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120A -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120A
KR20140073120A KR1020120140877A KR20120140877A KR20140073120A KR 20140073120 A KR20140073120 A KR 20140073120A KR 1020120140877 A KR1020120140877 A KR 1020120140877A KR 20120140877 A KR20120140877 A KR 20120140877A KR 20140073120 A KR20140073120 A KR 20140073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onnection
disposed
guide plate
l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만
Original Assignee
이두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만 filed Critical 이두만
Priority to KR1020120140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120A/ko
Priority to TW102111677A priority patent/TW201424138A/zh
Priority to TW102205993U priority patent/TWM459561U/zh
Publication of KR20140073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충전 및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연결 핀(connection pin)들과, 다수의 연결 핀들을 절연시키는 커넥터 하우징(connetor housing)과, 커넥터 하우징을 커버하는 커버(cover)를 포함하고, 커넥터 하우징은, 연결 핀들의 후방부를 감싸는 절연 몸체(insulating body)와, 절연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연결 핀들의 전방부를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를 포함하며, 다수의 연결 핀들은,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 인접한 첫 번째 연결 핀과 가이드 플레이트의 타측에 인접한 마지막 번째 연결 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첫 번째 연결 핀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 사이에 배치되는 다른 연결 핀들 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interface device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충전 및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음악파일재생, 동영상파일재생, 인터넷, 지상파수신방송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가 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멀티미디어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소정 위치에 외부 기기와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화를 돕거나 또는 충전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별도의 연결 장치를 통해 외부 기기 또는 충전기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이동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전기적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케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는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 기기(3)에 별도의 케이블(5)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5)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에, 이동 단말기(1)와의 연결을 위한 제 1 유에스비(USB) 커넥터(5-1)가 배치되고, 타측단에, 외부 기기(3)와의 연결을 위한 제 2 유에스비 커넥터(5-2)가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케이블(5)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에, 이동 단말기(1)와의 연결을 위한 제 1 유에스비 커넥터(5-1)가 배치되고, 타측단에, 충전 회로가 내장된 어댑터(5-3)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1)는, 케이블(5)을 통해 외부 기기 또는 충전기로부터 전력(power)을 공급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동 단말기(1)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1)의 사용 시간도 증가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1)의 배터리 용량도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케이블(5)을 통해, 이동 단말기(1)로 공급되어야 할 전력의 증가가 요구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1)로 공급되는 전력이 증가할 경우, 증가되는 전력에 적합하게 이동 단말기(1)의 인터페이스 장치가 가변되지 않으면, 이동 단말기(1)의 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향후, 높은 전력뿐만 아니라, 낮은 전력의 공급에도 모두 적용가능한 이동 단말기(1)의 인터페이스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충전을 위한 연결 핀의 크기를 다르게 배치함으로써, 고전력 및 저전력의 공급에 모두 적용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전용 체결 홈이 배치됨으로써, 안전성이 높은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국제 규격에 적합한 크기를 유지함으로써, 다양한 휴대 기기에 호환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연결 핀(connection pin)들과, 다수의 연결 핀들을 절연시키는 커넥터 하우징(connetor housing)과, 커넥터 하우징을 커버하는 커버(cover)를 포함하고, 커넥터 하우징은, 연결 핀들의 후방부를 감싸는 절연 몸체(insulating body)와, 절연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연결 핀들의 전방부를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를 포함하며, 다수의 연결 핀들은,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 인접한 첫 번째 연결 핀과 가이드 플레이트의 타측에 인접한 마지막 번째 연결 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첫 번째 연결 핀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 사이에 배치되는 다른 연결 핀들 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첫 번째 연결 핀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 사이의 전방 피치(pitch)는 약 2.0 ∼ 4.0mm이고, 첫 번째 연결 핀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 사이의 후방 피치는 약 3.0 ∼ 5.0mm일 수 있다.
이어, 첫 번째 연결 핀과 그에 인접한 다른 연결 핀 사이의 전방 피치, 또는 마지막 번째 연결 핀과 그에 인접한 다른 연결 핀 사이의 전방 피치는 약 0.5 ∼ 1.2mm이고, 첫 번째 연결 핀과 그에 인접한 다른 연결 핀 사이의 후방 피치, 또는 마지막 번째 연결 핀과 그에 인접한 다른 연결 핀 사이의 후방 피치는 약 0.8 ∼ 1.5mm일 수 있다.
그리고, 첫 번째 연결 핀 또는 마지막 번째 연결 핀의 폭은 첫 번째 연결 핀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핀의 폭보다 더 클 수 있다.
다음, 첫 번째 연결 핀 또는 마지막 번째 연결 핀은, 가이드 플레이트의 측면을 감싸도록 벤딩(bending)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는 연결 핀들 사이에는 절연 측벽(insulating sidewall)이 배치되고, 절연 측벽의 두께는 연결 핀들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여기서, 첫 번째 연결 핀 또는 마지막 번째 연결 핀은, 절연 측벽이 일측에만 배치되고, 첫 번째 연결 핀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핀들은, 절연 측벽이 양측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이어,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면에는 연결 핀들이 배치되고,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보강 캡(cap)이 배치되며, 보강 캡은, 첫 번째 연결 핀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에 중첩되지 않도록, 첫 번째 연결 핀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 사이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 캡은, 가이드 플레이트의 전방 측면을 감싸도록 벤딩(bending)되고, 첫 번째 연결 핀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커버(cover)는, 연결 핀의 전방부가 개방되는 제 1 개구와, 연결 핀의 후방부가 개방되는 제 2 개구를 포함하고, 제 1 개구를 형성하는 커버의 내측에는 외부의 커넥터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 홈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전을 위한 연결 핀의 크기를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연결 핀보다 더 크게 배치함으로써, 고전력 공급뿐만 아니라, 저전력의 공급에도 모두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전용 체결 홈이 배치됨으로써,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이 제한 없이 다른 인터페이스 장치에 체결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국제 규격에 적합한 크기를 유지함으로써, 다양한 휴대 기기에 호환이 가능하다.
도 1은 이동 단말기와 외부 기기의 전기적 연결을 보여주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케이블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인터페이스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e는 연결 핀이 체결된 하우징 커넥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연결 핀들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커버의 체결 홈 및 체결 돌기를 갖는 고전력 공급용 커넥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는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음악파일재생, 동영상파일재생, 인터넷, 지상파수신방송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휴대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multimedia player), 디지털 사진기 등과 같은 휴대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10)는, 인터페이스부(12), 디스플레이부(14), 동작키부(16), 그리고 이들을 커버하는 하우징(1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12)는, 충전 및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한 커넥터로서, 일 예로,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micro USB receptacle)일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의 인터페이스부(12)는 유에스비 리셉터클일 수 있는데, 인터페이스부(12)에는 외부로부터 유에스비 장치 또는 유에스비 커넥터를 갖는 케이블 등이 삽입되어, 이동 단말기(10)의 충전 또는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입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인터페이스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인터페이스부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b는 인터페이스부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4c는 인터페이스부의 분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는, 연결 핀(connection pin)(100), 커넥터 하우징(connetor housing)(200) 및 커버(cover)(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핀(100)은 다수 개가, 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연결 핀(100)들 중, 일부 연결 핀(100)들은 이동 단말기의 충전을 위한 그라운드 핀(ground pin) 또는 파워 핀(power pin)일 수 있으며, 나머지 일부 연결 핀(100)들은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시그널 핀(signal pin)일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연결 핀(100)들 중, 그라운드 핀(ground pin) 또는 파워 핀(power pin)의 면적은,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시그널 핀(signal pin)의 면적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와 같이, 다수의 연결 핀(100)들이 5개의 연결 핀으로 구성된다면,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핀(101, 102, 103, 104, 105)은 순차적으로 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첫 번째 연결 핀인 제 1 핀(101)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인 제 5 핀(105)은, 제 1 핀(101)과 제 5 핀(105)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핀(102), 제 3 핀(103), 제 4 핀(104)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 1 핀(101)과 제 5 핀(105)은 연결 핀(100)들 중,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며,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핀(102), 제 3 핀(103), 제 4 핀(104)은 연결 핀(100)들 중, 제 1 핀(101)과 제 5 핀(105) 사이인 중앙 영역에 배치되며,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첫 번째 연결 핀인 제 1 핀(101)은, 제 2 핀(102), 제 3 핀(103), 제 4 핀(104), 제 5 핀(105)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2 핀(102), 제 3 핀(103), 제 4 핀(104), 제 5 핀(105)은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마지막 번째 연결 핀인 제 5 핀(105)은, 제 1 핀(101), 제 2 핀(102), 제 3 핀(103), 제 4 핀(104)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핀(101), 제 2 핀(102), 제 3 핀(103), 제 4 핀(104)은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면적이 가장 넓은 제 1 핀(101) 및 제 5 핀(1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을 위한 그라운드 핀(ground pin) 또는 파워 핀(power pin)일 수 있고, 제 2, 제 3, 제 4 핀(102, 103, 104)은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시그널 핀(signal pin)일 수 있다.
이처럼, 면적이 가장 넓은 제 1 핀(101) 및 제 5 핀(1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 단말기의 충전을 위한 그라운드 핀 또는 파워 핀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배터리 용량이 큰 이동 단말기에, 높은 전력이 공급되기 때문이다.
다음, 커넥터 하우징(200)은, 다수의 연결 핀(100)들을 지지하고, 인접하는 연결 핀(100)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 하우징(200)은, 절연 몸체(insulating body)(210)와,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200)의 절연 몸체(210)는 연결 핀(100)들의 후방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커넥터 하우징(200)의 가이드 플레이트(220)는, 절연 몸체(210)로부터 돌출되어 연결 핀(100)들의 전방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연결 핀(100)들은,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첫 번째 연결 핀(100)(일 예로 제 1 핀(101))의 끝단 또는 마지막 번째 연결 핀(100)(일 예로 제 5 핀(105))의 끝단은,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측면을 감싸도록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이어, 가이드 플레이트(220) 위에는 절연 측벽(insulating sidewall)(240)이 배치될 수 있는데, 절연 측벽(240)은 서로 인접하는 연결 핀(100)들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연결 핀(100)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이때, 절연 측벽(240)의 두께는 연결 핀(100)들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그 이유는, 절연 측벽(240) 양측에 배치되는 연결 핀(100)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첫 번째 연결 핀(100)(일 예로 제 1 핀(101)) 또는 마지막 번째 연결 핀(100)(일 예로 제 5 핀(105))은, 일측에만 절연 측벽(240)이 배치되고, 타측에는 절연 측벽(240)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첫 번째 연결 핀(100)(일 예로 제 1 핀(101))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100)(일 예로 제 5 핀(105))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핀(100)들은, 절연 측벽(240)이 양측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첫 번째 연결 핀(100)(일 예로 제 1 핀(101)) 또는 마지막 번째 연결 핀(100)(일 예로 제 5 핀(105))의 경우, 일측에만 절연 측벽(240)을 배치시키는 이유는, 타측에 배치될 수 있는 절연 측벽(240)을 제거하고, 절연 측벽(240)이 제거된 영역까지 첫 번째 연결 핀(100)(일 예로 제 1 핀(101))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100)(일 예로 제 5 핀(105))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전체적인 면적의 증가 없이도, 첫 번째 연결 핀(100)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100)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기존의 유에스비 장치 및 유에스비 커넥터 등과 호환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하부면에는 연결 핀(100)들이 배치되는데,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상부면에는 보강 캡(cap)(23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 캡(230)은, 첫 번째 연결 핀(100)(일 예로 제 1 핀(101))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100)(일 예로 제 5 핀(105))에 중첩되지 않도록, 첫 번째 연결 핀(100)(일 예로 제 1 핀(101))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100)(일 예로 제 5 핀(105)) 사이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 캡(230)은,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전방 측면을 감싸도록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여기서, 벤딩된 보강 캡(230)은, 첫 번째 연결 핀(100)(일 예로 제 1 핀(101))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100)(일 예로 제 5 핀(105))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보강 캡(230)이 전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인접하는 연결 핀(100)들과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서이다.
다음, 커버(300)는, 커넥터 하우징(200)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커버(300)는, 실장 돌기(301), 상부 밀림 방지 돌기(302), 상부 끼움 돌기(303), 체결 홀(30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300)의 실장 돌기(301)는,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부에 체결되고, 커버(300)의 상부 밀림 방지 돌기(302)는 커넥터 하우징(200)의 절연 몸체(210)의 제 1 홈(21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300)의 상부 끼움 돌기(303)는, 커넥터 하우징(200)의 절연 몸체(210)의 제 2 홈(214)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300)는 연결 핀(100)의 전방부가 개방되는 제 1 개구(300a)와, 연결 핀(100)의 후방부가 개방되는 제 2 개구(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개구(300a)를 형성하는 커버(300)의 내측에는 외부의 커넥터와 체결하기 위한 제 1 체결 홈(3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체결 홈(310)은 연결 핀(100)을 마주하는 커버(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보강 캡(230)을 마주하는 커버(300)의 내측에 제 2 체결 홈(320)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개구(300a)를 형성하는 커버(300)의 내측에 제 1, 제 2 체결 홈(310, 320) 중 적어도 하나를 배치할 수 있다.
이처럼, 커버(300)의 내측에 제 1, 제 2 체결 홈(310, 320)을 배치하는 이유는,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이 제한 없이 다른 인터페이스 장치에 체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장치에는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전용 체결 홈을 배치하고,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장치에 체결되는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커넥터에는 전용 체결 돌기를 배치함으로써, 전용 체결 돌기를 갖는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커넥터가 본 발명의 고전력용 인터페이스 장치 이외에 기존의 저전력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체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커넥터가 전용 체결 돌기가 없다면, 기존의 저전력용 인터페이스 장치에도 쉽게 체결될 수 있어, 고전력의 공급으로 인하여 저전력용 인터페이스 장치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장치에는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전용 체결 홈을 배치되므로, 전용 체결 돌기를 갖는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커넥터가 체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용 체결 돌기가 없는 기존의 저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커넥터도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충전을 위한 연결 핀의 크기를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연결 핀보다 더 크게 배치함으로써, 고전력 공급뿐만 아니라, 저전력의 공급에도 모두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전용 체결 홈이 배치됨으로써,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이 제한 없이 다른 인터페이스 장치에 체결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국제 규격에 적합한 크기를 유지함으로써, 다양한 휴대 기기에 호환이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e는 연결 핀이 체결된 하우징 커넥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하우징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하우징 커넥터의 상면도이며, 도 5c는 하우징 커넥터의 측면도이고, 도 5d는 하우징 커넥터의 하면도이며, 도 5e는 하우징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00)은, 절연 몸체(insulating body)(210)와,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하우징(200)의 절연 몸체(210)는 연결 핀(100)들의 후방부(100b)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커넥터 하우징(200)의 가이드 플레이트(220)는, 절연 몸체(210)로부터 돌출되어 연결 핀(100)들의 전방부(100a)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연결 핀(100)들은,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연결 핀(100)들은, 3 ∼ 50개의 연결 핀(100)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 예로, 다수의 연결 핀(100)들이 5개의 연결 핀으로 구성된다면,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핀(101, 102, 103, 104, 105)은 순차적으로 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핀(101)의 끝단 및 제 5 핀(105)의 끝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전방 측면(220a)을 감싸도록 벤딩(bending)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핀(101)의 측부 및 제 5 핀(105)의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측방 측면(220b)을 감싸도록 벤딩(bending)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핀(101)과 제 5 핀(105)이,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전방 측면(220a) 또는 측방 측면(220b)을 감싸도록 벤딩(bending)되는 이유는, 제 1 핀(101)과 제 5 핀(1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적을 최대로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만일, 면적이 증가된 제 1 핀(101)과 제 5 핀(1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 단말기의 충전을 위한 파워 핀 또는 그라운드 핀으로 사용할 경우, 기존과 동일한 크기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유지함과 동시에, 고전력 공급 및 저전력 공급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220) 위에는 절연 측벽(insulating sidewall)(240)이 배치될 수 있는데, 절연 측벽(240)은 서로 인접하는 연결 핀(100)들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연결 핀(100)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이때, 절연 측벽(240)의 두께 t2는 연결 핀(100)들의 두께 t1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그 이유는, 절연 측벽(240) 양측에 배치되는 연결 핀(100)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핀(101) 및 제 5 핀(1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측에만 절연 측벽(240)이 배치되고, 타측에는 절연 측벽(240)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 핀(101)과 제 5 핀(105)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핀(100)들은, 절연 측벽(240)이 양측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가장 자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 1 핀(101) 및 제 5 핀(1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측방 끝단까지 연장하여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 1 핀(101) 및 제 5 핀(105)은,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전방 측면(220a) 또는 측방 측면(220b)을 감싸도록 연장되어 면적을 더 증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파워 핀 또는 그라운드 핀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 1 핀(101) 및 제 5 핀(105)은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면적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핀(100)들 사이의 피치(pitch)는 국제적인 규격에 적합하면서도 충전을 위한 연결 핀(100)들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핀(101)과 제 5 핀(105) 사이의 전방 피치(pitch) P1는 약 2.0 ∼ 4.0mm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핀(101)과 제 5 핀(105) 사이의 후방 피치 P2는 약 3.0 ∼ 5.0mm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1 핀(101)과 제 5 핀(105) 사이의 전방 피치(pitch) P1과, 제 1 핀(101)과 제 5 핀(105) 사이의 후방 피치 P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방 피치 P1과, 후방 피치 P2는 약 2.0 ∼ 5.0mm일 수 있다.
또한, 제 1 핀(101)과 제 1 핀(101)에 인접한 제 2 핀(102) 사이의 전방 피치 P11, 또는 제 5 핀(105)과 제 5 핀(105)에 인접한 제 4 핀(104) 사이의 전방 피치는 약 0.5 ∼ 1.2mm일 수 있다.
이어, 제 1 핀(101)과 제 1 핀(101)에 인접한 제 2 핀(102) 사이의 후방 피치 P12, 또는 제 5 핀(105)과 제 5 핀(105)에 인접한 제 4 핀(104) 사이의 후방 피치는 약 0.8 ∼ 1.5mm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핀(101)과 제 1 핀(101)에 인접한 제 2 핀(102) 사이의 전방 피치 P11, 제 5 핀(105)과 제 5 핀(105)에 인접한 제 4 핀(104) 사이의 전방 피치, 제 1 핀(101)과 제 1 핀(101)에 인접한 제 2 핀(102) 사이의 후방 피치 P12, 제 5 핀(105)과 제 5 핀(105)에 인접한 제 4 핀(104) 사이의 후방 피치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핀(101)과 제 1 핀(101)에 인접한 제 2 핀(102) 사이의 전방 피치 P11, 제 5 핀(105)과 제 5 핀(105)에 인접한 제 4 핀(104) 사이의 전방 피치, 제 1 핀(101)과 제 1 핀(101)에 인접한 제 2 핀(102) 사이의 후방 피치 P12, 제 5 핀(105)과 제 5 핀(105)에 인접한 제 4 핀(104) 사이의 후방 피치는, 약 0.5 ∼ 1.5mm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하부면에는 연결 핀(100)들이 배치되는데,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상부면에는 보강 캡(cap)(23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강 캡(230)은, 제 1 핀(101)과 제 5 핀(105)에 중첩되지 않도록, 제 1 핀(101)과 제 5 핀(105) 사이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 캡(230)은,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전방 측면(220a)을 감싸도록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여기서, 벤딩된 보강 캡(230)은, 제 1 핀(101)과 제 5 핀(105)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보강 캡(230)이 전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인접하는 연결 핀(100)들과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전체적인 면적의 증가 없이도, 충전을 위한 제 1 핀(101)과 제 5 핀(105)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고전력 공급이 가능하고, 기존의 저전력 공급용 유에스비 커넥터 등과도 호환이 가능하다.
도 6a 내지 도 6c는 연결 핀들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상면도이며, 도 6c는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핀(100)은 다수 개가, 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연결 핀(100)들 중, 첫 번째 연결 핀(100)인 제 1 핀(101)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100)인 제 5 핀(105)은 이동 단말기의 충전을 위한 그라운드 핀(ground pin) 또는 파워 핀(power pin)일 수 있으며, 제 1 핀(101)과 제 5 핀(105) 사이의 연결 핀(100)인 제 2, 제 3, 제 4 핀(102, 103, 104)들은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시그널 핀(signal pin)일 수 있다.
그리고, 고전력 공급을 위해, 다수의 연결 핀(100)들 중, 그라운드 핀(ground pin) 또는 파워 핀(power pin)의 면적은,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시그널 핀(signal pin)의 면적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여기서, 첫 번째 연결 핀인 제 1 핀(101)의 면적 S1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인 제 5 핀(105)의 면적 S5은, 제 1 핀(101)과 제 5 핀(105)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핀(102)의 면적 S2, 제 3 핀(103)의 면적 S3, 제 4 핀(104)의 면적 S4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때, 제 1 핀(101)의 면적 S1과 제 5 핀(105)의 면적 S5은 서로 동일 할 수 있다.
또한, 제 2 핀(102)의 면적 S2, 제 3 핀(103)의 면적 S3, 제 4 핀(104)의 면적 S4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음, 첫 번째 연결 핀인 제 1 핀(101)의 폭 W1과, 마지막 번째 연결 핀인 제 5 핀(105)의 폭 W5은, 제 1 핀(101)과 제 5 핀(105)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핀(102)의 폭 W2, 제 3 핀(103)의 폭 W3, 제 4 핀(104)의 폭 W4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때, 제 1 핀(101)의 폭 W1과 제 5 핀(105)의 폭 W5은 서로 동일 할 수 있다.
또한, 제 2 핀(102)의 폭 W2, 제 3 핀(103)의 폭 W3, 제 4 핀(104)의 폭 W4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핀(101)과 제 2 핀(102) 사이는 제 1 간격 d1을 가지고, 제 2 핀(102)와 제 3 핀(103) 사이는 제 2 간격 d2를 가지며, 제 3 핀(103)과 제 4 핀(104) 사이는 제 3 간격 d3을 가지고, 제 4 핀(104)과 제 5 핀(105) 사이는 제 4 간격 d4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간격 d1, 제 2 간격 d2, 제 3 간격 d3 및 제 4 간격 d4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어, 연결 핀(100)은, 전방 끝단부(110), 전방부(120), 후방부(130), 후방 끝단부(14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핀(100)의 전방 끝단부(110)는 상측 방향으로 일정 높이 h11만큼 벤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핀(100)의 전방부(120)는 커넥터 하우징(도 4c의 200)의 가이드 플레이트(도 4c의 22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이어, 연결 핀(100)의 후방부(130)는 하측 방향으로 벤딩되고, 커넥터 하우징(도 4c의 200)의 절연 몸체(도 4c의 21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다음, 연결 핀(100)의 후방 끝단부(140)는 커넥터 하우징(도 4c의 200)의 절연 몸체(도 4c의 210)로부터 일부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면적이 가장 넓은 제 1 핀(101) 및 제 5 핀(1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동 단말기의 충전을 위한 그라운드 핀(ground pin) 또는 파워 핀(power pin)일 수 있고, 제 2, 제 3, 제 4 핀(102, 103, 104)은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시그널 핀(signal pin)일 수 있다.
이처럼, 면적이 가장 넓은 제 1 핀(101) 및 제 5 핀(1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동 단말기의 충전을 위한 그라운드 핀 또는 파워 핀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배터리 용량이 큰 이동 단말기에, 높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커버의 체결 홈 및 체결 돌기를 갖는 고전력 공급용 커넥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는 연결 핀(100)의 전방부가 개방되는 제 1 개구(300a)와, 연결 핀(100)의 후방부가 개방되는 제 2 개구(30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a와 같이, 제 1 개구(300a)를 형성하는 커버(300)의 내측에는 외부의 커넥터와 체결하기 위한 제 2 체결 홈(3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체결 홈(320)은 보강 캡(230)을 마주하는 커버(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300)의 제 1 개구(300a)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이 되는 고전력 공급용 커넥터(500)은, 하우징(501)의 상부(501a)에 제 1 체결 돌기(51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전력 공급용 커넥터(500)의 하우징(501) 내에는 지지부(503)와, 지지부(503) 위에 배치되는 다수의 핀(502)들과 서로 인접하는 핀(502)들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층(504)이 배치될 수 있다.
이어, 도 7b와 같이, 연결 핀(100)을 마주하는 커버(300)의 내측에는 제 2 체결 홈(32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커버(300)의 제 1 개구(300a)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이 되는 고전력 공급용 커넥터(500)은, 하우징(501)의 하부(501b)에 제 2 체결 돌기(520)가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7c와 같이, 연결 핀(100)을 마주하는 커버(300)의 내측에는 제 1, 제 2 체결 홈(310, 320)이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제 2 체결 홈(310, 320)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커버(300)의 제 1 개구(300a)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이 되는 고전력 공급용 커넥터(500)은, 하우징(501)의 상부(501a) 및 하부(501b)에 제 1, 제 2 체결 돌기(510, 5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개구(300a)를 형성하는 커버(300)의 내측에 제 1, 제 2 체결 홈(310, 320) 중 적어도 하나를 배치할 수 있다.
이처럼, 커버(300)의 내측에 제 1, 제 2 체결 홈(310, 320)을 배치하는 이유는,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이 제한 없이 다른 인터페이스 장치에 체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장치에는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전용 체결 홈을 배치하고,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장치에 체결되는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커넥터에는 전용 체결 돌기를 배치함으로써, 전용 체결 돌기를 갖는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커넥터가 본 발명의 고전력용 인터페이스 장치 이외에 기존의 저전력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체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일,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커넥터가 전용 체결 돌기가 없다면, 기존의 저전력용 인터페이스 장치에도 쉽게 체결될 수 있어, 고전력의 공급으로 인하여 저전력용 인터페이스 장치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장치에는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전용 체결 홈을 배치되므로, 전용 체결 돌기를 갖는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커넥터가 체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용 체결 돌기가 없는 기존의 저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커넥터도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충전을 위한 연결 핀의 크기를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연결 핀보다 더 크게 배치함으로써, 고전력 공급뿐만 아니라, 저전력의 공급에도 모두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충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전용 체결 홈이 배치됨으로써, 고전력 공급용 케이블이 제한 없이 다른 인터페이스 장치에 체결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국제 규격에 적합한 크기를 유지함으로써, 다양한 휴대 기기에 호환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연결 핀 200 : 커넥터 하우징
210 : 절연 몸체 220 : 가이드 플레이트
230 : 보강 캡 240 : 절연 측벽
300 : 커버

Claims (10)

  1. 다수의 연결 핀(connection pin)들;
    상기 다수의 연결 핀들을 절연시키는 커넥터 하우징(connetor housing); 그리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커버하는 커버(cover)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연결 핀들의 후방부를 감싸는 절연 몸체(insulating body);
    상기 절연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연결 핀들의 전방부를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연결 핀들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 인접한 첫 번째 연결 핀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타측에 인접한 마지막 번째 연결 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첫 번째 연결 핀과 상기 마지막 번째 연결 핀 사이에 배치되는 다른 연결 핀들 보다 더 큰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연결 핀과 상기 마지막 번째 연결 핀 사이의 전방 피치(pitch)는 2.0 ∼ 4.0mm이고, 상기 첫 번째 연결 핀과 상기 마지막 번째 연결 핀 사이의 후방 피치는 3.0 ∼ 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인터페이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연결 핀과 그에 인접한 다른 연결 핀 사이의 전방 피치, 또는 상기 마지막 번째 연결 핀과 그에 인접한 다른 연결 핀 사이의 전방 피치는 0.5 ∼ 1.2mm이고, 상기 첫 번째 연결 핀과 그에 인접한 다른 연결 핀 사이의 후방 피치, 또는 상기 마지막 번째 연결 핀과 그에 인접한 다른 연결 핀 사이의 후방 피치는 0.8 ∼ 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연결 핀 또는 상기 마지막 번째 연결 핀의 폭은 상기 첫 번째 연결 핀과 상기 마지막 번째 연결 핀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핀의 폭보다 더 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연결 핀 또는 상기 마지막 번째 연결 핀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측면을 감싸도록 벤딩(bending)되는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연결 핀들 사이에는 절연 측벽(insulating sidewall)이 배치되고, 상기 절연 측벽의 두께는 상기 연결 핀들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연결 핀 또는 상기 마지막 번째 연결 핀은, 상기 절연 측벽이 일측에만 배치되고, 상기 첫 번째 연결 핀과 상기 마지막 번째 연결 핀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핀들은, 상기 절연 측벽이 양측에 모두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면에는 상기 연결 핀들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보강 캡(cap)이 배치되며,
    상기 보강 캡은,
    상기 첫 번째 연결 핀과 상기 마지막 번째 연결 핀에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첫 번째 연결 핀과 상기 마지막 번째 연결 핀 사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캡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전방 측면을 감싸도록 벤딩(bending)되고,
    상기 첫 번째 연결 핀과 상기 마지막 번째 연결 핀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cover)는,
    상기 연결 핀의 전방부가 개방되는 제 1 개구와,
    상기 연결 핀의 후방부가 개방되는 제 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커버의 내측에는 외부의 커넥터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 홈이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120140877A 2012-12-06 2012-12-06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KR20140073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877A KR20140073120A (ko) 2012-12-06 2012-12-06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TW102111677A TW201424138A (zh) 2012-12-06 2013-04-01 移動終端機的介面裝置
TW102205993U TWM459561U (zh) 2012-12-06 2013-04-01 移動終端機的介面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877A KR20140073120A (ko) 2012-12-06 2012-12-06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120A true KR20140073120A (ko) 2014-06-16

Family

ID=4948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877A KR20140073120A (ko) 2012-12-06 2012-12-06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73120A (ko)
TW (2) TW20142413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459561U (zh) 2013-08-11
TW201424138A (zh)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4313B1 (en) Connector and connection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US20120135642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0483704B1 (en) Cable with multiple electrical connectors
US9033739B2 (en) Techniques for shielding connectors that allow for conformal coating against corrosion
RU2532249C2 (ru) Низкопрофильная вилочная часть разъема
US20120021629A1 (en) Intelligent electrical connector
US20080188117A1 (en) Electrical adapter box within improved fastening structure
JP5129402B1 (ja) コネクタ接続構造及び電子機器
US8986051B2 (en) Socket connector, plug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9231349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40073120A (ko)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US8877368B2 (en) Thin battery
KR101658200B1 (ko) 모바일 단말을 위한 휴대용 무선 충전 장치
US9059457B2 (en) Thin battery
KR200453310Y1 (ko) 안테나가 탑재된 다기능 젠더
TWM451680U (zh) 線纜連接器組合
US9231321B2 (en) Slim-profile hard-disk drive connector
CN203932371U (zh) 移动终端机的接口装置
WO2020158781A1 (ja) 配線器具
CN102347534A (zh) 智能电连接器
JP3185242U (ja) コネクタ用部品及び携帯機器充電用コネクタ
TWM643702U (zh) 具有複數接地路徑所形成屏蔽機制的連接器
CN104638402A (zh) 移动终端机的接口装置
CN107528183A (zh) 连接器公头、连接器组件以及终端***
TW201324991A (zh) 薄型通訊連接器及使用此連接器之電子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