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7494A - 지문을 이용한 보안 강화 방법,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지문을 이용한 보안 강화 방법,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7494A
KR20140067494A KR1020120134791A KR20120134791A KR20140067494A KR 20140067494 A KR20140067494 A KR 20140067494A KR 1020120134791 A KR1020120134791 A KR 1020120134791A KR 20120134791 A KR20120134791 A KR 20120134791A KR 20140067494 A KR20140067494 A KR 20140067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electronic device
user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철
주효민
한풍석
조성미
임채웅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크루셜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20134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7494A/ko
Publication of KR20140067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에서의 보안 강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문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지문에 대한 인식 또는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실패하는 경우, 상황 정보 획득장치를 통해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황 정보를 기설정된 서버의 사용자 계정 또는 단말기-여기서, 단말기는 상기 전자 기기 이외의 기설정된 단말기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강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문을 이용한 보안 강화 방법,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SECURITY ENHANCEMENT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USING FINGERPRINT}
본 발명은 보안 강화 방법,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의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는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 전송 서비스와 같은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뱅킹 등 개인 정보가 활용되는 다양한 부가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잠금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되었던 기존의 잠금 장치는 비밀번호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예를 들면, 전화 기능, 부가 기능, 또는 국제 전화 기능 등에 잠금 장치를 적용시키고, 해당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비밀번호가 노출되었을 때 무용지물이 된다는 점, 안정성 확보를 위해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하여야 한다는 점, 사용자 입장에서 비밀번호를 기억해 두어야 한다는 점 등에서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방식을 보완하고 잠금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문 인식을 통한 잠금장치가 장착된 단말기를 본격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를 소형으로 제작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그 센서의 크기를 최소화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필요에 따라, 좌우로 긴 바(Bar) 형태의 센서에 손가락을 긁듯이 지문을 인식시키는 '슬라이딩 방식' 지문 인식 센서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지문 인식 센서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탑재됨에 따라, 다른 기능과 접목하고자 하는 노력도 행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에서의 지문 인증이 실패하는 경우 상황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하는 보안 강화 방법,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에서의 보안 강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문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지문에 대한 인식 또는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실패하는 경우, 상황 정보 획득장치를 통해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황 정보를 기설정된 서버의 사용자 계정 또는 단말기-여기서, 단말기는 상기 전자 기기 이외의 기설정된 단말기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강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성 단계는,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황 정보 획득장치는 촬영 장치 및 위치 정보 수집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 수집장치를 통해 수집된 전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싱 단계 이전에, 상기 전자 기기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상황 정보 획득장치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문을 이용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기록 매체는 상기 각 단계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보안이 강화된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문을 센싱하는 지문 센서부; 상기 센싱된 지문에 대한 인식 또는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실패하는 경우, 상황 정보 획득장치를 통해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상황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상황 정보를 기설정된 서버의 사용자 계정 또는 단말기-여기서, 단말기는 상기 전자 기기 이외의 기설정된 단말기임-로 전송하는 상황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에서 지문 인증이 실패하는 경우에 생성되는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전자 기기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단편적인 지문 영상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보안을 강화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는 적어도 일부분에 지문 센서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지문 센서부(110)가 전자 기기(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입력부와 표시부(101)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소정 동작 명령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에 대한 상태를 표시부(10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00)의 표시부(101)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되어 그 자체로서 입력부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입력부는 예를 들면, 키보드 또는 키패드 방식으로 구현되어 표시부(101)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개인용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를 포괄하는 용어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센서부(110)는 슬라이드 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슬라이드 형 지문 센서부(11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는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하여 단편적인 지문 영상들을 읽어들인 후, 이 단편 지문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정합하여 온전한 지문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지문 인식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슬라이드 방식의 지문 센서부(110)에 의해 얻어지는 단편적인 지문 영상의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을 지문 센서부(110)에 대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면 연속적으로 부분적인 단편 영상(P1~P4)이 획득된다.
즉, 사용자의 지문 영상이 단편적이지만 서로 연속되는 형태로 순차적으로 획득된다. 지문 센서부(110)에서 읽어들인 단편 지문 영상들은 하나의 지문 영상으로 정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합된 지문 영상은 기 등록된 지문 영상과 비교되어 해당 사용자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전자 기기(100)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에는 사용자의 등록된 지문 영상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지문 센서부(110)를 통해 획득된 당해 지문 영상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문 영상과 비교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합된 지문 영상은 기 등록된 일 이상의 지문 영상과 비교되어 특정 동작 수행을 위한 명령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각 손가락의 지문에 대해 특정 동작들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지문 센서부(110)에 의해 획득된 정합된 지문 영상이 특정 손가락의 지문 영상과 일치하면, 이와 매칭된 특정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이를 본 명세서에서는 '퀵 런칭' 기능이라 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진정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 지문이 인식되면 제1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진정한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 지문이 인식되면 제2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사용자가 기 설정해놓을 수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지문 센서부(110)에 엄지 손가락을 대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고, 지문 센서부(110)에 의해 획득된 정합 지문 영상이 기 등록된 엄지 손가락의 지문 영상과 일치한다면, 이와 매칭된 동작, 즉, 제1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 기기(100)는 지문 센서부(110), 상황 정보 생성부(120) 및 상황 정보 처리부(130)를 포함한다.
지문 센서부(110)는 전자 기기(100)를 이용할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입력된 사용자의 지문을 센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바 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지문 센서부(110)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여, 인식된 지문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것은, 지문 센서부(110)가 미리 사용자로부터 지문을 인식하여 저장해놓고, 저장된 지문과 입력된 지문을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문 센서부(100)가 사용자의 지문을 통해 사용자로 인증하는 경우에는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서 사용자가 전자 기기(10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지문 센서부(110)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 또는 인증하지 못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자 기기(100)에 대한 접근 권한을 확보하지 못 하고 다음 절차를 진행할 수 없다. 따라서, 지문 센서부(110)는 사용자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다음 절차로 진행하지 않고 종료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지문을 다시 인식 받을 수 있다. 이 때, 지문 센서부(110)는 전자 기기(100)에 대한 잠금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지문 센서부(110)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실패한 사용자는 전자 기기(100)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상황 정보 생성부(120)는 지문 센서부(110)에서 센싱된 지문에 대한 인식 또는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실패하는 경우, 상황 정보 획득장치(미도시)를 통해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황 정보 획득장치는 촬영 장치 및 위치 정보 수집장치(예컨대, GPS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황 정보는, 전자 기기(100)를 이용할 수 있는 정당한 권한을 가지지 못한 자(즉, 접근 권한이 없는 자)가 해당 전자 기기(100)를 이용하려고 접근을 시도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전자 기기(100)를 분실한 경우에, 접근 권한이 없는 자의 신원을 파악하거나 분실한 전자 기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예컨대, 얼굴 이미지) 및 위치 정보 수집장치를 통해 수집한 전자 기기(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촬영 장치 또는 위치 정보 수집장치는 전자 기기(100)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리 설정된 횟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횟수로 변경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횟수를 3번으로 설정해놓고 지문 센서부(110)에서 3번 이상 지문 인식 또는 인증을 실패하는 경우, 상황 정보 생성부(120)는 상황 정보 획득장치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자 기기(100)의 정당한 사용자 이외에 접근 권한이 없는 자가 해당 전자 기기(100)를 이용하려고 접근을 시도하는 경우, 전자 기기(100)의 위치 정보와 촬영된 이미지 정보가 생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게 해줌에 따라 사용자가 접근 권한이 없는 자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게 하거나 전자 기기(1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기 때문에 도난, 분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전자 기기(100)의 도난, 분실 등이 발생한 경우에 전자 기기(100)의 위치 정보와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주위 환경, 정당한 사용자 이외에 전자 기기(100)에 접근한 사람의 인상착의, 전자 기기(100)의 위치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전자 기기(100)를 다시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상황 정보 처리부(130)는 생성된 상황 정보를 전자 기기(100)에 저장하거나, 기설정된 서버(미도시) 또는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황 정보 처리부(130)는 기설정된 서버의 사용자 계정으로 상황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해당 계정에 접속하여 전자 기기(100)에 대한 상황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하거나, 전자 기기(100) 이외의 기설정된 단말기로 상황 정보가 바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계정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놓은 계정으로, 사용자 본인이 사용하는 이메일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전자 기기(100)에 접근 권한이 없으나 접근하려고 한 사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접근 권한이 없는 자가 전자 기기(100)에 접근하여 전자 기기(100)가 도난 또는 분실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서버 또는 단말기로부터 상황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는 접근 권한이 없는 자의 신원을 파악하거나, 전자 기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등 전자 기기(100)를 되찾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상황 정보 처리부(130)는 상황 정보 생성부(120)가 소정의 주기마다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 생성된 상황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자 기기(100)에 저장하거나,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의 서버 또는 전자 기기(100) 이외의 기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 권한이 없는 자가 접근을 시도하다가 전자 기기(100)를 도난하여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는 소정의 주기마다 전송되는 상황 정보를 통해 접근 권한 없는 자의 신원뿐만 아니라, 전자 기기(100)의 위치 및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100)의 보안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지문 센서부(100)에서 지문 센싱을 받기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전자 기기(100)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비밀번호를 입력시 또는 비밀번호 입력 이후에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전자 기기(100)의 상황 정보 획득장치(예를 들어, 촬영 장치)가 활성화(예를 들어, 턴 온)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00)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지문 센서부(100)가 지문을 센싱하기 이전에 전자 기기(100)의 촬영 장치가 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기기(100)에 비밀번호를 입력한 이후에, 지문 센서부(100)에서 센싱된 지문에 대한 인식 또는 인증이 소정 횟수(예를 들어, 1회) 실패하는 경우, 전자 기기(100)의 촬영 장치가 활성화될 수도 있다.
상황 정보 획득장치가 미리 활성화됨에 따라 상황 정보 획득장치의 반응 속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지문 인식 또는 인증 실패시 상황 정보 획득장치를 통해 즉각적으로 상황 정보가 생성될 수 있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라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전자 기기는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비밀번호 입력을 실패하는 경우, 소정의 시간 이상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못 하도록 입력이 금지될 뿐이었다. 즉,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본인 외에 타인이 비밀번호를 여러 번 잘못 입력하더라도 큰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이로써, 전자 기기에 대한 타인의 접근이 용이하여 도난, 분실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되찾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적절한 대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지문에 대한 인식 또는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실패하는 경우, 상황 정보 획득장치를 통해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황 정보를 전자 기기(100)에 저장하거나 기설정된 서버의 사용자 계정 또는 전자 기기(100) 이외의 기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본인 외에 타인이 전자 기기(100)를 이용할 수 없도록 하며, 도난, 분실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상황 정보를 획득하여 접근 권한이 없는 자의 신원을 파악하거나 전자 기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등의 대처가 가능하기 때문에 전자 기기(100)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동작은 전자 기기(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전자 기기(100)에는 도 3에 도시된 구성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기 가능한 기록 매체가 설치되어, 해당 기록 매체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전자 기기의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보안을 강화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0)는 이용이 불가능한 잠금 상태이며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해야 한다. 사용자가 전자 기기(100)에 본인임을 인증하기 위해, 지문 센서부(110)에 사용자의 지문을 센싱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기기(100)는 상황 정보 획득장치(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는 노트북,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황 정보 획득장치는 촬영 장치(200) 및 위치 정보 수집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센서부(110)에서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 또는 인증시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실패하는 경우, 전자 기기(100)의 상황 정보 획득장치를 통해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황 정보는 전자 기기(100)의 촬영 장치(20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 및 위치 정보 수집장치를 통해 수집한 전자 기기(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100)의 전방에 위치한 촬영 장치(200)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 이외에 접근 권한이 없는 자의 얼굴 이미지가 촬영될 수 있으며, 위치 정보 수집장치를 통해 전자 기기(100)의 위치 정보가 획득됨으로써, 상황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후, 전자 기기(100)가 상황 정보를 전자 기기(100)에 저장하거나, 기설정된 서버의 사용자 계정 또는 전자 기기(100) 이외의 기설정된 단말기로 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서버의 사용자 계정이 사용자 본인의 계정으로 등록해놓은 이메일 주소인 경우, 해당 이메일 주소로 상황 정보가 전송될 수 있고, 기설정된 단말기가 사용자 본인이 보유한 휴대폰인 경우, 해당 휴대폰으로 SMS 등의 형태로 상황 정보가 전송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에서의 보안 강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문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지문에 대한 인식 또는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실패하는 경우, 상황 정보 획득장치를 통해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황 정보를 기설정된 서버의 사용자 계정 또는 단말기-여기서, 단말기는 상기 전자 기기 이외의 기설정된 단말기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강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강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정보 획득장치는 촬영 장치 및 위치 정보 수집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황 정보는 상기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 수집장치를 통해 수집된 전자 기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보안 강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단계 이전에,
    상기 전자 기기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상황 정보 획득장치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안 강화 방법.
  5. 제 1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기 가능한 기록 매체.
  6. 보안이 강화된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문을 센싱하는 지문 센서부;
    상기 센싱된 지문에 대한 인식 또는 인증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실패하는 경우, 상황 정보 획득장치를 통해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상황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상황 정보를, 기설정된 서버의 사용자 계정 또는 단말기-여기서, 단말기는 상기 전자 기기 이외의 기설정된 단말기임-로 전송하는 상황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0120134791A 2012-11-26 2012-11-26 지문을 이용한 보안 강화 방법,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 KR20140067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791A KR20140067494A (ko) 2012-11-26 2012-11-26 지문을 이용한 보안 강화 방법,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791A KR20140067494A (ko) 2012-11-26 2012-11-26 지문을 이용한 보안 강화 방법,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494A true KR20140067494A (ko) 2014-06-05

Family

ID=5112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791A KR20140067494A (ko) 2012-11-26 2012-11-26 지문을 이용한 보안 강화 방법,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74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737B1 (ko) * 2020-02-14 2021-05-13 (주)비티비엘 지문 인증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737B1 (ko) * 2020-02-14 2021-05-13 (주)비티비엘 지문 인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0019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for identifying multiple users based on their behavior
US9531710B2 (en) Behavioral authentication system using a biometric fingerprint sensor and user behavior for authentication
JP5154436B2 (ja) 無線認証
US11176231B2 (en) Identifying and authenticating users based on passive factors determined from sensor data
Gupta et al. Demystifying authentication concepts in smartphones: Ways and types to secure access
KR101449681B1 (ko) 지문을 이용한 메시지 표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EP4354311A2 (en) Blockchain-based identity and transaction platform
US9258301B2 (en) Advanced authentication techniques
US20140283014A1 (en) User identity detection and authentication using usage patterns and facial recognition factors
CN105553947A (zh) 找回帐号、保护帐号安全、帐号防盗的方法和装置
Schlöglhofer et al. Secure and usable authentication on mobile devices
JP2009181153A (ja) 利用者認証システム、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媒体
WO2021249527A1 (zh) 实现MOTOpay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EP290822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necting a process based on motion detection
JP2018147327A (ja) 生成装置、生成方法及び生成プログラム
Papaioannou et al. User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for next generation mobile passenger ID devices for land and sea border control
JP2022002103A (ja) モバイル端末のプライバシー保護方法および保護装置、並びにモバイル端末
JP6891356B1 (ja) 認証システム、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Vongsingthong et al. A survey on smartphone authentication
KR101453031B1 (ko) 지문을 이용한 로그인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KR102537147B1 (ko) 인증된 증강 현실 콘텐츠의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67494A (ko) 지문을 이용한 보안 강화 방법, 전자 기기 및 기록 매체
KR20140035757A (ko) 홈 화면 표시 방법, 그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 및 기록 매체
US20240106823A1 (en) Sharing a biometric token across platforms and devices for authentication
Toader et al. User authentication for pico: When to unlock a security tok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