5 10 15 <210> 100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00 Ala Leu Glu His His Glu Glu Cys Asp Cys Val Cys Arg Gly Ser 1 5 10 15 <210> 101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01 Glu Glu Cys Asp Cys Val Cys Arg Gly Ser Thr Gly Gly 1 5 10 <210> 102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umanized variable heavy chain murine monoclonal antibody 5H7 <400> 102 Glu Val Gln Leu Leu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Ser Tyr 20 25 30 Gly Met Ser Trp Val Arg Gln Thr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Ala Thr Ile Gly Tyr Gly Gly Ser Phe Thr Tyr Tyr Pro Asp Ser Met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Ala Lys Asn Th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n Ala Pro Leu Trp Asp Tyr Phe Asp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Leu Thr Val Ser Ser 115 <210> 103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umanized variable light chain murine monoclonal antibody 5H7 <400> 103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Thr Ile Val His Ser 20 25 30 Asp Gly Thr Thr Tyr Leu Glu Trp Tyr Leu Gln Lys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Tyr Cys Phe Gln Gly 85 90 95 Ser His Val Pro Pro Thr Phe Gly Gln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104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umanized variable heavy chain murine monoclonal antibody 16B1 <400> 104 Glu Val Gln Leu Leu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Asn Tyr 20 25 30 Gly Met Ser Trp Val Arg Gln Thr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Ala Thr Ile Gly Ser Gly Gly Ser Tyr Thr Tyr Tyr Pro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Ala Lys Asn Th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n Ala Pro Leu Trp Asp Tyr Ser Asp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Leu Thr Val Ser Ser 115 <210> 105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umanized variable light chain murine monoclonal antibody 16B1 <400> 105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Asn Gln Ser Ile Val His Ser 20 25 30 Asn Gly Asp Thr Tyr Leu Glu Trp Tyr Leu Gln Lys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Tyr Cys Phe Gln Gly 85 90 95 Ser His Val Pro Pro Thr Phe Gly Gln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106 <211> 1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umanized variable heavy chain murine monoclonal antibody 29 H1 <400> 106 Glu Val Gln Leu Leu Glu Ser Gly Gly Gly Leu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Asn Tyr 20 25 30 Gly Met Ser Trp Val Arg Gln Thr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Ala Thr Ile Gly Ser Gly Gly His Tyr Thr Tyr Tyr Pro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Ala Lys Asn Th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Gln Ala Pro Leu Trp Asp Cys Ser Asp Tyr Trp Gly Gln Gly 100 105 110 Thr Leu Leu Thr Val Ser Ser 115 <210> 107 <211> 11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umanized variable light chain murine monoclonal antibody 29 H1 <400> 107 Asp Val Val Met Thr Gln Ser Pro Leu Ser Leu Pro Val Thr Leu Gly 1 5 10 15 Gln Pro Ala Ser Ile Ser Cys Arg Ser Ser Gln Thr Ile Val His Ser 20 25 30 Asp Gly Thr Thr Tyr Leu Glu Trp Tyr Leu Gln Lys Pro Gly Gln Ser 35 40 45 Pro Arg Leu Leu Ile Tyr Lys Val Ser Asn Arg Phe Ser Gly Val Pro 50 55 60 Asp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Lys Ile 65 70 75 80 Ser Arg Val Glu Ala Glu Asp Val Gly Val Tyr Tyr Cys Phe Gln Gly 85 90 95 Ser His Val Pro Pro Thr Phe Gly Gln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110 <210> 108 <211> 35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humanized variable heavy chain murine monoclonal antibody 5H7 <400> 108 gaggtgcagc ttctggaatc tgggggaggt cttgtgcagc caggagggtc cctgcggctc 60 tcctgtgccg catctggatt cactttcagt agctatggca tgtcttgggt tcgccagact 120 cctggcaaag ggctggagtg ggtcgcaacc attggctatg gtgggagttt cacctactat 180 ccagattcaa tgaagggacg ctttaccatc agcagagaca atgccaagaa caccttgtac 240 ctgcaaatga acagtctgcg agccgaagac acagccgtgt actattgcgc taggcaggct 300 cccctctggg actactttga ttactggggc caaggcacat tgctcacagt ctcctca 357 <210> 109 <211> 33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humanized variable light chain murine monoclonal antibody 5H7 <400> 109 gacgttgtga tgacccaatc tcccttgtcc ctgcctgtca ctcttgggca gcctgcctcc 60 attagctgtc gctctagcca gaccattgtg catagtgacg gcacaaccta cctggaatgg 120 tatcttcaga aaccaggcca gagcccacgg ctcctgatct acaaagtttc caacaggttt 180 agtggggtcc cagacaggtt ctccggcagt ggatcaggga cagatttcac actcaagata 240 agcagagtgg aggctgagga tgtgggagtc tactattgct ttcaaggttc acacgtacct 300 cccactttcg gccagggaac caagctggaa atcaag 336 <210> 110 <211> 35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humanized variable heavy chain murine monoclonal antibody 16B1 <400> 110 gaggtgcagc ttctggaatc tgggggaggt cttgtgcagc caggagggtc cctgcggctc 60 tcctgtgccg catctggatt cactttcagt aattatggca tgtcttgggt tcgccagact 120 cctggcaaag ggctggagtg ggtcgcaacc attggcagtg gtgggagtta tacctactat 180 ccagattcag tgaagggacg ctttaccatc agcagagaca atgccaagaa caccttgtac 240 ctgcaaatga acagtctgcg agccgaagac acagccgtgt actattgcgc taggcaggct 300 cccctctggg actacagcga ttactggggc caaggcacat tgctcacagt ctcctca 357 <210> 111 <211> 33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humanized variable light chain murine monoclonal antibody 16B1 <400> 111 gacgttgtga tgacccaatc tcccttgtcc ctgcctgtca ctcttgggca gcctgcctcc 60 attagctgtc gctctaacca gagcattgtg catagtaacg gcgacaccta cctggaatgg 120 tatcttcaga aaccaggcca gagcccacgg ctcctgatct acaaagtttc caacaggttt 180 agtggggtcc cagacaggtt ctccggcagt ggatcaggga cagatttcac actcaagata 240 agcagagtgg aggctgagga tgtgggagtc tactattgct ttcaaggttc acacgtacct 300 cccactttcg gccagggaac caagctggaa atcaag 336 <210> 112 <211> 357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humanized variable heavy chain murine monoclonal antibody 29 H1 <400> 112 gaggtgcagc ttctggaatc tgggggaggt cttgtgcagc caggagggtc cctgcggctc 60 tcctgtgccg catctggatt cactttcagt aattatggca tgtcttgggt tcgccagact 120 cctggcaaag ggctggagtg ggtcgcaacc attggcagtg gtgggcacta tacctactat 180 ccagattcag tgaagggacg ctttaccatc agcagagaca atgccaagaa caccttgtac 240 ctgcaaatga acagtctgcg agccgaagac acagccgtgt actattgcgc taggcaggct 300 cccctctggg actgtagcga ttactggggc caaggcacat tgctcacagt ctcctca 357 <210> 113 <211> 336 <212> DNA <213> artificial <220> <223> humanized variable light chain murine monoclonal antibody 29 H1 <400> 113 gacgttgtga tgacccaatc tcccttgtcc ctgcctgtca ctcttgggca gcctgcctcc 60 attagctgtc gctctagcca gaccattgtg catagtgacg gcacaaccta cctggaatgg 120 tatcttcaga aaccaggcca gagcccacgg ctcctgatct acaaagtttc caacaggttt 180 agtggggtcc cagacaggtt ctccggcagt ggatcaggga cagatttcac actcaagata 240 agcagagtgg aggctgagga tgtgggagtc tactattgct ttcaaggttc acacgtacct 300 cccactttcg gccagggaac caagctggaa atcaag 336

Claims (27)

  1. 항원 PDGF-C에 결합하며, PDGFRα에 대한 PDGF-C의 결합을 억제하고, PDGF-C에 의한 PDGFRα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분리된 모노클로널 항체.
  2. 제1항에 있어서, SEQ ID NO: 96에 정의된 펩티드에 결합하는 분리된 항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기의 상보성 결정 영역(CDR) 아미노산 서열의 조합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추가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항체:
    (i) 각각 SEQ ID NO: 26, 24 및 25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 1 내지 3; 및 각각 SEQ ID NO: 35 내지 37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1 내지 3;
    (ii) SEQ ID NO: 22 또는 23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 1; 각각 SEQ ID NO: 24 및 25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 2 및 3; SEQ ID NO: 27 또는 28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1; SEQ ID NO: 29, 30 또는 31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2; 및 SEQ ID NO: 32, 33 또는 34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3;
    (iii) 각각 SEQ ID NO: 22, 24 및 25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 1 내지 3; SEQ ID NO: 27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1; SEQ ID NO: 29 또는 30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2; 및 SEQ ID NO: 32 또는 33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3;
    (iv) 각각 SEQ ID NO: 23 내지 25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 1 내지 3; SEQ ID NO: 28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1; SEQ ID NO: 31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2; 및 SEQ ID NO: 34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3;
    (v) 각각 SEQ ID NO: 38, 24 및 25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CDR 1 내지 3; SEQ ID NO: 27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1; SEQ ID NO: 30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2; 및 SEQ ID NO: 33에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CDR 3; 또는
    (vi) (i) 내지 (v) 중 임의의 것의 친화성 성숙 항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포유류 항체, 인간 항체 또는 인간화 항체인 항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단일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인 일가 또는 다가 항체이되, 단, 상기 항원에 대한 결합 특이성이 유지되는 항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의 항원-결합 단편.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를 암호화하거나, 제6항에 따른 항원-결합 단편을 암호화하는 분리된 핵산.
  8. 약제(medicament)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제6항에 따른 항원-결합 단편 또는 제7항에 따른 핵산.
  9. 부가적인 치료제와 병용(combination)하는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제6항에 따른 항원-결합 단편 또는 제7항에 따른 핵산.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제6항에 따른 항원-결합 단편 또는 제7항에 따른 핵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담체 또는 보조제(adjuvant)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2. 양성, 전-악성(pre-malignant) 또는 악성 종양의 치료 또는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제6항에 따른 항원-결합 단편 또는 제7항에 따른 핵산.
  13. 안과 장애의 예방, 치료 또는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제6항에 따른 항원-결합 단편 또는 제7항에 따른 핵산.
  14. 신혈관형성(neovascularization)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의 예방, 치료 또는 억제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제6항에 따른 항원-결합 단편 또는 제7항에 따른 핵산.
  15. 부가적인 치료제를 사용한 병용 요법의 부분인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제6항에 따른 항원-결합 단편 또는 제7항에 따른 핵산.
  16. 제7항에 따른 분리된 핵산을 포함하는 분리된 숙주 세포.
  1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또는 제6항에 따른 항원-결합 단편을 발현하는 분리된 숙주 세포.
  18.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또는 제6항에 따른 항원-결합 단편의 생성 방법:
    (i) 상기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의 재조합 발현 수단에 의해, 또는 상기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의 화학적 합성 수단에 의해, 상기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의 미정제 제제를 수득하는 단계; 및
    (ii) (i)에서 수득된 미정제 제제로부터 상기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을 정제하는 단계.
  19.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또는 제6항에 따른 항원-결합 단편의 생성 방법:
    (i) 상기 항체의 재조합 발현 수단에 의해 또는 상기 항체의 화학적 합성 수단에 의해 상기 단편을 포함하는 항체의 미정제 제제를 수득하는 단계;
    (ii) 상기 항체를 (i)에서 수득된 미정제 제제로부터 정제하는 단계; 및
    (iii) (ii)에서 정제된 항체로부터 항원-결합 단편을 분리하는 단계.
  2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또는 제6항에 따른 항원-결합 단편의 유도체.
  21. 약제의 제조에서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제6항에 따른 항원-결합 단편, 또는 제7항에 따른 핵산의 용도.
  22. 제4항에 있어서, 하기의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간화 항체 또는 그의 단편:
    (i) CDR 외측의 영역에 16개 이하의 돌연변이를 지니는 SEQ ID NO: 18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된 바와 같은 가변 중쇄;
    (ii) CDR 외측의 영역에 9개 이하의 돌연변이를 지니는 SEQ ID NO: 14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된 바와 같은 가변 경쇄;
    (iii) 하기의 돌연변이 중 하나 이상을 지니는 SEQ ID NO: 18에 제공된 바와 같은 가변 중쇄: Val5Leu, Asp1OGly, Lys13Gln, Lys19Arg, Asp42Gly, Arg44Gly, Ser74Asn, Ser84Asn, Lys87Arg, Ser88Ala, Met93Val 및/또는 Thr114Leu;
    (iv) 하기의 돌연변이 중 하나 이상을 지니는 SEQ ID NO: 20에 제공된 바와 같은 가변 중쇄: Val5Leu, Asp1OGly, Lys13Gln, Lys19Arg, Asp42Gly, Arg44Gly, Phe80Tyr, Ser84Asn, Lys87Arg, Ser88Ala, Ile93Val, Val97Ala 및/또는 Thr114Leu;
    (v) 하기의 돌연변이 중 하나 이상을 지니는 SEQ ID NO: 21에 제공된 바와 같은 가변 중쇄: Val5Leu, Asp1OGly, Lys13Gln, Lys19Arg, Asp42Gly, Arg44Gly, Ser74Asn, Ser77Asn, Ser84Asn, Ser88Ala, Ile93Val 및/또는 Thr114Leu;
    (vi) 하기의 돌연변이 중 하나 이상을 지니는 SEQ ID NO: 15에 제공된 바와 같은 가변 경쇄: Leu3Val, Thr7Ser, Ser14Thr, Asp17Gln, Gln18Pro, Lys50Arg, Leu88Val 및/또는 Gly105Gln;
    (vii) 하기의 돌연변이 중 하나 이상을 지니는 SEQ ID NO: 16에 제공된 바와 같은 가변 경쇄: Leu3Val, Thr7Ser, Ser14Thr, Asp17Gln, Gln18Pro, Ala45Pro, Lys50Arg, Leu88Val 및/또는 Gly105Gln; 또는
    (viii) 하기의 돌연변이 중 하나 이상을 지니는 SEQ ID NO: 17에 제공된 바와 같은 가변 경쇄: Leu3Val, Thr7Ser, Ser14Thr, Asp17Gln, Gln18Pro, Asn50Arg, Leu88Val 및/또는 Gly105Gln.
  23. 제22항에 있어서, SEQ ID NO: 102에 의해 정의된 가변 중쇄 및 SEQ ID NO: 103에 의해 정의된 가변 경쇄를 포함하는 인간화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단편.
  24. 제22항에 있어서, SEQ ID NO: 104에 의해 정의된 가변 중쇄 및 SEQ ID NO: 105에 의해 정의된 가변 경쇄를 포함하는 인간화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단편.
  25. 제22항에 있어서, SEQ ID NO: 106에 의해 정의된 가변 중쇄 및 SEQ ID NO: 107에 의해 정의된 가변 경쇄를 포함하는 인간화 항체 또는 그의 단편, 또는 그의 단편.
  26. 10 nM 이하의 해리 상수를 특징으로 하는 높은 친화성으로 PDGF-C에 결합하는 제1항 내지 제5항에 따른 항체 또는 제6항에 따른 항원-결합 단편.
  27. 제17항에 있어서, LMBP 9483CB(항-PDGF-C 항체 2D3), LMBP 9484CB(항-PDGF-C 항체 5A2), LMBP 9485CB(항-PDGF-C 항체 5H7), LMBP 9486CB(항-PDGF-C 항체 16B1) 또는 LMBP 9487CB(항-PDGF-C 항체 29H1)로 기탁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인 분리된 숙주 세포.
KR1020147032459A 2012-04-24 2013-04-24 항-pdgf-c 항체 KR201500056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37372P 2012-04-24 2012-04-24
EP12165314 2012-04-24
US61/637,372 2012-04-24
EP12165314.1 2012-04-24
US201261727231P 2012-11-16 2012-11-16
EP12192943.4 2012-11-16
EP12192943 2012-11-16
US61/727,231 2012-11-16
PCT/EP2013/058513 WO2013160359A1 (en) 2012-04-24 2013-04-24 Anti-pdgf-c antibod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631A true KR20150005631A (ko) 2015-01-14

Family

ID=4948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459A KR20150005631A (ko) 2012-04-24 2013-04-24 항-pdgf-c 항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884910B2 (ko)
EP (1) EP2841454A1 (ko)
JP (1) JP2015515487A (ko)
KR (1) KR20150005631A (ko)
CN (1) CN104321343A (ko)
AU (1) AU2013254690B2 (ko)
BR (1) BR112014025560A2 (ko)
CA (1) CA2871528A1 (ko)
IN (1) IN2014DN09717A (ko)
MX (1) MX2014012843A (ko)
NZ (2) NZ724395A (ko)
RU (1) RU2014140116A (ko)
WO (1) WO2013160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4140116A (ru) 2012-04-24 2016-06-10 Тромбодженикс Н.В. Антитела против pdgf-c
JP7048505B2 (ja) * 2015-11-10 2022-04-05 パラクリン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エービー Pdgf-cc阻害剤および抗エストロゲン剤によるer陰性乳癌の処置
MA45493A (fr) 2016-06-27 2019-05-01 Aicuris Anti Infective Cures Gmbh Inhibiteurs d'entrée de hcmv.
US11352420B2 (en) 2016-07-01 2022-06-07 Paracrine Therapeutics Ab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DGF-CC inhibition
KR101943083B1 (ko) 2017-03-30 2019-01-29 (주)케어젠 환경오염 물질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943081B1 (ko) * 2017-08-31 2019-01-29 (주)케어젠 주름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WO2019110416A1 (en) * 2017-12-04 2019-06-13 Laboratorios Salvat, S.A. Ophthalmic topical composition comprising dobesilic acid for treating diseases of the posterior segment of the ey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6567A (en) 1983-04-08 1989-03-28 Genentech, Inc. Recombinant immunoglobin preparations
GB8823869D0 (en) 1988-10-12 1988-11-16 Medical Res Council Production of antibodies
US5468468A (en) 1989-02-09 1995-11-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Method for making a monoclonal antibody, monoclonal antibodies to α PD
WO1991019515A1 (en) 1990-06-21 1991-12-2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Oligomeric immunoglobulin constant domain mutant with enhanced complement-mediated cytolytic activity
US5633425A (en) 1990-08-29 1997-05-27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5661016A (en) 1990-08-29 1997-08-26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of various isotypes
KR100272077B1 (ko) 1990-08-29 2000-11-15 젠팜인터내셔날,인코포레이티드 이종 항체를 생산할 수 있는 전이유전자를 가진 인간이외의 동물
US5625126A (en) 1990-08-29 1997-04-29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for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5545806A (en) 1990-08-29 1996-08-13 Genpharm International, Inc. Ransgenic non-human animals for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ATE164395T1 (de) 1990-12-03 1998-04-15 Genentech Inc Verfahren zur anreicherung von proteinvarianten mit geänderten bindungseigenschaften
US5304118A (en) 1992-12-16 1994-04-19 Trese Michael T Method for performing a vitrectomy on an eye
AU8296098A (en) 1997-07-08 1999-02-08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homoconjugates of antibodies which induce growth arrest or apoptosis of tumor cells
US6455283B1 (en) 1998-03-17 2002-09-24 Genentech, Inc. Nucleic acids encoding vascular endothelial cell growth factor-E (VEGF-E)
CA2344561A1 (en) 1998-09-30 2000-04-06 Ludwi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c, dna coding therefor, and uses thereof
US6432673B1 (en) * 1998-12-07 2002-08-13 Zymogenetics, Inc. Growth factor homolog ZVEGF3
CA2354325C (en) * 1998-12-07 2011-08-16 Zymogenetics, Inc. Growth factor homolog zvegf3
WO2001028586A1 (en) 1999-10-21 2001-04-26 Zymogenetics, Inc. Method of treating fibrosis
AU2001249525A1 (en) * 2000-03-28 2001-10-08 Ludwi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Non-human transgenic animals expressing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C (PDGF-C) and uses thereof
IL151853A0 (en) 2000-04-11 2003-04-10 Genentech Inc Multivalent antibodies and uses therefor
GB0228409D0 (en) 2002-12-06 2003-01-08 Thromb X Nv Pharmacological vitreolysis
WO2005011742A1 (en) * 2003-07-25 2005-02-10 Zymogenetics, Inc. Method of treating hepatocellular carcinoma
US20050282233A1 (en) 2004-03-05 2005-12-22 Ludwi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Multivalent antibody materials and methods for VEGF/PDGF family of growth factors
AU2007240429A1 (en) * 2006-04-17 2007-11-01 Ludwi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Ltd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odulation of blood-neural barrier
CL2007002225A1 (es) * 2006-08-03 2008-04-18 Astrazeneca Ab Agente de union especifico para un receptor del factor de crecimiento derivado de plaquetas (pdgfr-alfa); molecula de acido nucleico que lo codifica; vector y celula huesped que la comprenden; conjugado que comprende al agente; y uso del agente de un
US20100092470A1 (en) 2008-09-22 2010-04-15 Icb International, Inc. Antibodies, analogs and uses thereof
RU2014140116A (ru) 2012-04-24 2016-06-10 Тромбодженикс Н.В. Антитела против pdgf-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2014DN09717A (ko) 2015-07-31
AU2013254690B2 (en) 2017-12-07
US9884910B2 (en) 2018-02-06
WO2013160359A1 (en) 2013-10-31
AU2013254690A1 (en) 2014-11-06
RU2014140116A (ru) 2016-06-10
CA2871528A1 (en) 2013-10-31
BR112014025560A2 (pt) 2017-07-04
CN104321343A (zh) 2015-01-28
JP2015515487A (ja) 2015-05-28
NZ700274A (en) 2016-10-28
MX2014012843A (es) 2017-01-23
EP2841454A1 (en) 2015-03-04
NZ724395A (en) 2018-03-23
US20150232546A1 (en)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03637B (zh) 特異性針對gucy2c之抗體及其用途
EP2220121B1 (en) Axl antibodies
US9884910B2 (en) Anti-PDGF-C antibodies
WO2016187220A2 (en) Anti-ror1 antibodies
KR20190035863A (ko) 암 치료를 위한 항Siglec-7 항체
JP2011505120A5 (ko)
EP4074732A1 (en) Fully human antibodies against ox40,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use thereof
CN114181310B (zh) 抗tigit抗体、其药物组合物及用途
WO2021099418A1 (en) Anti-cd117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21032130A1 (zh) Bcma抗体
RU2812113C2 (ru) Антитела против gucy2c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US20150152193A1 (en) Axl antibodies
RU2781542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и/или профилактики злокачественной опухоли
WO2020119793A1 (en) Humanized antibodies against ox40,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use thereof
WO2020119792A1 (en) Humanized antibodies against ox40,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use thereof
WO2013139956A1 (en) Antibodies abrogating cell binding to lactadherin
CN116059341A (zh) 药物组合物及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