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584A - Slide and shell container with ledge - Google Patents

Slide and shell container with le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584A
KR20140139584A KR1020147029781A KR20147029781A KR20140139584A KR 20140139584 A KR20140139584 A KR 20140139584A KR 1020147029781 A KR1020147029781 A KR 1020147029781A KR 20147029781 A KR20147029781 A KR 20147029781A KR 20140139584 A KR20140139584 A KR 20140139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lide
jaw
shel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7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케빈 브루거
세르게이 크라시브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40139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5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1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 A24F15/16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with means for off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8Contents-dispensing means for drawer-and-shell-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39Tobacco feeding devices
    • A24C5/397Tobacco feeding devices with means for regulating the tobacco quant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rod-shaped articles, e.g. nee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0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provided with proff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arto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대형 소비용품을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용기의 상부벽(8)은 개구부(9)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는 상기 개구부 아래에 배치된 턱(12)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상부벽(8)은, 올려진 상태와 내려진 상태 사이에서, 상기 턱(12)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적용된다. 상기 용기는 내부의 슬라이드(3)와 외부의 쉘(2)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는 쉘 내에서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되며, 상기 쉘(3)은 턱(12)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2)는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벽(8)을 구비하며, 상기 턱은 컷아웃(19)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로 돌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a bar size consumer article, wherein the top wall (8) of the container has an opening (9), the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jaw (12) disposed below the opening. The upper wall 8 is adapted to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jaw 12 between the raised and lowered states. The container has an inner slide (3) and an outer shell (2), the slide being arranged to move vertically within the shell, the shell (3) having a jaw (12) 2 has an upper wall 8 with an opening formed therein, which protrudes through the cutout 19 into the slide.

Description

턱을 가진 슬라이드 및 쉘 용기{Slide and shell container with ledge}Slide and shell container with ledge with jaw

본 발명은 막대형태의 소비용품, 특히 담배와 같은 흡연용품을 위한 용기(container)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for bar-shaped consumer products, particularly smoking articles such as cigarettes.

종래 기술에서, 용기 속의 소비용품을 들어올리기 위한 수단, 특히 담배 및 시가(cigar)와 같은 흡연용품을 들어올리는 수단은 공지되어 있다.In the prior art, means for lifting consumable items in the container, particularly means for lifting smoking articles such as cigarettes and cigars, are known.

일반적으로, 흡연용품, 특히 담배와 같은, 기다란 막대 형상의 소비용품의 포장은 매우 작은 경향이 있다. 이는 포장 내용물을 충분히 보호하고 필요한 재료의 양을 줄이는데 도움을 주며, 비용 및 쓰레기를 절감시킬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흡연용품과 같은, 첫 번째 소비용품을 풀 팩(full pack)에서 꺼내는 것은, 꺼낼 때 소비용품의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마찰력으로 인해, 다음의 두 번째 소비용품을 꺼내는 것보다 더 큰 힘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일부 소비자는 흡연용품의 필터 끝을 잡지 않으려고 한다. In general, packaging of smoking articles, especially long-bar shaped consumer products such as cigarettes, tends to be very small. This helps to protect the contents of the package sufficiently, reduce the amount of material needed, and reduce costs and waste. Nonetheless, taking the first consumer item out of a full pack, especially a smoking article, is the result of a frictional force that can negatively affect the quality of the consumer item when it is removed, It requires a greater force than that. Therefore, some consumers try not to catch the filter end of the smoking article.

종래 기술에는 흡연용품을 위한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용기의 구조에 따라, 흡연용품의 길이방향으로의 용기의 크기는 흡연용품의 길이보다 더 길기 때문에, 흡연용품은 용기 내에서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용기의 바닥면과 개구부 아래에 계단이 구비되며, 용기를 흔듦으로 해서, 흡연용품이 계단으로 배열되고 개구부를 통해 돌출되며, 이는 소비자에 의해 잡힐 수 있다.Prior art discloses a container for smoking article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container, the size of the contain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moking article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moking article, so that the smoking article can move up and down in the container. A step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and under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with the container being waved, the smoking article is arranged on the steps and protrudes through the opening, which can be caught by the consumer.

프랑스 특허 FR 1 203 196 A에는 상자와 상자 안쪽에 배열되고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슬라이드(slide)를 구비하며, 포장된 물품의 반자동 분배를 위한 판자 용기가 공지되어 있다. 슬라이드에 연결된 플랩(flap)은 슬라이드가 파지 수단을 잡아당김으로써 들어 올려질 때 물품과 맞물릴 수 있다. 이로 인해, 물품은 박스 밖으로 들어 올려질 수 있다.French patent FR 1 203 196 A discloses a plank container for semiautomatic dispensing of packaged articles having a box and a slide arranged inside the box and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The flap connected to the slide can engage the article when the slide is lifted by pulling the gripping means. As a result, the article can be lifted out of the box.

영국 특허 GB 1 375 393 A에는 담배와 같은, 물품을 위한 디스펜서(dispenser)가 공지되어 있으며, 포장상자 안의 담배에 맞물리기 위한 내장된 아암(arm)을 가진 슬라이더 형태의 배출 장치가 제공된다.
GB 1 375 393 A discloses a dispenser for an article, such as a cigarette, and is provided with a slider-shaped ejection device with a built-in arm for engaging a cigarette in the box.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막대형 소비용품을 용기에서 꺼내는 것에 대한 개선된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way of removing one or more bar consumer articles from the container.

본 발명에 따라 막대형 소비용품을 위한 용기가 제공되며, 용기 상부벽에 개구부가 구비되고, 또한 용기에 상기 개구부 아래에 배치된 턱(ledge)이 구비되며, 상부벽은 상기 턱에 대해, 내려진 상태와 올려진 상태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적용된다. 용기는 내부 슬라이드(slide)와 외부 쉘(shell)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는 쉘 내에서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며, 쉘에는 턱이 구비되고, 슬라이드에는 개구부가 있는 상부벽이 구비되며, 상기 턱은 컷아웃(cut-out)을 통해 슬라이드로 돌출된다. 상기 컷아웃은 전개도에서 절단 선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어떤 다른 타입(type)의 개구부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쉘은 바닥과 측벽을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for a bar-size consumable product, the container having an opening in the top wall and a container provided with a ledge disposed below the opening, It is applied so as to move vertically between the state and the raised state. The container has an inner slide and an outer shell, the slide being arranged to move vertically within the shell, the shell having a tuck, the slide having an upper wall with an opening, The jaw protrudes into the slide through a cut-out. The cutout may be formed by a cut line in the developed view, or it may be any other type of opening. In particular, the shell has a bottom and side walls.

상부벽이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용기의 높이 또는 턱에 대한 용기 내부의 소비용품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으며, 상부벽이 올려진 상태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소비용품이 예를 들어 용기를 흔들거나 또는 기울임으로써 턱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벽이 내려진 상태로 돌아가면, 적어도 하나의 소비용품이 턱에 남게 되며, 턱 위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돌출된다. 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소비용품은 소비자에 의해 쥐어질 수 있다. 다른 소비용품은 상부벽에 의해 덮이고 보호된 상태로 남겨지며 용기 내부에 안전하게 보관된다.Because the top wall can move vertically, the position of the consumer article within the container relative to the height or jaw of the container can vary, and when the top wall is raised, at least one consumer article Can be placed in the jaw by shaking or tilting the container. When the upper wall is returned to the lowered state, at least one consumer item remains on the jaw and protrudes through the opening formed on the jaw. Thereby, at least one consumer item can be held by the consumer. Other consumables are covered by the top wall and remain protected and safely stored inside the container.

"앞", "뒤", "상부", "하부", "측면", "상부", "하부"와 같은 용어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각각의 구성 위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다른 용어들은 상단에 개구부가 구비된 똑바로 서있는 위치에 있는 용기를 나타낸다. "왼쪽"과 "오른쪽"이란 용어는 용기가 수직으로 서있는 위치에서의 정면에서 볼 때, 용기의 왼쪽과 오른쪽 벽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용기 수용된 소비용품은 용기의 상부 말단에서 꺼내질 수 있다. "길이방향의"이란 용어는 바닥에서 상부로의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나타낸다. 즉, 똑바로 선 방향에서의 용기의 높이를 형성하는 수직 방향을 나타낸다. "가로지르는"이란 용어는 앞쪽 벽 또는 뒤쪽 벽을 가로질러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front," " back, "" top, "" bottom," " side, ""Quot; refers to a container in an upright position with an opening at the top. The terms "left" and "right" are used to denote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container when viewed from the front, where the container is standing vertically. The container-housed consumer article can be removed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The ter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refers to a direction from bottom to top or vice versa. That is, the vertical direction forming the height of the container in the straight line direction. The term "traversing " refers to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ross the front wall or back wall.

막대형 소비용품은 특히 실질적으로 용기의 수직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개구부의 크기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개구부로부터 턱으로의 방향으로 턱의 돌출부 크기이다. 특히, 개구부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소비용품의 단면과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크다. 바람직하게, 소비용품은 원 단면을 갖는 원통형이다. 특히, 소비용품은 담배 형태의 흡연용품이다.The bar food consumables in particular extend substanti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The size of the opening is preferably at least the size of the projection of the jaw in the direction from the opening to the jaw. In particular, the size of the opening is substantially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consumable article. Preferably, the consumable article i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n particular, consumer products are smoking products in the form of cigarettes.

바람직하게, 올려진 상태에서, 턱의 상측 말단과 상부벽 사이의 길이방향 길이는 막대형 소비용품의 길이보다 길고 적어도 하나의 소비용품이 턱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부벽이 다시 내려진 상태로 돌아가면, 적어도 하나의 소비용품이 턱에 배치되고 상부벽의 개구부를 통해 돌출된다. 따라서, 올려진 상태에서의 상부벽은 턱 위로 소비용품을 움직일 수 있게 한다. Preferably, in the raised state, the longitudinal length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jaw and the upper wall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bargain consumer article, at least one consumer article can be placed in the jaw, At least one consumer item is disposed in the jaw and protrudes through the opening in the top wall. Thus, the upper wall in the raised state allows the consumer to move the jaws up.

하나의 실시예에서, 용기는 내부 슬라이드와 외부 쉘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는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쉘에 배치되며, 슬라이드 또는 쉘 중의 하나는 턱을 구비하고, 슬라이드와 쉘 중의 다른 하나는 개구부를 가진 상부벽을 구비한다. 턱은 슬라이드 또는 쉘에 대해 포함되거나 또는 추가된 부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ainer has an inner slide and an outer shell, the slide being disposed in the shell to move vertically, one of the slide or shell having a jaw, and the other of the slide and shell having an opening And a top wall. The jaws may be included or added to the slide or shell.

특히, 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슬라이드를 둘러싼다.In particular, the shell at least partially surrounds the slide.

쉘은 개방된 바닥을 갖는 반면, 상부벽과 측부 벽을 구비할 수 있으며, 슬라이드는 바닥 벽과 적어도 하나의 측벽과 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벽, 즉 쉘이, 슬라이드에 대해 들어 올려질 때, 적어도 하나의 소비용품이 턱에 배치될 수 있도록 용기의 높이는 다양할 수 있다. The shell may have an open bottom, while having a top wall and a side wall, wherein the slide may have a bottom wall and at least one side wall and a jaw. Thus, the height of the container can be varied such that when the top wall, i. E. The shell, is lifted against the slide, at least one consumer item can be placed in the jaw.

바람직하게, 슬라이드는 쉘의 턱을 위한 컷아웃을 가진 바닥 벽을 갖는다. 특히, 제거된 부분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측벽,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의 두 개의 인접한 측벽에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드는 바람직하게 바닥 벽과 상부벽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구비한다.Preferably, the slide has a bottom wall with a cutout for the jaws of the shell. In particular, the removed portion may also extend to at least one side wall, preferably two adjacent side walls of the slide. The slide preferably has at least one sidewall connecting the bottom wall and the top wall.

특히, 턱은 쉘의 접힌 모서리로써 형성될 수 있다. 컷(cut)은 쉘의 수직으로 연장된 모서리 위에 직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컷 아래의 쉘 부분은 턱을 제공하기 위해 쉘의 안쪽을 향해 접혀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턱은 쉘의 수직으로 연장된 모서리에 붙여진 추가 요소 또는 플랩(flap)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jaws may be formed with the folded edges of the shell. The cut may be formed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vertically extending edge of the shell, and the shell portion under the cut may be folded toward the inside of the shell to provide a jaw. Alternatively, the jaws may be formed of additional elements or flaps attached to vertically extending edges of the shell.

하나의 실시예에서, 컷아웃의 두 개의 평행한 부분은 수직으로 연장된 쉘의 모서리 너머 연장된 쉘에 제공되며, 절단 선 사이의 쉘의 일부분은 쉘의 안쪽을 향해 접혀질 수 있고 턱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턱을 구비하는 쉘의 모서리의 하부 말단은 말단 위치에 그대로 있게 될 것이다. 이는 바람직하게 수직으로 서있는 상태일 때, 용기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wo parallel portions of the cutout are provided in an extended shell beyond the edge of a vertically extending shell, wherein a portion of the shell between the cut lines can be folded toward the inside of the shell, can do. Thus, the lower end of the edge of the shell with the jaws will remain in the distal position. This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container when it is in a standing position, preferably in a vertical position.

또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 요소이 소비용품 아래에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탄성 요소는 움직일 수 있는 상부벽을 향해 소비용품이 편향되도록 적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내려진 상태를 향해 움직이는 상부벽은 탄성 요소를 압축한다. 게다가, 소비용품은 또한 처음 위치에 남겨진, 턱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소비용품을 제외하고 내려진 상태를 향해 움직여질 수 있으며, 상부벽이 내려진 상태로 움직여질 때 상부벽의 개구부에서 돌출된다. 상부벽이 해제될 때, 소비용품 아래에 적용된 탄성 요소는 상부벽을 다시 올려진 상태로 밀게 된다. 탄성 요소는 예를 들어 스프링(spring) 또는 발포성 소재의 블록(block)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움직일 수 있는 바닥은 탄성 요소와 소비용품 사이에 제공된다.In another embodiment, an elastic element is provided under the consumer article. Preferably, the resilient element is adapted to deflect the consumable article towards the moveable top wall. In this embodiment, the top wall moving towards the lowered state compresses the elastic element. In addition, the consumer item can also be moved to a lowered state, except for one or more consumer items in the jaw, which are left in the initial position, and protrude from the opening of the upper wall when the upper wall is moved down. When the top wall is released, the resilient element applied underneath the consumer item is pushed back up the top wall. The elastic element can be, for example, a spring or a block of foamable material. Preferably, a movable bottom is provided between the elastic element and the consumable article.

하나의 실시예에서, 탄성 수단은 쉘의 바닥 벽과 슬라이드의 바닥 벽 사이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탄성 수단은 상부벽을 들어올리는 힘을 제공하며, 특히 슬라이드의 바닥 벽을 쉘의 바닥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힘이 제공된다. 탄성 수단은 특히 스프링 또는 발포성 재료 블록일 수 있다. 해제가능한 잠금 수단은 내려진 상태에서 슬라이드를 수용할 수 있다. 특히, 소비자는 해제가능한 잠금 메커니즘, 예를 들어 쉘에 대한 슬라이드의 상대적인 움직임 또는 용기 벽에 작용된 압력에 의한 해제가능한 잠금 메커니즘을 작동하며, 이때 탄성 요소는 리프팅 슬라이드(lifting slide)를 위한 들어올리는 힘을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the resilient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bottom wall of the shell and the bottom wall of the slide. Preferably, the resilient means provides a force to lift the top wall, and in particular, a force is provided that moves the bottom wall of the slide away from the bottom wall of the shell. The elastic means may in particular be a spring or a foamable material block. The releasable locking means can receive the slide in the lowered state. In particular, the consumer operates a releasable locking mechanism, for example a relative movement of the slide relative to the shell or a releasable locking mechanism by means of a pressure exerted on the container wall, wherein the elastic element is lifted for a lifting slide Provide strength.

또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 수단은 내려진 상태로 상부벽을 내리는 힘이 제공되며, 용기는 자동적으로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resilient means is provided with a force to lower the upper wall in a lowered state, and the container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하나의 실시예에서, 쉘은 소비자가 슬라이드를 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컷아웃을 구비한다. 따라서, 컷아웃이 동일하게 쉘에 배치되면 소비자가 슬라이드의 정면 또는 후면 벽 측을 쥘 수 있다. 특히, 쉘의 맞은편 벽에 있는 컷아웃은 슬라이드가 두 개의 맞은편에서 쥐어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컷아웃 수단에 의해 슬라이드의 움직임은 소비자에 의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탄성 수단으로 인해, 어떤 다른 힘이 슬라이드에 작용하지 않아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hell has a cutout for allowing the consumer to grip the slide. Thus, if the cutouts are equally placed in the shell, the consumer can grip the front or back wall side of the slide. In particular, the cutout on the opposite wall of the shell can be provided so that the slide can be held on two opposite sides.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slide by the cutout means can be made more easily by the consumer, and especially because of the elastic means, no other force can be applied to the slide.

하나의 실시예에서, 멈춤 수단은 상부벽의 올려진 상태에서 완전히 멈추게 할 수 있으며, 상부벽은 올려진 상태에서 상승 말단 위치에 있게 된다. 특히, 완전히 멈추는 것은 상부벽이 정상적인 상태에서 올려진 상태에서보다 더 들어올려지지 못하게 한다. 더욱이, 완전히 멈추는 것은 또한 상부벽이 올려진 상태에서 잠겨지게 하고 상부벽을 낮추기 위한 어떤 힘이 슬라이드 또는 쉘에 초과 적용될 때까지, 잠긴 상태로 남게 된다. In one embodiment, the stop means can be completely stopped in the raised state of the upper wall, and the upper wall is in the raised end position in the raised state. In particular, a complete stop prevents the upper wall from being lifted further than in a raised state. Moreover, a completely stopped also remains locked until the top wall is locked in the raised position and any force is applied to the slide or shell to lower the top wall.

완전히 멈추는 것은 용기가 의도치않게 해체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쉘과 슬라이드 측벽에 제공되고, 올려진 상태에 서로 맞물리게 적용된 플랩(flap)은 멈춤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Completely stopping prevents the container from being inadvertently disassembled. In particular, flaps provided in shells and slide sidewalls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and adapted to be meshed with each other in the raised state, can constitute a stop means.

하나의 실시예에서, 용기는 수직으로 서있는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소비용품을 구비하며, 용기의 폭과 깊이는 소비용품의 길이방향 크기보다 작다. 소비용품의 세로방향 길이는 막대형 소비용품의 주 연장 방향이다. 특히, 소비용품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용기의 형태는 소비용품이 용기가 거의 비어있는 경우조차도, 용기에서 넘어지거나 무질서한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러한 용기의 형태는 소비용품이 턱 옆에 원하는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어, 턱에서의 소비용품의 다음 배열을 용이하게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ainer has a plurality of consumable articl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ly standing container, the width and depth of the container being smaller than the longitudinal dimension of the consumable article. The vertical length of the consumer product is the main extension direction of the bargain consumer goods. In particular, the consumer item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xtending substanti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form of container prevents the consumer article from being tumbled in the container or provided in a disordered manner, even when the container is nearly empty. In addition, the shape of such a container is provided in the desired longitudinal direction beside the jaw so as to facilitate the subsequent arrangement of the consumables in the jaw.

하나의 실시예에서, 턱은 용기의 두 개의 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특히, 턱은 용기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접는 선에 배치된다. 따라서, 턱에서의 소비용품의 배치는 인접한 측벽에 의해 형성된다. 턱은 두 개의 측벽에 연결되거나, 또는 용기의 바닥벽에 연결된다. In one embodiment, the jaws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two side walls of the vessel. In particular, the jaws are disposed on a fold line that forms the edge of the container. Thus, the arrangement of the consumer items in the jaws is formed by the adjacent side walls. The jaws are connected to the two side walls or to the bottom wall of the container.

용기 바닥에서 턱까지의 거리는, 상부벽이 내려진 상태에 있을 때,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내려진 상태에서의 상부벽과 올려진 상태에서의 상부벽의 상대적인 거리보다 작거나 동일하다. 따라서, 내려진 상태에서의 상부벽의 개구부를 통한 소비용품의 돌출 길이는 실질적으로 턱의 높이 보다 작거나 같다. 더욱이, 다른 높이를 가진 다른 턱이 제공될 수 있으며, 여러가지 소비용품이 다른 상승 높이로 상부벽의 하나 또는 여러 개구부를 통해 제공된다.The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o the jaw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lative distance of the top wall in the raised condition, preferably in the substantially lowered condition, when the top wall is in the lowered condition. Thus, the projecting length of the consumer article through the opening of the top wall in the lowered state is substantially less than or equal to the height of the jaw. Moreover, other jaws having different heights may be provided, and various consumables may be provided through one or several openings of the top wall at different elevational heights.

하나의 실시예에서, 턱의 크기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방향 축을 가진 단지 하나의 소비용품이 그 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적용된다. 이때, 각각의 용기의 상승 기능의 작동은 하나의 분리된 소비용품을 소비자가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또한 나란히 연장된 길이방향 축을 가진 여러 소비용품은 턱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두 개, 세 개, 네 개, 다섯 개 또는 그 이상의 소비용품은 동시에 하나의 턱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ize of the jaws is such that only one consumer article with a longitudinal axi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placed thereon.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rising function of each container provides a separate consumer product so that the consumer can easily catch it. However, in other embodiments, various consumer products with longitudinal axes extending in parallel may also be disposed in the jaws. In particular, two, three, four, five or more consumer items can be placed in one jaw at the same time.

하나의 실시예에서, 용기 외부 측벽과 소비용품 사이에 위치한 추가 측벽이 제공되며, 추가 측벽은 턱을 향해 움직일 수 있도록 적용된다. 이는 상부벽이 올려진 상태에 있을 때, 소비용품을 턱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어떤 실시예에서, 소비자는 이동가능한 측벽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특히 슬라이드의 측벽으로 소비자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한, 바깥쪽 쉘에 개구부가 제공된다. 측벽의 움직임은 특히 실질적으로 하부와 올려진 상태 사이에서의 상부벽의 리프팅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인다.In one embodiment, additional sidewalls are provided that are located between the container outer sidewall and the consumable article, and the additional sidewall is adapted to move toward the jaw. This facilitates moving the consumer item to the jaws when the top wall is in the raised position. In some embodiments, the consumer can move the movable side wall. Therefore, an opening is provided in the outer shell, in particular for allowing the consumer to access the side wall of the slide. The movement of the sidewall moves particularly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top wall between the bottom and the raised state.

대안으로서, 이동가능한 측벽을 제공하여, 소비용품은 특히 용기를 기울임으로써, 단지 중력에 의해 턱으로 움직일 수 있다. Alternatively, by providing a movable side wall, the consumer article can be moved to the jaw only by gravity, especially by tilting the container.

하나의 실시예에서, 탄성 수단은 추가 측벽과 용기 바깥쪽 측벽 사이에 제공되며, 탄성 요소는 이동가능한 측벽을 턱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힘을 가하도록 적용된다. 탄성 수단은 특히 스프링 또는 발포성 소재 블록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동가능한 측벽은 슬라이드의 일부분이며, 탄성 수단은 슬라이드와 쉘의 평행한 측벽 사이에 배치된다.In one embodiment, the resilient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additional sidewall and the container outer sidewall, and the resilient element is adapted to exert a resilient force on the movable sidewall in the direction of the jaw. The resilient means may in particular be a spring or a foam material block. Preferably, the movable side wall is a portion of the slide, and the resilient means is disposed between the slide and the parallel side wall of the shell.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부벽의 개구부는, 상부벽의 움직임에 따라 동작가능한, 뚜껑에 의해 덮여진다. 특히, "동작가능한"의 의미는 뚜껑이 개구부를 통해 들어 올려진 돌출된 소비용품에 의해 적용된 힘에 의해 열리거나, 또는 용기의 남겨진 일부분에 대한 상부벽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의해 열리도록 적용된 것을 의미한다. 특히, 뚜껑은 개구부의 한 가장자리에, 경첩으로 움직일 수 있는 뚜껑이다.In one embodiment, the opening of the top wall is covered by a lid, operabl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op wall.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operable" means that the lid is opened by force applied by the protruding consumer item lifted through the opening, or applied by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top wall to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container . In particular, the lid is a lid which can be moved by a hinge at one edge of the opening.

하나의 실시예에서, 용기는 내부 라이너(liner)로 싸인 여러 가지 소비용품을 구비하며, 내부 라이너에는 내부 라이너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천공 라인(perforation line)이 제공된다. 내부 라이너는 용기 내의 소비용품의 포장을 용이하게 한다. 내부 라이너 안에는 소비용품 묶음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슬라이드의 적어도 하나의 빈 공간이 소비용품 묶음을 둘러싸일 수 있다. 특히, 적어도 슬라이드의 공백은 소비용품으로 둘러싸일 수 있으며, 이때 쉘은 쉘에서 슬라이드를 싸거나 슬라이드를 삽입하는 것을 통해 슬라이드 둘레에 구비된다. 또한, 내부 라이너는, 특히 내부 라이너가 소비용품 둘레에 밀봉상태로 밀폐되어 있을 때, 소비용품이 신선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내부 라이너 안의 천공 라인은 하나의 실시예에서 용기에서의 상대적 움직임에 의해 찢겨 개봉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당김 탭(pull tap)은 용기의 개구부 구역에 내부 라이너의 개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내부 라이너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당김 탭에 연결된 내부 라이너의 일부분은 약화 라인(weakening lines)에 의해 범위가 정해질 수 있으며, 당김 탭을 당김으로서 내부 라이너 개구부가 찢어지게 된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ainer has various consumables wrapped in an inner liner, and the inner liner is provided with a perforation line to facilitate opening of the inner liner. The inner liner facilitates the packaging of the consumer article in the container. The inner liner may be provided with a bundle of consumables, wherein at least one empty space of the slide may surround the bundle of consumer products. In particular, at least the blanks of the slides may be surrounded by consumables, wherein the shell is provided around the slides by wrapping the slides in the shell or by inserting the slides. In addition, the inner liner can be provided to keep the consumable product fresh, particularly when the inner liner is hermetically sealed about the consumable article. The perforations in the inner liner can be torn open by relative movement in the container in one embodiment.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a pull tab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liner to enable opening of the inner liner in the opening section of the container. In particular, a portion of the inner liner connected to the pull tab can be delimited by weakening lines, pulling the pull tab to tear the inner liner opening.

용기 안의 소비용품은 용기가 개봉될 때, 용기의 측벽의 상부 모서리보다 위에 보이는 내부 라이너로 싸일 수 있다. Consumables in the container can be wrapped with an inner liner that is visible above the top edge of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ed.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직각 길이 방향 모서리와 직각 가로방향 모서리를 가진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용기는 하나 이상의 둥근 길이 방향 모서리와 둥근 가로방향 모서리, 경사진 길이방향 모서리 또는 경사진 가로방향 모서리,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제한 없이 다음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right angle longitudinal edges and right angle lateral edges. Alternatively, the container may be configured in one or more rounded longitudinal edges and rounded lateral edges, inclined longitudinal edges, or inclined lateral edges,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without limitation:

- 정면 측벽의 하나 또는 두 개의 둥근 또는 경사진 길이방향 모서리, 및/또는One or two rounded or inclined longitudinal edges of the front side wall, and / or

- 후면 측벽의 하나 또는 두 개의 둥근 또는 경사진 길이방향 모서리.- One or two rounded or sloped longitudinal edges of the rear side wall.

- 정면 측벽의 하나 또는 두 개의 둥근 또는 경사진 가로방향 모서리, 및/또는One or two rounded or inclined lateral edges of the front side wall, and / or

- 후면 측벽의 하나 또는 두 개의 둥근 또는 경사진 가로방향 모서리. - One or two rounded or sloping horizontal edges of the rear sidewall.

- 정면 측벽의 하나의 길이방향 둥근 모서리와 하나의 길이방향 경사진 모서리, 및/또는One longitudinally rounded edge of the front side wall and one longitudinally inclined edge, and / or

- 후면 측벽의 하나의 가로방향 둥근 모서리와 하나의 가로방향 경사진 모서리.- One transverse rounded corner and one transverse sloped edge of the back side wall.

- 정면 측벽의 하나 또는 두 개의 가로방향 둥글거나 경사진 모서리와 후면 측벽의 하나 또는 두 개의 길이방향 둥글거나 경사진 모서리.- One or two longitudinally rounded or inclined corners of the front sidewall, one or two longitudinally rounded or inclined corners, and a rear sidewall.

- 제1 측벽의 두 개의 길이방향 둥글거나 경사진 모서리 또는 제2 측벽의 가로방향 둥글거나 경사진 모서리.Two longitudinally rounded or inclined corners of the first side wall or a transverse rounded or inclined edge of the second side wall.

용기가 하나 이상의 둥근 모서리를 구비하고 판형 전개도로 구성되는 경우, 바람직하게 전개도는 조립된 용기에 둥근 모서리를 형성하기 위해 세 개, 네 개, 다섯 개, 여섯 개 또는 일곱 개의 스코어링 라인(scoring line) 또는 크리싱 라인(creasing line)을 구비한다. 스코어링 라인 또는 크리싱 라인은 용기의 안쪽에 있거나 용기의 바깥쪽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코어링 라인 또는 크리싱 라인은 약 0.3mm에서 4mm사이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If the container has more than one rounded edge and is comprised of a plate-like developed view, the developed view preferably includes three, four, five, six, or seven scoring lines to form rounded corners in the assembled container. Or a creasing line. The scoring line or creasing line may be inside the container or outside the container. Preferably, the scoring lines or creasing lines are spaced from one another between about 0.3 mm and 4 mm.

바람직하게, 크리싱 라인 또는 스코어링 라인의 간격은 판형 전개도의 두께의 함수이다. 바람직하게, 크리싱 라인 또는 스코어링 라인의 간격은 판형 전개도의 두께보다 약 0.5에서 약 4배 사이의 크기이다.Preferably, the spacing of the creasing lines or scoring lines is a fun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plate-shaped developed surface. Preferably, the spacing of the creasing lines or scoring lines is between about 0.5 and about 4 times the thickness of the plate-like developed view.

용기가 하나 이상의 경사진 모서리를 구비한 경우, 바람직하게 경사진 하나 이상의 모서리는 약 1mm에서 10mm 사이의 폭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약 2mm에서 약 6mm이다. 대안으로서, 용기는 이격된 세 개의 평행한 크리싱 라인 또는 스코어링 라인으로 형성된 이중 경사를 구비할 수 있으며, 두 개의 독립된 경사가 용기의 모서리에 형성된다.Where the container has more than one tapered edge, preferably at least one tapered edge has a width between about 1 mm and 10 mm, preferably between about 2 mm and about 6 mm. Alternatively, the container may have a double inclination formed by three parallel creasing lines or scoring lines spaced apart, and two separate slopes are formed at the edges of the container.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진 용기에 대한 대안으로서, 용기는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또는 6각형과 같은 다각형 단면이나, 또는 타원형, 반타원형, 원형 또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As an alternative to a container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the container may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 such as a triangular, square or hexagonal shape, or an elliptical, semi-elliptical, circular or semicircular cross-section.

경사진 모서리를 구비하고 판형의 전개도로 형성되는 용기에서, 경사면은 판형 전개도에서 두 개의 평행한 크리싱 라인 또는 스코어링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크리싱 라인 또는 스코어링 라인은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모서리에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크리싱 라인 또는 스코어링 라인은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모서리에 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은 용기의 제2 벽보다 용기의 제1 벽으로 더 연장된다.In a container having sloped edges and formed with a plate-like developed view, the sloped surface can be formed with two parallel creasing lines or scoring lines in a plate-like developed view. The creasing lines or scoring lines may be symmetrically arranged at the corners between the first wall and the second wall. Alternatively, the creasing line or scoring line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to the edge between the first wall and the second wall and the slope further extends to the first wall of the container than the second wall of the container.

용기는 어떤 적합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판지, 보드지, 플라스틱, 금속, 또는 이들의 조합(이에 한정하진 않지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판지는 1 제곱 미터(meter) 당 약 100그램(gram)에서 350그램 정도의 무게를 가진다. The container may be formed of any suitable material, such as, but not limited to, cardboard, cardboard, plastic, metal, or combinations thereof. Preferably, the cardboard weighs from about 100 grams per square meter to about 350 grams per square meter.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다수의 소비용품을 위한 포장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흡연용품을 포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바람직하게, 이에 한정하진 않지만, 널리 알려진 단부에 불을 붙이는 궐련(lit-end cigarettes), 담배 또는 가는 담배, 가연성 연료 요소 또는 열원, 그리고 에어로졸 발생(aerosol-generating) 기판(예를 들어, 미국 국제 특허 US-A-4,714,082에 공지된 타입의 궐련)을 구비하는 가열 흡연용품과, 전자 흡연 시스템(예를 들어 미국 국제 특허 US-A-5,692,525에 공지된 타입의 궐련)을 사용한 흡연용품을 포함한 흡연용품을 포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wrapping paper for a number of consumer products. 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used for packaging smoking articles.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igarettes, such as, but not limited to, lit-end cigarettes, tobacco or thin cigarettes, combustible fuel elements or heat sources, and aerosol-generating substrates (E. G., A cigarette of the type known from U. S. Pat. No. 4,714,082) and an electronic smoking system (e. G., A cigarette of the type known from U. S. Pat. No. 5,692,525) It can be used to package smoking articles, including used smoking articles.

상기 크기의 적절한 선택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흡연용품의 여러 다른 총 개수, 또는 흡연용품의 다른 배열을 수용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크기의 적절한 선택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총 수량 10개에서 30개 사이의 흡연용품을 수용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Through appropriate selection of the size,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igned to accommodate several different total numbers of smoking articles, or other arrangements of smoking articles. For example, through appropriate selection of the size,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igned to accommodate between 10 and 30 smoking articles in total quantity.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한 개, 두 개, 세 개, 네 개 또는 다섯 개의 분리된 소비용품 묶음을 수용할 수 있다. 분리된 묶음은 실질적으로 앞쪽 벽과 뒤쪽 벽이 평행하게 배열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앞쪽 벽과 뒤쪽 벽이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ccommodate one, two, three, four or five separate consumer goods bundles. The separate bundle may be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or substantially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may be arranged vertically.

묶음 내에서, 흡연용품은 흡연용품의 총 개수와, 흡연용품의 크기 또는 용기의 단면 형상에 따라, 다른 정렬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용품은 다섯 개, 여섯 개, 일곱 개, 여덟 개, 아홉 개, 또는 열 개의 단일 열의 묶음으로 배열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흡연용품은 두 줄 이상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두 줄 이상의 열은 동일한 수량의 흡연용품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용품은 다섯 개, 여섯 개, 일곱 개, 여덟 개, 아홉 개, 또는 열 개의 두 줄; 다섯 개, 여섯 개, 일곱 개, 여덟 개, 아홉 개, 또는 열 개의 세 줄; 또는 다섯 개, 여섯 개, 일곱 개, 여덟 개, 아홉 개, 또는 열 개의 네 줄로 배열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두 줄 이상의 열은 서로 다른 수량의 흡연용품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용품은 다섯 개의 한 열과 여섯 개(5-6)의 한 열; 여섯 개의 한 열과 일곱 개(6-7)의 한 열; 일곱 개의 한 열과 여덟 개의 한 열(7-8); 다섯 개의 중간 열과 여섯 개의 바깥쪽 열(6-5-6); 다섯 개의 중간 열과 일곱 개의 바깥쪽 열(7-5-7); 여섯 개의 중간 열과 다섯 개의 바깥쪽 열(5-6-5); 여섯 개의 중간 열과 일곱 개의 바깥쪽 열(7-6-7); 일곱 개의 중간 열과 여섯 개의 바깥쪽 열(6-7-6); 아홉 개의 중간 열과 여덟 개의 바깥쪽 열(8-9-8); 또는 다섯 개의 바깥쪽 한 열과 일곱 개의 바깥쪽 한 열을 가진 여섯 개의 중간 열(5-6-7)로 배열될 수 있다.Within the bundle, the smoking articles may be arranged in different arrangements, depending on the total number of smoking articles, the size of the smoking article o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tainer. For example, the smoking article may be arranged in a bundle of five, six, seven, eight, nine, or ten single rows. Alternatively, the smoking article may be arranged in two or more rows. More than two rows can hold the same amount of smoking article. For example, the smoking article may comprise five, six, seven, eight, nine, or ten rows; Five, six, seven, eight, nine, or ten three lines; Or may be arranged in five, six, seven, eight, nine, or ten four rows. Alternatively, two or more rows may include at least two rows containing different quantities of smoking articles. For example, smoking articles may have five rows and one row of six (5-6); Six columns and seven columns (6-7); Seven rows and eight columns (7-8); Five middle rows and six outer rows (6-5-6); Five middle rows and seven outer rows (7-5-7); Six middle rows and five outer rows (5-6-5); Six middle rows and seven outer rows (7-6-7); Seven middle rows and six outer rows (6-7-6); Nine middle rows and eight outer rows (8-9-8); Or six intermediate rows (5-6-7) with five outer rows and seven outer rows.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동일한 타입 또는 상표, 도는 다른 타입 또는 상표의 흡연용품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없는 흡연용품과 여러 필터 팁(tip)을 가진 흡연용품 두 가지 모두와 다른 길이(예를 들어, 약 40mm에서 약 180mm 사이의)와 지름(예를 들어, 약 4mm에서 약 9mm 사이의)의 흡연용품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흡연용품은 풍미의 강도, 빨아들이는 것에 대한 저항, 그리고 모든 입자상 물질 전달이 다를 수 있다. 한 묶음 이상이 구비된 용기에서, 동일한 용기 내의 각 묶음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타입의 상기 나열된 흡연용품을 수용할 수 있다.The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ommodate smoking articles of the same type or brand, or different types or brands. It is also possible to use both filterless smoking articles and smoking articles with several filter tips as well as different lengths (for example between about 40 mm and about 180 mm) and diameters (for example between about 4 mm and about 9 mm Can be accommodated. Also, smoking articles may have different intensity of flavor, resistance to ingestion, and all particulate matter transfer. In a container having more than one bundle, each bundle in the same container may receive the same or different types of listed smoking articles.

바람직하게, 용기의 크기는 흡연용품의 길이와 흡연용품의 정렬에 맞게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용기의 바깥쪽 크기는 용기 안쪽에 수용된 흡연용품 묶음의 크기보다 약 0.5mm에서 약 5mm 정도 크다. Preferably, the size of the container is adapted to the length of the smoking article and the alignment of the smoking article. Generally, the outer size of the container is about 0.5 mm to about 5 mm larger than the size of the bundle of smoking articles housed inside the container.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약 60mm에서 150mm 사이의 높이이며, 조금더 바람직하게는 약 70mm에서 약 125mm 사이의 높이이고, 상기 높이는 용기의 상부벽에서 바닥 벽까지로 측정된다.Preferably,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 height of between about 60 mm and 150 mm, more preferably between about 70 mm and about 125 mm, the height being measured from the top wall of the container to the bottom wall.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약 12mm에서 150mm 사이의 폭이며, 조금더 바람직하게는 약 70mm에서 약 125mm 사이의 폭이고, 상기 폭은 용기의 제1 측벽에서 제2 측벽까지로 측정된다.Preferably,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 width of between about 12 mm and 150 mm, more preferably between about 70 mm and about 125 mm, said width being measured from the first side wall to the second side wall of the container.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약 6mm에서 100mm 사이의 깊이이며, 조금더 바람직하게는 약 12mm에서 약 25mm 사이의 깊이이고, 상기 깊이는 용기의 앞쪽 벽에서 뒤쪽 벽까지로 측정된다.Preferably,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a depth of between about 6 mm and 100 mm, more preferably between about 12 mm and about 25 mm, said depth being measured from the front wall to the rear wall of the container.

바람직하게, 용기의 높이와 용기의 깊이의 비율은 약 0.3에서 1 및 10에서 1 사이이며, 조금 더 바람직하게는 약 2에서 1 및 약 8에서 1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에서 1 및 약 5에서 1 사이이다.Preferably, the ratio of container height to container depth is between about 0.3 and 1 and between 10 and 1, even more preferably between about 2 and 1 and between about 8 and 1, and most preferably between about 3 and 1 and about 5 to 1.

바람직하게, 용기의 폭과 용기의 깊이의 비율은 약 1에서 1 및 10에서 1 사이이며, 조금 더 바람직하게는 약 2에서 1 및 약 8에서 1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에서 1 및 약 3에서 1 사이이다.Preferably, 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container to the depth of the container is between about 1 and 1 and between 10 and 1, even more preferably between about 2 and 1 and about 8 to 1, and most preferably between about 2 and 1 3 to 1.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외부 면은 인쇄되거나, 양각되거나, 음각되고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제조업체 또는 브랜드 로고, 트레이드 마크, 슬로건 및 다른 소비자 정보 및 표식으로 장식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면은 랙커(lacquer), 금속화(matallisation), 홀로그램, 발광 재료, 또는 용기의 촉감, 냄세 또는 외관을 바꾸는 다른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be printed, embossed, engraved or otherwise decorated with manufacturer or brand logos, trademarks, slogans and other consumer information and indicia.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outer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t least partially covered with a lacquer, a matallisation, a hologram, a luminescent material, or other material that changes the feel, smell or appearance of the container .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내부 하우징(housing)이 하나 이상의 흡연용품의 묶음을 수용하는 경우, 흡연용품은 바람직하게 내부 라이너, 예를 들어, 금속 포일(foil) 또는 금속 종이로 싸여있다. When the inner housing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mmodates a bundle of one or more smoking articles, the smoking article is preferably wrapped in an inner liner, for example a metal foil or metal paper.

용기가 흡연용품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용기는 폐기물 칸(예를 들어, 재 또는 꽁초를 위한) 또는, 예를 들어 성냥, 라이터, 소화 수단, 구강 청량제 또는 전자기기와 같은 다른 소비자 용품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When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smoking article, the container may additionally contain other consumer items such as a waste bin (e.g., for ash or butt) or, for example, matches, lighters, fire extinguishing means, .

용기가 채워지고 나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수축 포장되거나 또는 다른 투명한 폴리머 필름(polymeric film), 예를 들어, 전통적인 방식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연신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셀룰로오스 필름(cellulose film),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필름을 이용하여 포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가 포장되는 경우, 포장재는 개봉 테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개봉 테이프는 바람직하게 용기 측면 둘레에 배치되며, 개봉 테이프가 제거되면, 개구부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개봉 테이프는 용기 둘레에 세로방향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Once the container is filled,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hrink-wrapped or other transparent polymeric film, for example, in a conventional manner, high density polyethylene or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propylene, For example, a film such as polypropylene, polyvinylidene chloride, a cellulose film,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ckaged, the packaging material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tape. The opening tape is preferably disposed around the side of the container, and when the opening tape is removed, the opening can be used. Preferably, the opening tape may b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ound the container.

본 발명을 통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막대형 소비용품을 용기에서 꺼내는 것에 대한 개선된 방식을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approach to removing one or more bar consumer articles from a container.

본 발명은 다음에 도시된 도면의 실시예를 통해 다음에서 부가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들어 올려진 흡연용품이 함께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올려진 상태에 있는 상부벽을 가진 용기의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내려진 상태에 있는 상부벽을 가진 용기의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슬라이드에 대한 전개도이 도시되어 있다.
도 6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쉘에 대한 전개도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들어 올려지고 움직일 수 있는 측벽을 위한 탄성 수단을 구비한 용기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of the drawings shown in the followin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lifted smoking articles;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 container having a top wall in a raised stat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 container having a top wall in a lowered state.
5 is a developed view of a slide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6 is a developed view of the shell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with resilient means for lifting and moving sidewalls.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1,container)가 도시되어 있다. 용기는 쉘(2,shell)과 쉘(2)에 수직 길이 방향(100)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배치된 슬라이드(3,slide)를 구비한다. 쉘(2)은 4개의 측벽, 즉 정면 측벽(4), 좌 측벽(5), 우 측벽(6, 도 3 참고), 후면 측벽 및 바닥 벽(7)으로 구성된다. 특히, 쉘(2)은 상단에서 개방되고, 용기(1)는 그러나 개구부(9)가 구비된 슬라이드(3)의 상부벽(8)에 의해 상단에서 닫힌다. 상부벽(8)은 용기의 상부벽을 형성한다. 개구부(9)는 상부벽(8)의 인접한 두 개의 상부 모서리에 배치된다. 쉘(2)에는 정면 측벽(4)의 상부에 컷아웃(10,cut-out)이 추가로 구비되며, 또한 해당 컷아웃은 어떤 실시예에서 쉘(2)의 후면 측벽에도 제공될 수 있다. 컷아웃(10)으로 인해 적어도 슬라이드(3)의 한쪽 측벽이, 즉 정면 측벽(11), 어떤 실시예에서는 후면 측벽이 쥐어질 수 있다. 턱(12,ledge)은 쉘(2)의 측벽(4,5) 사이의 세로로 연장된 모서리 부분 하부에 제공된다. 특히, 턱(12)은 쉘(2)의 모서리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두 개의 평행한 컷(13,14)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쉘(2)의 측벽(4,5) 부분은 안쪽으로 접혀질 수 있고, 슬라이드(3) 안쪽으로 돌출되며, 적어도 하나의 소비용품(15)이, 특히 흡연용품 형태로, 조금더 구체적으로는 담배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 곳에 턱(12)이 형성된다.Fig. 1 shows a container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has a shell (2) and a slide (3) slidably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100) in the shell (2). The shell 2 is composed of four side walls: a front side wall 4, a left side wall 5, a right side wall 6 (see FIG. 3), a rear side wall and a bottom wall 7. In particular, the shell 2 is open at the top and the container 1 is closed at the top by the top wall 8 of the slide 3 provided with the opening 9, however. The top wall 8 forms the top wall of the container. The openings 9 are arranged at two adjacent upper edges of the top wall 8. The shell 2 is further provided with a cut-out 10 at the top of the front side wall 4 and the cutout may also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wall of the shell 2 in some embodiments. The cutout 10 may at least hold one side wall of the slide 3, i.e. the front side wall 11, in some embodiments the rear side wall. A ledge 12 is provided below the vertically extending edge portion between the side walls 4, 5 of the shell 2. In particular, the jaw 12 is formed by two parallel cuts 13, 14 extending generally perpendicularly to the edges of the shell 2. Thus, the side walls 4, 5 of the shell 2 can be folded inwardly and project into the slide 3, so that at least one consumer article 15, in particular in the form of a smoking article, A jaw 12 is formed at a place where it can be arranged in the form of a cigarette.

도 1에서, 용기(1)는 들어올리는 과정 전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드(3)와 용기(1)의 상부벽을 형성하는 상부벽(8)은 내려진 상태이다. 도 2에서, 슬라이드(3)는 다시 내려진 상태이나, 소비용품(15)이 이미 올려져 있다.In Fig. 1, the container 1 is shown before the lifting process. The slide 3 and the upper wall 8 forming the upper wall of the container 1 are in a lowered state. In Fig. 2, the slide 3 is in the lowered state, but the consumable article 15 has already been lifted.

들어올리는 과정과 용기(10)의 추가적인 상세한 과정은 다음에서, 용기(1)의 개략적인 단면이 도시된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A further detailed process of the lifting process and the container 10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3 and 4, in which the schematic cross-section of the container 1 is show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의 시작은, 소비자가 쉘(2) 바깥쪽을 잡고 슬라이드(3)를 들어올리면서 슬라이드(3)를 잡고, 상부벽(8)은 도 3과 같이 올려진 상태로 배치된다. 슬라이드(3) 또한 상부벽(8)을 구비하며, 정면 측벽(11)과 후면 측벽, 또한 좌측벽(16), 우측벽(17) 그리고 바닥 벽(18)을 구비한다. 슬라이드(3)가 도 3에서와 같이 올려진 상태일 때, 바닥 벽(18)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쉘(2)의 바닥 벽(7)에서 수직길이 방향(100)으로 턱(12)의 상부 모서리 높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올려진 배열에서, 소비용품(15)은 가로 방향(200)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소비용품(15)이 턱(12)에 배치된다. 소비용품(15)의 이동은 중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턱(12)이 적용된 곳의 용기 측을 약간 낮추는 것, 또는 용기(1)를 흔들거나 두드리는 것에 의한 가속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beginning of the step is to hold the slide 3 while the consumer grasps the shell 2 and lifts the slide 3, and the upper wall 8 is in the raised state . The slide 3 also has an upper wall 8 and has a front side wall 11 and a rear side wall as well as a left side wall 16 and a right side wall 17 and a bottom wall 18. 3, the bottom wall 18 is at least substantially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100 at the bottom wall 7 of the shell 2 and at the top edge of the jaw 12, Lt; / RTI > Thus, in this raised arrangement, the consumer article 15 can m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200 and at least one consumer article 15 is disposed in the jaw 12. [ The movement of the consumable article 15 can be made by gravity. That is, this can be achieved by slightly lowering the container side where the jaw 12 is applied, or by accelerating by shaking or tapping the container 1.

슬라이드(3)가 내려진 상태에서, 소비용품(15)은 하단이 턱(12)보다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턱(12) 위로 이동할 수 없을 것이며, 반면 슬라이드(3)의 상부벽(8)이 소비용품(15)의 상부로의 이동을 막는다.The consumer 15 will not be able to move over the jaw 12 because the bottom end is lower than the jaw 12 while the top wall 8 of the slide 3 is not consumed Thereby preventing movement of the article 15 to the upper portion.

내부 슬라이드(3)는 적어도 슬라이드(3)의 내려진 상태에서 슬라이드(3)로 돌출된 턱(12)을 허용하는, 컷아웃(19)이 구성된다. 따라서, 컷아웃(19)은 쉘(2)에 대한 슬라이드(3)의 상대적인 수직 움직임을 허용한다.The inner slide 3 is constituted by a cutout 19 which at least allows the jaw 12 to protrude from the slide 3 in the lowered state of the slide 3. [ Thus, the cutout 19 allows relative vertical movement of the slide 3 relative to the shell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의 단계의 시작은 적어도 하나의 소비용품(15)이 턱(12)에 배치되고 슬라이드(3)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려진 상태로 다시 내려갈 수 있다. 따라서, 턱(12) 위에 배치되지 않은, 슬라이드(3)의 상부벽(8) 아래에 배치된, 모든 소비용품은 슬라이드(3)와 함께 내려진 상태로 이동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턱(12)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소비용품(15)은 내려진 상태에서 턱(12) 위에 남게 되고, 슬라이드(3)의 상부벽(8)에 제공된 개구부(9)를 통해 돌출될 것이다. 따라서, 소비용품(15)은 도 4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치로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소비용품(15)이 개구부(9)를 통해 돌출되어 소비자에 의해 쉽게 잡힐 수 있게 된다.The start of the step of the container 1 as shown in Figure 3 is such that the at least one consumer article 15 is placed on the jaw 12 and the slide 3 is moved back down to a lowered position, . Thus, all the consumables disposed below the upper wall 8 of the slide 3, which are not disposed on the jaw 12, will move with the slide 3 in a lowered state, The deployed at least one consumer article 15 will remain on the chin 12 in a lowered state and will protrude through the opening 9 provided in the upper wall 8 of the slide 3. [ Thus, the consumer article 15 has the arrangement as shown in FIG. 4 or FIG. 2 and at least one consumer article 15 protrudes through the opening 9 so that it can be easily caught by the consumer.

도 5에, 슬라이드(3)에 대한 전개도(20,blank)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개도(20)는, 슬라이드(3)의 정면 측벽(11)을 형성하는 정면 판넬(21)과 슬라이드(3)의 좌측벽(16)을 형성하는 좌측벽 판넬(22), 슬라이드(3)의 후면 측벽을 형성하는 후면 벽 판넬(23), 그리고 슬라이드의 우측벽(17)을 형성하는 우측벽 판넬(24)으로 구성된다. 상기 판넬(21,22,23,24)들은 접는선을 따라 서로 의존한다.Fig. 5 shows a top view of a developed view 20 (blank) for the slide 3. Fig. The developed view 20 shows the front panel 21 forming the front side wall 11 of the slide 3 and the left side wall panel 22 forming the left side wall 16 of the slide 3, A rear wall panel 23 forming a rear side wall, and a right side wall panel 24 forming a right side wall 17 of the slide. The panels 21, 22, 23, 24 depend on each other along a fold line.

수직으로 연장된 고정탭(25)은 우측벽 판넬(24)에 의존하여, 특히 부착 수단으로서, 정면 측벽 판넬(21)의 안쪽에 고정되도록 적용된다. 전개도(20)는 정면 측벽 판넬(21)의 상부에 의존하는 안쪽 상부벽 판넬(26)과, 후면 측벽 판넬(23)에 의존하는 바깥쪽 상부벽 판넬(27)을 추가로 구비한다. 바깥쪽 상부벽 판넬(27)은 안쪽 상부벽 판넬(26)에 접히도록 적용되며, 이들은 슬라이드(3)의 상부벽(8)과 함께 형성된다. 컷아웃(28)은 슬라이드(3)의 개구부(9)를 형성하는 바깥쪽 상부벽 판넬(27)에 적용된다. 안쪽 상부벽 판넬(26)은 전개도(20)가 슬라이드(3)를 형성하도록 접힐 때, 컷아웃(28) 구역에 적용되지 않은 상기 형태를 구비한다. 안쪽 상부벽 판넬(26)과 바깥쪽 상부 판넬(27)은 조립된 슬라이드(3)에서 접착 수단을 통해 서로 결합 된다.The vertically extending securing tabs 25 are adapted to be fixed inside the front side wall panel 21, in particular as an attachment means, depending on the right side wall panel 24. The deployment view 20 further comprises an inner top wall panel 26 depending on the top of the front side wall panel 21 and an outer top wall panel 27 depending on the back side wall panel 23. [ The outer upper wall panel 27 is applied to fold on the inner upper wall panel 26 and these are formed with the upper wall 8 of the slide 3. [ The cutout 28 is applied to the outer upper wall panel 27 which forms the opening 9 of the slide 3. The inner top wall panel 26 has this configuration not applied to the cutout 28 area when the developed view 20 is folded to form the slide 3. The inner upper wall panel 26 and the outer upper panel 27 are joined to each other through the adhesive means at the assembled slide 3. [

안쪽 바닥 벽 판넬(29)은 접는선을 통해 정면 측벽 판넬(21)의 하부 측에 형성되며, 바깥쪽 바닥 벽 판넬(30)은 접는선을 통해 후면 측벽 판넬(23)의 하부 측에 형성된다. 바깥쪽 바닥 벽 판넬(30)은 슬라이드(3)의 컷아웃(19)의 아랫부분을 형성하는 컷아웃(31)을 구비한다. 슬라이드(3)의 컷아웃(19)의 위쪽 부분은 정면 측면 판넬(21)과 좌측벽 판넬(22) 사이의 접는선에 적용된 컷아웃(32)에 의해 형성된다. 내부 바닥 벽 판넬(29)은 슬라이드(3)가 조립된 상태일 때, 컷아웃(31) 구역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적용된다. 내부 바닥 벽 판넬(29)과 바깥쪽 바닥 벽 판넬(30)은 슬라이드(3)의 바닥 벽(18)과 함께 형성되며, 특히 서로 접착 수단을 통해 고정된다. 더욱이, 컷아웃(33)은 후면 측벽 판넬(23)에 멈춤 플랩(34,stopper flap)을 형성하도록 적용된다. 멈춤 플랩(34)은 바깥쪽 바닥 벽 판넬(30)에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멈춤 플랩(34)은 쉘(2) 안에서 슬라이드(3)의 움직임을 완전히 멈추게 하도록, 쉘(2)의 안쪽에 제공된 돌출부 또는 플랩과 연결된다. The inner bottom wall panel 29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ide wall panel 21 via a folding line and the outer bottom wall panel 3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side wall panel 23 through a folding line . The outer bottom wall panel (30) has a cutout (31) forming the lower part of the cutout (19) of the slide (3). The upper part of the cutout 19 of the slide 3 is formed by a cutout 32 applied to the fold line between the front side panel 21 and the left side wall panel 22. [ The inner bottom wall panel 29 is adapted not to extend into the cutout 31 area when the slide 3 is in the assembled state. The inner bottom wall panel 29 and the outer bottom wall panel 30 are formed together with the bottom wall 18 of the slide 3, Furthermore, the cutout 33 is adapted to form a stopper flap 34 on the rear side wall panel 23. [ The stop flap 34 is formed to be foldable on the outer bottom wall panel 30. The stop flap 34 is connected to a protrusion or flap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shell 2 so as to completely stop the movement of the slide 3 in the shell 2.

도 6에, 쉘(2)을 위한 전개도(35)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쉘(2)을 위한 전개도(35)는 쉘(2)의 정면 측벽(4)을 형성하는 정면 측벽 판넬(36)과 쉘(2)의 좌측벽(5)을 형성하는 좌측벽 판넬(37), 쉘(2)의 후면 측벽을 형성하는 후면 측벽 판넬(38), 그리고 쉘(2)의 우측벽(6)을 형성하는 우측벽 판넬(39)을 구비한다. 상기 판넬(36,37,38,39)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접는선을 통해 서로 접히도록 형성된다.Figure 6 shows a top view of the developed view 35 for the shell 2. The developed view 35 for the shell 2 includes a front side wall panel 36 forming the front side wall 4 of the shell 2 and a left side wall panel 37 forming the left side wall 5 of the shell 2. [ A rear side wall panel 38 forming the rear side wall of the shell 2 and a right side wall panel 39 forming the right side wall 6 of the shell 2. The panels (36, 37, 38, 39) are formed to be folded together through folding lin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더욱이, 내부 플랩(40)은 후면 측벽 판넬(38)의 상부 측과 접히도록 형성되며, 내부 플랩(40)은 쉘(2)의 조립 상태에서 후면 측벽 판넬(38)의 안쪽을 향해 접히게 된다. 바람직하게, 내부 플랩(40)은 후면 측벽 판넬(38)의 안쪽에 접착 수단을 통해 고정된다. 내부 플랩(40)은 슬라이드(3)가 쉘(2)에 대해 올려진 상태에 있을 때, 멈춤 플랩(34)을 위한 결합 부분을 제공한다. 특히, 멈춤 플랩(34)의 상부 모서리는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 플랩(4)의 하부 모서리에 맞물린다.Further, the inner flap 40 is formed to be folded with the upper side of the rear side wall panel 38, and the inner flap 40 is folded toward the inside of the rear side wall panel 38 in the assembled state of the shell 2 . Preferably, the inner flap 40 is secured to the back side wall panel 38 via adhesive means. The inner flap 40 provides a mating portion for the stop flap 34 when the slide 3 is raised against the shell 2. In particular, the upper edge of the stop flap 34 engages the lower edge of the inner flap 4 in this state.

내부 및 외부 바닥 판넬(41,42)은 정면 측벽 및 후면 측벽 판넬(36,38)의 하부 측과 각각 접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조립된 쉘(2)의 의 바닥 벽(7)을 형성한다. 내부 및 바깥쪽 바닥 판넬(41,42)은 접착 수단을 통해 결합되도록 적용된다. 고정탭(43)은 접는선을 통해 우측벽 판넬(39)과 의존하며, 정면 측벽 판넬(36)의 안쪽에 접착되도록 적용된다. 더욱이, 먼지 플랩(44,45,dust flap)은 좌측 및 우측벽 판넬(37,39)의 하부 측에 제공된다. 먼지 플랩(44,45)은 내부 바닥 판넬(41)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적용되며, 쉘(2)을 넣거나 뺄 때 먼지 및 티끌을 차단한다. 컷아웃(10)은 정면 측벽 판넬(36)의 상부에 제공되며, 반면 또 다른 컷아웃(46)은 후면 측벽 판넬(38)과 이들 판넬 사이의 접는선 너머로 연장되는 내부 플랩(40)에 제공된다. 특히, 컷아웃(46)은 후면 측벽 판넬(38)과 내부 플랩(40) 사이의 접는선에 대해 대칭으로 제공된다.The inner and outer bottom panels 41 and 42 are formed to fold with the lower sides of the front side and rear side wall panels 36 and 38 respectively to form the bottom wall 7 of the assembled shell 2. The inner and outer floor panels 41 and 42 are adapted to be coupled through adhesive means. The securing tabs 43 depend on the right wall panel 39 through the folding line and are adapted to be glu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side wall panel 36. Further, dust flaps 44 and 45 a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 panels 37 and 39, respectively. The dust flaps 44 and 45 are applied to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bottom panel 41 and shut off dust and dirt when the shell 2 is inserted or removed. Cutout 10 is provided on top of front side wall panel 36 while another cutout 46 is provided on rear side wall panel 38 and inner flap 40 extending beyond the fold lines between these panels do. In particular, the cutout 46 is provided symmetrically about the fold line between the back side wall panel 38 and the inner flap 40.

정면 측벽 판넬(36)과 좌측 측벽 판넬(37) 사이를 가로질러 연장한 접는선과 접는선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두 개의 평행한 컷(13,14)이 제공된다. 각각의 컷(13,14)의 말단은 접는선(47,48)에 의해 연결되며, 컷(13,14)과 접는선(47,48)은 실질적으로 전개도(35)의 사각형 부분을 형성한다. 조립된 쉘(2)에서, 컷(13,14)과 접는선(47,48)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 부분은, 턱(12)를 형성하기 위해, 쉘(2)의 안쪽을 향해 접혀질 것이다.There are provided two parallel cuts 13 and 14 arranged perpendicularly to the fold line and the fold line extending across the front side wall panel 36 and the left side wall panel 37. [ The ends of the respective cuts 13 and 14 are connected by fold lines 47 and 48 and the cut lines 13 and 14 and the fold lines 47 and 48 form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ortion of the developed view 35 . In the assembled shell 2, the portions delimited by the cuts 13 and 14 and the fold lines 47 and 48 are folded toward the inside of the shell 2 to form the jaw 12 .

도 7에, 본 발명에 따른 용기(1)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용기는 일반적으로 이전 실시예의 용기와 일치하며, 이전 실시예와의 다른 점이 다음에서 설명될 것이다. 특히, 탄성 수단(49)이, 바람직하게 스프링의 형태로, 쉘(2)의 바닥 벽(7)과 슬라이드(3)의 바닥 벽(18)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 수단(49)은 슬라이드(3)를 위쪽 세로 방향(100)으로 힘을 가한다. 특히, 잠금 수단이 슬라이드(3)와 쉘(2)의 맞물리는 판넬로서, 내려진 상태에서 슬라이드를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나, 잠금 수단이, 특히 판넬이, 해제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가 자동적으로 올려진 상태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7,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container generally corresponds to the container of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In particular, an elastic means 49 is arranged between the bottom wall 7 of the shell 2 and the bottom wall 18 of the slide 3, preferably in the form of a spring. The resilient means 49 exert force on the slide 3 in the upper longitudinal direction 100. In particular, the locking means may be provided as an interlocking panel of the slide 3 and the shell 2, to hold the slide in the lowered state, but when the locking means is in particular released, Similarly, the slide will automatically move up.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또 다른 변경사항은 슬라이드(3)의 우측벽(17)이 가로 폭 방향(200)으로 이동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도 7에서 명확성을 위해 생략된 소비용품이 슬라이드(3)가 올려진 상태에 있을 때, 가로 방향(20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제공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소비용품이 턱(12)에 배치되게 된다. 탄성 수단(50)은, 바람직하게 스프링의 형태로, 쉘(2)의 우측벽(6)과 슬라이드(3)의 우측벽(17) 사이에 적용된다. 따라서, 소비용품(14)은 자동적으로 가로 폭 방향(200)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대안으로서 또는 부가적으로, 개구부가 쉘(2)의 우측벽(6)에 제공될 수 있으며, 소비자는 슬라이드(3)의 이동가능한 우측벽(17)을 잡을 수 있고 턱(12)로 소비용품을 이동시키기 위해 압력을 가할 수 있다.Another modification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7 is that the right side wall 17 of the slide 3 is movable in the lateral width direction 200. This is provided for the sake of clarity in Fig. 7 for the purpose of enabling the omitted consumer article to be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200 when the slide 3 is in the raised state, As shown in FIG. The resilient means 50 is applied between the right side wall 6 of the shell 2 and the right side wall 17 of the slide 3, preferably in the form of a spring. Thus, the consumer article 14 automatically mov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200. Alternatively, or in addition, an opening may be provided in the right side wall 6 of the shell 2 and the consumer may grip the movable right side wall 17 of the slide 3 Pressure can be applied to move the consumer to the jaws 12.

탄성 수단(49,50)에 관한 특징과 우측벽(6)의 개구부에 대한 특징은, 또한 서로 별개로서, 각각의 특징이 별개의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features of the elastic means 49 and 50 and the features of the openings of the right side wall 6 can also be provided separately from one another as each feature provides a distinct beneficial effect.

슬라이드(3)의 개구부(9)는, 슬라이드(3)의 상부벽(8)이나 개구부(9)의 어떤 인접한 측벽으로 접힌선을 통해 경첩식으로 작동 가능한 뚜껑(51)에 의해 덮일 수 있으며, 뚜껑(51)은 슬라이드(3)가 턱(12)에 배치된 소비용품(15)과 함께 내려진 상태로 되돌아갈 때, 개구부(9)를 통해 돌출된 소비용품에 의해 눌러져 자동으로 열리도록 적용될 수 있다.The opening 9 of the slide 3 can be covered by a lid 51 hingedly operable through a folded line to any adjacent side wall of the top wall 8 or opening 9 of the slide 3, The lid 51 can be adapted to be automatically opened by being pushed by the consumer article protruding through the opening 9 when the slide 3 is returned to the lowered state together with the consumable article 15 disposed in the jaw 12. [ have.

도시된 실시예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소비용품, 특히 흡연용품 형태는 각각의 소비용품(14)이 턱(12)에 의해 개구부(9)를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허용하기 위해 특히 개구부(9) 및 턱(12)의 구역에 컷(cuts) 또는 천공 라인(perforation line)을 구비한 내부 라이너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내부 라이너는 개구부(9)를 통해 돌출되고, 처음으로 용기(1)의 들어올리는 특징이 작동하기 전에 소비자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당김 탭(pull tap)을 구비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소비용품은 턱(12) 수단에 의해 동시에 들어올려질 수 있으나, 소비용품의 수량이 용기에 초기에 제공된 소비용품의 총 수량에서 10% 또는 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소비용품의 적은 양으로 분배되어 제공되는 소비용품의 오직 일부만이 들어올림 작동에 의해서 올려지게 될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sumer article, particularly the smoking article form, is configured to allow each consumable article 14 to be moved through the opening 9 by the jaws 12, An inner liner with cuts or perforation lines in the area of the jaw 12 may be provided. This inner liner may also have a pull tab which protrudes through the opening 9 and can be removed by the consumer before the lifting feature of the container 1 is activated for the first time. Various consumer articles may be lifted simultaneously by the jaw means 12, but it is preferred that the quantity of consumer articles is 10% or less of the total quantity of consumer articles initially provided in the container. Thus, only a portion of the consumer goods dispensed in small quantities of the consumable will be raised by the lifting operation.

전개도(20,35)를 형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재료는 판지(cardboard)이지만, 다른 중합체(polymer) 또는 금속과 같은 시트 형태의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접힐 수 있는 전개도를 사용하지 않고, 특히 중합체를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일체로 형성된 쉘 또는 슬라이드를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The preferred material for forming the developed designs 20, 35 is a cardboard, but other polymeric materials or sheet-like materials such as metal may be used. Moreover,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integrally formed shell or slide, which is formed in a manner that does not use a collapsible spreading surface, in particular in the manner of injection molding the polymer.

하나의 실시예에서, 쉘에 대한 슬라이드의 최대 올림 높이는 약 13mm이다. 수직 길이 방향(100)으로 용기의 높이는 바람직하게 약 85mm에서 약 105mm 사이이며, 반면 가로 방향 폭 또한 약 85mm이다. 용기의 깊이는 바람직하게 약 18mm이다. 턱의 상부 모서리는 바람직하게 쉘의 바닥면에 대해 약 24mm의 거리로 배치된다. 턱에 대한 슬라이드의 컷아웃은 턱(12)의 상단으로의 높이에 상응한다. 쉘의 정면 및 후면 측벽의 상부 모서리에 제공된 컷아웃(10,14)은 바람직하게 약 12mm의 높이이다.In one embodiment, the maximum lift height of the slide relative to the shell is about 13 mm. The height of the container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100 is preferably between about 85 mm and about 105 mm, while the lateral width is also about 85 mm. The depth of the vessel is preferably about 18 mm. The upper edge of the jaw is preferably disposed at a distance of about 24 mm relativ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hell. The cutout of the slide relative to the jaw corresponds to the height to the top of the jaw 12. The cutouts 10,14 provided in the upper edges of the front and back side walls of the shell are preferably about 12 mm high.

1 : 용기 2 : 쉘
3 : 슬라이드 4 : 정면 측벽
5 : 좌 측벽 6 : 우 측벽
7 : 바닥 벽 8 : 상부벽
9 : 개구부 10 : 컷아웃
11 : 정면 측벽 12 : 턱
13 : 컷 14 : 컷
15 : 소비용품 16 : 좌 측벽
17 : 우 측벽 18 : 바닥 벽
19 : 컷아웃 20 : 전개도
21 : 정면 판넬 22 : 좌측벽 판넬
23 : 후면 벽 판넬 24 : 우측벽 판넬
25 : 고정탭 26 : 안쪽 상부벽 판넬
27 : 바깥쪽 상부벽 판넬 28 : 컷아웃
29 : 안쪽 바닥 벽 판넬 30 : 바깥쪽 바닥 벽 판넬
31 : 컷아웃 32 : 컷아웃
33 : 컷아웃 34 : 멈춤 플랩
35 : 전개도 36 : 정면 측벽 판넬
37 : 좌측벽 판넬 38 : 후면 측벽 판넬
39 : 우측벽 판넬 40 : 내부 플랩
41 : 내부 바닥 판넬 42 : 외부 바닥 판넬
43 : 고정탭 44 : 먼지 플랩
45 : 먼지 플랩 46 : 컷아웃
47 : 접는선 48 : 접는선
49 : 탄성 수단 50 : 탄성 수단
51 : 뚜껑
1: vessel 2: shell
3: Slide 4: Front side wall
5: left side wall 6: right side wall
7: bottom wall 8: upper wall
9: opening 10: cutout
11: front side wall 12: chin
13: cut 14: cut
15: Consumables 16: Left side wall
17: right side wall 18: bottom wall
19: Cutout 20: Exploded view
21: front panel 22: left side wall panel
23: rear wall panel 24: right wall panel
25: fixing tab 26: inner upper wall panel
27: outer upper wall panel 28: cutout
29: inner bottom wall panel 30: outer bottom wall panel
31: Cutout 32: Cutout
33: cutout 34: stop flap
35: Exploded view 36: Front side wall panel
37: Left side wall panel 38: Rear side wall panel
39: right wall panel 40: inner flap
41: inner bottom panel 42: outer bottom panel
43: securing tab 44: dust flap
45: Dust flap 46: Cutout
47: fold line 48: fold line
49: elastic means 50: elastic means
51: Lid

Claims (14)

용기의 상부벽에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 아래쪽에 배치된 턱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상부벽은 올려진 상태와 내려진 상태 사이에서, 상기 턱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기는 내부의 슬라이드(slide)와 외부의 쉘(shell)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쉘에서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쉘은 상기 턱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상부벽을 구비하고, 상기 턱은 컷아웃(cut-out)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 내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막대형 소비용품을 위한 용기.
An opening is provided in an upper wall of the container, and a jaw provided below the opening is further provided,
The upper wall being formed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jaw, between a raised state and a lowered state,
Wherein the container comprises an inner slide and an outer shell, the slide being arranged to be vertically movable in the shell, the shell having the jaws, Wherein the jaw is configured to protrude into the slide through a cut-out.
제1항에 있어서,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턱의 위쪽 단부와 상부벽 사이의 거리가 상기 막대형 소비용품의 길이보다 더 크며, 적어도 하나의 소비용품이 상기 턱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벽이 내려진 상태로 다시 돌아가면, 상기 턱 위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비용품이 상기 상부벽의 개구부를 통해 돌출되도록 형성된, 막대형 소비용품을 위한 용기.
The article of claim 1, wherein, in the raised pos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jaw and the upper wall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bar stock consuming article, at least one consumer article can be placed on the jaw, Wherein the at least one consumer article disposed above the jaw projects through an opening in the top wall when the wall is returned to the lowered sta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내부의 슬라이드와 외부의 쉘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는 쉘 내에서 수직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또는 쉘 중의 하나는 턱을 구비하며, 슬라이드 또는 쉘 중의 다른 하나는 개구부가 형성된 상부벽을 구비하는, 막대형 소비용품을 위한 용기.
3. The apparatus of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ainer has an inner slide and an outer shell, the slide being arranged to move vertically within the shell, one of the slide or shell having a jaw, Or the other of the shells has a top wall with an opening formed therein.
상기 청구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쉘의 턱을 위한 컷아웃(cut-out)이 형성된 바닥 벽을 구비한, 막대형 소비용품을 위한 용기.
The container of any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slide has a bottom wall formed with a cut-out for the jaws of the shell.
상기 청구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소비자가 상기 슬라이드를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컷아웃을 구비하는, 막대형 소비용품을 위한 용기.
The container of any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shell comprises a cutout for allowing a consumer to hold the slide.
상기 청구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 수단이 상기 소비용품 아래에 구비되는, 막대형 소비용품을 위한 용기.
The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elastic means are provided under the consumer article.
상기 청구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이 올려진 위치에서 상승 말단 위치에 있도록, 멈춤 수단이 상기 상부벽을 상기 올려진 위치에 완전히 멈출 수 있도록 하며, 막대형 소비용품을 위한 용기.
The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stop means allows the upper wall to be completely stopped in the raised position such that the upper wall is in the raised end position in the raised position.
상기 청구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의 서있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소비용품을 구비하며, 상기 용기의 폭과 깊이가 상기 소비용품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더 작은, 막대형 소비용품을 위한 용기.
The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container has a plurality of consumable articles extending in the standing direction of the container, the width and depth of the container being small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onsumable article, Container for.
상기 청구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턱이 상기 용기의 두 측벽에 인접하여 배치된, 막대형 소비용품을 위한 용기.
The container of claim 1, wherein the jaws are disposed adjacent two side walls of the container.
상기 청구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턱의 크기는 서있는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방향 축을 가진 단지 하나의 소비용품이 그 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막대형 소비용품을 위한 용기.
The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size of the jaw is formed such that only one consumer article having a longitudinal axis extending in the standing direction can be placed thereon.
상기 청구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이 올려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턱으로의 상기 소비용품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측벽이 상기 턱을 향해 이동할 수 있는, 막대형 소비용품을 위한 용기.
6.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is movable toward the jaw to facilitate movement of the consumable article to the jaw when the top wall is in the raised position, Container for suppli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턱의 방향으로 측벽을 이동시킬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수단이 구비되는, 막대형 소비용품을 위한 용기.
12. The container of claim 11 wherein elastic means is provide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side wall in the direction of the jaw.
상기 청구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의 개구부가 상기 상부벽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할 수 있는 뚜껑에 의해 덮이는, 막대형 소비용품을 위한 용기.
The container of claim 1, wherein the opening of the top wall is covered by a lid operable in response to movement of the top wall.
상기 청구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내부 라이너(liner)로 싸인 여러개의 소비용품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라이너에는 상기 내부 라이너의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천공 라인(perforation line)이 구비되는, 막대형 소비용품을 위한 용기.The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container has a plurality of consumables wrapped therein, the inner liner being provided with a perforation line for facilitating the opening of the inner liner , Containers for bar size consumer goods.
KR1020147029781A 2012-04-30 2013-02-21 Slide and shell container with ledge KR2014013958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003036 2012-04-30
EP12003036.6 2012-04-30
PCT/EP2013/000510 WO2013164046A1 (en) 2012-04-30 2013-02-21 Slide and shell container with le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584A true KR20140139584A (en) 2014-12-05

Family

ID=4774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781A KR20140139584A (en) 2012-04-30 2013-02-21 Slide and shell container with ledge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50122676A1 (en)
EP (1) EP2844585A1 (en)
JP (1) JP2015514646A (en)
KR (1) KR20140139584A (en)
CN (1) CN104271465A (en)
AU (1) AU2013257003A1 (en)
BR (1) BR112014026619A2 (en)
HK (1) HK1207847A1 (en)
MX (1) MX2014013214A (en)
PH (1) PH12014502233A1 (en)
RU (1) RU2014147991A (en)
SG (1) SG11201406794PA (en)
WO (1) WO201316404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205243D0 (en) 2012-03-26 2012-05-09 Kraft Foods R & D Inc Packaging and method of opening
GB2511560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GB2511559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ES2744611T3 (en) * 2015-06-26 2020-02-25 Philip Morris Products Sa Consumer goods container with sliding portion
RU2018126792A (en) 2015-12-21 2020-01-23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CONTAINERS FOR CONSUMER GOODS WITH MOVABLE INTERNAL FRAME
JP6728398B2 (en) * 2016-05-12 2020-07-2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Smoking article container having inner reinforcement, inner reinforcement, method
CN109432582B (en) * 2018-12-11 2024-01-05 浙江大学 Cotton swab disinfection device
CN109693855A (en) * 2019-03-01 2019-04-30 苏州伍洲设计包装有限公司 Packing box and its application method
CN111252392B (en) * 2020-01-16 2022-01-28 四川大学华西医院 Medicine box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6680A (en) * 1929-12-16 1932-09-13 James Cottrell C Cigarette case
FR1203196A (en) 1958-07-25 1960-01-15 Parisienne Impression Advanced dispenser box
US3446338A (en) * 1968-01-02 1969-05-27 David B Bozyk Package
GB1375393A (en) 1972-05-01 1974-11-27
US4793365A (en) 1984-09-14 1988-12-27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JPH0248391Y2 (en) * 1985-04-30 1990-12-19
DE3933455A1 (en) * 1989-10-06 1991-04-18 Focke & Co PACKING OF THIN CARDBOARD, IN PARTICULAR FOR CIGARETTES
US5692525A (en) 1992-09-11 1997-12-02 Philip Morris Incorporated Cigarette for electrical smoking system
DE4329368B4 (en) * 1993-09-01 2004-02-12 Focke Gmbh & Co. Kg Soft pack for cigarettes
US7147103B2 (en) * 2004-01-30 2006-12-12 Marian Retelski Cigarette pack with cigarette elevation capability
CN201045090Y (en) * 2007-02-12 2008-04-09 何良钢 Sliding-cap type controlled automatic cigarette feeding case
CN100581399C (en) * 2007-03-30 2010-01-20 何文天 Automatic,controllable telescopic cigarette case
CN201334196Y (en) * 2008-12-31 2009-10-28 广东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Cigarette box
US8087540B2 (en) * 2009-04-16 2012-01-03 R.J. Reynolds Tabacco Company Dispensing container for metered dispensing of product
KR101677786B1 (en) * 2009-07-27 2016-11-18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Container comprising smoking articles with a lifting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71465A (en) 2015-01-07
JP2015514646A (en) 2015-05-21
US20150122676A1 (en) 2015-05-07
PH12014502233A1 (en) 2014-12-15
MX2014013214A (en) 2014-12-08
AU2013257003A1 (en) 2014-12-18
SG11201406794PA (en) 2014-11-27
RU2014147991A (en) 2016-06-20
EP2844585A1 (en) 2015-03-11
HK1207847A1 (en) 2016-02-12
BR112014026619A2 (en) 2017-06-27
WO2013164046A1 (en)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9584A (en) Slide and shell container with ledge
KR101839620B1 (en) Slide and shell container with hinged flap
US20150232261A1 (en) Container with slidable lid and lifting feature
AU2010278323B2 (en) Container comprising smoking articles with a lifting element
RU2568400C2 (en) Container with sliding part and shell provided with sealing means with opening indicator
JP6211600B2 (en) Container with sliding element for dispensing consumer goods
JP2013541473A (en) Hinged lid container with audible closure indication
KR20120109540A (en) Slide and shell container
JP2012511477A (en) Container with additional external panel
EP2287081A1 (en) Slide and shell container having dual hinge lids
WO2010149375A1 (en) Slide and shell container with resiliently biased lid
EP2336040A1 (en) Container with side opening
WO2010003697A1 (en) Hinge lid container with inner side wall closure tabs
WO2018002844A1 (en) Container for consumer goods including dispensing device
WO2012065746A1 (en) Container with dispensing device
WO2013011012A1 (en) Slide and shell container with pivotable inner slide
WO2013127690A1 (en) Slide and shell container with detachable wall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