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674A -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컨텐츠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및 사용 방법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컨텐츠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및 사용 방법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674A
KR20140023674A KR1020120089912A KR20120089912A KR20140023674A KR 20140023674 A KR20140023674 A KR 20140023674A KR 1020120089912 A KR1020120089912 A KR 1020120089912A KR 20120089912 A KR20120089912 A KR 20120089912A KR 20140023674 A KR20140023674 A KR 20140023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shortcut object
view screen
short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용
신영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9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3674A/ko
Priority to US13/964,482 priority patent/US20140053074A1/en
Priority to EP13180421.3A priority patent/EP2698715A3/en
Priority to CN201310361886.8A priority patent/CN103595756B/zh
Publication of KR20140023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6File or folder operations, e.g. 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 G06F16/168Details of user interfaces specifically adapted to file systems, e.g. browsing and visualisation, 2d or 3d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2Grid compu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바로가기 객체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제1 컨텐츠 뷰 화면과 관련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컨텐츠 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 뷰 화면에서 바로가기 객체의 생성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로부터 상기 바로가기 객체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컨텐츠 뷰 화면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가기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로 가기 객체는 상기 제2 컨텐츠 뷰 화면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주소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바로가기 객체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컨텐츠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및 사용 방법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장치 {Method for using and creating an shortcut object of Contents based on a Cloud Service,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컨텐츠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및 사용 방법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관한 것으로, 특히,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공유 컨텐츠의 컨텐츠 뷰로 바로 접속하기 위한 바로가기 객체를 생성하고,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휴대단말기는 음성 통화 문자 서비스 이외에 다양한 기능들이 새롭게 부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크기, 디자인, 해상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의 휴대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또는 특정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른 단말기들과 공유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영화, 사진, 음악, 문서 등의 사용자 컨텐츠를 서버에 업로드하거나, 업로드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 즉, 외부 서버에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고, 저장 공간의 제약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자신이 작업한 문서 등을 열람, 수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클라우드 서비스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특정 사용자가 특정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른 단말기에 전달하기 위한 공유 컨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내에서 공유 컨텐츠 환경에 특화된 기능 제공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에서 컨텐츠들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샌드 박스에서 공유 컨텐츠에 대한 열람 화면, 즉, 컨텐츠 뷰로 직접 접속 할 수 있는 바로가기 객체를 생성하는 공유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및 사용 방법,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컨텐츠 뷰에 대한 바로 가기 객체 생성하고, 생성된 바로 가기 객체를 타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타 단말기에서 공유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공유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및 사용 방법,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컨텐츠 바로가기 객체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제1 컨텐츠 뷰 화면과 관련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컨텐츠 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 뷰 화면에서 바로가기 객체의 생성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로부터 상기 바로가기 객체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컨텐츠 뷰 화면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가기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로 가기 객체는 상기 제2 컨텐츠 뷰 화면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주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을 위한 무선 통신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1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뷰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썸네일 뷰 화면에 바로가기 객체 생성과 관련된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1 정보로부터 상기 바로가기 객체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컨텐츠 뷰 화면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가기 객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로 가기 객체는 상기 제2 컨텐츠 뷰 화면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주소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방법 및 사용 방법,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장치는 공유 컨텐츠에 대한 열람 화면, 즉 컨텐츠 뷰로 직접 바로가기 할 수 있는 바로가기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성된 바로 가기 객체를 타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타 단말기의 사용자는 컨텐츠 뷰를 통해 공유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리적인 사이즈의 컨텐츠을 전송하는 대신에, 최소한의 정보를 포함하는 바로가기 객체 예컨대, 바로가기 링크를 이용함으로써,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공유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도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에서 공유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에서 공유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및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에서 공유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및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컨텐츠의 바로가기 객체 사용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유 컨텐츠의 바로가기 객체 사용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는 부호, 문자 , 음성, 음향, 영상 등의 디지털 형태로 제공하는 데이터로서, 파일, 사진 파일, 음악 파일 및 문서 파일 등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실행 정보, 부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샌드 박스(Sand Box)'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를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기들이 공유하여 사용하는 작업 공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샌드 박스는 공유 컨텐츠 각각이 가지는 고유한 속성 정보 예컨대, 메타 데이터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영역이다. 메타 데이터 정보는 컨텐츠 생성자/ 공유자, 컨텐츠 공유 일자, 컨텐츠 타입, 컨텐츠 고유 식별자(Unique ID), 썸네일 정보, 샌드 박스 열람 화면에서의 절대 좌표값, 실제 컨텐츠 링크 정보, 용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샌드 박스에 저장된 공유 컨텐츠들은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들과 링크(link)된다. 실제 컨텐츠 링크 정보는 공유 컨텐츠에 링크되어 있는 대상에 대한 정보 즉, 실제 컨텐츠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샌드 박스는 클라우드 서버에 다 수 생성될 수 있다.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는 샌드 박스에 접근하여 저장된 컨텐츠들을 확인하고, 업로드, 다운로드, 삭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 뷰(contents view)'는 샌드 박스에 저장된 공유 컨텐츠들을 열람할 수 있는 뷰어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컨텐츠 뷰는 사전 정의된 영역(이하, 캔버스 영역)에 공유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오브젝트(contents object)를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열람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오브젝트는 썸네일 등의 형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 뷰 화면"은 표시부에 표시된 화면으로서, 클라우드 서버의 특정 샌드 박스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들을 캔버스 영역에 썸네일 형태로 표시하는 화면을 의미한다. 컨텐츠 뷰 화면은 컨텐츠 뷰 전체를 표시하는 전체 화면, 컨텐츠 뷰의 특정 영역을 표시하는 부분 화면, 컨텐츠의 상세 보기 화면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 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공유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공유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100) 및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기(200:210,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200)와 클라우드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휴대 단말기(2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휴대 단말기(200)와 클라우드 서버(100)에는 데이터 송수신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 예를 들어, 컨텐츠 업로드, 다운로드, 동기화 및 컨텐츠 공유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클라우드 서버(100)는 권한을 갖는 휴대 단말기(200)(예컨대, 클라우드 서비스 계정에 가입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저장 공간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권한을 갖는 휴대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할당된 클라우드 서버의 저장 공간에 접근하여 컨텐츠를 업로드, 다운로드 및 삭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클라우드 서버(100)는 휴대 단말기에게 데이터 보안을 위해 권한을 갖는 휴대 단말기에 한정하여 접근이 가능한 보안 영역(110)과, 다 수의 휴대 단말기들이 공유하여 사용하는 공유 영역(120) 이하, 샌드 박스(sand box)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샌드 박스는 클라우드 서버(100)에서 클라우드 서버(100)에 저장된 컨텐츠를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기들이 공유하여 사용하는 작업 공간을 의미한다. 샌드 박스는 공유 컨텐츠 각각이 가지는 고유한 속성 정보 예컨대, 메타 데이터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영역이다. 메타 데이터 정보는 컨텐츠 생성자/ 공유자, 컨텐츠 공유 일자, 컨텐츠 타입, 컨텐츠 고유 식별자(Unique ID), 썸네일 정보, 샌드 박스 열람 화면에서의 절대 좌표값 정보, 실제 컨텐츠 링크 정보, 용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샌드 박스에 저장된 공유 컨텐츠들은 보안 영역(110)에 저장된 실제 컨텐츠(real contents)와 링크(link) 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00)는 샌드 박스에 저장된 공유 컨텐츠의 컨텐츠 뷰(130)을 구성하고, 컨텐츠 뷰 (130) 관련 정보 예컨대, 컨텐츠 뷰 구성 정보 및 공유 컨텐츠들의 메타 데이터 정보 등을 휴대 단말기(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뷰(contents view)(130)는 캔버스 영역에 공유 컨텐츠에 대응하는 컨텐츠 오브젝트(contents object)(140)를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표시하는 화면이다. 컨텐츠 오브젝트(140)는 썸네일 등의 형태, 썸네일 형태에 공유 컨텐츠에 관한 정보 영역을 포함한 형태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컨텐츠 뷰(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캔버스 영역 상에 다양한 컨텐츠 오브젝트(140)들이 배치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캔버스 영역은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는 휴대 단말기(200)들의 각 화면 크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200)들은 휴대 단말기(200)들의 각 화면 크기에 따라 캔버스 영역 중 일부 영역들이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00)들은 컨텐츠 뷰를 제어(예, 줌(zoom) 기능 이용)하여 캔버스 영역 전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두 개의 크기가 다른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들(210,220)이 캔버스 영역 중 일부 영역들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는 휴대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컨텐츠 뷰 화면을 통해 샌드 박스에 공유된 컨텐츠들의 특성, 세부 정보, 사용자 이력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00)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로, 노트북, 스마트 폰, 태블릿 PC ,이동 통신 단말기 핸드 헬드(hand- held) PC, PMP(Portable multimedia pl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바로가기 객체 생성 방법 및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 바로가기 객체 생성 방법 및 장치는 스마트 TV, 데스트 탑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00)는 클라우드 서버(100)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휴대 단말기(200)는 클라우드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예, URL, IP등)을 기반으로 접속 요청 메시지를 클라우드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클라우드 서버(100)는 휴대 단말기(200) 인증을 위한 절차(예, 클라우드 서비스 계정 아이디, 비밀번호 입력 등)를 수행함으로써, 권한을 갖는 휴대 단말기(200)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00)는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샌드 박스에 저장된 공유 컨텐츠들의 컨텐츠 뷰 화면 구성 정보, 공유 컨텐츠들의 메타 데이터 정보 등을 전송받을 수 있다. 휴대 단말기(200)는 전송받은 컨텐츠 뷰 화면 구성 정보를 통해 표시부에 썸네일 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200)는 공유 컨텐츠들의 메타 데이터 정보, 컨텐츠 뷰 화면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뷰 화면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가기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00)는 컨텐츠 뷰 화면 전체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가기 객체, 컨텐츠 뷰화면에 표시된 특정 컨텐츠 오브젝트 화면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가기 객체 및 특정 컨텐츠 오브젝트의 상세 보기 화면(detail veiw)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가기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바로가기 객체는 컨텐츠 뷰 화면 구성 정보, 컨텐츠들의 메타 데이터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바로 가기 객체는, 아이콘 또는 주소 링크 객체(예, URL 객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휴대 단말기(200)는 바로가기 객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로 가기 객체를 사용하여 컨텐츠 뷰 전체 화면, 특정 컨텐츠 오브젝트 화면, 특정 컨텐츠의 상세보기 화면 등으로 바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200)는 생성된 바로 가기 객체를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100)에 저장된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도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입력부(210), 표시부(220), 무선 통신부(230), 저장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휴대 단말기(200)의 입력과 관련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휴대 단말기(200) 기능들의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 및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제어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휴대단말기(200)의 제공 형태에 따라,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일반적인 키 배열의 키패드, 쿼터 방식의 키패드 및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능키 등과 같은 입력 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210)는 클라우드 서버 이용을 위해 클라우드 서버 접속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인증 정보 입력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 특정 샌드 박스 선택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컨텐츠 뷰 화면에서 바로가기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입력 신호, 바로가기 객체를 공유하기 위한 입력 신호, 클라우드 서버로 컨텐츠 뷰 제어권한 키 요청 신호, 컨테츠 뷰 열람 권한 키 요청 신호, 컨텐츠 뷰를 위한 사용자 제어 입력 신호 등을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25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제어 입력 신호는 컨텐츠 열람 화면의 줌 기능, 컨텐츠 이동 기능, 컨텐츠의 크기 리사이징 기능, 컨텐츠 제어와 추가 및 선택을 위한 메뉴 기능, 샌드 박스 운용 기능 등을 운용하기 위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휴대 단말기(2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휴대 단말기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게임 화면, 음악 재생 화면, 동영상 재생 화면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22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CD 또는 OLE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220)는 입력 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200)에서 표시부(220)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형성된 경우, 표시부(220)는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표시부(22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표시부(22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및 압력 방식(pressure typ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터치 패널(111)은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25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250)는 입력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입력 정보를 확인하여 그에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220)는 제어부(250)의 제어 하에,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 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클라우드 서버 이용과 관련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표시부(220)는 컨텐츠 뷰에 대한 바로가기 객체 생성 및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뷰 화면에서 생성될 바로 가기 객체를 설정하는 화면, 컨텐츠 열람 화면의 줌 기능 지원 화면, 컨텐츠 이동 기능 지원 화면, 컨텐츠의 크기 리사이징 기능 지원 화면, 컨텐츠 제어와 추가 및 선택을 위한 메뉴 기능 지원 화면, 샌드 박스 운용 기능을 위한 지원 화면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30)는 휴대 단말기(200)의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부(230)는 지원 가능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설정된 통신채널(communication channel)을 형성하여 음성 통신, 화상 통신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같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에서 무선 통신부(230)는 외부 서버(예, 클라우드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등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30)는 제어부(250)의 제어 하에, 클라우드 서버 접속을 위한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30)는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되어 있는 통신 환경 예를 들면,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통신 모듈로 구성되거나,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3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근거리 통신 모듈(예컨대, 와이파이(Wi-Fi) 모듈) 및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 통신부(230)는 클라우드 서버 접속 과정에서 인증 확인을 위한 인증 정보 데이터의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30)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컨텐츠 뷰 화면의 편집 제어 권한 정보 키 또는 열람 권한 정보 키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휴대 단말기(200)의 운영체제(OS;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비롯하여, 휴대 단말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이하, 앱) 실행에 발생하는 데이터 및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예컨대, 외부 서버, 다른 휴대 단말,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 모든 형태의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휴대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휴대 단말기 기능 처리에 대한 다양한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240)는 상술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클라우드 응용 프로그램(241) 및 컨텐츠 뷰 구성 저장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응용프로그램(241)은 클라우드 서버 접속을 지원하는 루틴, 클라우드 서버에 컨텐츠를 업로드하거나 업로드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루틴,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컨텐츠 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지원하는 루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 뷰 구성 저장부(242)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뷰 화면 구성 정보들 및 컨텐츠들이 메타 데이터 정보들을 저장할 있다. 이러한 컨텐츠 뷰 화면 구성 정보 및 공유 컨텐츠들이 메타 데이터 정보에는 컨텐츠 생성자/ 공유자, 컨텐츠 공유 일자, 컨텐츠 타입, 컨텐츠 고유 식별자(Unique ID), 썸네일 정보, 샌드 박스 열람 화면에서의 절대 좌표값, 실제 컨텐츠 링크 정보, 용량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 뷰 구성 저장부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컨텐츠 뷰 기능 수행 시 특정 컨텐츠들의 상세 보기 정보 등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휴대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2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저장부에 저장된 각종 앱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2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수행과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250)는 입력부로부터 클라우드 서버 접속 요청 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를 이용한 접속 절차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50)는 클라우드 서버 접속을 요청할 수 있는 메뉴나 아이콘 위젯 등을 표시부(2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 절차가 완료되면, 클라우드 서버가 제공하는 컨텐츠 뷰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뷰 화면을 표시부(22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컨텐츠 뷰 화면에서의 바로가기 객체를 생성하는 기능, 생성된 바로가기 객체를 공유하는 기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바로가기 객체 생성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로 가기 객체 생성부(251)는 컨텐츠들의 메타 데이터 정보, 컨텐츠 뷰 화면 구성 정보로부터 바로가기 객체 생성을 위한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다. 바로 가기 객체 생성부(251)는 컨텐츠 뷰 구성 저장부(242)로부터 바로가기 객체를 생성할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 샌드 박스의 이름 정보, 컨텐츠의 이름 정보, 컨텐츠 공유자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바로 가기 객체 생성부(251)는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뷰 전체 화면 , 컨텐츠 뷰 전체 화면 중 일부 영역을 표시하는 화면, 특정 컨텐츠의 상세 보기 화면에 직접 바로가기 할 수 있는 바로 가기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바로 가기 객체 생성부(251)는 컨텐츠 뷰 화면 전체로의 직접 접속을 제공하는 객체, 컨텐츠 뷰 화면에 포함된 특정 오브젝트 화면으로의 직접 접속을 제공하는 객체, 특정 오브젝트의 상세 보기 화면으로의 직접 접속을 제공하는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바로가기 객체는, 아이콘 또는 주소 링크 객체(예, URL 링크)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바로가기 객체가 URL 링크인 경우, 바로가기 객체의 구성(format)을 다음의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http:// Samsungsandbox.com/accountid=prince/sandboxid=19ABC/contented
=photo210/shortcuttype=detailview/invitated=1
바로가기 URL 링크는 프로토콜의 명칭,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서버 계정 정보, 샌드 박스의 이름, 공유 컨텐츠의 이름, 바로가기 객체 타입 정보, 공유자 정보, 샌드 박스 초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 계정 정보는 샌드 박스를 생성한 사용자의 아이디 정보일 수 있다. 샌드 박스 초대 정보는 샌드 박스를 공유하고 있는 공유자들의 수 또는 바로 가기 객체를 통해 공유하고자하는 초대 공유자 수 일 수 있다. 공유 컨텐츠의 이름은 컨텐츠의 고유 식별자(unique ID)일 수 있다. 바로 가기 객체 타입 정보는 컨텐츠 뷰 화면 전체로의 객체인지, 특정 오브젝트의 화면으로의 객체인지, 특정 컨텐츠의 상세 보기 화면으로의 객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샌드 박스의 이름은 샌드박스의 unique ID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200) 생성된 바로 가기 객체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뷰 화면으로 바로 접속할 수 있다. 상기의 접속은 클라우드 서버가 제공하는 컨텐츠 뷰 화면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휴대 단말기(200)는 바로 가기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 뷰 화면 구성을 위한 정보를 전송받고 해당 컨텐츠 뷰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는 바로 가기 객체를 메시지 기능, 메일 기능, SNS 기능, SMS 기능 등을 통해 타 휴대 단말기로 제공해 줄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휴대 단말기의 위치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과, 휴대 단말기(200)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GPS 모듈과, 카메라 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입력부(210)는 터치스크린 및 키입력부 이외에, 터치패드, 트랙볼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에서 공유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제어부(250)는 무선 통신부(23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50)는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예컨대, URL, IP 등)를 기반으로 접속 요청 메시지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클라우드 서버는 휴대 단말기(200) 인증을 위한 절차 (예, 클라우드 서비스 계정 아이디, 비밀번호 입력 등)를 수행함으로써, 권한을 갖는 휴대 단말기(200)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제어부(250)는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되면, 특정 샌드 박스와 관련된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는 클라우드 서버가 제공하는 정보로, 컨텐츠 뷰의 화면 구성 정보 및 공유 컨텐츠들의 메타 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뷰 관련 정보는 컨텐츠 생성자/ 공유자, 컨텐츠 공유 일자, 컨텐츠 타입, 컨텐츠 고유 식별자(Unique ID), 썸네일 정보, 샌드 박스 열람 화면에서의 절대 좌표값, 실제 컨텐츠 링크 정보, 용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샌드 박스가 다수 존재 경우, 클라우드 서버는 샌드 박스 리스트(list)를 표시하고,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샌드 박스에 대한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썸네일 뷰 화면은 클라우드 서버의 특정 샌드 박스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들을 캔버스 영역에 썸네일 형태로 표시하는 화면을 의미한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에 제공되는 컨텐츠 뷰 화면은 접속된 휴대 단말기(100)가 마지막으로 이용한 상태의 컨텐츠 뷰 화면 될 수 있다. 또한, 샌드 박스가 다수의 사용자들과 공유된 경우, 상기 컨텐츠 뷰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타 휴대 단말기에 의해 갱신된 상태의 컨텐츠 뷰 화면이 될 수 있다. 컨텐츠 뷰 화면은 사진 컨텐츠, 문서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 오디오 컨텐츠 별로 구별되는 형태나 색을 가지도록 컨텐츠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 뷰 화면은 업로드한 컨텐츠의 속성 예컨대, 컨텐츠의 데이터 크기, 컨텐츠의 업로드 날짜, 컨텐츠의 다운로드 횟수, 컨텐츠의 검색 횟수 등 다양한 속성에 따라, 형태나 색을 달리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제어부(250)는 컨텐츠 뷰 화면 표시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부(220)에 컨텐츠 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컨텐츠 뷰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컨텐츠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거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단계 340에서 제어부(250)는 바로가기 객체 생성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컨텐츠 뷰 화면에서, 바로가기 객체 생성 메뉴 표시를 요청하고, 표시된 객체 생성 메뉴에서 바로가기 생성 키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50)는 바로가기 생성 키에 대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바로가기 객체 생성을 요청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바로가기 객체의 타입(type)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특정 샌드박스의 전체 화면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객체인지 여부, 특정 컨텐츠가 위치한 장소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객체인지 여부, 특정 컨텐츠의 상세 보기 화면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객체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350에서 제어부(250)는 바로가기 객체의 타입이 결정되면, 결정된 바로가기 객체의 타입에 따른 객체 정보를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샌드 박스 전체 화면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가기 객체인 경우, 클라우드 서버 정보, 샌드박스 이름 정보, 계정 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특정 컨텐츠가 위치한 장소 화면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가기 객체인 경우, 클라우드 서버 정보, 계정 정보, 샌드박스 이름 정보, 계정 정보뿐만 아니라. 컨텐츠 식별정보, 컨텐츠 위치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 360에서 제어부(250)는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바로 가기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로 가기 객체는 URL 객체일 수 있으며, 아이콘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특정 화면으로 바로 접속할 수 있는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기 특정 샌드 박스의 컨텐츠 뷰 화면 전체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가기 객체, 컨텐츠 뷰 화면에 포함된 특정 오브젝트로가 위치한 장소 화면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가기 객체, 특정 오브젝트의 상세 보기 화면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가기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에서 공유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및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제1 휴대 단말기(210)가 클라우드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제1 휴대단말기(210)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100)에 접속하고, 클라우드 서버(100)는 휴대 단말기 인증을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잇다. 상기 인증을 위하여, 제1 휴대 단말기(210)는 인정 정보(예컨대, 아이디, 비밀번호 등)를 클라우드 서버(100)에 제공하고, 클라우드 서버(100)는 인증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유효한 경우 제1 휴대 단말기(210)의 접속을 승인할 수 있다.
제1 휴대 단말기(210)가 접속되면, 단계 411에서 클라우드 서버(100)는 특정 샌드박스의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를 휴대 단말기(2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100)에서 샌드 박스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100)는 샌드 박스 리스트를 표시하고,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샌드 박스에 대한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는 컨텐츠 뷰의 화면 구성 정보 및 공유 컨텐츠들의 메타 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는 컨텐츠 생성자/ 공유자, 컨텐츠 공유 일자, 컨텐츠 타입, 컨텐츠 고유 식별자(Unique ID), 썸네일 정보, 컨텐츠 뷰 열람 화면에서의 절대 좌표값, 실제 컨텐츠 링크 정보, 용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제1 휴대 단말기(210)는 표시부에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421에서 제1 휴대 단말기(210)는 바로가기 객체 생성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컨텐츠 뷰 화면에서 메뉴 화면 표시를 요청하고, 표시된 메뉴 화면에서 바로가기 생성 키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휴대 단말기(210)는 생성 키에 대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바로가기 객체 생성을 요청하는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메뉴 화면은 컨텐츠 뷰 화면에서 팝업창(popup window)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메뉴 화면은 샌드 박스 리스트 화면, 컨텐츠 뷰 전체 화면, 컨텐츠 상세 보기 화면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422에서 제1 휴대 단말기(210)는 컨텐츠 표시 관련 정보로부터 객체 관련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다. 객체 관련 정보들은 컨텐츠 표시 관련 정보 구체적으로, 컨텐츠 뷰 화면을 구성하는 HTML 코드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단계 423에서 제1 휴대단말기(210)는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바로가기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로 각기 객체는 접속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URL 링크 객체 또는 아이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424에서 제1 휴대 단말기(210)는 바로 가기 객체가 생성되면, 제2 휴대단말기(220)로 바로 가기 객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휴대 단말기(210)는 메시지, 메일, SNS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바로가기 객체를 제2 휴대 단말기(2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휴대 단말기(220)는 전송된 바로 가기 객체를 사용하여 컨텐츠 뷰 화면을 로드할 수 있다. 즉, 단계 430에서 제2 휴대 단말기(220)는 바로가기 객체를 상사용하여 바로가기 링크에 포함된 접속 주소 정보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100)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431에서 클라우드 서버(100)는 바로가기 객체를 통해 접근한 제2 휴대 단말기(200)로 바로가기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32에서 제2 휴대 단말기(220)는 전송된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서버와의 인증 절차 없이 바로가기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 뷰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에서 공유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및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제1 휴대 단말기(210)가 클라우드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제1 휴대단말기(210)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100)에 접속하고, 클라우드 서버(100)는 휴대 단말기 인증을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잇다. 상기 인증을 위하여, 제1 휴대 단말기(210)는 인정 정보(에컨대, 아이디, 비밀번호 등)를 클라우드 서버(100)에 제공하고, 클라우드 서버(100)는 인증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유효한 경우 제1 휴대 단말기(210)의 접속을 승인할 수 있다.
제1 휴대 단말기(210)가 접속되면, 단계 411에서 클라우드 서버(100)는 특정 샌드박스의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를 휴대 단말기(2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100)에서 샌드 박스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100)는 샌드 박스 리스트를 표시하고, 리스트로부터 선택된 샌드 박스에 대한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는 컨텐츠 뷰의 화면 구성 정보 및 공유 컨텐츠들의 메타 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는 컨텐츠 생성자/ 공유자, 컨텐츠 공유 일자, 컨텐츠 타입, 컨텐츠 고유 식별자(Unique ID), 썸네일 정보, 컨텐츠 뷰 열람 화면에서의 절대 좌표값, 실제 컨텐츠 링크 정보, 용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20에서 제1 휴대 단말기(210)는 표시부에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521에서 제1 휴대 단말기(210)는 바로가기 객체 생성을 요청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컨텐츠 뷰 화면에서 메뉴 화면 표시를 요청하고, 표시된 메뉴 화면에서 바로가기 생성 키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휴대 단말기(210)는 생성 키에 대한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바로가기 객체 생성을 요청하는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522에서 제1 휴대 단말기(210)는 클라우드 서버(100)로 컨텐츠 뷰 화면에 대한 접속 권한 키 정보를 요청한다. 접속 권한 키 정보는 컨텐츠 뷰 화면의 편집 제어 권한 또는 컨텐츠 뷰의 열람만 할 수 있는 열람 권한 정보일 수 있다. 편집 제어 권한은 클라우드 서버(100)에 접속하여 컨텐츠 삭제, 이동, 추가 및 복사 등에 관한 권한 키 정보이며, 열람 권한은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 뷰 화면을 열람만 할 수 있는 권한 키 정보이다.
단계 512에서 클라우드 서버(100)는 제1 휴대 단말기(210)로 접속 권한 키를 전송할 수 있다. 접속 권한 키 정보는 접속 권한 키 정보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공유할 대상자의 식별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100)로 전송한 후, 특정 사용자에 대한 접속 권한 키 정보를 제공 받거나, 클라우드 서버(100)로부터 다 수가 이용 가능한 접속 권한 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단계 523에서 제1 휴대 단말기(210)는 접속 권한 키를 포함하는 바로 가기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휴대 단말기(210)는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로부터 객체 정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1 휴대 단말기(200)는 컨텐츠 뷰 화면을 구성하는 HTML 코드 정보로부터 객체 관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524에서 제1 휴대 단말기(210)는 바로 가기 객체가 생성되면, 제2 휴대단말기(220)로 바로 가기 객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휴대 단말기(210)는 메시지, 메일, SNS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바로가기 객체를 제2 휴대 단말기(2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휴대 단말기(220)는 전송된 바로 가기 객체를 사용하여 컨텐츠 뷰 화면을 로드할 수 있다. 즉, 단계 530에서 제2 휴대 단말기(220)는 바로가기 객체를 상사용하여 바로가기 링크에 포함된 접속 주소 정보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100)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제 2 휴대 단말기(220)는 바로가기 객체에 포함된 접속 권한 키를 이용해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을 허가받을 수 있다. 제2단계 531에서 클라우드 서버(100)는 바로가기 객체를 통해 접근한 제2 휴대 단말기(200)로 바로가기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32에서 제2 휴대 단말기(220)는 전송된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서버와의 인증 절차 없이 바로가기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 뷰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제2 휴대 단말기는 바로가기 객체에 편집 제어 권한 키가 포함된 경우, 컨텐츠 뷰 화면을 통해 컨텐츠의 삭제, 이동, 추가 등의 편집을 할 수 있다. 제2 휴대 단말기(200)는 바로가기 객체에 열람 권한 키가 포함된 경우 컨텐츠의 삭제, 이동, 추가 등의 편집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없고, 컨텐츠 뷰 화면을 표시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컨텐츠의 바로가기 객체 사용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생성된 바로 가기 객체를 사용하여 바로가기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 뷰 화면을 직접 로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기가 바로가기 객체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면, 바로가기 객체에 포함된 접속 주소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한다. 그러면, 클라우드 서버는 접속 주소에 해당되는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고, 휴대 단말기는 전송된 컨텐츠 뷰 표시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바로 가기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 뷰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컨텐츠 뷰 화면(610)은 다양한 메뉴들이 제공되는 메뉴 영역(611) 및 컨텐츠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들이 표시되는 뷰 영역(612)을 포함할 수 있다. 메뉴 영역(611)은 컨텐츠 추가 메뉴, 글 상자 추가 메뉴, 필기 입력 메뉴, 검색 메뉴, 뷰 모드 변경 메뉴, 공유된 사용자 목록 표시 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뷰 영역에는 특정 샌드 박스에 저장된 컨텐츠들의 모든 컨텐츠 오브젝트들이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바로 가기 객체 타입에 따라, <도 6의 화면 6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샌드 박스의 컨텐츠 뷰 전체를 나타내는 화면(610)을 제공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바로 가기 객체 타입에 따라, < 도 6의 화면 6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뷰의 캔버스 영역 중 일부를 표시하는 화면(62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뷰 영역에는 바로가기 객체가 지시하는 특정 컨텐츠를 표시하는 화면(62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바로 가기 객체 타입에 따라, <도 6의 화면 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컨텐츠의 상세 보기 화면(63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유 컨텐츠의 바로가기 객체 사용에 따른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특정 샌드 박스에 대한 바로 가기 객체를 위젯 아이콘으로 생성하여 샌드 박스의 실시간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휴대 단말기는 특정 샌드 박스의 컨텐츠 뷰 화면으로의 직접 접속을 제공하는 위젯 아이콘을 홈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홈 화면에서 특정 샌드 박스에 대한 위젯 아이콘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는 위젯 아이콘을 실행하여 표시부에 <도 7의 701 화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젯 아이콘에 포함된 접속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뷰 화면(710)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뷰 화면(710)은 다양한 메뉴들이 제공되는 메뉴 영역(711), 컨텐츠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들이 표시되는 뷰 영역(712)을 포함할 수 있다. 메뉴 영역(711)은 컨텐츠 추가 메뉴, 글 상자 추가 메뉴, 필기 입력 메뉴, 검색 메뉴, 공유된 사용자 목록 표시 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뷰 영역(712)에는 샌드 박스에 공유된 컨텐츠들의 오브젝트(720)를 썸네일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는 샌드 박스에 새로운 컨텐츠가 공유되면, 컨텐츠 뷰 화면(710)에 새로운 컨텐츠 개수를 표시하는 새로운 컨텐츠 알림 항목(713)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는 새로운 컨텐츠 알림 항목에 대한 선택이 감지되면, 새로운 컨텐츠들만 추출하여 별도로 표시하는 팝업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는 샌드 박스에 샌드 박스에 접속 중인 공유자들의 수 또는 공유자들의 이름 정보를 컨텐츠 뷰 화면(71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는 컨텐츠 뷰 화면을 <도 7의 702 화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임 라인 뷰 화면(7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타임 라인 뷰 화면(720)는 타임 바(714)를 표시하며, 특정 시간에 공유된 컨텐츠들의 수가 표시된 화면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기는 컨텐츠 뷰 화면을 <도 7의 703 화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스트 뷰 화면(73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리스트 뷰 화면(730)은 샌드 박스에 제공된 컨텐츠들를 리스트 항목으로 표시하는 화면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유 컨텐츠에 대한 열람 화면, 즉 컨텐츠 뷰로 직접 바로가기 할 수 있는 바로가기 객체를 생성하여, 특정 샌드 박스의 컨텐츠 뷰 화면으로 직접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바로가기 객체를 타 휴대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타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바로 가기 객체에 대응하는 컨텐츠 뷰 화면을 통해 공유된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리적인 사이즈의 컨텐츠을 전송하는 대신에, 최소한의 정보를 포함하는 바로가기 객체 예컨대, 바로가기 링크를 이용함으로써,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컨텐츠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및 사용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사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클라우드 서버
200: 휴대 단말기
210: 입력부 220: 표시부
230: 무선 통신부 240: 저장부
250: 제어부

Claims (17)

  1.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바로가기 객체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제1 컨텐츠 뷰 화면과 관련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컨텐츠 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 뷰 화면에서 바로가기 객체의 생성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로부터 상기 바로가기 객체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컨텐츠 뷰 화면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가기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로 가기 객체는 상기 제2 컨텐츠 뷰 화면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주소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바로가기 객체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뷰 화면은,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저장 공간 및 상기 특정 컨텐츠의 속성 정보들을 저장하는 제2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제2 저장 공간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들에 대응하는 다 수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컨텐츠 뷰 화면 구성 정보 및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컨텐츠 뷰 화면 구성 정보 및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컨텐츠 생성자 및 공유자 정보, 컨텐츠 공유 일자 정보, 컨텐츠 종류 정보, 컨텐츠 공유 식별자(unique ID) 정보, 제1 컨텐츠 뷰 내의 컨텐츠 위치 좌표 정보, 저장 공간의 주소 정보, 저장 공간의 이름 정보, 컨텐츠의 이름 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 뷰 화면에서 바로가기 객체 생성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 생성 메뉴에서 객체 타입(type)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 저장 공간의 이름 정보, 컨텐츠 이름 정보, 바로가기 객체의 타입 정보, 컨텐츠 공유자의 식별정보 및 바로가기 객체의 공유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로가기 객체는 아이콘 및 접속 주소 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바로 가기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 뷰 화면 전체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 가기 객체, 제1 컨텐츠 뷰 화면에 포함된 특정 오브젝트 화면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 가기 객체 및 특정 오브젝트의 상세 보기 화면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가기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텐츠 뷰 화면은,
    상기 제1 컨텐츠 뷰 화면 전체를 표시하는 화면, 제1 컨텐츠 뷰의 특정 영역을 표시하는 화면, 제2 컨텐츠 뷰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상세 보기 화면 중 하나의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컨텐츠 뷰 화면에 대한 접속 권한 키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접속 권한 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바로 가기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권한 키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권한 키 정보는 상기 컨텐츠 뷰 화면에 대한 편집 제어 권한 키 정보 및 컨텐츠 뷰 화면에 대한 열람 권한 키 정보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바로가기 객체를 타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휴 휴대 단말기는 상기 바로 가기 객체를 사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바로가기 객체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뷰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방법.
  12.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와 접속을 위한 무선 통신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1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뷰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된 썸네일 뷰 화면에 바로가기 객체 생성과 관련된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부; 및
    상기 제1 정보로부터 상기 바로가기 객체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컨텐츠 뷰 화면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가기 객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로 가기 객체는 상기 제2 컨텐츠 뷰 화면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주소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1 컨텐츠 뷰 화면 구성 정보 및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1 및 제2 컨텐츠 뷰 화면에 대한 접속 권한 키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컨텐츠 생성자 및 공유자 정보, 컨텐츠 공유 일자 정보, 컨텐츠 종류 정보, 컨텐츠 공유 식별자(unique ID) 정보, 제1 컨텐츠 뷰 내의 컨텐츠 위치 좌표 정보, 저장 공간의 주소 정보, 저장 공간의 이름 정보, 컨텐츠의 이름 정보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의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로부터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 정보, 저장 공간의 이름 정보, 컨텐츠 이름 정보, 바로가기 객체의 타입 정보, 컨텐츠 공유자의 식별정보 및 바로가기 객체의 공유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추출하도록 제어하는 컨텐츠의 바로가기 객체 생성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컨텐츠 뷰 화면 전체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 가기 객체, 제1 컨텐츠 뷰 화면에 표시된 특정 오브젝트 화면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 가기 객체 및 특정 오브젝트의 상세 보기 화면으로의 접속을 제공하는 바로가기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바로 가기 객체는 아이콘 또는 접속 주소 링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 휴대 단말기가 상기 바로 가기 객체를 사용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바로가기 객체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뷰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생성된 바로가기 객체를 타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20089912A 2012-08-17 2012-08-17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컨텐츠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및 사용 방법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40023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912A KR20140023674A (ko) 2012-08-17 2012-08-17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컨텐츠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및 사용 방법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3/964,482 US20140053074A1 (en) 2012-08-17 2013-08-12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utilizing a cloud service-based content shortcut object
EP13180421.3A EP2698715A3 (en) 2012-08-17 2013-08-14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utilizing a cloud service-based content shortcut object
CN201310361886.8A CN103595756B (zh) 2012-08-17 2013-08-19 产生和利用基于云服务的内容快捷方式对象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912A KR20140023674A (ko) 2012-08-17 2012-08-17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컨텐츠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및 사용 방법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674A true KR20140023674A (ko) 2014-02-27

Family

ID=4900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912A KR20140023674A (ko) 2012-08-17 2012-08-17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컨텐츠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및 사용 방법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53074A1 (ko)
EP (1) EP2698715A3 (ko)
KR (1) KR20140023674A (ko)
CN (1) CN1035957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0874B1 (en) * 2013-09-11 2016-02-02 Google Inc. Sharing property descriptor information between object maps
CN105808221A (zh) * 2014-12-31 2016-07-27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卡片式桌面的实现方法和装置
TWI616770B (zh) * 2015-02-03 2018-03-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雲端資料管理方法、電子裝置及雲端伺服器
US10180985B2 (en) 2015-02-19 2019-01-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directing a search
CN104883655A (zh) * 2015-04-09 2015-09-02 浙江嘉兴掌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低功耗蓝牙的互动媒体***及互动方法
KR101774422B1 (ko) * 2015-08-17 2017-09-05 네이버 주식회사 문자 메시지 송신 방법 및 시스템
US9912651B2 (en) 2015-10-13 2018-03-06 Dropbox, Inc. Authenticated server views
US11502917B1 (en) * 2017-08-03 2022-11-15 Virtustream Ip Holding Company Llc Virtual representation of user-specific resources and interactions within cloud-based systems
CN111224806A (zh) * 2018-11-27 2020-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资源分配方法及服务器
CN110377352B (zh) * 2019-05-20 2022-06-14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战争研究院 基于移动设备云***的任务处理方法和装置
CN110826053A (zh) * 2019-10-11 2020-02-21 北京市天元网络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容器的数据沙箱运算结果安全输出方法以及装置
CN110766992A (zh) * 2019-11-19 2020-02-07 江苏苏彩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教学编程***
EP3846018A1 (en) * 2019-12-31 2021-07-07 UPM Raflatac Oy A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label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05242A1 (en) * 1998-07-17 2005-01-06 B.E. Technology, Llc Comput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with portable network organization system and targeted advertising
KR20090025531A (ko) * 2007-09-06 2009-03-11 주식회사 인터파크지마켓 바탕화면에 온라인 마켓 브라우징을 위한 바로가기아이콘을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46087A (ko) * 2008-10-15 2010-05-06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의 웹 페이지 내용을 메시징하는 이동단말 및 그 방법
JP2011076231A (ja) * 2009-09-29 2011-04-14 Fujifilm Corp 電子ファイル閲覧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10265157A1 (en) * 2010-04-23 2011-10-27 Apple Inc. One step security system in a network storage system
US20110320551A1 (en) * 2000-11-29 2011-12-29 Dov Koren Content sharing using access identifiers
KR20120079416A (ko) * 2011-01-04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웹 페이지의 콘텐츠 서비스 공유 방법, 장치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4921B1 (en) * 2000-11-17 2004-08-10 Unisy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saving/restoring the properties of controls in a screen dialog
US7774326B2 (en) * 2004-06-25 2010-08-10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data
US9319720B2 (en) * 2005-12-13 2016-04-19 Audio Pod Inc. System and method for rendering digital content using time offsets
US8839146B2 (en) * 2006-09-05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terface for a wireless device
US20080307314A1 (en) * 2007-06-09 2008-12-11 Pavel Cisler System connections and user interfaces
US20090327904A1 (en) * 2008-06-27 2009-12-31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dynamic folders
US20100082713A1 (en) * 2008-09-30 2010-04-01 Soonr Method and system for attaching files to e-mail from backup copies remotely stored
US20100274858A1 (en) * 2009-04-27 2010-10-28 Nokia Corporation Mid-service sharing
US20130254314A1 (en) * 2009-06-09 2013-09-26 Edmond K. Chow Digital content delivery
US20110145327A1 (en) * 2009-06-19 2011-06-16 Moment Usa, Inc. Systems and methods of contextualizing and linking media items
US20110078243A1 (en) * 2009-09-30 2011-03-31 Boopsie, Inc. Leveraging Collaborative Cloud Services to Build and Share Apps
KR101746052B1 (ko) * 2010-11-26 2017-06-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전자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110743B2 (en) * 2010-12-21 2015-08-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tensible system action for sharing while remaining in context
US9020996B2 (en) * 2011-06-24 2015-04-28 Stephen P. LORD Synthetic view
CN103023762A (zh) * 2011-09-27 2013-04-03 阿尔卡特朗讯公司 云计算接入网关及用于提供用户终端接入云提供商的方法
US9374359B2 (en) * 2012-05-23 2016-06-21 Red Hat, Inc. Generating a data display in view of user activities
US9256858B2 (en) * 2012-06-27 2016-02-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context information with content
TW201419006A (zh) * 2012-11-14 2014-05-16 Inst Information Industry 通知並提供快速開啟同步資料的方法、系統以及儲存有此方法之電腦可讀取記錄媒體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05242A1 (en) * 1998-07-17 2005-01-06 B.E. Technology, Llc Comput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with portable network organization system and targeted advertising
US20110320551A1 (en) * 2000-11-29 2011-12-29 Dov Koren Content sharing using access identifiers
KR20090025531A (ko) * 2007-09-06 2009-03-11 주식회사 인터파크지마켓 바탕화면에 온라인 마켓 브라우징을 위한 바로가기아이콘을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46087A (ko) * 2008-10-15 2010-05-06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의 웹 페이지 내용을 메시징하는 이동단말 및 그 방법
JP2011076231A (ja) * 2009-09-29 2011-04-14 Fujifilm Corp 電子ファイル閲覧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10265157A1 (en) * 2010-04-23 2011-10-27 Apple Inc. One step security system in a network storage system
KR20120079416A (ko) * 2011-01-04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웹 페이지의 콘텐츠 서비스 공유 방법, 장치 및 이를 제공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98715A2 (en) 2014-02-19
CN103595756B (zh) 2018-07-13
CN103595756A (zh) 2014-02-19
US20140053074A1 (en) 2014-02-20
EP2698715A3 (en)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3674A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컨텐츠 바로 가기 객체 생성 및 사용 방법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12694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content based on activities of a plurality of users
KR102150514B1 (ko)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KR102079816B1 (ko) 전자장치에서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22148A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의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장치
US10721288B2 (en) Method for sharing file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CN107209678B (zh) 用于移动设备的自适应克隆的***和方法
KR102276272B1 (ko) 홈 스크린 페이지를 추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TWI512525B (zh) 關聯終端的方法及系統、終端及電腦可讀取儲存介質
US201402982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ervice page for executing application
CN104508699B (zh) 内容传输方法和使用该方法的***、装置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TW201621706A (zh) 使用近場通訊來以權限控制進行共享內容
US20140059652A1 (en) Apparatus for uploading contents, user terminal apparatus for downloading contents, server, contents sharing system and their contents sharing method
KR20140014551A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메모 기능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110257B1 (ko)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전자 기기 및 방법
KR20140099606A (ko) 서비스 페이지 공유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2013005475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ownloading content
US1015417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loud server, image forming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connection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60001250A (ko) 전자 장치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40029741A (ko) 디아비스 및 그의 컨텐츠 검색 방법
CN107659716B (zh) 一种资源共享方法及移动终端
CN105956202A (zh) 浏览器中的网页显示方法、装置及终端
US9219798B2 (en) Client and server termina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4126183A (zh) 针对高效原子访问优化的xml文件格式
CN114911759A (zh) 一种文件接续方法、装置、终端设备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