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1342A - 순환 골재 생산장치 - Google Patents

순환 골재 생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1342A
KR20140141342A KR1020130062989A KR20130062989A KR20140141342A KR 20140141342 A KR20140141342 A KR 20140141342A KR 1020130062989 A KR1020130062989 A KR 1020130062989A KR 20130062989 A KR20130062989 A KR 20130062989A KR 20140141342 A KR20140141342 A KR 20140141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waste
sorting
bel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2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일
박찬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흥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흥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흥중공업
Priority to KR1020130062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1342A/ko
Publication of KR20140141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3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퍼를 통해 투입된 피 파쇄물인 폐기물을 1차로 파쇄하며, 파쇄된 폐기물이 배출되는 그 배출구 하방에는 선별스크린이 배치된 죠크러셔와, 선별스크린을 통해 걸러진 일정 입경 이상의 폐기물을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벨트컨베이어에 배치되어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철재 이물질을 분리 선별하는 자력선별부와, 제1벨트컨베이어 배출단이 그 내측단부에 위치하는 한편, 원통형 스크린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벨트컨베이어를 통해 투입된 폐기물을 재차 선별하는 트롬멜과, 트롬멜 배출단 측과 제2벨트컨베이어를 통해 연결되며 트롬멜을 거치면서 걸러진 일정 입경 이상의 폐기물을 다시 분쇄하는 콘크러셔와, 콘크러셔와 제3벨트컨베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콘크러셔를 통해 분쇄되는 폐기물을 다단 구조의 진동스크린 상에서 입경별로 다단 분리 선별하는 진동선별기와, 진동선별기를 통해 걸러진 설정 입경 이상의 폐기물을 트롬멜과 콘크러셔 사이의 제2벨트컨베이어 상으로 이동시키는 리턴컨베이어와, 제1벨트컨베이어의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프레임과 자력선별부를 연결하는 거치부와, 자력선별부를 통과하는 이물질의 크기에 따라 거치부의 길이를 가변시켜 자력선별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순환 골재 생산장치 {PRODUCTION APPARATUS FOR CIRCULATING AGGREGATE}
본 발명은 순환 골재 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재생골재를 입도별로 선별할 수 있고, 폐기물에 포함되는 철재 이물질을 선별하는 자력선별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자력선별부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순환 골재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선별장치는, 파쇄기에 의해 분쇄된 건설폐기물을 파쇄하고, 자력 선별장치에서 금속을 선별하고 진동 선별장치로 이송하여 잔골재와 굵은 골재로 분리한다.
잔골재와 분리된 굵은 골재는 풍력 선별장치에 의해 비중이 가벼운 비닐, 플라스틱 등과 같은 이물질이 분리되고, 철금속은 자력 선별장치로 제거된다.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된 목재 등과 같은 비중이 무거운 이물질은 수조를 이용한 비중 선별장치를 거치는 동안 골재와 분리된다.
수조를 이용하는 비중 선별장치는 수조에서 비중이 무거운 굵은 골재는 아래로 상대적으로 가벼운 이물질은 위로 분리된다.
아래로 분리된 골재는 수중 컨베이어에 의해 밖으로 이송되고 위에 부유된 이물질은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한 곳으로 이동하게 한 후 망브러쉬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원심 분리장치를 설치하여 수조 내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골재로 재사용하고 물은 수조에 재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건설폐기물 소각로에서 발생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기온의 영향 없이 비중 선별장치의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의 비중 선별장치에서 분리된 순수한 골재는 콘크러셔, 임팩트크러셔, 롤크러셔, 해머크러셔 등의 파쇄기를 사용하거나 그 자체로 입경 분류기를 사용하여 양질의 재생 골재로 생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50320호(2005년 5월 31일 공개, 발명의 명칭 : 건설폐기물 이물질 선별 방법 및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순환 골재 생산장치는, 자력 선발장치를 설치한 후에 자력 선별장치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철재 이물질이 선별되는 정도에 따라 자력 선별장치의 위치를 재조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순환 골재 생산장치는, 자력 선별장치의 오작동을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폐기물 선별공정 중에 자력 선별장치에 오작동이 발생되면 작업자가 오작동을 확인하여 수리작업을 행해야 하므로 순환 골재 생산장치의 수리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건설 폐기물에 포함된 재생골재를 입도별로 선별할 수 있고, 폐기물에 포함되는 철재 이물질을 선별하는 자력선별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자력선별부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순환 골재 생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호퍼를 통해 투입된 피 파쇄물인 폐기물을 1차로 파쇄하며, 파쇄된 폐기물이 배출되는 그 배출구 하방에는 선별스크린이 배치되는 죠크러셔; 상기 선별스크린을 통해 걸러진 일정 입경 이상의 폐기물을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벨트컨베이어에 배치되어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철재 이물질을 분리 선별하는 자력선별부;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 배출단이 그 내측단부에 위치하는 한편, 원통형 스크린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를 통해 투입된 폐기물을 재차 선별하는 트롬멜; 상기 트롬멜 배출단 측과 제2벨트컨베이어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트롬멜을 거치면서 걸러진 일정 입경 이상의 폐기물을 다시 분쇄하는 콘크러셔; 상기 콘크러셔와 제3벨트컨베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콘크러셔를 통해 분쇄되는 폐기물을 다단 구조의 진동스크린 상에서 입경별로 다단 분리 선별하는 진동선별기; 상기 진동선별기를 통해 걸러진 설정 입경 이상의 폐기물을 상기 트롬멜과 상기 콘크러셔 사이의 상기 제2벨트컨베이어 상으로 이동시키는 리턴컨베이어;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의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자력선별부를 연결하는 거치부; 및 상기 자력선별부를 통과하는 이물질의 크기에 따라 상기 거치부의 길이를 가변시켜 상기 자력선별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자력선별부는, 상기 지지플레임에 상기 거치부에 의해 거치되는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플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주동롤러; 상기 장착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롤러; 철재 이물질을 상기 장착플레임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대를 구비하고, 상기 주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를 감싸는 선별벨트; 및 상기 장착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선별벨트의 내부 측에 배치되어 철재 이물질이 상기 선별벨트에 부착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거치부는, 상기 지지플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출몰연결대; 상기 장착플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나사산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출몰연결대; 및 상기 제1출몰연결대와 상기 제2출몰연결대가 출몰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길이조절부가 설치되는 연결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제1출몰연결대와 상기 제2출몰연결대의 회전운동을 구속하는 돌기부와, 종동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출몰연결대의 단부와 상기 제2출몰연결대의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바; 상기 연결파이프에 설치되고, 상기 종동기어부와 기어연결되는 주동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바에 동력을 제공하는 조절모터;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상기 자력선별부 측으로 이동하는 폐기물의 크기를 감지하여 크기신호를 송신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송신되는 폐기물의 크기가 설정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조절모터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별벨트가 상기 주동롤러 및 상기 종동롤러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사행되면 이를 감지하여 사행신호를 송신하는 사행감지부; 및 상기 사행감지부로부터 송신되는 사행신호에 따라 상기 선별벨트를 상기 주동롤러 및 상기 종동롤러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복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사행감지부는, 상기 선별벨트의 진행방향과 직교되도록 상기 장착프레임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감지레일; 상기 감지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대; 상기 감지레일의 단부에 대향되도록 상기 장착대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 상기 감지레일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대가 상기 감지레일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대가 상기 스토퍼에 접촉되면 상기 제어부에 접촉신호를 송신하는 접촉감지센서; 및 상기 스토퍼와 상기 장착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복귀부는, 상기 장착대에 형성되는 랙부; 상기 랙부와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장착프레임에 설치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에 동력을 제공하는 복귀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복귀부는, 상기 종동롤러의 구동축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장착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회전축; 상기 종동롤러의 구동축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장착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에 형성되는 랙부; 상기 랙부와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장착프레임에 설치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에 동력을 제공하는 복귀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는, 리턴 방식이 적용되어 장치의 구성이 전체적으로 컴팩트하여 넓은 면적의 부지가 요구되지 않으며, 장치를 통한 선별과정 중 입도가 비교적 큰 오버사이즈(Over size)의 재생골재는 지속적인 리턴을 통해 일정 입경 이하로 파ㅇ분쇄됨으로써 보다 양질의 재생골재 및 토사 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는, 자력선별부를 통과하는 이물질의 크기에 따라 자력선별부의 위치를 가변시키면서 철재 이물질과 자력선별부 사이의 거리가 설정범위 내로 유지되므로 자력선별부에서 철재 이물질이 걸러지지 않는 오작동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는, 철재 이물질을 이동시키는 선별벨트가 측 방향으로 치우치게 사행되는 것을 감지하여 선별벨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선별벨트의 사행에 의한 자력발전부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가 도시된 평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가 도시된 측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의 자력선별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의 길이조절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의 길이조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의 사행감지부 및 복귀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의 복귀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의 복귀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의 복귀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가 도시된 평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가 도시된 측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의 자력선별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의 길이조절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의 길이조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의 사행감지부 및 복귀부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는, 호퍼(12)를 통해 투입된 피 파쇄물인 건설폐기물을 1차로 파쇄하는 죠크러셔(10)와, 죠크러셔(10)를 거치면서 파쇄된 피 파쇄물인 건설폐기물을 입경에 따라 분리 선별하는 트롬멜(30)과, 전처리된 피 파쇄물인 건설폐기물을 재차 분쇄하는 콘크러셔(40)와, 콘크러셔(40)를 거쳐 일정 입경이하로 분쇄된 건설폐기물을 입경 별로 재차 선별하는 진동선별기(50)와, 진동선별기(50)에 걸러진 오버 사이즈(Over size) 골재를 콘크러셔(40) 측으로 리턴(Return)시키는 리턴컨베이어(55)와, 제1벨트컨베이어(25)의 베이스프레임(212)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프레임(232)과 자력선별부(20)를 연결하는 거치부(250)와, 자력선별부(20)를 통과하는 이물질의 크기에 따라 거치부(250)의 길이를 가변시켜 자력선별부(20)의 위치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2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피 파쇄물인 건설폐기물의 분쇄 과정과 연계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호퍼(12)를 통해 투입되는 피 파쇄물인 건설폐기물은 죠크러셔(10)를 통해 일정 입경 이하로 1차 파쇄된다.
파쇄된 건설폐기물이 배출되는 죠크러셔(10)의 배출구 하방에는 선별스크린(14)이 배치된다.
죠크러셔(10)를 거치면서 일정 입경이하로 파쇄된 골재는 선별스크린(14)을 거쳐 선별스크린(14) 하방에 배치된 제1이송컨베이어(1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선별스크린(14)을 통해 걸러진 일정 입경 이상의 건설폐기물은 트롬멜(30)과 죠크러셔(10) 사이에 배치되는 제1벨트컨베이어(25)를 통해 트롬멜(30) 측으로 투입된다.
트롬멜(30)은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원통형 스크린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공급된 선별 대상물에 포함된 일정 입경 이하의 잔골재를 분리 선별한다.
트롬멜(30)의 투입구측 내측 단부에는 제1벨트컨베이어(25) 배출단이 위치하여 죠크러셔(10)를 거치면서 1차 파쇄된 건설폐기물을 제공한다.
죠크러셔(10)와 트롬멜(30) 사이에 위치한 제1벨트컨베이어(25) 라인 상에는 자력선별부(20)가 위치하면서 1차 파쇄된 건설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철재 이물질을 분리 선별한다.
따라서 트롬멜(30) 측으로 공급되는 피 파쇄물인 건설폐기물에는 철재 이물질, 즉 콘크리트 타설 시 배근된 철근이 포함되지 않는다.
트롬멜(30)을 거치면서 걸러진 일정 입경 이상의 건설폐기물은 제2벨트컨베이어(35)를 통해 콘크러셔(40)로 투입되어 재차 분쇄된다.
콘크러셔(40)는 상측 투입구에 형성된 호퍼(12)와 하부측 배출구 사이의 장치 내부에 햄머를 갖는 공지된 구성의 콘크러셔(40)이다.
콘크러셔(40) 배출구 하방에는 제3벨트컨베이어(45)가 위치하면서 잘게 분쇄된 건설폐기물을 진동선별기(50)측으로 이동시킨다.
진동선별기(50)는 상기와 같이 콘크러셔(40)를 통해 재차 분쇄된 건설폐기물을 제공받아 진동되는 스크린 상에서 골재를 입도별로 분리 선별한다.
진동선별기(50)는 상하 다단으로 설치된 진동스크린(500)을 구비하고 있으며, 진동스크린(500)이 다단 설치된 진동선별기(50) 일측에는 다단의 진동스크린(500)을 거치면서 걸러진 일정 입경 이상의 골재가 배출되는 통로(510)가 형성되어 있다.
리턴컨베이어(55)는 진동선별기(50)의 통로 하방에 그 일단이 위치하며 타단은 트롬멜(30)과 콘크러셔(40) 사이의 제2벨트컨베이어(35) 일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진동선별기(50)를 통해 걸러진 일정 입경 이상의 골재를 다시 제2벨트컨베이어(35) 상으로 리턴시키며, 리턴된 일정 입경 이상의 골재는 콘크러셔(40)를 재차 거치면서 일정 입경이하로 분쇄된다.
이러한 리턴 과정은 골재가 진동선별기(50)의 진동스크린(500)을 통과할 수 있는 입경이 될 때 까지 반복해서 진행된다.
또한, 제1벨트컨베이어(25) 중간에는 작업자에 의해 분리 선별된 협잡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협잡물 이송컨베이어(26)가 교차되게 배치된다.
협잡물 이송컨베이어(26) 배출단 측 지상에는 폐기물 운반 차량 등이 진입될 수 있는 협잡물 집하장(28)이 마련된다.
따라서 협잡물 이송컨베이어(26)를 통해 배출되는 협잡물은 협잡물 집하장(28) 또는 이 협잡물 집하장(28)에 진입된 폐기물 운반 차량(도면상 미도시)으로 바로 적재 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00, 300은 각각 트롬멜(30), 진동선별기(50) 하방에 마련되어 해당 장치를 거치면서 선별된 선별 토사 및 골재를 이송시키는 제2이송컨베이어(200), 제3이송컨베이어(300)를 가리킨다.
자력선별부(20)는, 지지플레임에 거치부(250)부에 의해 거치되는 장착프레임(234)과, 장착플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모터(239)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주동롤러(236)와, 장착프레임(23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롤러(238)와, 철재 이물질을 장착플레임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대(237a)를 구비하고, 주동롤러(236)와 종동롤러(238)를 감싸는 선별벨트(237)와, 장착프레임(234)에 설치되고, 선별벨트(237)의 내부 측에 배치되어 철재 이물질이 선별벨트(237)에 부착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전자석(20a)을 포함한다.
제1벨트컨베이어(25)를 따라 이동되는 피 파쇄물 중에 포함되는 철재 이물질은 전자석(20a)으로부터 제공되는 자기력에 의해 선별벨트(237)의 저면에 부착되고, 구동모터(239)에 의해 회전되는 주동롤러(236) 및 종동롤러(238)에 의해 선별벨트(237)가 측 방향으로 철재 이물질을 이동시키게 된다.
선별벨트(237)에 부착되어 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철재 이물질은 제1벨트컨베이어(25) 외측으로 이동되고, 가압대(237a)에 의해 장착프레임(234) 측으로 가압되면서 선별벨트(237)로부터 떨어지게 되다.
따라서 트롬멜(30)로 공급되는 피 파쇄물 중에는 철재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공급되므로 철재 이물질에 의해 트롬멜(30)이 오작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가압대(237a)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가압대(237a)의 단면 형상은 'ㄴ' 모양으로 굴곡되며, 선별벨트(237)의 진행방향과 직교되도록 선별벨트(237)의 외벽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선별벨트(237)의 저면에 부착되는 철재 이물질은 가압대(237a)에 의해 제1벨트컨베이어(25) 외측으로 가압되므로 선별벨트(237)와 철재 이물질이 슬립되면서 철재 이물질이 전자석(20a) 하부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거치부(250)는, 지지플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나사산(254a)이 형성되는 제1출몰연결대(254)와, 장착플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나사산(254a)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나사산(256a)이 형성되는 제2출몰연결대(256)와, 제1출몰연결대(254)와 제2출몰연결대(256)가 출몰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조절부(270)가 설치되는 연결파이프(252)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232)은 육면체의 모서리를 연결한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지지프레임(232)의 상면에 형성되는 꼭짓점 부위에 4개의 거치부(250)가 설치되고, 4개의 거치부(250)는 각각 장착프레임(234)에 연결된다.
따라서 장착프레임(234)은 4개의 거치부(250)에 의해 제1벨트컨베이어(25) 상부 측에 배치되도록 거치된다.
제1벨트컨베이어(25)는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작업자는 거치부(250)에 설치되는 길이조절부(270)를 조작하여 거치부(2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자력선별부(20)와 제1벨트컨베이어(25)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자력선별부(20)의 각도를 제1벨트컨베이어(25)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1출몰연결대(254) 및 제2출몰연결대(256)는 각각 일단에 힌지고정부(258)가 형성되고, 둘레면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1나사산(254a) 및 제2나사산(256a)이 형성된다.
연결파이프(252)의 상단으로 제1출몰연결대(254)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연결파이프(252)의 하단으로 제2출몰연결대(256)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단과 하단에 각각 다른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길이조절부(270)의 작동으로 연결파이프(252)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출몰연결대(254)와 제2출몰연결대(256)가 연결파이프(252)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거치부(250)의 길이가 증가되고, 길이조절부(270)의 작동으로 연결파이프(25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출몰연결대(254)와 제2출몰연결대(256)가 연결파이프(252) 내측으로 삽입도면서 거치부(250)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길이조절부(270)는, 제1출몰연결대(254)와 제2출몰연결대(256)의 회전운동을 구속하는 돌기부(272a)와, 종동기어부(272b)를 구비하고, 제1출몰연결대(254)의 단부와 제2출몰연결대(256)의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바(272)와, 연결파이프(252)에 설치되고, 종동기어부(272b)와 기어연결되는 주동기어(274a)가 설치되며, 슬라이드바(272)에 동력을 제공하는 조절모터(274)와, 제1벨트컨베이어(25)를 따라 자력선별부(20) 측으로 이동하는 폐기물의 크기를 감지하여 크기신호를 송신하는 센싱부(276)와, 센싱부(276)로부터 송신되는 폐기물의 크기가 설정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조절모터(274)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바(272)는 봉 모양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드바(272)의 둘레면에는 4개의 돌기부(272a)가 90도의 각고를 유지하며 돌출되고, 슬라이드바(272)가 삽입되는 제1출몰연결대(254) 및 제2출몰연결대(256)의 단부에는 슬라이드바(272)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홈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드바(272)의 양단부가 제1출몰연결대(254) 및 제2출몰연결대(256)의 단부에 삽입되면 제1출몰연결대(254)와 제2출몰연결대(256)는 슬라이드바(272)에 의해 연결된다.
슬라이드바(272)는 둘레면에 다수 개의 돌기부(272a)가 형성되므로 제1출몰연결대(254)와 제2출몰연결대(25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지만 회전운동은 구속된다.
따라서 조절모터(274)의 구동력이 슬라이드바(272)에 전달되면 슬라이드바(272)는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조절모터(274)가 설치되는 연결파이프(252)가 회전운동을 행하게 되고, 연결파이프(252)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 연결파이프(252)와 제1나사산(254a) 및 제2나사산(256a)으로 결합된 제1출몰연결대(254) 및 제2출몰연결대(256)가 연결파이프(252) 외측 또는 내측으로 출몰된다.
센싱부(276)는 제1벨트컨베이어(25)를 따라 이송되는 피 파쇄물의 크기를 측정하며, 피 파쇄물의 크기가 자력선별부(20)와 제1벨트컨베이어(25) 사이의 간격보다 크면 센싱부(276)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700)에서 작동신호를 송신하여 조절모터(274)를 구동시키게 된다.
조절모터(274)가 구동되면 제1출몰연결대(254) 및 제2출몰연결대(256)가 연결파이프(252)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출몰되면서 거치부(250)의 길이를 가변시키므로 자력선별부(20)와 제1벨트컨베이어(25)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자력선별부(20)와 제1벨트컨베이어(25)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는 오작동과, 자력선별부(20)와 제1벨트컨베이어(25) 사이의 간격이 넓어 철재 이물질이 자력선별부(20)에 부착되지 않고 통과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선별벨트(237)가 주동롤러(236) 및 종동롤러(238)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사행되면 이를 감지하여 사행신호를 송신하는 사행감지부(280)와, 사행감지부(280)로부터 송신되는 사행신호에 따라 선별벨트(237)를 주동롤러(236) 및 종동롤러(238)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복귀부(290)를 더 포함한다.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벨트컨베이어(25)의 상부에 자력선별부(2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자력선별부(20)도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장기간 자력선별부(20)를 구동시키면 선별벨트(237)가 하측으로 치우치게 사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선별벨트(237)가 사행되면 사행감지부(280)로부터 감지신호가 송신되고, 제어부(700)에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700)에서 구동신호를 송시하면 복귀부(290)의 작동에 의해 선별벨트(237)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선별벨트(237)의 사행에 의한 자력선별부(20)의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사행감지부(280)는, 선별벨트(237)의 진행방향과 직교되도록 장착프레임(234)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감지레일(282)과, 감지레일(28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대(284)와, 감지레일(282)의 단부에 대향되도록 장착대(284)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286)와, 감지레일(282)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장착대(284)가 감지레일(282)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282a)와, 스토퍼(282a)에 설치되고, 장착대(284)가 스토퍼(282a)에 접촉되면 제어부(700)에 접촉신호를 송신하는 접촉감지센서(288)와, 스토퍼(282a)와 장착대(284)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282b)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감지레일(282)은 주동롤러(236)와 종동롤러(238) 사이에 배치되도록 장착프레임(234)에 설치되고, 감지레일(282)에는 각각 장착대(28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장착대(284)의 양단부에는 각각 가이드롤러(286)가 설치되므로 선별벨트(237)의 전방 측 단부와 후방 측 단부와 대향되도록 가이드롤러(286)가 배치된다.
선별벨트(237)가 사행되어 주동롤러(236) 및 종동롤러(238)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되면 선별벨트(237)의 전방 측 단부 또는 후방 측 단부가 가이드롤러(286)를 장착프레임(234) 외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가이드롤러(286)가 장착프레임(234) 외측으로 이동되면 장착대(284)가 감지레일(282)을 따라 장착프레임(234)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롤러(286) 및 장착대(284)가 감지레일(282)을 따라 장착프레임(234) 외측으로 이동되면 가이드롤러(286)가 탄성부재(282b)를 압축시키면서 스토퍼(282a)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접촉감지센서(288)로부터 감지신호가 제어부(700)에 송신되고, 제어부(700)로부터 송신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복귀부(290)가 작동되면서 선별벨트(237)를 주동롤러(236) 및 종동롤러(238)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복귀부(290)는, 장착대(284)에 형성되는 랙부(292)와, 랙부(292)와 기어연결되도록 장착프레임(234)에 설치되는 피니언(294)과, 피니언(294)에 동력을 제공하는 복귀모터(296)를 포함한다.
제어부(700)로부터 송신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복귀모터(296)에 전원이 공급되면 복귀모터(296)가 구동되면서 피니언(294)을 회전시키므로 랙부(292)가 형성되는 장착대(284)가 주동롤러(236) 및 종동롤러(238)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장착대(284)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286)가 선별벨트(237)를 주동롤러(236) 및 종동롤러(238)의 중앙부 측으로 가압하여 선별벨트(237)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선별작동이 진행되는 동안 선별벨트(237)의 복귀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선별벨트(237)의 사행이 발생되는 경우에 조업을 중단하지 않고 선별벨트(237)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죠크러셔(10)를 거치면서 1차 적으로 파쇄된 건설폐기물이 선별스크린(14)을 거쳐 선별스크린(14) 하방에 배치된 제1이송컨베이어(1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선별스크린(14)을 통해 걸러진 일정 입경 이상의 건설폐기물은 트롬멜(30)과 죠크러셔(10) 사이에 배치되는 제1벨트컨베이어(25)를 통해 트롬멜(30) 측으로 투입된다.
제1벨트컨베이어(25) 중간에는 작업자에 의해 분리 선별된 협잡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협잡물 이송컨베이어(26)가 교차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협잡물 이송컨베이어(26) 배출단 측 지상에는 폐기물 운반 차량 등이 진입될 수 있는 협잡물 집하장(28)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협잡물 이송컨베이어(26)를 통해 배출되는 협잡물이 협잡물 집하장(28) 또는 이 협잡물 집하장(28)에 진입된 폐기물 운반 차량으로 바로 적재 될 수 있다.
또한, 죠크러셔(10)와 트롬멜(30) 사이에 위치한 제1벨트컨베이어(25) 라인 상에는 자력선별기(20)가 위치하면서 1차 파쇄된 건설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철재 이물질을 분리 선별한다.
따라서 트롬멜(30) 측으로 공급되는 피 파쇄물인 건설폐기물에는 철재 이물질, 즉 콘크리트 타설 시 배근된 철근이 포함되지 않는다.
자력선별부(20) 측으로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의 크기가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센싱부(276)로부터 송신되는 크기신호에 따라 제어부(700)에서 작동신호가 송신되어 조절모터(274)에 전원이 공급된다.
조절모터(274)가 구동되면 주동기어(274a) 및 종동기어부(272b)에 의해 조절모터(274)의 동력이 슬라이드바(272)에 전달된다.
이때, 슬라이드바(272)는 제1출몰연결대(254) 및 제2출몰연결대(256)에 삽입되는 돌기부(272a)에 의해 회전운동이 구속되므로 종동기어부(272b)를 중심으로 주동기어(274a) 및 조절모터(274)가 회전되면서 연결파이프(252)가 회전하게 된다.
연결파이프(252)가 회전되면 연결파이프(252)의 상단 및 하단에 제1나사산(254a)과 제2나사산(256a)에 의해 결합되는 제1출몰연결대(254) 및 제2출몰연결대(256)가 연결파이프(252)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거치부(250)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장착프레임(234)을 상승시키므로 자력선별부(20)와 제1벨트컨베이어(25)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철재 이물질이 자력선별부(20)와 제1벨트컨베이어(25) 사이의 간격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자력선별부(20)와 제1벨트컨베이어(25)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는 철재 이물질은 전자석(20a)으로부터 제공되는 자기력에 의해 선별벨트(237)의 저면에 부착되고, 주동롤러(236) 및 종동롤러(238)의 회전에 의해 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압대(237a)에 의해 철재 이물질은 제1벨트컨베이어(25) 외측으로 이동된다.
제1벨트컨베이어(25) 외측으로 이동되는 철재 이물질은 장착프레임(234)의 단부에 걸리면서 선별벨트(237)와 같이 회전되지 못하고 제1벨트컨베이어(25) 외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후에, 제1벨트컨베이어(25)를 통과하는 건설폐기물의 크기가 작아지면 센싱부(276)로부터 제어부(700)를 통해 송신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조절모터(274)가 역회전되면서 거치부(250)의 길이를 증가시켜 자력선별부(20)와 제1벨트컨베이어(25) 사이의 간격을 줄이게 된다.
따라서 자력선별부(20)를 통과하는 철재 이물질에 자기력이 전달되지 않아 철재 이물질이 자력선별부(20)에 접착되지 않고 통과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선별작업이 장기간 진행되면 선별벨트(237)가 주동롤러(236) 및 종동롤러(238)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사행될 수 있는데, 선별벨트(237)가 사행되면 선별벨트(237)의 단부가 가이드롤러(286)를 장착프레임(234) 외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가이드롤러(286)가 장착프레임(234) 외측으로 가압되면 장착대(284)가 감지레일(28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가이드롤러(286)와 스토퍼(282a)가 접촉되어 접촉감지센서(288)로부터 감지신호가 제어부(700)에 송신되고, 제어부(700)로부터 작동신호가 송신된다.
제어부(700)로부터 송신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복귀모터(296)에 전원이 공급되면 피니언(294)이 회전되면서 랙부(292) 및 장착대(284)를 주동롤러(236) 및 종동롤러(238)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시키므로 가이드롤러(286)가 선별벨트(237)를 가압하여 선별벨트(237)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철재 이물질 제거작업이 진행된 후에 건설폐기물은 트롬멜(30) 측으로 공급된다.
트롬멜(30) 측으로 공급되는 이물질이 어느 정도 제거된 골재는 트롬멜(30)을 거치면서 선별 대상물에 포함된 일정 입경 이하의 토사 및 잔골재가 분리 선별된다.
트롬멜(30)을 통과한 일정 입경 이하의 토사 및 골재는 제2이송컨베이어(200)를 통해 일측으로 이송되어 적재되며, 트롬멜(30)에 의해 걸러진 일정 입경 이상의 골재는 제2벨트컨베이어(35)를 거쳐 콘크러셔(40)로 투입되어 재차 파ㅇ분쇄된다.
콘크러셔(40)를 통해 재차 파ㅇ분쇄된 골재는 제2벨트컨베이어(45)를 거쳐 진동선별기(50) 측으로 제공된다.
진동선별기(50)는 상기와 같이 콘크러셔(40)를 통해 재차 분쇄된 건설폐기물을 제공받아 진동되는 다단 진동스크린(500) 의해서 골재를 입도별로 분리 선별한다.
선별된 일정 입경이하의 선별 골재 및 토사는 진동선별기(50) 하방에 배치된 제3이송컨베이어(300)를 통해 일측으로 이송되어 적재되며, 다단의 진동스크린(500)을 거치면서 걸러진 일정 입경 이상의 골재는 리턴컨베이어(55)를 통해 트롬멜(30)과 콘크러셔(40) 사이의 제2벨트컨베이어(35) 측으로 리턴된다.
리턴된 일정 입경 이상의 골재는 콘크러셔(40)를 재차 거치면서 일정 입경이하로 분쇄된다.
이러한 리턴과정은 골재가 진동선별기(50)의 진동스크린(500)을 통과할 수 있는 입경이 될 때 까지 반복해서 진행된다.
따라서 계속되는 콘크러셔(40)에 의한 분쇄 및 진동스크린(500)에 의한 선별에 의해서 결과적으로 일정 입경 이하의 양질의 토사 및 골재를 양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죠크러셔(10)를 통해 1차 파ㅇ분쇄된 건설폐기물이 제1벨트컨베이어(25)를 거치면서 그에 포함되어 있던 협잡물 및 철재 이물질이 분리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트롬멜(30)에서는 보다 질 높은 골재의 선별이 가능하고, 또한, 리턴 컨베이어(55)의 배치로 인하여 골재가 진동선별기(50)의 진동스크린(500)을 통과할 수 있는 입경이 될 때 까지 반복해서 분쇄과정을 거친다.
그 결과, 넓은 면적의 부지가 요구되지 않으면서도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재생골재 및 토사를 입경 별로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의 복귀부(290)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의 복귀부(290)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의 복귀부(290)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순환 골재 생산장치의 복귀부(390)는, 종동롤러(338)의 구동축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장착프레임(33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회전축(397)과, 종동롤러(338)의 구동축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장착프레임(33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395)과, 이동블록(395)에 형성되는 랙부(392)와, 랙부(392)와 기어연결되도록 장착프레임(334)에 설치되는 피니언(394)과, 피니언(394)에 동력을 제공하는 복귀모터(396)를 포함한다.
장착프레임(334)은 'ㅁ'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장착프레임(334)의 전후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주동롤러(336)와 종동롤러(338)가 간격을 유지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종동롤러(338)의 회전축 일단에는 힌지회전축(397)이 설치되어 종동롤러(33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힌지회전축(397)도 베어링(399)에 의해 장착프레임(334)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종동롤러(338)의 타단이 슬라이딩되면 힌지회전축(397)이 회전되면서 종동롤러(338)의 설치방향이 바뀌게 된다.
종동롤러(338)의 회전축 타단에는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장착프레임(33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395)이 설치된다.
이동블록(395)은 장착프레임(334)에 설치되는 곡선형의 복귀레일(39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곡선의 평면형상을 이루는 블록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복귀레일(393) 사이의 간격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프레임(334)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동블록(395)의 외측면에는 랙부(392)가 형성되고, 장착프레임(334)의 일측에는 복귀모터(396)가 설치되며, 복귀모터(396)의 구동축에는 랙부(392)와 기어연결되는 피니언(394)이 설치된다.
따라서 선별벨트(337)가 주동롤러(336) 및 종동롤러(338)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사행되면 선별벨트(337)가 가이드롤러(386)를 장착프레임(334) 외측으로 가압하고, 가이드롤러(386)가 장착프레임(334) 외측으로 이동되면 장착대(384)가 감지레일(382)을 따라 이동하고, 가이드롤러(386)와 스토퍼(382a)가 접촉되면서 접촉감지센서(288 : 도 7 참조)와 접촉된다.
접촉감지센서(288)로부터 송신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700 : 도 7 참조)에서 작동신호를 송신하므로 복귀모터(396)에 전원이 인가되고, 복귀모터(396)의 동력이 피니언(394) 및 랙부(392)를 통해 이동블록(395)에 전달되어 이동블록(395)이 복귀레일(39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동블록(395)이 복귀레일(393)을 따라 이동하면 종동롤러(338)가 힌지회전축(39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종동롤러(338)와 주동롤러(336) 사이의 간격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변형되면서 간격이 좁은 쪽으로 선별벨트(337)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선별벨트(337)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선별벨트(337)가 주동롤러(336) 및 종동롤러(338)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선별벨트(337)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재생골재를 입도별로 선별할 수 있고, 폐기물에 포함되는 철재 이물질을 선별하는 자력선별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자력선별부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순환 골재 생산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순환 골재 생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순환 골재 생산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생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죠크러셔 14 : 선별스크린
20 : 자력선별부 25 : 제1벨트컨베이어
26 : 협잡물 이송컨베이어 28 : 협잡물 집하장
30 : 트롬멜 35 : 제2벨트컨베이어
40 : 콘크러셔 45 : 제3벨트컨베이어
50 : 진동스크린 55 : 리턴컨베이어
212 : 베이스프레임 232 : 지지프레임
234 : 장착프레임 236 : 주동롤러
237 : 선별벨트 237a : 가압대
238 : 종동롤러 239 : 구동모터
250 : 거치부 252 : 연결파이프
254 : 제1출몰연결대 254a : 제1나사산
256 : 제2출몰연결대 256a : 제2나사산
258 : 힌지고정부 270 : 길이조절부
272 : 슬라이드바 272a : 돌기부
272b : 종동기어부 274 : 조절모터
274a ; 주동기어 280 : 사행감지부
282 : 감지레일 282a : 스토퍼
282b : 탄성부재 284 : 장착대
286 : 가이드롤러 288 : 접촉감지센서
290, 390 : 복귀부 292, 392 : 랙부
294, 394 : 피니언 296, 396 : 복귀모터
393 : 복귀레일 395 : 이동블록
397 : 힌지회전축 399 : 베어링

Claims (8)

  1. 호퍼를 통해 투입된 피 파쇄물인 폐기물을 1차로 파쇄하며, 파쇄된 폐기물이 배출되는 그 배출구 하방에는 선별스크린이 배치되는 죠크러셔;
    상기 선별스크린을 통해 걸러진 일정 입경 이상의 폐기물을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1벨트컨베이어에 배치되어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철재 이물질을 분리 선별하는 자력선별부;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 배출단이 그 내측단부에 위치하는 한편, 원통형 스크린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를 통해 투입된 폐기물을 재차 선별하는 트롬멜;
    상기 트롬멜 배출단 측과 제2벨트컨베이어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트롬멜을 거치면서 걸러진 일정 입경 이상의 폐기물을 다시 분쇄하는 콘크러셔;
    상기 콘크러셔와 제3벨트컨베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콘크러셔를 통해 분쇄되는 폐기물을 다단 구조의 진동스크린 상에서 입경별로 다단 분리 선별하는 진동선별기;
    상기 진동선별기를 통해 걸러진 설정 입경 이상의 폐기물을 상기 트롬멜과 상기 콘크러셔 사이의 상기 제2벨트컨베이어 상으로 이동시키는 리턴컨베이어;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의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자력선별부를 연결하는 거치부; 및
    상기 자력선별부를 통과하는 이물질의 크기에 따라 상기 거치부의 길이를 가변시켜 상기 자력선별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생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선별부는,
    상기 지지플레임에 상기 거치부에 의해 거치되는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플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주동롤러;
    상기 장착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롤러;
    철재 이물질을 상기 장착플레임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대를 구비하고, 상기 주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를 감싸는 선별벨트; 및
    상기 장착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선별벨트의 내부 측에 배치되어 철재 이물질이 상기 선별벨트에 부착되도록 자기력을 제공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생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지지플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출몰연결대;
    상기 장착플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나사산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출몰연결대; 및
    상기 제1출몰연결대와 상기 제2출몰연결대가 출몰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길이조절부가 설치되는 연결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생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제1출몰연결대와 상기 제2출몰연결대의 회전운동을 구속하는 돌기부와, 종동기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출몰연결대의 단부와 상기 제2출몰연결대의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드바;
    상기 연결파이프에 설치되고, 상기 종동기어부와 기어연결되는 주동기어가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바에 동력을 제공하는 조절모터;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상기 자력선별부 측으로 이동하는 폐기물의 크기를 감지하여 크기신호를 송신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송신되는 폐기물의 크기가 설정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조절모터에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생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벨트가 상기 주동롤러 및 상기 종동롤러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사행되면 이를 감지하여 사행신호를 송신하는 사행감지부; 및
    상기 사행감지부로부터 송신되는 사행신호에 따라 상기 선별벨트를 상기 주동롤러 및 상기 종동롤러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복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생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감지부는,
    상기 선별벨트의 진행방향과 직교되도록 상기 장착프레임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감지레일;
    상기 감지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대;
    상기 감지레일의 단부에 대향되도록 상기 장착대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
    상기 감지레일의 양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대가 상기 감지레일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대가 상기 스토퍼에 접촉되면 상기 제어부에 접촉신호를 송신하는 접촉감지센서; 및
    상기 스토퍼와 상기 장착대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생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는,
    상기 장착대에 형성되는 랙부;
    상기 랙부와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장착프레임에 설치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에 동력을 제공하는 복귀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생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는,
    상기 종동롤러의 구동축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장착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회전축;
    상기 종동롤러의 구동축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장착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에 형성되는 랙부;
    상기 랙부와 기어연결되도록 상기 장착프레임에 설치되는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에 동력을 제공하는 복귀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 골재 생산장치.
KR1020130062989A 2013-05-31 2013-05-31 순환 골재 생산장치 KR20140141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2989A KR20140141342A (ko) 2013-05-31 2013-05-31 순환 골재 생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2989A KR20140141342A (ko) 2013-05-31 2013-05-31 순환 골재 생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342A true KR20140141342A (ko) 2014-12-10

Family

ID=52458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2989A KR20140141342A (ko) 2013-05-31 2013-05-31 순환 골재 생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1342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5256A (zh) * 2015-09-29 2015-12-30 浙江海洋学院 一种混凝土边料回收装置
CN108783479A (zh) * 2018-08-02 2018-11-13 江西银树农林科技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油茶果壳籽脱离与壳籽分离集成装置
CN108892215A (zh) * 2018-05-02 2018-11-27 张平 生活废水处理用明矾破碎及撒料一体化设备
CN110315636A (zh) * 2019-07-31 2019-10-11 大唐东营发电有限公司 一种发电厂用废渣回收利用装置
CN110813531A (zh) * 2019-11-04 2020-02-21 青川县双龙砂业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石英砂除铁磁选装置
CN112371484A (zh) * 2020-12-02 2021-02-19 河南久鼎过滤设备有限公司 一种压滤机用废料分离输送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657592A (zh) * 2020-12-09 2021-04-16 滁州市聚康扬电器有限公司 一种五金电器零件用的分拣设备
KR102263086B1 (ko) * 2020-04-20 2021-06-15 윤학근 순환 골재 생산장치
KR102358583B1 (ko) * 2021-05-28 2022-02-15 윤학근 순환골재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순환골재 재생방법
CN114870954A (zh) * 2022-03-02 2022-08-09 常秀芹 一种用于银铅精矿的破碎设备
KR102459522B1 (ko) * 2022-02-18 2022-10-27 윤훈철 순환토사 생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토사 생산방법
CN115652076A (zh) * 2022-12-27 2023-01-31 河北绿茵工贸有限公司 冶金固废球团焙烧设备
CN117630305A (zh) * 2024-01-25 2024-03-01 安溪中科绿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食品工程检测设备及其使用方法
CN117981568A (zh) * 2024-04-03 2024-05-07 襄垣县仁达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玉米籽粒清选装置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5256A (zh) * 2015-09-29 2015-12-30 浙江海洋学院 一种混凝土边料回收装置
CN108892215A (zh) * 2018-05-02 2018-11-27 张平 生活废水处理用明矾破碎及撒料一体化设备
CN108783479A (zh) * 2018-08-02 2018-11-13 江西银树农林科技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油茶果壳籽脱离与壳籽分离集成装置
CN110315636A (zh) * 2019-07-31 2019-10-11 大唐东营发电有限公司 一种发电厂用废渣回收利用装置
CN110813531B8 (zh) * 2019-11-04 2024-03-26 青川县双龙砂业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石英砂除铁磁选装置
CN110813531A (zh) * 2019-11-04 2020-02-21 青川县双龙砂业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石英砂除铁磁选装置
CN110813531B (zh) * 2019-11-04 2022-03-25 青川县双龙砂业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石英砂除铁磁选装置
KR102263086B1 (ko) * 2020-04-20 2021-06-15 윤학근 순환 골재 생산장치
CN112371484A (zh) * 2020-12-02 2021-02-19 河南久鼎过滤设备有限公司 一种压滤机用废料分离输送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657592A (zh) * 2020-12-09 2021-04-16 滁州市聚康扬电器有限公司 一种五金电器零件用的分拣设备
KR102358583B1 (ko) * 2021-05-28 2022-02-15 윤학근 순환골재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순환골재 재생방법
KR102459522B1 (ko) * 2022-02-18 2022-10-27 윤훈철 순환토사 생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순환토사 생산방법
CN114870954B (zh) * 2022-03-02 2024-02-06 博德凯石机械设备(营口)有限公司 一种用于银铅精矿的破碎设备
CN114870954A (zh) * 2022-03-02 2022-08-09 常秀芹 一种用于银铅精矿的破碎设备
CN115652076A (zh) * 2022-12-27 2023-01-31 河北绿茵工贸有限公司 冶金固废球团焙烧设备
CN117630305A (zh) * 2024-01-25 2024-03-01 安溪中科绿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食品工程检测设备及其使用方法
CN117630305B (zh) * 2024-01-25 2024-04-05 安溪中科绿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食品工程检测设备及其使用方法
CN117981568A (zh) * 2024-04-03 2024-05-07 襄垣县仁达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玉米籽粒清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1342A (ko) 순환 골재 생산장치
KR102263086B1 (ko) 순환 골재 생산장치
JP5770780B2 (ja) がれき類処理装置
KR101260026B1 (ko) 파분쇄 및 선별을 이용한 고철 폐기물 재생 장치
CN103934204B (zh) 垃圾处理预分选装置
KR101434571B1 (ko) 쓰레기 재활용 자원선별시스템
JP2525270B2 (ja) 構築廃材の水力利用選別方法及び構築廃材の水力利用選別装置
KR101685025B1 (ko)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AU2018256488B2 (en) Disc Screen for th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WO2021114517A1 (zh) 一种双分级式组合磁选机及磁性矿干法粉磨分选***
KR200424354Y1 (ko) 진동과 상하완충 수단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분급 이송 장치
KR102160806B1 (ko)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KR20170106873A (ko) 폐전선 동선 분리 및 피복 재활용 장치 및 분리방법
CA2213937A1 (en) Solid substance granulating apparatus loaded on a vehicle
KR101641671B1 (ko) 가열식 재생아스콘 혼합물 제조장치
CN110586629B (zh) 垃圾粗处理方法
KR102390539B1 (ko) 자동 골재 파쇄 및 선별 시스템
KR100641400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US20180333728A1 (en) Apparatus for homogenization and separation of substance mixtures composed of particles
KR100698024B1 (ko) 진동과 상하완충 수단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분급 이송 방법
CN114101273A (zh) 一种建筑垃圾的回收加工处理方法
WO2000071257A1 (en) Reducer and separator for preparing gypsum board and other products for recycling
KR100574882B1 (ko) 자유 상하완충 및 좌우회전 수단을 이용한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뭉침 방지 방법
KR200370561Y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CN208912480U (zh) 一种多螺杆机扫垃圾筛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