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598A - Farm for heating systems and hot air devices - Google Patents

Farm for heating systems and hot air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598A
KR20140132598A KR1020130052016A KR20130052016A KR20140132598A KR 20140132598 A KR20140132598 A KR 20140132598A KR 1020130052016 A KR1020130052016 A KR 1020130052016A KR 20130052016 A KR20130052016 A KR 20130052016A KR 20140132598 A KR20140132598 A KR 20140132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farm
air
duct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0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23315B1 (en
Inventor
정석규
Original Assignee
정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규 filed Critical 정석규
Priority to KR1020130052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315B1/en
Publication of KR20140132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5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3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system for farms and a hot air supplying device for the same, wherein the heating system includes: a hot air supplying device (1) installed inside a greenhouse and a duct (2) guiding hot air supplied from the hot air supplying device where discharge holes (3) are made at every certain distan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uct, and the gap between the discharge holes becomes narrower and the radius (r) of the discharge holes becomes larger depending on the increase in distance (D) between the position of the hot air supplying device (P0) and the position wherein the discharge holes are formed (P1).

Description

농장용 난방시스템 및 이를 위한 열풍기 {Farm for heating systems and hot air devices}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system for a farm,

본 발명은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시스템과 이를 위한 열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풍기(1)와, 상기 열풍기로부터 송풍되는 열풍을 안내하는 덕트(2)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외주면에 소정의 거리마다 토출공(3)이 구비되되, 열풍기의 위치(P0)와 각 토출공이 형성된 위치(P1)와의 거리(D)가 멀어짐에따라 각 토출공 사이의 간격(d)이 좁도록 형성되고 토출공의 직경(r)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장용 난방시스템 및 이를 위한 열풍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system for heating a farm or a greenhouse and a hot air fan for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t air system for heating a farm or a greenhouse, (2), a discharge hole (3)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and a distance (D) between a position (P0) of the hot air and a position (P1) The distance d between the respective discharge holes is narrowed and the diameter r of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o be large.

일반적으로 농산물을 대량으로 속성 재배하기 위하여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 내에 성장조건을 맞추어 줌으로서 식물의 빠른 성장을 통해 농산가의 소득을 높이고 있으며, 이러한 농장에서는 식물의 이상적인 성장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농장 내에 난방기구를 설치하여 이상적인 성장온도에 적합하도록 농장 내부의 온도를 유지시킨다.Generally, in order to cultivate large quantities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growing conditions of farms or vinyl houses are adjusted so that the income of farmers is increased through rapid growth of plants. In this farm, Install and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farm to match the ideal growth temperature.

이러한 난방기로서 연탄을 매체로 한 난로형과 가스 스토브형 및 기름버너에 의한 열풍기 등의 난방기가 여러 형태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난방기구들은 고열을 발생시켜 농장 내부를 소망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이에 못지 않은 연료비 상승의 부담을 안고 있으며, 각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별로 각각의 난방기구를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제반 설비 비용이 증가하고 다수개의 난방기구를 별도로 관리하여야 함에 따라 관리의 어려움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As such a heater, there are known various types of heaters such as a hearth type using briquette, a gas stove type, and a hot air blower such as an oil burner. However, these heating devices generate high temperature and have an effect of raising the inside of a farm to a desired temperature. As the heating cost of each farm or the vinyl house has to be increased, the cost of the equipment has increased, and a plurality of heating devices have to be separately managed. .

또한, 종래에 사용되어온 열풍기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와,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존 열풍기(60~90℃의 온도 발생)는 흡입된 공기를 전기를 이용한 히터나 석유 또는 석탄을 이용하여 가열하였다.The conventional hot air blower is composed of an air suction unit for sucking outside air and a discharging device for discharging the heated air to the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sucked air, Has heated the inhaled air using a heater using electricity, petroleum or coal.

그러나 대단위의 면적을 가열하기 위한 방법으로 석유나 석탄을 사용할 경우 석유나 석탄을 가열장치가 있는 곳까지 이송하여야 함으로 불편하며, 상기 가열기구의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이나 석유 및 건축자재와 같은 화석연료를 이용한 방법은 이산화탄소 배출이 심하게 많아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었으며, 석유나 석탄이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그을음으로 인하여 농작물의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건축현장에서는 실내의 벽면에 묻은 그을음을 다시 제거하여야 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과 작업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petroleum or coal is used as a method for heating a large area, it is inconvenient to transport petroleum or coal to a place where a heating device is present. It is inconvenient that fossil fuel such as coal, oil, And the soot generated by combustion of petroleum and coal caused damage to the crops. In the construction sit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soot on the wall of the room again, thereby causing unnecessary workforce And the operation time is wasted.

즉 상기의 방법은 넓은 면적을 가열하기 위하여 고온으로 가열된 공기가 송풍시 가열기로부터 빠른 속도로 배출됨으로써 과도한 열에 의하여 분사되는 곳과 가까운 곳은 뜨겁고 먼곳은 열을 받지못하여 열의 편차가 심한 단점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송풍기를 설치하여 열을 분사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the above method, the air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is discharged at a high speed from the heater at a high speed in order to heat a large area, so that heat near the place where the heat is injected is not received, ,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blower is installed and the heat is sprayed to prevent this.

그리고 상기 종래의 방식은 열풍기에서 히터와 접하면서 가열되는 강한 바람에 의하여 바람 전체가 고온으로 균일하게 가열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열풍기에서 분사된 공기가 외부의 차가운 공기와 접하면서 빨리 열을 뺏기게 됨으로써 열손실이 심하며, 이로 인하여 넓은 면적을 가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entire wind can not be uniformly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by the strong wind hea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heater in the hot air, so that the air blown from the hot ai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ld air outside, There is a problem that heat loss is large and it is difficult to heat a large area.

또한 열풍기에서 분사되는 고온의 강한 바람에 의하여 분사구에서 가까운 곳의 농작물이 꺽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열풍기 주변의 농작물을 손실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Also,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crops near the nozzle are bent due to high-temperature strong wind blown from the hot air, which causes the loss of crops around the hot air.

이와 같이 석유를 이용한 방식은 그을음이 심한 단점이 있으며 고유가 시대인 현시대에 비추어 볼 때 에너지의 낭비가 심하고, 불필요한 지출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way, the use of petroleum has a serious disadvantage of soot, and in view of the current era of high oil prices, there is a problem that energy is wasted and unnecessary expenditure is caused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방식은 넓은 면적을 가열하기 위하여 큰 용량의 핀과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소음이 심한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동/식물들이 소음으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성장에 장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method uses a large capacity of pins and motors to heat a large area, which causes a disadvantage in that the noise is severe, which causes stress on the plants / plants due to noise, have.

이와 같이 종래의 열풍기에서 사용되어온 방식은 전체가 송풍 팬 출구에 히터를 설치하여 팬에 의하여 강하게 이송되는 차가운 공기가 스쳐 지나가면서 가열하는 방식이므로 충분하게 공기를 가열하지 못하였으며, 자연적인 대류현상을 이용한 방법은 빠른 시간에 실내의 공기를 가열시키지 못함으로써 난방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heater is installed at the outlet of the blowing fan, and the cold air, which is strongly transported by the fan, is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an. Therefore, the air can not be sufficiently heated and natural convection The method used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be used for heating because it can not heat indoor air quickly.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풍기(1)와, 상기 열풍기로부터 송풍되는 열풍을 안내하는 덕트(2)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외주면에 소정의 거리마다 토출공(3)이 구비되되, 열풍기의 위치(P0)와 각 토출공이 형성된 위치(P1)와의 거리(D)가 멀어짐에따라 각 토출공 사이의 간격(d)이 좁도록 형성되고 토출공의 직경(r)이 크게 형성되어 균일한 난방이 가능한 난방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ing system including a heating fan 1 installed inside a farm or a greenhouse and a duct 2 guiding hot wind blown from the heating fan, The discharge hole 3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s the distance D between the position P0 of the hot air and the position P1 where the discharge holes are formed is distant, And to provide a heating system in which the interval d is formed to be narrow and the diameter r of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o be large so that uniform heating is possible.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목적으로는 열풍이 열풍기와 토출공과의 거리가 멀어지고 외부 공기와 접촉됨에 따라 열손실이 있더라도 안정적으로 균일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addition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a hot air in a stable and uniform manner even when there is heat loss due to a distance between the hot air and the discharge hole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It has its purpose.

본 발명의 또 다른 부가적인 목적으로 열풍기의 내부로 유입되어 가열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heated air flowing into a hot air fa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방시스템은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풍기(1)와, 상기 열풍기로부터 송풍되는 열풍을 안내하는 덕트(2)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외주면에 소정의 거리마다 토출공(3)이 구비되되, 열풍기의 위치(P0)와 각 토출공이 형성된 위치(P1)와의 거리(D)가 멀어짐에따라 각 토출공 사이의 간격(d)이 좁도록 형성되고 토출공의 직경(r)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ing system comprising a hot air fan (1) installed inside a farm or a greenhouse, and a duct (2) for guiding hot air blown from the hot air fan, As the distance D between the position P0 of the hot air and the position P1 where the discharge holes are formed is distant from the discharge hole 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 Is formed to be narrow and the diameter (r) of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o be large.

또한, 상기 열풍기는 비닐하우스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덕트가 상기 열풍기의 양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t air is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greenhouse and the duct is installed in both sides of the hot air.

상기 토출공의 단부에 설치되는 개폐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개폐수단의 개폐정도에 따라 토출공의 크기를 조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Closing means provided at an end of the discharging hole so that the size of the discharging ho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degree of the opening / closing mean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1)는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를 난방하는 열풍기(1)에 있어서, 전방이 개방된 함체로 형성되고 측면에 열풍을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열풍배출구(11)가 구비되는 몸체(10), 상기 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몸체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기(20), 몸체의 내부에 복수열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전원에 의하여 발열되는 전열히터(30),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20)의 송풍량 및 전열히터(30)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t ai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t air stream (1) for heating a farm or a greenhouse, and is formed with a front opening and has a hot air outlet (11) A fan 20 installed in front of the body and sucking air into the inside of the body, an electric heater 30 arranged in parallel in a plurality of rows inside the body and generating heat by a power source, And a control unit 4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an 20 to control the blowing amount of the blower 20 and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thermal heater 30. [

또한, 상기 열풍배출구(11)는 몸체의 양쪽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20)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양측 각 열풍배출구(11)를 통해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의 벽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판(12)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ot air outlet 11 is installed on both wall surfaces of the body and is arranged in the wall of the body 10 so that the air introduced by the blower 20 can be uniformly discharged through the both- And a plurality of guide plates (12) projecting inward from the guide plate (12).

본 발명에 따르면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풍기(1)와, 상기 열풍기로부터 송풍되는 열풍을 안내하는 덕트(2)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외주면에 소정의 거리마다 토출공(3)이 구비되되, 열풍기의 위치(P0)와 각 토출공이 형성된 위치(P1)와의 거리(D)가 멀어짐에따라 각 토출공 사이의 간격(d)이 좁도록 형성되고 토출공의 직경(r)이 크게 형성되어 균일한 난방이 가능한 난방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ing system including a fan (1) installed inside a farm or a greenhouse, and a duct (2) guiding hot air blown from the hot air, And the distance d between the discharge holes is narrowed as the distance D between the position P0 of the hot air blower and the position P1 where the discharge holes are formed becomes longer,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heating system capable of heating uniformly with a large r (r).

또한, 열풍이 열풍기와 토출공과의 거리가 멀어지고 외부 공기와 접촉됨에 따라 열손실이 있더라도 안정적으로 균일한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hot air is distant from the hot air and the discharge air, a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so that stable and uniform heating is achieved even if there is a heat loss, thereby saving waste of energy.

또한, 열풍기의 내부로 유입되어 가열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도록 안내하여 덕트를 통하여 균일한 열풍을 송출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low of the heated air that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hot air can be smoothly guided, and uniform hot air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du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난방시스템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방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의 수직절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의 수평절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의 결합을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판의 외형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히터의 외형사시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view of a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of a hot air b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hot air b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of the hot air bl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heat and airf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thermal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난방시스템은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풍기(1)와, 상기 열풍기로부터 송풍되는 열풍을 안내하는 덕트(2)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외주면에 소정의 거리마다 토출공(3)이 구비되되, 열풍기의 위치(P0)와 각 토출공이 형성된 위치(P1)와의 거리(D)가 멀어짐에따라 각 토출공 사이의 간격(d)이 좁도록 형성되고 토출공의 직경(r)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ing system comprising a hot air fan (1) installed inside a farm or a greenhouse and a duct (2) for guiding hot air blown from the hot air fan, The distance d between the discharge holes is narrowed as the distance D between the position P0 of the hot air and the position P1 where the discharge holes are formed becomes smaller, And the diameter (r) of the hole is formed larger.

또한, 상기 열풍기는 비닐하우스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덕트가 상기 열풍기의 양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t air is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greenhouse and the duct is installed in both sides of the hot air.

상기 토출공의 단부에 설치되는 개폐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개폐수단의 개폐정도에 따라 토출공의 크기를 조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Closing means provided at an end of the discharging hole so that the size of the discharging ho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degree of the opening / closing mean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1)는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를 난방하는 열풍기(1)에 있어서, 전방이 개방된 함체로 형성되고 측면에 열풍을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열풍배출구(11)가 구비되는 몸체(10), 상기 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몸체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기(20), 몸체의 내부에 복수열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전원에 의하여 발열되는 전열히터(30),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20)의 송풍량 및 전열히터(30)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열풍배출구(11)는 몸체의 양쪽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20)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양측 각 열풍배출구(11)를 통해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의 벽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판(12)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t ai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t air stream (1) for heating a farm or a greenhouse, and is formed with a front opening and has a hot air outlet (11) A fan 20 installed in front of the body and sucking air into the inside of the body, an electric heater 30 arranged in parallel in a plurality of rows inside the body and generating heat by a power source, And a control unit 40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lower 20 and controlling the blowing amount of the blower 20 and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thermal heater 30. The hot air outlet 11 is installed on both wall surfaces of the body, (12) protruding inward from the wall of the body (10) so that the air introduced by the air inlet (20) can be uniformly discharged through both side hot air outlets (11) .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농장용 난방시스템 및 이를 위한 열풍기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 heating system for a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an for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인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There may be variations.

먼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시스템(100)은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풍기(1)와, 상기 열풍기로부터 송풍되는 열풍을 안내하는 덕트(2)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외주면에 소정의 거리마다 토출공(3)이 구비되되, 열풍기의 위치(P0)와 각 토출공이 형성된 위치(P1)와의 거리(D)가 멀어짐에따라 각 토출공 사이의 간격(d)이 좁도록 형성되고 토출공의 직경(r)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and 2, a heat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t air fan 1 installed inside a farm or a greenhouse, a duct 2 for guiding hot air blown from the hot air fan, (3)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and as the distance (D) between the position (P0) of the hot air and the position (P1) where each discharge hole is formed is distant (D) between each discharge hole is narrow and the diameter (r) of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o be large.

상기 열풍기(1)는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기와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전열파이프를 구비한다.The hot wind 1 includes an air blower installed in a farm or a vinyl house to suck air, and a heat transfer pipe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farm or the vinyl house to generate heat by a power source.

덕트(2)는 열풍기로부터 발생되는 열풍을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내부로 안내하여 공급하며, 외주면에는 소정의 거리마다 토출공(3)이 구비된다.The duct 2 guides the hot air generated from the hot air to the inside of the farm or the vinyl house, and the discharge hole 3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복수개의 토출공(3)은 각 토출공 사이의 간격(d)과 직경(r)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며, 열풍기의 위치(P0)와 각 토출공이 형성된 위치(P1)와의 거리(D)가 멀어짐에따라 각 토출공 사이의 간격(d)이 좁도록 형성되고 토출공의 직경(r)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tance d between the position P0 of the hot air and the position P1 where each discharge hole is formed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d between the discharge holes 3,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d between each discharge hole is narrowed and the diameter r of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o be large.

또한, 상기 토출공(3)은 덕트(2)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열풍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scharge hole 3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horizontally penetrate the duct 2 and to discharge hot wind forward and backward.

즉, 본 발명에 따른 난방시스템(100)은 열풍기의 위치(P0)와 각 토출공이 형성된 위치(P1) 사이의 거리(D)가 멀어질수록 연속적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토출공 사이의 간격(d)는 짧아지도록 형성되고 토출공의 직경(r)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열풍이 열풍기의 위치(P0)와 각 토출공이 형성된 위치(P1) 사이의 거리(D)가 멀어질수록 이동중에 손실되는 온도를 토출공으로부터 더욱 대용량으로 배출되도록 열풍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보정하는 것으로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내부 공기가 균일하도록 난방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heat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distance D between the position P0 of the hot air and the position P1 where the discharge holes are formed becomes longer, the distance d between the discharge holes formed continuously And the diameter r of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o be larg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ot air is reduced as the distance D between the position P0 of the hot air and the position P1 where the discharge holes are formed becomes longer,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hot air to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to a larger capacity, so that the indoor air of the farm or the greenhouse can be heated uniformly.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열풍기(1)는 비닐하우스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덕트가 상기 열풍기의 양측방향으로 설치되어 열풍이 덕트의 내부로 이동될 때 이동간 열손실을 최소화하며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hot air 1 is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greenhouse and duct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ot air stream to minimize the heat loss during the movement of the hot air into the duct,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it to be possible.

즉,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중심부에 열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열풍기의 양측방향으로 토출공이 형성된 덕트가 구비되며, 열풍기의 위치(P0)와 각 토출공이 형성된 위치(P1) 사이의 거리(D)가 멀어질수록 연속적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토출공 사이의 간격(d)는 짧아지도록 형성되고 토출공의 직경(r)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덕트를 설치하여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내부공간을 난방하는 것이 비해 양방향으로 덕트를 설치함으로써 열풍기로부터 송출되는 열풍의 이동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 duct in which the hot air is install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farm or the greenhouse and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in both sides of the hot air is provided, and the distance D between the position P0 of the hot air and the position P1 where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is The distance d between the discharge holes formed continuously in parallel is formed to be shorter and the diameter r of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larger as the distance increases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farm or the greenhouse is heated by installing one duct It is preferable that the duct is installed in both directions so that the moving distance of the hot air blown out from the hot air is shortened so that the heat loss can be minimized.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수원이나 측방향으로 연통되어 설치되는 비닐하우스와 같은 대단위 면적을 난방할 수 있도록 중심부를 가로질러 나란하게 복수개의 열풍기를 설치하고 상기 열풍기의 양측방향으로 토출공이 형성된 덕트를 연결하여 설치하되, 열풍기의 위치(P0)와 각 토출공이 형성된 위치(P1) 사이의 거리(D)가 멀어질수록 연속적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토출공 사이의 간격(d)는 짧아지도록 형성되고 토출공의 직경(r)이 크게 형성됨으로써, 비교적 외부의 영향에 의해 온도가 낮아지는 과수원이나 측방향으로 연통되어 설치되는 비닐하우스의 외각에 가까워질수록 토출공을 통해 더욱 많은 양의 열풍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균일한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hot air fans are installed across the central portion so as to heat a large area such as an orchard or a vinyl house communicated in a lateral direction, and discharge holes are formed in both sides of the hot air The distance d between the discharge holes formed continuously and continuously becomes shorter as the distance D between the position P0 of the hot air and the position P1 formed with the discharge holes becomes longer, And the diameter (r) of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o be large, so that the closer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greenhouse, which is installed in the side wall of the green house, the lower the temperature due to the relatively external influence, So that uniform heating can be achieved.

또한, 상기 토출공의 단부에 설치되는 개폐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개폐수단의 개폐정도에 따라 토출공의 크기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an opening / closing means provided at an end of the discharge hole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 can be manually or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degree of the opening / closing means.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토출공의 상부에 밀착되어 결합하며 내측에 개방공이 형성된 고정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패널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안착되어 결합되며 일측에 개방공의 형상에 대응하는 대응공이 형성되는 회전패널을 겹쳐 설치하되, 상기 회전패널이 회전되어 개방공과 대응공이 겹쳐진 정도에 따라 토출공을 개폐한다. 이러한 개폐수단은 상기 덕트(2)의 재질이 비닐인 경우 토출공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덕트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연장덕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케이블타이로 구성되어 케이블타이로 연장덕트의 직경을 조절하여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ncludes a fixed panel which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hole and is formed with an opening hole on the inside thereof. The fixed panel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panel and has a corresponding hole And the rotary panel is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hole according to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opening hole and the corresponding hole. The opening / closing means further comprises an extension duct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discharge hole when the material of the duct (2) is vinyl, and a cable ti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tension duct, so that the diameter of the extension duct It may be fixed by adjusting.

한편, 도4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1)는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를 난방하는 열풍기(1)에 있어서, 전방이 개방된 함체로 형성되고 측면에 열풍을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열풍배출구(11)가 구비되는 몸체(10), 상기 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몸체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기(20), 몸체의 내부에 복수열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전원에 의하여 발열되는 전열히터(30),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20)의 송풍량 및 전열히터(30)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4 to 7, the hot air fa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t air fan 1 for heating a farm or a greenhouse, and is formed as a housing with an open front side, A blower 20 installed in front of the body to draw air into the inside of the body, a plurality of blowers 20 installed in parallel in a plurality of rows inside the body, And a control unit 4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for controlling the blowing amount of the blower 20 and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thermal heater 30.

상기 몸체(10)는 전방이 개방된 함체로 형성되고 측면에 열풍을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열풍배출구(11)가 구비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열풍배출구(11)는 몸체(10)의 양쪽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20)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양측 각 열풍배출구(11)를 통해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의 벽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판(12)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10 is formed with a front opening and has a hot air discharge port 11 for discharging hot air to the outside. The hot air discharge port 11 is preferably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body 10 And a plurality of guide plates 12 protruding inward from the wall of the body 10 so as to allow the air introduced by the blower 20 to be uniformly discharged through the both- And the like.

상기 송풍기(20)는 상기 몸체(10)의 전방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몸체의 내부로 유입시키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21)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후방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회전날개(22)와, 상기 모터를 몸체(10)의 전방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브라켓(2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회전날개에 의해 공기와 함께 몸체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방에 타공이 형성된 송풍그릴(24)을 더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lower 2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ody 10 to draw air into the inside of the body and includes a motor 21 driven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 rotary blade 22 for discharging air and a bracket 23 for fixing the motor to the front of the body 10 and a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together with the air by the rotary blades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ir blowing grill 24 having a front bore formed thereon so as to prevent the air bubble from being generated.

상기 전열히터(3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류의 발열작용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파이프의 내부에 니크롬선이나 다른 종류의 합금을 나선형으로 감아 발생되는 열을 파이프로 전달함으로써 발열하며, 상기 전열히터(30)와 송풍기(2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접촉면적을 확장하도록 상기 전열히터(30)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방열돌기(31)가 구비된다.The electrothermal heater 30 is formed in a pipe shape and generates heat by utilizing a heat generating function of electric current. The heat is generated by transferring heat generated by spirally winding nichrome wires or other kinds of alloys in a pipe to a pipe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ng protrusions 31 ar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heater 30 so as to expand a contact area of air flowing from the heat transfer heater 30 and the blower 20.

또한, 상기 전열히터(30)는 몸체(10)의 외부에서 전원과 연결되는데 전원과 전열히터(30)와의 연결부의 피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32)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ctrothermal heater 30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10 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otective cover 32 for protecting the covering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electrothermal heater 30. [

상기 전열히터(30)는 몸체(10)의 내부에 복수열로 나란하게 설치되되, 앞열에 설치되는 전열히터(30a)과 뒷열에 설치되는 전열히터(30b)는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써 송풍기(2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ctrothermal heaters 30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body 10 and the electrothermal heaters 30a installed in the front row and the electrothermal heaters 30b installed in the rear row are staggered in the lateral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introduced from the blower 20 is uniformly heated.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20)의 송풍량, 전열히터(30)의 온도 및 작동시간을 제어하며, 상기 송풍기(20)와 전열히터(30)의 전원스위치, 전열히터(30)의 온도감지센서 및 감지된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출력부, 그리고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히다.The control unit 4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to control the blowing amount of the blower 20 and the temperature and the operation time of the electric heater 30 and controls the blower 20 and the electric heater 30 A temperature sensor of the electric heater 30, a temperature output unit for indicating the sensed temperature, and a tim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e.

한편, 상기 열풍배출구(11)는 몸체의 양쪽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열풍배출구(11)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덕트(2)의 내부로 열풍을 배출함으로써, 열풍이 덕트의 내부로 이동될 때 이동간 열손실을 최소화하며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t air outlet 11 is installed on both wall surfaces of the body and discharges the hot air into the duct 2 connected to the hot air outlet 11 so that when the hot air is moved into the duct,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loss and to be able to heat the farm or the greenhouse.

또한, 상기 가이드판(12)는 송풍기(20)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양측 각 열풍배출구(11)를 통해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의 벽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The guide plate 12 is configur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wall of the body 10 so that the air introduced by the blower 20 can be uniformly discharged through the two side hot air outlets 11. [

상기 가이드판(12)는 바닥면이 구비되고 후방이 몸체(10)의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몸체(10)의 벽체로 송풍되는 공기를 내측으로 안내하는 절곡판(13)과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후방에 형성되는 절곡판(13)의 옆면까지 연장되어 회전되며 흡입되는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정날개판(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uide plate 12 has a bottom surface and a rear portion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inside of the body 10 so as to guide the air blown to the wall of the body 10 inwardly, And a plurality of stabilizer blades 14 extending to the side surface of the folding plate 13 protruding from the rear side of the folding plate 13 and rotating and guiding the sucked ai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가이드판(12)는 몸체(10)의 내측 벽면에 나란하게 복수개로 설치되되, 바닥면과 옆면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plate 12 is installed in parallel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ody 10 and guides the introduced air on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또한, 상기 몸체의 양측 벽면에 설치되는 열풍배출구(11)로 균등한 열풍이 분배되도록 몸체(10)의 후방 벽면에서 내측으로 만곡되어 돌출되는 분배판(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es a distribution plate 15 curved inwardly from the rear wall of the body 10 so as to distribute even hot air to the hot air outlet 11 provided on both side walls of the body .

따라서, 상기 송풍기(20)는 모터(2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22)에 의해 몸체(1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데, 이때 회전날개(22)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도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유입되게 되고, 몸체의 양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균일하게 배출되기 위해서는 회전하며 유입된 공기의 흐름이 직선형으로 전환되도록 몸체(10)의 내부 벽체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Accordingly, the blower 20 sucks air into the body 10 by the rotating blades 22 rotated by the motor 21. At this time, the air introduced by the rotating blades 22 is also spiraled And is protruded inward from the inner wall of the body 10 so that the flow of the inflow air is linearly converted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both sides of the body can be uniformly discharg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풍기(1)와, 상기 열풍기로부터 송풍되는 열풍을 안내하는 덕트(2)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외주면에 소정의 거리마다 토출공(3)이 구비되되, 열풍기의 위치(P0)와 각 토출공이 형성된 위치(P1)와의 거리(D)가 멀어짐에따라 각 토출공 사이의 간격(d)이 좁도록 형성되고 토출공의 직경(r)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장용 난방시스템 및 이를 위한 열풍기에 관한 것으로,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경, 변환, 치환 및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ing system comprising a hot air fan 1 installed inside a farm or a plastic house, and a duct 2 guiding hot air blown from the hot air fan, The distance d between the discharge holes is narrowed as the distance D between the position P0 of the hot air and the position P1 where the discharge holes are formed becomes small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system for a farm and a warm air fan for the same, wherein a diameter (r) of the fan is formed to be large,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an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1: 열풍기
2: 덕트
3: 토출공
10: 몸체
11: 열풍배출구
12: 가이드판
20: 송풍기
21: 모터
22: 회전날개
23: 브라켓
24: 송풍그릴
30: 전열히터
31: 방열돌기
32: 보호커버
40: 제어부
1: heat wind
2: Duct
3: Discharge ball
10: Body
11: Hot air outlet
12: guide plate
20: blower
21: Motor
22: Rotating blade
23: Bracket
24: air grill
30: Electric heater
31: heat radiating projection
32: Protective cover
40:

Claims (5)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풍기(1)와, 상기 열풍기로부터 송풍되는 열풍을 안내하는 덕트(2)를 포함하는 난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외주면에 소정의 거리마다 토출공(3)이 구비되되, 열풍기의 위치(P0)와 각 토출공이 형성된 위치(P1)와의 거리(D)가 멀어짐에따라 각 토출공 사이의 간격(d)이 좁도록 형성되고 토출공의 직경(r)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장용 난방시스템.
A heating system comprising a fan (1) installed inside a farm or a vinyl house, and a duct (2) guiding hot air blown from the fan,
As the distance D between the position P0 of the hot air and the position P1 where the discharge holes are formed is distant from the discharge hole 3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ct, ) Is formed to be narrow and the diameter (r) of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o be lar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기는 비닐하우스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덕트가 상기 열풍기의 양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장용 난방시스템.
2. The heating system for a far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t air is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a greenhouse, and a duct is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hot ai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공의 단부에 설치되는 개폐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개폐수단의 개폐정도에 따라 토출공의 크기를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장용 난방시스템.
The farm heat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 closing means provided at an end of the discharge hole, wherein the size of the discharge ho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degree of the opening / closing means.
농장 또는 비닐하우스를 난방하는 열풍기(1)에 있어서,
전방이 개방된 함체로 형성되고 측면에 열풍을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열풍배출구(11)가 구비되는 몸체(10), 상기 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몸체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기(20), 몸체의 내부에 복수열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전원에 의하여 발열되는 전열히터(30),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20)의 송풍량, 전열히터(30)의 온도 및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장용 열풍기.
A hot air heater (1) for heating a farm or a greenhouse,
A body 10 having a front opening formed therein and having a hot air discharge port 11 for discharging hot air to the outside, a blower 20 installed in front of the body to draw air into the inside of the body, ), An electric heater (30) arranged in parallel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body and generating heat by a power source, a blowing amount of the blower (20) and a temperature and an operation time of the electric heater And a control unit (4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a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배출구(11)는 몸체의 양쪽 벽면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20)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양측 각 열풍배출구(11)를 통해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의 벽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판(12)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장용 열풍기.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hot air outlet (11) is installed on both wall surfaces of the body,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guide plates (12) protruding inward from the wall of the body (10) so that the air introduced by the blower (20) can be uniformly discharged through both side hot air outlets (11) Wherein the heat source is a heat exchanger for a farm.
KR1020130052016A 2013-05-08 2013-05-08 Heating Systems KR1015233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016A KR101523315B1 (en) 2013-05-08 2013-05-08 Heating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016A KR101523315B1 (en) 2013-05-08 2013-05-08 Heating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598A true KR20140132598A (en) 2014-11-18
KR101523315B1 KR101523315B1 (en) 2015-05-27

Family

ID=5245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016A KR101523315B1 (en) 2013-05-08 2013-05-08 Heating 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31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26536A (en) * 2022-07-22 2022-10-25 合肥荣事达太阳能有限公司 Temperature-adjustable area air source heat pump agricultural greenhouse system
WO2024106549A1 (en) * 2022-11-14 2024-05-23 주식회사 엔씽 Air circulation system for plant facto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305B1 (en) 2015-05-20 2015-12-15 농업회사법인(유)설천농장 Pignet House
KR102260546B1 (en) * 2020-11-30 2021-06-07 손정환 distribution-type cold-temperature wind multi-stage duc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2629A (en) * 1979-11-14 1981-06-16 Tadahiro Yuuki Uniformly warming method and apparatus of greenhouse
KR100859124B1 (en) * 2007-08-10 2008-09-18 하나산업(주) Fan heater for greenhouse
KR20090093412A (en) * 2008-02-29 2009-09-02 김춘환 Air heater using hest pip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26536A (en) * 2022-07-22 2022-10-25 合肥荣事达太阳能有限公司 Temperature-adjustable area air source heat pump agricultural greenhouse system
CN115226536B (en) * 2022-07-22 2024-03-26 合肥荣事达太阳能有限公司 Temperature-adjustable area air source heat pump agricultural greenhouse system
WO2024106549A1 (en) * 2022-11-14 2024-05-23 주식회사 엔씽 Air circulation system for plant fact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315B1 (en) 201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26100B (en) Warming apparatus with humidifying function
EP1688690B1 (en) Flat surface dryer
KR101523315B1 (en) Heating Systems
KR101638853B1 (en) Electric fan heater for agricultural
CN105444555A (en) Dryer
KR101308648B1 (en) A hot air heater for agriculture
KR100909680B1 (en) A hot air heater for agriculture
CN104251233A (en) Cross-flow fan, fan with same and warmer with same
CN103236338A (en) Transformer room ventilating device
KR101490861B1 (en) Cyclone blower heater for cattle shed and plant cultivation
KR101316083B1 (en) Electrical heating apparatus for agriculture
KR20090002515U (en) Electric heater using the Agriculture
CN204513990U (en) A kind of gas heating drying device
CN207335346U (en) The wool spinning fabric drying unit of temperature controllable
CN205580103U (en) Hot air circulating oven
CN102616110A (en) Heating method of chicken carrying vehicle and chicken carrying vehicle adopting same
KR102365403B1 (en)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device
KR101522548B1 (en) Heat pump system for greenhouse heating and dehumidifying device swappable fan coil unit
KR100586904B1 (en) hot wind generator for greenhouse
CN207995643U (en) A kind of electrical cabinet radiator
KR20100005241U (en) Vinvl house for electric hot air generator
CN220958898U (en) Multi-air-port warm air blower
KR200448835Y1 (en) Heater for vinyl house
KR20080004032U (en) Electric heater using the Agriculture
KR20160139071A (en) Mist blower guidance system for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