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5858A - 기지국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5858A
KR20140055858A KR1020120123225A KR20120123225A KR20140055858A KR 20140055858 A KR20140055858 A KR 20140055858A KR 1020120123225 A KR1020120123225 A KR 1020120123225A KR 20120123225 A KR20120123225 A KR 20120123225A KR 20140055858 A KR20140055858 A KR 20140055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ounding reference
reference signal
processing unit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민석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123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5858A/ko
Publication of KR20140055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이 위치한 무선 신호 처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 요청을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단말로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을 요청한다.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였는지 판단하고, 사운딩 참조 신호의 탐지 여부에 따라 단말이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의 영역 또는 제2 무선 신호 처리부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신호 처리부 영역에 있음을 확인한다.

Description

기지국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for differentiating radio unit in CCC}
본 발명은 CCC(Cloud Communication Center) 환경에서의 기지국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신 기지국은 크게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Unit, 이하 'DU'라 지칭함)와 무선 신호 처리부(Radio Unit, 이하 'RU'라 지칭함)가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 내에 함께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모든 처리부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셀에 다 설치하여야 하므로, 셀 설계의 최적화에 한계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하나의 기지국에 복수의 안테나를 연결하여, 필요한 방식대로 셀을 형성하여 커버리지 홀(coverage hole)을 줄이는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효율적인 셀 설계는 가능하지만, 시스템의 무선 용량을 극대화 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무선 용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지국의 새로운 구조 및 전송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었고, 이에 따라 제안된 것이 CCC(Cloud Communication Center)이다. CCC는 기존 기지국 시스템과는 달리 기지국의 DU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RU를 분리하여, DU는 전화국에 집중 배치하고 RU는 서비스 지역에 설치하는 무선망 기술이다.
CCC 구조 하에서 RU로서 사용되는 장비로는 2세대 통신(2G)에서 사용하던 중계기를 이용할 수 있다. 매크로 셀 배치(macro cell deployment)와 다양한 스몰 셀 배치(small cell deployment)를 고려하는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상황에서도, 다양한 트래픽 환경과 2세대 통신보다 증가된 통신 커버리지를 얻기 위하여 더 많은 수의 RU들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기존에 사용하던 2G 중계기 외에 추가적인 4세대 통신(LTE: Long Term Evolution)에 적합한 RU로서의 중계기가 도입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LTE 주파수에 적합한 중계기(이하, 'LTE-RU'라 지칭함)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중첩되지만 일부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지 못하는 RU로서의 중계기(예를 들면, 2G 중계기(2G-RU))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단말은 단말이 속한 RU의 정보를 알 수 없다. 그리고 DU는 해당 단말이 속한 RU가 2G 중계기를 사용한 2G-RU인지 LTE 상향링크 주파수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LTE-RU인지를 인지할 수 없게 된다.
만약, DU가 기지국 스케줄링을 통해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고 해당 RU가 2G-RU일 경우에는,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중 특정 주파수 대역에 할당된 자원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는 탐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향링크 채널 및 신호에 대한 전송 손실이 발생한다.
이는 단말이 데이터 재전송을 수행해야 하며, 데이터 재전송의 실패에 따른 상향링크의 상당한 데이터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은 2G 중계기를 사용하는 RU로 상향링크를 통해 신호를 전송할 때, 단말이 위치한 RU가 2G-RU인 경우에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탐지할 수 없다. 따라서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인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전송할 때, 기지국에서 해당 특정 대역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PUSCH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한 호핑(hopping) 및 논-호핑 경우(non-hopping case)에 상관없이 PUSCH의 탐지 실패에 따른 데이터 재전송 및 데이터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PUSCH의 자원을 할당할 때 특정 대역을 피해서 할당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슬롯간 PUSCH 호핑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한쪽 슬롯에 대한 PUSCH가 해당 주파수 대역에 부분적으로나 혹은 전체적으로 겹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RU가 신호를 탐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향링크 채널 및 신호에 대한 전송 손실이 발생하고, 이는 단말에 신호 재전송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신호 재전송의 실패에 따른 상향링크의 데이터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대역 경계(Band edge)에 할당될 수 있는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전송의 경우에는, 한쪽 슬롯의 PUCCH를 모두 탐지 할 수 없다. 따라서 신호대 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 관점에서 3dB의 탐지 손실이 기본적으로로 발생된다. 이는 하향링크에 대한 상항 링크의 HARQ Ack/Nack 채널 및 하향링크의 CQI(Channel Quality Indicator)에 대한 피드백의 신뢰성 확보를 방해하고, 하향링크 데이터 손실 및 성능 감소의 원인이 된다.
또한, 광대역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는 시퀀스를 기반으로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므로, 시퀀스의 일부가 RU를 탐지할 수 없는 주파수 대역에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겹치는 경우 해당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RU는 주파수 독립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없다. 또한 TDD(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는 채널의 상반성(channel reciprocity)을 이용한 하향링크 빔포밍에 해당 사운딩 참조 신호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채널 상태 정보에 의한 하향링크 빔포밍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되어 하향링크 성능에 대한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가 분리된 구조를 갖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부를 확인하는 기지국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단말이 위치한 무선 신호 처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 요청을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단말로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딩 참조 신호의 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의 영역 또는 제2 무선 신호 처리부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신호 처리부 영역에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는 2세대 통신을 위한 2G 중계기를 무선 신호 처리부로 사용하는 2G-무선 신호 처리부이고, 상기 제2 무선 신호 처리부는 4세대 통신을 위한 LTE-무선 신호 처리부(Long Term Evolution RU)일 수 있다.
상기 사운딩 참조 신호는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에서 탐지하지 못하나, 상기 제2 무선 신호 처리부에서 탐지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이 위치한 무선 신호 처리부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의 영역에 위치하여 있으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자원이 상기 단말에 할당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에 대한 주파수 자원의 위치를 지정해 주는 파라미터와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사운딩 참조신호에 주파수 자원 대역폭인 단말 특정 사운딩 참조 신호 대역폭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을 요청한 뒤 미리 설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단말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기지국은 기지국 영역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단말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파라미터 설정부; 상기 파라미터 설정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의 탐지 유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위치한 무선 신호 처리부가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인지 제2 무선 신호 처리부인지를 인지하는 단말 스케줄링부; 및 상기 단말 스케줄링부가 인지한 무선 신호 처리부의 타입에 따라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는 탐지하지 못하나 상기 제2 무선 신호 처리부는 탐지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딩 참조 신호는 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 및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는 상기 기지국의 트리거링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운딩 참조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G-RU와 LTE-RU의 혼재 사용시 자원 할당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RU의 재사용을 보장하여 새로운 LTE-RU 장비의 추가적인 도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 손실에 따른 단말의 데이터 재전송을 줄여,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또 다른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대역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처리부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과 주파수 대역 관계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또 다른 통신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은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를 가지는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이 중첩적으로 배치되는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Het-Net) 형태를 나타낸다. 도 1에서는 두 개의 기지국(100, 200)만을 도시하였으나, 복수개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에서, 제1 기지국(100)의 서비스 대상 지역인 매크로 셀(Macro Cell)(300)과 제2 기지국(200)의 서비스 대상 지역인 스몰 셀(Small Cell)(400)은 셀 영역이 중첩된다. 스몰 셀(400)은 매크로 셀(300) 보다 작은 지역을 커버한다. 이때, 하나의 매크로 셀(300) 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스몰 셀(400-1, 400-2)이 존재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매크로 셀(300) 내에는 분산된 저전력 RRH(Remote Radio Heads)에 의한 피코 셀(Pico Cell), 마이크로 셀(Micro cell), 펨토 셀(Femto Cell)과 같은 스몰 셀(400)이 중첩되어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지국(100)의 서비스 대상 지역인 매크로 셀의 셀 식별자는 '1'이라 가정하고, 제2 기지국(200)의 서비스 대상 지역인 스몰 셀의 셀 식별자는 '2'라 가정한다.
협력형 멀티-포인트(CoMP) 시나리오에 따르면, 셀 경계 지역에 위치한 제1 단말(500)은 제1 기지국(100)뿐만 아니라 인접한 제2 기지국(200)과의 상향링크 채널을 추정하도록 요구받을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500)은 매크로 셀(300)에 위치하나 스몰 셀(400)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지역에 위치한 단말로 정의한다.
이러한 제1 단말(500)은 스몰 셀(400)의 중심에 위치한 제2 단말(600)이 제2 기지국(200) 하고만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과 달리, 현재 접속한 제1 기지국(100)뿐만 아니라 인접 기지국인 제2 기지국(200)과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500)은 셀 식별자를 '1'로 인식함과 동시에, 제2 기지국(200)과의 상향링크 통신을 위해 가상 셀 식별자로 '2'도 함께 인식한다.
제1 단말(500)은 제1 기지국(100) 즉, 서빙 기지국(100)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을 수신한다(①). 이를 위해 제1 단말(100)은 서빙 기지국(100)으로부터 셀 식별자 '1'을 수신한다. 여기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은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단말(500)은 상향링크 관련 채널을 모두 제2 기지국(200) 즉, 인접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②). 여기서, 상향링크 관련 채널은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사운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관련 참조 신호(related RS: related Reference Signal)를 포함하며, 가상 셀 식별자인 '2'를 이용하여 상향링크를 통해 인접 기지국(200)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처럼, 제1 단말(500)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송수신 타겟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자신이 속한 서빙 기지국(100)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한 단말이 상향링크의 채널 품질(quality) 및 지오메트리(geometry)가 더 나은 인접 기지국(200)로의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단말(500)이 제1 기지국(100)으로부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제2 기지국(200)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단말(500)이 제1 기지국(100)으로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제2 단말(600)이 제2 기지국(200)으로 상향링크 신호와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나의 매크로 셀 영역 내에 복수의 스몰 셀(제1 스몰 셀, 제2 스몰 셀이라 지칭함)이 중첩되고, 매크로 셀(300)의 셀 식별자는 '0', 제1 스몰 셀(400-1)의 셀 식별자는 '1', 제2 스몰 셀(400-2)의 셀 식별자는 '2'라 가정한다.
이 경우, 또 다른 협력형 멀티-포인트(CoMP) 시나리오에 따르면, 제1 스몰 셀(400-1)과 제2 스몰 셀(400-2)이 서로 다른 셀 식별자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매크로 셀(300)의 식별자가 0이기 때문에, 단말은 셀 식별자로 0을 인식한다. 이는 제1 스몰 셀(400-1)과 제2 스몰 셀(400-2)의 식별자가 가상 셀 식별자이기 때문이다.
한편, CCC 구조하의 LTE 시스템에서 2G 중계기를 RU로 재활용한다고 가정하고 주파수 대역 관계에 대해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3은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대역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G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일부 중첩됨을 알 수 있다. 즉, 도 3의 (a) 및 (b)는 2G 중계기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LTE 단말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2G 주파수 대역과 LTE 주파수 대역과의 관계에 있어, 도 3의 (a) 및 (b)에 나타낸 주파수 대역의 크기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RU의 주파수 대역의 크기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리고 주파수 대역과의 관계에 있어 서로 겹치는 대역이 발생하고, 특정 RU가 탐지할 수 없는 주파수 대역이 존재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낮은 주파수 대역에 RU가 탐지할 수 없는 자원이 존재할 수도 있고, 높은 주파수 대역에 RU가 탐지할 수 없는 자원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는 서로 다른 중계기가 도입이 되는 상황에서 가능한 시나리오로 고려될 수 있으며, 특정 사업자에 국한된 상황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CC 구조 하에서 LTE 시스템에서 2G 중계기를 재활용하게 될 경우, 2G에서 사용하던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과 LTE에서 사용하는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의 일부가 중첩된다. 그리고, LTE 주파수에 적합한 중계기와 2G 중계기를 혼합하여 재활용하는 경우, 단말은 자신이 속한 RU의 정보를 파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DU는 해당 단말이 속한 RU가 2G 중계기를 재활용한 2G-RU인지 LTE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LTE-RU인지 인지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말은 2G 중계기를 사용하는 RU로 상향링크를 전송할 때, 특정 대역을 탐지할 수 없어 PUSCH 탐지 실패에 따른 데이터 재전송 및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광대역의 SRS 전송시에 해당 SRS를 탐지할 수 없기 때문에, 주파수 의존 스케줄링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G 중계기를 재활용하여 2G-RU와 LTE-RU가 혼재된 CCC 구조하의 LTE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무선 신호 처리부인 RU를 확인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 관계에 대해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G 중계기가 사용하는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과 LTE 단말이 사용하는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은 그 대역의 대부분이 중첩된다. 그러나 LTE 단말이 사용하는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의 일부분은 2G-RU가 탐지할 수 없는 자원이 포함되어 있다.
즉,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에서 전송 가능한 LTE 주파수 대역 중 일부분은 2G 중계기인 2G-RU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중첩되지만, 일부는 2G-RU가 탐지할 수 없는 자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와 같이 2G의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이 전체 20MHz라 가정하고, LTE 단말이 사용하는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이 10MHz라 가정할 때, 10MHz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 중 2G-RU가 탐지할 수 없는 자원이 일부 포함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단말 자신이 어떠한 RU에 속해 있는지를 모르는 상태에서, 기지국 DU로 하여금 단말이 속한 RU가 어떠한 RU 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은 RU로 2G-RU가 탐지할 수 없는 주파수 자원상에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DU는 RU가 수신한 사운딩 참조 신호에 대하여, DU가 사운딩 참조 신호의 탐지를 수행한다. DU가 해당 신호를 탐지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DU는 해당 단말이 2G-RU 영역에 있는지 LTE-RU 영역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구조는 일반적인 기지국이 무선 신호 처리 장치(RU: Radio Unit)(700)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U: Digital Unit)(800)로 분리되어 있다. 일반적인 기지국은 이러한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800) 각각에 대응하는 처리부를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 내에 포함하고,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이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된다.
이에 반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기지국 구조에 따르면,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800)가 물리적으로 분리되고,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만 서비스 대상 지역에 설치된다. 그리고 하나의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800)가 각각의 독립적인 셀을 형성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에 대한 제어 관리 기능을 가진다. 이때,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 및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800)는 광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700)는 기지국의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자원 관리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파트로서, 코어 시스템(미도시)에 연결된다. 그리고 주로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 Internet Data Center) 등과 같은 통신 국사에 집중화되어 설치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800)는 가상화 기술을 통해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LTE 등 다양한 무선 기술을 하나의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800)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적용해 다수의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800)가 하나처럼 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는 기지국의 무선 신호 처리 부문의 전파신호를 증폭해 안테나로 방사하는 파트이다. 즉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80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한다.
여기서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은 도 4의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은 eNB, RU, RRH(Remote Radio Heads)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의 상위 단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800)로 구현된 기지국 제어 장치(미도시)가 연결되어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지국(100) 및 제2 기지국(200)은 단일 기지국 제어 장치(미도시)에 의해 관리되거나, 서로 다른 기지국 제어 장치(미도시)에 의해 각각 관리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100)의 구조에 대해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지국(100)이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 즉 RU를 지칭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무선 신호 처리 장치(700)가 DU에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RU의 종류를 구분한다 함은 기지국 자신의 타입이 2G-RU인지 LTE-RU인지 구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U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기지국은 파라미터 설정부(710), 신호 수신부(720), 단말 스케줄링부(730) 및 자원 할당부(740)를 포함한다. 도 6에서 설명하는 구조는 '무선 신호 처리부 구분 장치'라 지칭하여 RU 즉 기지국에 포함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무선 신호 처리부 구분 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가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즉 DU에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무선 신호 처리부 구분 장치의 전체 구성 요소가 DU에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파라미터 설정부(710)는 기지국 영역 내에 있는 다수의 단말(500)로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이때, 사운딩 참조 신호를 위한 파라미터는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주체인 기지국에서 설정하므로, 파라미터 설정부(710)는 다양한 사운딩 참조 신호를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사운딩 참조 신호를 위한 파라미터로는 사운딩 참조신호의 셀 특정 SRS 대역폭, 전송 콤(transmission comb), 단말 특정 SRS 대역폭, 호핑 관련 구성 파라미터, 주파수 도메인 포지션, 주기성, 어떤 서브 프레임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해야 할지를 지정하는 서브 프레임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파라미터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의 수를 지정하거나 안테나 포트 수를 결정하는 안테나 구성, PUCCH에서 사용하는 시퀀스 그룹 번호 u와 시퀀스 호핑 구조에 따라 정해지는 시퀀스 번호 v에 따라 결정되는 베이스 시퀀스 인덱스, 사운딩 참조신호 생성시 사용되는 레퍼런스인 싸이클릭 쉬프트 인덱스(cyclic shift index) 등을 포함한다. 각각의 파라미터는 이미 알려진 사항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파라마터를 어떻게 설정하는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신호 수신부(720)는 파라미터 설정부(710)의 요청에 의해 단말(5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사운딩 참조 신호는 파라미터 설정에 의해 2G-RU가 탐지할 수 없는 자원인 특정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신호 수신부(720)가 사운딩 참조 신호를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단말 스케줄링부(730)는 단말(500)이 위치한 RU(700)의 형태에 대한 별도의 인지 없이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단말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한다. 즉, 해당 단말(500)이 위치한 곳의 RU가 2G-RU인지 LTE-RU인지에 대한 별도의 파악 없이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때, 2G 네트워크와 LTE 네트워크가 중첩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500)은 2G-RU가 형성한 서비스 영역의 기지국에 위치할 수도 있고, LTE-RU가 형성한 서비스 영역의 기지국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특정 RU들에 대해서는 특정 주파수 대역(이하, '탐지 불가 주파수 대역'이라 지칭함)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탐지할 수 없는 RU들 즉, 2G-RU(또는, 제1 RU라 지칭함)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RU들에 대해서는 탐지 불가 주파수 대역도 모두 인지하거나 모두 탐지할 수 있는 RU 즉, LTE-RU(또는, 제2 RU라 지칭함)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단말 스케줄링부(730)는 단말로부터 탐지 불가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된 사운딩 참조 신호를 RU를 통해 수신한 기지국이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할 때, 사운딩 참조 신호가 탐지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수신한 RU가 2G-RU(또는 제1 RU)인 것으로 인식한다. 이와 반대로, 단말로부터 탐지 불가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된 사운딩 참조 신호를 RU를 통해 수신한 기지국이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할 경우, 단말 스케줄링부(730)는 해당 신호를 수신한 RU가 LTE-RU(또는 제2 RU)라는 것으로 인식한다.
자원 할당부(740)는 단말 스케줄링부(730)의 스케줄링에 따라,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한 단말이 2G-RU 영역에 있는지 LTE-RU 영역에 있는지 인지한다. 그리고 인지한 RU의 타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DU로 사운딩 참조 신호 수신 결과를 전달한다. 그리고 DU로부터 해당 단말에 자원을 할당할 제어 신호와 단말 스케줄링부(730)에서 생성한 단말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 신호 및 스케줄링 정보를 토대로 단말로 자원을 할당한다. 그리고 단말(500)로 데이터 채널 및 신호 전송 요청, 또는 제어 채널 전송 요청 신호를 전달하여, 단말(500)이 데이터 채널, 제어 채널 및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만약 단말이 2G-RU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하면, 자원 할당부(740)는 탐지 불가 주파수 대역의 자원들이 사용되지 않도록 자원을 할당한다. 그러나, 단말이 LTE-RU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하면, 자원 할당부(740)는 주파수 대역의 제한 없이 LTE에서 제공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전체 중 어느 한 곳의 자원을 할당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기지국에서 RU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7은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자원 관리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RU에 위치한 경우의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자원 관리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DU에 위치한 경우의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라미터 설정부(710)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단말이 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하여, 파라미터를 설정한 후 단말(500)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전송을 요청한다(S100, S110). 이때, 단말(500)은 제1 RU 영역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2 RU 영역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S100 단계에서 파라미터 설정 시, 단말(500)이 제2 RU가 탐지하지 못하는 탐지 불가 주파수 대역을 통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한다.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을 요청 받은 단말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탐지 불가 주파수 대역에서 S100 단계에서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사운딩 참조 신호를 RU로 전송한다(S120). 그리고 단말(500)로부터 수신한 사운딩 참조 신호에 대해 RU가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30).
만약 신호 수신부(720)가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지 못하였다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한 단말(500)은 현재 제1 RU 영역 즉, 2G-RU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한다(S140). 즉, RU는 자신이 2G-RU임을 인지한다. 그러나, RU가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였다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한 단말은 현재 제2 RU 영역 즉, LTE-RU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한다(S150). 즉, RU는 자신이 LTE-RU임을 인지한다.
S140 또는 S150 단계에 의해 단말 스케줄링부(730)가 단말이 위치한 영역의 RU 타입을 확인하면, 자원 할당부(740)는 확인한 RU 타입을 포함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 수신 결과를 DU로 전달한다(S160). DU는 S160 단계를 통해 수신한 수신 결과를 토대로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 스케줄링부(730)에 전달하고(S170), 단말 스케줄링부(730)는 미리 설정된 시간 후에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S180).
여기서 단말 스케줄링부(730)가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 시점을 신호 수신부(720)가 사운딩 참조 신호를 수신한 시점이 아닌 S110 단계에서 요청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시간 이후에 스케줄링 하는 것은, RU가 단말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한 전송 주파수 대역을 탐지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리 설정한 시간 이후에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DU는 S160 단계를 통해 수신한 사운딩 참조 신호 수신 결과를 토대로 단말(500)에 자원 할당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 스케줄링부(720)에 전달하면 단말 스케줄링부(720)는 S180 단계의 단말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자원 할당부(740)는 수신한 제어 신호를 토대로 단말에 자원을 할당한다(S190). DU로부터의 자원 할당 제어 신호와 RU에서의 단말 스케줄링 정보 및 자원 할당부(740)에 의한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자원 할당부(740)는 데이터 채널 및 신호, 혹은 제어 채널 전송 요청 신호를 단말(500)에 전달하여 해당 자원 할당 정보에 따른 단말로부터 데이터 채널 및 제어 채널 및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게 한다(S195).
이상에서 설명한 절차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RU가 2G-RU이고 단말이 LTE-단말인 경우, S100 단계에서 파라미터 설정부(710)는 단말 특정 SRS 구성을 설정할 때, 특정 단말이 전송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에 대한 주파수 자원의 위치를 지정해 줄 수 있는 파라미터인 freq.DomainPosition과 특정 단말이 전송하는 사운딩 참조신호에 주파수 자원 대역폭인 단말 특정 SRS 대역폭(UE-specific SRS Bandwidth)을 할당한다. 이들 파라미터는 2G-RU가 탐지하지 못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단말 특정 SRS 구성 파라미터에 포함된다.
그러면 단말은 파라미터 정보를 RRC 정보로 수신하여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에 사용한다. 단말 스케줄링부(730)는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RU가 수신할 때, 해당 신호를 탐지한 것으로 확인하면 해당 단말은 RU의 형태가 LTE-RU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다른 상향링크 채널 및 신호에 대해서는 DU로부터의 스케줄링에 대한 주파수 자원 제한 없이 자원할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RU가 해당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지 못하였다고 확인하면, 단말 스케줄링부(730)는 해당 단말이 2G-RU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지한다. 그리고 다른 상향링크 채널 및 신호에 대해서 DU가 스케줄링을 수행 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자원에 대해서는 스케줄링 제한(scheduling restriction)을 가지고 자원 할당을 수행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이는 주파수 대역의 자원에 대해서는 특정 RU에 대해 스케줄링 제한을 가질 수 있지만, 시간 영역의 자원의 관점에서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 탐지될 수 없는 채널 및 신호들의 자원 할당을 피하도록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주파수 및 시간 자원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서는 RU를 구분하기 위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이용하며 이때의 신호를 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와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로 구분하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이 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와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파라미터 설정부(710)에서 설정한 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의 단말 특성 사운딩 참조 신호 구성 파라미터들 중, freq.DomainPosition과 단말 특성 사운딩 참조 신호 대역폭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단말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할 때, 파라미터를 통해 RU의 타입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에 의해 트리거링되어 단말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단말은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의 단말 특성 사운딩 참조 신호 구성 파라미터들 중, freq.DomainPosition와 단말 특성 사운딩 참조 신호 대역폭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어떤 타입의 RU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를 토대로 RU를 구분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으로부터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도록 지시되는 한번의 트리거링에 의해 한번의 상향링크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사운딩 참조 신호에 대한 자원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자원 관리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RU에 위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다음 도 8을 참조로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자원 관리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가 DU에 위치한 경우 무선 신호 처리부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DU에 위치한 파라미터 설정부(710)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단말이 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하여, 파라미터를 설정한 후 RU를 통해 단말(500)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전송을 요청한다(S200, S210). 이때, 단말(500)은 제1 RU 영역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2 RU 영역 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S200 단계에서 파라미터 설정 시, 단말(500)이 제2 RU가 탐지하지 못하는 탐지 불가 주파수 대역을 통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한다.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을 요청 받은 단말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탐지 불가 주파수 대역에서 S200 단계에서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사운딩 참조 신호를 RU로 전송하고, RU는 수신한 사운딩 참조 신호를 DU로 전달한다(S220). 단말(500)로부터 전송된 사운딩 참조 신호에 대해, DU가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30).
만약 신호 수신부(720)가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지 못하였다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한 단말은 현재 제1 RU 영역 즉, 2G-RU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한다(S240). 즉, DU는 RU가 2G-RU임을 인지한다. 그러나, RU가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였다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한 단말은 현재 제2 RU 영역 즉, LTE-RU 영역에 있는 것으로 확인한다(S250). 즉, DU는 RU가 LTE-RU임을 인지한다.
S240 또는 S250 단계에 의해 단말 스케줄링부(730)가 단말이 위치한 영역의 RU 타입을 확인하면, 단말 스케줄링부(730)는 S210 단계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전송을 요청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후에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S260).
여기서 단말 스케줄링부(730)가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 시점을 신호 수신부(720)가 사운딩 참조 신호를 수신한 시점이 아닌 S210 단계에서 요청한 시점에서 미리 설정한 시간 이후에 스케줄링 하는 것은, RU가 단말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한 전송 주파수 대역을 탐지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미리 설정한 시간 이후에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원 할당부(740)는 단말에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RU로 전달하고(S270, S280), RU는 수신한 자원 할당을 위한 제어 신호를 단말(500)로 전달하여 자원이 할당되도록 한다(S290). 즉, DU로부터의 단말 스케줄링 및 자원 할당 제어 신호에 따라 RU는 데이터 채널 및 신호, 또는 제어 채널 전송 요청 신호를 단말(500)에 전달하여, 해당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단말로부터 데이터 채널 및 제어 채널 및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절차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RU가 2G-RU이고 단말이 LTE-단말인 경우, S200 단계에서 파라미터 설정부(710)는 단말 특정 사운딩 참조 신호 구성을 설정할 때, 특정 단말이 전송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에 대한 주파수 자원의 위치를 지정해 줄 수 있는 파라미터인 freq.DomainPosition과 특정 단말이 전송하는 사운딩 참조신호에 주파수 자원 대역폭인 단말 특정 사운딩 참조 신호 대역폭(UE-specific SRS Bandwidth)을 할당한다. 이들 파라미터는 2G-RU가 탐지하지 못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단말 특정 사운딩 참조 신호 구성 파라미터에 포함된다.
그러면 단말은 파라미터 정보를 RRC 정보로 수신하여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에 사용한다. 단말 스케줄링부(730)는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RU가 수신할 때, 해당 신호를 탐지한 것으로 확인하면 해당 단말은 RU의 형태가 LTE-RU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다른 상향링크 채널 및 신호에 대해서는 DU로부터의 스케줄링에 대한 주파수 자원 제한 없이 자원할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RU가 해당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지 못하였다고 확인하면, 단말 스케줄링부(730)는 해당 단말이 2G-RU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지한다. 그리고 다른 상향링크 채널 및 신호에 대해서 DU가 스케줄링을 수행 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자원에 대해서는 스케줄링 제한(scheduling restriction)을 가지고 자원 할당을 수행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이는 주파수 대역의 자원에 대해서는 특정 RU에 대해 스케줄링 제한을 가질 수 있지만, 시간 영역의 자원의 관점에서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 탐지될 수 없는 채널 및 신호들의 자원 할당을 피하도록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주파수 및 시간 자원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서는 RU를 확인하기 위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이용하며 이때의 신호를 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와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로 구분하지 않았으나, 다음과 같이 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와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파라미터 설정부(710)에서 설정한 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의 단말 특정 사운딩 참조 신호 구성 파라미터들 중, freq.DomainPosition과 단말 특정 사운딩 참조 신호 대역폭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단말이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할 때, 파라미터를 통해 RU의 타입을 구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3)

  1. 단말이 위치한 무선 신호 처리부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 요청을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단말로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탐지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딩 참조 신호의 탐지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이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의 영역 또는 제2 무선 신호 처리부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무선 신호 처리부 영역에 있음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는 2세대 통신을 위한 2G 중계기를 무선 신호 처리부로 사용하는 2G-무선 신호 처리부이고, 상기 제2 무선 신호 처리부는 4세대 통신을 위한 LTE-무선 신호 처리부(Long Term Evolution RU)인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딩 참조 신호는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에서 탐지하지 못하나, 상기 제2 무선 신호 처리부에서 탐지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이 위치한 무선 신호 처리부의 종류에 따라,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의 영역에 위치하여 있으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자원이 상기 단말에 할당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사운딩 참조 신호에 대한 주파수 자원의 위치를 지정해 주는 파라미터와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사운딩 참조신호에 주파수 자원 대역폭인 단말 특정 사운딩 참조 신호 대역폭을 할당하는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을 요청한 뒤 미리 설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단말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 자원 할당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8. 기지국 영역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단말로 사운딩 참조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을 요청하는 파라미터 설정부;
    상기 파라미터 설정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의 탐지 유무에 따라 상기 단말이 위치한 무선 신호 처리부가 제1 무선 신호 처리부인지 제2 무선 신호 처리부인지를 인지하는 단말 스케줄링부; 및
    상기 단말 스케줄링부가 인지한 무선 신호 처리부의 타입에 따라 상기 단말로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 할당부
    를 포함하는 기지국.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부는,
    상기 단말 스케줄링부에서 생성한 단말 스케줄링 정보와 외부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토대로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단말로 데이터 채널 요청 신호 또는 제어 채널 전송 요청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는 탐지하지 못하나 상기 제2 무선 신호 처리부는 탐지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사운딩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신호 처리부는 2세대 통신을 위한 2G 중계기를 무선 신호 처리부로 사용하는 2G-무선 신호 처리부이고, 상기 제2 무선 신호 처리부는 4세대 통신을 위한 LTE-무선 신호 처리부인 기지국.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딩 참조 신호는 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 및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로 구분되는 기지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주기적 사운딩 참조 신호는 상기 기지국의 트리거링에 의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운딩 참조 신호인 기지국.
KR1020120123225A 2012-11-01 2012-11-01 기지국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KR20140055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225A KR20140055858A (ko) 2012-11-01 2012-11-01 기지국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225A KR20140055858A (ko) 2012-11-01 2012-11-01 기지국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858A true KR20140055858A (ko) 2014-05-09

Family

ID=5088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225A KR20140055858A (ko) 2012-11-01 2012-11-01 기지국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신호 처리부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58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022A (ko) * 2015-10-12 2018-06-22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발견 신호 전송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9022A (ko) * 2015-10-12 2018-06-22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발견 신호 전송
US10630358B2 (en) 2015-10-12 2020-04-2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in cellular system
US11070267B2 (en) 2015-10-12 2021-07-20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 in cellula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515610B2 (ja) ビーム失敗検出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CN106538013B (zh) 无线基站、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CN109479330B (zh) 用户终端和无线通信方法
CN109923843B (zh) 新无线电中的循环前缀管理
KR102138749B1 (ko)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핸드오버
WO2019092859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8010803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타이밍 조정 방법 및 장치
US9872305B2 (en) Optimized cellular transmission scheduling based on knowledge of interference-mitigation capabilities in neighbor cell
US9820295B2 (en) Over-the air signaling for coordination of time-division duplexing
EP3417651B1 (en) Methods, us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s controller for managing connec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O2018084207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20210409993A1 (en) Interference management for sidelink on resources shared with direct link
KR10235458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4830727A (zh) 用于l1/l2中心式蜂窝小区间移动性的操作模式
US20210251002A1 (en) Unlicensed medium access without listen before talk for millimeter wave
US10075981B2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8084205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21076916A1 (en) Enhanced ultra-reliable/low-latency communications over-the-air mechanism for shared spectrum
CN114930909A (zh) 针对l1/l2中心式蜂窝小区间移动性的带宽部分/频率位置限制
US20240049207A1 (en) Beam Management in Multi-TRP Operation
WO2020115908A1 (ja) 端末及び通信方法
US20220303079A1 (en) Uplink Transmission Enhancements for Multi-TRP Operation
CN116326039A (zh) 用于多trp操作中的波束管理的ue操作
US11968546B2 (en) Beam coverage assessment for channel access
JP7467478B2 (ja) 端末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