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462A - Protective cover for mobile devices - Google Patents

Protective cover for mobile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462A
KR20140057462A KR1020130053090A KR20130053090A KR20140057462A KR 20140057462 A KR20140057462 A KR 20140057462A KR 1020130053090 A KR1020130053090 A KR 1020130053090A KR 20130053090 A KR20130053090 A KR 20130053090A KR 20140057462 A KR20140057462 A KR 20140057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mobile device
display screen
cover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0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빛
Priority to EP13003145.3A priority Critical patent/EP2728762A2/en
Priority to JP2013133453A priority patent/JP2014093770A/en
Priority to US13/928,714 priority patent/US20140128131A1/en
Priority to CN201310261352.8A priority patent/CN103812974A/en
Publication of KR2014005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46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on cover for mobile devic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on cover of a mobile device which protects a front portion and a display screen of the mobile device and in which a see-through part for seeing the content of the display screen is provided. Als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rotection cover protecting a front portion of the mobile device, wherein the protection cover comprises the see-through part having a see-through member for seeing the content of the screen from the outside by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screen. Accordingly, the protection cover shows an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of the mobile device, since the protection cover can safely protect the front portion of the mobile device, such as smartphone, if external shocks are applied, and can also check the content on the display screen and operate a touch function without opening the cover.

Description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Protective cover for mobile devices}Protective cover for mobile devices {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전면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주요정보와 기능을 보호커버를 열지 않고서도 확인 및 외부에서 터치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device which is capable of confirming key information and functions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without opening a protective cover and performing a touch operation from the outside while performing a function of protecting a front part of a portable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over.

근래 들어 휴대전화의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과 같은 모바일기기가 새롭게 출시됨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의 일대 변혁이 일어나고 있다.Recently, as the technology of mobile phones has been developed more and more,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re newly introduced, and a revolution of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is taking place.

특히,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모바일기기는 전화기능과 인터넷 기능은 물론 노트북, PDA, PMP 등의 고가의 휴대기기를 통합한 다양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전면부에는 풀 터치 표시화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매우 고가의 제품이라 할 수 있어 사용과정에서 표시화면을 보호하면서 사용해야 한다.In particular,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have various functions that integrate high-priced mobile devices such as notebooks, PDAs, and PMPs, as well as telephone and Internet functions. It is a very expensive product and should be used while protecting the display screen during use.

따라서, 파손을 방지하고, 표시화면의 표면이 긁히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재질과 디자인 및 기능성을 갖는 보호커버와 이러한 보호커버를 가진 보호케이스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터치 표시화면을 보호하기 위한 일명 '플립 커버'라고 칭하는 제품이 널리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breakage and to prevent the surface of the display screen from being scratched or contaminated, a protective cover having various materials, designs and functions, and protective cases having such a protective cover are widely available. Among them, A so-called "flip cover" for protection is widely used.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보호커버들에는 액정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매번 커버를 자주 열고 닫아야 하므로 모바일기기 사용상의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protective covers require frequent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every time in order to check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screen, which is a troublesome problem in the use of mobile devices.

그리고, 모바일 기기를 사용 횟수에 비례하여 자주 열고 닫는 동작이 반복되므로서 보호커버 및 연결부와 후면커버 등이 쉽게 훼손되므로서 교체 주기가 매우 짧아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are frequently repeat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mobile device, the protection cover,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rear cover are easily damaged, resulting in a short period of replacement and an economical burden on the user.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모바일기기의 전면부를 외부의 충격에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면서도 보호커버를 열지 않고 표시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확인하거나 또는 터치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를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Accordingly, users are desperately demanding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which protects the front portion of the mobile device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impact while allowing the user to confirm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r to perform a touch operation without opening the protective cover .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이나 소형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전면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면서 이와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을 커버를 열지 않고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도 모바일 기기의 터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tect the front side of a portable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small tablet PC while checking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without opening the cover, And to provide a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mobile device.

본 발명 목적에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not mentioned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표시화면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진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에는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 작동시 상기 표시화면에 나타나는 주요정보를 상기 보호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시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tective cover for protecting a display screen of a portable mobile device, the protective cover including mai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when the portable mobile device operat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mobile device, which is provided with a visible portion that can be check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투시부는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 구동시 상기 표시화면에 나타나는 주요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pective unit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area in which importan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s displayed when the portable mobile device is drive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투시부는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 구동시 상기 표시화면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pective unit may have the same size as the display screen when the portable mobile device is drive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배면에 장착되는 배면커버를 제거하고, 추가로 장착되는 후면커버와, 상기 후면커버와 연결된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표시화면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cover may include a rear cover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mobile device, the rear cover being attached to the rear cover, and a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rear cover, . ≪ / RTI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투시부는 보호커버의 전면 중 그 일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이 개구부에는 상기 표시화면을 보호하기 위한 투시부재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portion is formed in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and the open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member for protecting the display scree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투시부재는 개구부에 대응되게 조립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투시화면부와, 이 투시화면부의 외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보호커버 내부로 삽입 고정되어 일체로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ewing member is composed of a perspective screen portion which is assembled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portion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fixing portion formed at the outer edge of the perspective screen portion,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투시부재는 도전성 기능을 가진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 또는 강화유리 또는 하프미러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표시화면을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member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synthetic resin, a tempered glass, or a half mirror having a conductive function, and can be operated by touching a display screen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투시부재는 상기 표시화면에 나타나는 주요정보 또는 표시 내용의 위치 및 외곽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ewing member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size of the main information or the display content on the display scree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투시부재는 상기 보호커버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member may be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protective cov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투시부재는 상기 보호커버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member may b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ective cov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투시부재는 상기 보호커버에 가로 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되, 한쪽으로 치우쳐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ewing member is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tective cover, and may be formed to be biased toward one 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투시부재를 제외한 보호커버 전면에 걸쳐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양측면에는 외측부재와 내측부재가 접합부재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외측부재 및 내측부재 사이에는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may exten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excluding the transparent member, and the outer member and the inner member may be integrally attach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fixing portion by a joining member, And a reinforcing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xing portion and the outer member and the inner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표시화면 외곽을 따라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투시부재는 상기 표시화면과 대응되는 크기로서 상기 테두리부 내측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cover is formed with a rim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display screen, and the transparent member is formed inside the rim with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scree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호커버 전면에는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전면에 배치된 기능부품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능홀이 형성되어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 hol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al component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mobile device.

상기 기능홀은 통화스피커홀, 전면카메라홀, 사용자인식홀, 조광센서홀 중에서 선택적인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보호커버 일측에는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기능버튼부 또는 터치버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누름버튼표시부가 더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function hole may be a combination of a call speaker hole, a front camera hole, a user recognition hole, and a dimmer sensor hole, and the protective cover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function button portion or a touch button portion of the portable mobile device A push button display unit may be further form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투시부재는 상기 보호커버에 매입되게 조립되되, 그 저면부가 상기 표시화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미세 간격을 유지하여 매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member may be embodied so as to be embedded in the protective cov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arent member may be embedded with a small gap so as not to contact the display scree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 배면 일측에는 장착감지부가 구비되어 이 장착감지부가 상기 후면커버에 구비되는 장착인식부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 장착 유,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커버가 장착시에는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표시화면에 나타나는 주요정보가 상기 보호커버의 투시부재 영역에만 표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unting sensing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ck of the portable mobile device, and the mounting sen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recognition unit provided on the rear cover in a contact or non-contact manner, Is made to recognize the radish; When the rear cover is mounted, important information appearing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portable mobile device may be displayed only in the transparent member area of the protective cov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호커버 내부에는 상기 표시화면에 대해 개폐 유,무를 판별하는 감지수단이 내장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모바일기기의 배면에 마련되는 회로접속부와 연결되는 상기 후면커버의 접속단자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개폐 유,무 상태를 송,수신하면서 상기 모바일기기의 제어회로부와 상호 연동하여 보호커버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화면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ing means for discriminating open / closed states of the display screen is built in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cover, and the sensing means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The display screen may b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protective cover in cooperation with the control circuit portion of the mobile device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open / close state by wire or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of the cov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호커버는 외측부재와 내측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시부재는 투시화면부와 이 투시화면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가 상기 외측부재와 내측부재 사이에 고정되어 일체로 조립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cover comprises an outer member and an inner member, and the transparent member is composed of a transparent screen portion and a fixing portion formed at the edge of the transparent screen portion, Is fixed between the members and is integrally assembled.

상기 외측부재와 내측부재 사이에는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보강부재 내부에 개재되어 고정된다.A reinforc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outer member and the inner member, and the fixing portion is interposed and fixed within the reinforcing member.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1보강판 및 제2보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강판과 제2보강판 사이에 형성된 안착부에 상기 고정부가 수용되게 조립되고, 상기 안착부 내측으로 상기 개구부와 통하도록 형성된 투시창을 통해 상기 투시화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다.The reinforcing member is composed of a first reinforcing plate and a second reinforcing plate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is assembled so that the fixing portion is received in a seat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So that the viewing scree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viewing window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상기 제1보강판과 제2보강판, 상기 안착부와 고정부는 접합부재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외측부재와 내측부재는 상기 제1보강판과 제2보강판의 각 외측면에 접합부재에 의해 일체로 부착된다.Wherein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the seating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are integrally attached by a joining member, and the outer member and the inner member are joined to outer surfaces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s shown in Fig.

상기 안착부 일측에는 FPCB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더 형성된다.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FPCB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상기 FPCB 일단에는 상기 보강부재 내부에 수용되어 보호커버 개,폐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되고, FPCB 중간부는 보호커버와 후면커버 사이의 연결부 내부에 인입되며, 상기 FPCB 타단은 상기 백커버 내측에 접속단자부와 연결되어 이 접속단자부가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 배면에 마련된 회로접속부와 접속되어 보호커버의 개폐 유,무에 따라 상기 표시화면을 온/오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FPCB intermediate portion is inserted in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protective cover and the rear cover, and the other end of the FPCB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ack cover And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s connected to a circuit connection portion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mobile device so that the display screen can b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protection cover.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은 마그네틱센서 또는 조도센서 또는 포토센서 또는 근접센서 또는 자기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nsing means may be a magnetic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 photosensor, a proximity sensor, or a magnetic sensor.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전면부를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커버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표시화면에 내용을 확인하거나 터치 기능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보호커버를 장착하여 모바일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모바일기기의 기능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afely protect the front part of a portable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even if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and also to check contents on the display screen or to operate the touch function even when the cover is not opened. So that the mobile device can be safely protected while providing the convenience of sufficiently using the functions of the mobile device.

또한, 보호커버 내부에 구비되는 감지수단과 장착커버에 구비되는 장착감지부에 의하여 보호커버의 장착유무를 모바일기기가 인식하도록 하고, 아울러 보호커버의 개,폐유무를 함께 인식하도록 된 보호커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보호커버를 자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투시부재를 통해 모바일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편의성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obile device recognizes whether or not the protective cover is mounted by the mounting sensing part provided in the sensing cover and the mounting cover provided inside the protective cover, and also recognizes whether the protective cover is open or closed together with the protective cover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provide the convenience of operating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sighting member from the outside even when the protective cover is not opened frequently.

이하에 설명된 도면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와 가-가선 확대단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 를 나타낸 정면도와 요부단면도 및 나-나선확대단면도,
도 3a와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를 나타낸 정면도와 평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조립단면도와 분리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를 갖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를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 장착유무감지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정면도와 평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 개폐유무감지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 개폐유무 인식방법의 순서도,
The drawings described below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1A and 1B are a front view and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C are a front view, a main sectional view and a b-helical enlarged sectional view of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a front view and a flat 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an assembly sectional view and an exploded 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ing structure of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assembly sectional views showing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reinforc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front view and a top 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otective cover mounting presence / absence detec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and FIG. 10 are fragmentary front views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protection cover opening / closing state detecting unit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recognizing whether or not a protective cover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보호커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기기에 구비된 배면커버를 분리한 후 보호커버와 연결부 및 배면커버로 이루어진 일명 '플립커버'라고 하는 보호커버에 적용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바일기기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보호케이스에 적용된 보호커버에 모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obile device protective co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back cover provided on a mobile device is detach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rotective cover applied to various types of protective cases according to the type of mobile device.

또한,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동일한 부호 및 명칭은 중복하여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various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names are used in duplicat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와 가-가선 확대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 를 나타낸 정면도와 요부단면도 및 나-나선확대단면도이며, 도 3a와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를 나타낸 정면도와 평단면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조립단면도와 분리단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를 갖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를 나타낸 조립단면도이다.FIGS. 1A and 1B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of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A to 2C are cross- 3A and 3B are a front view and a fla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front view and a main part cross- 5 to 7 are views showing an assembled structure of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 장착유무감지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정면도와 평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 개폐 유,무 감지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정면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front view and a top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protective cover mounting presence / absence detecting unit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nd 10 are views showing a protective cover opening / And Fig.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의 기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rst, a basic structure of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10)는 가장 큰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기기(M) 작동시 상기 표시화면(P)에 나타나는 주요정보(F)를 상기 보호커버(10)가 닫힌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시부(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The protective cover 10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information F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P when the mobile device M is operated, as shown in FIGS. 1 to 3, (20) that can be seen when the protective cover (10) is closed.

본 실시예에서 보호커버(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한 장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고주파 융착 가능한 원단과 그 사이에 일체로 조립되는 보강부재(60)의 조립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rotective cover 1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may have a single plate shape, or may have an assembled structure of a high-frequency fusible material and a reinforcing member 60 integrally assembled therebetween.

그리고, 보호커버(10)의 내측면에는 표시화면(P)을 보호하기 위해 부드러운 벨벳이나 스웨이드와 같은 고주파 가능한 원단이 보호커버(10) 내측면에 전면적으로 접합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Needless to say, a high-frequency material such as soft velvet or suede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10 in order to protect the display screen P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10.

또한, 모바일기기의 표시화면(P)에서 나타나는 주요정보(F)라 함은 보호커버(1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화면(P)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간략한 주요정보(F) 만을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main information F appearing on the display screen P of the mobile device means that the contents of the display screen P can be checked without opening the protective cover 10. In this embodiment, It means that only the information F is displayed.

예를 들어, 현재 날짜와 날씨 및 시간 또는 부재중 통화기록이나, 문자메세지 수신횟수, 배터리 잔량 표시, 메일 수신 사항 등과 같이 주로 간략한 주요정보(F)를 알려주기 위한 표시를 의미하는 것이다.For example, it means an indication for informing mainly main information (F) such as the current date, the weather and the time or the missed call record, the number of times the text message is received,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indication,

따라서, 사용자는 투시부(20)를 통해 보호커버(1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투시부(20)를 통해 표시화면(P)에 투시부(20) 영역 내에 표시되는 주요정보(F)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main information F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P through the perspective portion 20 in the region of the perspective portion 20 even when the protective cover 10 is not opened through the perspective portion 20 .

이처럼 상기 투시부(2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기기(M) 구동시 상기 표시화면(P)에 나타나는 주요정보(F)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erspective view 20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region in which the main information F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P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device M is driv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

그리고, 투시부(20)는 가장 단순한 구성으로서 표시화면의 주요정보(F)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로 보호커버(10)의 전면 일부가 관통되어 개구부(11)를 형성하여 상기 투시부(20)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nsparent portion 20 has a size corresponding to a region in which the main information F of the display screen is displayed as the simplest structure and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10 penetrates to form the opening portion 11, (20).

이와 같이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는 투시부(20)는 보호커버(10)가 표시화면(P)에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기기(M) 구동시 즉, 문자 또는 부재중전화 등이 수신되거나 사용자가 보호커버(1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버튼 또는 홈 버튼 등을 눌러 날짜와 시간 또는 배터리 잔량 등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mobile device M is driven while the protective cover 10 is closed on the display screen P, that is, when a character or a missed call is received, When the cover 10 is not opened, the power button or the home button is pressed to check the date and time or the remaining battery level.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호커버(10)의 개구부(11)를 통해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주요정보(F)를 보호커버(1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확인하고, 터치 조작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이다.The user can confirm the main information F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opening 11 of the protective cover 10 even when the protective cover 10 is not opened and to provide convenience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상기 투시부(20)는 보호커버(10)의 전면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1)에는 상기 표시화면(P)을 보호하기 위한 투시부재(21)가 더 구비되는 것이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적인 구성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A and 1B, the opening 20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10. The opening 11 is further provided with a sighting member 21 for protecting the display screen P, which is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투시부(20)가 개구부(11)의 형태로 구성된 경우에는 투시부(20)에 표시화면(P)이 노출되므로서 표시화면(P) 표면에 충격이나 흠집이 발생할 우려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erspective portion 20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opening 11, the display screen P is exposed to the perspective portion 20, so that the surface of the display screen P may be impacted or scratched do.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구부(11)에 투시부재(21)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 것이다.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portion 11 is further provided with a transparent member 21.

이와 같은 상기 투시부재(2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a 또는 2a와 같이 및 개구부(11)의 형상이 표시화면(P)의 주요 내용을 투시하여 보기 위해 예를 들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와 대응되도록 투시부재(21)도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pective member 2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A or 2A and in which the shape of the opening 11 is viewed through the main contents of the display screen P The through-beam member 21 is also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o as to correspond thereto.

바람직하기로 투시부재(21)는 보호커버(10)와 평면을 이루도록 일체로 구성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투시화면부(22)로 이루어지고, 이 투시화면부(22)의 외곽 가장자리에는 보호커버(10) 내부로 삽입되어 조립되기 위한 고정부(23)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성이다.Preferably, the perspective member 21 comprises a transparent screen portion 22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otective cover 1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protective cover (not show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transparent screen portion 22 10 and a fixing part 23 for being inserted into and assembled with the fixing part 23.

따라서, 상기 고정부(23)가 상기 보호커버(10)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므로서 보호커버(10)와 투시부재(21)는 일체로 조립되어 구성된다.Therefore, since the fixing portion 23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protective cover 10, the protective cover 10 and the transparent member 21 are integrally assembl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투시부(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화면(P)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pective portion 20 may have the same size as the display screen P as shown in FIG. 3A.

이와 같이 투시부(20)가 표시화면(P) 전체 영역에 대해 대응하여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모바일기기(M)의 표시화면(P)에 정상적인 표시 내용 전체가 표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보호커버(10)를 열지 않고서 표시화면(P)을 보면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의 설명에서 후술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erspective portion 20 has a large area corresponding to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screen P, the entire normal display conten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P of the mobile device M, The contents can be checked while viewing the display screen P without opening the cover 1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호커버(10)는 도 2c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바일기기(M)의 배면에 조립되어 있는 기존의 배면커버를 제거한 다음 추가로 장착되는 장착커버(30)가 구비되어 이 장착커버(30)와 연결부재(40)에 의해 연결되므로서 보호커버(10)가 개폐되면서 상기 표시화면(P)을 보호하고 표시화면(P)을 볼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C and 3B, the protective cover 10 may be manufactured by removing an existing rear cover assembl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M, The cover 30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cover 30 by the connecting member 40 so that the protective cover 10 is opened and closed to protect the display screen P, .

즉, 도 2c 및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커버(10)의 개폐작동을 위하여 보호커버(10)의 일측에는 유연한 연질의 합성수지나 고주파 융착 가능한 원단이 겹쳐진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부재(40)가 구비된다.That is, as shown in FIGS. 2C and 3B, a connecting member 40 having a flexible soft synthetic resin or a high-frequency fusible cloth overlapped with one another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rotective cover 10 for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protective cover 10 Respectively.

그리고, 이 연결부재(40)는 장착커버(30)에 다시 연결되어 구성됨으로써 보호커버(10)를 모바일기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열고 닫으면서 사용 가능한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의 보호커버(10)는 투시부(20)가 마련되어 있어 표시화면(P)의 내용을 보호커버(10)를 열지 않고서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기본의 보호커버(10)를 사용할 때 보다 덜 열고 닫을 수 있어 오랜 기간 동안 사용이 가능해지는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The connecting member 40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cover 30 so that it can be used while being opened and closed while the protective cover 10 is mounted on the mobile device. Since the contents of the display screen P can be confirmed without opening the protective cover 10 since the transparent cover 20 is provided, it can be opened and clos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an when the basic protective cover 10 is used. It is possible to exert an excellent effect.

또한, 도 5와 같이 후술된 보호커버(10)는 외측부재(50)와 내측부재(51)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보강부재(60)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1) 내주연부가 고주파 융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5, when the protective cover 10 is made up of the outer member 50 and the inner member 51 and has the reinforcing member 60 provided t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11 And the periphery may be formed by high-frequency fusion bonding.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기 투시부재(21)의 고정부(23)의 내측면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단턱부(24)가 마련되고 이 단턱부(24)에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합부재(52)가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11)의 내주연 외측면에 부착되어 투시부재(21)가 부착되어 조립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23 of the transparent member 21 is stepped so that the step portion 24 is provided, and the step portion 24 is provided with a joining member 52 such as a double-sided tape And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ing 11 so that the transparent member 21 is attached and assembled.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보호커버(10)를 완성한 이후에 개구부(11)에 투시부재(21)를 부착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투시부재(21)를 선택적으로 보호커버(10)의 디자인에 맞게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fter the protective cover 10 is completed, the transparent member 21 made of various materials can be selectively attached to the protective cover 10 by attaching the transparent member 21 to the opening 11 It can be configured.

아울러 투시부(20)를 마감하면서 조립되는 전술한 투시부재(21)들은 바람직하기로 도전성 기능을 가진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투시부재(21)는 사출 성형되어 이루어지거나또는 두께가 얇고 투명도가 양호하며, 강도가 높은 PC 재질의 판재를 기계 가공에 의해 제조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perspective members 21, which are assembled while finishing the perspective portion 2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synthetic resin having a conductive function, and this perspective member 21 may be injec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d construct a plate material of PC material which is thin and has good transparency and high strength by machining.

특히, 도 1b와 같이 투시부재(21)와 고정부(23)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보호커버(10)를 후술된 바와 같이 고주파 가능한 원단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원단 사이에 별도의 보강부재(60)를 구비하지 않고 투시화면부(22)로부터 고정부(23)가 판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보강부재(60)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B, the perspective member 21 and the fixing portion 23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e case where the protective cover 10 is formed of a high-frequency-capable raw fabric as described later, The fixing portion 23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late extending from the perspective view portion 22 instead of the reinforcing member 60 so as to replace the role of the reinforcing member 60.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강부재(60)가 필요 없기 때문에 고정부(23)에 고주파 융착이 가능한 원단 형태의 외측부재(50)와 내측부재(51)를 접합부재(52)를 이용하여 고정부(23) 양면에 직접 접합시켜 일체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 및 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reinforcing member 60 is not necessary, the outer member 50 and the inner member 51 in the form of a raw material capable of high frequency fusion bonding to the fixing portion 23 are fixed to the fixing portion 23 ) Can be directly bonded to both surfaces of the substrate,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cost can be reduced.

그리고, 상기 투시부재(21)는 강화유리 또는 하프미러(half mirror)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강화유리는 PC 재질 보다 그 투명도가 양호하며, 보호커버(10)에 적용할 경우 고품질의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The transparent member 21 may be made of a tempered glass or a half mirror. The tempered glass has better transparency than the PC material and provides a high-quality feel when applied to the protective cover 10 .

또한, 투시부재(21)를 하프미러로 적용하는 경우 표시화면(P)에 빛이 발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거울의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거울을 휴대하고 다니지 않더라도 거울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발휘하게 되며, 모바일기기가 작동시에는 표시화면(P)에 빛이 발광 되면서 표시화면(P)에 주요 정보가 하프미러를 통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viewing member 21 is applied as a half mirror, a mirror function is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no light is emitted on the display screen P, so that even if the user does not carry a separate mirror, When the mobile device is operating, light is emitted on the display screen P and main information can be conveniently checked on the display screen P through the half mirror.

아울러 PC 재질 또는 강화유리 및 하프미러에는 도전성 기능을 가지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보호커버(10)를 닫은 상태에서도 표시화면(P)을 터치하면서 일부 기능을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는 보호커버(1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화면(P)의 내용을 확인하고 터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PC material, tempered glass and half mirror have a conductive function, some functions can be operated while touching the display screen P even when the protective cover 10 is close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ontent of the display screen P and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operating the touch func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호커버(10)에 구비되는 투시부재(2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화면(P)에 나타나는 주요정보(F) 또는 표시 내용의 위치 및 그 외곽 크기에 따라 대응되는 크기로 보호커버(10) 전면상에 적절히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pective member 21 provided in the protective cover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main information F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P, And may be appropriately arrang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10 in a corresponding size according to the size.

즉, 표시화면(P)에 표시되는 주요정보(F)는 모바일기기에 따라 가로 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That is, the main information F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P is generally display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depending on the mobile devic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투시부재(21)는 그 하나의 형태로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10)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 다른 형태로서 상기 투시부재(21)는 도 2a 및 도 6과 같이 상기 보호커버(10)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perspective member 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s one type thereof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rotective cover 10 as shown in FIG. 1A, As shown in FIGS. 2A and 6, the protective cover 10 may b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투시부재(21)는 상기 보호커버(10)에 가로 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면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ewing member 21 may be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or a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protective cover 10 while being biased to one side as shown in FIG. 2A .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투시부재(21)는 모바일기기의 표시화면(P)에 표시되는 주요정보(F)의 배열되는 형태에 대응하여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배치 형태를 갖는 디자인은 물론 보호커버(10)의 한쪽 가장자리 단부에 치우치는 형태의 디자인에도 대응하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viewing member 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ign having the arrang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main information F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P of the mobile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a design of a shape that is biased to one edge of the edge portion of the base 10.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모바일제조사 마다 다른 형태의 표시화면(P)의 주요정보(F)의 배열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보호커버(10)를 선택적으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배치 형태를 갖는 보호커버(10)의 투시부재(21)가 적용된본 발명은 사용자 중심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Accordingly, users can selectively use the protective cov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of the main information F of the display screen P of different form for each mobile manufacturer,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ighting member 21 of the protective cover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applied provides user-friendly convenience.

한편, 전술한 상기 고정부(2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2c와 같이 상기 투시부재(21)를 제외한 보호커버(10) 전면에 걸쳐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3)의 양측면에는 외측부재(50)와 내측부재(51)가 접합부재(52)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23 may exten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10 except for the transparent member 21 as shown in FIG. 2C, The outer member 50 and the inner member 51 can be integrally attached to the both side surfaces by the joining member 52.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23)와 상기 외측부재(50) 및 내측부재(51) 사이에는 보강부재(6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inforcing member 60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xing portion 23 and the outer member 50 and the inner member 51.

이러한 구성은 보호커버(10)가 고주파 또는 초음파 융착이 가능한 원단으로 이루어진 경우 또는 융착이 되지 않는 원단인 경우 원단 내측면에 고주파에 반응하는 열가소성 접착필름 또는 접착층을 형성하여 고주파에 반응하지 않는 원단들로 구성된 보호커버(10)를 구성하는 경우를 위한 구성이다.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protective cover 10 is made of a raw material capable of high-frequency or ultrasonic welding, or in the case of a non-fusion-bonded raw material, a thermoplastic adhesive film or an adhesive layer which reacts with high- The protective cover 10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protective covers 10a, 10b, and 10c.

즉, 도 2c 또는 도 3b와 같이 투시부재(21)가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보호커버(10)의 외측 가장자리 또는 중앙에 배치되고, 그 나머지 부분이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고정부(23)를 구성함으로써 외측부재(50)와 내측부재(51)가 상기한 원단으로 이루어진 경우 원단 사이에 별도의 보강부재(60) 등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에서 고정부(23)가 원단 사이에 배치되면서 접합부재(52)에 의해 외측부재(50)와 내측부재(51)와 함께 일체로 접착되어 보호커버(10)를 구성한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2C or FIG. 3B, the perspective member 21 is disposed at the outer edge or the center of the protective cover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integrally extended, When the outer member 50 and the inner member 51 are made of the above-described raw material, the fixing portion 23 is not provided between the raw ends and a separate reinforcing member 60 is not provided between the raw ends, And the outer member 50 and the inner member 51 are integrally adhered together by the cover member 52 to constitute the protective cover 10. [

이와 같이 보강부재(60)가 일체로 구성된 투시부재(21)는 별도의 보강부재(60)가 필요 없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고 제조 비용 및 단가가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perspective member 21 having the reinforcing member 60 integrally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does not need a separate reinforcing member 60,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unit cost are reduc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10)는 상기 표시화면(P)의 외곽을 따라 테두리부(12)가 형성되게 구성되고, 상기 투시부재(21)는 상기 표시화면(P)과 대응되는 크기로서 상기 테두리부(12) 영역 내에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A, the protective cover 10 is configured such that a rim 12 is formed along an outer periphery of the display screen P, 21 are formed in the frame 12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screen P and are exposed to the outside.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투시부(20)가 주요정보(F)를 표시하기 위해 보호커버(10)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구성이라면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화면(P) 전체 면적과 동일한 크기로 투시부(20)가 형성되는 것이며, 그에 따라 투시부재(21)를 보호커버(10)와 조립하기 위해 테두리부(12)가 형성된 구성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f the perspective portion 20 is formed on a part of the protective cover 10 to display the main information F,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ze of the perspective portion 20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0, and thus the frame member 12 is formed in order to assemble the transparent member 21 with the protective cover 10.

따라서, 투시부재(21)의 고정부(23)는 네 면 가장자리 모두에 형성되며, 이 고정부(23)는 상기 테두리부(12)에 삽입되어 조립된다.Therefore, the fixing portion 23 of the transparent member 21 is formed on all four side edges, and the fixing portion 23 is inserted into the frame portion 12 and assembled.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투시부재(21)가 표시화면(P) 전체 내용을 보호커버(10)를 열지 않고서 확인할 수 있어 모바일기기의 버튼을 눌러 외부에서 표시화면(P)을 터치 조작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sighting member 21 can confirm the entire contents of the display screen P without opening the protective cover 10, so that it can be used while touching the display screen P from the outside by pressing the button of the mobile device .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호커버(10)를 자주 열지 않고서도 모바일기기를 표시화면(P)을 보호하면서 사용하게 됨에 따라 표시화면(P)에 충격이나 흠집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고가의 보호필름 등을 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호커버(10)만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since the user uses the mobile device while protecting the display screen P without frequent opening of the protective cover 10, no shock or scratch is generated on the display screen P, and an expensive protective film or the like is attached The protective cover 10 can be used by attaching only the protective cover 10 without using the protective cover 10.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호커버(10) 전면에는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M)의 전면에 배치된 기능부품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능홀(1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unctional hole 13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functional component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mobile device M.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10)에는 상기한 기능홀(13)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다.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ective cov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function hole 13 described above.

이러한 상기 기능홀(13)은 통화스피커홀(14), 전면카메라홀(15), 사용자인식홀(16), 조광센서홀(17) 중에서 선택적인 조합으로 이루어진다.The function hole 13 is formed by a combination of a speaker speaker hole 14, a front camera hole 15, a user recognition hole 16, and a dimmer sensor hole 17.

아울러 상기 보호커버(10) 일측에는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M)의 기능버튼부 또는 터치버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누름버튼표시부(18)가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a push button display unit 18 is further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button portion or the touch button portion of the portable mobile device M at one side of the protective cover 10.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호커버(10)를 닫은 상태에서 모바일기기 전면의 상,하단부에 배치된 기능홀(13) 예를 들어 통화스피커, 전면카메라, 사용자인식센서,조광센서의 기능이 상기 기능홀(13) 들을 통해 각각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특히, 누름버튼표시부(18)는 보호커버(10)를 닫은 상태에서도 모바일기기 하단에 마련되는 누름버튼을 조작할 때 그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functions of the function holes 13, for example, the call speaker, the front face camera, the user recognition sensor, and the light control sensor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ront face of the mobile device in the closed state of the protective cover 10, In particular, the pushbutton display unit 18 can easily position the pushbutton when operating the pushbutton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mobile device even when the protective cover 10 is closed. And so on.

이는 모바일기기 제조사마다 기능 부품들의 배치된 형태와 상기한 기능외에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갖는 부품들이 추가되거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보호커버(10)를 제작하기 위한 구성이다.
This is a structure for fabricating the protective cover 10 in preparation for the arrangement of the functional parts and the case where the parts having the additional functions other than the above functions are added or absent for each manufacturer of the mobile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투시부재(21)는 상기 보호커버(10)에 매입되게 조립되되, 그 저면부가 상기 표시화면(P)에 접촉되지 않도록 미세 간격(D)을 유지하여 매입되게 조립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ewing member 21 is assembled so as to be embedded in the protective cover 10, and the fine interval D is maintained so that the bottom portion thereof does not contact the display screen P. And assembled to be embedded.

즉, 전술한 보호커버(10)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기존에 보호커버(10) 없이 모바일기기를 사용할 때 보호필름을 부착하여 사용하지 않아도 표시화면(P)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protective cover 10 is mounted and used, the display screen P can be sufficiently protected without using a protection film when the mobile device is used without the protective cover 10.

하지만 투시부재(21)의 재질이 투명의 합성수지 또는 강화유리 또는 하프미러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투시부재(21)의 경도가 표시화면(P)과 유사한 경도를 가지게 되므로서 보호커버(10)를 열고 닫을 때 투시부재(21)와 표시화면(P)이 부딪히면서 흡집이나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However, when the material of the transparent member 21 is made of transparent synthetic resin, tempered glass or half mirror and the hardness of the transparent member 21 has hardness similar to that of the display screen P, the protective cover 10 is opened and closed The screening member 21 and the display screen P may collide with each other and sucking or impacting may be appli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부개를 보호커버(10)에 장착하여 조립할 때 투시부재(21)의 저면부가 표시화면(P)에 접촉되지 않도록 미세간격(D)을 두고 조립되도록 구성한 것이다.7,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arent member 21 is attached to the protective cover 10 so as to prev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arent member 21 from contacting the display screen P, (D).

따라서, 일반적으로 보호커버(10) 안쪽면에는 벨벳이나 스웨이드와 같이 부드러운 촉감을 갖는 원단이 부착되는데, 투시부재(21)의 저면이 표시화면(P)과 견격을 유지하고 있어 보호커버(10)를 열고 닫을 때 접촉되지 않고 대신 보호커버(10)의 내측에 부착되는 내측부재(51) 즉, 부드러운 원단이 표시화면(P)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표시화면(P)에 충격이나 흠집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arent member 21 maintains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screen P so that the protective cover 10 can be secure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10, The inner member 51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protective cover 10, that is, the soft fabric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isplay screen P so that no shock or scratches are generated on the display screen P I will not.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투시부(20)를 갖는 보호커버(10)를 모바일기기에 장착할 때 그 장착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otective cover 10 having the perspective portion 20 is mounted on a mobile device,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protective cover 10 is mounted or not.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커버(10)는 상기 모바일기기(M)의 배면에 조립되어 있는 기존의 배면커버를 제거한 다음 추가로 장착되는 장착커버(30)가 구비되어 이 장착커버(30)와 연결부재(40)에 의해 연결되므로서 상기 표시화면(P)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8, the protective cov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cover 30 to be mounted after removing the conventional back cover assembled to the back of the mobile device M, So that the display screen P can be protec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mounting cover 30 by the connecting member 40. [

따라서, 장착커버(30)를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M) 배면에 조립하면 이를 모바일기기가 감지할 수 있도록 기존의 배면커버를 분리한 후 모바일기기 배면 일측에장착감지부(70)를 구성한 것이다.Therefore, when the mounting cover 30 is assemb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mobile device M, the mounting detection portion 7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after the conventional back cover is detached so that the mobile device can detect it.

그리고, 장착커버(30)의 내측면에는 상기 장착감지부(70)가 장착커버(30)의 장착유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장착인식부(80)가 구비된 것이다.A mounting recognition unit 80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cover 30 so that the mounting sensing unit 70 can recognize whether the mounting cover 30 is mounted.

이러한 장착인식부(80)는 상기 장착감지부(70)와 기구적으로 접속되는 접촉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장착인식부(80)와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비접촉식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recognition unit 80 may b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mounting sensing unit 70 in a mechanically connected manner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ounting recognition unit 80 in a non- .

접촉식의 구성의 경우는 여러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겠지만 예를들어 상기 장착감지부(70)가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텍트스위치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인식부(80)는 장착커버(30) 내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누름 돌기 형태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기존의 배면커버에는 누름돌기가 없도록 구성된다.For example, the mounting sensing portion 70 may be formed of a micro switch or a tactile switch, and the mounting recognition portion 8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cover 30 And 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back cover is structured so that there is no pushing projection.

아울러, 비접촉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상기 장착감지부(70)가 포토센서 또는 마그네틱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인식부(80)는 포토센서의 빛을 차단 또는 개방시키는 차단편 또는 마그네틱 센서와 연동하는 금속 재질의 자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non-contact type, for example, the mounting sensing unit 70 may be a photo sensor or a magnetic sensor, and the mounting recognition unit 80 may include a cut- Or a magnetic material of a metal material interlocking with the magnetic sensor.

따라서, 장착커버(30)를 모바일기기의 배면 커버를 분리한 후 장착커버(30)를 장착하면 누름돌기 또는 차단편 또는 금속의 자성체가 스위치 또는 포토센서 또는 마스네틱센서를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모바일기기는 보호커버(10)가 구비된 장착커버(30)의 장착 유무를 인식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mounting cover 30 is attached to the mounting cover 30 after the rear cover of the mobile device is detached, the pressing protrusion or the magnetic member of the blocking piece or the metal actuates the switch, the photosensor or the massage sens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ounting cover 30 equipped with the protective cover 10 is recognized.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상기 장착커버(30)가 장착시에는 휴대용 모바일기기(M)의 표시화면(P)에 나타나는 주요정보(F)가 상기 보호커버(10)의 투시부재(21) 영역에만 표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in information F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P of the portable mobile device M is displayed only in the region of the sighting member 21 of the protective cover 10 when the mounting cover 30 is mounted .

즉, 상기 보호커버(10)의 투시부재(21)의 화면 영역에 해당되는 만큼의 주요정보(F)를 표시화면(P)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투시부재(21)의 크기가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커버(10)의 전면의 일부 또는 전면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투시부재(21)에 대응하여 주요 내용만을 표시하거나 표시화면(P) 전체 내용을 표시하게 된다.That is, the main information F corresponding to the screen area of the transparent member 21 of the protective cover 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P. At this time, Only the main content or only the entire content of the display screen P is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member 21 having the same area as a part or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10 as shown in FIG.

따라서, 사용자는 투시부재(21)를 통해 표시화면(P) 주요정보(F)를 확인하면서 보호커버(1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투시부재(21)의 표면을 터치 조작하면서 모바일기기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The user can touch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member 21 from the outside while touching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cover 21 while checking the main information F of the display screen P through the transparent member 21, It is convenient to operat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호커버(10)의 장착 유무를 감지하는 구성과 함께 보호커버(10)의 열고 닫힌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 유,무 감지수단(110)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structure for sensing whether the protection cover 10 is mounted or not, and an opening / closing sensing unit 110 for sensing the opened / closed state of the protection cover 10 .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10) 내부에는 상기 표시화면(P)에 대해 개폐 유,무를 판별하는 감지수단(110)이 내장되어 구성된다.9 and 10, the protective cover 10 includes a detection means 110 for detecting whether the display screen P is open or closed.

이를 위해 상기 모바일기기의 배면에는 회로접속부(130)가 마련되는데, 상기 감지수단(110)은 상기 회로접속부(130)와 회로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To this end, a circuit connection unit 130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sensing unit 11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ircuit connection unit 130 in a circuit manner.

상기 장착커버(30)의 내부에는 접속단자부(120)가 내장되어 이 접속단자부(120)가 상기 회로접속부(1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개폐 유,무 상태의 신호를 송,수신하면서 상기 모바일기기(M) 내부의 제어회로부와 상호 연동하여 보호커버(10)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화면(P)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이다.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20 is built in the mounting cover 30 so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20 transmits and receives an open / closed signal to / from the circuit connection portion 13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he display screen P is interlocked with the control circuit unit in the main body M to turn the display screen P on or off according to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protective cover 10. [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보호커버(10) 장착유,무를 판단하는 장착감지부(70)와 상기 감지센서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mounting sensor 7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rotective cover 10 is mounted may be connected to the detection sensor.

즉, 보호커버(10)를 기존의 모바일기기의 배면커버를 분리한 후 장착커버(30)를 장착하면 장착인식부(80) 및 장착감지부(70)에 의해 모바일기기는 보호커버(10)를 가진 장착커버(30)가 장착되었음을 인지한다.That is, when the cover 30 is mounted on the protective cover 10 after the rear cover of the mobile device is detached, the mobile device is protected by the mounting recognition unit 80 and the mounting detection unit 70, That the mounting cover 30 is mounted.

아울러 보호커버(10)의 종류에 따라 모바일기기는 투시부재(21)의 크기에 따라 투시부재(21)가 국부적 크기로 이루어진 것인지 아니면 표시화면(P) 전체크기와 동일 크기로 이루어진 것인지 함께 인지할 수 있도록 모바일기기의 내부 프로그램에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rotective cover 10, the mobile device may recognize whether the viewing member 21 has a local size or the same size as the entire display screen P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viewing member 21 To be controlled by an internal program of the mobile device.

따라서, 모바일기기는 표시화면(P)에 주요정보(F)를 투시부재(21)의 크기에 맞게 표시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외부에서 투시부재(21)의 표면에 직접 터치하면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mobile device displays the main information F on the display screen P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transparent member 21, the user can operate the device while touching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member 21 directly from the outside.

그리고, 모바일기기에 보호커버(10)가 닫힌 상태에서는 보호커버(10) 내부에 마련된 이를 감지수단(110)이 이를 감지하여 접속단자부(120)와 회로접속부(130)를 통해 모바일기기로 보호커버(10)가 닫혀 있음을 인식하게 한다.In the state where the protective cover 10 is closed to the mobile device, the sensing means 110 provided inside the protective cover 10 senses the sensed by the sensing means 110 and the protection cover 10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20 and the circuit connection portion 130. [ (10) is closed.

이 상태에서 모바일기기에 문자나 부재중통화가 수신하게 되면 모바일기기는 보호커버(10)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에 따라 열려있을 때에는 표시화면(P)에 정상적인 내용을 표시하게 되고, 닫힌 상태를 인식한 상태에서는 투시부재(21) 영역에만 주요정보(F)를 표시하도록 한다.In this state, when a character or a missed call is received in the mobile device, the mobile device displays normal contents on the display screen P when the protective cover 10 is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opened or closed state of the protective cover 10, The main information F is displayed only in the region of the transparent member 21.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10)는 모바일기기와 연동하여 보호커버(10)의 장착유,무를 장착커버(30)를 통해 모바일기기가 이를 인식하게 함은 물론 그 이후에는 보호커버(10)의 열림과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맞게 표시화면(P)에 투시부재(21)의 형태에 맞게 주요정보(F)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otective cov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rlocks with the mobile device to allow the mobile device to recognize the mounting of the protective cover 10 through the mounting cover 30, And the main information F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P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viewing member 21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ed opening and closing states.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커버(10)는 모바일기기의 표시화면(P)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단순히 표시화면(P)을 보호하는 역할만 하던 기존의 보호커버(10)와는 달리 닫힌 상태에서도 모든 기능을 조작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protective cover 10 which merely protects the display screen P while performing the function of safely protecting the display screen P of the mobile device, the protective cov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closed state So as to exert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be used while operating all the funct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감지수단(110)은 마그네틱센서 또는 조도센서 또는 포토센서 또는 근접센서 또는 자기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means 110 may be a magnetic sensor or an illuminance sensor or a photosensor or a proximity sensor or a magnetic sensor.

즉, 보호커버(10) 내부에 장착되는 감지수단(110)을 포토센서 또는 조도센서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표시화면(P)의 빛을 감지하여 개,폐상태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근접센서의 경우에는 표시화면(P)과 보호커버(10)의 거리를 감지하여 보호커버(1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photosensor or the illuminance sensor is applied to the sensing means 110 mounted inside the protective cover 10, it is possible to sense the light of the display screen P to detect the open / close stat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protective cover 10 by sen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screen P and the protective cover 10.

그리고, 마그네틱센서 또는 자기센서의 경우에는 모바일기기의 표시화면(P) 주변으로 마그네틱센서와 연동하는 자성체 등을 설치하여 보호커버(10)와 연동하여 보호커버(10)의 개,폐 유무를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magnetic sensor or a magnetic sensor, a magnetic body or the like interlocking with the magnetic sensor is installed around the display screen P of the mobile device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protective cover 10 is opened or closed by interlocking with the protective cover 10 .

이와 같이 보호커버(10)에 장착되는 감지수단(110)은 그 센서 종류와 방식에 따라 보호커버(10) 자체가 기존의 모바일기기의 사양을 변경시키지 않고 적용할 수 있으며, 모바일기기 제조사에서 직접 보호커버(10)를 호환성 있게 제조하는 경우에는 보호커버(10)와 모바일기기가 상호 연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way, the sensing means 110 mounted on the protective cover 10 can be applied to the protective cover 10 itself without chang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existing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type and the manner of the senso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otective cover 10 and the mobile device can be interlocked when the protective cover 10 is manufactured in a compatible manner.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감지수단(110)을 보호커버(10) 내부에 실장하기 위한 구성을 함께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for mounting the sensing means 110 inside the protective cover 10 is also provided.

이를 위해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10)는 외측부재(50)와 내측부재(51)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시부재(21)는 투시화면부(22)와 이 투시화면부(22)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고정부(23)로 이루어진 구성이다.4A and 4B, the protective cover 10 includes an outer member 50 and an inner member 51. The transparent member 21 includes a transparent screen unit 22 and a transparent screen unit And a fixing part 23 formed on the edge of the base part 22.

그리고,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외측부재(50)와 내측부재(51) 사이에 고정되어 일체로 조립되어 구성된다.The fixing portion 23 is fixed between the outer member 50 and the inner member 51 and is assembled integrally.

상기 외측부재(50)와 내측부재(51)는 고주파 또는 초음파 융착이 가능한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그 사이에는 보호커버(10)가 판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합성수지재질의 보강부재(6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When the outer member 50 and the inner member 51 ar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high frequency or ultrasonic welding, a reinforcing member 60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 forming the protective cover 10 in a plate shape is further provided .

그리고,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보강부재(6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함께 고정되도록 구성된다.The fixing portion 23 is configured to be fixed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member 60 inserted therein.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재(6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1보강판(61) 및 제2보강판(6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member 60 may be composed of a first reinforcing plate 61 and a second reinforcing plate 62 made of synthetic resin.

상기 제1보강판(61)과 제2보강판(62)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23)가 수용될 수 있는 안착부(63)가 마련되어 이 안착부(63)에 상기 고정부(23)가 수용되면서 접합부재(52)에 의해 접착되게 조립된다.A seating part 63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plate 61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62 to receive the fixing part 23, And is assembled to be adhered by the joining member 52 while the fixing portion 23 is accommodated.

그리고, 상기 안착부(63) 내측으로는 상기 개구부(11)와 통하도록 형성된 투시창(64)을 통해 상기 투시화면부(2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투시부재(21)를 갖는 보호커버(10)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The viewing screen unit 22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iewing window 64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11 in the seating part 63 so that the protective cover with the viewing member 21 10).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보강판(61)과 제2보강판(62), 상기 안착부(63)와 고정부(23)는 각각 접합부재(52)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inforcing plate 61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62, the seating portion 63 and the fixing portion 23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joining member 52, Respectively.

이는 보강부재(60)와 투시부재(21)가 일체형의 판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며, 아울러 상기 외측부재(50)와 내측부재(51)는 상기 제1보강판(61)과 제2보강판(62)의 각 외측면에 상기 접합부재(52)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어 보호커버(10)를 완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member 50 and the inner member 51 are configured to allow the first reinforcing plate 61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51 to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ective cover 10 is integrally attached to each outer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62 by the joining member 52 to complete the protective cover 10.

상기 외측부재(50)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므로 충격이나 흡집에 강하며, 다양한 색상과 여러 가지 형태의 장식무늬를 갖는 융착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내측부재(51)는 표시화면(P)에 접촉되는 것이므로 벨벳이나 스웨이드와 같이 표시화면(P)과 접촉되었을 때 표시화면(P)에 흡집을 주지 않는 부드러운 원단으로 이루어진다.Since the outer member 50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resistant to impact or sucking, and is made of a fused fabric having various colors and decorative patterns of various shapes. The inner member 51 is in contact with the display screen P So that it is made of a soft fabric that does not attract the display screen P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isplay screen P, such as velvet or sued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감지수단(110)이 보호커버(10)에 장착되는 경우 감지수단(110)과 장착커버(30)와 연결부재(40)를 통해 회로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FPCB(1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nsing means 110 is mounted on the protective cover 10, the sensing means 110, the mounting cover 30,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FPCB 100 for connection.

이를 위해 상기 안착부(63) 일측에는 FPCB(100)가 수용되는 수용홈(65)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To this end, a receiving groove 65 for receiving the FPCB 100 is further formed at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63.

상기 수용홈(65)은 FPCB(100)의 연결되는 경로를 따라 형성되며, 그 깊이와 폭은 FPCB(100)의 두께와 폭에 맞게 형성되며, 제1보강판(61)와 제2보강판(62) 사이에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수용홈(65)에는 양면 접착테이프와 같은 접합부재(52)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receiving grooves 65 are formed along the connecting path of the FPCB 100 and the depth and the width of the receiving grooves 65 are formed to match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FPCB 100.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plates 61, A bonding member 52 such a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may be provided in the receiving groove 65 for convenience of assembly.

그리고, 상기 FPCB(100) 일단에는 상기 보강부재(60) 내부에 수용되어 보호커버(10) 개,폐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전술한 바와 같은 감지수단(110)이 구비되어 이 감지수단(110)이 보호커버(10)의 내부에 장착되기 위하여 제1보강판(61) 및 제2보강판(62) 사이에 별도의 감지수단(110)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여기에 조립되므로 이에 따라 FPCB(100) 수용홈(65)은 상기 감지수단(11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The sensing means 110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PCB 100 to sens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otective cover 10 housed in the reinforcing member 60, A separate sensing space 11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plate 61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62 so as to be mounted inside the protective cover 10 so that the FPCB 100 The receiving groove 65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sensing means 110.

또한, FPCB(100) 중간부는 보호커버(10)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재(40) 내부에 인입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iddle portion of the FPCB 10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member 4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rotective cover 10.

상기 FPCB(100) 타단은 상기 연결부재(40)와 연결되어 모바일기기의 배면에 조립되는 장착커버(30) 내측에 구비되는 접속단자부(120)와 연결되는데, 이 접속단자부(120)가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M) 배면에 마련된 회로접속부(130)와 접속되므로서 보호커버(10)의 개폐 유,무에 따라 상기 표시화면(P)을 온/오프하게 되는 것이다.The other end of the FPCB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20 provided inside the mounting cover 3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40 and assemb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The display screen P is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protective cover 10 since the circuit connection part 130 provided on the back of the mobile device M is connected.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상기 감지수단(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틱센서 또는 조도센서 또는 포토센서 또는 근접센서 또는 자기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각각의 센서에 대응하여 보호커버(10)와 장착커버(30)의 작동에 대응하여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주요내용은 투시부재(21)를 통해 확인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ensing means 110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magnetic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 photosensor, a proximity sensor, or a magnetic sensor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otective cover 10 and the mounting co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main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30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viewing member 21. [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배면 뚜껑을 뜯어내고 모바일기기와 연결될 필요 없이 보호커버의 개폐만으로 모바일기기와 연동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배면 뚜껑을 제거하고(뜯어내고) 연결하는 것은 모바일기기와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의 외관상 일체감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지만, 부착의 번거로움이 있고 전자적 제어수단이 다수 포함될수록 구동상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면 뚜껑을 제거함 없이 모바일기기의 겉면에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를 부착하여 그 개폐를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실시에를 제공한다.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that is interlocked with a mobile device by opening and closing a protective cover without having to uncover the back cover of the portable mobile device and connect to the mobile device. Generally, removing and connecting (disconnecting) the back cover of the portable mobile device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unity of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protective cover for the mobile device, but it is troublesome to attach and the more the electronic control means are included, There is room for a proble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ttach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without removing the back cover to recognize the opening and closing thereof.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모바일기기는 보호커버(10)가 닫힌 상태에서는 보호커버의 투시부(20)와 대응되는 표시화면(P) 일부분에 주요정보(F)를 표시할 수 있도록 보호커버(10)의 개폐를 인식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는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에 부착되어 연동된다.The portabl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protective cover 10 so that the main information F can be displayed on a part of the display screen P corresponding to the perspective portion 20 of the protective cover when the protective cover 10 is closed. And a detection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 protective cover for the mobile device is attached to the portable mobile device and interlocked.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는 상기 모바일기기(M) 작동시 상기 표시화면(P)에 나타나는 주요정보(F)를 상기 보호커버(10)가 닫힌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시부(20)가 구비된 보호커버(10)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커버(10)는 연결부재(40)를 통해 상기 모바일기기(M)의 배면에 부착되는 장착커버(30)와 연결되어 상기 표시화면(P)을 개폐할 수 있다.The protection cover for a mobile device is provided with protection (20) provided with a transparent portion (20) which can confirm important information (F)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P) The protective cover 10 is connected to a mounting cover 30 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bile device M through a connecting member 40 to open and close the display screen P .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에 포함된 상기 감지센서는 마그네틱 센서, 정전 센서, 정압 센서, 전기접촉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채택할 수 있다.
The sensing sensor included in the portable mobile device may employ at least one of a magnetic sensor, an electrostatic sensor, a static pressure sensor, and an electrical contact sensor.

일반적으로는, 상기 감지센터로 마그네틱 센서 또는 전기접촉 센서를 채택하는 것이 간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보호커버(10)는 자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마그네틱 재료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도성 재료를 더 포함하게 될 것이고, 이러한 재료가 포함된 보호커버(10)를 닫는 경우 보호커버에 포함된 마그네틱 재료나 전도성 재료가 감지센서에 감지되어 보호커버의 개폐유무를 모바일기기에 알려주게 될 것이다.
In general, it may be convenient to employ a magnetic sensor or an electric contact sensor as the sensing center. In this case, the protective cover 10 may further include a magnetic material for transmitting a magnetic signal or a conductive material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protective cover 10 containing such a material is closed, The included magnetic or conductive material will be detected by the sensor and inform the mobile device of the opening / closing of the protective cover.

또한 보호커버의 개폐여부를 모바일기기가 인식하게 하는 것에 더하여, 보호커버의 개폐여부에 따라 모바일기기의 표시화면(P)을 온 또는 오프 시킬 수 있는 실시예 또한 가능할 것이다.
Further, in addition to enabling the mobile device to recognize whether the protective cover is open or closed,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display screen P of the mobile device can be turned on or off depending on whether the protective cover is opened or closed.

도 11을 참조하자.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모바일기기는 보호커버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 보호커버가 닫혔다고 인식되는 경우, 통화를 착신하는 경우 착신된 통화 정보를 미리 설정된 표시화면(P)의 일부분에 표시한다. 보호커버가 닫혔다고 인식되는 경우, 알림정보를 착신 한 때에 착신한 알림정보를 미리 설정된 표시화면(P)의 일부분에 표시한다. 이 때 착신 정보나 시간 등의 알림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화면(P)의 일부분은 보호커버에 형성된 투시부와 매칭되어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See FIG. In another embodiment, the mobile device senses whether or not the protective cover is opened or closed.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protective cover is closed, incoming call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part of the display screen P set in advance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protective cover is closed,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when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is displayed on a part of the preset display screen (P). At this time, a part of the display screen P on which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incoming call information and the time is displayed is set so as to be matched with the transparent portion formed on the protective cover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i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otherwis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보호커버 11 : 개구부
12 : 테두리부 13 : 기능홀
14 : 통화스피커홀 15 : 전면카메라홀
16 : 사용자인식홀 17 ; 조광센서홀
18 : 누름버튼표시부
20 : 투시부 21 : 투시부재
22 : 투시화면부 23 : 고정부
24 : 단턱부
30 : 장착커버 40 : 연결부재
50 : 외측부재 51 : 내측부재
52 : 접합부재
60 : 보강부재 61 : 제1보강판
62 : 제2보강판 63 : 안착부
64 : 투시창 65 : 수용홈
70 : 장착감지부 80 : 장착인식부
100 : FPCB 110 : 감지수단
120 : 접속단자부 130 : 회로접속부
M : 모바일기기 P : 표시화면
F : 주요정보 D : 미세간격
10: protective cover 11: opening
12: rim portion 13: function hole
14: Call Speaker Hole 15: Front Camera Hole
16: user recognition hole 17; Dimming sensor hole
18: Push button indicator
20: through portion 21: through member
22: perspective screen section 23:
24:
30: mounting cover 40: connecting member
50: outer member 51: inner member
52:
60: reinforcing member 61: first reinforcing plate
62: second reinforcing plate 63: seat part
64: viewing window 65: receiving groove
70: mounting detection unit 80: mounting recognition unit
100: FPCB 110: sensing means
120: connection terminal part 130: circuit connection part
M: Mobile device P: Display screen
F: Main information D: Micro gap

Claims (31)

휴대용 모바일기기의 표시화면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진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0)에는 상기 모바일기기(M) 작동시 상기 표시화면(P)에 나타나는 주요정보(F)를 상기 보호커버(10)가 닫힌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시부(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
A protective cover configured to protect a display screen of a portable mobile device,
The protective cover 10 is provided with a transparent portion 20 for checking the main information F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P when the mobile device M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cover 10 is closed Wherein the protective cover is made of a met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20)는 상기 모바일기기(M) 구동시 상기 표시화면(P)에 나타나는 주요정보(F)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spective unit (2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region in which major information (F)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P) Protective cover for appli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20)는 상기 모바일기기(M) 구동시 상기 표시화면(P)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The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portion (20) has the same size as the display screen (P) when the mobile device (M) is driv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0)는 상기 모바일기기(M)의 배면에 조립되어 있는 배면커버를 제거하고 추가로 장착되는 장착커버(30)와, 상기 장착커버(30)와 연결된 연결부재(4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표시화면(P)을 보호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tective cover (10) comprises: a mounting cover (30) to which a rear cover assembled on a back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M) (40) so as to protect the display screen (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20)는 보호커버(10)의 전면 중 그 일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이 개구부(11)에는 상기 표시화면(P)을 보호하기 위한 투시부재(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parent portion (20) is formed with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10) And a protective cover for protecting the mobile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재(21)는 개구부(11)에 대응되게 조립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투시화면부(22)와, 이 투시화면부(22)의 외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고정부(23)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보호커버(10) 내부로 삽입 고정되어 일체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transparent member (21) comprises a transparent screen portion (22)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11)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fixing portion 23), and the fixing part (23)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protective cover (10) and assembled as one bod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재(21)는 도전성 기능을 가진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 또는 강화유리 또는 하프미러(half mirror)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표시화면(P)을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viewing member (21) comprises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synthetic resin, a tempered glass or a half mirror having a conductive function and is operable by touching the display screen (P) Features a protective cover for mobile devic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재(21)는 상기 표시화면(P)에 나타나는 주요정보(F) 또는 표시 내용의 위치 및 외곽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6.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viewing member (21)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and an outer size of main information (F)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P)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재(21)는 상기 보호커버(10)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6.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viewing element (21) is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protective cover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재(21)는 상기 보호커버(10)에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6. The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transparent member (21)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protective cover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재(21)는 상기 보호커버(10)에 가로 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되, 한쪽으로 치우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The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transparent member (21) is formed on the protective cover (10) in a lateral direction or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biased to one sid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투시부재(21)를 제외한 보호커버(10) 전면에 걸쳐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3)의 양측면에는 외측부재(50)와 내측부재(51)가 접합부재(52)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xing part (23) extends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10) except for the transparent member (21), an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art (23) 51) are integrally attached by a joining member (5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3)와 상기 외측부재(50) 및 내측부재(51) 사이에는 보강부재(6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13. The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a reinforcing member (6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xing part (23) and the outer member (50) and the inner member (5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0)는 상기 표시화면(P)의 외곽을 따라 테두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투시부재(21)는 상기 표시화면(P)과 대응되는 크기로서 상기 테두리부(12) 영역 내에서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rotective cover (10) has a rim (12) along an outer edge of the display screen (P) Is formed in the region of the rim (12)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0) 전면에는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M)의 전면에 배치된 기능부품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능홀(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unction hole (13) is formed in a front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functional component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mobile device (M)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홀(13)은 통화스피커홀(14), 전면카메라홀(15), 사용자인식홀(16), 조광센서홀(17) 중에서 선택적인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function hole (13) is a combination of a speaker speaker hole (14), a front camera hole (15), a user recognition hole (16), and a dimmer sensor hole Protective cover for mobile devi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0) 일측에는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M)의 기능버튼부 또는 터치버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누름버튼표시부(18)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ush button display unit (18) is further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function button part or a touch button part of the portable mobile device (M) Protection cover f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부재(21)는 상기 보호커버(10)에 매입되게 조립되되, 그 저면부가 상기 표시화면(P)에 접촉되지 않도록 미세 간격(D)을 유지하여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viewing member (21) is embedded in the protective cover (10) while being embedded at a fine interval (D) Protective cover for mobile devic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M) 배면 일측에는 장착감지부(70)가 구비되어 이 장착감지부(70)가 상기 장착커버(30)에 구비되는 장착인식부(80)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접속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10) 장착 유,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커버(30)가 장착시에는 휴대용 모바일기기(M)의 표시화면(P)에 나타나는 주요정보(F)가 상기 보호커버(10)의 투시부재(21) 영역에만 표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mounting sensing part (7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ack of the portable mobile device (M), and the mounting sensing part (70) Or the non-contact type so as to recognize whether the protective cover (10) is mounted or not;
The main information F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P of the portable mobile device M is displayed only in the region of the transparent member 21 of the protective cover 10 when the mounting cover 30 is mounted Protective cover for mobile devic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0) 내부에는 상기 표시화면(P)에 대해 개폐 유,무를 판별하는 감지수단(110)이 내장되고, 상기 감지수단(110)은 상기 모바일기기(M)의 배면에 마련되는 회로접속부(130)와 이와 연결되는 상기 장착커버(30)의 접속단자부(1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개폐 유,무 상태를 송,수신하면서 상기 모바일기기(M) 내부의 제어회로부와 상호 연동하여 보호커버(10)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화면(P)을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
The mobile device (M)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sensing means (110) for discriminating whether the display screen (P) is opened or closed is built in the protective cover (1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20 of the mounting cover 30 connected to the circuit connection portion 13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M, And the display screen (P)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protective cover (10) interlocked with the circuit pa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0)는 외측부재(50)와 내측부재(51)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시부재(21)는 투시화면부(22)와 이 투시화면부(22)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고정부(23)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23)가 상기 외측부재(50)와 내측부재(51) 사이에 고정되어 일체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rotective cover (10) comprises an outer member (50) and an inner member (51) And the fixing part 23 is fixed between the outer member 50 and the inner member 51 so that the fixing part 23 is integrally assembled.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재(50)와 내측부재(51) 사이에는 보강부재(6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23)는 상기 보강부재(60) 내부에 개재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The stator of claim 21, wherein a reinforcing member (6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outer member (50) and the inner member (51) Features a protective cover for mobile devices.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6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1보강판(61) 및 제2보강판(6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강판(61)과 제2보강판(62) 사이에 형성된 안착부(63)에 상기 고정부(23)가 수용되게 조립되고, 상기 안착부(63) 내측으로 상기 개구부(11)와 통하도록 형성된 투시창(64)을 통해 상기 투시화면부(2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60) comprises a first reinforcing plate (61) and a second reinforcing plate (62)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 first reinforcing plate (61) And a display window (64) which is formed inside the seating part (63) and communicates with the opening part (11) so as to be received in the seating part (63) 22 are exposed to the outside.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61)과 제2보강판(62), 상기 안착부(63)와 고정부(23)는 접합부재(52)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외측부재(50)와 내측부재(51)는 상기 제1보강판(61)과 제2보강판(62)의 각 외측면에 상기 접합부재(52)에 의해 일체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3, wherein the first reinforcing plate (61),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62), the seating portion (63) and the fixing portion (23) are integrally attached by a joining member (52) Wherein the member (50) and the inner member (51) are integral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61)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62) by the joining member (52) Protection cover for.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63) 일측에는 FPCB(100)가 수용되는 수용홈(65)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The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claim 24, wherein a receiving groove (65) for receiving the FPCB (100) is further formed at one side of the seating part (63).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FPCB(100) 일단에는 상기 보강부재(60) 내부에 수용되어 보호커버(10) 개,폐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110)이 구비되고, FPCB(100) 중간부는 보호커버(10)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재(40) 내부에 인입되며, 상기 FPCB(100) 타단은 상기 연결부재(40)와 연결되어 모바일기기의 배면에 조립되는 장착커버(30) 내측에 구비되는 접속단자부(120)와 연결되어 이 접속단자부(120)가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M) 배면에 마련된 회로접속부(130)와 접속되어 보호커버(10)의 개폐 유,무에 따라 상기 표시화면(P)을 온/오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The FPCB (100) of claim 25, wherein the FPCB (100) has a sensing unit (110) accommodated in the reinforcing member (60) The other end of the FPCB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40 and inserted inside the connecting member 4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rotective cover 1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20 is connected to the circuit connection portion 130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mobile device M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20 provided in the portable mobile device M, And the screen P is turned on / off. 제 20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110)은 마그네틱센서 또는 조도센서 또는 포토센서 또는 근접센서 또는 자기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The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claim 20 or 26, wherein the sensing means (110) comprises a magnetic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 photosensor or a proximity sensor or a magnetic sensor. 보호커버(10)가 닫힌 상태에서는 보호커버의 투시부(20)와 대응되는 표시화면(P) 일부분에 주요정보(F)를 표시할 수 있도록 보호커버(10)의 개폐를 인식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모바일기기,와 연동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M) 작동시 상기 표시화면(P)에 나타나는 주요정보(F)를 상기 보호커버(10)가 닫힌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시부(20)가 구비된 보호커버(10)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커버(10)는 연결부재(40)를 통해 상기 모바일기기(M)의 배면에 부착되는 장착커버(30)와 연결되어 상기 표시화면(P)을 개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rotective cover 10 so that the main information F can be displayed on a part of the display screen P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portion 20 of the protective cover when the protective cover 10 is closed 1.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which is interlocked with a portable mobile device including a sensor,
And a protective cover 10 provided with a transparent portion 20 capable of checking main information F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P when the mobile device M is operated in a state where the protective cover 10 is closed In addition,
The protective cover 10 is connected to a mounting cover 30 attached to a back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M through a connecting member 40 to open and close the display screen P. [ Protection cover for.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모바일기기에 포함된 상기 감지센서는 마그네틱 센서, 정전 센서, 정압 센서, 전기접촉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채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The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claim 28, wherein the sensing sensor included in the portable mobile device employs at least one of a magnetic sensor, an electrostatic sensor, a static pressure sensor, and an electric contact sensor.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0)는 자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마그네틱 재료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도성 재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29.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as claimed in claim 28, wherein the protective cover (10) further comprises a conductive material for conveying a magnetic material or an electrical signal for transmitting a magnetic signal. 보호커버(10)가 닫힌 상태에서는 보호커버의 투시부(20)와 대응되는 표시화면(P) 일부분에 주요정보(F)를 표시할 수 있도록 보호커버(10)의 개폐를 인식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모바일기기,와 연동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기기(M) 작동시 상기 표시화면(P)에 나타나는 주요정보(F)를 상기 보호커버(10)가 닫힌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시부(20)가 구비된 보호커버(10)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커버(10)는 연결부재(40)를 통해 상기 모바일기기(M)의 배면에 부착되는 장착커버(30)와 연결되어 상기 표시화면(P)을 개폐할 수 있으며,
보호커버(10)의 개폐여부에 따라 모바일기기의 표시화면(P)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보호커버.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protective cover 10 so that the main information F can be displayed on a part of the display screen P corresponding to the transparent portion 20 of the protective cover when the protective cover 10 is closed 1. A protective cover for a mobile device, which is interlocked with a portable mobile device including a sensor,
And a protective cover 10 provided with a transparent portion 20 capable of checking main information F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P when the mobile device M is operated in a state where the protective cover 10 is closed In addition,
The protective cover 10 is connected to a mounting cover 30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M through a connecting member 40 to open and close the display screen P,
And the display screen (P) of the mobile device can be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whether the protective cover (10) is opened or closed.














KR1020130053090A 2012-11-02 2013-05-10 Protective cover for mobile devices KR20140057462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003145.3A EP2728762A2 (en) 2012-11-02 2013-06-20 Protection cover for mobile device
JP2013133453A JP2014093770A (en) 2012-11-02 2013-06-26 Protection cover for mobile device
US13/928,714 US20140128131A1 (en) 2012-11-02 2013-06-27 Protection cover for mobile device
CN201310261352.8A CN103812974A (en) 2012-11-02 2013-06-27 Protection cover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733 2012-11-02
KR20120123733 2012-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462A true KR20140057462A (en) 2014-05-13

Family

ID=5088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090A KR20140057462A (en) 2012-11-02 2013-05-10 Protective cover for mobile device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4093770A (en)
KR (1) KR20140057462A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826A (en) * 2014-05-30 2015-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in electronic device and cover of electronic device
KR101579887B1 (en) * 2014-10-16 2015-12-23 유석근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with a secondary display
KR20160001610A (en) * 2014-06-27 201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thereof
KR20160019333A (en) * 2014-08-11 2016-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A cover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60019758A (en) * 2014-08-12 2016-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htod of conrtolling the same
KR20160028823A (en) * 2014-09-04 2016-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function in electronic device
JP5913697B1 (en) * 2014-11-21 2016-04-27 ホワイトストーン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Whitestone Co., Ltd. Protec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60085665A (en) * 2015-01-08 2016-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7011096A1 (en) * 2015-07-10 2017-01-19 Intel Corporation Balancing mobile device audio
CN109168231A (en) * 2018-08-01 2019-01-0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key brightness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US10470538B2 (en) 2014-06-27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10817027B2 (en) 2018-01-04 2020-10-27 Samsung Disilay Co., Ltd. Window
US10839755B2 (en) 2017-12-11 2020-11-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apable of changing luminance depending on operating frequenc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908B1 (en) * 2013-01-16 2019-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KR20160030732A (en) * 2014-09-11 201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etermining open-close state of protective cov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002932B1 (en) * 2014-09-19 2017-11-0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cover
JP6502680B2 (en) * 2015-01-23 2019-04-17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6502184B2 (en) * 2015-06-11 2019-04-17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Mobile phone cover case
US10003881B2 (en) 2015-09-30 2018-06-19 Apple Inc. Earbuds with capacitive touch sensor
US11503890B2 (en) 2017-01-04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7554B2 (en) * 1996-04-26 2008-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Image display device
JPH10276817A (en) * 1997-04-05 1998-10-20 Koei:Kk Case for portable wireless talking unit
JPH11196164A (en) * 1997-12-25 1999-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rtable terminal case
GB2355141B (en) * 1999-10-08 2004-07-14 Nokia Mobile Phones Ltd A device
GB2355146B (en) * 1999-10-08 2004-01-07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 communications device
JP3696123B2 (en) * 2000-05-23 2005-09-14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Cellular phone, method for driving cellular ph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2002185592A (en) * 2000-12-18 2002-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ase for folding-type portable telephone
JP2007124001A (en) * 2005-10-25 2007-05-17 Kyocera Corp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4932385B2 (en) * 2006-08-25 2012-05-16 京セラ株式会社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5079378B2 (en) * 2007-04-16 2012-11-21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Portable device
JP3143881U (en) * 2008-05-28 2008-08-07 株式会社ユビキタス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Case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O2009147889A1 (en) * 2008-06-05 2009-12-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Portable terminal cover
JP2010108464A (en) * 2008-10-29 2010-05-13 K Soft Enterprise Co Ltd Portable equipment
JP3156242U (en) * 2009-07-06 2009-12-24 千恵子 松下 A cover to prevent the display screen from becoming dirty and maintain visibility on the display screen of mobile phones.
JP5582908B2 (en) * 2010-07-28 2014-09-03 京セラ株式会社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2012182200A (en) * 2011-02-28 2012-09-20 Asahi:Kk Waterproof case for electronic apparatus
JP3177946U (en) * 2012-06-13 2012-08-23 株式会社トレードワークス Waterproof case
JP3177945U (en) * 2012-06-13 2012-08-23 株式会社トレードワークス Waterproof case
JP3178403U (en) * 2012-07-03 2012-09-13 株式会社レイメイ藤井 Mobile terminal case for system notebook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826A (en) * 2014-05-30 2015-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in electronic device and cover of electronic device
US10470538B2 (en) 2014-06-27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160001610A (en) * 2014-06-27 2016-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thereof
KR20160019333A (en) * 2014-08-11 2016-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A cover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60019758A (en) * 2014-08-12 2016-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htod of conrtolling the same
KR20160028823A (en) * 2014-09-04 2016-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function in electronic device
KR101579887B1 (en) * 2014-10-16 2015-12-23 유석근 Protective Cases for mobile devices with a secondary display
JP5913697B1 (en) * 2014-11-21 2016-04-27 ホワイトストーン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Whitestone Co., Ltd. Protec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2016100890A (en) * 2014-11-21 2016-05-30 ホワイトストーン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Whitestone Co., Ltd. Protecto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160085665A (en) * 2015-01-08 2016-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973620B2 (en) 2015-01-08 2018-05-15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735747B2 (en) 2015-07-10 2017-08-15 Intel Corporation Balancing mobile device audio
WO2017011096A1 (en) * 2015-07-10 2017-01-19 Intel Corporation Balancing mobile device audio
US10839755B2 (en) 2017-12-11 2020-11-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apable of changing luminance depending on operating frequency
US10817027B2 (en) 2018-01-04 2020-10-27 Samsung Disilay Co., Ltd. Window
CN109168231A (en) * 2018-08-01 2019-01-0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key brightness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93770A (en) 201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7462A (en) Protective cover for mobile devices
US20140128131A1 (en) Protection cover for mobile device
US9112956B2 (en) Touch screen cover
KR101310757B1 (en) Mobile terminal
EP3399383B1 (en) Mobile terminal
CN106464290B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ccessory apparatus for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accessory apparatus
US10116777B2 (en) Mobile terminal
KR101227847B1 (en) Protect cover for mobile terminal
CN106385473B (en) Casing, fingerprint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8326377B2 (en) Input device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KR20150009070A (en) Cover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246026B1 (en) Protection case of smart phone
KR20160019333A (en) A cover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255559B1 (en) Protection case of smart phone
CA2792806C (en) Touch tracking optical input device
EP2860616B1 (en) Touch screen cover
CN206790535U (en) Terminal
KR100774611B1 (en) Metal front-cover for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467722Y1 (en) Case for portable terminal
EP2523430A1 (en) Electronic apparatus
KR20150030494A (en) Protection case for portable device having input key
KR20090130775A (en) A touch panel apparatus
KR20140115195A (en) Input device for mobile terminal
CN218416445U (en) Smart phone and cell-phone center thereof
KR20090130776A (en) A touch panel and case assembly for electr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