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398U - 선박 배관용 유-볼트 - Google Patents

선박 배관용 유-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398U
KR20140002398U KR2020120009303U KR20120009303U KR20140002398U KR 20140002398 U KR20140002398 U KR 20140002398U KR 2020120009303 U KR2020120009303 U KR 2020120009303U KR 20120009303 U KR20120009303 U KR 20120009303U KR 20140002398 U KR20140002398 U KR 201400023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pipe
flat bar
ship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영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9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398U/ko
Publication of KR201400023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39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배관(pipe)을 고정하는 면적을 넓혀 배관과 유-볼트 간의 유착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선박 배관용 유-볼트가 개시된다.
개시된 선박 배관용 유-볼트는 배관과 접촉되는 내주면 및 외주면이 모두 평면으로 구성되는 플랫 바와; 서포트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플랫 바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배관과 유-볼트 간의 접촉 면적을 넓혀 고정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선박 배관용 유-볼트{U-bolt using pipe of ship}
본 고안은 선박 배관용 유-볼트(U-bolt)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pipe)을 고정하는 면적을 넓혀 유착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선박 배관용 유-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설치되는 배관(pipe)을 고정하는 서포트(support)로 유-볼트 및 너트(nut)를 사용하고 있다.
통상의 유-볼트는 표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져 있고, 그 외주연상에는 고무 코팅재가 피복되어 있다.
이러한 유-볼트는 표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배관과 유-볼트 사이의 접촉면이 선 접촉에 가까운데, 이와 같이 선 접촉일 경우에는 배관과 유-볼트의 결합력이 저하되고, 배관에 유체가 흐르게 될 경우에는 진동이 발생하여 배관과 유-볼트의 결합력을 약화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 제안된 선박 배관용 유-볼트(이하, "종래기술 1"이라 약칭함)가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박 배관용 유-볼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선박 배관용 유-볼트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부분의 단면도로서, U자 형상의 스트랩(strap)(1)의 양단에 가이드 볼트(guide bolt)(2)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이다. 여기서 스트랩(1)은 배관(3)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해서 플랫 바(flat bar)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배관(3)에 접촉하는 스트랩(1)의 내주연에는 탄성력을 가지면서 동시에 마찰계수를 저하할 수 있는 테프론(Teflon) 재질로 코팅된 스트랩 라이닝(strap lining)(4)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트랩(1)에 결합되는 가이드 볼트(2)의 돌출 단부는 그라인딩(grinding) 처리하여 부드럽게 만들게 된다.
아울러 배관(3)과 서포트(5)의 접촉면 사이에는 슬라이드 패드(6)가 구비되고, 서포트(5)에 가이드 볼트(2)가 삽입된 후, 너트(8)에 의해 유-볼트를 배관(3)의 서포트(5)에 고정하게 된다.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7은 지그를 나타낸다.
한편, 종래에 제안된 선박 배관용 유-볼트의 다른 실시 예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63102호(2004.09.24. 공고)(이하, "종래기술 2"라 약칭함)에 개시된다.
개시된 종래기술 2는 선박 배관과 접면되는 U-볼트의 내주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U-볼트의 내주면의 평면부분에는 테프론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종래기술 2는 선박 배관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U-볼트 내주면을 평면으로 형성하고, U-볼트 외주연에는 고무 코팅재를 피복함으로써, 선박 배관과 U-볼트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무 코팅재가 선박 배관과 U-볼트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하여 배관의 진동을 방지하게 된다.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63102호(2004.09.24. 공고)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 1은 가이드 볼트와 스트랩의 용접 부위가 많아 용접 작업량이 많아지고, 유-볼트 제작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 2는 스트랩의 내주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종래기술 1에 비하여 배관과의 접촉 면이 넓어져 유-볼트와 배관과의 유착 상태가 향상은 되었으나, 유-볼트의 상단부가 원형이라 무게가 많이 나가고, 이로 인해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관(pipe)을 고정하는 면적을 넓혀 배관과 유-볼트의 유착상태를 향상시키도록 한 선박 배관용 유-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배관과 접촉하는 부분을 플랫바(flat bar) 형태로 만들어, 유-볼트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선박 배관용 유-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본 고안에 따른 선박 배관용 유-볼트는,
배관과 접촉되는 내주면 및 외주면이 모두 평면으로 구성되는 플랫 바와;
서포트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플랫 바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선박 배관용 유-볼트는,
상기 플랫 바의 내주면과 상기 배관의 접촉면 사이에 스트랩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스트랩의 길이는 상기 플랫 바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플랫 바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선박 배관용 유-볼트는,
상기 서포트와 배관의 접촉면 사이에 슬라이딩 패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배관과 접촉되는 내주면을 플랫 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배관(pipe)을 고정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어, 배관과 유-볼트의 유착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배관과 접촉하는 부분을 플랫바(flat bar)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유-볼트의 상부 두께를 줄일 수 있어 무게를 감소시키고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원기둥을 유 타입으로 만드는 것보다 플랫 타입으로 만드는 것을 선호하는 선주들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박 배관용 유-볼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선박 배관용 유-볼트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 배관용 유-볼트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 배관용 유-볼트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로서, 배관(100)과 접촉되는 내주면 및 외주면이 모두 평면으로 구성되는 플랫 바(110)로 형성되고, 상기 플랫 바(110)의 양단부에는 상기 플랫 바(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서포트(14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20)의 일부에는 너트(160)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 산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유-볼트는 배관(100)과 접촉되는 내주면이 평면으로 구성되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도 평면으로 이루어진 플랫 바(110) 형태로 배관 접촉부를 구현함으로써, 배관(100)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배관(100)과 유-볼트간의 유착 상태를 향상시키게 된다. 즉, 배관(100)과 플랫 바(110)가 면접촉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접촉 면적을 넓혀 배관(100)과 유-볼트간의 유착 상태를 향상시키게 된다.
특히, 플랫 바(110)와 결합부(120)를 단조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기존 유-볼트의 제작시 스트랩과 가이드 볼트 간을 용접하는 작업을 제거할 수 있어, 유-볼트의 제작에 편리함을 도모함과 동시에 유-볼트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본 고안에 따른 유-볼트는 단조 공정을 통해 밴드 형태로 만들고, 양단부에 나사 산을 형성시켜 서포트(140)와 너트(160)를 통해 결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유-볼트의 제작 공정이 단순하고, 용접과 같은 작업이 필요 없으므로, 유-볼트의 제작 시간을 단축하고, 제작에 편리함을 도모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유-볼트의 외주면을 평면으로 구현함으로써, 기존 외주면이 원형으로 구현된 유-볼트에 비하여, 유-볼트 상단부의 면적이 작아 유-볼트 전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되며, 면적의 감소로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탄성력을 가지면서 동시에 마찰계수를 줄일 수 있는 테프론(Teflon) 재질로 코팅된 스트랩(130)을 배관(100)과 플랫 바(110)의 사이에 구비시켜, 배관(100)과 유-볼트 간의 진동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스트랩(130)의 길이는 플랫 바(110)의 길이와 동일하게 하거나 상기 플랫 바(11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포트(140)와 접촉하는 배관(100) 사이에는 슬라이딩 패드(150)를 구비시켜, 유-볼트와 서포트(140) 간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진동이나 충격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유-볼트와 서포트(140) 간의 고정력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고안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배관
110… 플랫 바(flat bar)
120… 결합부
130… 스트랩
140… 서포트
150… 슬라이딩 패드
160… 너트

Claims (5)

  1. 배관(100)과 접촉되는 내주면 및 외주면이 모두 평면으로 구성되는 플랫 바(110)와;
    서포트(14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플랫 바(110)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배관용 유-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서포트(140)와 너트(160)에 의해 결합하기 위한 나사 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배관용 유-볼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랫 바(110)의 내주면과 상기 배관(100)의 접촉면 사이에 스트랩(13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배관용 유-볼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130)의 길이는 상기 플랫 바(11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플랫 바(11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배관용 유-볼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140)와 배관(100)의 접촉면 사이에 슬라이딩 패드(1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배관용 유-볼트.
KR2020120009303U 2012-10-16 2012-10-16 선박 배관용 유-볼트 KR2014000239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303U KR20140002398U (ko) 2012-10-16 2012-10-16 선박 배관용 유-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303U KR20140002398U (ko) 2012-10-16 2012-10-16 선박 배관용 유-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398U true KR20140002398U (ko) 2014-04-25

Family

ID=5244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303U KR20140002398U (ko) 2012-10-16 2012-10-16 선박 배관용 유-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39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976U (ko) 2015-11-27 2017-06-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 서포트용 스트랩 설치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CN111634369A (zh) * 2020-05-29 2020-09-08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fpso锚链检测***舷外护管结构
KR20230135791A (ko) 2022-03-17 2023-09-26 (주)디씨티 소음 차단 및 초경량 불연 u형 볼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976U (ko) 2015-11-27 2017-06-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 서포트용 스트랩 설치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CN111634369A (zh) * 2020-05-29 2020-09-08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fpso锚链检测***舷外护管结构
CN111634369B (zh) * 2020-05-29 2022-03-18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fpso锚链检测***舷外护管结构
KR20230135791A (ko) 2022-03-17 2023-09-26 (주)디씨티 소음 차단 및 초경량 불연 u형 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190538A (ja) 懸架用コイルばね
MX362959B (es) Ensamble de muñon y buje.
KR20140002398U (ko) 선박 배관용 유-볼트
RU2014135200A (ru) Рычаг подвески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WO2012115350A3 (ko) 관체 연결 장치
US8746632B2 (en) Riser clamp with vibration isolation
JP3174698U (ja) 配管支持の補強材
CN101915334B (zh) 一种弹性卡箍的制作方法及弹性卡箍
WO2019078710A8 (en) Riser clamp with a vibration isolation element
US9903428B2 (en) Connecting means for brake disc assembly
CN105984300A (zh) 一种复合材料板弹簧与金属吊耳的连接装置
JP2017512291A5 (ko)
JP2018109434A (ja) 空気ばね
JP5704008B2 (ja) スタビライザーバー取付用ブッシュ
CN103112348A (zh) 一种散热器上悬置总成
KR20160004669A (ko) 차량 현가장치의 리어 어퍼암
CN104747562A (zh) 不锈钢防腐蚀双头螺栓
CN105134871B (zh) 大型贮槽潜液泵用减振装置
CN103322320A (zh) 一种带垫片卡箍
CN205001436U (zh) 大型贮槽潜液泵用减振装置
RU114122U1 (ru) Труба с переходным фланцем
KR102062574B1 (ko) 스프링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US9523369B2 (en) Cushion pad for ceiling fan blade
CN208778998U (zh) 用于混凝土输送的双层耐磨管
RU2398154C1 (ru) Компенс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