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2814A -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2814A
KR20140012814A KR1020120079822A KR20120079822A KR20140012814A KR 20140012814 A KR20140012814 A KR 20140012814A KR 1020120079822 A KR1020120079822 A KR 1020120079822A KR 20120079822 A KR20120079822 A KR 20120079822A KR 20140012814 A KR20140012814 A KR 20140012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ingle lens
camera module
coupled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8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률
심익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2814A/en
Publication of KR20140012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81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formed a space inside; a lens barrel fixed and coupled to the housing and connected with one or more lenses inside; a single lens unit formed to be movable in an upper part of the lens barrel; and an actuator moving the single lens unit in the direction of an optical axis.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Camera module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개인휴대단말기 등에 장착되어 이미지를 촬상하는 촬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mera module for performing an imaging function mounted o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or the like to capture an image.

현재 휴대폰 및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최근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전화 기능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으로 멀티 컨버전스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멀티 컨버전스로의 전개를 이끌어 가는 것 중의 하나로서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이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Nowadays,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are being used for multi-convergence with music, movies, TVs, games, etc. as well as simple telephone functions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The camera module is the most representative.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CCM: Compact Camera Module)은 소형으로써 카메라폰이나 PDA,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 등의 다양한 IT 기기에 적용되고 있는바, 최근에 이르러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어 소형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기기의 출시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a compact camera module (CCM) is a small size and is applied to various IT devices such as a camera phone, a PDA, a smart phone and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market is gradually increasing the number of devices equipped with camera modules.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 등의 이미지센서를 주요 부품으로 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상기 이미지센서를 통하여 사물의 이미지를 집광시켜 기기내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기기내의 LCD 또는 PC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Such a camera module is manufactured using an image sensor such as a CCD or a CMOS as a main component, and collects an image of an object through the image sensor and stores it as data in a memory in the device, and the stored data is stored in the LCD or PC in the device. The image is displayed through a display medium such as a monitor.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다수개의 렌즈가 결합된 렌즈배럴과, 상기 렌즈배럴이 수용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배럴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들어온 영상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와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으로 구성된다. The camera module includes a lens barrel having a plurality of lenses coupled thereto, a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lens barrel, an actuator formed inside the housing, and an actuator for moving the lens barrel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Combined, it consists of an image sensor (image sensor) for converting the image signal from the outsid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image sensor is mounted.

이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선명한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서 초점 조절이 필요한데, 최근 카메라 모듈의 경우 자동으로 초점을 조정하는 오토포커싱(Auto Focusing) 관련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때, 오토포커싱이란 렌즈의 이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렌즈를 이동시켜 각각의 렌즈 위치에서 촬상체에 대한 선예도(또는 선명도)를 검출하고, 선예도가 가장 좋은 지점에 렌즈가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In order to capture a clear image using the camera modu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ocus adjustment is necessary. Recently, auto focusing technology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focus of the camera module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In this case, autofocusing means moving the lens within the movable range of the lens to detect the sharpness (or sharpness) of the image pickup body at each lens position, and to position the lens at the point where the sharpness is the best.

이처럼, 초점을 조절하기 위하여 렌즈와 이미지센서 사이의 거리는 가변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종래의 카메라 모듈의 구성에서는 다수개의 렌즈가 결합된 렌즈배럴을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초점을 조절하였다. As such,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may be varied to adjust the focu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camera module described above, the focus is adjusted by moving the lens barrel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lens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using an actuator. It was.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 모듈의 경우 다수개의 렌즈가 결합된 렌즈배럴 전체를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이동시켜 초점을 조절하므로, 초점 조절을 위한 시간이 오래걸리고, 렌즈배럴이 이동하기 위한 최소한의 공간이 필요하여 카메라 모듈의 높이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mera module, since the entire lens barrel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lenses is moved by using an actuator to adjust the focus, it takes a long time to adjust the focus and requires a minimum space for the lens barrel to move. There is a limit to reducing the height of the camera modul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오토포커싱을 위하여 렌즈부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오토포커싱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camera module that can reduce the space to move the lens portion for autofocusing, and to increase the autofocusing speed.

또한, 렌즈부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mera module that can reduce the weight of the lens unit.

아울러, 광축의 틀어짐을 방지하고, 조립이 간편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module that prevents distortion of the optical axis and is easy to assemb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하나 이상의 렌즈가 결합된 렌즈배럴과, 상기 렌즈배럴 상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싱글렌즈부 및 상기 싱글렌즈부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 lens barrel fixedly coupled to the housing, the lens barrel is coupled to one or more inside, and moves above the lens barrel And an actuator for moving the single lens unit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여기서, 상기 싱글렌즈부는 하나의 싱글렌즈와, 상기 싱글렌즈가 결합되는 렌즈홀더 및 상기 렌즈홀더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싱글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ingle lens unit may include one single lens, a lens holder to which the single lens is coupled, and a carri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ens holder and moving the single lens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이때,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싱글렌즈의 상면과 접촉되는 내측면에 안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ens holder may have a seat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ens holder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ingle lens.

또한,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싱글렌즈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ns holder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side of the single lens.

아울러, 상기 싱글렌즈부는 상기 렌즈홀더의 테두리 하부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가 상기 캐리어 상단에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ngle lens unit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lens holder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rotrusion on the upper end of the carrier.

한편,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싱글렌즈부에 형성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코일로 구성된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 VCM)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ctuator may be formed of a voice coil motor (VCM) including a magnet formed in the single lens unit and a coil formed to correspond to the magne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다수의 렌즈가 결합된 렌즈배럴을 고정시키고, 렌즈배럴의 상부에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하나의 싱글렌즈만을 사용하여 오토포커싱을 함으로써, 최소한의 공간만으로 오토포커싱이 가능하므로, 카메라 모듈의 전체 높이를 축소 시킬 수 있으며, 오토포커싱 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s a lens barrel in which a plurality of lenses are coupled, and performs autofocusing using only one single lens formed to be movable on an upper portion of the lens barrel, thereby minimizing space. Since only autofocusing is possible, the overall height of the camera module can be reduced, and the autofocusing speed can be increased.

또한, 오토포커싱을 위하여 하나의 싱글렌즈만 이동하므로, 렌즈 이동을 위한 액츄에이터의 소모전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only one single lens moves for autofocusing,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actuator for lens movement can be reduced.

아울러, 렌즈홀더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캐리어의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렌즈홀더와 캐리어의 결합시 광축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하므로,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in the lens holder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carrier, thereby preventing the optical axis from being distorted when the lens holder and the carrier are coupled, and can be easily assembled,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싱글렌즈부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싱글렌즈부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도 1의 싱글렌즈와 렌즈홀더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ngle lens unit of FIG. 1. FIG.
3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the single lens unit of FIG. 1.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upling portion of a single lens and a lens holder of FIG. 1;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r customs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a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FIGS. 1 to 4.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싱글렌즈부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싱글렌즈부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싱글렌즈와 렌즈홀더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ngle lens unit of FIG. 1, FIG. 3 is a bottom view showing a single lens unit of FIG. 1, and FIG.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upling portion of a single lens and a lens holder.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하나 이상의 렌즈가 결합된 렌즈배럴(30)과, 상기 렌즈배럴(30) 상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싱글렌즈부(40) 및 상기 싱글렌즈부(40)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ns 20 is a space formed therein, the lens is fixedly coupled to the housing 20, one or more lenses coupled therein It may include a barrel 30, a single lens unit 40 formed to be movable above the lens barrel 30, and an actuator 50 for moving the single lens unit 4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여기서, 상기 하우징(20)의 하부에는 외부로부터 들어온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는 이미지센서(11)와 상기 이미지센서(11)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12)이 형성될 수 있다. Here, an image sensor 11 for converting an image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printed circuit board 12 on which the image sensor 11 is mounted may be formed below the housing 20.

이때, 상기 이미지센서(1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며, 이미지센서(11)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인쇄회로기판(12)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mage sensor 11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2, and electrically transferr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2 the image signal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in the image sensor 11 It can be formed to be connected.

아울러, 상기 이미지센서(11)는 인쇄회로기판(12)에 와이어 본딩 방식 또는 플립 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으며, 상보성 금속 산화물 반도체(CMOS : Complet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센서 또는 전하 결합 소자(CCD : Charge Coupled Device)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sensor 11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2 by any one of a wire bonding method and a flip chip method, and may be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sensor or a charge. It may be formed of a charge coupled device (CCD) sensor.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2)은 상기 이미지센서(11)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가공 처리하는 것으로 상면에는 회로패턴(도면 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회로패턴에 이미지센서(11) 및 각종 수동소자(도면 미도시)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2 processes an imag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mage sensor 11, and a circuit pattern (not shown)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image sensor 11 and various kinds of circuit patterns are formed on the circuit pattern. Passive elements (not show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12)은 단층 또는 다층의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라믹기판, 금속기판, 가요성 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inted circuit board 12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and a ceramic substrate, a metal substrate, a flexible substrate, and the like may be used.

상기 하우징(2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이미지센서(11)를 보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20 may have a space formed therein and may be formed to protect the image sensor 11.

여기서, 상기 하우징(20)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성형되어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가지며, 상부는 개방된 원통 형태의 경통부(21)가 형성되고, 상기 경통부(21)의 하부는 사각의 함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housing 20 is formed of a plastic or metal material to have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function, an upper portion of the barrel portion 21 of the open cylindrical shape is formed, the lower portion of the barrel portion 21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Can be.

또한, 상기 하우징(20)의 경통부(21)에는 후술되는 렌즈배럴(3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배럴(30)은 상기 하우징(20)의 경통부(21)에 삽입되며, 접착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ns barrel 3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oupled to the barrel portion 21 of the housing 20. At this time, the lens barrel 30 is inserted into the barrel portion 21 of the housing 20, it may be coupled to be fixed by an adhesive member.

상기 렌즈배럴(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렌즈가 적층 형태로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배럴(30) 내부에 수용되는 렌즈의 수는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임의로 조정될 수 있으며, 다수의 렌즈는 각 렌즈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렌즈배럴(30)에 수용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ns barrel 3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one or a plurality of lenses are stacked therein. At this time, the number of lenses accommodated in the lens barrel 30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designer,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lenses are accommodated and assembled in the lens barrel 30 so that the optical axis of each lens coincides.

한편, 상기 이미지센서(11)와 상기 렌즈배럴(30) 사이에는 이미지센서(11)로 입사되는 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적외선 차단부재(35)가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n infrared blocking member 35 may be formed between the image sensor 11 and the lens barrel 30 to block infrared rays incident to the image sensor 11.

이때, 상기 적외선 차단부재(35)는 일면에 적외선 차단층이 형성된 글라스 형태의 적외선 차단필터 또는 적외선 차단 재질로 형성된 적외선 차단필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frared blocking member 35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glass type infrared blocking filter having an infrared blocking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r an infrared blocking film formed of an infrared blocking material.

상기 싱글렌즈부(40)는 상기 렌즈배럴(30)의 상부에 형성되어 광축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초점을 조절하는 것으로, 하나의 싱글렌즈(41)와, 상기 싱글렌즈(41)가 결합되는 렌즈홀더(42) 및 상기 렌즈홀더(42)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싱글렌즈(4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어(4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ingle lens unit 40 is formed on the lens barrel 30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adjust the focus of the camera module. The single lens 41 and the single lens ( It may include a lens holder 42 is coupled to the 4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ens holder 42, the carrier 45 for moving the single lens 41 in the vertical direction.

여기서, 상기 렌즈홀더(42)는 상기 싱글렌즈(41)의 상면과 접촉되는 내측면에 안착돌기(4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돌기(42a)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lens holder 42 may be formed with a mounting protrusion (42a) on th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ingle lens 41, the plurality of mounting protrusions (42a) are formed to have the same height. Can be.

즉, 상기 렌즈홀더(42)에 싱글렌즈(41)를 결합시 싱글렌즈(41)의 상면이 상기 안착돌기(42a)에 안착됨으로써, 싱글렌즈(41)는 광축의 틀어짐 없이 일정한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single lens 41 is coupled to the lens holder 42, the upper surface of the single lens 41 is seated on the seating protrusion 42a, so that the single lens 41 maintains a constant flatness without distortion of the optical axis. It becomes possible.

또한, 상기 렌즈홀더(42)의 하부에는 상기 싱글렌즈(41)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지지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lens holder 42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portion 43 protruding to support the side of the single lens 41.

이때, 상기 렌즈홀더(42)와 싱글렌즈(41)의 결합시 싱글렌즈(41)가 렌즈홀더(42)의 지지부(43)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 싱글렌즈(41)의 측면을 지지부(43)가 지지함으로써, 상기 싱글렌즈(41)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광축이 틀어지는 틸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lens holder 42 and the single lens 41 are coupled, the single lens 41 is fitted into the support 43 of the lens holder 42 to support the side of the single lens 41. By supporting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ilt of the position of the single lens 41 or the tilt of the optical axis.

아울러, 상기 렌즈홀더(42)의 하부 테두리 부분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된 결합돌기(44)가 형성될 수 있으며, 렌즈홀더(42)의 하부에 결합되는 캐리어(45)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돌기(44)와 대응되도록 결합홈(46)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oupling protrusion 44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may be formed at a lower edge portion of the lens holder 42, and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arrier 45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ens holder 42. A coupling groove 46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44.

즉, 상기 렌즈홀더(42)와 상기 캐리어(45)의 결합시 렌즈홀더(42)에 형성된 결합돌기(44)가 캐리어(45)의 결합홈(46)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렌즈홀더(42)와 캐리어(45)의 결합시 광축의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립이 간편하므로,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at is, when the lens holder 42 and the carrier 45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protrusion 44 formed in the lens holder 42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46 of the carrier 45. ) And the carrier 45 can be prevented from twisting the optical axis, it is easy to assemb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production efficiency.

여기서, 상기 캐리어(45)는 상기 렌즈배럴(30)을 둘러싸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는 후술되는 액츄에이터(50)의 마그네트(51)가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carrier 45 may b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to surround the lens barrel 30, the magnet 51 of the actuator 5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상기 싱글렌즈부(40)를 광축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캐리어(45)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마그네트(51)와 상기 마그네트(51)와 마주보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코일(52)로 구성된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 VCM)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ctuator 50 is to move the single lens unit 40 up and down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one or more magnets 5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rrier 45 and one formed to face the magnets 51. It may be formed of a voice coil motor (VCM) composed of the coils 52 described above.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51)는 상기 캐리어(45)의 외측에 부착되며,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개수 및 특성이 변경 가능하다. Here, the magnet 51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arrier 45, the number and characteristic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designer.

또한, 상기 코일(52)은 상기 마그네트(51)와 마주보도록 실드캔(60)의 내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il 52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hield can 60 to face the magnet 51.

이때, 상기 실드캔(6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술한 렌즈배럴(30), 싱글렌즈부(40) 및 액츄에이터(50)를 수용하여 보호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shield can 60 is formed in a box shape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and accommodates and protects the lens barrel 30, the single lens unit 40, and the actuator 50 described above.

즉, 상기 코일(52)에 외부전원의 인가시 전기장을 생성하여 코일(52)과 마그네크(51)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여 마그네트(51)가 형성된 캐리어(45)를 광축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러한 상기 캐리어(45)의 상하이동으로 캐리어(45)에 결합된 싱글렌즈(41)가 광축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하게 된다.
That is, the electric field is generated when the external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52 and interacts with the magnetic fields of the coil 52 and the magnet 51 to move the carrier 45 having the magnet 51 up and down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single lens 41 coupled to the carrier 45 moves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move the focus automatically by moving the shank east of the carrier 45.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다수의 렌즈가 결합된 렌즈배럴(30)을 고정시키고, 렌즈배럴(30)의 상부에 광축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하나의 싱글렌즈(41)만을 사용하여 오토포커싱 함으로써, 최소한의 공간만으로 오토포커싱이 가능하므로, 카메라 모듈의 전체 높이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오토포커싱을 위한 이동거리가 축소되므로, 오토포커싱 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fixed to the lens barrel 30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lenses, one formed to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on the lens barrel 30 By autofocusing using only the single lens 41 of the camera, autofocusing is possible with a minimum of space. Therefore, the overall height of the camera module can be reduced, and the moving distance for autofocusing can be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autofocusing speed. It has an effect.

또한, 오토포커싱을 위하여 하나의 싱글렌즈(41)만 이동시키면 되므로, 종래의 렌즈배럴(30) 전체를 이동시키는 것에 비하여 액츄에이터(50)의 소모전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only one single lens 41 needs to be moved for auto focusing, the current consumption of the actuator 50 can be reduced compared to moving the entire lens barrel 30.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understand.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1 : 이미지센서 12 : 인쇄회로기판
20 : 하우징 21 : 경통부
30 : 렌즈배럴 35 : 적외선 차단부재
40 : 싱글렌즈부 41 : 싱글렌즈
42 : 렌즈홀더 42a : 안착돌기
43 : 지지부 44 : 결합돌기
45 : 캐리어 46 : 결합홈
50 : 액츄에이터 51 : 마그네트
52 : 코일 60 : 실드캔
11: image sensor 12: printed circuit board
20 housing 21 barrel part
30 lens barrel 35 infrared blocking member
40: single lens unit 41: single lens
42: lens holder 42a: seating protrusion
43: support portion 44: engaging projection
45: carrier 46: coupling groove
50: actuator 51: magnet
52: coil 60: shield can

Claims (6)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며, 내부에 하나 이상의 렌즈가 결합된 렌즈배럴;
상기 렌즈배럴 상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싱글렌즈부; 및
상기 싱글렌즈부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 housing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 lens barrel fixed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having one or more lenses coupled thereto;
A single lens unit formed to be movable on the lens barrel; And
An actuator for moving the single lens unit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렌즈부는
하나의 싱글렌즈;
상기 싱글렌즈가 결합되는 렌즈홀더; 및
상기 렌즈홀더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싱글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캐리어;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single lens unit
One single lens;
A lens holder to which the single lens is coupled; And
A carri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ens holder to move the single lens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싱글렌즈의 상면과 접촉되는 내측면에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ens holder is
Camera module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rojection on th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ingle le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싱글렌즈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ens holder is
Camera module protruding support is formed to support the side of the single le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싱글렌즈부는
상기 렌즈홀더의 테두리 하부에 돌출형성된 결합돌기가 상기 캐리어 상단에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ingle lens unit
And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lower edge of the lens holder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coupling groov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rotrusion on the upper end of the carr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싱글렌즈부에 형성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코일로 구성된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 VCM)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actuator
And a voice coil motor (VCM) comprising a magnet formed in the single lens unit and a coil formed to correspond to the magnet.
KR1020120079822A 2012-07-23 2012-07-23 Camera module KR201400128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822A KR20140012814A (en) 2012-07-23 2012-07-23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822A KR20140012814A (en) 2012-07-23 2012-07-23 Camera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814A true KR20140012814A (en) 2014-02-04

Family

ID=50263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822A KR20140012814A (en) 2012-07-23 2012-07-23 Camera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2814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942A (en) * 2014-05-23 2014-07-04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Auto focusing apparatus for micro camera module
WO2016117866A1 (en) * 2015-01-21 2016-07-28 엘지이노텍(주) Camera module
CN106291856A (en) * 2015-06-23 2017-01-04 三星电机株式会社 Camera lens module and include the camera model of this camera lens module
KR20180088896A (en) * 2015-12-02 2018-08-07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Camera lens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094086A (en) * 2015-12-16 2018-08-22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LENS ASSEMBLY WITH INTEGRATED FOCUSING DEVICE
KR20180135392A (en) * 2017-06-12 2018-12-20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lens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3841375A (en) * 2019-05-13 2021-12-24 Lg伊诺特有限公司 Camera module and camera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942A (en) * 2014-05-23 2014-07-04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Auto focusing apparatus for micro camera module
US10437007B2 (en) 2015-01-21 2019-10-08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WO2016117866A1 (en) * 2015-01-21 2016-07-28 엘지이노텍(주) Camera module
US11977269B2 (en) 2015-01-21 2024-05-07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US11536931B2 (en) 2015-01-21 2022-12-27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CN106291856A (en) * 2015-06-23 2017-01-04 三星电机株式会社 Camera lens module and include the camera model of this camera lens module
KR20180088896A (en) * 2015-12-02 2018-08-07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Camera lens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874584B2 (en) 2015-12-16 2024-01-16 Ningbo Sunny Opotech Co., Ltd. Lens module and capturing module integrating focusing mechanism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KR20180094086A (en) * 2015-12-16 2018-08-22 닝보 써니 오포테크 코., 엘티디. LENS ASSEMBLY WITH INTEGRATED FOCUSING DEVICE
KR20180135392A (en) * 2017-06-12 2018-12-20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lens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3841375A (en) * 2019-05-13 2021-12-24 Lg伊诺特有限公司 Camera module and camera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902642B2 (en) 2019-05-13 2024-02-13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and camera apparatus including same
CN113841375B (en) * 2019-05-13 2024-03-01 Lg伊诺特有限公司 Camera module and camera devic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0848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which include same
CN109212713B (en) Optical mechanism
US9900483B2 (en) Camera module
CN114114483B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20140012814A (en) Camera module
KR20130127780A (en) Camera module
US20140092298A1 (en) Camera module
KR102638687B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20180110451A (en) A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CN111433669B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20240038689A (en) Camera module,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100062657A (en) Lens actuator for image pickup apparatus
KR102661823B1 (en) Optical Apparatus
KR20230028344A (en) Camera device, dual camera device and triple camera device
KR20130092914A (en) Camera module
KR102494325B1 (en) Camera module
KR101079026B1 (en) Auto-focus optical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adopting the device
CN112262335B (en) Optical device
KR20090128852A (en)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10010016A (en) Camera module
KR100935539B1 (en) Auto focusing apparatus
US20220206364A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102524127B1 (en) Lens driving device and triple camera device
KR102041640B1 (en) Camera module
KR20220157815A (en) camera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