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761A - 스크린 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761A
KR20140115761A KR1020130030797A KR20130030797A KR20140115761A KR 20140115761 A KR20140115761 A KR 20140115761A KR 1020130030797 A KR1020130030797 A KR 1020130030797A KR 20130030797 A KR20130030797 A KR 20130030797A KR 20140115761 A KR20140115761 A KR 20140115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lock
screen
execution condition
lock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0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5761A/ko
Priority to US14/189,209 priority patent/US9804765B2/en
Publication of KR20140115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7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스크린 락 기능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개시는 스크린 락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요청에 따라 상기 스크린 락의 실행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 또는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시 디폴트로 설정된 실행 조건 값을 적용하도록 마련된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제어 방법과 이의 변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스크린 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Controlling Method of Screen lock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개시는 전자 장치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장치의 스크린 락 운용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 장치는 하드웨어 기술의 발달을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전자 장치는 스크린 락 기능을 지원한다. 스크린 락 기능은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화면을 터치하는 상황을 방지하는 기능이다.
본 개시는 보다 개선된 스크린 락 기능을 가지는 스크린 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는 스크린 락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요청에 따라 상기 스크린 락의 실행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 또는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시 디폴트로 설정된 실행 조건 값을 적용하도록 마련된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제어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개시는 또한, 스크린 락 상태에서 스크린 락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스크린 락의 실행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제어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개시는 또한, 스크린 락 해제 요청에 따라 상기 스크린 락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 또는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시 디폴트로 설정된 실행 조건 값을 적용하도록 마련된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스크린 락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요청을 위한 신호 수신 시 상기 스크린 락 설정 화면 또는 상기 스크린 락 기본 화면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개시는 또한, 스크린 락의 실행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스크린 락 상태에서 스크린 락 해제 요청 수신 시 상기 스크린 락 설정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스크린 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따르면, 본 개시는 보다 개선된 스크린 락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락 제어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락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락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락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스크린 락 제어 기능을 지원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락 제어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전자 장치(100)는 특정 이벤트가 설정 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표시부(140)를 스크린 락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 락 상태는 락이 설정된 스크린이 표시부(140) 상에 제공되도록 준비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 락 상태는 터치 감지부(143)의 비활성화 및 표시 패널(141)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스크린 락 해제 대기 상태는 스크린 해제 이벤트 예컨대 표시부(140) 턴-온을 위한 특정 키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외부 통신 입력 이벤트나 스케줄 실행 이벤트 등의 발생 따라 락이 설정된 스크린이 표시부(140) 상에 표시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표시부(140)에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스크린 락 해제 상태는 상술한 스크린 락이 해제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표시부(140) 상에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특정 기능 화면이나 디폴트로 설정된 특정 화면 등이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스크린 락 해제 상태에서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을 확인하고, 해당 실행 조건이 만족되면 스크린 락을 실행시킬 수 있다. 스크린 락 실행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락 해제 대기 상태 또는 스크린 락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전자 장치(100)는 우선적으로 표시부(140)의 밝기를 조절하는 동작 과정을 수행한 후, 별도의 이벤트 발생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표시부(14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표시부(140)의 전원 차단 이후 별도의 이벤트 발생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또는 전원 차단 직후 스크린 락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스크린 락의 실행 조건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상술한 스크린 락 해제 상태에서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조건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 운용을 보다 계획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스크린 락 설정을 보다 적응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친화적인 스크린 락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메시지 서비스 기능, 웹 페이지 검색 기능, 영상 통화 기능, 음성 통화 기능, 데이터 송수신 기능, 클라우드 기능 등 통신이 요구되는 앱(Application) 등을 지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한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100)가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전자 장치(100)가 방송 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방송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가 특정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해당 통신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는 제어부(160)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 운용 중에 별도의 입력 이벤트 또는 데이터 수신 이벤트가 없는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스크린 락이 실행되면 제어부(160) 제어 하에 통신부(110)는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10)는 스크린 락이 실행되더라도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여 스크린 락이 실행되기 직전에 제공되던 웹 페이지 갱신을 지원할 수 도 있다.
입력부(120)는 전자 장치(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상기 입력부(120)는 버튼키나, 사이드 키, 홈 키 등 특정 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스크린 락이 실행된 상태에서 스크린 락 해제를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스크린 락이 해제된 상태에서 스크린 락을 실행하도록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40)가 터치 기능을 지원하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입력부(120)는 표시부(140)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40)에서 생성된 터치 이벤트는 제어부(160)에 전달되고, 제어부(160)는 터치 이벤트를 실행 중인 앱에 적용할 수 있다. 표시부(140)에서 생성된 터치 이벤트에 의해 스크린 락이 해제될 수 있다. 특히 표시부(140)에서 생성된 터치 이벤트의 드래그 방향, 드래그 거리 및 드래그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이 조절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전자 장치(100)의 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오디오 처리부(130)는 전자 장치(100)에서 생성된 또는 복호된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하기 위해 스피커(SPK)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 기능, 녹음 기능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오디오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크린 락 상태에서 스크린 락 해제 대기 상태로 변경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 발생에 따른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크린 락 해제 대기 상태에서 이벤트 발생에 따라 스크린 락이 해제되면 그에 따른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크린 락 해제 상태에서 별도 이벤트 발생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표시부(140)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스크린 락 해제 대기 상태 또는 스크린 락 상태로 천이되면 그에 따른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설계자 의도에 따라 지원되지 않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표시부(140)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 운용 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 화면들을 출력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표시부(140)는 메뉴 화면, 특정 앱 운용 화면, 복수의 앱 운용 화면, 복수의 앱 운용 중 특정 앱의 전체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표시부(140)는 스크린 락 해제 대기 상태 화면, 스크린 락이 해제됨에 따라 직전에 수행된 특정 앱 화면 또는 대기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스크린 락 해제 대기 화면은 스크린 락 설정 화면 및 스크린 락 기본 화면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될 수 있다.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은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화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해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의 방향, 거리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이 조절될 수 있다.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은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이 디폴트로 제공되는 화면일 수 있다.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스크린 락이 해제되면 디폴트로 설정된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이 가동되어 스크린 락 실행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부(140)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표시부(140)는 입력 기능 지원을 위하여 터치 감지부(143) 및 표시 패널(14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전자펜 운용을 위한 펜 터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감지부(143)는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등 사용자 손가락 터치에 의한 물리적 또는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는 패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감지부(143)는 표시 패널(141)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되어 사용자 손가락 등의 터치에 의한 위치 정보 및 손가락 움직임에 따른 접촉 또는 근접 제스처 정보를 제어부(160)에 제공한다. 터치 감지부(143)에 의해 발생되는 터치 이벤트의 방향, 거리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제어부(160)에 제공되고, 이 정보는 실행 중인 스크린 락 해제에 이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41)은 화면 구성 요소들이 출력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표시 패널(141)은 터치 감지부(143)에 매핑되어 다양한 화면 구성 요소들이 출력된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41)은 복수개의 운용 중인 앱 중 특정 앱 운용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 패널(141)은 백라이트에서 제공되는 광을 이용하여 화면을 구현하는 액정 표시 패널, 자체 발광된 광을 이용하여 화면을 구현하는 OLED 등 다양한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141)은 스크린 락 상태로 천이되는 경우 전원 공급이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패널(141)은 특정 화면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별도 이벤트 발생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공급된 전원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41)은 보다 저조도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41)은 이벤트 발생 없이 일정 시간이 추가 경과하면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표시 패널(141)의 전원 공급 차단되더라도 터치 감지부(143) 전원 공급을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설정된 시간 이내 터치 감지부(143)가 특정 이벤트를 감지하면 전자 장치(100)는 표시 패널(141)의 전원 공급을 복구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141) 전원 공급 차단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터치 감지부(143) 전원 공급 또한 차단되어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락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락 상태로 진입시키는 특정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별도의 표시 패널(141) 및 터치 감지부(143)의 단계적 제어 없이 스크린 락 상태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가 손 터치 및 펜 터치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지 않도록 설계되는 경우 표시부(140)는 터치 감지부(143) 및 펜 터치 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지 않은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스크린 락 실행 조건 조절을 위한 터치 이벤트는 펜 터치 감지부 및 펜 터치 감지부와 함께 운용되는 펜에 의하여 발생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전자 장치(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전자 장치(100) 운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50)는 전자 장치(100) 운용에 필요한 운영 체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스크린 락 실행과 해제 등을 지원하기 위한 락 지원 프로그램(151) 및 설정 테이블(153)을 저장할 수 있다.
락 지원 프로그램(151)은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루틴,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루틴, 스크린 락 설정을 위한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루틴은 적어도 하나의 타이머를 제어하는 타이머 제어 루틴과, 스크린 락 실행 조건 정보에 따라 타이머를 동작시키는 동작 루틴, 타이머 만료 시 스크린 락 상태로 천이시키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루틴은 추가적인 타이머 작동을 제어하고, 타이머 만료 시 스크린 락 상태 천이 이전에 표시 패널(141) 전원 조절 및 차단과 터치 감지부(143) 전원을 차단 제어하는 루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루틴은 스크린 락 상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수집하는 루틴, 수집된 이벤트에 따라 스크린 락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는 출력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루틴은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제공하는 루틴,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을 제공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루틴은 스크린 락 해제 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의 방향, 거리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스크린 락 실행 조건 정보를 수집하는 루틴,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 테이블(153)을 갱신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락 설정을 위한 루틴은 스크린 락을 디폴트 설정에 따라 제공하는 스크린 락 기본 모드 지원 루틴, 터치 이벤트의 방향, 거리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스크린 락 설정을 조절하는 스크린 락 설정 모드 지원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 락 설정을 위한 루틴은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별도 메뉴 지원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 테이블(153)은 스크린 락 실행 조건 조절에 따라 조절된 스크린 락 실행 조건 정보를 저장한 테이블이다. 이러한 설정 테이블(153)은 디폴트 설정 정보, 터치 이벤트의 방향 선택에 따라 선택된 설정 정보, 터치 이벤트의 거리에 따라 설정된 설정 정보, 터치 이벤트의 방향 및 터치 이벤트 거리에 따라 선택된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 운용과 관련된 다양한 신호의 처리와 데이터의 처리를 지원하는 구성이다. 즉 제어부(160)는 스크린 락 실행과, 스크린 락 화면 제공,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어부(160)는 스크린 락 실행부(161), 스크린 락 설정부(165)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 락 실행부(161)는 스크린 락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크린 락 실행부(161)는 기능 화면이 표시부(140)에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타이머를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 락 실행부(161)는 타이머가 만료되면 스크린 락 상태로 천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 락 실행부(161)는 다수의 타이머를 구동하고, 제1 타이머 만료 시 표시부(140)의 전원 공급을 저감하도록 제어하고, 제2 타이머 만료 시 표시부(140)의 전원 공급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 락 실행부(161)는 제3 타이머 만료 시 터치 감지부(143)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스크린 락 상태로 천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크린 락 실행부(161)는 설정 테이블(153)에 저장된 정보를 기준으로 각각의 타이머들의 시간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스크린 락 설정부(165)는 스크린 락 상태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스크린 락 해제 대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스크린 락 설정부(165)는 스크린 락 상태에서 홈 키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스크린 락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크린 락 설정부(165)는 상황에 따라 스크린 락 설정 화면 및 스크린 락 기본 화면 중 어느 하나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락 설정부(165)는 스크린 락 상태로 변경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스크린 락 해제 대기 화면으로서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락 설정부(165)는 일정 시간내에서 최초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스크린 락 설정부(165)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 또는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의 방향, 거리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한다. 그리고 스크린 락 설정부(165)는 현재 출력된 스크린 락 화면 상태와, 터치 이벤트의 방향, 거리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스크린 락 설정부(165)는 설정 테이블(153)을 갱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락 기능 지원을 위한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은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60)가 301 동작 과정에서 특정 앱 기능 지원을 수행하거나 앱 기능 지원을 위한 대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특정 앱 기능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파일 편집 기능, 파일 검색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301 동작 과정에서 대기 화면을 출력하거나, 특정 아이콘이나 메뉴 등이 배치된 화면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303 동작 과정에서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조건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60)는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기 설정된 제한 시간이 만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어부(160)는 타이머를 구동하고, 특정 이벤트 발생 시 타이머를 리셋하도록 제어하여, 별도 이벤트 발생 없이 타이머에 세팅된 시간이 만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해 할당된 특정 키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사전 정의된 특정 제스처 이벤트나 특정 외부 입력 신호 등의 수신을 확인할 수도 있다.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조건 만족이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305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기능 종료를 위한 특정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기능 종료를 위한 특정 이벤트 발생이 없는 경우 301 동작 과정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종료는 전자 장치(100)의 턴-오프를 위한 이벤트가 될 수 있다.
303 동작 과정에서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160)는 307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스크린 락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307 동작 과정을 수행하는 중에 제어부(160)는 별도의 이벤트 발생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표시부(140)의 전원 조절 단계를 먼저 실행할 수 있다. 307 동작 과정에서 스크린 락 상태는 표시부(140)의 전원이 턴-오프된 상태이며, 표시부(140)를 통한 이벤트 발생을 제한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309 동작 과정에서 스크린 락 해제 요청에 해당하는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 락 해제 요청에 해당하는 이벤트 발생은 특정 통신 기능 수행을 위한 이벤트 수신,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특정 입력 이벤트 수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키를 할당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홈 키와 관련된 입력 이벤트, 스크린 락 실행과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해 토글 형태로 제공되는 키와 관련된 입력 이벤트 등을 수신하면 스크린 락 해제 요청으로 판단할 수 있다.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요청이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307 동작 과정 이전으로 분기하여 스크린 락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309 동작 과정에서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요청이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311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은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이벤트 또는 특정 이벤트의 방향, 거리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을 제시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은 또한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다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 표시를 위하여 표시부(140)의 전원 공급을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313 동작 과정에서 터치 이벤트 수집 여부를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별도 터치 이벤트 발생이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303 동작 과정 이전으로 분기하여 스크린 락 실행 상태로 판단하고 307 동작 과정으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313 동작 과정에서 특정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해당 터치 이벤트의 방향, 거리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315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터치 이벤트의 거리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선택하고, 스크린 락 해제를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터치 이벤트의 형태 예컨대 터치 드래그 거리나 터치 탭 수, 터치 드래그 방향 등에 따라 스크린 락 해제 여부를 결정하고, 스크린 락을 해제할 정도의 거리 값이 수집되면 해당 터치 이벤트의 방향에 따른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설정 테이블(153)에 기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301 동작 과정으로 리턴하여 설정 테이블(153)에 기입된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확인하고, 특정 앱 기능 지원을 수행하면서 해당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을 터치 이벤트에 따라 다르게 조절하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은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요청이 발생하면 디폴트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은 특정 종류의 앱이 수행되다가 스크린 락 상태로 진입한 경우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 기능 또는 웹 페이지 표시 기능이 수행되다가 스크린 락 상태로 진입한 경우 스크린 락 해제 요청 시 앱 종류에 따라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은 일정 시간 간격에서 최초 발생하는 스크린 락 해제 요청 시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10분 또는 1시간 간격마다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이벤트가 최초 발생하면 스크린 락 설정 화면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 출력을 요청하는 메뉴 설정 이후, 최초 스크린 락 해제 요청이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락 기능 지원을 위한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은 401 동작 과정에서 전자 장치(100)가 스크린 락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스크린 락 상태 진입을 위한 전원 키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별도의 이벤트 발생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전자 장치(100)를 스크린 락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다. 스크린 락 상태에서의 전자 장치(100)는 표시부(140)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표시부(140)를 통한 이벤트 발생이 억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403 동작 과정에서 스크린 락 해제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60)는 스크린 락 해제 요청이 없는 경우 401 동작 과정 이전으로 분기하여 스크린 락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403 동작 과정에서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요청이 발생하면 405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을 변경할 수 있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스크린 락 설정 화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이 제공되면 제어부(160)는 407 동작 과정에서 터치 이벤트 수집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터치 이벤트 수집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특정 키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401 동작 과정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407 동작 과정에서 터치 이벤트 수집이 있으면, 409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터치 이벤트에 따른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 선택 및 스크린 락 해제를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터치 이벤트의 방향, 거리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특정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411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별도의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413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스크린 락 해제에 따른 특정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스크린 락 상태 직전에 수행되던 앱 기능, 사용자 요청에 따라 활성화 요청된 앱 기능, 외부로부터 수신된 특정 이벤트에 따라 활성화되는 앱 기능 등 다양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41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조건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앱 기능 수행을 지원하면서 타이머를 구동하여 해당 타이머가 만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입력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60)는 앱 기능 지원을 위한 이벤트 발생이 있으면 타이머를 리셋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가 설정하는 타이머의 만료 시간은 409 동작 과정에서 설정된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에 해당하는 값이 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409 동작 과정에서 설정된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이 사전 정의된 일정 시간 이상이 되는 경우, 이에 대한 타이머 리셋 기능을 지원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409 동작 과정에서 설정된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이 1시간 또는 2시간과 같이 상대적으로 매우 긴 시간인 경우 타이머 리셋 기능을 지원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카운팅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해당 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해당 전자 장치(100)를 스크린 락 상태로 천이되도록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는 새로운 스크린 락 상태로 천이됨에 따라 스크린 락 설정 화면에서 선택된 실행 조건을 디폴트 조건으로 자동 변경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411 동작 과정에서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160)는 415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스크린 락 상태에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415 동작 과정에서의 스크린 락 상태는 401 동작 과정에서의 스크린 락 상태에 동일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417 동작 과정에서 스크린 락 해제 요청에 해당하는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스크린 락 해제 요청이 발생하면 419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스크린 락 기본 화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은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터치 이벤트 발생을 지원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스크린 락이 해제되면 제어부(160)는 디폴트로 설정된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설정 테이블(153)에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이 출력되면 제어부(160)는 421 동작 과정에서 터치 이벤트 수집을 수행하고, 터치 이벤트 수집 시 423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디폴트 값에 따른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 선택 및 스크린 락 해제를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421 동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는 스크린 락을 해제할 수 있는 정도의 터치 이벤트의 거리 또는 방향 값을 가질 수 있다. 421 동작 과정에서 스크린 락을 해제할 수 없을 정도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또는 별도의 터치 이벤트 발생이 없거나 또는 스크린 락 상태 진입을 위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415 동작 과정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417 동작 과정에서 스크린 락 해제 요청이 없는 경우 415 동작 과정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 장치(100)는 이전 출력된 스크린 락 화면의 종류에 따라 다음에 출력할 스크린 락 화면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이전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이 출력된 이력이 있으며, 스크린 락 상태 해제 요청이 발생할 경우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이전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이 출력된 이력이 있으며 스크린 락 상태 해제 요청이 발생하면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423 동작 과정 이후 제어부(160)는 413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특정 앱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락 기능 지원을 위한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전자 장치 제어 방법은 501 동작 과정에서 전자 장치(100)가 스크린 락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60)는 503 동작 과정에서 설정된 시간 이내 스크린 락 해제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전자 장치(100)가 스크린 락 상태로 진입한 이후 일정 시간 이내에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요청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 락 해제 요청은 홈 키나 전원 키 또는 특정 제스처 이벤트 수집이 될 수 있다. 특정 제스처 이벤트 수집을 위하여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모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락 해제 요청을 위해 사전 매핑된 제스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503 동작 과정에서 설정된 시간 이내 스크린 락 해제 요청이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505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스크린 락 상태의 표시부(140)에 전원을 공급하여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503 동작 과정에서 설정된 시간 이후에 스크린 락 해제 요청이 발생하면 507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60)는 503 동작 과정에서 별도의 스크린 락 해제 요청 발생이 없으면 501 동작 과정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505 동작 과정 수행 또는 507 동작 과정 수행에 따라 특정 스크린 락 화면이 표시부(140)에 출력되면, 제어부(160)는 509 동작 과정에서 터치 이벤트 수집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특정 터치 이벤트 수집이 없거나, 설정된 값 이상의 터치 이벤트 발생이 없으면 501 동작 과정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509 동작 과정에서 제어부(160)는 스크린 락을 해제하는 설정된 값 이상의 터치 이벤트가 수집되면 511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터치 이벤트에 따른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 선택 및 스크린 락 해제를 지원하고, 스크린 락 해제에 따른 앱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스크린 락 해제 직전에 표시부(140)에 출력된 화면의 특성을 확인하고, 해당 화면의 특성에 따라 스크린 락 해제 시 발생한 터치 이벤트의 방향, 거리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선택 및 운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505 동작 수행에 따라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이 표시부(140)에 출력된 상태에서 스크린 락이 해제되면 제어부(160)는 터치 이벤트의 방향, 거리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선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507 동작 수행에 따라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이 표시부(140)에 출력된 상태에서 스크린 락이 해제되면 제어부(160)는 디폴트로 설정된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선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513 동작 과정에서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이 단계에서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511 동작 과정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513 동작 과정에서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501 동작 과정으로 분기하여 스크린 락 상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락 상태 진입 이후 사용자의 스크린 락 해제 요청을 요구한 시간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스크린 락 실행 시간을 보다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스크린 락 설정 화면 제공은 별도의 메뉴를 통해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메뉴 선택을 통하여 스크린 락 화면이 표시부(140)에 제공될 때 디폴트로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이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락 제어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의 표시부(140)는 스크린 락 상태로 진입한 경우 601 화면에서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표시부(140)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40)는 표시 패널(141) 및 터치 감지부(143)의 전원 공급이 모두 차단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입력부(1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키에 대하여 신호 수신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20)로부터 발생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홈 키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603 화면에서와 같이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을 제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에서 제시된 조건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에 따른 스크린 락 실행 조건에 따라 타이머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603 화면에서 제1 설정 조건에 따른 터치 이벤트 예컨대 상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605 화면에서와 같이 제1 설정 조건에 따른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선택하여 설정 테이블(153)을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스크린 락 해제에 따른 특정 앱(App) 수행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제1 설정 조건 값에 해당하는 제1 인디케이터(610)를 표시부(140) 상단의 일정 영역 예컨대 상태바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인디케이터(610) 출력은 시스템 설계자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인디케이터(610)는 별도 이벤트 발생이 없는 경우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이 카운트되어 바 이미지가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인디케이터(610)는 별도 이벤트 발생 시 리셋되어 초기 상태의 이미지로 변형될 수 있다. 제1 인디케이터(61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또는 제1 인디케이터(610)는 스크린 락 기본 화면 출력에 의하여 디폴트 스크린 락 실행 조건 선택 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디폴트 스크린 락 실행 조건에 따른 인디케이터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사용자에 의해 또는 임의로 지정된 고정된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제1 설정 조건으로만 제시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자 장치(100)는 고정된 임의의 그리고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선택할 수 있는 다수개의 항목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603 화면에서 제2 설정 조건에 따른 터치 이벤트 예컨대 하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607 화면에서와 같이 제2 설정 조건에 따른 스크린 락 설정 입력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스크린 락 실정 입력 화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40)의 표시 패널(141) 및 터치 감지부(143) 중 적어도 하나의 변경을 제어할 수 있는 입력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40)가 액정 표시 장치로 구성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백라이트의 턴-오프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을 스크린 락 설정 입력 화면에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크린 락 설정 입력 화면을 통하여 별도의 이벤트 발생 없이 특정 앱 기능이 유지되도록 하는 백라이트의 턴-오프 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화면 잠김 항목을 통하여 백라이트 턴-오프 시간 이후 터치 감지 유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백라이트가 턴-오프 되는 경우 실행 중인 앱 기능을 일시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감지 유지되는 시간 내에 특정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표시부(140) 전원 공급을 수행함과 아울러 해당 앱 기능을 다시 재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607 화면에서 설정 입력이 완료되면 제어부(160)는 609 화면이 표시부(140)에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표시부(140)가 액정 표시 장치로 구현되는 것을 가정하여 백라이트로 기재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백라이트" 항목은 "표시 패널"항목으로 조정될 수 있으며, OLED 등과 같은 표시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표시부(140)의 화면 구현을 위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항목만을 설정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스크린 락 설정 입력 화면은 표시부(140)의 전원 크기를 저감하는 시간을 설정하는 항목도 포함할 수 있다.
603 화면에서 제3 설정 조건에 따른 터치 이벤트 예컨대 좌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609 화면에서와 같이 제3 설정 조건에 따른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이 선택될 수 있다. 제3 설정 조건 적용을 위하여 제어부(160)는 터치 이벤트의 방향 및 터치 이벤트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터치 이벤트 방향이 예컨대 좌측 방향 이벤트이면 터치 이벤트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터치 이벤트의 거리의 크기에 따라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터치 이벤트의 거리의 크기에 따라 "10분, 20분, 1시간, 2시간 등"의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선택할 수 있다. 603 화면에서 제어부(160)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특정 팝업 메시지나 팝업 이미지 등을 출력하여 현재 발생한 터치 이벤트에 의하여 설정되는 실행 조건 값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표시부(140) 일정 영역에서 좌측 방향으로 터치 드래그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드래그 이벤트의 거리에 따라 변경되는 실행 조건 값을 시간으로 또는 일정 바 타입이나 특정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서 실행 조건 값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설정된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상태 바 영역에 제2 인디케이터(620)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2 인디케이터(620)는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숫자로 나타낸 것이다. 제2 인디케이터(620)는 해당 스크린 락 실행을 위한 참조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제2 인디케이터(620)는 별도 이벤트 발생이 없는 상태에서 카운팅되다가 이벤트 발생에 따라 리셋될 수 있다. 또는 제2 인디케이터(620)는 이벤트 발생에 관계없이 카운티되어 만료될 수 있다. 제2 인디케이터(620)가 지시한 시간이 만료되면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락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디케이터(620)는 사용자 입력 제어에 따라 제거 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디케이터(620)는 디폴트 조건 설정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사용자 설정에 의해 지정된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들은 디폴트 조건에 의해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이 변경되면 제거될 수 있다.
603 화면에서 디폴트 설정 조건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611 화면에서와 같이 디폴트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디폴트 화면은 별도의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이 설정되지 않고 시스템에서 설계된 디폴트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이 적용된 화면이 될 수 있다. 이 과정을 수행하면서 제어부(160)는 타이머를 시스템에서 제공된 디폴트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타이머가 만료되기 이전에 별도 이벤트 발생이 없는 스크린 락 상태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각 화면들 상태에서 스크린 락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601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601 화면 상태에서 홈 키 이벤트 발생 또는 특정 키 이벤트가 발생하면 603 화면의 출력 과정 없이 디폴트 설정 조건을 제공하는 611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입력부(120)에 포함된 다수의 키 중 제1 키 이벤트가 발생하면 603 화면을 출력하고, 제2 키 이벤트가 발생하면 609 화면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키 및 제2 키는 설계자 의도에 따라 다르게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설정 조건, 제3 설정 조건 등은 메뉴를 통하여 값이 조정될 수도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제1 설정 조건의 "10분, 10sec"를 조정할 수 있는 메뉴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설정 조건으로 등록된 "10분, 10sec"는 사용자 조정에 따라 "11분, 3sec"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제3 설정 조건에서 터치 이벤트의 이동 거리에 따라 변경되는 시간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메뉴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0, 20, 1h, 2h" 등은 사용자 조정에 따라 "5, 30, 1h, 1h30m"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603 화면에서 제1 설정 조건을 지시하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터치 방향을 확인하고 추가로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사용자가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팝업 메시지나 팝업 이미지 또는 특정 이미지 출력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제2 설정 조건이나 제3 설정 조건, 디폴트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에도 해당 실행 조건 값을 별도의 팝업창을 통해 제공하거나 표시된 정보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는 601 화면에서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요청이 발생하면 603 화면 출력 대신에 607 화면이 바로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해당 입력 항목들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면 609 화면에서와 같이 스크린 락이 해제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100)는 실행 조건 값 입력 없이 지정된 특정 입력 이벤트 예컨대 스윕 이벤트나 별도 항목 입력 없이 완료를 선택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611 화면에서와 같이 디폴트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이 적용된 화면 출력을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은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이벤트 발생 시 디폴트로 설정된 실행 조건 값만이 적용되도록 지원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은 터치 이벤트의 방향에 관계없이 일정 거리 이상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스크린 락을 해제하도록 지원하는 화면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표시부(140)에 제공하는 예에서 상태 바 영역에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는 스크린 락 실행과 관련된 안내 정보를 화면의 상태 바 영역뿐만 아니라 화면 중앙이나, 하단 등 다양한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안내 정보는 텍스트 형태나, 특정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 텍스트나 이미지로 제공되는 안내 정보는 시간 경과에 따라 그 표시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도 6의 설명에서는 디폴트 설정 조건을 포함하는 4가지 방향에 따라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화면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본 개시는 상술한 예시들에서 변형된 형태 예컨대 표시부(140)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좌우 4 방향 중 일부 복수개의 방향은 디폴트 설정을 제공하며, 나머지 방향에 대해서만 특정 설정 조건이 적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나머지 방향으로의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전자 장치(100)는 디폴트 설정 값 이외에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고정 값을 적용하는 형태, 609 화면에서와 같이 설정 값을 입력하는 입력 설정 화면이 제공되는 형태, 터치 드래그의 이동 거리에 따라 설정 값이 변경되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4 방향뿐만 아니라 대각선 방향 등에 대해서도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설명에서는 스크린 락 상태로 천이하기 위한 스크린 락 설정 조건 값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설정 조건들은 표시 패널의 밝기 조정 시점 값이 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 락 해제 대기 화면 상태에서 표시 패널의 디밍(Diming) 진입까지의 시간, 표시 패널의 전원 턴-오프 진입까지의 시간, 터치 감지부의 비활성화까지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표시 패널의 디밍 진입 설정 조건 항목, 표시 패널의 전원 턴-오프 진입 설정 조건 항목, 스크린 락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설정 조건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락 상태 진입 설정 조건만을 제공하는 경우 표시 패널의 디밍 진입 및 턴-오프 진입 시점을 설정 조건 값을 기준으로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락 상태 진입 시점을 기준으로 임의로 지정된 10초 전 시점을 디밍 진입 시점으로 자동 결정하고, 5초 전 시점을 턴-오프 진입 시점으로 자동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락 상태 진입 시점을 기준으로 제어부에서 디폴트로 제공되는 시점들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 락의 실행 조건을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전자 장치(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100)는 통신 단말기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전자 장치(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전자 장치(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기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전자 장치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Claims (20)

  1. 스크린 락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요청에 따라 상기 스크린 락의 실행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 또는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시 디폴트로 설정된 실행 조건 값을 적용하도록 마련된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이
    이전 스크린 락 상태 해제 과정에서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이 출력된 이력이 있으면, 스크린 락 상태 해제 요청 시 상기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스크린 락 상태 진입 후 일정 시간 이내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요청 시 상기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
    특정 종류의 앱 운용 중에 상기 스크린 락 상태로 진입한 경우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요청 시 상기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이
    상기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기 설정된 제1 입력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기 설정된 제2 입력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락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스크린 락 실행 조건에 의한 스크린 락 상태 진입까지의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스크린 락 제어 방법.
  5. 스크린 락 상태에서 스크린 락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스크린 락의 실행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과정;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이
    임의로 지정된 특정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이
    디폴트로 설정된 디폴트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선택하기 위한 항목을 표시하는 과정;
    터치 이벤트의 이동 방향, 터치 드래그의 이동 거리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다르게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제어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과정이
    상기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제어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선택에 의해 적용되는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스크린 락 제어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시 상기 스크린 락 실행 조건에 의한 스크린 락 상태 진입까지의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스크린 락 제어 방법.
  11. 스크린 락 해제 요청에 따라 상기 스크린 락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스크린 락 실행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 또는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시 디폴트로 설정된 실행 조건 값을 적용하도록 마련된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스크린 락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요청을 위한 신호 수신 시 상기 스크린 락 설정 화면 또는 상기 스크린 락 기본 화면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이전 스크린 락 상태 해제 과정에서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이 출력된 이력이 있으며, 스크린 락 상태 해제 요청 시 상기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크린 락 상태 진입 후 일정 시간 이내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요청 시 상기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특정 종류의 앱 운용 중에 상기 스크린 락 상태로 진입한 경우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요청 시 상기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기 설정된 제1 입력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크린 락 해제를 위한 기 설정된 제2 입력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스크린 락 기본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요청 시, 상기 스크린 락 실행 조건에 의한 스크린 락 상태 진입까지의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15. 스크린 락의 실행 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는 스크린 락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스크린 락 상태에서 스크린 락 해제 요청 수신 시 상기 스크린 락 설정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임의로 지정된 특정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디폴트로 설정된 디폴트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선택하기 위한 항목;
    터치 이벤트의 방향 및 터치 드래그의 이동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다르게 선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항목 선택에 의해 적용되는 스크린 락 실행 조건 값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상기 스크린 락 해제 시 상기 스크린 락 실행 조건에 의한 스크린 락 상태 진입까지의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KR1020130030797A 2013-03-22 2013-03-22 스크린 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40115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797A KR20140115761A (ko) 2013-03-22 2013-03-22 스크린 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4/189,209 US9804765B2 (en) 2013-03-22 2014-02-25 Controlling method of screen lock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797A KR20140115761A (ko) 2013-03-22 2013-03-22 스크린 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761A true KR20140115761A (ko) 2014-10-01

Family

ID=51570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797A KR20140115761A (ko) 2013-03-22 2013-03-22 스크린 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04765B2 (ko)
KR (1) KR201401157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9710B2 (en) 2013-05-16 2018-07-10 Avant-Garde Ip Llc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to facilitate a financial transaction without unlocking a mobile device
US10217103B2 (en) 2013-05-16 2019-02-26 Avant-Garde Ip Llc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to facilitate a financial transaction without unlocking a mobile device
US9324068B2 (en) 2013-05-16 2016-04-26 Avant-Garde Ip Llc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to facilitate a financial transaction without unlocking a mobile device
US9912795B2 (en) 2014-05-16 2018-03-06 Avant-Garde Ip Llc Dynamically replaceable lock screen wallpaper
KR101731161B1 (ko) 2015-03-01 2017-04-28 이재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제공 방법
KR20160147564A (ko) * 2015-06-15 2016-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652125B2 (en) 2015-06-18 2017-05-1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media content
US9928029B2 (en) 2015-09-08 2018-03-2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audiovisual feedback
US9990113B2 (en) 2015-09-08 2018-06-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oving a current focus using a touch-sensitive remote control
CN106933440B (zh) * 2015-12-31 2020-08-1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操作方法、装置及终端
CN106951754B (zh) * 2016-01-06 2018-08-3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信息图像显示方法及装置
KR102561736B1 (ko) * 2016-06-01 2023-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지문을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EP4220630A1 (en) 2016-11-03 2023-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8521819B (zh) * 2016-12-23 2022-06-21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信息展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9959010B1 (en) * 2016-12-23 2018-05-01 Beijing Kingsoft Internet Security Software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terminal equipment
CN108475096A (zh) * 2016-12-23 2018-08-31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11922006B2 (en) 2018-06-03 2024-03-05 Apple Inc. Media control for screensavers on an electronic device
KR20200013162A (ko) 2018-07-19 2020-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EP2344942B1 (en) * 2008-10-06 2019-04-17 BlackBerry Limited Method for application launch and system function invocation
US8811948B2 (en) * 2010-07-09 2014-08-19 Microsoft Corporation Above-lock camera access
TW201227393A (en) * 2010-12-31 2012-07-01 Acer Inc Method for unlocking screen and executing application program
KR101853856B1 (ko) * 2011-10-04 2018-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026083B2 (en) * 2012-03-29 2015-05-0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Method for determining mobile device password settings based on acceleration information
US8819850B2 (en) * 2012-07-25 2014-08-26 At&T Mobility Ii Llc Management of application ac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89683A1 (en) 2014-09-25
US9804765B2 (en)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5761A (ko) 스크린 락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U2012295662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executing application using touchscreen
KR20140027828A (ko) 잠금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단말기
KR101761190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828306B1 (ko) 휴대 단말기의 운영 방법 및 장치
JP6211721B2 (ja) ボタンによる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2036049B1 (ko) 서비스 사용 상태에 따른 아이콘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10129574A (ko) 터치 락 상태를 가지는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100123108A (ko) 휴대 단말기의 아이콘 위치 이동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40001149A (ko) 햅틱 피드백 제어 시스템
KR20130005733A (ko) 터치 내비게이션 기능을 운용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2064929B1 (ko)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30112558A (ko) 아이콘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140137509A (ko) 알림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6113441B2 (ja) 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及び装置
US20160109999A1 (en) Providing method for inputting and electronic device
KR20130091508A (ko) 사용자 디바이스의 옵션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717584B1 (ko) 휴대 단말기의 통신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반으로 운용되는 휴대 단말기
KR20140116618A (ko) 알람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54441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a mobile device based on an orientation-based usage context
US20110267926A1 (en) Digital alarm clock with user-selectable alarm sound source including from internet
KR20130046482A (ko) 기본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30046839A (ko)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10095586A (ko) 단말기의 터치 이벤트 수집 방법 및 장치
CN105549857B (zh) 一种电子终端的控制方法及电子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