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847A - 발포정 정제 및 화장수를 포함하는 화장용 키트 - Google Patents

발포정 정제 및 화장수를 포함하는 화장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847A
KR20140140847A KR20130061761A KR20130061761A KR20140140847A KR 20140140847 A KR20140140847 A KR 20140140847A KR 20130061761 A KR20130061761 A KR 20130061761A KR 20130061761 A KR20130061761 A KR 20130061761A KR 20140140847 A KR20140140847 A KR 20140140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lotion
comparative example
weigh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1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7798B1 (ko
Inventor
정주아
백병열
이창근
권이경
배준호
김영소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30061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798B1/ko
Priority to MYPI2015704121A priority patent/MY172147A/en
Priority to CN201480030512.0A priority patent/CN105263463B/zh
Priority to US14/892,081 priority patent/US9687430B2/en
Priority to PCT/KR2014/002392 priority patent/WO2014193076A1/ko
Priority to SG11201509473UA priority patent/SG11201509473UA/en
Priority to TW103115554A priority patent/TWI625132B/zh
Publication of KR20140140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847A/ko
Priority to HK16106718.0A priority patent/HK1218716A1/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7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0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 A61K9/0007Efferv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2Mixing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은 수용성 활택제를 함유하는 발포형 정제 및 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탄산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면에서, 결정형 알파하이드록시산 및 수용성 활택제를 포함하는 발포형 정제와 이를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 부유하지 않고 빠르게 탄산을 발포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각적 효과와 더불어 탄산의 효능을 극대화함으로써 피부 미백, 브라이트닝, 보습 효과가 있고, 모공을 개선하는 화장수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포정 정제 및 화장수를 포함하는 화장용 키트 {COSMETIC KIT CONTAINING BUBBLING TABLET AND SKIN WATER}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발포형 정제 및 화장수를 포함하는 화장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탄산수를 포함하는 화장수에 관한 것이다.
발포형 정제는 의약품에서 주로 위 체류정과 같이 위액 상층부에 부유하여 약물을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제형에 많이 쓰이고 있다. 부력시스템은 약물을 포함하는 제형 내에 기포(주로 CO2) 발생 성분(carbonate, bicarbonate salts)을 추가로 포함시켜 발생 되는 기포에 의해 제형의 밀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위 내부의 위액 상단부에 부유하도록 설계된 제형이다. 반응은 주로 하기의 반응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NaHCO3 + 위액 → NaHCO3 + H+ → Na+ + H2O + CO2
그 외에도 발포형 정제는 식품산업에서 비타민 C를 안정화하기에 용이하여 물에 떨어뜨려서 용해시켜 마시는 비타민 C 발포 정제로도 많이 쓰이고 있다.
한국 특허 출원 제2010-0059497호
화장수의 경우, 물 외에도 보습제, 유연화제, 가용화제, 용매, 향료 등을 포함하고 있어 발포형 정제가 조성물 내에서 부유하거나 느리게 발포될 뿐만 아니라, 용기 토출부 크기를 고려했을 때 정제의 크기에 제한이 있다. 또한, 조성물을 단시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발포형 정제가 조성물 내에 침전물 없이 모두 용해되어야 하는 필요가 있다. 특히, 표면에서 탄산이 발포되는 경우 제형 상 소구하려는 탄산의 버블링 효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힘들고, 탄산의 휘발성으로 인해 화장수에 용존되기 보다 대기 중으로 휘발되는 탄산의 양이 많아지므로 탄산에 의한 피부효능을 전달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발포형 정제 및 화장수를 포함하는 화장용 키트를 제공한다. 다른 일측면에서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알파 하이드록시산, 결정형 알파 하이드록시산, 및 수용성 활택제를 포함하는 발포형 정제를 제공하며, 일측면에서는 수산기(-OH)를 가진 지방족 화합물, 에몰리언트(emollient), 계면활성제, 및 탄산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수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측면에서,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 알파 하이드록시산 : 결정형 알파 하이드록시산 : 수용성 활택제를 중량비가 3.0~70.0 : 1.0~70.0 : 1.0~70.0 : 1.0~5.0가 되도록 포함하는 발포형 정제를 제공하며, 일측면에서 수산기(-OH)를 가진 지방족 화합물 : 에몰리언트 : 계면활성제 : 탄산수를 중량비가 0~99.0 : 0~99.0 : 0.001~5.0 : 0.01~99.0가 되도록 포함하는 화장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비중과 표면장력을 최적화함으로써 발포형 정제가 화장수 내에서 우수한 발포력을 유지하면서도 부유가 지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장수에 일정량 이상의 탄산수를 함유시킬 뿐 아니라, 발포형 정제가 발포되면서 화장수 내의 탄산농도를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일측면에서, 화장수에 포함되어 있는 탄산기포가 모세혈관에 산소 포화도를 증가시키고 혈행을 개선하여 안색이 개선되고, 일측면에서 피부장벽을 강화시키고 각질 분화를 원할하게 유도하여 묵은 각질이 잘 탈락되고 건강한 각질층을 유지시킴으로써 피부 미백, 브라이트닝 및 보습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면에서 피부 장벽을 강화시키고 모공 주위의 탄력을 증가시켜 모공 그늘을 없애줌으로써 피부에 브라이트닝 및 모공케어 효과를 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화장용 키트는 발포형 정제 및/또는 화장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발포형 정제는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알파 하이드록시산; 결정형 알파 하이드록시산; 또는 수용성 활택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일측면에서 발포형 정제는 상기 소듐 바이카보네이트를 발포형 정제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70.0 중량% 포함할 수 있고, 일측면에서 10.0~40.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서 발포형 정제는 상기 알파 하이드록시산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70.0 중량 % 포함할 수 있고, 일측면에서 5.0~20.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서 발포형 정제는 상기 결정형 알파 하이드록시산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70.0 중량% 포함할 수 있고, 일측면에서 1.0~10.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서 발포형 정제는 상기 수용성 활택제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10.0 중량 % 포함할 수 있고, 일측면에서 1.0~5.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발포형 정제는 화장품 산업에서 비타민C(ascorbic acid), 코직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니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아세틸글루코사민(acetyl glucosamine), 미네랄(minerals) 등을 포함하는 수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할 수 있고, 피부에 이러한 유용한 성분들을 보다 시각적이고 신선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정형 알파 하이드록시산은 일측면에서, 함수형태 혹은 무수형태의 결정형 알파하이드록시산일 수 있고, 일측면에서 구연산 및/또는 아디픽산일 수 있다. 수용성 활택제는 일측면에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4000, 또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 6000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활택제는 성형 펀치의 윤활역할 및 혼합물의 흐름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발포정 정제는 일측면에서 알약형태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바인더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인더는 PVP 일 수 있다. 이 경우, 일측면에서 바인더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5.0 중량 %일 수 있고, 일측면에서 0.5~3.0 중량 %일 수 있다. 발포형 정제는 일측면에서, 알약형태로 성형하기 위해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일측면에서 필러로 만니톨, 유당 등의 부형제일 수 있다. 이 경우, 일측면에서 부형제는 발포형 정제를 구성하는 나머지 물질들의 함량을 100 중량%에서 뺀 함량(중량%)만큼 포함할 수 있다.
화장수는 일측면에서 수산기(-OH)를 가진 지방족 화합물, 에몰리언트(emollient), 계면활성제,및 탄산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장수 총 중량에 대하여 수산기(-OH)를 가진 지방족 화합물을 일측면에서, 0~99.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에몰리언트를 일측면에서, 0~99.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계면활성제를 일측면에서 0.001~5.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탄산수를 일측면에서 0.01~99.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수산기(-OH)를 가진 지방족 화합물로는 일측면에서 에탄올과 다가알코올인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측면에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에탄올 1.0~10.0 중량%, 일측면에서는 부틸렌글라이콜 0~15.0 중량%, 일측면에서는 에탄올 1.0~10.0 중량%와 부틸렌글라이콜 0~15.0 중량%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에몰리언트로는 디에톡시에틸석시네이트,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 아크릴릭에시드코폴리머, 피이지/피피지(PEG/PPG)-17/6 코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측면에서는 디에톡시에틸석시네이트 0~10.0 중량%, 일측면에서는 피이지/피피지-17/6코폴리머 0~10.0 중량%, 일측면에서는 디에톡시에틸석시네이트 0~10.0 중량%와 피이지/피피지-17/6코폴리머 0~10.0 중량%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피이지-60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옥틸도데세스-16(octyldodeceth-16), 폴리소르베이트 20(polysorbate 20), 옥틸도데세스-25, 레시틴(lecithin), 카프릴릴/카프릴 글루코사이드(caprylyl/capryl glucosid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측면에서는 피이지-60 하이드로지네이트 캐스터 오일 0.001~1.0 중량%, 일측면에서는 옥틸도데세스-16을 0~5.0 중량%, 일측면에서는 피이지-60 하이드로지네이트 캐스터 오일 0.001~1.0 중량%와 옥틸도데세스-16을 0~5.0 중량%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탄산수는 일측면에서 전체 화장수 중량 기준으로 0.01~99.0 중량%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측면에서는 전체 화장수 중량 기준으로 탄산수 25.0~99.0 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탄산수(carbonated water)란 적당한 염류를 함유한 물에 탄산가스를 용해시킨 것을 의미하며, 탄산가스가 함유된 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장수에 일정량 이상의 탄산수를 함유시켜, 화장수에 포함되어 있는 탄산기포가 모세혈관에 산소 포화도를 증가시키고 혈행을 개선하여 안색이 개선되고, 일측면에서 피부장벽을 강화시키고 각질 분화를 원할하게 유도하여 묵은 각질이 잘 탈락되고 건강한 각질층을 유지시킴으로써 피부 미백, 브라이트닝 및 보습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면에서 피부 장벽을 강화하고 모공 주위의 탄력을 증가시켜 모공 그늘을 없애줌으로써 피부에 브라이트닝 및 모공케어 효과를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포형 정제의 무수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 및 제조방법에 관해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발포형 정제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발포형 제형을 각각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원료명 (함량: 중량%) 실시예 1 비교예 1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30 30
결정형 구연산 15 -
파우더 구연산 - 15
만니톨 21 21
유당 30 30
PVP 1 1
폴리에틸렌글라이콜 3 3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제조방법>
(1) 고형성분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단,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은 제일 나중에 투입하여 약 3분간 혼합하였다.
(2) 상기 혼합물을 성형기에 넣어 원하는 형태와 중량 및 경도로 타정하여 발포형 제형을 얻었다.
[ 실시예 2] 화장수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하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예 2 및 비교예 2~11의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순번 원료명 실시예 2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비교예 11
1 물(탄산수)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50.00 0.001 50.00 50.00
2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3 디소듐 EDTA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4 부틸렌 글리콜 2.50 2.50 2.50 0.01 16.0 2.50 2.50 2.50 2.50 2.50 2.50
5 알코올 3.00 0.50 11.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6 PEG-60 하이드로지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0.05 0.05 0.05 0.05 0.05 0.0001 1.10 0.05 0.05 0.05 0.05
7 옥틸도데세스-16 0.10 0.10 0.10 0.10 0.10 0.10 0.10 5.10 0.10 0.10 0.10
8 보존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9 디에톡시에틸 석시네이트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11.0 0.10
10 PEG/PPG-17/6 코폴리머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11.0
11 향료(FRAGRANCE)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시예 2 및 비교예 2~11의 제조방법>
(1) 상기 표 2의 원료 1~4을 실온에서 용해하여 물 파트를 제조하였다.
(2) 별도의 용기에서 상기 표 2의 원료 5~11을 용해하여 알코올 파트를 제조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알코올 파트를 상기 (1)단계의 물 파트에 첨가하고 믹서로 교반하여 가용화하여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 시험예 1]
실시예 1,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것을 화장수에 넣어서 정제의 부유현상을 관찰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은 0.3g의 원기둥 모양의 정제 형태인 것을 이용하였고, 모두 120ml의 화장수에 넣어서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발포 정제 실시예 1 비교예 1
화장수 실시예 2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
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실시예 2, 비교예2~11
부유 시간 2분 이후 부유 2분 이내 부유 2분 이후 부유 2분 이후 부유 2분 이내 부유 2분 이후 부유 즉시 부유 2분 이내 부유 2분 이후 부유 2분 이후 부유 2분 이내 부유 즉시 부유
발포 시간 4분 이내 발포 4분 이내 발포 4분 이상 발포 4분 이내 발포 4분
이상
발포
4분 이내 발포 4분 이상 발포 4분 이내 발포 4분 이내 발포 4분 이내 발포 4분 이상 발포 6분 이상 발포
비고 눈시림, 건조함 보습감 부족 냉동, 냉온 안정도 탁도 증가 끈적임 끈적임 탄산수 효능 기대할 수 없음 내용물 탁함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조합에서는 부유현상이 지연되고, 발포 시간이 짧아 발포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기타 조합에서는 부유가 발포 초기에 일어나거나, 발포시간이 길거나, 효능, 안정도 및 사용감 측면에서 품질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 시험예 2]
실시예 2의 동일한 양의 유액((120ml의 화장수)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0.3g의 알약형태로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용액을 뚜껑을 열고 25℃에서 5분이 지난 후에, 수산화칼슘 0.5g을 넣어 탄산칼슘으로 침전되는 양을 걸러내서 수분을 건조해 날리고, 건조 중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관찰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건조 탄산칼슘 양(g) 0.3g 0g
화장수 내 이산화탄소의 양이 많을수록 수산화칼슘과 반응하여 탄산칼슘으로 침전되는 중량이 많아진다.
Ca(OH)2 + CO2 → CaCO3↓ + H2O
표 4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은 화장수 내에 부유하지 않고 가라앉아서 탄산을 배출하여, 침전되는 탄산칼슘의 양이 비교예 1에 비해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은 유액 내 용존하는 탄산의 양이 비교예에 비해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3]
화장수의 사용시 시각적 차별화 및 브라이트닝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30명의 시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품평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은 0.3g을 원기둥 알약 형태로 만든 것을 이용했으며, 실시예 1을 질량 기준으로 0.3g을 120ml의 실시예 2 유액에 넣었고, 비교예 1을 질량기준으로 0.3g을 120ml 비교예 9에 넣어서 사용한 후 상대평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관찰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9
시각적 차별화 있다 30명 없다 0명
사용 후 브라이트닝 효과 있다 20명, 약간 있다 3명 모르겠다 7명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의 정제를 실시예 2의 유액에 넣어 사용했을 경우 시각적 차별화가 있다는 응답이 100%, 사용 후 브라이트닝 효과가 있다는 의견이 92%였다. 이 설문 결과로 버블링 탄산 정제와 유액이 시각적 차별화와 사용후 탄산 효과 모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은 일측면에서, 소듐 바이카보네이트와 알파 하이드록시산, 그리고 결정형 하이드록시산을 이용하여 발포형 정제를 만들고, 화장수 내의 수산기(-OH)를 가진 지방족 화합물, 에몰리언트, 그리고 계면활성제 등의 조성을 조정하여 비중과 표면장력을 최적화함으로써 발포형 정제가 화장수 내에서 우수한 발포력을 유지하면서도 부유가 지연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장수에 일정량 이상의 탄산수를 함유시킬 뿐 아니라, 발포형 정제가 발포되면서 화장수 내의 탄산농도를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일측면에서, 화장수에 포함되어 있는 탄산기포가 모세혈관에 산소 포화도를 증가시키고 혈행을 개선하여 안색이 개선되고, 일측면에서 피부장벽을 강화시키고 각질 분화를 원할하게 유도하여 묵은 각질이 잘 탈락되고 건강한 각질층이 유지시킴으로써 피부 미백, 브라이트닝 및 보습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면에서 피부 장벽을 강화하고 모공 주위의 탄력을 증가시켜 모공 그늘을 없애줌으로써 피부에 브라이트닝 및 모공케어 효과를 줄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화장류 토너, 미스트, 에센스, 마스크 팩류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발포형 정제 및 화장수를 포함하는 유효성분 0.2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발포형 정제 및 화장수를 포함하는 유효성분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발포형 정제 및 화장수를 포함하는 유효성분 2.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마사지 크림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발포형 정제 및 화장수를 포함하는 유효성분 3.0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바세린 3.0
파라핀 1.5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팩
하기 표 10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발포형 정제 및 화장수를 포함하는 유효성분 0.2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노닐 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에탄올 방부제 6.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발포형 정제 및 화장수를 포함하는 화장용 키트에 있어서,
    상기 발포형 정제는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결정형 알파 하이드록시산, 및 수용성 활택제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용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형 정제는 알파 하이드록시산을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장용 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 알파 하이드록시산 : 결정형 알파 하이드록시산 : 수용성 활택제의 중량비는 3.0~70.0 : 1.0~70.0 : 1.0~70.0 : 1.0~5.0인 화장용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수는 수산기(-OH)를 가진 지방족 화합물, 에몰리언트(emollient), 계면활성제, 및 탄산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용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OH)를 가진 지방족 화합물 : 에몰리언트 : 계면활성제 : 탄산수의 중량비는 0~99.0 : 0~99.0 : 0.001~5.0 : 0.01~99.0인 화장용 키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는 전체 화장수 중량 기준으로 25.0~99.0 중량%인 화장용 키트.
KR1020130061761A 2013-05-30 2013-05-30 발포정 정제 및 화장수를 포함하는 화장용 키트 KR102007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761A KR102007798B1 (ko) 2013-05-30 2013-05-30 발포정 정제 및 화장수를 포함하는 화장용 키트
MYPI2015704121A MY172147A (en) 2013-05-30 2014-03-21 Cosmetic kit comprising effervescent tablet and skin toner
CN201480030512.0A CN105263463B (zh) 2013-05-30 2014-03-21 包含泡腾片及护肤水的化妆套件
US14/892,081 US9687430B2 (en) 2013-05-30 2014-03-21 Cosmetic kit comprising effervescent tablet and skin toner
PCT/KR2014/002392 WO2014193076A1 (ko) 2013-05-30 2014-03-21 발포정 정제 및 화장수를 포함하는 화장용 키트
SG11201509473UA SG11201509473UA (en) 2013-05-30 2014-03-21 Cosmetic kit comprising effervescent tablet and skin toner
TW103115554A TWI625132B (zh) 2013-05-30 2014-04-30 包含發泡錠及護膚水之化妝套件
HK16106718.0A HK1218716A1 (zh) 2013-05-30 2016-06-12 包含泡騰片及護膚水的化妝套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761A KR102007798B1 (ko) 2013-05-30 2013-05-30 발포정 정제 및 화장수를 포함하는 화장용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847A true KR20140140847A (ko) 2014-12-10
KR102007798B1 KR102007798B1 (ko) 2019-08-07

Family

ID=5198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761A KR102007798B1 (ko) 2013-05-30 2013-05-30 발포정 정제 및 화장수를 포함하는 화장용 키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87430B2 (ko)
KR (1) KR102007798B1 (ko)
CN (1) CN105263463B (ko)
HK (1) HK1218716A1 (ko)
MY (1) MY172147A (ko)
SG (1) SG11201509473UA (ko)
TW (1) TWI625132B (ko)
WO (1) WO20141930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891B1 (ko) 2020-02-10 2020-09-28 김승규 마스크 팩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9234B1 (fr) * 2016-11-28 2019-11-01 L'oreal Composition solide comprenant une poudre et un poly(oxyde d'alkylene)
CN110269808A (zh) * 2019-07-15 2019-09-24 梁修剑 泡腾vc固体爽肤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3984A (ko) * 1998-11-10 2001-04-25 카렌 에이. 로우니 자기 발포 클렌징 시스템
KR20080037857A (ko) * 2006-10-27 2008-05-02 (주)아모레퍼시픽 수용성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발포형 알약 형태의 무수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080085903A (ko) * 2006-01-05 2008-09-24 라이프사이클 파마 에이/에스 붕해성의 충전형 정제
KR20100059497A (ko) 2008-11-26 2010-06-04 (주)비에프시스템 이중연료 차량의 가스연료 공급장치
KR20120102585A (ko) * 2009-10-30 2012-09-18 아이엑스 바이오파마 피티이 리미티드 신속 용해 고체 투약 제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5371B1 (fr) 1996-11-07 1998-12-18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sous la forme d'un gel transparent moussant
DE19757059A1 (de) 1997-12-20 1999-07-01 Merz & Co Gmbh & Co Balneologische Brausetablet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2002275051A (ja) * 2001-01-12 2002-09-25 Kansai Koso Kk 固体化粧料
TWI295927B (en) * 2001-01-12 2008-04-21 Solid cosmetics
FR2952815B1 (fr) * 2009-11-25 2012-01-06 Oreal Produit cosmetique
CN101849894B (zh) * 2010-06-11 2012-01-04 上海丽思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co2缓释型发泡面膜及其制备方法
KR20100082750A (ko) 2010-06-23 2010-07-19 김권 이산화탄소 발포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US20120283668A1 (en) * 2011-05-04 2012-11-08 Pinchas Shalev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effervescent tablets for cosmetic ca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3984A (ko) * 1998-11-10 2001-04-25 카렌 에이. 로우니 자기 발포 클렌징 시스템
KR20080085903A (ko) * 2006-01-05 2008-09-24 라이프사이클 파마 에이/에스 붕해성의 충전형 정제
KR20080037857A (ko) * 2006-10-27 2008-05-02 (주)아모레퍼시픽 수용성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발포형 알약 형태의 무수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20100059497A (ko) 2008-11-26 2010-06-04 (주)비에프시스템 이중연료 차량의 가스연료 공급장치
KR20120102585A (ko) * 2009-10-30 2012-09-18 아이엑스 바이오파마 피티이 리미티드 신속 용해 고체 투약 제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891B1 (ko) 2020-02-10 2020-09-28 김승규 마스크 팩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46281A (zh) 2014-12-16
CN105263463B (zh) 2019-10-25
TWI625132B (zh) 2018-06-01
HK1218716A1 (zh) 2017-03-10
MY172147A (en) 2019-11-14
US20160106646A1 (en) 2016-04-21
US9687430B2 (en) 2017-06-27
CN105263463A (zh) 2016-01-20
KR102007798B1 (ko) 2019-08-07
WO2014193076A1 (ko) 2014-12-04
SG11201509473UA (en)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9889B1 (en) Stable ascorbic acid preparation for topical use
KR20200055069A (ko) 2상 시스템을 구비한 국소 제품
JP5695388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20170033483A (ko) 화장품용 천연 계면활성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0229841A (ja) 混合タイプ入浴剤
KR102007798B1 (ko) 발포정 정제 및 화장수를 포함하는 화장용 키트
KR101511253B1 (ko) 순수 비타민 c를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111067A1 (ja) 脂肪族アルコールとグリセリンとのエーテルを含む組成物
JP2001270807A (ja) 半透明または透明な化粧料
JP2010189351A (ja) 経皮吸収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08179577A (ja) 経皮吸収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04035458A (ja) 透明液状化粧料
JP2002348228A (ja) アスコルビン酸を含有する外皮用組成物
JP5881879B1 (ja) 尋常性ざ瘡改善用外用組成物
KR20130116181A (ko) 나노에멀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90833B1 (ko) 탄산수가 포접된 폴리머 매트릭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클렌저 화장료 조성물
JP6083993B2 (ja) 発泡性の1剤式二酸化炭素外用剤
JP2003146872A (ja) 脂質分散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10189352A (ja) 経皮吸収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CN112190576A (zh) 皮肤外用制剂的组合物、皮肤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JP2017132695A (ja) 泡状エアゾール
JP4823556B2 (ja) 透明化粧水
KR20150062801A (ko) 발포 고형 입욕제 조성물
KR20190079909A (ko) 발포 입욕제 조성물
JP2018012683A (ja) 発泡性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