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265A - Dimmer and lighting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mmer and lighting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265A
KR20130143265A KR1020120066650A KR20120066650A KR20130143265A KR 20130143265 A KR20130143265 A KR 20130143265A KR 1020120066650 A KR1020120066650 A KR 1020120066650A KR 20120066650 A KR20120066650 A KR 20120066650A KR 20130143265 A KR20130143265 A KR 20130143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mmer
lighting
sensor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6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처스
Priority to KR1020120066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3265A/en
Publication of KR2013014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2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A dimmer includes an illumination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illumination of a lighting unit; a sensor connecting unit which receives a sensing signal from a sensor unit which senses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round the lighting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sensing signal to an external control unit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unit to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DIP switch for a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lighting control is secured by preventing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erence by setting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hardware. [Reference numerals] (11) Illumination control unit;(13) Sensor connection unit;(15) Communication unit;(16) Dip switch unit;(3) Lighting unit;(40) Sensor unit;(60) Control unit

Description

조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DIMMER AND LIGHTING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Dimmer and light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DIMMER AND LIGHTING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설정하는 딥 스위치를 구비한 조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mmer and a light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mmer having a dip switch for setting up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light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가정집, 사무실 등 우리 생활 곳곳에서 사용되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형광등 등은 전기 에너지를 가시광선으로 바꾸는 조명기구이다. 사람이 자주 거주하는 곳에서는 각 조명기구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치가 구비된다. 그러나, 큰 건물, 쇼핑 센터 등에 사용되는 모든 조명기구를 각 스위치로 관리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Light Emitting Diodes (LEDs) and fluorescent lamps used in homes and offices throughout our lives are lighting fixtures that convert electrical energy into visible light. Where people often live, switches are provided to control each luminaire independently.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nage all lighting fixtures used in large buildings, shopping centers, and the like with each switch.

또한, 조명기구가 항상 켜져 있는 지하 주차장, 복도, 백화점 등에서는 자동으로 조명기구의 조도를 조절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는 노력이 강구되고 있다.In addition, in underground parking lots, corridors, department stores, etc., where lighting equipment is always on,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illumination of lighting equipment.

이를 위해, 최근에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의 발달에 따라 집중 제어 방식으로 조명기구를 제어하고 있다. 집중 제어 방식은, 건물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관리실, 사무실 등에 관리서버를 구비하여 각 사무실, 복도, 화장실, 엘리베이터, 지하 주차장, 지하실 등 건물 곳곳에 직접 가지 않고서도 조명기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공간의 주변 환경에 따라 필요 없는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복수개의 조명기구들의 조도를 조절하도록, 관리서버의 통제를 받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To this end, recently, lighting apparatuses are controlled in a centralized control manner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n ubiquitous environment. In the centralized control system, a management server or office is provided with a management server to control a lighting device without going directly to various parts of the building such as each office, corridor, toilet, elevator, underground parking lot, basement, and the like.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ontrolled by the management server to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fixtures to reduce th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each space.

그러나, 조명기구들과 제어부 간에 유선 통신을 하는 경우, 설계 및 설치 작업이 복잡하며, 추후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조명기구들과 제어부 간에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 무선 통신들 간의 통신 혼선으로 인한 관리의 어려움이 따른다.However, in the case of wired communication between the lighting fixtures and the control unit, the design and installation work is complicated, and later maintenance is difficult. 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lighting fixtures and the control unit, there is a difficulty in management due to the communication crosstalk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KR2007-0100794 AKR2007-0100794 A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혼선 없이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조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this respec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mmer capable of controlling lighting without crosstalk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광기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ght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dimmer.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광기는, 조명부의 조도를 조절하는 조도 조절부; 상기 조명부의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 연결부; 및 상기 감지 신호를 외부의 제어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도 조절부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딥 스위치(DIP switch)를 포함한다.Dim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illumination of the illumination unit; A sensor connec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detection signal from a sensor unit that detects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illumination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an external control unit,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is a dip switch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채널 및 어드레스를 설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hannel and the address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set using the dip switch.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지그비(zigbee) 통신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a zigbee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nsor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조명부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광 센서 또는 상기 조명부의 주변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the ambient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unit or a mo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eripheral movement of the light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명부 또는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는 배선들을 정리하는 배선 정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wiring arrang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wiring arranging unit for arranging wirings connected to the lighting unit or the sensor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선 정리부는 상기 조광기의 배면에 형성된 홈(groove)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wiring organizer may be a groov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mmer.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조명부의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조명부의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명부의 조도를 조절하는 조광기를 포함하며, 상기 조광기는 상기 제어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딥 스위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ing control system including: a sensor unit configured to sens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a lighting unit;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unit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And a dimmer for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to the controller and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to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unit, wherein the dimmer includes a dip switch for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광기는, 상기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채널 및 어드레스를 설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mmer may set a channel and an address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dip switch.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지그비(zigbee) 통신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a zigbee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광기는, 상기 조명부 또는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는 배선들을 정리하는 배선 정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immer may further include a wiring arranging unit arranging wirings connected to the lighting unit or the sensor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와 상기 조광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and the dimmer may be in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와 상기 조광기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and the dimmer may b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조명부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광 센서 또는 상기 조명부의 주변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the ambient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unit or a mo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eripheral movement of the light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광기는, 각각 대응하는 조명부에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mmers may be formed in proximity to corresponding lighting unit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각 조광기를 제어하거나 또는 수개의 조광기를 그룹지어 제어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each dimmer or group several dimmer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광기는, 조명부의 조도를 조절하는 조도 조절부; 상기 조명부의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 연결부; 및 상기 감지 신호를 외부의 제어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도 조절부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mmer includes: an illumina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illumination of the illumination unit; A sensor connec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detection signal from a sensor unit that detects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illumination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an external control unit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illumination control unit.

이와 같은 조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드웨어적으로 설정하므로, 근거리 무선 통신의 혼선을 방지하여 조명 제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배선 정리부를 포함하여 외관이 정리될 뿐만 아니라, 화재 위험을 낮출 수도 있다.According to such a dimmer and a lighting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since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set in hardware using a dip switch,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light control by preventing crosstalk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not only the appearance is arranged, including the wiring arrangement, but also the fire risk may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조광기는 조명의 주변 환경 정보에 따라 조도를 제어하므로, 조명에 사용되는 전력을 최대 70 %까지 절약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조광기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라우터 기능을 하므로, 별도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라우터 없이도 원거리의 조명 제어를 가능하게 해준다.In addition, since the dimm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illuminanc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illumination, it is possible to save up to 70% of the power used for the illumination. Furthermore, the dimmer of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s as an access point or a router, thereby enabling remote lighting control without a separate access point or rou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조광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광기의 평면도의 일례이다.
도 4는 도 1의 조광기의 배면도의 일례이다.
도 5는 도 1의 센서부의 일례이다.
도 6은 도 1의 제어부의 일례이다.
도 7은 도 1의 조명 제어 시스템의 사용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dimmer of a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of a top view of the dimmer of FIG. 1.
4 is an example of the rear view of the dimmer of FIG. 1.
5 is an example of the sensor unit of FIG. 1.
6 is an example of the controller of FIG. 1.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use of the lighting control system of FIG. 1.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광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dimm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1)은 조광기(dimmer)(10), 센서부(40) 및 제어부(60)를 포함하며, 조명부(3)의 조도 및 온/오프(on/off)를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1, a lighting control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mmer 10, a sensor unit 40, and a control unit 60, and illuminance and on of the lighting unit 3. Control on / off.

상기 조명부(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기구들을 포함하며, 백열등, 형광등, 할로겐등 등의 다양한 조명기구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수명이 길고 전력소모가 적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ing unit 3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lighting fixtures, and may include all kinds of lighting fixtures such as incandescent lamps, fluorescent lamps, halogen lamps, and the like, and particularly, a light emitting diode (LED) having a long life and low power consumption. It may include.

상기 조명부(3)는 복수개의 조명기구들이 하나의 조명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조명기구들은 서로 직렬로 연결되거나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3) 역시 복수개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조명부(3)에 대응하는 상기 조광기(10)가 존재할 수 있다.The lighting unit 3 may have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forming one lighting unit, and the lighting units may b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or in parallel. In addition,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3 may also exist, and in this case, the dimmer 10 corresponding to each lighting unit 3 may exist.

상기 조광기(10)는 상기 조명부(3)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조명부(3)의 조도를 제어한다. 상기 조광기(10) 및 상기 조명부(3)는 복수개이며, 각 조광기(10)는 대응하는 각 조명부(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광기(10)는 상기 조명부(3)에 부착되며, 건물의 천장 또는 벽 안쪽에 형성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The dimmer 10 is formed close to the lighting unit 3 to control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unit 3. The dimmer 10 and the illuminator 3 may be plural, and each dimmer 10 may be formed on each corresponding illuminator 3. For example, the dimmer 10 may be attached to the lighting unit 3 and may be formed inside a ceiling or a wall of a building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조광기(10)는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조명부(3)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조광기(10)와 상기 제어부(6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한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LAN(Local Area Network)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가정, 사무실 등의 무선 네트워킹 분야에서 10 내지 20 m 내외의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지그비(zigbee)를 이용할 수 있다. The dimmer 1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60 and provides the control signal to the lighting unit 3. At this time, the dimmer 10 and the control unit 6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ay us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Bluetooth (Bluetooth), or Local Area Network (LAN). Zigbee can be used.

상기 조광기(10)는 두꺼운 벽면이나 통신 가능 범위를 벗어나는 물리적인 거리의 제한 등으로 인해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통신을 중계(relay) 또는 라우팅(routing)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또는 라우터(router)로도 기능할 수도 있다.The dimmer 10 is an access point (AP) or router (relay) or routing (routing) for communication when communication is impossible due to a thick wall or a limitation of a physical distance outside the communication range. It can also function as a router.

상기 센서부(40)는 상기 조명부(3)의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조광기(10)로 제공한다. 상기 센서부(40)는 상기 조명부(3)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광 센서 또는 상기 조명부(3)의 주변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40 detect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lighting unit 3 and provides it to the dimmer 10. The sensor unit 40 may include a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the ambient illuminance of the lighting unit 3 or a mo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eripheral movement of the lighting unit 3.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40)는 상기 조명부(3)가 설치된 공간의 일정 부분에 설치되어, 주변의 조도를 측정한다. 또는 상기 센서부(40)는 상기 조명부(3)가 설치된 공간의 일정 부분에 설치되어, 사람의 움직임 또는 차량의 움직임을 측정한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40 is installed in a portion of the space in which the lighting unit 3 is installed, and measures the illuminance of the surroundings. Alternatively, the sensor unit 40 is installed at a portion of a space in which the lighting unit 3 is installed, and measures a human movement or a vehicle movement.

상기 센서부(40)는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센서부(40)는 상기 생성된 감지 신호를 상기 조광기(10)에 제공한다. 상기 센서부(40)와 상기 조광기(1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The sensor unit 40 detects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The sensor unit 40 provides the generated sensing signal to the dimmer 10. The sensor unit 40 and the dimmer 10 may perform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센서부(40)의 감지 신호를 상기 조광기(10)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조명부(3)의 조도를 관리한다. 상기 제어부(60)는 개별적으로 조명부(3)를 관리할 수 있으나, 복수개의 조명부(3)를 그룹지어 관리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60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40 from the dimmer 10 and manages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unit 3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The controller 60 may individually manage the lighting unit 3, but may manage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3 in groups.

예를 들어, 지하 주차장에 30 개의 조명부(3)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위치에 따라 상기 조명부(3)를 그룹지어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하 주차장을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에 설치된 복수개의 조명부(3)를 하나의 제어부(60)가 관리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re are 30 lighting units 3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the control unit 60 may manage the lighting units 3 in groups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Specifically, one control unit 60 may manage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3 installed in each zone by dividing the underground parking lot into a first zone, a second zone, and a third zone.

상기 제어부(60)가 상기 조명부(3)를 개별 관리하는 방식 또는 그룹지어 관리하는 방식은 필요에 따라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정 및 변경 등이 가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 may individually manage or group the lighting unit 3 in a manner that can be set and changed by software, if necessary.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광기(10)와 상기 센서부(40)가 별개의 구성요소로 형성되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광기와 상기 센서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mmer 10 and the sensor unit 40 are formed as separate components,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dimmer and the sensor unit may be integrally form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조광기(30)로서, 센서부(34)가 상기 조광기(30)의 일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복수개의 조광기를 사용하는 경우, 복수개의 조광기 중 일부의 조광기만이 센서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s the dimmer 30 of the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unit 34 is formed in one configuration of the dimmer 3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using a plurality of dimmers, only some of the dimmers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nsor unit, and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s necessary.

본 실시예에 따른 조광기(30)는 상기 센서부(34)가 상기 조광기(3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도 1의 조광기(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의 조광기(1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 반복되는 설명은 이하에서 함께 설명한다. The dimm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mmer 10 of FIG. 1 except that the sensor unit 34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mmer 30. Thus,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s the dimmer 10 of FIG. 1 will be described together below.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조광기(10)는 조도 조절부(11), 센서 연결부(13) 및 통신부(15)를 포함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dimmer 10 includes an illuminance control unit 11, a sensor connection unit 13, and a communication unit 15.

상기 조도 조절부(11)는 상기 조명부(3)에 전원을 제공한다. 상기 조도 조절부(11)는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전압의 세기 조절, 전류의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다용도 입출력 포트 방식(General Purpose Input/Output; GPIO)을 통하여 상기 조명부(3)에 제공되는 전원을 조절한다. 이에 따라, 상기 조명부(3)의 조도, 즉 밝기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상기 조명부(3)의 조도는 전류의 펄스폭 변조에 의해 32 단계로 제어할 수 있다.The illuminance control unit 11 provides power to the illumination unit 3. The illuminance control unit 11 adjusts the intensity of the voltage, pulse width modulation (PWM), and general purpose input / output (GPIO) of the lighting unit based on the control signal. Adjust the power supplied to (3). Accordingly, the illuminance, that is,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unit 3 is adjusted. For example,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unit 3 can be controlled in 32 steps by pulse width modulation of the current.

상기 조도 조절부(11)는 PCB(Printed Circuit Board), CPU(Central Processing Unit), 메모리 등 상기 조명부(3)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illuminance control unit 11 may include components for adjusting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unit 3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emory, and the like.

상기 센서 연결부(13)는 외부의 센서부(40, 도 1) 또는 내부의 센서부(34, 도 2)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연결되는 단자이다. 상기 센서 연결부(13)와 상기 센서부(40, 34)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연결부(13)는 상기 센서부(40, 34)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부(15)로 전달한다.The sensor connection unit 13 is a terminal connected to transmit and receive a signal with an external sensor unit 40 (FIG. 1) or an internal sensor unit 34 (FIG. 2). The sensor connection part 13 and the sensor parts 40 and 34 may communicate by wire or wirelessly. The sensor connection unit 13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s 40 and 34 and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15.

상기 통신부(15)는 상기 센서부(40)로부터 수신한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60)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도 조절부(11)에 전달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5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40 to the control unit 6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60,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illuminance control unit 11.

상기 통신부(15)는 상기 조광기(10)가 상기 제어부(6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듈이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부(15)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드웨어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Dual In-line Package switch; DIP switch)를 포함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5 is a module that supports the dimmer 10 to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60.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15 includes a dual in-line package switch (DIP switch) for sett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hardware.

예를 들어, 상기 딥 스위치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은 지그비(zigbee) 통신일 수 있다. 딥 스위치란, 기판 상의 일련의 온-오프(on-off) 스위치로서, 사용자가 회로기판 상에서 기능을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dip switch may be a zigbee communication. A dip switch is a series of on-off switches on a substrate, and a user may arbitrarily select a function on a circuit board to set a usage environment.

사용자는 상기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지그비 통신의 채널(channel) 및 어드레스(address)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조광기(10) 및 상기 제어부(60) 사이의 무선 통신이 다른 무선 통신과 혼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상기 조명부(3)를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딥 스위치를 이용하는 경우, 조명 제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By setting a channel and an address of Zigbee communication using the dip switch, the user can prev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dimmer 10 and the controller 60 from being confused with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have. Therefore, the lighting unit 3 can be controlled stably, and when such a dip switch is used, reliability of the lighting control can be secured.

구체적으로, 상기 지그비 통신은 2.4 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데, 이와 비슷한 주파수 대역의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과 빈번하게 혼선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조광기(10)의 외장에 딥 스위치를 구비하여 통신 채널 할당 및 어드레스를 설정하여, 지그비 통신을 지원하므로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다.Specifically, the Zigbee communication uses a frequency band of 2.4 GHz, which may frequently cause confusion with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Bluetooth, and the like of similar frequency band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dip switch is provided on the exterior of the dimmer 10 to set a communication channel assignment and an address, thereby supporting Zigbee communication, thereby enabling stable communication.

상기 딥 스위치에 의해 설정된 지그비 통신은 지그비 통신 규약인 IEEE 802.11.5 또는 IEEE 802.15.4를 준수할 수 있다.The Zigbee communication set by the dip switch may comply with the Zigbee communication protocol IEEE 802.11.5 or IEEE 802.15.4.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딥 스위치를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ip swit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조광기(10)의 평면도로서, 상기 조광기(10)의 정면에 딥 스위치(16)가 형성된다. 또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미도시)와 연결되는 안테나 연결부(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s a plan view of the dimmer 10 of FIG. 1, a dip switch 16 is formed in front of the dimmer 10. In addition, an antenna connection unit 17 connected to an antenna (not show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may be further formed.

도 3에 도시된 딥 스위치(16)는 좌측에 8 개의 핀(pin)(P11, P12,..., P18)과 우측에 7 개 핀(P21, P22,..., P27)을 가진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딥 스위치 및 핀의 개수 및 형태는 일례에 불과하므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성 및 개수의 핀을 이용할 수 있다.The dip switch 16 shown in FIG. 3 has eight pins P11, P12, ..., P18 on the left side and seven pins P21, P22, ..., P27 on the right side. However, since the number and shape of the dip switches and pins shown in FIG. 3 are only examples, various configurations and numbers of pins may be used as necessary.

구체적으로, 좌측의 제1 핀(P11) 및 제2 핀(P12)은 송수신하는 신호의 종류(type)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송신되는 신호가 광 센서의 감지 신호인지, 동작 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인지 구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pin P11 and the second pin P12 on the left designate the type of signals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For example, it may be distinguished whether the transmitted signal is a sensing signal of an optical sensor or a sensing signal of a motion sensing sensor.

좌측의 제3 핀(P13) 및 제4 핀(P14)은 PAN(Personal Area Network) ID(Identification Data)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건물 내 컴퓨터간의 연결(네트워크) 중 어느 네트워크를 이용할 것인지, 즉 지그비 통신을 지정한다.The third pin P13 and the fourth pin P14 on the left designate a Personal Area Network (PAN) Identification Data (PAN). For example, it designates which network of the connection (network) between computers in a building to use, that is, Zigbee communication.

좌측의 제5 핀 내지 제8 핀(P15, P16, P17, P18)은 지정된 무선 통신의 세부 채널을 지정한다. 예를 들어, 지그비 통신이 사용하는 8 개 채널 중 사용할 채널을 지정한다.The fifth to eighth pins P15, P16, P17, and P18 on the left designate detailed channels of designated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specify the channel to use among the eight channels that Zigbee communication uses.

한편, 우측의 제1 핀 내지 제 7핀(P21, P22,..., P27)은 통신을 수행할 장치를 지정하기 위한 고유 어드레스를 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7 개의 핀을 가지므로, 총 128 개의 어드레스를 지정할 수 있다. 즉, 최대 128 개의 장치와 혼선 없이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딥 스위치의 핀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할 수 있으므로, 통신하고자 하는 장치의 개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to seventh pins P21, P22,..., And P27 on the right side designate a unique address for designating a device to communicat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re are seven pins, a total of 128 addresses can be designated. That is, wireless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out interference with up to 128 devices. Since the number of pins of the dip switch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needed, i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devices to be communicated.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무선 통신을 설정하고, 고정시킬 수 있다. 이로서, 조명 제어 시스템의 무선 통신 환경의 안정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set and fix the wireless communication to be used by using the dip switch. Thereby, the sta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lighting control system can be ensured.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의 조광기(10)의 배면도로서, 상기 조광기(10)와 연결되는 배선들을 정리하기 위한 배선 정리부(1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 연결부(13) 및 상기 조명부(10)와 연결되는 조명 연결부(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s a rear view of the dimmer 10 of FIG. 1, a wire arranging unit 19 for arranging wires connected to the dimmer 10 is formed. In addition, the light connecting portion 12 connected to the sensor connecting portion 13 and the lighting portion 10 may be further formed.

상기 배선 정리부(19)는 상기 조광기(10)의 배면에 형성된 홈(groove)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배선들은 상기 홈에 삽입되어 정리되고, 상기 조광기(10)의 하부에 형성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The wiring organizer 19 may have a groove shap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mmer 10. Since the wirings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and arranged, the wirings are formed under the dimmer 10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배선들은 상기 조광기(10)가 상기 조명부(3) 또는 상기 센서부(40)와 연결되는 배선일 수 있으며, 그 외 각종 배선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들이 연결되는 부분인 상기 센서 연결부(13) 및 상기 조명 연결부(12) 역시 상기 조광기(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The wires may be wires in which the dimmer 10 is connected to the lighting unit 3 or the sensor unit 40, and may include various other wires. In addition, the sensor connection part 13 and the lighting connection part 12, which are portions to which the wires are connected, may also be formed under the dimmer 10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이로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먼지 등에 의한 화재 위험을 낮출 수 있고, UL(Underwriters Laboratories) 규격 및 기타 전기 안전 관련 규정들을 준수할 수 있다. This can reduce the risk of fire from dust, etc., due to prolonged use, and comply with Underwriters Laboratories (UL) standards and other electrical safety regulations.

도 5을 참조하면, 도 1의 센서부(40)의 일례로서, 상기 조명부(3)의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부(40)는 주변 조도를 감지하거나 상기 조명부(3)의 주변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s an example of the sensor unit 40 of FIG. 1, the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illumination unit 3 is sensed. In detail, the sensor unit 40 may detect peripheral illuminance or detect peripheral movement of the lighting unit 3.

상기 센서부(40)는 모든 조광기(10)와 연결될 수도 있고, 일부의 조광기(1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도에 복수개의 조명부(3)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센서부(40)는 각 구역마다 하나씩 설치되고, 상기 센서부(40)와 가장 가까운 조광기(10)와 연결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40 may be connected to all the dimmers 10 or some of the dimmers 10. 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3 are installed in a corridor, the sensor units 40 may be installed one by one for each zon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immer 10 closest to the sensor unit 40.

상기 센서부(40)는 상기 조명부(3) 근처의 벽이나 천장 등에 고정될 수 있고, 고정되기 위해 나사나 못이 삽입되는 고정부(4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40 may be fixed to a wall or ceiling near the lighting unit 3, and may include a fixing unit 41 into which a screw or a nail is inserted to be fixed.

도 6을 참조하면, 도 1의 제어부(60)의 일례로서, 상기 조명부(3)와 통신하기 위해 상기 조명부(3) 근처의 벽이나 천장 등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60)는 복도의 각 구역에 형성된 복수개의 조명부(3)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제어부(60)가 대응되는 복수개의 조명부(3)를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s an example of the controller 60 of FIG. 1, the controller 60 is formed on a wall or a ceiling near the lighting unit 3 to communicate with the lighting unit 3.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6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3 formed in each area of the corridor, so that one control unit 60 may control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3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대응되는 조명부(3) 근처의 벽이나 천장 등에 고정될 수 있고, 고정되기 위해 나사나 못이 삽입되는 고정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63)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60 may be fixed to a wall or ceiling near the corresponding lighting unit 3, and may include a fixing unit 61 into which screws or nails are inserted to be fixed. It may also include an antenna 63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조명 제어 시스템의 조명 제어 방법을 시간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ighting control method of the lighting control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건물 전체의 조명을 제어하는 관리서버(5)와 상기 관리서버(5)의 관리를 받는 제어부(60)들이 존재한다. 상기 제어부(60)들은 건물의 특정된 장소, 예를 들어, 지하 주차장, 복도, 계단 등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60)들이 하나의 장소, 예를 들어, 지하 주차장을 구역으로 나누어 형성될 수 있다.There is a management server 5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entire building and the control unit 60 that is managed by the management server (5). The controllers 60 may be formed at specific places of the building, for example, underground parking lots, corridors, stairs, and the like. Alternatively, the controllers 60 may be formed by dividing one place, for example, an underground parking lot into zones.

하나의 제어부(60)는 복수개의 조명부(3)들 또는 센서부(40)를 관리할 수 있다. 각 제어부(60)별로 관리되는 시스템을 각 제1 시스템(31), 제2 시스템(33) 및 제3 시스템(35)으로 구별한다.One controller 60 may manage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3 or the sensor unit 40. The system managed by each control unit 60 is divided into a first system 31, a second system 33, and a third system 35.

상기 조명부(3)에는 대응하는 조광기(1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광기(10)는 대응하는 상기 조명부(3)에 부착되거나, 근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광기(10)는 라우터(router)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부(60)와 상기 센서부(40)가 멀리 위치해 있다고 하더라도,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한다.Corresponding dimmers 10 may be formed in the lighting unit 3, respectively. The dimmer 10 may be attached to, or formed near, the corresponding lighting unit 3. The dimmer 10 performs a router function so that even if the control unit 60 and the sensor unit 40 are located far, they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상기 센서부(40)는 광 센서(42) 또는 동작 감지 센서(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0)는 각 시스템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필요에 따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40 may include an optical sensor 42 or a motion detection sensor 44. The sensor unit 40 may include one or more as necessary for each system.

우선, 상기 광 센서(42)가 상기 조명부(3)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시스템 중에 지정된 조광기(10)에 전달한다. 상기 조광기(10)는 딥 스위치를 포함하여, 사용할 근거리 무선 통신의 채널 및 주소가 설정되어 있다.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한 조광기(10)는 상기 딥 스위치에 설정된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60)에 상기 감지 신호를 송신한다.First, the light sensor 42 detects the ambient illuminance of the lighting unit 3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dimmer 10 designated in the system. The dimmer 10 includes a dip switch, and a channel and an address of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be used are set. The dimmer 10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transmits the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ler 60 using the channel set in the dip switch.

상기 감지 신호를 송신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3)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60)에서 생성한 제어 신호는 상기 조광기(10)를 통하여, 상기 조명부(3)에 전달되어 상기 조명부(3)의 조도를 조절한다.The control unit 60 that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unit 3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60 is transmitted to the lighting unit 3 through the dimmer 10 to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unit 3.

예를 들어, 상기 조명부(3) 주변의 조도가 높은 경우, 상기 조명부(3)의 조도를 낮추거나 오프(off)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부(3) 주변의 조도가 낮은 경우, 상기 조명부(3)의 조도를 높이거나 온(on)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lluminance around the lighting unit 3 is high,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unit 3 may be lowered or turned off. On the other hand, when the illuminance around the lighting unit 3 is low,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unit 3 may be increased or turned on.

상기 조도를 높이거나 온(on) 된 조명부(3)는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 자동으로 조도가 낮아지거나 오프(off)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조도가 높은 낮의 경우 상기 조명부(3)의 조도를 낮추거나 오프(off) 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절전할 수 있다.The illumination unit 3 that increases or turns on the illuminance may be controlled to automatically lower or turn off the illuminance after a certain time. Therefore, when the illumination intensity is high, the illumination intensity of the lighting unit 3 may be lowered or turned off, thereby efficiently managing and saving power.

또 다른 예로, 상기 동작 감지 센서(44)가 상기 조명부(3)의 주변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시스템 중에 지정된 조광기(10)에 전달한다.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한 조광기(10)는 상기 딥 스위치에 설정된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60)에 상기 감지 신호를 송신한다.As another example, the motion detection sensor 44 detects the peripheral movement of the lighting unit 3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dimmer 10 designated in the system. The dimmer 10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transmits the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ler 60 using the channel set in the dip switch.

상기 감지 신호를 송신한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3)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60)에서 생성한 제어 신호는 상기 조광기(10)를 통하여, 상기 조명부(3)에 전달되어 상기 조명부(3)의 조도를 조절한다.The control unit 60 that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adjusting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unit 3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60 is transmitted to the lighting unit 3 through the dimmer 10 to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unit 3.

예를 들어, 지하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상기 동작 감지 센서(44)가 차량의 움직임을 관찰한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지하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조명부(3)의 조도를 높이거나 온(on) 할 수 있다. 또는, 복도에 설치된 상기 동작 감지 센서(44)가 사람의 움직임을 관찰한 경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복도에 설치된 조명부(3)의 조도를 높이거나 온(on)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44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bserve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he controller 60 increases or turns on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unit 3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can do. Alternatively, whe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44 installed in the corridor observes the movement of a person, the controller 60 may increase or turn on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unit 3 installed in the corridor.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차량 또는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한 경우,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다음으로 설치된 조명부(3)의 조도를 높이거나 온(on) 시키는 능동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조도를 높이거나 온(on) 된 조명부(3)는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 자동으로 조도가 낮아지거나 오프(off)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When the controller 6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or the person, the controller 60 may actively control to increase or turn on the illuminance of the next installed lighting unit 3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The illumination unit 3 that increases or turns on the illuminance may be controlled to automatically lower or turn off the illuminance after a certain tim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한 장소의 조도를 낮추거나 온(on) 하여, 조명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통해 전력 소모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드웨어적으로 설정하므로, 근거리 무선 통신의 혼선을 방지하여 조명 제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lowering or turning on the illuminance of the unnecessary plac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the lighting unit, thereby lowering the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sinc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hardware-configured using the dip switch, it is possible to prevent crosstalk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secure reliability of the lighting control.

또한, 배선 정리부를 포함하여 외관이 정리될 뿐만 아니라, 화재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조광기는 별도의 액세스 포인트 또는 라우터 없이 제어부 및 센서부와 원거리에 형성된 조명부의 제어가 가능하다.In addition, not only the appearance is arranged, including the wiring arrangement, but also the risk of fire can be reduced. Furthermore, the dimm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controller and the sensor unit and the illumination unit formed at a long distance without a separate access point or router.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1, 31, 33, 35: 조명 제어 시스템 3: 조명부
5: 관리서버 10: 조광기
11, 31: 조도 조절부 12: 조명 연결부
13, 33: 센서 연결부 15, 35: 통신부
16, 36: 딥 스위치 17: 안테나 연결부
19: 배선 정리부 40, 34: 센서부
42: 광 센서 44: 동작 감지 센서
60: 제어부
1, 31, 33, 35: lighting control system 3: lighting unit
5: management server 10: dimmer
11, 31: Illumination control 12: Light connection
13, 33: sensor connection part 15, 35: communication part
16, 36: Dip switch 17: Antenna connection
19: wiring arrangement part 40, 34: sensor part
42: light sensor 44: motion detection sensor
60:

Claims (17)

조명부의 조도를 조절하는 조도 조절부;
상기 조명부의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 연결부; 및
상기 감지 신호를 외부의 제어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도 조절부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딥 스위치(DIP switc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Illumina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unit;
A sensor connec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detection signal from a sensor unit that detects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illumination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an external control unit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illuminance control unit;
The communication unit is a dimmer for perform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DIP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채널 및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The method of claim 1,
A dimmer for setting a channel and an address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dip swi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지그비(zigbee)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a dimmer, characterized in that Zigbee (zigbee)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The method of claim 1,
A dimm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nsor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조명부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광 센서 또는 상기 조명부의 주변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nsor unit,
And a light sensor for detecting peripheral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unit or a mo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peripheral movement of the ligh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 또는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는 배선들을 정리하는 배선 정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wiring arrangement unit for arranging wires connected to the lighting unit or the sensor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정리부는 상기 조광기의 배면에 형성된 홈(groov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광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wiring arrangement unit is a groove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dimmer.
조명부의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조명부의 조도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명부의 조도를 조절하는 조광기를 포함하며,
상기 조광기는 상기 제어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딥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lighting unit;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lluminance of the lighting unit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And
A dimmer for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to the controller and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to adjust illuminance of the lighting unit;
The dimmer includes a dip switch for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기는,
상기 딥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채널 및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immer,
And setting a channel and an address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y using the dip switch.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지그비(zigbee)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s a zigbee (zigbee) communic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기는,
상기 조명부 또는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는 배선들을 정리하는 배선 정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immer,
And a wire arranging unit arranged to arrange the wires connected to the lighting unit or the sensor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와 상기 조광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nsor unit and the dimmer have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와 상기 조광기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sensor unit and the dimmer are integrally form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조명부의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광 센서 또는 상기 조명부의 주변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nsor unit,
And a light sensor for detecting ambient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unit or a mo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peripheral movement of the lighting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기는,
각각 대응하는 조명부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immer,
Lighting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ach formed in close proximity to the corresponding illumin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조광기를 제어하거나 또는 수개의 조광기를 그룹지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Lighting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each dimmer or grouping several dimmer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광기는,
조명부의 조도를 조절하는 조도 조절부;
상기 조명부의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 연결부; 및
상기 감지 신호를 외부의 제어부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도 조절부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immer,
Illumina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unit;
A sensor connec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detection signal from a sensor unit that detects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illumination unit;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which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an external control unit,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illuminance control unit.
KR1020120066650A 2012-06-21 2012-06-21 Dimmer and lighting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KR201301432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650A KR20130143265A (en) 2012-06-21 2012-06-21 Dimmer and lighting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650A KR20130143265A (en) 2012-06-21 2012-06-21 Dimmer and lighting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265A true KR20130143265A (en) 2013-12-31

Family

ID=4998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650A KR20130143265A (en) 2012-06-21 2012-06-21 Dimmer and lighting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3265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2202A (en) * 2015-01-30 2015-04-29 桂林电子科技大学 Energy-saving streetlamp system based on intelligent contro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trol method of energy-saving streetlamp system
CN104582201A (en) * 2015-01-30 2015-04-29 桂林电子科技大学 Energy-saving streetlamp system based on intelligent contro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trol method of energy-saving streetlamp system
CN104703369A (en) * 2015-04-01 2015-06-10 山东共达电声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lamps
KR101579452B1 (en) * 2015-01-29 2015-12-23 (주)에프알텍 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lighting apparatus
KR20190084814A (en) 2018-01-09 2019-07-17 (주) 가나테크엠 Systems and methods for lighting control using a wireless dimmer
JP2020126851A (en) * 2015-08-19 2020-08-20 三菱電機株式会社 Light source unit and illumination communication uni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452B1 (en) * 2015-01-29 2015-12-23 (주)에프알텍 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lighting apparatus
CN104582202A (en) * 2015-01-30 2015-04-29 桂林电子科技大学 Energy-saving streetlamp system based on intelligent contro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trol method of energy-saving streetlamp system
CN104582201A (en) * 2015-01-30 2015-04-29 桂林电子科技大学 Energy-saving streetlamp system based on intelligent contro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trol method of energy-saving streetlamp system
CN104703369A (en) * 2015-04-01 2015-06-10 山东共达电声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lamps
JP2020126851A (en) * 2015-08-19 2020-08-20 三菱電機株式会社 Light source unit and illumination communication unit
KR20190084814A (en) 2018-01-09 2019-07-17 (주) 가나테크엠 Systems and methods for lighting control using a wireless dimm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207B1 (en) Lighting fixture for automated grouping
US9872367B2 (en) Handheld device for grouping a plurality of lighting fixtures
US9750114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ambient lighting conditions
JP6841788B2 (en) Switch module
EP3092874B1 (en) Handheld device that is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 lighting fixture
US10076016B2 (en) Network connected low voltage lighting system
KR20130143265A (en) Dimmer and lighting control system having the same
EP2261553A1 (en) Lighting unit, lighting network and method for lighting an interior
US11792898B2 (en) Enhanced fixtures for area lighting
US20170064795A1 (en) Luminaire for illuminating an area of a building, in particular an office
EP2935991A1 (en) Master/slave arrangement for lighting fixture modules
US10732787B2 (en) Lighting wall controller with configurable user interface
US10159127B2 (en) Low voltage direct current lighting system having identification addresses
KR100908733B1 (en) The fluorescent light with led
CN202634832U (en)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 and LED illuminating system
KR20160137262A (en) Apparatus for dimming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