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745U -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 Google Patents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745U
KR20140001745U KR2020120008313U KR20120008313U KR20140001745U KR 20140001745 U KR20140001745 U KR 20140001745U KR 2020120008313 U KR2020120008313 U KR 2020120008313U KR 20120008313 U KR20120008313 U KR 20120008313U KR 20140001745 U KR20140001745 U KR 201400017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port
mounting plate
strawberry
seed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31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창협
Original Assignee
황창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창협 filed Critical 황창협
Priority to KR2020120008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745U/en
Publication of KR201400017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745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7Grids for supporting several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동일한 면적 대비 육묘 생산량을 증대하고, 수직 육묘 구조에 효과적인 관수 및 생장관리가 가능한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로서, 자묘가 수용되어 생장하는 복수의 단위포트를 갖는 육묘포트와, 바닥에 세워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육묘포트가 다단으로 체결되는 거치용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육묘포트는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상태로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에 고정결합하고,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와 체결부분에는 절개되어 형성된 암형 걸이홈을 가지며,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는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의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암형 걸이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수형 걸이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which is a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capable of increasing the seedling production to the same area and effective watering and growth management for the vertical seedling structure, and having a plurality of unit ports in which the seedlings are accommodated and grown. A port and a mounting plat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loor, and the seedling port is fastened in multiple stages, and the seedling port is fixed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the mounting plate The fastening portion has a female hook groove formed by being cut, and the mounting plat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pport frame of the mounting plate and has a male hook that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female hook groove.

Description

딸기 육묘포트 조립체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본 고안은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직구조로 딸기의 자묘를 육성함으로써 동 면적 대비 육묘 생산량을 증대하고, 육묘환경조성과 시설관리에 용이한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to increase the seedling production relative to the same area by cultivating the seedlings of strawberries in a vertical structure, easy to create a seedling environment and facility management.

딸기는 우수한 맛과 영양으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과일 중 하나로 매년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른 공급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 육묘장과 농가에서는 차년도 딸기생산을 위한 자묘 생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딸기의 번식과정을 통해 자묘 생산과정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데, 씨앗으로 번식하는 타 식물과 달리 딸기는 어미묘로부터 통상 '러너'(runner)로 불리는 줄기가 뻗어나와 지면에 뿌리를 내려 하나의 개체로 생장하는 방식으로 번식한다. 육묘 생산과정에서 번식된 자묘가 일정한 크기로 생장했을 때, 냉장고 같은 저온상태에서 보관 후, 땅이나 수경재배용 용기에 옮겨심는 정식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모종이 성장하여 과실의 생산이 가능하다. Strawberries are one of consumers' favorite fruits with excellent taste and nutrition, and the demand is increasing every year. In order to secure the supply, specialty nurseries and farmhouses are working hard to produce seedlings for strawberry production next year. The growth of strawberries can explain the necessity of the seedling production process. Unlike other plants that grow as seeds, strawberries have a stem, usually called 'runner,' extending from the mother seedlings and rooted on the ground. Breed by growing as an individual. When seedlings grown in the seedling production are grown to a certain size, they are stored at low temperature, such as a refrigerator, and then transferred to the ground or hydroponic cultivation container, whereby seedlings grow and produce fruit.

이러한 점 때문에 딸기 육묘 과정은 과실생산에 앞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단계로서, 건실한 자묘 확보를 위해 병해를 입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개량종 또는 신품종이 개발로 신속하게 다량의 모종을 농가에 보급하기 위하여 효과적으로 육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For this reason, the strawberry seedling process is a step that must be preceded before fruit production, and it is most important to manage it to prevent disease in order to secure healthy seedlings, and to rapidly disseminate large quantities of seedlings to farms by developing new or new varieties. In order to effectively increase the production of seedlings, a situation is required.

선행기술 일본특허 제4821313에서는 지지프레임에 재치대를 다단으로 고정하고, 지지대에 딸기 재배용 플랜터를 일렬로 배치하여 육묘포트를 수직으로 구성하고 다단 설치할 수 있는 포트플레이트를 개시하여, 공간활용도를 증대시키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으나, 각 다단에 공급하는 관수는 개별적 라인을 구성하여야 하는 점은 보다 많은 시설비와 인력을 요구하였고, 포트플레이트와 재치대의 형성된 경사도는 조절이 불가능하여 육묘 환경에 대한 적응적 생장여건을 충족시킬 수 없었다. Prior art Japanese Patent No. 4821313 secures the mounting table to the support frame in multiple stages, and arranges the planting plant for strawberry on the support line in a row to disclose a pot plate for vertically constructing the seedling pot and installing it in multiple stages, thereby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Although the water supply to each stage is required to construct a separate line, it requires more facility cost and manpower, and the inclination of the port plate and the mounting platform is not adjustable, so it is adaptive to the seedling environment. The conditions could not be met.

또한, 선행기술 등록특허 제10-0876048에서는 딸기 육묘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병해 요소중 제일 난제인 탄저병 예방을 위해, 발병 원인이 되는 스프링클러와 같은 두상관수방법을 대체한 육묘용 트레이를 이용한 관수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관수방법은 관수를 위한 호스를 설치하고 뿌리가 위치한 상토에 직접적으로 물을 공급하고 지상부의 작물에 물방울이 날리지 않도록 하여 발병 예방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각 라인마다 호스를 설치하여 관수를 실시하도록 설계된 점은 수평육묘방식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수직 구조의 육묘방식에 적용할 수 있는 대체 수단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prior art Patent Registration No. 10-0876048 watering method using a seedling tray for replacing seedlings such as sprinkler to cause the disease in order to prevent anthrax, which is the most difficult disease among diseases that can occur in strawberry seedling process Is starting. The watering method discloses that a hose for watering is installed and water is supplied directly to the soil on which the root is located, so that water droplets do not fly to crops on the ground, thereby providing a favorable environment for preventing the disease. Designed to carry out the watering is to be applicable to the horizontal seedling method, the situation that requires an alternative mea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vertical seedling method.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동일한 면적 대비 육묘 생산량 증대와, 수직 육묘 구조에 효과적인 관수와 생장관리가 가능한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that can increase the production of seedlings relative to the same area, effective watering and growth management in the vertical seedling structur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는, 자묘가 수용되어 생장하는 복수의 단위포트를 갖는 육묘포트와, 바닥에 세워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육묘포트가 다단으로 체결되는 거치용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육묘포트는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상태로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에 고정결합하고,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와 체결부분에는 절개되어 형성된 암형 걸이홈을 가지며,상기 거치용 플레이트는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의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암형 걸이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수형 걸이대를 구비하는 것으로 달성 가능하다.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seedling seedling having a plurality of unit ports to grow and accommodate the seedling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loor for mounting the seedling port is fastened in multiple stages Is provided with a plate, the seedling port is fixed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in a state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he mounting plate and the fastening portion has a female hook groove formed by cutting, the mounting plate is for the mounting Protruding from the support frame of the plate and is achieved by having a male hanger that is inserted into the female hanger groove and fastened.

여기에서, 상기 육묘포트는, 상기 육묘포트 내부면에서 하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자묘의 발근 방향을 유도하는 나선돌기를 더욱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나선돌기 상부 끝단에 상기 육묘포트 내부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줄기유도안착홈을 더욱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Here, the seedling port is formed inclined dow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edling port can be further provided with a spiral protrusion for inducing the rooting direction of the seedl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edling port at the upper end of the spiral projec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stem guide seating groove formed concave along.

또한, 상기 육묘포트는,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하향으로 오목하게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관수홈과, 상기 단위포트의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관수홈과 연통하는 제1 관수유도홀과, 밑단 육묘포트로 관수를 유도하는 제2 관수유도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edling port, the irrigation groove extending downwardly between the mounting plate and integrally formed, and the first irrigation guide hole is formed concave at the upper end of the unit port to communicate with the irrigation groov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rrigation guide hole for inducing irrigation to the hem seedling port.

또한,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는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육묘포트를 지지하여 상기 육묘포트의 경사도 유지 및 유동을 방지하는 육묘포트 받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mount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seedling port support plate which protrudes from the mounting plate and supports the seedling port to prevent the inclination and flow of the seedling port.

그리고,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는, 수직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절개되어 형성된 배수홈과, 상기 배수홈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배수홈으로부터 경사져 돌출되어 상기 육묘포트의 관수홈에 연통되어 상기 배수홈에서의 배수량을 조절하는 배수조절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mounting plate has a drain groove formed by being recess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and has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drain groove and is inclined from the drain groove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ing groove of the seedling port to communicate with the drain groove.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drain adjusting protrusion for adjusting the amount of drainage.

상기 육묘 포트는, 단위포트의 상단에 형성된 거치 링 또는 거치 홀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단위포트는 상기 거치 링에 착탈 가능하게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eedling port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ring or a mounting hol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unit port, and the unit port may be manufactured to be detachab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ring.

본 고안에 따른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에 의하면, 육묘 생산에 있어 수직구조로 실시함으로써 수평구조의 육묘포트에 비하여 동일한 면적 대비 약 1.5배 내지 2배 가량의 육묘 생산이 가능하고, 하나의 관수용 점적호스 또는 관수라인만을 설치하더라도, 같은 라인의 모든 자묘에 관수가 가능하여 노동력과 시설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vertical structure in the production of seedlings, it is possible to produce seedlings about 1.5 to 2 times the same area compared to the horizontal seedling pot, and one irrigation drip hose Alternatively, even if only the watering line is installed, water can be irrigated on all seedlings of the same line, thereby reducing labor and facility costs.

또한, 수평구조의 종래의 육묘포트에 비하여, 복수 단의 육묘포트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재배함으로써 딸기의 줄기가 자연스럽게 하부단으로 뻗어나갈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수평구조의 포트에서 딸기의 줄기가 동일평면상에서 복잡하게 얽혀 관리와 재배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고, 딸기의 수확시에도 동일한 높이의 단을 따라 절단만 하면 되므로 수확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compared to a conventional seedling pot having a horizontal structure, the stem of the strawberry can be naturally extended to the lower end by cultivating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stages of seedling pot vertically, so that the stem of the strawberry is the same plane in the conventional horizontal pot. Trouble management and cultivation difficult to intertwine in the phase, and even when harvesting strawberries can be cut along the stage of the same height can save the time and labor required for harvesting.

또한, 경사도를 형성한 육묘포트는 관수 시, 배양토의 경사를 따라 흘러내리며 뿌리 전체에 흡수되는 것이 가능하여 건실한 육묘 생산이 가능하고, 이러한 관수 수단은 잎에 직접적으로 물이 닿지 않아 육묘의 제일 난제인 탄저병 발병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edling seedlings that form the slope can flow along the slope of the culture soil during watering and can be absorbed throughout the roots, thereby producing sound seedlings.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incidence of anthrax.

그 뿐만 아니라, 육묘포트 내부에 뿌리 길이와 생장 방향을 유도하는 나선돌기로 뿌리가 건실한 우량묘의 생산이 가능하여, 자묘를 뽑아 육묘포트로부터 분리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효과적이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good seedlings with strong roots with spiral protrusions that induce root length and growth direction inside the seedling pot, and is very effective in extracting seedlings and separating them from the seedling pot.

상기 육묘포트와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는 육묘 환경에 따라 경사도 조절이 가능하고, 각각의 구성체간 상하좌우 제약 없이 무한한 연결성을 가지므로 육묘장의 지형과 크기에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다.
The seedling port and the mounting plate is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ccording to the seedling environment, and can be applied irrespective of the topography and size of the nursery because it has infinite connectivity without restricting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each componen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평판구조를 갖는 육묘포트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관수홈과 제1,2 관수유도홀이 구성된 육모포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용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4는 플레이트 걸이부의 확대 예시도이며,
도 5는 육모포트와 거치용 플레이트가 결합된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6는 육묘 포트 조립체의 상측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제1 육묘포트 거치대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제2 육묘포트 거치대이며,
도 9는 나선돌기와 줄기유도 안착홈이 구성된 육묘포트의 단면도이다.
1 shows a seedling port having a flat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air growth port consisting of a watering groove and the first and second watering guide ho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plate hanger;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combined with the hair growth port and the mounting plate,
6 is a top view of the seedling pot assembly,
7 is a first seedling port holder is configur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ond seedling pot holder configur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edling port is composed of the spiral projection and the stem guide seating groov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100)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있어, 상호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며,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if necessary.

본 고안에 따른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100)는 크게 육묘포트(200)와 상기 육묘포트(200)가 거치되는 거치용 플레이트(300)가 고정결합되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여기에서, 상기 육묘포트(200)가 소정의 경사도를 형성하도록 고정결합시키는 것은 본 고안의 주요 특징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소정의 경사도는 결합부(40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arried out in the manner that the seedling pot 200 and the mounting plate 300 on which the seedling pot 200 is mounted. Here, fixing the seedling pot 200 to form a predetermined inclination corresponds to one of the main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may be formed by the coupling unit 400.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400)는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300)의 일측 또는 지지프레임(320)으로부터 연장되어 외부로 절곡 돌출된 수형 걸이대(330)와, 상기 육묘포트의 상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수형 걸이대(330)에 상응하는 암형 걸이홈(2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육묘포트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육묘포트 받침판(410)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받침판(410)은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의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의 지지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coupling part 400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mounting plate 300 or the support frame 320 to be bent outwardly to the male hook 330, and extends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edling por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emale hanger groove 260 corresponding to the male hanger 330,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seedling port support plate 410 for supporting the bottom of the seedling port. The support plate 410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support frame of the mounting plate, i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frame of the mounting plate.

일정량의 배양토로 채워진 상기 육묘포트(200)를 상기 수형 걸이대(330)에 걸어 고정시키는데, 배양토가 채워진 상기 육묘포트(200)는 중량에 의해 고정이 유지되지만, 비인위적 조건에 의해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수형 걸이대(330)는 체결 시, 암형 걸이홈을 관통하여 외부로 소정의 돌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결합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사시도를 나타낸 도 5를 참조하면 이해에 용이하다. The seedling pot 200 fill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culture soil is fixed to the male hanger 330, and the seedling port 200 filled with culture soil is fixed by weight, but is not easily separated by non-artificial conditions. When the male hanger 330 is fastened,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protrusion is made through the female hanger groove to the outside. Such coupling is easy to understand with reference to Figure 5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결합방식에 있어, 상기 암형 걸이홈(260)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그 예시로, 절곡되어 상측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돌출된 수형 걸이대(330)의 삽입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암형 걸이홈(260)을 비스듬하게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면을 향하여 상기 암형 걸이홈(260)이 형성될 경우, 육묘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중 의도적이지 않은 외부 힘에 의하여 쉽게 결합이 분리될 수 있어 추가적인 고정수단이 요구될 수 있다. In the coupling method, the female hook groove 260 may have a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female hanger groove 260 beveled at an angle for ease of insertion of the male hanger 330 which is bent and extended upward. When the female hook groove 260 is formed toward the front side, the coupling can be easily separated by an unintentional external force during the work in the seedling process, so additional fixing means may be required.

상기 경사도는, 상기 암형 걸이홈(260)의 설계된 방향으로 상기 수형 걸이대(330)를 삽입하는 것으로 형성 가능하지만, 상기 육묘포트 받침판(410)을 통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육표포트 받침판(410)은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300) 또는 지지 프레임(320)에 구성된 것으로, 상기 육묘포트 받침판(410)의 형성위치를 결합부(260,330)에 가깝게 할 경우, 상기 육모포트(200)에 부여되는 기울기 정도가 커지고, 멀게 할 경우, 기울기가 완만해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경사도 조절이 가능하다. The inclination may be formed by inserting the male hanger 330 in the designed direction of the female hanger 260, but may also be formed through the seedling port support plate 410. The meat table support plate 410 is configured on the mounting plate 300 or the support frame 320, and when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seedling port support plate 410 is closer to the coupling portion (260,330), the hair growth port ( 200, the inclination degree is increased, if it is far awa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clination using the principle that the inclination is gentle.

이와 같이 상기 육묘포트 받침판(410)을 위치조절식으로 설계할 수 있으나, 제작단가의 절감을 위해 다양한 기울기로 받침판 경사도를 형성하는 거치용 플레이트(300)를 생산하고 상기 받침판 경사도에 대응하는 번호를 부여하여 육묘환경에 따라 헷갈림 없이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방식이 유리할 수 있다.The seedling port support plate 410 can be designed in a position-adjustable manner as described above, but in order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the mounting plate 300 is formed to form a support plate inclination with various inclinations, and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late inclination is obtained. It may be advantageous to provide a selective use without confusing the seedling environment.

추가적으로는, 육모포트의 하단에 구성된 배수공(340)에 삽입되어 상기 육묘포트 받침판(4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돌기(미도시)를 상기 육표포트 받침판(410)에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의 돌기는 배수에 지장이 없는 크기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rotrusion (not shown) may be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34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air growth port to prevent departure from the seedling port support plate 410, and may be configured on the support table support plate 410. The projection at this time is preferably designed to have a siz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rainage.

경사도를 형성하여 상기 육묘포트(200)를 기울이는 것은 관수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세부적인 내용은 본 고안의 관수에 대한 구성요소와 함께 뒤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Tilting the seedling port 200 by forming an inclination is a means for increasing the effect of water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components for the wate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300)는, 지지 프레임(320), 플레이트 걸이부(310), 수형 걸이대(330) 및 육묘포트 받침판(41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mounting plate 300 includes a support frame 320, a plate hanger 310, a male hanger 330, and a seedling pot support plate 410.

상기 플레이트 걸이부(310)는 모개체의 측면에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300)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홈이 구성된 고리형상의 플레이트 걸이부(310)를 미리 설치된 로프나 와이어 등에 연결하거나, 모개체가 심어진 재배용기의 일측에 걸어 고정하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플레이트 걸이부(310) 이외에 거치용 플레이트(300)의 하단에 별도의 플레이트 걸이부를 추가로 구성하여 결속할 경우, 유동없이 더 견고한 설치가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 걸이부(310)와 추가 구성된 플레이트 걸이부가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300)의 설치각도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육묘 환경 조성에 유리하다.The plate hanger 310 is for installing the mounting plate 300 on the side of the mother body, connecting the ring-shaped plate hanger 310 having a groove formed in advance, such as a rope or wire, or the mother body Is fastened in a way that is fixed to hang on one side of the planted cultivation container. In addition to the plate hanger 310, when additionally configured to bind to a separate plate hanger at the bottom of the mounting plate 300, a more robust installation is made without flow, the plate hanger 310 and the plate further configured Since the mounting angle of the mounting plate 300 can be selectively form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hook part is fixed, it is advantageous for creating a seedling environment.

또한,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300)는 육묘포트를 다단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수형 걸이대(330)와 상기 육묘포트 받침판(410)이 지지 프레임(320)을 따라 좌우 상하간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가 수평으로 연이어 배치된 종래기술의 환경에서는 병해 발생 시, 이병 확률이 높고, 육묘장의 공간 활용도가 낮았다. 또한, 모개체로부터 뻗어나오는 러너(번식용 줄기)는 자생가능한 자묘로 생장했을 때 절단해 주어야 하는데 종래의 수평구조의 포트에서는 절단과 안착이 용이치 않아 육묘 재배의 생산성이 저감되었던 문제가 있었으나, 수직 육묘 구조로 실시함으로써 하단으로 뻗은 러너는 안착유도와 절단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고, 무엇보다 육묘에 요구되는 면적이 대폭 감소되므로 공간 활용도를 월등히 높일 수 있어, 종래의 수평구조 육묘 방식 문제의 해결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mounting plate 300 is the male hanger 330 and the seedling port support plate 410 is configur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support frame 320 to fasten the seedling port in multiple stages. As shown in Figure 1 in the prior art environment in which the ports are arranged in a row horizontally, when the disease occurs, the probability of the disease is high,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nursery nursery was low. In addition, runners (reproduction stems) extending from the mother tree should be cut when they grow into native seedlings. However, in the conventional horizontal port, cutting and settling were not easy, so productivity of seedling cultivation was reduced. The runners that extend to the bottom by vertical seedling structure can easily perform seating induction and cutting. Above all, the area required for seedlings can be greatly reduced, which greatly improves the space utilization,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conventional horizontal seedling method. This is possible.

통상 딸기를 생산하는 모종의 크기와, 재배되는 간격, 건실한 자묘 생산을 위해 모주로부터 받는 자묘의 수를 고려하면, 하나의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300)에 수직방향으로 5단 내외로 설치하고, 하나의 단에는 5포트 내외로 구성하는것이 바람직하여 이를 실시예로 구성하였다. 물론 육묘하고자 하는 종과 재배환경에 따라 실시하는 구성의 변경은 가능하다. Considering the size of the seedlings to produce strawberries, the cultivation intervals, and the number of seedlings received from the seedlings for the production of healthy seedlings, usually installed on one mounting plate 300 in about 5 stag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on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configuration is about 5 ports, which was configured as an exampl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species to be grown and the cultivation environment.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300)의 표면은 상기 지지 프레임(320)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프레임 사이는 개방형 구조를 가진다. 이는 경량화 실현과 함께 열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통풍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여름철 육묘장 시설하우스 내부에서 흡수되는 태양복사열을 최소화하여 냉랭한 환경으로 자묘의 생장조건의 최적화가 가능하다.The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300 is composed of the support frame 320, each frame has an open structure. This is to prevent the damage caused by heat with the realization of light weight, not only easy ventilation, but also minimize the solar radiation heat absorbed inside the nursery facility house during the summer to optimize the growth conditions of the seedlings in a cold environment.

그리고, 좌우 끝단에 확장의 용이성을 위하여 플레이트 확장부(미도시)를 더 구성할 수 있는데, 육묘장의 지형적 여건에 따라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연결고리, 결합 핀, 조임나사 등 그 수단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300)의 구성 재질은 형상 가공의 용이성, 자재의 단가, 관리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을 실시예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plate extension portion (not shown) may be further configur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for ease of expansion, and the link ring, the coupling pin, and the tightening screw may be variously applied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conditions of the nursery. Can be.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mounting plate 300 is configured as an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hape processing, unit cost of materials, ease of management,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300)의 최상단에 상기 지지 프레임(320)을 따라 최상단 육묘포트를 향하는 관수용 배수홈(3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관수 방법에 대한 내용은 육묘포트(200)의 실시예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watering drainage groove 340 toward the uppermost seedling port along the support frame 320 at the uppermost end of the mounting plate 300. Details of the wate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an embodiment of the seedling seed pot 200.

도 5에서 상기 육묘포트(200)는 5개 내지 6개의 단위포트(201)가 구성되어 하나의 단을 형성하는 일체형 육묘포트(200)가 도시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육묘포트(200)의 암형 걸이홈(260)을 따라 하단으로 움푹 패인 형상의 관수홈(230)을 형성하는데, 이는 전술한 상기 배수홈(34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수된 물이 상기 관수홈(230)에 일시적 저장된 후, 상기 육묘포트(200)로 공급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관수홈(230)의 일측에서 최상단 육묘포트 방향으로 연통된 제1 관수유도홀(240)을 통해 배양토로 물이 공급되며, 본 고안의 육묘포트(200)가 기울인 상태로 체결됨에 따라 배양토의 상부면을 흐른 물이 상기 제1 관수유도홀 반대편의 제2 관수유도홀을 통과하여 밑단의 육묘포트로 관수가 이루어지며, 배양토 상부면을 따라 흐르며 흡수되지 않은 여분은 물은 각각의 제2 관수유도홀을 통해 밑단으로 물이 공급되므로 각각의 육묘포트에 관수시설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모든 모종에 관수가 가능하다. In FIG. 5, the seedling pot 200 has an integrated seedling pot 200, in which five to six unit ports 201 are formed to form one e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the female hook groove 260 of the seedling port 200 to form a watering groove 230 of the recessed downward shape, which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above-mentioned drain groove 340 The drained water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watering groove 230, and then supplied to the seedling port 200, the first watering guide hole 240 communi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top seedling port from one side of the watering groove 230 Water is supplied to the culture soil through),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ulture soil as the seedling seeding por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in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watering guide hole opposite the first watering guide hole Watering is done to the seedling port of the seedlings. The excess water that flow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ulture soil is supplied to the hem through the respective second irrigation guide holes, so that all seedlings are not provided with each seedling port On It is not possible.

이때, 상기 배수홈(340)에는 관수호스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배수방식으로 관수가 실시되는데, 배수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배수조절돌기(350)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배수조절돌기(350)는 상기 배수홈(340) 일단에 구성되며 배수조절나사, 배수조절밸브와 같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면 족하다.At this time, the drainage groove 340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ing hose is watering is carried out by the drainage method,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drain control projection 350 for adjusting the degree of drainage. Here, the drain control protrusion 350 is configured at one end of the drain groove 340 and is not limited to a shape such as a drain control screw and a drain control valve, and may be a means for adjusting the drainage amount.

한편으로, 상기 관수홈(230)은 상기 육묘포트(200)의 횡 방향으로 움푹하게 패인 라인을 형성하는데, 상기 라인에 관수용 점적호스를 횡으로 안착시켜 물을 공급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상기 관수홈(230)의 크기 이하로 형성된 점적호스는 상기 관수홈(230)에 안착된 상태로 물을 배출하면 상기 제1 관수유도홀(240)을 통해 배양토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방식도 하나의 호스로 플레이트 거치대가 연장된 전체라인에 물의 공급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irrigation groove 230 forms a recessed lin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eedling port 200, it is also possible to supply a water by mounting a dropping hose for the line horizontally. The drop hose formed below the size of the watering groove 230 is discharged into the culture soil through the first watering guide hole 240 when the water discharged in a state seated in the watering groove 230. In this manner,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entire line where the plate holder is extended with one hose.

전술된 내용은 본 고안의 실시예(제1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 것으로, 육묘포트(200)의 구성을 개별적 분리가 가능하게 적용할 수 있는데, 이를 제2 실시예로 설명하고자 한다.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descri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eedling port 200 can be applied to enable separate separ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as a second embodiment.

도 7과 도 8은 육묘포트를 개별적 분리와 거치할 수 있도록 하기한 육묘포트 거치대(420a, 420b)를 도시한 것으로, 모종이 담긴 포트를 각각 삽입/분리하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도 7의 육묘포트 거치대(420a)는 1포트 1결합부를 구성한 거치대를 예시한 것이고, 도 8은 육묘포트를 거치대에서 분리할 수 있게 하되, 다수의 포트가 거치될 수 있도록 일체형 거치대를 구성한 것을 도시하였다.7 and 8 illustrate seedling pot holders 420a and 420b to separate and place seedling pots separately, and are performed by inserting / separating the pots containing the seedlings, respectively. The seedling seedling holder 420a of FIG. 7 illustrates a holder that constitutes a one-port one coupling part, and FIG. 8 shows that the seedling pot may be separated from the holder, but an integral holder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ports can be mounted. It was.

상기 육묘포트 거치대(420a, 420b)에 거치되기 위해서는 육묘포트의 상단이 하단보다 넓은 뒤집힌 원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상을 이용할 경우, 하단으로 빠지지 않고 견고히 거치될 수 있는데 이때의 육묘포트 최상단 외부지름이 원형의 거치대 틀보다 커야함은 당연하다. In order to be mounted on the seedling pot holders 420a and 420b,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seedling pot has an inverted cone shape wider than the lower end thereof. When using this shape, it can be mounted firmly without falling to the bottom, it is natural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top end of the seedling port should be larger than the circular frame of the holder.

또한 상기 뒤집힌 원뿔 형상의 포트에서는, 모종을 포트에서 뽑아 분리하기 위해 포트를 뒤집으면 반대편보다 다량으로 뭉쳐진 배양토가 하단을 향하게 되므로 용이하게 탈락 가능하여, 병묘의 제거와 새로운 모종의 이식작업에 용이함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inverted cone-shaped port, in order to pull out the seedlings from the pot and turn the pot upside down, the cultured soil aggregated in a larger amount from the opposite side is directed toward the bottom, so that the seedlings and the transplantation of new seedlings are easy. have.

한편, 상기 육묘포트의 내부에는 딸기의 줄기를 안내하는 돌기와 안착홈을 더욱 마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seedling pot may further provide a projection and a seating groove for guiding the stem of the strawberry.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육묘포트(200)의 내면에는 자묘의 발근 방향을 유도하는 나선돌기(210)가 상기 육묘포트(200) 내부면의 종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선돌기(210) 상부 끝단에 상기 육묘포트(200) 내부면을 따라 줄기유도안착홈(220)을 더 구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spiral protrusion 210 which guides the rooting direction of the seedling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edling port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edling port 200, and the spiral protrusion 210. At the upper end, the stem guide seating groove 220 may be further configur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eedling port 200.

상기 나선돌기(210)는 지면과 이루는 가상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0°내지 20°의 사선 기울기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딸기의 육묘과정에서는 잎과 줄기의 생장보다 건실한 뿌리를 확보하는 방향으로 실시되는데, 상기의 기울기는 포트 내부에서 뿌리가 사선으로 자라도록 유도하여 보다 긴 길이를 확보할 수 있는 수단으로 작용하지만, 20°를 초과할 경우 뿌리의 길이 확보는 더 용이할 수 있으나, 포트에서 뽑는 과정에서 마찰적 요소로 작용하여 배양토와 뿌리가 쉽게 흐트러져 분리되는 역효과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spiral protrusion 210 may have an oblique inclination of 0 ° to 20 ° based on an imaginary vertical axis forming the ground. In the seedling process of strawberries, the roots are stronger than the growth of leaves and stems, and the slope is used as a means to secure longer lengths by inducing the roots to grow diagonally inside the pot. If it exceeds °, it may be easier to secure the length of the root, but to prevent the adverse effect of separating the soil and roots easily separated by acting as a friction factor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from the pot.

상기 줄기유도안착홈(220)은 상기 육묘포트 내측에 원호형상으로 형성하여, 러너가 포트내에서 보다 길게 생장하고,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The stem guided seating groove 220 is formed in an arc shape inside the seedling port, so that the runner can grow longer in the port and be stably seated.

상기 나선돌기(210)와 상기 줄기유도안착홈(220)은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고 실시가 가능하다.
The spiral protrusion 210 and the stem guide seating groove 220 may be implemented without being limited to any on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비록 본 고안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Although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 200 : 육묘포트
201 : 단위포트 210 : 나선돌기
220 : 줄기유도 안착홈 230 : 관수홈
240 : 제1 관수유도홀 250 : 제2 관수유도홀
260 : 암형 걸이홈 300 : 거치용 플레이트
310 : 플레이트 걸이부 320 : 지지 프레임
330 : 수형 걸이대 340 : 배수홈
350 : 배수조절돌기 400 : 결합부
410 : 육묘포트 받침판 420a: 제1 육묘포트 거치대
420 b: 제2 육묘포트 거치대
100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200 seedling seedling pot
201: unit port 210: spiral protrusion
220: stem guide seating groove 230: watering groove
240: the first watering guide hole 250: the second watering guide hole
260: female hanging groove 300: mounting plate
310: plate hook portion 320: support frame
330: male rack 340: drain groove
350: drainage control projection 400: coupling portion
410: seedling pot support plate 420a: first seedling pot holder
420 b: second seedling pot holder

Claims (8)

자묘가 수용되어 생장하는 복수의 단위포트를 갖는 육묘포트와,
바닥에 세워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육묘포트가 다단으로 체결되는 거치용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육묘포트는 소정의 경사도를 갖는 상태로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에 고정결합하고,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와 체결부분에는 절개되어 형성된 암형 걸이홈을 가지며,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는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의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암형 걸이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수형 걸이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
A seedling port having a plurality of unit ports in which seedlings are accommodated and grown;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loor and provided with a mounting plate for fastening the seedling port in multiple stages,
The seedling port is fixed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in a state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d has a female hook groove formed by cutting in the mounting plate and the fastening portion,
The mounting plate is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pport frame of the mounting plate and has a male hanger that is inserted into the female hook groove faste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육묘포트는, 상기 육묘포트 내부면에서 하향으로 경사져 형성되어 자묘의 발근 방향을 유도하는 나선돌기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seedling seedlings, strawberry seedlings port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spiral protrusion formed inclined dow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edlings to guide the rooting direction of the seedling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돌기 상부 끝단에 상기 육묘포트 내부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줄기유도안착홈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stem guide seating reces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edling port in the upper end of the spiral proj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육묘포트는,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하향으로 오목하게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관수홈과,
상기 단위포트의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관수홈과 연통하는 제1 관수유도홀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seedling pot,
A watering groove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cess plate by extending downwardly between the mounting plates;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watering guide hole formed concave on the upper end of the unit port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ing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육묘포트는, 밑단 육묘포트로 관수를 유도하는 제2 관수유도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seedling seedling,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second watering guide hole for inducing watering to the bottom seedling seedling 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는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육묘포트를 지지하여 상기 육묘포트의 경사도 유지 및 유동을 방지하는 육묘포트 받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plate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mounting plate strawberry seedling port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seedling port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seedling port to prevent the inclination and flow of the seedling 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용 플레이트는, 수직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절개되어 형성된 배수홈과, 상기 배수홈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상기 배수홈으로부터 경사져 돌출되어 상기 육묘포트의 관수홈에 연통되어 상기 배수홈에서의 배수량을 조절하는 배수조절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ing plate has a drain groove formed by being concavely cut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drain groove and is inclined from the drain groove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ing groove of the seedling port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rainage groove.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rain control projection for adjusting the drainage amou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육묘 포트는, 단위포트의 상단에 형성된 거치 링 또는 거치 홀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단위포트는 상기 거치 링에 착탈가능하게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육묘 포트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seedling seedling port further comprises a mounting ring or a mounting hole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unit port, wherein the unit port is a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detachably detachable to the mounting ring.
KR2020120008313U 2012-09-18 2012-09-18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KR2014000174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313U KR20140001745U (en) 2012-09-18 2012-09-18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313U KR20140001745U (en) 2012-09-18 2012-09-18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45U true KR20140001745U (en) 2014-03-26

Family

ID=5244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313U KR20140001745U (en) 2012-09-18 2012-09-18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745U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41A (en) 2015-06-26 2017-01-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조이팜 Strawberry raising seedings pot
CN106613483A (en) * 2016-12-23 2017-05-10 黎亚军 Strawberry seedling culturing device and method
CN107820197A (en) * 2017-12-22 2018-03-20 奥音新材料(镇江)有限公司 The efficient solidification frame of receiver manufacture ultraviolet curing mach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41A (en) 2015-06-26 2017-01-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조이팜 Strawberry raising seedings pot
CN106613483A (en) * 2016-12-23 2017-05-10 黎亚军 Strawberry seedling culturing device and method
CN107820197A (en) * 2017-12-22 2018-03-20 奥音新材料(镇江)有限公司 The efficient solidification frame of receiver manufacture ultraviolet cur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950B1 (en) Foldable same-place raising-seed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trawberry elevated cultivation
KR101645458B1 (en) A method for cultivating strawberry seedlings using strawberry seedlings and cultivation
KR101324896B1 (en) Method for seedling and planting of strawberry
KR101299354B1 (en) High-installed raising seedling apparatus for strawberry with bottom watering system
KR101749871B1 (en) Strawberry double layered cultivation equipment that combines strawberry nursery and cultivation
KR101645455B1 (en) Individual ports and strawberry seedling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same goseol formal place for a strawberry nursery place.
KR101817591B1 (en) Strawberry raising seedings pot
KR101637227B1 (en) cultivating facilities USING pot for strawberry and cultivating methods
KR101382834B1 (en) the pot for raising seedling with an easy watering and replanting
CN103875386A (en) Soilless seedling cutting raising method of gardenia jasminoides in potted trays of rice field
KR101831294B1 (en) Apparatus for growing strawberry seedlings
KR101589414B1 (en) Strawberry growth method using growth container
US8112937B1 (en) Natural growth terrarium planter
KR20140001745U (en) strawberry seedling pot assembly
CN104322260A (en) Cutting propagation method of osmanthus trees
KR20120109044A (en) Tomato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095126B1 (en) The Plastic Pot installed in high position of Growth Strawberry hydroponics to Water drainage installation function
KR101845060B1 (en) A plant for raising strawberry seedling
JP2018085966A (en) Method for raising seedling
KR102076710B1 (en) Seedling pot seating device for in-situ seedling laying in heavy planting device
KR100653373B1 (en) An assemble type flowerpot for growing gardening
KR101766591B1 (en) An individual seedling pot used for strawberry seedling and cultivation strawberry high cultivation equipment
JP2000157043A (en) Hydroponics and hydroponic culture system
KR200469808Y1 (en) Plants cultivation vessel
CN206674711U (en) A kind of tomato and sweet basil combination water training cultivation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