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472U - A kayak for leisure - Google Patents

A kayak for leis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472U
KR20150002472U KR2020130010485U KR20130010485U KR20150002472U KR 20150002472 U KR20150002472 U KR 20150002472U KR 2020130010485 U KR2020130010485 U KR 2020130010485U KR 20130010485 U KR20130010485 U KR 20130010485U KR 20150002472 U KR20150002472 U KR 201500024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ayak
lower body
leisure
buoyanc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4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석칠
Original Assignee
김석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칠 filed Critical 김석칠
Priority to KR2020130010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472U/en
Publication of KR201500024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472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0Canoes, kaya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26Accessories for canoes, kaya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4Oars; Sculls; Paddles;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약 둘레면에 부력틀을 설치하여 카약이 전복되더라도 물 위로 신속하게 부상하도록 함으로서 물 위로 뜬 카약을 손 쉽게 뒤집어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운항중 파도에 의한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균형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레저용 카약을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단은 개방시킨 상태에서 내부에는 탑승공간을 형성시키는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상면에 덮혀진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로 체결 고정되며 중앙에는 상기 탑승공간으로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통과시키는 구멍이 형성된 상부바디로 구성하며, 상기 상, 하부바디의 둘레 전체면에는 부력틀이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In this design, a buoyancy frame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kayak so that even if the kayak is rolled over, it floats on the water quickly so that the kayak on the water can be easily turned over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condition. To provide a leisure kayak to allow for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 for a vehicle, comprising: a lower body having a top opened and forming a boarding space therein; a bolt and a nut covered in a top surface of the lower body; And a buoyancy frame is assembled o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upper and lower bodies.

Description

레저용 카약{A KAYAK FOR LEISURE}Leisure Kayak {A KAYAK FOR LEISURE}

본 고안은 레저용 카약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약 둘레면에 부력틀을 설치하여 카약이 전복되더라도 물 위로 신속하게 부상하도록 함으로서 물 위로 뜬 카약을 손 쉽게 뒤집어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운항중 파도에 의한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균형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레저용 카약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ayak for leisure, more specifically, a buoyancy frame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ce of a kayak, so that even if the kayak is overturned, the kayak quickly floats above the wat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leisure kayak capable of maintaining a stable balance without shaking due to waves during operation.

카약은 선수·선미가 뾰족하고 1개 이상의 노로 움직이는 경량의 소형 선박이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레저 스포츠로서 카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Kayak is a lightweight small ship with athlete / stern pointed and moving with more than one paddle. As the level of living has improved recently, interest in kayaking has increased as a leisure sport.

카약은 대개 1인승으로 여름에 바다 수렵에 쓰인다. 길이 7m, 너비 50cm 정도로 선체의 뼈대는 나무로 만들어졌고, 뼈대에 털을 없앤 바다표범 가죽을 붙여서 만든다. 조종자는 방수 재킷을 입고 배의 가운데에 있는 동그란 구멍 속에 발을 뻗고 하반신을 파묻듯이 앉는다. 조종석 앞에는 작살과 같은 수렵도구를 놓는 조그만 둥근 대(臺)가 있다. 선체는 매우 가벼워 혼자 들고 운반할 수 있을 정도이며, 배의 속도가 빠르고 중심이 낮아 높은 파도에도 잘 견디며 전복되더라도 노를 움직여 원상으로 돌릴 수 있다. 주로 그린란드에서 사용되지만 캐나다의 일부 지방에서도 쓰이며, 경기용으로도 널리 이용된다.Kayak is usually used for hunting in the summer for one person. The skeleton of the hull is made of wood with a length of 7m and a width of 50cm. It is made by attaching leathery leather which has hair on the skeleton. The pilot sits in a waterproof jacket, stretches his feet in a round hole in the center of the boat, and sits down as if toss his lower body. In front of the cockpit there is a small round table with hunting tools like harpoon. The hull is so light that it can be carried on its own, and it has a fast ship speed and a low center of gravity, so it can withstand high waves. It is mainly used in Greenland, but it is also used in some parts of Canada and is also widely used for games.

종래의 카약은 플라스틱이나 FRP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되어 왔다. 이렇게 제작된 카약은 일체로 제작되어 분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길이가 긴 카약의 이동 및 보관에 어려움이 많다.Conventional kayaks have been manufactured using plastic or FRP as the main raw material. Kayaks made in this way can not be disassembl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ove and store kayaks having a long length.

카약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의 카약은 고무로 제작되기도 한다. 그러나, 고무로 제작이 된 카약은 상하강성 및 좌우강성이 유지되지 않아 파도 또는 해류에 의해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어서, 속도를 내기 힘들고, 직진성이 저하된다.Conventional kayaks are also made of rubber to improve the portability of kayaks. However, since the upper and lower stiffness and the left and right stiffness are not maintained, the kayak made of rubber can be ben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ue to the wave or the current, so that it is difficult to speed up and the straightness is lowered.

따라서, 카약의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수납을 용이하게 하며,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카약이 요구되어 왔다.Accordingly,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kayak capable of improving the portability of kayaks, facilitating storage, and maintaining rigidity.

그러나 종래 일반적인 카약은 사용과정에서 운항중 배가 뒤집어져 전복되면 물속으로 가라앉게 됨으로서 숙련자가 아니면 카약을 뒤집어 원 상태로 복귀시키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더불어 운항중에도 파도 등에 의해 너무 쉽게 흔들려 전복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kayak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turn the kayak back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boat is overturned and overturns when the boat is overturned, so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skilled person to turn over the kayak. Also, Is often generated.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3-0064499 호Document 1: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3-0064499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카약 둘레면에 부력틀을 설치하여 카약이 전복되더라도 물 위로 신속하게 부상하도록 함으로서 물 위로 뜬 카약을 손 쉽게 뒤집어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 레저용 카약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oyancy frame on the circumference of the kayak so that even if the kayak is overturned, the kayak can float on the water quickly so that the kayak on the water can be easily turned upside down To provide a leisure kayak.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카약의 후방 양측에 사이드부력체를 더 설치하여 운항중 파도에 의한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균형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레저용 카약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isure kayak in which a side buoyant body is further provided on both sides of a kayak to maintain a stable balance without swinging due to waves during opera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레저용 카약에 있어서, 상단은 개방시킨 상태에서 내부에는 탑승공간을 형성시키는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의 상면에 덮혀진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로 체결 고정되며 중앙에는 상기 탑승공간으로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통과시키는 구멍이 형성된 상부바디로 구성하며, 상기 상, 하부바디의 둘레 전체면에는 부력틀이 조립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isure kayak comprising: a lower body for forming a space for a passageway in an opened state of the kayak, and a bolt and a nut covering the upper body, And an upper body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user can ride on the boarding space in the center, and a buoyancy frame is assembled o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upper and lower bodies.

상기 상부바디의 후방에는 지지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는 사이드부력체가 더 설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upport frame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upper body and a side buoyant body is further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상기 하부바디의 탑승공간에는 두 개의 좌석이 배치되며, 상기 좌석들중 어느 하나의 좌석은 상기 하부바디에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wo seats are disposed in the boarding space of the lower body, and one of the seats is rotatably assembled in the lower body.

상기 하부바디의 바닥면에는 지지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파이프에는 상기 좌석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결합구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파이프에는 상기 체결구멍들중 어느 하나의 체결구멍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며 상기 결합구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핀이 관통 설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Wherein a support pipe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ody, and a coupling hole protruding from a lower end of the seat is rotatably fitted in the support pipe, at least one coupling hole i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The support pipe may have a stopper pin selectively inserted into one of the fastening holes and restricting rotation of the fastening hole.

본 고안에 따른 레저용 카약은 카약 둘레면에 설치된는 부력틀을 통해 카약이 전복되더라도 물 위로 신속하게 부상하도록 함으로서 물 위로 뜬 카약을 손 쉽게 뒤집어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카약의 후방 양측에 사이드부력체를 더 설치하여 운항중 파도에 의한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균형감을 유지할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구현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kayak for leisure is constructed so that even if the kayak is rolled over through the buoyancy frame provid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kayak, the kayak can be floated on the water quickly so that the kayak on the water can be easily turned upside down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The buoyant body is further installed to realize a working effect that can maintain a stable balance without shaking due to waves during opera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투명 카약의 구성을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좌석과 하부바디간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construction of a transparent kaya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Fig.
Figure 3 is a front view of Figure 1;
4 is a view showing an assembly state between a seat and a low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other embodiments which may be suggest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replaced by descriptions in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레저용 카약의 구성을 분해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side view of the kaya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레저용 카약(100)은 상단은 개방시킨 상태에서 내부에는 탑승공간(22)을 형성시키는 하부바디(20)와, 상기 하부바디(20)의 상면에 덮혀진 상태에서 볼트(14) 및 너트(16)로 체결 고정되며 중앙에는 상기 탑승공간(22)으로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통과시키는 구멍이 형성된 상부바디(10)로 선체를 구성한다.1 to 3, the leisure kayak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body 20 for forming a boarding space 22 in an opened state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n upper body 10 having a hole through which the user can ride on the boarding space 2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body 10, do.

상기 하부바디(20)의 탑승공간(22)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자리를 제공하는 두 개의 좌석(24, 26)이 앞, 뒤로 복수개가 배치된다.In the boarding space 22 of the lower body 20, a plurality of seats 24 and 26 are arranged forward and backward to provide a seat for a user to sit on.

상기 상, 하부바디(10, 20)는 투명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운행중에 탑승자들이 바다밑 풍경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upper and lower bodies 10 and 20 are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passengers can enjoy the scenery under the sea during operation.

상기 좌석(24, 26)들중 앞쪽에 배치되는 좌석(24)은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좌석(24, 26)에 앉은 사용자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한 상태로 운항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at 24 disposed in front of the seats 24 and 26 is rotatable so that the users sitting on the seats 24 and 26 can be operated while facing each other if necessary.

상기 좌석(24)과 하부바디(20)의 연결 구조는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바디(20)의 바닥면에 지지파이프(32)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파이프(32)의 구멍(33)에는 상기 좌석(24)의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28)를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 상기 좌석(24)을 상기 지지파이프(32)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성토록 한다.As shown in FIG. 4,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seat 24 and the lower body 20 includes a support pipe 32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ody 20, The seat 2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ipe 32 by rotatably engaging with a coupling hole 28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24. [

상기 지지파이프(32)의 측면에는 스토퍼핀(34)이 관통 설치되고, 상기 지지파이프(32)에 끼워지는 결합구(28)의 둘레면에는 상기 스토퍼핀(34)이 끼워지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30)들을 형성하여 좌석(24)을 지지파이프(32)에 고정시키게 되는 데, 이때 좌석(24)을 회전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스토퍼핀(34)을 분리시켜 좌석(24)을 적정 각도로 회전시킨 다음, 다시 스토퍼핀(34)을 결합구(28)의 체결구멍(30)에 끼워넣어 회전이 완료된 좌석(24)을 지지파이프(32)에 고정시키도록 한다.A stopper pin 34 is inserted through a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ipe 32 and a stopper pin 34 is inserted into a peripheral surface of a coupling hole 28 fitted to the support pipe 32, The seat 24 is fixed to the supporting pipe 32. At this time, when the seat 24 is to be rotated, the stopper pin 34 is separated, And then the stopper pin 34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30 of the coupling hole 28 so that the seat 24 having completed the rotation is fixed to the support pipe 32. [

상기 상, 하부바디(10, 20)의 둘레 전체면에는 부력틀(40)이 조립된다. 상기 부력틀(40)은 카약(100)이 물위로 부상하도록 부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데, 이때 부력틀(40)은 카약(100)의 앞쪽이나 뒤쪽 특정 부분에 편중된 것이 아니라 카약(100)의 선체를 구성하는 상, 하부바디(10, 20) 둘레 전체면에 설치됨에 따라 부상력을 카약(100) 전체로 골고루 전달시켜 카약(100)을 안정적으로 부상시킬 수 있다.A buoyancy frame (40) is assembled on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upper and lower bodies (10, 20). The buoyancy frame 40 generates buoyancy so that the kayak 100 floats on the water and the buoyancy frame 40 is not concentrated on a specific portion of the front or back of the kayak 100 but is attached to the buoyancy frame 40 The buoyancy force is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entirety of the kayak 100 by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upper and lower bodies 10 and 20 constituting the hull so that the kayak 100 can be stably lifted.

특히, 본 고안은 상기 부력틀(40)을 통해 운항중에 카약(100)이 뒤집어져 전복되더라도 부력틀(40)의 부상력으로 전복된 카약(100)을 물 위로 신속하게 부상시킬 수 있음으로서 사용자는 물 위로 뜬 카약(100)을 다시 뒤집어 원상태로 간편히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kayak 100 is flipped over during the operation through the buoyancy frame 40, the kayak 100 can be floated rapidly over the water due to the buoyancy force of the buoyancy frame 40, The user can easily turn the kayak 100, which is floating on the water, back to the original state.

상기한 부력틀(40)은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발포 스펀지인 EVA(Ethylene Vinyl Acetate)수지로 제작함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buoyancy frame 4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but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buoyancy frame 40 is made of EVA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which is a foam sponge.

또한 상기 부력틀(40)은 상, 하부바디(10, 20)의 둘레면에 부착되는 특성상 운항중에 다른 배나 암초 등과의 충돌시에도 그 충격을 흡수하여 카약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The buoyancy frame 40 is attach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bodies 10 and 20 so that the buoyancy frame 40 absorbs the impact even when colliding with other boats or reefs during the opera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kayak.

한편, 상기 상부바디(10)의 후방에는 지지프레임(5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중앙에는 운항중 탑승자가 직접 노를 젓지 않더라도 카약(100)을 움직일 수 있도록 모터(60)가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50)에는 상기 모터(60)에 연결 구성되는 손잡이(80)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80)는 카약의 방향과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A support frame 5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upper body 10 and a motor 6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frame 50 to move the kayak 100, . Also, the support frame 50 is provided with a handle 80 connected to the motor 60, and the handle 80 controls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kayak.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양측에는 사이드 부력체(7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 부력체(70)는 전술한 부력틀(40)과 함께 물 위에서 부상력을 발생시켜 카약(100)이 물 위로 안정적으로 부상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A side buoyancy body (70) is furth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50). The side buoyant body 70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buoyancy frame 40 generates a float force on the water to induce the kayak 100 to float on the water stably.

특히 상기 사이드 부력체(70)는 카약(100)의 후방 양측에 배치된 관계로 운항중 파도가 카약(100)에 전해지더라도 카약(100)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균형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Particularly, since the side buoyant body 7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ar side of the kayak 100, even if waves are transmitted to the kayak 100 during operation, the side buoyant body 70 can induce the kayak 100 to maintain a stable balance without shaking.

상기한 사이드 부력체(70)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수지재를 이용하여 튜브 형태로 제작한 후, 상기 튜브 내부에 공기를 충진시켜 부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The side buoyant body 7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buoyant body 7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tube using a resin material, and then the inside of the tube is filled with air to generate buoyancy.

10: 상부바디 12: 구멍
20: 하부바디 22: 탑승공간
24, 26: 좌석 40: 부력틀
50: 지지프레임 60: 방향타
70: 사이드부력체 100: 투명 카약
10: upper body 12: hole
20: lower body 22: boarding space
24, 26: seat 40: buoyancy frame
50: support frame 60: rudder
70: side buoyant body 100: transparent kayak

Claims (4)

레저용 카약에 있어서,
상단은 개방시킨 상태에서 내부에는 탑승공간(22)을 형성시키는 하부바디(20)와;
상기 하부바디(20)의 상면에 덮혀진 상태에서 볼트(14) 및 너트(16)로 체결 고정되며 중앙에는 상기 탑승공간(22)으로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통과시키는 구멍(12)이 형성된 상부바디(10)로 구성하며;
상기 상, 하부바디(10, 20)의 둘레 전체면에는 부력틀(40)이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카약.
In leisure kayaks,
A lower body (20) for forming a boarding space (22) in an opened state at an upper end there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20 is fastened with bolts 14 and nuts 16 in the state of being covered with upper portions of the lower body 20 and a hole 12 through which the user can ride in the boarding space 22 is formed at the center. A body 10;
And a buoyancy frame (40) is assembled to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upper and lower bodies (10,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10)의 후방에는 지지프레임(5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50)의 양측에는 사이드부력체(7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카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upport frame (5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upper body (10), and a side buoyant body (70) is further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5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20)의 탑승공간(22)에는 두 개의 좌석(24, 26)이 배치되며;
상기 좌석(24, 26)들중 어느 하나의 좌석(24)은 상기 하부바디(20)에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카약.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wo seats (24, 26) are disposed in the boarding space (22) of the lower body (20);
Wherein one of the seats (24, 26) is rotatably assembled in the lower body (2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20)의 바닥면에는 지지파이프(32)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파이프(32)에는 상기 좌석(24)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28)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결합구(28)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3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파이프(32)에는 상기 체결구멍(30)들중 어느 하나의 체결구멍(30)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며 상기 결합구(28)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핀(34)이 관통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카약.

The method of claim 3,
A support pipe 32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ody 20 and a coupling hole 28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seat 24 is rotatably fitted in the support pipe 32;
At least one fastening hole 30 is formed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28 and the fastening hole 30 of the fastening hole 30 is selectively fitted in the supporting pipe 32 And a stopper pin (34)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coupling hole (28) is provided.

KR2020130010485U 2013-12-17 2013-12-17 A kayak for leisure KR2015000247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485U KR20150002472U (en) 2013-12-17 2013-12-17 A kayak for lei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485U KR20150002472U (en) 2013-12-17 2013-12-17 A kayak for leis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472U true KR20150002472U (en) 2015-06-25

Family

ID=5351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485U KR20150002472U (en) 2013-12-17 2013-12-17 A kayak for leis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472U (en)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04U (en) * 2018-03-22 2018-04-11 이정석 Kayak with motor propulsion
CN108490952A (en) * 2018-04-25 2018-09-04 苏州远征魂车船技术有限公司 A kind of easily avoidance assault boat
CN108482606A (en) * 2018-04-25 2018-09-04 苏州远征魂车船技术有限公司 A kind of pneumatic type avoidance assault boat structure
CN108482607A (en) * 2018-04-25 2018-09-04 苏州远征魂车船技术有限公司 A kind of assault boat of quick avoidance
CN108557020A (en) * 2018-04-25 2018-09-21 苏州远征魂车船技术有限公司 A kind of cam-type avoidance assault boat structure
CN108557028A (en) * 2018-04-25 2018-09-21 苏州远征魂车船技术有限公司 A kind of safe assault boat
CN108583803A (en) * 2018-04-25 2018-09-28 苏州远征魂车船技术有限公司 A kind of avoidance assault boat
CN108583802A (en) * 2018-04-25 2018-09-28 苏州远征魂车船技术有限公司 A kind of gear type avoidance assault boat structure
CN108609128A (en) * 2018-04-25 2018-10-02 苏州远征魂车船技术有限公司 A kind of electromagnetic type avoidance assault boat structure
KR20220089753A (en) 2020-12-21 2022-06-29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ic kayak using solar cell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04U (en) * 2018-03-22 2018-04-11 이정석 Kayak with motor propulsion
CN108490952A (en) * 2018-04-25 2018-09-04 苏州远征魂车船技术有限公司 A kind of easily avoidance assault boat
CN108482606A (en) * 2018-04-25 2018-09-04 苏州远征魂车船技术有限公司 A kind of pneumatic type avoidance assault boat structure
CN108482607A (en) * 2018-04-25 2018-09-04 苏州远征魂车船技术有限公司 A kind of assault boat of quick avoidance
CN108557020A (en) * 2018-04-25 2018-09-21 苏州远征魂车船技术有限公司 A kind of cam-type avoidance assault boat structure
CN108557028A (en) * 2018-04-25 2018-09-21 苏州远征魂车船技术有限公司 A kind of safe assault boat
CN108583803A (en) * 2018-04-25 2018-09-28 苏州远征魂车船技术有限公司 A kind of avoidance assault boat
CN108583802A (en) * 2018-04-25 2018-09-28 苏州远征魂车船技术有限公司 A kind of gear type avoidance assault boat structure
CN108609128A (en) * 2018-04-25 2018-10-02 苏州远征魂车船技术有限公司 A kind of electromagnetic type avoidance assault boat structure
KR20220089753A (en) 2020-12-21 2022-06-29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ic kayak using solar ce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2472U (en) A kayak for leisure
US6112692A (en) Dual hull kayak
EP0361149B1 (en) Jet propulsion small boat
US9650117B2 (en) Aft-facing transom seating for a boat
US11945552B2 (en) Aft-facing transom seating for a boat
US8752492B1 (en) Paddle board with removable seat
KR200490670Y1 (en) Kayak with motor propulsion
US8789487B2 (en) Personal watercraft
US7699017B1 (en) Personal undersea observation pedal craft
US8967064B2 (en) Watercraft
US7610870B1 (en) Interlocking platform boats
WO2019016419A1 (en) Kayak comprising a system with pedals assisted by an electric motor
CN200974607Y (en) Hand-operated leisure boat
US8608523B2 (en) Lightweight personal hydroplane watercraft
JP2020157965A (en) Propeller propulsion lifeboat
US8277272B1 (en) Flotation apparatus
EP0346353A1 (en) Watercraft
JP2019509211A (en) Transparent and adjustable kayak with shading system
US9242706B2 (en) Dual keel kayak
US4101996A (en) Foot propelled water vehicle
US2994095A (en) Water skiffs
RU2297359C1 (en) High-speed motor ship
US20150033997A1 (en) Multipurpose Stabilized Water Board for Recreational Use
KR101750780B1 (en) Water bicycle for leisure
CA2949798A1 (en) The tri-paddle (tri)! a fast, versatile, touring paddle craft which has a semi-automatic tri-paddle cockpit with integrated two-part spray protector system, a portable craft-pack system, and an on-board sleep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