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176A -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176A
KR20140142176A KR1020140067722A KR20140067722A KR20140142176A KR 20140142176 A KR20140142176 A KR 20140142176A KR 1020140067722 A KR1020140067722 A KR 1020140067722A KR 20140067722 A KR20140067722 A KR 20140067722A KR 20140142176 A KR20140142176 A KR 20140142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power
automobi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9708B1 (ko
Inventor
문충환
조정현
Original Assignee
문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충환 filed Critical 문충환
Publication of KR20140142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배치되는 본체부, 본체부에 배치되고, 자동차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이 동작하면서 발생되는 동작신호를 제공받는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 본체부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동차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 전원인터페이스부, 본체부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이 견인이동장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견인이동장비신호등과 대응되도록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견인 장비신호등에 전원을 직접 제공하는 외부인터페이스부 및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 중 하나의 동작신호가 제공되면,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 중 하나에 대응되는 견인이동장비신호등에 외부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원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와 연결된 견인이동장비의 장착 상태에 따라 신호 및 전원을 완전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자동차와 견인이동장비의 전력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Connected device for controlling signal power}
본 발명은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전원, 각종 신호, 후방카메라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면서 자동차와 체결되는 견인이동장비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여가활동의 변화에 따라 캠핑, 수상레포츠 및 다양한 형태의 여가를 즐기기 위하여 캐라밴이나 트레일러 등의 견인이동장비들을 자동차에 추가로 장착하여 운행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는 승용차를 비롯한 SUV 차량의 구조변경 등록 건수로 짐작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와 견인이동장비를 연결하는 방식으로서 커넥터를 통하여 1:1로 단순 연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이동장비를 추가로 장착하는 자동차들은 일반적으로 견인이동장비와 자동차신호등 및 배터리가 커넥터를 통하여 1:1로 직접 연결되었다. 즉, 자동차와 연결된 견인이동장비는 자동차의 배터리와 각각의 신호등(좌우 방향지시등, 미등, 브레이크등, 후진등)에 커넥터를 이용하여 직접 전선을 1:1로 연결하는 방식이었다.
이와 같이, 자동차와 견인이동장비가 1:1로 직접 연결할 경우 견인이동장비의 장착 여부에 상관 없이 자동차의 외부에 장착된 커넥터에 전원과 전선이 항상 노출되어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및 쇼트로 인하여 자동차배터리를 손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견인이동장비에 대한 전원 분리 및 보호 장치가 없어 신호 전등의 소비전류에 따라 과전류로 인한 오작동의 위험도 존재하였다.
즉, 견인이동장비가 자동차배터리의 용량이나 출력 전압에 상관없이 무한정 사용되고 있어 방전이 쉽게 발생되어 자동차가 시동이 걸리지 않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20154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자동차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으로 동작하는 자동차의 신호등과 견인이동장비의 신호등이 서로 다른 경로로 전원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브레이크등, 미등 및 후진등의 신호체계를 견인이동장비의 조명등 종류 및 소비 전류에 상관 없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동차에 체결되는 견인이동장비와의 체결여부에 따라 자동차에 설치된 후방카메라 또는 견인이동장비에 설치된 후방카메라와 연결됨으로써, 후진을 하는 동안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에 배치되는 본체부, 본체부에 배치되고, 자동차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이 동작하면서 발생되는 동작신호를 제공받는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 본체부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동차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 전원인터페이스부, 본체부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이 견인이동장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견인이동장비신호등과 대응되도록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견인 장비신호등에 전원을 직접 제공하는 외부인터페이스부 및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 중 하나의 동작신호가 제공되면,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 중 하나에 대응되는 견인이동장비신호등에 외부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원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견인이동장비에 배치되는 본체부, 본체부에 배치되고, 자동차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이 동작하면서 발생되는 동작신호를 제공받는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 본체부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동차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 전원인터페이스부, 본체부에 배치되고, 자동차의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이 견인이동장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견인이동장비신호등과 대응되도록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견인 장비신호등에 전원을 직접 제공하는 내부인터페이스부 및 자동차의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 중 하나의 동작신호가 제공되면,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 중 하나에 대응되는 견인이동장비신호등에 내부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원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와 전원인터페이스부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또한, 자동차배터리에 저장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는 자동차배터리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동차배터리보호부는 자동차배터리의 전압과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측정부, 측정된 전압과 전류를 기설정된 전압과 전류와 비교하는 비교부 및 비교부를 통해 출력되는 차단신호를 통해 자동차배터리의 전원을 제어하는 차단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동차배터리보호부는 자동차의 시동상태를 감지하는 시동상태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메인제어부는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카메라 또는 견인이동장비의 후방에 설치되는 장비후방카메라를 제어하는 후방제어부를 포함하고, 후방제어부는 자동차와 견인이동장비가 분리되면 후방카메라로부터 후방영상을 제공받고, 자동차와 견인이동장비가 체결되면 장비후방카메라로부터 장비후방영상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동차와 견인이동장비 간의 연결여부를 감지하는 연결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와 연결된 견인이동장비의 장착 상태에 따라 신호 및 전원을 완전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자동차와 견인이동장비의 전력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견인이동장비의 후방카메라와의 연결 제어를 통해 운행에 대한 신뢰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배터리의 방전 및 견인이동장비의 전력누전/합선으로부터 자동차와 견인이동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와 견인이동장비 간에 커넥터를 이용한 연결 방식을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도 2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호전원의 커넥터 제어장치(110)는 본체부(111),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112), 전원인터페이스부(113), 외부인터페이스부(114) 및 메인제어부(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11)는 자동차(100)에 배치된다. 이러한 본체부(111)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동차(100)에 배치되되, 견인이동장비(200)와 전기적이면서 물리적으로 연결되기 쉬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견인이동장비(200)는 자동차(100)의 후방에 체결되거나 분리되고, 자동차(100)를 이용하여 짐 또는 사람을 싣을 수 있는 모든 이동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견인이동장비(200)는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130)과 대응되는 견인이동장비신호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견인이동장비(200)는 바람직하게 트레일러 또는 캠핑캐러밴(Camping caravane)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112)는 본체부(111)에 배치되고, 자동차(100)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130)이 동작하면서 발생되는 동작신호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1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단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자동차신호등(130)은 좌방향등, 우방향등, 브레이크등, 후진등, 미등, 안개등을 포함하고, 좌방향등, 우방향등, 브레이크등, 후진등, 미등, 안개등이 턴 온되면, 좌방향등의 동작신호, 우방향등의 동작신호, 브레이크등의 동작신호, 후진등의 동작신호, 미등의 동작신호 및 안개등의 동작신호가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112)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전원인터페이스부(113)는 본체부(111)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동차배터리(15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다. 이러한 전원인터페이스부(113)는 자동차배터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하나의 전원케이블로 연결될 수도 있고, 자동차신호등(1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전원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인터페이스부(114)는 본체부(111)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130)이 견인이동장비(200)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견인이동장비신호등(230)과 대응되도록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견인이동장비신호등(230)에 전원을 직접 제공한다.
이러한 외부인터페이스부(114)는 견인이동장비(200)의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형상(미도시)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부인터페이스부(114)는 견인이동장비(200)의 커넥터와 체결되거나 분리되도록 견인이동장비(200)의 커넥터와 대응되는 커넥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인터페이스부(114)는 견인이동장비(200)의 커넥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커넥터 형상이면, 견인이동장비(200)의 커넥터를 삽입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암커넥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달리, 견인이동장비(200)의 커넥터가 암커넥터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인터페이스부(114)가 수커넥터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외부인터페이스부(114)가 커넥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인터페이스부(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동차(100)의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인터페이스부(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동차(100)의 커넥터는 견인이동장비(200)의 커넥터와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메인제어부(115)는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130) 중 하나의 동작신호가 제공되면,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130) 중 하나에 대응되는 견인이동장비신호등(230)에 전원이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메인제어부(115)는 복수 개의 동작스위칭소자(SW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동작스위칭소자(SW1)는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130)의 개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호전원의 커넥터 제어장치(11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3에서는 자동차신호등(130) 중 브레이크등(130C)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좌방향등, 우방향등, 안개등, 후진등, 미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브레이크등(130C)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자동차(100)를 주행하는 중 브레이크를 밟게 되면, 자동차(100)의 속도가 줄어들면서 자동차(100)의 브레이크등(130C)이 턴 온(turn on)된다.
자동차(100)의 브레이크등(130C)이 턴 온(turn on)되면서 브레이크등(130C)의 동작신호가 메인제어부(115)에 제공된다.
메인제어부(115)에 브레이크등(130C)의 동작신호가 제공되면, 자동차(100)의 브레이크등(130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작스위칭소자(SW1)가 턴 온(turn on)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100)의 브레이크등(130C)과 연결되는 동작스위칭소자(SW1)가 브레이크등(130C)의 동작신호를 제공받아 턴 온(turn on)되면, 자동차배터리(150)의 전원이 견인이동장비(200)의 브레이크등(230C)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견인이동장비(200)의 브레이크등(230C)은 자동차(100)의 브레이크등(130C)과 다른 전원케이블을 이용하여 자동차배터리(150)의 전원을 직접 제공받아 턴 온(turn on)될 수 있다.
즉, 견인이동장비(200)의 브레이크등(230C)은 자동차(100)의 브레이크등(130C)의 동작신호에 의해 자동차(100)의 브레이크등(130C)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동작하면서 자동차배터리(150)로부터 직접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게다가, 견인이동장비(200)의 브레이크등(230C)은 자동차(100)의 브레이크등(130C)과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자동차(100)의 브레이크등(130C)의 고장유무에 상관없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호전원의 커넥터 제어장치(410)는 본체부(411),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412), 전원인터페이스부(413), 내부인터페이스부(414) 및 메인제어부(4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411)는 견인이동장비(400)에 배치된다. 이러한 본체부(411)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견인이동장비(400)에 배치되되, 자동차(300)와 전기적이면서 물리적으로 연결되기 쉬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견인이동장비(400)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기술하였기에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412)는 본체부(411)에 배치되고, 자동차(300)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330)이 동작하면서 발생되는 동작신호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4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단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자동차신호등(330)은 좌방향등, 우방향등, 브레이크등, 후진등, 미등을 포함하고, 좌방향등, 우방향등, 브레이크등, 후진등, 미등이 턴 온되면, 좌방향등의 동작신호, 우방향등의 동작신호, 브레이크등의 동작신호, 후진등의 동작신호, 미등의 동작신호가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412)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전원인터페이스부(413)는 본체부(411)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3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동차배터리(35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다. 이러한 전원인터페이스부(413)는 자동차(300)의 커넥터를 통해 자동차배터리(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하나의 전원케이블로 연결될 수도 있고, 자동차신호등(33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전원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412)와 전원인터페이스부(413)는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인터페이스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412)와 전원인터페이스부(413)는 자동차(300)의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412)와 전원인터페이스부(413)는 자동차(300)의 커넥터와 체결되거나 분리되도록 자동차(300)의 커넥터와 대응되는 커넥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412)와 전원인터페이스부(413)는 자동차(300)의 커넥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커넥터 형상이면, 자동차(300)의 커넥터를 삽입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암커넥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자동차(300)의 커넥터가 암커넥터 형상으로 형성되고,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412)와 전원인터페이스부(413)가 수커넥터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412)와 전원인터페이스부(413)는 각각의 커넥터로 배치될수도 있으나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412)와 전원인터페이스부(413)가 하나의 커넥터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금까지는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412)와 전원인터페이스부(413)가 커넥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412)와 전원인터페이스부(4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견인이동장비(400)의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412)와 전원인터페이스부(4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견인이동장비(400)의 커넥터는 자동차(300)의 커넥터와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내부인터페이스부(414)는 본체부(411)에 배치되고, 자동차(300)의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330)이 견인이동장비(400)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견인이동장비신호등(430)과 대응되도록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견인이동장비신호등(430)에 전원을 직접 제공한다.
메인제어부(415)는 자동차(300)의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330) 중 하나의 동작신호가 제공되면,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330) 중 하나에 대응되는 견인이동장비신호등(430)에 전원이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메인제어부(415)는 복수 개의 동작스위칭소자(SW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동작스위칭소자(SW2)는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330)의 개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호전원의 커넥터 제어장치(11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4에서는 자동차신호등(330) 중 브레이크등(330C)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좌방향등, 우방향등, 안개등, 후진등, 미등, 안개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브레이크(330C)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자동차(300)를 주행하는 중 브레이크를 밟게 되면, 자동차(300)의 속도가 줄어들면서 자동차(300)의 브레이크등(330C)이 턴 온(turn on)된다.
자동차(300)의 브레이크등(330C)이 턴 온(turn on)되면서 브레이크등(330C)의 동작신호가 자동차(300)의 커넥터와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412)를 통해 메인제어부(415)에 제공된다.
메인제어부(415)에 브레이크등(330C)의 동작신호가 제공되면, 자동차(300)의 브레이크등(330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동작스위칭소자(SW2)가 턴 온(turn on)된다.
이와 같이, 자동차(300)의 브레이크등(330C)과 연결되는 동작스위칭소자(SW2)가 브레이크등(330C)의 동작신호를 제공받아 턴 온(turn on)되면, 자동차(300)의 커넥터와 전원인터페이스부(413)를 통해 자동차배터리(350)의 전원이 제공된다.
자동차배터리(350)의 전원은 내부인터페이스부(414)를 통해 견인이동장비(400)의 브레이크등(430C)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견인이동장비(400)의 브레이크등(430C)은 자동차(300)의 브레이크등(330C)과 다른 전원케이블을 이용하여 자동차배터리(350)의 전원을 직접 제공받아 턴 온(turn on)될 수 있다.
즉, 견인이동장비(400)의 브레이크등(430C)이 자동차(300)에서 발생되는 브레이크등(330C)의 동작신호에 의해 자동차(300)의 브레이크등(330C)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동작하면서 자동차배터리(350)로부터 직접 전원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게다가, 견인이동장비(400)의 브레이크등(430C)은 자동차(300)의 브레이크등(330C)과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자동차(300)의 브레이크등(330C)의 고장유무에 상관없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살펴보면, 본 밞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신호전원의 커넥터 제어장치(510)는 본체부(511),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512), 전원인터페이스부(513), 외부인터페이스부(514), 메인제어부(515), 자동차배터리보호부(516) 및 후방제어부(5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 및 도 8에서는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본체부(111),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112), 전원인터페이스부(113), 외부인터페이스부(114) 및 메인제어부(115)에 대한 자세한 설명 중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견인이동장비(600)는 다양한 가전제품이 배치되거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기기, 소형텔레비젼, 라디오, 저용량 전열기기, 냉장고, 에어컨 등이 견인이동장비(600)에 배치되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견인이동장비(600)는 주행 중인 자동차(500)에서 충전 중인 자동차배터리(55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충전하거나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충전할 수 있는 이동충전배터리(650)를 포함하고, 이동충전배터리(650)는 다양한 가전제품이 동작할 수 있도록 전원을 변환하고, 변환된 전원을 가전제품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충전배터리(65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견인이동장비(600)에 배치되는 다양한 가전제품은 자동차(500)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동차배터리(550)에 충전된 전원이 빠르게 전부 소비되어, 자동차(500)의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차배터리(550)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자동차배터리보호부(516)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차배터리보호부(516)는 자동차배터리(550)의 전압과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측정부(516a), 측정된 전압과 전류를 기설정된 전압과 전류와 비교하는 비교부(516b) 및 비교부(516b)를 통해 출력되는 차단신호를 통해 자동차배터리(550)의 전원을 제어하는 차단제어부(516c)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동차배터리보호부(516)는 측정부(516a)를 이용하여 자동차배터리(5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동차배터리(550)의 전압 또는 견인이동장비(600)로 공급되는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또한, 자동차배터리보호부(516)는 비교부(516b)를 이용하여 자동차배터리(550)에 충전된 전압이 기설정된 로우 배터리(LOW BATTERY) 전압값 미만이거나 전류 사용량이 최대 전류(MAX CURRENT) 이상일 경우 차단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신호가 출력되면 차단제어부(516c)는 차단신호를 메인제어부(515)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단제어부(516c)는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512)에 연결되는 동작스위칭소자(SW1)와 자동차배터리(550) 사이에 차단스위칭소자(SW3)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스위칭소자(SW3)는 자동차배터리보호부(516)로부터 차단신호가 제공되면, 자동차배터리(550)에서 견인이동장비(600)로 제공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배터리(550)에 충전된 전압이 견인이동장비(600)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자동차배터리(550)가 방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스위칭소자(SW3)가 메인제어부(115)의 내부에 배치되어 동작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동차배터리(550)와 메인제어부(515)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차단스위칭소자(SW3)는 자동차배터리(550)에서 견인이동장비(600)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면, 어떠한 위치라도 상관이 없다.
또한, 자동차배터리보호부(516)는 자동차(500)의 시동상태를 감지하는 시동상태감지부(516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동상태감지부(516d)는 자동차(500)가 시동이 걸릴 수 있는 상태이면 시동양호신호를 출력하고, 시동이 걸릴 수 없는 상태이면 시동불량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자동차배터리보호부(516)의 내부에 시동상태감지부(516d)가 포함되지 않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동상태감지부(516d)가 자동차배터리보호부(516)의 내부에 포함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메인제어부(515)는 자동차배터리(550)와 이동충전배터리(6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배터리스위칭소자(SW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스위칭소자(SW4)는 차단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면서 자동차(500)가 시동이 걸릴 수 있는 상태인 시동양호신호가 모두 만족을 해야 배터리스위칭소자(SW4)가 턴 온(turn on)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는, 메인제어부(515)는 자동차배터리(550)에 충전되는 전압이 이동충전배터리(650)에 충전되는 전압보다 낮을 경우 이동충전배터리(650)의 방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배터리스위칭소자(SW4)를 차단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자동차배터리(550)에 충전되는 전압이 이동충전배터리(650)에 충전되는 전압보다 높은 경우 배터리스위칭소자(SW4)가 턴 온(turn on)되어 자동차에 배치되는 알터네이터(발전기, 미도시)가 발전하는 동안 이동충전배터리(650)에 전압이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에서 언급한 자동차배터리보호부(516)는 제2 실시 예에서도 구비하여 자동차배터리(350)가 로우 전압이거나 시동불량신호가 출력되면 자동차배터리(350)에 충전된 전압이 견인이동장비(400)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여 자동차배터리(350)가 임의적으로 방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제어부(51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5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카메라(CA1) 또는 견인이동장비(600)의 후방에 설치되는 장비후방카메라(CA2)를 제어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후방제어부(517)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제어부(517)는 자동차(5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카메라(CA1)로부터 영상을 제공받아 자동차(5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니터(57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자동차(5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니터(570)는 블랙박스 또는 네이게이션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화면일 수 있다.
또한, 후방제어부(517)는 자동차(500)의 커넥터를 통해 견인이동장비(600)가 연결되면 견인이동장비(600)의 후방에 설치되는 장비후방카메라(CA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후방제어부(517)는 연결스위칭소자(SW5)를 이용하여 자동차(500)의 후방카메라(CA1)와의 연결을 차단하고, 장비후방카메라(CA2)로부터 촬영된 장비후방영상을 제공받아 모니터(57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후방제어부(517)는 자동차(500)와 견인이동장비(600)와 체결되면, 연결스위칭소자(SW5)를 장비후방카메라(CA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동작하여 장비후방카메라(CA2)로부터 견인이동장비(600)의 후방을 촬영한 영상인 장비후방영상을 제공받아 모니터(570)에 공급하고, 자동차(500)와 견인이동장비(600)가 분리되면 연결스위칭소자(SW5)를 후방카메라(CA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동작하여 후방카메라(CA1)로부터 자동차(500)의 후방을 촬영한 영상인 후방영상을 제공받아 모니터(57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후방제어부(517)와 모니터(570) 사이에는 후방카메라(CA1) 또는 장비후방카메라(CA2)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모니터(57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변환하는 영상처리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500)와 견인이동장비(600) 간의 연결을 감지하는 연결감지부(51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후방제어부(517)가 연결감지부(518)를 통해 자동차(500)와 견인이동장비(600) 간의 연결여부에 대한 연결신호를 제공받아 연결스위칭소자(SW5)를 제어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후방카메라(CA1) 또는 장비후방카메라(CA2)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실시 예에서 언급한 후방제어부(517)는 제2 실시 예에서도 구비하여 자동차(500)의 후방과 견인이동장비(500)의 후방까지도 용이하게 체크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300 500: 자동차
110, 410, 510: 신호전원의 커넥터 제어장치
111, 411, 511 : 본체부
112, 412, 512 :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
113,413, 513 : 전원인터페이스부
114, 514 : 외부인터페이스부
115, 415, 515 : 메인제어부
130, 330 : 자동차신호등
130c 330c : 자동차의 브레이크등
150, 350 : 자동차배터리
200, 400, 600 : 견인이동장비
230, 430, 630 : 견인이동장비신호등
230c, 430c, 630c : 견인이동장비의 브레이크등
414 : 내부인터페이스부
516 : 자동차배터리보호부
516a : 측정부
516b : 비교부
516c : 차단제어부
516d : 시동상태감지부
517 : 후방제어부
570 : 모니터
650 : 이동충전배터리
SW1, SW2 : 동작스위칭소자
SW3 : 차단스위칭소자
SW4 : 배터리스위칭소자
SW5 : 연결스위칭소자
CA1 : 후방카메라
CA2 : 장비후방카메라

Claims (9)

  1. 자동차에 배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이 동작하면서 발생되는 동작신호를 제공받는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동차배터리로부터 상기 전원을 제공받는 전원인터페이스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자동차신호등이 견인이동장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견인이동장비신호등과 대응되도록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상기 견인 장비신호등에 상기 전원을 직접 제공하는 외부인터페이스부; 및
    복수 개의 상기 자동차신호등 중 하나의 상기 동작신호가 제공되면, 복수 개의 상기 자동차신호등 중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견인이동장비신호등에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전원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
  2. 견인이동장비에 배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이 동작하면서 발생되는 동작신호를 제공받는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자동차신호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동차배터리로부터 상기 전원을 제공받는 전원인터페이스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의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상기 자동차신호등이 상기 견인이동장비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견인이동장비신호등과 대응되도록 연결되면서 복수 개의 상기 견인 장비신호등에 상기 전원을 직접 제공하는 내부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자동차의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 개의 상기 자동차신호등 중 하나의 상기 동작신호가 제공되면, 복수 개의 상기 자동차신호등 중 하나에 대응되는 상기 견인이동장비신호등에 상기 내부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전원이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전원인터페이스부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배터리에 저장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는 자동차배터리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배터리보호부는
    상기 자동차배터리의 전압과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측정부;
    측정된 전압과 전류를 기설정된 전압과 전류와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를 통해 출력되는 차단신호를 통해 상기 자동차배터리의 전원을 제어하는 차단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배터리보호부는
    상기 자동차의 시동상태를 감지하는 시동상태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카메라 또는 상기 견인이동장비의 후방에 설치되는 장비후방카메라를 제어하는 후방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와 상기 견인이동장비가 분리되면 상기 후방카메라로부터 후방영상을 제공받고, 상기 자동차와 상기 견인이동장비가 체결되면 상기 장비후방카메라로부터 장비후방영상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와 상기 견인이동장비 간의 연결여부를 감지하는 연결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
  9.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자동차배터리에 충전되는 전압이 상기 견인이동장비에 배치되는 이동충전배터리에 충전되는 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자동차배터리와 상기 이동충전배터리 간의 연결을 차단하고, 상기 자동차배터리에 충전되는 전압이 상기 견인이동장비에 배치되는 이동충전배터리에 충전되는 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자동차배터리와 상기 이동충전배터리 간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
KR1020140067722A 2013-06-03 2014-06-03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 KR101529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3356 2013-06-03
KR1020130063356 2013-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176A true KR20140142176A (ko) 2014-12-11
KR101529708B1 KR101529708B1 (ko) 2015-06-17

Family

ID=5245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722A KR101529708B1 (ko) 2013-06-03 2014-06-03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7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387A (ko) * 2019-11-05 2021-05-13 문남도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신호등 제어신호 연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3904A (ko) * 1995-03-31 1996-10-22 김태구 자동차 브레이크등 동작 감지 장치
JPH11342805A (ja) * 1998-06-01 1999-12-14 Fujikura Ltd 多重伝送装置
JP3729740B2 (ja) * 2001-01-04 2005-12-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用総合制御ユニット及び自動車
KR101416641B1 (ko) * 2012-06-29 2014-07-08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커넥터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387A (ko) * 2019-11-05 2021-05-13 문남도 무선통신을 이용한 차량 신호등 제어신호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708B1 (ko)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8687B2 (en) Power supply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trailer
US9834133B2 (en) Wireless link and a vehicle electrical system using the same
EP3192705B1 (en) Power supply system
US72860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lying power to a vehicle trailer
US9272625B2 (en) Power supply system for powering an electric load of a vehicle
US9211838B2 (en) Wire harness assembly and lighting unit
US20110140518A1 (en) Vehicle power supply apparatus
US7362005B2 (en) Isolated dual battery system
US10576919B2 (en) Vehicle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20220117061A1 (en) Supplemental exterior lighting system for recreational vehicles
US11522371B2 (en) Power-supply control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and load via reply, and movable body
US20220105912A1 (en) Brake controller mounted to a towing vehicle
US7235897B2 (en) Power supply unit for automobiles, which can provide braking force even when abnormality occurs in the power supply unit of electrically driven brake devices
US20180015889A1 (en) Automotive power supply device
US20200130566A1 (en) Activating emergency lighting on trailers
KR101529708B1 (ko) 신호전원 제어 커넥터 장치
KR20070000339A (ko) 전기 부품들을 자동차 배터리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유닛
KR20060136309A (ko) 전기 부품들을 자동차 배터리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유닛
EP1681207B1 (en) Channel activating device with a multipolar electrical connector of a hitch devices of a vehicle
WO2020093626A1 (zh) 供电***和车辆
EP1601554B1 (en) Adr unit
EP3641292A1 (en) Camera for a vehicle vision system
GB2480811A (en) Towing socket assembly
EP2390138B1 (en) Device for a trailer
KR101446534B1 (ko) 블랙박스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