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657A - 식물 재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657A
KR20140059657A KR1020120126333A KR20120126333A KR20140059657A KR 20140059657 A KR20140059657 A KR 20140059657A KR 1020120126333 A KR1020120126333 A KR 1020120126333A KR 20120126333 A KR20120126333 A KR 20120126333A KR 20140059657 A KR20140059657 A KR 20140059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ant
user
cultiv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3892B1 (ko
Inventor
마소영
Original Assignee
(주)모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이라 filed Critical (주)모이라
Priority to KR1020120126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892B1/ko
Publication of KR20140059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재배 시스템으로서, 식물이 재배되기 위해 재배공간을 가지는 재배기본체; 상기 재배기본체에 저장된 물을 상기 재배공간에 재배되는 식물에 분사하도록 상기 재배기본체에 마련되는 급수부; 상기 재배공간에 재배되는 식물에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재배기본체에 설치되는 조명부; 상기 급수부 및 상기 조명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통신단말기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단말기로 통신망을 통해서 식물 관리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급수나 조명의 제공을 선택하면, 상기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이 사용자의 선택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통신단말기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단말기를 통해서 수신받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부 또는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식물을 원격지에서도 재배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식물의 단순 재배 기능뿐만 아니라, 음이온발생, 가습, 오디오파일재생, 녹음, 촬영, 산소 발생, 피톤치드 발생, 제습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짐으로써 식물 재배기의 활용성을 높이도록 하며, 식물의 종류나 유형에 따른 재배 상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올바른 재배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

Description

식물 재배 시스템{PLANT CULTIVATION SYSTEM}
본 발명은 식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의 원격 관리가 가능하고, 식물의 단순 재배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가짐으로써 식물 재배기의 활용성을 높이도록 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을 비롯하여 다양한 실내 또는 실외에서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대지로부터 독립적으로 가꾸기 위하여 여러 가지의 형태와 디자인을 가진 화분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화분은 대개 식물이 식재된 상태로 구입하거나, 화분을 별도로 구입하여 원하는 식물을 식재하게 되는데, 화분에 식재된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서 영양을 얻게 되므로, 식물이 제대로 성장하기 위해서 빛과 수분 등의 공급이 중요하다.
한편, 화분에 원하는 씨앗을 심어서 발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흙을 파서 씨앗이 흙 속에 묻히도록 한 다음, 수분을 공급하면서 일정 시간을 기다리면 발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분은 식물의 광합성 등을 위하여 햇빛이 드는 곳에 설치해야 하는 등의 제약이 따르게 되고, 이로 인해 식물은 장소에 크게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주기적인 관리 소홀로 인해 식물의 성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식물이 토양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물론 수생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종래의 화분은 배수 등에 의해 흙이 물과 함께 배출되어 화분받침대를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식물 재배기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598013호(2006.06.30)의 "식물 재배기"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통형상으로 상부 개방형의 용기와, 투명관으로 되어 용기의 양측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저부에 배출구를 가지는 수평관 및 수평관의 일측에 수직 연결되어 상부에 물투입구를 가지는 수직관으로 된 물공급수단과, 용기의 바닥부에 구비되는 히터 및 용기 외측에서 작동을 히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식물 재배기는 식물의 원격 재배가 불가능하고, 실내의 정해진 공간을 차지하도록 설치되는 식물 재배기가 식물의 단순 재배 기능만을 가짐으로써 그 활용성을 높이는데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의 원격 재배가 가능하고, 식물의 단순 재배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가짐으로써 식물 재배기의 활용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식물 재배 시스템으로서, 식물이 재배되기 위해 재배공간을 가지는 재배기본체; 상기 재배기본체에 저장된 물을 상기 재배공간에 재배되는 식물에 분사하도록 상기 재배기본체에 마련되는 급수부; 상기 재배공간에 재배되는 식물에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재배기본체에 설치되는 조명부; 상기 급수부 및 상기 조명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통신단말기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단말기로 통신망을 통해서 식물 관리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급수나 조명의 제공을 선택하면, 상기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이 사용자의 선택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통신단말기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단말기를 통해서 수신받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부 또는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재배기본체에는 외부로 음이온을 발생하도록 하는 음이온발생부와, 외부에 수분을 제공하도록 하는 가습부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오디오파일을 스피커를 통해서 재생하도록 하는 오디오파일재생부와, 마이크로폰을 통해서 오디오를 녹음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녹음부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하는 카메라와,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기와, 피톤치드를 발생시키는 피톤치드발생기와, 제습을 수행하는 제습기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단말기로 음이온 발생, 가습, 오디오파일 재생, 녹음, 촬영, 산소 발생, 피톤치드 발생 또는 제습을 선택함으로써 발생되는 제어신호가 상기 통신단말기를 통해서 수신되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음이온발생부, 상기 가습부, 상기 오디오파일재생부, 상기 녹음부, 상기 카메라, 상기 산소발생기, 상기 피톤치드발생기 또는 상기 제습기를 각각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배기 본체에 마련되는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 및 시간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에 관계되는 상기 급수부, 상기 조명부, 상기 음이온발생부, 상기 가습부, 상기 오디오파일재생부, 상기 녹음부, 상기 카메라, 상기 산소발생기, 상기 피톤치드발생기 또는 상기 제습기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에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 또는 상기 재배기본체에 마련되는 조작부의 조작신호 각각에 따라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급수부와 상기 조명부의 동작회수 및 동작시간을 각각 카운트하고, 상기 조작부에 의해 입력되는 식물의 종류에 대해서 상기 카운트된 동작회수 및 동작시간이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재배상황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배상황판단부가 판단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단말기에 의해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각각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다수의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서 자신의 상기 통신단말기 간에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여, 식물 재배를 원격지에서 수행하도록 하는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여 통신망을 통해서 접속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서 사용자 인증에 의해 자신이 관리하는 상기 통신단말기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여 등록된 상기 통신단말기로 급수, 조명, 음이온 발생, 가습, 오디오파일 재생, 녹음, 촬영, 산소 발생, 피톤치드 발생 또는 제습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재배상황판단부로부터 상기 통신단말기를 통해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식물관리서비스서버;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 등록된 상기 통신단말기에 대한 정보, 상기 재배상황판단부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에 의하면,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식물을 원격지에서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식물의 단순 재배 기능뿐만 아니라, 음이온발생, 가습, 오디오파일재생, 녹음, 촬영, 산소 발생, 피톤치드 발생, 제습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짐으로써 식물 재배기의 활용성을 높이도록 하며, 식물의 종류나 유형에 따른 재배 상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올바른 재배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100)은 재배기본체(110), 급수부(120), 조명부(130), 제어부(140) 및 통신단말기(150)를 포함한다.
재배기본체(110)는 식물이 재배되기 위해 재배공간(111)을 가지고, 사용자가 조작에 의해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부(112)가 일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재배공간(111)은 일례로 전후로 개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식물(1)의 관측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재배되는 식물(1)의 뿌리나 토양 또는 수분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120)는 재배기본체(110)에 저장된 물을 재배공간(111)에 재배되는 식물에 분사하도록 재배기본체(110)에 마련되는데, 일례로, 재배기본체(110) 내에 설치되는 급수탱크와, 급수탱크로부터 급수라인을 통해서 물을 공급받아 식물(1)에 분사하도록 재배공간(111)의 상부에 설치되는 분사노즐과, 급수탱크 내의 물을 급수라인을 통해서 분사노즐에 공급하기 위한 펌핑력을 제공하는 급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노즐은 재배공간(111)의 상단에 다수로 설치되어 하방으로 식물(1)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도록 한다.
조명부(130)는 재배공간(111)에 재배되는 식물(1)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식물(1)의 생장에 도움을 주도록 하고, 이를 위해 식물(1)마다 생장에 필요한 파장의 광을 출력하도록 각각 서로 다른 파장대의 광을 출력하는 다종의 LED나 발광소자를 가질 수 있고, 일례로 재배공간(111)의 상단에 하방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급수부(120) 및 조명부(130)를 각각 제어하도록 재배기본체(110) 내에 설치될 수 있고, PCB와 회로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단말기(150)는 제어부(140)가 통신망을 통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고, 재배기본체(1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통신단말기(150)는 통신망으로서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그 밖에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30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통신단말기(150)를 통한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300)과의 통신을 전반적으로 제어함과 아울러,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30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의 인증, 해석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단말기(400)로 통신망, 예컨대 인터넷망이나 이동통신만을 통해서 식물 관리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급수나 조명의 제공을 선택하면,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300)이 사용자의 선택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통신망을 통해서 통신단말기(15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40)는 통신단말기(150)를 통해서 수신받은 제어신호에 따른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급수부(120)와 조명부(130) 각각을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재배기본체(110)에는 외부로 음이온을 발생하도록 하는 음이온발생부(170)와, 외부에 수분을 제공하도록 하는 가습부(180)와,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파일을 스피커(191)를 통해서 재생하도록 하는 오디오파일재생부(190)와, 마이크로폰(211)을 통해서 오디오를 녹음하여 메모리부(160)에 저장하도록 하는 녹음부(210)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하도록 하는 카메라(230)와,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기(240)와, 피톤치드를 발생시키는 피톤치드발생기(250)와, 제습을 수행하는 제습기(260)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음이온발생부(170)는 재배기본체(110)에 형성되는 토출구(미도시)를 통해서 음이온을 방출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살균, 탈취, 먼지 제거 등을 통해 주변 환경을 쾌적하도록 하는데, 일례로 마이너스 고전압에 의한 코로나방전 또는 플라즈마 방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습부(180)는 원심 분무식, 초음파 진동식, 전열식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주변에 습기를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재배기본체(110)에 설치되는 습도센서를 통해서 측정된 습도가 정해진 범위를 유지하도록 가습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파일재생부(190)는 일례로 MP3 플레이어를 비롯하여 오디오파일 재생기기로서, 스피커(191)를 통해서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한다. 따라서, 식물 생장에 도움이 되는 클래식 등의 음악이나 기타 음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녹음부(210)는 마이크로폰(211)을 통해서 주변의 소리를 획득하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육성이나 그 밖에 소리 등을 녹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녹음부(210)에 의해 녹음되어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사용자의 육성을 오디오파일재생부(190)를 통해서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식물(1)의 생장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230)는 어둠에서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적외선 카메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산소발생기(240)는 원료의 혼합에 의한 화학작용을 통해서 산소를 발생시키거나, 부화막 방식 또는 PSA(Pressure Swing Adsorption)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피톤치드발생기(250)는 일례로 피톤치드 용액을 기화 내지 증발시켜서 공급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습기(260)는 냉각 감습 방식이나 가열 감습 압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단말기(400)로 음이온 발생, 가습, 오디오파일 재생, 녹음, 촬영, 산소 발생, 피톤치드 발생 또는 제습을 선택함으로써 발생되는 제어신호가 통신단말기(150)를 통해서 수신되면, 제어신호에 따라 음이온발생부(170), 가습부(180), 오디오파일재생부(190), 녹음부(210), 카메라(230), 산소발생기(240), 피톤치드발생기(250) 또는 제습기(260)를 각각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단말기(400)로 선택함으로써 발생되는 제어신호는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300)을 통해서 통신단말기(150)로 전달되어 제어부(140)에 수신되도록 한다.
제어부(140)는 재배기 본체(110)에 마련되는 조작부(112)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 및 시간을 메모리부(160)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에 관계되는 급수부(120), 조명부(130), 음이온발생부(170), 가습부(180), 오디오파일재생부(190), 녹음부(210), 카메라(230), 산소발생기(240), 피톤치드발생기(250) 또는 제습기(260)를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에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조작부(112)의 조작에 의해, 급수 오전 6시, 조명 오후 6시로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오전 6시 식물(1)에 대한 물의 분사를 정해진 양이나 횟수만큼 분사하도록 급수부(120)를 제어하도록 하고, 오후 6시에 식물(1)에 대한 광을 정해진 시간 동안 분사하도록 조명부(130)를 제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100)은 제어신호 또는 재배기본체(110)에 마련되는 조작부(112)의 조작신호 각각에 따라 제어부(140)에 의해 동작하는 급수부(120)와 조명부(130)의 동작회수 및 동작시간을 각각 카운트하고, 조작부(112)에 의해 입력되는 식물의 종류에 대해서 카운트된 동작회수 및 동작시간이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재배상황판단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재배상황판단부(220)가 판단한 데이터를 통신단말기(150)에 의해 통신망을 통해서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300)과 사용자의 단말기(400)에 각각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단말기(400)를 통해서 또는 조작부(112)의 조작에 의해서 식물(1)에 대한 급수 및 조명을 제공하도록 하면, 재배상황판단부(220)는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되는 급수부(120)와 조명부(130)의 동작횟수 및 동작시간 등을 카운트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재배공간(111)에 재배되는 식물(1)의 종류나 재배유형을 입력하면, 재배상황판단부(2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식물(1)의 종류나 재배유형에 적합한 급수량 및 조명량에 비하여, 사용자가 수행한 실제 급수량 및 조명량이 적당한지 또는 부족한지 또는 과도한지를 판단하게 되고, 부족 내지 과도한 양을 보완할 수 있는 급수시기 및 조명시기와 함께 식물(1)에 대해 관리 상태를 사용자의 단말기(400) 및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300)에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로 산출하도록 한다. 여기서, 식물(1)의 재배 유형은, 예컨대, A타입(2일에 한번 50ml의 물을 공급하고, 하루 18시간 광을 조사해야 하는 식물로서, 예컨대, a, b, c, d,.... 등임.), B 타입(1주일에 한번 30ml의 물을 공급하고, 하루 12시간 광을 조사해야 하는 식물로서, 예컨대 e, f, g, h,........ 등임.) 등으로 구획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급수부(120)의 제어를 통한 식물(1)에 대한 물의 공급량을 정하기 위하여, 물의 분사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를 이용하거나, 급수탱크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100)은 다수의 사용자가 단말기(400)를 통해서 자신의 통신단말기(150) 간에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여, 식물 재배를 원격지에서 수행하도록 하는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300)은 사용자가 단말기(400)를 사용하여 통신망을 통해서 접속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310)와,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통해서 사용자 인증에 의해 자신이 관리하는 통신단말기(150)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단말기(400)를 사용하여 등록된 통신단말기(150)로 급수, 조명, 음이온 발생, 가습, 오디오파일 재생, 녹음, 촬영, 산소 발생, 피톤치드 발생 또는 제습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며, 재배상황판단부(220)로부터 통신단말기(150)를 통해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사용자의 단말기(400)에 제공하도록 하는 식물관리서비스서버(320)와, 사용자에 대한 정보, 등록된 통신단말기(150)에 대한 정보, 재배상황판단부(220)의 데이터 및 사용자의 식물 재배 관리 이력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단말기(400)는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PDA를 비롯하여 다양한 통신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즉 서비스 제공업자는 단말기(500)를 통해서 식물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제어, 유지 및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웹서버(310)는 웹페이지를 통해서, 사용자의 단말기(400), 특히 스마트폰이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단말기(400)를 통해서 필요한 정보의 입력에 의해 회원가입을 하거나, 부여된 ID와, 패스워드나 이를 대신한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자신의 통신단말기(150)와의 통신을 위하여 통신단말기(150)의 고유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식물관리서비스서버(320)는 웹페이지를 통한 사용자와 통신단말기(150)의 인증, 사용자의 단말기(400)와 통신단말기(150)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기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게 되고, 나아가서, 사용자가 단말기(400)를 통해서 수행한 명령들을 식물 재배 관리 이력으로서 데이터베이스부(3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에 따르면,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식물을 원격지에서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식물의 단순 재배 기능뿐만 아니라, 음이온발생, 가습, 오디오파일재생, 녹음, 촬영, 산소 발생, 피톤치드 발생 또는 제습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짐으로써 식물 재배기의 활용성을 높이도록 하며, 식물의 종류나 유형에 따른 재배 상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올바른 재배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재배기본체 111 : 재배공간
112 : 조작부 120 : 급수부
130 : 조명부 140 : 제어부
150 : 통신단말기 160 : 메모리부
170 ; 음이온발생부 180 : 가습부
190 : 오디오파일재생부 191 : 스피커
210 : 녹음부 211 : 마이크로폰
230 : 카메라 240 : 산소발생기
250 : 피톤치드발생기 260 : 제습기
220 : 재배상황판단부 300 :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
310 : 웹서버 320 : 식물관리서비스서버
330 : 데이터베이스부 400 : 사용자의 단말기
500 : 관리자의 단말기

Claims (5)

  1. 식물 재배 시스템으로서,
    식물이 재배되기 위해 재배공간(111)을 가지는 재배기본체(110);
    상기 재배기본체(110)에 저장된 물을 상기 재배공간(111)에 재배되는 식물에 분사하도록 상기 재배기본체(110)에 마련되는 급수부(120);
    상기 재배공간(111)에 재배되는 식물에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재배기본체(110)에 설치되는 조명부(130);
    상기 급수부(120) 및 상기 조명부(130)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140); 및
    상기 제어부(140)가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의해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통신단말기(150)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단말기(400)로 통신망을 통해서 식물 관리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급수나 조명의 제공을 선택하면, 상기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300)이 사용자의 선택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통신단말기(150)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통신단말기(150)를 통해서 수신받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부(120) 또는 상기 조명부(130)를 제어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기본체(110)에는 외부로 음이온을 발생하도록 하는 음이온발생부(170)와, 외부에 수분을 제공하도록 하는 가습부(180)와,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파일을 스피커(191)를 통해서 재생하도록 하는 오디오파일재생부(190)와, 마이크로폰(211)을 통해서 오디오를 녹음하여 메모리부(160)에 저장하도록 하는 녹음부(210)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하도록 하는 카메라(230)와,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기(240)와, 피톤치드를 발생시키는 피톤치드발생기(250)와, 제습을 수행하는 제습기(260)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사용자가 단말기(400)로 음이온 발생, 가습, 오디오파일 재생, 녹음, 촬영, 산소 발생, 피톤치드 발생 또는 제습을 선택함으로써 발생되는 제어신호가 상기 통신단말기(150)를 통해서 수신되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음이온발생부(170), 상기 가습부(180), 상기 오디오파일재생부(190), 상기 녹음부(210), 상기 카메라(230), 상기 산소발생기(240), 상기 피톤치드발생기(250) 또는 상기 제습기(260)를 각각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재배기 본체(110)에 마련되는 조작부(112)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 및 시간을 상기 메모리부(160)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에 관계되는 상기 급수부(120), 상기 조명부(130), 상기 음이온발생부(170), 상기 가습부(180), 상기 오디오파일재생부(190), 상기 녹음부(210), 상기 카메라(230), 상기 산소발생기(240), 상기 피톤치드발생기(250) 또는 상기 제습기(260)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에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또는 상기 재배기본체(110)에 마련되는 조작부(112)의 조작신호 각각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급수부(120)와 상기 조명부(130)의 동작회수 및 동작시간을 각각 카운트하고, 상기 조작부(112)에 의해 입력되는 식물의 종류에 대해서 상기 카운트된 동작회수 및 동작시간이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재배상황판단부(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재배상황판단부(220)가 판단한 데이터를 상기 통신단말기(150)에 의해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300)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400)에 각각 제공하도록 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다수의 사용자가 단말기(400)를 통해서 자신의 상기 통신단말기(150) 간에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여, 식물 재배를 원격지에서 수행하도록 하는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3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물관리 서비스제공 시스템(300)은,
    사용자가 단말기(400)를 사용하여 통신망을 통해서 접속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310);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서 사용자 인증에 의해 자신이 관리하는 상기 통신단말기(150)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단말기(400)를 사용하여 등록된 상기 통신단말기(150)로 급수, 조명, 음이온 발생, 가습, 오디오파일 재생, 녹음, 촬영, 산소 발생, 피톤치드 발생 또는 제습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재배상황판단부(220)로부터 상기 통신단말기(150)를 통해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400)에 제공하도록 하는 식물관리서비스서버(320);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 등록된 상기 통신단말기(150)에 대한 정보, 상기 재배상황판단부(220)의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식물 재배 관리 이력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330)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KR1020120126333A 2012-11-08 2012-11-08 식물 재배 시스템 KR101403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333A KR101403892B1 (ko) 2012-11-08 2012-11-08 식물 재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333A KR101403892B1 (ko) 2012-11-08 2012-11-08 식물 재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657A true KR20140059657A (ko) 2014-05-16
KR101403892B1 KR101403892B1 (ko) 2014-06-09

Family

ID=5088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333A KR101403892B1 (ko) 2012-11-08 2012-11-08 식물 재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8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093A1 (ko) * 2017-09-11 2019-03-14 (주)디케이에코팜 자체제어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 시스템
KR20220063623A (ko) * 2020-11-10 2022-05-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주기 알리미 기능을 갖는 식물 식재용 화분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743B1 (ko) * 2017-04-04 2018-06-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식생정보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
KR102562675B1 (ko) * 2023-01-25 2023-08-01 주식회사 성하 스마트 스프링클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740B1 (ko) * 2010-02-18 2011-06-30 노형진 스마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KR20120002658A (ko) * 2010-07-01 2012-01-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식물관리정보시스템
KR101191952B1 (ko) * 2011-02-24 2012-10-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화분 인큐베이터 및 화분 인큐베이터에 식재된 화분을 관리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0093A1 (ko) * 2017-09-11 2019-03-14 (주)디케이에코팜 자체제어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식물재배 시스템
KR20220063623A (ko) * 2020-11-10 2022-05-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주기 알리미 기능을 갖는 식물 식재용 화분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892B1 (ko) 201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9740B2 (en) Green wall modular system
US20200100444A1 (en) Hydroponic plant grow cabinet
KR101403892B1 (ko) 식물 재배 시스템
US20200375127A1 (en) Soilless plant growing systems
KR20190089481A (ko) 가정용 식물재배를 위한 스마트 식물재배장치
KR20120126832A (ko) 다기능 화분장치
CN105532117A (zh) 一种稻种育种发芽装置
CN110199845A (zh) 一种基于物联网与人工智能的植物养护***
TWI321448B (en) Intelligent indoor environment control device and method
KR20190112439A (ko)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KR20200047208A (ko) 컨텐츠를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 환경 스마트 시스템
KR101949252B1 (ko) 실내용 식물 재배장치의 내부 환경을 조절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1343859A (zh) 自动化竖直植物栽培***
KR102163470B1 (ko) 가습기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N106508620A (zh) 具有自动施肥、捕虫及浇灌等功能的室内花草种植***
CN213715791U (zh) 一种培育房
CN206505332U (zh) 基于智能云技术的植物生长机控制***
KR20150005370A (ko) 식물 재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50005369A (ko) 원격 제어 식물 재배기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재배 서비스 시스템
KR102528235B1 (ko) IoT 기반의 수직정원
JP2003333937A (ja) 植物育成システム
CN110118406A (zh) 一种桌面小型生态加湿器
CN106508230A (zh) 一种远程控制施肥及浇灌功能的室内花草种植***
TWM552735U (zh) 智能綠色建築的自動植栽系統
CN106527359A (zh) 一种远程控制具有捕虫及浇灌等功能的室内花草种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