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785A -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785A
KR20140143785A KR1020147028301A KR20147028301A KR20140143785A KR 20140143785 A KR20140143785 A KR 20140143785A KR 1020147028301 A KR1020147028301 A KR 1020147028301A KR 20147028301 A KR20147028301 A KR 20147028301A KR 20140143785 A KR20140143785 A KR 20140143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ower storage
power
vibration energ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6238B1 (ko
Inventor
히로시 사메시마
미사토 나베토
마사요 이쿠타
켄지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G01H11/08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using piezoelectric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0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of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66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exciting or detecting vibration or accel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에 있어서, 검사 대상물에 설치되고, 그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전력 변환하는 진동발전 장치와, 진동발전 장치로부터의 발전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부와, 축전부의 축전압을 감시하는 전압 감시부와, 축전부의 축전압이 소정 축전압을 초과한 때에, 그 축전부에 의한 축전 에너지를 방전하는 방전 제어부와, 방전 제어부의 방전에 의해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축전부의 축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의거하여, 그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는 진동 에너지 산출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진동발전 장치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물에 생기는 진동 에너지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 또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VIBRATION ENERGY DETECTION APPARATUS AND VIBRATION ENERGY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검출하는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요즘의 에너지 절약의 흐름으로부터, 화석 연료 등에 의존하지 않는 일상적으로 존재하는 환경 에너지가 주목되고 있다. 환경 에너지로서 태양광이나 풍력 등에 의한 발전 에너지는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들에 뒤떨어지지 않는 에너지 밀도를 갖는 환경 에너지로서, 일상 주위에 존재하는 진동 에너지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이 진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을 행하는 진동발전 장치가 개발되어 있고, 그 발전 장치에는 전하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일렉트릿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당해 기술에서는, 일렉트릿을 이용한 발전 장치에 있어서, 발전을 위해 왕복 운동하는 가동 기판의 이동 방향이 2개 이상의 다른 방향으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외부 진동을 효율적으로 발전 장치에 모으고, 그 진동에 의한 발전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발전 장치의 이용 형태를 나타내는 한 예가,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는, 손목시계에 마련된 진동발전 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는데 당해 기술에서는, 진동발전 장치가 진동에 의해 발전을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응하여, 손목시계에서의 전력 소비 모드의 전환이 행하여진다.
한편으로, 상기 진동발전 장치는, 검사 대상물에 설치함으로써, 그 검사 대상물에 생기는 진동의 변위를 직접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진동 센서로서도 기능하는 것이다. 진동 변위의 검출에 관해서는, 가속도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가속도를 전기(電氣) 처리(2회 적분)함으로써 얻는 것도 가능한데, 당해 전기 처리에 전력 등을 갖는 등의 이유로, 진동발전 장치를 이용한 진동 검출은, 역시 유용한 수법이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진동발전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교류 전압의 진동수를 카운터 회로에서 카운트함으로써, 진동 정보나 가속도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개2009-284240호 공보 일본 특개2006-284607호 공보 일본 특개2011-221002호 공보
진동발전 장치를 진동 센서로서 이용하는 경우, 그 진동발전 장치에서 생긴 발전 전력의 에너지와 진동 에너지를 관련지음으로써, 진동발전 장치가 설치된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래서, 종래 기술에서는, 진동발전 장치에 의한 발전 전력을 콘덴서 등의 축전 디바이스에 축전하고, 그 축전 에너지로부터 진동 에너지의 산출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축전 디바이스는, 불가피적인 물리적 특성으로서 누설전류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축전 디바이스에 축전되어 있는 에너지는 디바이스로부터의 누설전류와 함께 감소하여 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축전 디바이스의 축전 에너지 그 자체에 의거하여 상기 진동 에너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검사 대상물이 놓여지는 상황에 따라서는, 검사 대상물에 생기는 진동의 빈도가 극히 낮은 경우도 있다. 그와 같은 경우는, 진동 센서로서의 진동발전 장치에 의한 축전 디바이스에의 충전량에 대한, 축전 디바이스의 누설전류에 의한 방전량의 비율이 높아져 버리기 때문에, 더욱더, 축전 디바이스의 축전 에너지에 의거하여 상기 진동 에너지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진동발전 장치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물에 생기는 진동 에너지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 또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축전부의 축전 에너지의 방전에 의해 형성되는 그 축전부의 축전 상태의 형성 횟수(형성 빈도)에 의거하여,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이와 같이, 축전부의 축전 에너지의 방전에 의한 그 축전 상태의 형성 횟수를, 진동 에너지에 결부시킴으로써, 항상 발생할 수 있는 누설전류의 영향을 완화하여, 진동 에너지를 보다 적절하게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검출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로서, 검사 대상물에 설치되고, 그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전력 변환하는 진동발전 장치와, 상기 진동발전 장치로부터의 발전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부와, 상기 축전부의 축전압을 감시하는 전압 감시부와, 상기 축전부의 축전압이 소정 축전압을 초과한 때에, 그 축전부에 의한 축전 에너지를 방전하는 방전 제어부와, 상기 방전 제어부의 방전에 의해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축전부의 축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의거하여, 그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는 진동 에너지 산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에서는, 진동발전 장치에 의해 발전된 발전 전력이 축전부에 축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전부에 관해, 그곳에 축전되는 에너지량을 축전용량(蓄電容量)이라고 칭하고, 그 정전용량(靜電容量)과는 구별된다. 또한, 축전부의 예시로서,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리튬 이온 커패시터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진동발전 장치의 발전 전력이 축전부에 축전되면, 축전부의 축전압이 상승하고, 축전부에서의 축전 여유가 감소한다. 그래서, 전압 감시부가, 축전부의 축전압을 감시하고, 그 축전압이 소정 축전압을 초과한 때에, 환언하면, 축전부의 축전용량을 반영하여 설정된 소정 축전압을 초과한 때에, 방전 제어부가 축전부에 의한 축전 에너지의 방전을 행한다. 이 결과, 축전부는, 새롭게, 진동발전 장치의 발전 전력을 충전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일반적으로, 축전부에는, 그 중부의 축전 에너지가 외부에 누출되는 누설전류 특성이 적잖이 존재한다. 그 때문에, 축전부에 진동발전 장치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축전하여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는 경우, 이 축전부에서의 누설전류 특성의 영향을 가급적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 관한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에서는, 진동 에너지 산출부가, 방전 제어부의 방전에 의해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축전부의 축전 상태의 형성 횟수, 즉, 반복 행하여지는 방전 제어부의 방전에 의해, 축전부에서 형성되는 소정의 상태(축전 상태)의 횟수(또는 빈도)에 의거하여,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한다.
방전 제어부의 방전은, 상기한 바와 같이, 축전부의 축전압이 소정 축전압을 초과한 때에 행하여지기 때문에, 그 때에 축전부에 축전되어 있던 에너지량은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 에너지의 산출에 상기 형성 횟수를 고려하는 것은, 본질적으로는 축전부에 축전 에너지를 계속 축적하는 시간을 분단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형성 횟수의 1회분에서의 축전부의 누설전류 특성의 영향을 가급적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진동 에너지의 산출에 있어서, 누설전류의 영향이 가급적 억제된 축전 에너지(즉, 방전 1회에 방출되는 에너지)와, 상기 형성 횟수를 고려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한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에서는, 검사 대상물에 생기는 진동 에너지를 적절하게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축전부의 누설전류 특성은, 진동발전 장치에 의한 발전 빈도와 발전 전력량에 의거하여 설정된 소정의 누설전류 특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축전부는, 그 정전용량이 커질수록, 누설전류량이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다. 한편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축전부에 저장된 축전 에너지는 방전 제어부에 의해 방전되는데, 축전부의 축전용량이 작으면 이 방전 빈도가 높아져 버려, 방전 제어에 필요로 한 소비 전력이 증가하여 버린다. 그래서, 누설전류량을 적절하게 억제하고, 또한 과도한 방전 빈도를 회피할 수 있는 축전부의 축전용량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용량에 따른 누설전류 특성이 상기 소정의 누설전류 특성이 된다.
상술까지의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 에너지 산출부는, 상기 방전 제어부의 방전에 의해 형성된 방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여도 좋다. 당해 방전 상태의 형성 횟수는, 방전 제어부의 방전에 의한 축전부에서 에너지가 방출된 상태가 형성된 횟수이고, 환언하면, 방전 제어부의 방전 횟수라고도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전 횟수에 따라 진동 에너지를 산출함으로써, 축전부의 누설전류 특성의 영향을 가급적 배제할 수 있고, 따라서, 그 산출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 에너지 산출부는, 상기 방전 제어부의 방전 후에 진동 에너지가 충전되고, 상기 축전부의 축전압이 상기 소정 축전압에 도달함으로써 형성된 충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여도 좋다. 당해 충전 상태는, 방전 제어부의 방전에 의해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충전 상태의 형성 횟수는, 방전 제어부의 방전을 기인으로 하여 형성되는 축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상당하고, 방전 제어부의 방전 횟수와 어떠한 상관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충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따라 진동 에너지를 산출함으로써, 축전부의 누설전류 특성의 영향을 가급적 배제할 수 있고, 따라서, 그 산출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까지의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전부를 복수 구비하고, 또한 복수의 그 축전부는, 각각, 상기 진동발전 장치의 발전 전력을 축전 가능하게 되도록, 서로 그 진동발전 장치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축전부 중 하나의 축전부가 상기 방전 제어부에 의해 방전되어 있는 때, 상기 진동발전 장치의 발전 전력은, 그 복수의 축전부 중 그 하나의 축전부를 제외한 다른 축전부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복수의 축전부를 진동발전 장치에 대해 접속함으로써, 방전 제어부의 방전이 행하여지고 있는 때에도, 진동발전 장치의 발전 전력을, 그 방전이 행하여지고 있는 축전부 이외의 축전부에서 축전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검사 대상물에서의 진동에 관련되는 에너지를 축전부에 놓치는 일 없이 축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상기 축전부의 축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의거한 진동 에너지의 산출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을, 검사 대상물에 설치되고, 그 검사 대상물에 걸리는 진동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센서 모듈과, 그 센서 모듈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의거하여, 그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는 서버를 가지며,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검출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의 측면으로부터 파악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검사 대상물에 설치되고, 그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전력 변환하는 진동발전 장치와, 상기 진동발전 장치로부터의 발전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부와, 상기 축전부의 축전압을 감시하는 전압 감시부와, 상기 축전부의 축전압이 소정 축전압을 초과한 때에, 그 축전부에 의한 축전 에너지를 방전하는 방전 제어부와, 상기 방전 제어부의 방전에 의해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축전부의 축전 상태의 형성 횟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축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상기 축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축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관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그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는 진동 에너지 산출부를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에서는, 센서 모듈에 의해 검사 대상물의 진동에 관한 정보가 취득되고, 당해 정보는 서버에 건네진다. 또한, 센서 모듈과 서버 사이의 정보의 수수는, 유선을 통하여 행하여져도 좋고, 또한 무선을 통하여 행하여져도 좋고, 그것은 센서 모듈의 송신부와 서버의 수신부와의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의 진동발전 장치, 축전부, 전압 감시부, 방전 제어부에 관한 기술 사상은, 상술한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에 관한 각 구성에 관한 기술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기 때문에, 그들의 상세한 설명은 할애한다. 또한, 센서 모듈측의 검출부와, 서버측의 진동 에너지 산출부에 관한 기술 사상은, 상술한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의 진동 에너지 산출부에 관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할애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진동 에너지 산출부는, 상기 방전 제어부의 방전에 의해 형성된 방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여도 좋고, 또한, 상기 진동 에너지 산출부는, 상기 방전 제어부의 방전 후에 진동 에너지가 충전되고, 상기 축전부의 축전압이 상기 소정 축전압에 도달함으로써 형성된 충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까지의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축전부를 복수 구비하여도 좋다. 그 경우, 상기 복수의 축전부는, 각각, 상기 진동발전 장치의 발전 전력을 축전 가능하게 되도록, 서로 그 진동발전 장치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축전부 중 하나의 축전부가 상기 방전 제어부에 의해 방전되고 있을 때, 상기 진동발전 장치의 발전 전력은, 그 복수의 축전부 중 그 하나의 축전부를 제외한 다른 축전부에 공급되어도 좋다.
이상보다, 본 발명에 관한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에서도, 검사 대상물에 생기는 진동 에너지를 적절하게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당해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검사 대상물에서 복수의 센서 모듈이 설치되고, 그들로부터의 진동에 관한 정보를 서버에 집약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진동발전 장치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물에 생기는 진동 에너지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진동 센서 모듈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1에 도시하는 진동 센서 모듈에 포함되는 콘덴서에 관해, 그 콘덴서의 정전용량과 누설전류의 상관, 및 그 정전용량과 콘덴서의 방전에 필요로 하는 소 비 에너지의 총량과의 상관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1에 도시하는 진동 센서 모듈에서 실행되는 진동 에너지 검출처리의 플로 차트.
도 5는 1에 도시하는 서버에서 실행되는 진동 에너지의 산출에 사용되는, 방전 횟수와 진동 에너지와의 상관을 관련지은 제어맵.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의 구성은 예시이고, 본 발명은 이 실시의 형태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은, 진동 센서 모듈(1)을 이용하여, 그 모듈이 설치된 교량(50)에 걸리는 진동 에너지의 검출을 행하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교량(50)은 사용 세월의 경과와 함께 강도 등의 성능이 열화되어 가기 때문에, 적시에, 교량(50)의 성능 변화를 파악하여 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지진이나 거듭되는 대형 차량의 통행 등에 의해 생기는 교량(50)의 열화의 진행에 응하여, 교량(50)의 진동에 관한 진폭(진동 변위)이나 진동 주파수가 변화하여 가기 때문에, 이들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교량(50)의 메인터넌스를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 1에 도시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에서는, 교량(50)에, 진동에 수반한 변위를 직접 검출 가능한 진동 센서 모듈이 복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복수개의 진동 센서 모듈(1)에 의해 검출된 교량(50)의 진동에 관한 정보(이하, 「진동 정보」라고도 한다)가, 기지국(7)에 송신된다. 이 기지국(7)은 인터넷(60)에 접속되어 있고, 수신한 교량(50)의 진동에 관한 정보는, 인터넷(60)을 경유하여 서버(10)에 도달된다.
이 서버(10)는, 진동 센서 모듈(1)로부터 얻어진 진동 정보를 이용하여 교량(50)에 걸리는 진동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교량(50)의 강도 판단 등의 처리(예를 들면, 강도의 저하의 정도 등의 판단)를 행한다. 또한, 서버(10)는, 당해 판단에 필요한 기타의 정보(교량(50)이 존재하고 있는 지역의 기상 데이터나 교량(50)의 교통 하중 데이터 등)도, 인터넷(60)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서버(70, 80) 등으로부터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진동 센서 모듈(1) 및 서버(10)가 발휘하는 기능을 이미지화하여 도시한 기능 블록을 도 2에 도시한다. 진동 센서 모듈(1)에는, 교량(50)에 걸리는 진동, 즉 교량(50)을 통하여 진동 센서 모듈(1)에 전하여져 오는 진동의 변위를 전기 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진동발전 장치(4)가 마련되어 있다. 진동발전 장치(4)는, 이른바 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전원으로서 기능하고, 그 한 예로서 일렉트릿 재료를 이용한 발전 장치를 들 수 있다. 진동발전 장치 자체는 공지인 기술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의 그 상세한 설명은 할애한다. 그리고, 진동발전 장치(4)의 발전 전력은, 정류·변압 회로(5)를 통하여, 축전 디바이스로서의 콘덴서(6)에 축전되다. 또한, 진동 센서 모듈(1)에서는, 콘덴서(6)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콘덴서(6)는, 진동발전 장치(4)의 발전 전력을 충전할 수 있도록, 진동발전 장치(4)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덴서에 축전된 에너지는, 교량(50)에 생긴 진동 에너지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취급되고, 환언하면, 당해 진동 에너지를 검출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콘덴서(6)에 의한 축전 에너지는, 진동 센서 모듈(1)의 각 구성 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로서, 직접적으로는 이용되지 않는 것이지만, 후술하는 진동 에너지의 검출 처리가 행하여진 후는, 진동 센서 모듈(1)의 구동 에너지로서 이용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진동 센서 모듈(1)에 진동발전 장치 이외의 발전 장치, 예를 들면, 태양광 발전 디바이스, 열(熱) 발전 디바이스, 전자유도 발전(CT 발전) 디바이스, 생체 발전 디바이스 등을 탑재하고, 그들 디바이스에 의한 발전 전력을 전원으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이들의 디바이스에 대해서도 공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의 그 상세한 설명은 할애한다. 또한, 정류·변압 회로에 대해서도, 공지의 기술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진동 센서 모듈(1)은, 진동발전 장치(4)에 의한 발전 동작을, 교량(50)에 걸리는 진동 에너지의 검출에 이용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진동에 관한 환경 파라미터를 검출한 센서로서 진동발전 장치만을 기재하고 있지만, 당해 디바이스에 더하여, 교량(50)에 가하여지는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등을, 진동 센서 모듈(1)에 포함하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진동 센서 모듈(1)에서는, 제어 장치(2)에 의해 콘덴서(6)의 축전 에너지를 이용한, 진동 에너지의 검출 처리가 행하여진다. 당해 검출 처리는, 제어 장치(2)에 형성되는, 충전 제어부(21), 방전 제어부(22), 전압 감시부(23), 방전 횟수 검출부(24), 송신부(25)에 의해 실행된다. 이들의 기능부에 의해 발휘되는 기능은, 제어 장치(2) 내에 마련된, 각 기능에 대응하는 제어 회로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또한, 제어 장치(2)가 컴퓨터일 때, 당해 컴퓨터상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또한, 제어 회로와 제어 프로그램이 협조함으로써 실현되어도 좋다. 물론, 제어 장치(2)는, 도 1에 도시하는 기능부 이외의 기능부를 갖고 있어도 상관없다.
충전 제어부(21)는, 콘덴서(6)의 충전에 관한 제어를 맡는 기능부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진동 센서 모듈(1)에서는, 진동발전 장치(4)에 대해 복수의 콘덴서(6)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래서, 충전 제어부(21)는, 진동발전 장치의 발전 전력이 어느 콘덴서(6)에 충전되는지 등, 발전 전력의 충전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한편으로, 방전 제어부(22)는, 교량(50)에 걸리는 진동 에너지 검출을 위해, 콘덴서(6)에 축전되어 있는 전력의 방전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전압 감시부(23)는, 충전 제어부(21)에 의한 충전 제어나 방전 제어부(22)에 의한 방전 제어를 적절한 타이밍에서 행하기 위해, 콘덴서(6)의 축전압을 감시하는 기능부이다. 방전 제어부(22)에 의한 콘덴서(6)의 방전은, 전압 감시부(23)에 의해 감시되고 있는 콘덴서(6)의 축전압이, 소정의 축전압(방전용 임계치)에 달한 때에 행하여진다.
또한, 방전 횟수 검출부(24)는, 방전 제어부(22)에 의해 행하여지는 콘덴서(6)의 방전 횟수를 검출, 즉 카운트하는 기능부이다. 또한, 방전 횟수 검출부(24)의 카운트 대상이 되는 콘덴서(6)는, 교량(50)의 진동 에너지가 발전 에너지로서 축전되는 콘덴서, 즉, 진동 센서 모듈(1)에 포함되는 모든 콘덴서(6)이다. 또한, 송신부(25)는, 방전 횟수 검출부(24)에 의해 검출된 방전 횟수를 포함하고, 진동 센서 모듈(1)에서 취득된 진동에 관한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기지국(7)을 통하여 서버(10)에 송신하기 위한 기능부이다. 당해 무선 통신의 통신 방식은 특정한 방식으로 한정은 되지 않지만, 한 예로서, 규격 ZigBee(등록상표)에 준거한 저소비 전력의 통신 방식의 채용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기능부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별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기능 자체가 발휘되는 한에 있어서는, 각 기능부를 통합하거나, 또는 기능부를 세분화하거나 하여도 상관없다.
여기서, 콘덴서(6)로서는, 진동발전 장치(4)의 발전 전력을 축전할 수 있으면, 임의의 콘덴서(예를 들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를 채용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콘덴서에는, 물리 특성으로서의 누설전류 특성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의 실선(L1)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덴서의 정전용량이 커짐에 따라, 누설전류량이 커지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다. 누설전류가 커지는 것은, 진동발전 장치(4)의 발전 전력의 축전의 유지가 저해되는 것을 의미하고, 그 때문에, 콘덴서의 누설전류가 커짐에 따라, 축전 에너지에 의거한 정확한 진동 에너지의 파악이 보다 곤란해진다.
그래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정확하게 교량(50)에 걸리는 진동 에너지를 검출하기 위해, 방전 횟수 검출부(24)에 의해 검출된 방전 횟수에 의거한 진동 에너지의 검출이 행하여지는데, 이때, 상기 누설전류의 영향을 가급적으로 제외하기 위해, 콘덴서(6)의 정전용량은, 가능한 범위에서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한편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콘덴서(6)를 방전시킴으로써, 콘덴서(6)의 축전 상태가 방전 상태(방전에 의해 축전 에너지가 극소로 된 상태)가 되고, 그에 의해 방전 횟수가 카운트된다. 그러나, 콘덴서(6)의 정전용량이 작아지면 그곳에 축전하고 얻는 에너지량(축전용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큰 경우에 비하여 방전 횟수가 증가하게 되고, 방전 처리에 필요로 하는 에너지, 즉 방전 제어부(22)의 방전 처리에 필요로 하는 소비 에너지가 많아져 버린다(도 3의 점선(L2)으로 도시된다, 정전용량에 대한 방전 소비 에너지의 추이를 참조할 것).
그래서, 본 실시례에서는, 콘덴서(6)의 정전용량을, 상정되는 교량(50)에서의 진동 빈도, 즉 진동발전 장치(4)에 의한 발전 빈도나, 진동발전 장치(4)의 발전 능력에 의거하여, 누설전류를 가급적 작게 하면서도, 방전 제어부(22)에 의한 방전 횟수가 과도하게 많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축전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정전용량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선(L1)과 선(L2)와의 교점에 대응하는 정전용량을 갖는 콘덴서를 콘덴서(6)로 선택하여도 좋고, 또한, 진동 센서 모듈(1)에서의 소비 전력을 우려할 필요성이 낮은 경우에는, 보다 작은 정전용량을 갖는 콘덴서를 콘덴서(6)로 선택하여도 좋다.
다음에, 서버(10)에서는, 진동 센서 모듈(1)로부터 송신되어 온 진동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교량(50)의 진동 에너지의 산출 처리가 행하여진다. 당해 산출 처리는, 서버(10)에 형성되는, 수신부(11), 산출부(12)에 의해 실행된다. 수신부(11)는, 진동 센서 모듈(1)의 송신부(25)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부이다. 따라서 수신부(11)에서의 통신 방식은, 상기 송신부(25)에서의 통신 방식과 동일하게 된다. 산출부(12)는, 수신부(11)가 수신한 정보에 의거하여, 교량(50)에서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는 기능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진동 센서 모듈(1) 및 서버(10)에 의해 실행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처리 및 진동 에너지의 산출 처리에 관해,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처리는, 하나의 진동 센서 모듈 내에서 행하여지는 처리이고, 따라서 각 진동 센서 모듈(1)에서는, 각각의 타이밍에서 그 진동 에너지 검출 처리가 행하여지게 된다. 또한, 도 5에는, 서버(10)에서 실행되는 진동 에너지의 산출에 사용되는, 방전 횟수와 진동 에너지와의 상관을 관련지은 제어맵이다.
우선, S101에서는, 전압 감시부(23)에 의해 감시되고 있는 콘덴서(6)의 축전압이, 방전용 임계치보다 큰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또한, 이 판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콘덴서(6)는, 진동 센서 모듈(1)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콘덴서(6) 중, 진동발전 장치(4)의 발전 전력이 충전되고 있는 콘덴서(6)이다. S101에서 Yes 판정되면 S102로 진행하고, No 판정되면 S105로 진행한다.
여기서, S102 내지 S104에서는 축전압이 방전용 임계치를 초과하였다고 판단된 콘덴서(6)의 방전에 관한 처리가 행하여진다. S102에서는, 후술하는 서버(10)측에서의 진동 에너지 산출 처리에 이용되는 파라미터인 「방전 횟수」가 잉크리먼트 처리(「방전 횟수」의 수치를 「1」 늘리는 처리)된다. 당해 파라미터 「방전 횟수」는, 진동 센서 모듈(1)의 전원이 투입된 시점 등, 소정의 타이밍을 기점으로 하여 콘덴서(6)가 방전 제어부(22)에 의해 방전 처리되고, 그 축전 상태가 방전 상태, 즉 축전되어 있던 에너지가 외부에 방출되고, 축전 에너지가 극소로 된 상태가 형성된 횟수를 누적적으로 카운트한 것이다. S102의 처리가 종료되면, S103로 진행한다.
S103에서는, 방전 제어부(22)에 의해, 축전압이 방전용 임계치를 초과하였다고 판단된 콘덴서(6)의 방전이 시작된다. 그 결과, 당해 콘덴서(6)의 축전압은 저하되고, 이윽고 방전 상태에 이르게 된다. 또한, 방전된 전하는, 진동 센서 모듈(1)에 포함되는 다른 콘덴서(6)로 이동하지 않도록, 방전 제어부(22)에 의한 방전 처리가 행하여진다. S103의 처리가 종료되면, S104로 진행한다.
S104에서는, 진동발전 장치(4)의 발전 전력이 충전된 콘덴서가, 방전 제어부(22)에 의해 S103에서 방전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는 콘덴서(6)로부터, 다른 콘덴서(6)로 전환되도록, 충전 제어부(21)에 의해, 진동발전 장치(4)에 대한 콘덴서(6)의 접속이 전환된다. 이에 의해, S103에서 방전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는 동안에도, 진동발전 장치에 의해 발전된 전력은, 전환 후의 콘덴서(6)에 축전되기 때문에, 교량(50)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빠짐없이 콘덴서(6)에서 포착할 수 있게 된다. S104의 처리가 종료되면, S106으로 진행한다.
한편으로, S101에서 No 판정된 때, 즉, 전압 감시부(23)에 의해 감시되고 있는 콘덴서(6)의 축전압이, 방전용 임계치보다 크다고는 판단되지 않은 때는, S105의 처리에 의해, 진동발전 장치(4)의 발전 전력은, 계속해서 당해 콘덴서(6)에 충전되게 된다. 이때, 방전 처리나 충전 콘덴서의 전환 등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S105의 처리가 종료되면, S106로 진행한다.
S106에서는, 진동 센서 모듈(1)로부터 서버(10)에의 데이터 송신의 시기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교량(50)에서 생긴 진동 에너지의 검출을 위해, 상기 파라미터 「방전 횟수」를 이용한다. 그래서, S106에서는, 이 진동에 관한 정보인 파라미터 「방전 횟수」의 데이터를, 서버(10)에 송신하는 시기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진동 센서 모듈(1)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에는 비교적 큰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송신 시기를 한정하여 그 데이터를 어느 정도 정리한 상태에서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소비 전력의 억제가 도모된다. 또한, 송신되는 데이터로서는, 방전 횟수의 수치에 더하여, 방전 횟수가 잉크리먼트된 시기도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잉크리먼트 시기를 포함함으로써, 서버(10)측에서, 방전 처리가 행하여지는 빈도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S106에서 Yes 판정되면, S107에서 송신되어야 할 데이터의 송신이 실행되고, No 판정되면, 데이터의 송신은 행하여지지 않고, 와야 할 송신시기까지 진동 센서 모듈(1)측에 데이터는 축적되어 간다..
이와 같이, 상기 진동 에너지 검출 처리에서는, 진동 센서 모듈(1)측에서는, 교량(50)에 생긴 진동에 응하여 진동발전 장치(4)에 의해 발전된 전력이 한 번 콘덴서(6)에 축전되고, 그 후, 방전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그 방전 처리의 횟수인 방전 횟수가, 처리가 행하여질 때마다 잉크리먼트되고, 그 방전 횟수가, 적시에 서버(10)측으로 송신된다. 그리고, 진동 센서 모듈(1)로부터 수취한 방전 횟수에 관한 데이터는, 서버(10)에서 데이터 처리되어, 교량(50)에서 생긴 진동 에너지의 산출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도 5에 의거하여, 서버(10)측에서의 진동 에너지의 산출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당해 산출 처리는, 산출부(12)에 의해 실행된다. 서버(10)는, 수신부(11)에 의해 진동 센서 모듈(1)로부터 방전 횟수에 관한 데이터를 수취하고 있다. 여기서, 「방전 횟수」라는 파라미터는, 콘덴서(6)의 축전압이 방전용 임계치를 초과함으로써 행하여지는 방전 제어부(22)에 의한 방전 처리의 횟수이고, 당해 방전 처리에 의해 형성된 콘덴서(6)의 방전 상태의 형성 횟수이다. 이와 같이 「방전 처리」가 행하여짐으로써 형성되는 방전 상태에서는, 콘덴서(6)에서의 누설전류 특성의 영향은 실질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레벨에 있다. 그 때문에, 「방전 횟수」에 의거하여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는 수법은, 콘덴서(6)에서의 누설전류 특성의 영향을 가급적 배제한 산출 수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전 처리에 의해 방전되는 에너지는, 콘덴서(6)의 축전압이 방전용 임계치에 이른 때의 축전 에너지에 상당한다. 따라서 교량(50)에 생긴 진동 에너지는, 원칙적으로, 콘덴서(6)에서의 방전 에너지에 방전 횟수를 곱한 총 방전 에너지에 비례한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도 5에 도시하는 제어맵에서는, 방전 횟수에 비례하여 진동 에너지가 증가하도록 방전 횟수와 진동 에너지의 상관이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산출부(12)가, 수신한 「방전 횟수」에 의거하여 도 5에 도시하는 제어맵에 액세스함으로써, 교량(50)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제어맵에서는, 진동 에너지는 방전 횟수에 비례하도록 양자의 상관이 규정되어 있지만, 교량(50)에서의 진동 센서 모듈(1)의 설치 위치나, 다른 진동 센서 모듈(1)의 검출 결과 등에 입각하고, 반드시 상기 비례 관계가 되는 제어맵일 필요는 없다. 사전(事前)의 다양한 실험 등에 입각하여, 적절한 방전 횟수와 진동 에너지와의 상관을 설정하면 좋다.
<변형례 1>
상기 실시례에서는, 방전 제어부(22)의 방전 처리에 의해 형성되는, 콘덴서(6)의 축전 상태인 방전 상태의 형성 횟수를, 방전 횟수로서 카운트하고, 그것을 서버(10)측에 송신함으로써, 서버(10)가 교량(50)에서 생긴 진동 에너지를, 콘덴서(6)의 누설전류 특성을 배제하여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방전 횟수를 이용하는 산출 형태에 대신하고, 콘덴서(6)의 축전압이 방전용 임계치까지 도달함으로써 형성되는 충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의거하여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여도, 마찬가지로, 콘덴서(6)의 누설전류 특성을 배제한 진동 에너지의 산출이 가능해진다. 진동 센서 모듈(1)에서는, 방전 제어부(22)에 의해 콘덴서(6)의 방전이 반복되도록 되어 있고, 그 때문에 상기 충전 상태도, 방전 제어부(22)의 방전을 경유하여 형성되는 콘덴서(6)의 축전 상태이다. 따라서 그 축전 상태의 형성 횟수인, 충전 상태의 형성 횟수를 이용함으로써, 방전 횟수를 이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확한 진동 에너지의 산출이 실현된다.
<변형례 2>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 센서 모듈(1)로부터 서버(10)에 송신된 데이터에, 방전 횟수를 잉크리먼트 처리한 시기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함으로써, 서버(10)가 방전 빈도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방전 횟수가 잉크리먼트된 시간 간격이 짧아지는 것은, 방전 빈도가 높아진 것을 의미한다. 당해 진동 센서 모듈(1)이 설치된 교량(50)의 장소에서 방전 빈도가 높아진 것이, 기술적으로 일정한 의미를 갖는 경우, 예를 들면, 방전 빈도가 소정의 빈도 이상이 되면, 교량(50)의 강도가 저하되어 있다고 기술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등의 이유에 따라, 교량(50)의 관리를 행하는 유저에게 알람을 발령하여도 좋다.
<변형례 3>
상기 실시례에서는, 진동 센서 모듈(1)에 복수개의 콘덴서(6)가 설치된 형태가 개시되어 있지만, 그에 대신하여, 진동 센서 모듈(1)에 1개의 콘덴서(6)가 포함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진동 센서 모듈(1)에서, 진동발전 장치(4)에 의한 발전 전력은 1개의 콘덴서(6)에 의해 축전된 것으로 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처리에서의 S104의 처리, 즉 충전 콘덴서를 전환하는 처리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에서는, 내부에 1개의 콘덴서를 포함하는 진동 센서 모듈(1)과, 내부에 복수개의 콘덴서를 포함하는 진동 센서 모듈(1)이 혼재하여도 상관없다.
<변형례 4>
도 1, 도 2에 도시하는 실시례에는, 교량(50)측에 진동 센서 모듈(1)이 마련되고, 그곳에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서버(10)에 진동에 관한 데이터가 수집됨으로써 진동 에너지의 검출을 행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당해 실시례에서는, 진동 센서 모듈(1)과 서버(10)가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양자를 무선 통신으로 연결함으로써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이 형성되어 있다. 이 형태에 대신하여, 하나의 장치 중에서, 진동발전 장치(4)에 의한 발전, 콘덴서(6)에 의한 축전, 방전, 방전 횟수에 의거한 진동 에너지의 산출 처리를 행하는 형태, 즉, 본 발명을,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마다 산출된 진동 에너지의 데이터 그 자체를, 기지국(7)을 이용하여 서버(10)에 집약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1 : 진동 센서 모듈
2 : 제어 장치
4 : 진동발전 장치
6 : 콘덴서
10 : 서버
12 : 산출부
21 : 충전 제어부
22 : 방전 제어부
23 : 전압 감시부
24 : 방전 횟수 검출부
50 : 교량

Claims (10)

  1. 검사 대상물에 설치되고, 그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전력 변환하는 진동발전 장치와,
    상기 진동발전 장치로부터의 발전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부와,
    상기 축전부의 축전압을 감시하는 전압 감시부와,
    상기 축전부의 축전압이 소정 축전압을 초과한 때에, 그 축전부에 의한 축전 에너지를 방전하는 방전 제어부와,
    상기 방전 제어부의 방전에 의해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축전부의 축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의거하여, 그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는 진동 에너지 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부는, 상기 진동발전 장치에 의한 발전의 빈도와 그 발전에 의한 전력량에 의거하여 설정된 소정의 누설전류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에너지 산출부는, 상기 방전 제어부의 방전에 의해 형성된 방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에너지 산출부는, 상기 방전 제어부의 방전 후에 진동 에너지가 충전되고, 상기 축전부의 축전압이 상기 소정 축전압에 도달함으로써 형성되는 충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부를 복수 구비하고, 또한 복수의 그 축전부는, 각각, 상기 진동발전 장치의 발전 전력을 축전 가능하게 되도록, 서로 그 진동발전 장치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축전부 중 하나의 축전부가 상기 방전 제어부에 의해 방전되고 있을 때, 상기 진동발전 장치의 발전 전력은, 그 복수의 축전부 중 그 하나의 축전부를 제외한 다른 축전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
  6. 검사 대상물에 설치되고, 그 검사 대상물에 걸리는 진동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센서 모듈과, 그 센서 모듈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의거하여, 그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는 서버를 갖는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센서 모듈은,
    검사 대상물에 설치되고, 그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전력 변환하는 진동발전 장치와,
    상기 진동발전 장치로부터의 발전 전력을 축전하는 축전부와,
    상기 축전부의 축전압을 감시하는 전압 감시부와,
    상기 축전부의 축전압이 소정 축전압을 초과한 때에, 그 축전부에 의한 축전 에너지를 방전하는 방전 제어부와,
    상기 방전 제어부의 방전에 의해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축전부의 축전 상태의 형성 횟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축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상기 축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축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관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그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는 진동 에너지 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부는, 상기 진동발전 장치에 의한 발전의 빈도와 그 발전에 의한 전력량에 의거하여 설정된 소정의 누설전류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에너지 산출부는, 상기 방전 제어부의 방전에 의해 형성된 방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에너지 산출부는, 상기 방전 제어부의 방전 후에 진동 에너지가 충전되고, 상기 축전부의 축전압이 상기 소정 축전압에 도달함으로써 형성된 충전 상태의 형성 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검사 대상물에 생긴 진동 에너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상기 축전부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축전부는, 각각, 상기 진동발전 장치의 발전 전력을 축전 가능하게 되도록, 서로 그 진동발전 장치에 대해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복수의 축전부 중 하나의 축전부가 상기 방전 제어부에 의해 방전되고 있을 때, 상기 진동발전 장치의 발전 전력은, 그 복수의 축전부 중 그 하나의 축전부를 제외한 다른 축전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
KR1020147028301A 2012-04-10 2013-02-08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 KR101626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89542 2012-04-10
JP2012089542A JP5874505B2 (ja) 2012-04-10 2012-04-10 振動エネルギー検出装置、振動エネルギー検出システム
PCT/JP2013/053155 WO2013153845A1 (ja) 2012-04-10 2013-02-08 振動エネルギー検出装置、振動エネルギー検出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785A true KR20140143785A (ko) 2014-12-17
KR101626238B1 KR101626238B1 (ko) 2016-05-31

Family

ID=4932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301A KR101626238B1 (ko) 2012-04-10 2013-02-08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25308B2 (ko)
EP (1) EP2837920B1 (ko)
JP (1) JP5874505B2 (ko)
KR (1) KR101626238B1 (ko)
CN (1) CN104220853B (ko)
WO (1) WO20131538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662A (ko) * 2016-12-08 2018-06-1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진동 감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7969A (zh) * 2014-11-19 2015-03-25 华北电力大学 具有自发电装置的火电厂辅机无线振动监测***
JP6534539B2 (ja) * 2015-03-03 2019-06-26 株式会社フジタ コンクリートの振動締め固め検知装置
EP3617699A4 (en) * 2017-04-28 2021-01-06 Mitsumi Electric Co., Ltd.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CN108520227A (zh) * 2018-04-04 2018-09-11 暨南大学 一种基于双传感器信息的传递熵的桥梁结构损伤定位方法
JP7108645B2 (ja) * 2020-01-27 2022-07-28 株式会社鷺宮製作所 計測システムおよび診断システム
JP7253205B2 (ja) * 2020-03-04 2023-04-06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構造物の診断システムおよび診断方法
CN112084084B (zh) * 2020-09-09 2022-10-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检测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2836A (ja) * 1997-08-05 2001-08-28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非常に小さな容量を求めるための方法およびこれにより構想されたセンサ
JP4349388B2 (ja) * 1997-11-20 2009-10-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計時装置、および計時装置の制御方法
US6320822B1 (en) * 1997-11-20 2001-11-20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equipment
JP2001142529A (ja) * 1999-11-16 2001-05-25 Hitachi Ltd 振動監視方法および装置
JP3402468B2 (ja) * 2000-08-24 2003-05-06 川崎製鉄株式会社 軸受の振動診断装置
US7081693B2 (en) * 2002-03-07 2006-07-25 Microstrain, Inc. Energy harvesting for wireless sensor operation and data transmission
JP2005130624A (ja) * 2003-10-24 2005-05-19 Hitachi Ltd 発電装置および発電方法
JP5131541B2 (ja) 2008-05-22 2013-01-30 横浜ゴム株式会社 振動型静電発電機ユニット
CN102047192B (zh) * 2008-05-30 2014-06-25 东芝三菱电机产业***株式会社 远程监控装置
JP2010186338A (ja) 2009-02-12 2010-08-26 Oki Electric Ind Co Ltd 充放電装置、及び集積回路素子
US8933611B2 (en) * 2009-06-26 2015-01-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Vibration power generator, vibration power generating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vibration power generating device mounted thereon
JP2011221002A (ja) * 2010-03-25 2011-11-04 Sanyo Electric Co Ltd 振動検出装置、空気圧検出端末および加速度検出システム
JP5467010B2 (ja) 2010-07-22 2014-04-09 ニチコン株式会社 学習型蓄電池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
CN103115667B (zh) * 2013-01-21 2016-04-20 中信重工开诚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基于传感器的振动监测装置
JP6115273B2 (ja) * 2013-04-11 2017-04-19 ソニー株式会社 電源回路、電源システムおよび蓄電装置
US20160209454A1 (en) * 2015-01-19 2016-07-21 Patrick McCammon Wireless Power Line Sen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662A (ko) * 2016-12-08 2018-06-1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진동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8208A1 (en) 2015-06-18
JP5874505B2 (ja) 2016-03-02
KR101626238B1 (ko) 2016-05-31
EP2837920A1 (en) 2015-02-18
CN104220853A (zh) 2014-12-17
EP2837920A4 (en) 2015-10-28
CN104220853B (zh) 2016-08-31
JP2013217804A (ja) 2013-10-24
US9625308B2 (en) 2017-04-18
WO2013153845A1 (ja) 2013-10-17
EP2837920B1 (en)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238B1 (ko) 진동 에너지 검출 장치, 진동 에너지 검출 시스템
KR101467017B1 (ko) 가속도 센서 장치 및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KR20210011995A (ko) 확장된 이물질 검출 신호 프로세싱
US9453885B2 (en) Battery-state monitoring system
RU2496208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накопления и передач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CN106104285A (zh) 用于识别电池组电池中的异常的方法和短路传感装置
CN105452904A (zh) 异物检测装置、送电装置、受电装置以及无线电力传输***
JP2008134060A (ja) 蓄電装置の異常検出装置、蓄電装置の異常検出方法及びその異常検出プログラム
CN102955134A (zh) 一种蓄电池健康状态的在线检测方法及装置
CN103278776A (zh) 一种电动汽车电池绝缘检测***
Casciati et al. A power harvester for wireless sensing applications
JP2016011909A (ja) 振動発電無線センサ
JP2015171280A (ja) 電圧均等化装置および蓄電装置
JP6027503B2 (ja)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13162456A (zh) 摩擦纳米发电机、振动频率监测***、振动频率监测方法
JP2013542556A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電圧を測定するためのバッテリシステム
KR20080035198A (ko) 압전발전기를 이용한 전력용 변압기 감시시스템
JP6334457B2 (ja) 電流測定システム
US20200259219A1 (en) Combined power storage system, and management system therefor
CN104166098A (zh) 一种太阳能蓄电池状态监测***
JP6544247B2 (ja) 充電装置、充電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その方法
JP2018096832A (ja) 監視装置
Duerager Energy harvesting for wireless sensors by using piezoelectric transducers
CN109830765A (zh) 一种电池结构
JP2019007981A (ja) 電池状態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