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446A - 채수기 - Google Patents

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446A
KR20140108446A KR1020130021579A KR20130021579A KR20140108446A KR 20140108446 A KR20140108446 A KR 20140108446A KR 1020130021579 A KR1020130021579 A KR 1020130021579A KR 20130021579 A KR20130021579 A KR 20130021579A KR 20140108446 A KR20140108446 A KR 20140108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lower cover
sample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원
진락권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1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8446A/ko
Publication of KR20140108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채수기가 개시된다. 시료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부면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시료의 유입에 따라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 개구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의 상?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하부 커버에 결합되는 커버조절부를 포함하는 채수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채수기{Water Sampler}
본 발명은 채수기에 관한 것이다.
시료 채수기는 호수, 바다 등의 오염도, 세균, 생물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수질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오염된 해수나 담수를 일정량 채취하여 각종 실험을 통해 그 오염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오염된 시료를 채취하는 채수과정을 거치게 된다.
시료 채취는 오염도 측정을 위한 시초단계로, 실험자나 작업자는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원하는 시간에 직접 해당 지역에 가서 시료를 채취하여 그 오염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채수를 위해 관측 선박에서 메신저를 투하하여 자동채수기 두껑을 닫는 수동식 채수기 혹은 자동채수기와 연결된 선상에서 제어기를 통해 채수신호를 보내는 반자동식 채수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6541호(2006.03.31, 자동 채수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채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료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부면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시료의 유입에 따라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 개구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의 상?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하부 커버에 결합되는 커버조절부를 포함하는 채수기가 제공된다.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 상기 시료의 유입에 따라 상기 제2 개구부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2 개구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커버조절부에 의하여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의 상방향 이동이 함께 제한되도록,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를 연결하는 커버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연결부재는, 하측에서 유입되는 상기 시료에 의한 압력이 상기 하부 커버에서 상기 상부 커버로 전달되도록,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조절부는, 상기 하부 커버 하부에 상기 제1 개구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결합되는 연결바(bar); 및 상기 연결바 하단에 결합되는 걸림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에, 상기 연결바가 삽입되기 위한 홀(hole)이 마련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프레임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하부에, 상기 연결바를 수용하여 상기 연결바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료를 용이하고 빠르게 채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기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기로 시료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채수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기로 시료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수기(100)는, 몸체(110), 하부 커버(120), 커버조절부(130), 상부 커버(140) 및 커버연결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채취할 시료가 수용되는 본체이다. 몸체(110)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나 그 형상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몸체(110)는 채취하려는 시료에 가라앉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0)는 와이어(10) 연결될 수 있으며, 와이어(1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몸체(110)는 상부면과 하부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면에 제1 개구부(111)가 형성되고, 상부면에 제2 개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가 시료에서 가라앉게 되면, 시료는 제1 개구부(111)와 제2 개구부(112)를 통하여 몸체(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에는 상부와 하부 모두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하부에만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개구부(111)만 형성되더라도 시료의 채취가 가능할 수 있다.
하부 커버(120)는 몸체(110) 하부의 제1 개구부(111)의 개폐를 수행하도록, 제1 개구부(11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하부 커버(120)는, 시료의 유입에 따라 제1 개구부(111)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부 커버(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개구부(111)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직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질 수 있다.
커버조절부(130)는 하부 커버(120)에 결합되고 제1 개구부(111)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서외어, 하부 커버(120)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커버조절부(130)는 하부 커버(120)가 상측으로 이동할 시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버조절부(130)는 연결바(131) 및 걸림판(13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131)는 하부 커버(120) 하부에 제1 개구부(11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결합되는 부재이며,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연결바(131)는 커버연결부재(150)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걸림판(132)은 연결바(131) 하단에 결합되며 제1 개구부(111)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판(132)은 원형일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모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걸림판(132)은 평평한 판상일 수 있으며, 판상을 가지는 경우 수압에 의하여 하부 커버(120)를 밀어올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개구부(111)에는 제1 개구부(111)를 가로질러 프레임(113)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3)에는 홀(114)이 형성되어 연결바(131)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연결바(131)는 홀(114)을 관통하여 홀(114)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홀(114)은 연결바(131)를 수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판(132)은 프레임(113)의 홀(114)을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커버조절부(130)가 하부 커버(1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걸림판(132)의 크기가 제1 개구부(111)보다 작더라도 커버조절부(13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걸림판(132)의 크기가 비교적 작게 형성되면, 걸림판(132)이 몸체(110) 측으로 최대한 이동되더라도 제1 개구부(111)가 크게 개방될 수 있으므로 시료를 채수하는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한 개의 프레임(113)이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프레임(113)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개구부(111)로 시료가 유입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프레임(113)에는 가이드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15)는 프레임(113) 하부에 연결바(13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113) 홀(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15)는 내부에 연결바(131)를 수용할 수 있으며, 연결바(131)의 이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부(115)는, 하부 커버(120)가 제1 개구부(111)를 개폐하는 경우에, 하부 커버(120)의 좌우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15)에 의하여 하부 커버(120)가 일정 반경 이상으로는 채수기(100)를 벗어날 수 없다. 따라서, 각 개구부의 개폐 시간이 줄어들 수 있으며 시료의 채수율이 높아질 수 있다.
상부 커버(140)는 몸체(110) 상부의 제2 개구부(112)의 개폐를 수행하도록 제2 개구부(11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부 커버(140)는, 시료의 유입에 따른 하부 커버(120)의 이동에 따라 제2 개구부(112)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커버연결부재(150)는 커버조절부(130)에 의하여 상부 커버(140) 및 하부 커버(120)의 상방향 이동이 함께 제한되도록, 상부 커버(140)와 하부 커버(120)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커버연결부재(150)는 하측에서 유입되는 시료에 의한 압력이 하부 커버(120)에서 상부 커버(140)로 전달되도록 막대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커버연결부재(150)는 연장되어 연결바(131)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연결부재(150)는 탄성부재일 수 있다.
상부 커버(140)와 하부 커버(120)가 커버연결부재(150)로 연결되는 경우, 가이드부(115)에 의하여 상부 커버(140)와 하부 커버(120)의 이동 범위가 함께 제한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115)에 의하여 하부 커버(120) 및 상부 커버(140)가 일정 반경 이상으로는 채수기(100)를 벗어날 수 없게 된다.
도 3에는 시료가 유입되어 채수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채수기(100)의 몸체(110)가 시료 안에서 가라앉으면, 시료는 그 반대방향 즉 상방향으로 채수기(100)에 압력을 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하부 커버(120), 커버연결부재(150) 및 상부 커버(140)가 모두 함께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하부 커버(120) 및 상부 커버(140)는 별도의 동력이 없이도 수압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동된다. 시료는 제1 개구부(111)를 통하여 몸체(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채수기(100)가 채취하고자 하는 수심에 도달한 경우에 채수기(100)는 더 이상 내려가지 않으며, 채수기(100)의 몸체(110) 내부는 시료로 채워질 수 있다.
채수기(100)가 정지하는 때부터 채수기(100)가 상승하는 동안에는 하부 커버(120), 커버연결부재(150) 및 상부 커버(140)는 모두 하강할 수 있다. 시료의 압력이 아래 방향으로 가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부 커버(120) 및 상부 커버(140)는 제1 개구부(111) 및 제2 개구부(112)를 각각 커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채수기는 시료를 채취할 수 있게 되며, 채수의 방법이 복잡하지 않아 용이하고, 별도의 동력이 없더라도 채수가 가능해지므로 채수 시간이 줄어들고, 비용 등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채수기
110: 몸체
111: 제1 개구부
112: 제2 개구부
113: 프레임
114: 홀
115: 가이드부
120: 하부 커버
130: 커버조절부
131: 연결바
132: 걸림판
140: 상부 커버
150: 커버연결부재

Claims (7)

  1. 시료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부면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시료의 유입에 따라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 개구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의 상?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하부 커버에 결합되는 커버조절부를 포함하는 채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
    상기 시료의 유입에 따라 상기 제2 개구부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2 개구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커버조절부에 의하여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의 상방향 이동이 함께 제한되도록,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를 연결하는 커버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채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연결부재는, 하측에서 유입되는 상기 시료에 의한 압력이 상기 하부 커버에서 상기 상부 커버로 전달되도록, 막대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조절부는,
    상기 하부 커버 하부에 상기 제1 개구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결합되는 연결바(bar); 및
    상기 연결바 하단에 결합되는 걸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에, 상기 연결바가 삽입되기 위한 홀(hole)이 마련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가로지르는 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하부에, 상기 연결바를 수용하여 상기 연결바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수기.
KR1020130021579A 2013-02-27 2013-02-27 채수기 KR20140108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579A KR20140108446A (ko) 2013-02-27 2013-02-27 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579A KR20140108446A (ko) 2013-02-27 2013-02-27 채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446A true KR20140108446A (ko) 2014-09-11

Family

ID=51755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579A KR20140108446A (ko) 2013-02-27 2013-02-27 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8446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6351A (zh) * 2014-09-18 2015-01-28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设有响应加速机构的水样采集器
CN106092652A (zh) * 2016-08-11 2016-11-09 辽宁省水文局 一种装卸方便的组合式水质取样桶
CN106092651A (zh) * 2016-08-11 2016-11-09 淮河流域水资源保护局淮河流域水环境监测中心 一种可拆卸易组合的水质取样桶
WO2017150966A1 (en) * 2016-03-04 2017-09-08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Fri) A water sampling device
CN109000972A (zh) * 2018-05-24 2018-12-14 安徽省佳逸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易于取水倒水的水质采样瓶
KR101953551B1 (ko) * 2018-11-15 2019-03-05 대한민국 휴대가 용이한 소형 채수장치
CN109632377A (zh) * 2018-12-19 2019-04-16 武汉软件工程职业学院(武汉市广播电视大学) 一种湖底淤泥采样器及其采集方法
KR20210131566A (ko) * 2020-04-24 2021-11-03 주식회사 정이노베이션 지하수 관정의 채수장치
KR102387405B1 (ko) * 2021-06-08 2022-04-18 주식회사 메이텍엔지니어링 현탁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
KR102430945B1 (ko) * 2021-11-29 2022-08-10 대한민국 양방향에 개폐부가 구비된 채수기
KR20230021902A (ko) * 2021-08-06 2023-02-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지하수 시료 채취기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6351A (zh) * 2014-09-18 2015-01-28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设有响应加速机构的水样采集器
WO2017150966A1 (en) * 2016-03-04 2017-09-08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Fri) A water sampling device
CN106092651B (zh) * 2016-08-11 2019-10-25 淮河流域水资源保护局淮河流域水环境监测中心 一种可拆卸易组合的水质取样桶
CN106092652A (zh) * 2016-08-11 2016-11-09 辽宁省水文局 一种装卸方便的组合式水质取样桶
CN106092651A (zh) * 2016-08-11 2016-11-09 淮河流域水资源保护局淮河流域水环境监测中心 一种可拆卸易组合的水质取样桶
CN106092652B (zh) * 2016-08-11 2023-11-10 辽宁省水文局 一种装卸方便的组合式水质取样桶
CN109000972B (zh) * 2018-05-24 2021-01-01 安徽省佳逸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易于取水倒水的水质采样瓶
CN109000972A (zh) * 2018-05-24 2018-12-14 安徽省佳逸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易于取水倒水的水质采样瓶
KR101953551B1 (ko) * 2018-11-15 2019-03-05 대한민국 휴대가 용이한 소형 채수장치
CN109632377A (zh) * 2018-12-19 2019-04-16 武汉软件工程职业学院(武汉市广播电视大学) 一种湖底淤泥采样器及其采集方法
CN109632377B (zh) * 2018-12-19 2021-01-01 武汉软件工程职业学院(武汉市广播电视大学) 一种湖底淤泥采样器及其采集方法
KR20210131566A (ko) * 2020-04-24 2021-11-03 주식회사 정이노베이션 지하수 관정의 채수장치
KR102387405B1 (ko) * 2021-06-08 2022-04-18 주식회사 메이텍엔지니어링 현탁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비충격 플런저 타입 채수기
KR20230021902A (ko) * 2021-08-06 2023-02-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지하수 시료 채취기
KR102430945B1 (ko) * 2021-11-29 2022-08-10 대한민국 양방향에 개폐부가 구비된 채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8446A (ko) 채수기
KR101806206B1 (ko) 프레스형 채수장치
CN103674613A (zh) 一种悬移质泥沙采样器
JP3943547B2 (ja) 濾過水及び濾紙の同時採集装置
KR20190063039A (ko) 채수기
CN113203601B (zh) 一种河道用深水处水体取样检测设备
JP6671366B2 (ja) 雨水の放射能変動の調査を特に目的として雨水を逐次的に収集するためのデバイス
KR20160047463A (ko) 미생물 농축기
CN207717441U (zh) 一种水环境采样装置
WO2007041036B1 (en) Liquid sample station
US11635417B2 (en) Device for detecting the quality of a liquid in a supply pipe
CA2905468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particles in a liquid
KR20160047949A (ko) 채수기
KR101143889B1 (ko) 자동잠금 분별깔때기
KR102012314B1 (ko) 수심 측정수단이 구비된 채수기
CN109612777B (zh) 一种水质取样装置
CN217586506U (zh) 一种环保检测用液体取样器
KR102191625B1 (ko)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비한 채수기
KR101953551B1 (ko) 휴대가 용이한 소형 채수장치
KR102046307B1 (ko) 부피조절이 가능한 자동 개폐 채수장치
CN216408135U (zh) 一种可调节的管道取样器
CN209656332U (zh) 一种淤泥定深取样装置
CN217542481U (zh) 一种多环境水体取样装置
CN205426570U (zh) 一种可控水深污水取样器
CN110726589A (zh) 一种水质监测用取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