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754A -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ortable storage device, and relay server - Google Patents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ortable storage device, and relay ser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754A
KR20140146754A KR20130069411A KR20130069411A KR20140146754A KR 20140146754 A KR20140146754 A KR 20140146754A KR 20130069411 A KR20130069411 A KR 20130069411A KR 20130069411 A KR20130069411 A KR 20130069411A KR 20140146754 A KR20140146754 A KR 20140146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transmission
client terminal
data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94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95720B1 (en
Inventor
구윤회
박종원
백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머시브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머시브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머시브코리아
Priority to KR20130069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720B1/en
Publication of KR20140146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7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7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 G06F13/124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where hardware is a sequential transfer control unit, e.g. microprocessor, peripheral processor or state-machine
    • G06F13/128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where hardware is a sequential transfer control unit, e.g. microprocessor, peripheral processor or state-machine for dedicated transfers to a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A data transceiving terminal related to a data transceiving system, a mobile storage device, and a relay server are disclosed. More particularly, a data transceiving terminal having IP informa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ased on the IP information; and a mobile storage device configured to store a program which operates such that a client terminal with a seed application installed therein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being connected to a pre-equipped terminal, wherein the seed application is installed based on a seed file, which is generated in the program and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Description

데이터 송수신 단말, 이동식 저장장치, 및 중계 서버{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ORTABLE STORAGE DEVICE, AND RELAY SERV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a portable storage device, and a relay server.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과 관련된 데이터 송수신 단말, 이동식 저장장치, 및 중계 서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a removable storage device, and a relay server associated with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기가(Giga; 109) 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뿐만 아니라 테라(Tera; 1012) 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도 개발되었다. , Groups as the technology advances (Giga; 10 9) class as a storage device that can store data as a TB (Tera; 10 12) have been developed storage device that can store data of the class.

이와 동시에 이러한 저장장치를 소형으로 제작하는 기술도 점차적으로 개발됨에 따라, 사용자들이 개인용 저장장치를 휴대할 수 있게 되었고, 필요한 시점에 개인용 저장장치를 다른 단말에 연결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At the same time, the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such a storage device in a small size has been gradually developed, so that users can carry the personal storage device and can connect the personal storage device to other terminals at a necessary time.

이렇게 휴대하기 간편한 고용량의 저장장치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데이터를 수동적으로 저장하는 용도 이외에, 저장장치 내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을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As the use of high-capacity storage devices that are easy to carry is becoming common, researches are being made on ways to actively utilize other terminals using stored programs in a storage device, other than for manually storing data.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502612호(발명의 명칭: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USB 기기 및 그를 이용한 원격 제어방법)는 게스트 컴퓨터(노트북, 개인정보 단말기, PC)에 USB 기기를 장착하고, 그 USB 기기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호스트 컴퓨터의 환경을 상기 게스트 컴퓨터에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USB 기기 및 그를 이용한 원격제어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No. 10-0502612 entitled " USB device hav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and a remot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mounts a USB device in a guest computer (notebook computer, personal digital assistant, PC) A USB device having a remote control function that allows an environment of a host computer located at a remote place to be directly used in the guest computer through the USB device, and a remote control method using the USB device.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이동식 저장장치가 연결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해진 클라이언트 단말과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는 통신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a communication server function of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at least one or more predetermined client terminals as the portable storage device is connected.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IP 정보가 변하는 경우에도 데이터 송수신 단말과 클라이언트 단말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작하는 중계 서버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lay server that operates so tha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and a client terminal can be stably performed even when IP information of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changes.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 정보를 가진 데이터 송수신 단말은, 상기 IP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미리 구비된 단자에 연결됨에 따라, 씨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통신모듈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이동식 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로그램에서 생성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달된 씨드 파일을 기초로 설치된 것이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having IP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based on the IP information; And a removable storage device in which a client terminal installed with the seed application and a program opera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re stored as the seed application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rovided in advance, It is installed based on the seed file transferred to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저장장치는, IP 정보를 가진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미리 구비된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단자; 및 상기 미리 구비된 단자와 상기 연결단자가 연결됨에 따라, 씨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말이 상기 IP 정보를 기초로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로그램에서 생성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달된 씨드 파일을 기초로 설치된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storage device including: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a pre-installed terminal of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having IP information; And a memory unit storing a program for operating the client terminal having the seed applic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to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IP information as the pre-installed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erminal are connected, The seed application is installed based on the seed file generated in the program and transferred to the client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IP 정보를 관리하는 중계 서버는, 이동식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IP 정보가 변할 때마다 IP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씨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상기 업데이트된 IP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미리 구비된 단자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말이 상기 IP정보 또는 상기 업데이트된 IP 정보를 기초로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로그램에서 생성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달된 씨드 파일을 기초로 설치되며, 상기 요청신호는 상기 IP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말과 통신 불가 상태에 있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생성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lay server for managing IP information of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updating and storing IP information every time IP information of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including a mobile storage device changes;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updated IP inform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to the client terminal upon receiving a request signal from a client terminal having installed the seed application, wherein the portable storage device comprises: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lient terminal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the client terminal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store a program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IP information or the updated IP information, The request signal is generated based on the seed fil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and the request signal is generated in the client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is impossible based on the IP informa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이동식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을 통신 서버로서 이용하면, 종래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SMS)나 사설 SNS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정해진 클라이언트 단말로 원하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복수 개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위치 데이터 또는 로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When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including the mobile storage device as the task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used as a communication server, desired data is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client terminal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SMS service or a private SNS service And can acquire position data or log data of a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인 중계 서버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IP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 단말과 클라이언트 단말은 업데이트된 IP 정보를 기초로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Also, the relay server, which is one of 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updates and stores the IP inform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so that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and the client terminal can continuously transmit and receive data based on the updated IP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단말에 포함된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제로 제작된 도 2의 데이터 송수신 단말을 간소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이동식 저장장치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simplified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terminal of FIG. 2 actually manufactured.
4 and 5 are views respectively showing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and a mobi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중계 서버(1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 및 각 데이터 송수신 단말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단말(300)을 포함한다. 이들 중계 서버(100),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 및 클라이언트 단말(300)은 상호 간에 연결되어 다양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1, the system includes a relay server 100, at least on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and at least one client terminal 300 associated with each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do. The relay server 100,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and the client terminal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exchange various data.

이하에서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과 클라이언트 단말(300)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이후에, 중계 서버(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and the client terminal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n the relay server 100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단말에 포함된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은 IP 정보를 가지는 개인용/공공용 디바이스로서, 이동식 저장장치(220)가 연결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한다면 디바이스의 종류, 성능, 형태 등에 의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테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is a personal / public device having IP information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depending on the type, performance, form and the like of the device if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20 has a terminal to which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20 can be connected. Can be implemented. 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for example,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such as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2000,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Phone), and the like, for example.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otebook, a desktop, a laptop, a tablet PC, a slate PC, and the like, each of which is equipped with a web browser (WEB Browser)

이러한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은 통신 모듈(210), 이동식 저장장치(220), 신호처리모듈(230), 제어모듈(240) 및 입력모듈(250)을 포함한다.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을 이루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210, a mobile storage device 220, a signal processing module 230, a control module 240, and an input module 250.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통신모듈(210)은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IP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통신모듈(210)은 유선 랜(LAN) 케이블 또는 무선 네트워크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transmits / receives data based on the IP inform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a wired LAN cable or a wireless network.

이동식 저장장치(220)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미리 구비된 단자(222)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미리 구비된 단자(222)는 USB 단자, SD 카드 단자, 및 USIM 칩 단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이 USB 포트를 구비한 컴퓨터인 경우 USB 타입의 이동식 저장장치(220)는 컴퓨터의 미리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될 수 있고,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이 USIM 칩 슬롯을 구비한 스마트 폰인 경우 USIM 칩 타입의 이동식 저장장치(220)는 스마트 폰의 미리 구비된 USIM 칩 슬롯에 연결될 수 있다.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20 is connected to a pre-provided terminal 222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For example, the pre-installed terminal 222 may be either a USB terminal, an SD card terminal, or a USIM chip terminal. 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is a computer having a USB port, the USB type portable storage device 220 can be connected to a pre-installed USB port of the computer, and the data transmission / The mobile storage device 220 of the USIM chip type may be connected to a pre-installed USIM chip slot of the smart phone.

또한, 이동식 저장장치(220)의 메모리부는, 연결단자가 미리 구비된 단자에 연결됨에 따라, 씨드 어플리케이션(Seed Application)을 설치한 클라이언트 단말(300)과 통신모듈(210)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때, 씨드 어플리케이션은 이동식 저장장치(220) 내 프로그램에서 생성되어 클라이언트 단말(300)로 전달된 씨드 파일(Seed File)을 기초로 설치된 것이다. The memory unit of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20 is connected to a terminal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in advance so that the client terminal 300 having the Seed Appl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transmit / Save the running program. At this time, the seed application is installed on the basis of a seed file generated in the program in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20 and transferred to the client terminal 300.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계열의 스마트 폰 내 어플리케이션은 구글(Google) 또는 각국의 이동통신사가 운영하는 마켓 등을 통해 다운로드 받은 설치 파일을 기초로 설치되고, ios 계열의 스마트 폰 내 어플리케이션은 애플(Apple)이 운영하는 앱스토어 등을 통해 다운로드 받은 설치 파일을 기초로 설치된다. For example, an Android-based smartphone application is installed based on installation files downloaded through Google or a market operated by a mobile carrier in each country, and an application in an iOS- Installed on the basis of the downloaded installation file through the operating app store or the like.

반면에,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씨드 어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은 공식 마켓이 아닌 이동식 저장장치(220) 내 프로그램에서 생성되어 클라이언트 단말(300)로 전달된 씨드 파일을 기초로 설치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을 위해 제작되거나 기성품인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은, 이동식 저장장치(220)가 미리 구비된 단자에 연결됨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300)과의 관계에서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소유자, 운영자 또는 관리자는 SMS 문자메시지 서비스나 사설 SNS 서비스(예를 들어, 카카오 톡 등) 대신에 클라이언트 단말(300)로 다양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동식 저장장치(220)에 저장하여 이차적인 응용 분야(통계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ed applica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basis of the seed file generated in the program in the mobile storage device 220 and transferred to the client terminal 300, rather than the above-mentioned official market.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constructed and / or manufact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terminal provided in advance with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20, Can play a role. That is, the owner, operator or administrator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can transmit various data to the client terminal 300 instead of the SMS text message service or the private SNS service (e.g., Kakao Talk) The data received from the portable storage device 300 may be stored in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20 and used for a secondary application field (statistical analysis, etc.).

이러한 씨드 파일은 3가지 방식에 의해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에서 클라이언트 단말(300)로 전달될 수 있다. The seed file can be transferred from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to the client terminal 300 by three methods.

첫 번째 방식은 복수 개의 단자 중 하나와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300)로 신호처리모듈(230)을 통해 씨드 파일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은 이동식 저장장치(220)가 연결되는 미리 구비된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단자를 가질 수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신호처리모듈(230)은 이러한 복수 개의 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입출력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In the first method, the seed fil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30 to the client terminal 300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may have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pre-installed terminals to which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20 is connected.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230 shown in FIG. The input / output signal can be processed.

두 번째 방식은 상술한 통신모듈(210)이 씨드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URL 주소를 클라이언트 단말(300)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The second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transmits the URL address for downloading the seed file to the client terminal 300.

세 번째 방식은 클라이언트 단말(300)로 통신모듈(210)에 의한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씨드 파일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The third method is a method of transmitting the seed file through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for example, Bluetooth communication) by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to the client terminal 300.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씨드 파일이 공식 마켓을 거치지 않고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에서 클라이언트 단말(30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씨드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허가 하에서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에만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설치 제한을 둠으로써,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보안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eed file can be transferred from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to the client terminal 300 without going through the official market. That is, the seed application can be installed only in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satisfying a certain condition under the permission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By setting such an installation limit, the security and reliability of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can be improved.

아울러, 이동식 저장장치(220)는 클라이언트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이 노트북 또는 스마트 폰 등의 기성품인 경우, 해당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은 이동식 저장장치(220) 이외의 별도 메모리 또는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저장 공간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씨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클라이언트 단말(300)과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 간에 송수신된 각종 데이터는 별도 메모리 또는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되지 않고, 보안 유지를 위해 모두 이동식 저장장치(2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저장 동작은 이동식 저장장치(220) 내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덧붙여,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지역 범위도 설정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mobile storage device 220 stores data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300. [ I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is a ready-made product such as a notebook or a smart phone,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may have a storage space such as a separate memory or a hard drive other than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20.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data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client terminal 300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installed with the seed application is not stored in a separate memory or a hard drive, but is stored in the removable storage device 220 And such a storage operation can be accomplished by a program in the removable storage device 220.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t an area range in which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a program.

도 1에 참고하면, A라는 공간 내에 혹은 A라는 목적 달성을 위해 제 1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이 배치되고,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 1, 2, 3(300)에 제 1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에서 전달된 A 씨드 파일을 기초로 A 씨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과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 1, 2, 3(300)은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클라이언트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 제 1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이동식 저장장치(220)는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 1, 2, 3(30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단말 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1, a firs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is disposed in the space A or A for the purpose of A, and a firs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client terminals 1, 2, The A seed application is installed based on the A seed file transferred from the A seed application. The firs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and each of the client terminals 1, 2, and 3 300 can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the mobile storage device 220 of the firs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can store the data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s 1, 2 and 3 (300) separately for each client terminal.

이와 마찬가지로, B에서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 m, n(300')에 제 2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에서 전달된 B 씨드 파일을 기초로 B 씨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제 2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과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 m, n(300')은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C에서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 r, s(300")에 제 3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에서 전달된 C 씨드 파일을 기초로 C 씨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제 3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과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 r, s(300")는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Similarly, a B seed application is installed on each client terminal m, n 300 'on the basis of the B seed fil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and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And each of the client terminals m and n' 300 'can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The C seed application is installed on the basis of the C seed file transferred from the thir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to the respective client terminals r and s (300") in C, and the thir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 ) And each client terminal r, s (300 ") can exchange data with each other.

이처럼 데이터 송수신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 씨드 파일은 해당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배치 위치 또는 사용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르게 생성된 씨드 파일 혹은 씨드 어플리케이션을 기초로, 데이터 송수신 단말은 통신 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과 통신 불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을 구분할 수 있다. 즉, A 씨드 파일에 의한 A 씨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 1은 제 2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이나 제 3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고, 제 1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도 B 씨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 m이나 C 씨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 r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다. In the case where there are a plurality of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s, the seed file can be gene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or use purpose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Based on the seed file or seed application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can distinguish the client terminal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client terminal that can not communicate. That is, the client terminal 1 in which the A seed application based on the A seed file is installed can not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or the thir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The client terminal 200 can not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client terminal m installed with the B seed application or the client terminal r installed with the C seed application.

나아가, 이동식 저장장치(220)는 복수의 데이터 송수신 단말 중 미리 결정된 특정 데이터 송수신 단말에서만 데이터 확인이 가능하도록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저장장치(220)는 제 1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에 연결되어 클라이언트 단말 1, 2, 3(30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 이동식 저장장치(220)가 제 2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 또는 제 3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에 연결된 경우, 사용자는 이동식 저장장치(220) 내에 저장된 암호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다. Further, the mobile storage device 220 can encrypt and store data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so that data can be confirmed only by a predetermined specific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s. For example, the mobile storage device 22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and may encrypt and store data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s 1, 2, and 3 (300). When the mobile storage device 2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or the thir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the user can not confirm the encrypted data stored in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20.

또한, 앞서 언급한 것처럼, 씨드 파일은 해당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배치 위치 또는 사용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치 위치는 회사 사무실, 보안이 필요한 조직/단체/기관, 대형 마트, 동물원, 해수욕장, 경찰서 등일 수 있고, 사용 용도는 위치 수집, 출퇴근 시간 관리, 쿠폰과 같은 광고물 전송, 재난/재해 경고 안내물 전송, 범죄자 정보 전송 등일 수 있다. 다만, 이동식 저장장치(220)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위치데이터 또는 로그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개인정보보호법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식 저장장치(220)는 복수 개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각각 부여되는 임의의 식별 값 별로 구분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Also, as mentioned above, the seed file can be genera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or the usage purpose. For example, the location can be a company office, a security organization, an organization / organization, a large mart, a zoo, a beach, a police station, and the like. The purpose of use is location collection, commute management, Disaster warning information transmission, criminal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the like. However, when storing the location data or log data for the client terminal, the mobile storage device 220 may store the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For example, the mobile storage device 220 may store various data by dividing the data into arbitrary identification values assigned to the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덧붙여, 해당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배치 위치 또는 사용 용도는 상술한 예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은 상술한 통신 모듈(210) 및 이동식 저장장치(220)를 포함하되, 휴대가 가능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탁월한 이동성을 기반으로, 통신 서버 역할의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은 언제 어디서든 복수 개의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rrangement position or use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That is,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includes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module 210 and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20, but can be manufactured in a portable size. Therefore, based on excellent mobility,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serving as a communication server can perform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 with a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at anytime and anywhere.

도 3은 실제로 제작된 도 2의 데이터 송수신 단말을 간소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a simplified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terminal of FIG. 2 actually manufactured.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단말(모델명: Security Pass-On, 200)은 가로 x 세로 x 높이가 90(mm) x 55(mm) x 15(mm)인 IP 정보를 가진 미니 PC이고, 이동식 저장장치(220)는 SD 카드 타입으로 제작되었으며, 프로그램은 매우 라이트하다.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은 CPU(700MHz ARM11)와 메모리(512M)를 포함하고, SD 카드는 4GB에서 32GB까지 확장 가능하며, 제작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 이동식 저장장치(220)가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미리 구비된 단자에 연결됨에 따라, 통신모듈(210)은 랜 케이블(212)을 통해 씨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클라이언트 단말(3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4GB인 SD 카드를 연결한 경우,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은 최대 1,000대의 클라이언트 단말(300)과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하는 통신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3,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model name: Security Pass-On)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P information terminal 200 having a width x height x height 90 mm x 55 mm x 15 mm And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20 is made of an SD card type, and the program is very light.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includes a CPU (700 MHz ARM11) and a memory 512M, and the SD card can be expanded from 4 GB to 32 GB,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very low.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20 is connected to a terminal provided in advance in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rminal 200 so that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client terminal 300 installed with the seed application through the LAN cable 212. [ can do. When the SD card of 4 GB is connecte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can serve as a communication server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maximum of 1,000 client terminals 300.

이러한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데이터 송수신 단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한히 확장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어모듈(24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데이터 송수신 단말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300)과의 관계에서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이 접속 서버 또는 연동 서버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r more othe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s and may be infinitely expanded. The control module 240 shown in FIG. 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r more othe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s, and controls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to operate as an access server or a linked server in relation to the client terminal 300 can do.

예를 들어, 2개의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이 연결된 경우 하나의 데이터 송수신 단말은 클라이언트 단말(300)과의 관계에서 접속 서버로 동작하여 클라이언트 단말(300)과 직접 접속되는 역할을 수행하고, 다른 데이터 송수신 단말은 클라이언트 단말(300)과의 관계에서 연동 서버로 동작하여 접속 서버를 도와주는 역할(백업기능, 접속분산처리 기능, 리소스 분배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접속 서버로 동작할지 혹은 연동 서버로 동작할지 여부는 각각의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 내 제어 모듈(240)의 자동 제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wo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s 200 are connected, on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acts as a connection server with respect to the client terminal 300 and directly connects with the client terminal 300,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can perform a role (backup function, connection distribution processing function, resource distribution function, and the like) for assisting the connection server by acting as an interlocking server in relation to the client terminal 300. Whether to operate as an access server or an interworking serve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automatic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240 in each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입력모듈(250)은 데이터를 입력하여 다른 구성으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이동식 저장장치(220)가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미리 구비된 단자에 연결됨에 따라, 입력모듈(250)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통신모듈(210)로 전달되도록 이동식 저장장치(220) 내 프로그램이 동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input module 250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may receive data and transmit the data to another configuration. Particularly, since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20 is connected to a pre-provided terminal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20 is controlled so that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250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10. [ My program can work.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단말 및 이동식 저장장치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일 예는 노트북이고, 이동식 저장장치(220)의 일 예는 USB 장치이다.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일 예는 스마트 폰이고, 이동식 저장장치(220)의 일 예는 USIM 칩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기성품은 입력모듈(250)의 일종인 키보드나 자판이 포함되어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작된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은 별도의 입력모듈(250)과 탈부착될 수 있다. 4 and 5 are views respectively showing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and a mobi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xample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shown in FIG. 4 is a notebook, and an example of the portable storage device 220 is a USB device. One example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shown in FIG. 5 is a smart phone, and an example of the removable storage device 220 is a USIM chip. 4 and 5 includes a keyboard or keyboard, which is a kind of input module 250, but the fabricate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as shown in FIG. 3 includes a separate input module 250 It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사용자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입력모듈(250)을 이용하여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데이터는 유선 랜(LAN) 케이블 또는 무선 네트워크 망을 통해 씨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클라이언트 단말(300)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된 데이터는 사설 SNS 서비스처럼 해당 업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정보 유출에 대한 염려가 매우 낮은 편이다. The user can input data to be transmitted using the input module 250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and the input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200 through a wired LAN cable or a wireless network, (300). Since the data delivered is not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vendor like the private SNS service, there is little concern about information leakage.

또한, 입력모듈(250)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클라이언트 단말(300)에서 휘발성으로 처리되도록 이동식 저장장치(220) 내 프로그램이 동작할 수 있다. 덧붙여, 전달된 데이터는 클라이언트 단말(300)을 통해 캡쳐되지 않도록 이동식 저장장치(220) 내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300)로 전달된 데이터는 클라이언트 단말(300)에도 저장되지 않고, 클라이언트 단말(300)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확인하는 경우 전달된 데이터가 휘발성으로 사라지기 때문에, 정보 유출에 대한 염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Also, the program in the mobile storage device 220 may be operated so that the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250 is processed voluntarily in the client terminal 300. In addition, the delivered data may be pre-processed by the program in the removable storage device 220 so as not to be captured through the client terminal 300. That is, the data transmitted to the client terminal 300 is not stored in the client terminal 300, but when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client terminal 300 is checked, the transmitted data is volatilized, Can be reduced.

한편, 도 1에 도시된 중계 서버(100)는 상술한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IP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이동식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IP 정보가 변하는 경우에 활용된다. The relay server 100 shown in FIG. 1 manages the IP inform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and is used when the IP inform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including the mobile storage device changes do.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IP 정보가 변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300) 측에서 알고 있는 IP 정보는 변하기 이전의 정보이므로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미니 PC 타입으로 제작된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을 쉽게 가지고 다닐 수 있고, 회사 사무실에서 사용되던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을 집에 가지고 와서 응용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IP 정보가 변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과 클라이언트 단말(300)의 상호 통신의 연속성을 위해, 중계 서버(100)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업데이트된 IP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300)로 알려줄 수 있다. When the IP inform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changes, the IP information known by the client terminal 300 can not be communicated with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because it is information before the change. For example,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carry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manufactured in the mini PC type, can carry out application work by bringing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used in the company office at home, Information can change. The relay server 100 may notify the client terminal 300 of the updated IP inform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for continuity of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and the client terminal 300.

중계 서버(100)는 저장부(110) 및 통신부(120)를 포함한다.The relay server 100 includes a storage unit 110 and a communication unit 120.

저장부(110)는 이동식 저장장치(220)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IP 정보가 변할 때마다 IP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IP 정보가 변경된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은 중계 서버(100)로 변경된 IP 정보를 송신한 이후에, 전력 소모 최소화를 위해 접속을 끊을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10 updates and stores the IP information whenever the IP inform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including the mobile storage device 220 is changed. After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having changed the IP information transmits the changed IP information to the relay server 100, the connection can be terminated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통신부(120)는 씨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클라이언트 단말(300)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업데이트된 IP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300)로 송신한다.Upon receiving the request signal from the client terminal 300 installed with the seed appl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the updated IP inform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to the client terminal 300 through the network.

이때, 이동식 저장장치(220)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미리 구비된 단자(222)에 연결됨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300)과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이 IP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IP 정보를 기초로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씨드 어플리케이션은 이동식 저장장치(220) 내 프로그램에서 생성되어 클라이언트 단말(300)로 전달된 씨드 파일을 기초로 설치된 것이다. At this time, the mobile storage device 22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222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so that the client terminal 300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can transmit the IP information or the updated IP information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each other. The seed application is installed on the basis of the seed file generated in the program in the mobile storage device 220 and transferred to the client terminal 300.

덧붙여, 요청신호는 IP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과 통신 불가 상태에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300)에서 생성되는 것이다. 즉,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이 가진 IP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과 클라이언트 단말(300)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에 문제가 없다면, 요청신호가 생성되지 않는다. IP 정보가 변한 경우 변하기 전의 IP 정보만을 알고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300)은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의 업데이트된 IP 정보를 알아야 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300)은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생성된 요청신호를 중계 서버(100)로 송신한다. In addition, the request signal is generated in the client terminal 300 that is in a state of being unable to communicate with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based on the IP information. That is, i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and the client terminal 300 have no problem i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ased on the IP inform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a request signal is not generated. When the IP information changes, the client terminal 300, which knows only the IP information before the change, needs to know the updated IP inform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in order to exchange data with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Accordingly, the client terminal 300 generates a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a request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network to the relay server 100. [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이동 통신(Mobile Radio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between each node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An example of such a network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 DMB But are not limited to,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an Internet, a LA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 wide area network, and a personal area network.

아울러,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이 복수 개인 경우, 중계 서버(100)를 이루는 구성들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s 200, the configurations of the relay server 100 may operate as follows.

저장부(110)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200) 별로 구분하여 업데이트된 IP 정보를 각각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10 stores the updated IP information separately for each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200.

통신부(120)는 상술한 요청신호를 송신한 소정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된 씨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업데이트된 IP 정보를 소정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씨드 어플리케이션은 이동식 저장장치(220) 내 프로그램에서 서로 다르게 생성된 씨드 파일을 기초로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300)에 설치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20 can transmit updated IP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to a predetermined client terminal based on information about a seed application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client terminal that has transmitted the above-mentioned request signal. At this time, the seed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in each client terminal 300 based on seed files generat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in the program in the mobile storage device 220.

즉, 중계 서버(100)는 서로 다르게 생성될 수 있는 씨드 파일 또는 씨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고, 소정의 클라이언트 단말에는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 단말로부터 전달된 씨드 파일을 기초로 씨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후에 중계 서버(100)가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그 요청신호 내 소정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된 씨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정보를 기초로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업데이트된 IP 정보를 소정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송신한다. That is, the relay server 100 has information on a seed file or a seed application that can be generated differently in advance, and a seed application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client terminal on the basis of a seed file transferred from a predetermine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 After that, when the relay server 100 receives the request signal, it confirms the information about the se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redetermined client terminal in the request signal, and updates the updated IP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To the predetermined client terminal.

지금까지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이용하면, 종래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나 사설 SNS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정해진 클라이언트 단말로 원하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미리 구비된 단자에 연결된 이동식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은 통신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1대당 1,000대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위치 데이터 또는 로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확장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중계 서버를 배치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IP 정보가 변하는 경우에도 데이터 송수신 단말과 클라이언트 단말이 업데이트된 IP 정보를 기초로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ired data can be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client terminal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text message service or a private SNS service. In addition,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including the portable storage device connected to the terminals provided in advance can perform a role of a communication server, collect location data or log data of 1,000 client terminals per one, .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relay server, even when the IP inform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changes,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and the client terminal can continuously transmit / receive data based on the updated IP information.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을 아래와 같은 시나리오 상에서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utilize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scenarios.

<시나리오 1> <Scenario 1>

X 산 입구에서 등산객의 스마트 폰에 X 산 일대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씨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작업이 미리 진행된다. X산 일대에 대형 화재가 발생한 경우, 산악구조대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을 이용하여 씨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스마트 폰으로 문자/그림/동영상을 포함하는 경고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해당 스마트 폰의 위치를 추적하여 구조 활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부 등산객만이 씨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경우라도, 해당 일부 등산객이 주변 사람들에게 위급 상황을 전파할 수 있으므로, 인명 피해를 줄이는 효과가 상당할 수 있다. At the X mountain entrance, the work of installing a seed application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from X mountain area to the smartphone of the mountain climber is performed in advance. X In case of a large fire in mountain area, mountain rescue team can send warning message including text / picture / moving image to smart phone installed with seed application us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Thereby facilitating the rescue operation. At this time, even if only some climbers have installed the seed application, since some of the climbers can spread the emergency situation to the people around them, the effect of reducing human injury can be significant.

<시나리오 2 > <Scenario 2>

Z 매장 방문객을 대상으로 Z 매장 부근 1km 이내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씨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작업이 미리 진행된다. 자신의 태블릿 PC에 씨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했던 Y 방문객이 Z 매장 부근을 지나가면, Z 매장 관리자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을 이용하여 Y 방문객의 태블릿 PC로 광고메시지 또는 쿠폰을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맞춤 서비스로 인해 Z 매장 관리자는 단골 고객을 확보할 수 있고, 실제 판매량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방문객이 Z 매장 부근을 지나다니는 빈도 등을 분석하여 마케팅에 활용할 수도 있다. Z shop visitors are expected to install a seed application that can send and receive data within 1km near the Z shop. When the visitor Y who installed the seed application on his / her tablet PC passes the vicinity of the Z store, the Z store manager can transmit the advertisement message or coupon to the Y visitor's tablet PC using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With this customized service, Z store managers can secure regular customers and increase their actual sales volume. Also, it can be used for marketing by analyzing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visitor goes around the Z store.

한편, 도 1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Each component shown in FIG. 1 may be composed of a 'module'. The term 'module' refers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o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d the module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a module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 module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one or more processors. The functionality provided by the components and module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module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module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중계 서버 110: 저장부
120: 통신부 200: 데이터 송수신 단말
300: 클라이언트 단말
100: Relay server 110:
120: communication unit 200: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300: client terminal

Claims (16)

IP 정보를 가진 데이터 송수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IP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미리 구비된 단자에 연결됨에 따라, 씨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통신모듈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이동식 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로그램에서 생성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달된 씨드 파일을 기초로 설치된 것인, 데이터 송수신 단말.
In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having IP information,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ased on the IP information; And
And a portable storage device in which a client terminal installed with the seed application and a program opera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re stored,
Wherein the seed application is installed based on a seed file generated in the program and transferred to the client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랜 케이블 또는 무선 네트워크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 receives data through a LAN cable or a wireless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구비된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입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단자 중 하나와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로 상기 씨드 파일을 전달하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ignal processing module for processing an input / output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plurality of terminals including the pre-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transmits the seed file to a client terminal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씨드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URL 주소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달하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 URL address for downloading the seed file to the client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가 상기 미리 구비된 단자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상기 통신모듈로 전달되도록 상기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put module for inputting data,
Wherein the program is operated so that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is transferr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when the portable storage device is connected to the pre-installed termin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휘발성으로 처리되도록 상기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ogram operates so that data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is processed voluntarily at the client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데이터 송수신 단말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의 관계에서 접속 서버 또는 연동 서버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module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r more othe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s and controls the connection server or the interworking server to operate in relation to the client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 및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를 포함하되, 휴대가 가능한 사이즈로 제작된 데이터 송수신 단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ortable storage device,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being manufactured in a portable size.
이동식 저장장치에 있어서,
IP 정보를 가진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미리 구비된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단자; 및
상기 미리 구비된 단자와 상기 연결단자가 연결됨에 따라, 씨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말이 상기 IP 정보를 기초로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로그램에서 생성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달된 씨드 파일을 기초로 설치된 것인, 이동식 저장장치.
In a portable storage device,
A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a pre-provided terminal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having IP information; And
And a memory unit storing a program for operating the client terminal having the seed applic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to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IP information as the pre-installed terminal and the connection terminal are connected,
Wherein the seed application is installed based on a seed file generated by the program and transferred to the client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구비된 단자는 USB 단자, SD 카드 단자, 및 USIM 칩 단자 중 어느 하나인 이동식 저장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e-installed terminal is one of a USB terminal, an SD card terminal, and a USIM chip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이동식 저장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when the client terminal has a plurality of client terminals, data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is divided and stored for each client terminal.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씨드 파일은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배치 위치 또는 사용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르게 생성되는 이동식 저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when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s are plural,
Wherein the seed file is gener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a placement position or use purpose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말 중 미리 결정된 특정 데이터 송수신 단말에서만 데이터 확인이 가능하도록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이동식 저장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encrypts and stores data received from the client terminal so that data can be confirmed only at a predetermined specific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among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한 위치데이터 또는 로그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 대해 각각 부여되는 식별 값 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이동식 저장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storing the location data or log data for the client terminal according to identification values respectively assigned to the client terminals.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IP 정보를 관리하는 중계 서버에 있어서,
이동식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IP 정보가 변할 때마다 IP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씨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상기 업데이트된 IP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저장장치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미리 구비된 단자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과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말이 상기 IP정보 또는 상기 업데이트된 IP 정보를 기초로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로그램에서 생성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달된 씨드 파일을 기초로 설치되며,
상기 요청신호는 상기 IP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말과 통신 불가 상태에 있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생성되는 것인, 중계 서버.
A relay server for managing IP information of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A storage unit for updating and storing IP information every time the IP inform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including the mobile storage device changes;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updated IP information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to the client terminal upon receiving a request signal from a client terminal installed with the seed application,
The portable storage device is connected to a terminal provided in advance in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so that the client terminal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are operated to transmit / receive data to /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IP information or the updated IP information. And,
The seed application is installed based on a seed file generated in the program and transferred to the client terminal,
Wherein the request signal is generated in the client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is impossible based on the IP information.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저장부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말 별로 구분하여 상기 업데이트된 IP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요청신호를 송신한 소정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된 씨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 단말의 업데이트된 IP 정보를 상기 소정의 클라이언트 단말로 송신하며,
상기 씨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프로그램에서 서로 다르게 생성된 씨드 파일을 기초로 각각의 클라이언트 단말에 설치되는 중계 서버.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when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s are plural,
Wherei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updated IP information in units of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s,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updated IP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erminal to the predetermined client terminal based on information on a seed application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client terminal that has transmitted the request signal,
Wherein the seed application is installed in each client terminal based on a seed file generated differently from the program.
KR20130069411A 2013-06-18 2013-06-18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ortable storage device, and relay server KR1014957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9411A KR101495720B1 (en) 2013-06-18 2013-06-18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ortable storage device, and relay ser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9411A KR101495720B1 (en) 2013-06-18 2013-06-18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ortable storage device, and relay ser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754A true KR20140146754A (en) 2014-12-29
KR101495720B1 KR101495720B1 (en) 2015-02-25

Family

ID=52594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9411A KR101495720B1 (en) 2013-06-18 2013-06-18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ortable storage device, and relay ser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72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199A1 (en) * 2015-11-05 2017-05-11 주식회사 수산이앤티 Mobile application embedding method, control server for realizing mobile application embedd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7273266A (en) * 2017-06-09 2017-10-20 上海艾融软件股份有限公司 A kind of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of application daily recor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2829A (en) * 2017-10-23 2018-02-09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of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6847B2 (en) * 2009-06-03 2013-01-01 Apple Inc. Installing applications based on a seed application from a separate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199A1 (en) * 2015-11-05 2017-05-11 주식회사 수산이앤티 Mobile application embedding method, control server for realizing mobile application embedd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7273266A (en) * 2017-06-09 2017-10-20 上海艾融软件股份有限公司 A kind of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of application daily record
CN107273266B (en) * 2017-06-09 2020-09-29 上海艾融软件股份有限公司 Application log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720B1 (en)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7138B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lized data retrieval
US113349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retrieving and monitoring geofence activity
US8411590B2 (en) Mesh network remote control device
CN101965710B (en) For the authentication mechanism of wireless network
US83059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information exchange on location aware mesh network devices
CN105392150A (en) beacon managing method, terminal equipment, server and storage medium
KR101249059B1 (en) Information exchange apparatus, method and managing system applied thereto
US20160358189A1 (en) Data acquisition and analytics reporting
CN104023308A (en) Mobile GIS multi-person real-time positioning chatting interaction system
CN103401943A (en)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WIFI
CN105210343A (en) Establishing communication
KR101495720B1 (en)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ortable storage device, and relay server
US20170086044A1 (en) Mobile wireless connectivity advertising platform
Chaudhri et al. FoneAstra: Making mobile phones smarter
Kouwen et al.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of two-way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ervices
US1046260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a person
CN102833675A (en) Portable-typ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3796161A (en) Personal sharing type network coverage system and corresponding network coverage method
US11202254B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simulating voice and data traffic in a mobile network
CN105453120A (en)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advertising expense in multi-screen service system
KR102458778B1 (en) Location-based real estate information system
KR101627608B1 (en) Dynamic connecting system between client and server
Ditsa et al.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and Attainment of Healthcare Delivery in Africa: The Use e-Healthcare Technologies
CN108476166A (en) Method, mobile terminal, issue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system of communication
Ditsa et al. Dynamic Location-based Healthcare System towards the Attainment of Healthcare Delivery for Afr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