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063A - Cloud monitor - Google Patents

Cloud moni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063A
KR20140008063A KR1020120075035A KR20120075035A KR20140008063A KR 20140008063 A KR20140008063 A KR 20140008063A KR 1020120075035 A KR1020120075035 A KR 1020120075035A KR 20120075035 A KR20120075035 A KR 20120075035A KR 20140008063 A KR20140008063 A KR 20140008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cloud
hinge
hous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희숙
Original Assignee
이나루티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나루티앤티(주) filed Critical 이나루티앤티(주)
Priority to KR102012007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8063A/en
Publication of KR20140008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0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A cloud monitor is disclos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loud monitor comprising: a monitor and a cloud stand in which a cloud terminal is detachably installed or which is installed at the backside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ud monitor realizes an external compact size by combining the monitor with the cloud stand or enables a user to connect the cloud stand separated from the monitor to other monitors which are separated from an initial area.

Description

클라우드 모니터{CLOUD MONITOR}Cloud Monitor {CLOUD MONITOR}

본 발명은, 클라우드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서버와 서로 간에 실질적인 통신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터미널이 클라우드 스탠드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클라우드 스탠드 또한 모니터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컴팩트한 형태로 구현 가능한 클라우드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ud monitor, and more particularly, a cloud terminal that performs substantial communication between a cloud server and each other is detachable from a cloud stand, and the cloud stand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onitor, thereby providing a compact form. The cloud monitor that can be implemented.

최근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빠른 발전속도로 인해 그 교체 주기가 단축됨에 따라, 컴퓨터 환경을 가상화 함으로써 많은 자원을 사용자들끼리 공유하여 사용하도록 하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교체 필요성을 줄이고자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술이 사용자들로부터 주목받고 있다.As the replacement cycle is shortened due to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hardware and software, cloud computing aims to reduce the need for hardware and software replacement by virtualizing the computer environment so that many resources are shared among users. Techn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from users.

클라우드 컴퓨팅은 IT 관련된 기능들이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컴퓨팅 스타일로서, 사용자들은 지원하는 기술의 인프라 스트럭처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거나 또는 제어할 줄 몰라도 인터넷으로부터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클라우드 컴퓨팅은 "정보가 인터넷상의 서버에 영구적으로 저장되고 데스크톱이나 테이블 컴퓨터, 노트북, 벽걸이 컴퓨터, 휴대용 기기 등과 같은 클라이언트에는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것"과 같은 패러다임을 갖는 컴퓨팅 스타일로서, 일반적인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는 서버에 저장된다.Cloud computing is a computing style in which IT-related functions are provided in the form of services, allowing users to access the services from the Internet without having or knowing how to control the infrastructure of the technology they support. As such, cloud computing is a common cloud computing style with a paradigm such as "information is permanently stored on servers on the Internet and temporarily stored on clients such as desktops, table computers, laptops, wall computers, portable devices, etc." Software and data are stored on the server.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은 점차 회사 및 가정의 컴퓨팅 스타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사용자는 원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와,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별도의 클라우드 단말기를 구비해야 한다. 이에 따라, 모니터와 클라우드 단말기가 일체로 이루어져 보다 컴팩트한 외관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분리한 후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요구된다.
Such cloud computing is gradually developing into a computing style of a company and a home, and for this, a user needs to have a monitor displaying a desired screen and a separate cloud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cloud server.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structure in which a monitor and a cloud terminal are integrally formed to not only realize a more compact appearance size, but also to be separated and portable when necessary.

본 발명의 목적은, 모니터와 클라우드 단말기가 일체로 이루어져 컴팩트한 외관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클라우드 단말기를 모니터로부터 분리하여 클라우드 단말기를 휴대한 후 최초 장소로부터 떨어진 별도의 장소에 마련된 모니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모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alize a compact appearance size by combining the monitor and the cloud terminal as well as to separate the cloud terminal from the monitor if necessary to carry the cloud terminal to a monitor provided in a separate place away from the first place. It is to provide cloud monitor that can be connected and used.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은, 모니터; 및 상기 모니터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터미널이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클라우드 스탠드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모니터에 의해서 달성된다.The object is a monitor; And it is achieved by a cloud monitor including a cloud stand that is not only detachab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monitor, but also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loud terminal.

여기서, 상기 클라우드 스탠드는, 각종 통신 및 전원 연결부품이 내장되고 상기 모니터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클라우드 터미널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하우징이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는 힌지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ud stand may include: a housing in which various communication and power connection parts are embedded and fixed to the rear of the monitor, and the cloud terminal is detachably mounted; A bas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hinge rotating member provided on the housing and the base such that the housing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상기 힌지회전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상기 모니터에 고정 결합되는 제1 브래킷; 상기 베이스 내에서 상기 베이스에 고정 결합되는 제2 브래킷; 및 상기 제1 브래킷과 상기 제2 브래킷을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의 힌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rotating member may include a first bracke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fixedly coupled to the monitor; A second bracket fixedly coupled to the base in the base; And a hinge module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to allow hinge rotation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제1 브래킷은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모니터의 후방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housing and the first bracket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nitor through screwing.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2 브래킷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결합 앵글; 상기 한 쌍의 결합 앵글에 각각 일측 및 타측 영역이 연결되며 상기 제1 브래킷에 고정 연결되는 결합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결합 앵글과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각각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결합 앵글에 대해 상기 결합 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module may include a pair of coupling angles fixed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econd bracket; A coupling plate hav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pair of coupling angles, respectively and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And a pair of hinge parts provided at each connection portion of the pair of coupling angles and the coupling plate so that the coupling plat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coupling angles.

상기 힌지부는, 상기 결합 앵글에 형성된 제1 삽입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 삽입공에 삽입 가능하도록 돌출 블록이 마련되는 힌지봉; 및 상기 힌지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hinge unit may include: a hinge rod rotatably inserted into a first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oupling angle and provided with a protruding block to be inserted into a second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oupling plate; And a nut coupled to the end of the hinge rod.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된 각종 통신 및 전원 연결부품과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에는 USB 포트, 오디오 연결 소켓, 랜 연결 소켓이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전원 연결 및 상기 클라우드 터미널과의 통신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엘이디 램프와 스마트 카드 인식부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base is provided with a USB port, an audio connection socket, and a LAN connection socket so as to be connected to various communication and power connection parts provided in the housing, and the base includes an LED lamp and a smart display for displaying the power connection and the communication status with the cloud terminal. The card recognition uni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클라우드 모니터에 따르면, 모니터와 클라우드 스탠드가 일체로 이루어져 컴팩트한 외관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클라우드 스탠드를 모니터로부터 분리하여 휴대한 후 최초 장소로부터 떨어진 별도의 장소에 마련된 모니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loud moni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monitor and the cloud stand are integrated to realize a compact appearance size, but also the cloud stand is separated from the monitor and carried in a separate place away from the original place if necessary. Can be connected to the monitor provid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모니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모니터의 힌지회전부재와 모니터 및 베이스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모니터의 힌지회전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모니터의 힌지회전부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모니터의 측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ud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hinge rotating member and the monitor and the base of the cloud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rotating member of the cloud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nge rotating member of the cloud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loud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모니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모니터의 힌지회전부재와 모니터 및 베이스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모니터의 힌지회전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ud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hinge rotating member and the monitor and the base of the cloud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hinge of a cloud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ing member.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모니터의 힌지회전부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클라우드 모니터의 측단면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inge rotating member of the cloud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oud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모니터는, 인터넷을 통한 컴퓨팅 자원의 온 디멘드 아웃소싱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가정 및 회사 등에서 편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The cloud monit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comfortably use at home or a company based on cloud computing technology that provides on-demand outsourcing of computing resources through the Interne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모니터는, 모니터(100) 및 모니터(100)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터미널(200)이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클라우드 스탠드(300)를 포함한다.The cloud monitor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oud stand 300 which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at the rear of the monitor 100 and the monitor 100 and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cloud terminal 200.

여기서, 모니터(100)는 통상적으로 개인용 PC의 디스플레이 용도로 사용되는 기기를 말하며, 일 예로 벽걸이 설치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벽걸이용 모니터(100)의 후방면에는 벽걸이 브래킷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vesa 홀(미도시)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vesa 홀에 스크루 결합을 통해 후술하는 하우징(310)은 모니터(100)에 고정 가능하다. 이러한 하우징(310)의 고정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Here, the monitor 100 refers to a device that is typically used for a display of a personal PC, for example, preferably has a structure that can be wall-mounted. Specifically, a plurality of separate vesa holes (not shown)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all-mounted monitor 100 to fix the wall-mount brackets, and the housing 31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screw coupling to the vesa holes is a monitor. Can be fixed to 100. The fixed coupling structure of the housing 310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클라우드 스탠드(300)는, 각종 통신 및 전원 연결부품이 내장되고 모니터(100)의 후방에 고정되는 하우징(310), 하우징(3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320), 및 베이스(320)에 대해 하우징(310)이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310) 및 베이스(320)에 마련되는 힌지회전부재(330)를 포함한다.The cloud stand 300 includes a housing 310 in which various communication and power connection parts are embedded and fixed to the rear of the monitor 100, a base 320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310, and a base 320. It includes a hinge rotating member 330 provided in the housing 310 and the base 320 so that the housing 310 is hinged rotatable.

먼저, 하우징(310)은 일정 이상의 수용 공간을 가지며, 그 내측에는 일 예로 모니터(100)의 HDMI 단자, dvi-d 포트, 모니터 dc 잭 등과 연결 가능하도록 다양한 통신 및 전원 연결부품이 내장 설치된다. 이러한 하우징(310)은 일 예로 전방 및 후방 하우징으로 구분 가능하며, 내측에는 모니터(100)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된 힌지회전부재(330)의 일 부분인 제1 브래킷(331)이 마련된다.
First, the housing 310 has a predetermined or more accommodation space, and various communication and power connection components ar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310 so as to be connected to, for example, an HDMI terminal, a dvi-d port, a monitor dc jack, and the like of the monitor 100. The housing 310 may be divided into, for example, a front and a rear housing, and an inner side of the first bracket 331 is provided as a part of the hinge rotating member 330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onitor 100.

하우징(310) 및 제1 브래킷(331)은 나사 결합을 통해 모니터(100)의 후방면에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100)의 후방면에는 대략 4개의 vesa 홀이 형성되며, 하우징(310) 및 제1 브래킷(331)에는 이러한 4개의 vesa 홀에 대응하도록 마찬가지로 4개의 나사 결합홀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먼저 별도의 후크 또는 안착 결합 구조를 통해 하우징(310)의 내벽에 제1 브래킷(331)을 고정한 후, 4개의 vesa 홀에 대응하도록 나사 결합홀을 연통시킨 후 나사를 이용하여 하우징(310) 및 제1 브래킷(331)을 모니터(100) 후방에 고정 결합하게 된다.
The housing 310 and the first bracket 331 are fixed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onitor 100 through screwing.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approximately four vesa holes are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monitor 100, and similarly four screw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housing 310 and the first bracket 331 to correspond to the four vesa holes. Are formed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user first fixes the first bracket 331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310 through a separate hook or seating coupling structure, and then connects the screw coupling holes to correspond to the four vesa holes, and then uses the screws. The housing 310 and the first bracket 331 are fixed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monitor 100.

하우징(310)의 일측에는 절개구(311)가 마련되며, 클라우드 터미널(200)은 하우징(310)에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클라우드 터미널(200)은 실질적으로 클라우드 서버(미도시)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하우징(310)에 대해 슬라이딩 결합하여 절개구(311) 내측에 수용된다. 덧붙여, 절개구(311)를 형성하는 하우징(310)의 둘레 모서리 영역 및 클라우드 터미널(200)의 외면에는 서로 간에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미도시) 및 가이드 돌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An incision 31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310, and the cloud terminal 200 is mounted to be detachable from the housing 310. The cloud terminal 200 substantially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communicating with a cloud server (not shown), and is accommodated inside the cutout 311 by slidingly engaging with the housing 310. In addition, a guide rail (not shown) and a guide protrusion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a peripheral edge region of the housing 310 forming the cutout 311 and an outer surface of the cloud terminal 200 to allow sliding coupling with each other. Can be.

베이스(320)는 하우징(3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모니터(100) 및 하우징(31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하우징(310) 내에 마련된 각종 통신 및 전원 연결부품과 연결되도록, USB 포트, 오디오 연결 소켓, 랜 연결 소켓 등이 마련된다.The base 32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310 to support the monitor 100 and the housing 310, and to be connected to various communication and power connection components provided in the housing 310, a USB port and an audio connection socket. LAN connection sockets are provided.

또한, 베이스(320)에는 외부 전원에 의한 전원 연결 상태 및 클라우드 터미널(200)과의 통신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엘이디 램프가 마련되며, 정해진 사용자를 인식 가능하도록 스마트 카드 인식부가 추가적으로 마련된다.
In addition, the base 320 is provided with an LED lamp for displaying the power connection state by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cloud terminal 200, and a smart card recognition unit is additionally provided to recognize a predetermined user.

힌지회전부재(330)는, 베이스(320)에 대해 하우징(310)이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310) 및 베이스(320)에 마련된다.The hinge rotating member 330 is provided in the housing 310 and the base 320 so that the housing 310 can hinge-rotate with respect to the base 320.

구체적으로, 힌지회전부재(330)는, 하우징(310) 내에 마련되어 모니터(100)에 고정 결합되는 제1 브래킷(331), 베이스(320) 내에서 베이스(320)에 고정 결합되는 제2 브래킷(332), 및 제1 브래킷(331)과 제2 브래킷(332)을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하우징(310)의 힌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 모듈(333)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hinge rotating member 330 is provided in the housing 310, the first bracket 331 is fixed to the monitor 100, the second bracket fixedly coupled to the base 320 in the base 320 ( 332, and a hinge module 333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bracket 331 and the second bracket 332 to enable hinge rotation of the housing 310.

제1 브래킷(331)은 대략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310)의 후방면에 마련된 4개의 vesa 홀에 대응하도록 4개의 나사 결합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브래킷(331)은 모니터(100)의 힌지 회전시 모니터(100)의 후방면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강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일 예로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bracket 331 has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nd four screw coupling holes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our vesa hole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310. The first bracket 331 imparts rigidity to more stably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monitor 100 when the hinge of the monitor 100 rotates. For example, the first bracket 331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또한, 제2 브래킷(332)은 베이스(320)의 내측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서, 베이스(32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굴곡진 형상을 갖는다. 제2 브래킷(332)은 제1 브래킷(331)과 마찬가지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cond bracket 332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ase 320 and has a curved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ase 320. Like the first bracket 331, the second bracket 332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힌지 모듈(333)은, 제2 브래킷(332)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결합 앵글(333-1), 한 쌍의 결합 앵글(333-1)에 각각 일측 및 타측 영역이 연결되며 제1 브래킷(331)에 고정 연결되는 결합 플레이트(333-2), 및 한 쌍의 결합 앵글(333-1)과 결합 플레이트(333-2)의 각각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어 한 쌍의 결합 앵글(333-1)에 대해 결합 플레이트(333-2)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부(333-3)를 포함한다.The hinge module 333 is connected to one pair of coupling angles 333-1 and one pair of coupling angles 333-1 which are fixed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econd bracket 332, and the other side reg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coupling plate 333-2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331, and a pair of coupling angles provided at each connection portion of the pair of coupling angles 333-1 and 333-2. And a pair of hinge portions 333-3 to which the coupling plate 333-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333-1.

결합 앵글(333-1)은 제2 브래킷(332)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1쌍으로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 가능하다. 이러한 결합 앵글(333-1)에는 각각 제1 삽입공(333-1a)이 형성된다. The coupling angles 333-1 are coupled in a pai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racket 332, and specifically, may be coupled through screw coupling. Each of the coupling angles 333-1 is provided with first insertion holes 333-1a.

결합 플레이트(333-2)는 대략 'ㄷ'자의 단명 형상을 가지며, 일측 및 타측 영역은 1쌍의 결합 앵글(333-1)에 힌지부(333-3)를 통해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결합 플레이트(333-2)의 상부 영역은 나사 결합을 통해 제1 브래킷(331)에 고정된다. 여기서, 결합 플레이트(333-2)의 양측, 즉 1쌍의 결합 앵글(333-1)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양측 영역에는 각각, 제2 삽입공(333-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삽입공(333-2a)은 원형으로 형성되지 않으며, 모니터(100)의 힌지 회전을 위한 제1 브래킷(331)의 회전시 결합 플레이트(333-2)와 더불어 힌지부(333-3)를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부(333-3)의 일부분에 걸림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plate 333-2 has a short-form shape of approximately 'c',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air of coupling angles 333-1 through the hinge portion 333-3. The upper region of the coupling plate 333-2 is fixed to the first bracket 331 through screwing. Here, second insertion holes 333-2a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oupling plate 333-2, that is, at both side regions disposed adjacent to the pair of coupling angles 333-1, respectively. The second insertion hole 333-2a is not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hinge portion 333-3 together with the coupling plate 333-2 when the first bracket 331 for rotating the hinge of the monitor 100 is rotated. It is desirable to have a shape that can be locked to a portion of the hinge portion (333-3) to rotate.

힌지부(333-3)는, 한 쌍의 결합 앵글(333-1)과 결합 플레이트(333-2)의 각각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며, 결합 앵글(333-1)에 대해 결합 플레이트(333-2)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hinge portion 333-3 is provided at each connection portion of the pair of coupling angles 333-1 and the coupling plate 333-2, and the coupling plate 333-with respect to the coupling angle 333-1. 2) is rotatably coupled.

이러한 힌지부(333-3)는, 결합 앵글(333-1)에 형성된 제1 삽입공(333-1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결합 플레이트(333-2)에 형성된 제2 삽입공(333-2a)에 삽입되는 힌지봉(333-3a), 및 힌지봉(333-3a)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333-3b)를 포함한다. 또한, 힌지부(333-3)는, 너트(333-3b)의 일측에 마련되며 힌지봉(333-3a)이 삽입되는 와셔 또는 고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inge part 333-3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333-1a formed in the coupling angle 333-1,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333-formed in the coupling plate 333-2. Hinge rod 333-3a inserted into 2a), and nut 333-3b coupled to the end of hinge rod 333-3a. In addition, the hinge portion 333-3 may further include a washer or rubber ring provided at one side of the nut 333-3b and into which the hinge rod 333-3a is inserted.

정리하자면, 본 실시예는, 모니터(100)와 클라우드 스탠드(300)가 일체로 이루어져 컴팩트한 외관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클라우드 스탠드(300)를 모니터로부터 분리하여 휴대한 후 최초 장소로부터 떨어진 별도의 장소에 마련된 모니터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장착된 모니터(100)로부터 분리된 클라우드 스탠드(300)에 클라우드 서버와의 통신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summary, the present embodiment, not only can the monitor 100 and the cloud stand 300 be integrally implemented to realize a compact appearance size, but also the cloud stand 300 is detached from the monitor and carried from the first place if necessary. It can also be connected to a monitor located in a separate location. In detail, the communication cable with the cloud server may be connected to the cloud stand 300 separated from the currently mounted monitor 100.

또한, 본 실시예는, 클라우드 스탠드(300)가 모니터(100)의 상하 방향 회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 모니터 스탠드를 대체할 수 있으면서도 클라우드 통신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컴팩트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by allowing the cloud stand 300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onitor 100 can be implemented in a compact form that can replace the existing monitor stand while enabling the cloud communication function. .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is limited by the following claims.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following claims.

100: 모니터 200: 클라우드 터미널
300: 클라우드 스탠드 310: 하우징
311: 절개구 320: 베이스
330: 힌지회전부재 331: 제1 브래킷
332: 제2 브래킷 333: 힌지 모듈
333-1: 결합 앵글 333-1a: 제1 삽입공
333-2: 결합 플레이트 333-2a: 제2 삽입공
333-3: 힌지부 333-1a: 힌지봉
333-3b: 너트
100: monitor 200: cloud terminal
300: cloud stand 310: housing
311: incision 320: base
330: hinge rotating member 331: first bracket
332: second bracket 333: hinge module
333-1: mate angle 333-1a: first insertion hole
333-2: coupling plate 333-2a: second insertion hole
333-3: hinge part 333-1a: hinge rod
333-3b: nut

Claims (6)

모니터; 및
상기 모니터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터미널이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클라우드 스탠드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모니터.
monitor; And
Cloud monitor including a cloud stand that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in the rear of the monitor as well as detachably mounted cloud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스탠드는,
각종 통신 및 전원 연결부품이 내장되고 상기 모니터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클라우드 터미널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상기 하우징이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에 마련되는 힌지회전부재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모니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cloud stand,
A housing in which various communication and power connection parts are built, and fixed to the rear of the monitor and detachable from the cloud terminal;
A bas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nd a hinge rotating member provided in the housing and the base such that the housing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회전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되어 상기 모니터에 고정 결합되는 제1 브래킷;
상기 베이스 내에서 상기 베이스에 고정 결합되는 제2 브래킷; 및
상기 제1 브래킷과 상기 제2 브래킷을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의 힌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 모듈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모니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inge rotating member,
A first bracke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fixedly coupled to the monitor;
A second bracket fixedly coupled to the base in the base; And
And a hinge module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to allow hinge rotation of the hou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제2 브래킷 상에서 서로 이격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결합 앵글;
상기 한 쌍의 결합 앵글에 각각 일측 및 타측 영역이 연결되며 상기 제1 브래킷에 고정 연결되는 결합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결합 앵글과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각각의 연결 부위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결합 앵글에 대해 상기 결합 플레이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부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모니터.
The method of claim 3,
The hinge module includes:
A pair of coupling angles fixed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econd bracket;
A coupling plate hav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pair of coupling angles, respectively and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And
And a pair of hinge parts provided at each connection portion of the pair of coupling angles and the coupling plate, the pair of hinge parts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coupling angl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결합 앵글에 형성된 제1 삽입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2 삽입공에 삽입 가능하도록 돌출 블록이 마련되는 힌지봉; 및
상기 힌지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모니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inge unit includes:
A hinge rod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oupling angle and provided with a protruding block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oupling plate; And
Cloud monitor comprising a nut coupled to the end of the hinge r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된 각종 통신 및 전원 연결부품과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에는 USB 포트, 오디오 연결 소켓, 랜 연결 소켓이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에는 전원 연결 및 상기 클라우드 터미널과의 통신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엘이디 램프와 스마트 카드 인식부가 추가적으로 마련되는 클라우드 모니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ase is provided with a USB port, an audio connection socket, and a LAN connection socket so as to be connected to various communication and power connection parts provided in the housing, and the base includes an LED lamp and a smart display for displaying the power connection and the communication status with the cloud terminal. Cloud monitor with an additional card recognition unit.
KR1020120075035A 2012-07-10 2012-07-10 Cloud monitor KR201400080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035A KR20140008063A (en) 2012-07-10 2012-07-10 Cloud 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035A KR20140008063A (en) 2012-07-10 2012-07-10 Cloud moni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063A true KR20140008063A (en) 2014-01-21

Family

ID=5014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035A KR20140008063A (en) 2012-07-10 2012-07-10 Cloud mon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806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7963A (en) * 2017-06-10 2017-10-10 河南智业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ultramicro-intelligent terminal display support based on cloud compu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7963A (en) * 2017-06-10 2017-10-10 河南智业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ultramicro-intelligent terminal display support based on cloud compu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4369B2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universal monitor mount
US7129931B2 (en) Multipurpose computer display system
US8979040B2 (en) Supporting device
CN105874400B (en) Stand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
US9778680B2 (en) Electronic device
US9158335B2 (en) Notebook computer
US11226656B2 (en) Computer
CN105793796A (en) Electronic device with a rear connector
JP2012128783A (en) Information processor
TW201318510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491338B (en) Electronic device
JP2012141961A (en) Computer system
TWI554865B (en) Audio docking
US10114408B2 (en) Hidden compartment with ports for mini PC or PC stick
KR20120061425A (en) Supporter of portable appliance attachable in bed
US20130058030A1 (en) External disk storage solution
JP2014139817A (en) Computer system and base structure thereof
CN106980345B (en) A kind of portable notebook fast detachable keyboard
KR20140008063A (en) Cloud monitor
CN101930259A (en) Monitor and computer
TWI531749B (en) Hang fixing mechanism and electrical device using same
TW201724948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4037535A (en) Power wiring board internally equipped with cloud terminal module
TWI807266B (en) Bearing structure for computer
CN203205615U (en) A power wiring board internally equipped with a cloud terminal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