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2499A - 데이터 전송 방법,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2499A
KR20140062499A KR1020147008029A KR20147008029A KR20140062499A KR 20140062499 A KR20140062499 A KR 20140062499A KR 1020147008029 A KR1020147008029 A KR 1020147008029A KR 20147008029 A KR20147008029 A KR 20147008029A KR 20140062499 A KR20140062499 A KR 20140062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terface
service
context information
user equipment
connection con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7479B1 (ko
Inventor
예 우
웨이 장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62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방법,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사용자 기기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방법은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됨 - ;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여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를 획득함 - ; 및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은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수행되는 데이터 전송에 대응하는 모든 서비스가 간섭받지 않게 하고, 서비스의 지속성을 가능한 오래 보장되는 데 일조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통신 경험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방법, 흐름-분배 기기, 사용자 단말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METHOD, FLOW-DISTRIBUTION EQUIPMENT, USER TERMINAL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본 출원은 2011년 8월 26일에 중국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OFFLOAD POINT DEVICE, USER EQUIPMENT AND SYSTEM"인 중국특허출원 No. 201110249387.0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며, 상기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되어 포함된다.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통신 분야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포인트 장치, 사용자 기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모드, 예를 들어, 이동통신의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롱텀에볼루션-어드밴스트(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등이 각각의 개발 과정 중에 상호 융합되고, 특히 액세스 네트워크 측에서는, 다양한 무선 모드들이 통합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를 가지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복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y: Multi-RAT)이 복수의 모드에서 데이터 전송을 동시에 수행할 때 사용자 기기를 지원하면, 사용자의 처리량 및 사용자 경험 모두가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오프로딩 기술에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를 3G 코어 네트워크의 액세스 네트워크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UE는 WiFi 에어 인터페이스 및 3G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밀집 결합 방식으로 WiFi 오프로딩을 실현하는 상황에서, 사용자 기기 및 패킷 네트워크는 3G 코어 네트워크, 3G 액세스 네트워크 및 3G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3G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하거나, 3G 코어 네트워크, WLAN 액세스 네트워크 및 WLAN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WiFi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하거나, 또는 3G 에어 인터페이스와 WiFi 에어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WLAN 및 3G 네트워크를 예로 해서 전술한 예의 밀집 결합 방식을 설명하고 있으나, 당업자라면 WLAN 및 LTE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도 제공되어 있는 밀집 결합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기존의 Multi-RAT 시나리오에서는, 복수의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시에 UE에 데이터 전송이 제공되면, 에어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없을 때는 에어 인터페이스가 현재 수반하고 있는 서비스는 간섭을 받게 되며,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은 실패한다. Multi-RAT 조건 하에서 이용 불가능한 에어 인터페이스가 수반하고 있는 서비스를 처리하는 메커니즘이 없는 경우, UE의 데이터 전송에 영향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방법,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사용자 기기 및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는 Multi-RAT 시나리오 하에서 이용 불가능한 에어 인터페이스가 수반하고 있는 서비스를 처리하여, 데이터 오프로딩 전송 메커니즘에 에어 인터페이스의 항복을 처리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되는 UE의 데이터 전송에 대응하는 모든 서비스가 간섭받지 않게 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됨 - ;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여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를 획득함 - ; 및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갱신되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됨 - ; 상기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 모듈 -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됨 - ;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여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를 획득함 - ; 및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갱신되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됨 - ; 상기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 모듈; 및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은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및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고 -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됨 - ;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며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여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를 획득함 - ; 그리고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며, 그리고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갱신되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됨 - ; 상기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며; 그리고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에 따르면,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알게 되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반된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 통지하며, 이에 따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및 사용자 기기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의 동일한 접속 문맥 정보를 보유하고, 따라서 데이터 전송은 일관적인 접속 문맥 정보를 통해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접속 문맥 정보를 변경하고,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및 사용자 기기는 여전히 동일한 접속 문맥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은 계속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현재 수반된 서비스(들)는 처리될 수 있으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데이터 전송과 일치하는 UE의 모든 서비스(들)는 간섭받지 않게 되며 UE의 서비스(들)의 지속성이 가능한 오래 보장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통신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일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설명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기초하여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데이터를 밀집 결합 방식으로 오프로딩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다른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Multi-RAT의 시나리오 하에 프로토콜 스택에 대한 제1 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Multi-RAT의 시나리오 하에 프로토콜 스택에 대한 제1 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와 제1 예 및 제2 예에서의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간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의 캡슐화 포맷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와 제1 예 및 제2 예에서의 사용자 기기 간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의 캡슐화 포맷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의 구조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의 구조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의 구조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구조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사용자 기기의 구조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할 것이다. 당연히,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이며, 전부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해서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도출해낼 수 있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100)에 대해 도 1 관련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100)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110: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며, 여기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S120: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여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를 획득한다.
S130: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방법(100)은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UE가 제1 에어 인터페이스 및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때, 이 업링크 데이터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 및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수렴한다.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가 UE에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때,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의 오프로드가 실현되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데이터의 한 부분을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UE에 송신하고 데이터의 다른 한 부분을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UE에 송신한다.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예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가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노드 B(Node B) 및 RNC를 포함하는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UTRAN)를 통해 3G/UMTS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거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포함하는 WALN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3G/UMTS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여기서 AP를 RNC에 접속하는 데 상호작업 유닛(Interworking Unit: IWU)을 사용한다. 3G/UMTS 코어 네트워크는 서빙 GPRS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및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를 포함한다. 3G/UMTS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면, UE는 인터넷에 추가로 액세스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UE로부터 인터넷에 전송된 데이터는, UTRAN에 의해 제공되는 UMTS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하든 또는 WLAN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충실도(Wireless Fidelity: WiFi)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하든 간에, RNC에 도달하고, RNC는 3G/UMTS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에 따라 데이터는 인터넷에 도달할 수 있다. 인터넷으로부터 UE로 전송된 데이터는 모두 3G/UMTS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가서 RNC에 도달하며 RNC는 데이터에 대한 오프로딩을 수행하는데, 데이터는 UMTS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하거나, WiFi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하거나, UMTS 에어 인터페이스와 WiFi 에어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통해 UE에 전송될 수 있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아키텍처 하에서,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RNC임을 알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 이외에,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SGSN, GGSN,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Gateway: PDN-GW), 서빙-게이트웨이(Serving-Gateway: S-GW), 복수의 액세스 모드가 통합된 기지국 등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의 특정한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S110에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알게 되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에 수반된 서비스(들)와 접속 문맥 정보 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을 처리할 수 있다.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란, 특정한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이 사용자 기기가 원래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지라도, 일부의 네트워크 파손 또는 네트워크 혼합의 발생으로 인해, 사용자 기기가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더 이상 전송할 수 없으며, 따라서 이 제1 에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기기에 무용지물이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란,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업링크가 이용 불가능하거나,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가 이용 불가능하거나, 또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말할 수도 있다.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는 UE가 서비스의 서빙을 수용할 때 참여하는 접속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자원은 접속 문맥 정보를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의 전송 경로가 결정될 수 있다. 접속 문맥 정보의 변경은 그 서비스의 전송 경로의 변경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접속 문맥은 무선 액세스 베어러 식별(Radio Access Bearer Identification: RAB ID)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Packet Data Network Internet Protocol: PDN-IP)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액세스 네트워크 측에 의해 UE에 할당된 무선 자원은 RAB ID를 통해 고유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서비스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 측이 점유하는 자원은 PDN-IP 어드레스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Multi-RAT의 시나리오에서, UE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 및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시에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한다. 제2 에어 인터페이스는 신뢰할만한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에어 인터페이스이고, UE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상에 항상 머물러 있으면서 제2 에어 인터페이스상에서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에어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일차 RAT라고 말할 수 있다.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신뢰할만한 무선 접속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제한을 두지 않으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무선 액세스 기술을 이차 RAT라고 말할 수도 있다. Multi-RAT는 이차 RAT와 UE 간의 링크의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데이터 전송에서 보장되지 않는 이차 RAT와 UE 간의 링크의 신뢰성에 대한 가능성 있는 이유로는, 이차 RAT가 데이터 전송 링크, 예를 들어, WLAN에 의해 제공되는 WiFi 에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필요한 신뢰성 보장이 본질적으로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거나; 또는 Multi-RAT가 설계되어 있을 때, 일차 RAT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 링크에 대한 신뢰성 보장이 있으므로, 이차 RAT에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 링크에 대한 신뢰성 보장이 설계상 약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시그널링이 시그널링 클리핑 방법(signaling clipping method)을 통해 폐기된다.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에서 UE와 상호작용하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문제를 가지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종래기술에서 프로세싱 메커니즘의 부재 시에 모든 서비스가 간섭받을 수 있는 문제를 회피하며, 이에 의해 UE에 서빙하는 지속성을 가능한 많이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에어 인터페이스에 참여하는 접속 문맥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300)을 사용하여 갱신될 수 있다.
S310에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기기에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가 캐싱된다.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알게 되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UE에 현재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한다. 다운링크 데이터가 캐싱되면, 데이터는 원래의 IP 데이터 패킷으로 복원될 수 있으며, IP 데이터 패킷은 일시적 캐시로 밀어 넣어진다.
S320에서, 다운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가 갱신된다.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캐싱되는 다운링크 데이터는 상이한 서비스에 속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들)에 의해 구성되는 집합을 제1 서비스 집합이라 하고, 이 서비스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S322-S326의 과정을 채택함으로써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S322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다운링크 정보에 따라,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될 때 서비스의 품질(Quaolity of Service: QoS) 요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한다.
S310에서 캐싱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다운링크 정보는 다운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들)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될 수 있는지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결정하는 데 일조한다. 다운링크 정보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하는 프로세스 동안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정보는 이하의 항목: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하는 데 걸리는 시간 길이, 다운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들), 다운링크 데이터의 데이터량, 다운링크 데이터에 의해 요구되는 QoS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운링크 데이터가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된다는 가정 하에,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이동 후에 달성된 QoS와 다운링크 데이터가 필요로 하는 QoS를 비교하고, 다운링크 데이터가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WoS 요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임의의 서비스를 나타내는 데 서비스 A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A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전송을 위해 제1 에어 인터페이스로부터 제2 인터페이스로 이동할 때 서비스 A가 필요로 하는 최대 지연을 초과하면, 다운링크 데이터가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는 QoS는 충족되지 않는다. 최대 지연이 초과되는 가능성 있는 이유로는, 이용 불가능한 제1 에어 인터페이스에 의해 야기되는 과도하게 큰 지연을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발견하거나,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에서부터 서비스 A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처리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지연이 과도하게 크거나, 또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로부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의 서비스 A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이동시킴으로써 야기되는 처리 지연이 과도하게 크다는 것 등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서비스 A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전송을 위해 제1 에어 인터페이스로부터 제2 인터페이스로 이동할 때 서비스 A가 필요로 하는 처리량이 도달할 수 없으면, 서비스 A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는 QoS는 충족되지 않는다. 제2 에어 인터페이스의 제한된 무선 자원으로 인해 또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전송의 방식에 대한 제한으로 인해 필요한 처리량은 도달할 수 없을 것이다.
서비스 A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전송을 위해 제1 에어 인터페이스로부터 제2 인터페이스로 이동할 때 서비스 A의 QoS 요건이 충족될 수 있으면, QoS 요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결정된다.
S324에서,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는 삭제된다.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는 원래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에서 전송된다. 제1 에어 인터페이스는 지금 이용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는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이 이동의 경우에 QoS 요건이 충족될 수 없다면, 이 이동의 경우에 QoS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이 간섭받게 되고, 이에 따라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는 삭제된다.
S326에서,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을 충족하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에서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된다.
이동의 경우에 QoS 요건이 충족될 수 있으면, 서비스의 데이터의 전송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이때, 서비스의 데이터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전송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의 형태로 수정될 수 있다.
S324 후에 S326이 실행되기는 하지만, S326는 S324 전에 실행될 수도 있고 S324와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S326 및 S324의 실행 순서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서비스(들)의 접속 문맥 정보가 갱신된 후, 캐싱된 다운링크 데이터는 갱신 결과에 따라 추가로 처리될 수 있다.
S328에서,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의 다운링크 데이터는 폐기된다.
S329에서,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을 충족하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의 다운링크 데이터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사용자 기기에 송신된다.
예를 들어,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알게 되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하고 이 다운링크 데이터가 서비스 A, B, C에 각각 속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서비스 A 및 C의 전송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될 때 서비스 A 및 C가 필요로 하는 최대 지연이 충족될 수 없고, 그리고 서비스 B의 전송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될 때 서비스 B가 필요로 하는 QoS가 충족될 수 있으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서비스 A 및 C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삭제하고 서비스 A 및 C의 캐싱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폐기하는 반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서비스 B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에서부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하며, 서비스 B의 캐싱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UE에 송신한다.
또한, 캐싱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서비스(들) 외에, UE와 네트워크 간에 상호작용된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다른 서비스(들)가 있을 수 있다.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모든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방법(300)은 S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330에서, 사용자 기기가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 외에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다른 서비스(들)를 가지면, 이 다른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는 삭제되거나, 또는 이 다른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된다.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에서 원래 전송되는 서비스의 접속 문맥 정보가 S310 및 S320에 따라 처리되지 않으면, 이 접속 문맥 정보는 삭제되거나 사전설정(presetting)에 따라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을 나타내도록 변경되며, 이에 따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저장되는 접속 문맥 정보와 서비스 간의 대응 관계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서비스(들)를 더 이상 포함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이용 불가능한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는 효과적으로 처리되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모든 서비스는 가능한 많이 간섭받지 않게 된다.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서비스의 품질 요건에 따라 접속 문맥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결정하며, 결과적으로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는 효과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서비스의 지속성은 서비스의 QoS에 대해 역효과를 내지 않으면서 가능한 오래 유지되며, 이에 의해 네트워크 자원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서비스의 품질 요건을 충족할 수 없는 서비스를 전송할 때 네트워크 자원을 낭비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에어 인터페이스에 참여하는 접속 문맥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400)을 채택함으로써 갱신될 수도 있다.
S410에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사용자 기기에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가 캐싱된다. 이 단계는 S310과 동일하다.
S420에서, 사용자 기기에 의해 캐싱된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업링크 정보가 획득된다.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사용자 기기가 알게 되면, 사용자 기기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네트워크 측에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를 캐싱할 수 있다. UE가 업링크 데이터를 캐싱할 때, UE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송신되는 형태로 패키지화된 데이터 패킷을 원래의 IP 데이터 패킷으로 복원하고 이 IP 데이터 패킷을 일시적 캐시로 밀어 넣을 수 있다. UE가 여전히 원래의 IP 데이터 패킷을 유지하고 있고 이 원래의 IP 데이터 패킷을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송신되는 형태로 패키지화할 준비가 되어 있으면, UE는 이러한 원래의 IP 데이터 패킷을 일시적 캐시로 직접 밀어 넣는다. UE가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송신될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면, 처리는 멈춘다.
사용자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를 캐싱한 후, 사용자 기기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업링크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업링크 정보는 업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들)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될 수 있는지를 판정할 때 일조한다.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업링크 정보는 이하의 항목: 사용자 기기가 업링크 데이터를 캐싱하는 데 걸리는 시간 길이, 업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들), 업링크 데이터의 데이터량, 업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 업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들)이 UE에 의해 결정되는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될 수 있는지에 관한 결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S430에서, 다운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가 갱신되고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는 업링크 정보에 기초해서 갱신된다.
업링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후에,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UE에 의해 캐싱된 업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들)를 업링크 정보를 참조하여 결정할 수 있다. UE에 의해 캐싱된 업링크 데이터는 상이한 서비스에 속할 수도 있다. 업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들)에 의해 구성되는 집합을 제2 서비스 집합이라 하고, 이 제2 서비스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S320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운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들)에 의해 구성되는 집합을 제1 서비스 집합이라 하고, 이 제1 서비스 집합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포함한다. 제1 서비스 집합과 제2 서비스 집합은 교집합을 가질 수 있고 전혀 중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서비스 집합과 제2 서비스 집합의 합집합은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와 UE 간에 상호작용된 모든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거나,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와 UE 간에 상호작용된 모든 서비스의 부분집합일 수도 있다.
제1 서비스 집합 및 제2 서비스 집합을 결정한 후,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래 전송되는 제1 서비스 집합 및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가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더 이상 송신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서비스의 QoS 요건을 참조하여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S432 내지 S437의 방식으로 제1 서비스 집합 및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S432에서,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다운링크 정보에 따라,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될 때 QoS 요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한다. 이 단계는 S322와 동일하다.
S434에서, 업링크 정보에 따라,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될 때 QoS 요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한다.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임의의 서비스를 나타내는 데 서비스 B를 사용한다. UE가 서비스 B의 업링크 정보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로 업로드한 후,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서비스 B가 업링크 정보에 따라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정보에 따르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UE가 서비스 B의 업링크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캐싱 프로세스에 걸리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이러한 시간 길이와 서비스 B를 이동하는 데 걸릴 시간 길이의 합을,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서비스 B를 송신함으로써 생기는 지연으로 취할 수 있다. 이 지연이 서비스 B가 필요로 하는 최대 지연을 초과하면, 서비스 B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할 때 QoS 요건은 충족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업링크 정보에 따르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서비스 B의 업링크 데이터를 캐싱하는 데 2초가 걸리는 것으로 결정하고, 서비스 B가 전송을 위해 제1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하는 데 다른 1초가 걸릴 것으로 결정하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서비스 B의 QoS 요건이 2초일 때, 서비스 B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이 충족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서비스 B의 QoS 요건이 5초일 때, 서비스 B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하면 QoS 요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결정한다.
다른 예에서, 업링크 정보에 따르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UE가 서비스 B이 업링크 데이터를 캐싱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서비스 B의 업링크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량으로 인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업링크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 내에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될 때 할당될 대역폭을 계산할 수 있다.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계산된 대역폭이 서비스 B가 필요로 하는 처리량보다 작으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서비스 B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이 충족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계산된 대역폭이 서비스 B가 필요로 하는 처리량보다 크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서비스 B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결정한다.
S436에서,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제1 서비스 집합 및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는 삭제된다.
S437에서,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을 충족하는 제1 서비스 집합 및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에서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된다.
S436 및 S437을 실행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가 실현될 수 있다: 서비스가 제1 서비스 집합 및 제2 서비스 집합 모두에 속하면, S432 및 S434에서 서비스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이 충족되는 것으로 결정될 때에만,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을 나타내는 것에서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을 나타내는 것으로 변경되며; 그렇지 않으면,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는 삭제된다. 서비스가 제1 서비스 집합 및 제2 서비스 집합 중 하나에 속하면, 접속 문맥 정보가 삭제될지 또는 변경될지는 S432 및 S434에서의 결정 결과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S432 후에 S434가 실행되고 있지만, S434 및 S432 모두는 S436 및 S437 전에 실행되는 한, S434 및 S432의 실행 순서에 제한은 없다. S436 후에 S437이 실행되고 있지만, S436 및 S437 모두는 S434 및 S432 전에 실행되는 한, S437 및 S436의 실행 순서에 대해 제한은 두지 않는다.
QoS 요건에 따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캐싱된 다운링크 데이터 및 UE에 의해 캐싱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을 결정함으로써,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서비스의 지속성은 서비스의 QoS에 대해 역효과를 내지 않으면서 가능한 오래 유지되며, 이에 의해 네트워크 자원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서비스의 품질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서비스를 전송할 때 네트워크 자원을 낭비하지 않게 된다.
다운링크 데이터 및 업링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한 후,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갱신 결과에 따라 그 캐싱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S438에서,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의 다운링크 데이터는 폐기된다.
S439에서,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을 충족하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의 다운링크 데이터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기기에 송신된다.
예를 들어,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알게 되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하고 이 다운링크 데이터가 서비스 A, B, C에 각각 속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UE로부터 업링크 정보를 획득하고, UE가 서비스 A, C, D를 캐싱한 것으로 결정한다.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다운링크 데이터 등을 캐싱하는 프로세스에 걸리는 시간 길이에 따라, 서비스 A가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서비스 A가 필요로 하는 최대 지연, 즉 서비스 A의 QoS 요건은 충족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고, 서비스 B 및 서비스 C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서비스 B의 QoS 요건 및 서비스 C의 QoS 요건은 충족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UE가 보고한 업링크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업링크 데이터 등을 캐싱할 때 UE에 의해 걸리는 시간 길이에 따라, 서비스 A 및 서비스 D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서비스 A 및 D의 QoS 요건은 충족될 수 있으며, 서비스 C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서비스 C가 필요로 하는 최대 지연은 충족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한다. 그러므로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서비스 A 및 서비스 C에 각각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삭제하고, 서비스 B 및 서비스 D에 각각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을 나타내는 것으로부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을 나타내는 것으로 변경한다. 또한,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서비스 A 및 서비스 C의 캐싱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폐기하고, 서비스 B의 캐싱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UE에 송신한다.
또한,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캐싱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서비스(들) 및 UE에 의해 캐싱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서비스(들) 외에, UE와 네트워크 간에 상호작용된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다른 서비스(들)가 있을 수 있다.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모든 서비스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방법(400)은 S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440에서, 사용자 기기가 제1 서비스 집합 및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 외에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다른 서비스(들)를 가지면, 이 다른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는 삭제되거나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된다.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에서 원래 전송되는 서비스에 있어서, 그 접속 문맥 정보가 처리되지 않으면, 사전설정에 따라, 접속 문맥 정보는 삭제되거나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을 나타내는 것으로 변경되며, 이에 따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접속 문맥 정보와 서비스 간의 대응 관계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서비스(들)를 더 이상 포함하지 않으며, 그러므로 이용 불가능한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가 효과적으로 처리되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모든 서비스는 가능한 많이 간섭받지 않게 된다.
서비스의 QoS에 따라 서비스가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을 충족하는 서비스가 추가로 서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의 지속성이 보장되며;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서비스는 서빙되는 것이 간섭받게 되고, 이에 의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의 자원을 QoS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서비스에 할당함으로써 야기되는 자원을 낭비하지 않게 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S120에서,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한 후,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UE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여 그 갱신된 접속 문맥 정보를 통지해야 하며, 이에 따라 UE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보유하고 있던 것과 동일한 접속 문맥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제1 메시지에 수반된 갱신 정보는 본질적으로 그 갱신된 접속 문맥 정보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갱신된 접속 문맥 정보의 값이 제1 메시지에 직접 수반될 수 있다. 갱신 정보는 접속 문맥 정보를 도출하는 데 필요한 입력 파라미터일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접속 문맥 정보의 변동(variation)이 제1 메시지에 수반되고, UE는 이러한 변동을 통해 그 갱신된 접속 문맥 정보를 도출해낼 수 있다.
S130에서,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UE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한 후,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그 갱신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UE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에어 인터페이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가 UE에 의해 성공적으로 갱신되고 회신되었다는 응답이 수신되면, 그 갱신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UE와의 데이터 전송이 수행된다.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성공적인 갱신을 나타내는 응답을 수신하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UE가 접속 문맥 정보를 성공적으로 갱신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UE의 문맥 접속 정보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의 문맥 접속 정보와 일치하며, 이에 따라 그 갱신된 문맥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전송의 성공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알게 되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에 수반된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고 그 갱신된 접속 문맥 정보를 사용자 기기에 통지할 수 있으며, 이 방법에서,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및 사용자 기기는 동일한 접속 문맥 정보에 기초해서 데이터 전송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에 현재 수반된 서비스(들)를 처리할 수 있고,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데이터 전송에 일치하는 UE의 모든 서비스(들)는 방해받지 않게 되며, UE의 서비스(들)의 지속성은 가능한 많이 보장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통신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일조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500)에 대한 흐름도를 설명한다. 방법(500)에서의 S502 및 S504를 통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S502에서, 사용자 기기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되고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제2 메시지가 수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사용자 기기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되는 제2 메시지는 이하의 상황: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되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 또는 액세스 장치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될 때의 시간 길이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를 초과할 때, 또는 상기 액세스 장치에 의해 회신되고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이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의 상황 중 하나의 상황 하에서 수신될 수 있다.
WiFi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UE가 알게 되는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WiFi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신뢰할 수 없는 에어 인터페이스 또는 신뢰도 기능이 약한 에어 인터페이스도 이용 불가능할 수 있다.
UE가 WiFi 링크를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송신된 데이터 패킷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면, 송신 요구(Request to Send: RTS) 메커니즘이 활성화될 수 있다. RTS/CTS 메커니즘에서, UE는 RTS 메시지를 액세스 포인트(AP)에 먼저 송신할 수 있다. UE가 AP에 의해 회신된 CTS 메시지를 수신하면, UE는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시작할 수 있다. AP가 그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AP는 수신확인(Acknowledge: ACK) 메시지를 UE에 회신하고, 여기서 AP는 WiFi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이다.
UE가 RTS 메시지를 AP에 송신할 때, UE가 네트워크 혼잡 또는 다른 이유로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CTS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으면, UE는 WiFi 업링크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으로 결정하고, 이에 따라 WiFi 에어 인터페이스는 이용 불가능하다. UE는 AP에 RTS 메시지를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복수 회 재송신할 것이다.
UE가 CTS 메시지를 수신하고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시작할 때, UE가 AP에 의해 회신된 ACK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으면, UE는 AP에 의해 회신된 ACK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데이터 패킷을 재송신한다. 그렇지만, UE가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7회를 초과하면, UE는 WiFi 업링크가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하고, 이에 따라 WiFi 에어 인터페이스는 이용 불가능하다.
UE가 CTS 메시지를 수신하고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시작할 때, UE가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는 시간 길이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를 초과하는 반면, AP에 의해 회신된 ACK 메시지를 아직 수신되지 않았다면, UE는 WiFi 업링크가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하고, 이에 따라 WiFi 에어 인터페이스는 이용 불가능하다.
또한, UE가 WiFi 링크를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때, UE는 데이터 패킷을 AP에 직접 송신할 수도 있다. UE는 데이터 패킷을 AP에 송신한 후, UE가 AP에 의해 회신된 ACK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으면, UE는 AP에 의해 회신된 ACK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데이터 패킷을 재송신한다. 그렇지만, UE가 데이터 패킷을 AP에 재송신하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반면, AP에 의해 회신되는 응답이 아직 수신되지 않았다면, UE는 WiFi 업링크가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한다. UE가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는 시간 길이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를 초과하는 반면, AP에 의해 회신되는 응답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아직 수신되지 않았다면, UE는 WiFi 업링크가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한다. UE가 AP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UE가 AP에 의해 회신되는 응답을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수신하지 않으면, UE는 WiFi 업링크가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을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WiFi 에어 인터페이스의 예에서, UE가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지 않을 때, UE는 WiFi 에어 인터페이스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을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AP에 송신한다. 데이터 패킷은 업링크 데이터를 수반하지 않아도 되므로, WiFi 에어 인터페이스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을 이후로는 소량 데이터 패킷(small data packet)이라 칭한다. UE는 소량 데이터 패킷을 주기적으로 생성함으로써 WiFi 업링크가 이용 불가능한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소량 데이터 패킷은 무작위로 생성될 수 있다. 소량 데이터 패킷은 WiFi 링크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는 데 사용되며 데이터 전송과는 관련이 없다.
예를 들어, 소량 데이터 패킷이 RTS/CTS를 통해 상호작용해야 할 때, UE는 소량 데이터 패킷을 AP에 송신할 준비가 되어 있으면, UE는 RTS 메시지를 AP에 송신한 다음 CTS 메시지를 수신하고 나서 소량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물론, 소량 데이터 패킷은 직접적으로 송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UE가 WiFi 업링크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할 것으로 예상되면, UE는 소량 데이터 패킷을 AP에 직접적으로 송신하여 AP에 의해 회신된 ACK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지를 알게 된다. 소량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필요한 RTS의 송신 주기 또는 직접 송신의 경우의 소량 데이터 패킷의 송신 주기는 상대적으로 길 수 있으며, 이 방법에서, 소량 데이터 패킷은 WLAN의 재송신 메커니즘과 충돌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무작위로 생성된 소량 데이터 패킷은 UE에 의해 송신되는 데 필요한 서비스 데이터가 아니므로, UE는 어떠한 소량 데이터 패킷도 캐싱하지 않아도 된다. UE가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해야만 할 때, UE는 소량 데이터 패킷을 직접 생성하고 이것을 캐싱하지 않고 소량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며, 이에 따라 저장 공간을 낭비하지 않게 될 것이다.
UE가 소량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프로세스에서, 소량 데이터 패킷이 AP에 재송신되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 또는 소량 데이터 패킷이 AP에 재송신될 때의 시간 길이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를 초과할 때, 또는 AP에 의해 회신되고 UE에 의해 송신된 소량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이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 UE는 WiFi 업링크가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WiFi 에어 인터페이스는 이용 불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S502에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되고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제2 메시지가 수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되고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는 이하의 상황: 사용자 기기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되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 또는 사용자 기기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될 때의 시간 길이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를 초과할 때, 또는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회신되고 액세스 장치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이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의 상황 중 하나의 상황 하에서 수신될 수 있다.
WiFi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AP가 알게 되는 것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WiFi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신뢰할 수 없는 에어 인터페이스 또는 신뢰도 기능이 약한 에어 인터페이스도 이용 불가능할 수 있다.
AP가 WiFi 링크를 통해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때, RTS/CTS 메커니즘을 적용하는 경우, AP는 먼저 RTS 메시지를 UE에 송신할 수 있다. AP가 UE에 의해 회신된 CTS 메시지를 수신하면, AP는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시작할 수 있다. UE가 그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UE는 AP에 ACK 메시지를 회신한다.
AP RTS 메시지를 UE에 송신할 때, AP가 네트워크 혼잡 또는 다른 이유로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CTS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으면, AP는 WiFi 업링크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으로 결정하고, 이에 따라 WiFi 에어 인터페이스는 이용 불가능하다. AP는 UE에 RTS 메시지를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복수 회 재송신할 것이다.
AP가 CTS 메시지를 수신하고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시작할 때, AP가 UE에 의해 회신된 ACK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으면, AP는 UE에 의해 회신된 ACK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데이터 패킷을 재송신한다. 그렇지만, AP가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면, 예를 들어 7회를 초과하면, AP는 WiFi 업링크가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하고, 이에 따라 WiFi 에어 인터페이스는 이용 불가능하다.
AP가 CTS 메시지를 수신하고 데이터 패킷의 송신을 시작할 때, AP가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는 시간 길이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를 초과하는 반면, UE에 의해 회신된 ACK 메시지를 아직 수신되지 않았다면, AP는 WiFi 업링크가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하고, 이에 따라 WiFi 에어 인터페이스는 이용 불가능하다.
또한, AP가 WiFi 링크를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때, AP는 데이터 패킷을 UE에 직접 송신할 수도 있다. AP는 데이터 패킷을 UE에 송신한 후, AP가 UE에 의해 회신된 ACK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으면, AP는 UE에 의해 회신된 ACK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데이터 패킷을 재송신한다. 그렇지만, AP가 데이터 패킷을 UE에 재송신하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반면, UE에 의해 회신되는 응답이 아직 수신되지 않았다면, AP는 WiFi 업링크가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한다. AP가 데이터 패킷을 재전송하는 시간 길이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를 초과하는 반면, UE에 의해 회신되는 응답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아직 수신되지 않았다면, AP는 WiFi 업링크가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한다. AP가 UE에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 후 AP가 UE에 의해 회신되는 응답을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수신하지 않으면, AP는 WiFi 업링크가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을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사용자 기기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WiFi 에어 인터페이스의 예에서, AP가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를 가지지 않을 때, AP는 WiFi 에어 인터페이스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을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UE에 송신한다. 데이터 패킷은 업링크 데이터를 수반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 데이터 패킷을 이후로는 간단히 소량 데이터 패킷이라 칭한다. AP는 소량 데이터 패킷을 주기적으로 생성함으로써 WiFi 업링크가 이용 불가능한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소량 데이터 패킷은 무작위로 생성될 수 있다. 소량 데이터 패킷은 WiFi 링크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는 데 사용되며 데이터 전송과는 관련이 없다.
예를 들어, 소량 데이터 패킷이 RTS/CTS를 통해 상호작용해야 할 때, AP는 소량 데이터 패킷을 UE에 송신할 준비가 되어 있으면, AP는 RTS 메시지를 UE에 송신한 다음 CTS 메시지를 수신하고 나서 소량 데이터 패킷을 송신한다. 당연히, 소량 데이터 패킷은 직접적으로 송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AP가 WiFi 다운링크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할 것으로 예상되면, AP는 소량 데이터 패킷을 UE에 직접적으로 송신하여 UE에 의해 회신된 ACK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지를 알게 된다. 소량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데 필요한 RTS의 송신 주기 또는 직접 송신의 경우의 소량 데이터 패킷의 송신 주기는 상대적으로 길 수 있으며, 이 방법에서, 소량 데이터 패킷은 WLAN의 재송신 메커니즘과 충돌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무작위로 생성된 소량 데이터 패킷은 AP에 의해 송신되는 데 필요한 서비스 데이터가 아니므로, AP는 어떠한 소량 데이터 패킷도 캐싱하지 않아도 된다. AP가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해야만 할 때, AP는 소량 데이터 패킷을 직접 생성하고 이것을 캐싱하지 않고 소량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며, 이에 따라 저장 공간을 낭비하지 않게 될 것이다.
AP가 소량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프로세스에서, 소량 데이터 패킷이 UE에 재송신되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 또는 소량 데이터 패킷이 UE에 재송신될 때의 시간 길이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를 초과할 때, 또는 UE에 의해 회신되고 AP에 의해 송신된 소량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이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 AP는 WiFi 업링크가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WiFi 에어 인터페이스는 이용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S502에서 수신된 제2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일 수 있고,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의 사전설정된 식별을 수반함으로써, 데이터 패킷이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수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의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기존의 시그널링 구조는 변경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에어 인터페이스가 기존의 시스템에 대해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용이하게 도입할 수 있으며 실현하기가 편리하다.
S504에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는 제1 메시지에 따라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된다.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S502에서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S510, S520, S530은 S110, S120, S130과 동일하며, 이에 대해서는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 외에,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은 또한 다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은 데이터 패킷으로 캡슐화되며, 데이터 패킷이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수반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사전설정된 식별을 설정한다. 사전설정된 식별은 송신자(sending party)와 수신자(receiving party)에 의한 임의의 문자(character) 또는 문자열(character string)일 수 있으며, 문자 또는 문자열은 기존의 표준과 충돌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는,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사전설정된 IP 어드레스를 수반함으로써, 데이터 패킷이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수반한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캡슐화 형태를 설명하기 전에, 캡슐화 형태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Multi-RAT 하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토콜 스택의 제1 예에서, 일차 RAT는 LTE의 액세스 기술이고, 이차 RAT는 WLAN의 액세스 기술이다. 그러므로 제2 에어 인터페이스는 LTE 에어 인터페이스이고, 제1 에어 인터페이스는 WiFi 에어 인터페이스이다.
UE는 LTE 프로토콜 스택 및 WLAN 프로토콜 스택을 가진다. UE의 WLAN 프로토콜 스택은 AP의 WLAN 프로토콜 스택과 동일하다. AP의 이더넷 프로토콜 스택은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의 이더넷 프로토콜 스택, 즉 S-GW와 동일하다. UE의 LTE 프로토콜 스택은 기지국에서의 프로토콜 스택 변환을 통해 S-GW의 LTE S1 사용자 평면(plane)의 프로토콜 스택과 통신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토콜 스택의 제2 예에서, 일차 RAT는 UMTS의 액세스 기술이고, 이차 RAT는 WLAN의 액세스 기술이다. 그러므로 제2 에어 인터페이스는 UMTS 에어 인터페이스이고, 제1 에어 인터페이스는 WiFi 에어 인터페이스이다.
UE는 UMTS 프로토콜 스택 및 WLAN 프로토콜 스택을 가진다. UE의 WLAN 프로토콜 스택은 AP의 WLAN 프로토콜 스택과 동일하다. AP의 이더넷 프로토콜 스택은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의 이더넷 프로토콜 스택, 즉 RNC와 동일하다. UE의 UMTS 프로토콜 스택은 기지국에서의 프로토콜 스택 변환을 통해 RNC의 UMTS의 프로토콜 스택과 통신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WiFi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 불가능할 때, UE는 LTE 프로토콜 스택 또는 UMTS 프로토콜 스택 내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적용함으로써 WiFi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도 8의 캡슐화 포맷은 AP와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즉 RNC/S-GW 간에 전달되는 UE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와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즉 RNC/S-GW 간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 데이터 패킷은 IP 헤더,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SCTP) 헤더, 터널링 계층 헤더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 부하를 포함하며, 상기 터널링 계층 헤더는 IP 헤더 및 TCP/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 헤더를 포함하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 부하에 수반된다.
AP가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할 때, IP 헤더에서, 발신지 IP 어드레스 필드는 AP의 IP 어드레스를 수반하고, 목적지 IP 어드레스 필드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의 IP 어드레스, RNC/S-GW를 수반한다. TCP/SCTP 헤더에서, UE들은 발신지 포트 필드를 통해 구별된다. 터널링 계층의 IP 헤더에서, 발신지 IP 어드레스 필드는 UE의 IP 어드레스를 수반하고, 목적지 IP 어드레스 필드는 사전설정된 IP 어드레스를 수반하며, 사전설정된 IP 어드레스는 데이터 패킷이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수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AP가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할 때, IP 헤더에서, 발신지 IP 어드레스 필드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의 IP 어드레스, RNC/S-GW를 수반하고, 목적지 IP 어드레스 필드는 AP의 IP 어드레스를 수반한다. TCP/SCTP 헤더에서, UE들은 목적지 포트를 통해 구별된다. 터널링 계층의 IP 헤더에서, 발신지 IP 어드레스 필드는 사전설정된 IP 어드레스를 수반하고, 사전설정된 IP 어드레스는 데이터 패킷이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수반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목적지 IP 어드레스 필드는 UE의 IP 어드레스를 수반한다.
도 9의 캡슐화 포맷은 AP와 UE 간에 전달되는 UE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와 UE 간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 데이터 패킷은 MAC 헤더, 터널링 계층 헤더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 부하를 포함하며, 터널링 계층 헤더는 IP 헤더 및 TCP/UDP 헤더를 포함하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 부하에 수반된다.
AP가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UE에 송신할 때, MAC 헤더에서, 발신지 MAC 어드레스 필드는 AP의 MAC 어드레스를 수반하고, 목적지 MAC 어드레스 필드는 UE의 MAC 어드레스를 수반한다. 터널링 계층의 IP 헤더에서, 발신지 IP 어드레스 필드는 데이터 패킷이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수반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설정된 IP 어드레스를 수반한다.
AP가 UE로부터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할 때, MAC 헤더에서, 발신지 MAC 어드레스 필드는 UE의 MAC 어드레스를 수반하고, 목적지 MAC 어드레스 필드는 AP의 MAC 어드레스를 수반한다. 터널링 계층의 IP 헤더에서, 발신지 IP 어드레스 필드는 UE의 IP 어드레스를 수반하고, 목적지 IP 어드레스 필드는 데이터 패킷이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수반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설정된 IP 어드레스를 수반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은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적용한다 해도, 기존의 시그널링 구조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이 방법은 실현하기가 편리하고, 이에 의해 시스템의 확장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해 네트워크 측으로부터 위에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1000) 및 방법(1100)에 대해 사용자 측으로부터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1000)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S1010,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오프로딩 포인트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며, 제1 메시지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오프로딩 포인트 장치에 의해 갱신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사용자 기기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S1020, 갱신 정보에 따라,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며; 그리고
S1030,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오프로딩 포인트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방법(1000)은 사용자 기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UE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 및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시에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UE를 위한 데이터 오프로딩 전송을 제공한다.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UE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여 UE가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에서 원래 전송되는 서비스(들)에 관한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의해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해결한다. UE의 동작은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의 동작에 대응하며, UE의 동작에 대해서는 간략화를 위해 전술한 방법(100, 300, 400, 500)에서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사용자 기기가 알게 되면, 사용자 기기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에 수반된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및 사용자 기기는 동일한 접속 문맥 정보에 기초해서 데이터 전송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에 현재 수반된 서비스(들)를 처리할 수 있고,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데이터 전송에 일치하는 UE의 모든 서비스(들)는 방해받지 않게 되며, UE의 서비스(들)의 지속성은 가능한 많이 보장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통신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일조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데이터 전송 방법(1100)에 대한 흐름도이다.
S1102에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제2 메시지가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된다.
UE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검출하는 복수의 조건 하에서 제2 메시지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하는데, 예를 들어,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되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 또는 액세스 장치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될 때의 시간 길이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를 초과할 때, 또는 상기 액세스 장치에 의해 회신되는 응답이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 송신한다. 전술한 내용에 대해서는 S502에서의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일 수 있고, 데이터 패킷의 헤더는 데이터 패킷이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수반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설정된 식별을 수반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캡슐화 포맷을 채택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채택한다 해도, 기존의 시그널링 구조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이 방법은 실현하기가 편리하다.
S1104에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가 캐싱된다.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UE가 검출하면, UE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를 캐싱할 수 있고 이 업링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의 제어를 대기한다.
S1106에서,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업링크 정보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되며, 이에 따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업링크 정보에 따라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한다.
UE가 업링크 데이터를 캐싱한 후, UE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업링크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업링크 정보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서비스가 삭제되거나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에 일조한다. UE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정보는, 업링크 데이터를 캐싱하는 데 걸리는 시간 길이, 업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서비스(들), 업링크 데이터의 데이터량, 업링크 데이터의 QoS 요건, 업링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에 대해서는 S420에서의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S1110에서,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가 수신되며, 제1 메시지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갱신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한다.
제1 메시지에 수반된 갱신 정보는 UE에 의해 보고되는 업링크 데이터에 따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갱신 정보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에서 원래 전송되는 서비스(들)의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도록 UE에 명령한다.
S1115에서, 갱신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접속 문맥 정보가, 접속 문맥 정보가 삭제되는 서비스의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포함한다는 것을 보일 때, 업링크 데이터는 폐기되거나; 또는 갱신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접속 문맥 정보가, 접속 문맥 정보가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을 나타내는 것으로 변경되는 서비스의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포함한다는 것을 보일 때, 업링크 데이터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된다.
UE는 갱신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S1104에서 캐싱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처리한다. S1115는 S1110 후에 실행될 수 있고, S1120 및 S1130의 실행 순서와는 관련이 없다.
S1120에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는 갱신 정보에 따라 갱신된다.
UE가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제1 메시지에 수반된 갱신 정보가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을 명령하면, UE는 갱신 정보에 따라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갱신 정보가 서비스 A의 접속 문맥 정보를 삭제할 것을 명령하면, UE는 서비스 A의 접속 문맥 정보를 삭제한다. 다른 예에서, 갱신 정보가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을 나타내도록 서비스 B의 접속 문맥 정보를 수정하도록 명령하면, UE는 서비스 B의 접속 문맥 정보에 대해 대응하는 수정을 수행한다.
S1130에서,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이 수행된다.
UE가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한 후, UE는 갱신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와의 후속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는 업링크 데이터를 캐싱하고 업링크 정보를 보고함으로써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것에 일조하며, 이에 따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을 더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고, 따라서 접속 문맥 정보의 갱신의 유효성을 향상시키며,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을 충족하는 서비스의 지속성을 유지하며, QoS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서비스를 간섭하는 것을 차단하며, 이에 의해 네트워크 자원을 절감한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련 장치의 구조에 대한 블록도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1200)의 구조에 대한 블록도이다.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1200)는 RNC, S-GW, GGSN, SGSN, P-GW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장치가 될 수 있다.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1200)는 갱신 모듈(1210), 송신 모듈(1220), 및 전송 모듈(12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갱신 모듈(1210)은 프로세서로 실현될 수 있으며, 송신 모듈(1220)은 송신 인터페이스로 실현될 수 있으며, 전송 모듈(1230)은 송수신 인터페이스로 실현될 수 있다. 갱신 모듈(1210)은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송신 모듈(1220)은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메시지는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 기기는 상기 갱신 정보에 따라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여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를 획득한다. 전송 모듈(1230)은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사용자 기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갱신 모듈(1210), 송신 모듈(1220), 및 전송 모듈(1230)의 전술한 동작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100)에서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며, 이에 대해서는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따르면,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알게 되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에 수반된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고 사용자 기기에 그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를 통지할 수 있으며, 이 방법에서,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및 사용자 기기는 동일한 접속 문맥 정보에 기초해서 데이터 전송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에 현재 수반된 서비스(들)를 처리할 수 있고,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데이터 전송에 일치하는 UE의 모든 서비스(들)는 방해받지 않게 되며, UE의 서비스(들)의 지속성은 가능한 많이 보장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통신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일조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1300)의 구조에 대한 블록도이다.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1300)의 갱신 모듈(1310), 송신 모듈(1320), 및 전송 모듈(1330)은 기본적으로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1200)의 갱신 모듈(1210), 송신 모듈(1220), 및 전송 모듈(1230)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갱신 모듈(1310)은 캐싱 유닛(1312) 및 제1 갱신 유닛(1314)을 포함한다. 캐싱 유닛(1312)은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사용자 기기에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갱신 유닛(1314)은 다운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는 것 외에, 사용자 기기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2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갱신 모듈(1310)은 제2 갱신 유닛(13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갱신 유닛(1316)은 사용자 기기가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 외에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다른 서비스(들)를 가지면, 상기 다른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삭제하거나, 상기 다른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갱신 유닛(1314)은 결정 서브유닛(1314-2), 삭제 서브유닛(1314-4), 및 변경 서브유닛(1314-6)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정 서브유닛(1314-2)은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다운링크 정보에 따라,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가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될 때 QoS의 요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삭제 서브유닛(1314-4)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삭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변경 서브유닛(1314-6)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의 요건을 충족하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에서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갱신 모듈(1310)은 폐기 유닛(1318) 및/또는 송신 유닛(13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폐기 유닛(1318)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폐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송신 유닛(1319)은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을 충족하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1300)는 수신 모듈(1302) 및 결정 모듈(13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모듈(1302)은, 사용자 기기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되고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되고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결정 모듈(1304)은 제2 메시지에 따라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가 사용자 기기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될 때, 수신 모듈(1302)은 이하의 상황: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되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 또는 상기 액세스 장치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될 때의 시간 길이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를 초과할 때, 또는 상기 액세스 장치에 의해 회신되고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이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의 상황 중 하나의 상황 하에서 사용자 기기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되고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가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될 때, 수신 모듈(1302)은 이하의 상황: 사용자 기기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되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 또는 사용자 기기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될 때의 시간 길이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를 초과할 때, 또는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회신되고 액세스 장치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이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의 상황 중 하나의 상황 하에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되고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 사용된다.
수신 모듈(1302)에 의해 수신된 제2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일 수 있고, 데이터 패킷의 헤더는 데이터 패킷이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수반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설정된 식별을 수반한다.
캐싱 유닛(1312), 제1 갱신 유닛(1314), 제2 갱신 유닛(1316), 결정 서브유닛(1314-2), 삭제 서브유닛(1314-4), 변경 서브유닛(1314-6), 폐기 유닛(1318), 송신 유닛(1319), 수신 모듈(1302) 및 결정 모듈(1304)의 전술한 동작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100, 300, 500)에서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며, 이에 대해서는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따르면, QoS 요건에 따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캐싱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응하고 UE에 의해 캐싱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을 결정함으로써,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는 효과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서비스의 QoS에 역효과를 주지 않으면서 서비스의 지속성은 가능한 많이 유지되며, 이에 의해 네트워크 자원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QoS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서비스를 전송할 때 네트워크 자원을 낭비하지 않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1400)의 구조에 대한 블록도이다.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1400)의 갱신 모듈(1410), 송신 모듈(1420) 및 전송 모듈(1430)은 기본적으로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1200)의 갱신 모듈(1210), 송신 모듈(1220) 및 전송 모듈(1230)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갱신 모듈(1410)은 캐싱 유닛(1412), 획득 유닛(1414) 및 제1 갱신 유닛(1416)을 포함할 수 있다. 캐싱 유닛(1412)은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기기에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획득 유닛(1414)은 사용자 기기에 의해 캐싱된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업링크 정보를 획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갱신 유닛(1416)은 업링크 정보에 기초해서 다운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며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는 것 외에, 사용자 기기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2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갱신 모듈(1410)은 제2 갱신 유닛(14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갱신 유닛(1417)은 사용자 기기가 제1 서비스 집합 및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 외에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다른 서비스(들)를 가지면, 이 다른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삭제하거나, 이 다른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갱신 유닛(1416)은 제1 결정 서브유닛(1416-2), 제2 결정 서브유닛(1416-4), 삭제 서브유닛(1416-6) 및 변경 서브유닛(1416-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정 서브유닛(1416-2)은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다운링크 정보에 따라,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될 때 QoS의 요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2 결정 서브유닛(1416-4)은 업링크 정보에 따라,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의 요건을 충족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삭제 서브유닛(1416-6)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제1 서비스 집합 및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문맥 접속 정보를 삭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변경 서브유닛(1314-8)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의 요건을 충족하는 제1 서비스 집합 및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에서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갱신 모듈(1410)은 폐기 유닛(1418) 및/또는 송신 유닛(14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폐기 유닛(1418)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폐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송신 유닛(1419)은 전송을 위해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QoS 요건을 충족하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캐싱 유닛(1412), 획득 유닛(1414), 제1 갱신 유닛(1416), 제2 갱신 유닛(1417), 제1 결정 서브유닛(1416-2), 제1 결정 서브유닛(1416-4), 삭제 서브유닛(1414-6), 변경 서브유닛(1416-8), 폐기 유닛(1418) 및 송신 유닛(1419)의 전술한 동작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400)에서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며, 이에 대해서는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따르면, QoS 요건에 따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캐싱된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응하고 UE에 의해 캐싱된 업링크 데이터에 대응하는 서비스의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을 결정함으로써,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는 효과적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서비스의 QoS에 역효과를 주지 않으면서 서비스의 지속성은 가능한 많이 유지되며, 이에 의해 네트워크 자원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QoS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서비스를 전송할 때 네트워크 자원을 낭비하지 않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500)의 구조에 대한 블록도이다.
사용자 기기(500)는 휴대폰, 퍼스널 컴퓨터, 개인휴대단말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기기(500)는 수신 모듈(1510), 갱신 모듈(1520) 및 전송 모듈(15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 모듈(1510)은 수신 인터페이스로 실현될 수 있으며, 갱신 모듈(1520)은 프로세서로 실현될 수 있으며, 전송 모듈(1530)은 송수신 인터페이스로 실현될 수 있다. 수신 모듈(1510)은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메시지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오프로딩 포인트 장치에 의해 갱신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문맥 접속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사용자 기기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갱신 모듈(1520)은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송 모듈(1530)은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상기 오프로딩 포인트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수신 모듈(1510), 갱신 모듈(1520), 및 전송 모듈(1530)의 전술한 동작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1000)에서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며, 이에 대해서는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기기에 따르면,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사용자 기기가 알게 되면, 사용자 기기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에 따라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에 수반된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할 수 있으며, 이 방법에서,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및 사용자 기기는 동일한 접속 문맥 정보에 기초해서 데이터 전송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에 현재 수반된 서비스(들)를 처리할 수 있고,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데이터 전송에 일치하는 UE의 모든 서비스(들)는 방해받지 않게 되며, UE의 서비스(들)의 지속성은 가능한 많이 보장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통신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일조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1600)의 구조에 대한 블록도이다. 수신 모듈(1610), 갱신 모듈(1620) 및 전송 모듈(1630)은 기본적으로 사용자 기기(1500)의 수신 모듈(1510), 갱신 모듈(1520) 및 전송 모듈(1530)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1600)는 제1 송신 모듈(16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 모듈(1602)은,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되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하거나, 또는 액세스 장치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될 때의 시간 길이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를 초과할 때,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하거나, 또는 액세스 장치에 의해 회신되고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이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일 수 있고, 데이터 패킷의 헤더는 데이터 패킷이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수반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설정된 식별을 수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1600)는 캐싱 모듈(16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캐싱 모듈(1604)은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를 캐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1600)는 제2 송신 모듈(16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송신 모듈(1606)은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업링크 정보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업링크 정보에 따라 문맥 접속 정보를 갱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는 것 외에, 사용자 기기(1600)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2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1600)는 폐기 모듈(1640) 및/또는 제3 송신 모듈(16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폐기 모듈(1640)은, 갱신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접속 문맥 정보가, 접속 문맥 정보가 삭제되는 서비스의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포함한다는 것을 보일 때,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폐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3 송신 모듈(1650)은, 갱신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접속 문맥 정보가, 접속 문맥 정보가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되는 서비스의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포함한다는 것을 보일 때,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송신 모듈(1602), 캐싱 모듈(1604), 및 제2 송신 모듈(1606), 폐기 모듈(1640) 및 제3 송신 모듈(1650)의 전술한 동작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1100)에서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며, 이에 대해서는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기기에 따르면, 사용자 기기는 업링크 데이터를 캐싱하고 업링크 정보를 보고함으로써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것에 일조하며, 이에 따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을 더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고, 따라서 접속 문맥 정보의 갱신의 유효성을 향상시키며,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을 충족하는 서비스의 지속성을 유지하며, QoS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서비스를 간섭하는 것을 차단하며, 이에 의해 네트워크 자원을 절감한다.
이하에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스템(1700)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시스템(1700)은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1710) 및 사용자 기기(1720)를 포함한다.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1710)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데 사용되고, 사용자 기기(1720)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사용자 기기(1720)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제1 메시지는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 기기(1720)는 갱신 정보에 따라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여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를 획득하며, 그리고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사용자 기기(1720)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사용자 기기(1720)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1710)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갱신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사용자 기기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상기 갱신 정보에 따라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며; 그리고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1710)의 전술한 동작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100, 300, 400, 500)에서의 설명을 참조하면 되고, 사용자 기기(1720)의 전술한 동작 및 다른 동작 및/또는 기능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1000 및 1100)에서의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따르면,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알게 되면,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에 수반된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고 사용자 기기에 그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를 통지할 수 있으며, 이 방법에서,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및 사용자 기기는 동일한 접속 문맥 정보에 기초해서 데이터 전송을 계속해서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에 현재 수반된 서비스(들)를 처리할 수 있고,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데이터 전송에 일치하는 UE의 모든 서비스(들)는 방해받지 않게 되며, UE의 서비스(들)의 지속성은 가능한 많이 보장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통신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일조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관련해서 설명된 각각의 방법의 단계 및 유닛들은 전자식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실시예의 단계 및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에서의 기능에 따라 대체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기능들이 하드웨어의 형태로 실행되는지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실행되는지는 기술적 솔루션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 조건에 달려 있다.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당업자라면 상이한 방법으로 그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실행은 본 발명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조합해서 설명되는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메모리, 리드 온리 메모리(ROM), 전자식 프로그래머블 ROM, 전자식 삭제 가능형 프로그래머블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이동 디스크, CD-ROM 또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른 형태의 임의의 저장매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 및 정신을 벗어남이 없이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Claims (37)

  1.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됨 - ;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여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를 획득함 - ; 및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사용자 기기에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2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로 접속되며,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 외에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다른 서비스(들)를 가지면, 상기 다른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삭제하거나, 상기 다른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2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로 접속되며,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다운링크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가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될 때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및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을 충족하는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에서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사용자 기기에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캐싱된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업링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고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2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로 접속되며,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및 상기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 외에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다른 서비스(들)를 가지면, 상기 다른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삭제하거나, 상기 다른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2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로 접속되며,
    상기 업링크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고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다운링크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가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될 때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가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될 때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및 상기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및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을 충족하는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및 상기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에서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8.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폐기하는 단계; 또는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을 충족하는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되고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되고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되고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이하의 상황: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되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 또는
    상기 액세스 장치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될 때의 시간 길이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를 초과할 때, 또는
    상기 액세스 장치에 의해 회신되고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이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
    의 상황 중 하나의 상황 하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되고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되고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이하의 상황:
    상기 사용자 기기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되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될 때의 시간 길이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를 초과할 때,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회신되고 상기 액세스 장치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이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
    의 상황 중 하나의 상황 하에서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되고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주기적으로 생성되고 송신되며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인,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이고, 데이터 패킷의 헤더는 상기 데이터 패킷이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수반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설정된 식별(identity)을 수반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3.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갱신되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됨 - ;
    상기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되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액세스 장치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될 때의 시간 길이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를 초과할 때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액세스 장치에 의해 회신되고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이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은 주기적으로 생성되고 송신되며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인, 데이터 전송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이고, 데이터 패킷의 헤더는 상기 데이터 패킷이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수반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설정된 식별을 수반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를 캐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를 캐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가 상기 업링크 정보에 따라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상기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업링크 정보를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2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로 접속되며,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갱신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접속 문맥 정보가, 상기 접속 문맥 정보가 삭제되는 서비스의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포함한다는 것을 보일 때,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폐기하는 단계; 또는
    상기 갱신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접속 문맥 정보가, 상기 접속 문맥 정보가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되는 서비스의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포함한다는 것을 보일 때,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0.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있어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 모듈 -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됨 - ;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여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를 획득함 - ; 및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전송 모듈
    을 포함하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모듈은,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사용자 기기에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하는 캐싱 유닛; 및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제1 갱신 유닛
    을 포함하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2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로 접속되며,
    상기 갱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 외에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다른 서비스(들)를 가지면, 상기 다른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삭제하거나, 상기 다른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하는 제2 갱신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2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로 접속되며,
    상기 제1 갱신 유닛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다운링크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가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될 때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는 결정 서브유닛;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삭제하는 삭제 서브유닛; 및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을 충족하는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에서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하는 변경 서브유닛
    을 포함하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모듈은,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사용자 기기에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를 캐싱하는 캐싱 유닛;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캐싱된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업링크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유닛; 및
    상기 업링크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가 속하는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고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제1 갱신 유닛
    을 포함하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2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로 접속되며,
    상기 갱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및 상기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 외에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다른 서비스(들)를 가지면, 상기 다른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삭제하거나, 상기 다른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하는 제2 갱신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2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로 접속되며,
    상기 제1 갱신 유닛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에 관한 다운링크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가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될 때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는 제1 결정 서브유닛;
    상기 업링크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가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될 때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이 충족되는지를 결정하는 제2 결정 서브유닛;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및 상기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삭제하는 삭제 서브유닛; 및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을 충족하는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및 상기 제2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에서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하는 변경 서브유닛
    을 포함하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27. 제23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모듈은,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폐기하는 폐기 유닛; 또는
    전송을 위해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로 이동되면 서비스의 품질의 요건을 충족하는 상기 제1 서비스 집합 내의 서비스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사용자 기기에 송신하는 송신 유닛
    을 포함하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되고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되고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제2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한 것으로 결정하는 결정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이하의 상황: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되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 또는
    상기 액세스 장치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될 때의 시간 길이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를 초과할 때, 또는
    상기 액세스 장치에 의해 회신되고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이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
    의 상황 중 하나의 상황 하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되고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수신 모듈은 이하의 상황:
    상기 사용자 기기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되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될 때의 시간 길이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를 초과할 때, 또는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회신되고 상기 액세스 장치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이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
    의 상황 중 하나의 상황 하에서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되고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이고, 데이터 패킷의 헤더는 상기 데이터 패킷이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수반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설정된 식별을 수반하는,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31.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갱신되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됨 - ;
    상기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갱신 모듈; 및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전송 모듈
    을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제1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 모듈은,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장치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되는 횟수가 사전설정된 횟수를 초과할 때,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액세스 장치에 데이터 패킷이 재송신될 때의 시간 길이가 제1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를 초과할 때,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액세스 장치에 의해 회신되고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이 제2 사전설정된 시간 주기 내에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하는, 사용자 기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이고, 데이터 패킷의 헤더는 상기 데이터 패킷이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수반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사전설정된 식별을 수반하는, 사용자 기기.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될 업링크 데이터를 캐싱하는 캐싱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에 관한 업링크 정보를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하는 제2 송신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상기 업링크 정보에 따라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는, 사용자 기기.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2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추가로 접속되며,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갱신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접속 문맥 정보가, 상기 접속 문맥 정보가 삭제되는 서비스의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포함한다는 것을 보일 때,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폐기하는 폐기 모듈; 또는
    상기 갱신 정보에 의해 표시된 상기 접속 문맥 정보가, 상기 접속 문맥 정보가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는 전송으로 변경되는 서비스의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업링크 데이터가 포함한다는 것을 보일 때,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상기 제2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송신하는 제3 송신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37.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및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고 -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됨 - ; 상기 사용자 기기에 제1 메시지를 송신하며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여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를 획득함 - ; 그리고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사용자 기기는,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가 이용 불가능할 때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에 의해 갱신되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사용자 기기의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에 관한 갱신 정보를 수반하며,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됨 - ; 상기 갱신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에어 인터페이스상의 서비스(들)에 현재 대응하는 접속 문맥 정보를 갱신하며; 그리고 상기 갱신한 접속 문맥 정보에 따라 상기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20147008029A 2011-08-26 2012-08-27 데이터 전송 방법,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시스템 KR101557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249387.0A CN102958108B (zh) 2011-08-26 2011-08-26 用于数据传输的方法、分流点设备、用户终端和***
CN201110249387.0 2011-08-26
PCT/CN2012/080635 WO2013029521A1 (zh) 2011-08-26 2012-08-27 用于数据传输的方法、分流点设备、用户终端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499A true KR20140062499A (ko) 2014-05-23
KR101557479B1 KR101557479B1 (ko) 2015-10-06

Family

ID=47755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029A KR101557479B1 (ko) 2011-08-26 2012-08-27 데이터 전송 방법,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51516B2 (ko)
EP (1) EP2741544B1 (ko)
KR (1) KR101557479B1 (ko)
CN (1) CN102958108B (ko)
BR (1) BR112014004309A2 (ko)
RU (1) RU2565583C1 (ko)
WO (1) WO20130295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94504A1 (zh) * 2013-06-06 2014-12-11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宽带网络高速缓冲存储器实现方法、设备及***
EP3048845B1 (en) * 2013-10-21 2018-04-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US20150245409A1 (en) * 2014-02-21 2015-08-27 Broadcom Corporation Carrier aggregation over lte and wifi
WO2015152659A1 (ko) 2014-04-02 2015-10-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셀룰러 망과 무선랜 망 간 트래픽 스티어링 방법 및 장치
CN105101290B (zh) 2014-05-15 2019-07-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评估结果上报方法、评估结果获取方法、装置及***
BR112017005633A2 (pt) * 2014-09-22 2018-06-26 Huawei Tech Co Ltd método e aparelho de transmissão de dados de serviços de ligação ascendente
FR3032854A1 (fr) * 2015-02-13 2016-08-19 Orange Procede de configuration d'un terminal connecte a un reseau de communication
CN109104745B (zh) * 2017-06-21 2021-08-3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空口质量的流量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10572882B (zh) 2017-08-11 2021-03-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计算机存储介质和通信***
CN109428916B (zh) * 2017-08-25 2022-02-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和装置、终端及服务器
CN111989983B (zh) * 2018-04-06 2024-04-02 苹果公司 用于用户装备设备的装置、***和方法
CN108712789B (zh) * 2018-05-10 2023-05-16 国家电网公司 一种区分不同频段基站的核心网设备及其处理方法
CN111479335A (zh) * 2019-01-24 2020-07-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通信装置
WO2021254459A1 (zh) * 2020-06-18 2021-12-23 华为技术有限公司 链路可达性的确定方法及装置
CN112804707A (zh) * 2021-01-04 2021-05-1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6729B1 (en) * 1998-07-20 2011-01-25 Qualcomm Incorporated Intersystem base station handover
US6987985B2 (en) 2003-06-06 2006-01-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components and methods for multiple system communications
CN100352219C (zh) * 2004-10-11 2007-11-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重选网络的实现方法
ATE436165T1 (de) 2005-07-27 2009-07-15 Alcatel Lucent Verfahren zum auslösen eines handovers
US20070263574A1 (en) 2006-05-10 2007-11-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attery management in a converged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FI20065467A0 (fi) * 2006-06-30 2006-06-30 Nokia Corp Naapurisolumittaus ja -raportointi useita radioliityntäteknologioita (RAT) käsittävässä ympäristössä
EP2127407A4 (en) * 2007-03-02 2015-03-11 Aegis Mobility Inc MANAGING MOBILE DEVICE COMMUNICATION SESSIONS TO REDUCE USER DISTRACTION
CN101448249B (zh) * 2008-01-25 2011-03-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释放服务网关缓存数据的方法
US9131425B2 (en) * 2008-06-09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CC enhancement for flow based mobility
US7974627B2 (en) * 2008-11-11 2011-07-05 Trueposition, Inc. Use of radio access technology diversity for location
US8902850B2 (en) * 2008-11-24 2014-12-02 At&T Mobility Ii Llc Selection of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for handover from cellular network to femto cell
CN102273263A (zh) * 2009-01-06 2011-12-07 夏普株式会社 移动通信***、QoS控制站和移动台
US9042373B2 (en) * 2009-01-09 2015-05-2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ata flow mobility
US8391188B2 (en) * 2009-07-30 2013-03-05 Motorola Mobility Llc Mobile station handoff with flex duplex channel assign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996649B2 (en) * 2010-02-05 2015-03-31 Qualcomm Incorporated Utilizing policies for offload and flow mo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58108A (zh) 2013-03-06
EP2741544A1 (en) 2014-06-11
RU2014111461A (ru) 2015-10-10
CN102958108B (zh) 2015-03-18
RU2565583C1 (ru) 2015-10-20
EP2741544A4 (en) 2014-11-26
BR112014004309A2 (pt) 2017-03-21
KR101557479B1 (ko) 2015-10-06
US20140177448A1 (en) 2014-06-26
EP2741544B1 (en) 2018-03-28
WO2013029521A1 (zh) 2013-03-07
US9451516B2 (en) 201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479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오프로드 포인트 장치, 사용자 단말 및 시스템
US907202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D2D bearer switching
US11006312B2 (en) PDCP packet-based DDDS frame transmission
WO2019158100A1 (zh) 一种传输方法和网络设备
CN112423340B (zh) 一种用户面信息上报方法及装置
WO2019059836A1 (en) METHODS AND UNITS IN A NETWORK NODE FOR PROCESSING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DEVICE
US11751096B2 (en) Conges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base station
US11510129B2 (en) Relay transmission method and relay node
JP6504608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システム
CN114979839A (zh) 一种传输控制协议代理方法及通信装置
WO2015018194A1 (zh) 一种隧道建立的方法及装置
JP2017073636A (ja) 中継装置、及び中継方法
US10735549B2 (en) Network apparatus
JP2008289080A (ja) 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データ通信方法
US11997547B2 (en) Mobility management in information centric networking
WO2017028681A1 (zh) 一种数据传输状态的报告、确定传输数据量的方法及装置
CN115250506A (zh) 一种通信方法及设备
EP4311298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JP6614327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WO2017193346A1 (zh) 访问资源的方法、装置和***
JP201215187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200923975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