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661A -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661A
KR20140023661A KR1020120089869A KR20120089869A KR20140023661A KR 20140023661 A KR20140023661 A KR 20140023661A KR 1020120089869 A KR1020120089869 A KR 1020120089869A KR 20120089869 A KR20120089869 A KR 20120089869A KR 20140023661 A KR20140023661 A KR 20140023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dioxide
separator
polyethylene glycol
polyether block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원
조은혜
김광배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9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3661A/ko
Publication of KR20140023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6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8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specific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2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2Polyethers
    • B01D71/521Aliphatic polyethers
    • B01D71/5211Polyethylene glycol or polyethylene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6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 B01D71/80Block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219Specific solvent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0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0Specific permeability or cut-off r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와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은 SO2 투과도와 CO2에 대한 SO2 선택도가 높아 이산화탄소 포집용 초청정 탈황기술에 유용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Membrane for Sulfur dioxide Separa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SO2 투과도와 CO2에 대한 SO2 선택도가 높아 이산화탄소 포집용 초청정 탈황기술에 적용할 수 있는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연 탈황설비(Flue gas desulfurization, FGD)란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가 연소할 때 발생하는 황산화물(SOx)을 석회석, 슬러지에 흡수, 반응시켜 제거하고 부산물로 석고를 발생시키는 환경오염 방지설비다.
2010년 말 현재 국내 화력발전소에는 총 59기의 배연 탈황설비가 운전되고 있으며 한전 이외의 산업용 보일러로서 에너지 사용량의 30%를 차지하는 20여 기의 유연탄 보일러와 다수의 B-C유 사용 대형 보일러를 포함하면 이보다 많은 수의 설비가 운전되고 있다.
대부분의 설비는 습식 석회석 석고 공정으로 석회석을 흡수 반응제로 사용하고 석고를 반응생성물로 생산하여 시멘트나 석고보드의 원료로 판매하고 있으나 근래 고유황 연료의 활용빈도 증가로 인해 유입 SO2 농도가 상승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탈황공정 운전조건 악화로 석고의 품질도 떨어져 재활용을 위협받고 있는 형편이다.
탈황설비 문제점 중에 SO2 제거율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로는, 배가스 유량 증가, GGH 누설율 증가, 흡수탑 PH, 산화용 공기 유량 감소, 산화용 공기 분배관 일부 막힘에 의한 흡수탑 수위 불균형, 석회석 용해 차단현상(Limestone blinding), 흡수액 입도 및 순도, 입구 SO2 농도증가, 액-기비 (L/G ration) 감소가 있다.
근래 온실가스 배출저감을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 기술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CO2 포집기술(Carbon Capture) 수준은 상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으며 기존 화력 발전용 설비에의 설치 운전이 시도되고 있다.
석탄은 화석연료중 C/H비가 높아서 석탄연소설비는 CO2 배출 저감의 주요 목표가 되고 있다. 국내 석탄 화력발전소에서는 탈황 공정(Flue Gas Desulfurization, FGD)이 설치되어 운전되고 있으나 현재 기술수준이나 운전조건상으로는 수십 100 ppm 정도의 SO2가 배출되고 있다.
탈황공정에 대한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21912호는 내부로 유입되는 배가스에 함유된 황산화물을 제거하는 흡수탑을 포함하는 배가스의 황산화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수탑은 전기로 슬래그 처리장의 침출수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배관과, 상기 침출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배관을 통해 유입된 침출수와 상기 배가스의 반응에 의해 상기 배가스에 함유된 황산화물이 제거되고, 상기 배출배관을 통해 상기 침출수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가스의 황산화물 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SO2가 CO2 포집공정으로 유입되는 경우 공정에서 사용되는 흡수제의 열화에 의한 성능 저하와 포집된 CO2의 오염으로 인한 CO2저장 공정에 악영향을 주게 되므로 CO2 포집 공정에 대한 SO2를 비롯한 각종 오염물질의 유입이 엄격히 규제되고 있다.
SO2의 경우 10ppm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이며 MHI에서는 1ppm 이하로 규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기도 하다. CO2 포집공정이 요구하는 SO2의 유입조건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존 배연탈황 공정에서 탈황효율을 99.5% 정도로 극단적으로 높여 배출되는 SO2의 농도를 10ppm 이하로 유지하려면 흡수탑의 기하학적인 크기를 대폭(2배 이상) 늘리고 충진물 및 내부구조 등을 전면적으로 개조함과 동시에 흡수반응액 순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순환펌프 등의 기본 설비나 장치를 추가하거나 대용량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미 설치되어 운전중인 설비에서 CO2 포집설비를 추가하여야 하는 경우 기존의 배연 탈황설비에 대한 대폭적인 개조가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경우 추가적인 초청정 배연 탈황 설비의 도입이 불가피하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기존 탈황 공정(FGD)의 성능 보완과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공정의 운전 효율 및 경제성 유지를 위한 초청정 탈황 공정의 필요성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막분리 공정은 분리공정 중에 상의 변화를 위한 추가적인 에너지(잠열)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각종 가스 분리기술 중 가장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으며 시스템을 설비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요소들이 매우 단순 집약적이며 작동 및 제어방법이 매우 간편하고 규모의 확장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SO2 가스에 대한 선택도가 높은 분리막을 탈황 공정에 적용한다면 기존 공정에 추가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손상되거나 문제가 발생한 분리막 모듈의 교체가 용이하고 모듈 단위로 적층이 가능하므로 처리용량의 증가에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21912호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과제는 SO2에 대한 투과도와 CO2에 대한 SO2 선택도가 높은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와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용매를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으로 기판을 코팅(coating)하여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고분자막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은 SO2 투과도와 CO2에 대한 SO2 선택도가 높아 이산화탄소 포집용 초청정 탈황기술에 유용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분리막의 기체투과도에 대한 선택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분리막의 선택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분리막의 선택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와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는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하드 세그먼트인 폴리아미드와 소프트 세그먼트인 폴리에테르로 이루어져 있으며, 폴리아미드의 내구성과 고무영역에 달하는 유연성을 함께 가지고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는 폴리아미드/폴리에테르의 비에 따라 친수성 정도가 변화하며, 이산화황의 선택적 분리를 위해선 친수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를 구성하는 폴리아미드 함량은 30 내지 50 중량%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로 PEBAX 1657를 사용한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분자량이 200 내지 8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분자량은 분리막 제조시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와 혼화되어 성막이 가능한 범위로서, 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이산화황에 대한 투과도 및 선택도가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와 혼화가 용이하지 않다.
이때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비는 1:0.2 내지 1:0.5이 바람직하며, 1:0.5 일 때 이산화황에 대한 투과도가 가장 우수하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이산화황에 대한 투과도가 우수하며, 상기 범위 이상이면 막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이산화황 분리용 막으로 적합하지 않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 미만이면 투과도가 감소하여 이산화황 분리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막의 재질인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와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친수성 고분자로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물과의 접촉에 의해 분리막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구성 향상을 위해 선택적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가교제를 사용하여 가교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분리막은 SO2 투과도가 3900 Barrer 이상, SO2/CO2 선택도가 40 이상으로, 특히 CO2에 대한 SO2 선택도가 높아 이산화탄소 포집용 초청정 탈황기술에 유용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분리막은,
1)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용매를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으로 기판을 코팅(coating)하여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고분자막을 건조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다.
이하 각 단계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용매를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으로 기판을 코팅(coating)하여 고분자막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기판으로는 유리, 실리콘, 플라스틱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고분자 용액을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십 내지 수백 ㎛ 두께로 기판 위에 코팅한다. 예컨대 닥터 블레이드(doctor's knife), 스핀코팅(spin coating), 딥코팅(dip coating), 롤코팅(roll coating), 스크린 코팅(screen coating), 분무코팅(spray coating), 흐름코팅(flow coating),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 잉크젯(ink jet) 또는 드롭캐스팅(drop casting)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기판 위에 고분자 용액을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와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균일하게 용해,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바람직하기로 용매는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고분자 용액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3 내지 9 중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0.6 내지 4.5 중량% 및 용매 잔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각 성분의 함량이 하한치에 미달하거나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 이산화황에 대한 선택도 및 투과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상기 고분자 용액에 추가로 가교제를 포함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가교시킬 수 있다. 이때 가교제로서 글루타르알데히드, 이소프탈로일 디클로라이드, 1,3,5-벤젠트리카보닐 트리클로라이드, 또는 토일렌-2,4-디이소시아네이트가 가능하다.
이때 가교제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 용액 중 0.09 내지 0.27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가교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가교 반응이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지나친 가교반응으로 인해 얻어진 분리막의 투과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가교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작용기와 반응하여 이를 가교시킴으로써, 분리막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분자막을 건조한다.
이때 건조 조건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용매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조건에서 수행한다. 바람직하기로 30∼150 ℃에서 30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감압 하에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히 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재될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재료
실험에 필요한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Polyether Block Amides, PEBAX, Arkema S.A, France) 1657을 사용하였다. 용매는 에탄올(J.T.Baker, Malaysia)과 초순수 (Younglin Pure Water System, Seoul Korea)으로부터 생산하여 사용하였다. 첨가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 Glycol, Aldrich Co. Milwakee, M.w=400)를 사용하였으며, 가교제는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 Junsei Chemical Co. Ltd) 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제품들은 더 이상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1)
PEBAX 1657 고분자를 70wt.% 에탄올수용액에 2 시간 동안 중탕(약 100±1 ℃)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3wt.% PEBAX 용액을 만들었다. 3wt.% PEBAX 용액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을 0.6 wt.%를 넣어 상온(약 24±1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용액을 7×7cm 유리틀에 15~20ml 정도를 부어 60 ℃ 진공오븐에서 3 시간 동안 건조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틸렌글리콜을 1.2 wt.%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에틸렌글리콜을 1.5 wt.%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PEBAX 1657 고분자를 70wt.% 에탄올수용액에 2시간 동안 중탕(약 100±1 ℃)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3wt.% PEBAX 용액을 만들었다. 3wt.% PEBAX 용액에 폴리에틸렌글리콜을 1.5 wt.%를 넣어 상온(약 24±1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뒤 글루타르알데히드 0.09 wt.%를 넣어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용액을 7×7cm 유리틀에 15~20ml 정도를 부어 60 ℃ 진공오븐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글루타르알데히드 0.18 wt.%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글루타르알데히드 0.27 wt.%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제조된 분리막의 기체투과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투과도 측정 장치(Time-lag)를 이용하여 기체투과도를 측정하였다. 투과도 측정 장치는 항온장치에 넣어 온도를 25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기체 투과도 계수(permeability coefficient)는 시간에 따른 압력증가율이 일정하게 되는 정상상태에 도달한 후 시간-압력 곡선의 기울기로부터 아래의 식 (1)에 의해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1)
여기서 V[
Figure pat00002
]는 투과부의 부피, A[
Figure pat00003
]는 막의 투과면적,
Figure pat00004
[cmHg]은 공급부 압력, T[K]는 온도, R은 기체상수, 그리고 p/t는 투과부의 압력변화 속도를 나타낸다. 투과도 계수, P는 GPU 단위를 사용하였으며, 1 GPU는 10-6(STP)/cm2·sec·cmHg이다. 이상분리인자는 다음의 식(2)와 같이 순수기체 투과도 계수의 비로 정의 되며, 확산 선택도(diffusivity selectivity)와 용해선택도(solubility selectivity)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확산선택도는 분리막이 기체의 크기와 모양을 구별할 수 있는 매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가에 기초한 것으로, 사슬의 운동성이나 사슬간의 충진(packing)등에 의하여 변화하며, 용해선택도는 기체의 응축성과 기체와 분리막간의 상호작용 등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pat00005
(2)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의 분리막의 기체투과도 측정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N2 O2 CO2 SO2
비교예 1
기체투과도
(Barrer*)
0.9 2.6 47.9 2192.0
확산도** 3.21×10-7 7.58×10-7 5.28×10-6 4.52×10-7
용해도*** 0.00028 0.00034 0.00906 0.48496
실시예 1

기체투과도
(Barrer*)
1.3 3.6 82.6 3900.0
확산도** 3.61×10-7 8.00×10-7 7.01×10-7 6.09×10-7
용해도*** 0.00036 0.00045 0.01196 0.55521
실시예 2

기체투과도
(Barrer*)
2.3 5.2 112.0 5993.8
확산도** 4.04×10-7 8.39×10-7 7.41×10-7 8.10×10-7
용해도*** 0.00057 0.00062 0.01510 0.73993
실시예 3

기체투과도
(Barrer*)
3.1 7.0 186.3 9039.6
확산도** 4.92×10-7 8.43×10-7 7.71×10-7 9.92×10-7
용해도*** 0.00063 0.00083 0.02415 0.9100
실시예 4
기체투과도
(Barrer*)
1.5 3.8 81.6 3896.4
확산도** 1.53×10-7 2.99×10-7 8.63×10-7 7.91×10-7
용해도*** 0.00098 0.00127 0.00946 0.49259
실시예 5

기체투과도
(Barrer*)
1.7 4.2 95.0 4975.7
확산도** 1.24×10-7 2.56×10-7 7.07×10-7 9.51×10-7
용해도*** 0.00137 0.00164 0.01343 0.52320
실시예 6

기체투과도
(Barrer*)
1.8 4.6 114.8 6081.5
확산도** 9.52×10-8 2.14×10-7 6.11×10-7 1.7×10-6
용해도*** 0.00189 0.00214 0.01876 0.56836
*Barrer:10-10(cm3(STP)cm/cm2·s·cmHg , **10-7cm2/s, *** 1-3(STP)/cm3·cmHg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결과 분리막은 N2 < O2 < CO2 < SO2 순으로 투과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시예 1의 분리막의 투과도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N2 31%, O2 28%, CO2 42%, SO2 44% 향상되었다. 실시예 2의 경우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분리막의 투과도가 N2 61%, O2 50%, CO2 57%, SO2 63%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이 1.5 wt.% 첨가된 실시예 3의 분리막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투과도가 N2 71%, O2 63%, CO2 74%, SO2 76%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글루타르알데히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N2, O2, CO2, SO2에 대한 투과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도 1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분리막의 기체투과도에 대한 선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택도의 값은 CO2/N2의 결과 값이 가장 큰 값을 보였으며, SO2/CO2 , O2/N2의 순서로 작아졌다. CO2에 대한 SO2의 선택도는 46이었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분리막에 대한 선택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O2/N2 < SO2/CO2 < CO2/N2순으로 선택도가 증가하였으며, 실시예 2에서는 SO2/CO2의 선택도가 CO2/N2값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SO2/CO2의 선택도는 전체적으로 40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도 3은 실시예 4 내지 6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분리막에 대한 선택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N2/CO2 < SO2/CO2 < CO2/N2순으로 선택도가 증가하였으며, 글루타르알데히드 0.27 wt.%를 사용한 실시예 6에서 SO2/CO2의 선택도는 전체적으로 50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Claims (13)

  1.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와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의 폴리아마이드 함량은 30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는 PEBAX 165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가교제에 의해 가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비는 1:0.2 내지 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의 SO2/CO2 선택도는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
  7. 1)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용매를 포함하는 고분자 용액으로 기판을 코팅하여 고분자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고분자막을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중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의 함량은 3 내지 9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중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함량은 0.6 내지 4.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추가로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글루타르알데히드, 이소프탈로일 디클로라이드, 1,3,5-벤젠트리카보닐 트리클로라이드, 또는 토일렌-2,4-디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 중 가교제의 함량은 0.09 내지 0.27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20089869A 2012-08-17 2012-08-17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23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69A KR20140023661A (ko) 2012-08-17 2012-08-17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869A KR20140023661A (ko) 2012-08-17 2012-08-17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661A true KR20140023661A (ko) 2014-02-27

Family

ID=5026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869A KR20140023661A (ko) 2012-08-17 2012-08-17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36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944A (ko) * 2017-08-30 2020-04-24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가스 분리를 위한 가교된 중합체성 배합 막
KR20210098374A (ko) * 2020-01-31 2021-08-10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중공사막 코팅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중공사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분리막
KR20230056299A (ko) * 2021-10-20 2023-04-27 한국화학연구원 저분자량 친수성 유기 올리고머를 이용한 기체 투과 성능이 향상된 유기 고분자 분리막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944A (ko) * 2017-08-30 2020-04-24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가스 분리를 위한 가교된 중합체성 배합 막
KR20210098374A (ko) * 2020-01-31 2021-08-10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중공사막 코팅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복합중공사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분리막
KR20230056299A (ko) * 2021-10-20 2023-04-27 한국화학연구원 저분자량 친수성 유기 올리고머를 이용한 기체 투과 성능이 향상된 유기 고분자 분리막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árászová et al. Post-combustion carbon capture by membrane separation, Review
Kim et al. Gas-liquid membrane contactors for carbon dioxide separation: A review
Du et al. Advances in high permeability polymeric membrane materials for CO 2 separations
US87282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carbon dioxide (CO2) from the flue gas of a furnace after the energy conversion
US10479684B2 (en) Enhancement of claus tail gas treatment by sulfur dioxide-selective membrane technology and sulfur dioxide-selective absorption technology
US20120055385A1 (en)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gases
Cao et al. Recent advancements in molecular separation of gases using microporous membrane systems: A comprehensive review on the applied liquid absorbents
Bazhenov et al. High-permeance crosslinked PTMSP thin-film composite membranes as supports for CO2 selective layer formation
US11358093B2 (en) Methods for the separation of CO2 from a gas stream
Pasichnyk et al. Membrane technology for challenging separations: Removal of CO2, SO2 and NOx from flue and waste gases
JP4326276B2 (ja) ガス浄化装置および排煙脱硫システム
US20180257935A1 (en) Enhancement of claus tail gas treatment by sulfur dioxide-selective membrane technology
KR20140023661A (ko) 이산화황 분리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418303B (zh) 一种膜分离脱除变换气中二氧化碳的工艺方法
Kunalan et al. Polymeric composite membranes in carbon dioxide capture process: a review
Lee et al. Integrated membrane contactor absorber/regeneration column process for CO2 capture with large scale module at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Fajrina et al. A crucial review on the challenges and recent gas membrane development for biogas upgrading
Chen et al. Boosting membranes for CO2 capture toward industrial decarbonization
KR102235015B1 (ko) 연소배가스를 이용한 질소농축공기의 제조방법
Joarder et al. Solution to air pollution for removing CO2 and SO2 from flue gases: a prospective approach
Frappa et al. Membrane condenser for particulate abatement from waste-gaseous streams
Wazir et al. Application of Membrane Contactor Technology for Post‐combustion Carbon Dioxide (CO 2) Capture
Zhou et al. Hydrophobic metal–organic framework UiO-66-(CF3) 2/PIM-1 mixed-matrix membranes for stable CO2/N2 separation under high humidity
KR102165052B1 (ko) 분리막을 이용한 2차 탈황 방법
KR101933885B1 (ko) 공유결합 유기구조체를 함유하는 이산화황 분리용 중공사막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