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985A -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갖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갖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985A
KR20140040985A KR1020120107731A KR20120107731A KR20140040985A KR 20140040985 A KR20140040985 A KR 20140040985A KR 1020120107731 A KR1020120107731 A KR 1020120107731A KR 20120107731 A KR20120107731 A KR 20120107731A KR 20140040985 A KR20140040985 A KR 20140040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switching
leve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원
허민호
김준구
원충연
지용혁
김영호
송두영
김규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7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0985A/ko
Priority to US13/770,938 priority patent/US20140085944A1/en
Publication of KR20140040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6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via a high-tension dc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having a high frequency intermediate AC s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02M3/3357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having at least one active switching element at the secondary side of an isolation transfor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의 출력 전력과 계통 순시 전력 간의 차이에 따라 전력을 충전하거나 보충하여 입력단에 리플 제거용의 캐패시터를 채용하지 않거나, 용량이 작은 캐패시터를 채용할 수 있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갖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큰 경우 유기받은 잉여 전력을 충전하고,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작은 경우 충전된 전력을 방전하는 충방전부를 포함하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갖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DC-AC POWER COVERTING APPARATUS AND SOLAR POWER SUPPLY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컨버터 및 인버터를 하나의 전력 변환 회로로 집적화시킨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갖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20세기 말부터 화석연료의 고갈과 이산화탄소, NOx, SOx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 및 지구온난화의 심각성 등으로 인한 신재생 에너지원의 개발 및 수요가 증가해 왔고, 특히 최근 교토 의정서에 준한 온실가스 감축 의무부담 본격화와 국제유가 급등으로 인한 기술개발 요구와 수요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의 에너지자원에 대한 문제는 국가 안보문제와 직결되며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에 대한 의지 및 기술이 국가 경쟁력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원 중 최근 국내 시장에서는 낮은 효율을 갖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무한 청정에너지원이며 국내 반도체 기술과 부합된 장점을 갖는 태양전지(PV, 쏠라셀(solar cell))가 계속해서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해외의 경우, 장기간 축적된 기술력 및 자금력을 바탕으로 일본 및 독일 주도하에 태양전지(PV)를 이용한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의 상용화가 완료되었다.
이러한,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는 일반적으로, 하기의 선행기술문헌과 같이 태양전지(PV)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일정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컨버터의 직류 전원을 상용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를 채용하는데, 이러한 컨버터 및 인버터에 있어서, 전력 변환 효율이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컨버터 및 인버터를 하나의 전력 변환 회로로 집적화시킨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로 대체하는 추세이나, 이러한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는 출력 전압의 변동에 기인한 입력단의 저주파 리플을 저감시키기 위해 입력단에 고용량의 전해 캐패시터가 사용되나, 전해 캐패시터의 용량 크기에 의해 회로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고, 최소 수년에서 수십년을 사용하여야 하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에서 전해 캐패시터에 의해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33036호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태양전지의 출력 전력과 계통 순시 전력 간의 차이에 따라 전력을 충전하거나 방전하여 입력단 캐패시터에 발생하는 리플을 줄임으로써 입력단 리플 제거용 캐패시터를 채용하지 않거나, 용량이 작은 입력단 리플 제거용 캐패시터를 채용할 수 있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갖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으로는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부; 및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큰 경우 유기되는 잉여 전력을 충전하고,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작은 경우 충전된 전력을 방전하는 충방전부를 포함하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큰 경우 스위칭 동작하여, 유기된 잉여 전력의 충전 경로를 제공하는 충전 스위치;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작은 경우 스위칭 동작하여, 충전된 전력의 방전 경로를 제공하는 방전 스위치; 및 상기 충전 스위치 및 방전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전력을 충전 또는 방전하는 캐패시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전 스위치와 상기 방전 스위치는 서로 교번하여 스위칭 온/오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캐패시터부와 LC 공진하여 상기 충전 스위치 및 상기 방전 스위치의 소프트 스위칭 동작을 제공하는 인덕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직류-교류 전력 변환부는 상기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제1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및 상기 제1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교류 전원을 변환하는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버터는 상기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에 의한 전원을 입력받는 일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권선비에 따른 전압 레벨을 갖는 전원을 출력하는 이차 권선과,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큰 경우 잉여 전력을 유기받아 상기 충방전부에 전달하고,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충방전부로부터 방전된 전력을 전달받는 삼차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의 이차 권선으로부터의 전원 출력을 스위칭하는 출력 스위치; 상기 출력 스위치에 의해 스위칭된 전원의 출력 경로를 제공하는 출력 다이오드; 및 상기 출력 다이오드로부터의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출력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인버터는 상기 제1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회로; 및 상기 인버터회로로부터의 변환된 교류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안정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교류 전원의 변동에 의해 발생되는 입력단의 리플을 저감시키는 입력 캐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직류 전원은 사인(sine) 파형의 신호가 정류된 형태인 언폴딩(unfolding) 전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직류 교류 전력 변환부의 스위칭 및 상기 충방전부의 충방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류 전원의 전압 및 전류 정보에 기초한 최대 전력점의 전압과 사전에 설정된 반송파의 비교에 따라 설정된 듀티를 갖는 전원 스위칭 신호 및, 상기 교류 전원에 따라 설정된 듀티를 갖는 출력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컨버터 제어부; 및 상기 최대 전력점의 전압 정보에 따라 설정된 듀티를 갖는 충방전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충방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버터 제어부는 상기 최대 전력점의 전압에 사전에 설정된 제1 이득을 곱하여 상기 전원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원 스위칭 신호에 상기 제1 직류 전원을 상기 출력 스위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원 스위칭 신호가 턴-오프 레벨을 가지면, 상기 충방전 스위칭 신호가 턴-온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으로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태양 전지; 상기 태양 전지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큰 경우 유기받은 잉여 전력을 충전하고,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작은 경우 충전된 전력을 방전하는 충방전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태양전지의 출력 전력과 계통 순시 전력 간의 차이에 따라 잉여 전력을 충전하거나 모자라는 전력을 보충하여 입력단에 리플 제거용의 캐패시터를 채용하지 않거나, 용량이 작은 캐패시터를 채용할 수 있어 전해 캐패시터 채용에 의한 제품의 수명 저감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태양전지의 출력 전력과 계통 순시 전력의 파형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에 채용된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의 주요 부분의 전압 파형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는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태양광 전력 시스템은 태양 전지(100),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 전지(100)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20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전압 레벨을 갖는 교류 전원으로 변환될 수 있다. 태양 전지(100) 및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20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200)로부터의 교류 전원은 연계된 상용 전력 계통(3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태양전지의 출력 전력과 계통 순시 전력의 파형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태양전지의 출력 전력은 식별부호 a와 같이 일정한 값의 전력을 가질 수 있으며, 계통 순시 전력은 식별부호 b와 같이 교류 신호의 파형을 가질 수 있다.
계통 순시 전력은 한주기(e)에 맞게 순시적으로 변화는 값을 가지며, 입력 전원과 출력 전원 간의 전력차는 식별부호 c 및 d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태양 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이 계통 순시 전력보다 클 경우 그 차이만큼의 잉여 전력이 입력단의 입력 캐패시터에 충전될 수 있고, 반대로, 태양 전지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이 계통 순시 전력보다 작을 경우 그 차이만큼 계통에 전달되는 전원의 부족분으로 나타나므로 입력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력이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캐패시터는 충분한 전력을 충방전하기 위해 고용량의 전해 캐패시터가 채용될 수 있으나, 이는 회로 면적의 증가와 제품의 수명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200)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부(210), 충방전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직류-교류 전력 변환부(210)는 컨버터(211) 및 인버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버터(211)는 태양전지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S1); 스위치(S1)의 스위칭에 의한 전원을 입력받는 일차 권선(P)과, 상기 일차 권선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권선비에 따른 전압 레벨을 갖는 전원을 출력하는 이차 권선(S)과,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큰 경우 잉여 전력을 유기받아 충방전부(220)에 전달하고,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작은 경우 충방전부(220)로부터 방전된 전력을 전달받는 삼차 권선(A)을 갖는 트랜스포머(T); 트랜스포머(T)의 이차 권선(S)으로부터의 전원 출력을 스위칭하는 출력 스위치(S2); 출력 스위치(S2)에 의해 스위칭된 전원의 출력 경로를 제공하는 출력 다이오드(D); 및 출력 다이오드(D)로부터의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출력 캐패시터(C)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포머(T)는 자화 인덕턴스(Lm)와 누설 인덕턴스(Llkg)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컨버터(211)는 일차측의 스위칭시 발생되는 잉여 전력을 소비하는 스너버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212)는 컨버터(211)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회로(212a); 및 인버터 회로(212a)로부터의 변환된 교류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안정화 회로(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버터(211)로부터의 직류 전원은 일정한 전압 레벨을 갖는 제1 직류 전원일 수 있으나, 사인(sine)파 신호가 정류된 형태인 언폴딩(unfolding) 전원일 수 있다. 이는 교류 전원으로의 변환이 용이하여 출력 캐패시터(C)의 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저용량의 캐패시터를 채용할 수 있어 제조 비용 및 회로 면적을 저감시킬 수 있고 제품의 수명 저감을 방지할 수 있다.
충방전부(220)는 태양 전지(100)로부터의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계통 전력에 제공되는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큰 경우 스위칭 동작하여 발생된 잉여 전력의 충전 경로를 제공하는 충전 스위치(M1); 태양 전지(100)로부터의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계통 전력에 제공되는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작은 경우 스위칭 동작하여 충전된 전력의 방전 경로를 제공하는 방전 스위치(M2); 충전 스위치 및 방전 스위치(M1,M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전원을 충전 또는 방전하는 캐패시터부(C) 및 충전 스위치 및 방전 스위치(M1,M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에너지를 충방전하는 인덕터(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직류-교류 전력 변환부(210)의 컨버팅, 출력 경로 형성 및 인버팅 동작을 위한 스위치와, 충방전부(220)의 충방전 스위치(S1,S2,S3,S4,S5,S6,M1,M2)의 각 스위칭 동작은 제어부(2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스위치와 방전 스위치(M1,M2)는 서로 교번하여 스위칭 온/오프될 수 있으며, 충방전부(220)는 태양 전지(100)로부터의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과 계통 전력에 제공되는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 간의 차이에 따라 트랜스포머(T)의 3차 권선(A)에 유기된 잉여 전력이 충전되거나, 모자라는 전력을 채우기 위해 방전되어 입력단에서 발생하는 리플 성분을 보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캐패시터(Cin)의 용량이 저감되어 전해 캐패시터가 아닌 필름 캐패시터 또는 세라믹 캐패시터를 채용하거나, 입력 캐패시터(Cin) 자체를 채용하지 않을 수 있어, 전해 캐패시터 채용에 의한 제품의 수명 저감을 억제하거나, 캐패시터 채용에 의한 제조 비용 및 회로 면적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단위로 복수개 채용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태양전지로부터의 직류 전원은 복수개의 직류-교류 전력 변환 모듈(200) 각각으로부터 교류 전원으로 변환되어 연계된 상용 전력 계통(3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에 채용된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과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30)는 컨버터 제어부(231)와 충방전 제어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버터 제어부(231)는 최대 전력점 추종 제어기(231a), 연산기(231b), 이득기(231c), 비교기(231e) 및 논리 연산기(231f)를 포함할 수 있으며, 최대 전력점 추종 제어기(231a)는 태양전지로부터의 직류 전원의 전압 정보(Vpv)와 전류 정보(Ipv)에 기초하여 태양 전지로부터의 직류 전원이 최대 전력을 유지할 수 있는 최대 전력점을 추종할 수 있다.
최대 전력점 제어기(231a)의 출력 전압(Vsm)은 이득기(231c)의 설정된 이득값에 곱해져 기준신호 생성기(231d)로부터의 반송파와 비교기(231e)를 통해 비교되어 전원 스위칭 신호(Vs1)이 생성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칭 신호(Vs1)의 듀티는 하기의 수식1을 통해 이득값을 산정하여 최대 전력점 제어기(231a)의 출력 전압(Vsm)에 그 이득값을 곱해주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류-교류 변환 장치(200)가 플라이백 방식으로 컨버팅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불연속 도통 모드로 동작하여야 하므로, 트랜스포머(T)의 자화 인덕턴스(Lm)은 다음의 수식1과 같을 수 있다.
(수식1)
Figure pat00001

상기한 수식1에서의 자화 인덕턴스(Lm) 값에 따라 스위치의 듀티(D)는 다음의 수식2와 같을 수 있다.
(수식2)
Figure pat00002

출력 스위칭 신호(Vs2) 및 충방전 스위칭 신호(VM1,VM2)의 지령치는 계통 전압에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전압 정보를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충방전 제어부(232)는 복수의 이득기(232a, 232e, 232h), 복수의 연산기(232b, 232c, 232e, 232f, 232g, 232i, 232j, 232k, 232l), 복수의 비교기(232m, 232n, 232o, 232p) 및 복수의 논리 연산기(232q, 232r, 232s, 232t, 232u, 232v)를 포함할 수 있다.
교류 전원의 전압 정보(VAC)는 사전에 설정된 이득(K1,K2,K3)이 곱해지고, 절대값이 취해져 출력 스위칭 신호(Vs2) 및 충방전 스위칭 신호(VM1,VM2)의 지령치를 설정할 수 있다.
출력 스위칭 신호(Vs2)의 이득값(K1)은 하기의 수식4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이는 플라이백 컨버터의 턴 오프 시간 산정 수식인 수식3으로부터 정의될 수 있다. 수식3의 값은 턴 오프 구간의 최소값으로 출력 스위치(S2)의 듀티는 수식4로부터 구해진 값보다 커야된다.
(수식3)
Figure pat00003
(수식4)
Figure pat00004
충방전부(220)의 충방전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충방전 스위칭 신호(VM1,VM2)의 지령치는 충방전 스위칭 신호(VM1,VM2)의 최대 듀티를 최대 전력점 추종 제어기(231a)의 출력 전압값(VSM)에 곱하고 이를 언폴딩 전원의 지령치와 곱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각 지령치와 반송파는 비교기(232m, 232n, 232o, 232p)에 의해 비교되어 출력되며, 복수의 논리 연산기(232q, 232r, 232s, 232t, 232u, 232v)는 신호 동기화 회로를 형성하여, 전원 스위칭 신호(Vs1)이 턴 오프 레벨을 가진 후 나머지, 출력 스위칭 신호(Vs2) 및 충방전 스위칭 신호(VM1,VM2)가 턴 온 레벨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의 주요 부분의 전압 파형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와 함께,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스위칭 신호(Vs1)의 지령치는 최대 전력점 추종 제어기(231a)의 출력 전압값(VSM)에 이득값(Kp)을 곱하여 생성되고, 첫번째 파형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출력 스위칭 신호(Vs2)의 지령치는 전원 스위칭 신호(Vs1)의 지령치에 언폴딩 전원의 지령치를 더해진 형태로 그 최대값은 수식2에서 구한 값일 수 있다.
충전 스위칭 신호 및 방전 스위칭 신호(VM1,VM2)의 지령치는 정류된 계통 전압 정보로 부터 얻어질 수 있으며, 전원 스위칭 신호(Vs1)가 턴 오프 레벨을 가지면, 턴 온 레벨을 가질 수 있다.
두번째 파형 그래프와 세번째 파형 그래프는 충방전 스위칭 신호(VM1,VM2)에 의한 입력 캐패시터(Cin)의 방전에너지량과 충전 에네지량을 각각 나타내며, 네번째 파형 그래프 내지 일곱번째 파형 그래프는 각각 전원 스위칭 신호, 충전 스위칭 신호, 방전 스위칭 신호 및 출력 스위칭 신호(Vs1,VM1,VM2,Vs2)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전지의 출력 전력과 계통 순시 전력 간의 차이에 따라 잉여 전력을 충전하거나 모자라는 전력을 보충하여 입력단에 리플 제거용의 캐패시터를 채용하지 않거나, 용량이 작은 캐패시터를 채용할 수 있어 전해 캐패시터 채용에 의한 제품의 수명 저감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200: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210: 직류-교류 전력 변환부
211: 컨버터
212: 인버터
212a: 인버터 회로
212b: 안정화 회로
220: 충방전부
230: 제어부
231: 메인 스위칭 제어부
232: 충방전 제어부

Claims (26)

  1.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큰 경우 유기되는 잉여 전력을 충전하고,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작은 경우 충전된 전력을 방전하는 충방전부
    를 포함하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큰 경우 스위칭 동작하여, 유기된 잉여 전력의 충전 경로를 제공하는 충전 스위치;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작은 경우 스위칭 동작하여, 충전된 전력의 방전 경로를 제공하는 방전 스위치; 및
    상기 충전 스위치 및 방전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전력을 충전 또는 방전하는 캐패시터부
    를 포함하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위치와 상기 방전 스위치는 서로 교번하여 스위칭 온/오프하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캐패시터부와 LC 공진하여 상기 충전 스위치 및 상기 방전 스위치의 소프트 스위칭 동작을 제공하는 인덕터부를 더 포함하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교류 전력 변환부는
    상기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제1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및
    상기 제1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교류 전원을 변환하는 인버터
    를 포함하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상기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에 의한 전원을 입력받는 일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권선비에 따른 전압 레벨을 갖는 전원을 출력하는 이차 권선과,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큰 경우 잉여 전력을 유기받아 상기 충방전부에 전달하고,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충방전부로부터 방전된 전력을 전달받는 삼차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의 이차 권선으로부터의 전원 출력을 스위칭하는 출력 스위치;
    상기 출력 스위치에 의해 스위칭된 전원의 출력 경로를 제공하는 출력 다이오드; 및
    상기 출력 다이오드로부터의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출력 캐패시터
    를 포함할 수 있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제1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회로; 및
    상기 인버터회로로부터의 변환된 교류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안정화 회로
    를 포함하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원의 변동에 의해 발생되는 입력단의 리플을 저감시키는 입력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류 전원은 사인(sine) 파형의 신호가 정류된 형태인 언폴딩(unfolding) 전원인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교류 전력 변환부의 전원 스위칭 및 상기 충방전부의 충방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류 전원의 전압 및 전류 정보에 기초한 최대 전력점의 전압과 사전에 설정된 반송파의 비교에 따라 설정된 듀티를 갖는 전원 스위칭 신호 및, 상기 교류 전원에 따라 설정된 듀티를 갖는 출력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컨버터 제어부; 및
    상기 최대 전력점의 전압 정보에 따라 설정된 듀티를 갖는 충방전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충방전 제어부
    를 포함하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 제어부는
    상기 최대 전력점의 전압에 사전에 설정된 제1 이득을 곱하여 상기 전원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원 스위칭 신호에 상기 제1 직류 전원을 상기 출력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칭 신호가 턴-오프 레벨을 가지면, 상기 충방전 스위칭 신호가 턴-온 레벨을 갖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14. 태양광을 집광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태양 전지;
    상기 태양 전지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교류 전력 변환부; 및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큰 경우 유기되는 잉여 전력을 충전하고,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작은 경우 충전된 전력을 방전하는 충방전부
    를 포함하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큰 경우 스위칭 동작하여, 유기된 잉여 전력의 충전 경로를 제공하는 충전 스위치;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작은 경우 스위칭 동작하여, 충전된 전력의 방전 경로를 제공하는 방전 스위치; 및
    상기 충전 스위치 및 방전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전력을 충전 또는 방전하는 캐패시터부
    를 포함하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스위치와 상기 방전 스위치는 서로 교번하여 스위칭 온/오프하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캐패시터부와 LC 공진하여 상기 충전 스위치 및 상기 방전 스위치의 소프트 스위칭 동작을 제공하는 인덕터부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교류 전력 변환부는
    상기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사전에 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제1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및
    상기 제1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교류 전원을 변환하는 인버터
    를 포함하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상기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에 의한 전원을 입력받는 일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권선비에 따른 전압 레벨을 갖는 전원을 출력하는 이차 권선과,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큰 경우 잉여 전력을 유기받아 상기 충방전부에 전달하고, 상기 직류 전원의 전력 레벨이 상기 교류 전원의 전력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충방전부로부터 방전된 전력을 전달받는 삼차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의 이차 권선으로부터의 전원 출력을 스위칭하는 출력 스위치;
    상기 출력 스위치에 의해 스위칭된 전원의 출력 경로를 제공하는 출력 다이오드; 및
    상기 출력 다이오드로부터의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출력 캐패시터
    를 포함할 수 있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제1 직류 전원을 스위칭하여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 회로; 및
    상기 인버터회로로부터의 변환된 교류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안정화 회로
    를 포함하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원의 변동에 의해 발생되는 입력단의 리플을 저감시키는 입력 캐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류 전원은 사인(sine) 파형의 신호가 정류된 형태인 언폴딩(unfolding) 전원인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교류 전력 변환부의 스위칭 및 상기 충방전부의 충방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류 전원의 전압 및 전류 정보에 기초한 최대 전력점의 전압과 사전에 설정된 반송파의 비교에 따라 설정된 듀티를 갖는 전원 스위칭 신호 및, 상기 교류 전원에 따라 설정된 듀티를 갖는 출력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컨버터 제어부; 및
    상기 최대 전력점의 전압 정보에 따라 설정된 듀티를 갖는 충방전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충방전 제어부
    를 포함하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 제어부는
    상기 최대 전력점의 전압에 사전에 설정된 제1 이득을 곱하여 상기 전원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원 스위칭 신호에 상기 제1 직류 전원을 상기 출력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칭 신호가 턴-오프 레벨을 가지면, 상기 충방전 스위칭 신호가 턴-온 레벨을 갖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KR1020120107731A 2012-09-27 2012-09-27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갖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KR20140040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731A KR20140040985A (ko) 2012-09-27 2012-09-27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갖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US13/770,938 US20140085944A1 (en) 2012-09-27 2013-02-19 Dc-ac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solar power supply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731A KR20140040985A (ko) 2012-09-27 2012-09-27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갖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985A true KR20140040985A (ko) 2014-04-04

Family

ID=5033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731A KR20140040985A (ko) 2012-09-27 2012-09-27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갖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085944A1 (ko)
KR (1) KR2014004098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565B1 (ko) * 2015-04-15 2016-03-0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싱글 스테이지 포워드-플라이백을 이용한 태양광 마이크로 인버터
KR101849901B1 (ko) * 2018-02-01 2018-04-17 주식회사 온누리이엔지 저전압-대전류 방식에 적합한 3상 인터리브드 태양광 컨버터
KR101949801B1 (ko) * 2018-10-18 2019-02-19 윤원식 폐축전지의 잔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사용방법
KR20190133821A (ko) * 2018-05-24 2019-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WO2020054959A1 (ko) * 2018-09-14 2020-03-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연계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dc-dc 컨버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9394B1 (fr) * 2014-03-25 2017-08-25 Winslim Dispositif de charge
US10186908B2 (en) * 2015-08-04 2019-01-22 Ningbo Weie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Efficient power transmitting terminal,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method
KR102022705B1 (ko) * 2017-11-13 2019-09-18 주식회사 이진스 전기자동차용 충전 및 저전압 변환 복합회로
WO2021253368A1 (en) * 2020-06-19 2021-12-23 Hunan University Coordinated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wind turbine and statcom for suppressing unbalanced voltage in dispersed wind farm
KR102528007B1 (ko) * 2020-12-21 2023-05-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대용량 양방향 절연형 dc-dc 컨버터 어셈블리 및 냉각구조
US11923763B1 (en) 2022-08-23 2024-03-05 Halo Microelectronics International Ripple cancell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N115242078B (zh) * 2022-09-22 2023-01-06 广东希荻微电子股份有限公司 功率因数校正电路及方法、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7261A (en) * 1992-06-23 1994-02-15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Power conversion using zero current soft switching
JP3938083B2 (ja) * 2003-03-28 2007-06-27 ソニー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101089906B1 (ko) * 2010-04-02 2011-12-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최대 전력점 추종기, 전력 변환 제어기, 절연형 구조의 전력 변환 장치 및 그 최대 전력 추종 방법
KR101208252B1 (ko) * 2010-12-21 2012-12-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에너지 발전시스템의 최대전력점 추종을 위한 전류 지령치 생성방법 및 장치
US8953350B2 (en) * 2011-04-08 2015-02-10 Sunedison, Inc. Photovoltaic power converters
KR101214676B1 (ko) * 2011-04-20 2012-12-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전지 발전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565B1 (ko) * 2015-04-15 2016-03-0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싱글 스테이지 포워드-플라이백을 이용한 태양광 마이크로 인버터
KR101849901B1 (ko) * 2018-02-01 2018-04-17 주식회사 온누리이엔지 저전압-대전류 방식에 적합한 3상 인터리브드 태양광 컨버터
KR20190133821A (ko) * 2018-05-24 2019-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
WO2020054959A1 (ko) * 2018-09-14 2020-03-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연계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dc-dc 컨버터 및 그 제어방법
US11626798B2 (en) 2018-09-14 2023-04-11 Lg Innotek Co., Ltd. DC-DC converter for solar linked energy storag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49801B1 (ko) * 2018-10-18 2019-02-19 윤원식 폐축전지의 잔류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85944A1 (en)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0985A (ko) 직류-교류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갖는 태양광 전력 공급 장치
US11128236B2 (en) Multi-winding single-stage multi-input boost type high-frequency link's inverter with simultaneous/time-sharing power supplies
US10404071B2 (en) Power system for multiple power sources
Tseng et al. High step-up converter with three-winding coupled inductor for fuel cell energy source applications
US9413271B2 (en) Power conversion system with a DC to DC boost converter
Gautam et al. A comparison of soft-switched DC-to-DC converters for electrolyzer application
Gu et al. High boost ratio hybrid transformer DC–DC converter for photovoltaic module applications
US8928176B2 (en) Energy storage system
CN103441566A (zh) 一种市电、光伏电池和储能电池协同供电***及方法
US10056847B2 (en) Hybrid power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efficiency using the same
KR102136564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iu et al. Multiport DC/DC Converter for stand-alone photovoltaic lighting system with battery storage
Ryu et al. Test bed implementation of 380V DC distribution system using isolated bidirectional power converters
Chiu et al. A DC/DC converter topology for renewable energy systems
Wei et al. A hybrid half-bridge LLC resonant converter and phase shifted full-bridge converter for high step-up application
KR101426696B1 (ko) 계통 연계 모듈형 태양광 전력 변환 장치
CN103208923A (zh) 高频交流方波输入-直流输出的功率变换器及其控制方法
Saranya et al. Design of Grid Independent EV Charging Station
Gautam et al. Two-stage soft-switched converter for the electrolyser application
Yang et al. A topology morphing multi-element resonant converter with wide voltage gain range
KR100999228B1 (ko) 고전압 이득을 갖는 부스트 컨버터
EP3316467A2 (en) Power system for multiple power sources
US20130100717A1 (en) Dc-ac power converting apparatus and solar power supply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40301113A1 (en) Solar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hereof
Swarnkar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isolated and non-isolated Bi-directional DC-DC converters for DC microgr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