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224A -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 Google Patents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224A
KR20140002224A KR1020120070166A KR20120070166A KR20140002224A KR 20140002224 A KR20140002224 A KR 20140002224A KR 1020120070166 A KR1020120070166 A KR 1020120070166A KR 20120070166 A KR20120070166 A KR 20120070166A KR 20140002224 A KR20140002224 A KR 20140002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transparent display
layer
display module
glass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일
이건재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0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224A/ko
Publication of KR20140002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31Two-side emission, e.g. transparent OLEDs [T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한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투명 디스플레이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일면에 형성된 유리접착층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LCD 또는 투명OLED일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Transparent diplay module}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한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면 디스플레이는 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이 일반에게 널리 보급되었으나, 최근에는 평면 디스플레이의 투명성 및 휘어짐을 확보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이렇게 투명하고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의 용도에 대한 개발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평면 디스플레이의 휘어짐 및 투명성의 특성을 활용하여 평면 디스플레이의 용도를 확장하려는 노력 중의 하나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12945호에서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에 투명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을 사용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공개번호 제10-2010-0012945호에서 공개된 발명은 자동차 전면 유리창에 적용할 수 있는 투명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자세한 기술적 구성에 대한 설명이 없고, 또한, 투명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을 내비게이션 단말기로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에 부착하는 방법 등에 대하여 구체적인 기술 설명이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디스플레이 모듈을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에 적용할 때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유리창에 부착할 때 사용되는 접착 물질에 의하여 투명도의 저하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야 하고, 특히, 내비게이션 등의 화면 정보를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구동하는 과정에는 디스플레이 구동에 의한 발열 현상으로부터 유리창에 부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또, 자동차 내부의 전면 유리창에 부착할 때에는 자동차의 사용 환경에 따라서 자동차의 실내 내부 온도가 여름철에는 약 80℃, 심한 경우에는 약 150℃까지 올라갈 수도 있고, 겨울철에는 약 영하 30℃까지 내려갈 수 있으므로, 이러한 계절별 온도 변화가 가혹하게 적용되더라도 디스플레이 모듈은 자동차의 전면 유리창에 부분적인 이격 없이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있어야 운전자의 시각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내비게이션 등의 영상 정보를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12945호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유리창에 접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사용 환경의 온도변화에 따른 접착력 저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유리에 안정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유리에 부착되어 장기간 사용되는 중에 황변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투명디스플레이 및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일면에 형성된 유리접착층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LCD 또는 투명OLED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투명LCD 또는 투명OLED는 550nm파장의 광선 투과율이 70~99%일 수 있고, 또, 전광선투과율이 60~99%일 수 있다.
또, 상기 유리접착층은 전광선 투과도(Total Transmittance, TT)가 90%이상이고, 유리밀착력이 1.4kgf/25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유리접착층은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점도제어화합물 10~89중량%, 에틸렌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 10~89중량% 및 광중합 개시제 0.01~10중량%를 포함하는 유리접착조성물로부터 자외선 경화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리접착층을 형성하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접착층을 형성하는 상기 에틸렌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은 1,6-Hexanediol diacrylate, Tetraethyleneglycol diacrylate, Tripropyleneglycol diacrylate, Trimethylpropane Triacrylate 및 Cyclohexyl acrylate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접착층을 형성하는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Benzyl dimehtyl ketal 또는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접착층은 상기 유리접착조성물을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일면에 코팅하여, 상기 코팅층을 자외선 경화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유리접착조성물을 지지체 필름에 코팅하고, 상기 코팅층을 자외선 경화한 후,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일면에 라미네이팅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 상기 투명 OLED는 투명한 지지체 기판과 상기 지지체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전극층, 상기 제1전극층의 일면에 형성된 유기물층, 상기 유기물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1투광층, 상기 제1투광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2전극층 및 상기 제2전극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2투광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유리창에 접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하였다.
또, 본 발명은 사용 환경의 온도변화에 따른 접착력 저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유리에 안정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투명 디스플레이모듈을 제공하였다.
특히, 본 발명은 유리에 부착되어 장기간 사용되는 중에 황변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단면구조에 대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단면구조에 대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투명 OLED 및 비교예 OLED의 파장대별 광투과도 측정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투명 OLED 및 비교예 OLED의 인가 전압대별 휘도 측정 그래프.
도 5은 본 발명의 제1구현예를 자동차 앞면 유리에 적용하였을 때의 실시 상태 개념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구현예를 자동차 앞면 유리에 적용하였을 때의 실시 상태 개념 단면도.
본 발명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투명디스플레이 및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일면에 형성된 유리접착층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LCD 또는 투명OLED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투명LCD 또는 투명OLED는 550nm파장의 광선 투과율이 70~99%이고, 전광선투과율이 60~99%로서 투명성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유리접착층은 투명 디스플레이를 피접착체인 유리면에 직접 접착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유리창의 투명도와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를 동시에 저해하지 않아야 하므로, 상기 유리접착층은 전광선 투과도(Total Transmittance, TT)가 90%이상이고, 유리밀착력이 1.4kgf/25m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전광선 투과도와 유리밀착력은 높을 수록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는 최소 전광선 투과도가 90%이상은 되도록 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가 구동하지 않을 때에는 유리창 반대편의 사물을 파악함에 있어서 시각을 방해하지 않는 효과를 달성하기에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유리밀착력은 1.4kgf/25mm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가 유리면에 안정적으로 접착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이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전광선 투과도와 유리밀착력의 측정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유리접착층의 재질은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점도제어화합물, 에틸렌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유리접착조성물로부터 자외선 경화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리접착층의 두께는 약 20~50㎛로 하면 적당하다.
여기에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계 또는 아크릴계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들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 사용하는 화합물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단관능성(메타)아크릴 유도체, (메타)아크릴아마이드, 스타이렌, α-메틸 스타이렌, 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아세테이트, 알킬 비닐 에테르 등이며, 이들 중 선택된 화합물들을 열중합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과 같은 디아조 화합물이나 퍼옥사이드 등을 이용하여 적절한 분자량의 선형 공중합체를 얻고 이를 건조하여 원하는 아크릴계 수지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유리밀착력의 장기 안정성 및 황변 발생 방지 등을 위하여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된 아크릴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다관능성 폴리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다관능성 폴리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는 중간체인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으로 제조되며, 주로 양 말단에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도입하여 제조된다. 폴리올과 폴이이소시아네이트의 성분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서 특성을 변경할 수 있으며, 친유성기(하이드로포빅)의 도입으로 어느 정도 조절함으로써 흡습도 및 투습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용화된 다관능성 폴리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종류는 일본 Nippon Kayaku Co., Ltd. 사의 Kayakard 시리즈, 일본 Shin-Nakamura Chemical Co., Ltd. 사의 NK-OLIGO 시리즈, Cytec Industries, Inc.사의 Ebecryl, 한국 미원스페셜티케미칼㈜의 Miram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아크릴계 수지를 1종 이상 포함하는 점도제어 화합물은 전체 유리접착조성물 중에 10 내지 89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된다. 상기 점도제어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적절한 점도를 제공하여 코팅성이 우수해 지며 경화후 적절한 탄성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에틸렌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은 단관능이나 다관능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주로 조성 변경을 실시하는 화합물이다. 즉 주쇄는 상기의 점도조절 화합물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피접착체의 특성에 따라 조성을 결정한다. 즉 피착제가 터치 패널에 사용되는 ITO 재료인 경우 점도조절용 화합물과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이 모두 유기산(Acid Group)을 배제한 조성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재료에 포함된 유기산이 ITO의 부식을 초래하고 제품의 신뢰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피착제가 단순 유리나 특별히 유기산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밀착력을 향상하기 위해 유기산을 첨가할 수 있다. 유기산을 도입하는 방법은 점도조절용 화합물에서 반응용 단량체로 첨가하거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에서 유기산을 갖는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서 달성된다.
단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의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페녹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2-히드록시프로필 프탈레이트,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린 모노메타크릴레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산 포스페이트, 프탈산 유도체의 메타크릴레이트, N-메틸올 메타크릴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의 예로는 단량체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타크릴레이트, 2,2-비스(4-메타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프로판, 2-히드록시-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디메타크릴레이트, 프탈산 디글리시딜에스테르 디메타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시키는 한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조성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광학 투명성이 요구되는 경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을 선정할 때 황변 현상과 필름 및 테이프로 제조 후의 헤이즈(Haze), 광투과도 등을 평가하여 선정하여야 하며, 특별히, 본 발명에서는 1,6-Hexanediol diacrylate, Tetraethyleneglycol diacrylate, Tripropyleneglycol diacrylate, Trimethylpropane Triacrylate 및 Cyclohexyl acrylate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은 점착제 조성물 중에 10 내지 89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조성변경을 통한 전체 제품의 물성제어가 가능하며 적절한 점도를 제공하여 코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인 메틸 에테르(benzoin methyl ether), 벤조인 에틸 에테르(benzoin ethyl ether),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benzoin isopropyl ether), 벤조인 n-부틸에테르(benzoin n-butyl ether), 벤조인 페닐에테르(benzoin phenyl ether), 벤질 디페닐 디설파이드(benzyl diphenyl disulfide), 벤질 디메틸 케탈(benzyl dimethyl ketal), Ciba Specialty Chemicals의 Irgacure 시리즈,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나프토퀴논(naphthoquinone),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3,3-dimethyl-4-methoxybenzophenone), 벤조페논(benzophenone), 피발론 에틸에테르(pivalone ethyl ether), 1,1-디클로로 아세토페논(1,1-dichloroacetophenone), p-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p-t-butyldichloroacetophenone), 헥사아릴-이미다졸(hexaaryl- imidazole)의 다이머(dimer),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2,2'-diethoxyacetophenone),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2,2'-diethoxy-2-phenylacetophenone), 2,2'-디클로로-4-페녹시아세토페논(2,2'-dichloro-4-phenoxyacetophenone), 페닐 글리옥실레이트(phenyl glyoxylate), α-히드록시이소부틸페논(α-hydroxy isobutylphenone), 디벤조스판(dibenzospan),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온(1-(4-isopropylphenyl)-2-hydroxy-2-methyl-1-propanone), 2-메틸-[4-(메틸티오)페닐]-2-모폴리노-1-프로판온(2-methyl-[4-(methylthio)phenyl]-2-morpholino-1-propanone), 트리-브로모페닐설폰(tri- bromophenylsulfone), 트리브로모메틸페닐설폰(tribromomethylphenylsulfo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점착제 조성물 중에 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된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적절한 광경화를 통해 광경화 반응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이 광학 투명성이 요구되는 경우는 광개시제의 세심한 선택이 필요하고, 황변현상을 확인하고 사용해야 하며, 이런 특성을 고려할 때, Benzyl dimehtyl ketal 또는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접착성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광중합 증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증가제로는 p,p'-비스(디메틸아미노) 벤조페논(p,p'-bis(dimethylamino)benzophenone), p,p'-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p,p'-bis(diethylamino)benzophenone), p,p'-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p,p'-diethylaminobenzopheno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증가제는 광개시제의 선정에 따라 넣어 줄 수도 있고 배제할 수도 있다. 상기 광중합 증가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전체 조성물의 5 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접착성 조성물은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염료등을 첨가할 수 있다. 특히,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Ciba Specialty Chemicals사의 Tinuvine 시리즈를 사용하여 성능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피접착체인 유리와의 밀착력을 더욱 향상하기 위해서는 실란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접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유리접착조성물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일면에 코팅하고, 상기 코팅층을 자외선 경화하여 형성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유리접착조성물을 지지체 필름에 코팅하고, 상기 코팅층을 자외선 경화한 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일면에 라미네이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OLED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투명 OLED(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지지체 기판(10)과 상기 지지체 기판(10)의 일면에 형성된 제1전극층(30), 상기 제1전극층(30)의 일면에 형성된 유기물층(70), 상기 유기물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1투광층(91), 상기 제1투광층(91)의 일면에 형성된 제2전극층(50) 및 상기 제2전극층(50)의 일면에 형성된 제2투광층(92)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지지체 기판(10)의 이면 또는 상기 제2투광층(92)의 일면에 형성된 유리접착층(200)을 포함한다.
즉, 유리접착층(200)을 투명한 지지체 기판(10) 또는 제2투광층(92)의 일면에 형성되어 포함함으로써, 피접착체인 자동차의 유리창, 거실 또는 쇼윈도우 등의 유리면에 투명 OLED(1)를 쉽게 부착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 하더라도 쉽게 이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투명 OLED(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지지체 기판(10), 제1전극(30), 제2전극(50), 유기물층(70)을 포함하면서, 특별히 유기물층(70)의 상부에 제2전극(50)을 사이에 두고 투광층(90)을 포함함으로써 투명 OLED 디스플레이(1)의 투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투명 지지체 기판(10)은 제1전극(30), 제2전극(50), 유기물층(70) 및 투광층(90)을 지지하고, 유기물층(70)에서 발광되는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과성을 가지고 있는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한다. 투명 지지체 기판(10)의 투명도는 전광선 투과율이 약 90%으로 함으로써, 투명 OLED(1)를 구동하지 않을 때에는 유리창의 반대편의 사물을 파악하는 데 시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투명 OLED(1)를 구동하는 경우에도 유기층(70)으로부터 발광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 정보가 잘 파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전극(30)은 통상적으로 하부전극이라고 지칭하기도 하며, 투명 지지체 기판(10)상에 형성된다. 제1전극(30)은 양극(+)인 애노드(anode)이며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 이온 플레이팅(ion plating) 방식 및 전자총(e-gun) 등을 이용한 열 증착법에 의해 기판(10) 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1전극(30)은 투과성을 가진 인-주석 산화물(indium tin-oxide) 전극을 사용하나, 투과성을 가진 인-아연 산화물(indium zin-oxide) 전극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2전극(50)은 통상적으로 제1전극(30)과 대향되는 상부전극이라 지칭하기도 하며, 유기물층(70) 상에 형성된다. 제2전극(50)은 양극(+)인 제1전극(30)과 상반된 음극(-)인 캐소드(cathode)이다. 제2전극(50)은 투과성을 갖는 금속인 은(Ag), 알루미늄(Al) 및 마그네슘-은(Mg:Ag) 합금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유기물층(70)은 제1전극(30)과 제2전극(50) 사이에 개재되어, 제1전극(30)과 제2전극(50) 사이의 통전에 의해 발광한다. 유기물층(70)은 제1전극(30)과 제2전극(50) 사이의 통전에 의해 발광하도록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72), 정공 전달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74), 발광층(emissive layer: EML)(76), 전자 전달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78)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79)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유기물층(70)은 스핀코팅(spin coating) 방식, 열 증착(thermal evaporation) 방식, 스핀캐스팅(spin casting) 방식,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 전자빔 증착(e-beam evaporation) 방식 및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방식 등에 의해 제1전극(30)의 일면에 형성된다.
정공 주입층(72)은 제1전극(30)으로부터의 정공이 주입되는 역할을 하며, 정공 전달층(74)은 정공 주입층(72)으로부터 주입된 정공이 제2전극(50)의 전자와 만나도록 정공의 이동로 역할을 한다.
전자 주입층(79)은 제2전극(50)으로부터의 전자가 주입되는 역할을 하며, 전자 전달층(78)은 전자 주입층(79)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정공 전달층(74)으로부터 이동하는 정공과 발광층(76)에서 만나도록 전자의 이동로 역할을 한다.
전자 전달층(78)에는 제 2 전극(50)으로부터 전자 주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일함수가 낮은 금속류 및 이들의 복합물 중 어느 하나를 도핑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전자 주입층(79)의 유무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함수가 낮은 금속류는 Cs, Li, Na, K, C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들의 복합물은 Li-Al, LiF, CsF, Cs2CO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발광층(76)은 정공 전달층(74)과 전자 전달층(78) 사이에 개재되어 정공 전달층(74)으로부터의 정공과 전자 전달층(78)으로부터의 전자에 의해 발광한다. 즉, 발광층(76)은 각각 정공 전달층(74) 및 전자 전달층(78)과의 계면에서 만나는 정공과 전자에 의해 발광하는 것이다.
투광층(90)은 유기물층(70)과 제2전극(50) 사이 및 제 2 전극(50)의 상부에 형성한다.
여기서, 투광층(90)은 제2전극(50)이 투과성을 가지는 동시에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도록 기능을 한다. 그리고, 투광층(90)은 박막으로 형성되어 제2전극(50)의 면저항을 감소함으로써, 유기전계발광소자(1)의 성능 저하를 저지한다. 이러한 투광층(90)의 특성에 대해서는 후술할 산화물 계열, 질화물 계열, 염류 및 이들의 복합물을 설명한 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투광층(90)은 산화물 계열, 질화물 계열, 염류 및 이들의 복합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화물 계열은 MoO3, ITO, IZO, IO, ZnO, TO, TiO2, SiO2, WO3, Al2O3, Cr2O3, TeO2, SrO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화물 계열은 SiN, A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류는 Cs2CO3, LiCO3, KCO3, NaCO3, LiF, CsF, ZnS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투광층(90)을 구성하는 산화물 계열, 질화물 계열, 염류 및 이들의 복합물을 사용하게 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한 투과율과 휘도 효과를 나타내므로 바람직하지만, 상기와 같은 물질들 이외에도 제2전극(50)이 투과성을 가지는 동시에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물질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투광층(90)은 제1투광층(91)과 제2투광층(92)이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지만, 서로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투광층(91)은 산화물 계열을 포함하고 제2투광층(92)은 질화물 계열, 염류 및 이들의 복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1투광층(91)은 질화물 계열을 포함하고 제2투광층(92)은 산화물 계열, 염류 및 이들의 복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제1투광층(91)은 염류를 포함하고 제2투광층(92)은 산화물 계열, 질화물 계열 및 이들의 복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투광층(90)의 두께는 0.1nm 이상 100n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광층(90)의 두께가 0.1nm 미만으로 작아질 경우에는 투과율은 증가하나, 이에 비례하여 저항도 증가하므로 투명 OLED(1)의 성능이 저하된다. 반면, 투광층(90)의 두께가 100nm 이상으로 커질 경우에는 저항이 감소하여 성능 저하는 발생하지 않으나, 투광층(90) 두께의 증가에 따라 투과율이 감소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광층(90)은 열 증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투명 OLED(1)의 특성을 이하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투명 OLED(1)에서 유리접착층(200)을 생략한 상태에서 투광층(90)의 유무에 따른 투과율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3의 그래프 a는 투광층(90)을 형성한 경우의 광파장대별 투과율의 측정 그래프이고, 그래프 b는 투광층(90)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의 광파장대별 투과율의 측정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라 투광층(90)이 형성된 경우에는 가시광선 영역의 광파장대 중 중심 영역인 약 550nm 지점에서 투과율이 약 80%에 달하고, 전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전반적으로 약 70%를 상회한다. 그러나, 투광층(90)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광파장이 550nm인 지점에서 투과율이 약 47%를 나타내고, 전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전반적으로 약 50%에 미달한다. 즉, 투광층(90)이 형성된 경우는 투과율은 투광층(90)이 없는 경우에 비교하여 투과율이 약 1.7배가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투명 OLED(1)에서 유리접착층(200)을 생략한 상태에서 투광층(90) 유무에 따른 휘도 그래프이다.
여기서, 도 4의 그래프 c는 투광층(90)을 형성한 경우의 전압대별 휘도의 측정 그래프이고, 그래프 d는 투광층(90)이 없는 경우의 전압대별 휘도의 측정 그래프이다.
전압(V) 10V에 따른 휘도를 살펴보면, 투광층(90)이 있는 경우에는 약 25,000cd/m2을 나타내고, 투광층(90)이 없는 경우에는 약 20000cd/m2을 나타내어, 투광층(90)의 유무에 따라 휘도는 약 1.25배의 차이 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전극(50)을 사이에 두고 투광층(90)을 형성하여 양면발광을 구현하면 투명 OLED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 때, 투광층(90)을 형성하여 제2전극(50)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투과율과 전기적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유리접착층(20)을 투명 OLED(1)의 지지체 기판(10)의 이면에 형성시킨 경우의 예는 도 1과 같고, 도 1과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투명 OLED 모듈을 자동차의 앞면 유리창에 적용한 경우의 예로서 일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예가 도 5와 같다. 즉, 투명 OLED(1)의 유리접착층(200)을 자동차 앞면 유리창(310)에 접착하여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유리접착층(20)을 제2투명층(92)의 일면에 형성시킨 경우의 예는 도 2와 같고, 도 2와 같이 제조된 투명 OLED(1)를 자동차의 앞면 유리창에 적용한 경우의 예로서 일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예가 도 6과 같다. 즉, 투명 OLED(1)의 유리접착층(200)을 자동차 앞면 유리창(310)에 접착하여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투명 OLED(1)를 자동차의 앞면 유리창에 부착함으로써, 투명 OLED(1)를 구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투명 OLED(1)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와 거의 유사한 정도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투명 OLED(1)를 구동하여 영상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에 자동차의 내부에 탑승하고 있는 운전자 등이 이 영상 신호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접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예 1>
제조예 1은 점도제어화합물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지를 용액중합법에 의하여 제조하는 예이다.
먼저 쟈켓형 4구 케틀형 유리초자에 교반기와 환류장치를 장착한 다음 질소로 플라스크 내부를 퍼지하였다. 케틀형 유리초자에 에틸 아세테이트 (EA) 100g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IBN) 2g을 넣고 완전히 용해시켰다. 하기 표 1의 단량체 혼합물 중 AC-01 및 AC-02를 각각 100g씩을 각각의 플라스크에 넣고, 물순환기를 이용하여 80℃로 쟈켓을 승온하여 4시간 동안 중합한 다음 90℃로 승온하여 다시 4시간동안 중합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각각의 아크릴 수지를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이용해 건조시켜 제조하였다.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예 2>
제조예 2는 점도제어화합물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지를 에멀젼 중합법에 의하여 제조하는 예이다.
먼저, 쟈켓형 4구 케틀형 유리초자에 교반기와 환류장치를 장착한 다음 질소로 플라스크 내부를 퍼지하였다. 이온교환수 700g을 넣고 중탕 온도를 80℃로 가열하면서 유화제로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를 2g을 첨가하였다. 하기 표 1의 단량체 혼합물 중 AC-03, AC-04, AC-05를 각각 400g씩과 중합 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IBN)을 0.5% 첨가하여 완전히 용해한 용액을 각각의 반응기에 넣고, 유화기를 이용하여 강력하게 교반하여 4시간 정도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NaCl을 넣어 염석을 시켜 여과하고 이온교환수로 충분히 워싱하여 유화제와 염성분을 완전히 제거하고 건조시켜 제조하였다.
AC-01 AC-02 AC-03 AC-04 AC-05
단량체 1 300g 300g 320g 250g 250g
단량체 2 100g 150g 80g 150g 120g
단량체 3 - 50g - - 30g
단량체 1 : 부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2 : 에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3 :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예 3>
제조예 3은 점도제어화합물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지 중 폴리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를 적절히 혼합하여 제조하는 예로서, 다음 표 2와 같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혼합하였고, 표 2에서 혼합비율은 중량%를 의미한다.
OL-01 OL-02 OL-03 OL-04
올리고머 1 90 70 70 50
올리고머 2 10 30 20 -
올리고머 3 - - 10 -
올리고머 4 - - - 50
올리고머 1 : 일본 NIPPON KAYAKU CO.,LTD UX-3204
올리고머 2 : 일본 NIPPON KAYAKU CO.,LTD UXF-4002
올리고머 3 : 일본 NIPPON KAYAKU CO.,LTD UX-7101
올리고머 4 : 일본 Shin-Nakamura Chemical Co., Ltd. U-200PA
<에틸렌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의 제조예>
에틸렌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은 하기 표 3과 같이 각각의 단량체들을 혼합하였고, 표 3에서 혼합비율은 중량%를 의미한다.
MO-01 MO-02 MO-03 MO-04 MO-05
단량체 1 90 - - 70 40
단량체 2 - 85 - 15 30
단량체 3 - - 80 - 20
단량체 4 10 10 15 15 10
단량체 5 - 5 5 - -
단량체 1 : 1,6-Hexanediol Diacrylate
단량체 2 : Tetraethyleneglycol Diacrylate
단량체 3 : Tripropyleneglycol Diacrylate
단량체 4 : Trimethylpropane Triacrylate
단량체 5 : Cyclohexyl Acrylate
<실시예>
본 발명의 유리접착층을 형성하는 유리접착성 조성물의 실시예로 하기 표 4와 같이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으로 배합하여 모든 성분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 후, 이를 이형 PET필름을 지지체 필름으로 하여 필름 상에 코팅한 후, 자외선 노광기를 통하여 자외선 경화를 시켜 경화 후의 두께가 30㎛가 되도록 하여 제조하였다.
점도제어화합물 광중합성 화합물 광개시제 첨가제
실시예 1 AC-01 35g MO-01 65g I-651 1g
실시예 2 AC-02 35g MO-02 65g I-651 1g
실시예 3 AC-03 35g MO-03 65g I-651 1g GPTMS 5g
실시예 4 AC-04 35g MO-04 65g I-651 1g T-328 0.5g
실시예 5 AC-05 35g MO-05 65g I-651 1g T-400 0.5g
실시예 6 AC-03 40g MO-05 60g I-651 1g
실시예 7 OL-01 40g MO-05 60g I-651 1g
실시예 8 OL-01 40g MO-05 60g I-651 1g T-400 0.5g
실시예 9 OL-02 35g MO-04 65g I-651 1g
실시예 10 OL-03 40g MO-05 60g I-184 1g GPTMS 5g
실시예 11 OL-04 40g MO-05 60g I-184 1g GPTMS 5g
I-651 : Ciba Specialty Chemicals의Irgacure 651 (Benzyl Dimethyl Ketal)
I-184 : Ciba Specialty Chemicals의 Irgacure 184 (1-Hydroxy-cyclohexyl- phenyl-ketone)
GPTMS : Shin-Etsu Chemical Co., Ltd. 사의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T-328 : Ciba Ciba Specialty Chemicals의 Tinuvin 328
T-400 : Ciba Ciba Specialty Chemicals의 Tinuvin 400
그리고, 상기 실시예 1 내지 11의 유리접착층의 성능에 대하여, 헤이즈, 광투과도, 유리밀착력, 황변 등을 아래와 같이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
( 헤이즈 ( Hz ), 광투과도 ( TT ))
헤이즈(Haze, Hz)는 JIS K 7136, 광투과도(Total Transmittance, TT)는 JIS K 7361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기기는 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사의 HM-150을 사용하였다.
먼저 평가할 시편에서 유리접착층의 일면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기포 없이 라미네이션 하였다. 2Kg 고무롤을 롤링하여 밀착 시키고 1일 동안 상온에서 방치하고, 지지체 필름을 제거한 후 헤이즈와 광투과도를 평가하였다.
총 5회 평가하여 가장 높은 값과 가장 낮은 값을 제외하고 3개의 평균값을 헤이즈와 광투과도로 하였으며, 각 실시예의 평가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
(유리밀착력)
유리밀착력은 ASTM D3330/D3330M-04 (Standard Test Method for Peel Adhesion of Pressure-Sensitive Tape) Modify로 평가하였다. 또한 일본규격 JIS Z 0237 8 이나 한국규격 KS A 1529 또한 같은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평가를 위해 유리접착층의 일면을 밀착력이 높은 특수 코팅된 폴리에스터 필름을 기포없이 라미네이션 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샘플을 25mm 폭으로 150~200mm 길이로 잘라서 평가용 시료를 제조하였다. 평가용 시료에서 지지체 필름을 박리하면서 유리접착층을 유리기판에 붙인 후 2Kg 고무롤을 롤링하여 유리기판에 접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유리기판을 ASTM D3330 시험방법에 따라, 300mm/sec 속도와 180° 필링 각도로 시험하여, 모든 시료에 대해 각각 총5회 측정하여 가장 높은 값과 가장 낮은 값을 제외한 3회의 평균값을 유리밀착력으로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
( 황변 )
황변현상은 색차계를 이용하여 ASTM E308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먼저 평가할 시편에서 유리접착층의 일면을 슬라이드 글라스에 기포 없이 라미네이션 하였다. 2Kg 고무롤을 롤링하여 밀착 시키고 일부 샘플은 상온에서, 일부 샘플은 85℃, 85% 상대습도에서 500시간 방치하여, 상온 방치 샘플과 고온 고습 방치 샘플의 상대적인 색차 변화로서 황변을 평가하였다.
이렇게 상온 또는 고온 고습 방치 샘플을 각각의 조건에서 방치한 후, 각각의 지지체 필름을 제거하고, 색차계를 이용하여 Yxy 값을 평가하였다. 여기서 황변과 관련된 항목인 y값의 변화를 비교하여 황변 정도를 나타내었다. 총 5회 평가하여 가장 높은 값과 가장 낮은 값을 제외하고 3개의 평균값으로부터 판단하였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온 방치 샘플과 고온 고습 방치 샘플의 y값의 차이가 0.0015 이상이면 황변이 발생한 것으로 하고, 0.0015미만이면 황변 발생이 없는 것으로 정하였다.
헤이즈(Hz) 광투과도(%) 유리밀착력
(kgf/25mm)
황변
실시예 1 0.7 92 2.5 발생없음
실시예 2 0.6 92 2.8 발생없음
실시예 3 0.6 92 3.5 발생없음
실시예 4 0.7 92 2.5 발생없음
실시예 5 0.6 92 2.4 발생없음
실시예 6 0.6 92 2.8 발생없음
실시예 7 0.7 92 1.7 발생없음
실시예 8 0.6 92 1.4 발생없음
실시예 9 0.7 92 2.0 발생없음
실시예 10 0.5 92 3.0 발생없음
실시예 11 0.5 92 2.9 발생없음
위 표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1은 모두 헤이즈가 매우 낮고, 광투과도 90%를 상회하며, 특히 황변이 발생하지 아니하였고, 유리밀착력이 1.4kgf/25mm 이상으로 달성되어, 본 발명의 유리접착성 투명 OLED 디스플레이를 유리면에 접착하였을 때,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광투과도를 달성하면서, 가혹한 환경에서 장기적인 사용을 하더라도 황변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특히, 유리밀착력이 우수하여 본 발명의 유리접착성 투명 OLED 디스플레이를 유리면에 안정적으로 접착할 수 있는 것이다.
1: 투명 OLED
10: 지지체 기판
30: 제1전극
50: 제2전극
70: 유기물층
72: 정공 주입층
74: 정공 전달층
76: 발광층
78: 전자 전달층
79: 전자 주입층
90: 투광층
91: 제1투광층
92: 제2투광층
200: 유리접착층
310: 자동차 앞면 유리

Claims (12)

  1. 투명 디스플레이;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일면에 형성된 유리접착층을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LCD 또는 투명O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LCD 또는 투명 OLED는 550nm파장의 광선 투과율이 70~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LCD 또는 투명OLED는 전광선투과율이 60~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접착층은 전광선 투과도(Total Transmittance, TT)가 90%이상이고, 유리밀착력이 1.4kgf/25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접착층은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점도제어화합물 10~89중량%, 에틸렌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 10~89중량% 및 광중합 개시제 0.01~10중량%를 포함하는 유리접착조성물로부터 자외선 경화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접착층을 형성하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접착층을 형성하는 상기 에틸렌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은 1,6-Hexanediol diacrylate, Tetraethyleneglycol diacrylate, Tripropyleneglycol diacrylate, Trimethylpropane Triacrylate 및 Cyclohexyl acrylate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접착층을 형성하는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Benzyl dimehtyl ketal 또는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접착층은 상기 유리접착조성물을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일면에 코팅하여, 상기 코팅층을 자외선 경화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접착층은 상기 유리접착조성물을 지지체 필름에 코팅하고, 상기 코팅층을 자외선 경화한 후, 상기 투명디스플레이의 일면에 라미네이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12.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OLED는 투명한 지지체 기판과 상기 지지체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전극층, 상기 제1전극층의 일면에 형성된 유기물층, 상기 유기물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1투광층, 상기 제1투광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2전극층 및 상기 제2전극층의 일면에 형성된 제2투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KR1020120070166A 2012-06-28 2012-06-28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KR20140002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166A KR20140002224A (ko) 2012-06-28 2012-06-28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166A KR20140002224A (ko) 2012-06-28 2012-06-28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224A true KR20140002224A (ko) 2014-01-08

Family

ID=5013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166A KR20140002224A (ko) 2012-06-28 2012-06-28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2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7078A (zh) * 2015-02-04 2015-05-20 刘波 基于柔性透明oled的汽车驾驶虚拟***及其控制方法
CN106394196A (zh) * 2016-10-11 2017-02-15 北京理工大学 一种新型的车窗显示***
US9772705B2 (en) 2014-08-13 2017-09-26 Samsung Display Co., Ltd. Double-sided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WO2020197112A1 (ko) * 2019-03-27 2020-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명 발광소자 디스플레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2705B2 (en) 2014-08-13 2017-09-26 Samsung Display Co., Ltd. Double-sided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US10082897B2 (en) 2014-08-13 2018-09-25 Samsung Display Co., Ltd Double-sided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CN104627078A (zh) * 2015-02-04 2015-05-20 刘波 基于柔性透明oled的汽车驾驶虚拟***及其控制方法
CN106394196A (zh) * 2016-10-11 2017-02-15 北京理工大学 一种新型的车窗显示***
WO2020197112A1 (ko) * 2019-03-27 2020-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명 발광소자 디스플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5118B2 (ja) 透明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TWI512072B (zh) 靜電容量方式觸控面板用黏著劑層、及靜電容量方式觸控面板用黏著片
JP6684043B2 (ja) コーティング層付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716543B1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6634621B2 (ja) 透明粘着シート用光硬化性組成物、透明粘着シート
CN106164194B (zh) 粘合剂层以及防飞散粘合片
WO2020111232A1 (ja) 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7372824B2 (ja) 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60130799A (ko) 점착제 및 점착 시트
KR20150109376A (ko) 광학 부재용 점착제 조성물, 광학 부재용 점착층 및 면광원 장치
TW201504313A (zh) 能量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其硬化物
KR20160102433A (ko) 광학 적층체 및 면광원 장치
CN106967380B (zh) 无溶剂型粘着性组合物、粘着剂、粘着片及显示体
JP2019044152A (ja)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KR20140002224A (ko)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TW201315788A (zh) 光學用黏接著劑組合物、光學用黏接著劑層、光學零件、偏光板、及圖像顯示裝置
TW202204152A (zh) 光學積層體
KR101948462B1 (ko) 액정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JP6858912B2 (ja)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光学積層体
JP6934996B2 (ja)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光学積層体
KR20190057101A (ko) 광학용 점착제층, 광학용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 점착제층을 구비한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5397391B2 (ja) セパレータ付き衝撃吸収透明粘着材
TWI804547B (zh) 光硬化性樹脂組合物、及圖像顯示裝置之製造方法
US20190271879A1 (en) Liquid crystal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240852B1 (ko) 아크릴계 조성물, 광학부재용 보호 필름,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