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734A -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734A
KR20140017734A KR1020120083809A KR20120083809A KR20140017734A KR 20140017734 A KR20140017734 A KR 20140017734A KR 1020120083809 A KR1020120083809 A KR 1020120083809A KR 20120083809 A KR20120083809 A KR 20120083809A KR 20140017734 A KR20140017734 A KR 20140017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lectronic device
wearable electronic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식
정승모
Original Assignee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3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7734A/ko
Priority to US14/413,802 priority patent/US20150156196A1/en
Priority to PCT/KR2013/006821 priority patent/WO2014021602A2/ko
Publication of KR20140017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mage capture systems, e.g.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7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slaved to mo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e.g. head, ey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렌즈에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고, 사용자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획득된 사용자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그 결과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경 등과 같은 형태의 착용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은 현실 세계에 가상의 물체를 중첩함으로써 현실 세계를 보충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상 현실 기술과 차이가 있으며, 가상 현실에 비해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현실감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증강 현실은, HMD(Head Mounted Display) 또는 HUD(Head Up Display)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눈 앞에 각종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제스처 인식을 이용하여 증강현실에서 증강된 물체를 조작하려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HMD는 사용자의 머리 또는 기타 부분에 장착되어 좌우의 눈에 독립적인 투영 영상(projected image)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관찰 대상(object of view)을 주시할 때 수렴(convergence)에 의해 양안 간에 서로 다른 영상이 생성되고 이 양안 시차에 의해 깊이감의 지각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HUD는 유리 등과 같은 투명 글라스에 영상을 투영하여, 사용자가 투명 글라스를 통해 HUD에서 투영되는 정보와 외부 배경을 동시에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에 따라 기능 제한이 가능한 착용형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렌즈에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고, 착용형 전자 장치의 사용자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상기 획득된 사용자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형 전자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여, 사용자에 따른 시청 제한이나 개인화된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 등이 가능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3은 착용형 전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시야(view)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착용형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착용형 전자 장치의 측면 구성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착용형 전자 장치의 전면 구성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성인 인증 결과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5는 시청 시간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은 사용자 정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6 및 도 27은 사용자 정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8 내지 도 30은 사용자 정보에 따라 PC(Personal Computer)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1 내지 도 33은 착용형 전자 장치에 구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4는 착용형 전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시야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의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착용형 전자 장치(1)는 사용자의 눈에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안경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착용형 전자 장치(1)를 전면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1)는 좌우 렌즈 프레임들(10, 11), 프레임 연결부(20), 좌우 걸이부들(30, 31) 및 좌우 렌즈들(50, 5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진 또는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영상 획득 장치가 착용형 전자 장치(1)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연결부(20)의 전면에 카메라(110)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안경 형태의 착용형 전자 장치(1)를 착용하고 이동 중에, 카메라(110)를 이용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의 시점이 사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는 장면의 시점과 매우 유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동작 등과 같은 제스쳐(gesture)가 인식되어, 상기 인식된 제스쳐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1)의 동작 또는 기능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110)가 장착되는 위치 또는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적외선 카메라 등과 같은 특수 목적의 카메라가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좌우 걸이부들(30, 31) 각각에도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들이 배치될 수 있다.
우측 걸이부(right side-arm, 31)에는 착용형 전자 장치(1)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들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상의 커서, 메뉴 항목 등과 같은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트랙 볼(track ball, 100) 또는 터치 패드(touch pad, 101)가 우측 걸이부(31)에 배치될 수 있다.
착용형 전자 장치(1)에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트랙 볼(100)과 터치 패드(101)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다양한 입력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좌측 걸이부(left side-arm, 30)에는 마이크(120)가 장착될 수 있으며, 마이크(12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을 이용하여 착용형 전자 장치(1)의 동작 또는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좌측 걸이부(30)에는 센싱부(130)가 배치되어, 착용형 전자 장치(1)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방위, 가속/감속 등과 같이 현 상태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등을 감지하여 착용형 전자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30)는 자이로 센서(gyroscope)나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등과 같은 동작 센서(motion detector), GPS 장치와 같은 위치 센서, 자력 센서(magnetometer), 경위 측정기(theodolite)와 같은 방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한 센서들 이외에 다양한 정보들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30)는 적외선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부와 적외선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적외선 통신이나 근접도 측정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1)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1)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와 함께 앞에 펼쳐진 전경(front view)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좌우 렌즈들(50, 5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한 바와 같은 투명 디스플레이의 기능을 하도록 하여, 사용자는 렌즈에 형성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을 시각적으로 인지함과 동시에 전경을 볼 수 있다.
그를 위해, 착용형 전자 장치(1)는 HMD(Head Mounted Display) 또는 HUD(Head Up Display)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앞에 각종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HMD는 영상을 확대하여 허상을 형성하는 렌즈와, 그 렌즈의 초점거리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HMD가 사용자의 머리 근처에 장착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영상을 렌즈를 통하여 봄으로써 그 허상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HUD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영상이 렌즈를 통하여 확대되고, 상기 확대 화상이 하프 미러에서 반사되고, 상기 반사광이 사용자에게 보여짐으로써 허상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프 미러는 외부의 광을 투과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용자는 하프미러를 투과하는 외부로부터의 광에 의해 상기 HUD에 의해 형성된 허상과 함께 전경도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TOLED(Transparant OLED) 등과 같은 다양한 투명 디스플레이 방식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착용형 전자 장치(1)가 HUD를 구비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2에 도시된 착용형 전자 장치(1)의 후면 구성을 참조하면, 좌측 걸이부(30) 및 우측 걸이부(31) 중 적어도 하나의 후면에 프로젝터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HUD(150, 151)가 장착될 수 있다.
HUD(150, 151)로부터 방출되는 광에 의한 화상이 좌우 렌즈(50, 51)에서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보여짐에 따라, HUD(150, 151)에 의해 형성되는 오브젝트(200)이 좌우 렌즈(50, 51) 상에 표시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인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HUD(150, 151)에 의해 좌우 렌즈(50, 51) 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200)와 전경(250)이 사용자의 시야에 함께 관찰될 수 있다.
HUD(150, 151)에 의해 좌우 렌즈(50, 51) 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 아이콘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텍스트나 사진 또는 동영상 등과 같은 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착용형 전자 장치(1)의 구성에 의해, 착용형 전자 장치(1)는 촬영, 전화, 메시지, SNS(Social Network Service), 네비게이션(navigation), 검색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착용형 전자 장치(1)의 기능은 구비되는 모듈들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들 이외에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한 동영상을 통신부(140)를 통해 SNS 서버에 전송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는 등, 2 이상의 기능들을 융합한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3D 안경 기능이 착용형 전자 장치(1)에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표시함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1)는 사용자의 양안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시켜 사용자가 입체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즉, 착용형 전자 장치(1)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안 영상을 표시할 때 사용자의 좌안 측 셔터를 개방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우안 영상을 표시할 때는 사용자의 우안 측 셔터를 개방시켜, 사용자가 3차원 영상의 입체감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착용형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들을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착용형 전자 장치(1)가 좌우 렌즈들 중 어느 하나(예를 들어, 우측 렌즈(51))만을 구비하여, 한쪽 눈에만 HUD 등과 같은 착용형 전자 장치(1) 내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한쪽 눈(예를 들어, 좌측 눈) 부분은 렌즈에 가려지지 않은 채로 완전 개방되고, 또 다른 눈(예를 들어, 우측 눈) 부분 중 상측 일부분만이 렌즈(11)에 의해 가려지는 구조로 착용형 전자 장치(1)가 구현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착용형 전자 장치(1)의 형상 및 구성 등은 이용 분야, 주기능, 주사용계층 등 다양한 필요에 따라 선택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착용형 전자 장치(300)는 제어부(310), 카메라(320), 센싱부(330), 디스플레이부(340), 통신부(350) 및 저장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310)는 통상적으로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은 촬영, 전화, 메시지, SNS, 네비게이션, 검색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31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310)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과 메모리를 포함하여, 카메라(320), 센싱부(330), 디스플레이부(340), 통신부(350) 및 저장부(3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분석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320)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하며,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34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32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36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3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320)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센싱부(330)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와 관련된 정보와 함께, 혈압, 혈당, 맥박, 심전도, 체온, 운동량, 얼굴, 홍채, 지문 등과 같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생체 정보의 획득을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상기 센싱부(330)에서 획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확인하여 사용자 인증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360)는 제어부(3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3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착용형 전자 장치(300)는 인터넷상에서 저장부(3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착용형 전자 장치(3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며,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4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340)를 통해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앞에 펼쳐진 전경과 함께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HMD, HUD 또는 TOLED 등과 같은 투명 디스플레이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350)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가 외부 장치(4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착용형 전자 장치(300)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하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착용형 전자 장치(3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착용형 전자 장치(3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별 모듈은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착용형 전자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착용형 전자 장치(3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착용형 전자 장치(30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한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360)에 저장되고, 제어부(3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제어 방법을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센싱부(3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한다(S500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또는 현재 상태 등과 같이 사용자를 개략적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
그를 위해, 센싱부(330)는 혈압 측정 센성, 혈당 측정 센서, 맥박 측정 센서, 심전도 측정 센서, 체온 측정 센서, 운동량 측정 센서, 얼굴 인식 모듈, 홍채 인식 모듈 또는 지문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생체 정보 측정/인식 모듈은 해당 생체 정보를 가장 용이하게 측정 또는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움직임, 위치 및 주변 정보(예를 들어, 온도, 습도, 소음, 풍향, 풍량 등)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부(13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의 걸이부 외면(30a)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지문 인식 모듈(131)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의 걸이부 외면(30a)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어느 한 손가락을 해당 위치에 접촉시키는 경우 지문을 인식하여 지문 정보를 제어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맥박 측정 센서(13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의 걸이부 내면(30b),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착용 시 사용자의 귀에 인접한 위치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안경 형태의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하는 경우 자동으로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여 해당 정보를 제어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홍채 인식 모듈(133, 134)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의 내면(10b, 11b)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하는 경우 자동으로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하여 해당 정보를 제어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320)가 상기한 바와 같은 센싱부(330)의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눈동자, 얼굴의 일부, 홍채 또는 지문 등을 촬영하여 사용자 생체 정보가 획득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마이크(미도시)가 상기한 바와 같은 센싱부(330)의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를 통해 인식되어 제어부(310)로 전달됨으로써, 사용자 음성이 사용자 확인을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310)는 상기 센싱부(330)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확인하고(S510 단계), 상기 사용자 확인 결과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기능을 제어한다(S520 단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확인 결과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에 구비된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이용하여 나타내어 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착용형 전자 장치(300)는 현재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디케이터들(160, 161, 16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인디케이터들(160, 161, 162)은 외부에 잘 보여질 수 있도록 렌즈 프레임의 전면(10a, 10b)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인디케이터들(160, 161, 162)은 특정 색상의 광을 표시하는 LED 등의 발광 소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에 따라 점멸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디케이터(160)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가 현재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 중임을 나타내기 위해 점멸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촬영 중에만 켜지거나 또는 촬영 중에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디케이터(161)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현재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S510 단계에서 수행된 사용자 확인 결과에 따라 제어부(310)에 의해 그의 점멸 또는 색상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경우, 제2 인디케이터(161)가 켜지거나 또는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3 인디케이터(162)는 현재 시청하고 있는 컨텐츠(contents)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부적합함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청하는 컨텐츠가 어린이 또는 청소년에게 부적합한 컨텐츠이고,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성인 인증되지 않은 경우, 제3 인디케이터(162)가 켜지거나 또는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310)가 수행한 사용자 확인에 따른 사용자 인증 결과는 통신부(350)를 통해 지정된 외부 장치로 전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지정된 번호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하여,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착용하였음을 인증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착용형 전자 장치(300)는 근접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하기 이전에는 대부분의 기능들이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대기 모드로 착용형 전자 장치(3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착용형 전자 장치(300)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으며, 햅택 모듈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햅틱 모듈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햅틱 모듈은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햅틱 모듈은 제어부(310)의 제어들 받아, 착용형 전자 장치(3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정 기능의 시작이나 종료 또는 특정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자 인증 결과, 인증 성공 또는 인증 실패에 따라 서로 다른 촉각 효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TV 또는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41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내부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나, 상기 재생되는 영상은 육안으로는 볼 수 없도록 비공개 처리된 상태로 화면(411)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비공개 처리되어 디스플레이 장치(410)의 화면(411)에 표시되는 영상은 특정 권한이 있는 사용자,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 형태의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만이 시청 가능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410)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보안을 요하는 것이거나, 또는 성인용 또는 유료 채널이거나, 특정 시간대 이후의 방송 등,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제한적으로 시청되어야 하는 컨텐츠이기 때문에, 사용자 또는 컨텐츠 제공자 측에서 의도적으로 시청 권한을 제한함에 따른 것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하는 경우, 먼저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사용자 인증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증 작업이 수행되는 중에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340)를 이용해 사용자 정보를 확인 중이라는 정보를 알리기 위한 오브젝트(342)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342)는 디스플레이 장치(410)의 화면을 포함하는 전경과 함께 사용자의 시각에 의해 인지되도록 HMD, HUD 또는 TOLED를 이용해 표시되나,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410)의 화면을 가리지 않는 위치에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10)가 센싱부(33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얼굴 일부, 홍채, 지문, 음성 등과 같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부(36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두 정보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인증된 사용자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342)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340)를 이용해 표시되고, 사용자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410)의 화면(411)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용자 인증이 성공된 경우에 한하여, 유료 채널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도록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정보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저장부(36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청색 LED인 제2 인디케이터(161)가 켜져,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인증된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음을 주변인들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센싱부(33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 생체 정보와 저장부(36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아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 인증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343)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340)를 이용해 표시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410)의 화면(411)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통해서도 시청할 수 없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증이 실패하면, 적색 LED인 제3 인디케이터(162)가 켜져,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음을 주변인들이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에 대한 인증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410)에서 표시되는 컨텐츠가 공개 또는 비공개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35를 참조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공지된 다양한 프라이버시(privacy) 시청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410)의 화면(411) 중 일부 영역 또는 컨텐츠 중 일부 구성에 대해 시청을 제한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인증된 사용자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경우, 해당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410)에서 실행 가능한 전체 기능들에 대응되는 메뉴 항목들(412)을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통해 확인한 후 특정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경우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410)에서 실행 가능한 전체 기능들 중 일부에 대응되는 메뉴 항목들, 예를 들어 'TV 시청', '인터넷' 및 '앱스토어' 아이콘들 만이 사용자에게 인지되어 실행 가능한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410)의 기능이 제한되는 것은, 디스플레이 장치(410)에서 표시되는 메뉴 항목들 중 일부가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음에 따른 것일 수 있으며, 그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410)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로부터 사용자 인증 결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일부 기능들의 실행 자체를 제한한 것일 수도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통한 사용자 인증에 실패한 경우,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에게 제한되는 메뉴 항목들은 나머지 메뉴 항목들과 식별되도록 표시되어 비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410)의 기능들 중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에 대해 제한하고자 하는 기능들은 '사용자 잠금 설정' 메뉴를 통해 인증된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성인 인증 결과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로 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410)에서 성인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경우,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디스플레이부(340)에 의해 성인 컨텐츠가 방송 중임을 알리기 위한 오브젝트(344)가 표시되고, 디스플레이 장치(410)의 화면(411)에 재생되고 있는 영상은 육안이나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시청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하면, 성인 인증 작업이 수행되어, 착용한 사용자가 성인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자 인증 작업이 수행된 결과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저장부(360)에 미리 저장된 인증 사용자의 나이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성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10)는 센싱부(330)를 이용해 획득된 혈압, 혈당, 맥박, 심전도, 체온, 운동량, 얼굴, 눈동자, 홍채, 지문 등과 같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사용자의 나이를 예측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대한 성인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경우,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인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345)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340)를 이용해 표시되고, 사용자는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410)의 화면(411)에서 재생되는 성인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한편,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41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가 성인 컨텐츠인지 여부는 화면(411)의 특정 영역에 표시되는 나이 제한 이미지(415)를 이용하여 판단될 수도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성인 인증이 실패한 경우, 성인 인증이 실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346)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340)를 이용해 표시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410)의 화면(411)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육안은 물론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통해서도 시청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시청 제한은 시간대 별로 설정가능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현재 시간이 시청 제한 시간대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간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410)의 화면(411)에서 재생되는 영상은 육안으로 시청될 수 없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자 인증 작업이 수행되어, 사용자 인증된 사용자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경우에 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410)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시청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사용자 인증을 통한 시청 제한 방법은 TV 또는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이외에, 데스크탑 PC, 노트북, PDA 또는 휴대 전화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휴대폰,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노트북 등의 휴대용 단말장치와 데스크탑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 PC)는 공공장소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내용은 그 디스플레이의 가시거리 내에 있는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안성 문제로 인해 텍스트 작성, 메일, 채팅, 동영상 감상등을 위해 컴퓨터를 사용할 때 다른 사람이 보기를 원하지 않는 내용의 경우 컴퓨터 사용에 제한이 많다. 프라이버시 문제는 개인적인 컴퓨터 사용 외에도 기업, 정부 등에서 기밀문서를 컴퓨터로 작업할 때도 야기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디스플레이의 보안성 문제는 다양한 분야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자동 예금 지급기(automatic teller machine : 이하, "ATM"이라고 함)는 공공장소에 배치되므로 ATM 사용자의 비밀번호 키입력과 화면상의 거래내역과 같은 비밀정 보가 쉽게 노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공개적으로 볼 수 있는 모니터 상에서 허가된 사용자에게 비공개 정보를 제공하고, 반면에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사람은 동일한 모니터상의 비공개 정보를 볼 수 없도록 하는 프라이버시 시청 기능이 적용되면 유용할 수 있다.
이하,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사용자 정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420)가 권한 있는 사용자에 대해서만 접근 가능하도록 시청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420)의 화면(421)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육안으로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자 인증 작업이 수행되어, 사용자 인증된 사용자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경우에 한하여 휴대용 단말기(420)의 화면(421) 상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이 시각적으로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된 사용자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420)의 화면(421)에 표시되는 메뉴 항목들(422)이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는 육안으로는 물론,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경우에도 휴대용 단말기(42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으며, 그와 함께 휴대용 단말기(420)의 기능들을 실행시킬 수 없다.
도 28 내지 도 30은 사용자 정보에 따라 PC(Personal Computer)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PC(430)가 권한 있는 사용자에 대해서만 접근 가능하도록 보안 설정이 되어있는 경우, PC(430)의 화면(431)에는 PC가 보안 중임을 나타내는 문구가 표시되고, PC(430)에서 표시되는 그 밖의 영상은 육안으로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자 인증 작업이 수행되어, 사용자 인증된 사용자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경우에 한하여 PC(430)의 화면(431) 상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이 시각적으로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된 사용자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경우, PC(430)의 화면(431)에 표시되는 폴더들이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다.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는 육안으로는 물론,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경우에도 PC(43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으며, 그와 함께 PC(430)의 기능들을 실행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PC(430)의 폴더들 중 일부만이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도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착용한 경우, PC(430)의 폴더들 중 보안 설정되지 않은 일부의 폴더들만이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되어 접근 가능할 수 있으며, 나머지 폴더들에 대한 접근은 제한될 수 있다.
이하, 도 31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착용형 전자 장치에 구현되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1)와 특정 휴대용 단말기가 쌍으로 연결되어 서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착용형 전자 장치(1)가 미리 지정된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멀리 떨어지는 경우, 상호 분실 위험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착용형 전자 장치(1)를 착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착용형 전자 장치(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정보(예를 들어, 휴대전화 번호)를 통해 해당 단말기와 통신하여 서로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착용형 전자 장치(1)와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예를 들어 10m 이상 떨어지는 경우, 착용형 전자 장치(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해 거리 정보 및 단말기 분실 위험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상기 착용형 전자 장치(1)와 휴대용 단말기 사이의 거리는 서로 간에 주기적으로 근거리 통신을 하면서 통신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예측될 수 있으며, 서로 간의 신호가 송수신되지 않는 경우 분실 위험을 알릴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착용형 전자 장치(1)에서 획득된 사용자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개인화된 UI 또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사용자 생체 정보를 통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에 맞추어진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착용형 전자 장치(1)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1)를 착용한 사용자가 여성이거나 아동인 경우,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에 맞춘 길안내 등의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32에 도시된 남성 사용자의 경우 직진하라는 알림이 제공되나, 도 33에 도시된 여성 사용자의 경우 위험지역이나 우회하라는 길안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1)를 통해 사용자 정보 맞춤 서비스가 제공되는 일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 정보 맞춤 서비스는 상기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이외에 촬영, 전화, 메시지, SNS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4는 착용형 전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시야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착용형 전자 장치(1)를 착용한 경우, 착용형 전자 장치(1)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미확인 사용자임이 표시되고, 착용형 전자 장치(1)의 기능들이 제한될 수 있다.
즉, 도 3와 도 34를 비교할 때, 인증되지 않은 미확인 사용자에 대해서는 긴급통화 기능(201), 네비게이션 기능(202) 및 검색 기능(203) 만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있어서, 사용자 착용형 전자 장치(300)를 통해 제한된 영상을 보고 있음이 착용형 전자 장치(300)의 전면에 배치된 인디케이터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1)는 3D 시청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3D 시청 기능은 좌우 글래스를 교대로 개폐시키는 셔터 글래스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착용형 전자 장치(1)는 상기 셔터 글래스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시청 제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용형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착용형 전자 장치(606)는 송수신부(610), 디코더/인증수단(630), 셔터 제어기(632) 및 셔터(6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청 제한 시스템은 영상 처리 장치(602), 디스플레이 장치(604) 및 착용형 전자 장치(6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602)는 비공개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를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에 저장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602)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거나 자체적으로 비공개 영상과, 비공개 영상을 마스킹하는 마스킹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604)에 디스플레이하고, 상응하는 셔터 개폐 신호를 착용형 전자 장치(606)에 전송하여 셔터 개폐 수단을 동작시킴으로써 인증된 사용자만이 비공개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착용형 전자 장치(606)에 구비되는 셔터 개폐 수단은 기계식, 또는 액정 셔터와 같은 광전식일 수 있으며, 셔터 렌즈를 한 개 또는 여러 개를 가진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착용형 전자 장치(606)에 구비되는 셔터 개폐 수단과 송수신 인터페이스부(608)를 제외한 기능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전용 드라이버(610)는 영상 처리 장치(602) 내의 그래픽 드라이버(614)와 별개로 그래픽 카드와 같은 비디오 제어기(612)에 접근하여 비공개 디스플레이를 실시간으로 구현하는 드라이버를 의미할 수 있다.
비공개 디스플레이 제어 블록(618)은 보안 성능 제어부, 암호화부, 사용자 인증부, 관리부로 이루어지며, 사용자 인터페이스(620)로부터 사용자를 인증하고, 허가된 사용자의 인증 수준 및 사용자의 입력에 맞추어 디스플레이 보안 수준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620)로부터 사용자의 식별부호(identification number : 이하, "ID"라고 함)와 비밀번호 입력을 받아 인증할 수 있다.
또한 ID와 비밀번호의 입력 없이 인증된 사용자가 착용한 착용형 전자 장치(606)를 연결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또한 허가된 셔터 개폐 수단(606)을 연결하고, 허가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의 입력을 받음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허가된 셔터 개폐 수단 여부 인증 및 정품 인증은 착용형 전자 장치(606)의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 ROM)(도시되지 않음)에 내장된 제품의 일련번호 등으로 수행할 수 있다.
비공개 디스플레이 제어 블록(618)은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획득 수단(628)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를 입력 받고 사용자의 인증 수준 및 디스플레이 보안 수준을 기준으로 영상 데이터 프레임 시퀀스 생성수단(622), 셔터 전압 시퀀스 생성 수단(624), 마스킹 영상 생성 수단(626)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획득 수단(628)은 디스플레이 장치(604)의 해상도, 리프레쉬 사이클 시간(refresh cycle time), 수직 동기(vertical sync), 수평 동기(horizontal sync) 등의 정보를 읽어 들인다.
영상 데이터 프레임 시퀀스 생성 수단(622), 셔터 전압 시퀀스 생성 수단(624), 마스킹 영상 생성 수단(626)은 사용자의 인증 수준 및 디스플레이 보안 레벨과 사용자의 추가적인 선택에 따라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 프레임 시퀀스, 셔터 전압 시퀀스, 마스킹 영상을 각각 생성한다.
셔터 전압 시퀀스 생성 수단(624)은 영상 데이터 프레임 시퀀스에 동기되어 셔터 개폐 시퀀스를 생성하고, 셔터 개폐 시퀀스에 상응하는 전압 시퀀스를 생성한다.
전용 드라이버(610)는 생성된 영상 데이터 프레임 시퀀스에 따라 마스킹 영상 생성 수단(626)에서 생성된 마스킹 영상을 비디오 메모리(628)에 제공하거나, 마스킹 영상 생성 수단(626)의 지시에 따라 스스로 마스킹 영상을 생성시켜 비디오 메모리(628)에 제공하거나, 컬러 테이블(color table)을 실시간 변경 제어한다.
또한 전용 드라이버(610)는 생성된 영상 시퀀스에 따라 비디오 제어기(612)가 비공개 영상 메모리 블록과 마스킹 영상 메모리 블록을 스위칭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604)로의 영상 전송을 제어한다.
송수신부(608)는 셔터 개폐 수단(606)에게 셔터 개폐 시퀀스 또는 셔터 전압 시퀀스를 전송한다. 또한 송수신부(608)는 암호화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하여 허가된 사용자에게 암호화된 셔터 전압 시퀀스를 전송할 수 있다.
송수신부(608, 310)는 USB, 직렬 링크(serial link)와 같은 유선링크나 IR, RF(FM, AM, Bluetooth)와 같은 무선링크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카드와 같은 비디오 제어기(612)는 비디오 메모리(628)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래픽 드라이버(614)로부터 받은 원래의 비공개 영상과 전용 드라이버(610)로부터 받은 마스킹 영상을 영상 데이터 프레임 시퀀스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604)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형 전자 장치(606)의 셔터 개폐 수단은 송수신부(610)와 디코더/ 인증수단(630)과 셔터 제어기(632)와 셔터부(6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송수신부(610)는 송수신부(608)로부터 전송된 암호화된 셔터 개폐 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더/인증수단(630)에 전송한다.
디코더/인증수단(630)은 셔터 개폐 신호를 해독하여 셔터 전압 시퀀스를 생성하고, 셔터 제어기(632)는 셔터 전압 시퀀스에 따라 셔터부(624)를 완전히 개폐하거나 중간 상태로 개폐한다.
디스플레이 보안 수준은 셔터를 갖지 않은 비허가자에 대한 '맨눈 보안 성능'과 다른 셔터를 가진 비허가자에 대한 '염탐자 대항 보안 성능'에 따른 성능 수준으로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보안 수준이 높아질수록 사용자의 시지각 편안함, 영상의 선명도와 같은 '사용자 시지각 성능'이 낮아진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보안 수준은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수준은 비허가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특정 시간 이상 장시간 보아도 사용자 비공개 영상의 대략적인 종류조차도 지각할 수 없다.
가장 엄격한 사적 정보 보호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워드를 하는지 동영상을 보는지 여부도 알 수 없다. 제2 수준은 비허가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특정 시간 이상 본다면 사용자 영상의 대략적인 종류를 지각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영상정보 내용의 일부도 파악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영상을 보는지 알 수 있어도 영화인지 채팅인지 알 수 없다.
제3 수준은 비허가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특정 시간 이상 본다면 사용자 영상 정보 내용의 일부를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영상정보 내용의 대부분을 파악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치는 워드의 내용을 알 수 없다. 사용자가 영화 동영상을 보는 지 알 수 있어도 내용을 알 수 없다.
제4 수준은 비허가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특정 시간 이상 본다면 사용자 영상 정보 내용의 일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영상 정보 내용의 대부분을 파악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치는 워드의 내용을 약간 알 수 있다. 사용자가 시지각하는 영화 동영상의 내용을 약간 알 수 있다. 제 5 수준은 비허가자가 사용자 영상정보 내용의 상당 부분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시지각에 불편함을 느낀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러한 성능 수준에 사용자 비공개 영상과 의도적인 교란 마스킹 영상이 비허가자에게 인식될 수 있는 정도를 부가적인 성능지수로 추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성능 수준과 같이 다양한 디스플레이 보안 수준을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

  1.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렌즈에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는 착용형 전자 장치에 있어서,
    착용형 전자 장치의 사용자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센싱부; 및
    상기 획득된 사용자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착용형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작용형 전자 장치.
KR1020120083809A 2012-07-31 2012-07-31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17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809A KR20140017734A (ko) 2012-07-31 2012-07-31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4/413,802 US20150156196A1 (en) 2012-07-31 2013-07-30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CT/KR2013/006821 WO2014021602A2 (ko) 2012-07-31 2013-07-30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809A KR20140017734A (ko) 2012-07-31 2012-07-31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734A true KR20140017734A (ko) 2014-02-12

Family

ID=50266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809A KR20140017734A (ko) 2012-07-31 2012-07-31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7734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0827A (zh) * 2015-04-28 2015-09-02 丁建华 一种在工业观片灯上实现电子文档即时加签名的技术方法
WO2015130930A1 (en) * 2014-02-28 2015-09-03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keeping mobile devices warm in cold climates
WO2016017945A1 (en) * 2014-07-29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of pairing the same with electronic device
KR20160027864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들
KR20160108092A (ko) * 2015-03-05 201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머리 착용형 장치
CN106028103A (zh) * 2016-05-30 2016-10-12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穿戴式设备、智能电视及其交互方法和装置
KR20170031722A (ko) * 2014-07-07 2017-03-21 넥시스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처리 방법
KR20170056010A (ko) * 2014-10-20 2017-05-22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검증 방법 및 장치
US9836663B2 (en) 2015-03-05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authenticating method and head mounted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791586B2 (en) 2014-07-29 2020-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of pairing the same with electronic device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0930A1 (en) * 2014-02-28 2015-09-03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keeping mobile devices warm in cold climates
US9210991B2 (en) 2014-02-28 2015-12-15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keeping mobile devices warm in cold climates
KR20170031722A (ko) * 2014-07-07 2017-03-21 넥시스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처리 방법
US10136460B2 (en) 2014-07-29 2018-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of pairing the same with electronic device
WO2016017945A1 (en) * 2014-07-29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of pairing the same with electronic device
US11013045B2 (en) 2014-07-29 2021-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of pairing the same with electronic device
US10791586B2 (en) 2014-07-29 2020-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of pairing the same with electronic device
US10375749B2 (en) 2014-07-29 201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of pairing the same with electronic device
KR20160027864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상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들
KR20170056010A (ko) * 2014-10-20 2017-05-22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검증 방법 및 장치
US9836663B2 (en) 2015-03-05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authenticating method and head mounted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60108092A (ko) * 2015-03-05 201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머리 착용형 장치
CN104880827A (zh) * 2015-04-28 2015-09-02 丁建华 一种在工业观片灯上实现电子文档即时加签名的技术方法
CN106028103A (zh) * 2016-05-30 2016-10-12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穿戴式设备、智能电视及其交互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7734A (ko)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50156196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0341113B2 (en) Password management
CN107071136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EP2923232B1 (en) Head mount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87882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KR1016881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90392422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60291327A1 (en) Glass-typ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070281B1 (ko)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50825A (ko) 보안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17735A (ko)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80067316A1 (en)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7004641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70874A (ko) 안경형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0893412B2 (en) Authenticated device assisted user authentication
CN106067833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5808015A (zh) 防窥用户交互装置及方法
KR20140128489A (ko) 영상 인식과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안경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130331A (ko) 착용형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6802632A (zh) 用于用户认证设备的***和方法
KR20170073273A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4108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3183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3124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