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000A -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000A
KR20140086000A KR1020120155970A KR20120155970A KR20140086000A KR 20140086000 A KR20140086000 A KR 20140086000A KR 1020120155970 A KR1020120155970 A KR 1020120155970A KR 20120155970 A KR20120155970 A KR 20120155970A KR 20140086000 A KR20140086000 A KR 20140086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unit
wireless
wired
charging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훈
박순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5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6000A/ko
Priority to US14/142,116 priority patent/US20140184171A1/en
Publication of KR20140086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4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dapted for charging from various sources, e.g. AC, DC or multi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수신하는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외부 충전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상기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및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충전 입력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검출부; 상기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및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부에 전달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와 연결되어 스위칭부를 통해 전달받은 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검출부로부터 전달된 충전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 모드를 구분하고,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중 하나의 일 입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에 타 입력에 의한 충전 이벤트가 검출되면, 무선 충전 및 유선 충전 입력의 전류량을 측정하고,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중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전류량의 충전 입력을 기반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Terminal which can use wired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and method for charging thereof}
본 발명은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충전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휴대용 전자 기기들은 재충전이 가능한 배터리(battery)의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된다. 이러한 배터리는 사용 시간이 제한적이며, 사용자는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해야 한다. 사용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 별도의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 제조사는 배터리의 재충전을 위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유선 충전 창치(예, 유선 케이블 또는 유선 USB)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유선 충전 장치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무선 충전, 무접점 충전 기술 또는 근접 무선 충전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는 무선 충전 도중 유선 충전 방식이 검출되면, 우선적으로 유선 충전 방식으로 전환되어 충전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무선 충전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됨에 따라, 점점 무선 충전방식의 전류량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충전 방식은 무선 충전기와 휴대 단말기와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충전 전류가 높아지게 된다.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무선 충전 방식은 유선 충전 방식과 비교하여 유선 충전보다 더 높은 충전전류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무선 충전 및 유선 충전의 충전 전류량과 상관없이, 무선 충전 도중 유선 충전 방식이 검출되면, 유선 충전으로 전환되어 배터리를 충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하여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이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충전 방식에 있어서, 무선 충전 기술을 고려하여 유선 충선 및 무선 충전 중 효율적으로 충전 방식을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 충전 도중 다른 충전 방식의 충전요청이 검출되면, 현재의 충전 방식과 검출된 충전 방식의 전류량을 체크함으로써, 현 상황을 인지하여 효율적인 충전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및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중 하나로부터 제1 충전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충전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에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에 의한 제2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충전 인터페이스부 및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결과,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의 전류량이 높은 경우,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유입되는 전력으로 충전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충전 방식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는,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수신하는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외부 충전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상기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및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충전 입력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검출부; 상기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및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부에 전달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와 연결되어 스위칭부를 통해 전달받은 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검출부로부터 전달된 충전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 모드를 구분하고,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중 하나의 일 입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에 타 입력에 의한 충전 이벤트가 검출되면, 무선 충전 및 유선 충전 입력의 전류량을 측정하고,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중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전류량의 충전 입력을 기반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은,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이 가능하며, 일 방법으로 배터리 충전 중 타 방식에 의한 충전 요청이 검출되면, 현재의 충전 방식과 검출된 충전 방식의 전류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류량을 비교하여 효율성이 높은 방식으로 충전되도록 충전 방식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 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에 타 방식으로 충전 요청이 검출되면, 충전 상황을 인지하여 가장 효율성이 높은 방식으로 충전방식이 변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충전 시간 감소, 충전 장치 이용의 효율성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충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인터페이스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충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인터페이스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관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무선 충전 방식은 전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진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기 유도 방식은 무선 전력 송신을 위한 송신 코일(예, 충전 패드의 코일)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장의 변화를 발생시키면, 자기장의 변화로 인하여 인접한 수신 코일(예, 휴대 단말기 내장 코일)에 생성되는 유도 전류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자기 공진 방식은 송신 코일(예, 충전 패드)이 특정 주파수로 자기장을 방사하고, 송신 코일과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공진 코일(예, 휴대 단말기의 내장 코일)이 접근되면, 공진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에너지 터널을 통해 전력을 송신 받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 충전 방식은 자기 공진 방식의 충전으로 가정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무선 통신부(130), 유선충전 인터페이스부(140), 무선충전 인터페이스부(150), 검출부(160), 스위칭부(170), 충전부(180), 배터리(181)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휴대 단말기 기능들의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 및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입력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 패드,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 쿼터 방식의 키패드 및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능키 등과 같은 입력 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20)는 휴대 단말기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I)를 표시한다. 표시부(120)는 메뉴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게임 화면, 음악 재생 화면, 동영상 재생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120)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이 상호 레이어(layer) 구조로 구성된 터치스크린(touch screen)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20)는 출력 수단 이외에 입력 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에서 표시부(12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형성된 경우, 표시부(120)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표시부(12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표시부(12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표시부(120) 위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부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및 압력 방식(pressure typ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패널은 터치 패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신호(예, 터치이벤트)를 발생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달한다. 여기서, 터치이벤트는 터치좌표를 포함한다. 제어부(190)는 터치패널로부터 터치좌표가 수신되면, 터치기구(예, 손가락이나 펜)가 터치패널에 터치된 것으로 결정하고, 터치 패널로부터 터치좌표가 수신되지 않으면, 터치 해제된 것으로 결정한다. 그러면, 제어부(170)는 입력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입력 정보를 확인하여 그에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부(130)은 지원 가능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가 설정된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음성 통신, 화상 통신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같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3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및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충전 인터페이스부(140)는 무선 전력 공급 장치(예, 무선 충전 패드)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고, 충전부(180)로 수신된 전력을 전달한다.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140)는 전력 무선 수신 및 자기장 통신을 위한 전력수신기(예,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수신기는 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유도 전류를 생성하거나, 특정 주파수 기반의 공진으로 인해 생성되는 에너지 터널을 통해 전력을 수신하는 코일부 및 커패시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선충전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와 충전부를 연결한다. 유선충전 인터페이스부(150)는 유선충전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 공급 장치 예를 들어, 직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여행용 충전기(TA, Travel Adapter) 또는 Travel Charger(TC), 마이크로 유에스비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우선 충전 인터페이스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선 충전기의 인터페이스 규격(에, 20핀 인터페이스, 마이크로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등)과 동일한 인터페이스 규격을 가질 수 있다. 유선충전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가 연결되면, 연결된 유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부로 전달한다. 여기서,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150)가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경우, PC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고, PC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부로 전달할 도 있다.
검출부(160)는 무선충전 인터페이스부(140) 또는 유선충전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공급되는 전력의 충전데이터를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검출부(160)는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140) 또는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의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한다. 충전데이터는,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140) 및 유선충전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예컨대, 전류 및 전압의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160)는 무선충전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검출하는 제1 검출모듈(161) 및 유선충전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검출하는 제2 검출모듈(162)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90)는 검출부(160)로부터 전달받은 충전 데이터를 통해,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는지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제1 검출모듈(161)로부터 충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무선충전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충전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제어부(190)는 제2 검출모듈(162)로부터 충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유선충전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충전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스위칭부(170)는 검출부(160) 및 충전부와 연결되고, 검출부(160)와 충전부(180) 사이의 전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위칭부(17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스위칭되어 제1 검출 모듈(161)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을 충전부(180)로 전달하거나, 제2 검출 모듈(162)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을 충전부(180)로 전달한다.
충전부(180)는 정전류 충전(constant current charging) 또는 정전압 충전(constant voltage charging) 등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부(180)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140) 또는 유선충전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185)를 충전한다. 예컨대, 제어부(190)는 유선충전 인터페이스부(150) 또는 무선충전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전력이 검출되면, 이를 감지하고 충전부(180)를 구동시켜 충전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배터리(185)의 잔량을 검출하고, 100 % 충전인 경우, 충전 동작을 종료하도록 충전부(18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배터리(185)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 정전류를 공급하거나, 배터리 충전이 완료되면 정전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충전부(180)는 충전 전류를 조절하고, 기준치 이상의 전압(이하, 과전압)이 배터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전압 방지 모듈(18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충전부(180)는 충전 전압을 배터리 전압으로 강압하는 강압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85)는 리튬 이온 배터러, 리튬 이온 폴리머 배터리, 니켈 카드뮨 배터리 및 니켈 수소 배터리 등 다양한 이차 전지가 될 수 있다. 배터리(185)는 충전부(18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변환하여 축적하고, 축적된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휴대 단말기 운용을 위한 모듈들로 공급한다.
제어부(197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97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1970)는 전원이 공급되면,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과정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실행을 위해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제어부(190)는 본 발명의 무선 충전 및 유선 충전과 관련된 기능 운용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충전 변경 모드를 구분하고, 구분된 모드에 따른 동작 수행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부의 상세한 기능에 대해 흐름도를 참조하며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휴대 단말기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휴대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S;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비롯하여, 휴대 단말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이하, 앱) 실행에 발생하는 데이터 및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예컨대, 외부 서버, 다른 휴대 단말,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는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휴대 단말기 기능 처리에 대한 다양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 또는 XD 카드)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과,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GPS 모듈과, 카메라 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입력부는 터치스크린 및 키입력부 이외에, 터치패드, 트랙볼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장치 및 그 충전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핸드헬드(hand-held)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이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충전 방법벙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충전 모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이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자동 충전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및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제어부(190)는 검출부(160)로부터 제1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 제1 충전입력 정보는 충전 전력의 감지 정보, 충전 전력의 측정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유선충전 인터페이스부(150)와 외부 전원 공급 장치가 연결되면,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이 유입된다. 검출부(160)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와의 연결을 감지하고, 유입된 전력의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고, 충전 데이터를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단계 220에서 제어부(190)는 제1 충전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으로 배터리(181)가 충전되도록 스위칭부(17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제1 검출모듈(161)로부터 제1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한 경우, 무선 충전 입력 신호로 인식하며, 무선충전 인터페이스부(140)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이 충전부(180)에 전달되도록 스위칭부(17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2 검출모듈(162)로부터 제1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한 경우, 유선 충전 입력 신호로 인식하여 유선충전 인터페이스부(150)에 유입된 전력이 충전부에 전달되도록 스위칭부(170)를 제어한다.
그러면, 유선충전 인터페이스부(150) 또는 무선충전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외부로부터 발생(또는 유입)되는 전력은 제1 검출모듈(161) 또는 제2 검출모듈(162)을 지나 스위칭부(170)를 통과하여 충전부(180)로 전달된다. 충전부(180)는 수신되는 전력를 이용하여 배터리에 충전할 정전압 및 정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전압 및 정전류를 배터리(181)로 공급한다.
여기서, 제어부(190)는 검출부(160)로부터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제1 충전 입력 정보에 따른 충전 모드(예컨대, 무선 충전 모드 또는 유선 충전 모드) 로 충전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충전입력 정보에 따른 충전 모드 정보를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충전 모드 정보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 모드를 지시하는 아이콘을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3의 화면 <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는 무선충전 인터페이스부(140)로부터 제1 충전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무선 충전 모드를 지시하는 아이콘(31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도 3의 화면 <3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제1 충전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유선 충전 모드를 지시하는 아이콘(320)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190)는 무선 충전 모드 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충전 상태임을 나타내는 아이콘(330)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제어부(190)는 제1 충전 입력 정보가 수신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최소 시간 동안 현재의 충전 모드로 충전되도록 설정된 시간을 의미한다. 즉, 기 설정된 시간은 충전 방식이 자주 변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제조 시에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검출부(160)로부터 제1 충전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타이머(timer)를 동작시킨다. 즉, 제어부는 제1 충전 입력 정보가 수신된 시점을 시작으로 시간을 카운팅한다. 제어부(190)는 타이머 동작 후,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240에서 제어부(190)는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경우,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에 의한 제2 충전 입력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즉, 제어부(190)는 제1 충전 입력 정보 및 제2 충전 입력 정보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도중, 제2 충전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현재 충전 방식과 다른 방식의 충전 요청이 검출됐음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제1 검출모듈(161)로부터 무선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도중에, 제2 검출모듈(162)로부터 유선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하거나, 제2 검출모듈(162)로부터 유선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도중에 제1 검출모듈(161)로부터 무선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기 설정된 기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단계 220으로 복귀한다.
단계 250에서 제어부(190)는 제2 충전 입력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1 충전 입력 정보 및 제2 충전 입력 정보에 포함된 측정값들을 기반으로 전류량들을 측정한다. 즉, 제어부(190)는 제1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유입되는 제1 충전 입력의 전류량을 계산하고,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유입되는 제2 충전 입력의 전류량을 계산한다.
단계 260에서 제어부(190)는 측정 결과, 제1 충전 입력의 전류량보다 제2 충전 입력의 전류량이 상대적으로 높은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270에서 제어부(190)는 제2 충전 입력의 전류량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결정된 경우, 제2 충전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전류 즉,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스위칭부(17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90)는 제1 충전 인터페이스의 충전 전류량보다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의 충전 전류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스위칭부(170)를 제어하여, 제1 충전 인터페이스부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부(180)로 공급한다. 이후, 제어부(190)는 충전 완료됐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충전 완료된 경우, 제어부(190)는 충전 완료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는 제1 충전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충전 전력이 검출되면, 각각의 충전 전류량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충전 전류량으로 충전하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충전 방식을 제어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이다. 여기서,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동 충전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및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제어부(190)는 제어부(190)는 검출부(160)로부터 제1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한다. 제1 충전입력 정보는 충전 전력의 감지 정보, 충전 전력의 측정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유선충전 인터페이스부(150)와 외부 전원 공급 장치가 연결되면,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이 유입된다. 검출부(160)는 외부 전원 공급 장치와의 연결을 감지하고, 유입된 전력의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고, 충전 데이터를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단계 420에서 제어부(190)는 제1 충전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으로 배터리(181)가 충전되도록 스위칭부(17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제1 검출모듈(161)로부터 제1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한 경우, 무선 충전 입력 신호로 인식하며, 무선충전 인터페이스부(140)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이 충전부(180)에 전달되도록 스위칭부(17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2 검출모듈(162)로부터 제1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한 경우, 유선 충전 입력 신호로 인식하여 유선충전 인터페이스부(150)에 유입된 전력이 충전부에 전달되도록 스위칭부(170)를 제어한다.
그러면, 유선충전 인터페이스부(150) 또는 무선충전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외부로부터 발생(또는 유입)되는 전력은 제1 검출모듈(161) 또는 제2 검출모듈(162)을 지나 스위칭부(170)를 통과하여 충전부(180)로 전달된다. 충전부(180)는 수신되는 전력를 이용하여 배터리에 충전할 정전압 및 정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전압 및 정전류를 배터리(181)로 공급한다.
여기서, 제어부(190)는 검출부(16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충전입력 정보에 따른 충전 모드(예컨대, 무선 충전 모드 또는 유선 충전 모드)로 충전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충전입력 정보에 따른 충전 모드 정보를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제1 충전 입력 정보를 통해 유선 충전 모드로 충전 중임을 인지한 경우, 도 5의 <5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0)에 유선 충전 모드를 지시하는 아이콘(510)을 표시한다. 동시에 제어부(190)는 충전 상태임을 나타내는 아이콘(520)을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단계 430에서 제어부(190)는 제1 충전 입력 정보가 수신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최소 시간 동안 현재의 충전 모드로 충전되도록 설정된 시간을 의미한다. 즉, 기 설정된 시간은 충전 방식이 자주 변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제조 시에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검출부(160)로부터 제1 충전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타이머(timer)를 동작시킨다. 즉, 제어부는 제1 충전 입력 정보가 수신된 시점을 시작으로 시간을 카운팅한다. 제어부(190)는 타이머 동작 후,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440에서 제어부(190)는 기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경우,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에 의한 제2 충전 입력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즉, 제어부(190)는 제1 충전 입력 정보 및 제2 충전 입력 정보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제1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도중, 제2 충전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현재 충전 방식과 다른 방식의 충전 요청이 검출됐음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제1 검출모듈(161)로부터 무선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도중에, 제2 검출모듈(162)로부터 유선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하거나, 제2 검출모듈(162)로부터 유선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도중에 제1 검출모듈(161)로부터 무선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기 설정된 기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단계 420으로 복귀한다.
단계 450에서 제어부(190)는 제2 충전 입력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1 충전 입력 정보 및 제2 충전 입력 정보에 포함된 측정값들을 기반으로 각각의 전류량 및 충전 정보들을 측정한다.
단계 460에서 제어부(190)는 제1 충전 인터페이스에 의한 제1 충전 상태 정보 및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에 의한 제2 충전 상태 정보를 표시부(1210)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제2 충전 입력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충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도 5의 화면 <5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선택 화면(530)을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충전 선택 정보는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유입되는 전력의 충전 상태 정보(531) 및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유입되는 전력의 충전 상태 정보(5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선택 정보는 표시부에 표시된 실행 화면(예를 들어, 홈 화면 또는 메신저 실행 화면) 위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팝업창(pop-up window) 으로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충전 선택 정보는 입력 전류량, 예상충전시간 및 전압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충전 선택 정보를 통해 유선 충전 또는 무선 충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변경하고자 하는 충전 방식으로 충전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단계 470에서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검출되는 지 여부를 결정하고, 단계 480에서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된 충전 입력으로 충전되도록 스위칭부(17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5의 <502> 화면에서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무선 충전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충전 모드가 변경되도록 스위칭부(170)를 제어한다. 그러면, 스위칭부(170)는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무선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15400)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으로 배터리(1851)를 충전하도록 검출부(160)의 제1 검출 모듈(161)과 충전부(180)를 연결한다. 제1 검출 모듈(161)과 충전부(180)가 연결되면,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유입되는 전력은, 충전부(180)를 통해 배터리(1851)에 공급된다.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무선 충전 방식으로 충전 상태인 경우, 도 5의 <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충전 모드를 지시하는 아이콘(540)을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긴급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 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산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휴대 단말기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무선통신부 140: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150: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160: 검출부
170: 스위칭부
180: 충전부
190: 제어부

Claims (10)

  1.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및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중 하나로부터 제1 충전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충전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1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에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에 의한 제2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충전 인터페이스부 및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 결과,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의 전류량이 높은 경우,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유입되는 전력으로 충전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충전 방식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충전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유선 충전 입력 신호인지 무선 충전 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충전 입력 신호에 따른 충전 방식으로 충전되도록 스위칭부로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인터페이스부 및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됐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된 경우, 검출부로부터 제2 충전 입력 정보가 수신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충전 입력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1 충전 인터페이스부 및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의 전류량을 측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입력 정보는, 유선충전 인터페이스부 및 무선충전 인터페이스부 중 하나로부터 검출된 충전입력 정보이며, 상기 제2 충전 입력 정보는 제1 충전 입력 정보와 다른 하나로부터 검출된 충전입력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방식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충전 인터페이스부 및 제2 충전 인터페이스부의 측정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된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유입되는 전력으로 충전되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6.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유입되는 전류를 수신하는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외부 충전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상기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및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충전 입력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검출부;
    상기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및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충전부에 전달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와 연결되어 스위칭부를 통해 전달받은 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검출부로부터 전달된 충전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충전 모드를 구분하고,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중 하나의 일 입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도중에 타 입력에 의한 충전 이벤트가 검출되면, 무선 충전 및 유선 충전 입력의 전류량을 측정하고,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중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전류량의 충전 입력을 기반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유입되는 전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력의 전압 및 전류값을 측정하는 제1 검출 모듈 및 상기 유선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유입되는 전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력의 전압 및 전류값을 측정하는 제2 검출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 검출 모듈 및 제2 검출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제1 검출 모듈 및 제2 검출 모듈 중 하나와 상기 충전부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선 충전 및 무선 충전 인터페이스부 중 하나의 일 입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점에서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된 경우, 타 입력에 의한 충전 이벤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입력에 의한 충전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 충전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충선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검출되면,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된 충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유입되는 전력으로 충전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KR1020120155970A 2012-12-28 2012-12-28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KR20140086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970A KR20140086000A (ko) 2012-12-28 2012-12-28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US14/142,116 US20140184171A1 (en) 2012-12-28 2013-12-27 Mobile terminal in which wired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are available and method of charg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970A KR20140086000A (ko) 2012-12-28 2012-12-28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000A true KR20140086000A (ko) 2014-07-08

Family

ID=5101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970A KR20140086000A (ko) 2012-12-28 2012-12-28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184171A1 (ko)
KR (1) KR2014008600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352A (ko) * 2014-08-19 2016-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무선 저장 장치
WO2018169200A1 (ko) * 2017-03-13 2018-09-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 선택 방법
KR20180130053A (ko) * 2017-05-26 2018-12-06 김영조 건전지 대용 무선배터리팩 장치
KR102188866B1 (ko) * 2020-01-29 2020-12-11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유무선 충전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에어브러시
WO2021149937A1 (ko) * 2020-01-20 202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수신방법 및 무선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2173109A1 (ko) * 2021-02-10 2022-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8860B2 (en) 2006-04-06 2018-08-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adaptation
US9367085B2 (en) 2012-01-26 2016-06-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taking into account which limb possesses the electronic device
TWM459605U (zh) * 2013-03-13 2013-08-11 Li-Kuo Chiu 具擴充功能的行動電源裝置
WO2015159993A1 (ja) * 2014-04-18 2015-10-22 京セラ株式会社 無線装置および無線装置における表示制御方法
US9971496B2 (en) * 2014-08-04 2018-05-1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on an electronic device
KR102332621B1 (ko) * 2014-11-21 2021-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571955B1 (en) * 2015-07-23 2017-02-14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to transfer operations between mobile and portable devices
TWI574486B (zh) * 2016-02-04 2017-03-1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充電裝置
US10034027B2 (en) 2016-03-10 2018-07-24 Sony Corporation Automatic MSO-based transfer of DVR content to new location of customer
US9712861B1 (en) 2016-03-10 2017-07-18 Sony Corporation Interactive load balancing among DVRs based on customer selection
KR102572577B1 (ko) * 2016-04-15 2023-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장치 및 방법
US10447068B2 (en) * 2017-04-03 2019-10-15 Nxp B.V. Power management circuit
US10622836B2 (en) 2017-05-02 2020-04-14 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Inc.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7425571A (zh) * 2017-08-04 2017-12-01 深圳市神州云海智能科技有限公司 机器人及其充电过程中的行为控制方法和机器人充电***
CN107623352A (zh) * 2017-09-26 2018-01-23 深圳市东宇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7947301B (zh) * 2017-12-30 2024-06-04 迅镭智能(广州)科技有限公司 一种扫描枪充电电路
EP3767775A4 (en) * 2018-06-22 2021-01-2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HARGING DEVICE, MOBILE TERMINAL AND CHARGING CONTROL PROCESS
CN109038863B (zh) * 2018-07-23 2020-08-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9120029A (zh) * 2018-08-14 2019-01-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电路、电子设备、充电管理方法及存储介质
WO2020171399A1 (en) 2019-02-19 2020-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ccording to wireless power-sharing
CN114013303B (zh) * 2021-10-21 2024-03-15 深圳欣锐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有线充电和无线充电的集成单元及充电***
TW202349827A (zh) * 2022-05-03 2023-12-16 美商奇異電器公司 設備中之電源選擇及控制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0164A1 (en) * 2008-05-07 2011-03-03 Afshin Partovi System and methods for inductive charging, and improvements and uses thereof
US8138624B2 (en) * 2008-06-23 2012-03-20 Ming-Hsiang Yeh Conversion device for automobile
KR101604696B1 (ko) * 2009-08-12 2016-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전원 제어 방법
CN101707384A (zh) * 2009-11-25 2010-05-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兼容有线充电和无线充电的***及方法
US8656193B2 (en) * 2010-02-17 2014-02-18 Dell Products, Lp Power module f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and methods thereof
KR101727495B1 (ko) * 2010-12-28 2017-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3518311B (zh) * 2011-02-18 2017-07-04 Lg电子株式会社 无线充电的方法和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352A (ko) * 2014-08-19 2016-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무선 저장 장치
WO2018169200A1 (ko) * 2017-03-13 2018-09-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 선택 방법
US11500437B2 (en) 2017-03-13 2022-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device for display device by a wired or wireless manner, display system including same, and power selection method for power supply device
KR20180130053A (ko) * 2017-05-26 2018-12-06 김영조 건전지 대용 무선배터리팩 장치
WO2021149937A1 (ko) * 2020-01-20 202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수신장치, 무선전력 수신방법 및 무선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88866B1 (ko) * 2020-01-29 2020-12-11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유무선 충전 기능이 탑재된 휴대용 에어브러시
WO2022173109A1 (ko) * 2021-02-10 2022-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충전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84171A1 (en)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6000A (ko)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KR101920236B1 (ko)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28751B1 (ko) 무선 충전 운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전자 장치
AU2014284843B2 (en) Method for switching digitizer mode
EP2665153B1 (en) Mobile terminal
KR102126713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무선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US94614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harging in a portable terminal
JP5611383B2 (ja) 近距離の無線電力受信装置及び方法
US11258280B2 (en) Mobile terminal, peripheral device, and charging method thereof
CN105706291B (zh) 用于快速充电的方法及其电子装置
CN108141056A (zh) 电子设备、充电控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KR20140137848A (ko) 배터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사용자 단말
CN110191215B (zh) 终端及处理方法
CN104158235A (zh) 一种电池充电控制方法、设备及***
CN105229888A (zh) 无线充电器
CN103972953A (zh) 充电设备和充电方法
CN111373629A (zh) 一种无线充电的对位检测方法及电子设备
EP2731224B1 (en) Method for processing power source state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103078359B (zh) 用于控制便携式终端中的充电电流的装置和方法
KR101901304B1 (ko)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4378143A (zh) 在仪表与移动终端之间传输数据的方法、装置以及仪表
CN112311029B (zh) 一种充电方法、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2018831A (zh) 一种充电控制方法、充电控制装置及电子设备
CN110165735B (zh) 一种充电方法及充电设备
US9762080B2 (en)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charg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