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1157A -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1157A
KR20140071157A KR1020120139182A KR20120139182A KR20140071157A KR 20140071157 A KR20140071157 A KR 20140071157A KR 1020120139182 A KR1020120139182 A KR 1020120139182A KR 20120139182 A KR20120139182 A KR 20120139182A KR 20140071157 A KR20140071157 A KR 20140071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information
call
processing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호
우석윤
이상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9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1157A/ko
Priority to CN201310628886.XA priority patent/CN103853493B/zh
Priority to AU2013263834A priority patent/AU2013263834A1/en
Priority to US14/093,231 priority patent/US20140155123A1/en
Priority to EP13195333.3A priority patent/EP2739021B1/en
Publication of KR20140071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정보 운용 기능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기능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과정, 상기 기능 화면 표시 중에 다른 기능 운용에 따른 기능 알림 정보 및 상기 기능 알림 처리를 위한 기능 처리 정보를 상기 기능 화면이 표시 중인 표시부에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정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Information Output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의 정보 출력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운용 상태에서 단말기에서 발생한 특정 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그리고 보다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통신 기능을 가지며 그 크기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아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최근 들어 터치스크린 크기가 확대됨과 아울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지원에 힘입어 극적인 성장을 구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 단말기는 다양한 통신 모듈을 탑재하고, 탑재된 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종래 단말기는 이동통신 기능 지원을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을 탑재하고, 해당 이동통신 모듈을 기반으로 음성 통화 서비스, 메시지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데이터 서비스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서버 장치들이 제작한 컨텐츠를 단말기가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종래 단말기의 기능 향상에 따라 다양한 기능들을 탑재하고, 다양한 기능들을 동시에 운용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단말기는 음악 청취 기능을 제공하면서 갤러리 검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단말기는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라 특정 메시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단말기는 통화 호 수신이 발생하면, 통화 호 수신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한다. 이 과정에서 종래 단말기는 현재 수행되고 있는 기능에 관계없이 통화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지원했기 때문에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해당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불편함이 존재했다. 더욱이 해당 작업이 사용자에게 무척 중요한 작업인 경우에서 상술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에게 단순히 불편함을 주는 차원에서 벗어나 특정 피해를 주는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사용자 친화적인 정보 출력을 지원함으로써, 작업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 운용과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능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과정, 상기 기능 화면 표시 중에 다른 기능 운용에 따른 기능 알림 정보 및 상기 기능 알림 처리를 위한 기능 처리 정보를 상기 기능 화면이 표시 중인 표시부에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정보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 기능 운용에 따라 특정 기능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기능 화면 표시 중에 다른 기능 운용에 따른 기능 알림 정보 및 상기 기능 알림 처리를 위한 기능 처리 정보를 상기 기능 화면이 표시 중인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 특정 기능 운용에 따라 해당 기능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기능 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통화 호 수신 시 통화 호 수신 알림 정보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통화 호 수신 또는 거절 중 어느 하나의 기능 처리를 위한 통화 호 처리 정보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 특정 기능 운용에 따라 해당 기능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기능 화면이 표시되는 중에 통화 호 수신 시 통화 호 수신 알림 정보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통화 호 수신 직전에 발생한 터치 이벤트 지점 또는 직전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한 터치 이벤트 궤적을 수집하는 과정, 상기 통화 호 수신 또는 거절 중 어느 하나의 기능 처리를 위한 통화 호 처리 정보 영역을 출력하되, 상기 터치 이벤트 지점 또는 상기 터치 이벤트 궤적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 특정 기능 운용에 따라 해당 기능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기능 화면 표시 중에 통화 호 수신 시 통화 호 수신 알림 정보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통화 호 처리를 위한 입력 이벤트를 상기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 키 선택에 의해 생성하도록 안내하는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 특정 기능 운용에 따라 해당 기능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기능 화면 표시 중에 통화 호 수신 시 통화 호 수신 알림 정보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통화 호 처리를 위한 입력 이벤트를 상기 단말기의 터치 패널 기반의 터치 제스처로 생성하도록 안내하는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 특정 기능 운용에 따라 해당 기능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기능 화면 표시 중에 통화 호 수신 시 통화 호 수신 알림 정보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통화 호 수신 알림 정보 영역을 기반으로 통화 호 처리를 위한 입력 이벤트를 생성하도록 안내하는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 특정 기능 운용에 따라 해당 기능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기능 화면 표시 중에 메시지 수신 시 메시지 수신 알림 정보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메시지 수신 처리를 위한 기능 처리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메뉴 아이콘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메뉴 아이콘 화면 표시 중에 스케줄 알람 기능에 따른 스케줄 기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스케줄 알림 기능 처리를 위한 기능 처리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메뉴 아이콘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메뉴 아이콘 화면 표시 중에 통화 호 수신 기능에 따른 통화 호 수신 알림 정보 및 상기 수신된 통화 호 처리를 위한 기능 처리 정보를 상기 메뉴 아이콘 화면 상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말기 운용에 따라 출력되는 기능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정보 인식을 할 수 있으며, 보다 직관적인 정보의 인식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 출력 범위를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 연속성을 보장하고 출력된 정보의 처리를 위한 사용의 다양한 선택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단말기 구성 중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일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다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일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다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정보 운용 기능을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운용되는 상황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보 운용 기능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기능 운용 중에 다른 단말기 기능 운용에 따라 발생하는 기능 정보의 출력뿐만 아니라 특정 어플리케이션 기능 운용이 없는 상태 예컨대 대기 화면 상태나 메뉴 화면 상태, 메뉴 아이콘들을 표시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정보 운용 기능은 기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로서 예컨대, 휴대용 전자 단말기, 단말 패드, 태블릿 PC, 단말 노트, PC 단말, 스마트 TV 등 다양한 장치들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단말기는 상황에 따라 멀티태스킹 기능이 지원되는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정보 출력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센서부(17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단말기(1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단말기(100)의 다른 특정 어플리케이션 이용을 위한 단말기(100)의 소프트웨어 운용 및 특정 하드웨어 운용 과정 중에 발생하는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 정보를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된 표시부(140) 화면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이때 단말기(100)는 어플리케이션 운용 화면의 출력 상태를 유지하면서, 기능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운용 화면 상에 오버레이시켜 출력하거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리사이징하여 표시부(140)의 일정 공간을 확보하고, 해당 공간에 기능 정보를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기능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해당 기능 정보의 종류나 기능 정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 알림 정보와, 해당 기능 정보를 기반으로 운용 가능한 기능 처리 정보를 각각 구분된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기능 처리 정보는 특정 오브젝트 예컨대 아이콘이나 특정 이미지 또는 특정 텍스트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선택 시, 사전 할당된 특정 기능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기능 처리와 관련하여 단말기(100)의 조작 설명을 포함하는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를 상기 표시부(140) 상에 더 표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는 단말기(100)에 마련된 버튼 키 및 터치 제스처 등을 이용하여 특정 기능 처리 방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특정 오브젝트 예컨대 텍스트나 이미지,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단말기(100)에 마련된 센서부(170) 기반으로 특정 동작 제스처나 근접도, 광 변화 등을 기반으로 기능 처리하도록 안내하는 정보 및 음성 인식 등을 통하여 발생된 기능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100)의 가이드 정보 안내에 다라 특정 기능 처리를 위하여 버튼 키 누름, 특정 터치 제스처를 터치 기능의 표시부(140)에서 생성, 특정 단말기 동작 조작, 특정 음성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기능 정보는 통화 호 수신 기능, 문자나 이메일 또는 채팅 메시지 수신 기능, 스케줄 알림 기능, 시간 알람 기능, 특정 어플리케이션이나 단말기의 시스템 업데이트 기능 등 다양한 예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능 지원을 위하여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음성 또는 화상 통화 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 데이터 송수신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110)는 기지국 등과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해당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상술한 통신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 지원을 위하여 해당 통신 방식 지원이 가능한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부(110)는 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위한 통화 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타 단말기가 제공한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 메시지 또는 채팅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통신부(110)는 사전 정의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특정 서버 장치에 접속을 수행하고 해당 서버 장치가 제공하는 메시지 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 운용에 따라 생성된 기능 정보는 표시부(140) 및 기타 출력 수단 예컨대 진동 수단 또는 오디오 처리부(13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10) 운용에 따른 기능 정보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고 있는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상기 표시부(140) 일측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제어에 따라 통화 연결 등 통신 채널 이용을 위한 기능 처리 정보 선택이 발생하면 통신부(110)는 해당 선택에 따른 통신 채널 운용을 지원한다.
입력부(120)는 단말기(100) 조작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입력부(120)는 홈 키,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말기(100)의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 형태 또는 터치 패널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표시부(140)가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가상 터치패드를 기반으로 입력부(120)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120)는 스타일러스 펜이나 전자기 유도 펜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활성화하도록 요청하는 입력 신호, 특정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중에 출력된 기능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특정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입력 신호는 제어부(160)에 전달되어 해당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어로 동작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 포함된 홈 키, 사이드 키 등과 관련된 본 발명의 기능 정보 처리에 관하여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100) 운용에 따른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지원하기 위해 스피커를 포함한다. 단말기(100)가 통화 기능이나 녹음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데이터 수집을 위한 마이크 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기능 정보 출력이 요청되면, 해당 기능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음 또는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처리부(13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운용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다가 다른 어플리케이션 운용과 관련된 기능 정보를 요청받는 경우, 특정 어플리케이션 운용과 관련된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 운용에 따른 오디오 신호 수집 및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처리부(13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과 출력이 요청된 기능 정보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출력과 일시 정지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출력이 요청된 기능 정보가 메시지 기능인 경우 오디오 처리부(13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관련 오디오 신호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출력이 요청된 기능 정보가 통화 기능인 경우 통화 연결 요청이 발생하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관련 오디오 신호 출력을 일시 중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오디오 처리부(130)는 통화 기능이 종료되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관련 오디오 신호 출력을 재개하도록 지원한다.
한편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부(130)는 기능 정보에 포함된 기능 처리 정보 선택을 위한 음성 신호 수집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처리부(13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또는 디폴트로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능 처리 정보 선택을 위해 음성 인식 기능이 제공되고 있음을 안내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마이크(MIC)가 수집한 음성 신호를 음성 인식 처리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제공하여 해당 음성 인식 결과에 따른 기능 처리를 지원한다.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40)는 사용자가 활성화를 요청한 특정 어플리케이션 관련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관련 화면 출력 중에 기능 정보 출력이 요청되면, 요청된 기능 정보를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표시 기능 이외에 입력 기능 지원을 위하여 터치 패널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다양한 가상 키 맵에 대응하여 터치 패널의 유효 영역 설정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기능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능 알림 정보, 기능 처리 정보,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이미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화면 상에 오버레이되어 출력되거나 어플리케이션 화면 이외에 별도로 할당된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기능 정보 출력과 운용에 대하여 후술하는 다양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단말기(100)가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프로그램 지원 또는 프로그램 운용에 따른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어플리케이션 선택을 위한 아이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는 기능 정보 운용 프로그램(151)을 저장할 수 있다.
기능 정보 운용 프로그램(151)은 단말기(100) 운용 과정에서 발생된 기능 정보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특히 기능 정보 운용 프로그램(151)은 기능 정보 발생을 확인하는 정보 확인 루틴,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기능 정보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정보 출력 루틴, 표시부(140)에 출력된 기능 정보의 처리를 위한 입력 신호를 수집하는 처리 신호 수집 루틴, 수집된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기능 처리를 지원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출력 루틴은 기능 정보 중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조작 형태에 따라 기능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루틴, 기능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화면 상에 오버레이 시켜 출력하는 루틴, 화면 리사이징을 수행하고 상기 기능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화면과 구분되는 영역에 출력하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 루틴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기능 정보를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신호 수집 루틴은 정보 출력 루틴에 의하여 출력된 기능 정보 중 기능 처리 정보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집하는 루틴으로서, 기능 처리 정보의 형태에 따라 아이콘 선택을 위한 터치 이벤트나, 특정 제스처 터치 이벤트, 버튼 키 선택 이벤트, 동작(Motion) 제스처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루틴이다. 이를 위하여 처리 신호 수집 루틴은 기능 처리 정보에 따른 입력 수단에 전원을 공급하고, 해당 입력 수단 예컨대 터치 패널, 센서부(170), 입력부(120)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이벤트를 수집할 수 있다.
센서부(170)는 단말기(100)의 동작이나 움직임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한다. 예컨대 센서부(170)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압력 센서, 고도 센서, 위치 정보 수집 센서, 이미지 수집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센서부(170)는 단말기(100)의 동작 정보나 특정 움직임 상태 예컨대 기울임 상태 등에 대한 센서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센서부(170)가 활성화되는 시점은 본 발명의 정보 운용 기능 활성화 등을 위한 사전 정의된 특정 동작 제스처 이벤트 수집 시점, 본 발명의 정보 운용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기능 정보 출력이 요청되는 시점, 기능 처리 정보의 선택에 따라 해당 기능 처리 중 추가로 다른 기능을 처리하기 위한 입력 이벤트 수집이 요청되는 시점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70) 활성화 시점에 대해 후술하는 실시 예와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60)는 단말기(100) 동작 제어와 관련된 전반적인 신호 흐름과 데이터 처리 및 전달과 저장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정보 운용 기능 지원을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의 구성 중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입력 이벤트 수집 처리부(161), 기능 정보 출력 지원부(163), 기능 처리 지원부(165)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이벤트 수집 처리부(161)는 단말기(100)의 입력부(120) 및 입력 기능의 표시부(140), 센서부(170), 입력 기능 예컨대 음성 인식기반 입력 기능 지원을 위한 오디오 처리부(130)로부터 발생되는 다양한 입력 신호 또는 입력 이벤트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특히 입력 이벤트 수집 처리부(161)는 본 발명의 정보 운용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이벤트를 수집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정보 운용 기능을 위한 모드 선택 메뉴, 모드 선택 아이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이벤트 수집 처리부(161)는 정보 운용 기능 활성화가 선택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기능 정보 출력 지원부(163)에 전달한다.
또한 입력 이벤트 수집 처리부(161)는 정보 운용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기능 정보 출력이 요청된 후, 특정 기능 처리 정보에 해당하는 입력 이벤트를 수집한다. 예컨대 입력 이벤트 수집 처리부(161)는 기능 처리 정보 선택을 위한 터치 이벤트,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에서 안내하는 입력 이벤트 생성에 해당하는 버튼 키 선택 이벤트, 특정 터치 제스처 이벤트, 특정 동작 제스처 이벤트, 특정 음성 인식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입력 이벤트 수집 처리부(161)는 해당 입력 이벤트가 수집되면 이를 기능 처리 지원부(165)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이벤트 수집 처리부(161)는 특정 기능 처리 중에 추가로 입력되는 입력 이벤트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추가 입력 이벤트 또한 기능 처리 지원부(165)에 제공할 수 있다. 별도로 입력 이벤트 수집 처리부(161)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멀티태스킹 환경인 경우 특정 어플리케이션 운용을 위한 입력 이벤트를 수집하고, 이를 기능 정보 출력 지원부(163)에 제공할 수 있다.
기능 정보 출력 지원부(163)는 기능 정보를 표시부(140)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기능 정보 출력 지원부(163)는 발생하는 기능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기능 정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정보 출력 지원부(163)는 통화 호 수신 시, 통화 호 수신 알림을 위한 기능 알림 정보, 수신 통화 호 처리를 위한 기능 처리 정보의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추가로 기능 정보 출력 지원부(163)는 설정에 따라 수신 통화 호 처리를 위한 단말기 조작을 안내하는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정보 출력 지원부(163)는 특정 기능 처리 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기능 처리 과정에서 추가로 필요한 추가 기능 처리 정보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한편 기능 정보 출력 지원부(163)는 기능 정보 출력 시, 기능 정보 출력 직전 일정 시간 동안의 단말기 조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단말기 조작 상태에 따라 기능 정보의 출력 위치 및 출력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적응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기능 정보 출력 지원부(163)는 터치 기반의 기능 처리 정보 출력 시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 수집이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하지 않던 일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처리 정보 출력 기능은 추가 기능 처리 정보 출력 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기능 정보 출력 지원부(163)는 기능 정보 출력 시 설정에 따라 기능 처리 정보 기능을 가지는 기능 알림 정보 출력을 지원할 수도 있다.
기능 처리 지원부(165)는 기능 정보 중 기능 처리 정보 선택을 위한 입력 이벤트를 입력 이벤트 수집 처리부로부터 수신하면 이에 대한 기능 처리를 지원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기능 처리 지원부(165)는 해당 기능 처리와 함께 추가 기능 처리를 위한 새로운 기능 처리 정보의 출력 및 이에 대한 추가 입력 이벤트 수집에 따른 추가 기능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호 수신의 경우 기능 정보 출력 지원부(163)에 의해 기능 처리 정보가 표시부(140)에 출력되는데, 사용자가 통화 연결에 해당하는 기능 처리 정보를 선택하면, 기능 처리 지원부(165)는 통화 연결을 위한 통신부(110) 활성화 및 통신 채널 형성 등의 단말기(100)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능 정보 출력 지원부(163)는 추가 기능 처리 정보 예컨대 통화 종료 등의 추가 기능 처리 정보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데, 기능 처리 지원부(165)는 사용자가 통화 종료에 해당하는 추가 기능 처리 정보를 선택하면 통화 종료를 위한 단말기(100) 운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처리 지원부(165)는 메시지 수신에 해당하는 기능 정보 운용 시, 해당 메시지 확인을 위한 기능 처리 정보 선택이 발생하면 메시지 확인을 위한 표시부(140)의 화면 리사이징이나, 투명도 처리, 오버레이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한다. 그리고 기능 처리 지원부(165)는 답장 작성을 위한 추가 기능 처리 정보 선택이 발생하면 이를 위한 가상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메시지 작성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기능 처리 지원부(165)는 해당 메시지 작성 화면을 이전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일정 부분 오버레이시켜 출력하거나 화면 분할을 수행한 후 일정 공간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면 기능 처리 지원부(165)는 해당 메시지의 전송을 제어하고, 기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부(140)에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 운용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100)는 단말기 운용에 따른 기능 출력 시, 현재 표시부(140)의 화면 상태 또는 실행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상태 전환을 수행하지 않고, 기능 정보를 적응적으로 출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단말기 운용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기능 정보 인식과 처리를 위하여 보다 직관적이며 활용이 편리하도록 기능 정보를 배치함으로써, 단말기 조작과 관련된 혼란 발생을 억제하고 용이하게 기능 정보를 처리하도록 지원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 지원을 위한 단말기(100)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운용 방법은 먼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가 301 단계에서 전원부의 전원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공급하여 단말기 조작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303 단계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운용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화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305 단계에서 기능 정보 출력 요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기능 정보 출력 요청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307 단계로 분기하여 어플리케이션 종료를 위한 입력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어플리케이션 종료를 위한 입력 이벤트 발생이 없는 경우 303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운용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대기 화면 제공 기능, 메뉴 화면 제공 기능, 메뉴 아이콘 제공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어플리케이션 기능은 게임 기능, 서버 장치 접속 기능, 스케줄 작성 기능, 메시지 작성 기능, 카메라 기능, 방송 수신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파일 편집 기능 등 다양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305 단계에서 기능 정보 출력 요청이 발생한 경우 예컨대, 통화 호나 메시지가 수신되었거나, 특정 스케줄 알람이 도래하는 등의 다른 어플리케이션 기능 운용을 위한 기능 정보 출력이 요청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309 단계로 분기하여 표시부(140) 상에 기능 정보를 일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60)는 기능 정보를 출력하되, 구분이 가능한 적어도 두 곳의 영역에 기능 정보를 배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기능 알림 정보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특정 영역(예컨대, 화면의 상단이나 화면 정 중앙)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기능 운용과 관련이 없는 화면 영역(예컨대, 기능 정보 출력 요청이 발생하기 직전 사전 정의된 일정 시간 동안 터치 이벤트가 발생이 없는 영역, 어플리케이션 기능 운용에 따른 화면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은 영역 등)을 선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기능 알림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화면 상의 해당 영역에 오버레이시켜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일정 크기만큼 리사이징하여 어플리케이션 기능과 구분되는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고, 해당 공간에 기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기능 처리 정보를 기능 알림 정보와 구분된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기능 알림 정보를 표시부(140) 상단에 출력하도록 지정한 경우, 제어부(160)는 기능 처리 정보를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선택하고 운용할 수 있는 영역 예컨대 화면 중앙 또는 화면 중앙 하단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해당 기능 처리 정보 선택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화면 하단 일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기능 알림 정보에서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특정 영역 상에 기능 처리 정보를 오버레이 시켜 출력하거나 별도 영역을 확보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기능 정보 출력 과정에서 버튼 키 운용, 터치 제스처 이벤트 설명, 동작 제스처 이벤트 설명 등에 해당하는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는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 안내음으로도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311 단계에서 기능 처리를 위한 입력 이벤트 수신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기능 처리를 위한 입력 이벤트 예컨대 특정 기능 처리 정보 선택을 위한 터치 이벤트, 기능 처리를 위한 버튼 키 선택 이벤트나 동작 제스처 이벤트, 음성 인식 이벤트 등이 발생하면 313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 이벤트에 따른 기능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311 단계에서 기능 처리를 위한 입력 이벤트 수신이 없는 경우 315 단계로 분기하여 사전 정의된 일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317 단계로 분기하여 사전 정의된 디폴트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발생한 기능 정보 처리를 무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315 단계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309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 지원을 위한 단말기(100)는 내비게이션 기능 운용을 위한 사용자 요청이 발생하면 내비게이션 기능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내비게이션 기능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140)는 401 화면에서와 같이 내비게이션 기능 화면(40)을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내비게이션 운용 중에도 통신부(110) 운용을 지원하여 통화 호 수신 등의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통화 호가 수신되는 경우 403 화면에서와 같이 기능 알림 정보(30) 및 기능 처리 정보(210)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여기서 기능 알림 정보(30)는 통화 호 수신에 따른 통화 호 수신 알림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능 처리 정보(210) 및 추가 기능 처리 정보(220)는 통화 호 수신 처리와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한다.
기능 알림 정보(30)는 기능 정보 운용을 요청한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예컨대 기능 알림 정보(30)는 통화 호 수신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능 알림 정보(30)는 수신된 통화 호 관련 타 단말기의 전화번호나 타 단말기 사용자 이름 등을 포함하는 식별 정보, 타 단말기 사용자 관련 사진이나 기타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폰북 정보, 기능 정보 처리 상태를 나타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처리 정보(210)는 기능 정보 운용을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처리를 위한 구성이다. 예컨대 기능 처리 정보(210)는 403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연결을 위한 제1 기능 처리 정보(51), 통화 거절을 위한 제2 기능 처리 정보(52), 스피커 모드 처리를 위한 제3 기능 처리 정보(5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기능 처리 정보(51) 선택을 위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면 제어부(160)는 통화 연결을 수행하는 한편, 405 화면에서와 같은 추가 기능 처리 정보(220)를 출력할 수 있다. 추가 기능 처리 정보(220)는 통화 종료를 위한 제4 기능 처리 정보(54), 숫자나 문자 입력을 위한 가상 터치패드 호출을 위한 제5 기능 처리 정보(55)를 포함하며, 스피커 모드 전환을 위한 제3 기능 처리 정보(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기능 처리 정보(53)는 기능 처리 상태에 따라 기능 처리 정보(210) 또는 추가 기능 처리 정보(220)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403 화면에서 통화 거절을 위한 제2 기능 처리 정보(52)가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통화 연결을 거절하기 위한 기능 처리를 지원하는 한편, 401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기능 처리 정보(210) 선택에 해당하는 입력 이벤트가 없으면 디폴트 처리로서 제2 기능 처리 정보(52) 선택과 동일한 기능 처리를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한편 403 화면 및 405 화면에서 기능 처리 정보(210) 및 추가 기능 처리 정보(220)는 내비게이션 기능 운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일정 투명도를 가지며 표시부(14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기능 처리 정보(210) 및 추가 기능 처리 정보(220)를 내비게이션 기능 운용의 핵심인 방향 지시자(39)와 오버랩 되지 않는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기능 알림 정보(30) 표시를 위하여 403 화면 및 405 화면에서와 같이 내비게이션 기능 화면(40)을 리사이징하여 별도 공간을 확보하고, 확보된 공간에 기능 알림 정보(30)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403 화면 및 405 화면에서의 기능 알림 정보(30)는 각각 기능 처리 상태에 따라 다른 정보를 제공하도록 지원한다. 즉 403 화면에서 기능 알림 정보(30)는 통화 호 수신 중임을 나타내는 "Ringing" 정보를 출력하고, 405 화면에서 기능 알림 정보(30)는 통화 연결에 따른 "connected"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내비게이션 기능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제공된 상태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 기능인 통화 호 수신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기능 정보를 제공하되, 기능 알림 정보(30)와 기능 처리 정보(210)를 각각 구분하여 출력함으로써 기능 정보 발생 인식을 보다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기능 처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단말기(100)는 기능 처리 시에도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출력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을 위한 단말기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기능 화면을 내비게이션 기능 화면으로서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기능 화면은 내비게이션 기능 화면뿐만 아니라 이하에서 설명하는 게임 기능 화면, 메뉴 아이콘 화면 등도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 운용 화면, 파일 재생 화면, 파일 편집 화면, 갤러리 화면, 방송 수신 화면, 스케줄 관련 화면, 메모나 노트 작성 화면, 웹 접속 화면, 대기 화면 등 단말기가 지원하는 다양한 화면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또는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내비게이션 기능을 활성화하고 그에 따른 내비게이션 기능 화면(40)을 501 단계에서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503 단계에서 통화 호 수신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통화 호 수신이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5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503 단계에서 통화 호 수신이 있는 경우 505 단계로 분기하여 통화 호 관련 기능 알림 정보(30) 및 기능 처리 정보(210)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이전 실행 중인 내비게이션 기능 화면(40)이 표시부(140)에 출력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통화 호 관련 기능 알림 정보(30) 및 기능 처리 정보(210) 출력 시 해당 정보들을 내비게이션 기능 화면(40) 상에 오버레이 시켜 출력하거나, 내비게이션 기능 화면(40)을 리사이징한 후, 일정 공간을 확보하고, 해당 공간에 기능 알림 정보(30)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기능 알림 정보(30)는 표시부(140)의 화면 상단에 출력하도록 지원하고, 기능 처리 정보(210)는 기능 알림 정보(30)가 출력된 위치와 상기 기능 알림 정보(30)가 출력된 위치에 대향되는 표시부(140) 가장자리 영역들 사이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기능 처리 정보(210) 선택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기능 처리 정보(210)를 표시부(140) 하측 가장자리 영역에 치우쳐 배치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다른 방식으로 제어부(160)는 내비게이션 기능 화면(40)을 리사이징하여 표시부(140) 상단 일정 공간을 확보하고 해당 공간에 기능 알림 정보(30)를 출력하는 한편, 기능 처리 정보(210)는 내비게이션 기능 화면(40)의 일측에 오버레이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기능 알림 정보(30)를 화면 상태에 출력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기능 알림 정보(30)는 화면의 하단이나 화면 좌우측에도 출력될 수 있다. 좌우측 출력 시, 기능 알림 정보(30)는 좌우측변에 나란한 방향으로 쓰일 수 있으며, 또한 세로 방향 쓰기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507 단계에서 기능 처리 정보 선택을 위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특정 기능 처리 정보가 선택되는 경우 509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내비게이션 기능 화면(40) 제공 상태에서 선택된 기능 처리 정보에 따른 기능 처리를 지원한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통화 연결을 수행하거나 통화 거절을 수행할 수 있다. 통화 연결 시 제어부(160)는 리시버 모드를 기반으로 통화 연결을 지원하거나, 스피커 모드를 기반으로 통화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 리시버 모드는 사용자가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해 마련된 리시버를 귀의 인접된 영역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모드로서 사전 정의된 일정 볼륨 크기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스피커 모드는 리시버 모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볼륨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귀에 인접된 영역에 배치시키지 않더라도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드이다. 상술한 리시버 모드 및 스피커 모드는 각각 별도의 장치 구성 즉 리시버와 스피커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기반으로 볼륨 크기 조절을 수행하여 해당 모드 지원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515 단계에서 기능 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기능 미완료 시 509 단계를 지원하며, 기능 완료 시에는 501 단계 이전으로 리턴하여 내비게이션 기능 화면(40)이 표시부(140)에 제공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추가로 내비게이션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종료하고, 사전 정의된 특정 화면이나 특정 상태 예컨대 대기 화면이나 슬립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507 단계에서 기능 처리 정보(210) 선택이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511 단계로 분기하여 사전 정의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사전 정의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505 단계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지원하며, 사전 정의된 시간 경과 시 513 단계에서 디폴트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디폴트 처리를 사용자 설정이나 설계자 설계 방식에 따라 다르게 지원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시간 경과 시 수신된 통화 호를 자동으로 거절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통화 로그에 부재중 통화 로그를 기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수신된 통화 호를 자동으로 거절함과 아울러 사전 정의된 거절 답장을 자동으로 통화 호 연결을 요청한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디폴트 처리로서 일정 시간 경과 시 통화 채널을 자동으로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디폴트 처리에 따른 기능이 완료되면 제어부(160)는 501 단계 이전으로 리턴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 지원을 위한 단말기(100)는 게임 기능 활성화 요청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인 게임 기능 화면(41)을 601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게임 기능 화면(41)이 표시부(140)에 출력되면 해당 게임 운용을 위한 입력 이벤트 수신을 위하여 터치 기능을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기능을 지원하는 표시부(140)를 이용하여 해당 게임 기능 운용을 위한 제1 터치 이벤트(21)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제1 터치 이벤트(21)는 위치 정보와 함께 제어부(16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수신된 제1 터치 이벤트(21)를 게임 기능에 적용하고 그에 따른 화면 변화를 지원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통화 호가 수신되면 603 화면에서와 같이 기능 알림 정보(30) 및 기능 처리 정보(210)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40)는 기능 알림 정보(30)를 화면 일측 예컨대 화면 상단에 출력하되 게임 기능 화면(41)과 중첩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603 화면 구성 과정에서 기능 처리 정보(210) 출력 시, 통화 호 수신 직전에 발생한 제1 터치 이벤트(21)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603 화면에서와 같이 제1 터치 이벤트(21)와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기능 처리 정보(210)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통화 호 수신에 따른 기능 처리 정보(210)가 표시부(140)에 출력되더라도 해당 기능 처리 정보(210)에 의한 게임 운용 방해를 최소화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는 게임 운용을 위한 터치 이벤트 생성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통화 호 수신 확인 및 해당 통화 호 처리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통화 연결을 위한 제1 기능 처리 정보(51)가 선택되면, 표시부(140)는 605 화면에서와 같이 통화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기능 알림 정보(30) 및 게임 기능 화면(41)이 포함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표시부(140)는 통화 연결 기능과 관련하여 추가 기능 처리를 위한 추가 기능 처리 정보들(220)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통화 거절을 위한 제1 기능 처리 정보(52)가 선택되면 601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도 6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데, 기능 처리 정보(210)의 출력 위치가 다르게 결정되는 기능 정보 출력을 나타낸 것이다. 즉, 701 화면에서와 같이 제2 터치 이벤트(22)가 화면의 하단에 치우친 영역에서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통화 호 수신에 따라 기능 처리 정보(210) 출력 시, 703 화면에서와 같이 기능 처리 정보(210)를 제2 터치 이벤트(22)가 발행한 지점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추가 기능 처리 정보(220) 역시 제2 터치 이벤트(22)가 발생한 지점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기능 처리 정보(210) 및 추가 기능 처리 정보(220) 선택을 위한 터치 이벤트 생성이 게임 기능 운용을 위한 터치 이벤트 생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통화 호 수신 직전에 발생한 터치 이벤트 적용과 관련하여, 통화 호 수신 직전에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한 복수의 터치 이벤트 또는 터치 이벤트 궤적을 확인하고, 해당 터치 이벤트들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설명에서는 단순히 기능 처리 정보(210)가 화면 상단 또는 하단에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기능 처리 정보 내지 제5 기능 처리 정보(51, 52, 53, 54, 55)들은 상술한 터치 이벤트들의 발생한 복수의 지점과 중첩되지 않도록 표시부(140)의 일정 영역에 산개하여 출력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기능 처리 정보(51)는 화면 우상단 모서리에 출력되고, 제1 기능 처리 정보(52)는 화면 우하단 모서리에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기능 처리 정보(210)는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유동적으로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60)는 게임 기능 화면(41) 상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와 연속되는 터치 드래그 이벤트나 플릭 이벤트(Flick event)의 궤적이 기능 처리 정보(210)가 위치한 지점과 중첩되는 경우 해당 기능 처리 정보(210)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기능 처리 정보(210)가 출력된 지점을 터치다운하는 이벤트 발생 시, 기능 처리 정보(210)를 선택하는 터치 이벤트 발생으로 인식하고 그에 따른 기능 처리를 지원할 수도 있다.
도 8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을 위한 단말기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게임 기능 활성화 요청에 따라 801 단계에서 게임 기능 화면(41)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803 단계에서 통화 호 수신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통화 호 수신이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8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803 단계에서 통화 호 수신이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805 단계로 분기하여 통화 호 수신 직전 터치 이벤트 발생 지점을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화 호 수신 직전 일정 시간 동안의 터치 이벤트 궤적을 수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807 단계에서 게임 기능 화면(41) 제공 상태에서 터치 이벤트 발생으로 확인된 확인 영역을 제외한 적어도 한 지점에 기능 정보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기능 알림 정보(30) 및 기능 처리 정보(21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화 호 수신 이전 일정 시간 동안 또는 직전에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이력이 없는 위치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809 단계에서 기능 처리 정보 선택을 위한 터치 이벤트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터치 이벤트 수신이 없는 경우 813 단계로 분기하여 일정 시간 경과 여부를 확인한다. 일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60)는 807 단계로 분기하여 기능 알림 정보(30) 및 기능 처리 정보(210)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일정 시간이 경과된 상태이면 815 단계로 분기하여 디폴트로 설정된 기능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디폴트 기능 처리 관련 설명은 앞서 설명한 디폴트 기능 처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809 단계에서 특정 기능 처리 정보 선택을 위한 터치 이벤트가 수집되면 811 단계로 분기하여 선택된 기능 처리 정보에 따른 기능 처리를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817 단계로 분기하여 기능 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기능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81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며, 기능이 완료된 경우에는 801 화면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 지원을 위한 단말기(100)는 게임 기능 활성화 요청에 따라 게임 기능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활성화에 따른 게임 기능 화면(41)을 901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터치 기능의 표시부(140)를 조작하여 게임 기능 운용을 위한 터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게임 기능 지원 과정에서 통화 호 수신이 가능하도록 통신부(110)를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통화 호가 수신되면 903 화면에서와 같이 게임 기능 화면(41)이 출력되고 있는 표시부(140) 상에 기능 알림 정보(30) 및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310)를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기능 알림 정보(30)는 앞서 다른 도면들에서 설명한 기능 알림 정보와 동일한 구성이 될 수 있다.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310)는 단말기(100)에 포함된 입력부(120) 특히 특정 버튼 키들을 이용하여 기능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음을 안내하는 정보이다. 예컨대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단말기(100)의 우측 측벽에는 사이드 키들(121, 122)이 마련될 수 있으며, 단말기(100) 케이스 전면 일측에는 홈 키(123)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통화 호 수신에 따른 기능 처리를 위하여 제1 사이드 키(121) 선택 시 실행되는 기능 처리에 관한 가이드 정보 즉 제1 가이드 정보(81)를 표시부(14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제1 가이드 정보(81)를 제1 사이드 키(121)가 물리적으로 배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표시부(140)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부(160)는 홈 키(123)에 대응하는 제2 가이드 정보(83)를 표시부(140) 일측에 출력하되, 홈 키(123)가 물리적으로 배치된 영역을 지시하는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가이드 정보 내지 제2 가이드 정보들(81, 83)을 통하여 어떠한 버튼 키를 선택하는 경우 어떠한 통화 호 수신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제2 가이드 정보(83)가 지시하는 홈 키(123)를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제어부(160)는 905 화면에서와 같이 통화 연결을 수행하도록 지원하고 그에 따른 상태를 기능 알림 정보(30)에 표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제1 가이드 정보(81)가 지시한 제1 사이드 키(121)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통화 거절을 수행하고 901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통화 연결 시, 통화 연결에 따른 추가 기능 처리를 위한 추가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320)를 909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추가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320) 표시를 지원하기 위하여,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이드 키(121)에 새로운 기능이 할당되었음을 제3 가이드 정보(84) 표시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사이드 키(122)에도 기능이 할당되었음을 안내하는 제4 가이드 정보(85)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홈 키(123)가 배치된 영역을 지시하는 새로운 내용의 제5 가이드 정보(86)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화 기능 수행 중에 상술한 사이드 키들(121, 122) 및 홈 키(123)를 이용하여 가이드 정보에서 안내하는 추가 기능 처리를 수행하도록 단말기(100)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사이드 키(121)가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통화 연결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2 사이드 키(122)가 눌려지면 리시버 모드를 스피커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홈 키(123) 선택 시, 통화 중 상태를 잠시 대기 상태로 천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가 현재 스피커 모드를 진행하고 있는 경우 제2 사이드 키(122)에 할당되는 제4 가이드 정보(85)는 리시버 모드 전환을 위한 내용으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310) 및 추가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320)를 게임 기능 화면(41) 상에 오버레이 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해당 정보들이 게임 기능 운용에 치명적인 방해를 주지 않도록 반투명하게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가이드 정보들상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통화 호 수신에 따른 기능 처리에 대한 인터랙션으로 동작되지 않는다. 즉, 해당 가이드 정보들상에서 터치 이벤트는 게임 기능 수행을 위한 게임 기능 화면(41)상의 입력 이벤트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키들(121, 122) 및 홈 키(123) 등 각각의 키들에는 키입력 횟수 또는 키입력 지속시간에 따라 상술된 통화 호 수신 처리 기능 또는 추가 처리 기능이 구분되어 매핑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특정 키에 매핑된 처리 기능이 다수인 경우에도 입력 방법 및 입력 방법에 대응하는 처리 기능에 대한 가이드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903 화면에서,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로서 제1 가이드 정보(81) 및 제2 가이드 정보(83)을 대신하여, 홈 키(123)을 가리키는 제 6가이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제 6가이드 정보는 "Press 1 time to response call, Press 2 times to reject call"과 같은 텍스트일 수 있다. 이 때, 903 화면에서, 홈 키(123)가 일정 시간동안 1회 눌리는 입력 이벤트가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905 화면에서와 같이 통화 연결을 수행하도록 지원하고, 일정 시간동안 2 회 눌리는 입력 이벤트가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통화 거절을 수행하고 901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키에 대한 키입력 지속시간에 따라 처리 기능이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동일한 키가 일정 시간동안 짧게 눌리는 입력 이벤트와 길게 눌리는 입력 이벤트가 구분되어, 각 입력 이벤트에 서로 다른 처리 기능이 매핑될 수 있고, 화면에도 이에 대한 가이드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을 위한 단말기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 지원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은 먼저, 제어부(160)가 게임 기능 운용 요청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지원하고, 1001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인 게임 기능 화면(41)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1003 단계에서 통화 호 수신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통화 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1001 단계 이전으로 복귀하도록 지원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1003 단계에서 통화 호 수신이 발생한 경우 1005 단계로 분기하여 게임 기능 화면 출력 상태에서 기능 알림 정보(30) 및 버튼 키 기반의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310)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1007 단계에서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310)에 따른 특정 입력 이벤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310)에 따른 특정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1009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 이벤트에 따른 기능 처리 예컨대, 통화 연결, 통화 거절 등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1007 단계에서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310)에 따른 입력 이벤트 수신이 없는 경우 1011 단계로 분기하여 일정 시간 경과 여부를 확인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1005 단계로 분기하여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310)가 출력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터치 기능의 표시부(140)에서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터치 이벤트에 따른 게임 기능 운용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상기 1011 단계에서 일정 시간 경과되기 까지 특정 입력 이벤트 수신이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1013 단계로 분기하여 사전 정의된 특정 방식에 따른 디폴트 기능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디폴트 기능 처리는 앞서 다른 실시 예에서 설명한 디폴트 처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1009 단계 이후 제어부(160)는 입력 이벤트에 따른 기능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1015 단계에서 확인하고, 기능 미완료 시에는 1009 단계로 분기하고 기능 완료 시에는 10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 지원을 위한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게임 기능 운용 요청에 따라 특정 게임 기능을 활성화하고, 게임 기능 화면(41)을 1101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해당 게임 기능 운용 방식에 따라 센서부(170)를 활성화하고, 센서부(170)가 수집하는 단말기(100)의 동작 제스처를 수집하고, 이를 게임 기능에 반영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170)는 단말기(100)의 기울임 동작 제스처를 수집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기울임 동작 제스처에 따라 해당 게임 기능에서 자신의 캐릭터 또는 아바타 등의 위치 변화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통화 호 수신이 발생하면 1103에서와 같이 기능 알림 정보(30)를 출력하면서 터치 제스처 기반의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87)를 표시부(140) 일측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터치 제스처 기반의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87)는 표시부(140)의 터치 기능을 이용하여 사전 정의된 특정 터치 제스처를 생성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제스처 기반의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87)를 확인하고, 해당 정보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표시부(140)에서 특정 제스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1105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의 특정 지점에서 터치 제스처 이벤트(23)가 생성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생성된 터치 제스처 이벤트(23)를 확인하고, 해당 터치 제스처 이벤트(23)에 따른 기능 처리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터치 제스처 기반의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8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표시부(140)의 특정 지점에서 플릭(flick) 이벤트를 생성하면 1107 화면에서와 같이 수신된 통화 호에 대한 통화 연결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터치 제스처 기반의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87)에서 안내하는 바에 따라 "long press"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면, 제어부(160)는 수신된 통화 호를 거절하고 1101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제스처의 일례로써 플릭 및 롱프레스가 설명되지만, 기능 처리를 위한 터치 제스처로는 더블 탭핑, C 자 또는 O 자 형태 등의 제스처, 멀티 터치 등 다양한 터치 제스처가 지정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제스처 이벤트를 생성하는 영역을 사전 정의하고, 이를 안내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정보 기능 운용을 지원할 수도 있다. 즉 게임 기능 화면(41)이 1201 화면에서와 같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통화 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1203 화면에서와 같이 기능 알림 정보(30) 및 터치 제스처 기반의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87)를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터치 제스처 동작을 수행할 유효 영역(70)을 표시부(140)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터치 제스처 기반의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87)에 안내되고 있는 특정 터치 제스처 동작을 유효 영역(70) 상에서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1205 화면에서와 같이 유효 영역(70) 상에서 발생한 터치 제스처 동작에 따른 터치 제스처 이벤트(24)를 수집하고, 수집된 터치 제스처 이벤트(24)에 따른 기능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유효 영역(70) 상에서 플릭 이벤트가 발생하면 1207 화면에서와 같이 수신된 통화 호에 대한 통화 연결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유효 영역(70) 상에서 롱프레스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에 따라 수신된 통화 호에 대한 통화 거절을 수행하고 1201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효 영역(70)은 게임 기능 운용에 따라 사전 정의된 특정 영역에 출력될 수 있으며, 또한 적응적으로 출력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즉 제어부(160)는 게임 기능 운용을 위한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는 지점을 회피하여 유효 영역(70)에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특히 통화 호 수신 직전에 발생한 터치 이벤트 지점 또는 통화 호 수신 직전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한 터치 이벤트 궤적을 확인하고, 해당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표시부(140) 지점에 유효 영역(70)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3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을 위한 단말기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1301 단계에서 게임 기능 활성화 요청에 따라 게임 기능을 활성화하고, 그에 따른 게임 기능 화면(41)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1303 단계에서 통화 호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통화 호 수신이 없는 경우 13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한다.
한편 1303 단계에서 통화 호가 수신되면, 1305 단계에서 게임 기능 화면(41)이 출력된 상태에서 기능 알림 정보 및 터치 제스처 기반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87)를 표시부(140)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기능 알림 정보(30)를 게임 기능 화면(41) 일측에 오버레이 시켜 출력하거나, 게임 기능 화면(41)을 리사이징하여 일정 공간을 확보하고 게임 기능 화면(41)과 구분된 영역에 기능 알림 정보(30)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터치 제스처 기반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87)를 게임 기능 화면(41)에 오버레이 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으로 제어부(160)는 통화 호 수신 처리를 위한 터치 제스처를 생성할 유효 영역(70)을 지정하고 이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1307 단계에서 터치 제스처 기반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87)에서 안내하는 바에 따른 터치 제스처가 수신되는지 확인하고, 해당 터치 제스처 수신이 발생하면, 1309 단계로 분기하여 터치 제스처에 따른 기능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터치 제스처에 따른 통화 연결, 통화 거절 등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1307 단계에서 안내된 터치 제스처 수신이 없는 경우 1311 단계로 분기하여 사전 정의된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확인하고, 해당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1305 단계로 분기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1313 단계로 분기하여 디폴트 처리를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타 단말기가 통화 호 수신을 요청하는 대기 시간이 될 수 있으며, 해당 대기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160)는 타 단말기로부터 통화 호 수신이 있었음을 안내하기 위한 통화 로그를 기록하고 게임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통화 호 수신 안내를 위한 통화 로그는 표시부(140) 상에 일정 시간 동안 표시된 후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능 정보는 타 단말기의 통화 호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통화 로그 정보 출력 시, 제어부(160)는 해당 통화 로그 정보에 해당하는 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 시도 등을 위한 통화 기능 처리 정보가 추가로 게임 기능 화면(41) 상에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화 호 수신이 종료된 이후, 타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게임 기능 화면(41)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수행하도록 단말기(100)를 조작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일정 시간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조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특정 기능 운용 시 통화 호가 수신되면 10초 동안만 울리도록 설정하고, 10초 이후에는 자동으로 통화 거절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기능의 중요도와 통화 호 연결의 중요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1309 단계 이후 제어부(160)는 터치 제스처에 따른 기능 처리 완료 여부를 1315 단계에서 확인하고, 기능 처리 미완료 시에는 1309 단계로 분기하며, 기능 처리 완료 시에는 1301 단계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 지원을 위한 단말기(1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활성화 요청이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활성화에 따른 기능 화면(42)을 1401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한편 기능 화면(42)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통화 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1403 화면에서와 같이 기능 처리가 가능한 기능 알림 정보(30)를 표시부(140)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또는 설계자의 설계 방식에 따라 기능 알림 정보(30) 영역 운용을 안내하는 기능 처리 정보 88 및 기능 처리 정보 89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처리 정보 88 및 89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또는 단말기(100) 설정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 알림 정보(30)에는 통화 호 처리를 안내하는 이미지가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기능 알림 정보(30)를 선택하여 기능 처리 정보 88 또는 89에서 안내하는 바와 같은 방향으로 드래그 또는 플릭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기능 처리 정보 88에 안내하는 바와 같이 기능 알림 정보(30)를 선택한 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터치 이벤트가 생성되면, 1405 화면에서와 같이 수신된 통화 호에 대한 통화 연결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기능 처리 정보 89에 안내하는 바와 같이 기능 알림 정보(30)를 선택한 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터치 이벤트가 생성되면 수신된 통화 호를 거절하고, 1401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1405 화면에서 제어부(160)는 통화 호 연결 이후 추가 기능 처리를 위한 추가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 84, 85, 89를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즉 제어부(160)는 추가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330)를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추가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 84, 85, 89는 각각 버튼 키 운용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추가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 85는 제1 사이드 키(121) 선택 시 스피커 모드 전환이 수행됨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한다. 추가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 89는 제2 사이드 키(122) 선택 시 화상 통화 호 연결로 전환됨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한다. 추가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 84는 홈 키(123) 선택 시 연결 해제가 수행됨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포함한다.
도 15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을 위한 단말기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운용 방법은 제어부(160)가 특정 기능 화면 활성화 요청에 따라 1501 단계에서 기능 화면(42)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1503 단계에서 통화 호 수신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통화 호 수신이 없는 경우 1501 단계로 분기할 수 있다. 한편 통화 호 수신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1505 단계로 분기하여 기능 화면(42)이 출력된 상태에서 기능 처리 가능한 기능 알림 정보(30) 및 기능 알림 정보 기반의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88, 89)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88, 89)는 기능 알림 정보(30)가 출력된 영역 상에 오버랩 되어 출력될 수도 있다. 이때 기능 알림 정보(30) 식별을 위하여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88, 89)는 반투명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1507 단계에서 기능 알림 정보(30) 이용한 입력 이벤트 예컨대 기능 알림 정보(30)를 표시부(140) 상에서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터치 이벤트가 수집되는지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해당 입력 이벤트가 수집되면, 제어부(160)는 1509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 이벤트에 따른 기능 처리 예컨대 통화 연결 또는 통화 거절 등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1507 단계에서 특정 입력 이벤트 수신이 없으면, 제어부(160)는 1511 단계로 분기하여 사전 정의된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확인한다. 일정 시간이 아직 경과되지 않으면 1505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1513 단계로 분기하여 사전 정의된 디폴트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디폴트 처리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에서 제시하는 디폴트 처리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1509 단계 이후 1515 단계에서 기능 처리 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기능 처리 완료 상태인 경우 1501 단계로 분기하며, 기능 처리 미완료 시 1509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기능 수행을 지원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 지원을 위한 단말기(100)는 특정 기능 활성화 요청에 따라 1601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기능 화면(42)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1603 화면에서와 같이 메시지 수신에 대한 기능 알림 정보(30) 출력을 지원하는 한편, 메시지 처리와 관련된 기능 처리 정보 91, 92, 93, 94를 표시부(140) 일측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기능 알림 정보(30) 및 기능 처리 정보 91, 92, 93, 94를 기능 화면(42) 상에 오버레이 시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기능 알림 정보(30)는 기능 화면(42)과 구분된 별도의 영역에 출력하고, 기능 처리 정보 91, 92, 93, 94는 기능 화면(42) 상에 오버레이 시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 채팅 메시지, 이메일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1603 화면에서 "삭제" 기능 처리 정보 93 또는 "skip" 기능 처리 정보 94가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해당 기능 수행과 함께 1601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삭제" 기능 처리 정보 93 선택 시 제어부(160)는 수신된 메시지를 바로 삭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skip" 기능 처리 정보 94 선택 시 제어부(160)는 메시지 수신에 따른 기능 알림 정보(30) 및 기능 처리 정보 출력을 표시부(140)에서 제거하고 1601 단계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지원하는 한편, 수신된 메시지를 메시지 저장 장소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1603 화면에서 "확인" 기능 처리 정보 91이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1605 화면에서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 전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 알림 상세 정보(31)를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기능 알림 상세 정보(31)를 반투명하게 출력하여 기능 화면(42) 운용의 방해를 최소화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기능 알림 상세 정보(31) 출력에 따라 버튼 키 기반의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 96 및 터치 제스처 기반의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 95를 표시부(140)에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60)는 해당 버튼 키 및 터치 제스처가 발생하면, 그에 대응하는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가 지시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홈 키(123)가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1601 화면으로 복귀하고, "답장"에 해당하는 터치 제스처가 수집되면 제어부(160)는 1607 화면으로 복귀하고 메시지 답장 작성을 위한 작성 영역(410) 및 내용 영역(420)을 기능 화면(42)이 출력된 표시부(140)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내용 영역(420)은 기능 알림 정보(30) 또는 기능 알림 상세 정보(31) 영역을 대체하여 출력될 수 있으며, 작성 영역(410)은 표시부(140) 일측에 반투명 상태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작성 영역(410)은 메시지 수신 직전 터치 이벤트 발생 지점이나 터치 이벤트 발생 궤적에 따라 해당 지점이나 궤적을 회피한 영역에 출력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작성 영역(410)은 일정 개수의 가상 키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리되어 기능 화면(42)의 일정 영역들에 분리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1607 화면에서 답장 작성 및 전송이 완료되면 제어부(160)는 1601 화면으로 복귀하여 기능 화면(42) 출력 및 해당 기능 지원을 수행한다.
도 17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을 위한 단말기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운용 방법은 제어부(160)는 1701 단계에서 특정 기능 운용에 따른 기능 화면(42)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1703 단계에서 메시지 수신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메시지 수신이 없는 경우 1701 단계로 복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1703 단계에서 메시지 수신이 발생하면 1705 단계로 분기하여 기능 화면(42) 출력 상태에서 기능 알림 정보(30) 및 기능 처리 정보 91, 92, 93, 94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알림 정보(30) 및 기능 처리 정보 91, 92, 93, 94는 각각 메시지 수신 및 메시지 처리를 위한 정보들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1707 단계에서 출력된 기능 처리 정보들 중 선택된 기능 처리 정보에 해당하는 메시지 확인 기능, 삭제 기능, 답장 기능, 무시 기능(skip)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1709 단계에서 메시지 수신에 따른 기능 처리 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기능 처리 완료 시에는 17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해당 기능 처리 미완료 시 1707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문자 메시지나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고 수신된 메시지 "확인"을 위한 기능 처리 정보가 선택되면, 해당 메시지를 수신한 타 사용자 단말기와 이전에 송수신한 메시지 이력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송수신한 메시지 이력이 있는 경우, 그 중 적어도 일부를 현재 수신된 메시지와 함께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 지원을 위한 단말기(100)는 특정 기능 화면 예컨대 메뉴 아이콘이 포함된 기본 화면 또는 메뉴 아이콘 화면, 또는 특정 메뉴들이 표시되는 대기 화면(이하 메뉴 아이콘 화면)을 단말기 조작에 따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사전 설정한 스케줄 알림이 발생하면, 1803 화면에서와 같이 스케줄 기능 알림 정보(33) 출력을 지원하며, 또한 스케줄 기능 처리를 위한 기능 처리 정보 97, 98, 99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기능 처리 정보 97, 98, 99를 메뉴 아이콘 화면(43) 일측에 오버레이 시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스케줄 기능 알림 정보(33) 또한 메뉴 아이콘 화면(43) 상에 오버레이 시켜 출력하거나, 메뉴 아이콘 화면(43)을 리사이징하여 일정 공간 예컨대 표시부(140) 상측 공간을 확보한 후 해당 공간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기능 처리 정보 중 "확인" 기능 처리 정보 97이 선택되면, 1805 화면에서와 같이 발생된 스케줄 기능 알림 정보(33)를 보다 상세히 확인할 수 있는 스케줄 기능 알림 상세 정보(32)를 표시부(140)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40)는 메뉴 아이콘 화면(43) 상에 스케줄 기능 알림 상세 정보(32)를 출력할 때 일정 투명도를 가지도록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무시" 기능 처리 정보 98이 선택되면 1801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편집" 기능 처리 정보 99가 선택되면 스케줄 정보 편집을 위한 화면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스케줄 정보 편집 화면은 앞서 도 16에서 설명한 메시지 작성 화면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메뉴 아이콘 화면(43)이 표시되지 않는 스케줄 정보 편집 화면으로 페이지 전환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1801 화면에서 통화 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1807 화면에서와 같이 통화 기능 알림 정보(34)를 표시부(140)에 출력하고, 통화 호 수신에 따른 기능 처리를 위한 기능 처리 정보 51, 52, 56을 메뉴 아이콘 화면(43)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거절" 기능 처리 정보 52가 선택되면 1801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하고, "연결" 기능 처리 정보 51이 선택되면 통화 연결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통화 기능 알림 정보(30)의 상태를 통화 연결 상태로 변경하고 메뉴 아이콘 화면(43)이 표시부(140)에 출력 유지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1807 화면에서 "거절후 답장" 기능 처리 정보 56이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1809 화면에서와 같이 사전 작성된 답장을 답장 영역(430)에 출력하도록 지원하고, 해당 답장 영역(430)에 기재된 메시지를 타 단말기에 전송할지를 결정할 추가 기능 처리 정보 441, 442를 메뉴 아이콘 화면(43)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확인" 기능 처리 정보 441을 선택하면 제어부(160)는 답장 영역(430)에 기재된 답장을 타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1801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수정" 기능 처리 정보 442가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답장 수정을 위한 수정 영역들을 메뉴 아이콘 화면(43) 상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추가로 제어부(160)는 답장 취소를 위한 기능 처리 정보를 더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해당 기능 처리 정보 선택 시 별도의 답장 전송 없이 1801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9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운용 기능을 위한 단말기 운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운용 방법은 제어부(160)가 단말기(100) 조작에 따라 1901 단계에서와 같이 단말기 기본 화면 예컨대 메뉴 아이콘 화면(43)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1903 단계에서 기능 정보 운용 요청에 해당하는 이벤트 예컨대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통화 호가 수신되거나, 스케줄 알람 등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별도 기능 정보 운용 요청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190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지원한다.
한편 1903 단계에서 특정 기능 정보 운용을 위한 요청이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1905 단계로 분기하여 메뉴 아이콘 화면(43)이 출력 유지된 상태에서 기능 알림 정보(33, 34) 및 기능 처리 정보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메시지 수신에 따른 기능 알림 정보, 통화 호 수신에 따른 기능 알림 정보, 스케줄 알람에 따른 기능 알림 정보 등 발생된 이벤트에 따른 기능 알림 정보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60)는 각 이벤트 발생을 처리하기 위한 메시지 수신 처리를 위한 기능 처리 정보, 통화 호 수신 처리를 위한 기능 처리 정보, 스케줄 알람 발생 처리를 위한 기능 처리 정보 등을 표시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60)는 1907 단계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 처리 정보에 따라 또는 디폴트로 선택된 기능 처리 정보에 따라 해당 기능을 처리하도록 지원한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통화 호를 연결하거나, 통화 호를 거절하거나, 사전 정의된 거절 답장을 전송하거나, 메시지 수신 확인을 지원하거나, 스케줄 정보 확인을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해당 기능 처리 완료를 위한 이벤트 발생을 확인하고,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면 1901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이 없거나 기능 처리가 미완료 상태인 경우 제어부(160)는 1907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각각의 실시 예들은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각각에서 일부 구성요소들이 재결합되거나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음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는 단말기(100)에 현재 출력되고 있는 기능 화면 상에 다른 기능 운용에 따른 기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도록 지원하여 멀티태스킹 환경에서 보다 직관적인 이벤트 발생 확인 및 작업의 연속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생된 기능 알림 정보와 관련된 기능 처리를 위하여 기능 처리 정보 및 기능 처리를 위한 입력 이벤트 생성을 안내하는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되고 있던 기능 화면 상에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기능 처리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는 통신 단말기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단말기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는 예를 들면, 상기 단말기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태블릿 PC,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서버 또는 컴퓨터로부터 단말기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70 : 센서부

Claims (37)

  1. 단말기의 특정 기능 운용에 따른 기능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과정;
    상기 기능 화면 표시 중에 다른 기능 운용에 따른 기능 알림 정보 및 상기 기능 알림 처리를 위한 기능 처리 정보를 상기 기능 화면이 표시 중인 표시부에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정보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은
    상기 표시된 기능 화면 상에 상기 기능 알림 정보 및 상기 기능 처리 정보를 오버레이시켜 출력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정보 운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중인 기능 화면에 해당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을 일시 중지하는 과정;
    상기 다른 기능 운용 처리 완료 시 상기 표시 중인 기능 화면의 오디오 신호를 다시 출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정보 운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은
    상기 표시된 기능 화면을 리사이징하여 별도의 공간을 할당하는 과정;
    상기 별도의 공간에 상기 기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표시 중인 기능 화면 상에 상기 기능 처리 정보를 오버레이시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정보 운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과정은
    상기 기능 알림 정보를 상기 표시부 일측에 표시하는 과정;
    상기 기능 처리 정보를 상기 표시부 타측 또는 상기 기능 알림 정보가 출력된 영역과 마주보는 한변 사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정보 운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처리 정보 선택 후, 추가 기능 처리를 위한 추가 기능 처리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정보 운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알림 처리를 위한 입력 이벤트 생성을 가이드하는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가이드 정보 출력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정보 운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정보 출력 과정은
    단말기의 버튼 키 선택에 따른 기능 처리 입력 이벤트 생성을 가이드 하는 버튼 키 기반의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터치 기능의 표시부 상에서 터치 제스처 생성에 따른 기능 처리 입력 이벤트 생성을 가이드 하는 터치 제스처 기반의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터치 기능의 표시부의 사전 정의된 영역 상에서 터치 제스처 생성에 따른 기능 처리 입력 이벤트 생성을 가이드 하는 터치 제스처 기반의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기능 알림 정보 영역을 이용하여 기능 처리를 위한 입력 이벤트 생성을 가이드 하는 터치 제스처 기반의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단말기에 마련된 센서부를 이용하여 특정 입력 이벤트 생성을 위한 특정 동작 제스처나 근접 정도를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음성 인식 등을 통하여 기능 처리 입력 이벤트 생성을 가이드 하는 음성 인식 기반의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정보 운용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처리 정보 선택에 따라 상기 기능 알림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정보 운용 방법.
  10. 단말기 기능 운용에 따라 특정 기능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기능 화면 표시 중에 다른 기능 운용에 따른 기능 알림 정보 및 상기 기능 알림 처리를 위한 기능 처리 정보를 상기 기능 화면이 표시 중인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된 기능 화면 상에 상기 기능 알림 정보 및 상기 기능 처리 정보를 오버레이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알림 정보 출력 시 상기 표시 중인 기능 화면에 해당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을 일시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상기 다른 기능 운용 처리 완료 시 상기 표시 중인 기능 화면의 오디오 신호를 다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기능 화면을 리사이징하여 별도의 공간을 할당하고, 상기 별도의 공간에 상기 기능 알림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표시 중인 기능 화면 상에 상기 기능 처리 정보를 오버레이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능 알림 정보를 일측에 표시하고 상기 기능 처리 정보를 타측 또는 상기 기능 알림 정보가 출력된 영역과 마주보는 한변 사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처리 정보 선택 후, 추가 기능 처리를 위한 추가 기능 처리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능 알림 처리를 위한 입력 이벤트 생성을 가이드 하는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단말기의 버튼 키 선택에 따른 기능 처리 입력 이벤트 생성을 가이드 하는 버튼 키 기반의 가이드 정보;
    터치 기능의 표시부 상에서 터치 제스처 생성에 따른 기능 처리 입력 이벤트 생성을 가이드 하는 터치 제스처 기반의 가이드 정보;
    터치 기능의 표시부의 사전 정의된 영역 상에서 터치 제스처 생성에 따른 기능 처리 입력 이벤트 생성을 가이드 하는 터치 제스처 기반의 가이드 정보;
    상기 기능 알림 정보를 기반으로 기능 처리를 위한 입력 이벤트 생성을 가이드 하는 터치 제스처 기반의 가이드 정보;
    단말기에 마련된 센서부를 이용하여 특정 입력 이벤트 생성을 위한 특정 동작 제스처나 근접 정도를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
    음성 인식 등을 통하여 기능 처리 입력 이벤트 생성을 가이드 하는 음성 인식 기반의 가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처리 정보 선택에 따라 상기 기능 알림 정보의 내용을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운용을 지원하는 단말기.
  20. 단말기 특정 기능 운용에 따라 해당 기능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기능 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통화 호 수신 시 통화 호 수신 알림 정보 및 상기 통화 호 수신 또는 거절 중 어느 하나의 기능 처리를 위한 통화 호 처리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호 거절 시 상기 통화 호 수신 알림 정보 및 상기 통화 호 처리 정보의 출력을 제거하고 상기 기능 화면 표시 상태로 복귀하는 과정;
    상기 통화 호 수신을 위한 특정 정보 선택 시 통화 연결에 따른 추가 기능 처리를 위한 처리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22. 단말기 특정 기능 운용에 따라 해당 기능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기능 화면이 표시되는 중에 통화 호 수신 시 통화 호 수신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통화 호 수신 직전에 발생한 터치 이벤트 지점 또는 직전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한 터치 이벤트 궤적을 수집하는 과정;
    상기 통화 호 수신 또는 거절 중 어느 하나의 기능 처리를 위한 통화 호 처리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터치 이벤트 지점 또는 상기 터치 이벤트 궤적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호 거절 시 상기 통화 호 수신 알림 정보 영역 및 상기 통화 호 처리 정보 영역의 출력을 제거하고 상기 기능 화면 표시 상태로 복귀하는 과정;
    상기 통화 호 수신을 위한 특정 정보 영역 선택 시 통화 연결에 따른 추가 기능 처리를 위한 처리 정보를 출력하되, 상기 터치 이벤트 지점 또는 상기 터치 이벤트 궤적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출력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24. 단말기 특정 기능 운용에 따라 해당 기능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기능 화면 표시 중에 통화 호 수신 시 통화 호 수신 알림 정보 출력 및 상기 통화 호 처리를 위한 입력 이벤트를 상기 단말기의 적어도 하나의 버튼 키 선택에 의해 생성하도록 안내하는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통화 호 처리를 위한 가이드 정보를 상기 버튼 키가 배치된 영역을 표시부 상에서 지시하도록 배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호 연결을 위한 버튼 키 선택 시 통화 연결에 따라 추가 통화 처리 기능을 위한 버튼 키 선택을 안내하는 추가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27. 단말기 특정 기능 운용에 따라 해당 기능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기능 화면 표시 중에 통화 호 수신 시 통화 호 수신 알림 정보 출력 및 상기 통화 호 처리를 위한 입력 이벤트를 상기 단말기의 터치 패널 기반의 터치 제스처로 생성하도록 안내하는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 제스처를 생성할 사전 정의된 일정 영역을 상기 표시부에 지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29. 단말기 특정 기능 운용에 따라 해당 기능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기능 화면 표시 중에 통화 호 수신 시 통화 호 수신 알림 정보 출력 및 상기 통화 호 수신 알림 정보를 기반으로 통화 호 처리를 위한 입력 이벤트를 생성하도록 안내하는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호 연결을 위한 입력 이벤트 생성 시, 통화 연결에 따른 추가 기능 처리를 상기 단말기의 버튼 키들을 이용하여 생성하도록 안내하는 추가 기능 처리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31. 단말기 특정 기능 운용에 따라 해당 기능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기능 화면 표시 중에 메시지 수신 시 메시지 수신 알림 정보 출력 및 상기 메시지 수신 처리를 위한 기능 처리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처리 정보 중 메시지 확인 선택 시 수신된 메시지 전체 내용을 상기 기능 화면 상의 일정 영역에 오버레이 시켜 표시하는 과정;
    상기 메시지 전체 내용 확인에 따른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입력 이벤트 생성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처리 정보 중 상기 메시지 답장 선택 시 상기 기능 화면 상에 상기 메시지 답장 작성을 위한 작성 영역 및 작성된 답장 표시를 위한 내용 영역을 화면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34. 단말기의 메뉴 아이콘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메뉴 아이콘 화면 표시 중에 스케줄 알람 기능에 따른 스케줄 기능 알림 정보 출력 및 상기 스케줄 알림 기능 처리를 위한 기능 처리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처리 정보 중 스케줄 확인 선택 시, 스케줄 전체 내용을 상기 메뉴 아이콘 화면 일측에 오버레이시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36. 단말기의 메뉴 아이콘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메뉴 아이콘 화면 표시 중에 통화 호 수신 기능에 따른 통화 호 수신 알림 정보 및 상기 수신된 통화 호 처리를 위한 기능 처리 정보를 상기 메뉴 아이콘 화면 상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처리 정보 중 통화 호 거절 후 답장 선택 시, 상기 메뉴 아이콘 화면 상에 사전 작성된 거절 후 답장 영역 및 상기 답장 전송 또는 수정 처리를 위한 추가 기능 처리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KR1020120139182A 2012-12-03 2012-12-03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40071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182A KR20140071157A (ko) 2012-12-03 2012-12-03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201310628886.XA CN103853493B (zh) 2012-12-03 2013-11-29 移动终端及其信息处理方法
AU2013263834A AU2013263834A1 (en) 2012-12-03 2013-11-29 Mobile terminal and information handling method for the same
US14/093,231 US20140155123A1 (en) 2012-12-03 2013-11-29 Mobile terminal and information handling method for the same
EP13195333.3A EP2739021B1 (en) 2012-12-03 2013-12-02 Mobile terminal and information handl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182A KR20140071157A (ko) 2012-12-03 2012-12-03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157A true KR20140071157A (ko) 2014-06-11

Family

ID=49683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182A KR20140071157A (ko) 2012-12-03 2012-12-03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155123A1 (ko)
EP (1) EP2739021B1 (ko)
KR (1) KR20140071157A (ko)
CN (1) CN103853493B (ko)
AU (1) AU201326383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576A (ko) * 2018-11-30 2018-12-12 (주) 씨이랩 스마트폰의 론처 화면을 이용한 사용자 의사 입력 방법
WO2019172723A1 (ko) * 2018-03-08 2019-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와 연결된 인터페이스 및 복수의 프로세서들간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4748B2 (en) 2012-02-13 2016-05-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cal stylus interaction
US9075566B2 (en) 2012-03-02 2015-07-07 Microsoft Techno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spine
US9158383B2 (en) 2012-03-02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rce concentrator
US20130300590A1 (en) 2012-05-14 2013-11-14 Paul Henry Dietz Audio Feedback
US8964379B2 (en) 2012-08-20 2015-02-24 Microsoft Corporation Switchable magnetic lock
JP6278628B2 (ja) * 2013-07-18 2018-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31588A (ko) * 2013-09-16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착신 처리 방법
KR101549867B1 (ko) * 2013-12-16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0120420B2 (en) 2014-03-21 2018-11-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ockable display and techniques enabling use of lockable displays
US10324733B2 (en) * 2014-07-30 2019-06-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hutdown notifications
US9787576B2 (en) 2014-07-31 2017-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pagating routing awareness for autonomous networks
US10592080B2 (en) 2014-07-31 2020-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ssisted presentation of application windows
US10678412B2 (en) 2014-07-31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joint dividers for application windows
US10254942B2 (en) 2014-07-31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sizing and positioning of application windows
WO2016036541A2 (en) * 2014-09-02 2016-03-10 Apple Inc. Phone user interface
JP6349030B2 (ja) 2014-09-02 2018-06-27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ラートを管理するための小型インターフェース
US10021235B2 (en) * 2014-09-12 2018-07-10 Han Uk JEONG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CN105578107B (zh) * 2014-10-14 2019-03-15 掌赢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多媒体通话呼叫建立过程和游戏的互动融合方法及装置
CN104951185B (zh) * 2015-06-09 2018-04-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5187644B (zh) * 2015-08-27 2018-09-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播放操作的方法及终端
CN106843629A (zh) * 2015-12-07 2017-06-13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悬浮窗展示方法和装置
CN105843507A (zh) * 2016-03-25 2016-08-10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网页切换的方法和终端
DK201770423A1 (en) 2016-06-11 2018-01-15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CN106210328B (zh) * 2016-07-19 2019-10-2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信息显示装置及方法
CN106506827A (zh) * 2016-10-27 2017-03-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语音接听装置和方法
CN106657595B (zh) * 2016-10-31 2019-07-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在导航界面上显示信息的方法及移动终端
CN107087072A (zh) * 2017-04-25 2017-08-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频播放方法和移动终端
US10466889B2 (en) 2017-05-16 2019-11-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ng notifications
CN107734194A (zh) * 2017-11-23 2018-02-23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来电处理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移动终端
US10585525B2 (en) * 2018-02-12 2020-03-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aptive notification modifications for touchscreen interfaces
CN108965576A (zh) * 2018-05-17 2018-12-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来电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11258897B2 (en) * 2018-10-25 2022-02-22 Mediatek Inc. Communication device controlling method
CN110134393B (zh) * 2019-05-16 2024-01-09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一种处理操作信号的方法和装置
CN112788377A (zh) * 2019-11-04 2021-05-11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信息提示方法
US11416127B2 (en) 2020-03-10 2022-08-1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CN114449103B (zh) * 2020-10-30 2024-01-30 华为终端有限公司 提醒方法、图形用户界面及终端
EP4273677A1 (en) 2022-05-06 2023-11-08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US11842028B2 (en) 2022-05-06 2023-12-1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7589B1 (en) * 1999-03-17 2004-04-06 Palm Source, Inc. Computerized help system with modal and non-modal modes
US6868283B1 (en) * 2001-01-16 2005-03-15 Palm Source, Inc. Technique allowing a status bar user response on a portable device graphic user interface
EP1650937B1 (en) * 2004-10-19 2015-02-11 Nokia Corporation Notifying a user
US8201109B2 (en) * 2008-03-04 2012-06-12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20110028194A1 (en) * 2009-07-31 2011-02-03 Razer (Asia-Pacific)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unified-context mapping of physical input device controls to application program actions
CN101950236B (zh) * 2010-09-06 2012-12-2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的方法
WO2012064788A1 (en) * 2010-11-08 2012-05-18 Robert Plotkin Enforced unitasking in multitasking system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723A1 (ko) * 2018-03-08 2019-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와 연결된 인터페이스 및 복수의 프로세서들간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601590B2 (en) 2018-03-08 202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face connected to imag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interfaces connected among plurality of processors
KR20180132576A (ko) * 2018-11-30 2018-12-12 (주) 씨이랩 스마트폰의 론처 화면을 이용한 사용자 의사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39021A1 (en) 2014-06-04
CN103853493A (zh) 2014-06-11
AU2013263834A1 (en) 2014-06-19
EP2739021B1 (en) 2019-02-13
CN103853493B (zh) 2019-02-12
US20140155123A1 (en)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1157A (ko) 단말기의 정보 운용 방법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525760B1 (ko) 통화 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69427B1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그의 운영 방법
KR10169581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1978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5268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20335B1 (ko) 메시지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1640460B1 (ko)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38705B1 (ko)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853277B1 (ko) 통화 중 응용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1974852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단말에서 오브젝트 이동 방법 및 장치
KR10191979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70013B1 (ko) 컨텐츠 활용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60080036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0003797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기능 수행 방법
KR20140137509A (ko) 알림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U2011358860A1 (en) Operating method of terminal based on multiple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KR20110093097A (ko) 휴대 단말기의 리스트 편집 방법 및 장치
KR20140125671A (ko)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68894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다중 작업 관리 방법
KR101966708B1 (ko) 배경 컨텐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EP2587356A2 (en) Controlling method for basic screen and portable device therefore
KR10153761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301169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950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