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668A - 스마트기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기기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668A
KR20140100668A KR1020130013607A KR20130013607A KR20140100668A KR 20140100668 A KR20140100668 A KR 20140100668A KR 1020130013607 A KR1020130013607 A KR 1020130013607A KR 20130013607 A KR20130013607 A KR 20130013607A KR 20140100668 A KR20140100668 A KR 20140100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mart device
input
unit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대희
Original Assignee
구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대희 filed Critical 구대희
Priority to KR1020130013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0668A/ko
Publication of KR20140100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05Means for indicating features of the content from outside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 1 커버; 상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제 2 커버; 상기 제 2 커버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제 1 커버 또는 제 2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와 스마트기기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제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커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기기{Smart Device Cover and Smart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스마트기기 커버의 입력부에 터치입력 또는 모션입력을 하는 것에 의해 스마트기기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102087호(2012. 1. 4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이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와 같은 입력수단이 접촉(터치)하는 경우, 터치 위치를 검출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특정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를 말한다.
터치 패널의 예로서 압력식(Resistvie Overlay), 표면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Overlay) 및 적외선 방식(Infrared Beam)의 터치 패널이 있다. 최근에는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여러 터치 포인트들을 추출하는 멀티 터치 입력 방식이 등장하였다.
그런데, 터치패널을 구비한 종래의 스마트기기에서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거나 어떤 아이콘을 선택하여 특정 명령을 실행하는 등의 작업을 함에 있어 다소의 불편함이 존재하거나 잘못된 입력 작업이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태블릿 PC 등의 종래의 스마트기기에서는 화면을 이동하거나 특정 아이콘을 선택할 때, 사용자가 오른손 또는 왼손 손가락을 사용하여 비교적 넓은 영역의 전면 터치 패널을 두루 옮겨 다니면서 작업을 수행해야 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기기를 손에 든 상태에서는 전면의 아이콘 등을 선택하거나 실행시키는 작업을 하는 데에 불편함이 존재하였고, 이에 스마트기기를 테이블이나 고정대 등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은 스마트기기의 패널 크기가 증가하면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스마트기기 커버는 스마트기기에 장착되거나 설치되어 단순히 스마트기기를 외부의 충격이나 타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기기 커버를 스마트기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스마트기기를 조작하는 데에 있어 다소 불편함이 존재하고 사용자에게 스마트기기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기기, 태블릿PC, 노트북 등을 포함한 스마트기기를 보호하는 스마트기기 커버의 본연의 임무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스마트기기 커버의 입력부에 터치입력 또는 모션입력을 하는 것에 의해 스마트기기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기기 조작의 실수나 오류를 감소시키고 터치 입력 등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스마트기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 1 커버; 상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제 2 커버; 상기 제 2 커버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제 1 커버 또는 제 2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와 스마트기기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제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커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된 스마트기기 본체에서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 2 커버에 설치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스마트기기의 조작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제 1 커버가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2 커버가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 본체; 및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스마트기기 커버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로서, 상기 스마트기기 커버는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 1 커버; 상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제 2 커버; 상기 제 2 커버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제 1 커버 또는 제 2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와 스마트기기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제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커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를 구비한 스마트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서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 2 커버에 설치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의 조작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제 1 커버가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2 커버가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특정 키 선택 또는 모션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와 스마트기기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된 스마트기기 본체에서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커버에 설치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스마트기기의 조작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장착부가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 본체; 및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스마트기기 커버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로서, 상기 스마트기기 커버는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와 스마트기기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서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커버에 설치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의 조작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장착부가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기기는, 스마트기기 본체를 보호하는 스마트기기 커버의 본연의 임무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스마트기기 커버의 입력부에 터치입력 또는 모션입력을 하는 것에 의해 스마트기기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기기 조작의 실수나 오류를 감소시키고 터치 입력 등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가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와 스마트기기 본체 간의 전기적 연결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가 스마트기기 본체의 뒷면에 장착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가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하여 접혀질 수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가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되어 스마트기기 본체의 뒷면에 접혀진 상태에서, 스마트기기 커버의 입력부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입력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에서 스마트기기 커버의 입력부를 통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메인 표시부에 포인터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를 구비한 스마트기기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가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와 스마트기기 본체 간의 전기적 연결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가 스마트기기 본체의 뒷면에 장착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가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하여 접혀질 수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10)는 스마트기기 본체(20)에 장착되는 제 1 커버(11); 상기 제 1 커버(11)에 결합되는 제 2 커버(12); 상기 제 2 커버(12)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100); 상기 제 1 커버(11) 또는 제 2 커버(12)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100)와 스마트기기 본체(20)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150); 및 상기 입력부(100)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20)에 제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20)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부(100)를 제어하는 커버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10)는 스마트기기 본체(20)에 장착되는 장착부(30); 상기 장착부(30)에 결합되는 제 2 커버(12); 상기 제 2 커버(12)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100); 및 상기 제 2 커버(12)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100)와 스마트기기 본체(20)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는 스마트기기 본체(20); 및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20)에 장착되는 스마트기기 커버(10)를 포함하는데, 스마트기기 커버(10)는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20)에 장착되는 제 1 커버(11); 상기 제 1 커버(11)에 결합되는 제 2 커버(12); 상기 제 2 커버(12)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100); 상기 제 1 커버(11) 또는 제 2 커버(12)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100)와 스마트기기 본체(20)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150); 및 상기 입력부(100)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20)에 제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20)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부(100)를 제어하는 커버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접속된 스마트기기 본체(20)에서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 2 커버(12)에 설치된 상기 입력부(100)를 통해 스마트기기의 조작이 가능하다. 입력부(1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패널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커버(12)는 상기 제 1 커버(11) 또는 장착부(30)가 스마트기기 본체(20)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100)는 상기 제 2 커버(12)가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10)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기기 본체(20)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100) 상에서의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200) 상의 위치에 포인터(도 7의 210)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100)를 통한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특정 키 선택 또는 모션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기기의 동작 및 작용을 도 1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가 장착된 스마트기기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스마트기기 커버에 의한 커버 입력 기능 사용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능활성화 키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S801), 스마트기기 본체(20)의 제어부(300)는 입력부(100)의 활성화, 즉 스마트기기 본체(20)에 장착된 스마트기기 커버(10)를 통한 커버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한다(S802). 여기서, 스마트기기라 함은 태블릿 PC, 휴대폰, 노트북 등을 포함한 다양한 모든 종류의 스마트기기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기기 커버(1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 본체(20)의 뒷면에 장착되는 제 1 커버(11)를 구비한 형태를 이루고 있을 수도 있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 등에 의해 스마트기기 본체(20)의 측면 등에 장착되는 장착부(30)를 구비한 형태를 이루고 있을 수도 있다. 제 2 커버(12)는 이러한 제 1 커버(11) 또는 장착부(30)에 결합되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10)는 입력부(100)와 스마트기기 본체(20) 간의 전기적 또는 전자적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수단을 포함하고 있는데, 도 1a에 도시된 스마트기기 커버(10)의 경우에는 입력부(100)와 스마트기기 본체(20) 간의 전기적 또는 전자적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150)가 제 1 커버(11) 또는 제 2 커버(12)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고, 도 1b에 도시된 스마트기기 커버(10)의 경우에는 입력부(100)와 스마트기기 본체(20) 간의 전기적 또는 전자적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미도시)가 제 2 커버(1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수단은 유선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 커버(10)가 제 1 커버(11)를 포함하여 구성된 실시형태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며, 상기 두 실시예에서 제 1 커버(11)와 장착부(30) 간의 차이점을 제외한 나머지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10)는 스마트기기 커버(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커버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이 커버 제어부(160)는 입력부(100)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이 입력되면, 이 입력에 응답하여 스마트기기 본체(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20)에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커버 제어부(16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20)로부터 명령이 입력되면 이에 응답하여 입력부(100)를 제어하는 바, 예를 들어 스마트기기 본체(20)로부터 커버 입력 기능의 활성화 명령이 입력되면 이에 응답하여 입력부(10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기능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커버 제어부(16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버(11)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그 설치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커버(12) 또는 다른 어떤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각종의 명령이나 터치입력은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스마트기기 본체(20)의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제 2 커버(12)는 상기 제 1 커버(11) 또는 장착부(30)가 스마트기기 본체(20)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력부(100)는 상기 제 2 커버(12)가 스마트기기 본체(10)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도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본체(20)에 장착되는 스마트기기 커버(10)에는 제 2 커버(12)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입력부(10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입력부(100)는 스마트기기 커버(10)의 제 2 커버(12)의 특정 영역에 설치되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커버(12)의 가운데 특정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그보다 위, 아래 또는 가장자리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100)는 도 1a와 같이 직사각형 모양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타원형의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입력부(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 커버(10)가 스마트기기 본체(20)에 장착되어 제 2 커버(12)가 스마트기기 본체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기기 본체(20)와 스마트기기 커버(10)를 손으로 잡았을 때 통상적으로 양손가락이 위치하게 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스마트기기 본체(20)의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100)를 활성화시켜서 스마트기기 커버(10)를 통하여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이나 실행 등의 명령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입력부(100)를 활성화시키는 기능 활성화 키는 스마트기기 본체(20)나 스마트기기 커버(10)의 앞면, 뒷면, 측면 등의 어느 특정한 지점에 있는 입력 키가 될 수도 있고, 또는 후면 활성화를 시키기 위해 미리 지정된 모션동작이나 메인 표시부(200) 상의 특정 지점에 표시되는 버튼이나 키가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결과를 스마트기기 본체(20)의 메인 표시부(200)에 표시하는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커버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면, 제어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00) 상에서의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대응되는 메인 표시부(200) 상의 위치에 포인터(210)를 생성하여 표시한다(S803). 이 포인터(210)는 입력부(100) 상에 입력되는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하는 메인 표시부(200) 상의 일정 위치에 표시되는 것으로서 컴퓨터에 있어 마우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00)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터치하게 되면, 제어부(300)는 스마트기기 본체(20)의 메인 표시부(200)의 특정 지점에 포인터(210)를 표시하게 되며 이후 입력부(100) 상에서 손가락의 터치 위치를 이동시키면 제어부(300)는 이에 대응하여 상기 포인터(210)의 위치도 함께 이동시킨다. 물론, 제어부(300)는 커버 입력 기능이 활성화되면 입력부(100) 상에 사용자의 터치동작이 이루어지기 전에 미리 특정 지점에 포인터(210)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0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패널 또는 터치패드일 수 있으며, 그 외에 다른 어떠한 입력 수단일 수도 있다.
이어서, 제어부(300)는 입력부(100)를 통하여 입력되는 터치 동작 등의 입력동작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커버 키입력 또는 모션입력을 받는다(S804). 여기서, 커버 키입력 또는 모션입력은 사용자가 스마트기기의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부(100)를 통하여 입력하는 명령 입력을 의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 키입력은 입력부(100)를 통한 터치입력에 의해 메인 표시부(200) 상에 표시된 포인터(210)를 통하여 특정 아이콘이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하는 등의 명령 입력을 의미하고, 상기 모션입력은 입력부(100) 상에 손가락이 터치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가로 방향으로 긋거나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긋는 등의 다양한 모션 동작을 통해 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특정 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명령 입력 작업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부(100)에 손가락을 터치한 상태에서 도 7의 포인터(210)를 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위로 이동시킨 다음, 손가락을 뗌과 동시에 다시 입력부(100)를 간단히 터치함으로써 해당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300)는 상기와 같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응하는 해당 명령을 수행한다(S805).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스마트기기 커버(10)의 제 2 커버(12)가 스마트기기 본체(10)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 또는 접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 2 커버(12)에 설치된 입력부(100)를 통해 원하는 각종의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스마트기기 조작을 보다 편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기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기기는, 스마트기기 본체를 보호하는 스마트기기 커버의 본연의 임무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스마트기기 커버의 입력부에 터치입력 또는 모션입력을 하는 것에 의해 스마트기기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스마트기기 조작의 실수나 오류를 감소시키고 터치 입력 등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 1 커버;
    상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제 2 커버;
    상기 제 2 커버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제 1 커버 또는 제 2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와 스마트기기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제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커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된 스마트기기 본체에서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 2 커버에 설치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스마트기기의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제 1 커버가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2 커버가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
  4. 스마트기기 본체; 및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스마트기기 커버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로서,
    상기 스마트기기 커버는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제 1 커버;
    상기 제 1 커버에 결합되는 제 2 커버;
    상기 제 2 커버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제 1 커버 또는 제 2 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와 스마트기기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제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커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를 구비한 스마트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서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 2 커버에 설치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의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를 구비한 스마트기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는 상기 제 1 커버가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 2 커버가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를 구비한 스마트기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를 구비한 스마트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한 특정 키 선택 또는 모션 입력에 대응되는 명령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를 구비한 스마트기기.
  9.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와 스마트기기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속된 스마트기기 본체에서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커버에 설치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스마트기기의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장착부가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
  12. 스마트기기 본체; 및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스마트기기 커버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로서,
    상기 스마트기기 커버는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미리 설정된 영역에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와 스마트기기 본체 간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를 구비한 스마트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서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커버에 설치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스마트기기의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를 구비한 스마트기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장착부가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의 뒷면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를 구비한 스마트기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 본체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전면에 설치된 메인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입력기능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상에서의 터치 입력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메인 표시부 상의 위치에 포인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커버를 구비한 스마트기기.
KR1020130013607A 2013-02-06 2013-02-06 스마트기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기기 KR20140100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607A KR20140100668A (ko) 2013-02-06 2013-02-06 스마트기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607A KR20140100668A (ko) 2013-02-06 2013-02-06 스마트기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668A true KR20140100668A (ko) 2014-08-18

Family

ID=51746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607A KR20140100668A (ko) 2013-02-06 2013-02-06 스마트기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06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1409A (zh) * 2014-09-16 2015-01-14 天津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界面切换的方法、装置和终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1409A (zh) * 2014-09-16 2015-01-14 天津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界面切换的方法、装置和终端
CN104281409B (zh) * 2014-09-16 2018-01-26 天津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界面切换的方法、装置和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930B1 (ko)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방법이 수행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JP5295328B2 (ja) スクリーンパッドによる入力が可能な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入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292859B (zh) 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US8432362B2 (en) Keyboards and methods thereof
KR101749956B1 (ko) 전극 배열이 집적된 컴퓨터 키보드
JP5640486B2 (ja) 情報表示装置
US20140181746A1 (en) Electrionic device with shortcut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1028524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ポインティング方法
TW201337717A (zh) 可觸控式電子裝置
JP2011077863A (ja) 遠隔操作装置、遠隔操作システム、遠隔操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19753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4924164B2 (ja) タッチ式入力装置
JPH10228350A (ja) 入力装置
JP6017995B2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その入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JP201401674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WO2012111227A1 (ja) タッチ式入力装置、電子機器および入力方法
JP2016126363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に入力する方法、携帯式電子機器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2027957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ポインティング方法
KR20140130798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디스플레이 및 터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12164047A (ja) 情報処理装置
JP6081338B2 (ja) ポインティング・スティックを含む入力装置、携帯式コンピュータおよび動作方法
KR101311832B1 (ko) 휴대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KR20130102670A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의 세밀한 조작을 위한 사용자별 손가락 및 터치 펜 접촉 위치 포인트 설정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13114645A (ja) 小型情報機器
KR20140100668A (ko) 스마트기기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