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176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176A
KR20140132176A KR1020130051345A KR20130051345A KR20140132176A KR 20140132176 A KR20140132176 A KR 20140132176A KR 1020130051345 A KR1020130051345 A KR 1020130051345A KR 20130051345 A KR20130051345 A KR 20130051345A KR 20140132176 A KR20140132176 A KR 20140132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ar cover
bar
groove
long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태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1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2176A/ko
Publication of KR20140132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커버(Back Cover) 및 상기 후면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거치 바(Supporting Bar)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 바는 적어도 일면은 만곡이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수직하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상기 후면커버와 소정 거리 이격되는 바디부(Body Part) 및 상기 바디부의 양쪽에 위치하며, 각각 상기 후면커버에 연결되는 접합부분(joint Part)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크류(Screw)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Wall) 혹은 소정의 구조물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커버(Back Cover) 및 상기 후면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거치 바(Supporting Bar)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 바는 적어도 일면은 만곡이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수직하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상기 후면커버와 소정 거리 이격되는 바디부(Body Part) 및 상기 바디부의 양쪽에 위치하며, 각각 상기 후면커버에 연결되는 접합부분(joint Par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의 장변(Long Side)과 나란한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상기 바디부의 길이는 상기 후면커버의 단변(Short Side)과 나란한 제 3 방향(Third Direction)으로 상기 바디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바디부의 두께는 상기 제 3 방향으로 상기 바디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와 상기 후면커버의 제 1 장변(First Long Side) 사이의 간격은 상기 바디부와 상기 후면커버의 제 1 장변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사이의 간격보다 작고,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상기 제 2 장변을 향하는 면이 만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 바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접합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분(Connection Part)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분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바디부가 상기 후면커버와 이격되도록 상기 후면커버와 교차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와 상기 후면커버의 상기 제 1 장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접합부분과 상기 후면커버의 상기 제 1 장변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후면커버의 상기 제 1 장변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된 바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거치 바의 상기 바디부가 삽입되는 홈(Groove)을 포함하는 거치 베이스(Supporting Base)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 바의 상기 바디부가 상기 거치 베이스의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의 만곡된 면은 상기 홈의 바닥면을 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 베이스의 상기 홈의 바닥면은 상기 바디부의 만곡된 면과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 베이스는 벽(Wall) 또는 다른 구조물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 베이스는 상기 벽 또는 다른 구조물에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First Plate),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힌지(Hinge)로 연결되는 제 2 플레이트(Second Plate)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 3 플레이트(Third Plate)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사이에 상기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단면(Cross Section)은 각각 상기 후면커버의 상기 제 1 장변을 향하는 제 1 끝단부(First End Part) 및 상기 제 1 끝단부에 대항되며 상기 후면커버의 상기 제 2 장변을 향하는 제 2 끝단부(Second End Part)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제 1 끝단부와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제 1 끝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홈의 입구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제 1 끝단부와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제 1 끝단부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 3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바디부가 상기 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에서 후퇴하였다가, 상기 바디부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 혹은 이탈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전진하는 스프링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장치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프링부(Spring Part) 및 상기 홈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스프링부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스프링 플레이트(Spring Plate)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는 상기 홈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의 입구를 향하는 제 1 면 및 상기 홈의 바닥면을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면의 기울기는 상기 제 2 면의 기울기보다 더 완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에 배치되는 하단 거치대(Bottom Support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 거치대와 상기 후면커버의 제 1 장변 사이의 간격은 상기 하단 거치대와 상기 후면커버의 제 2 장변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거치대는 상기 후면커버에 연결되는 베이스 바(Base Bar), 상기 베이스 바에 제 1 힌지로 연결되는 제 1 확장 바(First Extension Bar) 및 상기 베이스 바에 제 2 힌지로 연결되는 제 2 확장 바(Second Extension Ba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커버에 거치 바(Supporting Bar)를 설치하고, 거치 바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Wall) 혹은 소정의 구조물에 거치함으로써 스크류(Screw)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34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anel) 또는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커버(Back Cover, 120) 및 후면커버(1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거치 바(Supporting Bar, 10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서로 대항되게 배치되는 전면기판과 후면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액정 표시 패널(LCD)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후면커버(120)의 사이에 광학층(Optical Layer) 및 광원(Light Source)이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거치 바(100)는 후면커버(1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치 바(100)에는 제 1 홀(H1)이 형성되고, 후면커버(120)에는 제 1 홀(H1)에 대응되는 제 2 홀(H2)이 형성되고, 소정의 제 1 체결수단(S100)이 제 1 홀(H1)과 제 2 홀(H2)을 관통하여 거치 바(100)를 후면커버(120)에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거치 바(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도시하지 않은 벽(Wall) 혹은 다른 구조물에 거치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거치 바(100)는 바디부(Body Part, 100B)와 접합부분(Joint Part, 100T)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0B)는 적어도 일면이 만곡이 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수직하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으로 후면커버(120)와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의 경우와 같이, 바디부(100B)는 제 1 면(S1)과 제 1 면(S1)에 대항되는 제 2 면(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제 1 면(S1)은 만곡될 수 있다.
아울러, 바디부(100B)가 만곡된 바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바디부(100B)의 제 1 면(S1)에 대응되는 제 2 면(S2)도 만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바디부(100B)의 제 1 면(S1)과 같이 만곡된 면을 만곡면이라고 칭할 수 있다.
접합부분(100T)은 바디부(100B)의 양쪽에 위치하며, 각각 후면커버(1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합부분(100T)은 제 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으로 바디부(100B)의 양쪽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거치 바(100)의 접합부분(100T)에 제 1 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거치 바(100)의 제 1 면(S1)은 만곡되고, 제 1 면(S1)에 대응되는 제 2 면(S2)은 만곡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4의 경우와 같이, 거치 바(100)는 소정의 플레이트(Plate)의 소정 면(S1)이 만곡되는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 바(10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의 (A) 및 (B)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수직하는 제 1 방향(DR1)으로 후면커버(120)와 거치 바(100)는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방향(DR1)으로 후면커버(120)와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는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면커버(120)에는 제 1 방향(DR1)으로 돌출된 돌출부(120A)가 마련될 수 있다.
거치 바(100)의 접합부분(100T)은 후면커버(120)의 돌출부(120A)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방향(DR1)으로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와 후면커버(120)는 돌출부(120A)의 높이(Z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와 후면커버(120)를 소정 거리 이격시키는 이유는, 바디부(100B)와 후면커버(120)의 사이 공간으로 도시하지 않은 거치 베이스(Supporting Base)를 삽입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의 (A) 및 (B)를 살펴보면, 제 1 방향(DR1)으로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와 후면커버(120)를 소정 거리 이격시키기 위해, 후면커버(120)에 제 1 방향(DR1)으로 함몰되는 함몰부(120R)을 마련할 수 있다.
아울러, 후면커버(120)에는 제 2 방향(DR2)으로 함몰부(120R)의 양쪽에 제 2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거치 바(100)의 접합부분(100T)이 제 2 홀(H2)을 통해 후면커버(120)에 체결되면, 함몰부(120R)에 의해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와 후면커버(120)의 사이에 함몰부(120R)의 깊이(Z2) 만큼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와 후면커버(120)의 사이 공간으로 도시하지 않은 거치 베이스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제 2 방향(DR2)은 제 1 방향(DR1)과 교차하고 후면커버(120)의 장변(Long Side, LS), 즉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및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과 나란한 방향이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제 1 방향(DR1) 및 제 2 방향(DR2)과 교차하고 후면커버(120)의 단변(Short Side, SS), 즉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과 나란한 방향이다.
도 7을 살펴보면, 거치 바(100)는 바디부(100B)와 접합부분(100T)을 연결하는 연결부분(Connection Part, 10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분(100C)은 제 1 방향(DR1)으로 바디부(100B)가 후면커버(120)와 이격되도록 후면커버(120)와 교차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분(100C)은 바 형태의 거치 바(100)의 일부를 구부려서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연결부분(100C)을 거치 바(100)의 일부를 구부려서 형성하기 위해, 거치 바(100)의 두께를 거치 바(100)의 폭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방향(DR1)으로 바디부(100B)의 두께(L3)는 제 3 방향(DR3)으로 바디부(100B)의 폭(L2)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와 후면커버(120)의 사이 공간으로 도시하지 않은 거치 베이스를 용이하게 삽입하도록 제 2 방향(DR2)으로 바디부(100B)의 길이(L1)는 제 3 방향(DR3)으로 바디부(100B)의 폭(L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8의 (A)를 살펴보면, 거치 바(100)가 후면커버(120)에 연결되면,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와 후면커버(120)는 연결부분(100C)에 의해 제 1 방향(DR1)으로 소정 거리(Z3) 이격될 수 있다.
도 8의 (B)를 살펴보면, 거치 바(100)와 후면커버(120)의 제 1 장변(LS1) 사이의 간격(D1)은 거치 바(100)와 후면커버(120)의 제 1 장변(LS1)에 대항되는 제 2 장변(LS2) 사이의 간격(D2)보다 작고, 거치 바(100)의 연결부분(100C)은 후면커버(120)의 제 1 장변(LS1)을 향해 비스듬히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와 후면커버(120)의 제 1 장변(LS1) 사이의 간격(D1)은 거치 바(100)의 접합부분(100C)과 후면커버(120)의 제 1 장변(LS1) 사이의 간격(D3)보다 작을 수 있다.
도 9의 경우와 같이, 거치 바(100)가 후면커버(120)의 제 1 장변(LS1) 측에 치우치게 연결되는 경우에는,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와 후면커버(120)의 제 1 장변(LS1) 사이의 간격(D1)은 바디부(100B)와 후면커버(120)의 제 2 장변(LS2) 사이의 간격(D20)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적어도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의 제 2 장변(LS2)을 향하는 면, 즉 제 1 면(S1)이 만곡될 수 있다. 아울러,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는 후면커버(120)의 제 1 장변(LS1)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된 바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10의 경우와 같이,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는 후면커버(120)의 제 2 장변(LS2)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된 부분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거치 베이스(Supporting Base, 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거치 베이스(130)는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가 삽입되는 홈(Groove, 130G)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거치 바(100)가 후면커버(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는 제 3 방향(DR3)으로 거치 베이스(130)의 홈(130G)에 삽입될 수 있다.
거치 베이스(130)는 벽(Wall) 또는 다른 구조물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의 경우와 같이, 거치 베이스(130)는 벽(200)에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거치 베이스(130)에는 제 3 홀(H3)이 형성되고, 제 2 체결수단(S200)이 제 3 홀(H3)을 관통하여 벽(200)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거치 베이스(130)가 벽(200)에 연결될 수 있다.
거치 베이스(130)를 벽(200) 또는 다른 구조물에 연결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가 거치 베이스(130)의 홈(130G)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디부(100B)의 만곡된 면, 즉 제 1 면(S1)은 홈(130G)의 바닥면(130S)을 향할 수 있다.
아울러, 거치 베이스(130)의 홈(130G)의 바닥면(130S)은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의 만곡된 면(S1)과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 바(100)의 제 1 면(S1)이 오목하게 만곡되었다면, 거치 베이스(130)의 바닥면(130S)은 거치 바(100)를 향해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 14의 경우와 같이,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가 거치 베이스(130)의 홈(130G)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디부(100B)의 만곡된 면, 즉 제 1 면(S1)은 홈(130G)의 바닥면(130S)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가 거치 베이스(130)의 홈(130G)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디부(100B)의 만곡된 면(S1)은 홈(130G)의 바닥면(130S)에 이동가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5의 (A)의 경우와 같이, 거치 바(100)에 우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거치 바(100)의 좌측 부분에 상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혹은 거치 바(100)의 우측 부분에 하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는 거치 베이스(130)의 바닥면(130S)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에, 도 15의 (B)의 경우와 같이, 거치 바(100)에 좌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거치 바(100)의 좌측 부분에 하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혹은 거치 바(100)의 우측 부분에 상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는 거치 베이스(130)의 바닥면(130S)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6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20)와 거치 바(100)의 사이 공간으로 벽(200) 혹은 다른 구조물에 연결된 거치 베이스(130)가 삽입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벽(200) 혹은 다른 구조물에 연결된 거치 베이스(130)의 홈(130G)에 거치 바(100)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좌측 부분에 상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우측 부분에 하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에 힘을 가하는 경우에 도 17의 (A)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좌측 부분이 올라갈 수 있다(디스플레이 장치(10)의 우측 부분이 내려갈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우측 부분에 상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좌측 부분에 하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에 힘을 가하는 경우에는 도 17의 (B)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우측 부분이 올라갈 수 있다(디스플레이 장치(10)의 좌측 부분이 내려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거치 베이스(130)를 통해 벽(200) 혹은 다른 구조물에 연결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수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거치 바(100)가 거치 베이스(130)의 바닥면(130S)에서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거치 바(100)가 거치 베이스(130)의 바닥면(130S)에서 과도하게 작은 힘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거치 바(100)의 만곡 면(S1)의 곡률은 거치 베이스(130)의 바닥면(130S)의 곡률과 대략 동일한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18의 경우와 같이, 보다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수평 정렬을 맞추기 위해서 거치 바(100)의 만곡 면(S1)의 곡률은 거치 베이스(130)의 바닥면(130S)의 곡률보다 더 큰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거치 바(100)의 만곡 면(S1)이 거치 베이스(130)의 바닥면(130S)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만곡되기 때문에 바닥면(130S) 상에서 거치 바(130)의 바디부(130B)의 움직임이 보다 자유로울 수 있다.
도 19를 살펴보면, 거치 베이스(130)에서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에 대응하여 만곡된 부분의 제 2 방향(DR2)으로의 폭(L5)은 거치 베이스(130)의 제 2 방향(DR2)으로의 폭(L4)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가 거치 베이스(130)의 홈(130G)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0을 살펴보면, 거치 바(100)의 제 1 면(S1)이 거치 베이스(130)의 바닥면(130S)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되었다면, 거치 베이스(130)의 바닥면(130S)은 오목하게 만곡될 수 있다.
도 21을 살펴보면, 거치 베이스(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30B)와 커버 플레이트(130A)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30B) 및 커버 플레이트(130A) 중 적어도 하나는 벽(200) 또는 다른 구조물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베이스 플레이트(130B)가 벽(200)에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30B)에는 거치 베이스(130)를 벽(200)에 연결하기 위한 제 3 홀(H3)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 플레이트(130B)에는 제 5 홀(H5)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30A)에는 제 4 홀(H4)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체결수단(S300)은 제 4 홀(H4)과 제 5 홀(H5)을 관통하여 커버 플레이트(130A)와 베이스 플레이트(130B)를 체결할 수 있다.
도 21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30B)에 만곡된 부분을 포함하는 바닥면(130S)이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베이스 플레이트(130B) 및 커버 플레이트(130A) 중 적어도 하나에 만곡된 부분을 포함하는 바닥면(130S)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22의 경우와 같이, 거치 베이스(130)는 제 1 플레이트(First Plate, 131), 제 2 플레이트(Second Plate, 132) 및 제 3 플레이트(Third Plate, 133)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플레이트(131)는 벽(200) 또는 다른 구조물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플레이트(1310)에는 거치 베이스(130)를 벽(200) 또는 다른 구조물에 연결하기 위한 제 8 홀(H8)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131)와 제 2 플레이트(132)는 힌지(Hinge)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플레이트(131)와 제 2 플레이트(132)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는 다양한 타입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2의 경우와 같이, 제 1 플레이트(131)의 일측에는 제 1 방향(DR1)으로 돌출(제 2 플레이트(132)를 향해 돌출)되는 제 1 돌출부(131P)가 형성되고, 제 1 돌출부(131P)에는 제 2 방향(DR2)으로 제 10 홀(H1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플레이트(132)의 일측에는 제 1 돌출부(131P)에 대응되며 제 3 방향(DR3)으로 돌출되는 제 2 돌출부(132P)가 형성되고, 제 2 돌출부(132P)에는 제 2 방향(DR2)으로 제 9 홀(H9)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돌출부(132P)들 사이에는 제 1 홈(132G)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131)의 제 1 돌출부(131P)는 제 2 플레이트(132)의 제 1 홈(132G)에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로드(Rod, 300)가 제 9 홀(H9)과 제 10 홀(H10)을 관통하여 제 1 플레이트(131)와 제 2 플레이트(132)를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플레이트(132)에는 제 7 홀(H7)이 형성되고, 제 3 플레이트(133)에는 제 6 홀(H6)이 형성될 수 있다.
제 4 체결수단(S400)은 제 6 홀(H6)과 제 7 홀(H7)을 관통하여 제 3 플레이트(133)와 제 2 플레이트(132)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플레이트(131)와 제 2 플레이트(132)를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는 제 1 플레이트(131)에 형성된 제 1 돌출부(131P), 제 10 홀(H10), 제 2 플레이트(132)에 형성된 제 2 돌출부(132P), 제 9 홀(H9) 및 로드(300)를 통칭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131), 제 2 플레이트(132) 및 제 3 플레이트(133)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제 2 플레이트(132)와 제 3 플레이트(133)의 사이에 홈(130G)이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23의 경우와 같이, 제 1 플레이트(131), 제 2 플레이트(132) 및 제 3 플레이트(133)의 단면(Cross Section)은 각각 후면커버(120)의 제 1 장변(LS1)을 향하는 제 1 끝단부(First End Part, E1) 및 제 1 끝단부(E1)에 대항되며 후면커버(120)의 제 2 장변(LS2)을 향하는 제 2 끝단부(Second End Part, E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131)의 제 1 끝단부(E1)와 제 2 플레이트(132)의 제 1 끝단부(E1)를 힌지가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홈(130G)의 입구는 제 2 플레이트(132)의 제 1 끝단부(E1)와 제 3 플레이트(133)의 제 1 끝단부(E1)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4를 살펴보면, 제 5 체결수단(S500)은 제 8 홀(H8)을 관통하여 거치 베이스(130)를 벽(200) 또는 도시하지 않은 다른 구조물에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거치 베이스(130)가 벽(200)에 연결될 상태에서, 거치 바(100)가 후면커버(12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가 거치 베이스(130)에 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후면커버(120)에 연결된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가 거치 베이스(130)의 홈(130G)에 삽입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가 거치 베이스(130)에 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가 거치 베이스(130)에 거치된 상태에서는, 도 25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가 벽(200)과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하단, 즉 제 2 장변(LS2)에 상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도 25의 (B)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가 거치 베이스(130)에 거치된 상태에서 제 2 장변(LS2) 부분을 들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거치 베이스(130)에 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 2 장변(LS2) 부분을 용이하게 수리하거나 조작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거치 베이스(130)는 스프링 장치(Spring Device)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거치 베이스(130)의 제 2 플레이트(132) 또는 제 3 플레이트(133) 중 적어도 하나에는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가 거치 베이스(130)의 홈(130G)에 삽입되거나 홈(130G)으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에서 후퇴하였다가, 바디부(100B)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 혹은 이탈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전진하는 스프링 장치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 3 플레이트(1330)에 스프링 장치가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6을 살펴보면, 스프링 장치(400)는 제 1 방향(DR1)으로 배치되는 스프링부(Spring Part, 410) 및 거치 베이스(130)의 홈(130G)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스프링부(41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스프링 플레이트(Spring Plate, 4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플레이트(420)는 홈(130G)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420P)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스프링 장치(4000는 스프링부(410) 및 스프링 플레이트(4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 커버(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커버(430)에는 제 12 홀(H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3 플레이트(133)에는 제 1 방향(DR1)으로 함몰되는 스프링 함몰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부(410)는 스프링 함몰부(5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스프링 함몰부(500)의 가장자리에는 제 11 홀(H11)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스프링 함몰부(500)에 스프링부(410), 스프링 플레이트(420)가 차례로 배치되고, 제 6 체결수단(S600)이 제 12 홀(H12)을 관통하여 제 11 홀(H11)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 함몰부(500)에 스프링부(410) 및 스프링 플레이트(420)가 장착될 수 있다.
거치 베이스(130)에 스프링 장치(400)가 배치된 상태에서,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가 거치 베이스(130)의 홈(130G)에 삽입되거나 홈(130G)으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에서는 스프링부(410)의 탄성에 의해, 도 27의 (B)의 경우와 같이, 스프링 플레이트(420)가 후퇴할 수 있다.
아울러, 거치 바(100)의 바디부(100B)가 거치 베이스(130)의 홈(130G)에 삽입된 상태이거나 홈(130G)으로부터 이탈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27의 (A)의 경우와 같이, 스프링 플레이트(420)가 전진할 수 있다.
도 28을 살펴보면, 스프링 플레이트(420)의 돌출부(420)는 거치 베이스(130)의 홈(130G)의 입구를 향하는 제 1 면(T1) 및 홈(130G)의 바닥면(130S)을 향하는 제 2 면(T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스프링 플레이트(420)의 돌출부(420)의 제 1 면(T1)은 제 2 플레이트(132) 및/또는 제 3 플레이트(133)의 제 1 끝단부(E1)를 향하고, 제 2 면(T2)은 제 2 플레이트(132) 및/또는 제 3 플레이트(133)의 제 2 끝단부(E2)를 향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29의 경우와 같이, 거치 베이스(130)의 홈(130G)에 삽입된 거치 바(13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거치 바(130)가 거치 베이스(130)의 홈(130G)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420P)의 제 1 면(T1)의 기울기는 제 2 면(T2)의 기울기보다 더 완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후면커버(120)에 배치되는 하단 거치대(Bottom Suppo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의 경우와 같이, 하단 거치대(600)는 후면커버(120)의 제 2 장변(LS2) 측에 배치되고, 거치 바(100)의 후면커버(120)의 제 1 장변(LS1)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하단 거치대(600)와 후면커버(120)의 제 1 장변(LS1) 사이의 간격(D5)은 하단 거치대(600)와 후면커버(120)의 제 2 장변(LS2) 사이의 간격(D4)보다 클 수 있다.
하단 거치대(6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이 하단, 즉 제 2 장변(LS2) 측과 벽(200) 혹은 다른 구조물과의 간격을 유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단 거치대(600)는, 도 31의 경우와 같이, 후면커버(120)에 연결되는 베이스 바(Base Bar, 610), 베이스 바(610)에 제 1 힌지로 연결되는 제 1 확장 바(First Extension Bar, 620) 및 베이스 바(610)에 제 2 힌지로 연결되는 제 2 확장 바(Second Extension Bar, 6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바(610)에는 제 7 체결수단(S700)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 7 체결수단(S700)은 베이스 바(610)의 홀을 관통하여 후면커버(1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확장 바(620) 및 제 2 확장 바(630)의 일측 끝단 부분에는 제 1 연결 고리(P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 바(610)에는 제 1 확장 바(620) 또는 제 2 확장 바(630)의 제 1 연결고리(P1)에 대응되는 제 13 홀(H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확장 바(620)의 제 1 연결고리(P1)가 베이스 바(610)의 제 13 홀(H13)에 삽입됨으로써, 제 1 확장 바(620)는 베이스 바(610)에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확장 바(630)의 제 1 연결고리(P1)가 베이스 바(610)의 제 13 홀(H13)에 삽입됨으로써, 제 2 확장 바(630)는 베이스 바(610)에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 1 확장 바(620)의 제 1 연결고리(P1)와 이에 대응하는 베이스 바(610)의 제 13 홀(H13)을 제 1 힌지로 통칭할 수 있고, 제 2 확장 바(630)의 제 1 연결고리(P1)와 이에 대응하는 베이스 바(610)의 제 13 홀(H13)을 제 2 힌지로 통칭할 수 있다.
도 32의 (A)를 살펴보면, 베이스 바(610)에 제 1 확장 바(620)와 제 2 확장 바(630)가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확장 바(620)와 제 2 확장 바(630)는 베이스 바(610)와 대략 나란하게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2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확장 바(620) 및/또는 제 2 확장 바(630)를 베이스 바(610)에 수직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만약, 도 32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확장 바(620)와 제 2 확장 바(630)가 베이스 바(610)에 대략 평행한 상태에서는, 도 33의 (A)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 2 장변(LS2) 부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벽(20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32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확장 바(620)와 제 2 확장 바(630)가 베이스 바(610)와 대략 수직인 상태에서는, 도 33의 (B)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 2 장변(LS2) 부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벽(200) 사이의 간격(L11)을 충분히 크게 유지할 수 있다.
도 34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적용되는 전자기기로서 방송신호 수신기(Broadcasting Signal Receiver)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휴대폰 등의 다른 전자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앞선 도 1 내지 도 33에서 상세히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디스플레이부(10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해당될 수 있다.
도 3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 즉 방송신호 수신기는 방송 수신부(10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저장부(140Q),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 제어부(170Q), 디스플레이부(100), 오디오 출력부(185Q), 전원공급부(190Q),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Q)는, 튜너(110Q), 복조부(120Q),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구비하면서 튜너(110Q)와 복조부(12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Q)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복조부(120Q)는, 튜너(110Q)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Q)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0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Q)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외부 장치와 방송신호 수신기(1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Q)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제어부(170Q)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0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Q)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7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튜너(110Q)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는,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오디오 출력부(185Q)는, 제어부(170Q)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 송신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Q)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커버(Back Cover); 및
    상기 후면커버의 후방에 배치되는 거치 바(Supporting Bar);
    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 바는
    적어도 일면은 만곡이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수직하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상기 후면커버와 소정 거리 이격되는 바디부(Body Part); 및
    상기 바디부의 양쪽에 위치하며, 각각 상기 후면커버에 연결되는 접합부분(joint Part);
    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의 장변(Long Side)과 나란한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상기 바디부의 길이는 상기 후면커버의 단변(Short Side)과 나란한 제 3 방향(Third Direction)으로 상기 바디부의 폭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바디부의 두께는 상기 제 3 방향으로 상기 바디부의 폭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상기 후면커버의 제 1 장변(First Long Side) 사이의 간격은 상기 바디부와 상기 후면커버의 제 1 장변에 대항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사이의 간격보다 작고,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상기 제 2 장변을 향하는 면이 만곡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바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접합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분(Connection Part)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분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바디부가 상기 후면커버와 이격되도록 상기 후면커버와 교차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상기 후면커버의 상기 제 1 장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접합부분과 상기 후면커버의 상기 제 1 장변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후면커버의 상기 제 1 장변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된 바 형태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바의 상기 바디부가 삽입되는 홈(Groove)을 포함하는 거치 베이스(Supporting Base)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 바의 상기 바디부가 상기 거치 베이스의 상기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의 만곡된 면은 상기 홈의 바닥면을 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베이스의 상기 홈의 바닥면은 상기 바디부의 만곡된 면과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곡률은 대략 서로 동일함)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베이스는 벽(Wall) 또는 다른 구조물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베이스는
    상기 벽 또는 다른 구조물에 연결되는 제 1 플레이트(First Plate);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힌지(Hinge)로 연결되는 제 2 플레이트(Second Plate);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 3 플레이트(Third Plate);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와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사이에 상기 홈이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단면(Cross Section)은 각각
    상기 후면커버의 상기 제 1 장변을 향하는 제 1 끝단부(First End Part); 및
    상기 제 1 끝단부에 대항되며 상기 후면커버의 상기 제 2 장변을 향하는 제 2 끝단부(Second End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제 1 끝단부와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제 1 끝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홈의 입구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제 1 끝단부와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제 1 끝단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 3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바디부가 상기 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에서 후퇴하였다가, 상기 바디부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 혹은 이탈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전진하는 스프링 장치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치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프링부(Spring Part); 및
    상기 홈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스프링부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스프링 플레이트(Spring Plate);
    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는 상기 홈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의 입구를 향하는 제 1 면; 및
    상기 홈의 바닥면을 향하는 제 2 면;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면의 기울기는 상기 제 2 면의 기울기보다 더 완만한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에 배치되는 하단 거치대(Bottom Support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 거치대와 상기 후면커버의 제 1 장변 사이의 간격은 상기 하단 거치대와 상기 후면커버의 제 2 장변 사이의 간격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거치대는
    상기 후면커버에 연결되는 베이스 바(Base Bar);
    상기 베이스 바에 제 1 힌지로 연결되는 제 1 확장 바(First Extension Bar); 및
    상기 베이스 바에 제 2 힌지로 연결되는 제 2 확장 바(Second Extension Bar);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051345A 2013-05-07 2013-05-07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32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345A KR20140132176A (ko) 2013-05-07 2013-05-07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345A KR20140132176A (ko) 2013-05-07 2013-05-0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176A true KR20140132176A (ko) 2014-11-17

Family

ID=5245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345A KR20140132176A (ko) 2013-05-07 2013-05-0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21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7379A (zh) * 2018-12-04 2019-03-01 惠科股份有限公司 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7379A (zh) * 2018-12-04 2019-03-01 惠科股份有限公司 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4169B2 (en) Display device
US8797479B2 (en) Display apparatus
EP2757408A1 (en) Display device
USRE46796E1 (en) Display apparatus
US20160091656A1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2762992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US20170139258A1 (en) Display device
KR201401321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469582B2 (en) Back frame and backlight system
EP2700995A1 (en) Display device
KR201400931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247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2092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2248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3036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372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2842269A (zh) 显示器
KR1011918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1531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703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160647A1 (en) Flat panel display
KR2015008433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64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363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00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