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161A - 향상된 결정화 속도를 가지는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향상된 결정화 속도를 가지는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161A
KR20140041161A KR1020120108183A KR20120108183A KR20140041161A KR 20140041161 A KR20140041161 A KR 20140041161A KR 1020120108183 A KR1020120108183 A KR 1020120108183A KR 20120108183 A KR20120108183 A KR 20120108183A KR 20140041161 A KR20140041161 A KR 20140041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ephthalate resin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we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2917B1 (ko
Inventor
신종욱
김태영
박규태
문정미
김종량
백지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917B1/ko
Priority to PCT/KR2013/008539 priority patent/WO2014051311A2/ko
Priority to TW102134624A priority patent/TW201420634A/zh
Publication of KR20140041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유리 섬유, 및 고내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결정화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향상된 결정화 속도를 가지는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Poly(1,4-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enhanced crystallization rate}
본 발명은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향상된 결정화 속도를 가지는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이하, PCT 수지)는 섬유, 필름 및 성형 제품을 제조 시 사용되며 높은 내마모성, 내구성 및 내열성 같은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PCT 수지의 높은 결정성은 상승된 온도에서 적당한 경도, 강도 및 내열성 확보에 있어 필수적이다. 적당한 결정성을 위해, PCT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150℃ 이상의 금형 온도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높은 금형 온도를 위해 복잡한 성형 장치가 필요하며, 예를 들어 oil bath heating units 같은 특수화된 가열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에, 필요한 금형 온도를 낮추기 위해 낮은 온도에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의 결정화를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결정화 보조물의 사용이 제안되었다. 결정화 보조물로서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미국특허등록 제4,223,125호 및 제4,223,113호에 기재 되어 있다. 기타 형태의 결정화 보조물로는 케톤, 아미드 및 설폰 아미드가 포함된다. 그러나, 이들 부가제는 건조하는 동안 부가제의 휘발성 손실을 일으키면서 고온에서 휘발할 수 있어서 화합물로 만든 후에 PCT 조성물을 건조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저온에서 성형될 수 있고 적당한 물리적 성질을 지니며 결정화 속도가 향상될 수 있는 PCT 조성물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1. 미국특허등록 제4,223,125호 2. 미국특허등록 제4,223,113호
본 발명은 향상된 결정화 속도를 가지는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고내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및 유리 섬유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함량은 전체 수지 기준으로 60 내지 95 중량%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리 섬유 함량이 상기 전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20 내지 60 중량부일 수 있고, 상기 유리 섬유는 필라멘트, 쓰레드, 파이버, 및 휘스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에서, 고내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함량은 전체 수지 기준으로 5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내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trans 폼이 80 mol% 이상인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성물은 티타늄 화합물, 산화안정제, 및 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결정화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유리 섬유, 및 고내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고분자 수지의 결정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저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기 핵제와 무기 필러 등의 무기 핵제를 첨가하는 방법 등이 있고, 고융점의 고분자 수지를 수지에 일정량 첨가 함으로써 수지의 용융 결정화 속도를 개선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고내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고내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및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에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및 테레프탈산 단량체 단위로 구성된 1,4-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는 이러한 수지가 저온에서 성형될 때 우수한 결정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들 수지는 공지된 일반적인 기술을 이용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함량은 전체 수지 기준으로 60 내지 95 중량% 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조성물은 상기 전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20 내지 60 중량부의 유리 섬유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섬유는 유리 필라멘트(filament), 쓰레드(threed), 파이버(fiber), 또는 휘스커(whisker) 등의 형태일 수 있고, 길이는 3mm 내지 5mm 가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선형된 부분이 뒤틀리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운모와 같이 판형인 충진재 및 유리 섬유의 혼합물로 강화될 수 있다.
한편,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경우 원료로 사용되는 CHDM(Cyclohexanedimethanol)은 trans 폼과 cis 폼의 두 가지 이성질체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CHDM의 Trans함량은 70mol% 정도인데, 촉매 하에서 이성화 반응시키면 일반 CHDM의 Trans 함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trans 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CHDM을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융점 및 내열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중합함에 있어, CHDM내 trans 폼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융점이 높고 내열도가 향상된 고내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제조하여, 이를 일반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적용함으로써 결정화 속도를 개선할 수 있었다.
trans 폼이 80 mol% 이상인 CHDM, 테레프탈산, 및 촉매를 넣고 에스테르화 반응과 중축합 반응을 행하여 고분자량의 고내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일 예로써 제조된 고내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는 0.65 dl/g 이었으며 용융 온도 (Melting temperature)는 305℃ 일 수 있다.
즉, 상기 고내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trans 폼이 80 mol% 이상인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고내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함량은 전체 수지 기준으로 5 내지 40 중량%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고내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Compounding 공정을 통해 Base PCT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고내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투입을 위해서는 이축 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사용할 수 있고, 직경비 (L/D)는 약 30에서 50 내외가 적당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조성물은 수지의 처리가능성을 증진시키는 티타늄 화합물, 산화안정제, 및 활제와 같은 부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실시예 1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PCT 수지(융점 : 285℃, 용융결정화 온도 : 245℃) 60 중량%, 및 고내열 PCT 수지(Tm : 305℃, Tmc : 270℃) 40 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Glass Fiber 60 중량부를 첨가하고, 산화안정제(AO-60)와 활제(Hi-Lube)를 0.2 중량부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련 압출을 진행하고,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펠렛을 사출기를 이용하여 사출온도 295℃, 사출압력 1500Kgf/cm2으로 동일하게 사출한 후, 150℃로 Setting된 ASTM 인장 시편 금형에 사출을 진행하고, 결정화에 의해 사출품이 고화되어 금형에서 안정적으로 분리가 되는 시간(사출 냉각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용융결정화 온도가 증가할수록 결정화 속도가 빨라짐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펠렛의 용융결정화 온도 측정으로 결정화 속도를 확인하였다. 즉, 용융결정화 온도 측정을 위해,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이용하여 PCT를 320℃에서 완전 융해시킨 후 냉각 속도 20℃/분으로 시료를 냉각하며 시료가 결정화 되는 결정화 Max. Peak로 용용 결정화 온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PCT 수지(융점 : 285℃, 용융결정화 온도 : 245℃) 80 중량%, 및 고내열 PCT(Tm : 305℃, Tmc : 270℃) 20 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Glass Fiber 40 중량부를 첨가하고, 및 산화안정제(AO-60)와 활제(Hi-Lube)를 0.2 중량부 첨가하였다.
이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여 사출 냉각 시간과 용용 결정화 온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3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PCT 수지(융점 : 285℃, 용융결정화 온도 : 245℃) 90 중량%, 및 고내열 PCT(Tm : 305℃, Tmc : 270℃) 10 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Glass Fiber 40 중량부를 첨가하고, 및 산화안정제(AO-60)와 활제(Hi-Lube)를 0.2 중량부 첨가하였다.
이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여 사출 냉각 시간과 용용 결정화 온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4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PCT 수지(융점 : 285℃, 용융결정화 온도 : 245℃) 95 중량%, 및 고내열 PCT(Tm : 305℃, Tmc : 270℃) 5 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Glass Fiber 20 중량부를 첨가하고, 및 산화안정제(AO-60)와 활제(Hi-Lube)를 0.2 중량부 첨가하였다.
이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여 사출 냉각 시간과 용용 결정화 온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1
이축혼련압출기(Φ: 40mm, L/D = 44)를 사용하여 PCT 수지(융점 : 285℃, 용융결정화 온도 : 245℃) 100 중량부에 대해, Glass Fiber 60 중량부를 첨가하고, 및 산화안정제(AO-60)와 활제(Hi-Lube)를 0.2 중량부 첨가하였다.
이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을 제조하여 사출 냉각 시간과 용용 결정화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실험 결과를 정리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수지
(100 중량부)
PCT 수지 60 80 90 95 100
고내열 PCT 수지 40 20 10 5 -
유리섬유 60 40 40 20 60
산화안정제(AO-60) 0.2 0.2 0.2 0.2 0.2
활제(Hi-Lube) 0.2 0.2 0.2 0.2 0.2
용융결정화 온도(℃) 262 254 251 247 245
사출 냉각 시간 (sec) 5 8 10 13 15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은 사출 냉각시간이 짧고, 용융 결정화 온도가 높아 향상된 결정화 속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고내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및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함량이 전체 수지 기준으로 60 내지 95 중량%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 함량이 상기 전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20 내지 60 중량부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섬유는 필라멘트, 쓰레드, 파이버, 및 휘스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형태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내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함량이 전체 수지 기준으로 5 내지 40 중량%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내열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trans 폼이 80 mol% 이상인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티타늄 화합물, 산화안정제, 및 활제를 더 포함하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제품.
KR1020120108183A 2012-09-27 2012-09-27 향상된 결정화 속도를 가지는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1912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183A KR101912917B1 (ko) 2012-09-27 2012-09-27 향상된 결정화 속도를 가지는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PCT/KR2013/008539 WO2014051311A2 (ko) 2012-09-27 2013-09-24 향상된 결정화 속도를 가지는 폴리사이클로핵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TW102134624A TW201420634A (zh) 2012-09-27 2013-09-25 具有增進結晶速率的聚對苯二甲酸環己二甲酯樹脂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183A KR101912917B1 (ko) 2012-09-27 2012-09-27 향상된 결정화 속도를 가지는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161A true KR20140041161A (ko) 2014-04-04
KR101912917B1 KR101912917B1 (ko) 2018-10-29

Family

ID=5038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183A KR101912917B1 (ko) 2012-09-27 2012-09-27 향상된 결정화 속도를 가지는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12917B1 (ko)
TW (1) TW201420634A (ko)
WO (1) WO201405131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6328A (zh) * 2020-11-21 2021-04-13 张家港大塚化学有限公司 一种阻燃高流动性pct复合材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7416A (ja) * 1993-03-31 1994-10-11 Toray Ind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307463B2 (ja) * 1993-05-31 2002-07-24 日本ジーイー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ガラス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7100904A (ja) * 1993-10-01 1995-04-18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中空成形品
KR100366360B1 (ko) * 1997-03-21 2003-0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열성과 가공성이 뛰어난 비할로겐계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3693831B2 (ja) * 1998-12-18 2005-09-14 三菱化学株式会社 ポリシクロヘキサンジ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917B1 (ko) 2018-10-29
WO2014051311A2 (ko) 2014-04-03
TW201420634A (zh) 2014-06-01
WO2014051311A3 (ko)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00765B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heat-resistant tray for IC
EP0391981B1 (en) Reinforced mold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1,4-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improved crystallization characteristics
JP7051021B1 (ja) 組成物、ペレット、成形品および組成物の製造方法
EP3085515B1 (en) Resin composition for blow hollow molded articles, blow hollow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3382297A (zh) 一种低翘曲碳纤增强pet/聚酯合金及其制备方法
KR20210049226A (ko) 우수한 내가수분해성과 레이저 투과율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15011081A (zh) 一种结晶快速的玻纤增强pet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70099297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820247B1 (ko)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유산 스테레오 콤플렉스 수지 조성물
TW201406825A (zh) 聚芳硫醚樹脂組合物及其形成之物件
KR101912917B1 (ko) 향상된 결정화 속도를 가지는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JPS6318621B2 (ko)
JPS6347749B2 (ko)
JPH0525903B2 (ko)
KR101164145B1 (ko) 고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779796B1 (ko) 고화속도가 향상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US5194506A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s with arylene sulfide random copolymers
KR100808285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WO2005113636A1 (en) Process for lowering the melt viscosity of polyesters
KR940000205B1 (ko) 폴리에스테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제조방법
JPS63142055A (ja) ガラス繊維強化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4153007A (ja) 炭素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788082B2 (ja) 樹脂組成物
KR20210066121A (ko) 강성 및 충격강도 밸런스가 개선된 파렛트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880726B1 (ko)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