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018A -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 Google Patents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018A
KR20140143018A KR1020130064908A KR20130064908A KR20140143018A KR 20140143018 A KR20140143018 A KR 20140143018A KR 1020130064908 A KR1020130064908 A KR 1020130064908A KR 20130064908 A KR20130064908 A KR 20130064908A KR 20140143018 A KR20140143018 A KR 20140143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head
rear portion
support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해현
Original Assignee
남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해현 filed Critical 남해현
Priority to KR1020130064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3018A/ko
Publication of KR20140143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27Details of inflatable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에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전면의 중앙부에 사용자의 목 후방부를 수용하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의 후방 상부에 위치되어 양측에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중앙부에 사용자의 머리 후방부를 수용 및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는 사용자의 머리 후방부의 하부를 받칠 수 있게 머리 후방부의 하부 라인에 대응하여 안착면이 형성되고 머리 후방부의 상부가 의자의 등받이부에 닿을 수 있게 머리 후방부의 상부 라인에 대응하여 후면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에 따르면, 머리 받침구의 요홈부가 목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지시키고, 안착부는 머리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지시키며, 요홈부와 안착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가 목과 머리가 좌우로 쏠리거나 꺾이지 않도록 지지시켜줄 뿐만 아니라 머리 후방부의 상부 라인이 안착부의 개방된 후면부를 통해 의자의 등받이부에 접촉되게 되면서 목의 각도가 편안하게 기울어지는 상태가 되고, 머리의 측면이 안착부에 깊숙이 묻히게 되어 머리가 안정적으로 고정이 되며, 더불어 전방으로 목 꺾임이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Head rest for Assisting Chair}
본 발명은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목과 머리를 편안하게 지지시킬 수 있는 인체공학적인 형상과 기능을 갖추고, 사용자 개개인의 체형에 맞출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하기가 용이한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의 (a),(b)는 사람의 바른 자세를 나타낸 모습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경추는 직립 상태로 활동을 할 때 약간의 곡선형(C자형) 모양으로 세워져 있으며,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과 머리가 일자형태로 세워진다.
그러나 도 2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에 앉아 머리와 등을 의자에 기대고 휴식과 수면을 취할 때에는 경추 부분이 허공에 뜨게 되고, 경추를 지탱하는 근육의 이완으로 전후좌우 방향으로 경추의 꺾임과 뒤틀림이 오게 되며, 머리 뒷부분의 둥근 모양으로 인해 머리 고정이 어렵고 좌우로 쏠려 목 꺾임 현상도 발생한다.
이러한 좌우 목 꺾임 현상은 목신근의 긴장과 경추의 경미한 골절 상태를 만들게 되며 통증을 느끼는 수준은 목의 중심선에서 좌우로 15도 이상의 각도가 5분 이상 경과 되었을 때 나타난다.
또한, 목과 머리의 전후 기울기를 적정히 조절하지 못하면 목 근육의 긴장과 함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목과 머리의 편안한 안착를 위해서는 목의 전방 기울기를 적절히 유지하여야 하는데 목의 기울기 각도가 몸체의 중심선 보다 전방에 위치하면 목젖의 압박과 목덜미 근육(목빗근)의 긴장 및 경추의“C”자 형상의 역방향에 따른 현상으로 10분 후에는 불편함과 구토증을 느끼게 된다. 특히 버스나 항공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멀미가 동반되면서 더욱 고통스러움을 느끼게 된다.
특히, 차량의 의자에 앉은 상태로 원거리를 이동하는 경우에 자에 앉아 머리와 등을 기대고 휴식과 수면을 취하게 되는데 목을 지지해주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게 되면 목이 아파오면서 뒤척이게 되며 또한 잠이 들게 되면 목이 옆으로 꺾이게 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옆좌석 모퉁이 또는 창과 창틀에 기대는 등 자세를 바꾸며 힘들어 하는 여러 형태의 모습이 연출되는 불편한 상황이 생겨난다. 또한 차량의 급격한 움직임이나 커브 및 요동에 의하여 머리와 목이 좌우로 쏠리거나 갑작스런 충격을 받음에 따라 목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머리를 창이나 창틀에 부딪혀 타박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의자의 등받이부에 착석자의 목과 머리를 받칠 수 있는 보조용 베개를 거치시키거나, 착석자의 목 둘레에 착용하여 목과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보조용 머리 받침구를 사용하여 착석자의 불편한 자세에 따른 목의 스트레스 해소와 머리의 갑작스런 움직임에 대한 목의 골절 및 타박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조용 머리 받침구는 흔히, 공기주입식 제품과 일반 섬유 충전제의 제품으로 구분되는데, 공기식 제품인 경우, 목을 지지하기는 하나 시간이 지나면서 공기의 압력으로 인한 혈류 방해로 목 주위 피부의 감각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합성수지재의 표면에 목덜미 등의 인체가 접촉하는 경우에 그 촉감이 좋지 못하여 사용을 기피하게 되며, 목과 머리를 지지하는 부위가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되지 않아 편안함을 제공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 섬유 충전제의 제품은 부드러운 느낌은 있으나 부피가 커서 휴대가 용이하지 못하고, 이 제품 역시 목과 머리를 지지하는 부위가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되지 않아 편안함을 제공하지 못하며, 사용자의 각기 다른 체형에 맞출 수 있는 조절기능이 없어 안락감을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보조용 머리 받침구는 사용에 있어서, 사용할 당시에는 보관을 잘하게 되지만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랜 시간 방치를 해두게 되어 쉽게 분실되기도 하고 다시 사용을 하고자 할 때에는 상태가 온전치 못하여 다시 구매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실용적이거나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 기술에 있어서, 보조용 머리 받침구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단순한 목 받침 형상으로 목을 지지해주는 기능만을 갖추고 있을 뿐 머리가 좌우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는 제품은 제시된 바 없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1993-0013811 (공개일 1993.07.26)
한국등록실용신안: 20 - 0270419 (공고일 2002.04.03)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30526 (공고일 2001.05.02)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17962 (공고일 2006.06.07)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드럽고 완충소재인 라텍스 폼이나 메모리 폼에 목과 머리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인체 공학적 형상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목과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시켜주고, 목과 머리가 좌우로 쏠리거나 꺾이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며, 목과 머리의 기울기 각도를 전방으로 기울지 않고 의자의 등받이 부의 기울기와 동일하게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경추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갑작스런 충격으로부터 목과 머리를 보호해주고, 사용자 개개인의 체형에 맞게 또는 의자 등받이의 형태에 맞게 머리 받침구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 개개인이 편안함과 안락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휴대가 용이하여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는 양측에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전면의 중앙부에 사용자의 목 후방부를 수용하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의 후방 상부에 위치되어 양측에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중앙부에 사용자의 머리 후방부를 수용 및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는 사용자의 머리 후방부의 하부를 받칠 수 있게 머리 후방부의 하부 라인에 대응하여 안착면이 형성되고 머리 후방부의 상부가 의자의 등받이부에 닿을 수 있게 머리 후방부의 상부 라인에 대응하여 후면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의 안착면은 머리 후방부의 하부 라인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홈부의 상단으로부터 개방된 후면부를 향해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요홈부 및 요홈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의 상면은 상기 안착부 및 안착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를 향해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머리 받침구는 완충작용과 권취가 가능한 라텍스 폼 또는 메모리 폼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지지부의 외측 또는 내측에는 지지대의 지지기능을 보강시킬 수 있는 보조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물은 무게가 나가지 않도록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물은 형상 기억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의 후면부에는 머리 후방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안착면을 따라 형상 기억 와이어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머리 받침구는 후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충격 흡수 및 높이조절기능을 하는 에어백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은 머리 받침구의 후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공기층이 올록볼록하도록 공기층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벽이 형성되며, 측면에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주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머리받침구와 에어백은 상호 대응되는 면에 구비되어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에 의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에 암 벨크로파스너가 구비되고 타측에 수 벨크로파스너가 구비되어 중앙을 기준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면 암수 벨크로파스너가 포개지는 벨크로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백은 내부의 공간이 격벽에 의해 상부 에어 공간과 하부 에어 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에어주입구는 상부 에어 공간과 하부 에어 공간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머리 받침구는 머리 받침구의 권치시 외측을 감싸 권치 상태를 고정시키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는 머리받침구 일측면에 고정되고, 일면의 끝단에 제 1 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체결부가 구비된 반대면에서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제 2 체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머리 받침구의 권취시 머리 받침구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의 체결에 의해 상기 머리 받침구의 권취 상태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머리 받침구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 3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외측 끝단에서부터 상기 머리 받침구 쪽으로 말아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제 3 체결부와 제 1 체결부가 체결되어 상기 머리 받침구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는 머리 받침구의 외측을 감쌀 때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캐릭터 이미지 또는 광고이미지가 인쇄되거나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독특한 인물이나 동물, 만화 등의 캐릭터 형상으로 디자인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는 양측에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전면의 중앙부에 사용자의 목 후방부를 수용하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의 후방 상부에 위치되어 양측에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중앙부에 사용자의 머리 후방부를 수용 및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된 폼부재; 상기 폼부재의 후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폼부재의 후방에 배치되어 충격흡수 및 높이조절기능을 하는 에어백; 및 상기 폼부재와 에어백의 외측을 커버하는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은 에어주입구가 외피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에어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는 사용자의 머리 후방부의 하부를 받칠 수 있게 머리 후방부의 하부 라인에 대응하여 안착면이 형성되고 머리 후방부의 상부가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게 머리 후방부의 상부 라인에 대응하여 후면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에 따르면, 첫째, 머리 받침구가 부드럽고 완충소재인 라텍스 폼이나 메모리 폼으로 이루어지고 인체 공학적 형상의 안착부와 요홈부를 갖추어 사용자의 목과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시켜줌으로 갑작스런 충격으로부터 목과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해주는 효과가 있다.
둘째, 머리 받침구의 요홈부가 목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지시키고, 안착부는 머리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지시키며, 요홈부와 안착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가 목과 머리가 좌우로 쏠리거나 꺾이지 않도록 지지시켜줄 뿐만 아니라 머리 후방부의 상부 라인이 안착부의 개방된 후면부를 통해 의자의 등받이부에 접촉되게 되면서 목의 각도가 편안하게 기울어지는 상태가 되고, 머리의 측면이 안착부에 깊숙이 묻히게 되어 머리가 안정적으로 고정이 되며, 더불어 전방으로 목 꺾임이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에어백이 탈부착되어 에어백의 공기주입량으로 머리 받침구의 높낮이를 조절해줌으로써 사용자의 머리크기 및 목덜미 체형에 따라, 또는 의자 등받이부분의 형태에 따라 편의에 맞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 개개인이 편안함과 안락감을 느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머리 받침구를 권취시켜 부피를 최소화시키고 커버부로 권취된 머리 받침구를 감싸 고정시킴으로서 휴대가 간편하고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편의성 및 실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커버부에 캐릭터이미지 또는 광고이미지를 인쇄하여 광고 및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안착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를 머리 받침구의 권치시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고 권취된 머리받침구를 감싸는 커버부가 몸체를 형성하도록 하여 캐릭터 인형을 연출시킴으로써 판촉용 상품으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는 바른 자세일 때의 경추의 형상을 나타내고, (b)는 목과 머리가 꺾이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X-레이 투시사진.
도 2의(a)는 목이 전방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목과 머리가 우로 꺾인 상태를 나타낸 X-레이 투시사진.
도 3은 종래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를 도시한 것으로, 섬유 충전재 제품과 공기주입식 제품을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가 목과 머리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머리 받침구에서 지지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보조물이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머리 받침구에서 안착부의 후면부에 형상 기억 와이어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배면도.
도 9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머리 받침구의 후면부에 에어백이 탈부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머리 받침구에서 에어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머리 받침구에서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고정부재가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머리 받침구의 권치시 외측을 감싸 권치 상태를 고정시키는 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머리 받침구가 휴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커버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머리 받침구가 캐릭터 인형으로 제작되어 휴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지지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보조물이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안착부의 후면부에 형상 기억 와이어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머리 받침구의 후면부에 에어백이 탈부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에어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11은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고정부재가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 및 도 14는 머리 받침구의 권치 상태를 고정시키는 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머리 받침구가 휴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커버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머리 받침구가 캐릭터 인형으로 제작되어 휴대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100)는 완충작용과 권취가 가능한 라텍스 폼 또는 메모리 폼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정 두께를 갖는 블록형태로 이루어진다.
머리 받침구(100)는 전면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단부와 상단부로 구분되고, 하단부는 상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하단부 중앙에는 전면부로부터 요입되어 사용자의 목 후방부를 수용하는 요홈부(110)가 형성되고, 요홈부(110) 양측에는 요홈부(110)의 형성으로 인하여 지지부(1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요홈부(110)는 사용자의 목 후방부가 수용되도록 목 후방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며, 지지부(120)는 요홈부(110)에 수용되는 목이 좌우 양측으로 꺾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하단부는 요홈부(110)의 깊이만큼 상단부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단부 중앙에는 사용자의 머리 후방부가 수용 및 안착되도록 상부와 전후방이 개방된 안착부(140)가 형성되며, 안착부(140)의 형성으로 인하여 안착부(140)의 양측에 지지부(150)가 형성된다.
여기서, 안착부(140)는 사용자의 머리 후방부의 하부를 받칠 수 있게 머리 후방부의 하부 라인에 대응하여 안착면(141)이 형성되고 머리 후방부의 상부가 의자의 등받이부에 닿을 수 있게 머리 후방부의 상부 라인에 대응하여 후면부가 개방된다.
그리고, 요홈부(110) 및 요홈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120)의 상면은 상부에 위치되는 안착부(140) 및 안착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150)를 향해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130)으로 형성되어 상단부와 하단부를 자연스럽게 연결시키고, 요홈부(110)가 형성된 하단부가 안착부(140)가 형성된 상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인하여 머리가 안착부(140)에 안착될 때 귀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안착부(140)의 안착면(141)은 요홈부(110)의 경사진 상면의 상단으로부터 후면부의 개방면(142)을 향해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머리 후방부의 하부 라인을 감싸는 곡면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목과 머리의 X-레이 투시사진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가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었음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를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머리 받침구(100)의 요홈부(110)는 경추의 형상을 본뜬 형상으로 경추의 뒷부분을 수용하여 목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지시키고, 안착부(140)는 안착면(141)이 뒤통수의 하부 라인(머리 후방부의 하부 라인)을 본뜬 형상으로 이루어져 머리의 뒤통수(후두골)를 편안하게 안착시키며 후면부의 개방면(142)으로 뒤통수의 상부 라인(머리 후방부의 상부 라인)이 관통하여 의자의 등받이부에 접하게 되면서 전방으로 목 꺾임이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요홈부의 경사면(130)과 안착부(140)의 경사진 안착면(141)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 후방부와 목 후방부의 라인을 자연스럽게 연결시키게 된다.
이처럼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된 머리 받침구의 요홈부(110)는 목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지시키고, 안착부(140)는 머리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지시키게 되며, 요홈부(110)와 안착부(140)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120,150)는 목과 머리가 좌우로 쏠리거나 꺾이지 않도록 지지시켜 준다.
여기서, 머리를 지지하는 지지부(120)는 형태적으로는 머리 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나, 라텍스 폼 또는 메모리 폼의 부드러운 성질의 특성상 사람의 머리가 옆으로 치우쳐질 때 지지 기능이 다소 미흡할 수 있다.
따라서, 머리를 지지하는 지지부(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는 지지기능을 보강시킬 수 있는 보조물(2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물(200)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블록체 또는 관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게가 나가지 않도록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20)의 내측에 구비되는 보조물(200)은 머리 받침구(100)의 발포가 끝나 성형이 된 뒤 지지부(120)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발포 당시 내부에 삽입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물(200)은 머리 받침구(100)를 권취할 경우, 지지부(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어 권취에 방해가 되는 상황이 우려될 수 있으나, 후술되는 커버부에 의해 권취가 되는 부위는 목을 지지하는 목 지지부(150)만 해당되며 머리를 지지하는 지지부(120)의 보조물(200)은 권취 중심부에서 벗어나므로 머리 받침구(100)의 권취에 문제가 없다. 오히려 보조물(200)이 삽입된 머리 지지부(120)는 캐릭터의 머리 부분으로 활용이 될 때 지지부(120)의 형체가 견고하여 캐릭터의 머리 또는 귀의 형상을 만들기에도 유리한 측면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물(200)은 형상 기억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형상 기억 와이어는 지지부(120)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어 지지부(120)의 지지 기능을 향상시키며, 일정한 힘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었다가 다시 복원되는 능력이 뛰어나다.
따라서, 머리 받침구(100)를 권취할 때 형상 기억 와이어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사용시에는 원상태로 복원되기 때문에 보조물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 기억 와이어는 안착면의 곡면 형상을 따라 안착부(140)의 후면부에 내장되거나 후면부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처럼 안착면의 곡면을 따라 형성된 형상 기억 와이어는 안착면의 지지기능을 보강시키며 아울러 지지부의 지지 강도를 보강하여 머리가 옆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해준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받침구는 후면부에 탈부착되는 에어백을 포함한다.
에어백(300)은 머리 받침구(100)의 후면부에 부착되어 충격을 흡수하거나 머리 받침구(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에어백(300)은 머리 받침구(100)의 후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공기층이 올록볼록하도록 공기층을 구획하는 구획벽(311)이 형성되며, 측면에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주입구(312)가 형성된다.
여기서, 구획벽(311)은 수평 또는 수직으로 형성되되, 테두리부분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거나 중앙부가 이격되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공기 통로가 연결되게 형성된다. 즉, 에어백(300)에 공기가 주입되면 공기통로에는 공기가 채워져 볼록하고 구획벽(311)은 함몰되어 오목한 형태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올록볼록한 공기층은 공기가 출렁거리지 않게 되고 안정적인 쿠션을 제공하게 된다.
이처럼 머리 받침구(100)의 후면부에 탈부착되는 에어백(300)은 공기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으면 팽창하고 공기를 배출하면 수축되어 공기의 주입량에 따라 머리 받침구(100)의 높이(두께)를 조절하게 된다. 즉, 공기의 흡입 및 배출에 따라 에어백(300)의 부피가 팽창 및 축소되는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목과 머리의 위치를 의자의 등받이 면으로부터 높이를 올리고 내리면서 사용자 개개인의 머리크기 및 목덜미 체형에 따라 또는 각기 다른 의자 등받이의 형태에 따라 머리 받침구(10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의 다른 실시 예는 에어백(300)의 내부의 공간이 격벽(313)에 의해 상부 에어 공간(314)과 하부 에어 공간으(315)로 구분되어 머리 받침구(100)의 요홈부(110)를 지지하는 부분과 안착부(140)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구분된 상부 에어 공간(314)과 하부 에어 공간(315)에는 각각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에어 주입구(312)가 구비되어 상부 에어 공간(314)과 하부 에어 공간(315)에 공기가 각각 주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요홈부(110)를 지지하는 하부 에어 공간(315)에 에어를 주입하여 팽창시키고 안착부(140)를 지지하는 상부 에어 공간(314)에 에어를 주입하지 않아 팽창시키지 않게 되면 안착부(140)에 안착된 머리가 뒤로 젖혀질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부 에어 공간(314)과 하부 에어 공간(315)에 똑같이 에어를 주입하여 팽창시키면 의자 등받이와의 이격 거리를 갖게 해줌으로써 뒷머리가 돌출된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태가 되며, 상부 에어 공간(314)과 하부 에어 공간(315)에 똑같이 에어를 주입하지 않게 되면 일반적인 체형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에어백 내부의 공간을 상부 에어 공간과 하부 에어 공간으로 구분한 격벽(313)은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상부 에어 공간(314)과 하부 에어 공간(315)의 에어 주입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때 갑작스런 높낮이 차이가 되지 않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머리 받침구(100)와 에어백(300)의 탈부착은 상호 대응되는 면에 구비되어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에 의해 실현된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벨크로부재 또는 스냅단추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벨크로부재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부재(400)는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에 암 벨크로파스너(410)가 구비되고 타측에 수 벨크로파스너(420)가 구비되어 중앙을 기준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면 암수 벨크로파스너(410,420)가 포개질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벨크로부재(400)는 머리 받침구(100)의 후면부와 이에 대응되는 에어백(300)의 일면에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머리 받침구(100)와 에어백(300)을 부착시킬 때에는 머리 받침구(100)와 에어백(300)에 각각 구비된 벨크로부재(400)를 펼쳐 암 또는 수 벨크로파스너(410,420)가 외부로 노출되게 한 후 서로 맞대응시켜 상호 부착되게 하고, 머리 받침구(100)와 에어백(300)을 분리시킬 때에는 머리 받침구(100)와 에어백(300)에 각각 구비된 벨크로부재(400)의 암 또는 수 벨크로파스너(410,4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접어 옷이나 기타 천에 부착되지 않게 한다.
이때, 머리 받침구(100)에 구비된 벨크로부재(400)는 후면부에 고정되는 면이 수 벨크로파스너(420))로 구성되도록 하여 에어백(300)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의자의 등받이부가 천으로 이루어진 경우, 벨크로부재를 펼쳐 수 벨크로파스너(420)가 의자 등받이부의 천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머리 받침구(100)를 의자 등받이부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머리 받침구(100)를 의자의 등받이부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고정부재(400)는 여러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받침구(100)의 후면부 이외에도 후면 상부 또는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도 있고, 에어백(300)의 정면 상부 또는 좌우 양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백(30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머리 받침구(100)로부터 에어백(300)을 분리시킬 수도 있고, 공기를 모두 빼낸 에어백(300)을 머리 받침구(100)에 부착한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3,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받침구(100)는 일측면에 구비되어 머리 받침구(100)의 권치시 외측을 감싸 권치 상태를 고정시키는 커버부(500)를 더 포함한다.
커버부(500)는 일단이 머리 받침구(100)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권취되는 머리 받침구(100)의 외측을 감쌀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커버부(500)의 일면 끝단에는 제 1 체결부(510)가 구비되고, 제 1 체결부(510)가 구비된 반대면에서 제 1 체결부(510)와 머리 받침구(100)의 사이에 제 2 체결부(520)가 구비된다. 이때, 제 2 체결부(520)는 제 1 체결부(510)가 구비된 반대쪽에서 머리 받침구(100)와 가까운 곳에 구비된다.
그리고, 머리 받침구(100)의 일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부(500)가 결합된 면에 제 3 체결부(5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 1 체결부(510) 내지 제 3 체결부(530)는 벨크로파스너로 구성되는데, 벨크로파스너 이외에, 후크나 고리 등 체결이 가능한 다른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커버부(500)는 휴대를 위해, 머리 받침구(100)의 부피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머리 받침구(100)를 커버부(500)가 구비되지 않은 일측으로부터 커버부(500)가 구비된 타측 방향으로 말아 최소한의 크기로 권취시킨 후 도 14의 상태로 펼쳐진 커버부(500)로 권취된 머리 받침구(100)의 외측을 감싸서 제 1 체결부(510)와 제 2 체결부(520)를 체결시키면 커버부(500)가 머리 받침구(100)의 권취 상태를 고정시키게 된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받침구(100)를 말아서 부피를 최소화시킴으로써 휴대가 용이하고 언제 어디서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에어백(300)을 사용하는 경우, 에어백(300)은 머리 받침구(100)로부터 분리시켜 머리 받침구(100)만을 권취시킬 수도 있고, 공기를 모두 빼낸 에어백(300)을 머리 받침구(100)에 부착한 상태로 권취시켜 휴대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커버부(500)는 머리 받침구(100)의 외측을 감쌀 때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캐릭터 이미지 또는 광고이미지가 인쇄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500)는 요홈부가 형성된 머리 받침구(100)의 하단부만을 감쌀 수 있는 폭으로 형성하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받침구(100)를 권취시킬 때 안착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150)가 권취된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귀여운 동물 캐릭터의 귀를 연출하게 하며, 커버부(500)에는 동물 캐릭터의 몸체 이미지를 인쇄하거나 부착하여 권취된 몸체를 감싼 커버부(500)가 동물 캐릭터의 몸체를 연출함으로서 하나의 캐릭터 인형이 제작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받침구(100)가 펼쳐진 상태에서도 인형 캐릭터가 인쇄되거나 캐릭터 형상으로 만들어진 외피(550)를 머리 받침구의 외면에 밀착되게 씌우면 또 다른 형태의 캐릭터 인형이 제작된다.
이처럼 머리 받침구는 권취된 상태로 또는 펼쳐진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고, 사용자가 휴대할 때 외부로 노출되는 시간이 생겨나게 되며, 비행기나 버스, 열차 등 대중이 모이는 교통수단에서 사용을 하게 되면 노출이 잘되어 캐릭터 광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캐릭터 인형에 광고이미지나 상표를 부착하면 광고 및 홍보 효과를 불러 일으킬 수 있어 판촉용 상품으로도 활용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머리 받침구가 부드럽고 완충소재인 라텍스 폼이나 메모리 폼으로 이루어지고 인체 공학적 형상의 안착부와 요홈부를 갖추어 사용자의 목과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시켜주며, 갑작스런 충격으로부터 목과 머리를 보호해주게 된다.
또한, 머리 받침구의 요홈부가 목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지시키고, 안착부는 머리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지시키며, 요홈부와 안착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가 목과 머리가 좌우로 쏠리거나 꺾이지 않도록 지지시켜줄 뿐만 아니라 안착부의 개방된 후면부를 통해 머리 후방부의 상부 라인이 의자의 등받이부에 접촉되게 되면서 목의 각도가 편안하게 기울어지는 상태가 되고, 머리의 측면이 안착부에 깊숙이 묻히게 되어 머리가 안정적으로 고정이 되며, 더불어 전방으로 목 꺾임이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백이 탈부착되어 에어백의 공기주입량으로 머리 받침구의 높낮이를 조절해줌으로써 사용자의 머리크기 및 목덜미 체형에 따라, 또는 의자 등받이부분의 형태에 따라 편의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머리 받침구를 권취시켜 부피를 최소화하고 커버부로 권취된 머리 받침구를 감싸 고정시킴으로서 휴대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커버부에 캐릭터이미지 또는 광고이미지를 인쇄하여 광고 및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안착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를 머리 받침구의 권치시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고 권취된 머리받침구를 감싸는 커버부가 몸체를 형성하도록 하여 캐릭터 인형을 연출시킴으로써 판촉용 상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 보조용 머리받침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 보조용 머리받침구(600)는 양측에 지지부(611)가 형성되도록 전면의 중앙부에 사용자의 목 후방부를 수용하는 요홈부(612)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612)의 후방 상부에 위치되어 양측에 지지부(613)가 형성되도록 중앙부에 사용자의 머리 후방부를 수용 및 안착시키는 안착부(614)가 형성된 폼부재(610)와, 폼부재(610)의 후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폼부재(6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충격흡수 및 높이조절기능을 하는 에어백(620)과, 상기 폼부재와 에어백의 외측을 커버하는 외피(630)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620)은 에어 주입구(621)가 외피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에어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요홈부(612)와 안착부(614)와 지지부(611,613)가 형성된 폼부재(610)는 일 실시 예의 머리 받침구(100)와 동일한 설명으로 이루어지고, 에어백(620)도 일 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폼부재(610)와 에어백(620)은 일 실시 예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폼부재(610)를 감싸는 외피(630)가 구비되고, 폼부재(610)와 외피(630) 사이에 에어백(620)이 내장되어 머리 받침구(600)를 구성하고 있다.
머리 받침구에 내장된 폼부재(610)는 요홈부(612)가 목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지시키고, 안착부(614)가 머리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지시키며, 요홈부(612)와 안착부(614)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611,613)가 목과 머리가 좌우로 쏠리거나 꺾이지 않도록 지지시켜 준다.
그리고, 머리 받침구(600)에 내장된 에어백(620)은 공기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으면 팽창하고 공기를 배출하면 수축되어 공기의 주입량에 따라 머리 받침구(600)의 높이(두께)를 조절하게 된다. 즉, 공기의 흡입 및 배출에 따라 에어백(620)의 부피가 팽창 및 축소되는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목과 머리의 위치를 의자의 등받이 면으로부터 높이를 올리고 내리면서 사용자 개개인의 머리크기 및 목덜미 체형에 따라 머리 받침구(6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에어백을 머리 받침구의 외측에 탈부착시켜 머리 받침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고, 에어백이 머리 받침구 내측에 내장되어 에어백의 공기 주입량에 따라 머리 받침구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그리고, 머리 받침구가 부드럽고 완충소재인 라텍스 폼이나 메모리 폼으로 이루어지고 인체 공학적 형상의 안착부와 요홈부를 갖추어 사용자의 목과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시켜주며, 갑작스런 충격으로부터 목과 머리를 보호해주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머리 받침구 110: 요홈부
120: 지지부 130: 경사면
140: 안착부 141: 안착면
142: 개방면 150: 지지부
200: 보조물 300: 에어백
311: 구획벽 312: 에어 주입구
313: 격벽 314: 상부 에어 공간
315: 하부 에어 공간 400: 벨크로부재
500: 커버부 510: 제 1 체결부
520: 제 2 체결부 530: 제 3 체결부
600: 머리 받침구 610: 폼부재
611, 613: 지지부 612: 요홈부
614: 안착부 620: 에어백
621: 에어 주입구 630: 외피

Claims (20)

  1. 양측에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전면의 중앙부에 사용자의 목 후방부를 수용하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의 후방 상부에 위치되어 양측에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중앙부에 사용자의 머리 후방부를 수용 및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는 사용자의 머리 후방부의 하부를 받칠 수 있게 머리 후방부의 하부 라인에 대응하여 안착면이 형성되고, 머리 후방부의 상부가 의자의 등받이부에 닿을 수 있게 머리 후방부의 상부 라인에 대응하여 후면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안착면은 머리 후방부의 하부 라인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요홈부의 상단으로부터 개방된 후면부를 향해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 및 요홈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의 상면은 상기 안착부 및 안착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를 향해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받침구는 완충작용과 권취가 가능한 라텍스 폼 또는 메모리 폼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외측 또는 내측에는 지지대의 지지기능을 보강시킬 수 있는 보조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용 머리 받침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물은 무게가 나가지 않도록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용 머리 받침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물은 형상 기억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용 머리 받침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후면부에는 머리 후방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안착면을 따라 형상 기억 와이어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용 머리 받침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받침구는 후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충격 흡수 및 높이조절기능을 하는 에어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머리 받침구의 후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공기층이 올록볼록하도록 공기층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벽이 형성되며, 측면에 에어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주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구와 에어백은 상호 대응되는 면에 구비되어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에 의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에 암 벨크로파스너가 구비되고 타측에 수 벨크로파스너가 구비되어 중앙을 기준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면 암수 벨크로파스너가 포개지는 벨크로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내부의 공간이 격벽에 의해 상부 에어 공간과 하부 에어 공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에어주입구는 상부 에어 공간과 하부 에어 공간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받침구는 머리 받침구의 권치시 외측을 감싸 권치 상태를 고정시키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머리받침구 일측면에 고정되고, 일면의 끝단에 제 1 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체결부가 구비된 반대면에서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제 2 체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머리 받침구의 권취시 머리 받침구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의 체결에 의해 상기 머리 받침구의 권취 상태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머리 받침구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 3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외측 끝단에서부터 상기 머리 받침구 쪽으로 말아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제 3 체결부와 제 1 체결부가 체결되어 상기 머리 받침구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머리 받침구의 외측을 감쌀 때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캐릭터 이미지 또는 광고이미지가 인쇄되거나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독특한 인물이나 동물, 만화 등의 캐릭터 형상으로 디자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19. 양측에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전면의 중앙부에 사용자의 목 후방부를 수용하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의 후방 상부에 위치되어 양측에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중앙부에 사용자의 머리 후방부를 수용 및 안착시키는 안착부가 형성된 폼부재;
    상기 폼부재의 후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폼부재의 후방에 배치되어 충격흡수 및 높이조절기능을 하는 에어백;
    상기 폼부재와 에어백의 외측을 커버하는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은 에어주입구가 외피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에어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사용자의 머리 후방부의 하부를 받칠 수 있게 머리 후방부의 하부 라인을 따라 안착면이 형성되고 머리 후방부의 상부가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게 머리 후방부의 상부 라인을 따라 후면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KR1020130064908A 2013-06-05 2013-06-05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KR20140143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908A KR20140143018A (ko) 2013-06-05 2013-06-05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908A KR20140143018A (ko) 2013-06-05 2013-06-05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018A true KR20140143018A (ko) 2014-12-15

Family

ID=5246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908A KR20140143018A (ko) 2013-06-05 2013-06-05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30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770B1 (ko) * 2019-12-31 2021-06-07 강원 지압용 베개
SE2030008A1 (en) * 2020-01-11 2021-07-12 Johan Wulfcrona Neck Pillow
KR102313494B1 (ko) * 2020-06-11 2021-10-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770B1 (ko) * 2019-12-31 2021-06-07 강원 지압용 베개
SE2030008A1 (en) * 2020-01-11 2021-07-12 Johan Wulfcrona Neck Pillow
SE544988C2 (en) * 2020-01-11 2023-02-21 Johan Wulfcrona Neck Pillow
KR102313494B1 (ko) * 2020-06-11 2021-10-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드기어형 스마트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8793B2 (en) Travel pillow for sleeping in a vertical or near-vertical reclined position
CN101166446B (zh) 用于支撑人体颈部和头部的支撑器
US6135560A (en) Travel headrest pillow comprising pillow cushion and neck, head and shoulder support (the jetrest)
AU2011231078B2 (en) Sleepy heads neck pillow
KR200450197Y1 (ko) 머리카락 삽입홈이 구비된 목 베개
US8418293B2 (en) Travel pillow providing head and neck alignment during use
US6938958B2 (en) Adjustable head support
US6814408B2 (en) Folding chair equipped with inflatable waist pad
US5988752A (en) Child's head support
KR20140143018A (ko)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KR101404242B1 (ko) 튜브형 목 받침부를 갖는 모자
GB2246292A (en) Head-rest cushions
CN204674416U (zh) 一种车用座椅靠枕
KR101312256B1 (ko) 높이 조절 베개
US11445828B2 (en) Neck pillow bag
JP2004033529A (ja) 車椅子のシート
CN211833607U (zh) 一种保持正确坐姿的坐垫
KR101042100B1 (ko) 머리 받침구
KR20110108011A (ko) 차량용 다기능 보조쿠션
KR20140148185A (ko)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KR100666910B1 (ko) 시트용 간이베개
CN109077516A (zh) 一种座椅枕
JPH08422A (ja)
CN218922158U (zh) 一种防护枕及充气式防护枕
KR200293885Y1 (ko) 휴대용 간이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