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005A - 촬상 렌즈 시스템 - Google Patents

촬상 렌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005A
KR20140089005A KR20120158536A KR20120158536A KR20140089005A KR 20140089005 A KR20140089005 A KR 20140089005A KR 20120158536 A KR20120158536 A KR 20120158536A KR 20120158536 A KR20120158536 A KR 20120158536A KR 20140089005 A KR20140089005 A KR 20140089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system
imaging lens
aperture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58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5791B1 (ko
Inventor
안치호
조재훈
김지은
강찬구
김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
Priority to KR1020120158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791B1/ko
Priority to US14/068,679 priority patent/US9134508B2/en
Publication of KR20140089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촬상 렌즈 시스템은 물체측에서 상면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를 포함하며, 화각 θ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0.7 <|tanθ|< 1.5

Description

촬상 렌즈 시스템{Imaging lens system}
본 개시는 촬상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CCD)와 씨모스 이미지센서(compli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CMOS 이미지센서)와 같은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한 카메라의 보급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카메라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고체 촬상 소자의 화소 집적도는 높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카메라에 내장되는 렌즈 광학계의 성능 개선을 통해서 상기 카메라의 소형 및 경량화도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 기기에 카메라가 구비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에 구비되는 렌즈 광학계에서, 일반적으로 렌즈 매수가 많아질수록, 성능 확보에는 유리하지만, 비용이나 소형, 경량화의 요구에 부합하지 않으며, 요구되는 성능 및 소형, 경량화의 조건에 부합하는 설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설계로서, 2매 내지 4매의 렌즈를 이용하여 고정 초점 렌즈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각 경우의 장단점과, 구현하고자 하는 성능 스펙을 고려하여 개별 렌즈의 구조를 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2매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화소가 작아질수록 수차 보정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고, 4매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수차 보정은 유리하지만, 렌즈계 전장이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2매 내지 4매의 적은 렌즈 매수를 이용하여 초점거리, 화각, 수차 보정 등의 성능 스펙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설계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개시는 3매의 렌즈를 구비하는 촬상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유형에 따르는 촬상 렌즈 시스템은 물체측에서 상면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를 포함하며, 화각 θ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0.7 <|tanθ|< 1.5
상기 촬상 렌즈 시스템은 다음 조건을 더 만족할 수 있다.
4.8 < f/D1 < 5.0
여기서, f는 촬상 렌즈 시스템의 초점 거리, D1은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 유효경(semi-aperture)이다.
상기 촬상 렌즈 시스템은 다음 조건을 더 만족할 수 있다.
0.7 < TTL/f < 1.2
여기서, TTL은 제1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는 촬상 렌즈 시스템의 초점 거리이다.
상기 촬상 렌즈 시스템은 다음 조건을 더 만족할 수 있다.
0.95 < D1 / D3 < 1.5
여기서, D1은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 유효경(semi-aperture)이고, D3는 상기 제3렌즈의 상측 유효경(semi-aperture)이다.
상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중에서, 상기 제2렌즈의 유효경(semi-aperture)이 가장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는 양오목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렌즈는 상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렌즈 및/또는 상기 제2렌즈 및/또는 상기 제3렌즈는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조리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와 상면 사이에 적외선 통과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유형에 따른 촬상 장치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촬상 렌즈 시스템; 상기 촬상 렌즈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촬상 렌즈 시스템은 3매의 렌즈를 사용하여, 소형·경량이면서도 양호한 광학 성능을 가지는 광학계를 구현한다.
상기 촬상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한 면에 비구면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차 보정이 용이해지며, 또한,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촬상 렌즈 시스템은 이미지 센서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촬상 장치나, 모션 감지 기능을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기기에 채용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 시스템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 시스템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 시스템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 시스템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5는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 시스템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 시스템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5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 시스템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도면들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촬상 렌즈 시스템은 물체(OBJ)측에서 상면(IMG)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100),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200) 및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300)를 포함한다.
촬상 렌즈 시스템은 화각 θ가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0.7 <|tanθ|< 1.5 (1)
조건 (1)은 촬상 렌즈 시스템의 화각을 규정하며, 상한을 벗어나는 경우, 구면수차와 코마수차가 커지게 된다. 하한을 벗어나는 경우, 구면수차, 코마수차는 작아지지만 화각이 지나치게 작아진다.
촬상 렌즈 시스템은 다음 조건을 더 만족할 수 있다.
4.8 < f/D1 < 5.0 (2)
여기서, f는 촬상 렌즈 시스템의 초점 거리, D1은 제1렌즈(100)의 물체측 유효경(semi-aperture)이다.
조건 (2)는 제1렌즈(100)의 유효경(semi-aperture)에 관한 것이다. 조건 (2)는 광경로의 확보 및 제2렌즈(200), 제3렌즈(399)의 엣지(edge) 두께 확보를 위해, 가장 물체측에 위치한 제1렌즈(100)의 유효경(semi-aperture)을 제한하고 있다.
촬상 렌즈 시스템은 다음 조건을 더 만족할 수 있다.
0.7 < TTL/f < 1.2 (3)
여기서, TTL은 촬상 렌즈 시스템의 전장, 즉, 제1렌즈(100)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상면(IMG)까지의 거리이고, f는 촬상 렌즈 시스템의 초점 거리이다.
상기 조건 (3)은 촬상 렌즈 시스템의 구면수차 보정 및 컴팩트화를 함께 도모하는 것이다. 상한을 벗어나면, 구면수차 보정은 용이해지지만 전장이 지나치게 길어지며, 하한을 벗어나면, 시스템은 컴팩트해지지만 구면수차 보정이 어려워진다.
촬상 렌즈 시스템은 다음 조건을 더 만족할 수 있다.
0.95 < D1 / D3 < 1.5 (4)
여기서, D1은 제1렌즈(100)의 물체(OBJ) 측 유효경(semi-aperture)이고, D3는 제3렌즈(400)의 상면(IMG) 측 유효경(semi-aperture)이다.
본 발명의 촬상 렌즈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3매 렌즈로 구성된 시스템의 경우 첫번째 렌즈의 유효경(semi-aperture)이 가장 작은 것과 달리, 제2렌즈(200)의 유효경이 가장 작으며, 제1렌즈(100)의 유효경은 가장 크거나, 제3렌즈(300)의 유효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고 있다. 상기 조건 (4)는 제1렌즈(100)의 물체측 유효경에 대한 제3렌즈(300)의 상측 유효경에 대한 비로서, 제1렌즈(100)의 유효경이 제3렌즈(300)의 유효경보다 크거나 작은 정도를 규정하고 있다.
촬상 렌즈 시스템을 이루는 각 렌즈의 구체적인 형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렌즈(10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로서,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렌즈(100)는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고,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1렌즈(100)는 촬상 렌즈 시스템을 구성하는 렌즈 중 가장 강한 굴절력을 가질 수 있고, 유효경(semi-aperture)이 가장 크거나, 제3렌즈(300)의 유효경보다 조금 작을 수 있다.
제2렌즈(20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로서, 양오목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렌즈(200)는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고, 또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2렌즈(200)는 촬상 렌즈 시스템을 구성하는 렌즈 중, 유효경이 가장 작을 수 있다.
제3렌즈(400)는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로서, 상면측이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렌즈(400)는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고, 또는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2렌즈(200)와 제3렌즈(300)는 보정 렌즈로 기능할 수 있으며, 비구면을 채용하여 다양한 수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제1렌즈(100)와 제2렌즈(200) 사이에 조리개(ST)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그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렌즈(100), 제2렌즈(200), 제3렌즈(400)의 재질로는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글래스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글래스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제3렌즈(400)와 상면(IMG) 사이에 적외선 통과 필터(400)가 구비될 수 있다. 적외선 통과 필터(400)는 근적외선 대역, 예를 들어, 약 800nm~950nm 파장 대역의 광을 통과시키는 필터일 수 있다.
상면(IMG)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i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렌즈 데이터들을 기술한다. 렌즈 데이터에서 상기 표에서, S는 면(surface) 번호, ST는 조리개, R은 곡률 반경, T는 두께 또는 간격, Nd는 굴절률, Vd는 아베수이다. 그리고, Fno.는 F수, f는 촬상 렌즈 시스템의 초점거리이다. R, T, f의 단위는 mm이고, 면 번호 뒤에 표시된 *는 그 면이 비구면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나타나는 비구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Z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이고, Y는 광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이며, K는 코닉상수(conic constant), A, B, C, D, E, F, G, H, J는 비구면계수, R은 렌즈의 정점에서의 곡률반경이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 시스템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다. 촬상 렌즈 시스템은 정의 굴절력의 제1렌즈(100), 부의 굴절력의 제2렌즈(200), 부의 굴절력의 제3렌즈(300)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Fno.=2.8, f=3.960
S R T Nd Vd
OBJ infinity
2* 0.9953 0.6971 1.5238 55.7282
3* 4.3884 0.1000
ST infinity 0.6053
5* -2.6292 0.2500 1.5238 55.7282
6* 3.5273 0.3233
7* -2.5964 0.2500 1.5238 55.7282
8* -5.2291 0.7000
9 infinity 0.3000 1.5098 64.1664
10 infinity 0.2243
IMG infinity 0.000
비구면 계수는 다음과 같다.
S 2 3 5 6 7 8
K -0.5172 1.7691 0 27.1168 -68.1045 -53.8644
A 0.0483 0.0331 -0.2962 -0.0624 -0.9133 -0.3253
B 0.0311 8.33E-05 0.3188 0.4151 2.3141 0.5406
C 0.062 0.3567 -1.9411 0.2819 -4.5741 -0.661
D -0.0194 -0.4799 - -1.648 5.9859 0.4342
E 0.0143 -1.3859 - 4.2046 - 0.1089
F 0.0901 0.5403 - - - -
G 0.0034 8.4537 - - - -
H -0.2013 10.6153 - - - -
J 0.273 -40.1114 - - - -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 시스템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distortion)을 나타낸 수차도이다.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은 파장 872nm, 852nm, 832nm인 광에 대해 보이고 있으며, 상면만곡에서 T1, T2, T3는 상기 세 가지 파장에 대해 자오면(tangential surface)에서의 만곡, S1, S2, S3는 상기 세 가지 파장에 대해 구결면(sagittal surface)에서의 만곡을 나타낸다.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 시스템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다. 촬상 렌즈 시스템은 정의 굴절력의 제1렌즈(100), 부의 굴절력의 제2렌즈(200), 부의 굴절력의 제3렌즈(300)를 포함한다. 제2실시예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Fno.=2.80, f=3.9218
S R T Nd Vd
OBJ infinity
2* 1.1222 0.5783 1.5238 55.7282
3* 5.9518 0.1000
ST infinity 0.7752
5* -16.6151 0.3000 1.5238 55.7282
6* 3.8934 0.4076
7* -1.4848 0.3000 1.5238 55.7282
8* -5.6772 0.3833
9 infinity 0.3000 1.5098 64.1664
10 infinity 0.3455
IMG infinity 0.000
비구면 계수는 다음과 같다.
S 2 3 5 6 7 8
K -0.4776 34.0241 0 39.5785 -30.8059 50.4284
A 0.0664 0.0621 -0.0969 -0.0968 -1.112 0.0176
B -0.0588 -0.191 -0.7016 0.2877 2.4774 0.1039
C 0.0454 0.3434 3.6333 -3.0536 4.9918 -0.7262
D 0.117 -0.0042 -8.6453 -0.9775 -7.4794 0.6756
E 0.0795 -0.5469 -34.7736 3.0313 5.7582 -0.2405
F -0.0911 -0.3325 26.2057 25.0121 -13.0947 -1.2009
G -0.2844 1.8251 274.6955 29.7051 -0.7429 1.3057
H -0.2062 4.0783 680.4705 -54.1308 -76.9685 6.3083
J 0.6225 -10.4814 -2837.6044 -425.7552 0.1259 -6.2813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 시스템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distortion)을 나타낸 수차도이다.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은 파장 872nm, 852nm, 832nm인 광에 대해 보이고 있으며, 상면만곡에서 T1, T2, T3는 상기 세 가지 파장에 대해 자오면(tangential surface)에서의 만곡, S1, S2, S3는 상기 세 가지 파장에 대해 구결면(sagittal surface)에서의 만곡을 나타낸다.
<제3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 시스템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다. 촬상 렌즈 시스템은 정의 굴절력의 제1렌즈(100), 부의 굴절력의 제2렌즈(200), 정의 굴절력의 제3렌즈(300)를 포함한다. 제3실시예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Fno.=2.71, f=3.9983
S R T Nd Vd
OBJ infinity
2* 1.0264 0.6918 1.5238 55.7282
3* 5.0664 0.1000
ST infinity 0.7128
5* -1.9478 0.2500 1.5238 55.7282
6* 3.0245 0.6457
7* -5.2802 0.3164 1.5238 55.7282
8* -5.3384 0.3833
9 infinity 0.3000 1.5098 64.1664
10 infinity 0.1000
IMG infinity 0.000
비구면 계수는 다음과 같다.
S 2 3 5 6 7 8
K -0.5097 13.621 0 14.2845 -566.8943 26.8594
A 0.051 0.0549 0.2878 -0.0843 -1.0301 -0.6244
B 0.0234 -0.0407 0.2057 0.3627 1.9911 0.6199
C 0.0784 0.4394 -1.178 0.0432 -5.5022 -0.9085
D -0.0048 -0.2879 - -2.0204 5.5169 0.1173
E 0.0114 -1.2798 - 4.3415 - 0.5835
F 0.0719 0.1507 - - - -
G -0.0062 7.1815 - - - -
H -0.1666 9.731 - - - -
J 0.3687 -30.964 - - - -
도 6은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 시스템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및 왜곡(distortion)을 나타낸 수차도이다.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은 파장 872nm, 852nm, 832nm인 광에 대해 보이고 있으며, 상면만곡에서 T1, T2, T3는 상기 세 가지 파장에 대해 자오면(tangential surface)에서의 만곡, S1, S2, S3는 상기 세 가지 파장에 대해 구결면(sagittal surface)에서의 만곡을 나타낸다.
다음 표는 각 실시예들에서 조건식 (1) 내지 (4)와 관련된 렌즈 데이터 및 렌즈 데이터들이 상기 조건들을 만족함을 보인다.
구분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θ 28.04 28.4 28.4
tanθ 0.54 0.54 0.54
조건식 1 0.54 0.54 0.54
D1 0.8 0.79 0.81
f 3.96 3.92 4
조건식 2 4.95 4.96 4.94
TTL 3.45 3.49 3.5
f 3.96 3.92 4
조건식 3 0.87 0.89 0.88
D1 0.8 0.79 0.81
D3 0.7 0.77 0.84
조건식4 1.14 1.03 0.96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라, 소형, 경량화된 구조를 가지며 양호한 광학 성능을 구현하는 촬상 렌즈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촬상 렌즈 시스템은 이러한 촬상 렌즈 시스템이 형성한 광학 상(image)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촬상 장치에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 렌즈 시스템은 근적외선 대역의 광을 이용한 모션(motion) 감지용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모션 감지 기능이 요구되는 다양한 전자 기기, 휴대용 기기에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제1렌즈 200...제2렌즈
300...제3렌즈 400...적외선 통과 필터

Claims (16)

  1. 물체측에서 상면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를 포함하며,
    화각 θ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시스템.
    0.7 <|tanθ|< 1.5
  2. 제1항에 있어서,
    다음 조건을 더 만족하는 촬상 렌즈 시스템.
    4.8 < f/D1 < 5.0
    여기서, f는 촬상 렌즈 시스템의 초점 거리, D1은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 유효경(semi-aperture)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다음 조건을 더 만족하는 촬상 렌즈 시스템.
    0.7 < TTL/f < 1.2
    여기서, TTL은 제1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는 촬상 렌즈 시스템의 초점 거리이다.
  4. 제2항에 있어서,
    다음 조건을 더 만족하는 촬상 렌즈 시스템.
    0.7 < TTL/f < 1.2
    여기서, TTL은 제1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는 렌즈 시스템의 초점 거리이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 조건을 더 만족하는 촬상 렌즈 시스템.
    0.95 < D1 / D3 < 1.5
    여기서, D1은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 유효경(semi-aperture)이고, D3는 상기 제3렌즈의 상측 유효경(semi-aperture)이다.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중에서, 상기 제2렌즈의 유효경(semi-aperture)이 가장 작은 촬상 렌즈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갖는 촬상 렌즈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양오목 형상을 갖는 촬상 렌즈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는 상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을 갖는 촬상 렌즈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으로 된 촬상 렌즈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으로 된 촬상 렌즈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는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으로 된 촬상 렌즈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촬상 렌즈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조리개가 배치된 촬상 렌즈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와 상면 사이에 적외선 통과 필터가 구비된 촬상 렌즈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촬상 렌즈 시스템;
    상기 렌즈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1020120158536A 2012-12-31 2012-12-31 촬상 렌즈 시스템 KR101425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536A KR101425791B1 (ko) 2012-12-31 2012-12-31 촬상 렌즈 시스템
US14/068,679 US9134508B2 (en) 2012-12-31 2013-10-31 Imaging len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536A KR101425791B1 (ko) 2012-12-31 2012-12-31 촬상 렌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005A true KR20140089005A (ko) 2014-07-14
KR101425791B1 KR101425791B1 (ko) 2014-08-14

Family

ID=5101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536A KR101425791B1 (ko) 2012-12-31 2012-12-31 촬상 렌즈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34508B2 (ko)
KR (1) KR1014257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88195B (zh) * 2015-02-04 2018-08-31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光学透镜组及取像装置
TWI548894B (zh) 2015-02-04 2016-09-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透鏡組及取像裝置
US10203476B2 (en) * 2015-03-25 2019-02-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ens assembly
CN105807402B (zh) * 2016-06-02 2019-02-01 厦门颉轩光电有限公司 一种近红外光学镜头组
KR20180013379A (ko) * 2016-07-29 2018-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옵티칼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WO2018214397A1 (zh) * 2017-05-26 2018-11-29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虹膜镜头
US20200174223A1 (en) * 2018-12-03 2020-06-04 Newmax Technology Co., Ltd. Three-piece infrared single wavelength projection lens system
CN111273431B (zh) * 2018-12-04 2021-11-16 新巨科技股份有限公司 三片式红外线波长投影镜片组
CN114705626B (zh) * 2022-06-02 2022-09-02 苏州高视半导体技术有限公司 检测曲面表面缺陷的检测装置与补偿透镜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18841B (zh) * 2010-03-16 2013-12-11 Largan Precision Co Ltd 攝像光學系統
KR101215826B1 (ko) * 2010-06-16 2012-12-27 주식회사 코렌 촬영 렌즈 광학계
TWI483029B (zh) * 2012-02-10 2015-05-01 Largan Precision Co Ltd 攝影鏡片系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34508B2 (en) 2015-09-15
KR101425791B1 (ko) 2014-08-14
US20140184875A1 (en)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790B1 (ko) 촬상 렌즈 시스템
KR101759058B1 (ko)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KR101425791B1 (ko) 촬상 렌즈 시스템
KR101649467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536557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US8305697B1 (en) Image capturing lens assembly
KR101425792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425793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882990B1 (ko) 촬영 렌즈계
KR101820952B1 (ko) 촬영 렌즈계
TWI424214B (zh) 光學攝像鏡頭
KR101734037B1 (ko)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KR101729470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570030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20170054335A (ko)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KR101661922B1 (ko) 렌즈 광학계
KR101118910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536556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548776B1 (ko) 촬상렌즈 유닛
KR102599615B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KR102008497B1 (ko) 촬상 렌즈 시스템
KR20150080329A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823177B1 (ko) 촬상렌즈 유닛
KR101932235B1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101404199B1 (ko) 촬상렌즈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