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995A - 높은 회수율로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높은 회수율로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995A
KR20140041995A KR1020120107001A KR20120107001A KR20140041995A KR 20140041995 A KR20140041995 A KR 20140041995A KR 1020120107001 A KR1020120107001 A KR 1020120107001A KR 20120107001 A KR20120107001 A KR 20120107001A KR 20140041995 A KR20140041995 A KR 20140041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mbrane module
line
filtration
microfiltration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0702B1 (ko
Inventor
김충환
권순범
유영범
권오성
김평산
정우원
김연국
허갑수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한국수자원공사
극동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한국수자원공사, 극동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7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702B1/ko
Publication of KR20140041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회수율로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 처리 시스템 및 이의 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 나노여과막모듈 및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을 배치하고, 농축수를 재사용하고 이를 자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회수율을 증가시켜 톤당 생산 단가가 하락하여 운영비를 감소할 뿐만 아니라 기존 공정 대비 적은 부지소요 면적이 필요한 장점을 확보할 수 있는 막여과 정수 처리 시스템 및 이의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은 회수율로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Water-purifying System with high recovery rate and Method Using Membrane Filtration for Manufacturing Purified Water}
본 발명은 농축수를 재사용하고 이를 자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회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천이나 호소수 등의 지표수를 여러 수단을 통해 처리한 것으로, 음용수, 공업용수 등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일부 국가에서는 심각한 물부족 문제의 발생과 함께 상수 원수에 대한 심각한 오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 분석기법의 발전에 따라 기존에는 검출하지 못하였던 유해한 미량 유해유기물질의 발현이 보고되고 있고, 기후이상과 가뭄사태에 이르러 상수원수 수질이 크게 악화되고 있다. 또한, 기존 정수시설을 통한 공공 상수에서 맛·냄새 등의 이취감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수원수의 수질적 악화문제, 미량유기물질의 발현 및 맛·냄새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도정수처리 공정의 도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고도정수처리 공정으로 도입되고 있는 기술들은 흡착 및 산화공정으로 대표적으로는 활성탄, 오존 및 오존과 과산화수소 또는 자외선 등을 결합한 고도산화공정(AOP, Advanced Oxidation Process)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오존 처리 경우 발암물질인 브롬산(Bromate)의 발생 및 암모니아성 질소의 잔류 등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기존 정수 처리는 응집, 침전, 모래여과, 소독 등과 같은 물리화학적 공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은 상수원 수질악화, 유해물질 출현, 분석기술의 발달 및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수질에 대한 큰 기대로 인한 한계에 봉착하였다.
이에 최근에는 특정 크기의 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미세공을 가진 분리막을 이용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막 분리 공정의 도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막 분리 공정은 처리수질이 안정적이고, 자동화가 가능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때 분리막은 기공 크기에 따라 정밀여과(MF)막, 한외여과(UF)막, 나노여과(NF)막, 역삼투(RO)막 등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54426호는 막오염 저감을 위한 가압식 막여과 정수처리 장치 및 이의 운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막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막의 오염 저하를 통한 펌프 운영비 절감을 통한 유지관리비의 절감을 달성할 수 있고, 막의 운전이 안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 운영자에게 운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단시간에 처리하는 방법이 가능하나 막여과 처리 이후 발생하는 농축수를 재사용하지 않고 응집제 처리 후 방류하여 전체 공정의 회수율이 낮은 문제가 있어, 취수된 원수의 활용도가 낮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정밀여과막을 사용함으로써 입자성 물질 및 탁질 물질에 대한 제거성능은 보장할 수 있으나, 맛·냄새 유발 물질 및 미량유해유기물질, 이온성 독성 물질에 대한 제거효율을 기대할 수 없다.
이에 높은 여과 효율을 갖는 나노여과막을 이용한 방법이 제시되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9128호는 역삼투 여과 및 나노여과를 이용한 공업용수를 처리하여 각종 양이온,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7-0050687호는 원수를 나노막을 이용하여 여과할 때에 배출되는 배출수 전량을 나노막여과 시스템 내로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나노막여과 공정 후, 역삼투막을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역삼투막여과 공정을 수행하여 천연 미네랄수를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특허에서 제시하는 공정은 나노여과처리로 미량 유해유기물질이나 이온성 물질에 대한 제거효율을 확보할 수 있으나, 공정 처리 속도나 회수율이 낮은 문제가 발생한다.
회수율은 공급수량에 대한 투과수량의 비로, 막여과법에 있어서 양적인 처리효율을 보여주는 지표로서, 막여과 공정에서 회수율은 막오염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치며, 막오염은 원수수질, 막여과유속 (투과 Flux), 세척 정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나노여과막을 이용한 회수율이 최대 약 75% 수준으로, 상기 두 특허에서도 막여과 처리 이후 발생하는 처리수를 방류하여 회수율 또한 높은 수준을 유지하지 못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54426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9128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7-50687호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맛 냄새 유발물질 및 미량유해유기물질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높은 회수율로 정수를 생산할 수 있는 정수처리 시스템 및 운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수를 1차 여과하기 위한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 2차 여과하여 정수를 생산하기 위한 나노여과막모듈, 상기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에서 발생하는 농축수를 여과하기 위한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을 구비하는 정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에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 라인에는 원수의 TDS(Total Dissolved Solids)를 측정하기 위한 계측기가 구비되고,
상기 나노여과막모듈로부터 배출된 농축수를 재사용하기 위해 모듈 일측에 농축수 라인을 설치하고, 상기 농축수 라인은 농축수를 원수로 유입하기 위해 밸브가 장착된 순환 라인, 및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밸브가 장착된 제2배출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계측기로 계측한 데이터를 통해 순환 라인 및 제2배출 라인의 밸브의 개방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를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에 주입하고, 이를 투과한 처리수는 나노여과막모듈로 이송하고, 상기 나노여과막모듈로 처리한 처리수는 생산수로서 생산하는 막여과정수 처리시스템의 운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나노여과막모듈에서 발생한 농축수는 농축수라인을 거쳐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로 주입하거나, 원수로 재사용하기 위해 순환 라인으로 유입하거나, 제2배출 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되,
원수 라인에 장착된 계측기에 측정된 TDS 데이터에 따라 순환 라인과 제2배출 라인에 장착된 밸브의 개방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정수 처리시스템의 운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은 원수 처리를 위해 3가지 다른 특성 및 기능을 가지는 여과막모듈을 선정하고 배치할 위치를 조절하고, 농축수를 재사용하고 이를 자동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배출량이 저감되어 배출수의 처리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특히, 회수율을 증가시켜 톤당 생산 단가가 하락하여 운영비를 감소할 뿐만 아니라 기존 공정 대비 적은 부지소요 면적이 필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수처리장치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수처리장치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내에서 언급되는 TDS는 Total Dissolved Solids의 약어로, 총 용존성 고형물질을 의미한다.
또한, "생산수" 및 "처리수"의 용어는 유입수 중 여과막을 투과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또한, "농축수"의 용어는 유입수 중 여과막을 투과하지 못하고 배제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그리고 "배출수"의 용어는 농축수 중 시스템 밖으로 최종적으로 버려지는 농축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막여과 정수처리 시스템은 나노여과막모듈에서 발생한 농축수를 외부로 모두 배출하지 않고 회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막여과 회수율”이란 막여과 공정의 막공급 원수량에 대하여 여과수량 중에서 막모듈의 세척에 사용되는 여과수량을 제외하여 백분율(%)로 나타낸 값을 의미하며, 막여과법에 있어서 양적인 처리효율을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막여과 회수율을 90%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막여과 정수처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상기 막여과 정수처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원수탱크(2),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4), 나노여과막모듈(6),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8), 제어부(10)를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한다. 이때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구성 요소 이외에 저장 탱크, 펌프, 전처리 장치, 후처리 장치와 같은 공지된 바의 장치를 더욱 구비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생산수를 가정이나 산업 현장 등에 직접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4)은 원수 중 입자성 물질과 탁질 물질을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분리막이 압력케이스에 장착된 형태를 가지며, 원수 또는 응집, 침전 등의 전처리가 수행된 전처리수를 분리막에 압송시켜 여과하는 방식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나노여과막모듈(6)은 처리수 내 포함된 맛·냄새 유발 물질, 이온성 물질, 특히 2가 이온 물질과 더불어 바이러스, 유기물, 중금속, 및 의약물질, 환경호르몬 물질과 같이 미량유기물질도 함께 분리 여과할 수 있으며, 정밀여과나 한외여과와는 달리 분리원리가 공극 크기 차에 의한 체 거름(sieve) 효과 외에도 막의 표면 전하와 원수의 이온 전하와의 상호 반응이 함께 일어나 높은 여과 효율을 갖는다.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8)은 농축수 내 포함되어 있는 입자성 물질과 탁질 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가압형 또는 나노여과막모듈(4, 6)의 여과 처리 속도나 여과 효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8)로 인해 각 모듈(4, 6)에서 발생하는 농축수들을 외부로 방류하지 않고 다시 한번 여과할 수 있어 농축수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모듈에 있어 재질, 형태 및 구성 등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의 것이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가압형/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4, 8)의 여과막은 정밀여과(MF, Micro Filtration) 또는 한외여과(UF, Ultra Filtration)에 사용하는 여과막이 가능하다. 상기 정밀 여과막의 경우 공경의 크기가 0.01㎛ 이상의 입자 제거 가능하고, 한외 여과막의 경우 분자량 100,000 Dalton 이하의 불순물 완전 제거 가능하다. 또한, 나노여과막모듈(6)에 사용하는 나노여과(NF, Nanofiltration) 막의 경우 0.01∼100nm의 입자 제거가 가능하다.
이들의 재질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모든 무기막 및 유기막 재질이 사용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세라믹, 및 금속막을 포함하는 무기막;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마이드(PA), 폴리에틸렌(PE),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술폰(PS),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테트라 플루오르에틸렌(PTF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술포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유기막;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또한, 그 형태는 관형, 평판형, 와권형, 또는 중공사형 등의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가압형/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4, 8)은 1개 또는 복수개가 사용된 군집(카세트, 랙)을 병렬로 배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막여과 정수처리 시스템은 원수탱크(2)와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4)을 연결하는 원수 라인(L1),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4)과 나노여과막모듈(6)을 연결하는 제1이송 라인(L2), 나노여과막모듈(6)을 통해 생산수를 생산하는 생산 라인(L3),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4)과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8)을 연결하는 제2이송 라인(L4),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8)과 원수 라인(L1)을 연결하는 제3이송 라인(L5),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8)과 제1이송 라인(L2)을 연결하는 제4이송 라인(L6),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8)과 연결된 제1배출 라인(L7), 나노여과막모듈(6)의 농축수가 이송되는 농축수 라인(L8), 상기 농축수 라인(L8)과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8)을 연결하는 제5이송 라인(L9), 상기 농축수 라인(L8)과 원수 라인(L1)을 연결하는 순환 라인(L10), 상기 농축수 라인과 연결된 제2배출 라인(L11)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원수 라인(L1)은 원수 내 TDS를 측정하기 위한 계측기(E)를 구비하고, 농축수 라인(L8)과 연결된 순환 라인(L10) 및 제2배출 라인(L11)은 농축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V1, V2)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계측기(E)와 밸브(V1, V2)는 제어부(8)와 연결되며, 계측기(E)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밸브(V1, V2)의 개방율을 제어부(8)에서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추가로 상기 막여과 정수처리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4) 전에 전처리 장치(12)를 배치하여, 원수를 전처리 후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4)에 주입한다. 상기 전처리 장치(12)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자연 침강으로 인한 고액 분리가 가능한 침전/여과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장치(12)의 처리수는 원수 라인(L1)을 통해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4)로 주입하고, 농축수는 제6이송 라인(L12)을 통해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8)로 주입하거나, 제3배출 라인(L13)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노여과막모듈(6)의 오염 방지 및 수명 증가를 위해 상기 나노여과막모듈(6)로 유입되는 처리수의 pH가 6.0∼7.5, 바람직하기로 6.5 수준을 만족하도록 pH 조절 장치(14)를 구비한다. 상기 pH 조절 장치는 제1이송 라인(L2) 내 처리수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pH 프로브와, pH 조절제를 저장하는 저장소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막여과 정수처리 시스템은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4)을 원수 처리 공정의 선행 위치에 배치하여 빠른 공정 처리 속도를 확보하고, 나노여과막모듈(6)을 마지막 처리 공정을 수행하도록 후행에 배치하여 높은 여과효율을 확보하고 가압형 및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4, 8)로 처리된 처리수 중 포함된 맛 냄새 유발 물질, 미량의 유기 물질뿐만 아니라 이온성, 중금속 물질과 함께 독성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나노여과막모듈(6)에서 발생한 농축수 모두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재사용함으로써 막여과 정수처리 시스템의 공정 회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원수의 TDS 측정과 밸브의 개폐를 통해 자동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막여과 정수처리 운전 방법은 하기와 같다.
원수를 원수 라인(L1)을 거쳐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4)에 주입하고, 이를 투과한 처리수는 제1이송 라인(L2)을 거쳐 나노여과막모듈(6)로 이송하고, 상기 나노여과막모듈(6)로 처리한 처리수는 생산 라인(L3)을 거쳐 생산수로서 생산한다.
이때 상기 나노여과막모듈(6)로부터 생산된 생산수는 후염소 처리, 탈기 처리, 또는 살균 처리를 수행한 후 정수로서 생산을 수행한다.
상기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4)에서 발생한 농축수는 제2이송 라인(L4)을 거쳐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8)로 이송한다.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8)에서 처리된 처리수는 원수 라인(L1) 또는 제1이송 라인(L2)으로 반송되며, 이를 투과하지 못한 농축수는 제1배출 라인(L7)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나노여과막모듈(6)에서 발생한 농축수는 농축수라인(L8)을 거쳐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8)로 주입하거나, 원수로 재사용하기 위해 순환 라인(L10)으로 유입하거나, 제2배출 라인(L1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나노여과막모듈(6)에서 발생한 농축수의 재사용은 농축수의 회수율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이는 제어부(8)에 의해 농축수의 유입 방향을 제시한다.
즉, 원수 라인(L1)에 장착된 계측기(E)에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밸브(V1, V2)의 개폐 및 개방율을 조절하는데, 상기 계측기(E)를 통해 원수의 TDS를 측정한다.
원수로 사용되는 지표수, 호소수, 지하수 등의 경우 일반적으로 TDS가 100ppm 내외로 나노여과막모듈(6)에서 발생하는 농축수의 경우 상기 TDS가 상승하여 이를 다시 원수로 사용할 경우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4)로 유입되는 원수의 TDS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나노여과막모듈(6)의 농축수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원수의 TDS에 대한 제어가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밸브(V1), 밸브(V2)의 개방율 합이 100%를 만족할때, 원수의 TDS 데이터에 따른 밸브(V1)의 개방율은 하기 조건을 따르도록 한다.
TDS <120ppm : 95% 밸브 개방율
120ppm < TDS < 150ppm : 75% 밸브 개방율
150ppm < TDS < 200ppm : 40% 밸브 개방율
200ppm < TDS < 220ppm : 25% 밸브 개방율
220ppm < TDS < 250ppm : 5% 밸브 개방율
TDS > 250ppm : 0% 밸브 개방율
부연하면, 원수의 TDS가 120ppm 미만일 경우 밸브(V1)의 개방률을 95%로 하여 순환 라인(L10)으로 농축수를 주입하고, 밸브(V2)의 개방률을 5%로 하여 농축수의 일부는 제2배출 라인(L1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원수의 TDS가 250ppm을 초과할 경우 나노여과막모듈(6)의 오염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각 밸브(V1, V2)를 폐쇄한 상태에서 TDS 계측기를 점검 후 장치를 운전한다.
전술한 바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운전방법은 나노여과막모듈(6)에서 발생한 농축수를 재사용함에 따라 배출량이 저감되어 배출수의 처리 비용을 감소할 수 있고, 회수율을 증가시켜 톤당 생산 단가가 하락하여 운영비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설비 면적 대비 처리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기존 공정 대비 적은 부지소요 면적이 필요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3가지 다른 특성 및 기능을 가지는 여과막모듈을 선정하고 배치할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원수의 여과 효율을 90% 이상까지 향상시킴과 동시에 처리 시간을 단축시킨다.
특히, 농축수를 재사용하여 원수의 회수율이 85∼95% 수준으로 통상적으로 여과막 처리에 비해 높은 회수율을 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공정 구성을 통해 맛·냄새 유발물질, 미량유기물질, 중금속 및 독성물질 제거성능이 탁월하여 정수의 안전성 확보가 가능해진다.
2: 원수탱크 4: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
6: 나노여과막모듈 8: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
10: 제어부 12: 전처리장치
14: pH 조절장치
L1: 원수 라인 L2: 제1이송 라인
L3: 생산 라인 L4: 제2이송 라인
L5: 제3이송 라인 L6: 제4이송 라인
L7: 제1배출 라인 L8: 농축수 라인
L9: 제5이송 라인 L10: 순환 라인
L11: 제2배출 라인 L12: 제6이송 라인
L13: 제3배출 라인

Claims (14)

  1. 원수를 1차 여과하기 위한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 2차 여과하여 정수를 생산하기 위한 나노여과막모듈, 상기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에서 발생하는 농축수를 여과하기 위한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을 구비하는 정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에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 라인에는 원수의 TDS(Total Dissolved Solids)를 측정하기 위한 계측기가 구비되고,
    상기 나노여과막모듈로부터 배출된 농축수를 재사용하기 위해 모듈 일측에 농축수 라인을 설치하고, 상기 농축수 라인은 농축수를 원수로 유입하기 위해 밸브가 장착된 순환 라인, 및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밸브가 장착된 제2배출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계측기로 계측한 데이터를 통해 순환 라인 및 제2배출 라인의 밸브의 개방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수 라인은 나노여과막모듈로부터 배출된 농축수를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로 공급하기 위한 제5이송라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여과 정수처리 시스템은
    원수탱크와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을 연결하는 원수 라인,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과 나노여과막모듈을 연결하는 제1이송 라인,
    나노여과막모듈을 통해 생산된 생산수를 공급하는 생산 라인,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과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을 연결하는 제2이송 라인,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과 원수 라인을 연결하는 제3이송 라인,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과 제1이송 라인을 연결하는 제4이송 라인,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로부터 발생한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출 라인,
    나노여과막모듈의 농축수를 재사용하기 위해 농축수를 이송하는 농축수 라인,
    상기 농축수 라인과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을 연결하는 제5이송 라인,
    상기 농축수 라인과 원수 라인을 연결하는 순환 라인, 및
    상기 농축수 라인과 연결되며,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출 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처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정수처리 시스템은 원수탱크와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 사이에 원수의 전처리를 위한 전처리 장치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처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장치는 이를 통과한 처리수가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로 주입되기 위해 원수 라인과 연결되고, 이를 통과하지 못한 농축수가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로 주입하기 위한 제6이송 라인, 및 상기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3배출 라인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처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정수처리 시스템은 pH 프로브와 pH 조절제가 저장된 저장소를 구비하는 pH 조절 장치를 나노여과막모듈 전단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처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형/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은 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인 것인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처리 시스템.
  8. 원수를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에 주입하고, 이를 투과한 처리수는 나노여과막모듈로 이송하고, 상기 나노여과막모듈로 처리한 처리수는 생산수로서 생산하는 막여과정수 처리시스템의 운전방법에 있어서,
    상기 나노여과막모듈에서 발생한 농축수는 농축수라인을 거쳐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로 주입하거나, 원수로 재사용하기 위해 순환 라인으로 유입하거나, 제2배출 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되,
    원수 라인에 장착된 계측기에 측정된 TDS 데이터에 따라 순환 라인과 제2배출 라인에 장착된 밸브의 개방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정수 처리시스템의 운전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라인에 장착된 밸브와 배출 라인에 장착된 밸브의 개방율 합이 100%를 만족할때, 원수의 TDS 데이터에 따른 순환 라인에 장착된 밸브의 개방율은 하기 조건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정수 처리시스템의 운전방법:
    TDS <120 : 95% 밸브 개방율
    120 < TDS < 150 : 75% 밸브 개방율
    150 < TDS < 200 : 40% 밸브 개방율
    200 < TDS < 220 : 25% 밸브 개방율
    220 < TDS < 250 : 5% 밸브 개방율
    TDS > 250 : 0% 밸브 개방율
  10. 제8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원수는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에 공급하기 전 전처리 장치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정수 처리시스템의 운전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장치로 처리한 처리수는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로 이송되고, 이때 발생한 농축수는 제5이송 라인을 통해 침지형 정밀여과막모듈로 이송하거나, 제3배출 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정수 처리시스템의 운전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형 정밀여과막모듈을 통과한 처리수는 pH는 6.0∼7.5를 조절한 상태로 나노여과막모듈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정수 처리시스템의 운전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pH 조절은 산 또는 염기를 포함하는 pH 조절제를 투입하여 수행하는 것인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처리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여과막모듈로부터 생산된 생산수는 후염소 처리, 탈기 처리, 또는 살균 처리를 수행한 후 정수 생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정수 처리시스템의 운전방법.
KR1020120107001A 2012-09-26 2012-09-26 높은 회수율로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50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001A KR101550702B1 (ko) 2012-09-26 2012-09-26 높은 회수율로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001A KR101550702B1 (ko) 2012-09-26 2012-09-26 높은 회수율로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995A true KR20140041995A (ko) 2014-04-07
KR101550702B1 KR101550702B1 (ko) 2015-09-07

Family

ID=5065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001A KR101550702B1 (ko) 2012-09-26 2012-09-26 높은 회수율로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7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5265A (zh) * 2016-08-06 2016-11-23 日出东方太阳能股份有限公司 混合式水对水压力储水罐与高回收率反渗透***及提高反渗透净水回收率的方法
KR20170007629A (ko) 2015-07-10 2017-01-19 한국수자원공사 부상분리법을 이용한 막여과 배출수 처리 시스템
KR20210050017A (ko) * 2019-10-25 2021-05-07 지니스(주) 산성수 중성화 변환형 이온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3638A (zh) * 2015-12-05 2016-02-03 中山市雅乐思净水科技有限公司 一种净水机智能调节净水和浓缩水比例的装置及方法
FR3097220B1 (fr) * 2019-06-11 2021-11-19 Veolia Water Solutions & Tech Procede membranaire de potabilisation d’eaux de surface sans ajout de sequestra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561B1 (ko) 2006-08-16 2008-01-23 지은상 막분리를 이용한 발전소용 순수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629A (ko) 2015-07-10 2017-01-19 한국수자원공사 부상분리법을 이용한 막여과 배출수 처리 시스템
CN106145265A (zh) * 2016-08-06 2016-11-23 日出东方太阳能股份有限公司 混合式水对水压力储水罐与高回收率反渗透***及提高反渗透净水回收率的方法
KR20210050017A (ko) * 2019-10-25 2021-05-07 지니스(주) 산성수 중성화 변환형 이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702B1 (ko) 201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902B1 (ko)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SA516371234B1 (ar) طريقة لمعالجة المياه
US10583401B2 (en) Integrated ultra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desalination systems
US201601596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containing boron
KR101389450B1 (ko) 담수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담수화 방법
KR101550702B1 (ko) 높은 회수율로 정수 생산을 위한 막여과 정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6194887B2 (ja) 淡水製造方法
JP2015188786A (ja) 正浸透処理システム
Brehant et al. Assessment of ultrafiltration as a pretreatment of reverse osmosis membranes for surface seawater desalination
JP2015077530A (ja) 造水方法および造水装置
JPWO2013031689A1 (ja) 放射性物質および/または重金属含有水の浄化方法および浄化装置
Gupta et al. Contributions of surface and pore deposition to (ir) reversible fouling during constant flux microfiltration of secondary municipal wastewater effluent
KR20130132020A (ko) 농축수 재활용 공정을 이용한 나노/역삼투 막여과 공정 회수율 향상 방법
KR101035899B1 (ko) 고회수 저오염형 하수처리수 재이용 장치 및 방법
JP2016128142A (ja) 半透膜の阻止率向上方法
JP5293551B2 (ja) 水処理システム
KR100847909B1 (ko) 유해물질 및 염분을 제거하는 원심분리식 담수화장치
Altmann et al. Effectiveness of ceramic ultrafiltration as pretreatment for seawater reverse osmosis
JP2012200696A (ja) 脱塩方法および脱塩装置
JP2014171926A (ja) 淡水化方法及び淡水化装置
WO2017159303A1 (ja) 高硬度排水の処理方法
KR101693100B1 (ko) 스마트 막여과 수처리 시스템
Konieczny et al. Water treatment using hybrid method of coagulation and low-pressure membrane filtration
KR20170075085A (ko) 막여과 정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망간 저감방법
Chang et al. Comparison of SAR (sodium adsorption ratio) between RO and NF processes for the reclamation of secondary efflu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