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5916A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5916A
KR20140025916A KR1020120092499A KR20120092499A KR20140025916A KR 20140025916 A KR20140025916 A KR 20140025916A KR 1020120092499 A KR1020120092499 A KR 1020120092499A KR 20120092499 A KR20120092499 A KR 20120092499A KR 20140025916 A KR20140025916 A KR 20140025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heet
reinforcement
sea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7080B1 (ko
Inventor
김명선
우성택
윤준호
조수봉
최문철
정동환
오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2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080B1/ko
Priority to US13/899,804 priority patent/US9380716B2/en
Publication of KR20140025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6Producing casings, e.g. accumulator c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중공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중공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보다 강성이 높은 이종 소재로 형성되는 시트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 사이에 충전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를 일체로 결합시키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 사이의 강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FABRICATING CASE THEREOF}
본 발명은 케이스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케이스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및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를 구비한다. 케이스는 이동 단말기를 주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단순한 기능을 넘어 심미적인 기능을 갖는다. 이와 더불어, 이동 단말기의 슬림화 및 경량화 추세에 맞춰 보다 슬림하면서도 강성이 확보된 케이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와 다른 구조, 제조 방법 및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슬림하면서도 강성이 확보된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중공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중공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보다 강성이 높은 이종 소재로 형성되는 시트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 사이에 충전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를 일체로 결합시키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 사이의 강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보강부 사이 및 상기 시트부와 상기 보강부 사이의 경계면은 상기 보강부가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시트부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상기 보강부가 용융 후 응고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는 상기 시트부를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시트부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 또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는 충전에 따른 상변화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 간의 체적 수축량의 차이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시트부보다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함유량이 적은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 사이에 배치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시트부의 배면을 덮어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 상기 충전부 및 상기 시트부는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베이스부, 상기 시트부 및 상기 보강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도장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장층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보강부 사이 및 상기 시트부와 상기 보강부 사이의 갭을 은폐하도록 상기 갭에 충전되는 복수의 입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입자들은 상기 갭의 공극률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메인 바디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덮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시트부는 상기 베이스부보다 얇은 두께로 상기 배터리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시트부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가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메인 바디에 구비되는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무선통신과 관련된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안테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금형을 이용하여 중공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2금형에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중공부 내에 시트부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 사이에 상기 베이스부보다 강성이 높은 물질로 형성되는 보강부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금형에서 상기 시트부가 배치되는 부분에는 진공장치와 연결되는 흡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부는 상기 진공장치에 의해 흡착되어 상기 중공부 내의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 사이에 상기 시트부를 감싸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어 루프 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게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게이트를 통하여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함유한 합성수지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시트부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 또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는 충전에 따른 상변화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 간의 체적 수축량의 차이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시트부보다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함유량이 적은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부, 상기 시트부 및 상기 보강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도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장층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보강부 사이 및 상기 시트부와 상기 보강부 사이의 갭을 은폐하도록 상기 갭에 충전되는 복수의 입자들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부는 베이스부와 시트부 사이에 충전되어 베이스부와 시트부를 일체로 결합시키고, 베이스부와 시트부 사이의 강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어 충전에 따른 상변화시 베이스부와 시트부 간의 체적 수축량의 차이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므로, 보다 슬림하면서도 강성이 확보된 케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시트부는 베이스부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므로, 그 얇아진 두께만큼 보다 큰 용량을 갖는 배터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시트부의 배면에 안테나부를 형성하여 기존의 메인 바디에서 담당했던 무선통신 기능이 배터리 커버로 확장되면서도 슬림화된 배터리 커버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전원공급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의 저면도.
도 5는 도 4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
도 7 및 8은 각각 본 발명과 관련된 케이스의 제조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및 공정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E-book),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안경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바디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191)를 덮는 배터리 커버(200)가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음향출력모듈(153a), 제1카메라(121a), 제1조작유닛(131) 등이 배치되며, 측면에는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제2조작유닛(13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감지수단은 이를 감지하고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되게 구성될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음향출력모듈(153a)과 제1카메라(121a)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조작유닛(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제2조작유닛(132, 도 2 참조),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은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제1카메라(121a)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터치, 푸쉬,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31)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을 기준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31)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조작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작유닛(131)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고, 제2조작유닛(132)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형성된다. 마이크(122)는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제2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카메라(121a, 121b)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시(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시(123)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제2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모듈(153b)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모듈(153b)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 도 1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구비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배터리 커버(200)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2의 전원공급부(19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2)에는 리세스된 형태의 배터리 수용부(192)가 형성된다. 배터리 수용부(192)는 배터리(191)가 수용될 수 있도록 배터리(191)의 외관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배터리 수용부(192)에는 배터리(191)와 접속되는 접속단자(193)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191)는 단말기 바디에 구비되는 회로기판(18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191), 배터리 수용부(192) 및 접속단자(193)는 전원공급부(190)를 이룰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배터리 커버(2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터리 커버(200)는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와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한다.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슬림화 및 경량화 추세에 맞춰 보다 슬림하면서도 강성이 확보된 케이스에 대하여, 배터리 커버(200)를 일 예로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200)의 저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배터리 커버(200)의 구조는 단말기 바디의 일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어, 프론트 케이스 및/또는 리어 케이스)라면 어디든지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커버(200)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외관을 이룬다. 배터리 커버(200)는 베이스부(210), 시트부(220) 및 보강부(23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10)는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21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를 원료로 하여 제1금형(310, 도 8 참조)을 통해 사출 성형되는 사출물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배터리 커버(200)는 높은 자유도를 가져 제품 외관 및 내측 형상의 복잡성과 관계없이 저가로 제조될 수 있다. 베이스부(210)는 강성 확보를 위하여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10wt% 내외)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210)의 단부는 곡면(도 5 참조)으로 형성되어 배터리 커버(200)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의 단부를 덮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210)에는 중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는 배터리 수용부(192)에 대응하는 크기[배터리 수용부(192)와 같은 크기 또는 약간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부(220)는 상기 중공부 내에 배치되며, 베이스부(210)보다 강성이 높은 이종 소재로 형성된다. 시트부(220)는 예를 들어,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또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부(220)는 베이스부(210)보다 얇은 두께(예를 들어, 0.25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191)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210)와 시트부(220) 사이에는 보강부(230)가 충전되어 베이스부(210)와 시트부(220)를 일체로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보강부(230)는 베이스부(210)와 시트부(220) 사이의 강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보강부(230)는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의 함유량은 베이스부(210)와 시트부(220)의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의 함유량 사이의 값(예를 들어, 45wt%)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충전부(231)는 베이스부(210)와 시트부(220)가 제2금형(320, 도 8 참조)에 인서트된 상태에서 베이스부(210)와 시트부(220) 사이에 충전된다. 따라서, 베이스부(210)와 보강부(230) 사이 및 시트부(220)와 보강부(230) 사이의 경계면은 보강부(230)가 용융 후 응고되어 베이스부(210) 및 시트부(220)와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보강부(230)는 충전에 따른 상변화시 베이스부(210)와 시트부(220) 간의 체적 수축량의 차이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시트부(220)보다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함유량이 적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230)는 시트부(220)를 완전히 감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보강부(230)가 일정한 폭으로 시트부(220)를 감싸는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시트부(220)의 배면에는 무선통신과 관련된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안테나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부(240)는 배터리 커버(200)가 메인 바디에 결합되었을 때 메인 바디에 구비되는 회로기판(180, 도 3 참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안테나부(24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부(240)는 방송수신, 이동통신, 근거리 통신, 무선인터넷, 위치정보 송수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담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안테나부(240)가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을 수행하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안테나 코일(241)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안테나 코일(241)은 시트부(220)의 가장자리를 따라 감기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금, 증착, 미세 와이어 접착 등에 의하여 패턴화될 수 있다. 안테나 코일(241)과 연결되는 단자(242)는 배터리 커버(200)가 메인 바디에 결합되었을 때 메인 바디의 상대 단자(182)와 접촉되어, 안테나부(240)와 회로기판(18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베이스부(210)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시트부(220)에 안테나부(240)가 형성되므로, 배터리 커버(200)의 슬림화를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무선통신 기능을 겸비한 배터리 커버(200)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240)가 메인 바디의 내부에 구비되었던 안테나 모듈의 기능을 담당하도록 구성될 경우, 메인 바디 내에서 상기 안테나 모듈이 차지했던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강부(230)는 충전부(231) 및 지지부(232)를 포함한다.
충전부(231)는 베이스부(210)와 시트부(220)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베이스부(210), 충전부(231), 시트부(220)는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232)는 충전부(231)로부터 돌출되어 시트부(220)의 배면을 덮어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232)는 시트부(220)가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충전부(231)로부터 리세스된 형상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시트부(230)는 베이스부(210)보다 높은 강성을 지녀 베이스부(210)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따라서, 그 얇아진 두께만큼 보다 큰 용량을 갖는 배터리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91)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부(232)에 의하여 감싸지는 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강부(230)는 베이스부(210) 및 시트부(220)와의 사이에서 갭을 형성한다. 상기 갭은 파팅 라인을 형성하여 외부로 그대로 노출될 경우 깔끔하지 못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갭을 은폐하고 배터리 커버(200)의 외부면을 표면처리하기 위하여, 도장층(250)이 베이스부(210), 시트부(220) 및 보강부(230)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장층(250)은 베이스부(210)와 보강부(230) 사이 및 시트부(220)와 보강부(230) 사이의 갭을 은폐하도록 상기 갭에 충전되는 복수의 입자들(25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입자들(251)은 갭에 채워져 갭의 폭 및 깊이를 감소시킨다. 그 결과, 갭이 은폐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파팅 라인이 보다 덜 드러나게 된다.
복수의 입자들(251)은 예를 들어, 나노 수준의 메탈 입자들이 될 수 있다. 복수의 입자들(251)은 모두 같은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상이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입자들(251)이 서로 다른 형상 또는 크기를 갖는 경우, 공극률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입자들(251)은 경사진 상기 갭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장층(250)은 배터리 커버(200)의 표면을 처리함과 아울러, 복수의 입자들(251)을 덮음으로써 베이스부(210), 충전부(231) 및 시트부(220)로 연결되는 표면이 매끄럽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도장층(250)은 베이스 레이어(252), 프라이머 레이어(253), 컬러 레이어(254) 및 탑 레이어(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레이어(252)는 베이스부(210), 충전부(231), 시트부(220) 및 복수의 입자들(251)을 덮도록 배치된다. 베이스 레이어(252)는 복수의 입자들(251)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을 채우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레이어(252)는 유기 폴리머 및 용매를 포함한다. 유기 폴리머는 베이스부(210), 충전부(231), 시트부(220) 및 복수의 입자들(251)과 결합되고, 용매에 의해 용해되어 갭에 고르게 분산된다.
베이스 레이어(252)에는 베이스 레이어(252)의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안료와, 베이스부(210), 충전부(231) 및 시트부(220)의 표면을 처리하기 위한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첨가제는 베이스 레이어(252) 및 컬러 레이어(254)의 색상이 구현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210), 충전부(231) 및 시트부(220)의 컬러를 차단하는 소광 기능, 변색을 방지하는 내황변 기능 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머 레이어(253)는 베이스 레이어(252)를 덮도록 배치된다. 프라이머 레이어(253)는 베이스부(210), 충전부(231) 및 시트부(220)의 표면을 부식이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이후의 도장층(250), 예를 들어, 컬러 레이어(254)와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컬러 레이어(254)는 프라이머 레이어(253)를 덮도록 배치되고, 도장층(250)의 색상을 구현하는 안료를 포함한다. 컬러 레이어(254)는 파팅 라인이 드러나지 않고, 베이스부(210), 충전부(231) 및 시트부(220)가 하나의 부재로 보일 수 있도록 특정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탑 레이어(255)는 도장층(250)을 보호하도록 컬러 레이어(254)를 덮도록 배치된다. 탑 레이어(255)는 예를 들어, 우레탄(UT) 코팅층, SF(Soft Feeling) 코팅층, 자외선(UV)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자외선 경화층 등이 될 수 있다.
도 7 및 8은 각각 본 발명과 관련된 케이스의 제조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 및 공정도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본 도면에서는 배터리 커버(200)]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제1금형(310)을 이용하여 중공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210)를 형성하고, 베이스부(210)보다 얇지만 강성이 높은 물질로 형성되는 시트부(220)를 마련한다. 시트부(220)는 에폭시 수지에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가 포함된 복합재료 즉,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 또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시트가 될 수 있다.
이후, 제2금형(320)에 베이스부(210)를 배치하고, 상기 중공부 내에 시트부(220)를 배치한다. 이때, 제2금형(320)에서 시트부(220)가 배치되는 부분에는 진공장치(330)와 연결되는 흡착부(340)가 형성되고, 시트부(220)는 진공장치(330)에 의해 흡착되어 중공부 내의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베이스부(210)는 제2금형(320)에 의해 구조적으로 특정 위치에 고정되거나, 시트부(220)와 같이 진공장치(330)에 의해 흡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베이스부(210)와 시트부(220) 사이에 베이스부(210)보다 강성이 높은 물질로 형성되는 보강부(230)를 충전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210)와 시트부(220) 사이에 복수의 게이트(231, 도 4 참조)를 배치한다. 앞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게이트(231)는 시트부(220)를 감싸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어 루프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후, 복수의 게이트(231)를 통하여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함유한 합성수지를 충전한다. 보강부(230)의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의 함유량은 시트부(220)의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의 함유량보다 적게 형성되어, 충전에 따른 보강부(230)의 상변화시 베이스부(210)와 시트부(220) 간의 체적 수축량의 차이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배터리 커버(200)가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후가공을 거치게 된다. 상기 후가공은 베이스부(210), 시트부(220) 및 보강부(230)를 덮도록 배치되는 도장층(25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장층(250)은 베이스부(210)와 보강부(230) 사이 및 시트부(220)와 보강부(230) 사이의 갭을 은폐하도록 상기 갭에 충전되는 복수의 입자들(2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부(230)는 베이스부(210)와 시트부(220) 사이에 충전되어 베이스부(210)와 시트부(220)를 일체로 결합시키고, 베이스부(210)와 시트부(220) 사이의 강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어 충전에 따른 상변화시 베이스부(210)와 시트부(220) 간의 체적 수축량의 차이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므로, 보다 슬림하면서도 강성이 확보된 케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시트부(220)는 베이스부(210)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므로, 그 얇아진 두께만큼 보다 큰 용량을 갖는 배터리(191)가 적용될 수 있으며, 시트부(220)의 배면에 안테나부(240)를 형성하여 기존의 메인 바디에서 담당했던 무선통신 기능이 배터리 커버(200)로 확장되면서도 슬림화된 배터리 커버(2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단말기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중공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상기 중공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보다 강성이 높은 이종 소재로 형성되는 시트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 사이에 충전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를 일체로 결합시키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 사이의 강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보강부 사이 및 상기 시트부와 상기 보강부 사이의 경계면은 상기 보강부가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시트부와 일체로 결합되도록 상기 보강부가 용융 후 응고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시트부를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 또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는 충전에 따른 상변화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 간의 체적 수축량의 차이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시트부보다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함유량이 적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 사이에 배치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시트부의 배면을 덮어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기 충전부 및 상기 시트부는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베이스부, 상기 시트부 및 상기 보강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도장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장층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보강부 사이 및 상기 시트부와 상기 보강부 사이의 갭을 은폐하도록 상기 갭에 충전되는 복수의 입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자들은 상기 갭의 공극률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메인 바디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덮도록 상기 메인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시트부는 상기 베이스부보다 얇은 두께로 상기 배터리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시트부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가 상기 메인 바디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메인 바디에 구비되는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무선통신과 관련된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이루어지는 안테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단말기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금형을 이용하여 중공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2금형에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중공부 내에 시트부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 사이에 상기 베이스부보다 강성이 높은 물질로 형성되는 보강부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형에서 상기 시트부가 배치되는 부분에는 진공장치와 연결되는 흡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시트부는 상기 진공장치에 의해 흡착되어 상기 중공부 내의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를 충전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 사이에 상기 시트부를 감싸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어 루프 형태를 이루는 복수의 게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게이트를 통하여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함유한 합성수지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 또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는 충전에 따른 상변화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시트부 간의 체적 수축량의 차이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시트부보다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함유량이 적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기 시트부 및 상기 보강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도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장층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보강부 사이 및 상기 시트부와 상기 보강부 사이의 갭을 은폐하도록 상기 갭에 충전되는 복수의 입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KR1020120092499A 2012-08-23 2012-08-23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KR101977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499A KR101977080B1 (ko) 2012-08-23 2012-08-23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US13/899,804 US9380716B2 (en) 2012-08-23 2013-05-22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fabricating ca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2499A KR101977080B1 (ko) 2012-08-23 2012-08-23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916A true KR20140025916A (ko) 2014-03-05
KR101977080B1 KR101977080B1 (ko) 2019-05-10

Family

ID=5014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499A KR101977080B1 (ko) 2012-08-23 2012-08-23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80716B2 (ko)
KR (1) KR1019770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524B1 (ko) * 2014-03-15 2014-08-21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백 패킹
KR101432526B1 (ko) * 2014-03-15 2014-08-21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백 패킹
KR101702310B1 (ko) * 2016-03-15 2017-02-06 신성델타테크 주식회사 글래스파이버를 이용한 단말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29389B1 (en) * 2014-09-25 2016-12-27 Amazon Technologies, Inc. Variable plated device enclosure
KR102376981B1 (ko) * 2015-04-22 2022-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US10019029B1 (en) * 2015-07-06 2018-07-10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layer injection molded device housings
WO2019047696A1 (zh) * 2017-09-08 2019-03-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铁氟龙组件和具有其的移动终端
CN107566573B (zh) * 2017-09-08 2020-05-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铁氟龙组件和具有其的移动终端
CN110034380B (zh) * 2019-04-30 2021-06-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5014A (ja) * 1991-12-17 1993-06-29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90086869A (ko) * 2008-02-11 2009-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00131828A (ko) * 2009-06-08 2010-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388B1 (ko) * 2011-06-07 2018-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2938986B (zh) * 2011-08-15 2015-05-2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壳体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5014A (ja) * 1991-12-17 1993-06-29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90086869A (ko) * 2008-02-11 2009-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00131828A (ko) * 2009-06-08 2010-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524B1 (ko) * 2014-03-15 2014-08-21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백 패킹
KR101432526B1 (ko) * 2014-03-15 2014-08-21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백 패킹
KR101702310B1 (ko) * 2016-03-15 2017-02-06 신성델타테크 주식회사 글래스파이버를 이용한 단말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80716B2 (en) 2016-06-28
US20140055962A1 (en) 2014-02-27
KR101977080B1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08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CN104902035B (zh) 移动终端及其制造方法
CN102256455B (zh) 移动终端
US8880129B2 (en) Mobile terminal
US8885333B2 (en) Mobile terminal
KR102468709B1 (ko) 키 모듈과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키 모듈 조립 방법
EP2615689A2 (en) Mobile terminal
KR102206242B1 (ko) 이동 단말기
US9258393B2 (en) Mobile terminal
CN103581375A (zh) 移动终端
CN106210183A (zh) 移动终端
US20140323185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ase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CN106341500A (zh) 移动终端
US9137906B2 (en) Mobile terminal
US929182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image module provided thereon
EP3343884A1 (en) Mobile terminal
US8567975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case thereof
CN106506732B (zh) 移动终端
KR2013010066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구비되는 이미지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166834B1 (ko) 이동 단말기
KR10183065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케이스 제조 방법
KR20160006910A (ko) 이동 단말기의 하우징 및 그 제조방법
CN108544708B (zh) 传声网组件的制造方法、传声网组件以及电子装置
KR20130109455A (ko) 이동 단말기
KR10160474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