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210A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210A
KR20140008210A KR1020120075734A KR20120075734A KR20140008210A KR 20140008210 A KR20140008210 A KR 20140008210A KR 1020120075734 A KR1020120075734 A KR 1020120075734A KR 20120075734 A KR20120075734 A KR 20120075734A KR 20140008210 A KR20140008210 A KR 20140008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ace
lock mode
photograp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9978B1 (ko
Inventor
탁의수
하민훈
김의준
이재이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5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978B1/ko
Priority to EP13001825.2A priority patent/EP2685704B1/en
Priority to US13/900,428 priority patent/US9703939B2/en
Priority to CN201310214127.9A priority patent/CN103546627B/zh
Publication of KR20140008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04N1/00456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for layout preview, e.g. page layo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2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using a biometric data rea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3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to an apparatus, part of an apparatus or an apparatus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96Portab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98User interven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lacing documents, responding to an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굴 인식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기준 정보로서, 미리 획득된 제 1 얼굴 영상에서 복수의 좌표에 맵핑되는 제 1 촬영 거리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잠금 모드에서 얼굴 인식 기능이 실행되면,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부; 및 상기 제 2 얼굴 영상에서 상기 복수의 좌표에 맵핑되는 제 2 촬영 거리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촬영 거리 정보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얼굴 인식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or 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여 얼굴 영상을 획득하고, 얼굴 영상에 얼굴 인식 기능을 적용하여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사람 얼굴이 촬영되는 대신 도용된 사진으로부터 얼굴 영상이 획득되는 경우에도 사용자 인증에 성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동 단말기에 대한 사용 권한을 갖지 않더라도 사용자 인증에 성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안상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함에 있어서 보안성을 강화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기준 정보로서, 미리 획득된 제 1 얼굴 영상에서 복수의 좌표에 맵핑되는 제 1 촬영 거리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잠금 모드에서 얼굴 인식 기능이 실행되면,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부; 및 상기 제 2 얼굴 영상에서 상기 복수의 좌표에 맵핑되는 제 2 촬영 거리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촬영 거리 정보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모드에서 상기 피사체를 촬영 시에 상기 제 2 얼굴 영상을 위한 미리 보기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얼굴 영상의 대표 촬영 거리와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의 대표 촬영 거리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의 얼굴 크기가 상기 제 1 얼굴 영상의 얼굴 크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을 캡처하여 상기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촬영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의 얼굴 크기를 상기 제 1 얼굴 영상의 얼굴 크기에 대응하게 조정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촬영 거리 정보 간의 일치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얼굴 영상에서 서로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얼굴 부위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제 1 얼굴 부위의 좌표에 맵핑되는 촬영 거리와 상기 제 2 얼굴 부위의 좌표에 맵핑되는 촬영 거리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는 잠금 해제 방식에 따라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것에 실패하면, 다른 잠금 해제 방식에 따라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화면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외부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및 외부 물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모드에서 상기 외부 밝기 및 상기 외부 물체의 근접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얼굴 인식 기능의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모드에서 표시되는 푸시 메시지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얼굴 인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는 잠금 해제 방식에 따라 상기 잠금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푸시 메시지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복수의 렌즈를 갖는 카메라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어레이는 상기 복수의 좌표에 대한 복수의 촬영 거리를 각각 인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얼굴 영상 각각은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응하는 얼굴면과 다른 얼굴면을 촬영하여 상기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 중 다른 하나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촬영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 중 다른 하나의 영상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응하는 얼굴면과 다른 얼굴면을 촬영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터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기준 정보로서, 미리 획득된 제 1 얼굴 영상에서 복수의 좌표에 맵핑되는 제 1 촬영 거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잠금 모드에서 얼굴 인식 기능이 실행되면,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2 얼굴 영상에서 상기 복수의 좌표에 맵핑되는 제 2 촬영 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촬영 거리 정보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얼굴 영상을 위한 미리 보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얼굴 영상의 대표 촬영 거리와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의 대표 촬영 거리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의 얼굴 크기가 상기 제 1 얼굴 영상의 얼굴 크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을 캡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의 얼굴 크기를 상기 제 1 얼굴 영상의 얼굴 크기에 대응하게 조정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촬영 거리 정보 간의 일치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얼굴 영상에서 서로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얼굴 부위가 각각 추출되고, 상기 제 1 얼굴 부위의 좌표에 맵핑되는 촬영 거리와 상기 제 2 얼굴 부위의 좌표에 맵핑되는 촬영거리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는 잠금 해제 방식에 따라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것에 실패하면, 다른 잠금 해제 방식에 따라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화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얼굴 영상과 연계되고 피사체의 입체적인 형태를 반영하는 촬영 거리 정보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그러한 결과로, 이동 단말기에 대한 사용 권한을 갖지 않은 자가 사용 권한을 갖는 자의 사진을 도용하더라도, 입체성을 띄지않는 사진을 가지고선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없다. 이는, 단지 평면적인 얼굴 영상에 근거하여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것에 비해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촬영부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얼굴 영상 획득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해제 방식의 전환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해제 방식의 전환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푸시 메시지의 확인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푸시 메시지의 확인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해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터(navigato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요소들(110~190)에 대해 차례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기,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것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카메라(121)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등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통화 모드에서 마이크(122)에 의해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해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가 입력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 및 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위치, 방위, 가속, 감속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감지부(140)는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부(151)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스크린’으로 호칭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것에 대응하는 신호들은 터치 제어기(미도시됨)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처리된 신호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감지 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감지 대상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근접 센서(141)로 분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감지 대상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지 대상이 터치 스크린상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터치 스크린 상에 감지 대상이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의 유무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이러한 근접 터치 유무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에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킨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된 영상, 수신된 영상, UI 또는 GUI 등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또는 디스플레이 소자)는 그것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할 수 있는데,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선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 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성 출력 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진동의 세기,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터치 스크린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에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고 칭함)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상에서의 필기 입력 및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선택하는 패턴 선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들(processors), 제어기들(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들(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촉각을 이용하여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각 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3차원 입체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및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고 호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과 입력창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출력창과 입력창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에는 전화 번호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가 출력될 수 있다. 소프트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가 출력창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이 조작되면 출력창에 표시된 전화 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출력창에 표시된 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롤(scroll)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 및 터치 패드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실행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일 측면이 도시되고, 도 2b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및 타 측면이 도시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한다. 다만, 이동 단말기(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본체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 도 1 참조),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된 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위치하고, 타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 1 사용자 입력부(131) 및 마이크(122)가 위치한다. 제 2 사용자 입력부(132) 및 인터페이스(170)는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조작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조작 유닛들(131, 132)은 다양한 명령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선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 즉, 리어 케이스(102)에는 후면 카메라(121´)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후면 카메라(121´)는 전면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갖고, 전면 카메라(121)와 다른 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121)는 저 화소를 갖도록 구성되고, 후면 카메라(121´)는 고 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 통화 시에 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대방에 전송하는 경우 전송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반면, 후면 카메라(121´)는 고 화질의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들(121, 1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되도록 단말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 및 거울(124) 후면 카메라(121´)에 인접하는 곳에 추가 위치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낸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을 비춘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후면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 위치할 수 있다. 후면 음향 출력부(152´)는 전면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화 시에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는 통화를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 위치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구성하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본체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 도 2a 참조)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드(135)에도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후면 디스플레이부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전면 디스플레이부(151) 및 후면 디스플레이부 양면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터치 패드(13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 도 3 참조)에 있어서,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한 잠금 모드의 해제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잠금 모드란, 이동 단말기(200)의 기능이 제한적으로 수행되는 동작 상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잠금 모드에서는 터치 입력이 제한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촬영부(210), 감지부(220), 디스플레이부(230), 메모리(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촬영부(210)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잠금 모드에서 얼굴 인식 기능이 실행되면, 촬영부(210)는 사람 얼굴을 촬영하여 얼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촬영부(210)는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고, 복수의 렌즈를 갖는 카메라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어레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감지부(220)는 외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221) 및 근접 센서(22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도 센서(221)는 외부 밝기를 감지하고, 근접 센서(222)는 외부 물체(예: 사람 신체 일부 등)의 근접 여부를 감지한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촬영부(210)에서 획득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0)는 잠금 모드에서 피사체에 대한 실시간 촬영에 따른 미리 보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는 잠금 모드에서 잠금 모드 해제를 위한 화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얼굴 인식 기능을 위한 알고리즘, 잠금 모드에서 획득된 영상과 관련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40)는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기준 정보로서, 미리 획득된 얼굴 영상에서 복수의 좌표에 맵핑되는 촬영 거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거리 정보는 피사체의 표면에 임의로 정의된 복수의 좌표와 촬영부(210) 간의 복수의 촬영 거리를 포함한다. 피사체의 표면이 평면이 아니고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촬영 거리는 서로 다른 값을 갖게 된다. 복수의 촬영 거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어레이의 구조에 의해 구분되어 인식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이동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잠금 모드 해제, 영상 촬영, 얼굴 인식, 촬영 거리 정보 산출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영상 촬영, 얼굴 인식 등의 동작 시에 피사체(예: 사람 얼굴)가 정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임의의 각도(예: 30도)로 회전된 모습을 촬영하도록 촬영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촬영부(21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촬영부(210)는 복수의 렌즈를 갖는 카메라 어레이를 포함한다. 좀더 상세하게, 카메라 어레이는 매트릭스 형태(예: NxN, 여기서, N은 정수)로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각 카메라 모듈(211)은 렌즈(211a) 및 픽셀 센서(212b)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어레이에 의해 피사체는 서로 다른 복수의 시점에서 촬영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시점에서 피사체를 촬영함에 의해 획득된 복수의 피사체 정보를 조합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촬영 거리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게다가, 카메라 어레이는 더욱 정확한 피사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그런 결과, 고화질의 화면 영상이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피사체(300)를 촬영하는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촬영부(210)에 의해 피사체(300), 예를 들어, 사람 얼굴이 촬영되는 경우, 제어부(250)는 피사체(300)의 표면상에 가상적인 복수의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복수의 좌표에 각각 맵핑되는 복수의 촬영 거리를 포함하는 촬영 거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촬영 거리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300)의 표면은 굴곡져 있기 때문에, 일 좌표(P1)와 촬영부(210) 간의 제 1 촬영 거리(D1)는 타 좌표(P2)와 촬영부(210) 간의 제 2 촬영 거리(D2)와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250)는 피사체(300)의 촬영 시에 피사체(300)에 대응하는 영상, 예를 들어, 얼굴 영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 피사체(300)의 촬영 시에 얼굴 영상을 위한 미리 보기 영상이 우선 표시되고, 다음으로 제어 명령에 응답하여 미리 보기 영상이 캡처됨에 따라 얼굴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이동 단말기(200)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기준 정보로서, 미리 획득된 제 1 얼굴 영상에서 복수의 좌표에 맵핑되는 제 1 촬영 거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1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잠금 모드에서 얼굴 인식 기능이 실행되면,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20)가 수행된다. 또한, 제 2 얼굴 영상에서 복수의 좌표에 맵핑되는 제 2 촬영 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130)가 수행된다. 이후, 제 1 및 제 2 촬영 거리 정보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S140)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는 잠금 해제 방식에서, 제 1 얼굴 영상 및 제 1 촬영 거리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기준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얼굴 영상 및 제 2 촬영 거리 정보는 기준 정보와 비교되는 대상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기준 정보와 대상 정보의 일치도에 따라 잠금 모드에서 이와 같은 사용자 인증의 성공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정보와 대상 정보의 일치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예: 80%) 이상이면,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얼굴 영상은 얼굴의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면 영상은 얼굴의 정면이 촬영된 영상을 말하며, 측면 영상은 얼굴의 정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임의의 각도로 회전된 측면이 촬영된 영상을 말한다.
잠금 모드에서 제 2 얼굴 영상으로서 정면 영상이 획득되면, 제 1 얼굴 영상으로서 미리 저장된 정면 영상의 촬영 거리 정보와 상기 획득된 정면 영상의 촬영 거리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잠금 모드에서 제 2 얼굴 영상으로서 측면 영상이 획득되면, 제 1 얼굴 영상으로서 미리 저장된 측면 영상의 촬영 거리 정보와 상기 획득된 측면 영상의 촬영 거리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잠금 모드에서 제 2 얼굴 영상으로서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이 모두 획득되면, 제 1 얼굴 영상으로서 미리 저장된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의 촬영 거리 정보와 상기 획득된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의 촬영 거리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얼굴 영상과 연계되고 피사체의 입체적인 형태를 반영하는 촬영 거리 정보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그러한 결과로, 이동 단말기(200)에 대한 사용 권한을 갖지 않은 자가 사용 권한을 갖는 자의 사진을 도용하더라도, 입체성을 띄지않는 사진을 가지고선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없다. 이는, 단지 평면적인 얼굴 영상에 근거하여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것에 비해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얼굴 영상의 부분적인 비교를 통해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우선, 제어부(250)는 제 1 및 제 2 얼굴 영상에서 서로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얼굴 부위를 각각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얼굴 영상에서 눈, 코, 입 등의 얼굴 부위가 추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250)는 제 1 얼굴 부위의 좌표에 맵핑되는 촬영 거리와 제 2 얼굴 부위의 좌표에 맵핑되는 촬영 거리를 비교하고, 이에 대한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얼굴의 특징 부분과 관련된 데이터를 선별하여 비교함으로써, 잠금 모드의 해제 시에 사용자 인증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120)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우선, 잠금 모드에서 피사체를 촬영 시에 제 2 얼굴 영상을 위한 미리 보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221)가 수행된다. 이후, 제 1 얼굴 영상의 대표 촬영 거리와 미리 보기 영상의 대표 촬영 거리의 차이에 근거하여 미리 보기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단계(S222)가 수행된다.
여기서, 대표 촬영 거리는 피사체 표면의 복수의 좌표와 촬영부(210) 간의 복수의 촬영 거리를 대표하는 어느 하나를 말한다. 이러한 대표 촬영 거리는 서로 다른 촬영 상태에서 획득된 영상을 비교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영상 간의 비교 기준이 일치하도록 대표 촬영 거리에 근거하여 비교 대상에 해당하는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가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대표 촬영 거리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표 촬영 거리는 복수의 촬영 거리 중 최소값 또는 최대값일 수 있다. 또는, 대표 촬영 거리는 복수의 촬영 거리의 평균값일 수 있다.
다음으로, 확대 또는 축소된 미리 보기 영상을 캡처하여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223)가 수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잠금 모드를 해제함에 있어, 현재 촬영된 얼굴 영상과 관련된 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얼굴 영상과 관련된 데이터와 동일한 기준에 의해 비교될 수 있도록, 영상 크기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미리 보기 영상에 대응하는 얼굴 영상이 정면 영상(측면 영상)이면, 정면 영상(측면 영상)의 획득 후에 측면 영상(정면 영상)이 획득될 수 있도록 미리 보기 영상이 갱신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사체(사람 얼굴)의 측면(정면)을 촬영하도록 촬영부(210)가 제어되거나, 렌더링(rendering) 또는 모델링(modeling) 기술이 이용되어 정면 영상(측면 영상)으로부터 측면 영상(정면 영상)이 예측될 수 있다. 이는 제 1 및 제 2 얼굴 영상의 획득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우선, 잠금 모드에서 피사체를 촬영 시에 제 2 얼굴 영상을 위한 미리 보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321)가 수행된다. 이후, 미리 보기 영상의 얼굴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322)가 수행된다. 안내 정보는 바람직한 얼굴 크기를 안내하는 그래픽 객체, 텍스트 형태의 안내 문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이하에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으로, 제 1 얼굴 영상의 얼굴 크기와 미리 보기 영상의 얼굴 크기를 상호 비교하는 단계(S322)가 수행된다. 비교되는 얼굴 크기들이 서로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보기 영상을 갱신하는 단계(S324)가 수행된다. 미리 보기 영상의 갱신 후에(S324), 얼굴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S322)는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스스로 촬영부(210)를 향해 다가가거나 촬영부(210)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사체(예: 사용자 자신의 얼굴)에 대한 촬영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촬영부(210)의 줌(zoom)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사체에 대한 초점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잠금 모드를 해제함에 있어, 현재 촬영된 얼굴 영상과 관련된 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얼굴 영상과 관련된 데이터와 동일한 기준에 의해 비교될 수 있도록, 영상 크기가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비교되는 얼굴 크기들이 서로 대응하는 경우에는, 미리 보기 영상을 캡처하여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325)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미리 보기 영상에 대응하는 얼굴 영상이 정면 영상(측면 영상)이면, 정면 영상(측면 영상)의 획득 후에 측면 영상(정면 영상)이 획득될 수 있도록, 촬영할 얼굴면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면 영상이 획득되면, 측면 영상이 획득될 수 있도록 사용자 얼굴의 측면 촬영을 요구하는 안내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미리 보기 영상은 사람의 눈이 깜빡거림을 고려하여 캡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이 감긴 상태의 얼굴 영상은 무시되고, 눈이 떠진 상태의 얼굴 영상이 유효 영상으로 캡처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얼굴 영상 획득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어부(250)는 잠금 모드에서 피사체를 촬영 시에 제 2 얼굴 영상을 위한 미리 보기 영상(231)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미리 보기 영상(231)을 통해 자신의 얼굴이 어떠한 크기로 촬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잠금 모드에서 획득된 제 2 얼굴 영상은 미리 저장된 제 1 얼굴 영상과 동일한 기준에 의해 비교되도록, 미리 보기 영상(231)은 캡처되기 전에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잠금 모드에서 미리 보기 영상(231)의 크기 변경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232)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안내 정보(232)는 제 1 얼굴 영상의 얼굴 크기를 안내하는 그래픽 객체(232a) 및 촬영 거리를 조절을 안내하는 텍스트 문구(232b)를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문구(232b)의 예로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금 더 멀리 떨어져서 촬영해 주세요.” 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금 더 가까이 다가와서 촬영해 주세요.”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안내 정보(232)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자신의 얼굴과 촬영부(210) 간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줌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한 결과로, 미리 보기 영상(231)의 얼굴 크기가 제 1 얼굴 영상의 크기에 대응하면, 제어부(250)는 미리 보기 영상(231)을 캡처하여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도록 촬영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보기 영상(231)의 얼굴 크기가 제 1 얼굴 영상의 크기에 대응함은, 미리 보기 영상(231)의 얼굴 크기가 제 1 얼굴 영상의 얼굴 크기를 안내하는 그래픽 객체(232a)의 크기와 대응함을 의미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해제 방식의 전환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2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는 잠금 해제 방식에 따라 잠금 모드 해제를 시도하는 단계(S41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잠금 모드 해제의 실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20)가 수행된다.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것에 실패하면, 다른 잠금 해제 방식에 따라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화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430)가 수행된다. 다시 말해,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는 잠금 해제 방식을 대체하기 위한 다른 잠금 해제 방식이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흉터, 성형 수술 등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이 예전과 달라져서 얼굴 인식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대체 수단을 통해 잠금 모드가 해제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해제 방식의 전환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것에 실패하면, 제어부(250)는,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것에 실패하였음을 알려주고, 다른 잠금 해제 방식을 이용하여 잠금 모드를 해제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정보(233)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메뉴 정보(233)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다른 잠금 해제 방식에 따라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화면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화면 영상(234)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 번호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화면 영상(235)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외부 환경에 따라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얼굴 인식 기능의 실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221)에 의해 감지되는 외부 밝기 및 근접 센서(222)에 의해 감지되는 외부 물체의 접근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얼굴 인식 기능의 실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없을 정도로, 외부가 어둡거나 사용자의 신체가 촬영부(210)에 접근한 상태임이 감지되면, 제어부(250)는 잠금 모드에서 얼굴 인식 기능을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패턴 인식 기능, 비밀 번호 인식 기능 등의 다른 잠금 해제 방식에 따라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화면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푸시 메시지의 확인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2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우선, 잠금 모드에서 푸시 메시지(push message)를 표시하는 단계(S510)가 수행된다. 이때, 푸시 메시지의 전체 내용이 공개되지 않고, 일부 내용만이 공개될 수 있다.
다음으로, 푸시 메시지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얼굴 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S520)가 수행된다.
이후,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30)가 수행된다.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경우, 푸시 메시지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예: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540)가 수행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푸시 메시지의 확인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250)는 잠금 모드에서 푸시 메시지(236)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푸시 메시지(236)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얼굴 인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50)는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는 잠금 해제를 위한 화면 영상(231)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얼굴 영상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촬영 거리 정보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잠금 모드가 해제되면, 제어부(250)는 푸시 메시지(236)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영상(237)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잠금 모드에서 푸시 메시지(236)를 표시함에는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메시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메시지 내용을 자세히 확인하거나 푸시 메시지의 상대방과 대화를 이어갈 수 있도록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을 요구함으로써, 보안성이 강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4)

  1.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기준 정보로서, 미리 획득된 제 1 얼굴 영상에서 복수의 좌표에 맵핑되는 제 1 촬영 거리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잠금 모드에서 얼굴 인식 기능이 실행되면,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부; 및
    상기 제 2 얼굴 영상에서 상기 복수의 좌표에 맵핑되는 제 2 촬영 거리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촬영 거리 정보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모드에서 상기 피사체를 촬영 시에 상기 제 2 얼굴 영상을 위한 미리 보기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얼굴 영상의 대표 촬영 거리와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의 대표 촬영 거리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의 얼굴 크기가 상기 제 1 얼굴 영상의 얼굴 크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을 캡처하여 상기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의 얼굴 크기를 상기 제 1 얼굴 영상의 얼굴 크기에 대응하게 조정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촬영 거리 정보 간의 일치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얼굴 영상에서 서로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얼굴 부위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제 1 얼굴 부위의 좌표에 맵핑되는 촬영 거리와 상기 제 2 얼굴 부위의 좌표에 맵핑되는 촬영 거리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는 잠금 해제 방식에 따라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것에 실패하면, 다른 잠금 해제 방식에 따라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화면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및
    외부 물체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모드에서 상기 외부 밝기 및 상기 외부 물체의 근접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얼굴 인식 기능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모드에서 표시되는 푸시 메시지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얼굴 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는 잠금 해제 방식에 따라 상기 잠금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푸시 메시지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복수의 렌즈를 갖는 카메라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어레이는 상기 복수의 좌표에 대한 복수의 촬영 거리를 각각 인식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얼굴 영상 각각은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응하는 얼굴면과 다른 얼굴면을 촬영하여 상기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 중 다른 하나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상기 촬영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 중 다른 하나의 영상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응하는 얼굴면과 다른 얼굴면을 촬영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터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기준 정보로서, 미리 획득된 제 1 얼굴 영상에서 복수의 좌표에 맵핑되는 제 1 촬영 거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잠금 모드에서 얼굴 인식 기능이 실행되면,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2 얼굴 영상에서 상기 복수의 좌표에 맵핑되는 제 2 촬영 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및 제 2 촬영 거리 정보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얼굴 영상을 위한 미리 보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얼굴 영상의 대표 촬영 거리와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의 대표 촬영 거리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의 얼굴 크기가 상기 제 1 얼굴 영상의 얼굴 크기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을 캡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얼굴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의 얼굴 크기를 상기 제 1 얼굴 영상의 얼굴 크기에 대응하게 조정하기 위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촬영 거리 정보 간의 일치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얼굴 영상에서 서로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얼굴 부위가 각각 추출되고, 상기 제 1 얼굴 부위의 좌표에 맵핑되는 촬영 거리와 상기 제 2 얼굴 부위의 좌표에 맵핑되는 촬영거리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인식 기능을 이용하는 잠금 해제 방식에 따라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것에 실패하면, 다른 잠금 해제 방식에 따라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화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20075734A 2012-07-11 2012-07-11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99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734A KR101899978B1 (ko) 2012-07-11 2012-07-11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EP13001825.2A EP2685704B1 (en) 2012-07-11 2013-04-09 Unlocking a mobile terminal using face recognition
US13/900,428 US9703939B2 (en) 2012-07-11 2013-05-22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310214127.9A CN103546627B (zh) 2012-07-11 2013-05-31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734A KR101899978B1 (ko) 2012-07-11 2012-07-11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210A true KR20140008210A (ko) 2014-01-21
KR101899978B1 KR101899978B1 (ko) 2018-09-19

Family

ID=4814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734A KR101899978B1 (ko) 2012-07-11 2012-07-11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03939B2 (ko)
EP (1) EP2685704B1 (ko)
KR (1) KR101899978B1 (ko)
CN (1) CN103546627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3768A1 (ko) * 2014-07-23 2016-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1815A (ko) * 2014-12-30 2016-08-03 시아오미 아이엔씨. 알림 정보 표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70078416A (ko) * 2015-12-29 2017-07-07 엘리셀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과 그 장치
US10198594B2 (en) 2014-12-30 2019-02-05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JP2021184265A (ja) * 2014-08-28 2021-12-02 ケビン・アラン・チューシーKevin Alan Tussy 認証システムにおいてユーザを登録および認証するための方法、顔認証システム、ならびに認証システムにおいてユーザを認証するための方法
CN114429656A (zh) * 2021-12-30 2022-05-03 苏州思英智能科技有限公司 人脸识别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9822B2 (en) 2014-02-17 2016-11-29 Seungman KIM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in mobile device
KR102420100B1 (ko) * 2014-03-14 2022-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EP2919142B1 (en) * 2014-03-14 2023-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status information
TWI578295B (zh) * 2014-04-21 2017-04-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顯示器及其亮度調整方法
US9948770B2 (en) * 2014-10-07 2018-04-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sen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9941918B2 (en) 2015-01-07 201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based on bending status thereof
US10255481B2 (en) * 2015-01-07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ith adjustments display
KR20160141566A (ko) * 2015-06-01 2016-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4994301B (zh) * 2015-07-20 2018-12-07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及终端
US20170094159A1 (en) * 2015-09-24 2017-03-30 The Eye Tribe Method for initiating photographic image capture using eyegaze technology
KR101782086B1 (ko) * 2015-10-01 2017-09-26 장헌영 이동단말 제어장치 및 방법
USD799499S1 (en) * 2015-10-16 2017-10-10 Nasdaq,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5516591A (zh) * 2015-12-11 2016-04-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移动终端的拍摄控制方法及其装置和移动终端
CN106951754B (zh) * 2016-01-06 2018-08-31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信息图像显示方法及装置
CN105718774B (zh) * 2016-01-26 2018-09-14 厦门云顶伟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保护的方法及电子设备
KR102627244B1 (ko) * 2016-11-30 202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홍채 인식을 위한 이미지 표시 방법
KR20180098059A (ko) 2017-02-24 2018-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6851013A (zh) * 2017-03-07 2017-06-1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状态判断方法、装置及终端
CN110381194A (zh) * 2018-04-12 2019-10-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解锁移动电子设备的方法和移动电子设备
CN109756723B (zh) 2018-12-14 2021-06-11 深圳前海达闼云端智能科技有限公司 获取影像的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11080514B2 (en) * 2019-09-13 2021-08-03 Citrix Systems, Inc. Facial recognition based auto zoom
US20220414193A1 (en) * 2021-06-28 2022-12-29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adaptive illustrations
CN113644747A (zh) * 2021-10-18 2021-11-12 深圳市鑫道为科技有限公司 用于智能监控警示的隐蔽性开关设备监控***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4097U (zh) 1988-01-30 1989-03-15 冯登云 手动割管器
US7660444B2 (en) * 2000-02-24 2010-02-0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recognition using CCD cameras
JP2004118627A (ja) * 2002-09-27 2004-04-15 Toshiba Corp 人物認証装置および人物認証方法
EP1594085A4 (en) * 2003-02-13 2008-02-27 Nec Corp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UNEMPLOYED PERSONS
JP4734980B2 (ja) * 2005-03-15 2011-07-27 オムロン株式会社 顔認証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顔認証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顔認証装置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7013768A (ja) * 2005-07-01 2007-01-18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装置
JP4367424B2 (ja) * 2006-02-21 2009-11-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個人識別装置,個人識別方法
JP4185533B2 (ja) * 2006-06-15 2008-11-26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認証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7066862B (zh) * 2007-09-24 2022-11-25 苹果公司 电子设备中的嵌入式验证***
CN102197412B (zh) * 2008-10-28 2014-01-08 日本电气株式会社 伪装检测***和伪装检测方法
JP5239878B2 (ja) * 2009-01-07 2013-07-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立体画像作成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立体画像提供装置
KR101108835B1 (ko) * 2009-04-28 2012-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얼굴 인증 시스템 및 그 인증 방법
JP5642410B2 (ja) * 2010-03-30 2014-1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顔認識装置及び顔認識方法
CN102034097B (zh) * 2010-12-21 2012-07-04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综合利用正面与侧面图像的人脸识别的方法
US8836530B1 (en) * 2011-06-21 2014-09-16 Google Inc. Proximity wakeup
US9082235B2 (en) * 2011-07-12 2015-07-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ing facial data for device authentication or subject identification
KR101160681B1 (ko) * 2011-10-19 2012-06-28 배경덕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시에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3768A1 (ko) * 2014-07-23 2016-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2009A (ko) * 2014-07-23 201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906773B2 (en) 2014-07-23 2018-02-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21184265A (ja) * 2014-08-28 2021-12-02 ケビン・アラン・チューシーKevin Alan Tussy 認証システムにおいてユーザを登録および認証するための方法、顔認証システム、ならびに認証システムにおいてユーザを認証するための方法
KR20160091815A (ko) * 2014-12-30 2016-08-03 시아오미 아이엔씨. 알림 정보 표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10198594B2 (en) 2014-12-30 2019-02-05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US10706173B2 (en) 2014-12-30 2020-07-07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notification information
KR20170078416A (ko) * 2015-12-29 2017-07-07 엘리셀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과 그 장치
KR101867564B1 (ko) * 2015-12-29 2018-07-17 엘리셀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마스크 팩 제조 방법과 그 장치
CN114429656A (zh) * 2021-12-30 2022-05-03 苏州思英智能科技有限公司 人脸识别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CN114429656B (zh) * 2021-12-30 2023-01-13 苏州思英智能科技有限公司 人脸识别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03939B2 (en) 2017-07-11
US20140028823A1 (en) 2014-01-30
KR101899978B1 (ko) 2018-09-19
EP2685704A1 (en) 2014-01-15
EP2685704B1 (en) 2018-08-01
CN103546627B (zh) 2017-06-30
CN103546627A (zh)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97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1768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32959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30316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99003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5003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0689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88745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31467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2013012233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3854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그룹 생성 방법
KR201500393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3051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2007614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KR10130026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587099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7692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911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71803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1958666B1 (ko) 이동 단말기
KR10189200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10043325A (ko) 단말기에서의 명령어 입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기
KR2013011055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6574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KR20140064492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