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4502A - 조립 체결 구조를 가진 전지모듈 - Google Patents

조립 체결 구조를 가진 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4502A
KR20140024502A KR20120090152A KR20120090152A KR20140024502A KR 20140024502 A KR20140024502 A KR 20140024502A KR 20120090152 A KR20120090152 A KR 20120090152A KR 20120090152 A KR20120090152 A KR 20120090152A KR 20140024502 A KR20140024502 A KR 20140024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module
fastener
module according
batte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90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0935B1 (ko
Inventor
성준엽
강달모
공병오
엄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20090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935B1/ko
Priority to EP13879317.9A priority patent/EP2860795B1/en
Priority to CN201380038841.5A priority patent/CN104488127B/zh
Priority to PCT/KR2013/007117 priority patent/WO2014027786A1/ko
Publication of KR20140024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502A/ko
Priority to US14/584,666 priority patent/US965371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01M50/26Assemblies sealed to each other in a non-detachabl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전지셀들이 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배열체, 및 전지셀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전지셀 배열체가 안정적인 적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호 결합 가능한 조립식 체결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 체결 구조를 가진 전지모듈 {Battery Module Having Assembly Coupling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 체결 구조를 가진 전지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전지셀들이 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배열체, 및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전지셀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전지셀 배열체가 안정적인 적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호 결합 가능한 조립식 체결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이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서너 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들은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지모듈이 사용된다.
전지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전지모듈의 전지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형태 변형이 용이하다는 등의 잇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러한 전지모듈이 소정의 장치 내지 디바이스에서 요구되는 출력 및 용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직렬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야 하고 외력에 대해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다수의 전지셀들을 사용하여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경우, 이들의 기계적 체결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해 일반적으로 많은 부재들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부재들을 조립하는 과정은 매우 복잡하다. 더욱이, 기계적 체결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한 다수의 부재들의 결합, 용접, 솔더링 등을 위한 공간이 요구되며, 그로 인해 시스템 전체의 크기는 커지게 된다. 이러한 크기 증가는 중대형 전지모듈이 장착되는 장치 내지 디바이스의 공간상의 한계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이, 차량 등과 같이 한정된 내부공간에 효율적으로 장착되기 위해서는 더욱 콤팩트한 구조의 중대형 전지모듈이 요구된다.
특히, 다수의 전지셀들을 고정하여 적층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부품이 필요하며, 전지셀들을 고정하는 부품을 사용하여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전지셀들을 고정시켜야 하므로, 조립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공정의 난이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은 전지의 부피 및 무게를 증가시키고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콤팩트한 구조로 제조될 수 있고, 부품 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면서도 조립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지모듈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셀을 고정하여 적층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부품의 수를 줄이고, 제조 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지셀을 적층하여 전지모듈을 구성할 때, 전체 부피 및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전지셀들이 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배열체; 및
전지셀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전지셀 배열체가 안정적인 적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호 결합 가능한 조립식 체결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들;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부재 사이에 상호 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체결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부재 체결수단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고정부재들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지셀들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와 상기 고정부재들의 결합은 조립, 접착, 성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전지셀들의 외주면이 고정부재와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종래의 전지모듈 조립 과정 중 전지셀에 고정부재가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과정이 필요없고, 고정부재를 전지셀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지셀은 한정된 공간에서 높은 적층률을 제공할 수 있도록 판상형 전지셀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상형 전지셀이 일면 또는 양면이 인접한 전지셀에 대면하도록 적층 배열되어 전지셀 배열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지셀은, 예를 들어,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셀은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셀로서, 전체적으로 폭 대비 두께가 얇은 대략 직육면체 구조인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파우치형 전지셀은 일반적으로 파우치형의 전지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지케이스는 내구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외부 피복층; 수분, 공기 등에 대해 차단성을 발휘하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차단층; 및 열융착될 수 있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내부 실란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에서 케이스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2 단위의 부재로서 상부 및/또는 하부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후 케이스 외주면의 상하부 접촉부위를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셀은 본 출원인의 PCT 국제출원 제PCT/KR2004/00331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출원은 참조로서 본 발명의 내용에 합체된다. 그러나, 도 2에서와 같이, 전지케이스가 1 단위의 부재로서 상부 및/또는 하부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후 케이스 외주면의 상하부 접촉부위를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구조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은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되어 적층되는 바, 구체적으로, 파우치형 전지셀의 열융착 밀봉된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지셀은 외주면의 일측에 양극 및 음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거나, 또는 외주면의 일측에 양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고 대향하는 반대측에 음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일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전지셀은 양극 단자 및 음극단자를 제외한 외주면 전부에 고정부재가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조립식 체결구조는 고정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에 대응하여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구는 고정부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은 체결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고정부재의 하면 또는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를 적층하여 조립할 때, 상부에 위치한 고정부재와 하부에 위치한 고정부재의 체결구 및 체결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조립식 체결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조립식 체결구조의 구체적인 예로, 상기 체결구는 고정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기둥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테이퍼된 구조의 후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체결홈은 체결구의 대향면에서 원통형 만입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체결구의 후크가 체결되는 걸림턱이 내주면 상에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후크의 탄력적인 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후크의 상단면에 하나 이상의 그루브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 및 체결홈은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부재의 각각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로, 상기 체결구는 고정부재의 일 변에 접하여 돌출된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재의 외측으로 테이퍼된 구조의 후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체결홈은 체결구의 대향 변에서 쐐기 형상에 대응하는 만입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체결구의 후크가 체결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체결구 및 체결홈은 고정부재를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구조라면 그것의 위치 및 개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고정부재의 측면 부위에 각각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조립식 체결 구조의 체결구 및 체결홈은 고정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체결구 및 체결홈이 고정부재의 일체화된 일 부위로서 포함되어 있어서, 별도의 독립된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지셀들의 조립 체결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고정부재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고무 또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 소재인 열가소우레탄(TPU: Thermo Plastic Polyurethane), 실리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진 고정부재는 전지셀 배열체를 고정하면서, 무리한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전지셀 배열체를 정확하게 고정하고, 외력 및 진동의 인가 시에도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전지셀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상기 전지셀의 계면에는 전지셀들의 열이 전도되는 냉각핀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냉각핀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의 시트형 구조로서, 그것의 단부가 전지셀 배열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거나, 별도의 냉각부재와 연결되어 전지셀에서 발생한 열을 전지셀 배열체 외부로 방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지셀은 전지모듈 및 전지팩의 구성시 고전압 및 고전류를 제공할 수 있는 전지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체적당 에너지 저장량이 큰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모듈을 단위모듈로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팩은 소망하는 출력 및 용량에 따라 단위모듈로서 상기 이차전지를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장착 효율성, 구조적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전력 저장 장치 등의 전원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적용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고정부재에 상호 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체결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부재 체결수단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고정부재들을 상호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지셀들의 외주면과 고정부재들을 각각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결합할 경우, 종래의 전지모듈 조립 과정 중 전지셀에 고정부재가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과정이 필요없고, 고정부재를 전지셀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지모듈에 장착되는 하나의 예시적인 전지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고정부재와 전지셀이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에 따른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고정부재와 결합된 전지셀 2개가 적층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립식 체결구조를 나타낸 수직 단면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4의 고정부재와 결합된 전지셀 2개가 적층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조립식 체결구조를 나타낸 수직 단면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전지모듈에 장착되는 하나의 예시적인 전지셀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분해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전지셀(100)은,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10) 내부에, 양극, 음극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120)가 그것의 양극 및 음극 탭들(122, 1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전극단자(132, 134)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밀봉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지케이스(110)는 전극조립체(120)가 안착될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112)를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114) 및 하부 케이스(116)로 이루어져 있다.
폴딩형 또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의 구조를 가진 전극조립체(120)는 다수의 양극 탭들(122)과 다수의 음극 탭들(124)이 각각 융착되어 전극단자(132, 134)에 함께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14) 및 하부 케이스(116)의 외주면이 열융착기에 의해 열융착될 때 그러한 열융착기와 전극단자(132, 134) 간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전극단자(132, 134)와 전지케이스(110)와의 밀봉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극단자(132, 134)의 상하면에 절연필름(140)이 부착된다.
상부 케이스(114)와 하부 케이스(116)는 외측 수지층(117), 차단성 금속층(118) 및 내측 수지층(119)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측 수지층(119)은 열융착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열과 압력에 의해 밀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전해액이 함침된 전극조립체(110)를 수납부(112)에 안착한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114) 및 하부 케이스(116)의 외주면 접촉부위를 열융착 시키면 실링부가 형성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고정부재와 전지셀이 결합된 구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전지모듈에 포함되는 하우징, 케이블, 보호회로 등은 생략하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지모듈(200)은 다수의 전지셀(100)이 적층되어 전지셀 배열체를 형성하고 있고, 각각의 전지셀 (100)에는 고정부재(210)가 결합되어 있다. 전지셀들(100)은 한정된 공간에서 높은 적층률을 제공하는 판상형 전지셀들(100)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판상형 전지셀(100)이 일면 또는 양면이 인접한 전지셀(100)에 대면하도록 적층 배열되어 전지셀 배열체를 형성하고 있다.
각각의 전지셀(100)의 외주면은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고정부재들(210)과 일체로 결합되고, 고정부재들(210)에는 상호 결합 가능한 조립식 체결구조(220)가 역시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조립식 체결구조(220)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된다.
조립식 체결구조(220)는 고정부재(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에 대응하여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즉, 체결구는 고정부재(2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체결홈은 체결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고정부재(21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210)를 적층하여 조립할 때, 상부에 위치한 고정부재(210)와 하부에 위치한 고정부재(210)의 체결구 및 체결홈의 결합에 의해 조립식 체결구조가 형성된다. 조립식 체결구조의 구체적인 예는 하기 도 7 및 도 9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의 A-A에 따른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파우치형의 전지셀(100)은 고정부재(210)에 의해 고정되어 적층되며, 파우치형 전지셀(100)의 열융착 밀봉된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부재(21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즉, 전지셀(100)의 양극 단자(132) 및 음극단자(134)를 제외한 외주면 전부에 고정부재(21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결합 구조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도 6에는 도 4의 고정부재(210)와 결합된 전지셀(100) 2개가 적층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조립식 체결구조를 나타낸 수직 단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조립식 체결구조의 체결구(222)는 고정부재(2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기둥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테이퍼된 구조의 후크(223)로 이루어져 있으며, 체결홈(224)은 체결구(222)의 대향면에서 원통형 만입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체결구(222)의 후크(223)가 체결되는 걸림턱(225)이 내주면 상에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후크(223)의 상단면에는 후크(223)의 탄력적인 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그루브(22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구(222) 및 체결홈(224)은 고정부재(210)의 각각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도 8에는 도 4의 고정부재와 결합된 전지셀 2개가 적층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의 조립식 체결구조를 나타낸 수직 단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조립식 체결구조의 체결구(232)는 고정부재(210')의 일 변에 접하여 돌출된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재(210')의 외측으로 테이퍼된 구조의 후크(233)로 이루어져 있으며, 체결홈(234)은 체결구(232)의 대향 변에서 쐐기 형상에 대응하는 만입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체결구(232)의 후크(233)가 체결되는 개구(23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구(232) 및 체결홈(234)은 고정부재(210')의 측면 부위에 각각 여러 개가 형성되어 고정부재(210')를 상호 결합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1)

  1.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전지셀들이 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적층되어 있는 전지셀 배열체; 및
    전지셀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전지셀 배열체가 안정적인 적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호 결합 가능한 조립식 체결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들;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들의 외주면의 일부 또는 전부와 고정부재들은 각각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판상형 전지셀이고 일면 또는 양면이 인접한 전지셀에 대면하도록 적층 배열되어 전지셀 배열체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형 전지셀은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내장하고, 케이스의 외주면을 열융착 밀봉하여 제조되는 파우치형 전지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의 열융착 밀봉된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외주면의 일측에 양극 및 음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거나, 또는 외주면의 일측에 양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고 대향측에 음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양극 단자 및 음극단자를 제외한 외주면 전부에 고정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체결구조는 고정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에 대응하여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고정부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홈은 체결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고정부재의 하면 또는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고정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기둥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테이퍼된 구조의 후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체결홈은 체결구의 대향면에서 원통형 만입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체결구의 후크가 체결되는 걸림턱이 내주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탄력적인 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후크의 상단면에 하나 이상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 및 체결홈은 고정부재의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고정부재의 일 변에 접하여 돌출된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재의 외측으로 테이퍼된 구조의 후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체결홈은 체결구의 대향 변에서 쐐기 형상에 대응하는 만입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체결구의 후크가 체결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 및 체결홈은 고정부재의 측면 부위에 각각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개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실리콘 또는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TPU)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들의 계면에는 냉각핀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리튬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모듈을 단위모듈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20. 제 19 항에 따른 전지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바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20090152A 2012-08-17 2012-08-17 조립 체결 구조를 가진 전지모듈 KR101500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152A KR101500935B1 (ko) 2012-08-17 2012-08-17 조립 체결 구조를 가진 전지모듈
EP13879317.9A EP2860795B1 (en) 2012-08-17 2013-08-07 Battery module having assembly coupling structure
CN201380038841.5A CN104488127B (zh) 2012-08-17 2013-08-07 具有组装联接结构的电池模块
PCT/KR2013/007117 WO2014027786A1 (ko) 2012-08-17 2013-08-07 조립 체결 구조를 가진 전지모듈
US14/584,666 US9653712B2 (en) 2012-08-17 2014-12-29 Battery module having assembly coupl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152A KR101500935B1 (ko) 2012-08-17 2012-08-17 조립 체결 구조를 가진 전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502A true KR20140024502A (ko) 2014-03-03
KR101500935B1 KR101500935B1 (ko) 2015-03-11

Family

ID=5064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152A KR101500935B1 (ko) 2012-08-17 2012-08-17 조립 체결 구조를 가진 전지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53712B2 (ko)
EP (1) EP2860795B1 (ko)
KR (1) KR101500935B1 (ko)
CN (1) CN104488127B (ko)
WO (1) WO20140277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5346B2 (en) 2014-08-29 2018-04-03 Lg Chem, Ltd. Battery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542B1 (ko) 2015-09-21 2019-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8033880A2 (en) 2016-08-17 2018-02-22 Shape Corp. Battery support and prot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CN110383526A (zh) 2017-01-04 2019-10-25 形状集团 节点模块化的车辆电池托盘结构
WO2018213306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WO2018213383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integrated battery retention and support features
WO2018213475A1 (en) 2017-05-16 2018-11-22 Shape Corp. Polarized battery tray for a vehicle
KR102394697B1 (ko) * 2017-07-21 2022-05-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팩 케이스
US11088412B2 (en) 2017-09-13 2021-08-10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with tubular peripheral wall
CN207398218U (zh) 2017-09-21 2018-05-2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US10661646B2 (en) 2017-10-04 2020-05-26 Shape Corp. Battery tray floor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CN107978704A (zh) * 2017-11-22 2018-05-01 福建猛狮新能源科技有限公司 拼装式锂离子电池组及电池模组
WO2019169080A1 (en) 2018-03-01 2019-09-06 Shape Corp. Cooling system integrated with vehicle battery tray
US11688910B2 (en) 2018-03-15 2023-06-27 Shape Corp. Vehicle battery tray having tub-based component
DE102021114483A1 (de) * 2021-06-07 2022-12-08 Audi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Verbinden zweier Bauteile und Batteriemodul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8060A (en) * 1997-04-24 1999-12-07 Mcgrady; Carl Snap connection battery system
JP4965012B2 (ja) * 1999-12-15 2012-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パック
KR100431350B1 (ko) 2002-07-02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
US7241530B2 (en) * 2002-07-23 2007-07-10 Nissan Motor Co., Ltd. Module battery
BRPI0418424B8 (pt) * 2004-01-30 2023-01-17 Lg Chemical Ltd Bateria possuindo estrutura de pacote específico
JP4944374B2 (ja) * 2004-12-15 2012-05-30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気デバイス集合体
JP4708809B2 (ja) * 2005-02-22 2011-06-22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集合体
EP1878085B1 (en) * 2005-03-14 2016-04-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ithium battery system
KR100880386B1 (ko) * 2005-06-03 2009-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DE102007063185A1 (de) * 2007-08-06 2009-02-19 Daimler Ag Batterie
JP5192049B2 (ja) * 2007-11-21 2013-05-0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安全性を改良し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含む中または大型バッテリーパック
US8173294B2 (en) * 2009-04-28 2012-05-08 Lightening Energy High voltage modular battery with electrically-insulated cell module and interconnector peripheries
US9147916B2 (en) * 2010-04-17 2015-09-29 Lg Chem, Ltd. Battery cell assemblies
US8673473B2 (en) * 2010-08-10 2014-03-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tegrated cooling fin and frame
KR101271567B1 (ko) 2010-08-16 2013-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정부재가 플레이트들의 관통구에 삽입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174045B1 (ko) * 2010-09-29 2012-08-16 주식회사 명신이엔지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
JP5899744B2 (ja) * 2010-11-18 2016-04-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定置用電力システム及び定置用電力装置の製造方法
DE102010061865A1 (de) * 2010-11-24 2012-05-24 Behr Gmbh & Co. Kg Rahmen für eine elektrochemische Energiespeichereinheit
US9142809B2 (en) * 2011-01-04 2015-09-22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5346B2 (en) 2014-08-29 2018-04-03 Lg Chem, Ltd. Batter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60795A4 (en) 2015-12-09
CN104488127A (zh) 2015-04-01
CN104488127B (zh) 2017-06-06
EP2860795A1 (en) 2015-04-15
US20150118541A1 (en) 2015-04-30
US9653712B2 (en) 2017-05-16
EP2860795B1 (en) 2017-11-01
WO2014027786A1 (ko) 2014-02-20
KR101500935B1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935B1 (ko) 조립 체결 구조를 가진 전지모듈
KR101492019B1 (ko) 벤팅 유도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6101823B2 (ja) 新規な構造の電池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101792675B1 (ko) 배터리 모듈
KR101478704B1 (ko)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9413038B2 (en) Battery module of improved stability
KR101456960B1 (ko) 고정부재를 구비한 전지모듈
KR100943833B1 (ko) 중대형 전지팩용 카트리지
KR101281811B1 (ko)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1798276B1 (ko) 전지모듈
KR101305218B1 (ko) 중공 구조의 고정부재와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326182B1 (ko) 외장부재와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단위모듈에 기반한 전지모듈
KR20120053589A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KR20170035218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055852B1 (ko) 변형된 리드를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1524007B1 (ko) 가압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40030431A (ko) 다수의 전극조립체 수납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115382B1 (ko) 직렬 연결 구조의 고출력 이차전지
KR101305229B1 (ko) 외장부재와 방열부재를 포함하는 단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521776B1 (ko) 출력단자 위치 변경용 버스 바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573224B1 (ko) 삽입형 온도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511024B1 (ko) 조립형 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818514B1 (ko) 체결용 클립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325037B1 (ko) 제조공정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