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949A -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949A
KR20140126949A KR1020130045270A KR20130045270A KR20140126949A KR 20140126949 A KR20140126949 A KR 20140126949A KR 1020130045270 A KR1020130045270 A KR 1020130045270A KR 20130045270 A KR20130045270 A KR 20130045270A KR 20140126949 A KR20140126949 A KR 20140126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call
touch
func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수
전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5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6949A/ko
Priority to US14/261,274 priority patent/US20140325443A1/en
Publication of KR20140126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자 기기의 메뉴 운용 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 특정 기능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호 궤적을 갖는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 궤적을 갖는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기능과 관련된 호 궤적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Apparatus Method for operating menu 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사용자 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이용의 편의성과 휴대의 용이성으로 인해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특히,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는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기능들이 다양해짐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터치 조작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interaction)도 복잡해지는 추세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는 통신 서비스 이외에 다양한 기능 예컨대, 촬영, 사진 편집, 문서 작성 등의 다양하고 새로운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휴대 단말기에서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이 제공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운용이 복잡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세부적인 기능들을 이용하기 위해 상위 메뉴에서 하위 메뉴로 계층적으로 진입해야 한다. 즉,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터치를 여러 번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뎁스(depth)를 갖는 메뉴 구조(예, 상위메뉴 -> 하위메뉴)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이지 못하며, 특정 기능에 대한 메뉴의 위치를 알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는 일일이 원하는 기능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한편,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단순히 통신 서비스만을 제공하고 한 손으로 조작하는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점차 소형화되는 추세였다. 이에 반해,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한 손으로 조작하는 기능보다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점차 대형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휴대 단말기가 대형화됨에 따라, 터치스크린의 화면이 커지면서 한 손으로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대형화된 휴대단말기의 경우, 한 손으로만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메뉴 등의 입력을 조작하는 것이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사용자가 한 손으로만 대형화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가 안정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양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경우, 사용자가 입력을 제어할 수 있는 영역에 한계가 있어 손의 활용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휴대 단말기에서 특정 기능에 대한 세부 기능들이 더욱 더 복잡해짐에 따라, 기능 실행에 따른 메뉴 기능을 보다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서 터치 이동을 최소화하여 특정 기능에 대한 세부 메뉴들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를 양 손 또는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입력 제어가 가능한 영역만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기능 메뉴를 제공하고, 좀 더 빠른 메뉴로의 접근 및 기능 실행이 가능한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메뉴 운용 방법은,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 특정 기능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호 궤적을 갖는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 궤적을 갖는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기능과 관련된 호 궤적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호 궤적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시간 및 터치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호 궤적 메뉴의 조작 입력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 궤적 메뉴 조작 입력 제스처에 대응하여 호 궤적 메뉴의 조작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특정 기능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특정 기능에 대한 호 궤적 메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호 궤적을 갖는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고, 상기 호 궤적을 갖는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기능과 관련된 호 궤적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장치를 양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단말기의 운용 능력을 극대화함으로써, 양손 파지 유지 따른 안정감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시 직관적인 기능 설정, 연속적인 기능 메뉴 동작이 가능하며,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뎁스(depth) 메뉴 진입 및 설정이 용이하여 전자 장치의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사용자 기기의 메뉴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 궤적 메뉴 표시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 궤적 메뉴 표시를 고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 궤적 메뉴를 해제하는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 궤적 메뉴를 변경하는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호 궤적 메뉴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호 궤적 메뉴 운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예시도들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기기는 단말기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이 움직일 수 있는 영역만을 이용하여 메뉴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기기는 특정 기능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한된 영역에 호 궤적의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호 궤적에 따라 하나 이상의 특정 기능의 메뉴 오브젝트들이 표시되는 기능, 제한된 영역의 터치 조작에 따라 세부 기능들을 실행하는 기능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핸드헬드(hand-held)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가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터치 패널(111) 및 표시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 터치스크린(110), 키 입력부(120), 무선 통신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카메라(150), 저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을 표시하고, 기능 제어와 관련된 터치 이벤트를 감지한다. 터치 패널(111)은 표시부에 안착(place on)된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111)은 표시부(112) 전면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부(112)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의 크기는 터치 패널(111)의 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터치 패널(111)은 터치 패널(111)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예컨대, 사용자 제스처)에 응답하여 아날로그 신호(예, 터치 이벤트)를 발생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여기서, 터치 이벤트는 터치 좌표(X,Y)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터치스크린(110)으로부터 터치 이벤트가 수신될 수 경우, 터치 기구(예, 손가락이나 펜)가 터치스크린에 터치된 것으로 결정하고, 터치스크린(170)으로부터 터치이벤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터치 해제된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터치 좌표가 변화된 경우, 터치가 이동한 것으로 결정하고, 터치의 이동에 응답하여 터치의 위치 변화량 및 터치의 이동 속도 등을 산출한다. 제어부(170)는 터치 좌표, 터치의 해제 여부, 터치의 이동 여부, 터치의 위치 변화량 및 터치의 이동 속도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 제스처를 구분한다. 터치 패널(111)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및 전자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부(112)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부(112)는 휴대 단말기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메뉴 화면, 키패드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인터넷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12)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110)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화면 상에 그려진 호 궤적을 인식하는 기능을 지원하고, 인식된 호 궤적을 따라 특징 기능과 관련된 호 궤적 메뉴를 출력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호 궤적 메뉴는 휴대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메뉴 기능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호 궤적 메뉴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사용자 입력이 인식된 호 궤적을 따라 표시부(112)에 표시될 수 있다. 호 궤적 메뉴는 단말기(100)를 특정 방향의 손으로 파지한 경우 호 궤적 입력 운용이 가능한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호 궤적 입력 운용이 가능한 영역은 각 사용자의 엄지 길이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양 손으로 휴대 단말기를 파지한 경우,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으로 단말기의 측면과 배면을 파지하고, 엄지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10)의 터치 입력을 운용할 수 있다. 이때, 엄지의 길이는 호 궤적에 따라 출력되는 메뉴의 특정 위치들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범위를 결정하게 된다. 즉, 호 궤적 메뉴는 단말기를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에 의하여 정해지는 범위 내에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엄지의 길이에 따라 출력되는 호 궤적 메뉴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손 또는 한 손만을 파지한 상태에서도 손의 움직임 없이 특정 기능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표시부(112)는 단말기(110)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에 의한 호 궤적 메뉴 표시, 세로 모드에 의해 호 궤적 메뉴 표시,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 간의 변화에 따른 적응적 화면 전환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
키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 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키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키 신호는 전원 온/오프 신호, 볼륨 조절 신호, 화면 온/오프 신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는 단말기(100)의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무선 통신부(130)는 지원 가능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음성 통신, 화상 통신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같은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제어부(170)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데이터를 DA(Digital to Analog) 변환하여 스피커(SPK)로 전송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데이터를 AD(Analog to Digital)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코덱(codec; 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오디오 처리부(140)는 호 궤적 메뉴 운용에 따른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처리부(140)는 표시부(112)에 출력된 호 궤적 메뉴의 고정 기능이 설정되면, 메뉴가 고정되는 효과 음향(예, 딸각 소리)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음 출력은 사용자 설정이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S;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하여, 단말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발생하는 데이터 및 단말기를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예컨대, 외부 서버, 다른 휴대 단말,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휴대 단말기 기능 처리에 대한 다양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호 궤적 메뉴의 데이터베이스(DB:data base)(1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표시부(112)에 출력되는 호 궤적 메뉴 정보 및 운용을 지원하는 입력 알고리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호 궤적 메뉴 정보는 특정 기능에 대한 메뉴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기능에 대한 호 궤적의 메뉴는, 카메라 운용 기능들(예, 모드변경, 화질 변경, 효과 변경, 감도 변경, 해상도 변경, 초점 변경 등)에 대한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호 궤적 메뉴는 호 궤적을 따라 오브젝트들이 배치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7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전원이 공급되면, 휴대 단말기의 부팅 과정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기능 실행을 위해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제어부(170)는 터치스크린(100)으로부터 전달되는 터치 입력이 호 궤적 메뉴 표시 제스처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제어부(170)는 터치 입력이 호 궤적 메뉴 표시 제스처로 결정되면, 표시부(112)에 호 궤적 메뉴 표시를 지시하고, 호 궤적 메뉴를 표시부(112)에 출력한다. 제어부(170)는 단말기의 회전을 감지하고, 단말기의 회전에 따라 출력되는 호 궤적 메뉴의 위치와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세로 모드에서 가로모드로 단말기의 회전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특정 손 방향의 호 궤적 메뉴를 회전 변경에 따른 표시부 영역에 맞도록 각 메뉴들의 위치를 조정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호 궤적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메뉴 변경, 메뉴 표시 해제, 메뉴 표시 고정, 서브 메뉴 표시 기능 등을 위한 특정 입력 신호가 발생되면, 해당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기능을 실행하도록 지원한다.
이하, 단말기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도 2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0)는 단말기의 위치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과,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GPS 모듈과, 카메라 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입력부는 상술한 터치스크린(110) 및 키입력부(120) 이외에, 터치패드, 트랙볼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메뉴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호 궤적 메뉴 운용이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부(112)에 표시한다. 여기서, 호 궤적 메뉴 운용이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은은 카메라, 갤러리, 인터넷 브라우저, 스케줄러, 메모, 동영상 등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단계 220에서 제어부(17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호 궤적 메뉴를 호출하는 호출 이벤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호 궤적 메뉴 호출 이벤트는 제한된 영역 예컨대, 단말기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터치 입력 제어가 가능한 영역에서 검출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00)를 양 손으로 파지한 경우,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으로 부채꼴 모양의 터치 가능운용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단말기(100)는 엄지손가락으로 터치운용이 가능한 영역에서 호 궤적의 터치 제스처를 검출할 수 있다. 호 궤적 메뉴 호출 이벤트는 호 궤적으로 그려진 터치 제스처 신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터치스크린(100)으로부터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전달된 터치 입력 신호로부터 좌표 데이터를 검출한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전달되는 터치 입력의 좌표들과, 터치 시작(예, 터치 다운) 좌표 및 터치 종료(예컨대, 터치 업 또는 위치 변동 없이 일정 시간 롱 프레스) 좌표를 추출한다. 제어부(170)는 추출된 좌표들을 연결하는 선의 형태로부터 호 궤적을 갖는 터치 제스처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호 궤적 메뉴 호출 이벤트는 터치스크린의 베젤(bezel) 영역에서의 시작하여 표시 영역에서 종료되는 호 궤적의 터치 제스처 또는 동시에 2개의 호 궤적으로 그려진 터치 제스처 입력 신호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17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실행 요청 이벤트가 검출되면, 해당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 제어 및 신호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갤러리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제어부(170)는 특정 방향으로의 드래그 입력 이벤트가 검출되면, 화면에 출력된 사진을 다음 목록의 사진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제어부(170)는 호 궤적 메뉴 호출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 호 궤적을 따라 특정 기능과 관련된 호 궤적 메뉴를 출력한다. 제어부(170)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과 관련된 메뉴를 제한된 영역 예컨대, 엄지손가락으로 터치 입력 제어가 가능한 영역에 호 궤적을 따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호 궤적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연결되는 선의 형태 즉, 터치로 그려진 호 궤적을 따라 호 궤적 메뉴가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호 궤적의 기본 형태는 부채꼴 형태의 호 궤적을 가질 수 있으며, 왼손 또는 오른손에 의한 손의 방향에 따라 부채꼴 형태의 호 궤적 모양이 달라질 수 있다. 부채꼴의 호 궤적 메뉴는 사전 설정된 디폴트(default) 정보에 의하여 정의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단말기의 배치 형태 즉,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배치에 따라 호 궤적 메뉴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제어부(170)는 호 궤적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호 궤적 메뉴 운용을 위해 메뉴 조작 이벤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메뉴 조작 이벤트는 제한된 영역 예컨대, 단말기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터치 입력 제어가 가능한 영역에서 검출될 수 있다. 호 궤적 메뉴 조작 이벤트는 호 궤적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드래그(Drag), 플릭(Flick), 프레스(Press), 롱 프레스(long press), 터치 업(touch up) 호버링(hovering)중 적어도 하나의 발생 이벤트가 될 수 있다. 호 궤적 메뉴를 조작하는 메뉴 조작 이벤트는 사전 설정된 디폴트 정보에 의하여 정의되거나,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단계 250에서 제어부(170)는 호 궤적 메뉴 조작 이벤트가 검출되면, 이에 응답하여 맵핑된 호 궤적 메뉴의 조작 기능을 실행한다. 호 궤적 메뉴의 조작 기능은, 메뉴 표시 고정 기능, 메뉴 표시 해제 기능, 메뉴 선택 기능, 선택 메뉴 실행 기능, 메뉴 변경 기능, 하위 메뉴 호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메뉴 표시 고정 기능은, 호 궤적 메뉴가 호출된 상태에서 호 궤적의 중심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실행될 수 있다. 메뉴 표시 해제 기능은 호 궤적 메뉴가 호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발생되는 터치 업 이벤트 또는, 메뉴 표시가 고정된 상태에서 호 궤적의 바깥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실행될 수 있다. 메뉴 선택 기능은, 호 궤적 메뉴가 호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가 유지되는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하나의 메뉴가 선택될 수 있다. 선택 메뉴 실행 기능은 메뉴가 선택된 후, 터치 업 이벤트 또는 다른 영역에서 호 궤적으로 그려진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실행될 수 있다. 메뉴 변경 기능은 호 궤적 메뉴 표시가 고정된 상태에서 호 방향으로 움직이는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출력된 메뉴가 변경될 수 있다. 하위 메뉴 호출 기능은 호 궤적 메뉴 중 하나의 메뉴가 선택된 상태에서, 다른 영역에서 호 궤적으로 그려진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실행될 수 있다. 하위 메뉴는 호 궤적 메뉴가 출력된 영역 즉, 1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입력제어가 가능한 영역 이외에 2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입력제어가 가능한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이하, 호 궤적 메뉴의 조작 기능과 관련하여 화면 예시도를 들어 도 3 내지 도 6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 궤적 메뉴 표시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부(112)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호 궤적 메뉴 운용이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실행 화면(310)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호 궤적 메뉴 운용이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 메시지 , 갤러리, 스케줄러, 인터넷 브라우저 등 세부 메뉴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활성화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되면, 301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표시부(112)에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실행 화면(310)을 표시한다.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310)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또는 단말기의 지원 여부에 따라 전체 화면(full screen)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310)을 가로 모드를 기준으로 제공하거나, 단말기 회전에 따라 세로 모드 또는 가로 모드로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세로 모드를 기준으로 화면을 제공한 형태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호 궤적 메뉴를 호출하기 위해 사전 정의된 제스처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호 궤적 메뉴를 호출하기 위해 사전 정의된 제스처는, 제한된 영역에서 호 궤적을 그리는 동작이 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화면에 엄지손가락(320)으로 호 궤적(330)을 그릴 수 있다.
단말기(100)는 호 궤적으로 그려진 입력 이벤트 발생되면, 3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0)에 호 궤적 메뉴(340)를 출력한다. 호 궤적 메뉴(340)가 출력되는 영역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출력된 메뉴 오브젝트들을 엄지손가락으로 움직여 터치할 수 있는 범위에 대응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호 궤적 메뉴(340)는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오브젝트들이 호 궤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호 궤적 메뉴(340)는, 촬영 모드 변경 메뉴, 화질 변경 메뉴, 효과 기능 메뉴, 감도 변경 메뉴, 해상도 변경 메뉴, 화이트 발란스 변경 메뉴, 초점 변경 메뉴 등 적어도 하나의 메뉴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호 궤적 메뉴(340)는 단말기에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출력되는 메뉴 오브젝트가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호 궤적 메뉴(340)가 표시된 상태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메뉴 오브젝트 위치에서 메뉴 선택 기능, 선택 메뉴 실행 기능 또는 하위 메뉴 호출 기능을 요청하는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메뉴 실행 제스처에 응답하여 터치 제스처가 발생된 위치에 출력된 메뉴 기능을 실행하거나, 메뉴에 대한 하위 호 궤적 메뉴를 호출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 실행 동작 또는 하위 메뉴 호출 동작은 호 궤적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특정 메뉴 위에서 일정 시간 동안 터치를 유지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동안 터치를 유지하다가 터치 해제하는 동작이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메뉴 실행 동작은 사용자 설정 또는 제조 시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면 <303>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오브젝트(350)가 배치한 영역에서 일정 시간 터치를 유지하다 터치 해제하는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단말기는 이에 응답하여 선택된 특정 오브젝트(350)에 대한 호 궤적의 하위 메뉴(355)를 오른쪽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오른쪽 영역에 출력된 호 궤적의 하위 메뉴(355)를 오른쪽 엄지손가락으로 운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기는 설정에 따라 호 궤적 메뉴가 호 궤적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터치가 해제(release)된 경우, 호 궤적 메뉴 표시를 해제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터치가 해제된 경우, 터치가 해제된 위치에 배치된 메뉴오브젝트를 판단하고, 판단된 메뉴 오브젝트를 실행하는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궤적 메뉴를 고정하는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112)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갤러리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호 궤적 메뉴(430)가 호출된 화면(410)의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호 궤적 메뉴는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메뉴의 실행 정보 및 메뉴 정보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예, 아이콘)를 포함하여 출력될 수 있다. 호 궤적 메뉴(430)는 제한된 영역 즉, 단말기(100)를 손(양 손 또는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터치가 가능한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호 궤적 메뉴(430)가 호출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420)을 호 궤적의 중심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러면, 터치스크린(110)은 터치 변화에 따른 터치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터치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단말기(100)는 호 궤적의 중심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입력 동작이 검출되면, 호 궤적 메뉴(430) 표시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실행한다. 이 경우, 단말기는 메뉴 표시 고정 기능이 실행됐음을 사용자에게 알림하기 위해 오디오 효과음(예를 들어, 딸깍 소리)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 표시의 고정은 호 궤적 메뉴(430)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해제되어도, 호 궤적 메뉴(430)의 표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호 궤적 메뉴(430)가 고정된 경우, 사용자는 왼손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호 궤적 메뉴(430)를 운용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호 궤적 메뉴(430)의 표시가 고정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호 궤적 메뉴(430)를 조작하기 위한 동작을 입력하여 하위 메뉴로의 진입, 상위 메뉴로의 진입 등의 호 궤적 메뉴와 관련된 조작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진 기능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호 궤적으로 메뉴를 지원할 수 있는 모든 특정 기능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 궤적 메뉴를 해제하는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호 궤적의 메뉴 표시 고정 기능이 실행되면, 501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상태의 호 궤적 메뉴(530)를 표시부(112)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호 궤적 메뉴의 표시가 고정된 상태에서 화면을 터치한 엄지손가락(520)을 호 궤적의 바깥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단말기(100)는 호 궤적의 바깥쪽 방향으로 움직이는 입력 동작을 검출하고, 이에 응답하여, 502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궤적 메뉴의 표시를 해제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이 경우, 단말기는 호 궤적 메뉴의 표시의 해제 기능이 실행됐음을 사용자에게 알림하기 위해 오디오 효과음(예, 딸깍 소리)을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 궤적 메뉴를 변경하는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호 궤적의 메뉴 표시 고정 기능이 실행되면, 601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상태의 호 궤적 메뉴(630)를 표시부(112)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호 궤적 메뉴는 제한된 영역 즉, 단말기를 손(양 손 또는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터치가 가능한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호 궤적 메뉴의 표시가 고정된 상태에서 화면을 터치한 엄지손가락을 호 궤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단말기는 호 궤적 방향으로 움직이는 입력 동작을 검출하고, 이에 응답하여 602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궤적 메뉴를 변경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표시부의 제한적 공간으로 인해, 표시부에 출력되는 메뉴 오브젝트들의 수가 제한적일 수 있다. 이로 인해, 호 궤적 메뉴는 표시 영역에 출력되는 메뉴 오브젝트들과, 히든 영역 즉, 표시 영역으로 출력되지 못한 메뉴 오브젝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호 궤적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 단말기는 호 궤적 방향에 따라 표시 영역에 출력된 메뉴는 히든 영역으로 배치하고, 히든 영역에 배치된 메뉴는 표시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601 화면에서 출력된 호 궤적 메뉴는 제1 메뉴 오브젝트(630)와 제2 오브젝트(631)가 표시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호 궤적 방향으로 터치를 움직이는 동작을 입력하면, 단말기는 호 궤적 방향으로 호 궤적 메뉴의 메뉴 오브젝트들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변경한다. 즉, 6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에 배치된 제1 오브젝트(630)는 히든 영역으로 배치되고, 제2 오브젝트(631)는 제1 오브젝트(630)가 배치된 영역으로 변경하여 배치된다. 또한, 히든 영역에 배치된 제3 오브젝트(635)는 표시 영역에는 배치되어 화면에 출력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호 궤적 메뉴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 기기 또는 기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표시부에 어플리케이션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단계 720에서 사용자 기기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특정 입력 이벤트 즉, 하나 이상의 터치 제스처를 검출한다. 예컨대, 사용자 기기는 제1 터치 제스처 및 제2 터치 제스처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사용자 기기는 검출된 하나 이상의 터치 제스처가 호 궤적으로 그려진 입력 동작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호 궤적으로 그려진 하나 이상의 터치 제스처는 호 궤적의 이동 방향, 위치, 모양이 다를 수 있다. 단계 740에서 사용자 기기는 하나 이상의 터치제스처를 기반으로 검출된 호 궤적의 이동 방향, 위치,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맵핑된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을 실행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호 궤적 터치 제스처들에 대응하여 각각 해당되는 기능 실행에 대한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표시부에 특정 사진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단말기는 특정 사진이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으로 통해 호 궤적으로 그려진 하나 이상의 터치제스처가 검출된 경우, 호 궤적 호출 기능, 사진 회전 기능, 사진 공유 기능, 취소 기능 등 사진에 대한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호 궤적 메뉴 운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예시도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으로 터치 운용 가능한 범위 이내에서 하나 이상의 호 궤적으로 그려진 터치 제스처를 검출할 수 있다.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호 궤적의 이동 방향, 위치,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맵핑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말기 운용 과정에서 단말기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화면 801 내지 화면 8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호 궤적으로 이루어진 터치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표시부에 특정 사진이 출력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사진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화면 8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제1 방향으로 호 궤적을 그리는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제1 방향으로 호 궤적을 그리는 동작은 호 궤적 메뉴를 호출하는 동작 이벤트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는 801 화면과 같은 제스처가 발생되면, 호 궤적 메뉴를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 8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를 양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왼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호 궤적을 그리고,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으로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호 궤적을 그리는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802에 도시된 방향으로 호 궤적을 그리는 동작은 표시부에 출력된 특정 사진을 회전시키는 동작 이벤트로 정의될 수 있다. 단말기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802 화면과 같은 제스처가 발생되면, 단말기는 표시부에 출력된 특정 사진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실행한다.
사용자는 <803>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를 양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호 궤적을 그리는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803> 화면에 도시된 방향으로 호 궤적을 그리는 동작은 표시부에 출력된 특정 사진을 공유하기 위한 메뉴로 진입하는 동작 이벤트로 정의될 수 있다. 단말기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803> 화면과 같은 제스처가 발생되면, 단말기는 출력된 특정 사진을 타 사용자들과 공유하기 위한 공유 메뉴 기능을 실행하고, 그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공유 메뉴 기능은, 메일 보내기, 메시지 보내기, 소셜 네트워크 메신저 보내기, 연락처 저장, 배경 화면 지정 등의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804>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호 궤적을 그리는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804> 화면에 도시된 방향으로 호 궤적을 그리는 동작은 기능 실행을 취소하는 동작 이벤트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표시부에 출력된 사진에 대해 <802> 화면과 같은 제스처를 입력하여 회전(예, 90도 회전)시킨 경우, 사용자는 <804> 화면과 같은 제스처를 입력하여 회전된 기능을 취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에 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 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휴대 단말기
110: 터치스크린 120: 키 입력부
130: 무선 통신부 140: 오디오 처리부
150: 카메라 160: 저장부
170: 제어부

Claims (18)

  1.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 특정 기능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호 궤적을 갖는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 궤적을 갖는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기능과 관련된 호 궤적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궤적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시간 및 터치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호 궤적 메뉴의 조작 입력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 궤적 메뉴 조작 입력 제스처에 대응하여 호 궤적 메뉴의 조작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 궤적 메뉴의 조작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제스처의 터치 입력 시간 및 터치 움직임에 따라 메뉴 표시 고정 기능, 메뉴 표시 해제 기능, 메뉴 변경 기능, 하위 메뉴 표시 기능, 하위 메뉴 표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궤적을 갖는 터치 제스처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양손으로 파지한 경우, 엄지손가락으로 터치 운용이 가능한 영역에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궤적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기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오브젝트들이 호 궤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궤적 메뉴의 조작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호 궤적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고, 호 궤적의 중심쪽 방향으로 이동되는 터치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 호 궤적 메뉴 표시를 고정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궤적 메뉴의 조작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호 궤적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호 궤적의 바깥쪽 방향으로의 터치 움직임 신호가 검출된 경우, 호 궤적 메뉴의 표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궤적 메뉴의 조작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호 궤적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호 궤적의 호 방향으로의 터치 움직임 신호가 검출된 경우, 표시 영역에 출력된 메뉴 중 일부는 히든 영역에 배치되고, 히든 영역에 배치된 메뉴 중 일부는 표시 영역으로 출력되어 호 궤적 메뉴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앱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호 궤적의 이동 방향, 위치, 모양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하나 이상의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 궤적의 이동 방향, 위치,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맵핑된 상기 특정 앱의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10. 특정 기능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특정 기능에 대한 호 궤적 메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호 궤적을 갖는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고, 상기 호 궤적을 갖는 터치 제스처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기능과 관련된 호 궤적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 궤적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시간 및 터치 움직임을 기반으로 한 호 궤적 메뉴의 조작 입력 제스처를 검출하고, 상기 호 궤적 메뉴 조작 입력 제스처에 대응하여 호 궤적 메뉴의 조작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제스처의 터치 입력 시간 및 터치 움직임에 따라 메뉴 표시 고정 기능, 메뉴 표시 해제 기능, 메뉴 변경 기능, 하위 메뉴 표시 기능, 하위 메뉴 표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양손으로 파지한 경우, 엄지손가락으로 터치 운용이 가능한 영역에서 상기 호 궤적을 갖는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특정 기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오브젝트들이 호 궤적으로 배치된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 궤적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고, 호 궤적의 중심쪽 방향으로 이동되는 터치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 호 궤적 메뉴 표시를 고정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 궤적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호 궤적의 바깥쪽 방향으로의 터치 움직임 신호가 검출된 경우, 호 궤적 메뉴의 표시를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 궤적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호 궤적의 호 방향으로의 터치 움직임 신호가 검출된 경우, 표시 영역에 출력된 메뉴 중 일부는 히든 영역에 배치되고, 히든 영역에 배치된 메뉴 중 일부는 표시 영역으로 출력되어 호 궤적 메뉴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앱의 실행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호 궤적의 이동 방향, 위치 , 모양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하나 이상의 터치 제스처를 검출하고, 상기 호 궤적의 이동 방향, 위치,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맵핑된 상기 특정 앱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30045270A 2013-04-24 2013-04-24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40126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270A KR20140126949A (ko) 2013-04-24 2013-04-24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
US14/261,274 US20140325443A1 (en) 2013-04-24 2014-04-24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enu i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270A KR20140126949A (ko) 2013-04-24 2013-04-24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949A true KR20140126949A (ko) 2014-11-03

Family

ID=5179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270A KR20140126949A (ko) 2013-04-24 2013-04-24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325443A1 (ko)
KR (1) KR201401269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022B1 (ko) * 2015-09-24 2017-02-02 네모유엑스 주식회사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141582A (ko) * 2016-06-15 2017-12-26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출력 제어 장치, 출력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WO2021162366A1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Ar 객체를 배치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5996B2 (en) 2008-10-22 2019-07-09 Merge Healthcare Solutions Inc.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US10768785B2 (en) * 2008-10-22 2020-09-08 Merge Healthcare Solutions Inc. Pressure sensitive manipulation of medical image data
US8797350B2 (en) 2010-12-20 2014-08-05 Dr Systems, Inc. Dynamic customizable human-computer interaction behavior
CN103513817B (zh) * 2013-04-26 2017-02-08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触控设备及控制其配置操作模式的方法、装置
KR102138505B1 (ko) * 2013-07-10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50215245A1 (en) * 2014-01-24 2015-07-30 Matthew Christian Carlson User interface for graphical representation of and interaction with electronic messages
US20220171530A1 (en) * 2014-06-11 2022-06-02 Lenovo (Singapore) Pte. Ltd. Displaying a user input modality
US20150363008A1 (en) * 2014-06-11 2015-12-17 Lenovo (Singapore) Pte. Ltd. Displaying a user input modality
US10379599B2 (en) 2014-07-24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items in an electronic device when the display screen is off
KR20160029509A (ko) * 2014-09-05 201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US10216405B2 (en) * 2015-10-24 2019-02-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enting control interface based on multi-input command
US11054984B2 (en) * 2016-07-08 2021-07-06 Mehdi BLANCHARD Gesture-based input command interface, method and system
US10871896B2 (en) * 2016-12-07 2020-12-22 Bby Solutions, Inc. Touchscreen with three-handed gestures system and method
CN106603786A (zh) * 2016-12-21 2017-04-26 吉林省北方医药有限责任公司 一种手机
CN108762601A (zh) * 2018-03-29 2018-11-06 威海新北洋技术服务有限公司 应用功能的显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11740761B2 (en) * 2018-06-08 2023-08-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displaying icons, terminal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20210022850A (ko) * 2019-08-21 202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성능 부스팅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반도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56434B (zh) * 2011-05-31 2014-10-11 Compal Electronics Inc 具有觸控輸入系統之電子裝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022B1 (ko) * 2015-09-24 2017-02-02 네모유엑스 주식회사 표시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141582A (ko) * 2016-06-15 2017-12-26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출력 제어 장치, 출력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WO2021162366A1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Ar 객체를 배치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25443A1 (en)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6949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메뉴 운용 방법 및 장치
US10037052B2 (en) Finger-wearable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KR102091028B1 (ko) 사용자 기기의 오브젝트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995278B1 (ko) 터치 디바이스의 ui 표시방법 및 장치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KR10202034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162964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JP5759660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情報端末および入力方法
EP3525075B1 (en) Method for lighting up screen of double-screen terminal, and terminal
US20170199662A1 (en) Touch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KR102251834B1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40115731A (ko) 휴대 단말기의 오브젝트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WO2017113379A1 (zh) 一种用户界面的菜单显示方法及手持终端
KR20120047753A (ko) 터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20110248928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stural operation of context menus on a touch-sensitive display
JP2014010777A (ja) 表示プログラム、表示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CN108958685A (zh) 连接移动终端和外部显示器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装置
KR2010000352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EP2746924B1 (en) Touch input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20150169216A1 (en) Method of controlling scree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60103554A1 (en)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apparatus
KR20140019530A (ko) 멀티 터치 핑거 제스처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00194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40106801A (ko)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JP5854928B2 (ja) タッチ検出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タッチ検出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