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7075A - 에폭시에이코사트리엔산 유사체 및 이를 제조하고 이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에폭시에이코사트리엔산 유사체 및 이를 제조하고 이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7075A
KR20140037075A KR1020137029507A KR20137029507A KR20140037075A KR 20140037075 A KR20140037075 A KR 20140037075A KR 1020137029507 A KR1020137029507 A KR 1020137029507A KR 20137029507 A KR20137029507 A KR 20137029507A KR 20140037075 A KR20140037075 A KR 20140037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mr
mhz
mmol
eet
eto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9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데이비드 아이미그
윌리엄 비. 캠프벨
존 루쎌 팔크
Original Assignee
엠씨더블유 리써치 파운데이션,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172875&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3707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엠씨더블유 리써치 파운데이션, 인크. filed Critical 엠씨더블유 리써치 파운데이션,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037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70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38Phosphonic acids [RP(=O)(OH)2]; Thiophosphonic acids ; [RP(=X1)(X2H)2(X1, X2 are each independently O, S or Se)]
    • C07F9/40Ester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the group >N—C(O)—N< or >N—C(S)—N<, e.g. urea, thiourea, carmu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45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07C233/4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45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07C233/4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07C233/4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hydrogen atom or to a carbon atom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5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carboxyl groups, e.g. ox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2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nitrogen atoms of amin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further acyl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5/0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5/04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5/2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9/00Sulfonic acids; Halides, esters, or anhydrides thereof
    • C07C309/01Sulfonic acids
    • C07C309/02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09/03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309/13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07C309/14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07C309/15Sulfonic acids having sulf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amino groups being part of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15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311/16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sulfon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n acyclic carbon atom
    • C07C311/18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sulfon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n acyclic carbon atom to an acyclic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15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311/16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sulfon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n acyclic carbon atom
    • C07C311/19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sulfon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n acyclic carbon atom to an acyclic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50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 C07C311/51Y being a hydrogen or a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26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17/28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39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at least one of the nitrogen atoms being part of any of the groups, X being a hetero atom, Y being any atom
    • C07C323/43Y being a hetero atom
    • C07C323/44X or Y being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C07D249/10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49/12Oxygen or 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5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four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5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four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57/04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1/061,2,4-Oxadiazoles; Hydrogenated 1,2,4-oxad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nit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1/061,2,4-Oxadiazoles; Hydrogenated 1,2,4-oxadiazoles
    • C07D271/071,2,4-Oxadiazoles; Hydrogenated 1,2,4-oxadiazoles with oxygen, sulfur or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the 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7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77/34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77/58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aliphatic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said aliphatic radicals being substituted in the alpha-position to the ring by a hetero atom, e.g. with m >= 0, Z being a singly or a doubly bound hetero atom
    • C07D277/593Z being doubly bound oxygen or doubly bound nitrogen, which nitrogen is part of a possibly substituted oximino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77/62Benzothiazoles
    • C07D277/68Benzothi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77/82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8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75/00 - C07D283/00
    • C07D285/01Five-membered rings
    • C07D285/02Thiadiazoles; Hydrogenated thiadiazoles
    • C07D285/04Thiadiazoles; Hydrogenated thiadiazole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85/081,2,4-Thiadiazoles; Hydrogenated 1,2,4-thiad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oxy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oxy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91/04Five-membered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Epoxy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폭시에이코사트리엔산(EET) 효능제로서 작용하고 약물-유발된 신독성, 고혈압 및 다른 관련 질환의 치료에서 약제로서 유용한 EET 유사체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합물 및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용하는 방법이 추가로 기재된다.

Description

에폭시에이코사트리엔산 유사체 및 이를 제조하고 이용하는 방법{EPOXYEICOSATRIENOIC ACID ANALOG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관련 출원의 전후-참조
본 출원은 2011년 4월 6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61/472,410호 및 2012년 3월 8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61/608,361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두 특허 모두는 모든 목적을 위해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정부 지원 연구에 관한 진술
본 발명은 국립 보건원에 의해 수주된 DK38226, HL59699, GM31278, 및 HL51055 하에 정부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정부는 본 발명에서의 일정 권리를 지닌다.
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에폭시에이코소사트리엔산 (EET)의 유사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EET 효능제로서 기능하고 약물-유발된 신독성(nephrotoxicity), 고혈압(hypertension) 및 다른 관련 질환의 치료에서 약제로서 유용한 EET 유사체에 관한 것이다.
에폭시에이코사트리엔산 (EET)은 심장혈관계 및 신장의 단기 호르몬 (즉, 이들은 자가분비 및 주변분비 매개체이다)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신호전달 분자이다. 이들은 항염증 및 프로-섬유소용해 효과는 물론 혈관이완을 제공한다.
고혈압 및 관련 질환. 심장혈관 질환은 미국의 3억 인구 중 팔천백만명을 괴롭히는 질환이고, 그 인구의 칠천오백만명은 고혈압을 지닌다. CYP 에폭시게나제 대사산물은 심장혈관 기능 및 혈압 조절에 이들을 중요한 기여인자로 관련시키는 생물학적 작용을 지닌다.
에폭시에이코사트리엔산 (EET)에 대해 기재된 첫 번째 생물학적 활성 중 하나는 신세뇨관 소듐 재흡수의 억제였다. 이어서, EET는 혈관을 확장시키는 것으로 밝혀졌고 내피-유래 과분극 인자(EDHF)로서 확인되었다. 이러한 생물학적 작용은 EET가 혈압을 낮추는데 기여하고 염-민감성 고혈압을 예방하는 에이코사노이드일 것이라는 생각과 일치한다.
EET의 변경된 수준은 인간에서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CYP 에폭시게나제 유전자에서 단일 뉴클레오티드 다형태는 고혈압과 관련이 있다. 설치류에서의 실험적 연구는 또한 신장 CYP 에폭시게나제 효소 및/또는 EET 수준이 감소된 질환에서 고혈압을 설명하였다. 11,12-EET-SI, 11,12-EET 유사체를 이용하여 EET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은 시험관내 신장 들세동맥 기능을 향상시켰다.
현재, EET 수준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용성 에폭사이드 하이드롤라제 억제제 (sEHI)가 생체내 이용되며 이는 11,12-EET 및 14,15-EET 및 더 적은 한도의 8,9-EET의 일반적 증가를 발생시켰다. 최근의 생체내 연구는 EET 유사체가 고혈압 랫트에서 혈압을 낮추며, 또한 헴(heme)-옥시게나제 2 결핍 마우스에서 대사 증후군 표현형을 개선시키고 지방증-관련 혈관 및 신 장애를 예방함을 입증하였다. 이것은 마치 NUDSA와 같은 EET 효능제의 일부가 또한 sEH을 억제하고 CYP2C 에폭시게나제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NUDSA에 대해 기재된 이러한 유형의 조합 활성은 추가적인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었다. 총괄해 보면, 이러한 발견으로 인해 고혈압의 치료를 위해 CYP 에폭시게나제 경로 및 EET를 표적화하는데 관심이 생겼다.
비록 EET가 혈압 조절에 필수적인 신세뇨관 운반 및 혈관 기능에 효과를 지닐지라도, EET에 기인한 추가적인 생물학적 작용은 이들을 그 밖의 심장혈관 질환을 위한 우수한 치료적 표적으로 만들었음이 명백해졌다. EET에 대해 입증된 이러한 추가의 활성은 혈소판 응집의 억제 및 항염증을 포함한다. EET는 또한 혈관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혈관 이동 및 증식에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ET는 심장혈관 질환과 관련된 종말 기관 장애, 심장 허혈 손상(cardiac ischemic injury),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및 뇌졸중(stroke)에 대한 치료적 표적이 되었다.
EET 효능제 및 sEHI에 대한 치료적 잠재력은 고혈압 및 심장혈관 질환을 넘어서 확장될 수 있었다. 허혈 손상으로부터의 신경 보호는 혈관 및 뉴런에 대한 sEHI 작용에 기인하였다. sEHI가 뇌 및 심장에서 아폽토틱 신호전달 케스캐이드에 대한 효과를 통해 허혈 장애로부터의 보호를 제공한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다. EET 효능제 및 sEHI는 또한 다양한 실험 동물 모델에서 동통을 조절하는 것이 입증되었다. EET 효능제에 대한 그 밖의 가능한 치료적 용도는 이러한 작용제를 그 밖의 질환 모델에서 시험했을 때 발견되리라 확신한다.
따라서, 고혈압 및 관련 심장혈관 및 신경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서 활성인 신규한 EET 효능제에 대한 요구가 당업계에 존재한다.
약물-유발된 신독성 .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이용되는 수많은 약물의 일반적인 부작용은 신독성이다. 예를 들어, 백금-기반 무기 화합물인 시스플라틴은 난소, 폐, 고환 및 방광암을 포함하는 다양한 악성종양을 치료하는데 이용가능한 가장 효능 있고 광범하게 이용되는 화학요법제 중 하나이다. 비록 시스플라틴이 임상에서 중요한 화학요법 약물로서 이용되긴 하나, 이것은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부작용을 지닌다. 이러한 부작용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은 신독성 (시스플라틴으로 치료된 환자의 25-40%에서 급성 신부전이 발생한다)인데, 이는 광범하게 사용되는 이러한 화학치료제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이용을 제한한다. 시스플라틴-유발된 신독성의 병태생리학은 증가된 산화 스트레스, 염증, 증가된 소포체 (ER) 스트레스 및 신세포 아폽토시스를 포함한다.
EET는 항염증, 항산화 및 항아폽토틱 활성을 포함하는 다수의 생물학적 작용을 발휘하는 중요한 지질 매개체이다. 많은 연구는 EET가 항염증, 항아폽토틱 및 항산화 활성에 의해 강력한 기관 보호 잠재력을 소유함을 입증하였다. 예를 들어, 가용성 에폭사이드 하이드롤라제 (sEH) 억제제에 의해 EET의 그 덜 활성인 형태로의 감소된 전환에서 비롯된 증가된 EET 생체이용률은 인간 질환의 다수의 임상전 모델에서 신장 보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는 EET의 신장 보호 효과가 EET의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와 관련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실제로, EET가 급성 및 만성 염증에 대해 항염증 효과를 지닌다는 강력한 증거가 존재한다. 염증과 별도로, EET는 또한 아폽토시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한다. 따라서, 항염증, 항아폽토틱 및 항산화 활성을 포함하는 메카니즘에 의해 기관을 보호하는 EET의 능력에 대한 강력한 증거가 존재한다.
그러나, 내인성으로 생산된 EET는 화학적으로 그리고 대사적으로 불안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빠른 대사, 낮은 가용성 및 저장 문제는 EET의 치료적 유망성을 제한한다. 이와 같이 EET의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만드는데 있어서 상당한 관심이 생기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안정성 및 생체-이용성에 중요한 여러 중요 특징과 함께 EET-유사 활성을 소유하는 EET 유사체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여러 그러한 EET 유사체는 기관 보호를 포함하는 다수의 생물학적 활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본 발명자들은 새롭게 개발된 두 경구 활성인 EET 유사체의 시스플라틴-유발된 신독성에서의 신장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EET 유사체가 시스플라틴 투여 동안 현저한 신보호를 제공하였고 이러한 효과는 이들의 항산화, 항염증, 항ER 스트레스 및 항아폽토틱 활성과 관련된 것임을 입증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EET 유사체가 시스플라틴의 유독한 신독성 효과로부터 신장을 보호하는 한편, 시스플라틴의 화학치료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았음을 추가로 입증하였다.
따라서, 시스플라틴의 유독한 신독성 효과에 대한 치료제로서 활성인 신규한 EET 유사체가 당업계에서 요구된다.
발명의 개요
여기서, 본 발명자들은 에폭시에이코사트리엔산 (EET) 유사체의 신규한 조성물 및 심장혈관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이의 이용 방법, 특히 항고혈압제로서의 상기 조성물의 용도를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첫 번째 양태에서 14,15-EET 유사체인 특정 화합물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지닌다.
Figure pct00001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화합물 7 및 30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되고 청구된 화합물 1-33 중 어느 것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특정 구체예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본원에 기재되고 청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은 피검체에서 고혈압의 치료를 제공하고, 피검체에서 혈압의 감소를 초래하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그러한 방법은 본원에 기재되고 청구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합물 1-33 중 어느 것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피검체에게 투여하여, 피검체에서 혈압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화합물 7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화합물 30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를 지니는 EET 유사체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02
또한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피검체에서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상기 기재된 14,15-EET 유사체들 중 어느 것의 용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검체에서 고혈압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추가로 고려한다.
본 발명은 피검체에서 약물-유발된 신독성을 치료하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피검체에서 시스플라틴의 유독한 신독성 효과에 대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한 방법은 본원에 기재되고 청구된 치료적 유효량의 화합물을 피검체에게 투여하여, 피검체에서 약물의 유독한 신독성 효과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명세서, 청구범위 및 도면의 검토 후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표 1의 EET 유사체 화합물 26에 상응하는 화학적 구조 SRD-I-71-9를 묘사한다. 도 1b는 비히클 또는 화합물 26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자연발생 고혈압 랫트에서 치료 일수의 함수로서 측정된 평균 혈압을 도시한다. 도 1c는 비히클 또는 화합물 26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자연발생 고혈압 랫트에서 0일, 7일 및 14일에 측정된 평균 혈압을 도시한다.
도 2a는 표 1의 EET 유사체 화합물 20에 상응하는 화학적 구조 LGK-I-119-15를 묘사한다. 도 2b는 비히클 또는 화합물 20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자연발생 고혈압 랫트에서 치료 일수의 함수로서 측정된 평균 혈압을 도시한다. 도 2c는 비히클 또는 화합물 20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자연발생 고혈압 랫트에서 0일, 7일 및 14일에 측정된 평균 혈압을 도시한다.
도 3a는 표 1의 EET 유사체 화합물 7에 상응하는 화학적 구조 JLJ-I-94-6을 묘사한다. 도 3b는 비히클 또는 화합물 7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자연발생 고혈압 랫트에서 치료 일수의 함수로서 측정된 평균 혈압을 도시한다. 데이터는 12시간 평균치로서 그래프로 나타낸다. 화합물은 14일간 i.p. 전달되었다. 도 3c는 비히클 또는 화합물 7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자연발생 고혈압 랫트에서 처음 치료에 비해 0일, 7일 및 14일에 측정된 평균 혈압을 도시한다.
도 4a는 표 1의 EET 유사체 화합물 30에 상응하는 화학적 구조 MV-IV-110-20을 묘사한다. 도 4b는 비히클 또는 화합물 30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자연발생 고혈압 랫트에서 치료 일수의 함수로서 측정된 평균 혈압을 도시한다. 데이터는 12시간 평균치로서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4c는 비히클 또는 화합물 30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자연발생 고혈압 랫트에서 0일, 7일 및 14일에 측정된 평균 혈압을 도시한다.
도 5a는 비히클 또는 화합물 7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안지오텐신 II 유발된 고혈압 랫트에서 치료 일수의 함수로서 측정된 평균 혈압을 도시한다. 데이터는 12시간 평균치로서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5b는 비히클 또는 화합물 7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안지오텐신 II 유발된 고혈압 랫트에서 0일, 7일 및 14일에 측정된 평균 혈압을 도시한다.
도 6a는 비히클 또는 화합물 30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안지오텐신 II 유발된 고혈압 랫트에서 치료 일수의 함수로서 측정된 평균 혈압을 도시한다. 데이터는 12시간 평균치로서 그래프로 나타낸다. 도 6b는 비히클 또는 화합물 30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안지오텐신 II 유발된 고혈압 랫트에서 0일, 7일 및 14일에 측정된 평균 혈압을 도시한다.
도 7: EET 유사체, EET-A 및 EET-B 또는 비히클로 미리 처리된 시스플라틴 투여된 랫트에서 (a) 혈장 크레아티닌, (b) 혈중 우레아 니트로겐 (BUN), (c) 신장 손상 분자-1, 및 (d) 소변 NA G. *p<0.05 vs. 정상 위스타르 쿄토랫트(Wistar Kyotorat); #p<0.05 vs. 시스플라틴 투여된 비히클 처리된 랫트. 데이터는 평균±SEM으로서 표시되었고, n=5-7이다.
도 8a: 산출된 캐스트(cast)에 따라 관상 캐스트 형성을 묘사하는 Periodicacid-Schiff(PAS) 염색 (200x)의 대표적인 현미경 사진은 상이한 실험 그룹의 신장 피질 부분에서의 분획(%)이다. *p<0.05 vs. 정상 위스타르 쿄토랫트; #p<0.05 vs. 비히클 처리된 랫트. 데이터는 평균±SEM으로서 표시되었고, n=5-7이다.
도 8b: 상이한 실험 그룹의 신장 수질 부분에서 산출된 캐스트 면적 분획(%)에 따른 관상 캐스트 형성을 묘사하는 Periodicacid-Schiff(PAS) 염색 (200x)의 대표적인 현미경 사진. *p<0.05 vs. 정상 위스타르 쿄토랫트; #p<0.05 vs. 비히클 처리된 랫트. 데이터는 평균±SEM으로서 표시되었고, n=5-7이다.
도 9: EET 유사체 A, B 또는 비히클로 처리된 시스플라틴 투여된 랫트에서 (a) NOX1, (b) gp91Phox, (d) SOD1, (e) SOD2, (f) SOD3의 RNA 발현의 RT-PCR 분석 형태 및 (c) 신장 티오바르비투르산-반응성 물질(TBARS)의 측정. *p<0.05 vs. 정상 위스타르 쿄토랫트; #p<0.05 vs. 비히클로 미리 처리된 시스플라틴 투여된 랫트. 데이터는 평균±SEM으로서 표시되었고, n=5-7이다.
도 10: EET 유사체 EET-A 및 EET-B 또는 비히클로 미리 처리된 시스플라틴 투여된 랫트에서 염증 마커 유전자 TNF-α(a), IL-6 (b) 및 IL-1β (c)의 신장 발현. *p<0.05 vs. 정상 위스타르 쿄토랫트; #p<0.05 vs. 비히클로 미리 처리된 시스플라틴 투여된 랫트. 데이터는 평균±SEM으로서 표시되었고, n=5-7이다.
도 11: EET 유사체 EET-A 및 EET-B 또는 비히클로 처리된 시스플라틴 투여된 랫트에서 소포체 스트레스 마커 유전자 GRP78/BiP(a) 및 카스파제12 (b)의 신장 발현. *p<0.05 vs. 정상 위스타르 쿄토랫트; #p<0.05 vs. 비히클 처리된 투여 랫트. 데이터는 평균±SEM으로서 표시되었고, n=5-7이다.
도 12: 상이한 실험 그룹에서 신장 피질 카스파제 3 활성 (a) 및 항-아폽토틱 유전자 Bcl2의 신장 발현 (b). 상이한 실험 그룹에서 항아폽토틱 유전자 Bcl2 및 아폽토틱 유전자 Bak (c) 및 Bax (d)의 신장 발현간의 비. *p<0.05 vs. 정상 위스타르 쿄토랫트; #p<0.05 vs. 비히클 처리된 시스플라틴 투여된 랫트. 데이터는 평균±SEM으로서 표시되었고, n=5-7이다.
도 13A: 정상 신장 세포(HEK293) 및 암 세포(Hela, U87, NCCIT)에서 시스플라틴의 세포독성 효과.
도 13B: HEK293, Hela, U87, NCCIT의 세포 성장에 대한 EET 유사체 EET-A의 효과. EET-A는 NCCIT 암 세포에서 시스플라틴의 화학치료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데이터는 평균±SEM으로서 표시되었고, n=5-7이다.
도 14: EET 유사체 EET-A 및 EET-B의 구조.
도 15: EET-B의 합성.
도 16a: EET-A의 합성.
도 16b: EET-A의 대안적인 합성.
발명의 상세한 설명
I. 개괄
본 발명의 물질 및 방법을 개시하기 전에,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방법, 프로토콜, 물질 및 시약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며, 그 이유는 이들이 다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기술할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어떠한 이후에-출원된 정식 출원에 의해서만 제한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달리 명백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대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용어 "하나", "하나 이상" 및 "적어도 하나"는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함유하는", "포함하는" 및 "지니는"이라는 용어도 상호교환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비록 본원에 기재된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어떠한 방법 및 물질이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이용될 수 있을지라도, 바람직한 방법 및 물질은 여기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된 모든 간행물 및 특허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는 간행물에서 보고된 화학제, 기계, 통계 분석 및 방법을 기재하고 기술하는 것을 포함하는 모든 목적을 위해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모든 참고문헌은 당업자의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본원의 어떤 것도 본 발명이 종래 발명에 의한 그러한 기재에 앞서는 권리가 없음을 용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II. 본 발명
본 발명자들은 본원에서 신규한 EET 유사체, EET 효능제, 및 그 밖의 관련 지질 화합물, 및 그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뿐만 아니라 그러한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 및 고혈압을 치료하고 시스플라틴 신독성 및 관련 질환의 유독한 효과를 치료하는데 있어서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그러한 조성물의 용도를 기재한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화합물이 항고혈압 효과를 나타내고 관련 랫트 모델에서 잘-관용됨을 확인하였다. 복막내 주입, 혈액 주입, 또는 경구 전달을 포함하는 다수의 상이한 전달 옵션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조물이 보다 용해성이 되도록 하는데 리포좀, 마이셀, 및 에멀젼화제를 이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피검체"는 포유동물 및 비포유동물을 의미한다. "포유동물"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인간, 침팬지 및 그 밖의 유인원과 같은 비인간 영장류 및 원숭이 종; 소, 말, 양, 염소 및 돼지와 같은 가축; 토끼, 개 및 고양이와 같은 애완 동물; 설치류, 예컨대 랫트, 마우스, 및 기니아 피그를 포함하는 실험용 동물 등을 포함하는 포유류 강(class) 중의 임의의 구성원을 의미한다. 비포유동물의 예는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류 등을 포함한다. 용어 "피검체"는 특정 연령 또는 성별을 나타내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투여하는" 또는 "투여"는 신체, 바람직하게는 전신 순환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도입시키는 임의의 수단을 포함한다. 예는,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경구, 구강, 설하, 폐, 경피, 경점막뿐 아니라 피하, 복막내, 정맥내 및 근내 주입을 포함한다.
"치료적 유효량"은 질병 또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피검체에게 투여되었을 때, 질병에 대해 그러한 치료를 완수하기에 충분한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적 유효량"은 화합물, 치료하려는 질병 상태, 중증도 또는 치료되는 질환, 피검체의 연령 및 상대적인 건강, 투여 경로 및 형태, 주치의 또는 수의사의 판단, 및 기타 요인에 따라 다양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질환, 병태 또는 질병에 대항하기 위한 환자의 관리 및 케어를 기재한다. 상기 용어는 방지, 즉, 예방, 및 완화 치료 둘 모두를 포함한다. 치료라 함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하여 증상 또는 합병증의 개시를 방지함으로써, 증상 또는 합병증을 완화시키거나 질환, 병태 또는 질병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한다.
화합물은 치료적 유효량으로 환자에게 투여된다.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의 일부로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모두 한 번에, 예를 들어 볼루스(bolus) 주입에 의해 투여될 수 있거나, 예컨대 일련의 정제에 의해 다수회로 투여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경피 전달을 이용하여 소정 시간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전달될 수 있다. 추가로, 화합물의 용량은 시간경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화합물은 즉방출 제형, 제어된 방출 제형,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용어 "제어된 방출"은 서방형, 지연형 방출,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벌크(bulk), 단일 단위 용량 또는 복수의 단일 단위 용량으로서 제조되거나, 패키징되거나 판매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단위 용량"은 소정량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별개의 양이다. 활성 성분의 양은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활성 성분의 투여량 또는 예를 들어 그러한 투여량의 절반 또는 3분의 일과 같은 그러한 투여량의 편리한 분획과 같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중 활성 성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어떠한 추가 성분의 상대적인 양은 치료되는 인간의 신원, 크기 및 상태에 따라서 그리고 추가로 조성물이 투여되어야 하는 경로에 따라서 다양할 것이다. 예로서, 조성물은 0.1% 내지 100% (w/w)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단위 용량은 일반적으로 약 100 mg 내지 약 2 g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200 mg 내지 약 1.0 g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인간에 대한 바람직한 투여량은 1kg당 매일 1회 경구로 투여되는 적은 mg 범위일 것이다. 매일 2회 투여도 허용가능할 것이다.
수가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람직한 화합물은 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유래된 생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거나,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그 밖의 극성 작용기와 같은 치환기로 유도체화될 수 있거나, 리포좀에 포함될 수 있다. 경구 전달을 위해, 화합물은 친지성 작용기로 변형될 수 있거나 능동적으로 흡수되는 분자에 컨쥬게이션될 수 있다. 그 밖의 접근법은 문헌["Strategies to improve oral drug bioavailability", Isabel Gomez-Orellana,Expert Opinion on Drug Delivery, May 2005, Vol. 2, No. 3 : Pages 419-433]에 논의되어 있고, 상기 문헌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지시서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지시서는 인간에서 본원에 개시된 의도 중 하나를 위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용성을 전달하는데 이용되는 출판물, 리코딩, 다이아그램 또는 임의의 다른 표현 매체를 포함한다. 지시서는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적절한 용량을 기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트의 지시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기에 붙어 있거나 약학적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기와 함께 전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시서는 수령인이 지시서 및 약학적 조성물을 협력적으로 이용하게끔 할 의도로 용기와 별도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인간에게 전달하기 위한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키트를 포함한다. 예로서, 전달 장치는 짤 수 있는 스프레이병, 계량-용량 스프레이병,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 아토마이저, 건조 분말 전달 장치, 자항(self-propelling) 용매/분말-분배 장치, 주사기, 바늘, 탐폰, 또는 투여량-측정 용기일 수 있다. 키트는 본원에 기재된 지시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키트는 또한 분리된 조성물을 위한 용기, 예컨대 분리된 병 또는 분리된 포일 패킷을 포함한다. 용기의 추가 예는 주사기, 박스, 백 등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키트는 분리된 성분의 투여를 위한 설명서를 포함한다. 키트 형태는 분리된 성분을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투여 형태 (예컨대, 경구 및 비경구)로 투여하거나, 상이한 투여 간격으로 투여하거나, 처방한 의사에 의해 조합물의 개개 성분의 적정이 요망될 때, 특히 유리하다.
키트 상에는, 예컨대 정제 또는 캡슐 다음에 숫자 형태의 메모리 에이드(memory aid)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그 숫자는 그렇게 명시된 정제 또는 캡슐을 섭취해야 하는 섭생일에 해당된다. 그러한 메모리 에이드의 또 다른 예는 "첫 번째 주, 월요일, 화요일....등....두 번째 주, 월요일, 화요일" 등과 같이 카드 상에 인쇄된 달력이다. 메모리 에이드의 다른 변형이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다. "매일 용량"은 주어진 날에 섭취해야 하는 단일 정제 또는 캡슐 또는 여러 알약 또는 캡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예정된 사용 지시에 따라 한 번에 하나씩 매일 용량을 분배하도록 설계된 분배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분배기에는 메모리 에이드가 구비되어 있어서, 투여 섭생의 준수를 추가로 촉진시킬 수 있다. 그러한 메모리 에이드의 예는 기계적 카운터인데, 이는 분배된 매일 용량의 수를 나타낸다. 그러한 메모리 에이드의 또 다른 예는, 예를 들어 마지막 매일 용량이 섭취된 날을 나타내고/거나 다음 용량이 섭취되어야 하는 날을 상기시키는 액정 리드아웃 또는 가청 리마인더 신호와 커플링된 배터리 마이크로칩 메모리이다.
다른 약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을 임의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 직장, 비경구 (예를 들어, 정맥내, 근내 또는 피하), 수조내, 질내, 복막내, 방광내, 국소적 (예를 들어, 분말, 연고 또는 점적제)으로, 또는 구강 또는 비내 스프레이로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고려되는 그 밖의 제형은 추진된 나노입자, 리포좀 제조물,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재봉합 적혈구, 및 면역학적-기반 제형을 포함한다.
약학적 조성물의 비경구 투여는 인간의 조직의 물리적 파괴를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경로의 투여 및 조직에서의 파괴를 통한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한다. 따라서 비경구 투여는 조성물의 주입, 수술 절개를 통한 조성물의 적용, 조직-침투 비수술적 상처를 통한 조성물의 적용 등에 의해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히, 비경구 투여는 피하, 복막내, 정맥내, 동맥내, 근내, 또는 흉골내 주입 및 정맥내, 동맥내 또는 신장 투석 주입 기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뇌 (vPAG를 통해) 주입, 경막내 주입, 복막내 주입, 또는 혈액 주입에 의해 피검체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주입에 적합한 조성물은 생리적으로 허용되는 살균 수성 또는 비수성 용액, 분산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과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된 활성 성분을 포함하거나, 살균 주입용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 재구성되기 위한 살균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수성 및 비수성 담체, 희석제, 용매 또는 비히클의 예는 물, 등장성 염수, 에탄올, 폴리올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콜 등), 이의 적합한 혼합물, 트리글리세라이드, 예컨대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유, 또는 주입용 유기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올레에이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레시틴과 같은 코팅제를 이용하고/거나, 분산액의 경우 요구되는 입자 크기의 유지에 의해 및/또는 계면활성제의 이용에 의해 적당한 유동성이 유지될 수 있다. 그러한 제형은 볼루스 투여 또는 연속 투여에 적합한 형태로 제조되거나, 패키징되거나 판매될 수 있다. 주입용 제형은 단위 투여 형태, 예컨대 앰풀, 보존제를 함유하는 다중-용량 용기 또는 자가-주입용 또는 의사에 의한 주입용 1회용 장치로 제조되거나, 패키징되거나 판매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현탁액, 용액, 유성 또는 수성 비히클 중 에멀젼, 페이스트, 및 이식가능한 서방형 또는 생분해가능한 제형을 포함한다. 그러한 제형은 현탁제, 안정화제 또는 분산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한 구체예에서, 활성 성분은 재구성된 조성물의 비경구 투여 전에 적합한 비히클 (예컨대, 발열원이 없는 살균수)로 재구성되기 위한 건조 (즉, 분말 또는 과립) 형태로 제공된다.
약학적 조성물은 살균 주입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또는 용액의 형태로 제조되거나, 패키징되거나 판매될 수 있다. 이러한 현탁액 또는 용액은 공지된 분야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고, 활성 성분 외에, 본원에 개시된 분산제, 습윤제 또는 현탁제와 같은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살균 주입용 제형은, 예를 들어 물 또는 1,3-부탄디올과 같은 무독성 비경구-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 밖의 허용가능한 희석제 및 용매는 Ringer액, 등장성 소듐클로라이드 용액, 및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와 같은 고정유를 포함한다. 그 밖의 유용한 비경구-투여가능한 제형은 미세결정형, 리포좀 제조물, 또는 생분해가능한 폴리머 시스템의 성분으로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들이다. 서방형 또는 이식용 조성물은 에멀젼, 이온 교환 수지, 난용성 폴리머, 또는 난용성 염과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중합성 또는 소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또한 보존제, 습윤제, 에멀젼화제, 및/또는 분산제, 예를 들어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브산 등과 같은 애쥬번트를 함유할 수 있다. 등장제, 예를 들어 당류, 소듐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주입용 약학적 조성물의 연장된 흡수는 흡수를 지연시킬 수 있는 작용제, 예를 들어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또는 젤라틴의 이용에 의해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리포좀, 마이좀 및 에멀젼화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이 전달을 위해 더욱 용해성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투여 형태는 고형물 또는 주입가능한 임플란트 또는 데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임플란트는 유효량의 활성제 및 생분해가능한 폴리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적합한 생분해가능한 폴리머는 폴리아스파테이트, 폴리글루타메이트, 폴리(L-락티드), 폴리(D,L-락티드),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 폴리(ε-카프로락톤),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베타-히드록시 부티레이트), 폴리(오르소 에스테르) 및 폴리포스파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임플란트는 유효량의 활성제 및 실라스틱 폴리머를 포함한다. 임플란트는 약 1주 내지 수 년의 연장된 기간 동안 유효량의 활성제의 방출을 제공한다.
경구 투여용 고체 투여 형태는 캡슐, 정제, 분말 및 과립을 포함한다. 그러한 고체 투여 형태에서, 활성 화합물은 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디칼슘 포스페이트와 같은 하나 이상의 통상적인 비활성 부형제(또는 담체) 또는 (a) 충전제 또는 증량제, 예를 들어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만니톨, 또는 규산; (b) 결합제,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알기네이트,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수크로스, 또는 아카시아; (c) 보습제, 예를 들어 글리세롤; (d) 붕해제, 예를 들어 아가-아가, 칼슘 카르보네이트,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알긴산, 특정 규산염 복합체, 또는 소듐 카르보네이트; (e) 용해 지연제, 예를 들어 파라핀; (f) 흡수 가속화제, 예를 들어 4차 암모늄 화합물; (g) 습윤제, 예를 들어 세틸 알코올 또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h) 흡착제, 예를 들어 카올린 또는 벤토나이트; 및/또는 (i) 윤활제, 예를 들어 탈크,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고형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혼합된다. 캡슐 및 정제의 경우, 투여 형태는 또한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정제는, 예를 들어 임의로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과 함께 활성 성분을 압착시키거나 몰딩시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압착된 정제는 적합한 장치에서 활성 성분을 결합제, 윤활제, 부형제, 표면 활성제 및 분산제 중 하나 이상과 임의로 혼합된 분말 또는 과립 제조물과 같은 자유-흐름성 형태로 압착시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몰딩된 정제는 적합한 장치에서 활성 성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적어도 혼합물을 적시기에 충분한 액체의 혼합물을 몰딩시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정제의 제조에 이용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비활성 희석제, 과립화제 및 붕해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포함한다. 공지된 분산제는 감자 전분 및 소듐 전분 글리콜레이트를 포함한다. 공지된 표면 활성제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포함한다. 공지된 희석제는 칼슘 카르보네이트, 소듐 카르보네이트, 락토스,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및 소듐 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공지된 과립화제 및 붕해제는 옥수수 전분 및 알긴산을 포함한다. 공지된 결합제는 젤라틴, 아카시아, 미리-젤라틴화된 옥수수 전분,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한다. 공지된 윤활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실리카 및 탈크를 포함한다.
정제는 코팅되지 않을 수 있거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코팅되어 인간의 위장관에서 지연된 붕해를 달성할 수 있어서, 활성 성분의 지속된 방출 및 흡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와 같은 물질을 이용하여 정제를 코팅할 수 있다. 추가의 예로서, 정제를 미국특허 4,256,108; 4,160,452호; 및 4,265,874호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코팅시켜 삼투압적으로-제어된 방출 정제를 형성할 수 있다. 정제는 약학적으로 고급스럽고 구미에 맞는 제조물을 제공하기 위해 감미제, 향미제, 착색제, 보존제,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정제, 당의정, 캡슐 및 과립과 같은 고체 투여 형태는 장용 코팅 및 당 분야에 널리 공지된 그 밖의 것과 같은 코팅 또는 셀을 지니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불투명화제를 함유할 수 있고, 활성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지연된 방식으로 방출시키는 그러한 조성물을 지닐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함침 조성물의 예는 중합성 물질 및 왁스이다. 활성 화합물은 또한, 적절한 경우, 상기 언급된 부형제 중 하나 이상을 지니는 미세-캡슐화된 형태일 수 있다.
유사한 유형의 고체 조성물은 또한 락토스 또는 유당뿐 아니라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과 같은 그러한 부형제를 이용하여 연질 또는 경질 충전된 젤라틴 캡슐에서 충전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경질 캡슐은 젤라틴과 같은 생리적으로 분해가능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경질 캡슐은 활성 성분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비활성 고체 희석제, 예컨대 칼슘 카르보네이트, 칼슘 포스페이트, 또는 카올린을 포함하는 추가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연질 젤라틴 캡슐은 젤라틴과 같은 생리적으로 분해가능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연질 캡슐은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데, 이는 피넛유, 액체 파라핀 또는 올리브유와 같은 오일 매질 또는 물과 혼합될 수 있다.
인간 환자의 대장 또는 소장에 경구-투여된 작용제를 특이적으로 방출하는 경구 조성물이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장을 포함한 위장계에 대한 전달용 제형은 예를 들어,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예컨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기반으로 한 장용 코팅 시스템을 포함하고, 이러한 장용 코팅 시스템은 pH 6 이상에서만 가용성이라서 폴리머가 소장 내 진입 시에만 용해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폴리머 제형이 붕해되는 부위는 장 통과 속도 및 존재하는 폴리머의 양에 좌우된다. 예를 들어, 비교적 두꺼운 폴리머 코팅은 근위 결장에 대한 전달에 사용된다[Hardy et al., Aliment. Pharmacol. Therap. (1987) 1:273-280]. 부위-특이적 결장 전달을 제공할 수 있는 폴리머가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폴리머는 폴리머 코트의 효소 분해를 제공하는 대장의 세균군에 의존하고, 그에 따라서 약물을 방출한다. 이러한 제형에는 예를 들어, 아조폴리머[미국 특허 번호 제4,663,308호], 글리코사이드[문헌: Friend et al., J. Med. Chem. (1984) 27:261-268] 및 다양한 천연 이용가능하고 개질된 폴리사카라이드[참조: PCT 출원 PCT/GB89/00581호]가 사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번호 제4,777,04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펄스형 방출 기술이 또한 위장관 내 특이적 위치에 활성제를 투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소정 시간에 약물 전달을 가능하게 하며, 임의로 생체내 방출을 제공하기 위해 물의 존재 외의 외부 조건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국부적 미세 환경을 변경하여 직접적으로 결장에 대한 작용제의 안정성 및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는 다른 첨가제와 함께 활성제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액체 투여형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멀젼, 용액, 현탁액, 시럽, 및 엘릭서(elixir)를 포함한다. 활성 화합물에 더하여, 액체 투여형은 당해 분야에서 흔히 사용되는 불활성 희석제, 예컨대, 물 또는 다른 용매, 등장성 식염수, 안정화제, 및 유화제, 예를 들어, 에틸 알콜, 이소프로필 알콜,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디메틸포름아미드, 오일, 특히, 아몬드 오일, 낙화생유(arachis oil), 코코넛 오일, 면실유, 땅콩 기름, 옥수수 배아유, 올리브 오일, 피마자유, 참깨 씨유, MIGLYOL™, 글리세롤, 분별된 식물성 오일, 미네랄 오일, 예컨대, 액체 파라핀,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 알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러한 물질들의 혼합물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불활성 희석제 외에,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애쥬번트(adjuvant), 예컨대, 습윤제, 유화제, 및 현탁제, 보호제(demulcent), 보존제, 완충제, 염, 감미제, 풍미제, 착색제 및 방향제(perfuming agent)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 화합물에 더하여 현탁액은 현탁제, 예를 들어, 에톡실화된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또는 소르비탄 에스테르, 미정질 셀룰로스, 수소화된 식용 지방, 소듐 알기네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검 트라거캔스, 검 아카시아, 한천, 및 셀룰로스 유도체, 예컨대,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또는 이러한 물질들의 혼합물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으로 적합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액체 제형은 사용 전에 물 또는 또 다른 적합한 비히클과의 재구성을 위해 의도된 건제품 형태 또는 액체 형태로 제조되고, 포장되며, 판매될 수 있다.
공지된 분산제 또는 습윤제는 지방산, 장쇄 지방족 알콜, 지방산 및 헥시톨로부터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 또는 지방산 및 헥시톨 무수물로부터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와 알킬렌 옥사이드의 축합 생성물인 레시틴과 같은 자연-발생 포스파타이드를 포함한다(예, 각각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탄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모노올레에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공지된 유화제는 레시틴 및 아카시아를 포함한다. 공지된 보존제는 메틸, 에틸, 또는 n-프로필-파라-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아스코르브산, 및 소르브산을 포함한다. 공지된 감미제는, 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수크로오스, 및 사카린을 포함한다. 유성 현탁액을 위한 공지된 증점제는, 예를 들어, 밀랍, 경질 파라핀, 및 세틸 알콜을 포함한다.
수성 또는 유성 용매 중의 활성 성분의 액체 용액은 실질적으로 액체 현탁액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의 주요 차이점은 활성 성분이 용매 중에 현탁되기 보다는 용해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액체 용액은 액체 현탁액에 관해 기재된 각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현탁제는 용매 중의 활성 성분의 용해를 반드시 돕지는 않을 것으로 이해된다. 수성 용매는, 예를 들어, 물 및 등장성 식염수를 포함한다. 유성 용매는, 예를 들어, 아몬드 오일, 유성 에스테르, 에틸 알콜, 식물성 오일, 예컨대, 낙화생유, 올리브 오일, 참깨유 또는 코코넛 오일, 분별된 식물성 오일, 및 미네랄 오일, 예컨대, 액체 파라핀을 포함한다.
직장 또는 질 투여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어떠한 추가의 화합물을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 또는 담체, 예컨대, 코코아 버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좌약 왁스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일상적인 온도에서는 고체이지만 체온에서는 액체라서 직장 및 질강에서 용융되고 활성 성분을 방출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좌약, 정체 관장 제조물, 및 직장 또는 결장 이리게이션(irrigation)용 용액의 형태일 수 있다. 좌약 제형은 추가로 항산화제 및 보존제를 포함한 다양한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정체 관장 제조물 또는 직장 또는 결장 이리게이션용 용액은 활성 성분을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액체 담체와 조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관장 제조물은 인간의 직장 구조에 맞춰진 전달 장치를 사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그 안에 포장될 수 있다. 관장 제조물은 추가로 항산화제 및 보존제를 포함한 다양한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질 투여용으로 적합한 제형으로 제조되고, 포장되고, 판매될 수 있다. 그러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좌약, 함침되거나 코팅된 질로 삽입가능한 물질, 예컨대, 탐폰(tampon), 관주 제조물, 또는 질 이리게이션용 용액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국소 투여용 투여형은 연고, 분말, 스프레이, 및 흡입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멸균 조건하에서 요망될 수 있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어떠한 보존제, 완충제, 및/또는 분사제와 함께 혼합된다. 국소 투여용으로 적합한 제형은 액체 또는 반액체 제조물, 예컨대, 도찰제(liniment), 로션, 수중유성 또는 유중수성 에멀젼, 예컨대, 크림, 연고 또는 페이스트, 및 용액 또는 현탁액을 포함한다. 국소 투여가능한 제형은 예를 들어, 약 0.1중량% 내지 약 10중량%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지만, 활성 성분의 농도는 용매 중의 활성 성분의 용해 한도만큼 높을 수 있다. 국소 투여용 제형은 추가로 본원에 기재된 추가 성분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안구용 제형, 안연고, 분말, 및 용액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 이러한 제형은 예를 들어, 수성 또는 유성 액체 담체 중의 활성 성분의 0.1 내지 1.0중량% 용액 또는 현탁액을 포함하는 점안액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점안액은 추가로 완충제, 염, 또는 하나 이상의 본원에 기재된 다른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안구 투여가능한 제형은 미정질 형태 또는 리포솜 제조물로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폐 전달용으로 제형화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용액 또는 현탁액의 액적 형태로 활성 성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은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성 또는 희석 알콜성 용액 또는 현탁액, 임의로 멸균액으로 제조되거나, 포장되거나, 판매되며, 어떠한 분무화 또는 원자화 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은 추가로 풍미제, 예컨대, 사카린 나트륨, 휘발성 오일, 완충제, 표면 활성제, 또는 보존제, 예컨대,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투여 경로에 의해 제공되는 액적은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200 나노미터 범위의 평균 직경을 지닌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구강 투여용으로 적합한 제형으로 제조되거나, 포장되거나, 판매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정제 또는 로젠지(lozenge) 형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1 내지 20중량%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나머지는 경구로 용해가능하거나 분해가능한 조성물, 및 임의로 본원에 기재된 추가 성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구강 투여용으로 적합한 제형은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분말 또는 에어로졸화되거나 원자화된 용액 또는 현탁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말화되거나 에어로졸화되거나 원자화된 제형은, 분산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200 나노미터 범위의 평균 입자 또는 액적 크기를 지니며, 추가로 본원에 기재된 추가 성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인간이 아닌 동물에서의 비경구 투여의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은 페이스트 또는 펠릿의 형태로 제조되고, 일반적으로 동물의 머리 또는 귀 피부 아래에 이식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페이스트 제형은 피넛 오일, 참깨유, 또는 옥수수유 등과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오일 중에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치료적 유효량의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펠릿은 희석제, 예컨대, 카보왁스(carbowax), 및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등과 화합물을 혼합시킴으로서 제조될 수 있으며, 윤활제, 예컨대, 마그네슘 또는 칼슘 스테아레이트가 첨가되어 펠릿화 공정을 개선시킬 수 있다. 물론, 요망되는 용량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펠릿이 동물에게 투여될 수 있음이 인식된다. 더구나, 상기 이식물은 또한 동물의 신체내 적절한 활성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 동물의 치료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일일 약 0.01 내지 약 1,000 mg 범위의 투여량 수준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체중이 약 70 kg인 정상적인 성인 인간의 경우에, 약 0.01 내지 약 300 mg 범위의 투여량이 전형적으로 충분하며, 바람직한 투여량은 1 내지 10 mg/kg이다. 그러나, 치료하고자 하는 피검체의 연령 및 체중, 의도된 투여 경로, 및 투여하고자 하는 특정 화합물 등에 좌우하여 일반적인 투여량 범위에서 약간의 변동이 필요할 수 있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량 범위 및 최적의 투여량의 결정은 본 발명의 이점을 지니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의 역량 내에서 잘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지속 방출, 조절 방출, 및 지연 방출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는 또한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세포에, 세포를 포함한 조직에, 세포와 접촉되는 체액에, 또는 화합물이 세포에 확산되거나 운반될 수 있는 신체 위치에 직접적으로 투여되는지의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화합물이 어떠한 경로에 의해 소정 양으로 환자에게 투여되고, 그에 의해서 세포에서 지질을 동원하기에 충분한 양의 화합물이 세포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도달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최소량은 화합물의 성질에 따라 다르다.
사용될 수 있는 특정 투여량 및 투여량 범위는 환자의 요건, 치료하고자 하는 병태의 중증도, 및 투여하고자 하는 화합물의 약리학적 활성을 포함하여 다수 요인에 좌우된다. 특정 환자에 대한 투여량 범위 및 최적의 투여량의 결정은 본 발명이 고려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 내에서 잘 이루어진다. 당해 분야의 의사 또는 수의사는 환자에게서 지질 저장소를 동원하거나, 체중 감소를 유도하거나, 식욕을 억제하기에 효과적인 양의 화합물을 용이하게 결정하거나 처방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절차에서, 의사 또는 수의사는, 예를 들어, 먼저 비교적 저용량을 처방하고, 후속적으로 적절한 반응이 얻어질 때까지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추가로 어떠한 특정 인간에 대한 특정 용량 수준은 사용되는 특정 화합물의 활성, 인간의 연령, 체중, 전반적인 건강,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출 속도, 어떠한 약물 조합, 및 치료하고자 하는 어떠한 질환의 중증도를 포함한 다양한 요인에 좌우될 것임이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방법의 다양한 예시적인 구체예가 이제 하기 실시예에서 기재될 것이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아라비아 숫자(예, 1, 2, 3 등)에 의해 식별되는 특정 생성물은 이하의 설명, 특히 하기 표 1,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그와 같이 식별된 특정 구조물을 지칭하는 것이다.
III.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제공된 것이고, 어떠한 식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실제로, 본원에 나타나고 기재된 변형에 더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이 상기 설명 및 하기 실시예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고, 이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실시예 1: 33개 EET 유사체의 합성
실시예 1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EET 유사체의 라이브러리의 합성을 보고한다. 하기 표 1에는 화학식 1 내지 33으로 지정된 이러한 화합물의 화학 구조가 나타나 있다.
일반 절차.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수율은 정제된 생성물을 지칭하는 것이며, 최적화되지 않았다. 용매로서 아세토니트릴/물 조합물로 Agilent 1200 API/LC-MS에 연결된 Zorbax Eclipse C18 (250 × 4.6 mm; Agilent)을 이용하여 HPLC에 의해 최종 화합물을 ≥95% 순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오븐-건조된 유리 용기 및 무수 용매를 사용하여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모든 산소 및/또는 습도 민감성 반응을 수행하였다. CH2Cl2를 CaH2로부터 증류시킨 점을 제외하고, 무수 용매를 소듐 벤조페논 케틸로부터 새로 증류시켰다. 추출물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여과한 후 모든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물질을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E Merck 실리카 겔 60 (240 내지 400 메쉬)을 사용하여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Flash chromatography: FC)를 수행하였다. E. Merck (실리카 겔 60 PF254, 0.25 mm)로부터 구매된 예비-코팅된 판을 이용하여 박막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TLC)를 수행하였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CDCl3 중에 300/400/500 MHz (1H) 또는 75/100/125 MHz (13C)의 작동 주파수에서 Varian 300, 400 또는 500 분광기에 대하여 핵자기공명(NMR) 스펙트럼을 기록하였다. 핵자기공명(NMR) 스플릿팅 패턴은 일중항 (s), 이중항 (d), 삼중항 (t), 사중항 (q), 및 넓음(broad) (br)으로 기재되고; 화학적 이동 값(δ)은 잔류 용매에 상대적인 ppm으로 주어지고(1H NMR의 경우 클로로포름 δ= 7.27 또는 양성자 분리 13C NMR의 경우 δ = 77.23), 결합 상수 (J)는 헤르츠(Hz)로 주어진다. OptiMelt (Stanford Research Systems)를 이용하여 융점을 측정하고 역수정하였다. Notre Dame University Mass Spectroscopy Facility 또는 Prof. Kasem Nithipatikom (Medical College(Wisconsin))가 선의로 고-분해능 질량 스펙트럼 분석을 제공하였다.
표 1: 33 EET 유사체 및 측정된 혈관 이완율 및 sEH 억제 활성.
Figure pct00003
표 II의 EET-화합물의 합성이 하기와 같이 제시된다:
유사체 25의 합성.
Figure pct00004
3차-부틸디페닐-[1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도데크-7-이닐옥시)]실란. N-부틸리튬 (12.0 mL의 헥산 중 2.5 M 용액, 30.0 mmol)을 아르곤 대기 하에서 THF/HMPA (4:1, 150 mL) 중의 2-(헥스-5-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 (5.0 g, 27.43 mmol, G. F. Smith Chem. Co.)의 -78℃ 용액에 교반하면서 적가하였다. 30분 후, 반응 혼합물을 0℃로 가온시키고, 이 온도에서 2 h 동안 유지시켰다. -78℃로 재냉각시킨 후, THF (55 mL) 중의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6-브로모헥산1(11.50 g, 27.43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온도를 3 h에 걸쳐 23℃로 상승시켰다. 추가의 12 h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된 NH4Cl 수용액 (25 mL)으로 켄칭시켰다. 혼합물을 EtOAc (2 x 100 mL)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물 (2 x 150 mL),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1.14 g, 78%)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으며, 이의 스펙트럼 데이터는 문헌 값에 일치하였다. TLC: 15% EtOAc/헥산, Rf ~ 0.60; 1H NMR (400 MHz) δ 7.64-7.68 (m, 4H), 7.34-7.42 (m, 6H), 4.57 (t, J = 4.3 Hz, 1H), 3.78-3.86 (m, 2H), 3.65 (t, J = 6.3 Hz, 2H), 3.32-3.54 (m, 2H), 2.10-2.22 (m, 4H), 1.24-1.84 (m, 18H), 1.04 (s, 9H); 13C NMR (100 MHz) δ 130.61, 129.17, 124.54, 122.62, 93.82, 75.48, 74.89, 72.41, 72.10, 71.78, 62.11, 58.93, 57.32, 27.51, 25.79, 24.18, 23.99, 23.68, 21.96, 21.87, 21.0, 20.55, 20.40, 14.26, 13.77, 13.67.
Figure pct00005
12-(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도데크-5-인-1-올. MeOH (110 mL) 중의 3차-부틸디페닐-[1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도데크-7-이닐옥시)]실란 (11.0 g, 21.14 mmol) 및 p-톨루엔설폰산 (165 m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10 h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된 NaHCO3 수용액 (10 mL)으로 켄칭시켰다. 메탄올을 증발시킨 후, 물 (50 mL)을 더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 (3 x 7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2 x 50 mL), 염수 (4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SiO2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7.93 g, 86%)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으며, 이의 스펙트럼 데이터는 문헌 값에 일치하였다.1 TLC: EtOAc/헥산 (3:7), Rf ~ 0.44; 1H NMR (300 MHz) δ 7.64-7.68 (m, 4H), 7.34-7.42 (m, 6H), 3.62 (t, J = 6.3 Hz, 4H), 2.06-2.22 (m, 4H), 1.50-1.64 (m, 12H), 1.04 (s, 9H); 13C NMR (100 MHz) δ 135.81, 134.36, 129.74, 127.82, 80.89, 80.01, 64.14, 62.71, 32.71, 32.10, 29.34, 28.86, 27.11, 25.59, 25.57, 19.46, 18.93, 18.77.
Figure pct00006
12-(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도데크-5(Z)-엔-1-올. NaBH4 (82 mg, 2.28 mmol)을 수소 대기 (1 atm) 하에서 무수 에탄올 (20 mL) 중의 Ni(OAc)2·4H2O (567 mg, 2.28 mmol)의 실온 용액에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나누어 첨가하였다. 15분 후, 새로 증류된 에틸렌디아민 (0.30 mL, 4.56 mmol)을 흑색 현탁액에 첨가하고, 추가의 15분 후에 무수 ETOH (10 mL) 중의 12-(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도데크-5-인-1-올 (4.0 g, 9.16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1 h 후, 반응 혼합물을 Et2O (20 mL)으로 켄칭시키고, 실리카 겔의 작은 층을 통과시켰다. 이 층을 또 다른 부분의 Et2O (5 mL)로 헹구었다. 합한 에테르성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되기에 충분히 순수한 표제 화합물 (3.85 g, 96%)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3:7), Rf ~ 0.46. 1H NMR (300 MHz) δ 7.64-7.68 (m, 4H), 7.34-7.42 (m, 6H), 5.42-5.28 (m, 2H), 3.65-3.60 (t, J = 6.4 Hz, 4H), 2.08-1.96 (m, 4H), 1.50-1.60 (m, 4H), 1.40-1.24 (m, 10H), 1.04 (s, 9H); 13C NMR (100 MHz) δ 135.81, 134.40, 130.61, 129.71, 129.60, 127.80, 64.21, 63.14, 32.78, 32.60, 29.98, 29.27, 27.42, 27.14, 27.10, 26.08, 25.92, 19.48. C28H43O2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39.3032, 실측치 439.3027.
Figure pct00007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2-아지도도데크-7(Z)-엔.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복실레이트 (DIAD; 1.46 mL, 7.35 mmol)을 아르곤 대기 하에서 무수 THF (45 mL) 중의 PPh3 (2.10 g, 8.0 mmol)의 -20℃ 용액에 적가하였다. 10분 후, 무수 THF (10 mL) 중의 상기로부터의 12-(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도데크-5(Z)-엔-1-올 (3.20 g, 7.35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30분 후, 혼합물을 0℃로 가온시키고,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 (1.58 mL, 7.35 mmol)을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4 h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물 (150 mL)로 켄칭시키고, EtOAc (2 x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Na2SO4),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4% EtOAc/헥산로 용리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45 g, 72%)을 얻었다. TLC: EtOAc/헥산 (1:9), Rf ~ 0.55; 1H NMR (400 MHz) δ 7.64-7.68 (m, 4H), 7.34-7.42 (m, 6H), 5.28-5.42 (m, 2H), 3.70 (t, J = 5.8 Hz, 2H), 3.27 (t, J = 6.3 Hz, 2H), 1.96-2.10 (m, 4H), 1.24-1.64 (m, 12H), 1.04 (s, 9H); 13C NMR (100 MHz) δ 135.84, 134.41, 130.93, 129.75, 129.12, 127.83, 64.22, 51.62, 32.81, 29.93, 29.30, 28.68, 27.46, 27.14, 27.02, 26.90, 25.96, 19.49; IR (니트(neat)) 2930, 2783, 2331, 2097, 1106 cm-1. C28H42N3O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64.3097, 실측치 464,3099.
Figure pct00008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2-아미노도데크-7(Z)-엔. 트리페닐포스핀 (1.18 g, 4.50 mmol)을 4방울의 탈이온수를 함유하는 THF (12 mL) 중의 아지드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2-아지도도데크-7(Z)-엔 (1.90 g, 4.10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12 h 후, 반응 혼합물을 CH2Cl2 (10 mL)로 희석하고,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 사용되는, 표제 화합물 (1.36 g, 76%)을 점성의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MeOH/CH2Cl2 (1:4), Rf ~ 0.25; 1H NMR (400 MHz) δ 7.62-7.68 (m, 4H), 7.32-7.40 (m, 6H), 5.30-5.40 (m, 2H), 3.63 (t, J = 5.2 Hz, 2H), 2.62 (t, J = 4.8 Hz, 2H), 1.92-2.06 (m, 4H), 1.40-1.58 (m, 4H), 1.20-1.40 (m, 8H), 1.03 (s, 9H); 13C NMR (100 MHz) δ 135.79, 134.37, 130.42, 129.70, 127.78, 64.19, 42.28, 33.44, 32.77, 29.93, 29.28, 27.40, 27.21, 27.10, 25.92, 19.44. C28H44NO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38.3192, 실측치 438.3186.
Figure pct00009
1-(12-(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도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THF (5 mL) 중의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2-아미노도데크-7(Z)-엔 (1.32 g, 3.0 mmol)의 용액을 THF (10 mL) 중의 n-펜틸 이소시아네이트 (0.386 mL, 3.0 mmol)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3 h 동안 교반한 후, 모든 휘발물질을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20% EtOAc/헥산로 용리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6 g, 76%)을 점성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2:3), Rf ~ 0.40; 1H NMR (300 MHz) δ 7.60-7.70 (m, 4H), 7.35-7.42 (m, 6H), 5.28-5.42 (m, 2H), 5.16 (br s, -NH, 2H), 3.65 (t, J = 6.5 Hz, 2H), 3.08-3.20 (m, 4H), 1.96-2.08 (m, 4H), 1.22-1.60 (m, 18H), 1.02 (s, 9H), 0.89 (t, J = 7.3 Hz, 3H); 13C NMR (100 MHz) δ 159.23, 135.80, 134.24, 130.52, 129.74, 129.49, 127.82, 64.22, 40.62, 40.54, 32.80, 30.33, 29.95, 29.37, 29.32, 27.46, 27.34, 27.18, 27.11, 25.97, 22.71, 19.46, 14.29. C34H55N2O2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551.4033, 실측치 551.4032.
Figure pct00010
1-(12-하이드록시도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무수 THF (10 mL) 중의 1-(12-(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도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1.12 g, 2.0 mmol) 및 테트라-n-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2.20 mL의 THF 중의 1 M 용액, 2.2 mmol)의 혼합물을 아르곤 대기 하에서 12 h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진공 하에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EtOAc (50 mL) 중에 용해시키고, 물 (30 mL), 염수 (3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56 g, 89%)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63.7-63.8℃. TLC: EtOAc/헥산 (7:3), Rf ~ 0.30; 1H NMR (300 MHz) δ 5.25-5.42 (m, 2H), 4.40-4.56 (br s, -NH, 2H), 3.60-3.68 (d, J = 6.5 Hz, 2H), 3.08-3.20 (m, 4H), 1.96-2.14 (m, 4H), 1.22-1.60 (m, 18H), 0.88 (t, J = 7.0 Hz, 3H); 13C NMR (125 MHz) δ 159.26, 130.23, 129.62, 63.72, 40.33, 40.29, 32.92, 30.30, 30.26, 29.74, 29.35, 29.13, 27.26, 27.20, 27.13, 25.82, 22.69, 14.27. C18H37N2O2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13.2855, 실측치 313.2857.
Figure pct00011
1-(12-브로모도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CBr4 (0.55 g, 1.66 mmol) 및 PPh3 (0.43 g, 1.66 mmol)을 CH2Cl2 (20 mL) 중의 1-(12-하이드록시도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0.43 g, 1.38 mmol)의 0℃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 h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1-(12-브로모도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0.43 g, 83%)를 점섬 오일로서 얻었다. mp 46.7-46.8℃. TLC: EtOAc/헥산 (2:3), Rf ~ 0.60; 1H NMR (300 MHz) δ 5.22-5.42 (m, 2H), 4.40 (br s, 2H), 3.42 (t, J = 9.3 Hz, 2H), 3.10-3.20 (m, 4H), 1.98-2.10 (m, 4H), 1.80-1.90 (m, 2H), 1.25-1.55 (m, 16H), 0.92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δ 159.51, 130.14, 129.69, 40.48, 40.39, 34.20, 32.96, 30.34, 29.67, 29.36, 28.58, 28.25, 27.31, 27.27, 27.17, 22.68, 14.26. C18H36BrN2O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75.2011, 실측치 375.2014.
Figure pct00012
1-(12-시아노도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포타슘 시아나이드 (0.23 g, 3.54 mmol) 및 1-(12-브로모도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0.90 g, 2.40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DMSO (5 mL) 중에서 교반하였다. 12 h 후, 반응 혼합물을 물 (2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2 x 25 mL), 염수 (25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실리카 겔 컬럼을 통과시켜 표제 화합물 (0.62 g, 81%)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56-57℃. TLC: EtOAc/헥산 (2:3), Rf ~ 0.45. 1H NMR (300 MHz) δ 5.29-5.40 (m, 2H), 4.27 (br s, -NH, 2H), 3.10-3.20 (m, 4H), 2.34 (t, J = 7.0 Hz, 2H), 1.98-2.08 (m, 4H) 1.24-1.70 (m, 18H), 0.89 (t, J = 7.0 Hz, 3H); 13C NMR (125 MHz) δ 159.41, 129.94, 129.86, 120.14, 40.45, 40.35, 30.30, 29.50, 29.33, 28.70, 28.51, 27.26, 27.16, 25.47, 22.66, 17.28,14.24; IR (니트) 2930, 2281, 2184, 2042, 1936, 1613, 1197, 1042 cm-1. C19H36N3O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22.2858, 실측치 322.2867.
Figure pct00013
N'-하이드록시-13-(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엔이미드아미드. MeOH/H2O (4:1; 12 mL) 중의 1-(12-시아노도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350 mg, 1.09 mmol)의 현탁액에 H2NOH·HCl (228 mg, 3.28 mmol) 및 Na2CO3 (344 mg, 3.2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 h 동안 60℃로 가열한 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모든 휘발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물 (3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2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2 x 10 mL), 염수 (1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5% MeOH/CH2Cl2를 사용하는 플래쉬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39 mg, 62%)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94.6-94.7℃. TLC: MeOH/CH2Cl2 (1:4), Rf ~ 0.20; 1H NMR (CD3OD, 300 MHz) δ 5.34-5.42 (m, 2H), 3.33 (s, 2H), 3.08-3.16 (m, 3H), 2.02-2.10 (m, 6H), 1.52-1.60 (m, 2H), 1.44-1.52 (m, 5H), 1.30-1.44 (m, 10H), 0.92 (t, J = 7.2 Hz, 3H); 13C NMR (CD3OD, 125 MHz) δ 160.14, 155.23, 129.95, 129.42, 39.86, 39.76, 30.70, 29.95, 29.89, 29.59, 29.06, 28.91, 27.18, 26.97, 26.95, 26.78, 22.39, 13.34. C19H39N4O2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55.3073, 실측치 355.3078.
Figure pct00014
유사체 25. THF (100 mL) 중의 N'-하이드록시-13-(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엔이미드아미드 (100 mg, 0.28 mmol) 및 피리딘 (45 μL, 0.56 mmol)의 빙냉된 용액에 CH2Cl2 (2 mL) 중의 티오닐 클로라이드 (20 μL, 0.28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1 h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물 (25 mL)로 희석하고, CH2Cl2 (2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 MeOH/CH2Cl2를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25 (80 mg, 72%)를 점착성 고형물로서 얻었다. TLC: MeOH/CH2Cl2 (1:9), Rf ~ 0.60; 1H NMR (CD3OD, 300 MHz) δ 5.33-5.36 (m, 2H), 3.04-3.13 (m, 4H), 2.57 (t, J = 7.4 Hz, 2H), 2.00-2.10 (m, 4H), 1.62-1.74 (m, 2H), 1.25-1.54 (m, 16H), 0.92 (t, J = 7.2 Hz, 3H); 13C NMR (CD3OD, 125 MHz) δ 160.16, 153.94, 129.83, 129.47, 39.83, 39.71, 29.89, 29.82, 29.40, 29.01, 28.59, 28.52, 26.87, 26.85, 26.71, 26.30, 23.37, 22.33, 13.25. C20H38N4O2S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98.2716, 실측치 398.2720.
유사체 20의 합성.
Figure pct00015
유사체 20. 1-(12-시아노도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500 mg, 1.55 mmol), 소듐 아지드 (100 mg, 1.55 mmol) 및 징크 브로마이드 (335 mg, 1.48 mmol)의 혼합물을 밀봉된 관내에서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이소프로판올/H2O (1:3, 8 mL) 중에서 110℃로 가열하였다. 18 h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pH를 HCl 수용액(3 N, 4 mL)을 사용하여 1로 조정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를 첨가하고, 고형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계속 교반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시키고, 수성 층을 EtOAc (2 x 2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분획을 물 (3 x 25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유사체 20 (431 mg, 76%)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205.6-205.8℃. TLC: 10% MeOH/CH2Cl2, Rf ~ 0.30; 1H NMR (CD3OD, 300 MHz) δ 5.40-5.30 (m, 2H), 3.06-3.11 (m, 4H), 2.93 (t, J = 8.0 Hz, 2H), 1.98-2.10 (m, 4H), 1.70-1.82 (m, 2H), 1.24-1.50 (m, 16H), 0.90 (t, J = 7.6 Hz, 3H); 13C NMR (CD3OD, 75 MHz) δ 160.16, 156.81, 129.77, 129.47, 39.81, 39.68, 29.88, 29.80, 29.35, 28.99, 28.69, 28.55, 27.48, 26.85, 26.81, 26.68, 22.96, 22.31, 13.22. C19H37N6O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65.3029, 실측치 365.3030.
유사체 29의 합성.
Figure pct00016
유사체 29. THF (5 mL) 중의 N'-하이드록시-13-(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엔이미드아미드 (150 mg 0.42 mmol) 및 1,1'-티오카보닐 디이미다졸 (90%; 91 mg, 0.51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45 분 후,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무수 THF (5 mL) 중에 용해시키고,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 디에틸 에테레이트 (103 μL, 0.84 mmol)를 첨가하였다. 또 다른 1 h 후, 반응 혼합물을 물 (2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Na2SO4),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29 (104 mg, 63%)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124.2-125.1℃. TLC: MeOH/CH2Cl2 (1:9), Rf ~ 0.60; 1H NMR (CD3OD, 300 MHz) δ 5.30-5.40 (m, 2H), 3.02-3.12 (m, 4H), 2.54 (t, J = 8.0 Hz, 2H), 1.98-2.10 (m, 4H), 1.62-1.74 (m, 2H), 1.24-1.52 (m, 16H), 0.90 (t, J = 7.0 Hz, 3H); 13C NMR (CD3OD, 75 MHz) δ 181.12, 160.13, 159.12, 129.48, 128.84, 39.85, 39.73, 30.90, 29.91, 29.83, 29.41, 29.03, 28.69, 28.65, 26.89, 26.86, 26.73, 26.23, 22.35, 13.29; IR (니트) 2924, 1724, 1603, 1464, 1375 cm-1. C20H37N4O2S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97.2637, 실측치 397.2638.
유사체 28의 합성.
Figure pct00017
유사체 28. THF (5 mL) 중의 N'-하이드록시-13-(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엔이미드아미드 (150 mg 0.42 mmol) 및 1,1'-티오카보닐 디이미다졸 (90%; 91 mg, 0.51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45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2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 (5 mL) 중에 용해시키고, 이후 이것에 DBU (147 mg, 0.96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h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1N HCl로 pH ~4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및 용매를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28 (101 mg, 61%)을 무색 시럽으로서 얻었다. TLC: MeOH/CH2Cl2 (1:9), Rf ~ 0.55; 1H NMR (CD3OD, 300 MHz) δ 5.30-5.40 (m, 2H), 3.04-3.14 (m, 4H), 2.62 (t, J = 7.7 Hz, 2H), 2.00-2.10 (m, 4H), 1.62-1.74 (m, 2H), 1.22-1.54 (m, 16H), 0.91 (t, J = 6.7 Hz, 3H); 13C NMR (CD3OD, 125 MHz) δ 188.49, 161.91, 160.15, 129.82, 129.53, 39.88, 39.75, 29.92, 29.85, 29.37, 29.05, 28.63, 28.55, 26.90, 26.86, 26.75, 25.91, 23.67, 22.37, 13.31. C20H37N4O2S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97.2637, 실측치 397.2645.
유사체 11의 합성.
Figure pct00018
유사체 11. 에탄올 (5 mL) 중의 1-(12-브로모도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300 mg, 0.79 mmol), 소듐 설파이트 (352 mg, 2.8 mmol) 및 사이클로헥센 (649 mg, 7.9 mmol)의 용액을 밤새 환류시켰다. 휘발물질을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탈이온수에 용해시켰다. BioRad SM-2 바이오-비즈 (5 g; 0.1 N NH4OH 및 H2O로 사전-세척됨)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부드럽게 교반한 후, 소결된 유리 깔때기 상에서 수거하였다. 비즈를 탈이온수 (2 x 10 mL)로 세척한 후 EtOH (3 x 10 mL)로 세척하였다. 에탄올성 세척물을 농축시켜 11 (235 mg, 75%)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133.6-133.8℃. 1H NMR (CD3OD, 300 MHz) δ 5.30-5.40 (m, 2H), 3.02-3.14 (m, 4H), 2.78 (t, J = 8.0 Hz, 2H), 1.98-2.12 (m, 4H), 1.72-1.84 (m, 2H), 1.22-1.50 (m, 16H), 0.91 (t, J = 7.0 Hz, 3H); 13C NMR (CD3OD, 75 MHz) δ 160.12, 129.86, 129.49, 51.46, 39.01, 38.92, 29.92, 29.32, 29.02, 28.69, 28.42, 26.93, 26.62, 25.78, 24.78, 22.34, 12.02. C18H35N2NaO4S [M]+에 대한 HRMS 이론치 398.2215, 실측치 398.2220.
유사체 10의 합성.
Figure pct00019
디메틸 (12-(3-n-펜틸우레이도)도데크-7(Z)-엔-1-일)포스포네이트. THF (10 mL) 중의 1-(12-브로모도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250 mg, 0.67 mmol) 및 트리메틸 포스파이트 (10 mL)의 용액을 환류 하에 가열하였다. 48 h 후, 모든 휘발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60% EtOAc/CH2Cl2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디메틸 (12-(3-n-펜틸우레이도)도데크-7(Z)-엔-1-일)포스포네이트 (160 mg, 59%)를 점성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 Rf ~ 0.55; 1H NMR (400 MHz) δ 5.30-5.40 (m, 2H), 5.10 (br s, -NH, 1H), 5.02 (br s, -NH, 1H), 3.70 (s, 3H), 3.68 (s, 3H), 3.06-3.14 (m, 4H), 1.97-2.20 (m, 4H), 1.63-1.78 (m, 2H), 1.20-1.60 (m, 18H), 0.88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δ 159.11, 130.17, 129.93, 52.59, 52.56, 40.49, 30.49, 30.32, 30.28, 29.34, 29.33, 28.58, 27.21, 27.15, 27.11, 25.32, 23.93, 22.66, 22.35, 22.30, 14.24. C20H42N2O4P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05.2882, 실측치 405.2883.
Figure pct00020
유사체 10. 트리메틸실릴 브로마이드 (37 μL)를 무수 CHCl3 (4 mL) 중의 상기 포스포네이트 디에스테르 (100 mg, 0.2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 h 후, 용액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 mL) 중에 현탁시켰다. 형성된 침전물을 수거하고, 탈이온수에 용해시켰다. BioRad SM-2 바이오-비즈 (5 g; 0.1 N NH4OH 및 H2O로 사전-세척됨)를 첨가하고, 1 h 동안 부드럽게 교반한 후, 소결된 유리 깔때기 상에 수거하였다. 비즈를 탈이온수 (2 x 10 mL)로 세척한 후, EtOH (3 x 10 mL)로 세척하였다. 에탄올성 세척물을 농축시켜 디소듐 포스포네이트 10 (68 mg, 65%)을 얻었다. 1H NMR (CD3OD, 300 MHz) δ 5.30-5.42 (m, 2H), 3.18-3.24 (m, 4H), 1.97-2.20 (m, 4H), 1.50-1.78 (m, 8H), 1.20-1.60 (m, 12H), 0.92 (t, J = 7.2 Hz, 3H); 13C NMR (CD3OD, 75 MHz) δ 159.48, 130.10, 129.25, 40.85, 40.76, 30.48, 30.25, 29.38, 29.13, 29.06, 28.81, 28.67, 27.62, 26.92, 26.70, 26.64, 25.80, 22.65, 22.58, 22.25, 13.02. C18H35N2Na2O4P [M]+에 대한 HRMS 이론치 420.2130, 실측치 420.2122.
유사체 16의 합성.
Figure pct00021
유사체 16. 소듐 메톡사이드 (180 μL, 30% 메탄올성 용액)를 무수 DMF (5 mL) 중의 1,2,4-트리아졸-3-티올 (101 mg, 0.9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교반한 후, 1-(12-브로모도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250 mg, 0.66 mmol)를 첨가하였다. 밤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빙수(100 mL)에 붓고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미정제 고형물을 디클로로메탄 (100 mL) 중에 현탁시키고, 1 h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여 16 (222 mg, 85%)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76.1-76.2℃. TLC: EtOAc, Rf ~ 0.30; 1H NMR (CD3OD, 300 MHz) δ 8.26 (br s, 1H), 5.29-5.40 (m, 2H), 3.04-3.14 (m, 6H), 1.98-2.10 (m, 4H), 1.62-1.72 (m, 2H), 1.22-1.50 (m, 16H), 0.90 (t, J = 7.2 Hz, 3H); 13C NMR (CD3OD, 75 MHz) δ 160.15, 157.16, 146.90, 129.86, 129.44, 39.84, 39.73, 32.10, 29.91, 29.84, 29.65, 29.49, 29.02, 28.60, 28.30, 26.88, 26.73, 22.34, 13.28. C20H38N5OS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96.2797, 실측치 396.2805.
유사체 17의 합성.
Figure pct00022
유사체 17. 암모늄 몰리브데이트 (160 mg, 0.13 mmol) 및 과산화수소 (0.6 mL, 30% 수용액)를 0℃에서 합하고,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담황색 용액 (0.15 mL)의 분취액을 에탄올 (1.0 mL) 중의 설파이드 16 (77 mg, 0.2 mmol)의 교반되는 0℃ 용액에 적가하자 연황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다음 15 분에 걸쳐, 산화 용액의 분취액(0.15 mL)을 5분 마다 첨가하였다. 또 다른 10분 후, 반응 혼합물을 H2O과 디클로로메탄 (10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Na2SO4). 잔류물을 플래쉬 SiO2 크로마토그래피(7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설폭사이드 17 (43 mg, 52%)을 무색 고형물로서 제공하였다. mp 88.2-88.4℃. TLC: MeOH/EtOAc (1:9), Rf ~ 0.30; 1H NMR (CD3OD, 300 MHz) δ 8.38 (br s, 1H), 5.26-5.36 (m, 2H), 5.18 (br s, 2H), 3.04-3.26 (m, 6H), 1.92-2.08 (m, 2H), 1.70-1.84 (m, 2H), 1.20-1.50 (m, 18H), 0.86 (t, J = 7.2 Hz, 3H); 13C NMR (CD3OD, 75 MHz) δ 163.82, 160.15, 146.98, 129.73, 129.54, 52.62, 39.81, 39.71, 29.90, 29.84, 29.25, 29.01, 28.57, 28.22, 26.88, 26.77, 26.73, 22.33, 21.92, 13.24. C20H38N5O2S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12.2746, 실측치 412.2741.
유사체 18의 합성.
Figure pct00023
유사체 18. 암모늄 몰리브데이트 (960 mg, 0.77 mmol) 및 과산화수소 (3.6 mL, 30% 수용액)를 0℃에서 합하고,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담황색 용액의 분취액(0.45 mL)을 에탄올 (3.6 mL) 중의 설파이드 16 (154 mg, 0.39 mmol)의 0℃ 용액에 적가하자 연황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다음 90 분에 걸쳐, 산화 용액의 분취액 (0.5 mL)을 15분 마다 첨가하였다. 또 다른 15분 후, 반응 혼합물을 H2O과 디클로로메탄 (10 mL)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Na2SO4). 잔류물을 플래쉬 SiO2 크로마토그래피(7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설폰 18 (129 mg, 78%)을 백색 고형물로서 제공하였다. mp 90.6-90.8℃. TLC: MeOH/EtOAc (1:9), Rf ~ 0.50; 1H NMR (CD3OD, 300 MHz) δ 8.44 (br s, 1H), 5.25-5.30 (m, 2H), 5.02 (br s, 1H), 4.90 (br s, 1H), 3.35 (t, J = 7.9 Hz, 2H), 3.22-3.10 (m, 4H), 1.90-2.60 (m, 4H), 1.66-1.80 (m, 2H), 1.20-1.54 (m, 16H), 0.87 (t, J = 7.3 Hz, 3H); 13C NMR (CD3OD, 75 MHz) δ 161.15, 160.13, 145.87, 129.73, 129.56, 54.26, 39.85, 39.74, 29.90, 29.83, 29.21, 29.02, 28.46, 27.80, 26.89, 26.79, 26.73, 22.34, 22.19, 13.30. C20H38N5O3S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28.2695, 실측치 428.2701.
유사체 23의 합성.
Figure pct00024
유사체 23. 무수 디옥산 (3 mL) 중의 N'-하이드록시-13-(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엔이미드아미드 (50 mg, 0.14 mmol)의 용액에 1,1-카보닐디이미다졸 (CDI; 27 mg, 0.16 mmol)를 첨가한 후, 1,8-디아자바이사이클로운데크-7-엔 (DBU; 23 mg, 0.15 mmol)을 첨가하였다. 15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110℃로 가온시킨 후, 실온으로 되돌렸다. 반응 혼합물을 물 (2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Na2SO4),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23 (36 mg, 67%)을 점착성 고형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4:1), Rf ~ 0.40; 1H NMR (CD3OD, 300 MHz) δ 5.30-5.40 (m, 2H), 3.02-3.14 (m, 4H), 2.52 (t, J = 7.7 Hz, 2H), 2.00-2.10 (m, 4H), 1.60-1.70 (m, 2H), 1.24-1.50 (m, 16H), 0.90 (t, J = 6.7 Hz, 3H); 13C NMR (CD3OD, 75 MHz) δ 158.30, 157.33, 126.98, 126.68, 37.02, 36.90, 26.97, 26.53, 26.19, 25.76, 25.72, 24.02, 23.89, 22.68, 21.84, 19.52, 10.43; IR (니트) 2929, 2854, 1809, 1776, 1738, 1620, 1580, 1467, 1257, 981 cm-1. C20H35N4O3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79.2715, 실측치 379.2731.
유사체 27의 합성.
Figure pct00025
N 1 -n-부틸-N 2 -(12-(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도데크-5(Z)-에닐)옥살아미드. 무수 DMF (5 mL) 중의 2-(n-부틸아미노)-2-옥소아세트산2 (0.40 g, 2.70 mmol), 상기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2-아미노도데크-7(Z)-엔 (1.20 g, 2.70 mmol),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HOBt; 0.44 g, 3.30 mmol) 및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63 g, 3.30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3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 2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2 × 10 mL), 염수 (1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N1-n-부틸-N2-(12-(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도데크-5(Z)-에닐)옥살아미드(1.10 g, 73%)를 얻었다. TLC: EtOAc/헥산 (2:3), Rf ~ 0.55; 1H NMR (400 MHz) δ 8.05 (br s, -NH, 2H), 7.66-7.74 (m, 4H), 7.32-7.42 (m, 6H), 5.30-5.42 (m, 2H), 3.67 (t, J = 3.9 Hz, 2H), 3.31 (q, J = 5.2 Hz, 4H), 1.96-2.10 (m, 4H), 1.50-1.64 (m, 6H), 1.22-1.44 (m, 10H), 1.06 (s, 9H), 0.92 (t, J = 7.8 Hz, 3H); 13C NMR (100 MHz) δ 160.33, 135.80, 134.35, 130.73, 129.74, 129.20, 127.83, 64.17, 39.89, 39.69, 32.79, 31.48, 29.94, 29.29, 29.07, 27.46, 27.23, 27.14, 27.0, 25.96, 20.29, 19.46, 13.96. C34H53N2O3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565.3826, 실측치 565.3824.
Figure pct00026
N 1 -n-부틸-N 2 -(12-하이드록시도데크-5(Z)-에닐)옥살아미드. N1-n-부틸-N2-(12-(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도데크-5(Z)-에닐)옥살아미드 (1.20 g, 2.12 mmol)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탈실릴화시켜 N1-n-부틸-N2-(12-하이드록시도데크-5(Z)-에닐)옥살아미드 (0.568 g, 82%)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102.8-102.9℃. TLC: EtOAc/헥산 (7:3), Rf ~ 0.55; 1H NMR (400 MHz) δ 7.69 (br s, 2H), 5.20-5.35 (m, 2H), 3.56 (t, J = 4.2 Hz, 2H), 3.26 (q, J = 5.6 Hz, 4H), 2.17 (br s, -OH), 1.95-2.02 (m, 4H), 1.44-1.56 (m, 6H), 1.20-1.40 (m, 10H), 0.87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δ 160.15, 130.66, 129.21, 62.98, 39.80, 39.63, 32.93, 31.39, 29.77, 29.18, 28.95, 27.26, 27.0, 26.88, 25.80, 20.18, 13.85. C18H35N2O3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27.2648, 실측치 327.2648.
Figure pct00027
N 1 -(12-브로모도데크-5(Z)-에닐)-N 2 -n-부틸옥살아미드. N1-n-부틸-N2-(12-하이드록시도데크-5(Z)-에닐)옥살아미드 (330 mg, 1.0 mmol)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브롬화시켜 N1-(12-브로모도데크-5(Z)-에닐)-N2-n-부틸옥살아미드 (330 mg, 84%)를 백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46.0-46.3℃. TLC: EtOAc/헥산 (3:2), Rf ~ 0.55; 1H NMR (400 MHz) δ 7.79 (br s, -NH, 1H), 7.77 (br s, -NH, 1H), 5.20-5.32 (m, 2H), 3.32 (t, J = 6.4 Hz, 2H), 3.22 (q, J = 7.2 Hz, 4H), 1.90-2.00 (m, 4H), 1.72-1.82 (m, 2H), 1.42-1.56 (m, 4H), 1.20-1.40 (m, 10H), 0.85 (t, J = 7.3 Hz, 3H); 13C NMR (100 MHz) δ 160.17, 160.15, 130.40, 129.34, 39.77, 39.59, 34.12, 32.93, 31.40, 29.62, 29.0, 28.54, 27.25, 27.24, 27.0, 26.91, 20.18, 13.85. C18H34BrN2O2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89.1804, 실측치 389.1809.
Figure pct00028
N 1 -n-부틸-N 2 -(12-시아노도데크-5(Z)-에닐)옥살아미드. N1-(12-브로모도데크-5(Z)-에닐)-N2-n-부틸옥살아미드 (250 mg, 0.642 mmol)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포타슘 시아나이드로 처리하여 N1-n-부틸-N2-(12-시아노도데크-5(Z)-에닐)옥살아미드 (168 mg, 78%)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83.0-83.3℃. TLC: EtOAc/헥산 (3:2), Rf ~ 035; 1H NMR (400 MHz) δ 7.45 (br s, -NH, 2H), 5.30-5.40 (m, 2H), 3.34 (q, J = 8.6 Hz, 4H), 2.32 (t, J = 7.6 Hz, 2H), 1.98-2.08 (m, 4H), 1.30-1.68 (m, 16H), 0.92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δ 160.03 (2C), 130.03, 129.08, 120.10, 39.88, 39.42, 31.22, 29.40, 28.82, 28.60, 28.42, 27.07, 27.06, 26.82, 25.54, 20.06, 17.01, 13.80. C19H34N3O2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36.2651, 실측치 336.2650.
Figure pct00029
N 1 -(13-아미노-13-(하이드록시이미노)트리데크-5(Z)-에닐)-N 2 -n-부틸옥살아미드. 상기 기재된 절차에 따라, N1-n-부틸-N2-(12-시아노도데크-5(Z)-에닐)옥살아미드, H2NOH·HCl, 및 Na2CO3의 혼합물을 무색 고형물로서 N1-(13-아미노-13-(하이드록시이미노)트리데크-5(Z)-에닐)-N2-n-부틸옥살아미드 (102 mg, 62%)로 전환시켰다. 116.3-116.4℃. TLC: MeOH/CH2Cl2 (1:4), Rf ~ 0.20; 1H NMR (CD3OD, 400 MHz) δ 5.28-5.40 (m, 2H), 3.24 (t, J = 6.4 Hz, 4H), 1.98-2.00 (m, 6H), 1.50-1.60 (m, 6H), 1.26-1.40 (m, 10H), 0.92 (t, J = 7.3 Hz, 3H); 13C NMR (CD3OD, 100 MHz) δ 160.55 (2C), 156.31, 130.05, 129.18, 39.23, 39.09, 31.18, 30.63, 29.51, 28.83, 28.69, 27.10, 26.87, 26.59,19.88, 12.88. C19H37N4O3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69.2866, 실측치 369.2864.
Figure pct00030
유사체 27. N1-(13-아미노-13-(하이드록시이미노)트리데크-5(Z)-에닐)-N2-n-부틸옥살아미드 (100 mg, 0.27 mmol)를 1,1'-티오카보닐 디이미다졸로 처리하여 27 (71 mg, 63%)을 백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110.6-110.8℃. TLC: MeOH/CH2Cl2 (1:9), Rf ~ 0.55; 1H NMR (400 MHz) δ 8.90 (br s, NH, 1H), 7.52 (br s, NH, 2H), 5.28-5.40 (m, 2H), 3.20-3.40 (m, 4H), 2.59 (t, J = 7.5 Hz, 2H), 1.98-2.10 (m, 4H), 1.21-1.70 (m, 16H), 0.92 (t, J = 7.3 Hz, 3H); 13C NMR (100 MHz) δ 160.12, 160.08, 153.31, 130.62, 129.46, 39.93, 39.85, 31.35, 29.33, 28.94, 28.89, 28.68, 27.02, 26.84, 26.69, 23.96, 20.23, 13.90. C19H35N4O4S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15.2379, 실측치 415.2372.
유사체 21의 합성.
Figure pct00031
유사체 21. 22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절차에 따라, N1-n-부틸-N2-(12-시아노도데크-5(Z)-에닐)옥살아미드 (30 mg, 0.10 mmol), 소듐 아지드 (11 mg, 0.20 mmol) 및 징크 브로마이드 (40 mg, 0.20 mmol)의 혼합물을 이소프로판올/메탄올/H2O (1:1:3, 4 mL) 중에서 가열하여 테트라졸 21 (25 mg, 74%)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113-114℃. TLC: 10% MeOH/CH2Cl2, Rf ~ 0.26; 1H NMR (CD3OD, 400 MHz) δ 5.40-5.35 (m, 2H), 3.26 (t, J = 7.0 Hz, 4H), 2.44 (t, J = 7.0 Hz, 2H), 2.05-2.15 (m, 4H), 1.65-1.60 (m, 6H), 1.40-1.30 (m, 10H), 0.94 (t, J = 7.3 Hz, 3H); 13C NMR (CD3OD, 100 MHz) δ 160.12, 160.05, 156.80, 130.35, 129.50, 39.20, 39.08, 31.15, 29.33, 28.66, 28.65, 28.53, 27.38, 26.83, 26.79, 26.55, 22.86, 19.85, 12.84. C19H35N6O2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79.2822, 실측치 379.2814.
유사체 26의 합성.
Figure pct00032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2-아이오도도데크-7(Z)-엔. 트리페닐포스핀 (504 mg, 1.14 mmol) 및 이미다졸 (156 mg, 2.30 mmol)을 아르곤 대기 하에서 무수 THF (25 mL) 중의 상기 12-(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도데크-5(Z)-엔-1-올 (500 mg, 1.14 mmol)의 0℃ 용액에 첨가하였다. 10분 후, 고체 아이오드 (252 mg, 1.2 당량)를 나누어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 h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된 소듐 바이설파이트 수용액 (10 mL)으로 켄칭시켰다. 추가의 1 h 후, 용액을 물 (2 x 30 mL)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0% EtOAc/헥산을 용리액으로서 사용하는 플래쉬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74 mg, 76%)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20% EtOAc/헥산, Rf ~ 0.65; 1H NMR (300 MHz) δ 7.65-7.70 (m, 4H), 7.35-7.45 (m, 6H), 5.30-5.40 (m, 2H), 3.64 (t, J = 6.4 Hz, 2H), 3.18 (t, J = 5.5 Hz, 2H), 1.95-2.10 (m, 4H), 1.85-1.90 (m, 2H), 1.22-1.50 (m, 10H), 1.20 (s, 9H); 13C NMR (75 MHz) δ 135.87, 130.42, 130.22, 130.20, 129.95, 127.89, 64.15, 38.35, 36.20, 32.50, 29.90, 28.62, 28.32, 27.25, 27.20, 27.18, 26.22, 19.12. C28H42IO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549.2050, 실측치 549.2044.
Figure pct00033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2-N-이소프로필아미노-도데크-7(Z)-엔. 이소프로필아민 (464 μL, 5.45 mmol) 및 K2CO3 (373 mg, 2.73 mmol)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8 mL) 중의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2-아이오도도데크-7(Z)-엔 (500 mg, 0.91 mmol)의 실온 용액에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 h 동안 90℃에서 밀봉된 관에서 가열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 (5 mL)로 희석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2% 내지 5% MeOH/ CH2Cl2의 구배를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아민 (335 mg, 77%)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5% MeOH/CH2Cl2, Rf ~ 0.3; 1H NMR (300 MHz) δ 7.62-7.70 (m, 4H), 7.34-7.44 (m, 6H), 5.30-5.40 (m, 2H), 3.64 (t, J = 6.4 Hz, 2H), 2.72-2.84 (m, 1H), 2.58 (t, J = 7.0 Hz, 2H), 1.94-2.08 (m, 4H), 1.20-1.60 (m, 12H), 1.05 (d, J = 7.2 Hz, 6H), 1.04 (s, 9H); 13C NMR (75 MHz) δ 135.81, 134.40, 132.0, 129.72, 127.81, 64.21, 48.96, 47.75, 32.80, 30.33, 29.97, 29.31, 27.85, 27.44, 27.33, 27.11, 25.95, 23.27, 19.46. C31H50NO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80.3662, 실측치 480.3666.
Figure pct00034
N-(12-(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도데크-5(Z)-에닐)-N-이소프로필 n-헵탄아미드. 고형물 [1-(3-디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DCI; 131 mg, 0.69 mmol)을 무수 DMF (5 mL) 중의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2-N-이소프로필아미노-도데크-7(Z)-엔 (300 mg, 0.63 mmol), DMAP (84 mg, 0.69 mmol), N-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HOBt; 93 mg, 0.69 mmol), 및 n-헵탄산 (90 mg, 0.68 mmol)의 실온 용액에 나누어 첨가하였다. 12 h 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테르 (3 x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에테르성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81 mg, 76%)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1:4), Rf ~ 0.65; 1H NMR (300 MHz, 1:1 로타머 혼합물) δ 7.62-7.70 (m, 4H), 7.34-7.44 (m, 6H), 5.30-5.40 (m, 2H), 4.60-4.70 및 4.00-4.05 (m,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1H), 3.05 (t, J = 5.2 Hz, 2H), 3.02-3.19 (m, 2H), 2.20-2.40 (m, 2H), 1.95-2.10 (m, 4H), 1.20-1.60 (m, 20 H), 1.18 및 1.08 (d, J = 7.0 Hz,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6H), 1.02 (s, 9H), 0.88 (t, J = 7.2 Hz, 3H); 13C NMR (75 MHz) δ 177.24, 173.35, 172.25, 136.16, 135.80, 135.14, 134.37, 134.34, 130.97, 130.31, 129.74, 129.73, 129.54, 129.04, 127.82, 127.75, 64.21, 64.18, 48.42, 45.68, 43.62, 41.19, 34.46, 34.02, 32.81, 32.79, 31.95, 31.94, 31.75, 31.28, 30.0, 29.92, 29.55, 29.46, 29.31, 29.09, 27.87, 27.52, 27.49, 27.45, 27.21, 27.13, 26.94, 26.88, 25.97, 25.95, 25.79, 25.15, 22.81, 22.75, 21.63, 20.77, 19.46, 19.33, 14.34, 14.30. C38H62NO2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592.4550, 실측치 592.4552.
Figure pct00035
N-(12-하이드록시도데크-5(Z)-에닐)-N-이소프로필 n-헵탄아미드. 상기 탈실릴화 절차에 따라, N-(12-(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도데크-5(Z)-에닐)-N-이소프로필 n-헵탄아미드 (275 mg, 0.464 mmol)를 시럽으로서의 표제 알콜 (155 mg, 94%)로 전환시켰다. TLC: 40% EtOAc/헥산, Rf ~ 0.45; 1H NMR (300 MHz, 45/55 로타머 혼합물) δ 5.30-5.46 (m, 2H), 4.62-4.72 및 4.00-4.08 (m,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1H), 3.63 (t, J = 5.4 Hz, 2H), 3.06-3.14 (m, 2H), 2.22-2.36 (m, 2H), 1.98-2.10 (m, 4H), 1.24-1.70 (m, 20 H), 1.17 및 1.10 (d, J = 6.8 Hz,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6H), 0.88 (t, J = 7.2 Hz, 3H); 13C NMR (75 MHz) δ 173.23, 172.67, 130.83, 130.12, 129.71, 128.96, 62.69, 62.64, 48.34, 45.56, 43.52, 41.07, 34.0, 33.91, 32.91, 32.88, 31.84, 31.81, 31.18, 29.82, 29.74, 29.46, 29.33, 29.11, 27.78, 27.37, 27.35, 27.16, 27.13, 26.84, 25.89, 25.81, 25.66, 22.69, 21.51, 20.65, 14.21. C22H44NO2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54.3372, 실측치 354.3380.
Figure pct00036
N-(12-브로모도데크-5(Z)-에닐)-N-이소프로필-n-헥산아미드. 상기 절차에 따라, N-(12-하이드록시도데크-5(Z)-에닐)-N-이소프로필 n-헵탄아미드 (150 mg, 0.43 mmol)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시럽으로서의 상응하는 브로마이드 (144 mg, 82%)로 변형시켰다. LC: 30% EtOAc/헥산, Rf ~ 0.65; 1H NMR (300 MHz, 45/55 로타머 비) δ 5.30-5.42 (m, 2H), 4.60-4.70 및 4.00-4.10 (m,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1H), 3.42 (t, J = 5.3 Hz, 2H), 3.02-3.20 (m, 2H), 2.20-2.38 (m, 2H), 1.80-2.10 (m, 4H), 1.20-1.70 (m, 20H), 1.16 및 1.12 (d, J = 7.2 Hz,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6H), 0.87 (t, J = 7.2 Hz, 3H); 13C NMR (75 MHz) δ 173.20, 172.64, 130.61, 130.46, 129.96, 129.94, 129.24, 48.34, 45.56, 43.54, 41.09, 34.20, 34.16, 34.05, 33.97, 32.98, 32.93, 32.60, 31.90, 31.88, 31.26, 29.78, 29.68, 29.62, 29.51, 29.40, 28.94, 28.55, 28.25, 28.20, 27.81, 27.69, 27.45, 27.30, 27.25, 27.18, 26.92, 25.87, 25.20, 22.75, 21.59, 20.72, 14.72. C22H43BrNO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16.2528, 실측치 416.2523.
Figure pct00037
N-(12-시아노도데크-5(Z)-에닐)-N-이소프로필-n-헥산아미드. 상기 시아나이드 치환 절차에 따라, N-(12-브로모도데크-5(Z)-에닐)-N-이소프로필-n-헥산아미드 (500 mg, 1.20 mmol)가 시럽으로서의 표제 니트릴 (339 mg, 78%)를 제공하였다. TLC: EtOAc/헥산 (3:7), Rf ~ 0.40; 1H NMR (500 MHz, 45/55 로타머 비) δ 5.20-5.34 (m, 2H), 4.52-4.62 및 3.90-4.02 (m,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1H), 3.00-3.10 (m, 2H), 2.16-2.30 (m, 4H), 1.90-2.05 (m, 4H), 1.60-1.70 (m, 8H), 1.22-1.50 (m, 12H), 1.18 및 1.11, (d, J = 6.8 Hz,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6H), 0.88 (t, J = 7.2 Hz, 3H); 13C NMR (75 MHz) δ 173.22, 172.66, 130.42, 130.04, 129.78, 129.35, 120.04, 119.99, 48.34, 45.58, 43.54, 41.07, 34.02, 33.95, 31.89, 31.86, 31.22, 29.53, 29.49, 29.37, 28.73, 28.70, 28.57, 28.53, 27.78, 27.39, 27.26, 27.18, 27.17, 26.91, 25.85, 25.70, 25.52, 25.49, 22.73, 21.56, 20.70, 17.26, 14.27. C23H43N2O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63.3375, 실측치 363.3375.
Figure pct00038
N-(13-아미노-13-(하이드록시이미노)트리데크-5(Z)-에닐)-N-이소프로필-n-헵탄아미드. 상기 절차에 따라, N-(12-시아노도데크-5(Z)-에닐)-N-이소프로필-n-헥산아미드, H2NOH·HCl, 및 Na2CO3의 혼합물을 표제 화합물 (64%)로 전환시켰다. TLC: MeOH/CH2Cl2 (3:7), Rf ~ 0.30; 1H NMR (500 MHz, 1:1 로타머 비) δ 5.24-5.40 (m, 2H), 4.62-4.68 (m, 0.5H), 4.50-4.60 (-NH, 2H), 3.96-4.40 (m, 0.5H), 3.02-3.14 (m, 2H), 2.18-2.28 (m, 2H), 1.90-2.16 (m, 6H), 1.46-1.64 (m, 8H), 1.20-1.36 (m, 12 H), 1.15 및1.08 (d, J = 7.3 Hz, 시럽퍼(syrupers)로서 두개의 로타머에 대해 6H), 0.85 (t, J = 7.2 Hz, 3H); 13C NMR (75 MHz) δ 173.22, 172.58, 154.26, 154.21, 130.82, 130.13, 129.79, 129.08, 48.32, 45.50, 43.52, 41.09, 36.03, 34.05, 33.97, 31.89, 31.86, 31.459, 31.25, 29.72, 29.67, 29.53, 29.39, 29.21, 29.19, 29.11, 29.03, 27.83, 27.41, 27.24, 27.17, 26.90, 26.84, 25.87, 25.70, 22.74, 21.58, 20.73, 14.26. C23H46N3O2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96.3590, 실측치 396.3698.
Figure pct00039
유사체 26. N-(13-아미노-13-(하이드록시이미노)트리데크-5(Z)-에닐)-N-이소프로필-n-헵탄아미드 (150 mg, 0.38 mmol)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0℃에서 티오닐 클로라이드로 처리하여 26 (133 mg, 68%)을 시럽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1:1), Rf ~ 0.30; 1H NMR (400 MHz, 35/65 로타머 비) δ 5.22-5.40 (m, 2H), 4.48-4.70 및 4.00-4.12 (m,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1H), 3.04-3.20 (m, 2H), 2.50 및 2.64 (t, J = 6.9 Hz,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2H), 2.22,2.38 (t, J = 8.0 Hz,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2H), 1.90-2.10 (m, 4H), 1.50-1.78 (m, 8H), 1.20-1.40 (m, 12H), 1.22 및 1.12 (d, J= 6.7 Hz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6H), 0.88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δ 173.82, 173.40, 153.39, 153.26, 131.03, 130.02, 129.97, 129.10, 48.85, 46.04, 43.82, 41.50, 34.13, 34.02, 31.85, 31.80, 31.23, 29.58, 29.32, 29.11, 29.09, 29.02, 28.80, 28.17, 27.96, 27.32, 27.24, 27.19, 26.03, 26.75, 26.64, 26.10, 24.02, 29.96, 22.75, 21.56, 21.53, 20.74, 20.72, 14.27, 14.25. C24H44N3O3S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42.3103, 실측치 442.3106.
유사체 19의 합성.
Figure pct00040
유사체 19. N-(12-시아노도데크-5(Z)-에닐)-N-이소프로필-n-헥산아미드 (350 mg, 0.97 mmol)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소듐 아지드로 처리하여 테트라졸 19 (250 mg, 64%)을 점착성 고형물로서 얻었다. TLC: EtOAc, Rf ~ 0.40; 1H NMR (300 MHz, 35/65 로타머 비) δ 5.22-5.40 (m, 2H), 4.58-4.68 및 4.02-4.18 (m,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1H), 3.10-3.24 (m, 2H), 2.98 (t, J = 7.6 Hz, 2H), 2.44 및 2.30 (t, J = 7.3 Hz,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2H), 1.94-2.10 (m, 4H), 1.72-1.84 (m, 2H), 1.50-1.70 (m, 4H), 1.18-1.40 (m, 14H), 1.21 및 1.10 (d, J = 7.2 Hz,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6H), 0.82-0.87 (m, 3H); 13C NMR (75 MHz) δ 174.06, 173.80, 130.85, 130.04, 129.79, 129.08, 48.94, 46.32, 43.97, 41.55, 34.11, 34.05, 31.79, 31.72, 31.12, 29.61, 29.61, 29.51, 29.25, 29.05, 28.85, 28.22, 27.98, 27.89, 27.32, 27.19, 26.92, 25.97, 23.70, 22.67, 21.51, 20.67, 14.02. C23H44N5O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06.3546, 실측치 406.3547.
유사체 22의 합성.
Figure pct00041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3-(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트리데크-8-인. 유사체 25의 합성에 적용된 절차에 따라, 2-(헥스-5-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1 (5.0 g, 27.40 mmol)을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7-브로모헵탄 (11.90 g, 27.40 mmol)과 커플링시켜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3-(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트리데크-8-인3 (10.50 g, 72%) 무색 시럽으로서 얻었으며 이의 스펙트럼 데이터는 문헌 값에 일치하였다.3 TLC: EtOAc/헥산 (1:4), Rf ~ 0.60; 1H NMR (400 MHz) δ 7.64-7.68 (m, 4H), 7.34-7.42 (m, 6H), 4.57 (t, J = 4.3 Hz, 1H), 3.78-3.86 (m, 2H), 3.65 (t, J = 6.3 Hz, 2H), 3.32-3.54 (m, 2H), 2.10-2.22 (m, 4H), 1.24-1.84 (m, 20H), 1.04 (s, 9H); 13C NMR (100 MHz) δ 135.80, 134.38, 129.72, 127.81, 99.0, 80.72, 80.10, 67.30, 64.17, 62.49, 32.77, 30.99, 29.34, 29.18, 29.13, 29.0, 27.11, 26.19, 25.91, 25.74, 19.87, 19.45, 19.0, 18.86.
Figure pct00042
13-(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트리데크-5-인-1-올. 유사체 25의 합성에 적용된 절차에 따라,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3-(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트리데크-8-인 (10.0 g, 18.70 mmol)을 PPTS로 탈보호시켜 13-(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트리데크-5-인-1-올 (7.70 g, 91%)을 무색 시럽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3:7), Rf ~ 0.43; 1H NMR (300 MHz) δ 7.64-7.68 (m, 4H), 7.34-7.42 (m, 6H), 3.62 (t, J = 5.6 Hz, 4H), 2.06-2.22 (m, 4H), 1.50-1.64 (m, 14H), 1.04 (s, 9H); 13C NMR (100 MHz) δ 135.82, 134.37, 129.76, 127.85, 80.93, 80.04, 64.21, 62.63, 32.77, 32.09, 29.33, 29.13, 29.10, 27.14, 25.92, 25.63, 19.47, 19.0, 18.81. C29H43O2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51.3032, 실측치 451.3032.
Figure pct00043
(Z)-13-(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트리데크-5-엔-1-올. 유사체 25의 합성에 적용된 절차에 따라, 13-(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트리데크-5-인-1-올 (7.50 g, 16.60 mmol)을 세미-수소화 처리하여 13-(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트리데크-5(Z)-엔-1-올 (6.90 g, 92%)을 시럽으로서 얻었으며, 이의 스펙트럼 값은 문헌 데이터와 일치하였다.2 TLC: EtOAc/헥산 (3:7), Rf ~ 0.45; 1H NMR (400 MHz) δ 7.64-7.68 (m, 4H), 7.42-7.34 (m, 6H), 5.28-5.42 (m, 2H), 3.68-3.67 (t, J = 6.4 Hz, 4H), 1.98-2.12 (m, 4H), 1.50-1.60 (m, 4H), 1.40-1.24 (m, 10H), 1.04 (s, 9H); 13C NMR (100 MHz) δ 135.83, 134.40, 130.61, 129.74, 129.60, 127.83, 64.21, 63.08, 32.83, 32.60, 29.94, 29.54, 27.50, 27.18, 27.14, 26.12, 26.01, 19.48.
Figure pct00044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3-아지도트리데크-8(Z)-엔. 유사체 25의 합성에서 적용된 절차에 따라, 13-(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트리데크-5(Z)-엔-1-올 (7.0 g, 15.48 mmol)을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3-아지도트리데크-8(Z)-엔 (5.30 g, 72%)로 전환시켜서 시럽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1:9), Rf ~ 0.55; 1H NMR (400 MHz) δ 7.68-7.64 (m, 4H), 7.42-7.34 (m, 6H), 5.28-5.42 (m, 2H), 3.64 (t, J = 6.4 Hz, 2H), 3.26 (t, J = 5.6 Hz, 2H), 1.96-2.10 (m, 4H), 1.64-1.24 (m, 14H), 1.04 (s, 9H); 13C NMR (100 MHz) δ 135.86, 134.44, 131.0, 129.77, 129.12, 127.85, 64.27, 51.63, 32.87, 29.95, 29.56, 28.70, 27.54, 27.17, 27.05, 26.93, 26.05, 19.51. IR (니트) 2930, 2783, 2361, 2331, 2094, 1109 cm-1. C29H44N3O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78.3254, 실측치 478.3250.
Figure pct00045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3-아미노트리데크-8(Z)-엔. 유사체 25의 합성에 적용된 절차에 따라,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3-아지도트리데크-8(Z)-엔 (3.50 g, 7.32 mmol)을 트리페닐포스핀으로 환원시켜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3-아미노트리데크-8(Z)-엔 (2.44 g, 74%)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MeOH/CH2Cl2 (1:4), Rf ~ 0.25; 1H NMR (400 MHz) δ 7.62-7.68 (m, 4H), 7.32-7.40 (m, 6H), 5.30-5.40 (m, 2H), 3.63 (t, J = 5.2 Hz, 2H), 2.62 (br s, 2H), 1.92-2.06 (m, 4H), 1.40-1.58 (m, 4H), 1.20-1.40 (m, 10H), 1.03 (s, 9H); 13C NMR (100 MHz) δ 135.79, 134.39, 130.46, 129.70, 127.78, 64.22, 42.02, 32.80, 29.92, 29.52, 27.46, 27.23, 27.10, 25.98, 19.44. C29H46NOSi [M+1]+ 452.3349에 대한 HRMS 이론치 452.3349, 실측치 452.3357.
Figure pct00046
1-(13-(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트리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유사체 25의 합성에 적용된 절차에 따라,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3-아미노트리데크-8(Z)-엔 (2.35 g, 5.20 mmol)을 n-펜틸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1-(13-(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트리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2.23 g, 76%)을 시럽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1:4), Rf ~ 0.65; 1H NMR (500 MHz) δ 7.62-7.70 (m, 4H), 7.32-7.44 (m, 6H), 5.28-5.44 (m, 2H), 4.37 (br s, 2H), 3.66 (t, J = 4.2 Hz, 2H), 3.08-3.20 (m, 4H), 1.98-2.08 (m, 4H), 1.20-1.60 (m, 20H), 1.05 (s, 9H), 0.90 (t, J = 7.2 Hz, 3H); 13C NMR (125 MHz) δ 159.22, 135.80, 134.12, 130.24, 129.88, 129.76, 127.81, 64.21, 40.62, 40.54, 32.82, 30.31, 29.95, 29.56, 29.39, 27.51, 27.35, 27.20, 27.13, 26.01, 22.72, 19.43, 14.30. C35H57N2O2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565.4189, 실측치 565.4186.
Figure pct00047
1-(13-하이드록시트리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유사체 25의 합성에 적용된 절차에 따라, 1-(13-(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트리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2.30 g, 4.07 mmol)를 TBAF를 사용하여 탈실릴화시켜 1-(13-하이드록시트리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1.22 g, 92%)를 백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63.1-63.3℃. TLC: EtOAc/헥산 (7:3), Rf ~ 0.55; 1H NMR (400 MHz) δ 5.24-5.38 (m, 2H), 4.74 (br s, -NH, 2H), 3.62 (t, J = 5.6 Hz, 2H), 3.06-3.18 (m, 4H), 1.98-2.06 (m, 4H), 1.20-1.60 (m, 20H), 0.86 (t, J = 7.3 Hz, 3H); 13C NMR (100 MHz) δ 159.31, 130.38, 129.63, 62.90, 40.51, 40.46, 32.93, 30.30, 30.29, 29.79, 29.41, 29.34, 29.23, 27.30, 27.24, 27.15, 25.98, 22.67, 14.25. C19H39N2O2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27.3012, 실측치 327.3011.
Figure pct00048
1-(13-브로모트리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유사체 25의 합성에 적용된 절차에 따라, 1-(13-하이드록시트리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1.20 g, 3.68 mmol)를 1-(13-브로모트리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1.17 g, 82%)로서 변형시켜, 점착성 고형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2:3), Rf ~ 0.60; 1H NMR (500 MHz) δ 5.28-5.40 (m, 2H), 4.71 (br s, -NH, 2H), 3.40 (t, J = 4.2 Hz, 2H), 3.10-3.20 (m, 4H), 1.98-2.06 (m, 4H), 1.82-1.88 (m, 2H), 1.26-1.50 (m, 18H), 0.87 (t, J = 7.2 Hz, 3H); 13C NMR (125 MHz) δ 159.38, 130.34, 129.59, 40.55, 40.46, 34.29, 33.02, 30.34, 29.81, 29.38, 29.30, 28.89, 28.35, 27.39, 27.33, 27.18, 22.71, 14.29. C19H37BrN2O [M]+에 대한 HRMS 이론치 388.2089, 실측치 388.2090.
Figure pct00049
1-(13-시아노트리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1-(13-브로모트리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1.10 g, 2.82 mmol)를 유사체 25의 합성에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포타슘 시아나이드와 반응시켜 1-(13-시아노트리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0.69 g, 73%)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44.3-44.4℃. TLC: EtOAc/헥산 (1:1), Rf ~ 0.32; 1H NMR (500 MHz) δ 5.30-5.42 (m, 2H), 4.35 (br s, 2H), 3.04-3.20 (m, 4H), 2.34 (t, J = 7.6 Hz, 2H), 1.98-2.10 (m, 4H), 1.60-1.72 (m, 2H), 1.24-1.56 (m, 18H), 0.89 (t, J = 7.2 Hz, 3H); 13C NMR (125 MHz) δ 159.24, 130.23, 129.68, 120.02, 40.24, 40.13, 30.27, 29.69, 29.32, 29.07, 28.82, 28.78, 27.29, 27.26, 27.13, 25.49, 22.64, 17.30, 14.24. C20H38N3O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36.3015, 실측치 336.3019.
Figure pct00050
1-(13-(1H-테트라졸-5-일)트리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22). 유사체 20의 합성에서 상기 기재된 절차에 따라, 1-(13-시아노트리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소듐 아지드, 및 징크 브로마이드의 혼합물을 110℃에서 가열하여 유사체 22 (66%)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86.0-86.2℃. TLC: MeOH/CH2Cl2 (1:9), Rf ~ 0.30; 1H NMR (CD3OD, 300 MHz) δ 5.30-5.40 (m, 2H), 3.06-3.11 (m, 4H), 2.93 (t, J = 8.0 Hz, 2H), 1.98-2.10 (m, 4H), 1.70-1.82 (m, 2H), 1.24-1.50 (m, 18H), 0.90 (t, J = 7.6 Hz, 3H);13C NMR (CD3OD, 100 MHz) δ 160.15, 156.21, 129.89, 129.39, 39.84, 39.71, 29.89, 29.82, 29.53, 29.01, 29.00, 28.81, 27.45, 26.90, 26.70, 22.89, 22.33, 13.25. C20H38N6O [M]+에 대한 HRMS 이론치 378.3107, 실측치 378.3111.
유사체 13의 합성.
Figure pct00051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1-(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운데크-6-인. 유사체 25의 합성에 적용된 절차에 따라, 2-(헥스-5-이닐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1을 n-BuLi 및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5-브로모펜탄4과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 (73%)을 무색 액체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1:4), Rf ~ 0.60; 1H NMR (400 MHz) δ 7.64-7.68 (m, 4H), 7.34-7.42 (m, 6H), 4.57 (t, J = 4.3 Hz, 1H), 3.78-3.86 (m, 2H), 3.65 (t, J = 6.3 Hz, 2H), 3.32-3.54 (m, 2H), 2.10-2.22 (m, 4H), 1.24-1.84 (m, 16H), 1.04 (s, 9H); 13C NMR (125 MHz) δ 135.80, 134.32, 129.74, 127.84, 99.01, 80.54, 80.16, 67.30, 64.02, 62.50, 32.34, 30.98, 29.18, 29.12, 27.32, 27.10, 26.17, 25.73, 25.32, 19.87, 18.99, 18.86. C31H45O3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93.3138, 실측치 493.3144.
Figure pct00052
1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운데크-5-인-1-올. 유사체 25를 제조하기 위해 기재된 절차에 따라,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1-(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운데크-6-인을 촉매량의 PPTS로 분해시켜 표제 화합물 (72%)을 무색 액체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3:7), Rf ~ 0.43; 1H NMR (300 MHz) δ 7.64-7.68 (m, 4H), 7.34-7.42 (m, 6H), 3.62 (t, J = 5.6 Hz, 4H), 2.06-2.22 (m, 4H), 1.64-1.50 (m, 10H), 1.04 (s, 9H); 13C NMR (100 MHz) δ 135.82, 134.33, 129.77, 127.84, 80.77, 80.11, 64.06, 62.69, 32.35, 32.10, 29.10, 27.12, 25.60, 25.33, 18.97, 18.78. C27H39O2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23.2719, 실측치 423.2718.
Figure pct00053
1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운데크-5(Z)-엔-1-올. 1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운데크-5-인-1-올 (6.50 g, 15.40 mmol)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세미-수소화처리하여 표제 올레핀 (6.07 g, 93%)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3:7), Rf ~ 0.45; 1H NMR (300 MHz) δ 7.68-7.64 (m, 4H), 7.34-7.32 (m, 6H), 5.28-5.42 (m, 2H), 3.68-3.60 (t, J = 6.4 Hz, 4H), 2.08-1.96 (m, 4H), 1.60-1.50 (m, 4H), 1.40-1.24 (m, 6H), 1.04 (s, 9H); 13C NMR (100 MHz) δ 135.79, 134.36, 130.45, 129.71, 129.63, 127.79, 64.16, 63.15, 32.69, 32.59, 29.94, 29.67, 27.43, 27.13, 27.08, 26.06, 25.68, 19.45. C27H41O2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25.2876, 실측치 425.2874.
Figure pct00054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1-아지도운데크-6(Z)-엔. 상기 기재된 프로토콜에 따라, 1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운데크-5(Z)-엔-1-올 (6.0 g, 14.24 mmol)을 무색 액체인 표제 아지드 (4.60 g, 72%)로 전환시켰다. TLC: EtOAc/헥산 (1:9), Rf ~ 0.55; 1H NMR (300 MHz) δ 7.64-7.68 (m, 4H), 7.34-7.42 (m, 6H), 5.28-5.42 (m, 2H), 3.65 (t, J = 6.4 Hz, 2H), 3.25 (t, J = 7.1 Hz, 2H), 1.96-2.10 (m, 4H), 1.24-1.64 (m, 10H), 1.04 (s, 9H); 13C NMR (100 MHz) δ 136.63, 135.85, 134.41, 130.83, 129.79, 129.22, 127.88, 64.20, 51.62, 32.77, 29.73, 28.70, 27.53, 27.18, 27.05, 26.94, 25.77, 19.52; IR (니트) 2931, 2857, 2094, 1589, 1110 cm-1. C27H40N3O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50.2940, 실측치 450.2941.
Figure pct00055
1-아미노-1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운데크-5(Z)-엔.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1-아지도운데크-6(Z)-엔 (4.30 g, 9.57 mmol)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트리페닐포스핀으로 환원시켜 표제 아민 (2.96 g, 74%)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MeOH/CH2Cl2 (1:4), Rf ~ 0.25; 1H NMR (300 MHz) δ 7.64-7.68 (m, 4H), 7.34-7.42 (m, 6H), 5.28-5.42 (m, 2H), 3.64 (t, J = 6.4 Hz, 2H), 2.82 (t, J = 4.8 Hz, 2H), 1.96-2.10 (m, 4H), 1.52-1.64 (m, 4H), 1.30-1.42 (m, 6H), 1.04 (s, 9H); 13C NMR (100 MHz) δ 135.82, 134.37, 132.37, 132.27, 130.70, 129.78, 129.21, 128.93, 128.81, 127.86, 64.19, 40.88, 32.77, 29.89, 29.73, 27.52, 27.37, 27.17, 27.12, 27.03, 25.76, 19.47. C27H42NO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20.3046, 실측치 420.3050.
Figure pct00056
1-(1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운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76%의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2:3), Rf ~ 0.45; 1H NMR (300 MHz) δ 7.64-7.68 (m, 4H), 7.34-7.42 (m, 6H), 5.28-5.42 (m, 2H), 4.13 (br s, 2H), 3.65 (t, J = 6.4 Hz, 2H), 3.02-3.20 (m, 4H), 1.96-2.08 (m, 4H), 1.20-1.60 (m, 16H), 1.04 (s, 9H), 0.89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δ 158.02, 135.79, 134.36, 130.06, 129.74, 127.90, 127.82, 64.17, 40.42, 40.32, 32.52, 30.28, 29.71, 29.35, 27.62, 27.54, 27.16, 27.11, 25.71, 22.69, 19.45, 14.28. C33H53N2O2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537.3876, 실측치 537.3876.
Figure pct00057
1-(11-하이드록시운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94%, mp 62.2-62.5℃. TLC: EtOAc/헥산 (7:3), Rf ~ 0.55; 1H NMR (300 MHz) δ 5.28-5.42 (m, 2H), 4.37 (br s, 2H), 3.64 (t, J = 6.4 Hz, 2H), 3.02-3.20 (m, 4H), 1.96-2.10 (m, 4H), 1.20-1.60 (m, 16H), 0.89 (t, J = 7.2 Hz, 3H); 13C NMR (75 MHz) δ 159.41, 130.30, 129.73, 62.77, 40.50, 40.34, 32.75, 30.27, 30.10, 29.56, 29.33, 27.23, 27.15, 27.04, 25.56, 22.66, 14.24. C17H35N2O2 [M+1]+에 대한 HRMS 이론치 299.2699, 실측치 299.2705.
Figure pct00058
1-(11-브로모운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84%, 무색 오일. TLC: EtOAc/헥산 (2:3), Rf ~ 0.60; 1H NMR (300 MHz) δ 5.28-5.42 (m, 2H), 4.36 (br s, 2H), 3.32 (t, J = 6.4 Hz, 2H), 3.02-3.20 (m, 4H), 1.96-2.10 (m, 4H), 1.20-1.60 (m, 16H), 0.89 (t, J = 7.2 Hz, 3H); 13C NMR (75 MHz) δ 159.20, 129.94, 40.60, 40.49, 34.19, 32.91, 30.29, 29.35, 29.02, 28.01, 27.26, 27.16, 22.67, 14.26. C17H33BrN2O [M]+에 대한 HRMS 이론치 360.1776, 실측치 360.1773.
Figure pct00059
1-(11-(2-하이드록시페닐티오)운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13). DMF (3 mL) 중의 2-머캅토페놀 (100 mg, 0.79 mmol)의 용액에 K2CO3 (161 mg, 1.18 mmol) 및 1-(11-브로모운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0.29 g, 0.79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2 h 후, 용액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Na2SO4).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유사체 13 (230 mg, 69%)을 점착성 고형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1:1), Rf ~ 0.32; 1H NMR (300 MHz) δ 7.45 (dd, J = 1.9, 7.6 Hz, 1H), 7.22-7.28 (m, 1H), 6.99 (dd, J = 1.2, 8.2 Hz, 1H), 6.88 (dt, J = 1.2, 7.6 Hz, 1H ), 5.28-5.42 (m, 2H), 4.26 (br s, 2H), 3.02-3.20 (m, 4H), 2.69 (t, J = 7.7 Hz, 2H), 1.94-2.08 (m, 4H), 1.20-1.60 (m, 16H), 0.89 (t, J = 7.2 Hz, 3H); 13C NMR (75 MHz) δ 159.05, 157.10, 135.60, 130.76, 130.11, 129.82, 120.78, 119.74, 115.02, 40.70, 40.60, 36.50, 30.23, 29.68, 29.32, 28.38, 27.21, 27.11, 22.66, 14.27. C23H37N2O2S [M-1]-에 대한 HRMS (ESI-neg) 이론치 405.2576, 실측치 405.2575.
유사체 14의 합성.
Figure pct00060
1-(11-(2-하이드록시페닐설포닐)운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14). 유사체 18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절차에 따라, 유사체 13을 산화시켜 14 (60 mg, 75%)를 무색 액체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2:3), Rf ~ 0.32; 1H NMR (300 MHz) δ 9.08 (br s, -OH), 7.72 (dd, J = 1.9, 7.4 Hz, 1H), 7.44 (dt, J = 1.2, 7.3 Hz, 1H), 7.10 (d, J = 7.9 Hz, 1H), 7.12 (t, J = 6.4 Hz, 1H), 5.28-5.42 (m, 2H), 4.70-4.85 (m, 2H), 3.40-3.60 (t, J = 6.2 Hz, 2H), 3.20-3.40 (m, 4H), 1.90-2.10 (m, 4H), 1.70-1.80 (m, 2H), 1.20-1.50 (m, 14H), 0.85 (t, J = 7.2 Hz, 3H); 13C NMR (75 MHz) δ 159.25, 156.66, 136.23, 130.22, 129.78, 129.52, 122.78, 120.22, 118.55, 55.97, 40.08, 40.62, 30.07, 30.02, 29.25, 28.82, 27.62, 27.15, 27.05, 26.62, 22.61, 22.20, 14.24. C23H37N2O4S [M-1]-에 대한 HRMS (ESI-neg) 이론치 437.2474, 실측치 437.2454.
유사체 15의 합성.
Figure pct00061
1-n-펜틸-3-(11-티오시아네이토운데크-5(Z)-에닐)우레아. 무수 DMSO (4 mL) 중의 1-(11-브로모운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191 mg, 0.53 mmol) 및 포타슘 티오시아네이트 (154 mg, 1.58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24 h 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우레아 (116 mg, 65%)을 무색 시럽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2:3), Rf ~ 0.32; 1H NMR (300 MHz) δ 5.28-5.42 (m, 2H), 4.42 (br s, 2H), 3.10-3.20 (m, 4H), 2.94 (t, J = 7.0 Hz, 2H), 2.00-2.10 (m, 4H), 1.70-1.80 (m, 2H), 1.20-1.56 (m, 14H), 0.88 (t, J = 7.2 Hz, 3H); 13C NMR (75 MHz) δ 158.92, 130.20, 129.68, 112.84, 40.67, 40.54, 34.23, 30.22, 30.03, 29.31, 29.08, 27.66, 27.19, 27.15, 27.04, 22.66, 14.27; IR (니트) 2929, 2856, 2153, 1630, 1573, 1456, 1256 cm-1. C18H34N3OS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40.2423, 실측치 340.2421.
Figure pct00062
1-(11-(1H-테트라졸-5-일티오)운데크-5(Z)-에닐)-3-펜틸우레아 (15). 유사체 19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절차에 따라, 1-n-펜틸-3-(11-티오시아네이토운데크-5(Z)-에닐)우레아 (150 mg, 0.44 mmol)를 소듐 아지드로 처리하여 유사체 15 (104 mg, 62%)를 점착성 고형물로서 얻었다. TLC: 5% MeOH/CH2Cl2, Rf ~ 0.40; 1H NMR (300 MHz) δ 5.28-5.42 (m, 2H), 4.63 (br s, 2H), 3.30 (t, J = 6.7 Hz, 2H), 3.17-3.23 (m, 4H), 1.95-2.04 (m, 4H), 1.44-1.80 (m, 6H), 1.24-1.42 (m, 10H), 0.89 (t, J = 7.2 Hz, 3H); 13C NMR (CD3OD, 75 MHz) δ 160.17, 155.38, 129.65, 129.58, 39.81, 39.69, 32.38, 29.87, 29.79, 29.36, 28.99, 28.96, 27.84, 26.84, 26.72, 26.69, 22.31, 13.21. C18H33N6OS [M-1]-에 대한 HRMS (ESI-neg) 이론치 381.2442, 실측치 381.2348.
유사체 12의 합성.
Figure pct00063
N-(11-(3-n-펜틸우레이도)운데크-6(Z)-에닐)벤젠설폰아미드(12). THF/HMPA (4:1; 5 mL) 중의 벤젠설폰아미드 (50 mg, 0.31 mmol)의 용액에 -78℃ 아르곤 대기 하에서 n-부틸리튬 (헥산 중의 2.5 M 용액, 125 μL, 0.31 mmol)을 첨가하였다. THF (2 mL) 중의 1-(11-브로모운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115 mg, 0.32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동일 온도에 2 h 후, 반응물을 포화된 NH4Cl 수용액(5 mL)으로 켄칭시켰다. 혼합물을 EtOAc (3 × 5 mL)로 추출하고, 합한 추출물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유사체 12 (44 mg, 32%)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73.5-73.6℃. TLC: 5% MeOH/CH2Cl2, Rf ~ 0.40; 1H NMR (300 MHz) δ 7.84-7.90 (m, 2H), 7.46-7.60 (m, 3H), 5.48 (br s, -NH, 1H), 5.24-5.38 (m, 2H), 4.70 (br s, -NH, 1H), 4.60 (br s, -NH, 1H), 3.08-3.20 (m, 4H), 2.88-2.94 (q, J = 6.4 Hz, 2H), 1.94-2.40 (m, 4H), 1.20-1.58 (m, 16 H), 0.88 (t, J = 6.8 Hz, 3H); 13C NMR (75 MHz) δ 159.90, 140.06, 132.69, 130.03, 129.98, 129.27, 127.19, 43.26, 40.80, 40.52, 30.09, 29.99, 29.61, 29.28, 29.16, 27.02, 26.99, 26.96, 26.13, 22.63, 14.25. C23H40N3O3S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38.2790, 실측치 438.2782.
유사체 24의 합성.
Figure pct00064
1-(11-(2,4-디옥소티아졸리딘-5-일)운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24). n-부틸리튬 (1.10 mL, 2.76 mmol, 헥산 중 2.5 M 용액)을 아르곤 대기 하에서 무수 THF/HMPA (50 mL, 4:1) 중의 티아졸리딘-2,4-디온 (0.16 g, 1.38 mmol)의 -78℃ 용액에 적가하였다. 30분 후, 반응 혼합물을 1h에 걸쳐 0℃로 가온시키고, 2h 동안 이 온도에서 유지한 후, -78℃로 재냉각시켰다. THF (15 mL) 중의 1-(11-브로모운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0.50 g, 1.38 mmol)의 용액을 첨가한 후, 반응 온도를 3h에 걸쳐 서서히 실온으로 증가시키고, 12 h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된 NH4Cl 수용액 (5 mL)으로 켄칭시키고, pH를 1 M 옥살산을 사용하여 4로 조정하고, 반응 혼합물을 EtOAc (3 × 12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물 (2 × 100 mL),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5% MeOH/CH2Cl2를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유사체 24 (169 mg, 31%)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92.8-93℃. TLC: 10% MeOH/CH2Cl2, Rf ~ 0.20; 1H NMR (CD3OD, 300 MHz) δ 5.30-5.40 (m, 2H), 4.42 (dd, J = 3.4, 4.2 Hz, 1H), 3.04-3.13 (m, 4H), 2.00-2.16 (m, 4H), 1.80-1.96 (m, 2H), 1.24-1.58 (m, 16H), 0.91 (t, J = 6.7 Hz, 3H); 13C NMR (75 MHz) δ 177.09, 172.56, 160.15, 129.68, 129.60, 51.89, 39.69, 32.57, 29.90, 29.83, 29.23, 29.02, 28.43, 26.88, 26.73, 26.47, 22.35, 13.27. C20H36N3O3S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98.2477, 실측치 398.2477.
유사체 7의 합성.
Figure pct00065
(S)-디메틸 2-(13-(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나미도)석시네이트. L-아스파르트산 디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8 mg, 0.19 mmol) 및 HATU (67 mg, 0.18 mmol)을 아르곤 대기 하에서 무수 DMF (20 mL) 중의 13-(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노익 산(에노익산)2 (50 mg, 0.15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5분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DCI; 33 mg, 0.17 mmol)를 첨가한 후,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33 μL, 0.19 mmol)을 첨가하였다. 12 h 후, 반응 혼합물을 EtOAc (30 mL)로 희석하고, 물 (30 mL), 및 염수 (20 mL)로 세척하였다. 합한 수성 층을 EtOAc (3 x 30 mL)로 역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50% EtOAc/헥산을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디에스테르 (60 mg, 84%)을 점성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3:2), Rf ~ 0.30; 1H NMR (300 MHz) δ 6.62 (d, J =7.0 Hz, 1H), 5.22-5.40 (m, 2H), 4.85-5.04 (m, 1H), 4.80-4.88 (m, 2H), 3.75 (s, 3H), 3.66 (s, 3H), 3.10-3.20 (m, 4H), 3.01 (dd, J = 4.3, 10 Hz, 1H), 2.82 (dd, J = 4.6, 10 Hz, 1H), 2.25 (t, J = 8.3 Hz, 2H), 1.98-2.07 (m, 4H), 1.60-1.68 (m, 4H), 1.20-1.50 (m, 14H), 0.88 (t, J = 6.7 Hz, 3H); 13C NMR (75 MHz) δ 173.51, 171.81, 171.52, 159.02, 130.33, 129.76, 53.05, 52.30, 48.57, 40.61, 40.55, 36.61, 36.28, 30.24, 30.20, 29.51, 29.31, 29.10, 28.88, 27.20, 27.12, 25.72, 22.66, 14.26.
Figure pct00066
(S)-2-(13-(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나미도)석신산(7). LiOH (2 mL, 2 M 수용액)를 THF (25 mL) 및 탈이온 H2O (4 mL) 중의 상기 (S)-디메틸 2-(13-(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나미도)석시네이트 (60 mg, 0.12 mmol)의 0℃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pH를 1 M 옥살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4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EtOAc (3 x 1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물 (30 mL), 염수 (25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25% EtOAc/헥산을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유사체 7 (48 mg, 85%)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5% MeOH/EtOAc (3:2), Rf ~ 0.30; 1H NMR (CD3OD, 300 MHz) δ 5.30-5.38 (m, 2H), 4.72 (t, J = 4.2 Hz, 1H), 3.26-3.32 (m, 4H), 2.86 (dd, J = 4.3, 10 Hz, 1H), 2.77 (dd, J = 4.6, 10 Hz, 1H), 2.22 (t, J = 7.7 Hz, 2H), 1.98-2.10 (m, 4H), 1.54-1.64 (m, 4H), 1.20-1.52 (m, 14H), 0.89 (t, J = 6.7 Hz, 3H); 13C NMR (CD3OD, 75 MHz) δ 174.93, 173.01, 172.83, 160.17, 129.94, 129.39, 49.0, 39.81, 39.73, 35.78, 35.60, 29.90, 29.82, 29.49, 29.02, 28.87, 26.90, 26.73, 25.70, 22.35, 13.29. C23H42N3O6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56.3074, 실측치 456.3071.
유사체 3의 합성.
Figure pct00067
2-(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톡시)에틸13-(2-(n-부틸아미노)-2 옥소아세타미도)트리데크-8(Z)-에노에이트 (3). 트리에틸렌 글리콜 (0.12 g, 0.8 mmol; 분자체 상에서 건조된)을 아르곤 대기 하에 실온에서 무수 디클로로메탄 (10 mL) 중의 13-(2-(n-부틸아미노)-2-옥소아세타미도)트리데크-8(Z)-에노익산2 (30 mg, 0.08 mmol) 및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AP, 11mg, 0.0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3분 후, 고체 EDCI (18 mg, 0.09 mmol)를 첨가하였다. 12 h 후, 반응 혼합물을 EtOAc (10 mL)로 희석하고, 물 (5 mL)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을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유사체 3 (33 mg, 82%)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71.7-71.9℃. TLC: EtOAc/헥산 (4:1), Rf ~ 0.30; 1H NMR (300 MHz) δ 7.46 (br s, 2H), 5.24-5.40 (m, 2H), 4.23 (t, J = 4.6 Hz, 2H), 3.58-3.78 (m, 10H), 3.27 (겉보기 q, J = 6.7 Hz, 4H), 2.32 (t, J = 7.6 Hz, 2H), 1.50-1.66 (m, 6H), 1.24-1.44 (m, 14H), 0.92 (t, J = 6.7 Hz, 3H); 13C NMR (100 MHz) δ 174.10, 160.09, 130.66, 129.24, 72.70, 70.76, 70.55, 69.42, 39.80, 39.61, 34.35, 31.45, 29.69, 29.21, 29.12, 29.02, 27.36, 27.07, 26.92, 25.04, 20.21, 13.90. C25H47N2O7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87.3383, 실측치 487.3379.
유사체 2의 합성.
Figure pct00068
2-(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톡시)에틸 13-(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노에이트 (2). 13-(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노익산2 (80 mg, 0.20 mmol)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트리에틸렌 글리콜과 축합시켜 유사체 2 (86 mg, 78%)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42.4-42.6℃. TLC: EtOAc, Rf ~ 0.20; 1H NMR (300 MHz) δ 5.24-5.40 (m, 2H), 4.28 (br s, 2H), 4.23 (dd, J = 4.9, 1.0 Hz, 2H), 3.58-3.68 (m, 10H), 3.10-3.20 (m, 4H), 2.52 (br s, -OH, 1H), 2.33 (t, J = 7.6 Hz, 2H), 1.90-2.10 (m, 4H), 1.44-1.64 (m, 4H), 1.22-1.40 (m, 14), 0.88 (t, J = 7.3 Hz, 3H); 13C NMR (75 MHz) δ 174.22, 158.50, 130.41, 129.62, 72.76, 70.75, 70.51, 69.38, 63.47, 61.94, 40.78, 40.71, 34.33, 30.13, 30.08, 29.57, 29.25, 29.09, 28.94, 27.23, 27.15, 27.06, 25.03, 22.61, 14.24. C25H49N2O6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73.3591, 실측치 473.3588.
유사체 1의 합성.
Figure pct00069
2-(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톡시)에틸 13-(N-이소프로필헵탄아미도)트리데크-8(Z)-에노에이트 (1). 13-(N-이소프로필헵탄아미도)트리데크-8(Z)-에노익산2 (60 mg, 0.16 mmol)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트리에틸렌 글리콜과 축합시켜 유사체 1 (58 mg, 73%)을 점성의,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 (4:1), Rf ~ 0.40; 1H NMR (300 MHz, 65/35 로타머 혼합물) δ 5.26-5.40 (m, 2H), 4.62-4.70 (m, 0.5H), 4.20-4.26 (m, 2H), 3.98-4.08 (m, 0.5H), 3.58-3.76 (m, 10H), 3.04-3.16 (m, 2H), 2.20-2.36 (m,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4H), 1.98-2.10 (m, 4H), 1.46-1.66 (m, 6H), 1.24-1.38 (m, 14H), 1.18 및 1.10 (d, J = 7.3 Hz,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6H), 0.87 (t, J = 7.2 Hz, 3H); 13C NMR (75 MHz) δ 174.05, 174.01, 173.10, 172.55, 130.75, 130.11, 129.85, 129.15, 72.70, 70.76, 70.55, 69.40, 63.43, 61.94, 48.30, 45.52, 43.53, 41.09, 34.36, 34.32, 34.10, 34.0, 31.93, 31.89, 31.28, 29.90, 29.75, 29.69, 29.56, 29.43, 29.23, 29.12, 27.84, 27.48, 27.42, 27.35, 27.18, 26.93, 25.88, 25.70, 25.05, 25.02, 22.76, 21.60, 20.75, 14.28. C29H56NO6 [M+1]+에 대한 HRMS 이론치 514.4108, 실측치 514. 4111.
유사체 8의 합성.
Figure pct00070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딜 13-(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노에이트. 13-(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노익산2 (100 mg, 0.29 mmol) 및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37 mg, 0.31 mmol)의 혼합물을 무수 벤젠 (2 × 5 mL)를 사용하여 공비적으로 건조시킨 후, 무수 CH2Cl2 (5 mL) 중에 용해시켰다. 이것에 아르곤 대기 하에서 EDCI (67 mg, 0.35 mmol) 및 DMAP (38 mg, 0.31 mmo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2 h 후, 반응 혼합물을 보다 많은 CH2Cl2 (20 mL)로 희석하고,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NHS 에스테르 (110 mg, 86%)를 점착성 고형물로서 얻었으며, 이는 추가의 정제 없이 즉시 사용되었다. TLC: EtOAc/헥산 (7:3), Rf ~ 0.40; 1H NMR (400 MHz) δ 5.27-5.36 (m, 2H), 4.48 (br s, 2H), 3.09-3.15 (m, 4H), 2.81 (br s, 4H), 2.58 (t, J = 7.8 Hz, 2H), 1.94-2.06 (m, 4H), 1.68-1.74 (m, 2H), 1.20-1.50 (m, 16 H), 0.86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δ 169.40, 168.96, 158.62, 130.29, 129.71, 40.75, 40.68, 31.12, 30.18, 30.14, 29.51, 29.28, 28.80, 27.21, 27.19, 27.10, 25.81, 24.72, 22.62, 14.24.
Figure pct00071
13-(3-n-펜틸우레이도)-N-(페닐설포닐)트리데크-8(Z)-에나미드 (8). 상기로부터의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딜 13-(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노에이트 (150 mg, 0.34 mmol), 벤젠설폰아미드 (78 mg, 0.49 mmol)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AP; 50 mg, 0.40 mmol)의 혼합물을 무수 헥사메틸포스포라미드 (HMPA; 3 mL) 중에서 24 h 동안 80℃에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EtOAc (3 ×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물,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유사체 8 (105 mg, 65%)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91.4-91.6℃. TLC: EtOAc/헥산 (3:2), Rf ~ 0.30; 1H NMR (300 MHz) δ 8.00-8.10 (dd, J = 0.9, 7.3 Hz, 2H), 7.44-7.60 (m, 3H), 5.28-5.42 (m, 2H), 5.03 (br s, -NH, 1H), 4.57 (br s, -NH, 1H), 3.21 (t, J = 6.8 Hz, 2H), 3.12 (t, J = 6.5 Hz, 2H), 2.29 (t, J = 7.9 Hz, 2H), 1.98-2.10 (m, 4H), 1.18-1.60 (m, 18H), 0.90 (t, J = 7.2 Hz, 3H); 13C NMR (75 MHz) δ 172.66, 159.28, 139.67, 133.57, 130.69, 129.65, 128.93, 128.40, 41.41, 40.53, 36.22, 29.89, 29.61, 29.24, 28.87, 28.33, 27.69, 26.91, 26.69, 26.47, 24.70, 22.588, 14.22. C25H42N3O4S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80.2896, 실측치 480.2899.
유사체 9의 합성.
Figure pct00072
N-(메틸설포닐)-13-(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나미드 (9). 상기로부터의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딜 13-(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노에이트(150 mg, 0.34 mmol)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메탄설폰아미드 (48 mg, 0.50 mmol)와 반응시켜 유사체 8 (102 mg, 72%)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113.5-113.6℃. TLC: EtOAc/헥산 (1:1), Rf ~ 0.30; 1H NMR (300 MHz) δ 5.30-5.40 (m, 2H), 3.21 (s, 3H), 3.04-3.12 (m, 4H), 2.29 (t, J = 7.3 Hz, 2H), 2.00-2.10 (m, 4H), 1.22-1.66 (m, 18H), 0.90 (t, J = 7.0 Hz, 3H); 13C NMR (75 MHz) δ 175.14, 161.50, 131.17, 130.78, 41.44, 41.10, 41.02, 37.13, 31.22, 31.15, 30.73, 30.34, 30.07, 30.05, 28.19, 28.17, 28.03, 25.80, 23.66, 14.56. C20H40N3O4S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18.2740, 실측치 418.2739.
유사체 6의 합성.
Figure pct00073
메틸 2-(13-(1,3-디메틸-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나미도)아세테이트. 글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2 mg, 0.29 mmol) 및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32 mg, 0.23 mmol; HOBt)을 아르곤 대기 하에서 무수 DMF (20 mL) 중의 13-(1,3-디메틸-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노익산2 (70 mg, 0.19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50 μL, 0.2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5분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45 mg, 0.23 mmol; EDCI)를 고형물로서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2 h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물 (3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30% EtOAc/헥산을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메틸 에스테르 (65 mg, 79%)을 점성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7:3), Rf ~ 0.40; 1H NMR (300 MHz) δ 6.18 (br s, -NH, 1H), 5.26-5.40 (m, 2H), 4.04 (d, J = 5.2 Hz, 2H), 3.75 (s, 3H), 3.11 (겉보기 q, J = 7.6 Hz, 4H), 2.77 (s, 3H), 2.76 (s, 3H), 2.24 (t, J = 7.6 Hz, 2H), 1.96-2.08 (m, 4H), 1.46-1.70 (m, 6H), 1.20-1.38 (m, 12H), 0.88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δ 170.69, 170.07, 165.65, 130.36, 129.38, 52.45, 50.43, 50.42, 41.23, 35.86, 30.09, 29.62, 29.26, 29.22, 29.05, 27.32, 27.15, 26.67, 25.74, 25.38, 21.65, 14.48. C24H46N3O4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40.3488, 실측치 440.3485.
Figure pct00074
2-(13-(1,3-디메틸-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나미도)아세트산 (6). 상기 기재된 에스테르 가수분해 조건에 따라, 메틸 2-(13-(1,3-디메틸-3-n-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나미도)아세테이트를 유사체 6 (87%)로 전환시켜서, 무색 액체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4:1), Rf ~ 0.40; 1H NMR (300 MHz) δ 6.39 (br s, -NH, 1H), 5.24-5.40 (m, 2H), 4.03 (d, J = 4.5 Hz, 2H), 3.16 (겉보기 q, J = 5.8 Hz, 4H), 2.79 (s, 3H), 2.77 (s, 3H), 2.25 (t, J = 7.0 Hz, 2H), 1.90-2.10 (m, 4H), 1.48-1.70 (m, 6H), 1.20-1.40 (m, 12H), 0.88 (t, J = 7.2 Hz, 3H); 13C NMR (100 MHz) δ 174.31, 171.97, 166.01, 130.44, 129.51, 50.79, 50.61, 41.72, 36.86, 36.72, 36.42, 29.64, 29.18, 29.05, 27.36, 27.26, 27.09, 27.04, 25.76, 22.63, 14.24. C23H44N3O4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26.3332, 실측치 426.3315.
유사체 5의 합성.
Figure pct00075
메틸 2-(13-(N-이소프로필헵탄아미도)트리데크-8(Z)-에나미도)아세테이트. 13-(N-이소프로필 헵탄아미도)트리데크-8(Z)-에노익산2 (100 mg, 0.26 mmol)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글리신 메틸 에스테르와 축합시켜 상응하는 아미드 (97 mg, 82%)를 무색 시럽으로서 얻었으며, 이를 다음 단게에 직접 사용하였다. TLC: EtOAc (2:1), Rf ~ 0.45; 1H NMR (300 MHz, 1:1 로타머 혼합물) δ 6.25 (br s, -NH, 0.5 H), 6.08 (br s, -NH, 0.5 H), 5.24-5.42 (m, 2H), 4.60-4.72 (m, 1H), 4.05 (d, J = 2.4 Hz, 2H), 3.76 (s, 1.5 H), 3.75 (s, 1.5 H), 3.06-3.15 (m, 2H), 2.20-2.38 (m, 4H), 1.90-2.10 (m, 4H), 1.40-1.68 (m, 6 H), 1.24-1.38 (m, 14 H), 1.19 (d, J = 6.7 Hz, 3 H), 1.10 (d, J = 6.7 Hz, 3 H), 0.88 (t, J = 7.1 Hz, 3H); 13C NMR (100 MHz) δ 173.60, 173.46, 173.16, 172.60, 170.82, 130.84, 130.12, 129.88, 129.16, 53.66, 52.58, 52.53, 48.35, 45.52, 43.55, 41.38, 41.15, 36.57, 34.11, 34.02, 31.95, 31.92, 31.32, 29.92, 29.72, 29.63, 29.60, 29.45, 29.40, 29.26, 29.21, 28.97, 27.94, 27.45, 27.41, 27.26, 27.16, 26.96, 25.91, 25.80, 25.75, 22.79, 21.62, 20.78, 14.31.
Figure pct00076
2-(13-(N-이소프로필헵탄아미도)트리데크-8(Z)-에나미도)아세트산 (5). 상기 기재된 에스테르 가수분해 조건에 따라, 메틸 2-(13-(N-이소프로필헵탄아미도)트리데크-8(Z)-에나미도)아세테이트 (50 mg, 0.10 mmol)를 가수분해시켜 유사체 5 (44 mg, 91%)를 무색 액체로서 얻었다. TLC: EtOAc (4:1), Rf ~ 0.20; 1H NMR (300 MHz, 65/35 로타머 혼합물) δ 6.47 및 6.35 (br s, -NH,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1H), 5.24-5.42 (m, 2H), 4.60-4.70 (m, 1H), 4.05 및 4.06 (d, J = 2.8 Hz,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2H), 3.06-3.18 (m, 2H), 2.20-2.38 (m, 4H), 1.90-2.10 (m, 4H), 1.50-1.68 (m, 6H), 1.24-1.38 (m, 14H), 1.20 및 1.10 (d, J= 7.3 Hz,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6H), 0.87 (t, J = 7.2 Hz, 3H); 13C NMR (75 MHz) δ 174.35, 174.23, 174.18, 173.64, 172.0, 171.93, 130.98, 130.25, 129.75, 129.0, 48.86, 45.99, 43.77, 41.79, 41.62, 41.48, 34.05, 33.95, 31.85, 31.79, 31.13, 29.62, 29.51, 29.35, 29.31, 29.23, 28.85, 28.81, 27.83, 27.44, 27.34, 27.21, 27.02, 26.90, 26.03, 25.87, 25.80, 25.75, 22.75, 21.54, 20.70, 14.29. C25H47N2O4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39.3536, 실측치 439.3531.
유사체 31의 합성.
Figure pct00077
1-(5-(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펜틸)-3-n-펜틸우레아. 5-(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펜탄-1-아민5 (3.0 g, 8.78 mmol)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n-펜틸 이소시아네이트 (995 mg, 8.78 mmol)와 반응시켜 표제 우레아 (85%)를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2:3), Rf ~ 0.40; 1H NMR (300 MHz) δ 7.60-7.70 (m, 4H), 7.30-7.40 (m, 6H), 4.24 (br s, -NH, 2H), 3.64 (t, J = 7.9 Hz, 2H), 3.06-3.20 (m, 4H), 1.20-1.60 (m, 12 H), 1.03 (s, 9H), 0.89 (t, J = 7.2 Hz, 3H); 13C NMR (75 MHz) δ 159.7, 134.90, 132.47, 132.40, 129.70, 128.81, 128.71, 127.92, 63.2, 40.91, 40.81, 32.42, 29.60, 29.28, 27.11, 23.30, 22.35, 19.38. C27H43N2O2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55.3094, 실측치 455.3093.
Figure pct00078
1-(5-하이드록시펜틸)-3-n-펜틸우레아. 1-(5-(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펜틸)-3-n-펜틸우레아 (3.0 g, 6.60 mmol)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탈실릴화시켜 표제 알콜 (1.31 g, 92%)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81.4-81.8℃. TLC: EtOAc/헥산 (7:3), Rf ~ 0.40; 1H NMR (CD3OD, 300 MHz) δ 3.54 (t, J = 5.8 Hz, 2H), 3.06 (q, J = 6.4 Hz, 4H), 1.22-1.60 (m, 12H), 0.89 (t, J = 7.3 Hz, 3H); 13C NMR (CD3OD, 100 MHz) δ 160.17, 61.67, 39.82, 39.77, 32.17, 30.02, 29.91, 29.03, 23.04, 22.34, 13.25. C11H25N2O2 [M+1]+에 대한 HRMS 이론치 217.1916, 실측치 217.1916.
Figure pct00079
1-(5-브로모펜틸)-3-n-펜틸우레아. 상기 기재된 프로토콜에 따라, 1-(5-하이드록시펜틸)-3-n-펜틸우레아 (1.30 g, 6.02 mmol)를 상응하는 브로마이드 (1.45 g, 87%)로 전환시켜서,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2:3), Rf ~ 0.40; 1H NMR (300 MHz) δ 4.44 (br s, -NH, 2H), 3.40 (t, J = 6.7 Hz, 2H), 3.10-3.20 (m, 4H), 1.82-1.92 (m, 2H), 1.40-1.58 (m, 6H), 1.24-1.38 (m, 4H), 0.89 (t, J = 7.3 Hz, 3H); 13C NMR (100 MHz) δ 159.46, 40.02, 33.88, 33.02, 30.29, 29.92, 29.36, 25.83, 22.12, 14.02. C11H24BrN2O [M+1]+에 대한 HRMS 이론치 279.1072, 실측치 279.1073.
Figure pct00080
N-(4-(5-(3-n-펜틸우레이도)펜틸옥시)벤조[d]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31). DMF (5 mL) 중의 1-(5-브로모펜틸)-3-n-펜틸우레아 (100 mg, 0.37 mmol), commercial N-(4-하이드록시벤조[d]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100 mg, 0.48 mmol), 및 K2CO3 (67 mg, 0.48 mmol)의 혼합물을 60℃에서 가열하였다. 6 h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 (25 mL)로 희석하고, EtOAc (3 ×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2 × 5 mL), 염수 (1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이에 따라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31 (61 mg, 40%)을 얻었다. mp 61.6-61.8℃. TLC: EtOAc/헥산 (3:2), Rf ~ 0.40; 1H NMR (300 MHz) δ 7.39 (dd, J = 0.9, 7.3 Hz, 1H), 7.20 (dd, J = 7.8, 7.3 Hz, 1H), 6.86 (dd, J = 0.9, 7.8 Hz, 1H), 4.42 (br s, -NH, 2H), 4.17 (t, J = 5.4 Hz, 2H), 3.19-3.30 (m, 4H), 2.33 (s, 3H), 1.82-1.98 (m, 2H), 1.64-1.80 (m, 4H), 1.42-1.60 (m, 2H), 1.24-1.40 (m, 4H), 0.88 (t, J = 7.3 Hz, 3H); 13C NMR (75 MHz) δ 170.16, 159.91, 158.94, 151.37, 139.10, 133.67, 124.40, 113.94, 108.68, 68.21, 40.64, 39.98, 30.27, 29.30, 28.33, 26.54, 23.25, 22.64, 22.33, 14.26. C20H29N4O3S [M-1]-에 대한 HRMS (ESI-neg) 이론치 405.1960, 실측치 405.1938.
유사체 32의 합성.
Figure pct00081
N 1 -n-부틸-N 2 -(5-(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펜틸)옥살아미드. 무수 DMF (5 mL) 중의 2-(n-부틸아미노)-2-옥소아세트산 (22 mg, 0.15), 5-(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펜탄-1-아민5 (50 mg, 0.15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0 mg, 0.30 mmol), 및 2-(1H-7-아자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메탄아미늄 (HATU, 72 mg, 0.19 mmo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아르곤 대기 하에서 교반한 후, 물 (2 mL)로 켄칭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EtOAc (3 × 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EtOAc/헥산 (1:3)을 사용하는 플래쉬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옥사미드 (65 mg, 91%)를 무색 오일로서얻었다. TLC: 50% EtOAc/헥산, Rf ~ 0.56; 1H NMR (400 MHz) δ 7.55-7.70 (m, 4H), 7.60 (br s, -NH, 2H), 7.35-7.40 (m, 6H), 3.65 (t, J = 6.0 Hz, 2H), 3.35-3.25 (m, 4H), 1.55-1.35 (m, 10H), 1.05 (s, 9H), 0.92 (t, J = 7.3 Hz, 3H); 13C NMR (100 MHz) δ 160.28, 160.25, 135.80, 134.20, 129.85, 127.90, 63.80, 40.0, 39.70, 32.40, 31.50, 29.20, 27.10, 27.05, 23.40, 20.30, 19.45, 14.0. C27H41N2O3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69.2886, 실측치 469.2892.
Figure pct00082
N 1 -n-부틸-N 2 -(5-하이드록시펜틸)옥살아미드. 무수 THF 용액 중의 N1-n-부틸-N2-(5-(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펜틸)옥살아미드 (65 mg, 0.14 mmol) 및 n-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0.41 mL, 1 M 용액, 0.42 mmol)의 혼합물을 아르곤 대기 하에서 12 h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모든 휘발물질을 진공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EtOAc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유기층을 물 (10 mL), 염수 (15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용리액으로서 EtOAc/헥산 (1:2)을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잔류물을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0 mg, 92%)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136-137℃. TLC: 50% EtOAc/헥산, Rf ~ 0.28; 1H NMR (300 MHz) δ 7.65 (br s, NH, 1H), 7.60 (br s, -NH, 1H), 3.65 (t, J = 6.0 Hz, 2H), 3.35-3.25 (m, 4H), 1.90 (br s -OH, 1H), 1.60-1.50 (m, 6H), 1.40-1.35 (m, 4H), 0.92 (t, J = 7.3 Hz, 3H); 13C NMR (100 MHz) δ 160.25, 160.10, 62.70, 39.80, 39.65, 32.40, 31.45, 29.20, 23.25, 20.20, 13.85. C11H23N2O3 [M+1]+에 대한 HRMS 이론치 231.1709, 실측치 231.1701.
Figure pct00083
N 1 -(5-브로모펜틸)-N 2 -n-부틸옥살아미드. CH2Cl2 (5 mL) 중의 카본 테트라브로마이드 (51 mg, 0.15 mmol)의 용액을 아르곤 대기 하에서 무수 CH2Cl2 (5 mL) 중의 트리페닐포스핀 (48 mg, 0.18 mmol) 및 N1-n-부틸-N2-(5-하이드록시펜틸)옥살아미드 (30 mg, 0.130 mmol)의 0℃ 용액과 함께 교반하였다. 2 h 후, 반응 혼합물을 물 (5 mL), 염수 (1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모든 휘발물질을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EtOAc/헥산 (1:4)을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2 mg, 84%)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109-110℃. TLC: 50% EtOAc/헥산, Rf ~ 0.50; 1H NMR (300 MHz) δ 7.55 (br s, NH, 1H), 7.50 (br s, -NH, 1H), 3.40 (t, J = 6.0 Hz, 2H), 3.25-3.35 (m, 4H), 1.80-1.85 (m, 2H), 1.40-1.60 (m, 6H), 1.25-1.35 (m, 2H), 0.92 (t, J = 7.3 Hz, 3H); 13C NMR (100 MHz) δ 160.30, 160.15, 39.65, 33.65, 32.45, 31.40, 28.60, 25.60, 20.20, 13.90. C11H22BrN2O2 [M+1]+에 대한 HRMS 이론치 293.0865, 실측치 293.0870.
Figure pct00084
N 1 -(5-(2-아세트아미도벤조[d]티아졸-4-일옥시)펜틸)-N 2 -n-부틸옥살아미드. DMF (3 mL) 중의 N1-(5-브로모펜틸)-N2-n-부틸옥살아미드 (32 mg, 0.11 mmol), commercial N-(4-하이드록시벤조[d]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22 mg, 0.11 mmol), 및 K2CO3 (45 mg, 0.32 mmol)의 혼합물을 3h 동안 80℃에서 가열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 (15 mL)로 희석하고, EtOAc (3 ×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2 × 5 mL), 염수 (1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EtOAc/헥산 (1:2)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유사체 32 (35 mg, 76%)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154-155℃. TLC: 70% EtOAc/헥산, Rf ~ 0.35; 1H NMR (300 MHz) δ 11.05 (br s, NH, 1H), 8.30 (br s, NH, 1H), 7.70 (br s, NH, 1H), 7.40 (d, J = 7.4 Hz, 1H), 7.25 (dd, J = 7.4, 7.8 Hz, 1H), 6.85 (d, J = 7.8 Hz, 1H), 4.20 (t, J = 6.0 Hz, 2H), 3.50 (q, J = 7.2 Hz, 2H), 3.35 (q, J = 7.0 Hz, 2H), 2.35 (s, 3H), 1.95-1.90 (m, 2H), 1.85-1.80 (m, 2H), 1.70-1.65 (m, 2H), 160-1.55 (m, 2H), 1.40-1.35 (m, 2H), 0.95 (t, J = 7.3 Hz, 3H); 13 C NMR (75 MHz) δ 169.40, 160.55, 159.90, 157.85, 151.50, 139.10, 134.00, 124.75, 113.75, 108.10, 68.90, 39.80, 39.30, 31.35, 28.20, 27.40, 23.70, 23.45, 20.25, 13.90. C20H29N4O4S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21.1910, 실측치 421.1906.
유사체 30의 합성.
Figure pct00085
5-(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N-이소프로필펜탄-1-아민. 선행하는 문헌에 따라,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5-아이오도펜탄6 (1.50 g, 3.32 mmol), 이소프로필아민 (1.70 mL, 19.92 mmol) 및 K2CO3 (1.37 g, 10.03 mmol)의 혼합물을 반응시켜 표제 아민 (0.92 g, 72%)을 무색 액체로서 얻었다. TLC: MeOH/CH2Cl2 (1:4), Rf ~ 0.30; 1H NMR (300 MHz) δ 7.65-7.67 (m, 4H), 7.30-7.40 (m, 6H), 3.65 (t, J = 6.4 Hz, 2H), 2.70-2.82 (m, 1H), 2.55 (t, J = 7.3 Hz, 2H), 1.50-1.64 (m, 2H), 1.32-1.48 (m, 4H), 1.05 (d, J = 5.8 Hz, 3H), 1.04 (s, 9H); 13C NMR (100 MHz) δ 135.68, 134.21, 129.63, 127.70, 63.95, 48.81, 47.64, 32.60, 30.27, 27.0, 23.76, 23.15, 19.34. C24H38NO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84.2723, 실측치 384.2724.
Figure pct00086
N-(5-(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펜틸)-N-이소프로필헵탄아미드. 선행 문헌2에 따라, 5-(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N-이소프로필펜탄-1-아민 (0.90 g, 2.30 mmol)을 헵탄산 (0.26 g, 2.0 mmol)과 축합시켜 표제 아미드 (0.90 g, 79%)를 점성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3:8), Rf ~ 0.60; 1H NMR (300 MHz, 1:1 로타머 혼합물) δ 7.65-7.67 (m, 4H), 7.30-7.40 (m, 6H), 4.62-4.72 (m, 0.5 H), 4.00-4.80 (m, 0.5H), 3.62 (t, J = 4.8 Hz, 1H), 3.68 (t, J = 4.8 Hz, 1H), 3.02 (t, J = 5.2 Hz, 1H), 3.16 (t, J = 5.2 Hz, 1H), 2.38 (t, J = 5.3 Hz, 1H), 2.24 (t, J = 5.3 Hz, 1H), 1.50-1.68 (m, 6H), 1.26-1.44 (m, 8H), 1.18 (d, J = 7.3 Hz 3H), 1,12, (d, J = 7.3 Hz 3H), 1.03 (s, 4.5 H), 1.04 (s, 4.5H ), 0.88 (t, J = 7.3 Hz, 3H); 13C NMR (125 MHz) δ 173.38, 172.76, 135.80, 135.78, 134.36, 134.12, 129.85, 129.73, 127.88, 127.82, 64.22, 63.68, 48.43, 45.62, 43.64, 41.27, 34.13, 34.05, 32.61, 32.36, 31.96, 31.93, 31.51, 29.63, 29.47, 27.10, 27.03, 25.94, 25.78, 24.03, 23.77, 22.81, 21.63, 20.78, 19.47, 14.33, 14.28. C31H50NO2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96.3611, 실측치 496.3615.
Figure pct00087
N-(5-하이드록시펜틸)-N-이소프로필헵탄아미드. N-(5-(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펜틸)-N-이소프로필헵탄아미드 (0.70 g, 1.37 mmol)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탈실릴화시켜 표제 알콜 (0.34 g, 96%)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2:3), Rf ~ 0.30; 1H NMR (300 MHz, 53/47 로타머 혼합물) δ 4.58-4.66 및 3.96-4.08 (m,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1H), 3.56 및 3.70 (t, J = 5.4 Hz,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2H), 3.02-3.16 (m, 2H), 2.30 및 2.26 (t, J = 6.3 Hz,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2H), 1.50-1.64 (m, 6H), 1.22-1.40 (m, 8H), 1.13 및 1.09 (d, J = 7.5 Hz,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6H), 0.84 (t, J = 7.3 Hz, 3H); 13C NMR (100 MHz) δ 172.81 62.66, 62.60, 48.41, 45.55, 43.56, 41.04, 34.08, 34.0, 32.46, 32.43, 31.86, 31.57, 29.40, 25.87, 25.70, 23.77, 23.73, 22.75, 21.57, 20.72, 14.26. C15H32NO2 [M+1]+에 대한 HRMS 이론치 258.2433, 실측치 258.2436.
Figure pct00088
N-(5-브로모펜틸)-N-이소프로필헵탄아미드. N-(5-하이드록시펜틸)-N-이소프로필헵탄아미드 (0.25 g, 0.97 mmol)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상응하는 브로마이드로 전환시켜 표제 화합물 (0.25 g. 82%)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3:7), Rf ~ 0.40; 1H NMR (300 MHz, 55/45 로타머 혼합물) δ 4.60-4.70 및 3.96-4.10 (m,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1H), 3.46 및 3.36 (t, J = 5.8 Hz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2H), 3.02-3.10 (m, 2H), 2.30 및 2.22 (t, J = 7.9 Hz,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2H), 1.80-1.97 (m, 2H), 1.40-1.70 (m, 6H), 1.20-1.40 (m, 6H), 1.16 및 1.10, (d, J = 7.3 Hz,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6H), 0.86 (t, J =7.3 Hz, 3H); 13C NMR (75 MHz) δ 172.79, 172.39, 48.17, 45.47, 43.32, 40.70, 33.89, 33.87, 33.49, 32.48, 32.30, 31.81, 31.78, 30.78, 29.27, 28.74, 26.05, 25.84, 25.69, 25.54, 22.64, 21.47, 20.62, 14.17. C15H31BrNO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20.1589, 실측치 320.1588.
Figure pct00089
N-(5-(2-아세트아미도벤조[d]티아졸-4-일옥시)펜틸)-N-이소프로필헵탄아미드 (30). N-(5-브로모펜틸)-N-이소프로필헵탄아미드 (75 mg, 0.23 mmol)를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상업용 N-(4-하이드록시벤조[d]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54 mg, 0.26 mmol)로 알킬화시켜 유사체 30 (43 mg, 42%)을 점착성 고형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1:4), Rf ~ 0.30; 1H NMR (300 MHz, 45/55 로타머 혼합물) δ 11.50 (br s, -NH, 1H), 7.37-7.42 (m, 1H), 7.18-7.26 (m, 1H), 6.84-6.88 (m, 1H), 4.58-4.78 및 4.00-4.10 (m, 두 개의 로타머에 대해 1H), 4.02 (t, J = 6.3 Hz, 2H), 3.12 (t, J = 7.3 Hz, 2H), 2.22-2.45 (m, 5H), 1.82-1.92 (m, 2H), 1.44-1.70 (m, 4H), 1.20-1.40 (m, 8H), 1.11-1.19 (m, 6H), 0.82-0.95 (m, 3H); 13C NMR (75 MHz) δ 173.94, 172.78, 169.40, 169.36, 157.89, 151.62, 138.43, 138.32, 133.91, 133.87, 124.92, 124.85, 114.02, 113.87, 109.66, 108.35, 69.46, 69.08, 48.53, 48.33, 45.94, 43.61, 41.20, 34.26, 34.09, 31.91, 31.88, 31.39, 29.55, 29.45, 29.37, 29.30, 25.88, 25.77, 25.71, 24.43, 24.16, 23.55, 22.77, 21.59, 20.80, 14.28. C24H36N3O3S [M-1]-에 대한 HRMS (ESI-neg) 이론치 446.2477, 실측치 446.2434.
유사체 33의 합성.
Figure pct00090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8-(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옥트-3-인. 4-(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1-부틴7 (5.0 g, 16.23 mmol)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2-(4-브로모부톡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8 (4.59 g, 19.48 mmol)과 커플링시켜 표제 아세틸렌 (5.57 g, 74%)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1:9), Rf ~ 0.40; 1H NMR (300 MHz) δ 7.66-7.69 (m, 4H), 7.34-7.42 (m, 6H), 4.57 (t, J = 4.3 Hz, 1H), 3.78-3.86 (m, 2H), 3.73-3.90 (m, 3H), 3.32-3.40 (m, 3H), 2.40-2.45 (m, 2H), 2.06-2.10 (m, 2H), 1.93-2.02 (m, 2H), 1.40-1.80 (m, 6H), 1.02 (s, 9H); 13C NMR (100 MHz) δ 137.87, 133.96, 129.70, 128.0, 99.0, 81.0, 77.41, 67.32, 63.15, 62.51, 30.97, 29.20, 27.0, 26.98, 26.0, 25.74, 23.18, 19.83, 19.44, 18.88. C29H41O3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65.2825, 실측치 465.2829.
Figure pct00091
8-(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옥트-5-인-1-올.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8-(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옥트-3-인 (5.50 g, 11.84 mmol)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탈실릴화시켜 표제 화합물 (3.87 g, 86%)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2:3), Rf ~ 0.40; 1H NMR (300 MHz) δ 7.60-7.68 (m, 4H), 7.30-7.40 (m, 6H), 3.77 (t, J = 7.4 Hz, 2H), 3.60-3.72 (m, 2H), 2.40-2.48 (m, 2H), 2.22-2.40 (m, 2H), 1.50-1.70 (m, 4H), 1.03 (s, 9H); 13C NMR (100 MHz) δ 135.83, 133.96, 129.90, 127.92, 81.31, 63.16, 62.60, 32.0, 27.0, 25.43, 23.17, 19.43, 18.78. C24H33O2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81.2250, 실측치 381.2256.
Figure pct00092
8-(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옥트-5(Z)-엔-1-올. 8-(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옥트-5-인-1-올 (5.32 g, 14.0 mmol)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세미-수소화시켜 8-(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옥트-5(Z)-엔-1-올 (5.18 g, 97%)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으며, 이의 스펙트럼 값은 문헌 데이터와 일치하였다.9 TLC: EtOAc/헥산 (2:3), Rf ~ 0.45; 1H NMR (300 MHz) δ 7.60-7.70 (m, 4H), 7.30-7.40 (m, 6H), 5.34-5.44 (m, 2H), 3.65 (t, J = 7.0 Hz, 2H), 3.58-3.64 (m, 2H), 2.23 (q, J = 4.2 Hz, 2H), 1.98-2.20 (m, 2H), 1.30-1.60 (m, 4H), 1.03 (s, 9H); 13C NMR (100 MHz) δ 135.84, 134.21, 131.64, 129.82, 127.87, 126.28, 63.94, 63.12, 32.54, 31.12, 27.23, 27.11, 26.02.
Figure pct00093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8-아지도-옥트-3(Z)-엔. 상기 기재된 절차에 따라, 8-(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옥트-5(Z)-엔-1-올 (5.20 g, 13.61 mmol)을 표제 아지드 (3.98 g, 72%)로 변형시켜서,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1:9), Rf ~ 0.60; 1H NMR (300 MHz) δ 7.60-7.70 (m, 4H), 7.30-7.40 (m, 6H), 5.34-5.44 (m, 2H), 3.63 (t, J = 7.0 Hz, 2H), 3.22 (t, J = 6.4 Hz, 2H), 2.31 (q, J = 3.6 Hz, 2H), 1.95-2.05 (m, 2H), 1.50-1.60 (m, 2H), 1.30-1.40 (m, 2H), 1.03 (s, 9H); 13C NMR (100 MHz) δ 135.98, 135.90, 134.28, 131.24, 130.05, 129.79, 128.10, 127.87, 126.76, 63.98, 51.64, 31.24, 28.74, 27.29, 27.16, 27.07, 27.0, 19.55; IR (니트) 2931, 2858, 2095, 1111 cm-1. C24H34N3O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08.2471, 실측치 408.2470.
Figure pct00094
1-(8-(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옥트-5(Z)-에닐)-3-n-펜틸우레아.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8-아지도-옥트-3(Z)-엔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트리페닐포스핀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아민으로 환원시켰다. 미정제 아민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THF 중에서 n-펜틸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키고, 생성물을 20% EtOAc/헥산으로 용리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94 g, 84%)을 점성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2:3), Rf ~ 0.45; 1H NMR (300 MHz) δ 7.60-7.70 (m, 4H), 7.30-7.40 (m, 6H), 5.35-5.42 (m, 2H), 4.65 ( br s, -NH, 2H), 3.64 (t, J = 5.5 Hz, 2H), 3.06-3.18 (m, 4H), 2.24-2.34 (q, J = 3.9 Hz, 2H), 1.94-2.02 (q, J = 3.6 Hz, 2H), 1.20-1.50 (m, 10H), 1.03 (s, 9H), 0.83 (t, J = 7.3 Hz, 3H); 13C NMR (100 MHz) δ 159.52, 135.85, 134.21, 131.53, 129.85, 127.90, 126.28, 63.93, 40.58, 40.50, 31.13, 30.43, 30.41, 29.45, 27.35, 22.77, 19.47, 14.36. C30H47N2O2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95.3407, 실측치 495.3406.
Figure pct00095
1-(8-하이드록시옥트-5(Z)-에닐)-3-n-펜틸우레아. 1-(8-(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옥트-5(Z)-에닐)-3-n-펜틸우레아 (3.0 g, 6.07 mmol)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탈실릴화시켜 표제 알콜 (1.44 g, 93%)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57.8-57.9℃. TLC: EtOAc/헥산 (1:4), Rf ~ 0.30; 1H NMR (300 MHz) δ 5.30-5.60 (m, 2H), 4.40 (br s, -NH, 2H), 3.63 (t, J = 6.4 Hz, 2H), 3.08-3.22 (m, 4H), 2.29 (q, J = 5.3 Hz, 2H), 2.09 (q, J = 5.2 Hz, 2H), 1.20-1.58 (m, 10H), 0.88 (t, J = 7.3 Hz, 3H); 13C NMR (100 MHz) δ 159.48, 132.35, 126.21, 62.28, 40.54, 40.15, 31.12, 30.28, 29.96, 29.35, 27.02, 26.98, 22.68, 14.27. C14H29N2O2 [M+1]+에 대한 HRMS 이론치 257.2229, 실측치 257.2236.
Figure pct00096
1-(8-브로모옥트-5(Z)-에닐)-3-n-펜틸우레아. 82% 수율로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2:3), Rf ~ 0.60; 1H NMR (300 MHz) δ 5.30-5.58 (m, 2H), 4.70 (br s, 2H), 3.35 (t, J = 6.8 Hz, 2H), 3.08-3.19 (m, 4H), 2.60 (q, J = 5.6 Hz, 2H), 2.05 (q, J = 5.4 Hz, 2H), 1.24-1.54 (m, 10H), 0.88 (t, J = 7.3 Hz, 3H); 13C NMR (100 MHz) δ 159.54, 132.73, 126.45, 40.53, 40.33, 32.85, 30.98, 30.33, 30.30, 29.36, 27.36, 27.0, 22.69, 14.28. C14H28BrN2O [M+1]+ 에 대한 HRMS 이론치 319.1385, 실측치 319.1392.
Figure pct00097
N-(4-(8-(3-n-펜틸우레이도)옥트-3(Z)-에닐옥시)벤조[d]티아졸-2-일)아세트아미드 (33). 40% 수율로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113.7-113.8℃. TLC: EtOAc/헥산 (3:2), Rf ~ 0.40; 1H NMR (300 MHz) δ 12.10 (br s, -NH, 1H), 7.40 (dd, J = 0.8, 7.8 Hz, 1H), 7.22 (dt, J = 0.6, 8.9 Hz, 1H), 6.90 (dd, J = 0.5, 6.9 Hz, 1H), 5.40-5.50 (m, 2H), 4.60 (br s, -NH, 2H), 4.20 (t, J = 5.3 Hz, 2H), 3.05-3.20 (m, 4H), 2.65 (q, J = 3.9 Hz, 2H), 2.29 (s, 3H), 2.15 (q, J = 3.9 Hz, 2H), 1.40-1.70 (m, 10 H), 0.87 (t, J = 7.3 Hz, 3H); 13C NMR (100 MHz) δ 170.07, 159.21, 158.52, 151.46, 138.41, 133.84, 132.26, 126.13, 124.81, 113.81, 108.29, 68.46, 40.75, 40.64, 30.20, 29.30, 27.78, 26.84, 26.47, 23.42, 22.62, 14.24. C23H35N4O3S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47.2430, 실측치 447.2431.
유사체 4의 합성.
Figure pct00098
1-(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10-(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데크-5-인. 73% 수율로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15% EtOAc/헥산, Rf ~ 0.50; 1H NMR (500 MHz) δ 7.64-7.68 (m, 4H), 7.34-7.42 (m, 6H), 4.62 (t, J = 4.3 Hz, 1H), 3.78-3.92 (m, 2H), 3.68 (t, J = 6.3 Hz, 2H), 3.40-3.56 (m, 2H), 2.14-2.26 (m, 4H), 1.42-1.90 (m, 14H), 1.04 (s, 9H); 13C NMR (75 MHz) δ 135.83, 132.02, 129.80, 127,88, 99.0, 80.52, 80.30, 67.31, 63.74, 62.49, 32.0, 31.06, 29.21, 27.14, 26.21, 25.82, 25.78, 19.89, 18.90, 18.81. C31H45O3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93.3138, 실측치 493.3140.
Figure pct00099
10-(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데크-5-인-1-올. 88% 수율로 무색 오일로서 얻었으며, 이의 스펙트럼 값은 문헌 데이터와 일치하였다.10 TLC: EtOAc/헥산 (3:7), Rf ~ 0.40; 1H NMR (300 MHz) δ 7.64-7.68 (m, 4H), 7.34-7.42 (m, 6H), 3.67 (t, J = 5.3 Hz, 4H), 2.06-2.22 (m, 4H), 1.50-1.64 (m, 8H), 1.04 (s, 9H); 13C NMR (75 MHz) δ 135.82, 135.08, 134.27, 129.80, 127.87, 80.74, 80.60, 63.67, 62.69, 32.09, 31.99, 27.12, 26.83, 25.78, 25.58, 25.48, 19.49, 18.79, 18.76.
Figure pct00100
10-(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데크-5(Z)-엔-1-올. 92% 수율로 무색 오일로서 얻었으며, 이의 스펙트럼 값은 문헌 데이터와 일치하였다.10 TLC: EtOAc/헥산 (3:7), Rf ~ 0.45; 1H NMR (300 MHz) δ 7.64-7.68 (m, 4H), 7.42-7.25 (m, 6H), 5.30-5.40 (m, 2H), 3.67 (t, J = 5.3 Hz, 4H), 2.06-2.22 (m, 4H), 1.40-1.64 (m, 8H), 1.04 (s, 9H); 13C NMR (75 MHz) δ 135.90, 135.81, 134.37, 129.92, 129.87, 129.84, 127.98, 127.80, 64.09, 63.05, 32.47, 27.24, 27.22, 27.13, 26.21, 26.14, 19.51.
1-(10-아지도데크-5(Z)-에닐옥시)(3차-부틸디페닐실란. 71% 수율로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1:9), Rf ~ 0.60; 1H NMR (300 MHz) δ 7.64-7.68 (m, 4H), 7.25-7.42 (m, 6H), 5.30-5.40 (m, 2H), 3.65 (t, J = 5.3 Hz, 2H), 3.24 (t, J = 4.9 Hz, 2H), 2.06-2.22 (m, 4H), 1.40-1.64 (m, 8H), 1.04 (s, 9H); 13C NMR (75 MHz) δ 137.87, 134.35, 130.69, 129.74, 127.91, 64.02, 51.62, 32.44, 28.67, 27.21, 27.16, 27.08, 26.91, 26.16, 19.48; IR (니트) 2930, 2861, 2331, 2324, 2096, 1106 cm-1. C26H38N3O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436.2784, 실측치 436.2784.
Figure pct00102
1-(10-(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78% 수율로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2:3), Rf ~ 0.60; 1H NMR (300 MHz) δ 7.64-7.68 (m, 4H), 7.34-7.42 (m, 6H), 5.22-5.43 (m, 2H), 4.50 (br s, -NH, 2H), 3.65 (t, J = 6.2 Hz, 2H), 3.10-3.40 (m, 4H), 1.96-2.06 (m, 4H), 1.20-1.60 (m, 14H), 1.03 (s, 9H), 0.88 (t, J = 7.3 Hz, 3H); 13C NMR (75 MHz) δ 159.08, 136.03, 134.02, 130.03, 128.26, 126.82, 63.28, 40.67, 40.47, 32.91, 30.48, 29.28, 27.26, 27.22, 26.93, 26.02, 22.64, 19.39, 14.26. C32H51N2O2Si [M+1]+에 대한 HRMS 이론치 523.3720, 실측치 523.3724.
Figure pct00103
1-(10-하이드록시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94% 수율로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7:3), Rf ~ 0.30; 1H NMR (400 MHz) δ 5.30-5.43 (m, 2H), 4.28 (br s, 2H), 3.63 (q, J = 4.6 Hz, 2H), 3.10-3.20 (m, 4H), 2.00-2.10 (m, 4H), 1.24-1.64 (m, 14H), 0.88 (t, J =7.3 Hz, 3H); 13C NMR (75 MHz) δ 158.67, 130.17, 129.88, 62.71, 40.59, 40.34, 32.52, 30.23, 30.0, 29.32, 27.09, 26.96, 25.99, 22.52, 14.25. C16H33N2O2 [M+1]+에 대한 HRMS 이론치 285.2542, 실측치 285.2545.
Figure pct00104
2-(10-(3-n-펜틸우레이도)데크-5(Z)-에닐옥시)아세트산 (4). 벤젠/50% aq. KOH (4 mL, 1:1) 중의 1-(10-하이드록시데크-5(Z)-에닐)-3-n-펜틸우레아 (66 mg, 0.23 mmol) 및 테트라-n-부틸암모늄 설페이트 (39 mg, 0.12 mmol)의 용액을 10℃에서 교반하였다. 15분 후, 3차-부틸 2-브로모아세테이트 (136 mg, 0.70 mmo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추가의 1 h 동안 동일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EtOAc (2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CH2Cl2 (4 mL)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키고,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 m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보다 많은 CH2Cl2 (5 mL)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Na2SO4). 잔류물을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유사체 4 (37 mg, 47%)를 점착성 고형물로서 얻었다. TLC: EtOAc, Rf ~ 0.30; 1H NMR (400 MHz) δ 5.30-5.42 (m, 2H), 4.06 (s, 2H), 3.54 (t, J = 6.6 Hz, 2H), 3.07-3.15 (m, 4H), 2.00-2.12 (m, 4H), 1.21-1.66 (m, 14H), 0.88 (t, J =7.3 Hz, 3H); 13C NMR (75 MHz) δ 174.32, 160.08, 130.33, 129.71, 71.60, 68.12, 41.11, 41.02, 29.68, 29.40, 29.17, 28.96, 27.20, 27.07, 26.64, 25.96, 22.55, 14.20. C18H35N2O4 [M+1]+에 대한 HRMS 이론치 343.2597, 실측치 343.2594.
실시예 2: 소듐 (S)-2-(13-(3-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나미도)석시네이트 (NIH-F=EET A 또는 JLJ)의 합성
도 16A 및 16B에 기재된 바와 같이, EET A의 합성은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105
7-브로모헵탄-1-올 1 (2): 헵탄-1,7-디올 (36.0 g, 272 mmol; Alfa Aesar) 및 aq. 48% HBr (38 mL, 0.9 당량.)을 Dean-Stark 장치를 사용하여 물을 제거하면서 벤젠 (400 mL) 중에서 환류 하에 가열하였다. 16 h 후, 모든 휘발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10-30% EtOAc/헥산의 구배를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7-브로모헵탄-1-올 (26.22 g, 62%)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50% EtOAc/헥산, Rf
Figure pct00106
0.40; 1H NMR (400 MHz, CDCl3) δ 3.61 (t, 2H, J = 7.1 Hz), 3.39 (t, 2H, J = 6.8 Hz), 1.80-1.88 (m, 2H), 1.52-1.58 (m, 2H), 1.30-1.46 (m, 6H).
Figure pct00107
2-(7-브로모헵틸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 2 (3): 디하이드로피란 (5.20 g, 6.11 mmol)을 CH2Cl2 중의 7-브로모헵탄-1-올 (2) (11.0 g, 56.7 mmol) 및 촉매량의 PTSA의 교반되는 0℃ 용액에 첨가하였다. 12 h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CH2Cl2 (200 mL)로 희석하고, 물 (100 mL × 2), 염수 (100 mL × 3)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10-2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의 구배를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2-(7-브로모헵틸옥시)테트라하이드로-2H-피란 (3) (14.50 g, 92%)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10% EtOAc/헥산, Rf
Figure pct00108
0.55; 1H NMR (400 MHz, CDCl3) δ 4.58-4.56 (m, 1H), 3.84-3.88 (m, 1H), 3.68-3.77 (m, 1H), 3.46-3.51 (m, 1H), 3.33-3.43 (m, 3H), 1.80-1.81 (m, 2H), 1.30-1.62 (m, 14 H).
Figure pct00109
3차-부틸(헥스-5-인-1-일옥시)디페닐실란 3 (5): 3차-부틸디페닐클로로실란 (3.2 mL, 12.4 mmol)을 아르곤 대기 하에서 무수 CH2Cl2 (20 mL) 중의 5-헥신-1-올 (4, 1.07 g, 10.9 mmol) 및 무수 이미다졸 (1.84 g, 27.1 mmol)의 교반되는 0℃ 용액에 적가하였다. 완전히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1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포화된 NH4Cl 수용액 (50 mL)으로 켄칭시키고, Et2O (3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에테르성 추출물을 포화된 NaCl 수용액 (25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5%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1-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헥스-5-인 (5) (3.54 g, 10.5 mmol, 96%)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5% EtOAc/헥산, Rf
Figure pct00110
0.65; 1H NMR (400 MHz, CDCl3) δ 7.77-7.65 (m, 4H), 7.40-7.30 (m, 6H), 3.70 (t, 2H, J = 5.6 Hz), 2.40-2.25 (m, 2H), 2.05 (t, 1H, J = 2.8 Hz), 1.90-1.70 (m, 4H), 1.18 (s, 9H).
Figure pct00111
3차-부틸디페닐((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옥시)트리데크-5-인-1-일)옥시)실란 (6): n-부틸리튬 (14.3 mL, 35.9 mmol, 헥산 중의 2.5 M 용액)을 아르곤 대기 하에서 THF 및 무수 HMPA (4:1, 200 mL) 중의 3차-부틸(헥스-5-이닐옥시)디페닐실란 (10 g, 29.76 mmol)의 -78℃ 용액에 적가하였다. 30분 후, 반응 혼합물을 1h의 기간에 걸쳐 0℃로 가온시키고, 거기서 2 h 동안 유지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78℃로 재냉각시키고, 브로마이드 3 (8.20 g, 29.3 mmol)의 THF 용액 (50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온도를 3h에 걸쳐 실온으로 가온되게 하고, 포화된 NH4Cl 수용액 (5 mL)을 첨가함으로써 켄칭시키기 전에 12 h 동안 이 온도에서 유지시켰다. 반응 혼합물의 pH를 1 M 옥살산을 사용하여 ~4로 조정하고, EtOAc (2 × 2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순차적으로 물 (2 ×100 mL) 및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를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0% EtOAc/헥산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6 (12.4 g, 78%)을 무색의 두꺼운 오일로서 얻었다. 1H NMR (CDCl3, 400 MHz) δ 7.68-7.64 (m, 4H), 7.42-7.34 (m, 6H), 4.57 (t, J = 4.3 Hz, 1H), 3.86-3.78 (m, 1H), 3.65 (t, J = 6.3 Hz, 3H), 3.54-3.32 (m, 4H), 2.22-2.10 (m, 4H), 1.84-1.24 (m, 18H), 1.04 (s, 9H) ; 13C NMR (CDCl3, 100 MHz) δ 135.82, 135.77, 134.25, 129.72, 127.85, 127.80, 127.77, 99.09, 99.05, 80.59, 80.22, 67.84, 67.74, 63.70, 62.58, 62.54, 31.00, 25.73, 19.92, 19.44, 18.97, 18.77.
Figure pct00112
13-(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트리데크-8-인-1-올 (7): MeOH (20 mL) 중의 6 (15.0 g, 0.59 mmol) 및 촉매량의 PPTS (10 mg)의 용액을 10h 동안 0℃에서 교반한 후, 포화된 NaHCO3 수용액으로 켄칭시켰다. 대부분의 메탄올을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물 (10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20-30 %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7을 무색 오일(8.80 g, 78.7%)로서 얻었다. TLC: 20% EtOAc/헥산, Rf
Figure pct00113
0.36; 1H NMR (CDCl3, 400 MHz) δ 7.68-7.65 (m, 4H), 7.41-7.35 (m, 6H), 3.66-3.62 (m, 4H), 2.10-1.95 (m, 4H), 1.64-1.50 (m, 2H), 1.48-1.20 (m, 10H), 1.04 (s, 9H); 13C NMR (CDCl3, 100 MHz) δ 135.79, 135.77, 134.26, 129.73, 127.84, 127.83, 127.80, 127.78, 80.56, 80.28, 63.72, 63.22, 32.96, 31.90, 29.01, 25.78, 19.45, 18.95, 18.77.
Figure pct00114
13-(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트리데크-8(Z)-엔-1-올 (8): 2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NaBH4 (176 mg, 4.65 mmol)을 수소 대기 (1 atm) 하에서 무수 에탄올 (10 mL) 중의 Ni(OAc)2·4H2O (1.16 g, 9.3 mmol)의 용액에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첨가하였다. 15분 후, 무수 에틸렌디아민 (0.56 g, 9.3 mmol)을 첨가하고, 추가의 15분 후에 무수 에탄올 (25 mL) 중의 알콜 7 (8.0 g, 18.7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완료될 때까지 TLC에 의해 환원을 모니터링한 후, 에테르 (50 mL)로 희석하고, 작은 실리카 겔 패드를 통과시켜서 무기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여액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8을 점성의, 무색 오일 (7.60 g, 95%)로서 얻었다. TLC: 50% EtOAc/헥산, Rf
Figure pct00115
0.42; 1H NMR (CDCl3, 400 MHz) δ 7.68-7.65 (m, 4H), 7.41-7.35 (m, 6H), 5.40-5.30 (m, 2H), 3.58-3.65 m, 4H), 1.88-2.10 (m, 4H), 1.50-1.61 (m, 4H), 1.25-1.45 (m, 10H), 1.04 (s, 9H); 13C NMR (CDCl3, 100 MHz) δ 135.83, 134.36, 130.30, 129.98, 129.77, 127.85, 64.09, 63.17, 32.48, 29.96, 29.53, 27.49, 27.37, 27.21, 27.16, 26.23, 26.01, 19.50.
Figure pct00116
13-(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트리데크-8(Z)-에노익산 (9): 아세톤 (25 mL) 중의 존스 시약(5.8 mL의 수중 10 N 용액)을 아세톤 (75 mL) 중의 알콜 8 (5.0 g, 11.8 mmol)의 교반되는 -40℃ 용액에 첨가하였다. 1 h 후, 반응 혼합물을 -10℃로 가온시키고, 또 다른 2 h 동안 유지시킨 후, 과량(5.0 당량)의 이소프로판올로 켄칭시켰다. 그린(green) 크롬 염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여과 케익을 아세톤으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액 및 세척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형성된 잔류물을 EtOAc (100 mL) 중에 용해시키고, 물 (5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15% EtOAc/헥산을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9 (3.84 g, 74.20%)을 액체로서 얻었다. TLC: 40% EtOAc/헥산, Rf
Figure pct00117
0.40. 1H NMR (CDCl3, 400 MHz) δ 7.68-7.64 (m, 4H), 7.43-7.34 (m, 6H), 5.40-5.26 (m, 2H), 3.66 (t, J = 6.6 Hz, 2H), 2.35 (t, J = 7.3 Hz, 2H), 2.10-1.90 (m, 4H) 1.64-1.50 (m, 2H), 1.48-1.20 (m, 10H), 1.04 (s, 9H); 13C NMR (CDCl3, 100 MHz) δ 180.62, 135.81, 134.34, 130.10, 130.07, 129.73, 127.82, 127.80, 127.79, 64.06, 32.44, 29.12, 27.38, 27.18, 27.12, 26.19, 24.87, 19.47.
Figure pct00118
메틸 13-하이드록시트리데크-8(Z)-에노에이트 4 (10): MeOH (50 mL) 중의 9 (7.60 g, 3.49 mmol) 및 p-톨루엔설폰산 (50 mg; PTSA)의 용액을 4h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25% EtOAc/헥산을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0 (3.41 g, 87%)을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40% EtOAc/헥산, Rf
Figure pct00119
0.35; 1H NMR (CDCl3, 400 MHz) δ 5.40-5.36 (m, 2H), 3.60-3.66 (m, 5H), 2.30 (t, J= 7.3 Hz, 2H), 2.10-1.90 (m, 4H) 1.64-1.50 (m, 2H), 1.48-1.20 (m, 10H).
Figure pct00120
메틸 13-아지도트리데크-8(Z)-에노에이트 5 (11):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복실레이트 (DIAD; 3.0 g, 14.8 mmol)을 아르곤 대기 하에서 무수 THF (100 mL) 중의 트리페닐포스핀 (3.9 g, 14.8 mmol)의 -20℃ 용액에 적가하였다. 10분 동안 교반한 후, 무수 THF (5 mL) 중의 10 (3.0 g, 4.75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20℃에서 30분 후, 반응 혼합물을 0℃로 가온시키고, 디페닐포스포릴아지드 (DPPA, 4.0 g, 14.5 mmol)를 적가하였다. 6 h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반응물을 물 (3 mL)로 켄칭시키고, 에테르 (100 mL)로 희석하고, 염수 (40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에테르 (2 x 150 mL)로 역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5% EtOAc/헥산을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1 (2.72 g, 82%)을 연황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10% EtOAc/헥산, Rf
Figure pct00121
0.45; 1H NMR (CDCl3, 400 MHz) δ 5.40-5.34 (m, 2H), 3.64 (s, 3H), 3.26 (t, J = 6.7 Hz, 2H), 2.30 (t, J = 7.7 Hz, 2H) 2.10-1.98 (m, 4 H) 1.66-1.54 (m, 2H), 1.48-1.24 (m, 10H).
Figure pct00122
메틸 13-(3-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노에이트 6 (12): 트리페닐포스핀 (2.7 g., 11.0 mmol)을 무수 THF (25 mL) 중의 11 (1.4 g, 5.24 mmol)의 실온 용액에 첨가하였다. 2 h 후, 물 (200 μL)을 첨가하고, 또 다른 8 h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EtOAc (100 mL)로 희석하고, 물 (20 mL) 및 염수 (25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EtOAc (2 x 30 mL)로 역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추가로 고진공 하에서 4 h 동안 건조시켰다. 미정제 아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Procedure ref.: S. Chandrasekhar; S. S. Sultana; N. Kiranmai; Ch. Narsihmulu Tetrahedron Lett. 2007: 48, 2373).
n-펜틸 이소시아네이트 (0.78 g, 6.9 mmol)를 무수 THF (25 mL) 중의 상기 미정제 아민 (1.4 g, 5.8 mmol)의 실온 용액에 첨가하였다. 6 h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30% EtOAc/헥산을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2 (1.70 g, 85%)를 무색의 점성 오일로서 얻었다. TLC: 50% EtOAc/헥산, Rf
Figure pct00123
0.40; 1H NMR (CDCl3, 400 MHz) δ 5.40-5.26 (m, 2H), 4.46-4.32 (m, NH, 2H), 3.66 (s, 3H), 3.18-3.10 (m, 4H), 2.34 (t, J = 7.7 Hz 4H), 2.06-1.94 (m, 4H), 1.66-1.56 (m, 2H), 1.54-1.42 (m, 14 H), 0.88 (t, J = 7.0 Hz, 3H).
Figure pct00124
메틸 13-(3-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노익산 7 (13): LiOH (6.2 mL, 2.0 M 수용액, 3.0 당량)를 THF (25 mL) 및 탈이온 H2O (4 mL) 중의 12 (1.80 g, 5.8 mmol)의 0℃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pH를 1 M 옥살산 수용액으로 4.0으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2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물 (30 mL), 염수 (25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25% EtOAc/헥산을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3 (1.48 g, 86%)을 백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 67.1℃. TLC: 80% EtOAc/헥산, Rf
Figure pct00125
0.30; 1H NMR (CDCl3, 400 MHz) δ 5.40-5.26 (m, 2H), 3.17-3.10 (m, 4H), 2.32 (t, J = 6.7 Hz, 2H), 2.09-1.95 (m, 4H), 1.65-1.48 (m, 6H), 1.44-1.22 (m, 12H), 0.89 (t, J = 7.1 Hz, 3H); 13C NMR (CDCl3, 75 MHz) δ 178.5, 159.6, 130.5, 129.5, 40.9, 40.8, 34.4, 29.9, 29.8, 29.2, 28.7, 28.5, 27.2, 26.7, 24.9, 22.6, 14.2.
Figure pct00126
(S)-2-(13-(3-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나미도)석시네이트 (14): L-아스파르트산 디메틸 에스테르 (38 mg, 0.191 mmol) 및 HATU (67 mg, 0.176 mmol)를 아르곤 대기 하에서 무수 DMF (2 mL) 중의 13 (50 mg, 0.147 mmol) 및 DIPEA (74 mg, 0.573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5분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33.8 mg, 0.176 mmol; EDCI)를 고형물로서 첨가하였다. 12 h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EtOAc (15 mL)로 희석하고, 물 (5 mL)로 세척하고, 염수 (10 mL). 합한 수성 층을 EtOAc (3 x 10 mL)로 역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50% EtOAc/헥산을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4 (60 mg, 84%)를 점성 오일로서 얻었다. TLC: 60% EtOAc/헥산, Rf
Figure pct00127
0.35; 1H NMR (CDCl3, 400 MHz) δ 6.64 (d, J = 7.9 Hz, 1H), 5.38-5.30 (m, 2H), 4.90-4.82(m, 1H), 4.58-4.44 (m, 2H), 3.75 (s, 3H), 3.66 (s, 3H), 3.20-3.10 (m, 4H), 3.04 (dd, J1 = 4.3 Hz, J2 = 13.1 Hz, 1H), 2.84 (dd, J1 = 4.6 Hz, J2 = 12.8 Hz, 1H), 2.22 (t, J = 6.3 Hz, 2H), 2.05-1.98 (m, 4H), 1.70-1.60 (m, 2H), 1.50-1.20 (m, 16H), 0.88 (t, J = 6.7 Hz, 3H).
Figure pct00128
(S)-2-(13-(3-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나미도)석신산(15): LiOH의 수용액(2 mL, 2 M 용액, 6.0 당량)을 THF (8 mL) 및 탈이온 H2O (2 mL) 중의 14 (60 mg, 0.124 mmol)의 0℃ 용액에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pH를 1 M 옥살산 수용액을 사용하여 4.0으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물 (5 mL), 염수 (5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70-90% EtOAc/헥산을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15 (48 mg, 85%)를 점성의, 무색 오일로서 얻었다. TLC: 5% MeOH/EtOAc, Rf
Figure pct00129
0.20; 1H NMR (CD3OD, 400 MHz) δ 5.38-5.30 (m, 2H), 4.72 (t, J = 4.3 Hz, 1H), 3.12-3.05 (m, 4H), 2.90-2.72 (m, 2H), 2.22 (t, J = 7.7 Hz, 2H), 2.10-1.98 (m, 4H), 1.60-1.22 (m, 18H), 1.20 (t, J = 7.1 Hz, 3H); 13C NMR (CDCl3, 75 MHz) δ 174.9, 173.0, 172.8, 160.1, 129.9, 129.3, 51.8, 49.8, 39.8, 39.7, 35.7, 35.6, 29.9, 29.8, 29.5, 29.0, 28.8, 26.9, 26.7, 25.7, 22.3, 13.2.
Figure pct00130
디소듐 (S)-2-(13-(3-펜틸우레이도)트리데크-8(Z)-에나미도)석시네이트 (16):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93 mg, 1.1 mmol)를 실온에서 THF/H2O (4:1, 5 mL) 중의 15 (100 mg, 0.22 mmol)의 교반 용액에 첨가하였다. 2 h 후, THF를 진공 하에 제거하고, 남은 수성 상을 SM-2 바이오-비즈 (Bio-Rad, 20-50 mesh; 2 g)와 함께 교반하였다. 1 h 후, 바이오-비즈를 소결된 유리 깔때기 상에서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물 (5 mL x 2)로 세척하고, 끝으로 95% 에탄올 (20 mL x 3)로 세척하였다. 에탄올 세척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16 (72 mg, 84%)을 백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p. = 258.5℃. TLC: 10% MeOH/CH2Cl2, Rf ~ 0.15; 1H NMR (CD3OD, 500 MHz) δ 5.25-5.23 (m, 2H), 4.40 (t, 1H, J = 4.0), 3.01-2.97 (m, 4H), 2.58-2.56 (m, 2H), 2.13 (t, 2H, J = 7.0), 1.96-1.94 (m, 4H), 1.51-1.47 (m, 2H), 1.30-1.19 (m, 16H), 0.83 (t, 3H, J = 7.0); 13C NMR (75 MHz, CDCl3) δ 178.52, 178.38, 173.99, 160.21, 129.93, 129.37, 52.66, 39.81, 39.74, 36.27, 29.50, 28.93, 26.76, 22.34, 13.26.
실시예 3: N-이소프로필-N-(5-(2-피발아미도벤조[d]티아졸-4-일옥시)펜틸)헵탄아미드 (MV=EET-B 또는 SRD-2)의 합성
도 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EET B의 합성은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131
5-(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펜탄-1-올 (2): 이미다졸 (0.65 g, 9.60 mmol)을 아르곤 대기 하에서 0℃에서 무수 디클로로메탄 (10 mL) 중의 펜탄-1,5-디올 (1.00 g, 9.60 mmol)의 교반되는 용액에 첨가한 후, CH2Cl2 (2 mL) 중의 3차-부틸클로로디페닐실란 (3.85 mL, 9.60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서서히 실온에 이르게 하였다. 12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물 (2 × 30 mL),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이 용리액으로서 3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사용하는 SiO2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되어 회수된 SM 및 탈보호된 화합물인 화합물 2 (1.35 g, 46%)를 제공하였다. TLC: 30% EtOAc/헥산, Rf ~ 0.38; 1H NMR (CDCl3, 400 MHz) δ 7.67-7.62 (m, 4H), 7.45-7.35 (m, 6H), 3.67 (t, 2H, J = 6.0 Hz), 3.52 (t, 2H, J = 6.7 Hz), 2.03-1.93 (m, 2H), 1.72-1.64 (m, 4H), 1.04 (s, 9H).
Figure pct00132
3차-부틸(5-아이오도펜틸옥시)디페닐실란 (3): CH2Cl2 (2 mL) 중의 이미다졸 (310 mg, 4.40 mmol), 아이오드(440 mg, 3.5 mmol), 및 2 (1 g, 2.98 mmol)의 용액을 CH2Cl2 (15 mL) 중의 PPh3 (450 mg, 3.5 mmol)의 0℃ 용액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암실에서 유지시켰다. 2 h 후, 반응 혼합물을 20% Na2S2O3 (5 mL)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켄칭시켰다. 수성 층을 CH2Cl2 (2 ×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3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5% EtOAC/헥산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조심스럽게 정제하여 아이오다이드 3 (1.25 mg, 92%)을 얻었다. TLC: 10% EtOAc/헥산, Rf ~ 0.85; 1H NMR (CDCl3, 400 MHz) δ 7.67-7.62 (m, 4H), 7.45-7.35 (m, 6H), 3.67 (t, 2H, J = 6.0 Hz), 3.41 (t, 2H, J = 6.7 Hz), 2.03-1.93 (m, 2H), 1.72-1.64 (m, 4H), 1.04 (s, 9H).
Figure pct00133
5-(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N-이소프로필펜탄-1-아민 (4): 무수 THF (15 mL) 중의 K2CO3 (1.50 g, 11.05 mmol), 이소프로필아민 (0.65 mL, 11.05 mmol) 및 아이오다이드 3 (2.50 g, 5.83 mmol)을 아르곤 대기 하에서 밀봉된 관에서 66℃에서 가열하였다. 12 h 후, 물 (5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으며, 이후 이를 EtOAc (3 ×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4를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되기에 충분히 순수한 무색 액체(1.90 g, 92%)로서 얻었다. TLC: MeOH/CH2Cl2 (1:4), Rf ~ 0.30; 1H NMR (400 MHz) δ 7.65-7.67 (m, 4H), 7.30-7.40 (m, 6H), 3.65 (t, J = 6.4 Hz, 2H), 2.70-2.82 (m, 1H), 2.55 (t, J = 7.3 Hz, 2H), 1.50-1.64 (m, 2H), 1.32-1.50 (m, 4H), 1.05 (d, J = 5.8 Hz, 3H), 1.04 (s, 9H); 13C NMR (100 MHz) δ 135.68, 134.21, 129.63, 127.70, 63.95, 48.81, 47.64, 32.60, 30.27, 27.0, 23.76, 23.15, 19.34.
Figure pct00134
N-(5-(3차-부틸디페닐실릴옥시)펜틸)-N-이소프로필헵탄아미드 (5): 헵탄산 (2.06 g, 15.86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72 mL, 21.14 mmol; DIPEA)을 아르곤 대기 하에서 무수 DMF (20 mL) 중의 아민 4 (4.00 g, 10.57 mmol)의 교반되는 용액에 첨가하였다. 5분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3.04 g, 15.86 mmol; EDCI)를 고형물로서 첨가하였다. 12 h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EtOAc (100 mL)로 희석하고, 물 (2 x 30 mL), 및 염수 (20 mL)로 세척하였다. 합한 수성 층을 EtOAc (3 x 30 mL)로 역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30% EtOAc/헥산을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아미드 5 (4.75 g, 91%)를 점성 오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3:7), Rf ~ 0.60; 1H NMR (400 MHz, 1:1 로타머 혼합물) δ 7.65-7.67 (m, 4H), 7.30-7.40 (m, 6H), 4.62-4.72 및 3.96-4.80 (m, 1H, 로타머), 3.62 및 3.68 (t, J = 4.8 Hz, 2H, 로타머), 3.02 및 3.16 (t, J = 5.2 Hz, 2H, 로타머), 2.38 및 2.24 (t, J = 5.3 Hz, 2H, 로타머), 1.50-1.68 (m, 6H), 1.26-1.44 (m, 8H), 1.18 및 1,12, (d, J = 7.3 Hz, 6H, 로타머), 1.03 및 1.04 (s, 9H, 로타머), 0.88 (t, J = 7.3 Hz, 3H); 13C NMR (100 MHz, 1:1 로타머 혼합물) δ 173.38, 172.76, 135.80, 135.78, 134.36, 134.12, 129.85, 129.73, 127.88, 127.82, 64.22, 63.68, 48.43, 45.62, 43.64, 41.27, 34.13, 34.05, 32.61, 32.36, 31.96, 31.93, 31.51, 29.63, 29.47, 27.10, 27.03, 25.94, 25.78, 24.03, 23.77, 22.81, 21.63, 20.78, 19.47, 14.33, 14.28.
Figure pct00135
N-(5-하이드록시펜틸)-N-이소프로필헵탄아미드 (6): MeOH (50 mL) 중의 5 (4.75 g, 9.02 mmol) 및 p-톨루엔설폰산의 용액을 12 h 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고체 NaHCO3로 켄칭시키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중에 용해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물 (2 × 50 mL),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 50-60%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사용하는 실리카 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알콜 6 (2.35 g, 93%)을 무색의 점성 액체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1:1), Rf ~ 0.30; 1H NMR (400 MHz, 55/45 로타머 혼합물) δ 4.58-4.66 및 3.96-4.08 (m, 1H, 로타머), 3.56 및 3.70 (t, J = 5.4 Hz, 2H, 로타머), 3.02 및 3.16 (t, J = 5.2 Hz, 2H, 로타머), 2.38 및 2.26 (t, J = 6.3 Hz, 2H, 로타머), 1.50-1.64 (m, 6H), 1.22-1.40 (m, 8H), 1.13 및 1.09 (d, J = 7.5 Hz, 6H, 로타머), 0.84 (t, J = 7.3 Hz, 3H); 13C NMR (100 MHz, 55/45 로타머 혼합물) δ 172.81, 62.66, 62.60, 48.41, 45.55, 43.56, 41.04, 34.08, 34.0, 32.46, 32.43, 31.86, 31.57, 29.40, 25.87, 25.70, 23.77, 23.73, 22.75, 21.57, 20.72, 14.26.
Figure pct00136
N-(5-브로모펜틸)-N-이소프로필헵탄아미드 (7): TPP (4.45 g, 9.34 mmol)를 무수 CH2Cl2 (50 mL) 중의 알콜 6 (2.00 g, 7.78 mmol)의 0℃ 용액에 첨가하였다. 10분 후, CBr4 (3.10 g, 9.34 mmol)을 첨가하고, 0℃에서 계속 교반하였다. 2 h 후, 물 (20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EtOAc (3 ×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추출물을 물 (2 × 20 mL),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및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30-35%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사용하는 SiO2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7 (2.20 g, 91%)을 얻었다. TLC: EtOAc/헥산 (3:7), Rf ~ 0.40; 1H NMR (400 MHz, 45/55 로타머 혼합물) δ 4.60-4.70 및 3.96-4.10 (m, 1H, 로타머), 3.46 및 3.36 (t, J = 5.8 Hz, 로타머), 3.02-3.10 (m, 2H), 2.30 및 2.22 (t, J = 7.9 Hz, 2H), 1.80-1.97 (m, 2H), 1.40-1.70 (m, 6H), 1.20-1.40 (m, 6H), 1.16 및 1.10, (d, J = 7.3 Hz, 6H, 로타머), 0.86 (t, J = 7.3 Hz, 3H); 13C NMR (100 MHz, 로타머) δ 172.79, 172.39, 48.17, 45.47, 43.32, 40.70, 33.89, 33.87, 33.49, 32.48, 32.30, 31.81, 31.78, 30.78, 29.27, 28.74, 26.05, 25.84, 25.69, 25.54, 22.64, 21.47, 20.62, 14.17.
Figure pct00137
이소프로필-N-(5-(2-피발아미도벤조[d]티아졸-4-일옥시)펜틸)헵탄아미드 (11): DMF (10 mL) 중의 브로마이드 7 (0.35 g, 1.09 mmol), N-(4-하이드록시벤조[d]티아졸-2-일)비발아미드 (10) (0.27 g, 1.09 mmol), 및 K2CO3 (0.30 g, 2.18 mmol)의 용액을 80℃에서 가열하였다. 4 h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 (5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 30 mL)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H2O (2 × 20 mL),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켰다. 여액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50-7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11 (0.39 g, 72%)을 점성 액체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7:3), Rf ~ 0.26; 1H NMR (400 MHz, 45/55 로타머 혼합물) δ 7.24 및 7.20 (d, J = 7.4 Hz, 1H, 로타머), 7.16 및 7.14 (dd, J = 7.4 Hz, J = 7.4 Hz, 1H, 로타머), 6.90 및 6.80 (d, J = 7.4 Hz, 1H, 로타머), 4.58-4.78 및 3.96-4.10 (m, 1H, 로타머), 4.02 (t, J = 6.3 Hz, 2H), 3.12 (t, J = 7.3 Hz, 2H), 2.30 및 2.27 (t, J = 5.6 Hz, 2H, 로타머), 1.82-1.92 (m, 2H), 1.44-1.70 (m, 4H), 1.38-1.32 (m, 8H), 1.20 (d, J = 6.4 Hz, 3H), 1.13 (d, J = 6.4 Hz, 3H), 1.11 (d, J = 6.4 Hz, 3H), 0.88-085 (m, 6H); 13C NMR (100 MHz, 45/55 로타머 혼합물) δ 189.64, 189.62, 173.04, 172.57, 172.55, 167.16, 167.09, 167.06, 146.85, 146.77, 146.67, 128.90, 128.87, 125.90, 125.79, 124.24, 124.13, 115.32, 115.06, 111.00, 110.09, 110.05, 68.97, 68.74, 58.50, 48.34, 45.62, 41.24, 41.10, 40.95, 34.10, 29.52, 29.15, 25.72, 24.28, 21.66, 20.76, 14.30.
Figure pct00138
N-(4-하이드록시벤조[d]티아졸-2-일)비발아미드 (10). 톨루엔 (10 mL) 중의 2-아미노벤조[d]티아졸-4-올 (0.50 g, 3.01 mmol)의 현탁액에 실온에서 트리메티아세틸 클로라이드 (3.60 mL, 30.1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2 h 동안 115℃에서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EtOAc와 공비시켜 9 (0.78 g, 78%)를 갈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MeOH (15 mL) 중의 상기 고형물 (0.78 g)의 현탁액을 K2CO3 (0.20 g, 3.50 mmol)로 처리하고, 6 h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MeOH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H2O로 희석하였다. 형성된 혼합물을 진한 HCl를 사용하여 pH = 7로 중화시키고, EtOAc (3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10 (0.48 g, 82%)을 갈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TLC: EtOAc/헥산 (7:3), Rf ~ 0.32; 1H NMR (400 MHz, CDCl3) δ 10.25 (br s, 1 H), 9.66 (br s, 1 H), 7.33 (d, J = 7.4 Hz, 1H), 7.09 (dd, J = 7.4, 7.4, Hz, 1H), 6.82 (d, J = 7.4 Hz, 1H), 1.45 (s, 9H). 13C NMR (100 MHz, CDCl3) δ 177.15, 159.12, 148.10, 136.55, 133.00, 125.55, 113.40, 111.50, 39.70, 27.38.
실시예 4: EET 유사체 라이브러리의 시험관내 스크리닝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는 새로이 합성된 화합물을 이용하여 혈관 이완 검정 및 가용성 에폭사이드 하이드롤라제 억제 검정 둘 모두를 수행하였다. 이들 검정의 결과는 상기 표 1의 마지막 3개 컬럼 및 도 14에 기록된다. 이들 검정의 결과로서, 4개의 화합물인 화합물 26, 20, 7 및 30을 하기 실시예에 개설된 바와 같이 추가의 생체내 시험을 위해 선택하였다.
가용성 에폭사이드 하이드롤라제 억제. 화합물을 재조합 가용성 에폭사이드 하이드롤라제(sEH) 단백질을 억제하는 이들의 능력에 대해 시험하였다. 상기 검정은 인간 및 뮤린 효소 둘 모두의 활성을 모니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sEH에 대한 민감 기질인 (3-페닐-옥시라닐)-아세트산 시아노-(6-메톡시-나프탈렌-2-일)-메틸 에스테르(PHOME)를 이용한다. 기질 에폭사이드의 가수분해는 고도의 형광 생성물인 6-메톡시-2-나프트알데하이드를 생성시키며, 이는 각각 330 및 465 nm의 여기 및 방출 파장에서 모니터될 수 있다. 문헌[Wolf et al., Anal Biochem 355:71-80, 2006 PMID: 16729954]을 참조하라. 인간 재조합 sEH를 기질 및 0.1 내지 1000 nM 농도 범위의 화합물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각각의 농도에서 남아있는 활성 퍼센트를 작도하고, 통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IC50(50% 억제가 존재하는 농도)을 결정하였다.
혈관확장제 활성. 혈관이완제 활성을 소 관상동맥에서 측정하였다. 소 심장을 수득하고, 좌전하행관상동맥을 절개하고, 결합조직을 청소하였다. 1 mm 직경의 혈관을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3 mm 폭의 고리로 절단하였다(3, 27, 39). 혈관을 119 NaCl, 4.8 KCl, 24 NaHCO3, 1.2 KH2PO4, 1.2 MgSO4, 11 글루코스, 0.02 EDTA, 및 3.2 CaCl2(mM 단위)로 구성된 크렙스 완충액(Krebs buffer)에 저장하였다. 혈관을 6-ml 워터-재킷을 갖춘 오르간 챔버(water-jacketed organ chamber) 내의 스테인레스 강철 후크 쌍에 매달았다. 오르간 챔버를 크렙스 완충액으로 충전시키고, 37℃에서 95% O2-5% CO2로 버블링(bubbling)시켰다. 하나의 후크를 강철 막대기에 고정시키고, 나머지 후크를 힘 변환기(force transducer)(model FT-03C; Grass Instruments, West Warwick, RI)에 고정시켰다. 혈관의 장력을 ETH-400 브릿지 앰프(bridge amplifier)에 의해 측정하고, 데이터를 MacLab 8e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MacLab 소프트웨어 버전 3.5.6(AD Instruments, Milford, MA)을 이용하여 획득하고, 이후의 데이터 분석을 위해 Macintosh 컴퓨터에 저장하였다.
기초 장력을 3.5 g의 길이-장력 최대로 설정하고, 1.5시간 동안 평형화시켰다. 재현가능한 최대 수축이 유지될때까지 KCl(40 mM)을 챔버에 첨가하였다. 트롬복산 수용체 효능제인 U-46619(10-20 nM)를 기초 장력으로부터 최대 KCl 수축의 50% 내지 90%로 혈관을 예비수축시키는데 사용하였다. 화합물의 누적 첨가물을 챔버에 첨가하였다. 농도-반응 곡선 사이에서, 챔버를 신선한 크렙스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40 mM KCl을 투여하여 최대 수축을 결정하고, 혈관을 세척하였다. 연속 농도-반응 곡선을 14,15-EET를 이용하여 수행한 후, 농도-반응 곡선을 화합물에 대해 수행하였다. 실험은 항상 역전되는 효능제의 순서로 반복하였다. 14,15-EET에 대한 연속 농도-반응 곡선을 이용한 대조군 실험에서, 화합물을 이용한 두번째 농도-반응 곡선은 첫번째 것과 동일하였다. 장력을 이완 퍼센트로 표현하였고, 여기서 100% 이완은 기초 예비-U-46619 장력이었다. 이완을 화합물 농도에 대해 작도하였고, 통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EC50을 결정하였다.
혈관확장제 및 sEH 억제 활성 검정의 결과. 33개의 합성된 화합물의 혈관이완제 및 sEH 억제 활성의 결과는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EET의 약물작용발생단적 모이어티(pharmacophoric moiety)를 이용하여, 개선된 용해도, 및 자가-산화, 에테르화 및 가용성 에폭사이드 하이드롤라제(sEH)에 의한 대사에 대한 내성을 갖는 다수의 EET 유사체를 설계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소 관상동맥에서의 이들의 혈관이완제 활성 및 sEH 억제(sEHi) 활성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EET와 유사한 활성을 갖는 것이 관찰된다. 이들 중에서, EET 약물작용발생단의 COOH 기를 등입체성 대체물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대용물로 대체함으로써 설계된 화합물 중 4개의 화합물을 잠재적 항고혈압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들 화합물의 혈관이완제 및 sEH 억제 활성의 결과가 하기 표 2에 요약되어 있다.
표 2: 생체내 모델에서의 시험을 위해 선택된 화합물의 특징
Figure pct00139
실시예 5: 고혈압의 래트 모델을 이용한 4개의 화합물의 시험관내 시험.
원격측정 혈압 측정. 혈압 및 심박수에서의 변화를 정확히 검출하기 위해, 원격측정 전달물질(Data Sciences Inc., St. Paul, MN)을 펜토바르비탈 마취하에서 제조업체의 명세서에 따라 실험 기간 1주 전에 래트에 이식하였다. 간단히, 절개하여 전달물질 카테터의 삽입을 가능케 하도록 폐색된 대퇴동맥을 노출시켰다. 카테터를 조직 아교를 이용하여 적소에 고착시키고, 전달물질체를 적소에 봉합시키고, 절개선을 닫았다. 래트를 수술로부터 회복시키고, 개별적 우리로 복귀시켰다. 기준선 동맥압을 실험 기간 전에 기록하였다. 평균 동맥압을 실험 기간 전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기록하였다.
안지오텐신 고혈압. 원격측정 전달물질을 기재된 바와 같이 수컷 스프라그-돌리(Sprague-Dawley) 래트(225-275 g)에 이식하였다. 기초 혈압을 기록한 후, 삼투 펌프를 이식(s.c.)하여, 60 ng/분의 용량으로 안지오텐신을 전달하였다. 삼투 펌프에 의해 EET 유사체를 투여(2mg/d, i.p.)하였고, 혈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하였다.
자연발생 고혈압 래트(SHR). 원격측정 전달물질을 기재된 바와 같이 수컷 SHR에 이식하였다. 수술 회복 기간 후, 기준선 평균 동맥압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실험에서, 삼투 펌프에 의해 EET 유사체를 투여(2 mg/d, i.p.)하였고, 혈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하였다.
단백질 배출 측정. 동물을 대사 우리에 배치하고, 소변을 코니컬 튜브(conical tube)에 수거하였다. 샘플을 검정때까지 -80℃에 저장하였다. 소변 단백질 배출을 신장 손상에 대한 지표로서 평가하였다. 단백질을 브래드포드(Bradford) 비색 방법에 의해 결정하였고, 크레아티닌을 피크르산 비색 방법에 의해 결정하였다.
원격측정 및 소변 분석 방법은 간행물[Imig JD, Zhao X, Zaharis CZ, Olearczyk JJ, Pollock DM, Newman JW, Kim IH, Hammock BD. An orally active epoxide hydrolase inhibitor lowers blood pressure and provides renal protection in salt-sensitive hypertension. Hypertension 46:975-981, 2005. PMID: 1615779; Elmarakby AA, Quigley JE, Olearczyk JJ, Srindhar A, Cook AK, Inscho EW, Pollock DM, Imig JD. Chemokine receptor 2b blockade inhibition provides renal protection in angiotensin II-salt hypertension. Hypertension 50:1069-1076, 2007. PMID: 17938380; and Olearczyk JJ, Quigley JE, Mitchell B, Yamamoto T, Kim IH, Newman JW, Lauria A, Hammock BD, Imig JD. Inhibition of the soluble epoxide hydrolase protects the kidney from damage in hypertensive Goto-Kakizaki rats. Clinical Science 116:61-70, 2009. PMID: 18459944]에 추가로 개설되어 있다. 이들 간행물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통계 분석. 모든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 제시된다. 평균 동맥압 데이터를 반복 측정을 위해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p< 0.05인 차이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GraphPad Prism Version 4.0 소프트웨어(GraphPad Software Inc, La Jolla, CA)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혈압 및 심박수에 대한 효과. 자연발생 고혈압 래트(SHR). 이러한 모델의 고혈압에서, 4개의 선택된 화합물의 혈압을 낮추는 능력을 연구하였다. 상기 4개의 화합물 중 2개가 혈압을 낮추는 효과를 가진 것이 관찰된다. SRD(도 1A에 제시된 화학 구조) 및 LGK(도 2A에 제시된 화학 구조)는 SHR에서 혈압을 낮추는 작용이 결핍되었다. SRD 처리 SHR 그룹에서, 처리 2주 후, 혈압은 비히클 처리된 SHR 그룹과 유사하였다(150±5.0 대 141±3.0 mmHg)(도 1B-C 참조). 처리 2주 후, LGK는 SHR에서 비히클에 비해 혈압을 변화시키지 않았다(137±1.0 대 141±3.0 mmHg)(도 2C-D). 혈압에 대한 효과와 유사하게, SRD 및 LGK는 어느 것도 비히클 SHR에 비해 심박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SRD, 344±23.0 대 331±17.0 BPM; LGK, 325±11.0 대 331±17.0 BPM).
JLJ(도 3A에 제시된 화학 구조)를 이용한 2주 처리는 비히클 처리된 군에 비해 SHR에서 혈압의 적당한 감소를 야기시켰고(131±2.0 대 141±3.0 mmHg), 이의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처리 첫번째 주에서 관찰되었다(도 3B-C). 화합물 MV(도 4A에 제시된 화학 구조)는 또한 SHR에서 유사한 혈압을 낮추는 효과를 나타내며, 비히클에 비해 혈압에서 12 mmHg 감소를 야기시켰다(129±2.0 대 141±3.0 mmHg). 또한, JLJ와 유사하게, MV는 SHR에서 처리 4일 이내에 혈압을 낮추기 시작하였고, 2주 처리 기간의 종단까지 상기 효과를 유지한 것이 관찰되었다(도 4B-C 참조). 혈압을 낮추는 효과와 대조적으로, JLJ 및 MV는 어느 것도 비히클 SHR에 비해 심박수에 대해 어떠한 효과도 갖지 않는 것이 추가로 관찰되었다(JLJ, 316±23.0 대 331±17.0 BPM; MV, 318±24.0 대 331±17.0 BPM). SHR 모델에서의 JLJ 및 MV의 유망한 혈압을 낮추는 효과를 고려하여, 본 발명자는 고혈압의 또 다른 모델, 안지오텐신 II(Ang II) 고혈압에서 상기 화합물을 추가로 시험하였다.
Ang II 고혈압 래트. 화합물 JLJ는 처리 시작으로부터 혈압에서의 Ang II 유발 상승에 대한 약화 효과를 나타내고, 이는 처리 기간 전체에 걸쳐 유지되었다. 2주의 처리 기간의 종단에서, JLJ는 비히클에 비해 Ang II 유발 고혈압을 현저히 약화시킨 것이 관찰된다(135±5.0 대 150±3.2 mmHg)(도 5A-B). JLJ와 유사하게, 화합물 MV는 또한 Ang II 고혈압에 대해 현저한 약화 효과를 나타내며(107±2.0 대 150±3.2 mmHg), 이러한 약화 효과는 처리 기간 전체에 걸쳐 관찰되었다(도 6A-B). SHR과 유사하게, ANG II 고혈압에서, JLJ(410±25.0 대 396±25.0 BPM) 및 MV(385±16.0 대 396±25.0 BPM)는 어느 것도 처리 2 주 후에 비히클에 비해 심박수에 대해 어떠한 효과도 나타내지 않는다.
Ang II 고혈압에서 소듐 배출 및 단백질 배출에 대한 MV의 효과. 본 연구에서, 본 발명자는 화합물 MV(도 4A에 제시된 화학 구조)를 이용한 2주 처리가 Ang II 고혈압에서 비히클에 비해 나트륨배설증가를 야기시킨 것을 관찰하였다(2.7±0.3 대 1.9±0.7 mmol/d). 화합물 MV가 Ang II 고혈압에서 신장 손상의 지표인 소변 단백질 대 크레아티닌 비(1.5±0.2 대 2.8±0.7)를 감소시킨 것이 또한 관찰된다.
실시예 6: 시스플라틴 신독성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EET 유사체의 효과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는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에서 2개의 새로이 개발된 경구 활성 EET 유사체의 신장 보호 효과를 연구하였다. EET 유사체가 시스플라틴 투여 동안 현저한 신장 보호를 제공하였고, 이러한 효과는 이들의 항-산화, 항-염증, 항-ER 스트레스 및 항-아폽토시스 활성과 관련된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자는 시스플라틴의 유해한 신독성 효과로부터 신장을 보호하면서, 상기 EET 유사체가 시스플라틴의 화학요법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은 것을 추가로 입증하였다.
신독성은 항암 약물 시스플라틴의 사용을 심각하게 제한한다. 산화 스트레스, 염증 및 소포체(ER) 스트레스는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에 기여한다. 본 발명자는 EET 약물작용발생단의 카르복실레이트, 올레핀, 및 에폭사이드 모이어티를 변형시킴으로써 경구 활성 EET 유사체(화합물 EET-A & EET-B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자는 청구된 EET 유사체를 투여하는 것이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을 포함하는 신독성을 감소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였다. 시스플라틴을 EET 유사체(10mg/kg/d p.o., n=5) 또는 비히클(n=7)로 7일 동안 전처리된 래트에 투여(7mg/kg i.p.)하였다. 시스플라틴 주사 5일 후, 소변, 혈장, 및 신장을 수거하였다.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은 BUN, 혈장 크레아티닌(PCr), 소변 N-아세틸-(D)-글루코사미니다제 활성(NAG), 신장 손상 분자-1(KIM-1), 및 신장 세관 캐스트(renal tubular cast) 형성에서의 3-5배 증가로 나타났다. EET 유사체는 BUN(비히클: 241±51 대 EET-A: 108±30 & EET-B: 120±33 mg/dL), PCr(3.1±0.2 대 2.0±0.2 & 1.4±0.2 mg/dL), KIM-1(296±94 대 85±29 & 57±13 ng/d), 및 NAG(3.0±0.6 대 0.5±0.1 & 0.6±0.2 U/d)에서 시스플라틴-유발 증가를 약화시켰다(P<0.05). 시스플라틴-유발 신장 세관 캐스트 형성은 EET 유사체 처리에 의해 50% 감소되었다. EET 유사체는 시스플라틴-유발 신장 TBARS 형성을 약화시켰고(비히클: 16±2 대 EET-A: 7±1; EET-B: 8±1 μmol/g), NOX1gp91phox mRNA의 신장 발현에서 2-3배 감소를 야기시켰다(P<0.05).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은 염증(TNF-α, IL-6, IL-1β) 및 ER 스트레스(카스파제 12, GRP78) 유전자의 증가된 신장 mRNA 발현을 발생시키는 증가된 신장 염증 및 ER 스트레스를 수반하였다. EET 유사체는 상기 염증 및 ER 스트레스 유전자의 발현에서 30-70% 감소를 야기시켰다(P<0.05). 시스플라틴은 상승된 Bak/Bcl2Bax/Bcl2 mRNA 발현 비 및 신장 피질 카스파제 3 활성과 함께 신장에서 아폽토시스 신호전달을 야기시켰다. EET 유사체는 신장 Bak/Bcl2Bax/Bcl2 mRNA 발현 비에서 2-14배의 감소 뿐만 아니라 신장 카스파제 3 활성에서 50% 감소를 야기시켰다(P<0.05). 여러 암 세포주를 이용한 시험관내 연구에서, 본 발명자는 또한 EET 유사체의 신장 보호 효과가 시스플라틴의 항암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입증한다. 집합적으로, 이들 데이터는 경구 활성 EET 유사체가 시스플라틴의 화학요법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산화 스트레스, 염증, 및 ER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써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을 포함하는 신독성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입증한다. 또한, EET 유사체는 또한 청력 상실을 포함하는 다른 통상적인 시스플라틴 부작용에 대해 보호할 것이다.
생체내 동물 실험. 실험은 동물실험윤리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Medical College of Wisconsin, Milwaukee, USA)의 지침에 따라 승인되고, 수행되었다. 수컷 위스타-쿄토(Wistar-Kyoto, WKY) 래트는 체중이 180-200 g이었다(Charles River, MA, USA). 모든 동물을 12시간 명/암 주기와 함께 온도-조절 환경에서 유지시켰고, 모든 시간에 음식 및 물에 자유롭게 접근하도록 하였다. 실험 전에 래트가 6일의 순응 기간을 갖도록 하였다. 래트를 4개의 그룹으로 할당하였다. 그룹 1(WKY, n=5-7): 래트에 7일 동안 무제한으로 음용수를 제공하였고, 7일에 DMSO(Sigma Aldrich, St. Louis, MO, USA)를 투여하였다(300-500 ㎕ i.p.).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스플라틴(CP)(Sigma Aldrich, St. Louis, MO, USA) 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DMSO를 사용하였고, 주사 최대 부피를 500 ㎕로 설정하였다. 그룹 2(CP+비히클, n=5-7): 래트에 7일 동안 음용수 중 비히클(0.05% 에탄올 및 0.1% PEG-400 v/v)을 예비처리하였고, 이후 7일에 CP를 투여(7mg/kg i.p.)한 후, 또 다른 5일 동안 비히클로 처리하였다. 그룹 3(CP+EET-A, n=5-7): 이들 래트에 7일 동안 음용수 중 EET 유사체 EET-A(10mg/kg/일 p.o.)로 예비처리한 후, 7일에 단일 주사로서 CP를 투여(7mg/kg i.p.)한 후, 또 다른 5일 동안 EET-A로 처리하였다. 그룹 4(CP+EET-B, n=5-7): 이러한 그룹의 래트에 7일 동안 음용수 중 또 다른 EET 유사체 EET-B(10mg/kg/일)를 예비처리한 후, 7일에 CP를 단일 주사로서 투여(7mg/kg i.p.)한 후, 또 다른 5일 동안 EET-B로 처리하였다. 그룹 2, 3 및 4의 래트는 각각 음용수 중 비히클, EET-A 및 EET-B에 자유롭게 접근하였다. 래트를 희생시키기 하루 전, 각각의 래트의 소변을 24시간의 기간에 걸쳐 수거하고, 부피를 측정하였다. CP 또는 DMSO 투여 5일 후, 래트를 혈액 샘플 수거를 위해 마취시킨 후, 안락사시키고, 조직을 수거하였다. 소변 및 혈장 샘플을 분석때까지 -80℃에서 동결 유지시켰다. 신장을 분리시키고, 생리학적 염수로 세척하고, RT-PCR 분석, 티오바르비투르산 반응 물질(TBARS) 측정 및 카스파제 3 활성 검정에 대해 사용때까지 -80℃에서 저장하였다. 신장의 일부를 또한 조직학적 시험을 위해 10% 완충 포르말린에서 보존하였다.
생화학적 분석. 혈액 요소 질소(BUN)(BioAssay Systems, Hayward, CA, USA) 및 혈청 크레아티닌(Cayman Chemical Company, Ann Arbor, MI, USA)의 수준을 시판되는 키트를 이용하여 분광광도분석적으로 측정하였다. 크레아티닌 및 단백질의 소변 함량을 시판되는 키트(Cayman Chemical Company, Ann Arbor, MI,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소변 내의 소변 N-아세틸-b-글루코사미니다제(NAG)의 활성을 Diazyme(Diazyme Laboratories, Poway, CA, USA)으로부터의 키트에 의해 측정하였다. 신장 손상 분자-1(KIM-1)의 소변 함량을 ELISA(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신장에서의 말론디알데하이드의 결정. 말론디알데하이드(MDA)는 지질 과산화의 최종-생성물로서 형성되고, 산화 스트레스의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는 티오바르비투르산 반응 물질(TBARS)이다. 신장 MDA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래트 신장을 1.5% 염화칼륨을 함유하는 완충액으로 균질화시켜, 1:10(w/v)의 전체 신장 균질액을 수득하였다. 시판되는 키트(Cayman Chemical Company, Ann Arbor, MI, USA)를 이용하여, 티오바르비투르산과의 반응 후 분광광도분석적으로 MDA를 측정하였다.
카스파제 3 활성의 결정. 신장 균질액에서의 카스파제 3 활성을 시판되는 형광측정 검정 키트(Sigma Aldrich, St. Louis, MO, USA)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신장 균질액을 용해 완충액(5 mM CHAPS 및 5 mM DTT를 갖는 50 mM HEPES, pH 7.4)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신장 균질액을 10분 동안 10,000 g에서 원심분리시키고, 생성된 상층액을 검정에 사용하였다. 카스파제 3 형광측정 검정은 형광 7-아미노-4-메틸쿠마린(AMC) 모이어티의 방출을 발생시키는 카스파제 3에 의한 펩티드 기질 아세틸-Asp-Glu-ValAsp-7-아미도-4-메틸쿠마린(Ac-DEVD-AMC)의 가수분해를 기초로 한다. 카스파제 3 활성은 AMC/분/㎕의 nmol로 표현된다.
실시간 PCR 분석. 신장에서 산화(gp91phox, NOX1, SOD1, SOD2, SOD3), 염증(TNF-α, IL-6, IL-1β), 아폽토시스(Bax, Bak, Bcl-2) 및 소포체 스트레스(GRP78, 카스파제 12)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간 분석을 수행하였다. 전체 RNA를 제조업체의 설명서에 따라 TRIzol LS 시약(Invitrogen Life Technologies, Carlsbad, CA, USA)을 이용하여 신장 균질액으로부터 분리시켰다. 분리된 RNA를 RNase-free DNase(Invitrogen, Carlsbad, CA, USA)로 처리하여, 유전체 DNA 오염의 흔적을 제거하였다. mRNA 샘플을 260 nm에서 분광광도법에 의해 정량하고, 1 ㎍의 전체 RNA를 iScript™ Select cDNA 합성 키트(Bio-Rad, Hercules, CA, USA)를 이용하여 cDNA로 역전사시켰다.
표적 유전자 발현을 MyiQ™ Single Color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을 이용하여 SYBR 그린과 함께 iScript One-Step RT-PCR Kit에 의해 정량하였다. 모든 웰 내의 각각의 증폭된 샘플을 iQ5 Optical System Software, Version 2.1(Bio-Rad Laboratories, Hercules, CA, USA)을 이용하여 해리 곡선 분석을 이용하여 균질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2분 동안 95℃에서의 변성 후, 40 주기를 10초 동안 95℃ 및 30초 동안 60℃에서 수행하였다. 각각의 샘플을 3중으로 수행하였고, 대조군에 비한 표적 유전자의 발현에서의 증가 배수(2-ΔΔCt)를 정량하기 위해 비교 역치 주기(Ct) 방법을 이용하였다. 표적 유전자의 상대 발현 분석에서, Ct 값을 하우스키핑 유전자(pgk1)에 대해 표준화시켰다. 각각의 실험 그룹에서 적어도 5-7개의 실험 샘플에 대해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라이머는 여러 이전의 보고를 기초로 하여 설계되었다. 10% 완충 포르말린을 이용한 신장의 고정 후, 신장 조직을 절편화시키고, 조직학적 검사를 위해 과요오드산-쉬프(PAS) 시약으로 염색하였다. 단백질성 캐스트를 함유하는 세관의 수를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 NIS Elements AR 버전 3.0(Nikon instruments inc., Melville, NY, USA)을 이용하여 세관 손상을 평가하기 위해 ×200의 배율에서 결정하였다. 캐스트에 대해 양성인 영역 백분율을 각각의 신장 샘플에 대해 평균 8개의 피질 및 5개의 수질 영역(×200)으로부터 계산하였다. 관찰자 선입관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캐스트 영역 계산을 조직이 유래되는 처리 그룹의 지식이 없이 맹검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EET 유사체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의 시스플라틴의 시험관내 항-종양 활성. 본 연구에서, HEK293, U87MG, Hela 세포주를 ATCC(Manassas, VA, USA)(HEK293, U87MG, Hela)로부터 수득하고, NCCIT를 Department of Pediatrics, UT Southwestern Medical Center(Dallas, TX, USA)로부터 수거하였다. 모든 세포주를 Life Technologies(Grand Island, NY, USA)로부터 구입한 10% 소 태아 혈청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갖는 DMEM 또는 RPIM에서 유지시켰다. 시스플라틴을 Sigma(St. Louis, MO, USA) 또는 CalBiochem/EMD Biosciences(Billerica, MA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세포를 세포 유형에 따라 웰 당 500 내지 4,000개의 세포로 96-웰 플레이트에 시딩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를 72시간 동안 다양한 농도의 시스플라틴 또는 비히클 및/또는 EET 유사체 EET-A로 처리하였다. 세포 생활력을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레사주린(resazurin)(Sigma Aldrich)을 이용하여 알라마르 블루(alamar blue) 검정에 의해 측정하였다. 생활력 결과를 BMG Labtech(Cary, NC, USA)로부터 96-웰 플레이트 판독기에서 형광/흡광도에 의해 측정하였고, IC50을 GraphPad Prism5 소프트웨어(GraphPad Software Inc, La Jolla, CA, USA)에 의해 계산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는 평균 ± S.E.M.으로 보고된다. 2개의 측정 사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GraphPad Prism® Version 4.0 소프트웨어(GraphPad Software Inc, La Jolla, CA, USA)를 이용하여 양측성 이표본 스튜던츠 t 검정(two-tailed unpaired Student's t test)(그룹들 중, 이는 1원 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후 터키 사후 검정(Tukey's post-hoc test)에 의해 결정되었음)에 의해 결정하였다. P<0.05의 확률 값을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고, 여기서 P의 중요한 값은 양측(two-sided)이었다.
결과. EET 유사체 처리는 시스플라틴 투여된 래트에서 신장 기능이상 및 손상을 약화시킨다. 시스플라틴(CP)-유발 신장 기능이상에서 EET 유사체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요소(혈액 요소 질소 또는 BUN) 및 크레아티닌의 수준을 CP 투여 5일 후에 EET 유사체-처리 및 EET 유사체-미처리 래트 둘 모두의 혈청에서 측정하였다. 도 8에 제시된 바와 같이, CP 투여는 혈청 크레아티닌 및 BUN 수준(도 7a 및 7b) 각각에서 3배 및 9배 증가를 야기시켰다(P<0.05). EET 유사체(EET-A 및 EET-B)를 이용한 처리는 비히클(DMSO)이 제공된 래트에 비해 CP가 투여된 래트에서 혈청 크레아티닌 및 BUN의 상승된 수준에서 30-50% 감소를 발생시켰다(P<0.05). CP-유발 신장 기능이상에서 EET 유사체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CP 투여 5일 후의 KIM-1, NAG 및 단백질의 소변 배출을 추가로 연구하였다(도 7c 및 7d). 비히클-투여된 대조군에 비해 CP-투여 래트에서 NAG 및 KIM-1의 소변 배출에서 5 및 10배 증가가 있었다(P<0.05). 더욱이, 본 발명자는 시스플라틴-투여가 비히클 투여에 비해 현저한 단백뇨를 야기시킨 것을 또한 입증하였다(비히클 대 시스플라틴, 25.7±1 대 53±5.1 mg/d, P<0.05). EET 유사체인 EET-A 및 EET-B 둘 모두는 비히클로 처리된 CP-투여 래트에 비해 NAG 및 KIM-1의 소변 배출에서 30-50% 감소를 발생시켰다(P<0.05)(도 7c-d).
본 발명자는 또한 둘 모두의 EET 유사체에 의해 시스플라틴-유발 단백뇨의 적어도 40% 감소를 관찰하였다(비히클 대 EET-A 및 EET-B; 53±5 대 33±8 및 32±3 mg/d, P<0.05). 본 연구에서, CP-유발 신장 기능이상을 신장의 조직학적 시험을 이용하여 추가로 평가하였다. CP의 투여는 비히클-투여된 래트에 비해 신장의 피질 및 수질 영역 둘 모두에서 심각한 관내 단백질성 캐스트 형성과 함께 신장 표피 세포의 공포형성 및 상피탈락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은 세관 손상을 발생시켰다. 둘 모두의 EET 유사체는 CP-투여 래트에서 신장을 보호하였고, 비히클로 처리된 CP-투여 래트에 비해 피질 및 수질 내의 세관 캐스트 영역에서 ≥ 50% 감소가 있었다(P<0.05)(도 8a-b).
EET 유사체 처리는 시스플라틴-유발 신장 산화 스트레스, 염증 반응 및 소포체 스트레스를 약화시켰다. NADPH 산화효소 서브유닛 NOX1 및 gp91phox의 mRNA 발현의 실시간 PCR 분석(도 9)은 시스플라틴(CP) 투여 래트에서 상기 산화 마커 유전자의 증가된 발현을 나타내었다(P<0.05). NOX1의 신장 발현에서 시스플라틴-유발 증가에서 2-3배 약화가 존재하였고, gp91phox mRNA는 EET 유사체 A 및 B에 의해 감소되었다(P<0.05)(도 9a-b). CP-투여는 또한 산화 스트레스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 멜론디알데하이드(MDA)의 신장 함량에서의 현저한 상승을 발생시켰다. EET 유사체를 이용한 처리는 CP-투여 래트의 신장에서 MDA 수준의 50% 감소를 야기시켰다(P<0.05)(도 9c). CP의 투여가 초과산화물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SOD) 1 및 SOD3의 mRNA 발현에서 2-5배 감소를 발생시켰으나(P<0.05), SOD2의 발현은 변화시키지 않은 것이 추가로 관찰되었다. EET 유사체를 이용한 처리는 CP-투여 래트에서 SOD1의 발현에서 2-3배 증가를 야기(P<0.05)시킨 반면, SOD3의 발현은 실험 그룹 전역에서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었다(도 9d-f).
신장 기능이상과 관련된 CP-유발 염증에 대한 EET 유사체의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종양 괴사 인자-α(TNF-α), 인터루킨-6(IL-6) 및 인터루킨-1β를 코딩하는 mRNA의 신장 발현을 연구하였다. 이들 변수는 비히클이 투여된 래트에 비해 비히클 처리된 CP-투여 래트에서 발현에 있어서 2-50배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도 10a-c). 둘 모두의 EET 유사체(EET-A 및 B)를 이용한 처리는 CP-투여 래트에서 모든 염증성 마커의 신장 mRNA 발현에서 40-60% 감소를 발생시켰다(모두 P<0.05).
본 발명자는 또한 비히클-투여된 래트에 비해 비히클 처리된 CP-투여 래트에서 ER 스트레스 마커 GRP78/BiP 및 카스파제 12의 mRNA 발현에서 4배 증가를 관찰하였다(P<0.05)(도 11a-b). CP-투여 래트에서, 둘 모두의 EET 유사체(EET-A 및 B)를 이용한 처리는 비히클 처리에 비해 GRP78 및 카스파제 12 mRNA의 상승된 신장 발현에서 2-4배 감소를 야기시켰다(P<0.05)(도 11a-b).
EET 유사체 처리는 시스플라틴-유발 신장 아폽토시스를 약화시켰다. 비히클이 투여된 래트에 비해 비히클 처리된 CP-투여 래트에서 Bcl-2 mRNA의 신장 발현에서 70% 감소가 존재하였다(P<0.05)(도 12a). EET 유사체 처리는 비히클 처리된 CP-투여 래트에 비해 CP-투여 래트에서 항-아폽토시스 Bcl-2의 발현에서 2-10배 증가를 야기시켰다(P<0.05)(도 12a). 더욱이, CP 투여는 Bax/Bcl-2 및 Bak/Bcl-2 비에서 4-20배 상승을 발생시켰고, 이에 따라, CP-투여 래트에서 상승된 아폽토시스 신호전달을 나타내었다(도 12b-c)(P<0.05). EET 유사체 처리는 비히클로 처리된 CP-투여 래트에 비해 Bax/Bcl-2 및 Bak/Bcl-2 비에서 2-3배 감소를 야기시켰다(P<0.05)(도 12c-d). CP-유발 상승된 아폽토시스 신호전달은 비히클 투여된 래트에 비해 CP-투여 래트에서 더 높은 카스파제 3 활성(도 12d)을 추가 특징으로 하였다(P<0.05). EET 유사체를 이용한 처리는 비히클로 처리된 CP-투여 래트에 비해 상기 CP-유발 카스파제 3 활성을 50%까지 약화시켰다(P<0.05)(도 12d). 이들 결과는 EET 유사체 처리의 존재하에서의 CP-유발 아폽토시스 신호전달의 약화를 명백히 나타내었다.
EET 유사체 처리는 시스플라틴의 화학요법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자는 3개의 상이한 암세포주 Hela, NCCIT 및 U87에서 시스플라틴이 1.1-9.24 μM의 범위의 IC50으로 세포 성장을 현저히 억제하는 것을 입증한다(도 13a). 상기 세포주를 이용한 유사한 접근법에서, EET-A는 세포 수에 대해 관찰가능한 효과를 갖지 않았다(도 13b). 더욱이, EET-A 및 시스플라틴의 동시 적용은 정상 신장 세포(데이터는 제시되지 않음) 및 NCCIT 암세포주(도 13c) 어느 것에 대해서도 시스플라틴의 화학요법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시스플라틴 및 EET-A가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 시스플라틴에 대한 IC50은 NCCIT 세포에서 0, 1, 및 10 ng/ml EET를 이용하여 2.60, 2.55, 및 2.44 μM인 것이 입증되었다.
논의. 시스플라틴 화학요법의 중요 제한은 급성 신장 손상을 초래하는 튜불로인테스티날(tubulointestinal) 염증, 신장 산화 스트레스, ER 스트레스 및 세관 세포 아폽토시스의 유도이다. 시스플라틴으로 처리된 40%의 암 환자가 급성 신장 손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불행히도, 시스플라틴과 같은 널리 사용되는 화학요법의 상기 쇠약 합병증을 약화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약물요법은 이용가능하지 않다. 상기 분야에 기여하기 위한 시도로, 본 연구에서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에 대한 에폭시에이코사트리엔산(EET) 유사체의 만성 치료의 신장 보호 효과를 연구하였다.
EET 유사체가 이의 항-염증, 항-아폽토시스 및 항-산화 활성을 수반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기관을 보호하는 능력을 갖는다는 확실한 증거가 존재한다. 이러한 배경과 함께, 본 연구에서, 본 발명자는 강한 기관 보호 능력과 함께, EET가 시스플라틴 신독성으로부터 신장을 보호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발명자의 시도에서, 본 발명자는 2개의 새로운 EET 유사체를 합성하였고, 래트로의 음용수 중 EET 유사체의 만성 투여를 이용한 임상적으로 관련된 접근법을 이용하여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에서의 상기 2개의 새로운 EET 유사체의 신장 보호 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발명자는 시스플라틴의 단일 투여가 현저한 단백뇨 및 세관 캐스트 형성과 함께 NAG 및 KIM-1과 같은 신장 세관 손상 마커의 증가된 PCr, BUN, 소변 배출로부터 명백한 현저한 신장 손상을 야기시킨 것을 입증한다. 본 발명자의 결과는 전임상 동물 모델에서 여러 이전 연구에서 보고된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을 뒷받침한다. 흥미롭게도, 본 발명자는 또한 음용수 중 EET 유사체를 이용한 만성 처리가 본 연구에서 연구된 모든 신장 손상 마커에서의 감소와 함께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 손상으로부터 신장을 현저히 보호한 것을 입증한다. 본 연구에서 본 발명자의 접근법과 관련하여, 최근의 연구는 sEH 억제제의 급성 투여가 마우스에서 시스플라틴-유발 신장 기능이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본 sEH 억제제는, 이들이 대사 및 막으로의 통합을 겪음에 따라36 효과에 있어서 제한된 것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는 임상 중개 관련에서의 상기 발견의 제한을 나타낸다. 더욱이, 문헌[Parrish et al.]35에 의해 수행된 연구는 EET 또는 sEH 억제제가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에서 신장 기능이상을 감소시키는 가능한 메커니즘에 대한 증거를 제공하지 않았다.
이제, 본 발명자는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에서 NADPH 산화효소의 주요 구성요소(NOX1gp91phox)에 대한 mRNA의 현저한 과다-발현을 입증한다. 상기 산화 마커 유전자의 과다-발현은 시스플라틴-투여 래트에서의 상승된 신장 지질 과산화로부터 명백한 증가된 ROS 생성을 추가로 수반하였다. 본 발명자는 또한 감소된 신장 SOD1SOD3 발현을 입증하며, 이는 상기 감소가 시스플라틴 투여 래트에서 산화 스트레스에 기여하는 것을 암시한다. 시스플라틴-유발 신장병증에 증가된 MDA 수준 NADPH 산화효소의 및 상승된 발현 및 활성이 수반된다는 이전 연구에서 유사한 관찰이 보고되어 있다. 흥미롭게도, 본 발명자의 연구는 또한 EET 유사체가 신장 지질 과산화의 감소, 주요 NADPH 산화효소 서브유닛의 발현에서의 현저한 감소, 및 또한 SOD1의 증가된 발현에 의해 신장 산화 스트레스를 현저히 감소시킨 것을 입증한다. 또한, 최근의 연구에서, EET가 독성 손상 동안 SOD의 발현 및 활성을 상향조절하고, 이에 따라 ROS 제거를 향상시키고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자의 발견과 유사하게, 신장 손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또 다른 병리 모델에서, 산화 스트레스 및 신장 손상에서 EET 매개 감소가 보고되었다. 산화 스트레스와 별개로, 본 발명자는 또한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이 상승된 신장 염증 반응을 추가로 수반하는 것을 입증하며, 이는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의 발병기전에서 염증성 메커니즘에 대한 중요한 역할에 대한 이전의 증거를 뒷받침한다. 또한, 시스플라틴은 TNF-α 및 IL-1β와 같은 다양한 염증성 케모카인 및 사이토카인의 증가된 신장 발현을 유도한다.
본 발명자는 EET 유사체 처리가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에서 상기 염증성 마커의 신장 발현을 감소시킨 것을 추가로 입증한다. 본 발명자의 데이터는 기관 손상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병리에서 EET 매개 기관 보호와 관련된 EET의 항염증 활성의 이전의 보고를 뒷받침한다. 예를 들어, sEH 억제에 의한 EET의 증가된 생체이용률은 스트렙토조토신-유발 당뇨병에서 신장 보호를 제공한다. 더욱이, EET 생성 효소 CYP2J2의 과다-발현은 5/6 신장절제술의 만성 신부전에서 신장을 현저히 보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의 데이터는 산화 스트레스에서의 현저한 감소와 함께, 시스플라틴-유발 신장 염증 반응의 약화가, EET 유사체가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으로부터 신장을 보호하는 또 다른 메커니즘인 것을 명백히 나타낸다.
본 발명자는 시스플라틴-유발 소포체(ER) 스트레스에 대한 EET 유사체의 효과를 추가로 연구하였다. ER이 독소의 세포하 표적 중 하나이고, 생체이물-유발 신독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증거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 본 발명자는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에서 ER 스트레스의 관여를 연구하기 위해 카스파제 12 및 GRP78(글루코스-조절 단백질 78) mRNA의 신장 발현을 시험하였다. GRP78은 ER 스트레스의 특징 중 하나로 간주되는 한편, 카스파제 12는 ER 스트레스에 의해 활성화되고, ER 스트레스-유발 아폽토시스에 특이적으로 관여하는 ER-특이적 카스파제이다. 본 발명자는 EET 유사체 처리에 의해 약화되는 상기 ER 스트레스 마커의 신장 발현에서의 현저한 상향조절을 관찰하였다. 본 발명자의 연구는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이 ER 스트레스와 관련된다는 이전의 관찰을 뒷받침한다. 가장 중요하게는, 본 발명의 연구는 또한 EET의 생물학적 작용에 관한 흥미롭고 새로운 발견을 제공하였으며,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 치료에서 상기 지질 매개체의 치료 잠재성에 대한 중요한 양태를 입증한다.
시스플라틴 및 다른 약물-관련 신독성은 상승된 산화 스트레스, 염증 및 ER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아폽토시스10와 관련된다.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 동안, 산화 스트레스, 염증 및 ER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 스트레스가 신장에서 항-아폽토시스 Bcl2의 감소 및 Bcl-2 관련 X 단백질(Bax) 및 Bcl-2 길항제/킬러 단백질(Bak)과 같은 전-아폽토시스(pro-apoptotic) Bcl2 패밀리 단백질의 활성화를 초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향상된 전-아폽토시스 신호전달은 카스파제 3의 활성화 후, 신장 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초래한다. 본원에서, 본 발명자는 EET 유사체 처리가 카스파제 3 활성에서의 현저한 감소와 함께 항-아폽토시스 Bcl2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전-아폽토시스 Bak/Bcl2 및 Bax/Bcl2 비를 감소시킴으로써 시스플라틴-유발 세포 사멸로부터 신장을 보호하는 것을 입증한다.
본 발명자는 또한 ER 스트레스 매개 아폽토시스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카스파제 12의 신장 발현에서의 EET 유사체 매개 약화를 입증한다. 또한, EET가 상승된 Bcl2 단백질 매개 전-아폽토시스 신호전달 및 카스파제 3 활성을 포함하는 여러 주요 아폽토시스 사건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이전에 보고되어 있다. 상기 관찰은 Bcl2 단백질, ER 스트레스 특이적 카스파제 12 및 아폽토시스 실행자 카스파제, 카스파제 3에 대한 EET 유사체의 효과를 통해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에서 신장 세포 사멸을 감소시키는 상기 EET 유사체의 능력에 대한 본 발명자의 견해를 뒷받침한다.
본 발명자는 EET 유사체 처리가 다수의 메커니즘을 통해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으로부터 보호를 제공하고, 가능한 치료 가능성을 강하게 나타내는 것을 명백히 입증하였다. 그러나, 새로운 세포보호 작용제의 임상적 사용 전, 독성으로부터의 보호 뿐만 아니라 상기 작용제와 사용되는 세포독성제의 항암 활성의 간섭의 부재가 입증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문에, 시험관내 접근법에서, 본 발명자는 다양한 농도의 EET 유사체(EET-A)에 대한 정상 신장 세포(HEK293) 또는 여러 인간 암세포주(Hela, NCCIT, U87)의 시험관내 노출이 세포 성장 또는 시스플라틴의 세포독성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2개의 EET 유사체의 동등한 신장 보호 효과를 고려하여, 본 발명자는 이러한 특정 실험을 위해 1개의 EET 유사체를 선택하였다. 본 발명자는 EET 유사체(EET-A)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시스플라틴이 이의 화학요법 효과를 발휘하는데 있어서 동등하게 효능이 있는 것을 입증하였다. 더욱이, 본 발명자는 또한 EET-A가 본 연구에 사용된 암세포주 중 임의의 암세포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연구하였고, EET-A가 상기 암세포주 중 임의의 암세포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명백히 입증하였다.
결론으로서, 본 발명자는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을 포함하는 약물-유발 신독성에서 상기 확인된 EET 유사체의 신장 보호 효과에 관한 확실한 증거를 제공하였다. 본 발명자는 상기 EET 유사체가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의 병태생리학과 결정적으로 관련된 다수의 신호전달 경로의 억제에 의해 신장 보호를 제공한 것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신규한 EET 유사체의 항-산화, 항-염증, 항-ER 스트레스 및 항-아폽토시스 활성에 의한 상기 신규한 EET 유사체의 여러 중요한 생물학적 작용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시스플라틴의 화학요법 잠재성을 손상시킴이 없이 시스플라틴-유발 신독성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상기 신규한 EET 유사체의 치료적 가망성에 대한 본 발명자의 견해를 강화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개설된 다양한 예시적 구체예와 함께 기재되었으나, 공지되어 있거나 현재 예기치 않거나 현재 예기치 않을 수 있는지 간에 다양한 대안, 변형, 변화, 개선 및/또는 실질적 등가물이 당 분야의 적어도 통상적인 기술을 갖는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나열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구체예는 예시적인 것이고, 이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예시적 구체예의 모든 공지되어 있거나 이후에 개발된 대안, 변형, 변화, 개선, 및/또는 실질적 등가물을 포함한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기술 간행물, 특허 및 공개된 특허 출원은 모든 목적상 전체내용이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참고문헌
Figure pct00140
Figure pct00141

Claims (16)

  1. 하기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Figure pct00142
  2. 제 1항에 있어서, 구조가
    Figure pct00143
    인 화합물.
  3. 제 1항에 있어서, 구조가
    Figure pct00144
    인 화합물.
  4. 하기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Figure pct00145
  5. 제 1항 또는 제 4항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6. 치료적 유효량의 제 1항 또는 제 4항에 따른 화합물을 피검체에게 투여하여 상기 피검체에서 고혈압(hypertension)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피검체에서 고혈압을 감소시키는 방법.
  7. 피검체에서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제 1항 또는 제 4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8. 피검체에서 고혈압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 1항 또는 제 4항에 따른 화합물.
  9. 치료적 유효량의 제 1항 또는 제 4항에 따른 화합물을 피검체에게 투여하여 상기 피검체에서 신독성(nephrotoxicity)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피검체에서 신독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신독성이 약물-유발된 것인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신독성이 시스플라틴-유발된 것인 방법.
  12. 피검체에서 약물-유발된 신독성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제 1항 또는 제 4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13. 피검체에서 약물-유발된 신독성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 1항 또는 제 4항에 따른 화합물.
  14. 치료적 유효량의 제 1항 또는 제 4항에 따른 화합물을 피검체에게 투여하여 상기 피검체에서 시스플라틴 신독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피검체에서 시스플라틴 신독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15. 피검체에서 시스플라틴 신독성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의 제 1항 또는 제 4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16. 피검체에서 시스플라틴 신독성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 1항 또는 제 4항에 따른 화합물.
KR1020137029507A 2011-04-06 2012-04-04 에폭시에이코사트리엔산 유사체 및 이를 제조하고 이용하는 방법 KR201400370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72410P 2011-04-06 2011-04-06
US61/472,410 2011-04-06
US201261608361P 2012-03-08 2012-03-08
US61/608,361 2012-03-08
PCT/US2012/032090 WO2012138706A1 (en) 2011-04-06 2012-04-04 Epoxyeicosatrienoic acid analog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7075A true KR20140037075A (ko) 2014-03-26

Family

ID=46172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9507A KR20140037075A (ko) 2011-04-06 2012-04-04 에폭시에이코사트리엔산 유사체 및 이를 제조하고 이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2) US9127027B2 (ko)
EP (1) EP2694470B1 (ko)
JP (1) JP5991766B2 (ko)
KR (1) KR20140037075A (ko)
CN (1) CN103764621B (ko)
AU (1) AU2012240256C1 (ko)
BR (1) BR112013025740A2 (ko)
CA (1) CA2832422C (ko)
CL (1) CL2013002861A1 (ko)
CO (1) CO6842021A2 (ko)
CR (1) CR20130569A (ko)
EA (1) EA023104B1 (ko)
EC (1) ECSP13013012A (ko)
ES (1) ES2593905T3 (ko)
GE (1) GEP20166444B (ko)
HK (1) HK1197230A1 (ko)
IL (1) IL228708A (ko)
MA (1) MA35100B1 (ko)
MX (1) MX337597B (ko)
NI (1) NI201300102A (ko)
PE (1) PE20141155A1 (ko)
RU (1) RU2013149168A (ko)
SG (1) SG194075A1 (ko)
UA (1) UA111357C2 (ko)
WO (1) WO20121387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64621B (zh) * 2011-04-06 2015-05-27 威斯康星州医药大学股份有限公司(美国) 环氧化二十碳三烯酸类似物、其制备方法及其应用
US20150322001A1 (en) * 2012-11-21 2015-11-12 The University Of Sydney Omega-3 analogues
RU2730512C2 (ru) * 2014-01-22 2020-08-24 Макс-Делбрюк-Центрум Фюр Молекуляре Медицин 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CYP-эйкозаноидов
AU2016296923B2 (en) 2015-07-22 2019-02-21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Metabolically robust analogs of CYP-eicosanoids for the treatment of cardiac disease
WO2017156164A1 (en) 2016-03-09 2017-09-14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20-hete receptor (gpr75) antagonists and methods of use
CN109562083A (zh) * 2016-04-01 2019-04-02 奥迈科斯治疗公司 用于治疗或预防与新血管形成和/或炎症相关疾病的cyp-类二十烷酸类似物
KR102433731B1 (ko) * 2016-04-01 2022-08-22 오메이코스 테라퓨틱스 게엠베하 혈관신생 및/또는 염증과 연관된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서 사용하기 위한 cyp-에이코사노이드의 유사체
KR102012554B1 (ko) 2016-07-13 2019-08-23 주식회사 노브메타파마 사이클로 히스티딘-프롤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 보호용 조성물
US11358968B2 (en) 2017-09-15 2022-06-14 The Medical College Of Wisconsin, Inc. Substituted epoxyeicosatrienoic acid (EET) analogs for treatment of kidney disease
US20220401428A1 (en) * 2019-10-01 2022-12-22 University Of Kentucky Research Foundation Method for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CN111548366B (zh) * 2020-05-27 2023-05-02 广东德美精细化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无甲醛棉用阻燃剂、制备方法及应用
JP7166475B1 (ja) 2022-02-14 2022-11-07 悠 澤村 腎毒性軽減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6108A (en) 1977-04-07 1981-03-17 Alza Corporation Microporous-semipermeable laminated osmotic system
US4160452A (en) 1977-04-07 1979-07-10 Alza Corporation Osmotic system having laminated wall comprising semipermeable lamina and microporous lamina
US4265874A (en) 1980-04-25 1981-05-05 Alza Corporation Method of delivering drug with aid of effervescent activity generated in environment of use
US4777049A (en) 1983-12-01 1988-10-11 Alza Corporation Constant release system with pulsed release
US4663308A (en) 1984-07-18 1987-05-05 Medical College Of Ohio Method of use of polymers containing cross-linked azo bonds for releasing therapeutic agents into the lower gastrointestinal tract
US7550617B2 (en) 2006-10-02 2009-06-23 Medical College Of Georgia Research Institut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renal and cardiovascular disease
US7732470B2 (en) * 2006-10-02 2010-06-08 Medical College Of Georgia Research Institut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renal and cardiovascular disease
EP2208720A1 (en) * 2009-01-13 2010-07-21 Max-Delbrück-Centrum für Molekulare Medizin (MDC) Novel eicosanoid derivatives
CN103764621B (zh) * 2011-04-06 2015-05-27 威斯康星州医药大学股份有限公司(美国) 环氧化二十碳三烯酸类似物、其制备方法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94470B1 (en) 2016-06-01
IL228708A (en) 2016-10-31
CA2832422A1 (en) 2012-10-11
JP5991766B2 (ja) 2016-09-14
CN103764621A (zh) 2014-04-30
AU2012240256B2 (en) 2016-12-08
MA35100B1 (fr) 2014-05-02
HK1197230A1 (en) 2015-01-09
MX337597B (es) 2016-03-11
AU2012240256A1 (en) 2013-11-21
EA201391481A1 (ru) 2014-04-30
BR112013025740A2 (pt) 2016-12-13
PE20141155A1 (es) 2014-09-21
EA023104B1 (ru) 2016-04-29
EP2694470A1 (en) 2014-02-12
UA111357C2 (uk) 2016-04-25
US9127027B2 (en) 2015-09-08
CN103764621B (zh) 2015-05-27
CR20130569A (es) 2014-04-22
ES2593905T3 (es) 2016-12-14
US20150336916A1 (en) 2015-11-26
SG194075A1 (en) 2013-11-29
GEP20166444B (en) 2016-03-10
NI201300102A (es) 2014-05-29
CL2013002861A1 (es) 2014-06-13
AU2012240256C1 (en) 2017-03-09
RU2013149168A (ru) 2015-05-20
MX2013011627A (es) 2014-03-27
US9422318B2 (en) 2016-08-23
WO2012138706A1 (en) 2012-10-11
JP2014517816A (ja) 2014-07-24
IL228708A0 (en) 2013-12-31
CO6842021A2 (es) 2014-01-20
US20140113884A1 (en) 2014-04-24
NZ617402A (en) 2015-10-30
ECSP13013012A (es) 2014-12-30
CA2832422C (en)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1766B2 (ja) ポキシエイコサトリエン酸類似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482846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prevent toxicity induced by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RU2126794C1 (ru) Аминопроизводные оксо- или гидроксизамещенных гидразинов,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ингибирования ретровирусной протеазы
US20120004309A1 (en) Hydroxamic Acid Derivatives, Preparation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AU2014324634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mucositis
JP5421098B2 (ja) トリメブチン及びn−脱メチル化トリメブチンの塩類
WO2002060880A1 (fr) Derives d&#39;acyclonucleosides pyrimidiniqu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NZ617402B2 (en) Epoxyeicosatrienoic acid analog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2259785B1 (en) Fullerene therapies for inflammation
US20150322001A1 (en) Omega-3 analogues
US8420626B2 (en) Arene connected polyamine macrocyclic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s and pharmaceutical uses thereof
OA19539A (en) Epoxyeicosatrienoic acid analog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7615653B2 (en) Anti-tuberculosis taxane compounds
JP2023142282A (ja) 繊維化が生じる疾患の治療用医薬用組成物
AU737584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prevent toxicity induced by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CA2895648A1 (en) Enzyme inhibitors
WO2014091467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autoimmune diseases and inflammation
FR2820135A1 (fr) Derives d&#39;acyclonucleosides pyrimidiniqu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