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878A -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 Google Patents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878A
KR20130142878A KR1020127028969A KR20127028969A KR20130142878A KR 20130142878 A KR20130142878 A KR 20130142878A KR 1020127028969 A KR1020127028969 A KR 1020127028969A KR 20127028969 A KR20127028969 A KR 20127028969A KR 20130142878 A KR20130142878 A KR 20130142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pipe
water
chamber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9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62874B1 (en
Inventor
신카츠 모리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니혼트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니혼트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니혼트림
Publication of KR20130142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8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8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70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Inversing polar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해수 생성 장치(1A)는, 원수를 도입하는 도입관부와, 원수를 전기 분해하는 전해조(28)와, 생성된 전해수를 제1 배출구(12a) 및 제2 배출구(13a)를 통해 각각 외부에 도출하는 도출관부를 구비한다. 전해조(28)는, 전해 전극(28a, 28b)의 한쪽이 배치된 제1 전해실과, 전해 전극(28a, 28b)의 다른 쪽이 배치된 제2 전해실을 포함한다. 도입관부는, 원수를 분류하여 제1 전해실 및 제2 전해실의 각각에 도입하는 분지관로(24)를 포함한다. 도출관부는, 제1 전해실 및 제2 전해실 중의 한쪽과 제1 배출구(12a)를 접속하는 제1 배출관로와, 제1 전해실 및 제2 전해실 중의 다른 쪽과 제2 배출구(13a)를 접속하는 제2 배출관로를 포함한다. 제2 배출관로에는, 흡입구가 제2 배출구(13a)측에 접속되며, 또한 토출구가 전해조(28)측에 접속되도록 원심 펌프(30)가 설치된다.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1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roduction pipe portion for introducing raw water, an electrolytic cell 28 for electrolyzing raw water, and the generated electrolytic water through the first outlet 12a and the second outlet 13a, respectively. It is provided with a lead pipe part which leads to the exterior. The electrolytic cell 28 includes a first electrolytic chamber in which one of the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is disposed, and a second electrolytic chamber in which the other of the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is disposed. The inlet pipe part includes a branch pipe path 24 which classifies raw water and introduces it into each of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The lead-out pipe part includes a first discharge pipe path connecting one of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12a, and the other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13a of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It includes a second discharge pipe for connecting. In the second discharge pipe, a centrifugal pump 30 is provided so that the suction port is connected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13a side and the discharge port is connected to the electrolytic cell 28 side.

Description

전해수 생성 장치{ELECTROLYZED WATER GENERATOR}Electrolyzed Water Generator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본 발명은 수돗물 등의 원수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해수로서의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electrolytic reduced water and electrolytic acidic water as electrolytic water by electrolyzing raw water such as tap water.

수돗물 등의 원수를 처리함으로써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일반적으로 「정수기(整水器)」라고도 칭함)로서, 원수를 전해조에 도입하여 이것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해수로서의 전해 환원수(일반적으로 「알칼리 이온수」라고도 칭함) 및 전해 산성수(일반적으로 「산성 이온수」라고도 칭함)를 생성하는 것이 보급되어 있다. 생성된 전해수 중, 특히 전해 환원수는 항산화성을 갖고 있어, 음용함으로써 위장 증상의 개선에 기여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또한 전해 산성수는 살균 작용을 갖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generally referred to as "water purifier") that generates electrolyzed water by treating raw water such as tap water. Electrolyzed reduced water as electrolyzed water by introducing raw water into an electrolytic cell and electrolyzing it (generally called "alkali ionized water" ) And electrolytic acidic water (generally referred to as "acidic ionized water") are prevalent. Of the produced electrolyzed water, in particular, electrolytic reduced water is known to have antioxidant properties and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by drinking, and it is known that electrolytic acidic water has a bactericidal action.

일반적으로 전해수 생성 장치는, 상술한 전해조 및 각종 배관계 등이 설치된 장치 본체와, 해당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된 취수관 및 한쌍의 배수관을 구비하고 있다. 해당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취수관 및 이것에 접속된 배관계를 통해 원수가 전해조에 도입되어, 전해조에 있어서 원수의 전해 처리가 행하여지고, 그 후, 1쌍의 배수관 및 이것에 접속된 배관계를 통해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가 전해조로부터 각각 도출되어 배출된다.In general, an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includes an apparatus main body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electrolytic cell and various piping systems, a water intake pipe drawn out from the apparatus main body, and a pair of drain pipes.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raw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electrolytic cell through a water intake pipe and a piping system connected thereto, and electrolytic treatment of raw water is performed in the electrolytic cell, and then through a pair of drain pipes and a piping system connected thereto. Electrolytic reduced water and electrolytic acidic water are each derived from the electrolyzer and discharged.

해당 구성의 전해수 생성 장치가 구체적으로 개시된 문헌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6-47381호 공보(특허문헌 1)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6148호 공보(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21127호 공보(특허문헌 3) 등이 있다.Examples of the documents in which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specifically disclosed includ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47381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86148 (Patent Document 2), and Japanese Patent Publication. 2010-221127 (patent document 3).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원수에 포함되는 양이온을 가진 칼슘이나 마그네슘 등이 수산화칼슘이나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스케일이 되어 석출되는 문제가 있다. 해당 스케일이 석출하는 부위로는, 전해조의 음극실 및 해당 음극실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관계 및 배수관을 들 수 있다. 특히, 전기 분해를 촉진하기 위해서, 전해조에 도입되기 전의 원수에 락트산 칼슘이나 식염 등의 전기 분해 촉진제를 첨가하는 구성이 채용된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스케일의 석출이 매우 현저해진다.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calcium or magnesium having a cation contained in the raw water is precipitated at scales such as calcium hydroxide and magnesium hydroxide. Examples of the site where the scale precipitates include a piping system and a drain pipe located downstream from the cathode chamber and the cathode chamber of the electrolytic cell. In particular, in order to promote electrolysis, precipitation of scale becomes very remarkable in an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in which a configuration in which an electrolysis accelerator such as calcium lactate or salt is added to raw water before being introduced into an electrolytic cell is adopted.

해당 스케일은, 전해 전극 중의 음극이나 전해 격막에 부착함으로써 전해수 생성 장치의 성능의 저하를 초래해 버릴 뿐만 아니라, 배관의 관벽이나 밸브 본체 등에 부착함으로써 클로깅을 일으켜 동작 불량도 초래해 버린다. 그 때문에, 종래 스케일의 제거를 행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By attaching to the cathode or electrolytic diaphragm in an electrolytic electrode, this scale not only degrades the performance of an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apparatus, but also attaches to the pipe wall of a piping, a valve body, etc., and causes clogging, and also an operation failure. Therefore, various methods for removing the scale have conventionally been proposed.

스케일의 제거 방법으로는, 크게 나누어 2가지 방법이 있다. 그 하나는, 전해조에서 생성되는 전해 산성수를 이용하여 스케일의 제거를 행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시트르산수 등으로 대표되는 세정액을 외부로부터 도입하여 스케일의 제거를 행하는 방법이다.As a method of removing a scale, there are two methods, largely divided. One is the method of removing a scale using electrolytic acidic water produced | generated in an electrolytic cell, The other is the method of removing a scale by introducing the washing | cleaning liquid represented by citric acid water etc. from the exterior.

전자의 스케일 제거 방법은, 일반적으로 역전세정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한쌍의 전해 전극의 극성을 반전시킴으로써 스케일의 제거를 도모하는 방법이다. 해당 방법은, 상술한 일본 특허 공개 평6-47381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614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21127호 공보에 개시된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도 채용되고 있다.The former descaling method is generally called reverse washing and is a method of removing the scale by reversing the polarity of a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This method is also employed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apparatu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4738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86148,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221127.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 공개 평6-47381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6148호 공보에 개시된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전해조의 양극실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관과 전해조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배관을 바이패스관으로 접속하고, 역전세정시에 있어서 해당 바이패스관을 이용하여 전해 산성수를 피드백시킴으로써, 전해조뿐만 아니라, 배관계의 대부분 및 배수관의 세정도 도모하는 것이다.Specifically,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47381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86148, the pipe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anode chamber of the electrolytic cell and the upstream side of the electrolytic cell are located. The piping is connected to the bypass pipe, and the electrolytic acidic water is fed back by using the bypass pipe at the time of reverse washing, thereby cleaning not only the electrolyzer but also most of the piping system and the drain pipe.

또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21127호 공보에 개시된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전해조의 한쌍의 전해실과 그 하류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배수관 사이의 접속 상태가 전환 가능해지도록 전해조의 하류측에 유로 전환 밸브를 설치하고, 역전세정시에 있어서 해당 유로 전환 밸브를 이용하여 해당 접속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전해조뿐만 아니라, 배관계의 대부분 및 배수관의 세정도 도모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0-221127, a flow path switching valve is disposed downstream of the electrolytic cell so that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air of electrolytic chambers of the electrolytic cell and the pair of drain pipes located downstream thereof can be switched. And the connection state is switched using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at the time of reverse washing, thereby cleaning not only the electrolytic cell but also most of the piping system and the drain pipe.

한편, 후자의 스케일 제거 방법은, 농도의 제조가 가능한 시트르산수 등의 세정액을 외부로부터 도입하는 것이며 또한, 해당 세정액을 전해조 및 배관계 및 한쌍의 배수관 전부에 통류시킬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latter descaling method introduces a cleaning liquid such as citric acid water, which can be produced in concentration, from the outside, and allows the cleaning liquid to flow through the electrolytic cell, the piping system, and all of the pair of drain pipes.

후자의 스케일 제거 방법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전해조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배관에 세정 성분을 포함하는 세정용 카트리지를 부착하여, 양극실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수관의 배출구를 폐색하고, 원수를 취수관을 통해 외부로부터 도입하여 전해조 및 배관계 및 한쌍의 배수관을 세정액으로 충전하여 일정 시간 이것을 방치하고, 그 후, 양극실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수관의 배출구를 개방하여 원수를 소정 시간에 걸쳐 더욱 통류하고, 또한 그 후, 세정용 카트리지를 제거하여 원수를 더 통류함으로써 전해조 및 배관계 및 한쌍의 배수관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배출함으로써 행해진다.In the latter method of descaling, generally, a cleaning cartridge containing a cleaning component is attached to a pipe located upstream of the electrolytic cell, and the outlet of the drain pipe located downstream of the anode chamber is closed to collect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pipe, the electrolytic cell and the piping system and a pair of drain pipes are filled with the cleaning liquid and left to stan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which the discharge port of the drain pipe located downstream of the anode chamber is opened to further flow the raw water over a predetermined time. Then, after that, the cleaning cartridge is removed to further flow the raw water to discharge the cleaning liquid remaining in the electrolytic cell, the piping system, and the pair of drain pipes.

일본 특허 공개 평6-47381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6-4738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6148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86148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21127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0-221127

그러나, 전자의 스케일 제거 방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전해 전극의 표면에 부착된 스케일의 제거는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지만, 전해실의 다른 부분에 부착된 스케일이나 전해조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관계 및 배수관에 부착된 스케일의 제거가 불충분해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즉, 전해 산성수는 한번 석출되어 버린 스케일을 완전히 용해 제거할 정도의 제거 능력은 갖고 있지 않아, 전해 전극을 제외한 부분의 전해실이나 배관계 및 배수관에 스케일이 서서히 축적되어 버리게 되어, 실사양을 고려한 경우의 빈도에서의 역전세정으로는, 스케일의 완전한 제거는 도저히 기대할 수 없다.However, in the case of employing the former descaling method, the scal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electrolytic electrode can be effectively removed, but the scale attached to the other part of the electrolytic chamber or the piping and drain pipe located downstream of the electrolytic cell can be remov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moval of the adhered scale becomes insufficient. That is, the electrolytic acidic water does not have a removal ability to completely dissolve and remove the scale once precipitated, and the scale gradually accumulates in the electrolytic chamber, the piping system, and the drain pipe except for the electrolytic electrode. With backwashing at the frequency of cases, complete removal of scale is hardly expected.

또한, 통상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전해수의 오음(誤飮)이나 오사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한쪽의 배수관으로부터는 항상 전해 환원수가, 또한 다른 쪽의 배수관으로부터는 항상 전해 산성수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역전세정시에 있어서도 해당 조건이 충족되도록 구성된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6-47381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2-86148호 공보에 개시된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전해수의 오음이나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지만, 그 반면, 전해 환원수가 항상 배출되는 배수관에 있어서의 스케일 제거는 일체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In addition,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or, the electrolytic reduced water is always discharged from one of the drain pipes and the electrolytic acid water is always discharged from the other drain pipes in order to prevent the sewage and misuse of the electrolytic water. It is preferable. Therefore,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6-47381 and 2002-86148, which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conditions are satisfied even at the time of reverse washing, the water leakage and misuse of the electrolytic water are prevented. Although excellent in the point which can be done, on the other hand, the scale removal in the drain pipe which electrolytic reduced water always discharges cannot be performed at all.

이에 반하여, 역전세정시에 있어서 전해실과 배수관 사이의 접속 상태가 전환하는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21127호 공보에 개시된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한쌍의 배수관의 양쪽에 전해 산성수를 통류시킬 수 있는 반면, 전해세정시에 있어 상기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것이 되므로, 사용자가 잘못 전해수를 오음하게 되거나 오사용하게 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생겨 버린다.On the contrary,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221127, in which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drain pipe is switched at the time of reverse washing, electrolytic acidic water can flow through both of the pair of drain pipe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above conditions are not satisfied at the time of electrolytic clean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prevent the user from accidentally collecting or misusing electrolyzed water.

한편, 후자의 스케일 제거 방법은, 스케일의 완전한 제거가 가능한 점이나, 애당초 통상의 조작과는 별도로 세정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잘못 전해수를 오음하게 되거나 오사용하게 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전자의 스케일 제거 방법보다도 현저히 우수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scale removal method, since the scale can be completely removed and the cleaning operation needs to be performed separately from the normal operation in the first place, the user may erroneously drain or misuse the electrolyzed water. It is remarkably superior to the former scale removal method from the point which can be prevented.

그러나, 해당 후자의 스케일 제거 방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전용의 세정용 카트리지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있게 되고, 또한 해당 세정용 카트리지를 전해수 생성 장치에 부착하기 위한 구성을 장치 본체에 설치하는 것도 필요하게 되므로, 경제성의 관점에서 문제가 남는다. 또한, 세정을 행할 때의 조작이 번잡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작을 잘못해버릴 우려도 있고, 특히 전해조 및 배관계 및 배수관을 세정액으로 충전한 상태가 충분히 유지되지 않은 경우 등에는, 스케일의 제거가 불충분해져 버리는 문제도 생겨 버린다.However, when the latter descaling method is employed,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prepare a dedicated cleaning cartridge, and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a structure for attaching the cleaning cartridge to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in the apparatus main body. The problem remains from the economic point of view. Moreover, since the operation at the time of washing | cleaning is complica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user may make wrong operation, and removal of scale is inadequate especially when the electrolytic cell, piping system, and the state which filled the cleaning liquid with the cleaning liquid are not fully maintained. The problem which becomes it becom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케일의 제거 방법에 있어서는, 스케일의 제거를 충분히 행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나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등의 문제, 세정을 위한 조작이 번잡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어, 그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method for removing scales, there are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removal of scales, problems such as poor economic feasibility, complicated operations for cleaning, and the like. Was being ask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스케일이 부착되는 부위의 전부에 있어서 효과적이면서 용이하게 스케일의 제거를 행할 수 있으며, 또한 경제성의 면에서도 우수하게 되는 전해수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provides an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apparatus which can remove the scale effectively and easily in all of the portions to which the scale is attached and is also excellent in terms of economy. For the purpose of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는, 한쌍의 전해 전극을 갖고, 공급된 원수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를 생성하는 전해조와, 외부로부터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구를 갖고, 상기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원수를 상기 전해조에 도입하는 도입관부와,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를 갖고, 상기 전해조로부터 도출된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를 상기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해 각각 외부에 도출하는 도출관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해조는, 상기 한쌍의 전해 전극 중의 한쪽이 배치된 제1 전해실과, 상기 한쌍의 전해 전극 중의 다른 쪽이 배치된 제2 전해실과,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을 구획하는 전해 격막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입관부는, 원수를 분류하여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의 각각에 도입하는 분지관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출관부는,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중의 한쪽과 상기 제1 배출구를 접속하는 제1 배출관로와,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중의 다른 쪽과 상기 제2 배출구를 접속하는 제2 배출관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배출관로에는, 구동됨으로써 액체를 흡입구측으로부터 토출구측을 향하여 강제적으로 송출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펌프의 상기 흡입구는 상기 제2 배출구측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펌프의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전해조측에 접속되어 있다.An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an electrolytic cell that generates electrolytic reduced water and electrolytic acidic water by electrolyzing supplied raw water, and a supply port through which raw wat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It has an introduction pipe portion for introducing the raw water supplied through the electrolytic cell,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the electrolytic reduced water and electrolytic acid water derived from the electrolytic cell through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respectively It is provided with a derivation pipe part which leads | derives. The electrolytic cell comprises a first electrolytic chamber in which one of the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is disposed, a second electrolytic chamber in which the other of the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is arranged, and an electrolysis that partitions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Contains the diaphragm. The introduction pipe section includes a branch pipe path for classifying raw water and introducing the same into each of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The lead-out pipe part includes a first discharge pipe path connecting one of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the other of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discharge chamber. And a second discharge line connecting the discharge port. A pump for forcibly discharging the liquid from the suction port side to the discharge port side is provided in the second discharge pipe passage. The suction port of the pump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port side,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pump is connected to the electrolytic cell side.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펌프가 상기 흡입구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측을 향하는 방향을 순방향으로 한 경우에, 구동이 정지됨으로써 해당 순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액체를 통류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ump is in the forward direction from the suction port side to the discharge port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quid is allowed to flow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rward direction by stopping the driving. Do.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펌프가 원심 펌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apparatus based on the said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pump is comprised by the centrifugal pump.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작동 정지시에 있어, 상기 원심 펌프의 펌프실이 잔류수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채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ump chamber of the centrifugal pump is configured to be substantially filled with residual water whe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is stopped.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는, 또한 상기 펌프가 설치된 부위와 상기 전해조에 접속된 부위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제2 배출관로와, 상기 도입관부를 접속하는 바이패스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second discharge pipe of the portion located between the site where the pump is installed and the site connected to the electrolytic cell, and a bypass pipe that connects the introduction pipe. desirable.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는, 또한 상기 공급구를 통해 원수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관부를 경유하여 상기 도입관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배출관로측을 향하여 액체가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지 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that liquid flows from the inlet pipe part side to the second discharge pipe side via the bypass pipe part while the raw water is being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ort. It is desirable to have a limiting check valve.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어떤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전해수 생성 장치가, 또한 상기 한쌍의 전해 전극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성 전환 수단과, 상기 분지관로에 포함되는 한쌍의 분지관과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도입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과, 상기 제1 배출관로 및 상기 제2 배출관로와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과, 상기 극성 전환 수단, 상기 도입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 및 상기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을 동기적으로 전환 제어하는 전환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further includes polarity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polarity of the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a pair of branch pipes and the first branch pipe included in the branch pipe path. 1 an inlet pipe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and between the first discharge pipe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and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lead-out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state, and a switching control unit for synchronously switching and controlling the polarity switching means, the inlet pipe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and the lead-out tube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Do.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상기 어떤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한쌍의 분지관 중의 한쪽의 분지관에 도입관부측 유량 조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2 배출관로에 도출관부측 유량 조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에는, 상기 전환 제어부가, 상기 한쪽의 분지관과 상기 제2 배출관로가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중의 한쪽을 통해 항상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 및 상기 도입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certain aspect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an introduction pipe portion flow rate adjusting means is provided in one branch pipe of the pair of branch pipes, and the discharge pipe portion flow rate adjustment is provided in the second discharge pipe. It is preferable that a means is provided, and in that case, the switching control unit is a state in which the one branch pipe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are always connected through one of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lead pipe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and the introduction pipe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so as to be maintained.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상기 어떤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전해수 생성 장치가, 또한 상기 펌프가 설치된 부위와 상기 도출관부측 유량조정 수단이 설치된 부위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제2 배출관로와, 상기 도입관부를 접속하는 바이패스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certain aspect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further includes the second discharge pipe in a portion located between a portion where the pump is installed and a portion where the discharge pipe side flow rate adjusting means is provided. And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bypass pipe part which connects the said introduction pipe part.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상기 어떤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전해수 생성 장치가, 또한 상기 공급구를 통해 원수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관부를 경유하여 상기 도입관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배출관로측을 향하여 액체가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지 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bove certain aspect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is further provided from the inlet pipe part side via the bypass pipe part while the raw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or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a check valve for restricting the flow of the liquid toward the side of the discharge pipe.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전해수 생성 장치가, 또한 상기 한쌍의 전해 전극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성 전환 수단과, 상기 제1 배출관로 및 상기 제2 배출관로와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과, 상기 극성 전환 수단 및 상기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을 동기적으로 전환 제어하는 전환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further includes polarity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polarity of the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the first discharge pipe passage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passage; And a lead-out pipe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and a switching control unit for synchronously switching and controlling the polarity switching means and the lead-out pipe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You may be doing it.

상기 본 발명에 기초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전기 분해 촉진제를 원수에 첨가하기 위한 첨가 카트리지가 상기 도입관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 cartridge for adding an electrolysis accelerator to raw water may be freely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inlet pipe.

본 발명에 따르면, 스케일이 부착되는 부위의 전체에 있어서 효과적이면서 용이하게 스케일의 제거를 행할 수 있으며, 또한 경제성의 면에서도 우수하게 되는 전해수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which can be efficiently and easily removed from the entire site to which the scale is attached and is also excellent in terms of econom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제1 운전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제2 운전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지수 직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a는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원심 펌프의 설치 상태 및 세정 동작시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b는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원심 펌프의 설치 상태 및 세정 동작 개시 전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a는 제1 비교예에 관한 원심 펌프의 설치 상태 및 세정 동작 개시 전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b는 제2 비교예에 관한 원심 펌프의 설치 상태 및 세정 동작 개시 전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변형예에 관한 원심 펌프의 설치 상태 및 세정 동작 개시 전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 및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 및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 및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 및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apparatus i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1.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piping struc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apparatus shown in FIG.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rst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1.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1.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mmediately after an index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1.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during the washing operation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1.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and the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vicinity at the time of a washing | cleaning opera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and the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vicinity before the washing operation star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which concerns on a 1st comparative example, and the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vicinity before the washing operation star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which concerns on a 2nd comparative example, and the state of the vicinity of the centrifugal pump before starting a washing | cleaning opera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which concerns on a modification, and the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vicinity before the washing | cleaning operation star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piping struc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apparatus i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and the state at the time of the washing | cleaning operation.
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piping struc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apparatus in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and the state at the time of the washing | cleaning opera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piping struc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apparatus in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and the state at the time of the washing | cleaning opera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piping struc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apparatus in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and the state at the time of the washing | cleaning oper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동일하거나 또는 공통되는 부분에 도면 중의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개별적으로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In addition, in embodiment shown below and its modifica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or common part, and the description is not repeated individually.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우선, 이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의 외관, 내부 구조 및 배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n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1. 4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piping struc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apparatus shown in FIG. First, with reference to these FIGS. 1-4, the external appearance, the internal structure, and piping structure of 1 A of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apparatuses in this embodiment are demonstrated.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는, 하우징(10)과, 취수관(11)과, 제1 배수관(12)과, 제2 배수관(13)과, 전원 코드(16)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장치 본체의 외피를 구성하는 부재이고, 후술하는 베이스(17)(도 2 및 도 3 참조)를 갖고 있다. 전원 코드(16)는, 상용 전원 등의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의 하부에서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1A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0, a water intake pipe 11, a first drain pipe 12, a second drain pipe 13, And a power cord 16. The housing 10 is a member constituting the outer shell of the apparatus main body, and has a base 17 (see FIGS. 2 and 3) described later. The power cord 16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such as a commercial power source, and is drawn out of the housing 1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취수관(11)은, 수도의 수도 꼭지 등에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수돗물 등의 원수의 공급을 받기 위한 배관이고, 그 선단에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구(11a)를 갖고 있다. 취수관(11)은, 하우징(10)의 하부에서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The water intake pipe 11 is a pipe for receiving supply of raw water, such as tap water, from the outside, connected to a tap of a tap water, and has a supply port 11a through which raw water is supplied. The water intake pipe 11 is withdrawn from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0 to the exterior of the housing 10.

제1 배수관(12)은, 생성된 전해 환원수(알칼리 이온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관이고, 그 선단에 제1 배출구(12a)를 갖고 있다. 제1 배수관(12)은, 하우징(10)의 상부로부터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고 있다.The first drain pipe 12 is a pipe for discharging the generated electrolytic reduced water (alkaline ionized water) to the outside, and has a first discharge port 12a at its tip. The first drain pipe 12 is led out of the housing 1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제2 배수관(13)은, 생성된 전해 산성수(전해 산성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관이고, 그 선단에 제2 배출구(13a)를 갖고 있다. 제2 배수관(13)은, 하우징(10)의 하부에서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되고 있다.The second drain pipe 13 is a pipe for discharging the generated electrolytic acidic water (electrolytic acidic water) to the outside, and has a second discharge port 13a at its tip. The second drain pipe 13 is drawn out of the housing 1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는, 전기 분해 처리가 실시되는 통상 동작시에서 생성되는 전해 환원수를 음용에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구성된 것이고, 그 때문에, 전해 환원수가 배출되는 제1 배수관(12)은, 그 방향이나 위치가 자유롭게 변경 가능한 노즐로 형성되어 있고, 전해 산성수가 배출되는 제2 배수관(13)은, 배수 호스로 형성되어 있다.Moreover, 1 A of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apparatuses in this embodiment are comprised in order to provide the drinking water with the electrolytic reduced water produced | generated at the time of the normal operation | work which electrolysis is performed, Therefore, the agent which discharge | releases electrolytic reduced water is discharged. The first drain pipe 12 is formed of a nozzle that can freely change its direction and position, and the second drain pipe 13 through which the electrolytic acidic water is discharged is formed of a drain hose.

하우징(10)의 상면에는, 전해수 생성 장치(1A)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14)는, 예를 들면 누름 버튼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원 버튼, 운전 상태 전환 버튼, 각종 설정 버튼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전방 면에는, 운전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15)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 operation unit 14 for operating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1A is provided. The operation unit 14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push button, and includes a power button, an operation state switching button, various setting buttons, and the like. Moreover, the display part 15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etc. is provid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The display unit 15 is configured of,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the like.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각종 배관계 및 전해조, 정화 처리부 등의 구성 부품이 수용되어 있다. 이들 구성 부품은, 하우징(10)의 싱크 주변의 설치면 상에 장착되는 부위인 베이스(17) 상에 조립되어 있다.As shown in FIG.2 and FIG.3, the inside of the housing | casing 10 accommodates various piping systems mentioned later, component parts, such as an electrolytic cell and a purification process part. These component parts are assembled on the base 17 which is a site | part mounted on the mounting surface around the sink of the housing | casing 10. As shown in FIG.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 부품에는, 안전 밸브(20), 정화 처리부(21), 역지 밸브(22), 유량 센서(23), 밸브 유닛(25), 전해조(28) 및 원심 펌프(30) 및 이들을 서로 접속하는 배관 라인(L1 내지 L6) 등이 주로 포함된다. 여기서, 밸브 유닛(25)에는, 한쌍의 유로 전환 밸브(26A, 26B)와, 한쌍의 유량 제어 밸브(27A, 27B)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구성 부품에는, 각종 구성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도 4 참조)가 포함된다.As shown in FIG. 2 to FIG. 4, the component includes a safety valve 20, a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21, a check valve 22, a flow rate sensor 23, a valve unit 25, and an electrolytic cell 28. And centrifugal pumps 30 and piping lines L1 to L6 connecting them with each other. Here, the valve unit 25 includes a pair of flow path switching valves 26A and 26B and a pair of flow control valves 27A and 27B. The component also includes a controller 40 (see FIG. 4)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arious components.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 라인(L1 내지 L6)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유로를 규정하는 배관계이고, 상술한 취수관(11)과 제1 배수관(12) 및 제2 배수관(13)을 접속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 라인(L1)은, 취수관(11)과 정화 처리부(21)를 접속하고 있고, 배관 라인(L2)은, 정화 처리부(21)와 전해조(28)를 접속하고 있다. 배관 라인(L3)은, 전해조(28)와 제1 배수관(12)을 접속하고 있고, 배관 라인(L4)은, 전해조(28)와 제2 배수관(13)을 접속하고 있다. 또한, 배관 라인(L5)은, 배관 라인(L2)과 배관 라인(L4)을 접속하고 있고, 배관 라인(L6)은, 취수관(11)과 제2 배수관(13)을 접속하고 있다.As shown in FIG. 4, piping lines L1 to L6 are piping systems defining flow path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and the water intake pipe 11, the first drain pipe 12, and the second drain pipe 12 are described above. The drain pipe 13 is connected. In more detail, the piping line L1 connects the water intake pipe 11 and the purification process part 21, and the piping line L2 connects the purification process part 21 and the electrolytic cell 28. FIG. The piping line L3 connects the electrolytic cell 28 and the 1st drain pipe 12, and the piping line L4 connects the electrolytic cell 28 and the 2nd drain pipe 13.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piping line L5 connects the piping line L2 and the piping line L4, and the piping line L6 connects the water intake pipe 11 and the 2nd drain pipe 13. As shown in FIG.

안전 밸브(20)는, 주로 외부로부터의 원수의 공급량이 과대한 경우에, 공급된 원수의 일부를 외부에 직접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취수관(11)과 배관 라인(L1)과 배관 라인(L6)에 접속되어 있다. 해당 안전 밸브(20)를 설치함으로써, 후술하는 각종 구성 부품에 과대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원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The safety valve 20 is for discharging a part of the supplied raw water directly to the outside mainly when the supply amount of raw water from the outside is excessive, and the above-described water intake pipe 11, the piping line L1, and the piping line It is connected to L6. By providing the safety valve 20, an excessive loa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pplied to various components described later, and backflow of raw water can be prevented.

정화 처리부(21)는, 공급된 원수를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배관 라인(L1)과 배관 라인(L2)에 접속되어 있다. 정화 처리부(21)는, 예를 들면 활성탄 필터나 중공사 필터 또는 이들의 복합 필터로 이루어지는 교환 가능한 정화 카트리지(21a)를 포함하고 있다. 해당 정화 처리부(21)를 설치함으로써, 음용에 적합한 전해 환원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21 is for purifying the supplied raw water and i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pipe line L1 and the pipe line L2. The purification processing part 21 includes the replaceable purification cartridge 21a which consists of an activated carbon filter, a hollow fiber filter, or these composite filters, for example. By providing the said purification process part 21, it becomes possible to produce the electrolytic reduced water suitable for drinking.

정화 처리부(21)로는, 예를 들면 유리 잔류 염소(칼크), 흐림, 총 트리할로메탄, 클로로포름, 브로모디클로로메탄, 디브로모클로로메탄, 브로모포름,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1,1,1-트리클로로에탄, CAT(농약), 2-MIB(곰팡이 냄새), 용해성 납 등의 불순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흡착함으로써 원수로부터 이것을 제거하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어느 쪽 불순물을 제거할지는, 도입되는 원수에 포함되는 것이 상정되는 불순물종 및 그 농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취사 선택된다.As the purification treatment unit 21, for example, free residual chlorine (calk), cloudy, trihalomethane, chloroform, bromodichloromethane, dibromochloromethane, bromoform, tetrachloroethylene, trichloroethylene, It is used to remove it from raw water by adsorbing at least one of impurities, such as 1,1,1-trichloroethane, CAT (pesticide), 2-MIB (mildew odor), and soluble lead. In addition, which impurities are removed is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impurity species and its concentration that are assumed to be included in the raw water to be introduced.

역지 밸브(22)는, 후술하는 세정 동작시에 있어 이것이 개방됨으로써 세정액의 순환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 라인(L2)에 설치되며, 또한 배관 라인(L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역지 밸브(22)는, 후술하는 지수시에 있어 이것이 개방됨으로써 배관계에 충전된 원수나 환원수를 배출하기 위한 릴리프 밸브로서도 기능한다. 해당 역지 밸브(22)를 설치함으로써, 세정 동작시에 있어 세정액의 순환 회로가 형성되며, 또한 지수시에 있어 배관계에 잔류하는 잔류수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역지 밸브(22)는, 전해수를 생성하는 통상 동작시에 이것이 폐색함으로써 배관 라인(L2)과 배관 라인(L5)을 비접속으로 한다.The check valve 22 is for forming the circulation circuit of the washing | cleaning liquid by opening it at the time of the washing | cleaning operation mentioned later, and is provided in the piping line L2, and is connected to the piping line L5. In addition, the check valve 22 also functions as a relief valve for discharging the raw water and the reduced water filled in the piping system by opening it at the time of exponent described later. By providing the check valve 22, a circulation circuit of the cleaning liquid is formed at the time of the washing operation, and the remaining water remaining in the piping system can be reduced at the time of indexing. In addition, the check valve 22 disconnects the piping line L2 and the piping line L5 by closing this in the normal operation | movement which produces electrolytic water.

유량 센서(23)는, 공급된 원수의 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배관 라인(L2)에 설치되어 있다. 유량 센서(23)는, 원수의 공급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40)에 그 검출 결과를 출력한다. 제어부(40)는, 입력된 해당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전기 분해의 개시/정지를 판단하거나, 후술하는 한쌍의 유량 제어 밸브(27A, 27B)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후술하는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 사이에 인가해야 할 전압을 결정하기도 한다.The flow rate sensor 23 is for detecting the flow rate of the supplied raw water and is provided in the pipe line L2. The flow rate sensor 23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supply of raw water, and output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 part 40. The control unit 40 judges the start / stop of electrolysis on the basis of the detected detection result inpu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air of flow control valves 27A and 27B described later, or the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described later ( The voltage to be applied between 28a and 28b) is also determined.

배관 라인(L2)의 유량 센서(23)가 설치된 위치보다도 하류측에는, 분지관로(24)가 설치되어 있다. 분지관로(24)는, 한쌍의 분지관(24a, 24b)을 갖고 있고, 원수를 분류하기 위한 것이다. 해당 분지관로(24)를 설치함으로써, 후술하는 전해조(28)의 한쌍의 전해실에 원수를 분류하여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branch pipe line 24 is provided downstream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low rate sensor 23 of the piping line L2 was provided. The branch pipe line 24 has a pair of branch pipes 24a and 24b for sorting raw water. By providing the branch pipe line 24, it is possible to classify and introduce raw water into a pair of electrolytic chambers of the electrolytic cell 28 described later.

한쌍의 분지관(24a, 24b)은, 유로 전환 밸브(26A)의 한쌍의 입수측 포트에 대응하여 접속되어 있고, 유로 전환 밸브(26B)의 한쌍의 출수측 포트는, 전해조(28)의 한쌍의 전해실에 대응되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분지관(24b)에는, 유량 제어 밸브(27A)가 설치되어 있다.The pair of branch pipes 24a and 24b are connected to the pair of inflow side ports of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A, and the pair of outflow side ports of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is a pair of the electrolytic cells 28. It is connected corresponding to the electrolytic chamber. Moreover, 27 A of flow control valves are provided in one branch pipe | tube 24b.

유로 전환 밸브(26A)는, 한쌍의 분지관(24a, 24b)과 전해조(28)의 한쌍의 전해실(이하, 한쪽의 전해실을 제1 전해실, 다른 쪽의 전해실을 제2 전해실이라고 칭함)과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그 동작이 제어부(40)에 의해서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유로 전환 밸브(26A)는, 그 동작이 제어부(40)에 의해서 제어됨으로써, 분지관(24a)과 제1 전해실이 접속되면서 분지관(24b)과 제2 전해실이 접속된 제1 접속 상태와, 분지관(24a)과 제2 전해실이 접속되면서 분지관(24b)과 제2 전해실이 접속된 제2 접속 상태로, 이들의 접속 상태를 전환한다.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A includes a pair of branch pipes 24a and 24b and a pair of electrolytic chambers (hereinafter, one electrolytic chamber as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other electrolytic chamber as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operation thereof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40. Specifically,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A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40 so that the branch pipe 24a and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re connected while the branch pipe 24b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are connected. The connection state is switched to the 2nd connection state which the branch pipe | tube 24b and the 2nd electrolysis chamber were connected, while the 1st connection state and the branch pipe 24a and the 2nd electrolytic chamber were connected.

유량 제어 밸브(27A)는, 분지관(24b)을 통류하는 원수의 유량을 분지관(24a)을 통류하는 원수의 유량보다도 적게 하기 위한 조임 밸브이고, 그 동작이 제어부(40)에 의해서 제어된다. 해당 유량 제어 밸브(27A)는, 생성되는 전해 환원수와 전해 산성수의 비율을 조정하여, 전해 환원수의 생성량을 전해 산성수의 생성량보다도 많게 하기 위한 것으로, 비율 조정 밸브라고도 칭한다.27 A of flow control valves are tightening valves for making the flow volume of the raw water which flows through the branch pipe 24b less than the flow volume of the raw water which flows through the branch pipe 24a,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part 40. . The flow control valve 27A adjusts the ratio of generated electrolytic reduced water and electrolytic acidic water to make the amount of generated electrolytic reduced water larger than the amount of electrolytic acidic water produced, also referred to as a ratio adjustment valve.

전해조(28)는,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과, 이들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을 사이에 두기 위한 전해 격막(28c)을 갖고 있고,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 사이에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원수를 전기 분해하는 것이다. 여기서,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은, 각각 전해 격막(28c)에 의해서 구획된 한쌍의 전해실에 배치되어 있고, 전해 전극(28a)이 배치된 전해실이 상술한 제1 전해실에 상당하고, 전해 전극(28b)이 배치된 전해실이 상술한 제2 전해실에 상당한다.The electrolytic cell 28 has a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and an electrolytic diaphragm 28c for sandwiching these pairs of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and a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The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electrolysis of the raw water. Here, a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pair of electrolytic chambers partitioned by the electrolytic diaphragm 28c, respectively, and the electrolytic chamber in which the electrolytic electrode 28a is arrange | positioned is mentioned to the 1st electrolytic chamber mentioned above. The electrolytic chamber in which the electrolytic electrode 28b is arrange | positioned is corresponded to the 2nd electrolytic chamber mentioned above.

전해 전극(28a, 28b)의 극성은, 각각 그 전환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동시에 전해 전극(28a, 28b)의 극성이 전환됨으로써 전해 전극(28a, 28b)의 극성이 반전하게 된다. 또한, 해당 전해 전극(28a, 28b)의 극성의 전환은,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릴레이 등에 의해서 행해지고, 제어부(40)에 의해서 그 전환이 제어된다.The polarities of the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are configured to be switchable, respectively, and the polarities of the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are reversed by simultaneously switching the polarities of the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In addition, switching of the polarity of the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is performed by a relay or the like not shown, for example, and the switching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0.

이에 따라, 전해 전극(28a)이 양극이면서, 전해 전극(28b)이 음극이 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전해실이 양극실이면서, 상기 제2 전해실이 음극실이 되게 되고, 전해 전극(28a)이 음극이면서 전해 전극(28b)이 양극이 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전해실이 음극실이면서 상기 제2 전해실이 양극실이 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electrolytic electrode 28a is an anode and the electrolytic electrode 28b is a cathode,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is an anode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is a cathode chamber, and the electrolytic electrode 28a Is a cathode and the electrolytic electrode 28b is an anode,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is a cathode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is an anode chamber.

또한, 전해 전극으로는, 예를 들면 표면이 백금 도금된 전극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전해 격막(28c)으로는, 칼륨이온, 마그네슘이온, 나트륨이온, 칼슘이온 등의 양이온을 양극실측로부터 음극실측을 향하여 투과시킬 수 있고, 또한 염화물 이온 및 황산 이온 등의 음이온을 음극실측으로부터 양극실측을 향하여 투과할 수 있는 이른바 이온 교환막이 이용된다.As the electrolytic electrode, for example, an electrode having a platinum-plated surface is preferably used. As the electrolytic diaphragm 28c, cations such as potassium ions, magnesium ions, sodium ions, calcium ions and the like are disposed from the anode chamber side to the cathode chamber side. What is called an ion exchange membrane which can permeate toward the surface and which can permeate anion such as chloride ions and sulfate ions from the cathode chamber side toward the anode chamber side is used.

전해조(28)의 하류측에는, 유로 전환 밸브(26B)가 설치되어 있다. 유로 전환 밸브(26B)의 한쌍의 입수측 포트는, 전해조(28)의 한쌍의 전해실에 대응하여 접속되어 있고, 유로 전환 밸브(26B)의 한쌍의 출수측 포트는, 배관 라인(L3, L4)에 대응하여 접속되어 있다.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electrolytic cell 28, a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is provided. The pair of inflow side ports of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is connected to the pair of electrolytic chambers of the electrolytic cell 28, and the pair of outflow side ports of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are the piping lines L3 and L4. ) Is connected in correspondence.

유로 전환 밸브(26B)는, 전해조(28)의 한쌍의 전해실과 배관 라인(L3, L4)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그 동작이 제어부(40)에 의해서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유로 전환 밸브(26B)는, 그 동작이 제어부(40)에 의해서 제어됨으로써, 제1 전해실과 배관 라인(L3)이 접속되면서 제2 전해실과 배관 라인(L4)이 접속된 제1 접속 상태와, 제1 전해실과 배관 라인(L4)이 접속되면서 제2 전해실과 배관 라인(L3)이 접속된 제2 접속 상태로, 이들의 접속 상태를 전환한다.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is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air of electrolytic chambers of the electrolytic cell 28 and the piping lines L3 and L4, and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0. Specifically,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40, so that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is connected to the pipe line L3, and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pipe line L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state is switched to the 2nd connection state with which the 2nd electrolysis chamber and the piping line L3 were connected, while the 1st electrolytic chamber and piping line L4 were connected.

배관 라인(L4)에는 유량 제어 밸브(27B)가 설치되어 있다. 유량 제어 밸브(27B)는 배관 라인(L4)을 통류하는 전해 산성수의 유량을 적게 하기 위한 조임 밸브이고, 그 동작이 제어부(40)에 의해서 제어된다. 해당 유량 제어 밸브(27B)는, 상술한 유량 제어 밸브(27A)와 서로 작용하여 생성되는 전해 환원수와 전해 산성수의 비율을 조정하여, 전해 환원수의 생성량을 전해 산성수의 생성량보다도 많게 하기 위한 것으로, 비율 조정 밸브라고도 칭한다.The flow rate control valve 27B is provided in the piping line L4. The flow control valve 27B is a tightening valve for reducing the flow rate of the electrolytic acidic water flowing through the pipe line L4, and its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40. The flow rate control valve 27B is for adjusting the ratio of the electrolytic reduced water and the electrolytic acidic water generated by interacting with the above-described flow control valve 27A to make the electrolytic reduced water more than the electrolytic acidic water generated. It is also called ratio adjustment valve.

또한, 배관 라인(L4)의 유량 제어 밸브(27B)가 설치된 위치보다도 하류측에는, 역지 밸브(22)에 그 일단이 접속된 배관 라인(L5)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고, 또한 해당 배관 라인(L4)의 배관 라인(L5)의 타단이 접속된 위치보다도 하류측에는, 원심 펌프(30)가 설치되고 있고, 또한 해당 배관 라인(L4)의 원심 펌프(30)가 설치된 위치보다도 하류측에는, 안전 밸브(20)에 그 일단이 접속된 배관 라인(L6)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pipe line L5,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heck valve 22, is connected to the downstream side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low rate control valve 27B of the pipe line L4 is installed, and the pipe line L4. The centrifugal pump 30 is installed downstream from the position where the other end of the piping line L5 is connected, and the safety valve (1) is located downstream of the position where the centrifugal pump 30 of the piping line L4 is installed. The other end of the pipe line L6,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20, is connected.

원심 펌프(30)는, 후술하는 세정 동작시에 있어 구동되어서 세정액을 흡입하여 이것을 토출함으로써 세정액을 강제적으로 송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동작이 제어부(40)에 의해서 제어된다. 원심 펌프(30)는, 그 흡입구(30e1)가 제2 배수관(13)의 제2 배출구(13a) 측에 접속되어 있고, 그 토출구(30e2)가 전해조(28)측에 접속되어 있다(도 9a 및 도 9b 참조).The centrifugal pump 30 is driven at the time of a washing operation to be described later to suck the washing liquid and discharge the washing liquid to forcibly send the washing liquid, and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0. In the centrifugal pump 30, the inlet port 30e1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port 13a side of the second drain pipe 13, and the outlet port 30e2 is connected to the electrolytic cell 28 side (FIG. 9A). And FIG. 9B).

여기서, 원심 펌프(30)는, 통상 동작시에 있어 배관 라인(L4)을 폐색하지 않도록, 그 흡입구(30e1)측에서 토출구(30e2)측을 향하는 방향을 순방향으로 한 경우에, 구동이 정지됨으로써 해당 순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액체를 통류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때문에, 원심 펌프(30)를 배관 라인(L4)에 설치한 경우에도, 해당 원심 펌프(30)를 통한 전해 산성수의 배출이 가능하다.Here, the centrifugal pump 30 stops driving when the direction from the suction port 30e1 side toward the discharge port 30e2 side is turned forward so as not to block the pipe line L4 during normal operation. The liquid can flow through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forward direction. Therefore, even when the centrifugal pump 30 is installed in the pipe line L4, the electrolytic acidic wat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centrifugal pump 30.

제어부(40)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되고, 주로 전해수 생성 장치(1A) 전체로서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량 센서(23)로부터 그 검출 결과의 입력을 받거나, 한쌍의 유로 전환 밸브(26A, 26B), 한쌍의 유량 제어 밸브(27A, 27B), 전해조(28) 및 원심 펌프(30)의 동작을 제어하기도 한다. 또한, 제어부(40)는, 조작부(14)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명령을 접수하거나, 표시부(15)에 있어서 표시해야 할 정보를 출력하기도 한다. 또한, 제어부(40)는, 타이머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해당 타이머 회로에 의해서 계시된 운전 시간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운전 상태의 전환을 행한다.The control part 40 is comprised by CPU (Central Processing Unit), for example, and mainly controls the operation | movement as 1 A of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apparatuses.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part 40 receives the input of the detection result from the flow sensor 23, as mentioned above, or a pair of flow path switching valves 26A and 26B and a pair of flow control valves 27A and 27B. ), The operation of the electrolytic cell 28 and the centrifugal pump 30 may be controlled. In addition, the control part 40 may receive the command from the exterior via the operation part 14, or may output the information which should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rt 15. FIG. Moreover, the control part 40 is equipped with the timer circuit, and switches the operation state mentioned later based on the information, such as operation time displayed by the said timer circuit.

이상에 있어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에서는, 취수관(11)의 공급구(11a)로부터 안전 밸브(20), 정화 처리부(21), 역지 밸브(22),유량 센서(23), 분지관로(24), 유로 전환부(26A)를 통해 전해조(28)에 이르는 부분의 배관계가, 공급된 원수를 전해조(28)에 도입하는 도입관부에 상당하게 되고, 전해조(28)로부터 유량 제어 밸브(26B)를 통해 제1 배수관(12)의 제1 배출구(12a) 및 제2 배수관(13)의 제2 배출구(13a)에 이르는 부분의 배관계가, 전해조(28)로부터 도출된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를 외부에 도출하는 도출관부에 상당하게 된다.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device 1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afety valve 20, the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21, the check valve 22, and the flow rate sensor are provided from the supply port 11a of the intake pipe 11. (23) The piping system of the part which reaches the electrolyzer 28 through the branch pipe path 24 and the flow path switching part 26A is equivalent to the introduction pipe part which introduces the supplied raw water into the electrolyzer 28, From the electrolytic cell 28, the piping system of the part from the 28 to the 1st discharge port 12a of the 1st drain pipe 12 and the 2nd discharge port 13a of the 2nd drain pipe 13 through the flow control valve 26B is carried out. This is equivalent to a lead-out pipe that leads the derived electrolytic reduced water and electrolytic acidic water to the outside.

또한, 상술한 도출관부 중, 유로 전환 밸브(26A)로부터 배관 라인(L3) 및 제1 배수관(12)을 경유하여 제1 배출구(12a)에 이르기까지의 부분이, 제1 배출관로에 상당하게 되고, 유로 전환 밸브(26B)에서 원심 펌프(30)가 설치된 배관 라인(L4) 및 제2 배수관(13)을 경유하여 제2 배출구(13a)에 이르기까지의 부분이, 제2 배출관로에 상당하게 되고, 배관 라인(L5)이 바이패스관부에 상당하게 된다.Moreover, the part from the flow-out valve part 26A mentioned above to the 1st discharge port 12a via the piping line L3 and the 1st drain pipe 12 among the above-mentioned discharge pipe parts corresponds to a 1st discharge pipe path. And a part from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13a via the pipe line L4 provided with the centrifugal pump 30 and the second drain pipe 13 corresponds to the second discharge pipe path. The piping line L5 corresponds to the bypass pipe portion.

또한, 유로 전환 밸브(26A)가, 도입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에 상당하게 되고, 유로 전환 밸브(26B)가,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에 상당하게 되고, 유량 제어 밸브(27A)가, 도입관부측 유량 조정 수단에 상당하게 되고, 유량 제어 밸브(27B)가 도출관부측 유량 조정 수단에 상당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A corresponds to the inlet pipe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corresponds to the outlet pipe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and the flow rate control valve 27A, The flow rate control valve 27B corresponds to the inlet pipe side flow rate adjusting means.

또한, 제어부(40)가,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의 극성과, 한쌍의 분지관(24a, 24b)과 한쌍의 전해실 사이의 접속 상태와, 한쌍의 전해실과 배관 라인(L3, L4) 사이의 접속 상태가 동시에 전환하는 것이 되도록, 상술한 릴레이 및 한쌍의 유로 전환 밸브(26A, 26B)를 동기적으로 제어하는 전환 제어부에 상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에 있어서는, 통상 동작시에 있어, 이하에 설명하는 제1 운전 상태와 제2 운전 상태가 정기적으로 전환되어 교대로 반복되게 된다.The control unit 40 further includes a polarity of the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air of branch tubes 24a and 24b and a pair of electrolytic chambers, a pair of electrolytic chambers and a piping line L3, It corresponds to the switching control part which controls the relay mentioned above and a pair of flow path switching valves 26A, 26B synchronously so that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L4) may switch simultaneously. As a result,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1A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normal operation, the first and second operating states described below are periodically switched to be repeated alternately.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제1 운전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제2 운전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다음으로, 이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의 통상 동작시의 운전 상태인 제1 운전 상태 및 제2 운전 상태에서의 원수,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의 흐름에 대해서 각각 설명한다.FIG. 5: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1st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apparatus shown in FIG. 1, and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2nd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apparatus shown in FIG. Next, with reference to these FIG. 5 and FIG. 6, raw water, electrolytic reduction water, and electrolysis in the 1st operation state and 2nd operation state which are the operation states 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of the electrolyzed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apparatus 1A in this embodiment. The flow of acidic water will be explained respectively.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운전 상태에서는, 수도 꼭지(100)로부터 배출된 원수가 분지 수전(水栓)(101)을 통해 취수관(11)에 공급되고, 공급된 원수가 안전 밸브(20)를 경유하여 정화 처리부(21)에 유입된다. 정화 처리부(21)에 유입된 원수는, 정화 카트리지(21a)에 통수됨으로써 특정한 불순물이 제거되어 정화되고, 역지 밸브(22) 및 유량 센서(23)를 경유하여 분지관로(24)에 도달한다.As shown in FIG. 5, in the first operating state, raw water discharged from the tap 100 is supplied to the water intake pipe 11 through the branch faucet 101, and the supplied raw water is a safety valve. It flows into the purification process part 21 via the 20.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21 passes through the purification cartridge 21a to remove specific impurities and is purified, and reaches the branch pipe line 24 via the check valve 22 and the flow rate sensor 23. .

그 때, 제어부(40)는 원수가 통류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유량 센서(23)의 검출 결과를 받아, 전해조(28)에서 전기 분해 처리가 행해지도록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part 40 receives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low sensor 23 which shows that the raw water is flowing, and applies a voltage between the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so that the electrolysis process may be performed in the electrolytic cell 28. Is authorized.

분지관로(24)에 도달한 원수는, 분지관(24b)에 설치된 유량 제어 밸브(27A)의 작용에 의해서 소정의 비율로 그 유량이 조정되어 분류되고, 분류된 원수의 각각이 분지관(24a, 24b) 및 유로 전환 밸브(26A)를 경유하여 전해조(28)의 제1 전해실 및 제2 전해실에 유입된다. 또한, 분지관(24b)에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은, 분지관(24a)에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보다도 작아지도록 그 비율이 조정된다.The raw water reaching the branch pipe line 24 is classified and regulated by the flow rate at a predetermined ratio by the action of the flow control valve 27A provided in the branch pipe 24b. It flows into the 1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2nd electrolytic chamber of the electrolytic cell 28 via 24a, 24b and 26 A of flow path switching valves. Moreover, the ratio is adjusted so that the flow volume of the raw water which flows into the branch pipe 24b may become smaller than the flow volume of the raw water which flows into the branch pipe 24a.

여기서, 해당 제1 운전 상태에서는, 상술한 제1 접속 상태로 배관계가 전환되고 있다. 즉, 분지관(24a)은, 유로 전환 밸브(26A)를 통해 제1 전해실에 접속된 상태에 있고, 분지관(24b)은, 유로 전환 밸브(26A)를 통해 제2 전해실에 접속된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분류되어 분지관(24a)에 유입된 원수는, 제1 전해실에 도달하게 되고, 분류되어 분지관(24b)에 유입된 원수는, 제2 전해실에 도달하게 된다.Here, in the said 1st driving state, the piping system is switched to the 1st connection state mentioned above. That is, the branch pipe 24a is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1st electrolytic chamber via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A, and the branch pipe 24b is connected to the 2nd electrolytic chamber through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A. Is in a state. Therefore, the raw water sorted and introduced into the branch pipe 24a reaches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raw water sorted and introduced into the branch pipe 24b reaches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전해조(28)에 도달한 원수에는, 전기 분해 처리가 실시된다. 여기서, 해당 제1 운전 상태는, 전해 전극(28a)이 배치된 제1 전해실이 음극실로서 기능하고, 전해 전극(28b)이 배치된 제2 전해실이 양극실로서 기능한 상태이다. 그 때문에, 이 제1 운전 상태에서는, 양극실인 제1 전해실에서 전해 환원수가 생성되게 되고, 음극실인 제2 전해실에서 전해 산성수가 생성되게 된다.The raw water reaching the electrolytic cell 28 is subjected to an electrolysis treatment. Here, the first operating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in which the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re arranged serves as the cathode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in which the electrolytic electrodes 28b is arranged serves as the anode chamber. Therefore, in this first operating state, electrolytic reduced water is produced in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which is the anode chamber, and electrolytic acidic water is produced in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which is the cathode chamber.

전해조(28)에서 생성된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는, 유로 전환 밸브(26B) 및 배관 라인(L3, L4)을 경유하여 제1 배수관(12) 및 제2 배수관(13)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해당 제1 운전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속 상태로 배관계가 전환되고 있다. 즉, 제1 전해실은, 유로 전환 밸브(26B)를 통해 배관 라인(L3)에 접속된 상태에 있고, 제2 전해실은, 유로 전환 밸브(26B)를 통해 배관 라인(L4)에 접속된 상태에 있다.The electrolytic reduced water and electrolytic acidic water generated in the electrolytic cell 28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first drain pipe 12 and the second drain pipe 13 via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and the piping lines L3 and L4. . Here, in the first driving state, the piping system is switched to the first connected state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1st electrolytic chamber is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piping line L3 via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and the 2nd electrolytic chamber is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piping line L4 via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have.

그 때문에, 제1 전해실에서 생성된 전해 환원수는, 전해조(28)로부터 배출된 후에, 유로 전환 밸브(26B)를 경유하여 배관 라인(L3)에 유입하고, 그 후, 해당 배관 라인(L3)을 경유하여 제1 배수관(12)에 도달하여, 해당 제1 배수관(12)으로부터 외부에 도출되게 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해당 제1 배수관(12)으로부터 배출된 전해 환원수를 부호 31로 나타내고 있다.Therefore, after the electrolytic reduction water produced | generated in the 1st electrolytic chamber is discharged | emitted from the electrolytic cell 28, it flows into the piping line L3 via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and the piping line L3 after that. Reaching the first drain pipe 12 via the, it is led to the outside from the first drain pipe 12. In addition, in FIG. 5, the electrolytic reduced water discharged | emitted from the said 1st waste pipe 12 is shown with the code | symbol 31. As shown in FIG.

한편, 제2 전해실에서 생성된 전해 산성수는, 전해조(28)로부터 배출된 후에, 유로 전환 밸브(26B)를 경유하여 배관 라인(L4)에 유입하고, 그 후, 해당 배관 라인(L4) 및 이것에 설치된 유량 제어 밸브(27B) 및 원심 펌프(30)를 경유하여 제2 배수관(13)에 도달하여, 해당 제2 배수관(13)으로부터 외부에 도출되게 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해당 제2 배수관(13)으로부터 배출된 전해 산성수를 부호 32로 나타내고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electrolytic acidic water produced in the 2nd electrolytic chamber is discharged | emitted from the electrolytic cell 28, it flows into the piping line L4 via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and after that, the piping line L4. And the 2nd drain pipe 13 reaches | attains through the flow control valve 27B and the centrifugal pump 30 provided in this, and it is led to the exterior from the said 2nd drain pipe 13. In addition, in FIG. 5, the electrolytic acidic water discharged | emitted from the said 2nd waste pipe 13 is shown with the code | symbol 32. As shown in FIG.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운전 상태에서는, 수도 꼭지(100)로부터 배출된 원수가 분지 수전(101)을 통해 취수관(11)에 공급되고, 공급된 원수가 안전 밸브(20)를 경유하여 정화 처리부(21)에 유입된다. 정화 처리부(21)에 유입된 원수는, 정화 카트리지(21a)에 통수됨으로써 특정한 불순물이 제거되어 정화되고, 역지 밸브(22) 및 유량 센서(23)를 경유하여 분지관로(24)에 도달한다.As shown in FIG. 6, in the second operation state, raw water discharged from the tap 100 is supplied to the water intake pipe 11 through the branch faucet 101, and the supplied raw water supplies the safety valve 20. It flows into the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21 via the gas. The raw water flowing into the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21 passes through the purification cartridge 21a to remove specific impurities and is purified, and reaches the branch pipe line 24 via the check valve 22 and the flow rate sensor 23. .

그 때, 제어부(40)는, 원수가 통류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유량 센서(23)의 검출 결과를 받아, 전해조(28)에서 전기 분해 처리가 행해지도록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다.At that time, the control part 40 receives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low sensor 23 which shows that raw water is flowing, and the voltage between a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so that electrolysis process may be performed in the electrolytic cell 28. Is applied.

분지관로(24)에 도달한 원수는, 분지관(24b)에 설치된 유량 제어 밸브(27A)의 작용에 의해서 소정의 비율로 그 유량이 조정되어 분류되고, 분류된 원수의 각각이 분지관(24a, 24b) 및 유로 전환 밸브(26A)를 경유하여 전해조(28)의 제1 전해실 및 제2 전해실에 유입된다. 또한, 분지관(24b)에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은, 분지관(24a)에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보다도 작아지도록 그 비율이 조정된다.The raw water reaching the branch pipe line 24 is classified and regulated by the flow rate at a predetermined ratio by the action of the flow control valve 27A provided in the branch pipe 24b. It flows into the 1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2nd electrolytic chamber of the electrolytic cell 28 via 24a, 24b and 26 A of flow path switching valves. Moreover, the ratio is adjusted so that the flow volume of the raw water which flows into the branch pipe 24b may become smaller than the flow volume of the raw water which flows into the branch pipe 24a.

여기서, 해당 제2 운전 상태에서는, 상술한 제2 접속 상태에 배관계가 전환되고 있다. 즉, 분지관(24a)은, 유로 전환 밸브(26A)를 통해 제2 전해실에 접속된 상태에 있고, 분지관(24b)은, 유로 전환 밸브(26A)를 통해 제1 전해실에 접속된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분류되어 분지관(24a)에 유입된 원수는, 제2 전해실에 도달하게 되고, 분류되어 분지관(24b)에 유입된 원수는, 제1 전해실에 도달하게 된다.Here, the piping relationship is switched to the above-mentioned 2nd connection state in the said 2nd operation state. That is, the branch pipe 24a is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2nd electrolytic chamber via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A, and the branch pipe 24b is connected to the 1st electrolytic chamber through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A. Is in a state. Therefore, the raw water sorted and introduced into the branch pipe 24a reaches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raw water sorted and introduced into the branch pipe 24b reaches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전해조(28)에 도달한 원수에는, 전기 분해 처리가 실시된다. 여기서, 해당 제2 운전 상태는, 전해 전극(28a)이 배치된 제1 전해실이 양극실로서 기능하고, 전해 전극(28b)이 배치된 제2 전해실이 음극실로서 기능한 상태이다. 그 때문에, 이 제2 운전 상태에서는, 음극실인 제1 전해실에서 전해 산성수가 생성되게 되고, 양극실인 제2 전해실에서 전해 환원수가 생성되게 된다.The raw water reaching the electrolytic cell 28 is subjected to an electrolysis treatment. Here, the second operating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in which the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re arranged serves as the anode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in which the electrolytic electrodes 28b is arranged serves as the cathode chamber. Therefore, in this second operating state, electrolytic acidic water is generated in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which is the cathode chamber, and electrolytic reduced water is produced in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which is the anode chamber.

전해조(28)에서 생성된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는, 유로 전환 밸브(26B) 및 배관 라인(L3, L4)을 경유하여 제1 배수관(12) 및 제2 배수관(13)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해당 제2 운전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접속 상태로 배관계가 전환되고 있다. 즉, 제1 전해실은, 유로 전환 밸브(26B)를 통해 배관 라인(L4)에 접속된 상태에 있고, 제2 전해실은, 유로 전환 밸브(26B)를 통해 배관 라인(L3)에 접속된 상태에 있다.The electrolytic reduced water and electrolytic acidic water generated in the electrolytic cell 28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first drain pipe 12 and the second drain pipe 13 via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and the piping lines L3 and L4. . Here, in the second driving state, the piping system is switched to the second connection state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1st electrolytic chamber is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piping line L4 via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and the 2nd electrolytic chamber is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piping line L3 via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have.

그 때문에, 제1 전해실에서 생성된 전해 산성수는, 전해조(28)로부터 배출된 후에, 유로 전환 밸브(26B)를 경유하여 배관 라인(L4)에 유입하고, 그 후, 해당 배관 라인(L4) 및 이것에 설치된 유량 제어 밸브(27B) 및 원심 펌프(30)를 경유하여 제2 배수관(13)에 도달하고, 해당 제2 배수관(13)으로부터 외부에 도출되게 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해당 제2 배수관(13)으로부터 배출된 전해 산성수를 부호 32로 나타내고 있다.Therefore, after the electrolytic acidic water produced | generated in the 1st electrolytic chamber is discharged | emitted from the electrolytic cell 28, it flows into the piping line L4 via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and the piping line L4 after that. And the second drain pipe 13 via the flow control valve 27B and the centrifugal pump 30 provided thereon, and are led to the outside from the second drain pipe 13. In addition, in FIG. 6, the electrolytic acidic water discharged | emitted from the said 2nd waste pipe 13 is shown with the code | symbol 32. As shown in FIG.

한편, 제2 전해실에서 생성된 전해 환원수는, 전해조(28)로부터 배출된 후에, 유로 전환 밸브(26B)를 경유하여 배관 라인(L3)에 유입하고, 그 후, 해당 배관 라인(L3)을 경유하여 제1 배수관(12)에 도달하고, 해당 제1 배수관(12)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게 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해당 제1 배수관(12)으로부터 배출된 전해 환원수를 부호 31로 나타내고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electrolytic reduction water produced | generated in the 2nd electrolytic chamber is discharged | emitted from the electrolytic cell 28, it flows into the piping line L3 via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and after that, the piping line L3 The first drain pipe 12 is reached via the first drain pipe 12 and is led to the outside from the first drain pipe 12. In addition, in FIG. 6, the electrolytic reduced water discharged | emitted from the said 1st waste pipe 12 is shown with the code | symbol 31. As shown in FIG.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지수 직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다음으로, 이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의 지수 직후의 상태에서의 배수의 모습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7은, 상술한 제1 접속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것이다.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mmediately after the index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1. Next, with reference to this FIG. 7, the state of the waste water in the state immediately after the index | index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apparatus 1A i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7 shows the case where it is in the 1st connection state mentioned above.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 꼭지(100)로부터의 원수의 공급이 정지된 경우에는, 유량 센서(23)를 통류하는 원수의 흐름도 멈추게 되고, 제어부(40)는, 원수가 통류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유량 센서(23)의 검출 결과를 받아, 전해조(28)에 있어서의 전기 분해 처리가 정지되도록,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 사이에서의 전압의 인가를 정지한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supply of raw water from the tap 100 is stopped, the flowchart of the raw water flowing through the flow sensor 23 is stopped, and the control unit 40 does not flow the raw water. The application of the voltage between the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is stopped so as to receive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low rate sensor 23 indicating that the electrolysis process in the electrolytic cell 28 is stopped.

해당 지수 직후에서는, 전해수 생성 장치(1A)에 포함되는 배관계에 존재하는 원수,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의 각각이, 이들이 갖는 수두에 기초하여 배관 내를 이동하게 된다. 그 때, 위생면 등을 고려한 경우에는, 가능한 한 이들 원수,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가 배관계의 내부에 잔류하지 않고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mmediately after the index, each of the raw water, the electrolytic reduced water, and the electrolytic acidic water present in the piping system included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1A moves in the pipe based on the heads they have. In that case, when the sanitary surface is considered, it is preferable to discharge these raw water, electrolytic reduction water, and electrolytic acidic water as much as possible without remaining in a piping system.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에 있어서는, 릴리프 밸브로서도 기능하는 역지 밸브(22)가 전해조(28)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는 도입관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수시에 있어 해당 역지 밸브(22)가 개방됨으로써, 바이패스관부인 배관 라인(L5)을 경유한 배수가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배출구(12a)를 통해 주로 전해 환원수가, 또한 제2 배출구(13a)를 통해 주로 전해 산성수 및 원수가 각각 배출되게 되어, 이들이 배관계의 내부에 잔류하는 것의 감소가 도모되고 있다.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1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heck valve 22, which also functions as a relief valve, is provided in the inlet pipe portion located upstream of the electrolytic cell 28, so that the check valve is at the time of indexing. By opening the valve 22, drainage via the piping line L5, which is the bypass pipe portion, becomes possible. Therefore, as shown in FIG. 7, the electrolytic reduced water mainly through the first outlet 12a and the electrolytic acidic water and the raw water are respectively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13a, and these are discharged inside the piping system. Reduction of what is left is aimed at.

또한, 그 상세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데, 전해수 생성 장치(1A)가 상술한 제2 접속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원수,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의 흐름은 대강 동일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detail is abbreviate | omitted, even if 1 A of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apparatuses are in the 2nd connection state mentioned above, the flow of raw water, electrolytic reduction water, and electrolytic acidic water is substantially the same.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다음으로, 이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를 세정하기 위한 조작 및 세정 동작시의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8은, 상술한 제1 접속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것이다.FIG. 8: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at the time of the washing | cleaning operation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apparatus shown in FIG. Next, with reference to this FIG. 8, the state at the time of operation | movement for washing | cleaning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device 1A in this embodiment, and a washing | cleaning operation is demonstrated. 8 shows the case where it is in the 1st connection state mentioned above.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의 세정(즉, 스케일의 제거)을 행하는 경우에는, 세정액(51)이 저류된 용기(50)를 준비한다. 여기서, 세정액(51)으로는,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용해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시트르산,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숙신산 및 말산으로 대표되는 산을 포함하는 세정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소정 농도로 된 시트르산수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washing | cleaning (namely, removal of a scale) of 1 A of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apparatuses in this embodiment is performed, the container 50 in which the washing | cleaning liquid 51 was stored is prepared. Here, as the washing liquid 51, it is preferable to use washing water containing an acid represented by citric acid, acetic acid, ascorbic acid, succinic acid and malic acid, which can effectively dissolve and remove scale, and use citric acid water having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그리고, 용기(50)에 저류된 세정액(51)에 제2 배수관(13)의 제2 배출구(13a)를 침지하고, 제1 배수관(12)의 제1 배출구(12a)를 용기(50)의 바로 윗쪽에 배치한다. 또한, 그 때 바람직하게는, 제2 배출구(13a)를 덮도록 네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물 제거 필터(52)를 부착할 수도 있다. 해당 이물 제거 필터(52)를 부착함으로써, 후술하는 세정 동작시에 전해수 생성 장치(1A)의 내부에 이물이 도입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n, the second discharge port 13a of the second drain pipe 13 is immersed in the cleaning liquid 51 stored in the container 50,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12a of the first drain pipe 12 is Place it just above. At this time, the foreign matter removing filter 52 made of a net or the like may be preferably attached to cover the second outlet 13a. By attaching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filter 52, foreign matter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device 1A during the washing operation described later.

상술한 상태로 한 후에, 조작부(14)에 설치된 운전 상태 전환 버튼 등을 이용하여 세정 동작의 개시 명령이 입력됨으로써, 전해수 생성 장치(1A)는, 세정 동작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는 원심 펌프(30)의 구동을 개시한다.After making it the above-mentioned state,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apparatus 1A starts a washing | cleaning operation by inputting the start command of a washing | cleaning operation | movement using the operation state switch button etc. provided in the operation part 14.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40 starts the drive of the centrifugal pump 30.

원심 펌프(30)가 구동됨으로써, 용기(50)에 저류된 세정액(51)은, 제2 배수관(13)의 제2 배출구(13a)를 통해 전해수 생성 장치(1A)의 배관계에 도입되어, 해당 배관계의 소정 부위를 유동한 후, 제1 배수관(12)의 제1 배출구(12a)를 통해 외부로 도출된다. 그리고, 제1 배수관(12)의 제1 배출구(12a)를 통해 외부로 도출된 세정액은(51) 용기(50)로 복귀되게 된다.As the centrifugal pump 30 is driven, the washing liquid 51 stored in the container 50 is introduced into the piping system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device 1A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13a of the second drain pipe 13. After the predetermined part of the piping system flows, it is led out through the first outlet 12a of the first drain pipe 12. Then, the cleaning liquid draw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12a of the first drain pipe 12 is returned to the container 50.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액(51)은, 제2 배수관(13)의 제2 배출구(13a)를 통해 배관 라인(L4)에 공급되고, 원심 펌프(30)를 통과한 후에 그 일부가 분류되어 배관 라인(L5)에 도입되며, 남는 일부가 유량 제어 밸브(27B) 및 유로 전환 밸브(26B)를 경유하여 전해조(28)의 제2 전해실에 도입된다.In more detail, the washing | cleaning liquid 51 is supplied to the piping line L4 through the 2nd discharge port 13a of the 2nd drain pipe 13,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centrifugal pump 30, a part of it is classified and it piping The remaining portion is introduced into the line L5 and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of the electrolytic cell 28 via the flow control valve 27B and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제2 전해실에 도입된 세정액(51)은, 제2 전해조를 통류시킨 후에 유로 전환 밸브(26A) 및 유량 제어 밸브(27A)를 경유하여 분지관로(24)에 도달한다. 한편, 배관 라인(L5)에 도입된 세정액(51)은, 개방 상태에 있는 역지 밸브(22)를 경유하여 배관 라인(L2)에 유입하고, 유량 센서(23)를 경유하여 분지관로(24)에 도달한다.The cleaning liquid 51 introduced into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reaches the branch pipe passage 24 via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A and the flow control valve 27A after the second electrolytic cell flows through. On the other hand, the cleaning liquid 51 introduced into the pipe line L5 flows into the pipe line L2 via the check valve 22 in the open state, and passes through the branch line 24 through the flow sensor 23. )

제2 전해실을 경유하여 분지관로(24)에 도달한 세정액(51)과, 배관 라인(L2)을 경유하여 분지관로(24)에 도달한 세정액(51)은, 분지관로(24)에 있어서 합류하고, 그 후, 유로 전환 밸브(26A)를 경유하여 전해조(28)의 제1 전해실에 도입된다. 제1 전해실에 도입된 세정액(51)은, 제1 전해조를 통류한 후에 유로 전환 밸브(26A) 및 배관 라인(L3)을 경유하여 제1 배수관(12)에 도달하고, 제1 배출구(12a)로부터 외부로 도출되어 용기(50)로 복귀되게 된다.The washing liquid 51 which reached the branch pipe line 24 via the 2nd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washing liquid 51 which reached the branch pipe line 24 via the piping line L2 are the branch pipe lines 24 ),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of the electrolytic cell 28 via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A. The cleaning liquid 51 introduced into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flows through the first electrolytic cell and reaches the first drain pipe 12 via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A and the pipe line L3, and the first outlet 12a. And is returned to the container 50 from the outside.

또한, 그 상세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데, 전해수 생성 장치(1A)가 상술한 제2 접속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세정액(51)의 흐름은 대강 동일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detail is abbreviate | omitted, even if 1 A of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apparatuses are in the 2nd connection state mentioned above, the flow of the washing | cleaning liquid 51 is substantially the same.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에 있어서는, 내부에 설치된 배관계의 소정 부위, 제1 배수관(12), 제2 배수관(13) 및 용기(50)에 의해서 세정액(51)이 순환되는 순환 회로가 형성 가능하게 되고, 또한 장치 본체에 내장시킨 원심 펌프(30)를 구동함으로써 세정액(51)이 해당 순환 회로를 순환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1A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leaning liquid 51 is formed by the predetermined part of the piping system provided therein, the first drain pipe 12, the second drain pipe 13, and the container 50. This circulation circuit to be circulated can be formed, and the cleaning liquid 51 can be circulated through the circulation circuit by driving the centrifugal pump 30 incorporat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여기서, 해당 순환 회로에는, 통상 운전시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부위인 전해조(28) 및 그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관계(특히, 전해조(28)와 유로 전환 밸브(26B)를 접속하는 배관, 유로 전환 밸브(26B), 배관 라인(L3), 제1 배수관(12) 등)가 포함되게 된다. 또한, 해당 순환 회로에는, 이것 외에 지수시에 있어서의 배수시에 전해 환원수가 약간이긴 하지만 유동함으로써 스케일이 부착될 가능성이 있는 부위인 전해조(28)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관계(특히, 전해조(28)와 유로 전환 밸브(26A)를 접속하는 배관, 유로 전환 밸브(26A), 유량 센서(23)가 설치된 부위를 포함하는 배관 라인(L2), 바이패스관부인 배관 라인(L5), 원심 펌프(30)가 설치된 부위를 포함하는 배관 라인(L4), 제2 배수관(13) 및 유량 제어 밸브(27A, 27B) 등)가 포함되게 된다.Here, the circulation circuit includes an electrolytic cell 28, which is a portion to which scale is attached during normal operation, and a piping system (especially, a pipe connecting the electrolytic cell 28 and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thereof, and a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piping line L3, first drain pipe 12, and the like). In addition, in this circulation circuit, a piping system located i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sides of the electrolytic cell 28, which is a site where the electrolytic reduction water is slightly present at the time of drainage at the time of exponent but may be attached by flow. A piping line L2 including a pipe connecting the electrolytic cell 28 and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A, a flow path switching valve 26A, and a portion where the flow rate sensor 23 is installed, and a piping line L5 serving as a bypass pipe part. And a pipe line L4 including a portion where the centrifugal pump 30 is installed, the second drain pipe 13 and the flow control valves 27A and 27B.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에서는, 스케일이 부착될 가능성이 있는 부위 전부에 대하여, 농도 조절이 가능한 세정액(51)을 이용하여 세정을 행할 수 있게 되고, 효과적으로 스케일의 제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1A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leaning liquid 51 capable of adjusting the concentration can be cleaned for all of the portions where the scale may adhere, so that the scale is effectively removed.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정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세정 조작에 대해서도, 별도 세정용 카트리지를 설치하는 등의 필요가 없고, 세정액을 제조하여 용기에 저류하고, 이것을 소정의 상태가 되도록 설치하여 세정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조작부(14)를 조작할 뿐이기 때문에,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경제면에서도 우수한 것이 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leaning operation for performing the cleaning opera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leaning cartridge, for example, to prepare the cleaning liquid and store it in the container, and to install the cleaning liquid so as to be in a predetermined state. Since only the operation part 14 is operated to make it perform, it becomes very easy to perform and it is excellent also in terms of economy.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전해수 생성 장치(1A)로 함으로써, 스케일이 부착되는 부위의 전체에 있어서 효과적이면서 용이하게 스케일의 제거를 행할 수 있으며, 또한 경제성의 면에서도 우수한 것이 되는 전해수 생성 장치로 할 수 있다.Therefore, by using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1A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can be effectively and easily removed from the entire area to which the scale is attached and is also excellent in terms of economy. hav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에서는, 바이패스관부인 배관 라인(L5)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바이패스관부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많은 세정액(51)을 단시간에 순환시킬 수 있다. 이것은, 해당 바이패스관부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배관계에 설치되어 있는 유량 제어 밸브(27A, 27B)에 의해서 세정액(51)의 유량이 줄어들게 되어 버릴 수 있지만, 해당 바이패스관부를 설치함으로써 유량 제어 밸브(27A, 27B)를 경유하지 않고서 세정액(51)이 순환하는 순환 회로가 구성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since 1 A of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apparatuses in this embodiment are equipped with the piping line L5 which is a bypass pipe part, more washing | cleaning liquid 51 i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aid bypass pipe part is not provided. It can be cycled in a short time. This is because when the bypass pipe portion is not provided, the flow rate of the cleaning liquid 51 may be reduced by the flow control valves 27A and 27B provided in the piping system. This is because a circulation circuit is formed in which the cleaning liquid 51 circulates without passing through the valves 27A and 27B.

도 9a 및 도 9b는, 도 1에 도시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의 원심 펌프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고, 도 9a는, 세정 동작시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b는, 세정 동작 개시 전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다음으로, 이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의 원심 펌프(30)의 설치 상태 및 해당 설치 상태로 함으로써 원활히 세정 동작이 실현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9A and 9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1, FIG. 9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near the centrifugal pump during the washing operation, and FIG. 9B is washing.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vicinity before operation start. Next, with reference to these FIG. 9A and FIG. 9B,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30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apparatus 1A in this embodiment, and the reason why washing operation | movement is implemented smoothly by making it the installation state are demonstrated. do.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심 펌프(30)는, 모터(30a)와, 모터(30a)에 부착된 케이싱(30b)과, 해당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며, 또한 모터(30a)의 회전축에 고정된 날개차(30c)와, 해당 날개차(30c)가 수용되는 케이싱(30b)의 내부의 공간인 펌프실(30d)과, 해당 펌프실(30d)에 연통하여 설치된 흡입구(30e1) 및 토출구(30e2)를 갖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원심 펌프(30)는, 배관 라인(L4)에 설치되어 있고, 그 흡입구(30e1)가 제2 배출구(13a)측에 연통하도록 제2 배출구측 배관부(L4a)에 접속되어 있고, 그 토출구(30e2)가 제1 배출구(12a)측(즉, 전해조(28)측)에 연통하도록 제1 배출구측 배관부(L4b)에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A and 9B, the centrifugal pump 30 is disposed in the motor 30a, the casing 30b attached to the motor 30a, the casing, and the motor 30a. The vane 30c fix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pump chamber 30d which is a space inside the casing 30b in which the vane 30c is accommodated, and the suction port 30e1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ump chamber 30d; It has a discharge port 30e2. As mentioned above, the centrifugal pump 30 is provided in the piping line L4, and is connected to the 2nd discharge port side piping part L4a so that the inlet port 30e1 may communicate with the 2nd discharge port 13a side. The discharge port 30e2 is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side pipe portion L4b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discharge port 12a side (that is, the electrolytic cell 28 side).

여기서,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심 펌프(30)의 동작시에 있어, 세정액(51)을 원심 펌프(30)를 이용해서 양수하여 확실하게 순환시키기 위해서는,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심 펌프(30)의 동작 전의 상태에서, 해당 원심 펌프(30)의 펌프실(30d)의 내부가 잔류수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채워진 상태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심 펌프(30)의 동작 전의 상태에서, 원심 펌프(30)의 날개차(30c)가, 잔류수에 의해서 침지된 상태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원심 펌프(30)의 구동시에 있어 날개차(30c)가 공회전해서 양수를 행할 수 없는 일이 생길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9A, in order to pump the washing liquid 51 using the centrifugal pump 30 and circulate reliably in the operation of the centrifugal pump 30, as shown in FIG. 9B, In the state before the operation of the centrifugal pump 30, it is preferable to keep the inside of the pump chamber 30d of the centrifugal pump 30 substantially filled with residual water. That is,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vane 30c of the centrifugal pump 30 immersed by residual water in the state before operation | movement of the centrifugal pump 30. FIG. When the state is not configured to be maintained, the vanes 30c may idle at the time of driving the centrifugal pump 30, and pumping may be impossible.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에서는, 도 2,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심 펌프(30)를 경사 배치하게 하고, 이에 따라 전해수 생성 장치(1A)의 지수시에도 펌프실(30d) 내에 잔류하는 잔류수의 액면(200)보다도 아래쪽으로 날개차(30c)가 위치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원심 펌프(30)의 동작시에 있어 확실하게 세정액(51)의 양수가 행해지게 된다.Therefore,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1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entrifugal pump 30 is inclined as shown in FIGS. 2, 9A, and 9B, whereby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1A It is comprised so that vane 30c may be located below the liquid level 200 of the residual water which remains in the pump chamber 30d at the time of water still. In this way, the cleaning liquid 51 is positively pumped in the operation of the centrifugal pump 30.

도 10a는, 제1 비교예에 관한 원심 펌프의 설치 상태 및 세정 동작 개시 전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해당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심 펌프(30)의 회전축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원심 펌프(30)를 설치한 경우에는, 지수시에 있어 원심 펌프(30)의 펌프실(30d) 내에 잔류하는 잔류수의 액면(200)보다도 상측에 날개차(30c)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설치 상태로 한 경우에는, 상술한 날개차(30c)의 공회전이 발생하여 양수를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which concerns on a 1st comparative example, and the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vicinity before the washing operation start. As shown in FIG. 10A, when the centrifugal pump 30 is provided so that the rotational axis of the centrifugal pump 30 faces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entrifugal pump 30 remains in the pump chamber 30d of the centrifugal pump 30 at the time of indexing. An impeller 30c is located above the liquid level 200 of the residual water. Therefore, when it is set as such an installation state, idling of the vane 30c mentioned above will generate | occur | produce and water pumping will become impossible.

도 10b는, 제2 비교예에 관한 원심 펌프의 설치 상태 및 세정 동작 개시 전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해당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심 펌프(30)를 경사 배치한 경우에도, 펌프실(30d)의 형상에 따라서는, 지수시에 있어 원심 펌프(30)의 펌프실(30d) 내에 잔류하는 잔류수의 액면(200)보다도 상측에 날개차(30c)가 위치하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상술한 날개차(30c)의 공회전이 발생하여 양수를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which concerns on a 2nd comparative example, and the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vicinity before the washing operation start. As shown in FIG. 10B, even when the centrifugal pump 30 is inclin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ump chamber 30d, the remaining water remaining in the pump chamber 30d of the centrifugal pump 30 at the time of indexing. An impeller 30c is located above the liquid surface 200 of the liquid crystal. Therefore, also in this case, idling of the vane 30c mentioned above occurs and water pumping becomes impossible.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기초를 둔 변형예에 관한 원심 펌프의 설치 상태 및 세정 동작 개시 전의 원심 펌프 근방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상술한 제2 비교예와 같은 펌프실(30d) 형상의 원심 펌프(30)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예를 들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심 펌프(30)의 회전축이 연직 방향을 향하도록 원심 펌프(30)를 설치함으로써, 지수시에도 펌프실(30d) 내에 잔류하는 잔류수의 액면(200)보다도 아래쪽으로 날개차(30c)가 위치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which concerns on the modified example based on this embodiment, and the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vicinity before the washing operation start. Even when using the centrifugal pump 30 of the shape of the pump chamber 30d like 2nd comparative example mentioned above, as shown, for example, the centrifugal pump 30 so that the rotating shaft of the centrifugal pump 30 may face a perpendicular direction. By providing this, the vanes 30c can be positioned below the liquid level 200 of the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pump chamber 30d even at the time of indexing.

이상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세정 동작시에 있어 원활하면서 확실하게 세정액(51)을 순환시키기 위해서, 원심 펌프(30)의 설치 상태로서는, 지수시에 원심 펌프(30)의 펌프실(30d)이 잔류수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채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고려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can be understood from the above, in order to circulate the cleaning liquid 51 smoothly and reliably during the washing operation, the pump chamber 30d of the centrifugal pump 30 remains in the still water as the installed state of the centrifugal pump 30.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n consideration so that the state substantially filled with water is maintained.

(실시 형태 2)(Embodiment 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 및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이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B)에 대해서 설명한다.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piping struc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apparatus in Embodiment 2 of this invention, and the state at the time of the washing | cleaning opera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is FIG. 12,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apparatus 1B i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B)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와 비교하여, 원수를 전해조(28)에 도입하기 위한 도입관부에 첨가 카트리지(29)가 설치되어 있는 점만 상위하다.As shown in FIG. 12, 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apparatus 1B in this embodiment compares raw water to the electrolyzer 28 compared with 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apparatus 1A in Embodiment 1 mentioned above.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addition cartridge 29 is provided in the introduction pipe portion for introduction.

구체적으로는, 첨가 카트리지(29)는, 정화 처리부(21)의 하류측이면서 분지관로(24)의 상류측 도입관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유량 센서(23)가 설치된 부분의 배관 라인(L2)의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첨가 카트리지(29)는, 락트산 칼슘이나 식염으로 대표되는 전기 분해 촉진제를 원수에 첨가하기 위한 것으로, 전해수 생성 장치(1B)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그 교환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Specifically, the addition cartridge 29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introduction pipe portion of the branch pipe line 24 while being downstream of the purification processing portion 21, for example, in a portion where the flow rate sensor 23 is provided. Detachment of the piping line L2 is provided freely. The addition cartridge 29 is for adding an electrolysis accelerator represented by calcium lactate or salt to raw water, and the replacement cartridge 29 is configured to be fre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1B, thereby enabling replacement thereof.

이 첨가 카트리지(29)가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된 구성의 전해수 생성 장치(1B)에 있어서는, 전기 분해가 촉진되는 반면, 원수에 포함되는 양이온을 가진 칼슘이나 마그네슘에 더하여, 첨가 카트리지(29)에 의해서 원수에 첨가된 양이온을 가진 칼슘까지도 스케일이 되어 전해조(28) 및 그 하류측에 위치하는 배관계 등에 부착되게 되어 버린다.In 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1B having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addition cartridge 29 is detachably attached, electrolysis is accelerated, but in addition to calcium or magnesium having a cation included in the raw water, the addition cartridge 29 Even calcium having a cation added to it becomes scale and adheres to the electrolytic cell 28 and the piping system located downstream thereof.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B)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의 경우와 같이, 장치 본체에 원심 펌프(30)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세정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가 카트리지(29)를 구비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스케일의 제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B)로 함으로써,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효과가, 특히 유효하게 발휘되게 된다.However,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1B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in the case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1A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centrifugal pump 30 is incorporat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Therefore, the above wash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Therefore, even when the addition cartridge 29 is provided, since the scale can be effectively removed,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1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to describ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is particularly effective.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 및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이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C)에 대해서 설명한다.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piping structure and the state at the time of the washing | cleaning operation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apparatus in Embodiment 3 of this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is FIG. 13,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on apparatus 1C i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C)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와 비교하여, 바이패스관부인 배관 라인(L5)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만 상위하다.As shown in FIG. 13,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apparatus 1C in this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apparatus 1A in Embodiment 1 mentioned above, and the piping line which is a bypass pipe part ( It differs only in the point of not having L5).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관부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많은 세정액(51)을 단시간에 순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세정 동작시에 있어 유량 제어 밸브(27A, 27B)를 완전 개방하도록 제어부(40)가 유량 제어 밸브(27A, 27B)를 구동 제어하게 구성하면, 상기 바이패스관부를 설치하지 않고도 보다 많은 세정액(51)을 단시간에 순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C)로 함으로써,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the bypass pipe portion, more washing liquid 51 can be circulated in a short time. However,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40 configures the drive control of the flow control valves 27A and 27B so as to completely open the flow control valves 27A and 27B during the washing operation, the bypass pipe portion is not provided. More washing liquid 51 can be circulated in a short time. Therefore, the effect similar to the effect demonstrated i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mentioned above can be acquired by setting it as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device 1C in this embodiment.

(실시 형태 4)(Fourth Embodiment)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 및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이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D)에 대해서 설명한다.FIG. 14: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piping struc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apparatus in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and the state at the time of the washing | cleaning opera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is FIG. 14,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apparatus 1D i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D)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와 비교하여, 도입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인 유로 전환 밸브(26A)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만 상위하다.As shown in FIG. 14, 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device 1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device 1A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inlet pipe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It differs only in the point which is not equipped with the phosphorus flow path switching valve 26A.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로 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lso in this case, since the same operation as that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1A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basically realize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Effects similar to the effects can be obtained.

(실시 형태 5)(Embodiment 5)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배관 구성 및 세정 동작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이 도 15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E)에 대해서 설명한다.FIG. 15: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piping structure of the electrolyzed water production | generation apparatus in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and the state at the time of the washing | cleaning opera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is FIG. 15,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apparatus 1E in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E)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와 비교하여, 도입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인 유로 전환 밸브(26A) 및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인 유로 전환 밸브(26B)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만 상위하다.As shown in Fig. 15, 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1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1A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differs only in that it is not provided with the phosphorus flow path switching valve 26A and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26B which is a lead pipe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전해수 생성 장치(1A)로 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해당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의 극성의 교체가 행해지지 않게 되므로, 이른바 역전세정은 행할 수 없게 된다.Even in such a configuration, the same operation as that in the case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1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basically realized, and therefore, the effect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milar effects can be obtained. However, in the case of adopt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olarity of the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is not changed, so-called reverse cleaning cannot be performed.

이상에 있어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내지 5에 있어서는, 도입관부측유량 조정 수단인 유량 제어 밸브(27A) 및 도출관부측 유량 조정 수단인 유량 제어 밸브(27B)를 모두 장치 본체에 설치되는 배관계에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했지만, 이들 유량 조정 수단은 도입관부측 또는 도출관부측의 한쪽에만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이들 유량 조정 수단을 예를 들면 오리피스 등에 의해서 대체할 수도 있으며, 생성되는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의 양의 비율을 조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 등에는, 이들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In Embodiment 1 thru | or 5 of this invention demonstrated above, the piping system in which both the flow control valve 27A which is an introduction pipe part flow volume adjustment means, and the flow control valve 27B which is a discharge pipe part side flow volume adjustment means are provided in the apparatus main body. The flow rate adjust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inlet pipe side or the outlet pipe side, or these flow rate adjusting means may be replaced by an orifice or the like,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the ratio of the amounts of generated electrolytic reduced water and electrolytic acidic water, these may not be provided.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 내지 5에 있어서는, 통상 동작시에, 항상 제1 배수관(12)으로부터 전해 환원수가, 항상 제2 배수관(13)으로부터 전해 산성수가 배출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을 행했지만, 오음이나 오사용 등을 기타 사정에 의해 충분히 회피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동작 상태에 따라서 제1 배수관(12) 및 제2 배수관(13)으로부터 쌍방의 전해수가 배출되도록, 이것이 전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Embodiment 1 thru | or 5 of this invention demonstrated above, the case where it is comprised so that electrolytic-reduced water always discharges from the 1st waste water pipe 12 and always electrolytic acidic water from the 2nd waste water pipe 13 at the time of normal operation is illustrated. Although explanation has been made on the basi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avoid misuse, misuse, and the like due to other circumstances, this is so that both electrolyzed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drain pipe 12 and the second drain pipe 13 depending on the operating state.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switch.

이와 같이, 금회 개시한 상기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확정되고, 또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재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Thus, the said embodiment disclosed this time is an illustration in all the points, and is not restrictiv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equivalent to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1A 내지 1E: 전해수 생성 장치
10: 하우징
11: 취수관
11a: 공급구
12: 제1 배수관
12a: 제1 배출구
13: 제2 배수관
13a: 제2 배출구
14: 조작부
15: 표시부
16: 전원 코드
17: 베이스
20: 안전 밸브
21: 정화 처리부
21a: 정화 카트리지
22: 역지 밸브
23: 유량 센서
24: 분지관로
24a, 24b: 분지관
25: 밸브 유닛
26A, 26B: 유로 전환 밸브
27A, 27B: 유량 제어 밸브
28: 전해조
28a, 28b: 전해 전극
28c: 전해 격막
29: 첨가 카트리지
30: 원심 펌프
30a: 모터
30b: 케이싱
30c: 날개차
30d: 펌프실
30e1: 흡입구
30e2: 토출구
31: 전해 환원수
32: 전해 산성수
40: 제어부
50: 용기
51: 세정액
52: 이물 제거 필터
100: 수도 꼭지
101: 분지 수전
200: 액면
L1 내지 L6: 배관 라인
L4a: 제2 배출구측 배관부
L4b: 제1 배출구측 배관부
1A to 1E: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10: Housing
11: intake pipe
11a: supply port
12: first drain pipe
12a: first outlet
13: second drain
13a: second outlet
14:
15: display unit
16: power cord
17: base
20: safety valve
21: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21a: Purification Cartridge
22: check valve
23: flow sensor
24: branch pipe
24a, 24b: branch pipe
25: valve unit
26A, 26B: flow path switching valve
27A, 27B: Flow Control Valve
28: electrolyzer
28a, 28b: electrolytic electrode
28c: electrolytic diaphragm
29: addition cartridge
30: centrifugal pump
30a: motor
30b: casing
30c: Wing
30d: pump room
30e1: inlet
30e2: discharge port
31: electrolytic reduced water
32: electrolytic acidic water
40:
50: container
51: cleaning liquid
52: foreign material removal filter
100: faucet
101: Basin Faucets
200: face value
L1 to L6: piping line
L4a: 2nd outlet side piping part
L4b: first outlet side piping

Claims (11)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을 갖고, 공급된 원수를 전기 분해함으로써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를 생성하는 전해조(28)와,
외부로부터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구(11a)를 갖고, 상기 공급구(11a)를 통해 공급된 원수를 상기 전해조(28)에 도입하는 도입관부와,
제1 배출구(12a) 및 제2 배출구(13a)를 갖고, 상기 전해조(28)로부터 도출된 전해 환원수 및 전해 산성수를 상기 제1 배출구(12a) 및 상기 제2 배출구(13a)를 통해 각각 외부에 도출하는 도출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해조(28)는, 상기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 중의 한쪽이 배치된 제1 전해실과, 상기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 중의 다른 쪽이 배치된 제2 전해실과,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을 구획하는 전해 격막(28c)을 포함하고,
상기 도입관부는, 원수를 분류하여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의 각각에 도입하는 분지관로(24)를 포함하고,
상기 도출관부는,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중의 한쪽과 상기 제1 배출구(12a)를 접속하는 제1 배출관로와,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중의 다른 쪽과 상기 제2 배출구(13a)를 접속하는 제2 배출관로를 포함하고,
구동됨으로써 액체를 흡입구(30e1)측으로부터 토출구(30e2)측을 향하여 강제적으로 송출하기 위한 펌프(30)가, 상기 제2 배출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펌프(30)의 상기 흡입구(30e1)가 상기 제2 배출구측에 접속되고,
상기 펌프(30)의 상기 토출구(30e2)가 상기 전해조(28)측에 접속되고,
상기 펌프(30)는 상기 흡입구(30e1)측으로부터 상기 토출구(30e2)측을 향하는 방향을 순방향으로 한 경우에, 구동이 정지됨으로써 해당 순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액체를 통류시키는 것이 가능한 전해수 생성 장치.
An electrolytic cell 28 having a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and generating electrolytic reduced water and electrolytic acidic water by electrolyzing the supplied raw water,
An introduction pipe portion having a supply port 11a supplied with raw water from the outside and introducing raw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ort 11a into the electrolytic cell 28;
It has a first outlet (12a) and the second outlet (13a), the electrolytic reduced water and electrolytic acidic water derived from the electrolytic cell 28 through the first outlet (12a) and the second outlet (13a), respectively It is provided with a derivation pipe part which leads to
The electrolytic cell 28 includes a first electrolytic chamber in which one of the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is disposed, a second electrolytic chamber in which the other of the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is disposed, and the first agent. An electrolytic diaphragm 28c partitioning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The inlet pipe part includes a branch pipe path 24 for classifying raw water and introducing it into each of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The discharge pipe portion includes a first discharge pipe path connecting one of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first discharge port 12a, and the other of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A second discharge pipe connecting the second discharge port 13a;
A pump 30 for forcibly discharging liquid from the suction port 30e1 side toward the discharge port 30e2 side by being driven is provided in the second discharge pipe,
The inlet port 30e1 of the pump 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port side,
The discharge port 30e2 of the pump 30 is connected to the electrolytic cell 28 side,
The pump (30) is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flowing the liqui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drive is stopped when the direction from the suction port (30e1) toward the discharge port (30e2) in the forwar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30)가 원심 펌프로 이루어진 전해수 생성 장치.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mp (30) is a centrifugal pump. 제2항에 있어서, 해당 전해수 생성 장치의 작동 정지시에 있어, 상기 원심 펌프의 펌프실(30d)이 잔류수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채워진 상태가 유지되는, 전해수 생성 장치.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tate in which the pump chamber (30d) of the centrifugal pump is substantially filled with residual water is maintained when 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device is stop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30)가 설치된 부위와 상기 전해조(28)에 접속된 부위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제2 배출관로와, 상기 도입관부를 접속하는 바이패스관부를 더 구비한 전해수 생성 장치.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ypass pipe portion for connecting the second discharge pipe and the introduction pipe portion of the portion located between the portion where the pump 30 is installed and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electrolytic cell 28.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11a)를 통해 원수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관부를 경유하여 상기 도입관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배출관로 상측을 향하여 액체가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지 밸브(22)를 더 구비한, 전해수 생성 장치.5. The check valv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in the state where raw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ort (11a), the liquid restricts the flow of liquid from the inlet pipe portion side to the second discharge pipe upper side via the bypass pipe portion. An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valve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성전환 수단과,
상기 분지관로(24)에 포함되는 한쌍의 분지관(24a, 24b)과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도입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26A)과,
상기 제1 배출관로 및 상기 제2 배출관로와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26B)과,
상기 극성 전환 수단, 상기 도입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26A) 및 상기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26B)을 동기적으로 전환 제어하는 전환 제어부(40)를 더 구비한 전해수 생성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polarity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polarity of the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Inlet pipe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26A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air of branch pipes 24a and 24b and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included in the branch pipe passage 24;
Lead-out part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26B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first discharge pipe passage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passage and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And an switching control part (40) for synchronously switching control of said polarity switching means, said introduction pipe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26A) and said lead pipe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26B).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분지관(24a, 24b) 중의 한쪽의 분지관(24b)에 도입관부측 유량 조정 수단(27A)이 설치되고,
상기 제2 배출관로에 도출관부측 유량 조정 수단(27B)이 설치되고,
상기 전환 제어부(40)는, 상기 한쪽의 분지관(24b)과 상기 제2 배출관로가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중의 한쪽을 통해 항상 접속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도입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26A) 및 상기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26B)을 제어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The inlet pipe part side flow rate adjusting means 27A is installed in one of the branch pipes 24b of the pair of branch pipes 24a and 24b.
The outlet pipe side flow rate adjusting means 27B is provided in the second discharge pipe,
The switching control section 4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ranch pipe 24b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line are alway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one of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Electrolyzed water generation apparatus which controls a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26A) and the said lead pipe part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26B).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30)가 설치된 부위와 상기 도출관부측 유량 조정 수단(27B)이 설치된 부위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상기 제2 배출관로와, 상기 도입관부를 접속하는 바이패스관부를 더 구비한 전해수 생성 장치.The bypass pipe part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second discharge pipe line and the inlet pipe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part where the pump 30 is installed and the part where the outlet pipe side flow rate adjusting means 27B is installed.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further provid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11a)를 통해 원수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관부를 경유하여 상기 도입관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배출관로측을 향하여 액체가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지 밸브를(22) 더 구비한 전해수 생성 장치.9. The check valv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in the state where raw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ort (11a), the liquid restricts the flow of the liquid from the inlet pipe side toward the second discharge pipe side via the bypass pipe section. An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valve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전해 전극(28a, 28b)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성 전환 수단과,
상기 제1 배출관로 및 상기 제2 배출관로와 상기 제1 전해실 및 상기 제2 전해실 사이의 접속 상태를 전환하는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26B)과,
상기 극성 전환 수단 및 상기 도출관부측 접속 상태 전환 수단(26B)을 동기 적으로 전환 제어하는 전환 제어부(40)를 더 구비한 전해수 생성 장치.
2.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polarity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polarity of the pair of electrolytic electrodes 28a and 28b;
Lead-out part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26B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first discharge pipe passage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passage and the first electrolytic chamber and the second electrolytic chamber;
And an switching control portion (40) for synchronously switching control of said polarity switching means and said lead pipe side connection state switching means (26B).
제1항에 있어서, 전기 분해 촉진제를 원수에 첨가하기 위한 첨가 카트리지(29)가 상기 도입관부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전해수 생성 장치.2.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ddition cartridge (29) for adding an electrolysis accelerator to raw water is fre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introduction pipe portion.
KR1020127028969A 2011-04-27 2011-04-27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KR10166287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0237 WO2012147175A1 (en) 2011-04-27 2011-04-27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878A true KR20130142878A (en) 2013-12-30
KR101662874B1 KR101662874B1 (en) 2016-10-05

Family

ID=4707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969A KR101662874B1 (en) 2011-04-27 2011-04-27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480390B2 (en)
KR (1) KR101662874B1 (en)
CN (1) CN102917984B (en)
TW (1) TWI435952B (en)
WO (1) WO201214717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464A (en) * 2016-10-12 2019-05-29 가부시키가이샤니혼트림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3059B2 (en) * 2013-05-21 2015-02-04 株式会社日本トリム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JP5809208B2 (en) * 2013-07-31 2015-11-10 株式会社日本トリム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JP5845293B2 (en) * 2014-01-22 2016-01-20 株式会社日本トリム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JP5639724B1 (en) * 2014-03-17 2014-12-10 株式会社日本トリム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886894B2 (en) * 2014-05-09 2016-03-16 株式会社日本トリム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JP6118359B2 (en) * 2015-03-31 2017-04-19 株式会社日本トリム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JP2017070920A (en) * 2015-10-08 2017-04-1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Device for producing electrolytic water
JP6885776B2 (en) * 2017-04-26 2021-06-16 株式会社日本トリム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CN108339811A (en) * 2018-04-17 2018-07-31 南京深蓝氢谷健康科技有限公司 Electrolyzed water machine citric acid automatic soaking cleaning and descaling device and cleaning and descaling method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381A (en) 1992-07-29 1994-02-22 Tatsuo Okazaki Method for washing and sterilizing continuous electrolytic water conditioning apparatus and electrolytic water conditioning apparatus equipped with mechanism executing this method
JPH08206657A (en) * 1995-02-03 1996-08-13 Akai Electric Co Ltd Continuous electrolytic ion water making apparatus and removal of scale in electrolytic chamber thereof
JP2002086148A (en) 2000-09-19 2002-03-26 Techno Excel Co Ltd Continuous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JP2002316161A (en) * 2001-04-23 2002-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chwise electrolytic water making apparatus
JP3741050B2 (en) * 2002-02-05 2006-02-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JP2010221127A (en) 2009-03-24 2010-10-07 Amano Corp Electrolytic water generator having piping washing function
JP2011005424A (en) * 2009-06-25 2011-01-13 Hoshizaki Electric Co Ltd Electrolytic water pouring-ou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2889A (en) * 1993-03-24 1994-10-21 Aiken Kogyo Kk Alkaline ionic water production device
JP2698955B2 (en) * 1993-04-21 1998-01-1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Electrolytic ionic water generator
JP3840699B2 (en) * 1996-08-01 2006-11-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Alkaline ion water conditioner
JP3432119B2 (en) * 1997-09-25 2003-08-04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JP2000185282A (en) * 1998-12-22 2000-07-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pparatus for making electrolytic water
JP3605652B2 (en) * 2000-05-31 2004-12-22 テクノエクセル株式会社 Continuous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JP4629860B2 (en) * 2000-11-24 2011-02-0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JP2004081961A (en) * 2002-08-26 2004-03-18 Hoshizaki Electric Co Ltd Electrolytic water making apparatus
JP2006158985A (en) * 2004-12-02 2006-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olytic water generator and sink equipped with it
CN100553544C (en) * 2005-06-14 2009-10-28 庄炳辉 The water dispenser of tool washing capacity and purging method thereof
JP4936423B2 (en) * 2005-09-27 2012-05-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and sink equipped with the same
JP4697294B2 (en) * 2008-12-05 2011-06-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JP5166314B2 (en) * 2009-02-13 2013-03-2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Wate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381A (en) 1992-07-29 1994-02-22 Tatsuo Okazaki Method for washing and sterilizing continuous electrolytic water conditioning apparatus and electrolytic water conditioning apparatus equipped with mechanism executing this method
JPH08206657A (en) * 1995-02-03 1996-08-13 Akai Electric Co Ltd Continuous electrolytic ion water making apparatus and removal of scale in electrolytic chamber thereof
JP2002086148A (en) 2000-09-19 2002-03-26 Techno Excel Co Ltd Continuous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JP2002316161A (en) * 2001-04-23 2002-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Batchwise electrolytic water making apparatus
JP3741050B2 (en) * 2002-02-05 2006-02-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JP2010221127A (en) 2009-03-24 2010-10-07 Amano Corp Electrolytic water generator having piping washing function
JP2011005424A (en) * 2009-06-25 2011-01-13 Hoshizaki Electric Co Ltd Electrolytic water pouring-ou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464A (en) * 2016-10-12 2019-05-29 가부시키가이샤니혼트림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35952B (en) 2014-05-01
CN102917984A (en) 2013-02-06
KR101662874B1 (en) 2016-10-05
TW201300577A (en) 2013-01-01
JPWO2012147175A1 (en) 2014-07-28
WO2012147175A1 (en) 2012-11-01
JP5480390B2 (en) 2014-04-23
CN102917984B (en) 201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2878A (en)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KR101734194B1 (en) Sterilizing method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152090B1 (en) Electrolytic ion water generator having scale prevention function
KR101407728B1 (en) a water purifier
KR101294827B1 (en) Automatically Filter-Washable Water Purifier
CN211226634U (en) Multifunctional water treatment machine
KR101446127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2462653B1 (en) Water purifier having sterilizing function using carbonated water
CN212504308U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JP2011255348A (en) Electrolytic water generator
KR101459001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JP2013066830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JPH10328680A (en) Cooking water maker
CN214399930U (en) Water purifier
KR101447963B1 (en) Water treatment method
CN209411929U (en) Water treatment system and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JP3733476B2 (en) Cleaning method for continuous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and continuous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provided with mechanism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CN213895432U (en) Nanofiltration device for sewage treatment
JP3752941B2 (en)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KR20110064086A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KR20050116241A (en) Drainage system of ionized water generator
JP6682330B2 (en) Electrolytic hydrogen water generator and method for lowering pH of electrolytic hydrogen water
KR101803674B1 (en) Water purifier sterilization apparatus
JP2007090178A (en) Electrolytic water generator and sink equipped with the same
KR101907736B1 (en) Water purifier steriliz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