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998A -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gw 기반 id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gw 기반 id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998A
KR20140132998A KR20130052464A KR20130052464A KR20140132998A KR 20140132998 A KR20140132998 A KR 20140132998A KR 20130052464 A KR20130052464 A KR 20130052464A KR 20130052464 A KR20130052464 A KR 20130052464A KR 20140132998 A KR20140132998 A KR 20140132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topic
domain
extended
dire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2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3907B1 (ko
Inventor
최성찬
김재호
원광호
이상신
안일엽
송민환
윤재석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52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907B1/ko
Publication of KR20140132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GW 기반 ID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D 관리 방법은, 제1 도메인에 존재하는 리소스들 중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ID를 부여하고, 제1 디바이스가 ID를 포함한 제2 디바이스의 정보를 제2 도메인에 등록한다. 이에 의해, 상위 디바이스가 레거시 디바이스와 같이 ID가 부여되지 않은 하위 디바이스의 ID를 생성하여 등록함으로써, 사용자가 하위 디바이스를 글로벌 환경에서 검색하고 액세스할 수 있도록 지원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GW 기반 ID 관리 방법{GW-based ID Management Method in Open M2M System}
본 발명은 M2M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엔드-포인트들의 ID들을 생성하고 등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개인용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컴퓨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킹 및 인터넷 환경을 컴퓨터를 포함한 스마트폰, 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와 같이 이동이 가능한 소형의 기기를 중심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연산, 통신 및 네트워킹 기능이 가능한 소형 장치들은 정보화 기기뿐만 아니라 계량기, 온도계와 같은 일반적인 사물에도 부착될 수가 있다. 사물에 부착된 이러한 소형 장치들은 사물의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게 해주거나 사물 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의 상호 공유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사물에 부착된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사물이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사물간에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개념 및 기술을 지칭하는 용어로 IoT(Internet of Things), M2M(Machine to Machine) 및 사물지능통신 등이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사람 대 사람, 사람 대 사물 뿐만 아니라 사물 대 사물 간의 통신 네트워크가 가능해져 모든 객체 간의 정보 공유가 가능해지며 이는 미래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사회로 진화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술 요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다수의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M2M과 유사한 개념의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는 M2M을 키워드로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경우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s)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반해 ITUT의 경우 IoT 혹은 MOC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대부분 유사한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
IoT(사물 인터넷)는 "세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사물(things)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언제 어디서나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정보통신 기반"이라고 정의된다. 즉, 사물 인터넷은 언제 어디서나 사물이 연결되는 유비쿼터스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인프라로 볼 수 있다.
IoT 서비스는 디바이스 검색을 전제로 하는데, 디바이스 검색을 위해서 각각의 디바이스는 ID로 구분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ID가 부여되지 않은 디바이스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위 디바이스가 ID가 부여되지 않은 하위 디바이스의 ID를 생성하여 등록함으로써,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D 관리 방법은, 제1 도메인에 존재하는 리소스들 중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ID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ID를 포함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정보를 제2 도메인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하위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ID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ID의 일부 및 extended I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extended ID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xtended ID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정보를 해쉬함수에 대입하여 생성한 해쉬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D 관리 방법은, 상기 제2 도메인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상기 제1 디바이스를 통해 액세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여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통신 연결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D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연결 해지하면,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정보를 상기 제2 도메인에서 등록 해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위 디바이스가 레거시 디바이스와 같이 ID가 부여되지 않은 하위 디바이스의 ID를 생성하여 등록함으로써, 사용자가 하위 디바이스들을 글로벌 환경에서도 검색하고 액세스할 수 있도록 지원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개방형 M2M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리소스 등록 및 검색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토픽 기반 리소스 게시&가입 및 액세스 제어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리소스 DB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할 ID 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나타난 ID의 extended ID를 생성하는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7은 extended ID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8은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GW 기반의 ID 관리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개방형 M2M 아키텍처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개방형 M2M 시스템의 아키텍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개방형 M2M 시스템은, 글로벌 스케일(글로벌 환경)에서 리소스 등록, 검색 및 액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사용자와 리소스 간의 통신은 M2M 통신과 P2P 통신 모두 가능하다.
'글로벌 스케일'은 전세계에 존재하는 리소스들을 등록, 검색 및 액세스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구현의 한계와 필요에 따라 등록, 검색 및 액세스 가능한 범위는 그 보다 작게 제한할 수 있다.
'리소스'는 개방형 M2M 아키텍처에서 사용자에게 유용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물리적 구성 요소 또는 가상의 구성 요소이다. 리소스는 토픽, 디바이스 및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데, 이 밖에도 컨텐츠, 컨텍스트 및 서비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픽'은 개방형 M2M 아키텍처에서 공통된 관심 주제와 관련 있는 디바이스들의 그룹이다. 예를 들어, '토픽'은 온도, 습도 및 조도 등의 환경 정보 측정과 관련 있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조도 센서의 그룹일 수 있다. '토픽'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개방형 M2M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리소스 도메인(100), 리소스 인터렉션 도메인(200) 및 물리적 리소스 도메인(300)을 포함한다.
가상 리소스 도메인(100)은 토픽 리소스 디렉터리(110), 디바이스 리소스 디렉터리(120) 및 어플리케이션 리소스 디렉터리(130)를 포함한다.
토픽 리소스 디렉터리(110)는 토픽 등록 및 검색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토픽 리소스 디렉터리(110)는, 토픽 생성자(11)의 토픽을 등록하는 토픽 등록 관리자(111) 및 사용자(20)에 토픽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토픽 검색 관리자(112)를 포함한다.
토픽 리소스 디렉터리(110)에서 지원하는 등록 및 검색은 토픽 기반 방식이다. 즉, 토픽 등록은 토픽에 포함될 디바이스들을 등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토픽 검색 결과는 토픽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디바이스 리소스 디렉터리(120)는 디바이스 등록 및 검색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 리소스 디렉터리(120)는, 디바이스 소유자(12)의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디바이스 등록 관리자(121) 및 사용자(20)에 디바이스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검색 관리자(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바이스는, 리소스 서버(310), 리소스 게이트웨이(320), 리소스 엔드-포인트(330)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어플리케이션 리소스 디렉터리(130)는 어플리케이션 등록 및 검색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 리소스 디렉터리(130)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자(13)의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 관리자(131) 및 사용자(20)에 어플리케이션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검색 관리자(132)를 포함한다.
물리적 리소스 도메인(300)은 리소스 서버(310), 리소스 게이트웨이(320), 리소스 엔드-포인트(330) 및 어플리케이션 저장소(34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소스 서버(310)의 하위에는 리소스 게이트웨이가 연결되거나 리소스 엔드-포인트가 연결될 수 있고, 리소스 게이트웨이(320)의 하위에는 리소스 엔드-포인트가 연결될 수 있다. 즉, 리소스 엔드-포인트는 리소스 게이트웨이에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 리소스 서버에 연결될 수도 있다.
리소스 엔드-포인트(330)는 리소스 데이터 생성을 위한 센서 리소스(331), 제어를 위한 액츄에이터 리소스(332) 및 관리를 위한 관리 리소스(333)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저장소(310)는 서비스 앱(341) 및 서비스 웹(342)을 저장하고 있다. 서비스 앱(341)은 디바이스로부터 리소스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고, 서비스 웹(342)은 디바이스로부터 리소스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웹페이지의 URL이다.
리소스 인터렉션 도메인(200)은 가상 리소스 도메인(100)과 물리적 리소스 도메인(300) 간의 인터렉션을 위한 도메인으로, 이동통신망(210), 유선 네트워크(220), WiFi(230) 및 PAN(240)은 물론, 언급되지 않은 다른 유/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리소스 도메인(300)은 리소스 인터렉션 도메인(200)을 통해 가상 리소스 도메인(100)과 인터렉션 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310, 320 및 330)은 리소스 데이터를 보유하는 리소스 DB들(315, 325 및 335) 및/또는 다른 리소스 DB에 링크된 포인터(미도시)를 보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1) 리소스 서버(310)는 리소스 게이트웨이와 자신에 등록된 리소스 엔드-포인트의 리소스 데이터를 관리하고, 2) 리소스 게이트웨이(320)는 자신에 등록된 리소스 엔드-포인트의 리소스 데이터를 관리하며, 3) 리소스 엔드-포인트(330)는 자신에 등록된 센서, 액츄에이터 및 관리 리소스들의 리소스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20)는 리소스 인터렉션 도메인(200)을 통해 리소스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엄밀하게, '사용자(20)'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이해와 표기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20)'로 표기한다.
리소스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자(20)는 가상 리소스 도메인(100)의 토픽 리소스 디렉터리(110), 디바이스 리소스 디렉터리(120) 및 어플리케이션 리소스 디렉터리(130)에서, 먼저 리소스를 검색한다.
그리고, 사용자(20)는 리소스 인터렉션 도메인(200)을 통해 검색된 리소스의 리소스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개방형 M2M 아키텍처에서, 사용자(20)는 리소스 엔드-포인트의 리소스 데이터에 두 가지 통신 방식으로 액세스가능하다.
하나는, 간접적인(indirect) 방식인 M2M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20)가 리소스 서버나 리소스 게이트웨이를 통해 리소스 엔드-포인트의 리소스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직접적인(direct) 방식인 P2P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20)가 직접 리소스 엔드-포인트의 리소스의 리소스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이다.
2. 개방형 M2M 시스템의 기능
이하에서, 도 1에 도시된 개방형 M2M 시스템의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2.1 리소스 등록 및 검색
개방형 M2M 시스템은 가상 리소스 도메인(100)을 통해 글로벌 스케일에서 리소스 등록 및 검색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리소스에 토픽, 디바이스, 어플리케이션 등이 포함됨은 전술한 바 있다. 도 2는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리소스 등록 및 검색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가상 리소스 도메인(100)은 물리적 리소스 도메인(300)에 존재하는 실제 리소스에 대한 설명이 수록된 리소스 메타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1) 토픽 리소스 디렉터리(110)는 토픽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보유하고, 2) 디바이스 리소스 디렉터리(120)는 디바이스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보유하며, 3) 어플리케이션 리소스 디렉터리(130)는 토픽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메타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제공자(10)는 가상 리소스 도메인(100)에 리소스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제공자(10)는, 토픽 생성자(11), 디바이스 소유자(12)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자(13)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사용자(20)는 가상 리소스 도메인(100)에서 리소스를 글로벌하게 검색할 수 있다.
디바이스 리소스 디렉터리(120)에 있는 디바이스 메타 데이터는 토픽 리소스 디렉터리(110)에 게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가 토픽에 포함된 경우 해당 디바이스의 메타 데이터는 해당 토픽의 메타 데이터에 게시된다.
또한, 디바이스 리소스 디렉터리(120)에 있는 디바이스 메타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 리소스 디렉터리(130)에 있는 어플리케이션 메타 데이터는 서로 참조하고 있다(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리소스 디렉터리(13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찾은 경우, 사용자(20)는 그 어플리케이션에 연관된(그 어플리케이션을 참조하는) 디바이스를 찾을 수 있다.
반대로, 디바이스 리소스 디렉터리(120)에서 디바이스를 찾은 경우, 사용자(20)는 그 디바이스에 연관된(그 디바이스를 참조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가상 리소스 도메인(100)에서 리소스 메타 데이터를 검색한 후에, 사용자(20)는 메타 데이터를 참고하여 인터렉션 도메인(200)을 통해 물리적 리소스 도메인(300)의 리소스(310, 320, 330, 340)에 액세스할 수 있다.
2.2 토픽 기반 리소스 게시&구독(가입) 및 액세스 제어
이하에서는,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토픽 기반의 리소스 게시&구독 과정과 리소스 액세스 제어 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토픽 기반 리소스 게시&가입 및 액세스 제어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토픽 생성자가 토픽 리소스 디렉터리(110)에 토픽을 생성하여 등록한다(①). 도 3에는 토픽 리소스 디렉터리(110)에 토픽-1과 토픽-2가 생성되어 등록된 상황을 예시하였다.
그러면, 토픽에 포함된 리소스들이 토픽 리소스 디렉터리(110)에 생성된 토픽에 게시된다(②).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리소스-3이 다수의 토픽-1,2에 게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사용자들은 토픽 리소스 디렉터리(110)에서 토픽을 검색할 수 있다(③). 또한, 사용자들은 토픽 리소스 디렉터리(110)에서 원하는 특정 토픽을 구독(가입)하여 토픽과 관련한 관련된 리소스 데이터들을 얻을 수 있다(④).
이를 위해, 리소스가 토픽에 게시된 경우, 게시된 리소스의 액세스 권한은 토픽으로 위임된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토픽을 구독하는 경우, 사용자는 그 토픽과 관련한 리소스들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획득하게 된다.
2.3 M2M 리소스 DB 의 구조
이하에서는, 개방형 M2M 아키텍처에서 디바이스가 보유하는 리소스 DB의 구조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리소스 DB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을 통해 전술한 바 있듯이, 리소스 서버(310), 리소스 게이트웨이(320-1, 320-2) 및 리소스 엔드-포인트(330-1, 330-2, 330-3)는 리소스 DB(315, 325-1, 325-2, 335-1, 335-2, 335-3)를 보유하고 있다. 단, 레거시 디바이스(미도시)는 리소스 DB를 보유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들의 연결/구축 형태에 따라, 디바이스들은 매크로 리소스 개체, 마이크로 리소스 개체 및 Tiny 리소스 개체로 구분할 수 있다.
매크로 리소스 개체는, 리소스 서버(310), 리소스 게이트웨이(320-1) 및 리소스 엔드-포인트(330-1)를 모두 포함하는 유형이다. ETSI 표준에서 SCLS 기반 모델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정하고 있는 매크로 리소스 개체의 유형으로 볼 수 있다.
매크로 리소스 개체에서, 사용자는 리소스 서버(310)와 리소스 게이트웨이(320-1)를 통해 리소스 엔드-포인트(330-1)의 리소스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즉, 리소스 엔드-포인트(330-1)는 리소스 게이트웨이(320-1)와 리소스 서버(310)를 통해 사용자에 리소스 데이터를 제공한다.
마이크로 리소스 개체는, 리소스 서버를 포함하지 않고 리소스 게이트웨이(320-2)와 리소스 엔드-포인트(330-2)만을 포함하는 유형이다. 마이크로 리소스 개체에서, 사용자는 리소스 게이트웨이(320-2)를 통해 리소스 엔드-포인트(330-2)의 리소스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즉, 리소스 엔드-포인트(330-2)는 리소스 게이트웨이(320-2)를 통해 사용자에 리소스 데이터를 제공한다.
Tiny 리소스 개체는, 리소스 서버와 리소스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지 않고 리소스 엔드-포인트(330-3)만을 포함하는 유형이다. Tiny 리소스 개체에서, 사용자는 리소스 서버와 리소스 게이트웨이를 통하지 않고 리소스 엔드-포인트(330-2)의 리소스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즉, 리소스 엔드-포인트(330-2)는 리소스 서버와 리소스 게이트웨이를 통하지 않고 사용자에 리소스 데이터를 제공한다.
한편, 리소스 DB들(315, 325-1, 325-2, 335-1, 335-2, 335-3)은 리소스 데이터 외에 다른 리소스 DB에 링크된 포인터를 보유하고 있음은, 도 1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전술한 바 있다. 도 4에서는 링크 관계를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이 링크 관계에 의해, 디바이스들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지 않은 리소스 DB에서도 리소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리소스 인터렉션 도메인(200)은 물리적 리소스 도메인(300)에서 리소스들에 액세스하는 통합 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리소스들에 인터렉션 하는 방법과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물리적 리소스 도메인(300)의 리소스들은 인터렉션 API들을 통해 액세스가능하다.
3.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GW 기반 ID 생성 및 등록
이하에서는,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리소스 게이트웨이가 자신의 하부 디바이스로 연결된 리소스 엔드-포인트들에 ID를 부여하여 가상 리소스 도메인(100)의 디바이스 리소스 디렉터리(120)에 등록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소스 디렉터리(120)에 등록할 ID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식의 ID를 제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에는 ID arcs, IoT 필드, 제조사 필드, 모델 필드, 시리얼 필드, 예비 영역, extended ID 마커, extended ID가 포함되어 있다.
extended ID 마커는 후단에 extended ID의 포함 여부를 나타내는 마커로, 포함시에는 "1"이 수록되고, 미포함시에는 "0"이 수록된다. extended ID에는 리소스 엔드-포인트의 extended ID가 수록된다.
extended ID는 리소스 게이트웨이에 의해 생성되는데, 이하에서, extended ID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extended ID 생성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6의 좌측 부분에서, "GW1"과 "GW2"는 리소스 게이트웨이를 의미하고, "FFD(Full Function Device)"는 리소스 게이트웨이와 리소스 서버를 통하지 않고 리소스 인터렉션 도메인과 인터렉션할 수 있는 리소스 엔드-포인트를 의미한다. 또한, "GSD(Gateway Sub-Device)1", "GSD2", "GSD3"은 리소스 게이트웨이를 거쳐 리소스 인터렉션 도메인을 통해 디바이스 리소스 디렉터리와 인터렉션할 수 있는 리소스 엔드-포인트를 의미한다.
도 6의 좌측 부분에 도시된 디바이스들 중 ID에 extended ID가 필요한 디바이스는 "GW1"과 "GW2"의 하위 디바이스들인 "GSD1", "GSD2", "GSD3"이다. "GSD1", "GSD2", "GSD3"은 Zigbee, Bluetooth, WiFi-direct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만을 보유하고 있어, 리소스 인터렉션 도메인을 통해 디바이스 리소스 디렉터리와 인터렉션할 수 없는 디바이스들이다.
이들에 대해서는, 리소스 게이트웨이가 extended ID를 생성/부가한 ID를 부여한다. 도 6에서는, "GW1"가 자신의 하위 디바이스들인 "GSD1"와 "GSD2"에 ID를 부여하고, "GW2"가 자신의 하위 디바이스인 "GSD3"에 ID를 부여한다.
부여하는 ID에서 extended ID 마커와 extended ID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GW의 ID와 동일하다. extended ID 마커에는 후단에 extended ID가 수록되어 있음을 지시하는 비트인 "1"이 수록된다.
extended ID는 GSD의 정보에 대한 해쉬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GSD의 네트워크 주소(MAC 주소, Zigbee 주소, Bluetooth 주소 등)를 해쉬함수에 대입하여 획득한 해쉬값, 2) GSD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해쉬함수에 대입하여 획득한 해쉬값, 3) GSD에 부착/내장된 Tag의 ID를 해쉬함수에 대입하여 획득한 해쉬값을 extended ID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동일 GW에 연결된 GSD들의 extended ID가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W1"의 하위 디바이스들인 "GSD1"와 "GSD2"의 extended ID가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GW1"는 나중에 생성한 "GSD2"의 extended ID에 1비트를 가산하여, "GSD1"의 extended ID와 "GSD2"의 extended ID를 구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GW가 GSD의 ID를 가상 리소스 도메인의 디바이스 리소스 디렉터리에 등록하는 과정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GW 기반의 ID 관리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순서도이다.
도 8의 리소스 게이트웨이(320)는 도 6의 "GW1", "GW2"에, 도 8의 리소스 엔드-포인트(330)는 도 6의 "GSD1", "GSD2" 및 "GSD3"에, 각각 해당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리소스 엔드-포인트(330)와 리소스 게이트웨이(320)가 통신 연결을 설정한다(S410). S410단계에서의 통신 연결은 리소스 게이트웨이(320)에 보유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기인한 통신 연결(Zigbee, Bluetooth, WiFi-direct 등)이다.
ID가 부여되지 않은 리소스 엔드-포인트(330)에 대해서는, 리소스 게이트웨이(320)가 ID를 생성하여 부여한다(S420). ID 및 ID 생성/부여 방법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상술한 바 있다. 한편, ID가 부여된 바 있는 리소스 엔드-포인트(330)에 대해서는, 리소스 게이트웨이(320)가 ID를 요청하여 수신한다(S430 및 S440).
이후, 리소스 게이트웨이(320)는 ID/주소 테이블을 작성한다(S450). S450단계에서 작성되는 테이블에 수록되는 ID는 S420단계에서 생성하였거나 S440단계를 통해 수신한 것이다. 그리고, S450단계에서 작성되는 테이블에 수록되는 주소는 S410단계에서의 통신 연결에 이용한 주소를 말한다.
리소스 게이트웨이(320)가 디바이스 리소스 디렉터리(120)에 리소스 엔드-포인트(330)의 ID와 프로파일 및 자신의 IP 주소를 전송하면서 등록 요청하면(S460), 디바이스 리소스 디렉터리(120)는 이를 메타 데이터로 저장하여 등록한 후 등록 확인을 회신한다(S470).
이후, 리소스 엔드-포인트(330)와 리소스 게이트웨이(320)가 연결 해지되면(S480), 리소스 게이트웨이(320)는 디바이스 리소스 디렉터리(120)에 리소스 엔드-포인트의 등록 해지를 요청하고(S490), 디바이스 리소스 디렉터리(120)는 해당 리소스 엔드-포인트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삭제하여 등록 해지한 후 해지 확인을 회신한다(S500).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 : 토픽 생성자 12 : 디바이스 소유자
13 : 어플리케이션 개발자 20 : 사용자
100 : 가상 리소스 도메인 110 : 토픽 리소스 디렉터리
120 : 디바이스 리소스 디렉터리 130 : 어플리케이션 리소스 디렉터리
200 : 리소스 인터렉션 도메인 300 : 물리적 리소스 도메인
310 : 리소스 서버 320 : 리소스 게이트웨이
330 : 리소스 엔드-포인트 340 : 어플리케이션 저장소

Claims (8)

  1. 제1 도메인에 존재하는 리소스들 중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ID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ID를 포함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정보를 제2 도메인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하위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관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ID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ID의 일부 및 extended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관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extended ID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정보를 기초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관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extended ID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정보를 해쉬함수에 대입하여 생성한 해쉬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관리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메인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상기 제1 디바이스를 상기 제1 디바이스를 통해 액세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관리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여 단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통신 연결된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관리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연결 해지하면,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정보를 상기 제2 도메인에서 등록 해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관리 방법.
KR1020130052464A 2013-05-09 2013-05-09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gw 기반 id 관리 방법 KR101963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464A KR101963907B1 (ko) 2013-05-09 2013-05-09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gw 기반 id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464A KR101963907B1 (ko) 2013-05-09 2013-05-09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gw 기반 id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998A true KR20140132998A (ko) 2014-11-19
KR101963907B1 KR101963907B1 (ko) 2019-04-01

Family

ID=5245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464A KR101963907B1 (ko) 2013-05-09 2013-05-09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gw 기반 id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9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2364B2 (en) 2015-10-26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0647A1 (en) * 2010-10-29 2012-05-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uniquely tagged items using the internet
KR20120090855A (ko) * 2011-02-08 2012-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계간 통신에서의 송신 방법
KR20120098899A (ko) * 2009-12-22 2012-09-0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그룹 기반의 머신-투-머신 통신
KR20130004497A (ko) * 2010-03-09 2013-01-10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머신-투-머신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30013555A1 (en) * 2011-07-08 2013-01-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achine to Machine (M2M) Application Server, XDMS server, and Methods for M2M Applications Group Management
KR20130004607A (ko) * 2010-05-03 2013-01-11 엠포메이션 테크놀로지즈 아이엔시. M2m 장치 통신용 동적 그룹 서브스크립션 제공
EP2566281A1 (en) * 2010-04-30 2013-03-06 ZTE Corporation Internet of things service architecture and method for realizing internet of things ser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8899A (ko) * 2009-12-22 2012-09-0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그룹 기반의 머신-투-머신 통신
KR20130004497A (ko) * 2010-03-09 2013-01-10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머신-투-머신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EP2566281A1 (en) * 2010-04-30 2013-03-06 ZTE Corporation Internet of things service architecture and method for realizing internet of things service
KR20130004607A (ko) * 2010-05-03 2013-01-11 엠포메이션 테크놀로지즈 아이엔시. M2m 장치 통신용 동적 그룹 서브스크립션 제공
US20120110647A1 (en) * 2010-10-29 2012-05-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uniquely tagged items using the internet
KR20120090855A (ko) * 2011-02-08 2012-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계간 통신에서의 송신 방법
US20130013555A1 (en) * 2011-07-08 2013-01-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achine to Machine (M2M) Application Server, XDMS server, and Methods for M2M Applications Group Manag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2364B2 (en) 2015-10-26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907B1 (ko)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fle et al. Internet of things standardization in ITU and prospective networking technologies
Alaya et al. Toward semantic interoperability in oneM2M architecture
Peng et al. Toward integrated Cloud–Fog networks for efficient IoT provisioning: Key challenges and solutions
Hatzivasilis et al. The Interoperability of Things: Interoperable solutions as an enabler for IoT and Web 3.0
CN110149616B (zh) 轻量级iot信息模型
US20180145945A1 (en) Information centric network island bridging
CN108141468B (zh) 增强的restful操作
Han et al. Semantic service provisioning for smart objects: Integrating IoT applications into the web
CN109964495B (zh) 应用的服务层移动性管理
EP3175602A2 (en) Server for device location registration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Amadeo et al. Information-centric networking for M2M communications: Design and deployment
KR20170075000A (ko) 머신-투-머신 시스템에서의 애플리케이션 관계 관리
KR102066294B1 (ko) 개방형 m2m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3390A (ko) 로컬 영역 네트워크 통신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1909270B1 (ko) 센서 네트워크의 가상 센서 생성 장치 및 방법
Mynzhasova et al. Drivers, standards and platforms for the IoT: Towards a digital VICINITY
CN111201804B (zh) 启用数据连续***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Trifa et al. Design of a web-based distributed location-aware infrastructure for mobile devices
Barreto et al. Coap-ctx: A context-aware coap extension for smart objects discovery in internet of things
KR101963907B1 (ko) 개방형 m2m 시스템에서 gw 기반 id 관리 방법
Jin et al. Integrated service composition approach based on transparent access to heterogeneous IoT networks using multiple service providers
Görgü et al. Sensor discovery in ambient IoT ecosystems
KR102101227B1 (ko) 통신망 추상화 기술을 이용한 도슨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60413B1 (ko)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에서 확장홈 서비스 장치 및 서비스제공 방법
KR102035359B1 (ko) 리소스 접근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