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615A - 터치발광키 유닛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발광키 유닛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615A
KR20140013615A KR1020120081405A KR20120081405A KR20140013615A KR 20140013615 A KR20140013615 A KR 20140013615A KR 1020120081405 A KR1020120081405 A KR 1020120081405A KR 20120081405 A KR20120081405 A KR 20120081405A KR 20140013615 A KR20140013615 A KR 20140013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touch
light emitting
key unit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6067B1 (ko
Inventor
조대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067B1/ko
Priority to US13/691,473 priority patent/US9436302B2/en
Publication of KR20140013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7Optical touch switches
    • H03K17/9631Optical touch switches using a light source as part of the swit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15Constructional details for touch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터치발광키 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발광키 유닛이 윈도우에 고정 설치되어서, 세트 하우징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듈과 일부 영역이 상하로 겹쳐지게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화면 외측의 데드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발광키 유닛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device providing touch emitting key uni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위한 터치발광키 유닛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나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그 디스플레이 모듈을 덮어주는 윈도우, 그리고 상기 윈도우의 일측을 통해 사용자가 터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마크가 발광하는 터치발광키 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이 켜지면 상기 터치발광키 유닛도 켜지면서 터치 조작을 위한 마크들이 나타나게 되고, 사용자는 해당 마크들을 터치하면서 원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인 터치형 휴대폰을 예로 들면 화면 하단에 위치한 메뉴키나 취소키가 이 터치발광키 유닛에 의해 온/오프되는 마크들에 해당된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이러한 터치발광키 유닛이 디스플레이 모듈 옆에 나란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체적으로 길어지는 원인이 되고 있다. 즉,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터치발광키 유닛이 상기 윈도우가 결합될 세트 하우징 안에 나란히 설치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듈의 점유 공간과 터치발광키 유닛의 점유 공간을 옆으로 나란히 확보해야 돼서 세트 하우징이 길어지게 되고, 그에 결합되는 윈도우도 따라서 길어지게 된다. 만일, 디스플레이 모듈의 화면이 길어져서 장치가 커지는 경우라면 대화면이 구현되는 것이므로 문제가 없지만, 터치발광키 유닛 때문에 장치가 커지는 것은 결국 화면 외측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넓어지는 셈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터치발광키 유닛을 구비하면서도 데드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치발광키 유닛에 의한 데드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구현하는 화면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기 화면이 보이도록 덮어주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일측을 통해 터치 조작을 위한 마크를 발광시키는 터치발광키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터치발광키 유닛은 상기 윈도우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터치발광키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윈도우를 통해 바라본 평면 배치 상 일부분이 상하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발광키 유닛은, 광원과, 상기 마크가 새겨진 마크패턴부와, 상기 광원의 빛을 상기 마크패턴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발광키 유닛은 상기 광원을 탑재하여 상기 윈도우에 부착되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은 일단부가 상기 광원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크패턴부와 상기 반사판 사이에 도광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의 상기 터치발광키 유닛이 설치되는 영역에는 상기 마크가 표시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가려주는 차광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광막 위에 보호필름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발광키 유닛은 상기 수용홈에 들어가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터치발광키 유닛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평면 상 겹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이를 채용할 경우 화면 외측의 데드 스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윈도우의 수용홈에 터치발광키 유닛을 설치하여 제품을 보다 슬림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화면을 통해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화면이 보이도록 덮어주는 윈도우(120), 그리고 이 윈도우(120)의 일측을 통해 터치 조작용 마크를 발광시키는 터치발광키 유닛(13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11)과, 이 패널(111)에 설치된 여러 구동칩(112)(113) 및, 상기 구동칩(112)(113)과 패널(111)을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FPCB)(114)(115)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세트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윈도우(120)가 세트 하우징에 결합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화면이 보이도록 덮어주게 된다. 참조부호 115는 윈도우(120)가 세트 하우징(미도시)에 결합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과도 접합되도록 도포되는 접착 레진을 나타낸다.
상기 윈도우(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트 하우징(미도시)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화면이 보이도록 덮어주며, 그 내측면에는 디스플레이 할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가려주는 차광막(121)이 도포되어 있다. 이 차광막(121)은 블랙매트릭스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발광키 유닛(130)은 상기 차광막(121) 사이의 투광부(122)를 통해 터치조작용 마크를 발광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상기 마크가 새겨진 마크패턴부(131)와, LED와 같은 광원(133)과, 이 광원(133)의 빛을 마크패턴부(131)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134) 및, 상기 광원(133)을 탑재하여 윈도우(120)에 부착되는 연성회로기판(13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반사판(134)은 일단이 광원(133)에 고정되고 타단은 연성회로기판(132)에 고정되어서 경사를 이루게 되며, 이 경사에 의해 광원(133)의 빛을 마크패턴부(131) 쪽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참조부호 135는 연성회로기판(132)을 윈도우(120)에 부착시키기 위한 차광형 양면테이프를 나타내며, 상기 마크패턴부(131)도 윈도우(120)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광원(133)이 발광하면 그 빛이 반사판(134)에 반사되어 마크패턴부(131)를 통해 출광되며, 이에 따라 마크패턴부(131)에 새겨진 마크(미도시)가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이 터치발광키 유닛(130)은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윈도우(120)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즉, 기존과 같이 세트 하우징(미도시)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 옆에 나란히 배치된 것이 아니라, 상기 윈도우(120)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일부 영역(OL)이 상하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데드 스페이스를 줄이는데 유효한 구조가 된다. 만일, 기존처럼 터치발광키 유닛(130)이 디스플레이 모듈(110) 옆에 나란히 배치된다면,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점유 공간에 터치발광키 유닛(130)의 점유 공간을 합한 만큼의 길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확보돼야 하고, 결국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화면 외측에 있는 데드 스페이스의 영역이 그만큼 넓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그러나, 본 구성과 같이 터치발광키 유닛(130)을 윈도우(120)에 고정 설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일부 영역(OL)이 상하로 겹쳐지게 하면 그 겹쳐진 영역(OL)만큼 데드 스페이스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해 데드 스페이스가 불필요하게 넓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0)과 터치 조작용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발광키 유닛(130)을 각각 세트 하우징(미도시)과 윈도우(120)에 분리해서 설치하고, 윈도우(120)를 통해 본 평면 배치 상 일부 영역(OL)이 위아래로 겹쳐지게 배치함으로써 데드 스페이스의 길이를 효율적으로 줄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도, 디스플레이 패널(211)의 화면을 통해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10)과, 그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화면이 보이도록 덮어주는 윈도우(220), 그리고 이 윈도우(220)의 일측을 통해 터치 조작용 마크를 발광시키는 터치발광키 유닛(23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11)과, 이 패널(211)에 설치된 여러 구동칩(212)(213) 및, 상기 구동칩(212)(213)과 패널(211)을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FPCB)(214)(215)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 디스플레이 모듈(210)은 세트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윈도우(220)가 세트 하우징에 결합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210)의 화면이 보이도록 덮어주게 된다. 참조부호 215는 윈도우(220)가 세트 하우징(미도시)에 결합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과도 접합되도록 도포되는 접착 레진을 나타낸다.
상기 윈도우(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트 하우징(미도시)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210)을 화면이 보이도록 덮어주며, 그 내측면에는 디스플레이 할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가려주는 차광막(221)이 도포되어 있다. 이 차광막(221)은 블랙매트릭스로 형성할 수 있다. 참조부호 223은 PET 재질의 보호필름으로서, 윈도우(220)의 파손 위험을 줄여주고, 상기 차광막(221)의 질감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차광막(221)을 이 보호필름(223)에 먼저 도포한 후 윈도우(220)에 붙이면 검은 색의 질감이 더욱 선명하고 깨끗하게 보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발광키 유닛(230)은 상기 차광막(221) 사이의 투광부(222)를 통해 터치조작용 마크를 발광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상기 마크가 새겨진 마크패턴부(231)와, LED와 같은 광원(233)과, 이 광원(233)의 빛을 마크패턴부(231)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234) 및, 상기 광원(233)을 탑재하여 윈도우(220)에 부착되는 연성회로기판(232)을 구비하고 있다. 참조부호 235는 연성회로기판(232)을 윈도우(220)에 부착시키기 위한 차광형 양면테이프를 나타내며, 상기 마크패턴부(231)도 윈도우(220)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상기 반사판(234)과 마크패턴부(231) 사이에 도광판(236)이 더 구비되어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광원(233)의 빛이 반사판(234)에만 반사되어 마크패턴부(231) 쪽으로 유도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판(234) 뿐만 아니라 도광판(236)을 통해서도 빛이 가이드되어 마크패턴부(231) 쪽으로 유도된다. 이 도광판(236)을 같이 사용하게 되면 상기 광원(233)의 빛이 마크패턴부(231) 전체 면적에 걸쳐서 보다 균일하게 유도되는 효과가 생긴다.
따라서, 광원(233)이 발광하면 그 빛이 반사판(234)과 도광판(236)에 의해 가이드되어 마크패턴부(231)를 통해 출광되며, 이에 따라 마크패턴부(231)에 새겨진 마크(미도시)가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터치발광키 유닛(230)도 윈도우(220)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즉, 터치발광키 유닛(230)이 상기 윈도우(220)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10)과 일부 영역(OL)이 상하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210)과 터치발광키 유닛(230)의 일부 영역(OL)이 상하로 겹쳐지므로 그 겹쳐진 영역(OL)만큼 데드 스페이스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며, 결과적으로 데드 스페이스가 불필요하게 넓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도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10)과 터치 조작용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발광키 유닛(230)을 각각 세트 하우징(미도시)과 윈도우(220)에 분리해서 설치하고, 윈도우(220)를 통해 본 평면 배치 상 일부 영역(OL)이 위아래로 겹쳐지게 배치함으로써 데드 스페이스의 길이를 효율적으로 줄인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300)도, 디스플레이 패널(311)의 화면을 통해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10)과, 그 디스플레이 모듈(310)을 화면이 보이도록 덮어주는 윈도우(320), 그리고 이 윈도우(320)의 일측을 통해 터치 조작용 마크를 발광시키는 터치발광키 유닛(33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10)은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11)과, 이 패널(311)에 설치된 여러 구동칩(312)(313) 및, 상기 구동칩(312)(313)과 패널(311)을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FPCB)(314)(315)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 디스플레이 모듈(310)은 세트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윈도우(320)가 세트 하우징에 결합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310)의 화면이 보이도록 덮어주게 된다. 참조부호 315는 윈도우(320)가 세트 하우징(미도시)에 결합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10)과도 접합되도록 도포되는 접착 레진을 나타낸다.
상기 윈도우(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트 하우징(미도시)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310)을 화면이 보이도록 덮어주며, 그 내측면에는 디스플레이 할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가려주는 차광막(321)이 도포되어 있다. 이 차광막(321)은 블랙매트릭스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윈도우(320)에는 도면과 같이 터치발광키 유닛(330)의 일부가 들어가서 설치되는 수용홈(320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윈도우(320) 내측면에 수용홈(320a)을 파고 그 안에 터치발광키 유닛(330)의 일부가 들어가서 고정되게 한 것이다. 이렇게 수용홈(320a) 안에 터치발광키 유닛(330)을 설치하면 터치발광키 유닛(330)이 윈도우(320) 아래로 돌출되는 높이가 줄어들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듈(310)과의 상하 간격을 줄일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제품을 슬림화하는데 유리해진다.
그리고, 상기 터치발광키 유닛(330)은 상기 차광막(321) 사이의 투광부(322)를 통해 터치조작용 마크를 발광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상기 마크가 새겨진 마크패턴부(331)와, LED와 같은 광원(333)과, 이 광원(333)의 빛을 마크패턴부(231)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334) 및, 상기 광원(233)을 탑재하여 윈도우(220)에 부착되는 연성회로기판(332)을 구비하고 있다. 참조부호 335는 연성회로기판(332)을 윈도우(320)에 부착시키기 위한 차광형 양면테이프를 나타내며, 상기 마크패턴부(331)도 윈도우(320)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광원(333)이 발광하면 그 빛이 반사판(334)에 의해 가이드되어 마크패턴부(331)를 통해 출광되며, 이에 따라 마크패턴부(331)에 새겨진 마크(미도시)가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터치발광키 유닛(330)도 윈도우(320)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즉, 터치발광키 유닛(330)이 상기 윈도우(320)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10)과 일부 영역(OL)이 상하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310)과 터치발광키 유닛(330)의 일부 영역(OL)이 상하로 겹쳐지므로 그 겹쳐진 영역(OL)만큼 데드 스페이스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며, 결과적으로 데드 스페이스가 불필요하게 넓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도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10)과 터치 조작용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발광키 유닛(330)을 각각 세트 하우징(미도시)과 윈도우(320)에 분리해서 설치하고, 윈도우(320)를 통해 본 평면 배치 상 일부 영역(OL)이 위아래로 겹쳐지게 배치함으로써 데드 스페이스의 길이를 효율적으로 줄인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320)의 수용홈(320a) 안에 터치발광키 유닛(330)을 설치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슬림화하는 데에도 유리해지는 효과가 생긴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400)도, 디스플레이 패널(411)의 화면을 통해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10)과, 그 디스플레이 모듈(410)을 화면이 보이도록 덮어주는 윈도우(420), 그리고 이 윈도우(420)의 일측을 통해 터치 조작용 마크를 발광시키는 터치발광키 유닛(43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10)은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411)과, 이 패널(411)에 설치된 여러 구동칩(412)(413) 및, 상기 구동칩(412)(413)과 패널(411)을 연결하는 연성회로기판(FPCB)(414)(415)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 디스플레이 모듈(410)은 세트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윈도우(420)가 세트 하우징에 결합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410)의 화면이 보이도록 덮어주게 된다. 참조부호 415는 윈도우(420)가 세트 하우징(미도시)에 결합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10)과도 접합되도록 도포되는 접착 레진을 나타낸다.
상기 윈도우(4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트 하우징(미도시)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410)을 화면이 보이도록 덮어주며, 그 내측면에는 디스플레이 할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가려주는 차광막(421)이 도포되어 있다. 이 차광막(421)은 블랙매트릭스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윈도우(420)에도 터치발광키 유닛(430)의 일부가 들어가서 설치되는 수용홈(420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윈도우(420) 내측면에 수용홈(420a)을 파고 그 안에 터치발광키 유닛(430)의 일부가 들어가서 고정되게 한 것이다. 이렇게 수용홈(420a) 안에 터치발광키 유닛(430)을 설치하면 터치발광키 유닛(430)이 윈도우(420) 아래로 돌출되는 높이가 줄어들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듈(410)과의 상하 간격을 줄일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제품을 슬림화하는데 유리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발광키 유닛(430)은 상기 차광막(421) 사이의 투광부(422)를 통해 터치조작용 마크를 발광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상기 마크가 새겨진 마크패턴부(431)와, LED와 같은 광원(433)과, 이 광원(433)의 빛을 마크패턴부(431)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434) 및, 상기 광원(433)을 탑재하여 윈도우(420)에 부착되는 연성회로기판(432)을 구비하고 있다. 참조부호 435는 연성회로기판(432)을 윈도우(420)에 부착시키기 위한 차광형 양면테이프를 나타내며, 상기 마크패턴부(431)도 윈도우(420)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판(434)과 마크패턴부(431) 사이에 도광판(436)이 더 구비되어 있다. 즉, 반사판(434) 뿐만 아니라 도광판(236)을 통해서도 빛이 가이드되어 마크패턴부(431) 쪽으로 유도되게 하는 것이다. 이 도광판(436)을 같이 사용하게 되면 상기 광원(433)의 빛이 마크패턴부(431) 전체 면적에 걸쳐서 보다 균일하게 유도되는 효과가 생긴다.
따라서, 광원(433)이 발광하면 그 빛이 반사판(434)과 도광판(436)에 의해 가이드되어 마크패턴부(431)를 통해 출광되며, 이에 따라 마크패턴부(431)에 새겨진 마크(미도시)가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터치발광키 유닛(430)도 윈도우(420)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즉, 터치발광키 유닛(430)이 상기 윈도우(420)에 고정 설치되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10)과 일부 영역(OL)이 상하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410)과 터치발광키 유닛(430)의 일부 영역(OL)이 상하로 겹쳐지므로 그 겹쳐진 영역(OL)만큼 데드 스페이스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며, 결과적으로 데드 스페이스가 불필요하게 넓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도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10)과 터치 조작용 마크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발광키 유닛(430)을 각각 세트 하우징(미도시)과 윈도우(420)에 분리해서 설치하고, 윈도우(420)를 통해 본 평면 배치 상 일부 영역(OL)이 위아래로 겹쳐지게 배치함으로써 데드 스페이스의 길이를 효율적으로 줄인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420)의 수용홈(420a) 안에 터치발광키 유닛(430)을 설치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슬림화하는 데에도 유리해지는 효과가 생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200,300,400...디스플레이 장치
110,210,310,410...디스플레이 모듈
120,220,320,420...윈도우
130,230,330,430...터치발광키 유닛

Claims (10)

  1. 화상을 구현하는 화면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기 화면이 보이도록 덮어주는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의 일측을 통해 터치 조작을 위한 마크를 발광시키는 터치발광키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터치발광키 유닛은 상기 윈도우에 고정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발광키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윈도우를 통해 바라본 평면 배치 상 일부분이 상하로 겹쳐지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발광키 유닛은,
    광원과,
    상기 마크가 새겨진 마크패턴부와,
    상기 광원의 빛을 상기 마크패턴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발광키 유닛은 상기 광원을 탑재하여 상기 윈도우에 부착되는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일단부가 상기 광원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에 고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패턴부와 상기 반사판 사이에 도광판이 더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상기 터치발광키 유닛이 설치되는 영역에는 상기 마크가 표시되는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가려주는 차광막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 위에 보호필름이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발광키 유닛은 상기 수용홈에 들어가서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081405A 2012-07-25 2012-07-25 터치발광키 유닛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76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05A KR101976067B1 (ko) 2012-07-25 2012-07-25 터치발광키 유닛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3/691,473 US9436302B2 (en) 2012-07-25 2012-11-30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emitting key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405A KR101976067B1 (ko) 2012-07-25 2012-07-25 터치발광키 유닛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615A true KR20140013615A (ko) 2014-02-05
KR101976067B1 KR101976067B1 (ko) 2019-05-09

Family

ID=4999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405A KR101976067B1 (ko) 2012-07-25 2012-07-25 터치발광키 유닛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36302B2 (ko)
KR (1) KR1019760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915U (ko) * 2014-09-09 2016-03-17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면상 발광 장치
KR20160110675A (ko) * 2015-03-10 2016-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US9846455B2 (en) 2014-08-19 2017-12-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754384B2 (en) 2018-01-19 2020-08-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754B1 (ko) * 2013-03-14 2020-03-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키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WO2014192544A1 (ja) * 2013-05-31 2014-12-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面発光素子および発光装置
CN104599598B (zh) * 2015-01-29 2017-05-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KR102275318B1 (ko) * 2015-03-02 2021-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CN106708298B (zh) * 2015-07-17 2023-09-22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接合结构
TWI795235B (zh) * 2022-03-14 2023-03-01 達運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618A (ko) * 2007-11-06 2009-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3469A (ja) * 2006-01-18 2007-08-02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そのタッチ入力位置検出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613919B1 (ko) 2008-09-25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502803B2 (en) * 2009-04-07 2013-08-06 Lumio Inc Drift compensated optical touch screen
JP5235769B2 (ja) 2009-04-27 2013-07-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KR20120019543A (ko) 2010-08-26 2012-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온-셀 tsp 표시장치
JP5432193B2 (ja) * 2011-01-18 2014-03-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1821286B1 (ko) * 2011-04-29 201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830670B1 (ko) * 2011-06-27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618A (ko) * 2007-11-06 2009-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6455B2 (en) 2014-08-19 2017-12-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60000915U (ko) * 2014-09-09 2016-03-17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면상 발광 장치
KR20160110675A (ko) * 2015-03-10 2016-09-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KR20210134277A (ko) * 2015-03-10 2021-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US11455049B2 (en) 2015-03-10 2022-09-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compensating film
KR20220150844A (ko) * 2015-03-10 2022-1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US10754384B2 (en) 2018-01-19 2020-08-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36302B2 (en) 2016-09-06
US20140028583A1 (en) 2014-01-30
KR101976067B1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3615A (ko) 터치발광키 유닛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229062A1 (en) Display Screen Assembly, Terminal Front Cover, and Terminal
CN107092311B (zh) 显示屏、显示装置及移动终端
KR101117638B1 (ko)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CN107688251B (zh) 液晶显示设备
KR20120001674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US8282259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11209685B2 (en) Display device
JP2014029372A (ja) 電子機器
US20140036458A1 (en) Electronic apparatus
JP2017102386A (ja) 表示装置
KR20190037340A (ko) 표시 장치
US20200296190A1 (en) Terminal
EP3829147B1 (en) Electronic device and middle frame thereof
KR10198107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825729B2 (en) Terminal device
KR101992340B1 (ko) 윈도우 및 표시 장치
WO2012002019A1 (ja) 表示装置
JP6169861B2 (ja) 液晶表示装置
CN114839807B (zh) 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KR200485851Y1 (ko) 면상 발광 장치
KR100477605B1 (ko) 터치패널 일체형 액정표시장치
CN115016160B (zh) 电子装置
US9999143B2 (en) Display device
KR20030055925A (ko) 더블 탑 케이스를 이용한 터치패널 일체형 액정표시모듈및 그의 적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