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197A -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 Google Patents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197A
KR20140112197A KR1020130026587A KR20130026587A KR20140112197A KR 20140112197 A KR20140112197 A KR 20140112197A KR 1020130026587 A KR1020130026587 A KR 1020130026587A KR 20130026587 A KR20130026587 A KR 20130026587A KR 20140112197 A KR20140112197 A KR 20140112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feed
livestock
microencapsulat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영주시(농업기술센터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주시(농업기술센터 장) filed Critical 영주시(농업기술센터 장)
Priority to KR1020130026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2197A/ko
Publication of KR20140112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19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23K10/38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from distillers' or brewers' was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3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encapsulating; by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및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캡슐화 홍삼박은 홍삼박으로부터 미세캡슐화를 유도하여 체내 흡수율을 증가시킴으로써, 가축의 모색을 진하고 윤택하게 하고, 가축의 민첩성을 향상시키고 근력을 키우고,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고, 가축 도체의 육량 및 육색을 유의하게 향상시킴으로써, 가축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사료첨가제 또는 가축용 사료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Feed additive containing microencapsulated red ginseng}
본 발명은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및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식품의 안정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식품으로부터 멜라닌, 석면 등과 같은 인체 유해 물질이 다량 검출되면서, 식품 안정성에 대한 논란이 더욱 커지고 있다. 또한, 세계의 자유 무역화로 인해 다량의 수입산 제품이 유입되면서 이와 관련된 질병도 논란을 가중화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축산물의 경우, 정부에서는 2012년부터 가축 사료 내 항생제 사용을 전면 금지할 것이라는 정책안을 내세우는 등 축산물 내 항생제의 잔류를 사전에 차단할 뿐 아니라 안전한 축산물 생산을 유도하기 위한 다각적인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료 첨가제"란 영양적 또는 특정 목적을 위하여 가축 및 가금의 사료에 미량으로 첨가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사료 첨가제는 보충 사료 또는 특수 사료라고도하며, 조사료와 농후사료와는 달리 소량의 배합만으로도 필수영양소를 완전 공급할 수 있다. 사료 첨가제는 가축 또는 가금의 영양보급, 발육촉진,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및 품질유지 등을 목적으로 하며, 소금, 골분, 비타민제, 아미노산제, 항생 물질, 호르몬제, 효모 등의 특수 목적을 위한 사료들이 이에 속한다.
"홍삼"은 담황갈색의 가공인삼으로, 지정된 인삼의 재배적지에서 생산된 6년근 수삼 중에서 좋은 품질의 수삼을 정선하고 특수 가공기술로 증숙, 건조시킨 것을 말한다. 홍삼은 그 제조과정 중에 노화 억제효능이 뛰어난 말톨(maltol),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진세노이드-Rh2 및 파낙시트리올이라는 홍삼만이 가지는 우수한 유효성분을 합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유효성분은 장기 보존에도 그 성분이 변질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홍삼의 엑기스를 추출하고 남은 잔여물인 "홍삼박"은, 국내에서 연간 약 700톤이 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홍삼의 유효성분을 25 내지 40% 함유하고 있어 이에 대한 식품학적 이용가치가 높다. 특히, 한국인삼공사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홍삼박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홍삼농축액인 홍삼정과 비교하여 홍삼의 유효성분인 사포닌 성분이, 진세노이드 Rg3가 15배, 진세노이드 Rg1이 0.25배, 진세노이드 Rb1이 0.5배 더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홍삼박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 성분과 기타 유효성분은 체내에서 항암, 항동맥경화, 항당뇨, 항혈전, 항노화, 고혈압 억제, 노약자의 면역기능 강화, 뇌기능 강화, 콜레스테롤 저하, 비만 예방 및 해독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홍삼박을 소, 돼지, 닭과 같은 가축의 사료에 이용하면 이들의 유용한 성분들이 가축에 섭취되어 이로부터 높은 품질의 육류 및 계란을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유용한 성분을 사료에 첨가하여도 가축이 이를 충분히 섭취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면 기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없다. 실제로, 홍삼을 비롯한 인삼이나 한약재를 포함한 사료가 많이 시도되고 있으나, 강한 풍미나 향미 때문에 가축들이 거부감을 갖기 때문에 섭취량이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섭취되어도 충분히 체내에 흡수되지 못하고 그대로 배출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호성을 떨어뜨리지 않고, 체내 흡수성을 높일 수 있는 형태로 홍삼박을 제조하여 사료에 첨가하는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홍삼박을 함유하는 사료를 제공하여 가축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면역력을 향상시켜 건강한 가축으로부터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건강육 및 고급육을 생산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캡슐화 홍삼박은 홍삼박으로부터 미세캡슐화를 유도하여 체내 흡수율을 증가시킴으로써, 가축의 모색을 진하고 윤택하게 하고, 가축의 민첩성을 향상시키고 근력을 키우고,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고, 가축 도체의 육량 및 육색을 유의하게 향상시킴으로써, 가축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사료첨가제 또는 가축용 사료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의 유효성분인 미세캡슐화 홍삼박은, 홍삼박을 음용수로 용해한 후 미세캡슐화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캡슐화 홍삼박은 사료 첨가제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캡슐화 홍삼박은 유화기 또는 교반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홍삼박으로부터 미세캡슐화를 유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축용 사료에서 상기 가축은 육계, 산란계, 종계, 한우, 육우 및 양돈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축은 한우 또는 육우가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한우는 비육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육우는 질 좋은 고기를 많이 내기 위하여 특별한 방법으로 살이 찌도록 기르는 소를 의미한다. 비육우는 성장기간에 따라 육성기(생후~12개월), 비육전기(13~20개월 령), 비육중기(20~25개월 령) 및 비육후기(25~32개월 령)로 분류한다. 육성우는 상기 비육우의 성장기간 중 육성기에 속하는 소로, 젖을 떼고 성이 성숙되기 전까지의 단계에 속하는 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캡슐화 홍삼박은 홍삼박으로부터 미세캡슐화를 유도하여 체내 흡수율을 증가시킴으로써, 가축의 모색을 진하고 윤택하게 하고, 가축의 민첩성을 향상시키고 근력을 키우고,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키고, 가축 도체의 육량 및 육색을 유의하게 향상시킴으로써, 가축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사료첨가제 또는 가축용 사료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개별급여 또는 섬유질배합사료에 혼합하여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질배합사료(total mixed ration; TMR)는 조사료와 농후사료를 잘 섞어 급여하는 방식이다. 섬유질배합사료는 주변에서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는 미강이나 깻묵, 버섯 부산물, 비지 및 맥주박 등의 농산부산물 또는 식품부산물을 혼합하여 급여하므로, 사료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섬유질배합사료를 섭취하는 한우는 농후사료와 조사료를 동시에 섭취하기 때문에 반추위의 급격한 산성화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섬유질배합사료는 육성기 한우의 반추위를 포함하는 소화기관의 발달을 도우므로, 농후사료와 조사료를 분리하여 급여하는 사양체계에 비해 고급육 생산에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세캡슐화 홍삼박의 제조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은, 홍삼박을 음용수로 용해하여 건물중량 20%로 제조하였다. 상기 용해된 홍삼박을 유화기(Ace HOMOGENAZER, AM-11, NIHONSEIKI KAISHA LTD., Japan) 또는 고속 교반기(polytron homogenizer, Polytron PT 10/35, Brinkmann Co., USA)에 투입하여 혼합함으로써 미세캡슐화를 유도하였다. 상기 미세캡슐화를 유도한 홍삼박 소재에는 홍삼박 유래의 사포닌을 포함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 나노미터에서 마이크로미터까지 크기의 미세캡슐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를 '미세캡슐화 홍삼박'이라 지칭하였다.
[실험예 1]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한우의 관능검사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한우의 관능적 형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1일 8월 28일부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실험에 참여하는 국내 한우 축산 농가(이하 "실험 농가"로 지칭)에서 사육 중인 육성우와 비육우(이하 '대상우'로 지칭)에게 급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한우에 급여하는 시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미세캡슐화 홍삼박의 급여조건은 건물중량으로 육성우 10g, 비육전기중기 20g, 비육후기 30g이며, 개별급여 또는 섬유질배합사료(Total mixed ration; TMR)에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그 다음,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한우의 관능검사를 측정하였다. 이의 검사기준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항목 특징
외형 피모의 색과 윤택, 피부
행동 민첩, 활발, 지구력
사료섭취 섭취량, 섭취회수, 저작시간
분뇨 분뇨량, 분의 굳기, 색, 알곡함유여부
질병 기침, 콧물, 침흘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기준에 따라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대상우의 외형, 행동, 사료섭취, 분뇨 및 질병에 대한 관능적 형질을 조사하였다.
1. 외형 조사
실험 농가에서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한우의 모색이 짙어지고, 윤택해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를 급여한 대상우의 건강이 증진된 것으로 판단된다.
2. 행동 조사
실험 농가 중 송아지를 사육하는 농가에서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송아지의 행동이 민첩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실험 농가 중 젖소를 사육하는 농가에서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시점부터 젖소의 분유떼기 송아지(생후 한 달반- 두 달된 송아지)의 행동이 민첩해지고 근력이 향상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대상우의 민첩성이 향상되고 근력이 증진된 것으로 생각된다.
3. 사료 섭취 조사
실험 농가 중 일부 농가에서 사료 섭취량이 증가한 반면, 다른 일부 농가에서는 사료 섭취량이 급여 초기에 다소 감소하였다. 사료 섭취량의 초기 감소는 환절기 또는 사료 변경에 의한 일시적인 현상으로 생각된다. 한편, 실험 농가 중 젖소를 사육하는 농가에서는 홍삼박 급여가 사료 섭취를 저하시키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은 대상우의 사료 섭취량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4. 분뇨 조사
대부분의 실험 농가에서 정상적인 변을 관찰하였다. 반면, 일부 농가에서는 묽은 변이 관찰되었으나 이는 잦은 비가 내렸던 실험 당시의 기후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상기 묽은 변은 홍삼박의 급여로 인한 사료의 수분증가 또는 대상우의 장운동 촉진에 의한 현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첨가한 섬유질배합사료를 급여한 한우의 분뇨를 관찰한 결과, 옥수수 알곡 등이 육안으로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상기 미세캡슐화 홍삼박이 한우의 반추위 소화를 촉진함으로써 옥수수 알곡을 완전 분해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은 대상우의 소화 및 배설 작용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5. 질병 조사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한우의 면역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한우의 질병 발생여부를 조사하였다.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한우를 사육하는 실험 농가 중 일부 농가에서 호흡기 질병이 나타났으나, 이는 우사의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환기가 불량하여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며, 실험 농가의 대부분은 호흡기 관련 질병이 발병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육성우와 비육우의 사양에 대한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호흡기 질병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2008년 강신춘 농가에서 사육하는 젖소 50두 및 100두에게 2회에 걸쳐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의 결과,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육성우는 호흡기 질병이 관찰되지 않았다. 2011년 한우 농가에서 사육하는 송아지 91두에게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함유하는 사료를 급여하였다. 이의 결과,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육성우 송아지는 호흡기 또는 소화기 관련 질병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실험 농가 중 비육우 한우 96두는 대부분 호흡기 질병이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농가 중 한 농장에서 일부 가벼운 호흡기 질병이 관찰되었으나, 이는 불량한 바닥상태가 문제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의 결과,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비육우 한우는 호흡기 질병이 발생되지 않았다.
실험을 진행함에 있어 별도의 질병 치료를 위한 약품 투여는 없었다.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은 대상우의 면역력을 유의하게 향상시켜 호흡기 질병을 포함하는 감염성 또는 비감염성 질병의 발병률을 현저히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은 한우 육성 및 비육우 육성 과정에 있는 한우의 관능적 형질인 외형 및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사료섭취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나 소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은 한우의 면역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한우의 질병 발병률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는 한우의 관능적 형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2]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한우의 지방산 분석
1. 지방산 분석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한우를 지방산 분석을 위하여, 실험 농가로부터 출하된 한우 도체의 목심 근육을 회수하였으며, 이를 지방산 분석에 이용하였다. 쇠고기 지방산 분석은 Folch 등(1957)의 방법을 이용하여 메탄올:클로로포름 (1:2, v/v) 용매로 지방을 추출하였으며, 상기 추출된 지방은 Morrison과 Smith(1964)의 방법을 이용하여 가수분해시켰다. 가수분해된 지방산을 분석하기 위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GC) (Varian 3600, Varian, USA)를 수행하였다. 상기 가스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 모세관 칼럼(silica capillary column) (Omegawax 205, 100m0.32mm I.D., 0.25 film thickness)을 사용하였으며, 주입 포트(Injection port) 온도는 250℃로 하였다. 검출기 온도는 260℃로 유지하였다.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홍삼박 급여군을 실험군으로 설정하였으며,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하지 않은 홍삼박 비급여군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전체 피크면적에 대한 비율(%)로 계산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실험군
포화지방산 33.17±0.71 33.01±0.54
불포화지방산 53.94±0.74 52.69±0.59
불포화지방산 단가불포화지방산 46.15±1.47 44.27±1.08
다가불포화지방산 7.79±0.85 8.42±0.54
n-3 불포화지방산 0.36±0.03 0.30±0.03
n-6 불포화지방산 7.43±0.84 8.12±0.56
n-9 불포화지방산 42.44±1.32 40.21±1.10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한우의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은 각각의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불포화지방산 중에서 단가불포화지방산, n-3 불포화지방산 및 n-9 불포화지방산은 각각의 대조군과 실험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불포화지방산 중에서 다가불포화지방산은 대조군 7.79%, 실험군 8.42%로 대조군보다 실험군이 다소 높았다.
불포화지방산 중에서 n-6 지방산은 대조군 7.43%, 실험군 8.12%로 대조군보다 실험군이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은 한우의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는 지방산 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는 한우의 지방 대사 및 지방 축적에 관여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2. 통계 분석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에 대한 검증한 실험 결과는 dBSTAT(200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분석하였으며, 처리간의 차이의 유의성(p<0.05)을 비교하였다.
[실험예 3]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한우의 도체등급 측정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실험농가로부터 출하된 한우의 도체등급을 평가하기 위하여, 경제적으로 중요한 형질에 대한 평가기준인 육량등급지수, 육질등급지수, 육색등급지수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의 평가기준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경제형질 우월성 구분 환산지수
육량등급 A > B > C 3 > 2 > 1
육질등급 1++ > 1+ > 1 > 2 > 3 5 > 4 > 3 > 2 > 1
육색등급 1<2<3<4>5>6>7>8>9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우의 도체등급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1년 11월부터 2012년 1월까지 실험농가로부터 출하된 한우의 육량, 육질 및 육색 등급지수를 조사하였다. 한우의 도체등급을 평가함에 있어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홍삼박 급여군 실험군으로,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하지 않은 홍삼박 비급여군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그외 그룹은 지역의 명칭을 기재하였다.
1. 도체 육량등급 측정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이 한우의 도체육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도체 육량등급을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반복수 육량등급
A B C
전국 5 28.27±0.71 51.03±2.41 20.77±3.14
영주 5 30.80±7.62 52.90±7.55 16.27±0.75
대조군 3 43.13±29.05 39.20±14.80 17.64±17.65
실험군 3 33.30±7.26 29.20±26.18 37.23±22.85
P value >0.05 >0.05 >0.05
(유의값±표준편차, student's t-test)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백 섬유질배합사료 그룹의 농가 중에서 2011년 8월 이후부터 홍삼박을 급여한 한우를 직접 출하한 농가로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기 실험군 한우의 도체 육량등급은 A등급 33.3%, B등급 29.2% 및 C등급 37.2%로 측정되었다. 상기 대조군 대비 상기 실험군 한우의 도체 육량 등급은 C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아진 반면, A 및 B의 비율은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은 한우의 등지방두께와 등심단면적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한우의 도체육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나타난 결과는 상대적으로 급여기간이 짧고 도체에 미치는 영향력이 작은 비육후기에 실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한우의 도체육량을 증가시키는 데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2. 도체 육질등급 측정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이 한우의 도체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도체 육질등급을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반복 육질등급
1++ 1+ 1 2
전국 5 14.54±0.65 b 31.24±0.88 33.16±0.44 19.26±0.81 a
영주 5 14.30±2.97 c 37.86±3.50 32.34±3.26 14.46±2.54 b
대조군 3 35.30±11.80 ab 33.33±12.28 23.50±5.90 7.87±3.41 c
실험군 3 37.57±0.90 a 26.73±11.06 28.20±9.88 7.70±1.40 c
P value <0.05 >0.05 >0.05 <0.05
(유의값±표준편차, student's t-test)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백 섬유질배합사료 그룹의 농가 중에서 2011년 8월 이후부터 홍삼박을 급여한 한우를 직접 출하한 농가로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기 실험군 한우의 도체 육질등급은 1++, 1+, 1, 및 2의 비율이 각각 37.5%, 26.7%, 28.2% 및 7.7%로 측정되었으며, 상기 대조군 대비 상기 실험군 한우의 도체 육질등급 1++의 비율이 2% 가량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한우의 비육말기에 급여하는 홍삼박은 한우 도체의 상강도에도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나타난 결과는 상대적으로 급여기간이 짧고 도체에 미치는 영향력이 작은 비육후기에 실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한우의 도체육질을 향상시키는 데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3. 도체 육색등급 측정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이 한우의 도체육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도체 육색등급을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반복 육색등급
4 5
대조군 3 27.43±12.28 72.57±12.28
실험군 3 52.53±3.14 46.57±34.01
P value >0.05 >0.05
(유의값±표준편차, student's t-test)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백 섬유질배합사료 그룹의 농가 중에서 2011년 8월 이후부터 홍삼박을 급여한 한우를 직접 출하한 농가로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기 실험군 한우의 도체 육색 등급은 각각 4등급 52.5%, 5등급 46.5% 및 6등급 0%로 측정되었으며, 상기 대조군 대비 상기 실험군 한우의 도체 육질등급 4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은 한우 도체의 육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나타난 결과는 상대적으로 급여기간이 짧고 도체에 미치는 영향력이 작은 비육후기에 실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급여한 한우의 도체육색을 향상시키는 데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은 한우의 육량을 증가시키고, 한우육의 상강도에 영향을 주어 한우의 육질 및 육색을 향상시킴으로써, 총체적으로는 한우의 도체 품질을 높이는데 유용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는 한우의 도체 품질을 향상시켜 고급육을 생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8)

  1.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캡슐화 홍삼박은 홍삼박을 음용수로 용해한 후 미세캡슐화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캡슐화 홍삼박은 사료첨가제 100 중량부에 대해 10 내지 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
  4. 제 1항의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은 육계, 산란계, 종계, 한우, 육우 및 양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한우는 비육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육우는 육성기, 비육전기, 비육중기 및 비육후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장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용 사료는 개별급여 또는 섬유질배합사료에 첨가하여 급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
KR1020130026587A 2013-03-13 2013-03-13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KR201401121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587A KR20140112197A (ko) 2013-03-13 2013-03-13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587A KR20140112197A (ko) 2013-03-13 2013-03-13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197A true KR20140112197A (ko) 2014-09-23

Family

ID=5175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587A KR20140112197A (ko) 2013-03-13 2013-03-13 미세캡슐화 홍삼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21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nyimonyi et al. An assessment of pawpaw leaf meal as protein ingredient for finishing broiler
Khawaja et al.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blood meal on broiler performance during two phases of growth
RU2470522C2 (ru) Воздействие на свиней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коэффициента усвоения корма или увеличения темпа роста
ur Rahman et al. Effects of hay grass level and its physical form (full length vs. chopped) on standing time, drinking time, and social behavior of calves
Dahal et al. Effect of dried medicinal crops on the performance and carcase flavour of broilers
CN104171369A (zh) 一种添加桑叶粉和桑枝灵芝下脚料粉的畜禽饲料及其用途
KR20190016364A (ko) 깔라만시를 포함한 애완동물용 사료
KR20160136610A (ko) 닭 사료 및 그 제조방법
Hossain et al. Carcass and meat quality attributes of native sheep in Bangladesh: A review
JP2542655B2 (ja) 動物用混合飼料
Tyagi et al. Utilization of roasted guar (Cyamopsis tetragonoloba) korma in the diet of broiler chickens
Lückstädt Effects of dietary potassium diformate on feed intake, weight loss and back fat reduction in sows: pre-farrowing till weaning
Paci et al. The effect of organic vs. conventional rearing system on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of fast and slow growing rabbits
Ölmez et al. The impact of an essential oil mixture on growth performance and intestinal histology in native Turkish geese (Anser anser).
Stojčić et al. Influence of rearing system and nettle supplementation (Urtica dioica) on the carcass trai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Redbro broilers
KR101341991B1 (ko) 사과와 유황을 이용한 한우용 사료
Absalan et al. Feeding of whole cottonseed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Zandi lambs
JP2006081530A (ja) 動物用経口投与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Nworgu Effect of basil leaf (Ocimum gratissimum) supplement on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growing pullets.
Adedeji et al. Evaluation of general performance and carcass qualities of organically raised broiler chickens from day old to 12 weeks of age.
Nurfetaa et al. Effect of Tagasaste (Chymancytisus palmensis) Leaf Meal Supplementation on Feed Intake,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Rhode 1
Samanthi et al. Dietary garlic (Allium sativum L.)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lipid profile in broilers
Lipiński et al. Effect of resin acid composition on growth performance, footpad dermatitis, slaughter value, and gastrointestinal tract development in turkeys
Modisaojang-Mojanaga et al. Mineral composition of Moringa oleifera leaf meal (MOLM) and the responses of Ross 308 broilers to MOLM supplementation.
Melesse et al. Carcass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si-Bale goats supplemented with different levels of air-dried Moringa stenopetala lea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