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999A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arch report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arch report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999A
KR20140059999A KR1020120126556A KR20120126556A KR20140059999A KR 20140059999 A KR20140059999 A KR 20140059999A KR 1020120126556 A KR1020120126556 A KR 1020120126556A KR 20120126556 A KR20120126556 A KR 20120126556A KR 20140059999 A KR20140059999 A KR 20140059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index
window
conten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5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3434B1 (en
Inventor
황교광
남택일
전형국
김명숙
Original Assignee
(주)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윕스 filed Critical (주)윕스
Priority to KR102012012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434B1/en
Publication of KR20140059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9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4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69Annotation, e.g. comment data or footn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6/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dditional aspects of information retrieval not explicitly covered by G06F16/00 and subgroups
    • G06F2216/11Patent retrie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writing a search report and a method of display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writing a search report which prepares documents preceding content which are to be examined, and a display method used in writing the search repor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n index, which is an identification display, on an area selected from the content of a displayed document and providing a document sub-window to display the index; displaying a configuration of the content-to-be-examined corresponding to the index, and providing a comment sub-window for the index to receive a comment of the index; and extracting a configuration of the content-to-be-examined corresponding to the index, the index, and the comment of the index, and providing a search report generation window representing prece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figuration of the content-to-be-examined.

Description

조사 보고서 작성 장치 및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arch report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same}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urvey report,

본 발명은 조사 보고서를 작성하는 장치 및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조사 대상이 되는 콘텐츠에 선행되는 문헌을 대비한 조사 보고서를 작성하는 장치 및 이러한 조사 보고서 작성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reating an investigation report and a method of displaying the same, and is a device for preparing an investigation report in comparison with a literature precedent to the content to be searched, and a display method used for preparing such an investigation report.

특허 출원이나 R&D 연구 개발하고자 하는 특정 기술 내용(이하, 조사대상 발명이라 함)이 공개특허, 논문, 인터넷 자료 등의 문헌(이하, '선행 문헌')이 미리 존재하여 공개되어 있을 수 있다. 만약, 이러한 선행 문헌의 공개 사실을 모른 채 조사대상 발명을 특허 출원하거나 R&D 개발에 활용하는 경우, 공개된 선행 문헌으로 인해 조사대상 발명에 대해서 특허 등록을 받지 못하거나, R&D 개발 시에 타인의 특허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subject invention") to be patented or R & D R & D can be published and disclosed in adva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cedent document") such as patent, dissertation, and Internet data. In the case of patent application or research and development development without knowing the disclosure of these prior documents, patent applications may not be granted for the subject invention due to published prior art documents, or patents of others It may happen that the right is violated.

따라서 특허 출원이나 R&D 연구 개발 시에, 상기와 같이 특허 등록 거절이나 침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조사대상 발명과 유사한 문헌이 존재하는지 미리 조사하여 보고서 형태로 작성한 선행조사 보고서와 같은 조사 보고서가 적극 활용된다. 마찬가지로 출원된 조사대상 발명에 대한 등록 여부를 심사하거나, 등록된 (가)호 발명 등의 조사대상 발명의 특허를 무효시키기 위하여 조사 보고서가 작성되어 활용되고 있다. 조사 보고서는 조사대상 발명의 구성부와 이와 대비되는 문헌들의 관련 부분이 기본적으로 작성되는데, 윕스 등과 같은 검색 전문 기관 또는 조사분석 전문기관에 의하여 작성되어 제공된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patent registration rejection or infringement problem from occurring in the patent application or R & D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research report such as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report, It is used actively. Similarly, a research report has been prepared and used to examine the registration of the invented subject invention or to invalidate the patent of the subject invention such as the invention (A) registered. The research report is basically composed of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subject invention and the related documents, and it is prepared and provided by a search agency such as WIPS or a research agency.

그런데, 이러한 조사 보고서는 작업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작성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작성자는 검색된 문헌들을 인쇄물로서 프린팅 출력하여 조사대상 발명과 관련되는 부분의 문장 및 도면에 색칠이나 유사성 등의 표시(인덱스)를 하여, 나중에 모든 문헌들을 종합하여 조사 보고서를 작성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조사 보고서 작성이 인쇄물을 취합하여 작성하는 수동 작업 방식을 따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se research reports have been prepared manually by the workers. For example, the author prints out the retrieved documents as printed matter, displays (indexes) coloring or similarity in the sentences and drawings related to the invention to be investigated, and composes a research report later by synthesizing all the documents.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nual of the inspection report is prepared by collecting printed materials, there is the following problem.

첫째, 검색되어 선택된 문헌들을 인쇄물로서 프린팅 출력하여 검토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만약, 프린터 등이 고장나거나 출력하고자 하는 대기 인쇄물이 많은 경우에는, 제때에 프린팅 출력을 할 수 없어 관련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First,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retrieved and selected documents should be printed out as a printout for review. If a printer or the like fails or there are many atmospheric prints to be prin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inting operation can not be performed in a timely manner and the related work can not be easily performed.

둘째, 문헌들의 검색 기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 예전에 조사했던 문헌의 내용에 대한 기억을 하지 못하게 되어, 문헌과 조사대상 발명을 대비한 조사 보고서를 올바르게 작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Second, if the retrieval period of the documents takes a long time, it will not be possible to memorize the contents of the documents that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past.

셋째, 조사대상 발명과 문헌간의 관련성 대비를 위하여, 문헌의 프린팅 인쇄물의 관련된 문장 및 도면에 색칠, 유사성 등의 인덱스 표시를 직접 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는 작업 비효율성을 초래하며, 나아가 인쇄물의 유지 보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ird,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directly display indexes such as coloring and similarity in the related sentences and drawings of the printing printed matter in the literature in order to prepare the relevance between the subject invention and the literature. This results in inefficiency of the operation, and further, there may be problems in maintenance of the printed matter.

넷째, 최종적인 조사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기 위해서는, 각 문헌에 대한 검색 대비가 모두 이루어진 후, 인쇄물 형태의 문헌들을 모두 취합하여 육안으로 일일이 확인하여 작성해야 하는데, 이는 작업자의 정신적 피로감을 증대시켜 작업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선행조사 보고서 작성 시간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작성된 조사 보고서를 검수하기 위해서, 인쇄물 형태의 문헌들을 일일이 함께 검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Fourth, in order to prepare the final investigation report, all the documents are prepared for the documents, the documents in the form of printed materials must be collected and checked by visual inspection. This increases the worker's mental fatigue, And it can lead to an increase in the time for preparing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repor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documents in the form of prints in order to check the written research report.

[문헌1] 한국특허공개 2011-0020114[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20114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조사 보고서를 작성하는데 있어서 별도의 문헌 인쇄물 없이도 구성 대비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작성자의 구성 대비시에 문헌들 간에 혼동이 없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구성 대비된 항목들을 추출하여 자동으로 조사 보고서를 작성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조사 보고서의 검수 시간을 단축하도록 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pare a research report without preparing a separate document.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void confusion among the documents at the time of composition of the author. In addition,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tract the items that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automatically create an investigation report.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horten the inspection time of the investigation repor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디스플레이되는 문헌의 내용 중에서 선택되는 영역에 대한 식별 표시인 인덱스를 입력받아 표시하는 문헌 서브창을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인덱스에 대응되는 조사대상 콘텐츠의 구성부를 표시하고, 상기 인덱스의 코멘트를 입력받는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을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인덱스에 대응되는 조사대상 콘텐츠의 구성부, 상기 인덱스, 상기 인덱스의 코멘트를 추출하여, 조사대상 콘텐츠의 각 구성부에 대응되는 선행정보를 나타낸 조사 보고서 생성창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earching a document,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a document sub-window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n index, which is an identification mark for an area selected from the contents of a document to be display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 comment-by-index sub-window to receive a comment of an index; extracting a component of the content to be researched corresponding to the index, a comment of the index and the index, And providing an investigation report generation window showing the preceding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디스플레이되는 문헌의 내용 중에서 선택되는 영역에 대한 식별 표시인 인덱스를 입력받으며, 상기 인덱스를 설명하는 코멘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문헌, 인덱스, 코멘트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상기 문헌에 표시되는 인덱스 및 코멘트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조사대상 콘텐츠의 각 구성부에 대응하는 인덱스 및 코멘트를 추출하여 조사 보고서를 생성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n index that is an identification of an area selected from the contents of a displayed document and receives a comment describing the index,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document, And an inquiry report creating application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indexes and comments displayed in the document, extracting indexes and comment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nstituent parts of the search target content, and generating an investigation repor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에 의해 조사 보고서를 작성하기 때문에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요 도면에 대한 인덱스 표시 제공, 구성대비표 제공 등과 같이 구성 대비되는 내용을 일목 요연하게 보여줄 수 있어 작업자 및 검수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구성 대비 시에 문헌들에 대한 별도의 인쇄물 없이 원문 파일 상에서 관련 부분을 마우스 조작만으로 선택 표시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구성 대비를 위한 문헌들의 인쇄물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자원 절약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urvey report is created by the terminal such as the computer, the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t provides the index display for the major drawings, and provides a comparison table for the composition, so that the contents of the composition can be shown clearly,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and the inspector. In addition, at the time of configuration, relevant portions of the original text file are selectively displayed only by mouse operation without a separate printed matter for the documents, thereby shortening the working time. In addition, since it does not require the printed matter of the documents for composition, it can bring about the effect of resource sav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해 조사 보고서를 작성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조사 보고서 작성 서버를 구현한 조사 보고서 작성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사 보고서 작성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DB를 도시한 테이블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색결과 표시창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문헌 상세정보창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사 보고서 서지 표시창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대비 내용 입력창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서브창에서 조사대상 발명의 구성부의 일부를 삭제하기 전,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사 보고서 생성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조사 보고서 생성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사 보고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종속항 구성부 생성창을 도시한 그림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urvey report generating system for generating survey reports through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vestigation report generating system that implements an investigation report generating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n investigation report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table showing an examination subject content constituent D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rch result display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detailed information window of an operation doc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rveys report surveillance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contrast input window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showing before and after a part of a constituent part of an invention to be researched is deleted from a sub-window of a content constituent part to be resear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rvey report generation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5 are views showing various types of survey report generation windo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survey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pendency construction unit creation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설명에서는 조사 보고서 작성의 예로서 특히 선행을 대비하여 작성되는 선행조사 보고서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선행을 대비하여 작성되는 조사 보고서 이외에도 다른 형태의 조사 보고서에도 적용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explanations, as an example of preparing the survey report,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report especially prepared for the good works, but it will be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investigation reports besides the investigation report prepared for the good works.

또한 이하 설명에서는 조사대상 콘텐츠의 예로서 '발명'을 예를 들어 설명하겠으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이다. 따라서 발명 이외에도 기업 R&D기술, 학교연구기술, 특허 및 실용 등의 지적재산권 관련 내용, 논문 등이 조사대상 콘텐츠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밖에 조사대상 콘텐츠로서 다양한 예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content to be researched, but this is merely one example.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invention, content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ch as corporate R & D technology, school research technology, patent and practical use can be included in the contents to be researched, and there may be various examples as contents to be researched.

또한 이하 설명에서 구성부라 함은, 조사대상 콘텐츠인 조사대상 발명, 조사대상 기술, 조사대상 청구항 등에서의 구성요소를 말하는 것으로서, 그 이외에도 구성부는 조사대상 콘텐츠를 구현하는 구성필드, 구성단위, 구성그림 등의 다양한 개별 구성 정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stituent par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 to constituent elements in the subject matter to be researched, the subject matter to be researched, the subject matter to be researched, the claims to be researched, etc. In addition, the constituent unit includes a constituent field, a constituent unit,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사 보고서를 작성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vestigation report generating system for generating an investigation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사 보고서 작성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 검색 서버(20), 문헌DB 서버(30)를 포함한다.The survey report gen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0, a search server 20, and a document database server 30.

문헌DB 서버(30)는, 공개/등록특허 문헌, 논문 문헌 등의 세상에 공개된 다양한 문헌들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서버로서, 예를 들어, 각국별 특허/의장/실용/디자인 관련 문헌 및 논문들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문헌 DB 서버(30)에 특허문헌에 관련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문헌 DB에는 하나 이상의 특허들이 정해진 테이블 구조에 따라 각각 저장된다. 각각의 특허들은 각 특허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고유 식별 정보는 모든 테이블을 통합하여 고유 정보로서 설정된다. 또한, 문헌 DB는 특허의 공개 공보에 상응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등록 공보에 상응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분된다. 또한, 문헌 DB에는 각 특허에 대한 특허 정보를 저장하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이외에도 각 특허의 특허 유형 또는 상태 변화에 따른 유형 인덱스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각 특허의 출원번호와 유형 인덱스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각 특허의 출원번호에 유형 색인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하고 있는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점으로 설명하나 이외의 다른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The document DB server 30 is a server having a database storing various documents disclosed to the world such as open / registered patent documents and theses, such as a patent document, a design document, a practical document, a design document Are stored in a database form. When the related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ocument DB server 30, one or more patents are stored in the document DB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table structure. Each of the patents includ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patent, an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et as unique information by integrating all the tables. In addition, the document DB is divided into a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publication of the patent and a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registration bulletin. In addition to the general database storing patent information for each patent, the document DB also includes a database for separately storing the patent type of each patent or the type index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tate change. These databases map and store the application number and type index information of each pat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the type index information is mapped and stored in the application number of each patent, and the information is mapped and stored using other information. Of course.

검색 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검색식 및 검색 조건을 포함하는 검색 요청에 상응하는 특허 문서들을 검색하고, 이에 대한 검색 결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검색 키워드로서, '반도체 and ALD공정'을 입력한 경우, '반도체'와 'ALD공정'이 모두 포함된 문헌들을 문헌 DB 서버에서 검색하여, 검색된 문헌들의 검색 결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여기서, 검색 결과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서 요청된 검색에 상응하는 검색 대상 특허에 상응하는 리스트 정보일 수 있다. 즉, 검색 결과 정보는 검색 대상 특허에 상응하여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에 대한 리스트 정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검색 결과 정보가 검색 대상 특허에 상응하는 고유 식별 정보인 것을 가정하여 이를 중점으로 설명하나 이외에도 각 검색 대상 특허를 식별하기 위해 설정된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검색 서버가 각 키워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The search server 20 searches the patent documents corresponding to the search request including the search formula and search condition of the user terminal 10 and provides the search resul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semiconductor and ALD process' as a search keyword, documents including both 'semiconductor' and 'ALD process' are searched in the document DB server, and search result information of the searched documents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o provide. Here, the search result information may be li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arch target patent corresponding to the search requested at the user terminal. That is, the search result information may be list information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t corresponding to the patent to be searched. In this specifica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search result information i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atent to be searched, and is mainly described. In addition, if unique information set for identifying each search target patent is included The same can be applied. A method for the search server to search by using the information about each keyword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o a separate explanation will be omitted.

사용자 단말기(10)는 조사 보고서 작성 장치를 구비하며, 이러한 조사 보고서 작성 장치는 입력부(200), 표시부(300), 조사 보고서 어플리케이션(10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연산 처리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user terminal 10 includes an investigation report generating device, which includes an input unit 200, a display unit 300, and an investigation report application 100. A user terminal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a slate pc,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or the lik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e, but may include both of the computing processing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apparatus.

조사 보고서 어플리케이션(100)은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기의 메모리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조사 보고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대비 내용을 저장한 후 이를 가공하여 조사 보고서를 작성한다. 예를 들어, 조사 보고서 어플리케이션(100)은, 조사대상 발명에 대비시킬 문헌의 관련되는 영역에 인덱스(밑줄, 색칠, 말머리 표시 등)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덱스를 설명하는 내용(이하, '코멘트'라 함)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로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되는 인덱스 및 코멘트는 조사 보고서 작성 시에 추출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덱스라 함은, 밑줄표시, 블럭표시, 꺽쇠표시, 색상표시, 말풍선 표시를 포함하는 인덱스 표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문장 또는 도면에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인덱스 표시에는 상기의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The survey report application 100 is implemented in a program form and is an application operating in the memory of the user terminal. The survey report application saves the contrast content entered from the user and processes the report to create a survey report. For example, the research report application 100 can display an index (underline, coloring, heading display, etc.) in a relevant area of a document to be prepared against the subject invention to be investigated. Also, it is possible to perform a function of receiving cont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mments') describing an index from a user and storing the contents as a database. The stored indexes and comments can be extracted and used at the time of preparing the survey report. Hereinafter, the index refers to displaying at least one of an index display including an underline display, a block display, a bracket display, a color display, and a speech balloon display on a sentence or a drawing. The index display may have various other methods than the above-described method.

한편, 조사 보고서 작성 어플리케이션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지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망에 연결된 조사 보고서 작성 서버(40)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조사 보고서 작성 서버에서 조사 보고서 작성 어플리케이션이 구현될 경우 사용자 단말기 내의 조사 보고서 작성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조사 보고서 작성 서버는, 별도의 입력부와 표시부를 필요로 하지 않고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입력 및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작업 내용을 조사 보고서 서버(40)에서 직접 입력받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되는 내용을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조사 보고서 서버(40)는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조사 보고서를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기(10)에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밖에,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조사 보고서 작성 어플리케이션(100)은, 별도의 서버 형태로 구현되지 않고 검색 서버(20) 내에서 구현되어, 검색 서버 내의 검색모듈과 연동하여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urvey report generating application may be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as shown in FIG. 1, but may be implemented in the survey report generating server 40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s shown in FIG. When the survey report creation application is implemented in the survey report creation server, the same function as the survey report creation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is performed. However, the survey report generating server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and allows input and display through a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contents of the work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 may b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storing the contents of the work directly in the survey report server 40, and the survey report server 40 may use the stored database After generating the research report, the research report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 and displayed through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various other embodiments may exist. For example, the survey report generating application 100 may be implemented in the search server 20 without being implemented as a separate server, and may be implemented in cooperation with the search module in the search server .

도 3은 조사 보고서 작성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그림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investigation report generating apparatus.

조사 보고서 작성 장치는 입력부(200), 표시부(300), 조사 보고서 작성 어플리케이션(100)을 포함한다. 조사 보고서 작성 어플리케이션(100)은 조사대상 발명과의 구성 대비 작업의 입력 및 표시를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DB(120), 대비예정 문헌 DB(130), 인덱스표시 문헌 DB(140), 구성부 대비 DB(150), 조사 보고서 생성부(110)를 포함한다.The survey report preparation apparatus includes an input unit 200, a display unit 300, and an investigation report generation application 100. [ The survey report creation application 100 is an application for performing input and display of the configuration task with the subject invention to be investigated and includes an examination subject content constituent part DB 120, a prospective contrast document DB 130, an index display document DB 140 A component comparison DB 150, and an investigation report generation unit 110. [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DB(120)는, 선행조사되어야 할 과제의 발명의 원문 등의 내용이 저장된 DB이다. 조사대상 발명은, R&D과제 발명, 특허출원심사대상발명, 무효시키고자 하는 발명 등과 같이 조사 보고서 작성 대상의 발명이 될 수 있다.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DB(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조사대상 발명에 대하여 각 청구항별로 구성부의 내용이 저장된다. 문헌 고유번호에는 특허공개번호, 특허출원번호, 등록번호, 논문 번호 등의 식별 가능한 고유번호가 입력되며, 문헌파일 항목에는 각 조사대상 발명의 문헌 전체가 담긴 파일이나 내용이 기록되어 저장된다. 청구항, 구성부 식별기호, 구성부 내용의 항목들은, 작업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될 수 있으며, 또는 외부로부터 DB 정보를 구입하여 DB로 구축할 수 있다.The subject content constituent part DB 120 is a DB which stores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text of the invention of the subject to be investigated beforehand. The invention to be researched may be an invention to be the subject of an investigation report, such as an R & D subject invention, an invention subject to a patent application, or an invention to be invalidated. As shown in Fig. 4, the subject content constituent part DB 120 stores the contents of the constituent parts for each claim according to each of the subject inventions to be researched.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such as a patent publication number, a patent application number, a registration number, and a thesis number is input to the document unique number, and a file or contents containing the entire literature of each investigation subject invention is recorded and stored in the document file item. The items of the claim, the component identifier, and the component content can be input from the operator and stored, or DB information can be purchased from the outside and constructed as a DB.

대비예정 문헌 DB(130)는 조사대상 발명과의 대비 작업에 사용될 문헌들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로서, 조사대상 발명과의 유사성 대비 검토되어야 할 문헌이 저장되는 DB이다. 대비예정 문헌 DB는 작업자가 대비하고자 하는 문헌들을 수집하여 대비예정 문헌 DB에 저장할 수 있으며, 또는 검색 키워드에 따라 검색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인 검색 문헌들을 수신하여 대비예정 문헌 DB에 저장할 수 있다.The prepared contrast document DB 130 is a database storing documents to be used in comparison with the subject invention to be investigated, and is a DB storing documents to be examined against similarity with the subject invention to be investigated. The prepared contrast document DB can collect documents to be prepared by the operator and store them in the prepared contrast document database or receive search documents as search results from the search server according to the search keyword and store them in the contrast contrast document DB.

인덱스 표시 문헌 DB(140)는 문헌에 표시되는 인덱스 및 이러한 인덱스의 설명 내용인 코멘트를 조사대상 발명의 구성부 별로 문헌과 함께 저장한다. 작업자가 선행문헌으로 사용하고자 밑줄, 블럭 표시 등의 인덱스(mark)를 표시한 문헌(인덱스표시 문헌)이 저장되는 DB이다. 작업자가 도 8의 구성부 대비 등록 서브창(83)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부를 클릭할 경우, 그에 대응되어 맵핑된 인덱스표시 문헌이 인덱스표시 문헌 DB에서 호출되어 도 8의 문헌 서브창(81)에 해당 영역에 인덱스 표시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The index display document DB 140 stores an index displayed in a document and a comment, which is a description content of such an index, together with a document for each constituent part of an investigation subject invention. (Index display document) in which an operator displays an index such as an underline, a block mark, or the like for use as a preceding document. When an operator clicks on any one of the components in the registration sub-window 83 of FIG. 8, the corresponding index display document is called from the index display document DB to be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81 of FIG. 8 It can be displayed with the index display in the corresponding area.

구성부 대비 DB(150)는 조사대상 발명의 구성부와 이에 대응되는 문헌의 관련 내용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작업자에 의해 조사대상 발명의 구성부와 유사한 문헌의 관련 내용이 입력되면, 이러한 각 구성부별로 관련 내용을 맵핑하여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The component comparison DB 150 is a database in which constituent parts of the invention to be researched and related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documents are stored. When the related contents of a document similar to the constituent part of the subject invention are inputted by the operator, the related contents are mapped and stored for each constituent part.

한편, 상기의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DB, 대비예정 문헌 DB, 인덱스표시 문헌 DB, 구성부 대비 DB는 하드디스크(Hard Disk),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content constituent DB, the contrast predictive document DB, the index display document DB, and the constituent contrast DB of the above-mentioned object to be researched may be a hard disk, a flash memory, a CF card (Compact Flash Card) A module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such as a Secure Digital Card, an SM Card, an MMC Card, a Memory Stick, or the like, As shown in FIG.

입력부(200)는 조사 보고서 작성 대상인 조사대상 발명의 각 구성부에 대응하는 문헌의 특정 영역을 다른 영역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하는 인덱스를 입력받으며, 상기 인덱스에 대응되는 코멘트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선행 문헌 검색에 사용되는 검색 키워드, 검색 대상 공개 기간 등의 검색 조건을 입력받는다. 입력된 검색 조건은 통신망을 통하여 검색 서버에 전송되며, 검색 결과인 문헌들을 표시부를 통해 리스트나 문헌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거나 대비예정 문헌 DB에 저장한다. 입력부는 마우스 입력, 키보드 입력, 터치패널 입력 등의 다양한 입력 방식을 따를 수 있는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창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해당 필드에 데이터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input unit 200 receives an index indicating a specific area of a document corresponding to each constituent part of the subject invention to be inspected, which is an object of investigation report,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areas, and receives a comment corresponding to the index. For example, a search condition such as a search keyword used in searching for a lead document from a user, a search target disclosure period, and the like are input. The input search conditions are transmitted to the search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search result documents are displayed in the form of a list or a document through a display unit, or are stored in a prospective document DB. The input unit can follow various input methods such as a mouse input, a keyboard input, and a touch panel input. A cursor can be positioned on a display window displayed on a display unit, and data values can be input to the corresponding fields.

표시부(300)는 문헌 및 인덱스를 디스플레이하는 창과, 상기 코멘트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을 제공하는데, 도 5의 검색결과 표시창, 도 6의 작업문헌 상세정보창, 도 7의 조사 보고서 서지 표시창, 도 8의 구성대비 내용 입력창 등을 제공한다. The display unit 300 provides a window for displaying documents and indexes, and a window for inputting the comments. The search result display window of FIG. 5, the detailed document information window of FIG. 6, the survey report surveillance window of FIG. 7, And a content input window for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

도 5의 검색결과 표시창은, 검색 조건에 따라 검색되어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한 검색결과를 리스트 등의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도 5는 검색결과 표시창의 예시 도면으로서, 검색된 문헌들의 리스트가 검색 결과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search result display window of FIG. 5 displays search results received from the search server according to search conditions in various forms such as a list. 5 is an illustration of a search result display window, in which a list of retrieved documents can be displayed as a search result.

도 6의 작업문헌 상세정보창은 검색결과 표시창에서 선택된 문헌의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창이다. 작업자가 검색결과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중에서, 특정 문헌을 선택하게 되면 별도의 팝업창으로서 해당 선택된 문헌의 상세정보가 작업문헌 상세정보창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도 6은 작업문헌 상세정보창의 예시 도면으로서, 명칭, 요약, 출원국가, 공개번호, 출원번호, 우선권번호, 발명자, 출원자 등의 서지 사항과, 주요 청구항 및 대표 도면, 인용문헌번호, 패밀리번호 등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작업문헌 전문이 작업문헌 상세정보창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The detailed document information window in Fig. 6 is a window for displaying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ocument selected in the search result display window. When the worker selects a specific document from the list displayed in the search result display window,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document is displayed as a detailed document window in a separate pop-up window. 6 is an example drawing of the detailed information window of the working document and includes bibliographies such as name, summary, country of application, publication number, application number, priority number, inventor, applicant and the like, major claims and representative drawings, citation document numb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some cases, the full text of the working document may be displayed in the detailed text of the working document.

도 7의 조사 보고서 서지 표시창은 조사대상 발명과 선행되는 문헌들의 정보를 표시하고, 조사 보고서 생성 옵션을 입력받는다. 이를 위하여 조사대상 발명에 대비되는 문헌 리스트 서브창(71), 생성 옵션 서브창(72), 작업 정보 서브창(73), 조사 보고서 생성 서브창(74)을 디스플레이한다.The research report surveillance window of FIG. 7 displays information on the invention to be researched and the preceding documents, and receives an option to generate survey reports. For this purpose, a document list sub-window 71, a creation option sub-window 72, a job information sub-window 73, and an investigation report generation sub-window 74 are displayed.

문헌 리스트 서브창(71)은, 조사대상 발명과 대비 작업할 작업문헌의 정보를 표시한 작업 활성화 필드(711), 조사대상 발명에 대비되어 유사성이 있어서 선행문헌으로 확정되는 선행문헌들의 리스트를 저장하는 선행문헌 리스트 필드(712), 조사대상 발명과 유사성은 없지만 참고될 수 있는 참고문헌들의 리스트를 저장하는 참고문헌 리스트 필드(713)를 포함한다.The document list sub-window 71 includes a task activation field 711 that displays information of the working document to be compared with the subject invention to be examined, a list of preceding documents that have similarity with the subject invention and are determined as the preceding documents And a reference list field 713 for storing a list of reference documents that are not similar to the reference subject invention but can be referred to.

선행문헌 리스트 필드(712)는 조사대상 발명과 대비할 때 구성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유사성을 가지는 문헌들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선행문헌이라 함은 작업자에 의해 구성부 대비결과 조사대상 발명과 일부 또는 전부에 유사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 확정된 선행문헌들이다. 선행문헌 리스트 필드에 있는 선행문헌정보는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에 의하여 작업 활성화 필드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할 경우 드래그 앤 드롭된 선행문헌정보는 선행문헌 리스트에서 제거된 상태를 갖게 된다, 만약 작업 활성화 필드에 있는 선행문헌정보를 선행문헌 리스트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경우, 작업 활성화 필드에 있는 선행문헌정보를 다시 선행문헌 리스트 필드로 드래그 앤 드롭 이동시켜야 한다.The precedent document list field 712 displays a list of documents having similarities to some or all of the constituent parts when compared with the subject invention to be researched. Preceding documents are precedent documents that are judged to have similarity to some or all of the inventions of the results of the survey compared to the constituent parts by the operator. The preceding document information in the preceding document list field can be moved to the operation activation field by drag and drop and in this case the dragged and dropped preceding document information is removed from the preceding document list, If the prior document information in the task activation field is to be included in the preceding document list, the preceding document information in the task activation field must be dragged and dropped back into the preceding document list field.

참고문헌 리스트 필드(713)는, 조사대상 발명과 대비할 때 선행문헌에 비하여 유사성이 떨어지지만, 참고적으로 이용할 만한 문헌들의 리스트이다. 드래그 앤 드롭 이동을 통하여 작업 활성화 필드로 이동될 수 있으며, 작업 활성화 필드를 거쳐서 선행문헌 리스트 필드로 이동되어 선행문헌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The reference list field 713 is a list of reference documents that are less similar to the preceding re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subject invention to be investigated, but are used for reference. And may be moved to the job activation field through drag and drop movement, and may be moved to the preceding document list field via the job activation field and included as the preceding document.

작업 활성화 필드(711)는, 조사대상 발명과 대비될 문헌의 정보가 저장되는 필드이다. 작업 활성화 필드에 디스플레이된 문헌정보의 특허번호를 클릭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구성대비 내용 입력창이 팝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클릭된 문헌과 관련한 상세한 정보(발명의 상세한설명,청구항,도면,서지사항 등)가 구성대비 내용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되는 문헌의 상세한 정보를 읽으며 조사대상 발명과 구성 대비를 할 수 있다. 구성대비 내용 입력창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task activation field 711 is a field for storing information of a document to be compared with an investigation subject invention. When the patent number of the documen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job activation field is clicked, the configuration input content window shown in FIG. 8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clicked documen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claims, drawings, bibliographies, etc.) is displayed on the configuration input screen so that the operator can rea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isplayed document, have. The configuration contrast input window will be described later.

작업 활성화 필드(711)에 디스플레이되는 문헌정보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식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하나는 선행문헌 리스트 필드(712)나 참고문헌 리스트 필드(713)에서 드래그 앤 드롭되어 이동되어온 문헌정보가 표시되며, 다른 하나는 도 5의 검색결과 표시창에서 선택된 문헌이 표시될 수 있다.The documen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task activation field 711 can be selected by the following two methods. One is the document information that has been dragged and dropped in the preceding document list field 712 or the reference document list field 713, and the other document selected in the search result display window of FIG. 5 may be displayed.

선행문헌 리스트 필드(712)나 참고문헌 리스트 필드(713)에서 드래그 앤 드롭되어 이동되어온 문헌정보가 표시되는 것은, 작업자의 드래그 앤 드롭 선택에 의하여 선행문헌 리스트 필드나 참고문헌 리스트 필드로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작업자의 드래그 앤 드롭 선택에 의하여 작업 활성화 필드(711)에 표시된 문헌정보가 드래그 앤 드롭 이동에 의하여 선행문헌 리스트 필드(712)나 참고문헌 리스트 필드(713)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에서 드래그 앤 드롭이란, 컴퓨터의 마우스나 터치펜 등을 통하여 클릭한 후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컴퓨터 조작 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이 아니더라도 별도의 선택항목을 두어서 선행문헌 리스트 필드나 참고문헌 리스트 필드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밖에 다양한 이동 방식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The display of the moved and dragged document information in the precedent document list field 712 or the reference document list field 713 can be moved to the precedent document list field or the bibliography list field by the operator's drag and drop selection have. Conversely, the documen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task activation field 711 by the operator's drag-and-drop selection can be moved to the preceding document list field 712 or the reference document list field 713 by drag-and-drop movement. The drag-and-drop operation is a generally known computer operation method in which the user clicks through a mouse or a touch pen of a computer and then moves to another poin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a selection item to a preceding document list field or a reference document list field by using a separate selection item even if it is not a drag and drop method.

한편, 작업 활성화 필드(711)에 디스플레이되는 문헌정보를 검색결과 표시창에서 선택된 문헌이 표시되는 것을 도 5 내지 도 8과 함께 설명한다. 도 5의 검색결과 표시창에서 특정 문헌을 선택하면 도 6의 작업문헌 상세정보창이 팝업창 등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데, 이때, 도 6의 선행문헌 상세정보창 이외에 조사 보고서 서지 표시창 역시 팝업창 등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조사 보고서 서지 표시창 내의 문헌 리스트 서브창에 있는 작업 활성화 필드(711)에는, 검색결과 표시창에서 선택된 문헌의 특허번호(특허번호가 아닌 문헌을 특정할 수 있는 번호여도 무방함) 등의 작업문헌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검색결과 표시창에서 다른 문헌을 선택할 시에는, 작업 활성화 필드는 리셋되어 새롭게 선택되는 문헌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On the other hand,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that the document selected in the search result display window is displayed with the documen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job activation field 711. When a specific document is selected in the search result display window of FIG. 5, the detailed document information window of FIG. 6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research report surveillance window in addition to the prior document detailed information window of FIG. 6 is also displayed in the form of a pop- . In the job activation field 711 in the document list sub-window in the survey report surveillance window, information on the working document such as the patent number of the document selected in the search result display window (the document number can be specified other than the patent number) Is displayed. Therefore, when the operator selects another document in the search result display window, the job activation field is reset and information of the newly selected document is displayed.

한편, 작업 활성화 필드(711)에는 상태정보 항목(711a)이 포함되어 있는데, 한번이라도 선행문헌 리스트 필드나 참고문헌 리스트 필드에 들어간 적이 있으면 상태정보 항목에 '추가'로 표시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대기'로 표시된다. 따라서 선행문헌 리스트 필드나 참고문헌 리스트 필드에서 드래그 앤 드롭되어 작업 활성화 필드에 표시되는 문헌의 경우에는 '추가'로 표시되며, 검색결과 표시창에서 선택된 문헌의 경우에는 작업 활성화 필드에서 문헌번호와 함께 '대기'로 표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job activation field 711 includes a status information item 711a. If there is at least one entry in the preceding document list field or the bibliography list field, the status information item 711a is displayed as " Add " It is displayed as 'waiting'. Therefore, in the case of a document to be dragged and dropped in the precedent document list field or the bibliography list field and displayed in the job activation field, 'Add' is displayed. In the case of the document selected in the search result display window, Waiting '.

생성옵션 서브창(72)은 조사 보고서를 생성할 때 포함시킬 항목들을 선택 및 해제하는 선택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검색대상건 정보, 구성대비, 도면대비, 청구항별 인용문헌 등의 항목 중에서 선택된 항목만이 최종적인 조사 보고서에 포함되어 작성된다.The generation option sub-window 72 displays a selection window for selecting and releasing items to be included when generating the survey report. For example, only items selected from items such as search subject information, configuration contrast, drawing contrast, and cited documents by claims are included in the final investigation report.

작업정보 서브창(73)은 조사 보고서를 작성하는 작업자 정보 및 과제 정보를 표시하는 창이다. 작업자 정보는 해당 조사 보고서를 작성하는 작업자의 정보(이름,메일주소,전화번호 등)이며, 과제 정보는 해당 조사 보고서를 의뢰한 의뢰처, 과제명,관련조사대상 발명 파일,접수일,납품일 등이 해당된다. 참고로, 관련조사대상 발명 파일의 항목을 클릭하게 되면 해당 파일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접수일 및 납품일을 클릭하면 전자 캘린더가 디스플레이되어 날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work information sub-window 73 is a window for displaying worker information and task information for creating an investigation report. The worker information is the information (name, e-mail address, telephone number, etc.) of the worker who creates the survey report. The task information includes the client requested the survey report, the name of the task, . For reference, when an item of the related investigation subject invention file is clicked, the corresponding file can be executed and displayed. When the reception date and the delivery date are clicked, the electronic calendar is displayed and the date can be corrected.

조사 보고서 생성 서브창(74)은 생성명령 아이콘(741), 납품양식 등록 아이콘(742), 비특허문헌 등록 아이콘(743)을 포함한다.The investigation report generation sub-window 74 includes a creation command icon 741, a delivery form registration icon 742, and a non-patent document registration icon 743. [

생성명령 아이콘(741)은 조사 보고서를 생성하도록 작업자로부터 명령을 받는 입력 아이콘으로서, 작업자가 생성명령 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등록된 납품 양식 및 생성옵션에 따라서 조사 보고서를 생성한다.The creation command icon 741 is an input icon for receiving an instruction from an operator to generate an investigation report. When the operator clicks the creation command icon, the creation command icon 741 generates an investigation report according to the registered delivery form and creation option.

납품양식 등록 아이콘(742)은, 의뢰 기관별로 납품할 조사 보고서의 양식을 등록하는 아이콘이다. 작업자가 납품 양식 등록 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의뢰처에 납품하게 될 조사 보고서의 양식을 등록할 수 있다. 의뢰처마다 조사 보고서의 납품 양식을 달리하기 때문에, 의뢰처별로 조사 보고서 양식을 등록하는 것이다.The delivery form registration icon 742 is an icon for registering the form of the survey report to be delivered for each requesting institution. When the operator clicks the registration form icon, the form of the survey report to be delivered to the client can be registered. Since the delivery form of the survey report differs for each client, it is necessary to register the survey report form for each client.

비특허문헌 등록 아이콘(743)은, 논문, 인터넷파일, 스캔파일과 같이 특허문헌이 아닌 비특허문헌을 등록할 수 있는 아이콘이다. 작업자가 비특허문헌 등록 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조사대상 발명과 비교 대상에 사용되는 논문, 인터넷파일, 스캔파일 등을 등록할 수 있는 별도의 등록창이 표시된다. 상기에서 인터넷파일이라 함은 인터넷 상에서 획득할 수 있는 기사물, 웹 게시물의 html 형태 등의 웹 등록 가능한 파일이나 웹 게시된 파일을 말한다. 또한 스캔파일이라 함은 잡지,신문,박람회유인물 등을 스캔한 파일로서 PDF, JPG, TIFF 등의 다양한 파일을 말한다.
The non-patent document registration icon 743 is an icon for registering non-patent documents such as a paper, an Internet file, and a scan file, which are not patent documents. When the worker clicks the non-patent document registration icon, a separate registration window for registering the research subject invention, thesis, internet file, scan file, etc. to be used for comparison is displayed. The Internet file refers to a file that can be registered on the web such as an article that can be acquired on the Internet, an html form of a web post, or a web-posted file. The scan file is a scanned file of a magazine, a newspaper, an exhibition handout, etc., and refers to various files such as PDF, JPG, and TIFF.

한편, 도 7의 조사 보고서 서지 표시창 내의 작업 활성화 필드(711)에 디스플레이된 문헌정보의 특허번호를 클릭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구성대비 내용 입력창이 팝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클릭된 문헌과 관련한 상세한 정보(발명의 상세한설명,청구항,도면,서지사항 등)가 구성대비 내용 입력창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되는 문헌의 상세한 정보를 읽으며 조사대상 발명과 구성 대비를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patent number of the documen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job activation field 711 in the survey report surveillance window of FIG. 7 is clicked on, the configuration contrast input window shown in FIG. 8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clicked documen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claims, drawings, bibliographies, etc.) is displayed on the configuration input screen so that the operator can rea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isplayed document, have.

구성대비 내용 입력창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헌 서브창(81),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82), 구성부 대비 등록 서브창(83),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서브창(84)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8, the configuration-contrast-content input window includes a document sub-window 81, a comment sub-window 82 by index, a registration sub-window 83 for the constituent part, and a sub- .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서브창(84)은, 선행문헌이 있는지 조사되어야 할 대상 발명이 조사대상 발명의 독립항별 구성부가 표시되는 창이다. 조사대상 발명의 청구항 1이 구성부 A+B+C로 이루어진 경우, 작업자는 청구항, 청구항을 이루는 구성부, 구성부의 내용이 구성부 서브창을 통하여 표시된다. 참고로, 독립항별 구성부는 작업자에 의해 미리 정리되어 있는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DB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와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작업자의 작업에 의해 생성된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DB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서브창은 조사대상 발명의 구성부를 직접 입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서브창은 별도의 편집 아이콘(미도시)을 두어서, 편집 아이콘 클릭이 있을 때에 작업자로부터 조사대상 발명의 각 청구항별로 구성부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content constituent sub-window 84 to be researched is a window in which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subject invention to be inspected for the presence of the precedent document are displayed for each independent subject. When the claim 1 of the invention to be researched is composed of constituent parts A + B + C, the operator displays the claims, the constituent parts constituting the claim, and the constituent parts through the constituent part sub-windows. For reference, the independent component can be displayed by reading the data from the content constituent part DB to be researched which is arranged in advance by the operato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use the content constituent part database to be researched created by the work of the operator. Further, the sub-window of the content constituent part to be inspected may be implemented to directly input the constituent part of the invention to be researched. For example, when a user clicks an edit icon, a sub-window of content to be researched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edit icon (not shown), and the constituent parts may be input from the operator to each claim of the search target invention.

문헌 서브창(81)은 조사대상 발명과 구성 대비할 문헌(상세한설명,도면,청구항,서지사항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문헌 서브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문헌은 도 7에 도시한 조사 보고서 서지 표시창의 작업 활성화 필드에서 클릭된 특허번호의 문헌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조사 보고서 서지 표시창에서의 선택에 의하여 문헌 서브창이 활성화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문헌들 중에서 선택된 문헌이 문헌 서브창에 표시될 수 있다.The document sub-window 81 displays a document to be researched (detailed description, drawing, claim, bibliography, etc.) to be researched. The document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can be displayed with the document of the patent number clicked in the job activation field of the survey report surveillance window shown in Fig. However, the selection of the research report bibliography window does not necessarily activate the document subpane window. For example, a document selected from the documents stored in the memory of the user terminal may be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작업자는 문헌 서브창(81)에서 표시되는 문헌을 보며 조사대상 발명의 구성부와 유사성을 가지는 문장이나 도면 등의 관련 영역을 마우스의 드래그 등을 통하여 밑줄표시, 색상표시, 블럭표시, 꺽쇠표시, 말풍선 등의 인덱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번째 문장의 첫번째 단락이 조사대상 발명의 구성부 C와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단락에 밑줄 등의 인덱스를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인덱스를 말풍선으로 하는 경우에는 말 풍선 내에 관련 의견을 기재할 수 있다. 이러한 인덱스가 이루어지게 되면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의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가 활성화되어, 해당 인덱스와 관련되는 설명 내용을 코멘트로서 기재할 수 있다. 인덱스와 이에 연동되는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는 서로 맵핑된다. The operator looks at the document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81 and displays a related area such as a sentence or a drawing having similarity with the constituent part of the invention to be investigated by dragging and the like of the mouse through underlining display, color display, block display, An index of a speech balloon or the like can be displayed.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paragraph of the second sentence is similar to the constituent part C of the subjec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an index such as an underline may be displayed in the paragraph. If the index is a speech balloon, the relevant comments can be written in the balloon. When such an index is made, the comment-by-index entry field of the index-by-index comment sub-window is activated, and description content related to the index can be described as a comment. The index and the index-by-index comment input field associated therewith are mapped to each other.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82)은 다수의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에는 문헌 서브창에서 인덱스가 표시면,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가 활성화되어 작업자가 관련 내용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대비될 조사대상 발명의 청구항을 입력받는 청구항 입력 서브필드, 조사대상의 청구항을 이루는 구성부의 식별기호를 입력받는 구성부 식별기호 입력 서브필드, 각 구성부에 대응하는 문헌에 표시된 인덱스를 설명하는 코멘트를 입력받는 코멘트 입력 서브필드, 각 구성부에 대응하는 문헌의 유사성 정도를 입력받는 유사성 입력 서브필드, 동일한 구성부에 대응되는 다수의 문헌 중에서 우선순위를 정하는 우선순위 입력 서브필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를 구비한다.The index-by-index comment sub-window 82 has a plurality of index-by-index comment input fields. In the index-by-index comment input field, an index is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and a comment input field by index is activated. . An input sub-field for inputting a claim of the subject invention to be compared, a sub-field for inputting a sub-field of a sub-field of the sub-field constituting the claim to be searched, a comment describing an index displayed in the sub- Field, a similarity input subfield for receiving a similarity degree of a document corresponding to each constituent element, and a priority input subfield for assigning a priority among a plurality of documents corresponding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 And an index-by-index comment input field.

청구항 입력 서브필드(821)는 문헌에 기재된 인덱스가 표시된 부분과 관련되는 조사대상 발명의 청구항의 번호이다. 구성부 식별기호 입력 서브필드(822)는, 문헌에 기재된 인덱스가 표시된 부분과 관련되는 조사대상 발명의 청구항의 구성부들이다. 따라서 조사대상 발명의 청구항 1이 A+B+C로 이루어진 청구항이라고 할 때, 문헌 서브창에 표시된 인덱스와 관련된 조사대상 발명의 청구항 구성부가 C라고 할 경우, 작업자는 청구항 입력 서브필드에는 '1'항으로 입력하고, 구성부 식별기호 입력 서브필드에는 'C'라고 기재할 수 있다.The claim input sub-field 821 is the number of the claim of the invention to be investigated which is related to the part indicated by the index described in the document. The constituent part identification symbol input subfield 822 is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claims of the invention to be investigated that relate to the part indicated by the index in the document. Therefore, if claim 1 of the invention to be investigated is a claim consisting of A + B + C, the claimant constituent part of the subject invention related to the index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is C, Quot ;, and " C " in the component subfield input subfield.

코멘트 입력 서브필드(823)는 문헌 서브창에 디스플레이된 문헌에서 인덱스 표시된 부분이 조사대상 발명의 구성부와 어떻게 유사한지 대비 내용을 기재하는 항목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인덱스된 부분이 조사대상 발명의 구성부와 유사하다고 판단한 의견 내용을 코멘트 입력 서브필드에 기재 입력할 수 있다. 유사성 입력 서브 필드(824)는 문헌 서브창에 디스플레이된 문헌에서 인덱스 표시된 부분과 조사대상 발명의 구성부간의 유사성을 표시하는 항목으로서, 예컨대, ○,△,X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는 유사도가 매우 높은 경우를 말하며, △는 유사도가 좀더 떨어지는 경우를 말하며, X는 유사도가 없는 경우를 말한다.The comment input subfield 823 is an item for describing how the indexed portion of the document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is similar to the constituent portion of the invention to be researched. Therefore, the worker can input the comment content determined to be similar to the constituent part of the invention to be investigated in the comment input subfield. The similarity input subfield 824 is an item for display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indexed portion of the document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and the constituent part of the subject invention, and can be displayed as, for example,?,?, X or the like. Indicates a case where the degree of similarity is very high, and & cir & denotes a case where the degree of similarity is further decreased, and X means a case where there is no similarity.

우선순위 입력 서브필드(825)는 조사대상 발명의 동일한 구성부에 대하여 다수개의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가 존재하는 경우, 어느 문헌을 선행문헌으로 사용할지 최우선권을 가지도록 하는 항목이다. 예를 들어, 구성부 'C'에 대하여, 문헌 서브창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문헌중에서 유사성을 가지는 부분이 2개 존재하는 경우, 1번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 3번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라는 두 개의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장 유사성을 가지는 1번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를 선택하도록 우선순위 지정 항목을 두는 것이다.The priority input sub-field 825 is an item for setting which priorities should be used as prior art document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index-by-index comment input fields for the same constituent part of the invention to be researched. For example, when there are two similar parts among the documents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for the constituent part C, two indexes, i.e., a comment input field for the first index and a comment input field for the third index, A star comment input field can be created. In such a case, the priority specification item is set so as to select the comment input field of the first index having the most similarity.

또한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82)은 다수개의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각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마다 문헌 서브창에 표시된 문헌의 관련 부분이 맵핑된다. 예를 들어, 문헌에서 제1관련영역에 1번인덱스가 이루어지면 1번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가 활성화되어 작업자로부터 내용을 입력받으며, 작업자에 의해 제2관련부분에 2번인덱스가 이루어지면 2번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가 활성화되어 작업자로부터 내용을 입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ex-by-index comment sub-window 8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dex-by-index comment input fields, and relevant portions of the documents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are mapped for each index-by-index comment input field. For example, if the index is indexed to the first related area in the literature, the input field for the index No. 1 is activated to receive the content from the worker. If the operator performs index 2 on the second related part, The comment input field for each index is activated and the contents can be input from the operator.

2번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의 입력 작업 도중에 1번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를 클릭하게 되면, 문헌 리스트 서브창에는 1번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에 맵핑된 관련영역이 1번인덱스와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1번인덱스를 지워버려 해당 영역에 아무런 인덱스가 표시 안되는 경우 1번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는 삭제된다.If the user clicks the comment input field by index 1 during the input operation of the comment input field by index No. 2, the related area mapped to the comment input field by No. 1 index is displayed in the document list sub window together with index No. 1. Also, if index 1 is deleted and no index is displayed in the corresponding region, the entry field for comment No. 1 is deleted.

한편, 문헌에 대비되는 관련영역에 인덱스 표시 및 인덱스 삭제하는 기술은 마우스 드래그 소프트웨어 기법 등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마우스의 이벤트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해당 문헌의 브라우저 window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화된 텍스트를 시작하는 요소의 노드와 종료하는 요소의 노드인 노드 블록 정보를 가져와서, 노드들의 범위의 시작점과 끝점을 지정하여 블록화하여 해당 영역을 인덱스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인덱스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노드들의 범위의 시작점과 끝점을 지정하여 블록화된 텍스트 범위를 삭제할 수 있다.Meanwhile, a technique of index display and index deletion in a related area compared with a document can be performed through a mouse drag software technique or the like. For example, by using the browser window object information of the document based on the event occurrence time of the mous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node block information, which is the node of the element that starts the block text and the node of the element to be terminated, and designate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range of the nodes, Also, if you want to delete an index, you can delete the blocked text range by specifying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range of nodes.

또한 문헌의 관련영역의 인덱스와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간의 맵핑 역시 다양한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해당 문헌의 브라우저 window 객체 정보 및 노드 블록 정보를 이용하여, 인덱스와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를 맵핑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Also, the mapping between the index of the related area of the document and the index-based comment input field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software methods. For example, by using browser window object information and node block information of the document, it is possible to map the index and the comment input field by index, and so on.

한편, 문헌 서브창(81)에 표시되는 문헌이 다른 문헌으로 바뀔 시에는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82) 역시 리셋되어 아무런 내용도 기록되지 않는다. 작업자는 새로 바뀐 문헌에 대한 검토 내용을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에 입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ocument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81 is changed to another document, the comment-by-index sub-window 82 is also reset and no content is recorded. The worker can input review contents of the newly changed document into the comment-by-index sub-window.

다만, 리셋되기 이전에 입력되었던 이전 문헌의 검토 내용인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의 내용은 구성부 대비 등록 서브창(83)에 표시된다. 따라서 구성부 대비 등록 서브창(83)은 대비되는 각 문헌에 대하여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에서 이루어진 작업 내용이 지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다른 문헌을 검토하고 있더라도 구성부 대비 등록 서브창(83)을 통하여 이전에 검토한 문헌의 구성 대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구성부 대비 등록 서브창의 각 필드를 클릭하면, 해당 문헌의 관련부분이 문헌 서브창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참고로, 구성부 대비 등록 서브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은 구성부 대비 DB에 저장되어 보존된다.However, the contents of the index-by-index comment input field, which is the review content of the previous document that was input before the reset, is displayed in the registration sub-window 83 of the constituent section. Accordingly, in the registration sub-window 83, the contents of the work done in the index-by-index comment sub-window can be continuously displayed for each of the contrasted documents. Therefore, even if the operator is reviewing other documents, the worker can confirm the conten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viously reviewed document through the registration sub-window 83 with respect to the constituent section. Clicking on each field in the registration sub-window relative to the constituent part, the relevant part of the document can be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For reference, the contents displayed in the registration sub-window relative to the constituent units are stored in the DB of the constituent units and are preserved.

한편, 상기와 같이 도 8의 구성대비 내용 입력창은 문헌 서브창(81), 작업컨텐츠 서브창(82), 구성부 대비 등록 서브창(83),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서브창(84)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의 데이터들은 서로 연동되어 등록 및 삭제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서브창에 조사대상 발명의 구성부로서A,B,C,D,E,F 등의 구성부의 식별기호가 기재된 상태에서, C 구성부가 불필요하여 작업자에 의하여 삭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할 경우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C구성부가 삭제되고, 그 이후에 있는 구성부들이 C,D,E 등의 구성부 식별기호를 가지게 된다. 즉, 기존의 D 구성부 식별기호를 가지던 구성부는 C 구성부 식별기호를 가지게 되며, 기존의 E 구성부 식별기호를 가지던 구성부는 D 구성부 식별기호를 가지게 된다.8 has a document sub-window 81, a work content sub-window 82, a registration sub-window 83 as a constituent part, and a sub-window 84 of a content constituent part to be examined as shown in FIG. And these data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registered and delet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a), in a state where an identification symbol of a constituent part such as A, B, C, D, E, , The C configuration is unnecessary and may be deleted by the operator.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 (b), the C configuration section is deleted, and the configuration sections thereafter have C configuration identifiers such as D, E, and the like. That is, a component having an existing D component identifier has a C component identifier, and a component having an existing E component identifier has a D component identifier.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부가 삭제되는 경우, 해당 구성부에 맵핑된 관련 내용들도 데이터베이스 및 디스플레이 창에서 제거된다. 예를 들어, 도 9(a)와 같이 C 구성부와 대비되는 문헌의 관련 내용이 구성부 대비 등록 서브창에 기재된 경우,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서브창에서 C 구성부의 삭제가 이루어지면, 도 9(b)와 같이 구성부 대비 등록 서브창에 기재된 C 구성부 대비 관련 내용도 삭제되어 제거된다.Also, when the configuration unit is deleted as described above, related contents mapped to the configuration unit are also removed from the database and the display window. For example, when the related content of the document as compared with the C constituent section is described in the registration sub-window as compared with the constituent section as shown in Fig. 9 (a), if the C constituent section is deleted from the sub- (b), the contents related to the component C described in the component registration sub-window are deleted and removed.

결국,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DB에 저장되는 각 청구항별 구성부는 대비예정 문헌 DB, 인덱스표시 문헌 DB, 구성부 대비 DB의 각 필드에 매칭되도록 프로그래밍하여 서로간에 연동되어, 등록 및 삭제, 편집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데이터간의 연동은 고유 식별 코드를 이용하거나 링크 방식을 이용하거나 기존에 알려진 다양한 연동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a result, the constituent parts of each claim stored in the examination subject contents constituent part DB are programmed so as to be matched to the respective fields of the contrast expectancy document DB, the index display document DB and the constituent part contrast DB, and registration, deletion, . The interworking between these data may use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a link method, or various known interworking methods.

한편, 조사 보고서 생성부(110)는, 조사대상 발명의 구성부 및 구성부 식별기호를 표시하고 그에 유사성 대비된 문헌에 표시된 인덱스 및 인덱스의 설명 내용인 코멘트를 나타낸 전자 파일 형태의 조사 보고서를 생성한다. 즉, 조사대상 발명과 이와 대비되는 문헌의 관련내용을 가공하여 조사 보고서를 생성하여 조사 보고서 생성창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작업자에 의한 작업 결과,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DB, 대비 예정 문헌 DB, 인덱스표시 문헌 DB, 구성부 대비 DB에 저장되는데, 이러한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사 보고서를 생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vestigation report generation unit 110 generates an inspection report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file showing the constituent part and constituent part symbol of the invention to be researched, and a comment, which is the description content of the index and the index, do. In other words, it processes the related contents of the research subject and the related documents and generates the research report and creates the research report generation window. The results of the work by the operator are stored in the DB of the contents composition subject DB, the DB database of the contrast study, the DB DB of the index display, and the DB of the constituent part, and various types of survey reports are generated using the stored data.

조사 보고서 생성창의 예를 도 10에 도시하였는데, 작업자가 도 7의 조사 보고서 서지 표시창 내의 생성명령 아이콘(741)을 클릭하면, 조사 보고서 생성부(110)는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DB, 대비 예정 문헌 DB, 인덱스표시 문헌 DB, 구성부 대비 DB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호출하여, 조사대상 발명의 각 구성부와 대비되는 문헌들의 번호와 관련 내용(문장,도면 등)을 테이블 표로서 정리하여 일목 요연하게 디스플레이한다.10, when the operator clicks the generation command icon 741 in the survey report surveillance display window of FIG. 7, the survey report generation unit 110 generates a surveillance report based on the survey target content constituent DB, DB, the index display document DB, and the data stored in the DB relative to the constituent part are called up, and the number of the documents and the related contents (sentences, drawings, etc.) do.

한편, 조사 보고서 생성창 생성시에, 생성 폼은 납품양식, 생성옵션에 따라서 다양한 양식으로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조사 보고서 생성창이 생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creating the survey report generation window, the generation form can be genera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delivery form and the generation op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1 to 15, various types of survey report generation windows can be created.

또한 조사 보고서 생성창은 작업된 결과를 이용하여 유사성 여부를 판정하여 조사 보고서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의 유사성 필드의 유사성 개수를 파악하여 유사성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즉, 유사성이 매우 높은 '○' 개수가 기준치(예컨대, 2개)를 초과하는 경우, 관련 구성부는 선행문헌들에 의해 진보성이 없다는 'Y'를 표시한다. 또한 유사성 중간값인 '△'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관련 구성부에 약간의 유사성이 있다는 'A'를 표시한다. 또한 유사성 '○', '△' 등이 하나도 없는 경우에 유사성이 없다는 'N'를 표시한다.
In addition, the Survey Report Generation window can be used to determine similarity and display it in the Survey Repor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similarity by checking the similarity number of the similarity field in the index-by-index comment sub-window. That is, when the number of highly similar 'O' exceeds a reference value (for example, two), the related component displays 'Y' indicating that there is no advance by preceding documents. Also, if the median value 'Δ' exceeds the reference value, 'A' is displayed indicating that there is a slight similarity between the related components. Also, 'N' indicates that there is no similarity when there is no similarity '○' or '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조사 보고서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survey re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문헌을 디스플레이하는 문헌 서브창을 제공하는 과정을 가진다(S1601). 도 8에 도시된 문헌 서브창(81)은 작업자가 문헌을 보면서 조사대상 발명과 대비할 수 있도록 문헌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문헌 서브창(81)에 표시되는 문헌은 작업자에 의해 선행 대비 관련성이 높다고 생각되는 영역에 인덱스로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덱스는 밑줄표시, 블럭표시, 꺽쇠표시, 색상표시, 말풍선 표시를 포함하는 인덱스 표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문헌 내의 문장 또는 도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And providing a document sub-window for displaying the document (S1601). The document sub-window 81 shown in FIG. 8 displays a document so that an operator can compare with the subject invention while viewing the document. The document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81 can be displayed as an index in an area that is considered to be highly related by the operator. The index refers to displaying at least one of an index display including an underline display, a block display, a braille display, a color display, and a speech balloon display on a part or all of a sentence in a document or a drawing.

이러한 인덱스 표시는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g)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번째 문장의 첫번째 단락이 조사대상 발명의 구성부 C와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단락에 밑줄 등의 인덱스를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인덱스를 말풍선으로 하는 경우에는 말 풍선 내에 관련 의견을 기재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paragraph of the second sentence is similar to the constituent part C of the subjec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index display is performed in a drag and drop manner. An index such as an underline can be displayed. If the index is a speech balloon, the relevant comments can be written in the balloon.

상기의 인덱스가 문헌에 표시되면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의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가 활성화되어, 해당 인덱스와 관련되는 설명 내용을 코멘트로서 기재할 수 있다(S1602). 따라서 인덱스와 이에 연동되는 도 8의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82)에서 빗금친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는 서로 대응되도록 연동시킨다.If the index is displayed in the document, the comment-by-index input field of the comment sub-window according to the index is activated, and description contents related to the index can be described as a comment (S1602). Accordingly, the index and the commented comment input fields in the index-by-index comment sub-window 82 shown in FIG. 8 are interlock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도 8의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82)은, 대비될 조사대상 발명의 청구항을 입력받는 청구항 입력 서브필드, 조사대상의 청구항을 이루는 구성부의 식별기호를 입력받는 구성부 식별기호 입력 서브필드, 각 구성부에 대응하는 문헌에 표시된 인덱스를 설명하는 코멘트를 입력받는 코멘트 입력 서브필드, 각 구성부에 대응하는 문헌의 유사성 정도를 입력받는 유사성 입력 서브필드, 동일한 구성부에 대응되는 다수의 문헌 중에서 우선순위를 정하는 우선순위 입력 서브필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를 구비한다. 각 서브필드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The comment-by-index sub-window 82 of FIG. 8 includes a claim input sub-field for receiving a claim of the subject invention to be compared, a constituent unit identifier input sub-field for receiving the identifier of the constituent part constituting the claim to be examined, A comment input subfield for inputting a comment for explaining the index indicated in the document corresponding to the constituent element, a similarity input subfield for receiving the similarity degree of the document corresponding to each constituent element, a plurality of documents corresponding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 And an index-by-index comment input field including at least one priority input subfield for ranking. Since each subfield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omitted.

문헌 서브창에 디스플레이된 문헌에서 조사대상 발명의 구성부와 유사성을 가지는 영역에 인덱스를 추가로 표시할 때마다,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가 새롭게 추가되어 입력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문헌에 대하여 다수개의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인덱스가 제거되는 경우에는 대응되는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 역시 제거된다.In the document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whenever an index is additionally displayed in an area similar to the constituent part of the invention to be researched, a comment input field for each index can be newly added and input. Accordingly, a plurality of index-by-index comment input fields may exist for one document, and corresponding index-by-index comment input fields are also removed when the index is removed.

또한 새로운 문헌이 상기 문헌 서브창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을 리셋시켜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에 표시된 내용들을 삭제하여 초기화한다. 즉, 문헌 서브창에 표시되는 문헌이 다른 문헌으로 바뀔 시에는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 역시 리셋되어 아무런 내용도 기록되어 있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새로 바뀐 문헌에 대한 검토 내용을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에 입력할 수 있다.Also, when a new document is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the contents of the comment-by-index comment input field are deleted by resetting the comment sub-window by index and initialized. That is, when the document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is changed to another document, the comment sub-window according to the index is also reset so that no contents are recorded. Therefore, the operator can input review contents of the newly changed document into the comment-by-index sub-window.

다만, 리셋되기 이전에 입력되었던 이전 문헌의 검토 내용인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의 내용은 구성부 대비 등록 서브창에 표시되어 보존된다. 따라서 구성부 대비 등록 서브창은 하나의 문헌에 대하여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에서 이루어진 작업 내용이 지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다른 문헌을 검토하고 있더라도 이전에 검토한 문헌의 구성 대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구성부 대비 등록 서브창의 각 필드를 클릭하면, 해당 문헌의 관련부분이 문헌 서브창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참고로, 구성부 대비 등록 서브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은 구성부 대비 DB에 저장되어 보존된다.However, the contents of the comment entry field by index, which is the review content of the previous document that was input before resetting, is displayed and saved in the registration sub-window relative to the component. Therefore, in the registration sub-window compared to the constituent part, the work contents in the comment sub-window for each index can be continuously displayed. Therefore, even if the operator is reviewing other documents, the contents of the previously reviewed documents can be confirmed. Clicking on each field in the registration sub-window relative to the constituent part, the relevant part of the document can be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For reference, the contents displayed in the registration sub-window relative to the constituent units are stored in the DB of the constituent units and are preserved.

한편, 조사대상 발명의 구성부를 나타내는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서브창을 별도로 제공할 수 있다.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서브창은, 선행문헌이 있는지 조사되어야 할 대상 발명이 조사대상 발명의 독립항별 구성부가 표시되는 창이다. 조사대상 발명의 청구항 1이 구성부 A+B+C로 이루어진 경우, 작업자는 청구항, 청구항을 이루는 구성부, 구성부의 내용이 구성부 서브창을 통하여 표시된다.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separately provide a sub-window of a content constituent part to be researched representing a constituent part of the invention to be researched. The subject constituent sub-window to be researched is a window in which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subject invention to be inspected for the presence of the precedent document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subject of the subject invention. When the claim 1 of the invention to be researched is composed of constituent parts A + B + C, the operator displays the claims, the constituent parts constituting the claim, and the constituent parts through the constituent part sub-windows.

한편, 문헌 서브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문헌은 두 가지 방식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ocument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can be displayed by two methods.

하나는 다수 문헌들의 문헌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대비예정 문헌 DB)에서 선택된 문헌을 추출하여 문헌 서브창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작업자가 직접 문헌 파일을 자신의 단말기 내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할 때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작업자가 다른 문서에서 복사해 와서 붙여넣은 문헌이 문헌 서브창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One is to extract a selected document from a database (a prepared contrast document DB) in which documents of a plurality of documents are stored, and display the selected document in a document sub-window. A display can be made when the operator directly selects the document file from the database in his terminal, or the document copied and pasted by the operator in another document can be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문헌 서브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하나의 방식은 조사 보고서 서지 표시창에 표시된 작업문헌의 고유번호(예컨대, 특허공개번호)를 클릭하여 해당 문헌을 문헌 서브창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조사 보고서 서지 표시창내의 작업 활성화 필드에 표시된 작업문헌의 고유번호를 클릭함으로써, 해당 문헌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method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is to display a corresponding document in the document sub-window by clicking a unique number (for example, patent publication number) of the working document displayed in the survey report surveillance window. By clicking the unique number of the working document displayed in the job activation field in the survey report surveillance window, the document is displayed.

작업 활성화 필드에 작업문헌의 고유번호는, 작업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외부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고유번호의 문헌을 읽어와서 문헌 서브창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The unique number of the work document in the job activation field can be input by the worker. In this case, the work number can be read in association with the external server and displayed on the document sub window.

이밖에 다른 방식으로서 검색 키워드에 의한 검색 결과 리스트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하면, 작업자가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 서버에 전송하면, 검색 서버로부터 검색 결과 리스트를 검색 결과 표시창으로서 제공한다. 도 5는 검색결과 표시창의 예시 도면으로서, 검색된 문헌들의 리스트가 검색 결과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s another method, a search result list based on a search keyword can be used. Specifically, when an operator inputs a search keyword and transmits it to a search server, the search server provides a search result list as a search result display window. 5 is an illustration of a search result display window, in which a list of retrieved documents can be displayed as a search result.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중에서 어느 하나의 문헌을 클릭하게 되면, 별도의 팝업창으로서 해당 선택된 문헌의 상세정보가 작업문헌 상세정보창으로서 디스플레이된다. 도 6은 작업문헌 상세정보창의 예시 도면으로서, 명칭, 요약, 출원국가, 공개번호, 출원번호, 우선권번호, 발명자, 출원자 등의 서지 사항과, 주요 청구항 및 대표 도면, 인용문헌번호, 패밀리번호 등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When one of the documents in the search result list is clicke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document is displayed as a detailed document information window in a separate pop-up window. 6 is an example drawing of the detailed information window of the working document and includes bibliographies such as name, summary, country of application, publication number, application number, priority number, inventor, applicant and the like, major claims and representative drawings, citation document numb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그런데 검색 결과 리스트중에서 어느 하나의 문헌이 클릭되면 상기의 작업문헌 상세정보창이 뜨는 동작 이외에, 선택된 문헌의 고유번호가 작업 활성화 필드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 활성화 필드에 표시된 고유번호를 클릭함으로써 문헌 서브창에 해당 문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When one of the documents in the search result list is clicked, the unique number of the selected document is displayed in the job activation field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of the detailed document information window. By clicking the unique number displayed in the job activation field, the document can be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한편, 도 7의 조사 보고서 서지 표시창은, 상기 작업문헌의 고유번호 및 조사대상 발명의 선행문헌 리스트를 표시한 문헌 리스트 서브창(71)과, 상기 조사 보고서에 들어갈 항목을 선택가능하도록 하는 생성옵션 서브창(72)과, 상기 조사 보고서의 작업 서지 사항이 표시된 작업 정보 서브창(73)과, 상기 조사 보고서의 양식 및 생성 명령 아이콘을 제공하는 조사 보고서 생성 서브창(74)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rvey report surveillance window of Fig. 7 includes a document list sub-window 71 displaying a unique number of the working document and a list of prior documents of the invention to be investigated, and a generation option A sub-window 72, a job information sub-window 73 showing the work bibliography of the survey report, and an survey report generation sub-window 74 for providing the survey report form and creation command icon.

문헌 리스트 서브창(71)은, 조사대상 발명과 대비 작업할 작업문헌의 정보를 표시한 작업 활성화 필드(711), 조사대상 발명에 대비되어 유사성이 있어서 선행문헌으로 확정되는 선행문헌들의 리스트를 저장하는 선행문헌 리스트 필드(712), 조사대상 발명과 유사성은 없지만 참고될 수 있는 참고문헌들의 리스트를 저장하는 참고문헌 리스트 필드(713)를 포함한다.The document list sub-window 71 includes a task activation field 711 that displays information of the working document to be compared with the subject invention to be examined, a list of preceding documents that have similarity with the subject invention and are determined as the preceding documents And a reference list field 713 for storing a list of reference documents that are not similar to the reference subject invention but can be referred to.

상술한 바와 같이, 선행문헌 리스트 필드(712)는 조사대상 발명과 대비할 때 구성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 유사성을 가지는 문헌들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참고문헌 리스트 필드(713)는, 조사대상 발명과 대비할 때 선행문헌에 비하여 유사성이 떨어지지만, 참고적으로 이용할 만한 문헌들의 리스트이다. 드래그 앤 드롭 이동을 통하여 작업 활성화 필드로 이동될 수 있으며, 작업 활성화 필드를 거쳐서 선행문헌 리스트 필드로 이동되어 선행문헌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작업 활성화 필드(711)는, 조사대상 발명과 대비될 문헌의 정보가 저장되는 필드이다. 작업 활성화 필드에 디스플레이된 문헌정보의 특허번호를 클릭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구성대비 내용 입력창이 팝업창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클릭된 문헌과 관련한 상세한 정보(발명의 상세한설명,청구항,도면,서지사항 등)가 구성대비 내용 입력창의 문헌 서브창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되는 문헌의 상세한 정보를 읽으며 조사대상 발명과 구성 대비를 할 수 있다. 구성대비 내용 입력창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cedent document list field 712 displays a list of documents having similarity to part or all of the constituent parts when compared with the subject invention to be researched. The reference list field 713 is a list of reference documents that are less similar to the preceding reference in comparison with the subject invention to be investigated, but are used for reference. And may be moved to the job activation field through drag and drop movement, and may be moved to the preceding document list field via the job activation field and included as the preceding document. The task activation field 711 is a field for storing information of a document to be compared with an investigation subject invention. When the patent number of the document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job activation field is clicked, the configuration input content window shown in FIG. 8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Detailed information relating to the clicked documen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claims, drawings, bibliographies, etc.) is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of the configuration-ready content input window so that the operator reads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isplayed document, . The configuration contrast input window will be described later.

참고로, 작업 활성화 필드에 디스플레이되는 작업문헌의 정보는 다음과 같이 두가지 방식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하나는 선행문헌 리스트 필드나 참고문헌 리스트 필드에서 드래그 앤 드롭되어 이동되어온 문헌정보가 표시되며, 다른 하나는 검색결과 표시창에서 선택된 문헌이 표시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information of the working document displayed in the job activation field can be selected by the following two methods. One is the document information that has been dragged and dropped in the preceding document list field or the bibliography list field, and the other document can be displayed in the search result display window.

한편, 문헌 서브창 및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을 통하여 조사대상 발명과 선행문헌들을 대비한 후에는, 조사대상 발명의 선행문헌의 고유번호, 상기 선행문헌에 표시된 인덱스, 상기 인덱스를 설명하는 코멘트를 추출하여, 조사대상 발명의 각 구성부에 대응되는 선행정보를 나타낸 조사 보고서 생성창을 제공하는 과정을 가진다(S1603). 조사대상 발명과 이와 대비되는 문헌의 관련내용을 가공하여 조사 보고서를 생성하여 조사 보고서 생성창으로서 제공하는 것이다. 작업자에 의한 작업 결과,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DB, 대비 예정 문헌 DB, 인덱스표시 문헌 DB, 구성부 대비 DB에 저장되는데, 이러한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사 보고서 생성창을 생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subject invention and the preceding documents are compared through the document sub-window and the comment sub-window by index, a unique number of the preceding document, an index displayed in the preceding document, and a comment describing the index are extracted And providing an investigation report generation window showing the prece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stituent part of the investigation subject invention (S1603). The research subject is processed and the related contents of the document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generate a research report and provide it as a research report generation window. The results of the work performed by the operator are stored in the DB of contents to be researched, the DB database, the index display DB, and the DB of the components, and various types of survey report generation windows can be created using the stored data.

조사 보고서 생성창의 예를 도 10에 도시하였는데, 작업자가 도 7의 조사 보고서 서지 표시창 내의 생성명령 아이콘(741)을 클릭하면(또는 다른 방식으로 보고서 작성을 요청받을 수 있음), 조사 보고서 생성부는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DB, 대비 예정 문헌 DB, 인덱스표시 문헌 DB, 구성부 대비 DB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호출하여, 조사대상 발명의 각 구성부와 대비되는 문헌들의 번호와 관련 내용(문장,도면 등)을 테이블 표로서 정리하여 일목 요연하게 디스플레이한다.10, when the operator clicks the generation command icon 741 in the survey report surveillance display window of FIG. 7 (or may be requested to create the report in another manner) The data stored in the target contents constituent DB, the contrast predictive document DB, the index marked document DB, and the constituent contrast DB are called so that the number of the documents and the related contents (sentences, drawings, etc.) The table is organized as a table and displayed in a lively manner.

조사 보고서 생성창 생성시에, 생성 폼은 납품양식, 생성옵션에 따라서 다양한 양식으로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조사 보고서 생성창이 생성될 수 있다.
When creating the survey report generation window, the generation form can be crea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delivery form and generation op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1 to 15, various types of survey report generation windows can be created.

한편, 조사 보고서 작성 대상인 조사대상 발명이 특허발명인 경우, 인용항을 고려하여 각 청구항별로 구성부를 자동으로 완성시켜 주는 종속항 구성부 생성창이 표시부에 제공될 수 있다. 즉, 독립항별 종속항 관계를 분석하여 해당 종속항의 실제 구성대비 요소 자동으로 산출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조사 보고서 작성 대상인 조사대상 발명의 청구항 리스트를 입력받아 종속항별 인용항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인용항 입력이 있게 되면, 조사 보고서 생성부는 각 청구항별로 최종 구성대비 해야할 대상 구성부를 계산하여 최종 생성해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ubject invention of the investigation report is a patented invention, the dependent part generation part generation window for automatically completing the constituent part for each claim can be provided on the display part in consideration of the quotation. In other words, it can be generated by analyzing the dependency relation for each independent clause and automatically calculating the actual configuration contrast factor of the dependent clause. In order to do so, the list of claims of the invention subject to the investigation report is inputted and the information of the quotation by the subordinate term is input. When such a quote entry is made, the investigation report generator can calculate the final constituent for each claim and finally generate the constituent part to be prepared.

예를 들어, 종속항 구성부 생성창을 도시한 도 17을 참조하면, 먼저, 조사 보고서 작성 대상인 조사대상 발명의 독립항별 종속항을 입력받는다. 즉, 독립항 필드(1701)에 독립항을 기재하면 종속항 테이블이 생성되며, 이러한 종속항 테이블 의 종속항 필드(1702)에 종속항을 입력받는다. 인용항 필드(1703)에는 각 종속항이 인용하는 인용항을 입력받는다. 입력 형식은, 인용항 필드에 인용항을 체크하는 방식 등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인용항 입력은 작업자에 의해 입력받을 수도 있지만, 조사 보고서 생성부에서 인용항의 아라비아 숫자를 판독하여 자동 입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7 showing a dependent clause constructing section creation window, first, a dependent clause for each independent clause of the subject invention to be investigated is input. In other words, if the independent clause is described in the independent clause field 1701, a dependency clause table is generated, and the dependency clause is inputted into the dependency clause field 1702 of this dependency clause table. In the quotation term field 1703, quotation terms quoted by the respective dependent terms are input. The input format can be input by a method of checking quotation marks in the quotation field. The quotation term input may be input by the operator, but the Arabic numerals of the quotation term can be read and input automatically in the investigation report generation section.

이러한 인용항 입력을 받게 되면, 조사 보고서 생성부는 종속항별 입력되는 인용항과 종속항의 구성부를 이용하여, 각 종속항에 대한 최종적인 구성부(최종 구성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종속항의 구성부에 해당 종속항이 인용하는 인용항의 구성부를 더하여 최종 구성부로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종속항 2의 경우 인용항을 독립항 1만 인용하고 있기 때문에, 독립항 1의 구성부 식별기호 A와 종속항 2의 구성부 식별기호 B를 더한 A+B를 최종 구성부의 식별기호로서 생성할 수 있다.When such a quote entry is received, the survey report generator can generate the final component (final component) for each dependency item using the quote and dependency clauses that are input for each dependency. In other words, the constituent part of the quotation term cited by the dependency term can be added to the constituent part of the dependency term to generate the final constituent part. For example, in the case of subordinate clause 2, since citation terms are cited only by independent clause 1, A + B obtained by adding constituent subfield A of independent clause 1 and constituent subfield B of subordinate clause 2 is generated as an identifier of the final constituent .

따라서 이러한 종속항 구성부 생성창을 이용함으로써, 조사자들이 복잡한 종속항 관계를 분석하여 비교 대상 구성부를 뽑아 내지 않아도 조사 보고서 작성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추천해 주게 되므로 조사 업무 시간을 단축하고 구성요소를 잘못 비교하는 오류율을 줄일 수 있다.Therefore, by using this dependency component generation window, investigators can analyze complicated dependency relations and automatically recommend recommendation report application even if comparison component is not extracted. Therefore, The error rate can be reduced.

참고로, 각 청구항들의 구성부들을 나타내는 식별기호는 도 4의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DB에서 도시하였다. 따라서 조사 보고서 생성부는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DB 내에서 필요한 구성부 식별기호를 추출하여, 종속항에 해당하는 청구항의 구성부 식별기호와 인용항에 해당하는 청구항의 구성부 식별기호를 더하여 종속항의 최종 구성부를 생성할 수 있다. For reference, an identification symbol representing the constituent parts of each claim is shown in the content constituent part DB of the examination of Fig. Therefore, the survey report generator extracts the necessary component identification symbols from the content component DB of the investigation subject, adds the constituent part identifiers of the claims corresponding to the dependency clause and the component part identifiers of the claims corresponding to the quotation clause, A constituent part can be generated.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limited by the following claims.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0:사용자 단말기 20:검색서버
30:문헌DB 서버 40:조사 보고서 작성 서버
71:문헌 리스트 서브창 72:생성 옵션 서브창
73:작업 정보 서브창 74:조사 보고서 생성 서브창
100:조사 보고서 작성 어플리케이션
110:조사 보고서 생성부 120:조사 대상 콘텐츠 구성부 DB
130:대비 예정 문헌 DB 140:인덱스 표시 문헌 DB
150:구성부 대비 DB
10: user terminal 20: search server
30: Document DB server 40: Survey report creation server
71: Document list sub-window 72: Creation option sub-window
73: Job Information Sub-window 74: Generate Survey Report Sub-window
100: Investigation report application
110: Survey report generation unit 120: Content target content DB
130: Prepared document DB 140: Index display Document DB
150: DB relative to component

Claims (25)

디스플레이되는 문헌의 내용 중에서 선택되는 영역에 대한 식별 표시인 인덱스를 입력받아 표시하는 문헌 서브창을 제공하는 과정;
상기 인덱스에 대응되는 조사대상 콘텐츠의 구성부를 표시하고, 상기 인덱스의 코멘트를 입력받는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을 제공하는 과정;
상기 인덱스에 대응되는 조사대상 콘텐츠의 구성부, 상기 인덱스, 상기 인덱스의 코멘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조사대상 콘텐츠의 각 구성부에 대응되는 선행정보를 표시한 조사 보고서 생성창을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
Providing a document sub-window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an index that is an identification of an area selected from the contents of a document to be displayed;
Displaying a constituent part of content to be researched corresponding to the index, and providing a comment-by-index sub-window for receiving comments of the index;
A step of extracting at least one of a constituent part of the content to be researched corresponding to the index, the index and a comment of the index, and providing an investigation report generation window displaying prelimina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stituent part of the content to be researched ;
≪ / RTI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는, 밑줄표시, 블럭표시, 꺽쇠표시, 색상표시, 말풍선 표시를 포함하는 표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문헌의 문장 또는 도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index is displayed on a sentence or a drawing of at least one of an underline display, a block display, a caret display, a color display, and a display including a speech balloon displa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는, 드래그 앤 드롭 방식에 의하여 인덱스 표시 영역이 결정되는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dex is determined by a drag and drop metho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사대상 콘텐츠의 전체 구성부를 나타내는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서브창을 별도로 제공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parately providing a sub-window of content-under-investigation to be researched which represents the entire constituent part of the content to be research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서브창은, 조사대상 콘텐츠의 청구항을 표시하는 청구항 표시 서브필드, 조사대상의 청구항을 이루는 구성부의 식별기호를 표시하는 구성부 식별기호 표시 서브필드, 각 구성부의 관련 내용을 표시하는 구성부 내용 표시 서브필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표시 필드를 구비한 조사 보고서 작성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ub-window of content to be researched comprises: a claim display sub-field for displaying a claim of the content to be searched; a constituent unit identification symbol display sub-field for displaying an identifier of a constituent part constituting a claim to be searched; And a constituent sub-content display sub-field for displaying related content of the constituent sub-fiel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표시 필드를 클릭하는 경우, 클릭된 각 필드의 내용을 삭제,수정,추가의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편집창을 제공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5,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n edit window for deleting, modifying, and performing additional editing of the content of each clicked field when clicking the display target content constituent display fiel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은,
대비될 조사대상 콘텐츠의 청구항을 입력받는 청구항 입력 서브필드, 조사대상 콘텐츠의 청구항을 이루는 구성부의 식별기호를 입력받는 구성부 식별기호 입력 서브필드, 각 구성부에 대응하는 문헌에 표시된 인덱스를 설명하는 코멘트를 입력받는 코멘트 입력 서브필드, 각 구성부에 대응하는 문헌의 유사성 정도를 입력받는 유사성 입력 서브필드, 동일한 구성부에 대응되는 다수의 문헌 중에서 우선순위를 정하는 우선순위 입력 서브필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를 구비한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bscription input subfield for receiving a bill of a content to be examined to be compared, a subscriber inputting subfield for receiving an identifier of a subsection constituting a bill of a content to be searched, and an index displayed in a document corresponding to each subsection A comment input subfield for receiving a comment, a similarity input subfield for receiving a similarity degree of a document corresponding to each constituent element, and a priority input subfield for assigning priority among a plurality of documents corresponding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청구항 7에 있어서, 인덱스가 추가로 새롭게 표시될 때마다,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가 새롭게 추가되어 입력 가능하도록 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7,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dding an index-by-index comment input field every time an index is additionally newly displayed. 청구항 7에 있어서, 새로운 문헌이 상기 문헌 서브창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을 리셋시켜 상기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에 표시된 내용을 삭제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when the new document is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window, the content displayed in the index-by-index comment input field is deleted by resetting the comment sub-window by index.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리셋으로 인해 상기 인덱스별 코멘트 입력 필드에서 코멘트를 삭제시키기 전에, 조사대상 콘텐츠의 각 구성부에 대응시켜 코멘트를 표시한 구성부 대비 등록 서브창을 제공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prior to deleting a comment in the index-based comment input field due to the reset,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헌 서브창을 제공하는 과정은,
다수 문헌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되는 문헌인 작업문헌을 상기 문헌 서브창에 디스플레이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viding of the document sub-
And displaying a working document, which is a document extracted from a database storing a plurality of documents, in the document sub window.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헌 서브창을 제공하는 과정은,
대비 작업할 문헌인 작업문헌의 고유번호 및 조사 보고서 생성을 위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조사 보고서 서지 표시창을 제공하는 과정;
상기 조사 보고서 서지 표시창에 표시된 작업문헌의 고유번호를 클릭하는 경우, 상기 작업문헌을 상기 문헌 서브창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viding of the document sub-
Providing a surveys report surveillance window displaying information for generating a survey report and a unique number of a work document as a document to be contrasted;
Displaying the working document on the document sub window when the unique number of the working document displayed on the survey report surveillance window is clicked;
≪ / RTI >
청구항 12에 있어서,
검색 키워드를 입력받아 검색 결과 리스트를 제공하는 검색 결과 표시창을 제공하여,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문헌의 고유번호를 상기 작업문헌의 고유번호로 표시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search result display window for receiving a search keyword and providing a search result list, wherein a unique number of a document selected in the search result list is displayed as a unique number of the working document.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조사 보고서 서지 표시창은,
상기 작업문헌의 고유번호 및 조사대상 콘텐츠의 선행문헌으로 사용될 문헌 리스트를 표시한 문헌 리스트 서브창;
상기 조사 보고서에 들어갈 항목을 선택가능하도록 하는 생성옵션 서브창;
상기 조사 보고서의 작업 서지 사항이 표시된 작업 정보 서브창;
상기 조사 보고서의 양식 및 생성 명령 아이콘을 제공하는 조사 보고서 생성 서브창;
을 포함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
14. The system of claim 13,
A document list sub-window in which a unique number of the working document and a document list to be used as a preceding document of the content to be searched are displayed;
A creation option sub-window that allows selection of items to be included in the survey report;
A work information sub-window displaying work bibliography of the survey report;
A survey report generation sub-window providing a form of the survey report and a create command icon;
≪ / RTI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문헌 리스트 서브창은,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작업문헌의 정보를 표시한 작업 활성화 필드;
상기 조사대상 콘텐츠의 선행문헌 정보를 표시한 선행문헌 표시 필드;
상기 조사대상 콘텐츠의 참고문헌 정보를 표시한 참고문헌 표시 필드;
를 포함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document list sub-
A job activation fiel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a working document selected from the search result list;
A preceding document display field displaying preceding document information of the content to be researched;
A reference display field for displaying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content to be research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작업 활성화 필드를 클릭하면, 작업 활성화 필드에 표시된 작업문헌이 상기 문헌 서브창에 표시되는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16. The display method of claim 15, wherein when the job activation field is clicked, the job document displayed in the job activation field is displayed in the document sub window.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작업 활성화 필드에 위치한 작업문헌의 정보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상기 선행문헌 표시 필드 또는 참고문헌 표시 필드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선행문헌 표시 필드 또는 참고문헌 표시 필드에 있는 문헌의 정보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상기 작업 활성화 필드로 이동시키는 조사 보고서 작성 디스플레이 방법.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information of the working document located in the job activation field is moved to the preceding document display field or the reference document display field by a drag-and-drop method, or the information of the document in the preceding document display field or the reference display field And moving the information into the task activation field in a drag and drop manner. 디스플레이되는 문헌의 내용 중에서 선택되는 영역에 대한 식별 표시인 인덱스를 입력받으며, 상기 인덱스를 설명하는 코멘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문헌, 인덱스, 코멘트 중에서 하나 이상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문헌에 표시되는 인덱스 및 코멘트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조사대상 콘텐츠의 각 구성부에 대응하는 인덱스 및 코멘트를 추출하여 조사 보고서를 생성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어플리케이션;
을 포함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장치.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n index that is an identification of an area selected from the contents of a document to be displayed and receives a comment describing the index;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the document, the index, and the comment;
An investigation report creating application for receiving and storing indexes and comments displayed in the document, extracting indexes and comments corresponding to each component of the content to be researched, and generating an investigation report;
And the like.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조사 보고서 작성 어플리케이션은,
조사대상 콘텐츠의 구성부 내용 및 구성부 식별기호를 저장한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DB;
문헌에 표시되는 인덱스 및 상기 인덱스의 설명 내용인 코멘트를 조사대상 콘텐츠의 구성부별로 저장한 인덱스 표시 문헌 DB;
조사대상 콘텐츠의 구성부 내용 및 구성부 식별기호를 표시하고 그에 유사성 대비된 문헌에 표시된 인덱스 및 인덱스의 설명 내용인 코멘트를 나타낸 전자 파일 형태의 조사 보고서를 생성하는 조사 보고서 생성부;
를 포함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장치.
19.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18,
A subject content constituent DB storing a constituent content of the content to be researched and a constituent part identification symbol;
An index display document DB in which an index displayed in a document and a comment which is a description content of the index are stored for each constituent part of a content to be examined;
An investigation report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file type survey report indicating a content part of a content to be researched and a constituent part identification symbol and a comment which is a description content of an index and an index displayed in a document comparable to the similarity;
A survey report writing device.
청구항 19에 있어서,
조사대상 콘텐츠와의 대비 작업에 사용될 문헌을 저장한 대비예정 문헌 DB를 포함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9,
A survey report writing device including a preliminary document DB for storing documents to be used for comparison with the content to be surveyed.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검색 조건에 따라 검색되어 검색 서버로부터 수신한 검색결과를 표시한 검색결과 표시창;
검색결과 표시창에서 선택된 문헌의 상세정보를 표시하는 작업문헌 상세정보창;
조사대상 콘텐츠와 선행되는 문헌들의 정보를 표시하고, 조사 보고서 생성 옵션을 입력받는 조사 보고서 서지표시창;
조사대상 콘텐츠에 대비되는 작업 내용이 입력되는 구성대비 내용 입력창;
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장치.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20,
A search result display window that is searched according to search conditions and displays search results received from search servers;
A document displaying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document in the search result display window;
Survey report bibliography window displaying information of surveyed contents and preceding documents and inputting survey report generation options;
A configuration input window for inputting work contents to be compared with the content to be searched;
The at least one survey report generating device.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구성대비 내용 입력창은
문헌을 디스플레이하는 문헌 서브창;
상기 문헌 서브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문헌의 내용 중에서, 조사 보고서 작성 대상인 조사대상 콘텐츠의 구성부에 대응되는 문헌의 관련 영역에 인덱스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상기 구성부별로 인덱스를 설명하는 코멘트를 입력받는 인덱스별 코멘트 서브창;
상기 조사대상 콘텐츠와 대비되는 대비문헌의 고유번호, 상기 대비문헌에 표시된 인덱스, 상기 인덱스를 설명하는 코멘트를 이용하여, 조사대상 콘텐츠의 각 구성부에 대응되는 선행정보를 나타낸 조사 보고서 생성창;
을 포함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21,
A document sub-window displaying a document;
An index for inputting and displaying an index in a relevant area of a document corresponding to the constituent part of the content to be researched which is the subject of the investigation report to be created and displaying an index for explaining the index, Star comment sub window;
An investigation report generation window that shows prece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mponent of the content to be searched using a unique number of the reference document to be compared with the content to be searched, an index displayed in the reference document, and a comment describing the index;
And the like.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조사대상 콘텐츠의 구성부를 나타내는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서브창을 포함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장치.The survey report 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8, comprising a sub-window of a survey target content constituent part indicating a constituent part of the survey target content.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종속항에서 인용하는 인용항을 입력받는 종속항 구성부 생성창을 포함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장치.The survey report 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the display section includes a dependency section construction window for receiving a quotation term cited in the dependent clause.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조사대상 콘텐츠 구성부 DB내에는 각 청구항의 구성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부 식별기호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조사 보고서 생성부는 상기 종속항에 해당하는 청구항의 구성부 식별기호와 상기 인용항에 해당하는 청구항의 구성부 식별기호를 더하여 상기 종속항의 최종 구성부 를 생성하는 조사 보고서 작성 장치.[Claim 24] The system of claim 24, wherein at least one constituent part symbol representing a constituent part of each claim is stored in the examination subject content constituent part DB, And a final component of said dependent clause by adding a constituent part identifier of a claim corresponding to said cited clause.
KR1020120126556A 2012-11-09 2012-11-09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arch report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same KR1020434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556A KR102043434B1 (en) 2012-11-09 2012-11-09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arch report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556A KR102043434B1 (en) 2012-11-09 2012-11-09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arch report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999A true KR20140059999A (en) 2014-05-19
KR102043434B1 KR102043434B1 (en) 2019-11-11

Family

ID=5088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556A KR102043434B1 (en) 2012-11-09 2012-11-09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arch report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43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5119A1 (en) * 2015-12-17 2017-06-22 노시스 주식회사 Distribution processing method for prior art search, and server and system operating same
CN112312407A (en) * 2020-09-28 2021-02-02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GSM-R survey system and method based on termina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3192A (en) * 2000-08-22 2002-02-28 Patolis Corp Patent document system
JP2007149087A (en) * 2005-10-27 2007-06-14 Reitekku:Kk Document creation support device
JP2007148630A (en) * 2005-11-25 2007-06-14 Nec Corp Patent analyzing device, patent analyzing system, patent analyzing method and program
JP2010287210A (en) * 2010-01-21 2010-12-24 Ird:Kk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10020114A (en) 2009-08-21 2011-03-02 (주)윕스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f patent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3192A (en) * 2000-08-22 2002-02-28 Patolis Corp Patent document system
JP2007149087A (en) * 2005-10-27 2007-06-14 Reitekku:Kk Document creation support device
JP2007148630A (en) * 2005-11-25 2007-06-14 Nec Corp Patent analyzing device, patent analyzing system, patent analyzing method and program
KR20110020114A (en) 2009-08-21 2011-03-02 (주)윕스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f patent information
JP2010287210A (en) * 2010-01-21 2010-12-24 Ird:Kk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5119A1 (en) * 2015-12-17 2017-06-22 노시스 주식회사 Distribution processing method for prior art search, and server and system operating same
CN112312407A (en) * 2020-09-28 2021-02-02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GSM-R survey system and method based 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434B1 (en)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2935B2 (en) Automatically generating a website specific to an industry
US9721039B2 (en) Generating a relationship visualization for nonhomogeneous entities
JP4423613B2 (en) Computerized service manual generating method, computerized service manual generating device, computerized service manual generat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JP3998706B2 (en) Document data management method, management system, and computer software
US111069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formation extraction from text documents with spatial context
US20140310613A1 (en) Collaborative authoring with clipping functionality
US9740995B2 (en) Coordinate-based document processing and data entry system and method
US20060069690A1 (en) Electronic file system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3098051A (en) Search engine optmization assistant
WO2013123182A1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of performing contract review
AU2009238294A1 (en) Data transformation based on a technical design document
JP2014109871A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and document management method and document management program
US20170109442A1 (en) Customizing a website string content specific to an industry
US20140281889A1 (en) Research data collector and organizer (rdco)
TWI438638B (en) Integration of Easy Information Aggregate Files
CN113918713A (en) Data annota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150363803A1 (en) Business introduction interface
US8612431B2 (en) Multi-part record searches
KR102043434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arch report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 same
US2009011284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web-based research
US201800751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Disparate Financial, Regulatory, and Disclosure Documents to a Linked Table
Kumar et al. Implementation of MVC (Model-View-Controller) design architecture to develop web based Institutional repositories: A tool for Information and knowledge sharing
KR101078966B1 (en) System for analyzing documents
Zotero zotero
JP2007183819A (en) Document file search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