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551A -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551A
KR20150001551A KR1020130074969A KR20130074969A KR20150001551A KR 20150001551 A KR20150001551 A KR 20150001551A KR 1020130074969 A KR1020130074969 A KR 1020130074969A KR 20130074969 A KR20130074969 A KR 20130074969A KR 20150001551 A KR20150001551 A KR 20150001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image
augmented reality
image
database
datab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민
이주영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74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551A/ko
Publication of KR20150001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60Memor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구현할 때 다수의 타겟이미지를 지원함으로써 증강현실의 품질을 제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증강현실을 구현할 때 활용이 허용된 타겟이미지가 제한되어 증강현실 결과물의 품질이 조악하고 프로세싱 시간도 늦어지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기기의 단일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베이스를 다중 마운트하여 순차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증강현실에 관한 기술규격을 만족하면서도 기존에 비해 훨씬더 많은 타겟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증강현실의 품질 제고 및 프로세싱 시간의 단축을 달성하며 증강현실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METHOD OF PROVIDING EXPANDED SUPPORT FOR TARGET IMAGE HANDLING IN AUGMENTED REALITY BY DATABASE MULTI-MOUNTING IN A SINGLE MEMORY,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구현할 때 다수의 타겟이미지를 지원함으로써 증강현실의 품질을 제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서 증강현실을 구현할 때 활용이 허용된 타겟이미지가 제한되어 증강현실 결과물의 품질이 조악하고 프로세싱 시간도 늦어지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기기의 단일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베이스를 다중 마운트하여 순차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증강현실에 관한 기술규격을 만족하면서도 기존에 비해 훨씬더 많은 타겟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증강현실의 품질 제고 및 프로세싱 시간의 단축을 달성하며 증강현실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고성능의 카메라 장착형 모바일 기기가 폭발적으로 보급됨에 따라 이러한 전자기기에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의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즉, 사용자의 눈에 보이는 현실세계에 컴퓨터 그래픽 처리를 통해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실시간으로 겹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이처럼 증강현실은 현실세계에 대해 가상세계를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유익한 부가정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즉, 현실 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컴퓨터 기술로 창조한 가상 그래픽 영상을 오버랩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전자기기에서 증강현실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현실세계 즉, 실제 환경에 부가하기 위한 타겟이미지를 필요로 한다. 즉, 실제 환경에 가상의 영상을 겹쳐서 표시하기 위해서는 그 겹쳐서 표시하기 위한 타겟 영상이 필요하다.
그런데, 현재 증강현실 플랫폼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타겟이미지가 제한되어 있다. 즉, 가상현실의 설계자가 소망하는 만큼의 타겟이미지를 충분히 활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는 기존에 증강현실 기술이 특정의 서비스를 대상으로 설계된 것이기 때문인데, 예컨대 유명 커피체인점인 스타벅스에서 매장찾기와 쿠폰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목적으로 활용될 것을 가정한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라면 스타벅스 로고 이미지와 커피 이미지, 그리고 쿠폰 이미지 정도만 있으면 되므로 타겟이미지를 제한하는 것이 오히려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러한 타겟이미지의 제한은 증강현실 기술의 적용 범위를 제한하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특화되고 단순한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라면 소수의 타겟이미지로도 충분하지만, 서비스의 범위를 넓히려고 한다면 타겟이미지가 제한되어 있다는 점이 큰 장애요인이 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서비스나 길거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증강현실을 적용하려면 타겟이미지가 다수 필요하기에 장애요인이 된다.
종래기술에서는 이처럼 타겟이미지가 제한됨에 따라 증강현실 기술의 적용범위가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소수의 타겟이미지를 사용하여 억지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당초 목표에 비해 증강현실 결과물의 품질이 조악하여 사용자들로부터 외면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어 프로그램이 적절한 타겟이미지를 찾지못하여 반복 탐색함으로 인해 타겟이미지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프로세싱 시간이 오히려 길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증강현실에 관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증강현실 기술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강현실을 구현할 때 다수의 타겟이미지를 지원함으로써 증강현실의 품질을 제고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기기에서 증강현실을 구현할 때 활용이 허용된 타겟이미지가 제한되어 증강현실 결과물의 품질이 조악하고 프로세싱 시간도 늦어지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전자기기의 단일 메모리 공간에 데이터베이스를 다중 마운트하여 순차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증강현실에 관한 기술규격을 만족하면서도 기존에 비해 훨씬더 많은 타겟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증강현실의 품질 제고 및 프로세싱 시간의 단축을 달성하며 증강현실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하여 증강현실에서 타겟이미지를 확장지원하는 방법으로서, 전자기기에 구비된 단일 메모리에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다중 마운트하여 로딩하는 제 1 단계; 카메라로 촬영한 현실세계의 획득영상을 제공받는 제 2 단계; 획득영상에 매칭되는 타겟이미지를 복수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제 3 단계; 데이터베이스 검색 중에 획득영상과 매칭되는 타겟이미지를 발견하면 그 발견된 타겟이미지와 매칭되는 증강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는 제 4 단계; 그 획득된 증강이미지를 획득영상에서 위 발견된 타겟이미지의 위치에 오버레이 표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 1 단계에서 다중 마운트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각각은 단일 메모리에 한번에 올릴 수 있는 분량의 타겟이미지를 구비하고, 제 3 단계는, 획득영상으로부터 특정 오브젝트를 발견하는 단계; 복수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타겟이미지를 검색하고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타겟이미지 발견에 실패하는 경우에 다음의 데이터베이스로 이동하여 검색을 시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데이터베이스는 전자기기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접속되는 하나이상의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 3 단계에서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순서는 내부 데이터베이스보다 후순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는 XML 파일을 매개로 연결되고, 제 1 단계에서는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매개하는 XML 파일을 단일 메모리에 모두 로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상과 같은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전자기기에서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된 갯수의 타겟이미지를 활용할 있게 되어 증강현실 결과물의 품질을 제고하고 프로세싱 시간도 단축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증강현실 사용자의 만족도가 제고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플랫폼을 갖는 스마트 단말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에서 증강현실이 실행될 경우의 제어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증강현실 모드에서 타겟이미지를 처리하는 제어 순서도,
[도 4]는 증강현실 플랫폼에서 타겟이미지 호출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증강현실 플랫폼에서 타겟이미지를 검색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단일 메모리에 다중 마운트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타겟이미지를 이동 검색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증강현실에 관한 기술규격을 만족하면서 단일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를 다중 마운트함으로써 다수의 타겟이미지를 활용하여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타겟이미지를 이동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프로그램 소스코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전자기기는 카메라와 같은 화상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와 모니터와 같이 획득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며,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컴퓨터, 개인휴대단말, 태블릿 PC, 이동전화기, 화상전화기, 스마트폰, 핸드헬드 장치, 게임 콘솔, 전자보드, 전자 사인보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플랫폼을 갖는 스마트 단말(100)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먼저, 단말통신부(101)는 안테나, 무선처리 모듈, 모뎀 등을 구비하여 스마트 단말(100)이 이동통신망이나 각종의 유무선 네트워크와 접속하여 외부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해준다.
카메라 모듈(110)은 촬영부(103)와 화상처리부(105)로 이루어지는데, 촬영부(103)는 렌즈, 렌즈구동 모터, 영상 센서를 구비하고 화상처리부(105)는 센싱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 변환하는 회로를 구비한다. 화상처리부(105)는 촬영 신호를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하고 각종 부가정보(예: EXIF)를 추가하여 단말제어부(111)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07)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감지 센서와 버튼 형식의 키 입력을 위한 키 버튼 등을 구비하고, 이들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여 단말제어부(111)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08)는 LCD 판넬이나 LED 판넬로서 단말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스마트 단말(100)의 상태를 표시하고, 현실세계의 촬영영상과 증강이미지를 결합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부(109)는 스마트 단말(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모듈로서 램(RAM), 롬(ROM), 플래시메모리, MRAM(자성체 램), PRAM(상변화 램), FRAM(강유전체 램),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09)는 본 발명에 따라 증강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각종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111)는 스마트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모듈로서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증강현실 처리를 수행한다. 단말제어부(111)에서 본 발명에 따라 증강현실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 단말(100)에서 증강현실이 실행되는 경우의 제어 순서도이다,
먼저, S300 단계에서 단말제어부(111)는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대기상태란 스마트 단말(100)로 호가 착신되거나 사용자 입력부(107)를 통해 입력이 제공되기를 대기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처럼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입력이 존재하면 단말제어부(111)는 S302 단계로 진행하여 촬영모드가 요구되었는가를 검사한다. S302 단계의 검사결과 촬영모드가 요구된 경우 단말제어부(111)는 S304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S32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순서도는 증강현실이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 순서도이므로 S302 단계에서 촬영모드가 요구되지 않는 상황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S302 단계의 검사결과 촬영모드가 요구된 경우 단말제어부(111)는 S304 단계로 진행하여 카메라 모듈(110)을 구동한다. 카메라 모듈(110)을 구동한다는 의미는 촬영부(103)의 렌즈를 투과한 빛을 수광하고 빛의 밝기와 색상 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획득하며, 화상처리부(105)에서 획득된 영상을 단말제어부(111)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S304 단계에서 단말제어부(111)는 획득영상을 디스플레이부(108)에 미리보기 표시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제어부(111)는 S306 단계로 진행하여 증강현실의 적용이 요구되는 설정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증강현실의 적용은 사용자가 촬영모드를 실행하기 전이나 촬영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스마트 단말(100)의 설정메뉴를 조작하여 인에이블 설정할 수 있다.
S306 단계의 검사결과 증강현실의 적용이 요구되면 단말제어부(111)는 S310 단계로 진행하여 증강현실 적용 모드로 진행한다. 반면에 S306 단계의 검사결과 증강현실 적용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S308 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촬영모드를 수행한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보기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특정한 정지 영상의 촬영 또는 동영상의 녹화가 요구되는가를 검사하고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도 3]은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증강현실 모드에서 타겟이미지를 처리하는 제어 순서도이다.
단말제어부(111)는 증강현실 모드로 진행하면, S400 단계에서 메모리부(109)에 존재하는 모든 xml(타겟이미지의 데이터베이스)을 검색 대상으로 설정하고, 그 검색할 xml의 순서를 결정한다. 이때, 증강현실 모드에서는 현실세계에서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검색대상 오브젝트를 미리 설정해야 한다.
이때, 검색대상 오브젝트를 설정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획득영상에서 특정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고 카메라가 포커싱한 영역일 수도 있으며 증강현실 전용의 소프트웨어에서 획득영상을 분석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100)에서 자체적으로 획득한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이 밖에도 현재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는 등의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 현실세계의 획득영상으로부터 검색대상 오브젝트를 발견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서는 xml(타겟이미지의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순서를 미리 결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메모리부(109)로부터 xml을 그때그때 무작위로 읽어와 순차적으로 하나씩 검색할 수 있다.
그러면 먼저 증강현실에서 사용되는 타겟이미지에 대하여 살펴본다.
증강현실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실세계에서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의 사물이나 스마트 단말(100)로 출력하기 위한 타겟이미지가 필요하다. 현재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증강현실 플랫폼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타겟이미지의 숫자가 제한되어 있기에 다양한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뷰포리아(Vuforia) 증강현실 플랫폼에서 타겟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증강현실에서는 타겟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xml 파일을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에 추가함으로써 타겟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는 증강현실 플랫폼에서 타겟이미지 호출의 개념을 나타내는 일 예시도이다.
먼저 증강현실 소프트웨어는 획득영상에서 특정한 이미지 예컨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잘게 짤린 나무조각을 검색대상 오브젝트로 식별하고, 이를 타겟이미지로 삼아 xml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타겟이미지는 증강이미지와 매칭되어 xml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데, 예컨대 [도 4(a)]의 나무조각이라는 타겟이미지에 대해 [도 4(b)]의 도자기 주전자가 증강이미지로서 매칭되어 xml 파일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종래에는 이처럼 타겟이미지과 증강이미지를 매칭시켜 xml 파일로 저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면 사용자가 [도 4(c)]와 같이 스마트 단말(100)을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 당해 영상에 대응한 타겟이미지가 존재하는가를 xml 파일로부터 검색한다. 이렇게 xml 파일을 검색한 결과, 매칭되는 타겟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이에 대응한 증강이미지를 오버레이 표시하는 것이다.
이를 [도 4(c)]를 이용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와 같은 형태의 그림(501)을 스마트 단말(100)로 촬영하면 스마트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참조부호 511과 같은 형태로 촬영된 이미지가 나타난다.
이때, 스마트 단말(100)에서 증강현실이 요구된 경우 511의 이미지에서 잘게 짤린 나무조각라는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이를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겟이미지로 설정하여 xml 파일을 검사한다. [도 4(a)]의 타겟이미지가 xml 파일에 존재하면 그에 대응하여 참조부호 502와 같은 [도 4(b)]의 도자기 주전자 이미지를 증강이미지로서 획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타겟이미지 위에 증강이미지가 오버레이 표시되어 [도 4(c)]의 영상이 획득된다.
이는 특정한 위치에서 거리의 이름을 획득하거나 또는 특정한 가게의 모습이 촬영되면, 다녀간 손님들의 품평 결과를 표시하는 등 최근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실생활에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의 기술규격에 따르면 증강현실에서 타겟이미지와 증강이미지를 매칭시킨 조합을 100개까지만 넣을 수 있도록 제한되어 있다. 즉, xml 파일에는 타겟이미지와 증강이미지의 조합을 100개까지만 정의할 수 있는 것이며 그렇게 배경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약사항을 준수하면서도 타겟이미지를 확장하여 사용하는 방법론으로부터 단일 메모리에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다중 마운트하고 이들 데이터베이스 각각에 대해 xml 파일을 로딩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단말제어부(111)는 S400 단계에서 메모리부(109) 내에 존재하는 모든 xml을 검색 대상으로 설정하고 이들 검색대상 xml에 순번을 정한다. 예를 들어 5개의 xml이 존재하면 이들 xml을 검색 대상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후 각각의 xml마다 하나씩 순번을 정한다. 최초 검색될 xml을 제 1 데이터베이스로, 두 번째 검색할 xml을 제 2 데이터베이스로, 세 번째 검색할 xml을 제 3 데이터베이스로, 네 번째 검색할 xml을 제 4 데이터베이스로, 마지막 다섯 번째 검색할 xml을 제 5 데이터베이스로 순번을 설정한다.
이때, 스마트 단말(100)의 단일 메모리부(109)에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다중 마운트하고 타겟이미지와 증강이미지의 조합을 정의하는 xml 파일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로 로딩된 상태이다.
이후 단말제어부(111)는 S402 단계로 진행하여 검색 대상의 xml 내에서 타겟이미지를 검색한다. 즉, 획득영상에 타겟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검색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5]는 증강현실 플랫폼에서 타겟이미지를 검색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데이터베이스 하나에는 개별적으로 최대 100개까지의 타겟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참조부호 601, 602, …, 603으로 표시된 최대 100개의 타겟이미지에 대해 참조부호 611, 612의 어느 한가지 방향으로 순서대로 타겟이미지를 검색한다.
즉, 단말제어부(111)는 S402 단계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 플랫폼에서 타겟이미지를 검색한다. 그런 후 단말제어부(111)는 S404 단계에서 검색대상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타겟이미지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하고, 그 검사결과 타겟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S408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S406 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S406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S406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는 당해 xml 파일에서 타겟이미지를 발견하지 못한 상황이므로 단말제어부(1110는 다음 데이터베이스로 이동하여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로딩된 xml 파일을 대상으로 타겟이미지 검색을 계속한다. 즉, 제 1 데이터베이스에서 타겟이미지를 찾지 못한 경우 단말제어부(111)는 S406 단계에서 제 2 데이터베이스로 이동하여 다음 xml 파일을 검색 대상으로 설정한다.
이를 첨부된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단일 메모리에 다중 마운트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타겟이미지를 이동 검색하는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단일 메모리에 데이터베이스를 다중 마운트함으로써 다수의 타겟이미지를 활용하여 증강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데이터베이스(710, 720, 730)는 내부에 최대 100개까지의 타겟이미지를 한번에 올릴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들(710, 720, 7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색의 순서가 결정되어 있다. 이러한 검색 순서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고, 무작위로 선택될 수도 있고, 가장 많이 또는 가장 최근에 적용된 데이터베이스를 먼저 선택할 수도 있고, 특수한 알고리즘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제어부(111)는 S406 단계에서 다음 xml을 검색 대상으로 설정한 후 S402 단계로 돌아가서 절차를 수행한다. 이처럼 타겟이미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메모리부(109) 내에 존재하는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이들 데이터베이스(710, 720, 730)는 스마트 단말(100)에 미리 저장된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통신망이나 무선랜과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접속되는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액세스 속도를 감안할 때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먼저 검색하고 외부 데이터베이스는 나중에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검색 구조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도 8]의 프로그램 소스코드와 같은 동작을 실행하여 개별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xml 파일을 로딩해두는 과정을 거친다. 그런 후 첫 번째 xml 파일에서 타겟이미지를 검색하여 실패하면 다음 xml 파일로 이동하여 타겟이미지를 검사한다. 이 같은 방법을 모든 xml 파일에 대하여 모두 검사한다.
한편, S404 단계에서 타겟이미지가 존재하면 S408 단계로 진행하여 단말제어부(111)는 타겟이미지에 대응하는 증강이미지를 획득영상에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부(108)에 표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08)에 표시되는 결과 화면은 앞서 설명한 [도 4(c)]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이후 단말제어부(111)는 S410 단계로 진행하여 증강현실 모드의 해제가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S410 단계의 검사결과 증강현실 모드의 해제가 요구되는 경우 증강현실 모드를 종료한다.
반면에 S410 단계의 검사결과 증강현실 모드 해제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 S412 단계로 진행하여 이미지 변화가 발생하는가를 검사한다. 즉, 촬영영상이 변화하는 것과 같이 증강현실을 적용하기 위한 대상 이미지에 변화가 발생하는가를 검사하는 것이다. 만일 S412 단계의 검사결과 증강현실의 이미지 변화가 존재하면 S414 단계로 진행하여 대상 이미지를 변경하고 S400 단계로 진행하여 앞서 상술한 일련의 동작을 되풀이한다.
하지만, S412 단계의 검사결과 이미지 변화가 없는 경우 단말제어부(111)는 S408 단계를 계속해 수행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 스마트 단말
101 : 단말통신부
103 : 촬영부
105 : 화상처리부
107 : 사용자 입력부
108 : 디스플레이부
109 : 메모리부
110 : 카메라 모듈
111 : 단말제어부
501 : 피사체
502 : 증강이미지
511 : 피사체로부터 획득된 영상
601, 602, 603 : 타겟이미지
611, 621 : 검색 방향
710, 720, 730 : 데이터베이스
701, 702, 703 : 데이터베이스간 이동

Claims (5)

  1. 전자기기에 구비된 단일 메모리에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다중 마운트하여 로딩하는 제 1 단계;
    카메라로 촬영한 현실세계의 획득영상을 제공받는 제 2 단계;
    상기 획득영상에 매칭되는 타겟이미지를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제 3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 검색 중에 상기 획득영상과 매칭되는 타겟이미지를 발견하면 상기 발견된 타겟이미지와 매칭되는 증강이미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는 제 4 단계;
    상기 획득된 증강이미지를 상기 획득영상에서 상기 발견된 타겟이미지의 위치에 오버레이 표시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다중 마운트된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각각은 단일 메모리에 한번에 올릴 수 있는 분량의 타겟이미지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획득영상으로부터 특정 오브젝트를 발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타겟이미지를 검색하고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타겟이미지 발견에 실패하는 경우에 다음의 데이터베이스로 이동하여 검색을 시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전자기기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접속되는 하나이상의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순서는 상기 내부 데이터베이스보다 후순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는 XML 파일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를 매개하는 XML 파일을 단일 메모리에 모두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074969A 2013-06-27 2013-06-27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50001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969A KR20150001551A (ko) 2013-06-27 2013-06-27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969A KR20150001551A (ko) 2013-06-27 2013-06-27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551A true KR20150001551A (ko) 2015-01-06

Family

ID=5247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969A KR20150001551A (ko) 2013-06-27 2013-06-27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5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363A (ko) 2021-01-25 2022-08-0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인증된 증강 현실 콘텐츠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363A (ko) 2021-01-25 2022-08-0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인증된 증강 현실 콘텐츠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8659B2 (ja) イメージ表示方法、及び、電子装置
CN105426035B (zh) 用于提供信息的方法和电子装置
RU2704111C1 (ru)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множества окон приложений посредством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и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CN110096660B (zh) 用于加载页面图片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110167364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roving application startup
KR20090002656A (ko) 사진 파일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6236323A (ja) 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システム、サーバ、クライアント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方法
CN110568973B (zh) 截图方法、截图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02800045A (zh) 一种图像处理的方法及装置
CN113747199A (zh) 视频编辑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CN109697242B (zh) 拍照搜题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设备
CN102385758A (zh) 动态图像结果拼接
CN100410849C (zh) 对背景图像进行设定的信息处理装置、信息显示方法及程序
US8365093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nabling storage of state of temporary display screen magnification view
KR20150001551A (ko) 단일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 다중 마운트를 통한 증강현실의 타겟이미지 확장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12261483B (zh) 视频输出方法及装置
CN114387402A (zh) 虚拟现实场景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
KR101825598B1 (ko)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KR102102959B1 (ko) 사용자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53265B1 (ko) 원격 단말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0830723B (zh) 拍摄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JP201800698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2159856A (ja) コード探索装置、コード探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8710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방법
CN118193108A (zh) 界面显示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635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026

Effective date: 2017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