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153A -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comprising fibrous 3-dimensional scaffold - Google Patents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comprising fibrous 3-dimensional scaffol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153A
KR20130138153A KR1020130066172A KR20130066172A KR20130138153A KR 20130138153 A KR20130138153 A KR 20130138153A KR 1020130066172 A KR1020130066172 A KR 1020130066172A KR 20130066172 A KR20130066172 A KR 20130066172A KR 20130138153 A KR20130138153 A KR 20130138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support
tissue
cells
stem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1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40845B1 (en
Inventor
이승진
심인경
양영일
장양수
정미라
정혜진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3013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1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8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61L27/38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characterised by specific cells or progenitors thereof, e.g. fibroblasts, connective tissue cells, kidney cells
    • A61L27/3834Cells able to produce different cell types, e.g. h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marrow stromal cells, embryonic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including: a fiber type porous three-dimensional scaffold; and cells, drugs, bioactive substanc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atch. The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has a twisted fine soft hair form of biodegradable polymer fibers for securing the flexibility and elasticity for expanding or reducing the volume or the thickness by transplanted environment, and is capable of increasing the size and thickness of pores for securing enough space for growing and moving cells. The patch is capable of being used in tissue regeneration treatment by having an excellent tissue regeneration effect. [Reference numerals] (a) Cardiac stem cells seeding patch;(b) Patch without cardiac stem cells

Description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포함하는 조직 재생용 패치{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comprising fibrous 3-dimensional scaffold}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comprising fibrous 3-dimensional scaffold}

본 발명은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표면 또는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세포, 약물, 생리활성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구비한, 조직 재생용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And a cell, a drug, a bioactive substance, or a combination thereof contained on or in the surface of the support, and a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사고나 질병에 의한 조직 및 장기 손상의 완벽한 회복을 위하여, 해당 조직과 장기를 자기신체의 일부 혹은 타 조직을 이용하여 그 기능을 복원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수요에 비하여 턱없이 부족한 공급 상의 문제와 면역 거부반응, 질환의 오염, 사회적 문제 등을 야기하여 적용에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In order to fully recover tissue and organ damage caused by accidents or diseases,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function of the tissues and organs by using a part of the body or other tissues. However,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application because it causes supply problems, immune rejection, disease contamination, and social problems that are too short for demand.

특히 심장의 경우 한번 손상을 입으면 회복이 불가능한 조직으로 알려져 있었다. 최근 정상심장에서도 심근세포의 교체로서 심근세포의 분열과 소실이 느리기는 하지만 일어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나, 기존의 내과 치료법으로는 손상 받은 심근세포의 수를 늘릴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더욱이 중증 말기 심부전 환자의 경우는 이미 심장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없기 때문에 심장이식술(heart transplant)이나 심실 보조 장치(ventricular assist device)를 사용하는 방법밖에 없다. 이에, 손상 조직의 회복을 위하여 세포를 이용한 세포이식 치료제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In particular, the heart was known as a tissue that can not be recovered once damaged. Recently, cardiomyocyte cell division and loss as a replacement of cardiomyocytes have been reported to occur slowly, but conventional medical treatments do not provide a way to increase the number of damaged cardiomyocytes. In addition, patients with severe end-stage heart failure are unable to restore the function of the heart, so the only way is to use a heart transplant or ventricular assist device. Thus, cell transplantation therapeutics using cells have emerged as an alternative for the recovery of damaged tissues.

세포 이식 치료제를 사용하여 세포 이식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식 후 세포의 생착률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미 분화가 완료된 세포보다는 최종 분화까지 진행되지 않아 분열 능력을 갖고 있는 세포가 이식 후 생착력, 적응력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심근 세포의 경우는 주변 조직과의 전기적 신호전달을 통해 일관성 있게 움직이는 특징을 갖고 있어, 심근에 세포를 이식하고 심기능 개선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이식된 세포가 기존의 조직과 잘 융합하여 동일한 신호전달 체계로 움직이는 것이 필요하다.It is important to maximize the engraftment rate of cells after transplantation for successful cell transplantation using cell transplantation therapeutics. It is known that cells with dividing ability do not progress to final differentiation than cells that have already been differentiated, and thus have good engraftment and adaptability after transplantation. In addition, the cardiomyocytes have a characteristic of consistent movement through electrical signaling with surrounding tissues.In order to transplant cells into the myocardium and induce cardiac function, the transplanted cells are well fused with existing tissues to transmit the same signal. It is necessary to move to the system.

세포이식에 사용되는 세포는 성체줄기세포로부터 분리된 근모세포(myoblasts), 심근세포(cardiomyocytes), 내피세포(endothelial cells), 섬유아 세포(fibroblasts), 또는 심혈관 형성을 유도하는 줄기세포 등이다.Cells used for cell transplantation are myoblasts, cardiomyocytes, endothelial cells, fibroblasts, or stem cells that induce cardiovascular formation isolated from adult stem cells.

근육 아세포(skeletal myoblast) 또는 근육세포(skeletal myocyte)를 이용하여 죽은 심장조직을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 중에 있다. 이는 환자의 근육 조직을 일부 채취하여 근육 아세포를 분리하고 증식시켜 심장에 이식하는 것인데, 이들 세포는 세포간 갭정션(intercellular gap junction)을 형성하지 못하므로 부정맥을 유발할 위험을 갖는다.Studies are underway to replace dead heart tissue using skeletal myoblasts or skeletal myocytes. This involves taking part of the patient's muscle tissue, isolating and propagating the myoblasts and implanting them into the heart. These cells do not form intercellular gap junctions and thus risk arrhythmia.

최근 줄기세포의 연구가 활성화되면서, 손상된 조직의 치료를 위해 미분화 상태의 줄기세포를 심근 손상 부위에 이식한 결과 심장기능이 개선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심장 재생이 가능한 세포군 개발의 목적으로 심근경색 이후 치료를 위해 자가 골수 유래 세포를 이용하는 것을 테스트하는 임상 시험이 진행 중이다(Perin et al., Circulation 107:2294, 2003; Strauer et al., Circulation 106:1913, 2002; Zeiher et al.,Circulation 106:3009, 2002; Tse et al., Lancet 361:47, 2003; Stamm et al., Lancet 3661:45, 2003). 상기 시험에서는 세포가 심장 조직의 혈액 관류를 개선하는 정화 기능을 가질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Recently, as stem cell research has been activated, it is reported that the transplantation of undifferentiated stem cells to the site of myocardial injury improves the cardiac function. Clinical trials are underway to test the use of autologous bone marrow-derived cells for the treatment of myocardial infarction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cell population capable of cardiac regeneration (Perin et al., Circulation 107: 2294, 2003; Strauer et al., Circulation 106: 1913, 2002; Zeiher et al., Circulation 106: 3009, 2002; Tse et al., Lancet 361: 47, 2003; Stamm et al., Lancet 3661: 45, 2003). The test assumed that the cells could have a purifying function to improve blood perfusion of heart tissue.

또한, 심장 치료를 위해 자가 골격근 근모세포의 사용을 테스트하기 위한 임상 시험도 진행중이다(Menasche et al., J. Am. Coll.Cardiol. 41:1078, 2003; Pagani et al., J. Am. Coll. Cardiol. 41:879, 2003; Hagege et al., Lancet361:491, 2003). 그러나, 줄무늬근 세포의 수축이 심박동과 적당하게 함께 기능할 수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In addition, clinical trials are underway to test the use of autologous skeletal muscle myoblasts for cardiac treatment (Menasche et al., J. Am. Coll. Cardiol. 41: 1078, 2003; Pagani et al., J. Am. Coll. Cardiol. 41: 879, 2003; Hagege et al., Lancet 361: 491, 2003). However, it is not clear whether the contraction of striated muscle cells can function properly with the heartbeat.

상기와 같은 줄기세포를 투여하는 방법으로는 심장병 환자의 심장내 주입(intramyocardial delivery)과 외과 시술적으로 심근에 직접 주사하는 방법, 카테터를 이용해 관동맥 등으로 주입하는 방법과 정맥혈관주사 같이 전신 투여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주입된 세포의 생착률(bioretention)은 매우 낮은 상황이며, 보고에 의하면 심장의 특수성으로 인해 주입된 심근세포의 약 10% 정도만이 심근조직 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심근조직 재생을 위해서는 환자에게 심근세포의 주입빈도를 높일 수밖에 없으며 환자의 고통도 커지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또한 실제 이식되는 세포의 수가 매우 적어 이식 시 고농도의 세포 수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농도의 세포를 이식하여도 이식된 부위에서 분화할 때까지 세포가 머물러 있기에 열악한 환경 조건이므로 기대이상의 치료 효과를 보기에 한계가 있다.
Such stem cell administration methods include intracardiac delivery of cardiac patients, direct injection into the myocardium surgically, injection into a coronary artery using a catheter, and systemic administration such as venous vascular injection. Method and the like. However, the bioretention of the injected cells is very low, and reports indicate that only about 10% of the injected cardiomyocytes affect the myocardial tissue regeneration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heart. Therefore, in order to continuously regenerate myocardial tissue, the infusion rate of cardiomyocytes must be increased to the patient, and the patient's pain is also increased. In addition, the actual number of cells to be transplanted is very small, so there is a problem that a high concentration of cells should be used for transplantation, and even though a high concentration of cells is transplanted, the cells remain in a poor environmental condition until they differentiate at the transplanted site, so the therapeutic effect is exceeded. There is a limit to the example.

이에 심장 조직에 이식할 때, 세포 시트의 형태로 이식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세포시트는 단일 세포(single cell)층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신생아의 심근 세포를 단층의 시트로 만들고 이 시트를 시험관내에서 최대 3층으로 중첩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비특허 문헌 11: FASEB J. 2006 Apr; 20(6): 708-10). 최근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PIAAm)를 시판되는 폴리스티렌 배양접시 표면에 전자선을 사용하여 도포한 온도 감응성 배양접시를 사용함으로써, 각종 세포시트를 제작하는 것에 성공하였다. 또한, 세포시트를 적층화함으로써 이식편으로서 이용 가능한 심근조직 덩어리를 개발한 것이 이미 보고되어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38170호, 국제 공개공보 제01/068799호, Shimizu et. Al. : Fabrication of pulsatile cardiac tissue grafts using a novel 3-dimensional cell sheet manipulation technique and temperature-responsive cell culture surface: CircRes. 2002; 90: e40-e48). 이렇게 제조된 심근조직 덩어리는 생체 외(in vitro) 및 생체 내(in vivo)에서 정상 심근조직과 동일한 전기활동을 하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Therefore, when implanted in the heart tissue, it is considered to be implanted in the form of a cell sheet. The cell sheet refers to a single cell layer, and it is known that neonatal cardiomyocytes can be made into a single layered sheet and the sheets can be superimposed on up to three layers in vitro (Non-patent Document 11: FASEB J). 2006 Apr; 20 (6): 708-10). Recently, a variety of cell sheets have been produced by using a temperature sensitive culture plate coated with an electron beam onto a commercially available polystyrene culture plate surface of poly (N-isopropylacrylamide) (PIAAm). In addition, it has already been reported to develop a myocardial tissue mass that can be used as a graft by stacking cell sheets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38170,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01/068799, Shimizu et. Al .: Fabrication). of pulsatile cardiac tissue grafts using a novel 3-dimensional cell sheet manipulation technique and temperature-responsive cell culture surface: CircRes. 2002; 90: e40-e48). The myocardial tissue mass thus prepared has been confirmed to have the same electrical activity as normal myocardial tissue in vitro and in vivo.

그런데 상기 온도 감응성 배양접시를 사용한 세포시트의 제작법은, 본 특수 배양접시에서의 배양에 최적상태가 되도록 엄격한 방법으로 초대 배양했을 때에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세포시트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각 시설에서 관례적으로 실시되어 온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였을 때에는 세포의 시트화는 곤란하였다. 또한, 세포시트를 적층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세포가 눌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세포 생존율이 낮은 문제와, 산소 투과성의 한계로 인해 혈관의 신생 없이는 세포 시트를 그 이상의 두께로 만들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심장의 환부 조직의 크기에 맞게 임의의 세포 시트를 제조하는 것은 아직 불가능한 실정이다.By the wa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cell sheet using the temperature sensitive culture dish is relatively stable when the initial culture is performed in a strict manner so as to be optimal for cultivation in the special culture dish, but it is customary in each facility. The cell sheeting was difficult when the method which has been carried out by the above method was applied as it i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ell sheet is pressed by using a method of laminating cell sheets, and the cell survival rate is low, and due to the limitation of oxygen permeabilit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ell sheet can not be made thicker without angiogenesis. In addition, it is not yet possible to produce any cell sheet to fit the size of the affected tissue of the heart.

따라서 세포를 다량으로 이식하고 산소투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지체를 사용하여 세포를 이식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성질은 심장과 같은 장기에 세포를 전달하기 위해 우선 세포를 파종하고 배양할 터전으로서 충분한 기능, 그리고 어느 정도의 기계적 강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즉, 배양 시에 세포를 균일한 분포상태로 안정되게 보유ㆍ생착시키고, 양호한 증식 생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며, 부가하여 배양 후 환부에 이식 시 봉합 등의 고정 처리가 가능해야 한다. 또한, 심장의 박동(beating)에 따른 압축을 견디는 기계적 강도를 가진 지지체를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transplant a large amount of cells and improve oxygen permeability, it is preferable to use a method of transplanting cells using a support. The nature of the support is important to have sufficient function and some degree of mechanical strength as a place to seed and culture the cells in order to deliver the cells to organs such as the heart. That is, it is necessary to stably retain and engraft the cells in a uniform distribution state during culture, and to ensure good proliferation viability, and to be able to fix the suture or the like upon transplantation to the affected area after cultu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use a support having a mechanical strength that withstands the compression caused by the beat of the heart.

지지체를 이용한 세포이식 기술은 많이 보고되고 있다. 세포를 고분자물질에 혼합하여, 지지체 형태로 세포의 생착을 높이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Leor 등은 심근 조직 재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고분자 지지체가 가져야 할 물성으로써 비독성, 생분해성, 생활성(bioactive), 유연성 등을 제시하였으며 (Pharmacology & Therapeutics. 2005;105:151-163), Cannizzaro 등은 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에 세포점착을 유도하는 RGD 펩티드 시퀀스를 도입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에 대한 내피세포의 점착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심근조직 재생을 도우려는 시도를 보고하였다(Biotechnol Bioeng. 1998;58:529-535).Many cell transplantation techniques using scaffolds have been reported. As part of an attempt to increase the engraftment of cells in the form of scaffolds by mixing cells with polymers, Leor et al. Are non-toxic, biodegradable, and bioactive materials that are required for the scaffolds to be used for myocardial tissue regeneration. (Pharmacology & Therapeutics. 2005; 105: 151-163), and Cannizzaro et al. Introduced RGD peptide sequences that induce cell adhesion to polyethylene glycol copolymers. Attempts to help myocardial tissue regeneration by augmentation have been reported (Biotechnol Bioeng. 1998; 58: 529-535).

또한, Piao 등은 실험쥐에 심근경색(myocardial infaction, MI)을 유도한 후 생체적합성을 보유한 글리콜리드와 카프로락톤계의 공중합체상에서 골수유래세포를 배양한 후, 골수유래세포를 함유하는 고분자 중합체를 심근경색부위에 이식하여 향상된 심장기능을 얻음을 보고하였다(Biomaterials.2007;28:641-649).In addition, Piao et al. Induced myocardial infaction (MI) in mice, cultured bone marrow-derived cells on a copolymer of glycolide and caprolactone based on biocompatibility, and then polymers containing bone marrow-derived cells. Has been reported to have improved cardiac function by implanting in the myocardial infarction site (Biomaterials. 2007; 28: 641-649).

그러나, 상기 연구는 고분자 중합체 및 고분자 지지체의 초기 단계를 기술한 것으로 심화된 연구가 필요하다. 상기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지지체들은 열린 구조를 위한 공극을 갖지 못하는 등 단층의 멤브레인(membrane) 형태로서, 2차원의 메트릭스 지지체를 사용하여 세포 생존율에 문제가 있으며, 신체 내 장기에 부착하기 위해 수술적인 방법을 사용하였을 경우 찢어지는 등 조작(handling)에 문제가 있다. 또한, 심장과 같은 경우 고밀도의 세포가 이식되어야하기 때문에 지지체의 공극이 크고 공극률이 90%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적용하는데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study described the initial stages of the polymer polymer and the polymer support and requires further study. The scaffolds used in this study are single-layered membranes that do not have pores for open structures, and there are problems with cell viability using two-dimensional matrix scaffolds and surgical methods for attachment to organs in the body. There is a problem in handling such as tearing when using.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heart, such as a high density of cells to be implanted because the pores of the support and the porosity should be more than 90%, there was a problem in applying.

특히 Piao 등이 실험에 사용한 지지체는 스폰지 타입(sponge type)의 지지체로서, 공극률이 작으며 지지체 내부까지 세포 이식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는 형태가 일정하기 때문에 심장과 같은 장기의 곡면 표면을 갖는 재료에 직접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In particular, the support used by Piao et al. In the experiment was a sponge type support, which had a small porosity and difficult cell transplantation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In addition, it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directly to a material having a curved surface of an organ such as the heart because of its constant shape.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사용되던 방법인 2차원적인 세포 배양 결과물을 이식하는 방법 대신 서로 이격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얽힌 솜털 형태의 삼차원 지지체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께 및 공극률을 보유하는 패치를 제조하고 이에 세포 또는 약물을 함유토록 한 후 심장에 직접 부착한 결과, 조작의 어려움 없이 조직에 직접적인 부착이 가능하며, 지지체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부착된 조직의 팽창 또는 수축, 세포의 증식 및 이동에 연동하여 가역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증성 세포의 침윤을 막고, 주변 조직과의 적합성이 있는 생체 본래의 조직에 가까운 성질을 가질 뿐만 아니라, 조직 재생 효과가 유의하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manufactured a patch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nd porosity by using a three-dimensional support in the form of entangled biodegradable polymer fibers, which are spaced from each other, instead of implanting a two-dimensional cell culture product, which is a conventional method. As a result of direct attachment to the heart after containing cells or drugs, it is possible to attach directly to tissue without difficulty of manipulation, and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support, it is reversibly linked to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ttached tissue, proliferation and movement of cells. It was confirmed that expansion or contraction is possibl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the inflammatory cell was not infiltrated and not only has properties close to the original tissues that are compatible with surrounding tissues, but also significantly improved tissue regeneration effects.

본 발명의 목적은 손상된 조직의 치료를 위하여, 손상된 조직으로의 세포, 약물, 또는 생리활성물질의 전달 성공률이 높고, 부착된 조직의 팽창 또는 수축에 연동하여 가역적으로 1차원적, 2차원적, 또는 3차원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신축성이 우수하며, 세포, 약물, 생리활성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이 허혈 부위로 이동함으로써 손상된 조직의 혈관생성을 증가시키며 조직 재생을 촉진시키는, 조직 재생용 패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 success rate of delivery of cells, drugs, or bioactive substances to damaged tissues for the treatment of damaged tissues, and reversibly one-dimensional, two-dimensional, Or a three-dimensional expansion or contraction is excellent elasticity, the tissue regeneration patch to increase the angiogenesis and promote tissue regeneration of damaged tissue by moving cells, drugs, bioactive substances or a combination thereof to the ischemic site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직 재생용 패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he tissue regeneration patch.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이격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얽힌 솜털(fluffy) 형태의 삼차원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표면 또는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세포, 약물, 생리활성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구비한, 조직 재생용 패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e-dimensional support in the form of fluffy entangled with each other biodegradable polymer fibers (fluffy); And cells, drugs, bioactive substances, or a combination thereof contained on the surface or inside of the support.

또한, 본 발명은 (a) 생분해성 고분자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방사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방사액을 방사기를 이용하여 방사함과 동시에 상기 유기용매를 휘발시켜 생분해성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이격 가능하면서 서로 얽힌 지지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조된 지지체에 하나 이상의 양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해 전체 부피 및 서로 얽힌 고분자 섬유들 사이의 공극을 부풀려 솜털 형태의 지지체를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지지체에 세포, 약물, 생리활성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직 재생용 패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 the step of preparing a spinning solution by dissolv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alone or mixed in an organic solvent; (b) spinning the spinning solution using a spinning machine and simultaneously volatilizing the organic solvent to prepare a support in which biodegradable polymer fibe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ntangled with each other; (c) applying one or more bidirectional physical forces to the prepared support to inflate pores between the entire volume and intertwined polymeric fibers to provide a downy support; (d) providing a method for preparing a tissue regeneration patch, comprising introducing a cell, a drug, a bioactive substance or a combination thereof into the support.

기존의 조직 재생을 위한 지지체는 열린 구조를 위한 공극을 갖지 못하는 단층의 멤브레인 형태 또는 얇은 층의 신축성이 없는 형태를 가져 조직으로의 이식시 찢어지거나 장기의 곡면 표면에 손쉽게 밀착되어 부착될 수 없었다. 또한, 공극률이 작으며 지지체 내부까지 세포 이식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Existing supports for tissue regeneration have a monolayer membrane form or a thin layered elastic form that do not have pores for open structures, and thus cannot be easily torn or adhered to the curved surface of an organ when transplanted into tissue.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orosity is small and cell transplantation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is difficult.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에서는 서로 이격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얽힌 솜털(fluffy) 형태의 삼차원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 및 형태적인 특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패치에 포함되는 지지체는 하나 이상의 양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해 전체 부피 및 서로 얽힌 고분자 섬유들 사이의 공극을 부풀릴 수 있다. Under this background, a three-dimensional support in the form of fluffy in which the biodegradable polymer fi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due to the structure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included in the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a physical force in one or more bidirectional to swell the voids between the total volume and the intertwined polymer fib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기 방사를 통해 제조된 서로 이격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얽힌 솜털 형태의 지지체에 하나 이상의 양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해 전체 부피와 고분자 섬유들 사이의 공극을 부풀린 결과, 지지체의 두께가 1cm 이상으로도 부풀려질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지지체는 주변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가역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inflating the voids between the entire volume and the polymer fibers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in one or more directions in both directions to the entangled fleece support produced by electrospinning the mutually spaced biodegradable polymer fibers, By confirming that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can be inflated even more than 1cm, it was confirmed that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lexibly reversible expansion or contraction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xample 1).

즉,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패치가 심장과 같은 조직에 이식되었을 경우, 본 발명의 패치는 심장의 박동(beating)에 따른 압축을 견디는 기계적 강도를 가지면서, 심장의 수축과 팽창에 따라 패치도 연동적으로 수축 또는 팽창할 수 있는, 요컨대, 지지체가 이식된 환경에 따라 부피 또는 두께가 조절될 수 있는 신축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That is, when the tissue regeneration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anted in a tissue such as the heart, the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chanical strength to withstand the compression according to the heart beat (beating), while the patch according to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heart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it has elasticity that can be adjusted in volume or thicknes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support is implanted, which can contract or expand interlockingly.

또한,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패치는 물리적인 힘을 가해 전체 부피 및 서로 얽힌 고분자 섬유들 사이의 공극을 부풀릴 수 있는 솜털 형태를 가지므로, 패치에 시딩된 세포가 눌리지 않고, 증식 및 허혈부위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공극의 직경을 확장할 수 있어 산소 투과성이 확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uffy form that can inflate pores between the entire volume and intertwined polymer fibers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so that the cells seeded in the patch are not pressed, proliferating and ischemic sites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to move to, and the diameter of the pores can be expanded to ensure oxygen permeabil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심장 줄기세포 및/또는 성장인자가 포함된 조직 재생용 패치를 손상된 동물의 심근 조직에 이식한 결과, 패치 내에 함유된 줄기세포가 장기간 패치 내에 생존해 있으면서 증식하고, 심근 안쪽으로 이동하고, 심근 세포로 분화됨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에 따라 허혈 부위 및 이식 조직에서 혈관이 생성되고, 좌심실 전벽 두께가 증가하고, 우수한 심근 재생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implanting a tissue regeneration patch containing cardiac stem cells and / or growth factors into the myocardial tissue of the damaged animal, stem cells contained in the patch proliferate while living in the patch for a long time, myocardial Moved inward and confirmed to differentiate into cardiomyocyt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blood vessels were generated in the ischemic site and the transplanted tissue, the thickness of the anterior wall of the left ventricle was increased, and superior myocardial regeneration was obser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를 사용하여 줄기세포를 이식한 경우, 줄기세포를 손상된 부위에 직접 이식한 경우와 피브린 겔을 사용하여 줄기세포를 이식한 경우에 비해 이식된 부위에서는 세포의 생존률 및 유지율이 현저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em cells are transplanted using the three-dimensional porous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m cells are directly transplanted to the damaged area an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tem cells are transplanted using the fibrin gel. It was confirmed that the survival rate and maintenance rate of the cells were significantly high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삼차원 다공성 지지체에 유전자를 안정적으로 로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국소적으로 유전자를 조절 방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gene can be stably loaded into the three-dimensional porous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rolled release of the gene locally.

따라서,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패치는 목적 조직에 직접 부착될 수 있으며, 심장의 특수성으로 인해 주입된 세포의 생존률 및 심근 조직 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의 수가 낮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손상된 부위에서 높은 비율로 줄기세포를 생착 및 유지시킬 수 있으며, 손상된 조직 부위에서 혈관 생성을 증가시켜 조직 재생을 촉진시키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refore, the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directly to the target tissue, solving the problem of the low survival rate of the injected cells and the number of cells affecting myocardial tissue regeneration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heart, a high rate at the damaged site As a result, stem cells may be engrafted and maintained, and may be usefully used to promote tissue regeneration by increasing blood vessel generation at damaged tissue sites.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조직 재생용 패치를 제공한다.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패치는 서로 이격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얽힌 솜털(fluffy) 형태의 삼차원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표면 또는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세포, 약물, 생리활성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e-dimensional support in the form of a fluffy (fluffy) entangled with the biodegradable polymer fi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ell, a drug, a bioactive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contained on the surface or the inside of the support.

상기 삼차원 지지체는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붙지 않고 각각 분리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얽혀 섬유간에 공극이 생기며, 섬유들이 2차원적으로 서로 붙어 있지 않은 솜털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도면 2의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상기 지지체는 하나 이상의 양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해 지지체의 전체 부피 및 서로 얽힌 고분자 섬유들 사이의 공극을 부풀려 솜털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support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out the polymer fibers adhered to each other, the polymer fibers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to form a gap between the fibers, the fibers have a two-dimensional fluffy form does not adhere to each other.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photograph of FIG. 2, the support may be manufactured in a fluffy form by applying physical force in one or more directions to inflate pores between the entire volume of the support and the intertwined polymer fibers.

구체적으로, 서로 이격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얽힌 솜털(fluffy) 형태의 특성으로 인해, 부착된 조직의 팽창 또는 수축에 연동하여 가역적으로 1차원적, 2차원적 또는 3차원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심장 조직에 이식될 경우, 심장의 박동 또는 심장의 모양에 따라 본 발명의 지지체는 가역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다. 또한, 삼차원 지지체 내 도입된 세포가 증식됨에 따라서도 지지체의 전체 부피 및 서로 얽힌 고분자 섬유들 사이의 공극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Specifically, due to the nature of the fluffy form in which the biodegradable polymer fibers that are spaced from each other are intertwined, they expand or contract reversibly in one, two, or three dimensions in conjunction with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the attached tissue. This is possible. For example, when implanted into heart tissue,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versibly expanded or contracted depending on the heartbeat or the shape of the heart. In addition, as the cells introduced into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are proliferated, the total volume of the support and the pore size between the intertwined polymer fibers can be controlled.

또한, 종래 삼차원 지지체들의 경우 스폰지 형태로 제조되는바, 손상된 조직에 부착시 원상태로 회복되는 성질로 인하여 부착력이 저하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패치는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의 형태로서 손상된 부위에 대한 부착력이 우수하고, 지지체의 우수한 신축성으로 인하여 이식되는 조직에 모양 또는 장기의 곡면 표면에도 직접 부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hree-dimensional support bar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ponge, the adhesion is reduced due to the property of restoring to its original state when attached to the damaged tissue, the p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adhesion to the damaged site as a form of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In addition, due to the excellent elasticity of the support, it is possible to attach directly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shape or organ to the tissue to be implanted.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패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패치는 산소 투과성, 세포의 증식 및 이동 공간의 확보, 조직의 특이성을 고려하여 두께가 적절히 설정될 수 있으며, 환부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In the tissue regeneration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ropriately set in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oxygen permeability, securing of cell proliferation and movement space, and specificity of tissue, and manufactured in a size necessary to protect the affected part. Can be.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패치의 두께는 50 ㎛ 이상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심장에 적용할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5 mm 두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mm 두께이다. 상기 패치의 두께는 제조시 하나 이상의 양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해 전체 부피를 확장하여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기를 통해 최초로 제조된 지지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 전체 부피를 2배 이상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부피를 2 내지 15배 확장하는 것이다.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thickness of the patch is preferably 50 µm or more and 1.5 cm or less, and when applied to the heart, preferably 0.5 to 3.5 mm thick, more preferably 1 to 3 mm thick. The thickness of the patch is preferably controlled by expanding the total volume by applying physical force in one or more bidirectional directions during manufacture. It is desirable to expand the total volume by more than two times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to the initially produced support through the spinner. More preferably, the total volume is expanded 2 to 15 tim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물리적 확장으로 너무 두껍게 부풀린 지지체의 경우 세포가 들어가지 않은 부분이 발생하는바, 이식될 조직에 특성에 맞게 패치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a support that is inflated too thick due to physical expansion, a portion where cells do not enter occurs, and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thickness of the patc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ssue to be transplanted.

상기 패치를 이루는 지지체의 공극의 크기와 분포는 세포 성장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서로 연결된(inter-connecting) 구조이어야 영양액이 지지체 내부까지 고르게 침투하여 세포가 잘 성장한다. 상기 패치는 공극의 직경이 50 ㎛ 이상 3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00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세포의 침투, 영양분과 노폐물의 배출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는 크기로 이식된 세포의 성장을 돕고, 이식 후 혈관이 쉽게 자라 들어올 수 있는 구조로서, 공극의 직경 확장을 위해 일 이상의 양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극의 확장으로 인해, 본 발명의 지지체는 30 내지 90%의 공극률을 보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의 공극률을 보유하여 3차원 지지체를 유지함으로써 조직 재생용 세포의 성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pores of the support constituting the patch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cell growth, and the nutrient solution penetrates evenly into the support so that the cells grow well in an inter-connecting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said patch is 50 micrometers or more and 300 micrometers or less, and it is most preferable that it is 100 micrometers. It is a structure that helps the cell to grow to a size that can easily infiltrate the cells, discharge nutrients and wastes, and can easily grow blood vessels after transplantation, one or more bidirectional physical forces for expanding the diameter of the pores Can be added. In addition, due to the expansion of the pores,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porosity of 30 to 90%, preferably have a porosity of 50 to 90% to maintain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to grow the cells for tissue regeneration Can improve.

상기 지지체의 형상 및 면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손상된 부위를 덮기 위한 충분한 사이즈의 것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hape and area of the support, and it can be produced with a sufficient size to cover the damaged site.

또한, 본 발명의 삼차원 지지체는 배향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orientation.

심장 근육은 방향성을 갖고 있고, 압력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네트워크 형태의 패치가 필요한 상태이다.Cardiac muscles are directional and must withstand pressure, requiring a patch in the form of a network oriented in a constant direction.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기 방사로 지지체를 제조할 시 일반적인 스테인레스스틸 판의 컬렉터 대신에 원통형 드럼의 컬렉터로 교체하고 회전 속도를 1000 rpm 이상으로 하여 한 방향으로 배향된 네트워크 형태의 패치를 제조하였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pport was prepared by electrospinning, instead of the collector of the general stainless steel plate, a cylindrical drum collector was replaced, and a rotational speed of 1000 rpm or more was prepared in the form of a network-oriented patch.

상기 배향성을 갖는다는 것은 섬유길이 방향의 분포도가 무작위적이지 아니하고 일정한 방향이 부여된 것으로서, 도면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To have the orientation is that the distribution in the fiber length direction is not random and is given a constant direction, as shown in FIG.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향성을 갖는 다공성 섬유형 삼차원 지지체를 제조하고 이에 줄기세포 또는/및 성장인자 약물을 포함시킨 결과, 세포가 방향성을 가지면서 증식이 향상되며, 심근 섬유 본래의 모양과 유사한 형태로 증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성장인자가 섬유 내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지속적인 약물 방출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ous fib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having an orientation and the stem cell or / and growth factor drug are included therein. As a result, the proliferation is improved while the cells have the orientation, and the shape of the myocardial fiber is similar to that of the original shape. Proliferation in the form was confirmed. In addition, growth factors are evenly distributed in the fiber, it was confirmed that the drug release is possible.

본 발명의 손상된 조직 재생용 패치는, 손상된 조직이 존재하여 세포전달이 요구되는 대부분의 장기에 직접 부착하여 조직 재생이 가능하며, 패치 형태로 부착 가능한 장기이면 어느 장기이든 가능하다. 특히, 손상된 조직이 존재하는 심장, 간, 피부, 골, 신경, 또는 췌장에 부착하여 손상된 조직을 재생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atch for regenerating damaged tiss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generating tissue by attaching directly to most organs in which damaged tissue is required for cell delivery. In particular, the damaged tissue may be attached to the heart, liver, skin, bone, nerve, or pancreas in which the damaged tissue is present to regenerate the damaged tissu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심장 줄기세포가 함유된 패치를 심장에 부착시킬 경우 심장 줄기세포는 심근세포로 분화되며 이식 세포는 심근세포가 손상된 주변 심근경색 부위 등 주변 심장조직으로 이동하여 손상된 조직을 재생 가능하다.
For example, when a patch containing cardiac stem cells is attached to the heart, the cardiac stem cells are differentiated into cardiomyocytes, and the transplanted cells can regenerate damaged tissues by moving to surrounding cardiac tissues such as the peripheral myocardial infarction area where the cardiomyocytes are damaged. .

본 발명의 손상된 조직 재생용 패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 함유되어 있는 세포는 줄기세포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amaged tissue regeneration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s contained in the support are preferably stem cells.

성체 줄기세포는 지방 유래 줄기세포,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 및 골수 유래 줄기세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손상된 심장조직의 재생을 위해 심장세포로 분화가 잘 되고 심장 재생 효과가 있으며, 심장 조직 내로 이동이 가능한 심장 줄기세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쥐 심장의 심근 줄기세포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간, 래트(rat), 마우스(mouse), 원숭이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포유류 종에서 채취한 줄기 세포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줄기세포를 함유한 패치를 손상된 조직에 이식하면, 줄기세포가 해당 조직의 세포로 분화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심장 줄기세포를 사용한 경우 심장 특이적 마커를 이용하여 분화 가능하다. 이 마커들은 MHC(myosin heavy chain), cTnI(cardiac troponin I), cTnT(cardiac troponin T), α-cardiac actin, α-actinin 그리고 MLC2(myosin light chain) 등을 포함하며 이들만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런 세포의 표현형으로는 리듬감 있는 수축, 심장과 연관된 마커의 발현으로 평가될 수 있다.As adult stem cells, adipose derived stem cells, umbilical cord blood derived stem cells, bone marrow derived stem cells, and the like can be used. In particular, for the regeneration of damaged cardiac tissue, it is preferable to use cardiac stem cells that are well differentiated into cardiac cells and have a cardiac regeneration effect and are able to move into cardiac tissu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myocardial stem cells of the mouse hear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similarly to the stem cells collected from all kinds of mammalian species including humans, rats, mice, monkeys, and the like. Apply. When a patch containing stem cells is transplanted into damaged tissu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tem cells are differentiated into cells of the tissue. In particular, cardiac stem cells are used to differentiate using cardiac specific markers. These mark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myosin heavy chain (MHC), cardiac troponin I (cTnI), cardiac troponin T (cTnT), α-cardiac actin, α-actinin and myosin light chain (MLC2). Phenotypes of these cells can be assessed by rhythmic contractions and expression of markers associated with the heart.

또한, 본 발명의 손상된 조직 재생용 패치에 있어서, 손상 조직의 빠른 회복을 위하여 패치 내에 약물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약물은 조직 재생에 관여하는 유전자, 줄기세포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유전자 또는 재생 단백질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atch for damaged tissue regen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ug can be applied in the patch for rapid recovery of the damaged tissue. The drug may use a gene involved in tissue regeneration, a gene that improves the performance of stem cells, or a regenerative protein.

특히, 상기 재생 단백질은 혈관 내피 성장 인자인(VEGF)-A, VEGF-A, VEGF-B, VEGF-C, VEGF-D, VEGF-E, 뉴로필린 , (FGF)-1, FGF-2 (bFGF), FGF-3, FGF-4, FGF-5, FGF-6, 안지오포이에틴 1, 안지오포이에틴 2, 에리쓰로포이에틴, BMP-2, BMP-4, BMP-7, TGF-베타 , IGF-1, 오스테오폰틴, 플레이오트로핀, 액티빈, 엔도쎌린-1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혈관 내피 성장 인자는 독립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작용할 수 있는데, 조합 시 혈관신생인자는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별도의 개개 인자의 효과의 총합보다 효과가 크다.In particular, the regenerative protein is 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 VEGF-A, VEGF-B, VEGF-C, VEGF-D, VEGF-E, neurophylline, (FGF) -1, FGF-2 ( bFGF), FGF-3, FGF-4, FGF-5, FGF-6, Angiopoietin 1, Angiopoietin 2, Erythropoietin, BMP-2, BMP-4, BMP-7, TGF It is preferabl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ta, IGF-1, osteopontin, playotropin, activin, and endorumin-1,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s may act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where the angiogenesis factors act synergistically and are more effective than the sum of the effects of separate individual facto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약물의 하나로서, 혈관 내피 성장인자인 VEGF를 지지체 내에 포함시킨 후, 이들의 방출 속도를 확인한 결과, 시간에 따라 서서히 방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줄기세포와 혈관 내피 성장인자를 함께 지지체에 포함시켜 손상된 조직에 이식한 경우, 혈관 내피 성장인자만을 함유한 지지체에 비해 조직 재생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one of the drugs, VEGF, which is 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was included in the support, and then,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ir release rate, the release rate was gradually released over time. In addition, when the stem cells and th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were included in the support and transplanted into the damaged tissue, it was confirmed that the tissue regeneration effect was superior to the support containing only th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이와 같이 약물을 지지체 내에 포함시켜 약물 전달이 가능한 바, 조직 재생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재생 기간 동안 서서히 방출시킴으로써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this way, the drug can be included in the support to deliver the drug, thereby maximizing the tissue regeneration effect, and in particular, by slowly releasing the regeneration period, the effect can be enhanced.

상기 세포 또는 줄기세포는 지지체 표면 또는/및 내부에 포함시킬 수 있다.
The cells or stem cells can be included on the surface or / and the support.

본 발명의 손상된 조직 재생용 패치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재질의 삼차원 지지체는 가공성, 멸균성, 감염성의 점에서 가수분해에 의해 분해할수 있는 합성 폴리머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α 및 β-히드록시카르복실산의 가수분해성 폴리머로 제조되는게 바람직하다.In the damaged tissue regeneration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material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polymer that can be decomposed by hydrolysis in terms of processability, sterility, and infectivity, in particular α and β- It is preferably made of a hydrolyzable polymer of hydroxycarboxylic acid.

이에,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트산(PLA), 폴리엘-락트산(PL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D,L-락트산-co-글리콜산)(poly(D,L-lactide-co-glycolide); PLGA), 폴리(카프로락톤), 디올/디애시드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아미드/폴리에스테르-우레탄 등의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분자량이 10만 내지 35만 kD의 폴리락트산(PLA)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폴리엘-락트산(PLLA)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us, the biodegradable polymer is polylactic acid (PLA), polyl-lactic acid (PLLA), polyglycolic acid (PGA), poly (D, L-lactic acid-co-glycolic acid) (poly (D, L-lactide- co-glycolide); PLGA), biodegradable aliphatic polyesters such as poly (caprolactone), diol / diacid based aliphatic polyester, polyester-amide / polyester-urethane, poly (valerolactone), poly (hydr Oxybutyrate) and poly (hydroxy valerate), it is preferable to use at least one synthetic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lactic acid (PLA)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100,000 to 350,000 kD, Most preferably, polyl-lactic acid (PLLA) is us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조직 재생용 패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구체적으로, (a) 생분해성 고분자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방사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방사액을 방사기를 이용하여 방사함과 동시에 상기 유기용매를 휘발시켜 생분해성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이격 가능하면서 서로 얽힌 지지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조된 지지체에 하나 이상의 양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해 전체 부피 및 서로 얽힌 고분자 섬유들 사이의 공극을 부풀려 솜털 형태의 지지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지지체에 세포, 약물, 생리활성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pecifically, (a) dissolv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alone or mixed in an organic solvent to prepare a spinning solution; (b) spinning the spinning solution using a spinning machine and simultaneously volatilizing the organic solvent to prepare a support in which biodegradable polymer fibe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ntangled with each other; (c) applying one or more bidirectional physical forces to the prepared support to inflate pores between the entire volume and intertwined polymeric fibers to provide a downy support; And (d) introducing cells, drugs, bioactive substances or combinations thereof into the support.

상기 단계 (a)에서, 고분자 용액인 방사액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기용매로는 낮은 비등점을 갖는 휘발성 유기용매이기만 하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가능하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디메칠 포름 아미드, 디옥산, 아세톤, 테트라 하이드로퓨란, 트리플루오르에낱, 1,1,1,3,3,3,-헥사플루오르 이소프필 프로판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휘발성이 높은 디클로로메탄과 용해도가 매우 낮은 아세톤의 공용매가 적당하다.In the step (a), any organic solvent used to prepare the spinning solution as a polymer solution can be used as long as it is a volatile organic solvent having a low boiling point, chloroform, dichloromethane, dimethylformamide, dioxane , Acetone, tetrahydrofuran, trifluoroacetic, 1,1,1,3,3,3, -hexafluoroisopropyl propanol or combinations thereof are preferred, in particular with high volatile dichloromethane and solubility Very low acetone cosolvents are suitable.

상기 단계 (b)는, 상기 방사액을 방사기를 이용하여 지지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방사기는 전기 방사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Step (b) is to prepare a support using the spinning solution using a spinning machine. The radiator may be an electrospinn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전기방사기를 이용하여 섬유를 제조할 경우, 방사과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전압 발생장치에서 일정 전류를 흘려서 노즐과 컬렉터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한 후 방사액 저장소에 충전된 고분자 용액을 전기장의 힘과 펌프의 압력에 의하여 방사한다. 전기 방사기의 조건은 방사거리 10~20 cm 이며 전압 10~20 kv, 방출속도 0.05~0.15 ml/min 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fiber is produced using an electrospinner, the spinning process may be as follows. After a constant current flows in the voltage generator,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nozzle and the collector, and the polymer solution filled in the spinning liquid reservoir is spun by the force of the electric field and the pressure of the pump. The condition of the electrospinning machine is preferably 10 to 20 cm in spinning distance, voltage of 10 to 20 kv, discharge rate of 0.05 to 0.15 ml / m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고분자 용액 방사시 컬렉터 상에 집적될 때 용매가 전부 휘발되고, 정전기적 반발력이 작용하면서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이격 가능하면서 서로 얽힌 형태로 집적되어 세미 마이크로 ~ 나노 크기의 다양한 직경을 갖는 섬유를 제조할 수 있고, 방사된 형태는 섬유가 얽힌 그물 형태로 적당한 공극을 함유한다. When the polymer solution is spinning on the collector when the solvent is volatilized, and the electrostatic repulsive force acts, the polymer fibe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ntangled with each other to form fibers having various diameters of semi-micro to nano size. And the spun form contains suitable pores in the form of intertwined fibers.

상기 단계 (c)는 상기 방사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지지체에 하나 이상의 양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해 전체 부피 및 서로 얽힌 고분자 섬유들 사이의 공극을 부풀려 솜털 형태의 지지체를 제공하는 단계이다.Step (c) is a step of providing a support in the form of a fluffy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in one or more directions in both directions to the support prepared by using the spinning machine to inflate pores between the total volume and intertwined polymer fibers.

또한, 추가적으로 일반적인 스테인레스스틸 판의 컬렉터 대신에 원통형 드럼의 컬렉터로 교체하고 회전 속도를 1000 rpm 이상으로 하여 한 방향으로 배향성을 갖는 솜털 형태의 지지체를 제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fluffy form of support having an orientation in one direction by replacing the collector of the cylindrical stainless steel plate with a collector of the cylindrical drum and rotation speed of 1000 rpm or more.

상기 물리적인 힘을 가해 전체 부피와 섬유들 사이의 공극을 부풀려, 상기 지지체는 두께가 50 ㎛ 이상 1.5 ㎝ 이하로 확장된 솜털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사법으로 제조된 최초의 지지체의 부피에 대해서 약 2배 이상 확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피를 약 2배 내지 15배 확장하는 것이다.By applying the physical force to inflate the voids between the entire volume and the fibers,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has a fluffy form, the thickness of which extends from 50 μm to 1.5 cm. It is also desirable to expand at least about two times the volume of the original support produced by the spinning method. More preferably, the volume is expanded about 2 to 15 times.

상기 단계 (d)는, 상기 단계 (c)의 지지체에 세포, 약물, 생리활성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도입시키는 단계로서 사용 가능한 세포로는 조직 재생을 유도할 수 있는 줄기세포, 분화유도 가능한 세포 등이 있으며 약물로는 조직 재생에 관여하는 유전자, 줄기세포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유전자, 재생 단백질 등이 있다.The step (d) is a step of introducing a cell, a drug, a bioactive substance or a combination thereof into the support of the step (c) is a cell that can be used as stem cells capable of inducing tissue regeneration, cells capable of differentiation Drugs include genes involved in tissue regeneration, genes that improve stem cell performance, and regenerative proteins.

상기 패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고분자 용액에 수상의 약물용액을 에멀젼 방법으로 혼합하고 혼합용액을 방사하여 적층시킴으로써 약물 함임 패치를 제조할 수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단계에서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에 분산되는 약물은 당업계에서 알려져있는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스판 80등을 사용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에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유화시켜 유중 수형 에멀젼 형태로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patch, the drug solution patch can be prepared by mixing the drug solution of the aqueous phase with the emulsion method and laminating the mixed solution by spinning. The drug dispersed in the biodegradable polymer solution in the emulsion step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emulsified in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in the biodegradable polymer solution using a surfactant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span 80, uniform in the form of water-in-oil emulsion. Can be distributed.

약물이 시딩된 패치를 손상된 조직에 이식하고 수성환경에 노출되면 함유하고 있는 단백질을 방출하게 된다. 방출 초기에는 패치로부터 확산되어 방출 되고, 지지체 자체의 분해가 시작되면 그 손실된 틈으로부터 방출량이 증가된다. 방출 속도와 양상은 단백질의 농도, 유/수 비율, 적용부위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The drug-seeded patch is implanted into the damaged tissue and exposed to the aqueous environment to release the protein it contains. At the beginning of the release, it is diffused and released from the patch, and when the decomposition of the support itself starts, the amount of release from the lost gap increases. Release rates and modalities can be varied depending on protein concentration, flow / water ratio, and application area.

이와 같이 방사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패치는 세포의 보유, 생육성이 뛰어나고, 또한, 이 지지체를 이용해서 조직 유래의 세포 또는 전구세포를 인공 환경 내 및(또는) 생체 내에서 배양함으로써, 생체이식 시에 염증성 세포의 침윤을 막고, 주변조직과의 적합성이 있는 생체 본래의 조직에 가까운 성질을 가지는 3차원 세포 결합체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he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by the radiation method is excellent in cell retention and viability, and furthermore, by culturing cells or progenitor cells derived from tissues in an artificial environment and / or in vivo using this suppo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t the time and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cell assembly having properties close to the original tissues of the living body that are compatible with the surrounding tissues.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재생용 패치는 주사방법, 단일 세포(single cell) 및 2차원적 지지체 형태로 세포를 적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조작(handling)이 쉽고, 이식 후 세포 생존 잔류성이 높아 세포이식이 필요한 질환 부위에서 세포 치료제의 치료 효능을 제고할 수 있다.Tissue regeneration p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er to handle (handling) compared to the injection method, single cell (single cell) and the method of applying the cells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support, cell survival after transplantation is high and requires cell transplantation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cell therapies at the disease si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재생용 패치는 서로 이격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얽힌 솜털 형태의 특성으로 인하여, 이식되는 환경에 따라 부피 또는 두께가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는 신축성 및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공극의 크기 및 두께를 부풀릴 수 있어 시딩되는 세포가 눌리지 않고, 세포가 증식하고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며 산소 투과성이 확보되어 세포의 증식, 이동, 및 혈관 생성이 촉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lasticity and flexibility that can be expanded or reduced in volume or thicknes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biodegradable polymer fi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ntangled with each other,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to be implanted,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pores can be inflated so that the seeded cells are not pressed, sufficient space for the cells to proliferate and move, and oxygen permeability is secured to promote cell proliferation, movement, and blood vessel formation.

따라서 손상된 조직의 치료를 위하여 세포, 생리활성물질, 또는 약물이 함유된 생분해성 고분자 재질의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손상된 조직이 존재하는 장기에 직접 부착한 경우, 세포 전달 성공률을 높이고 세포가 허혈 부위로 이동함으로써 손상된 조직의 혈관생성을 증가시키며 조직 재생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attaching 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made of biodegradable polymer material containing cells, bioactive substances, or drugs directly to the organ in which the damaged tissue is present for the treatment of the damaged tissue, the cell delivery success rate is increased and the cell ischemic site By moving to, it increases the angiogenesis of damaged tissue and has the effect of promoting tissue regeneration.

도 1은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PLLA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 패치의 (a) 실사이미지와 (b) 시차주사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전기방사를 통해 제조된 지지체에 물리적 힘을 가하여 공극과 지지체량 당 용적을 넓힌 상태로 지지체의 두께가 1 ㎝ 이상 부풀려질 수 있음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전기방사를 통해 제조된 지지체에 물리적 힘을 가하여 공극과 지지체량 당 용적을 점차적으로 넓혀, 지지체의 가역적 신축성을 확인한 것이다. 한편, 가장 오른쪽에 있는 지지체는 2차원 막구조의 지지체로서, 본 발명의 3차원적 지지체와 구조 및 섬유간 공극, 공극률에서 확연히 차이가 남을 보여준다.
도 4는 배향성을 갖도록 제조된 PLLA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 패치의 시차주사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a)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랜덤하게 방사된 비배향성 패치에 심장 줄기세포가 부착된 시차주사현미경 사진, (b)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배향성을 갖는 패치에 심장 줄기세포가 부착된 시차주사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은 배향성을 갖는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 패치에 세포를 이식하고, 48시간 후 H&E 염색하여 (a) 가로 절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 (b)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 3의 성장인자가 함유된 배향성이 있는 삼차원 지지체에 성장인자의 분포도를 형광 시약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시예 3의 성장인자가 함유된 배향성이 있는 삼차원 지지체로부터 방출되는 VEGF 약물의 누적 방출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실험예 3에 따라 1일, 4일, 7일 및 14일에 측정된 세포 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 1의 삼차원 지지체와 실시예 2의 배향성을 가지는 삼차원 지지체에서 시딩된 세포의 증식 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2열의 그림이 실시예 1의 방향성이 없는 삼차원 지지체에서 세포의 증식 양상을 나타낸 것이고, 4열의 그림이 배향성을 갖는 삼차원 지지체에서 세포의 증식 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그 결과, 배향성을 갖는 삼차원 지지체에서 세포가 심근 섬유 본래의 모양과 유사한 형태고 증식됨을 알 수 있다.
도 11은 실험예 4에 따라 심장 줄기세포가 시딩된 패치를 (a) 증식배지 조성과 (b) 분화배지 조성에서 체외에서 2주간 배양하여 H&E, αSA, MHC, TnT 면역 염색 사진이다.
도 12의 (a)와 (b)는 실험예 5에 따라 정상 심장 조직의 외심막 표면에 심장 줄기세포가 시딩된 패치를 이식하고 4일 후의 조직을 H&E로 염색한 현미경 사진이다.
도 13은 (a) 심근경색 부분에 비교예 1의 줄기세포가 시딩되지 않은 패치를 이식한 직후의 사진, (b) 14일 후의 조직사진, (c) 심근경색 부분에 실시예 1의 심장 줄기세포가 시딩된 패치를 이식한 직후의 사진과 (d) 14일 후 조직사진이다.
도 14는 실험예 7에 따라 14일 후 얻어진 조직을 H&E로 염색한 사진으로서, (a) 심장 줄기세포가 시딩된 실시예 1의 패치를 이식한 사진, (b) 심장 줄기세포가 없는 비교예 1의 패치를 이식한 사진이다.
도 15는 실험예 7에 따라 14일 후 얻어진 조직을 (a) αSA 면역 염색한 조직 사진, (b) 핵을 DAPI 염색한 사진, (c) (a) 와 (b)를 중첩시킨 사진이다.
도 16은 실험예 7에 따라 14일 후 얻어진 조직을 (a) TnT 면역 염색한 조직 사진, (b) 핵을 DAPI 염색한 사진과 (c) (a) 와 (b)를 중첩시킨 사진이다.
도 17은 실험예 7에 따라 14일 후 얻어진 조직에 대해 (a) SMA 면역 염색시킨 소동맥/정맥 사진, (b) 핵을 DAPI 염색한 사진, (c) (a) 와 (b)를 중첩시킨 사진이다.
도 18은 실험예 7에 따라 14일 후 얻어진 조직에 대해 (a) CD34 면역 염색시킨 모세혈관 사진, (b) 핵을 DAPI 염색한 사진, (c) (a) 와 (b)를 중첩시킨 사진이다.
도 19는 실험예 7에 따라 이식 14일 후 패치와 심장 조직의 전체적인 저배율 사진으로서 (a) 이식된 DiI-표지 심장 줄기세포가 붉은색 형광으로 나타난 사진, (b) 핵의 DAPI 염색한 사진, (c) (a) 와 (b)를 중첩시킨 사진이다.
도 20은 심근 경색 쥐의 심근층에서 이식된 심장 줄기 세포의 위치를 보여주는 심근조직의 고배율 현미경 사진으로서, 위쪽은 부착한 패치부분이며 아래로 내려갈수록 심근 안쪽을 나타내어 (a)의 붉은색 형광은 DiI-표지 심장 줄기세포를 나타내고, (b)의 파란색 형광은 DAPI로 표지된 핵을 나타내며, (c)는 (a)와 (b)를 중첩시킨 사진이다.
도 21은 실험예 8에 따라 28일 후 얻어진 조직을 H&E로 염색한 사진으로서 (a) 심장 줄기세포가 시딩된 실시예 1의 패치를 이식한 사진, (b) 심장 줄기세포가 없는 비교예 1의 패치를 이식한 사진이다.
도 22는 실험예 8에 따라 28일 후 얻어진 조직의 조직학적 분석으로서 실시예 1의 패치를 이식한 경우와 줄기세포가 없는 비교예 1의 패치를 이식한 경우의 (a) 섬유화 면적 측정 결과, (b) 심장 두께 측정 결과이다.
도 23은 삼차원 지지체에 물리적 확장을 추가로 가해 너무 두껍게 부풀린 경우의 세포의 이동 및 침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좌측의 그림은 적절한 두께로 부풀려 성공적으로 세포 증식이 내부까지 이루어진 경우이고, 우측의 그림은 지지체 내부까지 세포가 들어가지 못한 부분(흰색)이 발생했음을 나타낸다.
도 24는 지지체, 성장인자가 함유된 지지체, 성장인자 및 심장 줄기세포가 함유된 지지체 각각을 심근 조직에 이식한 후, 심근으로의 재생 효과를 조직 염색을 통해 비교한 것이다.
도 25는 지지체, 성장인자가 함유된 지지체, 성장인자 및 심장 줄기세포가 함유된 지지체 각각을 심근 조직에 이식한 후, 혈관 신생 증가 효과를 SMA 양성 혈관 형성 분석(positive vessel formation analysis)를 통해 비교한 것이다.
도 26은, 심장 줄기세포가 시딩된, 실시예 2의 PLLA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PLLA) 및 심장 줄기세포 및 VEGF가 시딩된, 실시예 2의 PLLA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PLLA/VEGF)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a) 및 (d)는 배양 후 1일, (b) 및 (e)는 배양 후 5일, (c) 및 (f)는 배양 후 7일에 해당하는 날의 사진이다.
도 27은, 심장 줄기세포가 시딩된, 실시예 2의 PLLA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 및 심장 줄기세포 및 VEGF가 시딩된, 실시예 2의 PLLA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의 배양 후 1, 5, 및 7일에 증식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8은, 심장 줄기세포 및 성장인자가 시딩되지 않은 실시예 2의 패치(PLLA), VEGF가 로딩된, 실시예 2의 PLLA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 패치(PLLA/VEGF) 및 심장 줄기세포 및 VEGF가 시딩된, 실시예 2의 PLLA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 패치(PLLA/VEGF/rCSC)를 이식한 경우의 (a) 섬유화 면적 측정 결과, (b) 심장 두께 측정 결과이다.
도 29는, 심장 줄기세포 및 성장인자가 시딩되지 않은 실시예 2의 패치(PLLA), VEGF가 로딩된, 실시예 2의 PLLA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 패치(PLLA/VEGF) 및 심장 줄기세포 및 VEGF가 시딩된, 실시예 2의 PLLA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 패치(PLLA/VEGF/rCSC)를 이식한 경우의 (a) EF(ejection fraction), 및 (b) FS(fractional shortening)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0은 손상된 심장에 줄기세포를 직접 이식한 군,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피브린 겔을 이식한 군,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삼차원 지지체를 이식한 군의 이식된 조직 부위에서의 세포 생존율 및 보유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1은, 배향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삼차원 지지체에 유전자 전달을위한 플라스미드 DNA(pDNA)를 로딩한 것을 SEM으로 촬영한 것이다. (a) 배향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삼차원 지지체의 SEM 사진, (b) 트랜스펙션을 위한 pDNA 콤플렉스로 코팅된 패치, (c) 시딩 후 24시간 후에 랫트 심장 줄기세포가 부착된 패치의 SEM 이미지, (d)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스캐폴드의 표면을 관찰한 이미지.
도 32는, 플라스미드 DNA를 트랜스펙션한 후 랫트 심장 줄기세포에서의 인간 VEGF 발현을 관찰한 공초점 이미지이다.
도 33은, 패치에 로딩된 DNA의 방출을 확인한 도이다.
도 34는, 랫트 심장 줄기세포에 트랜스펙션된 hVEGF 유전자의 이후 단백질로의 발현 정도를 나타내는 도이다. 심장 줄기세포가 시딩된 PLLA/PLGA 패치(대조군), pVEGF 콤플렉스가 트랜스펙션된 심장 줄기세포가 시딩된 PLLA/PLGA 패치(Bolus delivery) 및 심장줄기세포가 시딩된, PLLA/PLGA/VEGF 패치 군(Sustained release)을 각각 나타낸다.
1 is a (a) photorealistic image and (b) differential scanning micrograph of the PLL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patch prepared in Example 1.
Figure 2 is a photograph showing that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can be inflated by more than 1 cm in a state in which the volume per void and the amount of the support is widened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to the support prepared by electrospinning.
FIG. 3 shows the reversible elasticity of the support by gradually increasing the volume per void and the amount of the support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to the support prepared through electrospinning. On the other hand, the rightmost support is a support of the two-dimensional membrane structure,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rosity, porosity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and the structure and fiber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fferential scanning micrograph of a PLL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patch prepared to have an orientation.
5 is a differential scanning microscope photograph in which cardiac stem cells are attached to randomly radiated non-oriented patches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1, and (b) cardiac stem cells to patches having an orientation prepared according to Example 2. Is a differential scanning microscope picture attached.
Figure 6 is a cell grafted in 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patch having an orientation, and after 48 hours H & E staining (a) a cross-sectional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cross section, (b) a cross-sectional microscopic photograph.
Figure 7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distribution of the growth factor in the orientation-oriented three-dimensional support containing the growth factor of Example 3 through a fluorescent reagent.
8 is a graph showing the cumulative amount of VEGF drug released from the oriented three-dimensional support containing the growth factor of Example 3.
Figure 9 shows the number of cells measured on day 1, day 4, day 7, and 14 according to Experiment 3.
Figure 10 shows the growth of cells seeded in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of Example 1 and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having the orientation of Example 2. Figure 2 shows the proliferation of cells in the non-directional three-dimensional scaffold of Example 1, and Figure 4 shows the growth of cells in the three-dimensional scaffold with orientation.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in the three-dimensional scaffold having an orientation, the cells proliferate in a shape similar to the original shape of the myocardial fibers.
FIG. 11 is a H & E, αSA, MHC, and TnT immunostaining photograph of the stem seeded with cardiac stem cell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4 and cultured for 2 weeks in vitro in (a) growth medium composition and (b) differentiation medium composition.
12 (a) and 12 (b) are micrographs obtained by H & E staining of tissues after 4 days of implanting a patch seeded with heart stem cells on the outer pericardial surface of normal heart tissue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5. FIG.
Figure 13 is a (a) picture immediately after implanting the patch without seeding the stem cells of Comparative Example 1 in the myocardial infarction, (b) tissue photograph after 14 days, (c) heart stem of Example 1 in the myocardial infarction Pictures immediately after transplanting the seed seeded patch and (d) 14 days later tissue.
FIG. 14 is a photograph obtained by H & E staining of tissue obtained after 14 day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7, (a) photografted with patch of Example 1 seeded with cardiac stem cells, and (b) comparative example without cardiac stem cells This is a photo of a patch of 1.
FIG. 15 is a tissue photograph obtained after 14 days in accordance with Experimental Example (a) immunostained tissue photograph, (b) DAPI stained nucleus, and (c) (a) and (b).
FIG. 16 is a tissue photograph obtained after 14 day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a) TnT immunostained tissue photograph, (b) DAPI stained nuclei, and (c) (a) and (b) superimposed.
Figure 17 is a (a) SMA immunostained small artery / vein image, (b) DAPI stained nuclei, (c) (a) and (b) of the tissue obtained after 14 day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7 It is a photograph.
18 is a capillary image of (a) CD34 immunostained, (b) DAPI stained nuclei, (c) (a) and (b) superimposed on a tissue obtained after 14 day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7 to be.
FIG. 19 is a low-magnification photograph of the patch and heart tissue 14 days after transplantation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7, (a) transplanted DiI-labeled heart stem cells in red fluorescence, (b) DAPI stained nucleus, (c) It is the photograph which superimposed (a) and (b).
Figure 20 is a high magnification micrograph of the myocardial tissue showing the location of the cardiac stem cells transplanted in the myocardial layer of myocardial infarction rat, the upper part is the patch portion attached and the lower part shows the inside of the myocardium, the red fluorescence of (a) is DiI-labeled cardiac stem cells are shown, blue fluorescence in (b) represents nuclei labeled with DAPI, and (c) is a photograph of (a) and (b) superimposed.
FIG. 21 is a photograph obtained by H & E staining of tissue obtained after 28 day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8, (a) photografted with patch of Example 1 seeded with cardiac stem cells, and (b) Comparative Example 1 without cardiac stem cells This is a photo of a patch of.
FIG. 22 shows (a) fibrosis area measurement results when the patch of Example 1 is implanted and the patch of Comparative Example 1 without stem cells is transplanted as a histological analysis of tissue obtained after 28 day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8, (b) Heart thickness measurement results.
FIG. 23 shows the results of cell migration and infiltration in the case where the body is inflated too thick by additional physical extension to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The figure on the left shows a case where the cell proliferation has been successfully made by inflating to an appropriate thickness, and the figure on the right shows that a part (white) where cells cannot enter the inside of the support has occurred.
FIG. 24 shows that the support, the growth factor-containing support, the growth factor, and the support containing the heart stem cells were transplanted into myocardial tissue, and then the regeneration effect to the myocardium was compared through tissue staining.
FIG. 25 shows that angiogenesis is increased after implantation of a scaffold, a scaffold containing a growth factor, a scaffold containing a growth factor, and a cardiac stem cell into myocardial tissue, by SMA positive vessel formation analysis. It is.
26 shows the PLL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PLLA) of Example 2, seeded with cardiac stem cells, and the PLL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PLLA / VEGF) of Example 2, seeded with cardiac stem cells and VEGF.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a) and (d) are photographs of one day after incubation, (b) and (e) are five days after incubation, and (c) and (f) are seven days after incubation.
FIG. 27 shows the PLL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caffold of Example 2 seeded with cardiac stem cells and the PLL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caffold of Example 2 seeded with cardiac stem cells and VEGF, 1, 5, and 7 It show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degree of proliferation in the day.
FIG. 28 shows a patch of Example 2 (PLLA) without cardiac stem cells and growth factors seeded, a PLGF loaded PLL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patch (PLLA / VEGF) and cardiac stem cells and VEGF. (A) Fibrosis area measurement result and (b) Heart thickness measurement result when the PLL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patch (PLLA / VEGF / rCSC) of Example 2 implanted was implanted.
29 shows a patch of Example 2 (PLLA) without cardiac stem cells and growth factors seeded, a VEGF loaded PLL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patch of Example 2 (PLLA / VEGF) and cardiac stem cells and VEGF (A) EF (ejection fraction), and (b) fractional shortening when the PLL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patch (PLLA / VEGF / rCSC) of Example 2 was seeded was measured. .
30 shows cell viability at the transplanted tissue site of the group implanted with stem cells directly to the damaged heart, the group transplanted with fibrin gels containing stem cells, and the group implanted with the three-dimensional scaffol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ing stem cells; It shows retention rate.
FIG. 31 is a SEM photograph showing loading of a plasmid DNA (pDNA) for gene transfer into a three-dimensional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orientation. FIG. (a) SEM image of the three-dimensional scaffol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orientation, (b) a patch coated with a pDNA complex for transfection, (c) a SEM image of a rat heart stem cell-attached patch 24 hours after seeding, (d) An image of the surface of the scaffold observed with a fluorescence microscope.
FIG. 32 is a confocal image of human VEGF expression observed in rat heart stem cells after transfection of plasmid DNA.
33 shows the release of DNA loaded into a patch.
Fig. 34 is a diagram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the hVEGF gene transfected into rat heart stem cells into subsequent proteins. PLLA / PLGA patch (control) seeded with cardiac stem cells, PLLA / PLGA patch (Bolus delivery) seeded with heart stem cells transfected with pVEGF complex and PLLA / PLGA / VEGF patch seeded with heart stem cells Each represents a sustained release.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Example 1: 줄기세포가 함유된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 패치 제조 1 1: Preparation of 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patch containing stem cells 1

1) 서로 1) each other 이격Spacing 가능한 섬유들이 서로 얽힌 솜털 형태의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포함하는 패치 제조 Preparation of a patch comprising a fluffy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in which the fibers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폴리엘-락트산(PLLA)을 디클로로메탄/아세톤(아세톤 부피가 전체 용액의 10%~40%, 정확히 실험한 부피는 20%)의 용매에 녹여 고분자의 농도가 14~20%(정확히 실험한 농도 15%)가 되도록 용액을 제조하였다.Polyl-lactic acid (PLLA) was dissolved in a solvent of dichloromethane / acetone (the volume of acetone was 10% to 40% of the total solution, the exact volume tested 20%),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was 14 to 20% (the exact concentration tested). 15%) to prepare a solution.

Chungpa EMT사(한국)에서 제조한 전기방사기인 DH High Voltage Generator(모델명 CPS-40KO3VIT)를 이용하여, 0.06 ml/min의 용액 방출속도, 10 kv의 전압, 전기장의 거리는 15 cm의 조건으로 전기방사 하였다. 스테인레스스틸 판 컬렉터 상에 섬유가 집적되기 전에 용매가 전부 휘발되도록 15~25 ℃, 습도 10~40 %의 조건에서 전기방사법을 수행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이격 가능하면서 서로 얽힌 네트워크 형태의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지지체의 섬유 굵기는 직경 약 7 ㎛이고, 지지체의 두께는 약 300 ㎛이었다. 이후 상기 제조된 지지체에 하나 이상의 양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해 전체 부피 및 서로 얽힌 고분자 섬유들 사이의 공극을 부풀려 솜털 형태의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지지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함에 따라 제조된 상기 솜털 형태의 지지체는 50-300 ㎛의 공극 직경, 50 내지 90%의 공극률을 보유하고, 두께가 1mm 이상이었다(도 1). Using the DH High Voltage Generator (model name CPS-40KO3VIT), an electrospinner manufactured by Chungpa EMT Co., Ltd. (Korea), electrospinning was performed under conditions of solution discharge rate of 0.06 ml / min, voltage of 10 kv, and electric field of 15 cm. It was. Electrospinning is carried out at 15-25 ° C. and 10-40% humidity to completely volatilize the solvent before the fibers are accumulated on the stainless steel plate collector, so that the biodegradable polymer fibers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ntangled with each other. Was prepared. The fiber thickness of the support was about 7 μm in diameter and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was about 300 μm. Thereafter, physical force was applied to the prepared support in one or more directions to inflate pores between the entire volume and the entangled polymer fibers to prepare a support in the form of fluffy form. The fleece support prepared by applying physical force to the support had a pore diameter of 50-300 μm, a porosity of 50-90%, and a thickness of 1 mm or more (FIG. 1).

상기 솜털 형태의 지지체의 신축성을 확인하고자, 전기방사로 제조된 지지체에 하나 이상의 양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해 지지체의 전체 부피 및 섬유들 사이의 공극을 부풀린 후 지지체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패치의 두께가 1cm 이상까지도 확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도 2),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패치는 2차원 막구조의 지지체와 구조 및 신축성 면에서 확연히 차이가 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 In order to confirm the elasticity of the fleece support,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was measured after inflating the voids between the fibers and the total volume of the support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in one or more directions in the electrospinning suppor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of the tissue regeneration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to 1 cm or more (FIG. 2), and the tissue regeneration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structure and elasticity from the support of the two-dimensional membrane structure. Others could be identified (Figure 3).

즉, 본 발명의 지지체는 섬유간에 서로 이격 가능하고, 솜털 형태의 특성으로 인하여 세포의 증식 및 이동, 또는 부착된 조직의 팽창 또는 수축에 연동하여 가역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In other words, the scaffold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etween the fiber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uffy form it can be seen that the reversible expansion or contra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roliferation and movement of the cells, or the attached tissue.

2) 심장 줄기세포의 2) cardiac stem cells 시딩Seeding

제작한 섬유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 패치에 심장 줄기세포를 시딩하기 위하여, 70% 에탄올로 소독한 후 버퍼로 세척과정을 거쳤다. 남아있는 수분을 모두 제거한 후 1X106 ~ 1X108개(본 실시예에서는 5X106을 사용)의 심장 줄기세포가 부유된 배지를 지지체에 삽입 후 한 시간 이상 부착하였다. 이후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 부착을 안정화시켰다. 세포는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1% 페니실린, 10% 우태아 혈청, 10 ng/㎖ 인간 EGF를 첨가하여 제조한 배지를 각각 사용하여 5% CO2 농도 하에서 37℃ 포화 습도에서 배양하였다.
In order to seed cardiac stem cells on the fabricated po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caffold, 70% ethanol was sterilized and washed with buffer. After removing all remaining moisture 1X10 6 ˜1 × 10 8 ( 5 × 10 6 in this example) was attached to the media containing the suspended heart stem cells in the support for at least one hour. Cell culture was then stabilized by incubating for 48 hours at 37 ° C., 5% CO 2 . Cells were incubated at 37 ° C saturated humidity at 5% CO 2 concentration using media prepared by adding 1% penicillin, 10% fetal calf serum and 10 ng / ml human EGF to DMEM mediu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respectively. .

실시예Example 2: 줄기세포가 함유된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 패치 제조 2 2: Preparation of 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patch containing stem cells 2

컬렉터를 스테인레스스틸 판에서 원통형 드럼으로 교체하고 회전 속도를 2000 rpm으로 하여 한 방향으로 배향된 섬유형 네트워크 형태의 패치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줄기세포가 함유된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포함하는 패치 즉, 배향성을 갖는 패치를 제작하였다(도 4).
Porous containing stem cells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llector was replaced with a cylindrical drum in a stainless steel plate, and a patch in the form of a fibrous network oriented in one direction was prepared at a rotational speed of 2000 rpm. A patch containing a three-dimensional support, that is, a patch having an orientation was produced (FIG. 4).

실시예Example 3: 줄기세포 또는/및 성장인자가 함유된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 패치 제조 3: Preparation of 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caffold patch containing stem cells and / or growth factors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삼차원 지지체 패치에 혈관 내피 성장인자(VEGF)를 시딩하여, 줄기세포 및 성장인자가 함유된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포함하는 패치를 제조하였다.Th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was seeded on the three-dimensional scaffold patches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to prepare patches including 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caffold containing stem cells and growth factors.

또한, 줄기세포가 시딩되지 않은 실시예 1 및 2의 삼차원 지지체에 성장인자를 시딩하여, 성장인자가 함유된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포함하는 패치를 제조하였다.
In addition, by seeding the growth factor in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of Example 1 and 2 without the stem cells seeding, a patch including 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containing the growth factor was prepared.

실시예Example 4: 유전자가 함유된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 패치의 제조 4: Preparation of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patches containing genes

PLGA를 아세톤/에탄올 혼합 용매에 녹여 현탁액을 제조한 다음, 이 현탁액에 수성의 pVEGF/CPP 콤플렉스 또는 FITC를 유화시킨 다음, 이를 전기분사하여 실시예 2의 지지체 표면을 코팅하였고 동결건조하였다. 이때, pVEGF 콤플렉스의 양은 지지체(8*8) 당 3㎍으로 고정하였다.
PLGA was dissolved in acetone / ethanol mixed solvent to prepare a suspension, which was then emulsified with aqueous pVEGF / CPP complex or FITC, which was electrosprayed to coat the support surface of Example 2 and lyophilized. At this time, the amount of pVEGF complex was fixed at 3 μg per support (8 * 8).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심장 줄기세포 부착 실험 1: Cardiac Stem Cell Attachment Experiment

48시간 동안 세포부착을 안정화시킨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이용한 패치의 세포 부착 여부를 관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In order to observe the cell adhesion of the patch using the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of Example 1 and Example 2, which stabilized cell adhesion for 48 hours,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세척하여 제거하고 2.5% 글루타르알데히드 용액으로 20분간 고정하였다. 고정 후 시료는 70%, 80%, 90% 및 100% 에탄올로 순차적으로 각각 10분간 탈수시키고 완전히 진공 건조하였다. 이후 시료를 금으로 코팅하였다.Unattached cells were washed off and fixed for 20 minutes with 2.5% glutaraldehyde solution. After fixation, the samples were dehydrated sequentially with 70%, 80%, 90% and 100% ethanol for 10 minutes each and thoroughly vacuum dried. The sample was then coated with gold.

이를 시차 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제조된 지지체에 세포가 잘 부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실시예 2의 배향성을 갖는 지지체에 대해서는 배향성을 갖는 섬유를 따라 세포의 배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의(b)).
The result of observing this with a differential scanning microscope is shown in FIG. It can be seen that the cells adhered well to the prepared support, and for the support having the alignment of Example 2, the alignment of the cells was confirmed along the fibers having the alignment (FIG. 5 (b)).

또한, 세포가 고밀도로 시딩 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48시간 동안 세포부착을 안정화시킨 후,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삼차원 지지체-세포 집합체를 버퍼로 세척하고 3.7% 포름알데히드 용액으로 하루 고정하였다. 파라핀 포메 후 4 ㎛두께의 슬라이드를 제작하고 H&E(Hematoxylin and Eosin)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 하였다(도 6).In addition, after stabilizing cell adhesion for 48 hours to confirm that cells were seeded at high density, the three-dimensional scaffold-cell aggregates obtained in Example 2 were washed with buffer and fixed with 3.7% formaldehyde solution for one day. 4 μm thick slides were prepared after paraffin pome and observed under a microscope by staining with H & E (Hematoxylin and Eosin) (FIG. 6).

가로 절단면의 사진에서 세포가 고밀도로 시딩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도 6의 (a)), 단면의 사진에서는 세포가 외부에 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고밀도로 존재함을 알 수 있다(도 6의 (b)). 이는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패치는 물리적 확장으로 공극의 크기를 확장시켜, 지지체의 공극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줄기세포가 지지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수월하기 때문이다.
It can be seen that the cells are seeded at a high density in the photograph of the transverse section (FIG. 6A), and in the cross-sectional photograph, the cells are present at a high density as well as outside (FIG. 6B). )). This is because the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xpands the size of the pores by physical expansion, and it is easy for the stem cells to penetrate into the support because the size of the pores of the support is larg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성장인자의 분포도 및 방출량 확인 2: Identification of growth factor distribution and emission

실시예 3의 배향성이 있는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에 성장인자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형광시약으로 확인한 결과, 섬유 내에 VEGF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 As a result of confirming that the growth factor was evenly distributed on the oriented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of Example 3 by the fluorescent reagent, it was confirmed that VEGF was evenly distributed in the fiber (FIG. 7).

또한, 상기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지지체에서 성장인자의 방출 여부 및 방출 속도를 측정하였다. 지지체로부터 방출된 VEGF 약물의 누적 방출량을 측정한 결과, VEGF를 본 발명의 지지체에 시딩하면, VEGF가 지지체로부터 서방출되어 지속적으로 혈관생성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8). 즉,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패치는 심근 경색 부위에서 국소적이고 지속적인 약물 방출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줄기세포 및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패치는 성장인자를 지속적으로 방출하여 계속적으로 줄기세포로의 성장인자를 도입시켜 조직 재생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In addition, the growth factor and release rate of the growth factor in the support including the growth factor was measur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umulative release amount of the VEGF drug released from the support, when VEGF seeded on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VEGF can be released from the support continuously to exhibit angiogenic effects (Fig. 8). In other words, the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growth factor was found to be able to sustain local and sustained drug release in the myocardial infarction site. In addition, the patch containing the stem cells and growth fac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tissue regeneration by continuously introducing growth factors into the stem cells by continuously releasing growth factors.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3: 체외 세포 증식 관찰 3: In vitro cell proliferation observation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줄기 세포가 시딩된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이용한 패치를 증식배지 조성 하에서 2주간 배양하면서 1일, 4일, 7일 및 14일 동안 정해진 날짜에 Cell Counting Kit-8 (CCK-8) 분석을 통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였다(도 9).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랜덤하게 방사된 비배향성 패치(실시예 1)와 배향성 패치(실시예 2) 모두 세포증식능력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Cell Counting Kit on a fixed date for 1 day, 4 days, 7 days and 14 days while culturing the patch using the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seeded with stem cells prepared in Examples 1 and 2 for 2 weeks under the growth medium composition Cell counts were determined via -8 (CCK-8) analysis (FIG. 9). As shown in FIG. 9, both randomly radiated non-oriented patches (Example 1) and oriented patches (Example 2) were confirmed to have excellent cell proliferation ability.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의 증식 양상을 비교한 결과, 실시예 1의 지지체와 다르게, 방향성을 가지는 실시예 2의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조직 재생 유도체에 심근줄기세포를 배양한 경우에는 세포가 방향성을 가지면서 증식이 향상되었으며, 심근섬유 본래의 모양과 유사한 형태로 증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0).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opagation pattern of the porous three-dimensional scaffold of Example 1 and Example 2, when the myocardial stem cells were cultured in the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tissue regeneration derivative of Example 2 having a directionality, unlike the support of Example 1 As the cells have a directionality, the proliferation was impro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ells proliferated in a form similar to the original shape of myocardial fibers (FIG. 10).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4: 체외 세포 분화 관찰 4: In Vitro Cell Differentiation Observation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심장 줄기세포가 시딩된 패치를 증식배지 조성 및 심장세포 분화배지 조성에서 체외에서 2주간 배양하였다. 이후 심장세포로 분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파라핀으로 고정하고, 세로로 슬라이드를 제작하여 H&E로 염색하고 이미지를 얻었다(도 11).Patches seeded with cardiac stem cells prepared in Example 1 were cultured in vitro for 2 weeks in the growth medium composition and cardiac cell differentiation medium composition. After fixing with paraffin to observe the differentiation into heart cells, the slides were made vertically and stained with H & E to obtain an image (Fig. 11).

특정 방향으로 세포의 배향성을 관찰 할 수 있었고, 해당 세포에서 심근세포 수축에 관여하는 근절(sarcomere) 단백질인 α-사르코어 엑티닌(α-sarcomeric actinin,aSA), 미오신 중사슬(myosin heavy chain, MHC) 및 트로포닌-T(troponin-T, TnT)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Orientation of cells in a specific direction was observed, and the sarcomere proteins involved in cardiomyocyte contraction, α-sarcomeric actinin (aSA), myosin heavy chain, MHC) and troponin-T (TnT) expression could be confirmed.

분화배지에서 배양한 패치에서의 분화정도가 높았고, 증식배지에서 배양한 경우도 심근 세포로의 분화가 확인되었다. 이는 심장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를 사용함으로써 나타나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The degree of differentiation was high in the patch cultured in the differentiation medium, and the differentiation into cardiomyocytes was also observed in the culture medium in the growth medium. This is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using stem cells in the heart.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5: 정상 이식을 통한 조직 융합 및 염증반응 관찰 5: Observing Tissue Fusion and Inflammatory Responses Through Normal Transplantation

Sprague-Dawley rats (8-9주)를 이소퓨란(Isofurane)으로 마취하였다. 마취된 쥐는 양압 호흡법(ventilated under positive pressure)으로 호흡을 유지하였다.Sprague-Dawley rats (8-9 weeks) were anesthetized with Isofurane. Anesthetized rats maintained breathing under ventilated under positive pressure.

줄기세포가 시딩된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이용한 패치의 안정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정상 심장조직의 외심막(epicardium) 표면에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패치를 이식하고 4일후 평가를 진행하였다. H&E 염색 후 조직과의 융합 정도 및 염증 반응 정도를 도 12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observe the stability of the patch using a porous three-dimensional scaffold seeded with stem cells, the patch prepared in Example 1 was implanted on the epicardium surface of normal heart tissue and evaluated 4 days later. The degree of fusion with the tissue and the degree of inflammatory response after H & E staining are shown in FIG. 12.

도 12의 영역 P(Periphery)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은 혈관을 나타내는데, 이로서 패치 내로 혈관의 성장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즉, 패치와 심장조직의 융합이 잘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세포 분화와 관련하여 정상 심장조직과 패치의 경계면(도 12의 영역 I) 및 주변부(도 12의 영역 P)에서 조직 형성이 관찰되므로 심근 세포와도 융합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A portion circled in the region P (Periphery) of FIG. 12 represents blood vessels, which shows that the growth of blood vessels was made into the patch. In other words, you can see that the fusion of the patch and the heart tissue is made well. In addition, since tissue formation is observed at the interface (region I of FIG. 12) and the periphery (region P of FIG. 12) between normal heart tissue and the patch with respect to cell differentiation, it can be observed that the cells also fuse with cardiomyocytes.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6: 질병 모델의 제조 6: Manufacture of disease models

(1) 질병모델((1) disease model myocardialmyocardial infarctioninfarction , , MIMI modelmodel )의 제조)

Sprague-Dawley rats(8-9주)를 이소퓨란(Isofurane)으로 마취하였다. 마취된 쥐는 양압 호흡법(ventilated under positive pressure)으로 호흡을 유지하였다. 왼쪽 갈비뼈 두 번째와 세 번째 사이를 개흉술하였다. 심막을 잘라서 흉곽의 압력에 의해 심장이 외부로 나오게 한 후 좌측 관상 동맥(left coronary artery)을 7-0 플라스틱제 봉합사(prolene)로 묶어 결찰하고 심근경색을 유도하였다. 좌전하행지(Left Anterior Descending, LAD) 결찰(ligation)을 시행하고 허혈부위의 생성을 확인 후, 바로 10x10 mm 크기의 실시예 1 내지 3의 줄기세포 또는 줄기세포 및 성장인자가 시딩된 패치를 7-0 silk로 각각 외심막 표면(epicardial surface)의 경색이 유도된 심근부분(infarcted myocardium zone)과 경색 경계 부분(infarction border zone)에 부착하였다.
Sprague-Dawley rats (8-9 weeks) were anesthetized with Isofurane. Anesthetized rats maintained breathing under ventilated under positive pressure. Thoracotomy was perform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left ribs. After the pericardium was cut out and the heart was pushed out by the pressure of the rib cage, the left coronary artery was ligated with 7-0 plastic prolene and ligated to induce myocardial infarction. After performing left anterior Descending (LAD) ligation and confirming the generation of ischemic sites, the patch seeded with stem cells or stem cells and growth factors of Examples 1 to 3 of size 10x10 mm was immediately obtained. -0 silk was attached to the infarcted myocardium zone and the infarction border zone, respectively, of the epicardium surface.

(2) 질병모델((2) disease model myocardialmyocardial infarctioninfarction , , MIMI modelmodel )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3의 패치를 좌심실 전벽(anterior wall of left ventricle)에 이식 후, 28일 째 희생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1)과 동일하게 질병모델을 제조하였다.
Disease model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1) except that the patches of Examples 1 to 3 were implanted into the anterior wall of the left ventricle and sacrificed 28 days.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7: 질병 모델에서 심장 줄기세포가  7: Cardiac stem cells in disease models 시딩된Seeded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이용한 패치 이식을 통한 심장 기능 개선 분석 1 Analysis of cardiac function improvement through patch transplantation using porous three-dimensional scaffold

(1) 상처가 난 바로 직후 실시예 1의 패치와 실시예 1의 패치에서 줄기세포를 시딩하지 않은 패치(비교예 1)를 좌심실 전벽(anterior wall of left ventricle)에 이식하였으며, 이식하고 14일째 희생하고 심장 조직을 10% 버퍼 포름알데하이드(buffered formaldehyde)로 고정하여 파라핀 섹션(paraffin sections)하여 관찰하였다.(1) Immediately after the wound, the patch of Example 1 and the patch of Example 1, which were not seeded with the stem cells (Comparative Example 1), were implanted into the anterior wall of the left ventricle. Sacrifice and cardiac tissue were observed by paraffin sections fixed with 10% buffered formaldehyde.

도 13의 (a)는 심근경색 부분에 실시예 1의 심장 줄기세포가 시딩된 패치를 이식한 직후의 사진을 나타내었고 (b)는 14일 후 조직사진을 나타내었다. (c)는 심근경색 부분에 비교예 1의 줄기세포가 시딩되지 않은 패치를 이식한 직후의 사진을 나타내었고 (d)는 14일 후 조직사진을 나타내었다.Figure 13 (a) shows a picture immediately after implanting the patch seeded with the cardiac stem cells of Example 1 in the myocardial infarction portion (b) shows a tissue picture after 14 days. (c) shows a photograph immediately after implanting the patch without seeding the stem cells of Comparative Example 1 in the myocardial infarction, and (d) shows the histological image after 14 days.

상기 제조한 조직을 슬라이드로 제작하여 H&E(hematoxylin and eosin)로 염색하였다(도 14). 관상동맥 결찰(Coronary artery ligation) 14일 후 심근 경색은 성공적으로 유도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심근경색 결과 심근소실과 심장의 확장을 관찰할 수 있었다.The prepared tissue was prepared as a slide and stained with H & E (hematoxylin and eosin) (Fig. 14). After 14 days of coronary artery ligation, myocardial infarction was successfully induced, and myocardial infarction and cardiac dilatation were observed.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패치는 좌심실 전벽(LV anterior wall)과 융합이 완벽히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심장 줄기세포가 시딩된 패치를 이식한 경우(도 14의 (a)) 이식한 패치의 형태가 잘 유지되고, 심장의 좌심실 전벽 두께(LV anterior wall thickness)는 세포 없는 패치를 이식한 비교예 1의 심장보다 두꺼워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패치를 이식한 심장은 이후 좌심실 팽창(LV dilatation)이 적었으며, 심근의 재생(하얀색 화살표 부위)이 저명하게 관찰되었다.
As shown in FIG. 14, the patche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found to be completely fused with the LV anterior wall. In addition, in the case of implanting the patch seeded with the cardiac stem cells of Example 1 (FIG. 14 (a)), the shape of the implanted patch is well maintained, and the LV anterior wall thickness of the heart is a cellless patch. It can be seen that the thicker than the heart of Comparative Example 1 implanted. In addition, the heart implanted with the patch of Example 1 had less LV dilatation, and myocardial regeneration (white arrow area) was clearly observed.

(2) 상기 (1)에 따라 14일 후 심장 줄기세포가 시딩된 패치를 이식한 조직을 심근특이 항체로 염색하고 플루오레신 아이소티오사이아네이트 결합된(fluorescein isothiocyanate-conjugated) 이차항체로 염색하였다. 이들은 심근세포 수축에 관여하는 근절(sarcomere) 단백질인 α-사르코어 엑티닌(α-sarcomeric actinin, aSA)과 트로포닌-T(troponin-T, TnT) 심근세포 마커를 나타낸다.(2) After 14 days according to the above (1), the tissue transplanted with the seeded patch of cardiac stem cells was stained with a myocardial specific antibody and stained with a fluorescein isothiocyanate-conjugated secondary antibody. It was. They represent α-sarcomeric actinin (aSA) and troponin-T (TnT) cardiomyocyte markers, which are sarcomere proteins involved in cardiomyocyte contraction.

도 15 (a)는 aSA 면역 염색한 사진을 나타내었고 (b)는 DAPI로 표지된 모든 핵을 나타내었다. 도 15의 (c)는 (a)와 (b)를 중첩시킨 결과로서 패치를 조직에 이식하고 14일 후 패치 내 줄기세포들이 aSA 심근세포로 분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gure 15 (a) shows an aSA immunostained photograph and (b) shows all nuclei labeled with DAPI. 15 (c) shows that stem cells in the patch differentiated into aSA cardiomyocytes 14 days after the patch was implanted into the tissue as a result of overlapping (a) and (b).

또한, 도 16 (a)는 TnT 면역 염색한 사진을 나타내었고 (b)는 DAPI로 표지된 모든 핵을 나타내었다. 도 16의 (c)는 (a)와 (b)를 중첩시킨 결과로서 패치를 조직에 이식하고 14일 후 패치 내 줄기세포들이 TnT 심근세포로 분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FIG. 16 (a) shows a TnT immunostained photograph and (b) shows all nuclei labeled with DAPI. 16 (c) shows that stem cells in the patch differentiated into TnT cardiomyocytes 14 days after the patch was transplanted into the tissue as a result of overlapping (a) and (b).

(3) 평활근 알파 액틴(smooth muscle alpha actin, SMA)과 CD34 면역염색을 통해 이식 14일 후 실시예 1의 패치를 이식한 허헐 부위에서 혈관 생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3) Smooth muscle alpha actin (SMA) and CD34 immunostaining showed that angiogenesis was increased at the hull region where the patch of Example 1 was transplanted 14 days after transplantation.

도 17 (a)는 SMA 면역 염색시킨 소동맥/정맥 사진이고(b)는 DAPI로 표지된 모든 핵을 나타내었다. 도 17의 (c)는 (a)와 (b)를 중첩시킨 결과로 이식 조직인 패치 내에도 소동맥/정맥이 성장하여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gure 17 (a) is a SMA immunostained arterial / vein photo and (b) shows all nuclei labeled with DAPI. 17 (c) shows that a small artery / vein grows in the patch as a result of overlapping (a) and (b).

또한, 도 18 (a)는 모세혈관을 CD34 면역 염색 시킨 것이고 (b)는 DAPI로 표지된 모든 핵을 나타내었다. 도 18의 (c)는 (a)와 (b)를 중첩시킨 결과로서 이식조직인 패치 내에도 모세혈관이 성장하여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FIG. 18 (a) shows CD34 immunostaining of capillaries and (b) shows all nuclei labeled with DAPI. 18 (c) shows that capillaries grow in the patch as a transplant tissue as a result of overlapping (a) and (b).

(4) 이식 후 세포의 생존과 진행을 추적하기 위하여, 세포 수집 때 붉은색 형광 표지체인 DiI로 세포를 표지하였으며, 대략 106개의 세포를 패치에 이식하여 심장의 경색 부위에 이식하였다. 이식 후 줄기 세포의 생존 여부는 사후 DiI를 형광 현미경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도 19 및 20은 이식 14일 후 심근 경색 쥐의 심근층에서 이식된 심장 줄기세포의 위치를 보여주는 일련의 현미경 사진이다.(4) In order to track the survival and progression of cells after transplantation, cells were labeled with DiI, a red fluorescent label at the time of cell collection, and approximately 10 6 cells were transplanted into patches and transplanted into the infarct region of the heart. Survival of stem cells after transplantation was measured by fluorescence microscopy after death. 19 and 20 are a series of micrographs showing the location of transplanted heart stem cells in the myocardial layer of myocardial infarction rats 14 days after transplantation.

도 19는 이식 14일 후 패치와 심장 조직의 전체적인 저배율 사진으로서 도 19의 (a)는 이식된 DiI-표지 심장 줄기세포가 붉은색 형광으로 나타낸 사진이며 (b)는 핵의 DAPI 염색한 사진이다. (c)는 (a)와 (b)를 중첩시킨 사진으로서 패치 내에 DiI 양성인 세포 집합체가 관찰된다. 이로서 줄기 세포가 장기간 패치 내에 생존해 있고, 이들이 심근 안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G. 19 is a low-magnification photograph of the patch and heart tissue 14 days after transplantation. FIG. 19 (a) is a photograph showing red fluorescence of transplanted DiI-labeled heart stem cells and (b) is a DAPI stained image of the nucleus. . (c) is a photograph in which (a) and (b) are superimposed, and a cell aggregate that is DiI positive in the patch is observed. This confirms that stem cells survive in long-term patches and migrate into the myocardium.

또한, 도 20은 이식 14일 후 심근 경색 쥐의 심근층에서 이식된 심장 줄기세포의 위치를 보여주는 심근조직의 고배율 현미경 사진으로서, 위쪽은 부착한 패치부분이며 아래로 내려갈수록 심근 안쪽을 나타낸다. (a)의 붉은색 형광은 DiI-표지 심장 줄기세포를 나타내고 (b)의 파란색 형광은 DAPI로 표지된 핵을 나타내며, (c)는 (a)와 (b)를 중첩시킨 사진으로서, DiI로 표지된 줄기세포는 심근층 내부 부위와 심근 세포가 결여된 심근 경색 부위에서도 발견된 것을 확인하여 이식 세포가 주변 심장 조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addition, Figure 20 is a high magnification micrograph of the myocardial tissue showing the location of the heart stem cells transplanted in the myocardial layer of myocardial infarction rat 14 days after transplantation, the upper part is the patch portion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myocardium toward the bottom. Red fluorescence in (a) represents DiI-labeled heart stem cells, blue fluorescence in (b) represents nuclei labeled with DAPI, and (c) is a photograph of (a) and (b) superimposed, with DiI Labeled stem cells were also found in the myocardial layer and myocardial infarction areas lacking myocardial cells, confirming that the transplanted cells migrate to the surrounding heart tissu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8: 질병 모델에서 심장 줄기세포가  8: Cardiac stem cells in disease models 시딩된Seeded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이용한 패치 이식을 통한 심장 기능 개선 분석 2 Analysis of Cardiac Function Improvement by Patch Transplantation Using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2

(1) 상기 실험예 6 (2)의 동물모델에서 얻은 조직을 슬라이드로 제작하여 H&E(hematoxylin and eosin)로 염색하였다(도 19). 관상동맥 결찰(Coronary artery ligation) 28일 후 심근 경색은 성공적으로 유도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심근경색 결과 심근소실과 심장의 확장을 관찰할 수 있었다.(1) The tissue obtained from the animal model of Experimental Example 6 (2) was prepared as a slide and stained with H & E (hematoxylin and eosin) (Fig. 19). After 28 days of coronary artery ligation, myocardial infarction was successfully induced, and myocardial infarction and cardiac dilatation were observed.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심장 줄기세포가 시딩된 패치를 이식한 경우 이식한 패치의 형태가 잘 유지되고, 심장의 좌심실 전벽 두께(LV anterior wall thickness)는 세포 없는 패치를 이식한 비교예 1의 심장보다 두꺼워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패치를 이식한 심장은 이후 좌심실 팽창(LV dilatation)이 적었으며, 심근의 재생(화살표 부위)이 저명하게 관찰되었다(도 21).
As shown in FIG. 21, the implanted patch of the heart stem cells seeded in Example 1 was well maintained, and the LV anterior wall thickness of the heart was compared with the transplanted patch without cells. You can see that it is thicker than the heart of Example 1. In addition, the heart implanted with the patch of Example 1 had less LV dilatation, and regeneration (arrow area) of myocardium was prominently observed (FIG. 21).

(2) 상기 (1)에 따라 패치 이식후 28일째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패치가 이식된 조직의 섬유화 면적 및 심장 두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의 심장 줄기세포가 시딩된 패치를 이식한 경우 섬유화 면적(fibrotic area)이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22의 (a)). 또한, 실시예 1의 심장 줄기세포가 시딩된 패치를 이식한 경우 좌심실 전벽 두께(LV anterior wall thickness)는 세포 없는 패치를 이식한 비교예 1의 심장보다 두꺼워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22의 (b)).
(2) According to the above (1), the fibrosis area and the heart thickness of the tissues to which the patche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implanted were measured 28 days after the patch implantation. When implanted the patch seeded cardiac stem cells of Example 1 it can be seen that the fibrotic area is significantly reduced (Fig. 22 (a)). In addition, in the case of implanting the patch seeded with the heart stem cells of Example 1, LV anterior wall thickness was confirmed to be thicker than the heart of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cell-free patch was implanted (FIG. 22). (b)).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9: 패치의 두께 및 밀도 차이에 따른 세포 이동 효과 확인 9: Confirmation of Cell Migration Effect by Different Thickness and Density of Patch

배향성을 가지는 실시예 2에 따른 패치의 두께 및 밀도 차이에 따른 심근 재생 효과를 확인하였다. Myocardial regener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ickness and density of the patch according to Example 2 having the orientation was confirmed.

실시예 2의 지지체에 물리적 힘을 추가로 가해 밀도가 약 5배 정도 감소된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14.5 g/cm3에서 2.7 g/cm3으로 약 5배 정도 밀도를 감소시킨 지지체와 실시예 2에 따른 패치의 세포 이동 효과를 확인하였다.An additional physical force was applied to the support of Example 2 to prepare a support having a density reduced by about five times. Specifically, the cell migration effect of the patch according to Example 2 and the support having a density reduced by about 5 times from 14.5 g / cm 3 to 2.7 g / cm 3 was confirmed.

상기 줄기세포가 시딩된 패치를 상기 실험예 4의 동물 모델의 손상된 심장에 이식하였다. 이식한 후 14일째에 심장 조직을 관찰한 결과, 지지체에 하나 이상의 양방향으로 물리적 힘을 가하여 지지체의 부피 및 서로 얽힌 고분자 섬유들 사이의 공극을 부풀리면 세포의 지지체 내부 및 조직으로의 이동 및 침투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3). 그러나, 물리적 확장을 가해 너무 부풀린 지지체에 줄기세포를 시딩한 경우, 세포가 지지체 내부로 이동하지 못하였다. 도 23은 물리적 힘을 가해 지나치게 지지체를 부풀린 패치(도 23의 오른쪽 그림)를 이식한 경우, 지지체 내부 및 조직으로 세포가 들어가지 못한 부분(흰색)이 발생함을 나타낸 것이다. The stem cell seeded patch was implanted into the damaged heart of the animal model of Experimental Example 4. Observing cardiac tissue on day 14 after implantation revealed that one or more bidirectional physical forces exerted on the support to inflate pores between the volume of the support and the intertwined polymer fibers resulted in migration and penetration of the cells into and within the suppor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increase (Fig. 23). However, when stem cells were seeded on the overblown scaffold by applying physical expansion, the cells could not migrate into the scaffold. FIG. 23 shows that a cell (white) where cells cannot enter the support and tissues is generated when a patch that inflates the support excessively by applying a physical force (Fig. 23, right) is implanted.

따라서, 적절한 두께 및 부피를 가지도록 패치를 부풀리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Thus, it can be seen that it is desirable to inflate the patch to have a suitable thickness and volum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0: 성장인자가  10: Growth factor 시딩된Seeded 패치의 심근 재생 및 혈관 생성 확인 Confirmation of Myocardial Regeneration and Angiogenesis in Patches

실시예 3에 따른 섬유형 다공성 지지체에 성장인자가 함유된 패치의 심근 재생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조군으로서 손상된 심근 조직부분에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만을 이식한 군,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에 성장인자가 함유된 패치를 이식한 군,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에 줄기세포 및 성장인자가 함유된 패치를 이식한 군으로 나누어 조직 염색을 통해 심근으로의 재생 및 혈관 생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Myocardial regeneration of the patch containing the growth factor in the fibrous porous support according to Example 3 was confirmed. Specifically, the group implanted with only the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in the damaged myocardial tissue portion, the group implanted with a patch containing the growth factor in the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the stem cells and the growth factor in the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The patch was divided into groups to be transplanted, and tissue staining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myocardium was regenerated and blood vessels were generated.

그 결과, 성장인자인 VEGF를 함유하는 패치를 이식한 군 및 VEGF와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패치를 이식한 군에서, 지지체만을 이식한 군 대비 심근으로의 재생이 향상되고(도 24), 혈관 생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도 25). 또한, 줄기세포와 성장인자를 모두 포함한 패치에서 줄기세포만을 포함한 패치에 비해 심근으로의 재생 및 혈관 생성이 증가되었다.
As a result, in the group in which the patch containing the growth factor VEGF and the group in which the patch containing the VEGF and stem cells were transplanted, regeneration into the myocardium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group in which only the support was implanted (FIG. 24), and blood vessel form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is increased (Fig. 25). In addition, the patch containing both stem cells and growth factors increased the regeneration and angiogenesis to the myocardium compared to the patch containing only stem cells.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1: 성장인자가  11: growth factor 시딩된Seeded , , 배향성을Orientation 가지는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포함하는 패치의 심근 재생 및 혈관 생성 확인 Confirmation of Myocardial Regeneration and Blood Vessel Generation in Patches Containing Porous Porous Supports

(1) 심장 줄기세포가 (1) heart stem cells 시딩된Seeded 패치의 형태학적 관찰 및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the patch and 증식율Growth rate 확인 Confirm

실시예 2의 삼차원 지지체를 포함하는 패치, 및 실시예 2의 삼차원 지지체에 VEGF를 로딩한 지지체를 포함하는 패치를 증식 배지 조성 하에서 7일간 배양하면서 1일, 5일 및 7일에 해당하는 날에 이의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26에 나타내었다.
The patch comprising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of Example 2, and the patch containing the support loaded with VEGF on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of Example 2 on the day corresponding to 1, 5 and 7 days while incubated under the growth medium composition for 7 days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또한, 상기 정해진 날짜에 CCK-8 분석을 통하여 세포수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27에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cell number was measured by CCK-8 analysis on the predetermined dat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7.

그 결과,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VEGF를 로딩한 패치의 심장 줄기세포 부착 및 증식율이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27,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diac stem cell adhesion and proliferation rate of the patch loaded with VEGF is more excellent.

(2) 성장인자 또는/및 줄기세포가 (2) growth factors or / and stem cells 시딩된Seeded 배향성을Orientation 가지는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를 이용한 패치 이식을 통한 질병 모델의 심장 기능 개선 분석 Analysis of Cardiac Function Improvement in Disease Models by Patch Transplantation Using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s

실험예 6 의 동물 모델에서, 패치 이식 후 28일째에 조직의 섬유화 면적 및 심장 두께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조군인 성장인자 및 줄기세포가 시딩되지 않은 실시예 2의 패치를 이식한 군(PLLA), 줄기세포가 시딩되지 않은 실시예 2의 삼차원 지지체에 VEGF를 로딩한 패치(PLLA/VEGF)를 이식한 군, 및 VEGF 및 심장 줄기세포를 시딩한 실시예 2의 패치(PLLA/VEGF/rCSCs)를 이식한 군에서의 효과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29에 나타내었다.
In the animal model of Experiment 6, the fibrosis area and heart thickness of the tissues were measured 28 days after patch implantation. Specifically, the control factor growth factor and the group transplanted with the patch of Example 2 without seeding the stem cells (PLLA), the patch loaded with VEGF on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of Example 2 without the seeding of the stem cells (PLLA / VEGF) The effect was confirmed in the group transplanted and the group implanted with the patch of Example 2 (PLLA / VEGF / rCSCs) seeded with VEGF and cardiac stem cell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9.

그 결과,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PLLA/VEGF 및 PLLA/VEGF/rCSCs 군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섬유화 면적이 적었으며, 좌심실 전벽 두께 역시 대조군에 비하여 두꺼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VEGF 및 심장 줄기세포를 모두 포함하는 패치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섬유화 면적이 10% 더 작았으며, 좌심실 전벽 두께의 경우, 약 1.5배가량 더 두꺼운 결과를 나타내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28, both the PLLA / VEGF and PLLA / VEGF / rCSCs group was less fibrous area than the control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of the left ventricle wall thickness was also thicker than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the patch containing both VEGF and cardiac stem cells showed a 10% smaller fibrosis area than the control group, and about 1.5 times thicker in the left ventricular wall thickness.

(3) 심장 초음파 실험을 통한 심장의 기능적 회복 확인(3) Confirmation of functional recovery of the heart through echocardiography

대조군인 성장인자 및 줄기세포가 시딩되지 않은 실시예 2의 패치를 이식한 군(PLLA), 줄기세포가 시딩되지 않은 실시예 2의 삼차원 지지체에 VEGF를 로딩한 패치(PLLA/VEGF)를 이식한 군, 및 VEGF 및 심장 줄기세포를 시딩한 실시예 2의 패치(PLLA/VEGF/rCSCs)를 이식한 군의 좌심실 구혈율(EF, ejection fraction) 및 분획 단출율(FS, fractional shortening)을 측정하여, 본 발명의 패치를 이식한 군의 심장 기능이 개선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The control group was transplanted with the patch of Example 2 without growth factor and stem cells seeded (PLLA), and the patch (PLLA / VEGF) with VEGF loaded into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of Example 2 without stem cells seeded was transplante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EF) and fractional shortening (FS) of the group and the group implanted with the patch of Example 2 (PLLA / VEGF / rCSCs) seeded with VEGF and cardiac stem cells were measured. It was confirmed whether the cardiac function of the group implanted with the patch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improved.

그 결과,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PLLA/VEGF/rCSCs 군의 경우, EF 값이 정상 범위(56-78%)에 거의 가까운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FS 값 역시 정상 범위(25-40%)에 거의 가까운 결과를 나타내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29, in the PLLA / VEGF / rCSCs group, the EF value was close to the normal range (56-78%), and the FS value was also in the normal range (25-40%). The results were almost clos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2: 이식되는 세포의 생존력 및 유지 효과 확인 12: Confirmation of viability and maintenance effect of transplanted cells

동물 모델의 손상된 심근 부위에 심장 줄기세포를 직접 주입한 군, 심장 줄기세포가 함유된 피브린 겔(fibrin gel)을 이식시킨 군, 본 발명에 따른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에 심장 줄기세포가 함유된 심장 패치를 이식시킨 군으로 나누어 이식되는 심장 줄기세포의 생존력 및 손상된 심근 조직 부위에서의 유지율을 확인하였다. A group directly injecting heart stem cells into the damaged myocardium region of the animal model, a group implanted with a fibrin gel containing heart stem cells, a heart containing heart stem cells in a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ch was divided into groups transplanted to check the viability of the transplanted cardiac stem cells and the maintenance rate at the damaged myocardial tissue site.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심장 패치를 이식한 경우, 줄기세포를 직접 주입한 군에 비해 약 4배, 피브린 겔에 줄기세포를 도입하여 이식한 군에 비해 약 9배의 세포 생존력 및 유지효과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0).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세포가 포함된 조직 재생용 패치는 손상된 조직 부위에서 생존력 및 유지 효과가 높아, 손상된 조직으로의 세포 전달이 매우 효과적인 바, 다른 조직 재생 방법에 비해 우수한 조직 재생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s a result, in the case of implanting the heart pa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 viability and maintenance effect of about 4 times compared to the group injected with stem cells directly, and about 9 times compared to the group transplanted by introducing stem cells into the fibrin gel.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increase (Fig. 30). From this, the tissue regeneration patch containing 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high viability and maintenance effect at the damaged tissue site, and thus, cell delivery to the damaged tissue is very effective, which may result in superior tissue regeneration effect compared to other tissue regeneration methods. It can be seen that.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3:  13: VEGFVEGF 유전자가  Gene 로딩된Loaded 패치의 방출 조절 확인 Check the release control of the patch

(1) (One) 트랜스펙션을Transformations 위한  for pDNApDNA 복합체로 코팅된 패치의 형태학적 관찰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Patches Coated with Composites

실시예 4의 패치에 트랙스펙션을 위한 pDNA 콤플렉스가 안정적으로 로딩되어 있는지 여부를 SEM 및 형광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It was confirmed by SEM and fluorescence microscopy whether the patch of Example 4 was loaded stably with the pDNA complex for the track specification.

그 결과,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DNA 콤플렉스를 로딩하지 않은 지지체(A)와 달리, 실시예 4의 지지체에서는 pDNA 콤플렉스가 본 발명의 섬유형 다공성 삼차원 지지체에 안정적으로 코팅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B).
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31, unlike the support (A) not loaded with the DNA complex, in the support of Example 4 it was confirmed that the pDNA complex is stably coated on the fibrous porous three-dimensional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B).

또한, 지지체에 로딩된 pDNA 콤플렉스가 세포 내에 트랙스펙션되어 세포 내에 발현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hVEGF165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진행하였다. 상기 pVEGF 콤플렉스의 트렌스펙션 여부 확인을 위하여, pVEGF 콤플렉스를 코딩시킨 지지체에, 지지체 당 5X105 세포수로 랫트 심장 줄기세포를 시딩하고,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하여 세포 부착을 유도하였다. 이때, 모든 지지체는 14일간의 조사 기간 동안 2일 마다 새로운 배지를 공급하였다. 샘플의 세포 배양액의 2일, 7일 및 14일마다 수집하였고, 이를 -70℃에서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In addition,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pDNA complex loaded on the support was track-specified in the cell and expressed in the cell. Specifically, to confirm the expression of hVEGF165 protein,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transfection of the pVEGF complex, rat cardiac stem cells were seeded at 5 × 10 5 cells per support on a support encoded with the pVEGF complex, and incubated for 2 hours to induce cell adhesion. At this time, all the supports were fed fresh medium every two days during the 14 day irradiation period. Samples were collected every 2, 7 and 14 days of cell culture and stored at -70 ° C for use.

상기 VEGF 유전자가 심장 줄기 세포에 트랙스펙션되어 있는지 여부를 형광으로 확인한 결과, 심장 줄기세포에 hVEGF165가 안정적으로 트랜스펙션되어, 핵 내로 들어가 발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도 32 오른쪽).
As a result of fluorescence checking whether the VEGF gene is track-specified in cardiac stem cells, hVEGF165 was stably transfected in cardiac stem cells, and it was found that the VEGF gene was expressed in the nucleus (Fig. 32 right).

(2) 방출 프로파일 (2) emission profile

pVEGF가 지지체로부터 방출되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pVEGF를 로딩한 지지체 3μg을 PBS(pH 7.4) 1mL, 37℃의 온도에서 14일간 인큐베이션하였다. 모든 샘플은 일정한 속도(30rpm)으로 교반하였다. 정해진 시간 간격(1시간, 6시간, 1일, 2일, 5일, 7일, 10일 및 14일)에서, 방출 배지(release medium)을 제거하고, 새롭게 갈아주었다. 제거된 배지는 원심분리한 다음, PicoGreen 시약을 형광 염료(invitrogen, Eugene, Oregon, USA)로서 사용하여 지지체로부터 방출된 pDNA의 양을 결정하였다. 방출된 pDNA의 비율은, 지지체에 로딩된 전체 pDNA의 질량과, 방출된 pDNA의 질량의 비율로서 계산하였다.
To confirm the release of pVEGF from the support, 3 μg of the pVEGF loaded support was incubated for 14 days at a temperature of 1 mL of PBS (pH 7.4) at 37 ° C. All samples were stirred at constant speed (30 rpm). At defined time intervals (1 hour, 6 hours, 1 day, 2 days, 5 days, 7 days, 10 days and 14 days), the release medium was removed and freshly ground. The removed medium was centrifuged and then the amount of pDNA released from the support was determined using PicoGreen reagent as a fluorescent dye (invitrogen, Eugene, Oregon, USA). The ratio of released pDNA was calculated as the ratio of the mass of total pDNA loaded on the support to the mass of released pDNA.

그 결과,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일 차에 20% 가량 초기 방출 후 1주간 60%까지 방출되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14일까지 최종 65% 가량의 DNA가 지지체로부터 방출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지지체를 통하여 국소적으로 유전자를 조절 방출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33, after 20 days of initial release on day 1, the result was released to 60% for one week, and the final 65% of DNA was released from the support until 14 day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ene can be locally controlled release through the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3) (3) 트랜스펙션된Transfected 심장 줄기세포에서의  Cardiac stem cells VEGFVEGF 단백질의 지속적인 발현 확인  Confirmation of Continuous Expression of Proteins

배향성을 가지는 PLLA/PLGA 지지체에 pVEGF를 코팅한 후, 심장 줄기세포를 시딩한 군(Sustained release로 명명)에서, hVEGF 단백질이 지속적으로 발현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After coating pVEGF on the oriented PLLA / PLGA scaffold,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to check whether the hVEGF protein is continuously expressed in the group seeded with heart stem cells (named Sustained release).

구체적으로, 상기 Sustained release 군과, 배향성을 가지는 PLLA/PLGA 지지체에 pVEGF가 트랜스펙션된 심장 줄기세포를 시딩한 군(Bolus delivery로 명명)의 hVEGF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서로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랫트 심장 줄기세포에 Sustained release 군과 동량의 pVEGF 콤플렉스를 주입한 다음, hVEGF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ELISA 키트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34 및 표 1에 나타내었다.Specifically,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hVEGF protein of the Sustained release group and the group seeded with pVEGF transfected heart stem cells on the oriented PLLA / PLGA scaffold (named Bolus delivery)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this end, rat heart stem cells were injected with the same amount of pVEGF complex as the Sustained release group, and the expression level of hVEGF protein was analyzed by ELISA kit,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4 and Table 1.

단위 (pg/mL) Unit (pg / mL) DayDay 0~2  0 to 2 DayDay 2~7  2 to 7 DayDay 7~14  7-14 ControlControl 356.25356.25 325.25325.25 358358 BolusBolus 29012901 10001000 598598 SustainedSustained 3444.753444.75 14561456 1128.251128.25

그 결과, 도 34 및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Sustained release 군의 지지체에 시딩된 세포가 발현하는 hVEGF 단백질은 14일간 높은 농도로 지속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Bolus delivery 군의 경우, Sustained release 군에 비하여 낮은 hVEGF 단백질의 발현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섬유형 다공성 지지체에 코팅된 pVEGF 복합체의 지속성 방출을 통하여, 세포의 장기적인 트랜스펙션 및 트랙스펙션된 물질의 지속적 발현을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ure 34 and Table 1, the hVEGF protein expressed in the cells seeded on the support of the Sustained release group was sustained at a high concentration for 14 days. On the other hand, the bolus delivery group showed lower expression of hVEGF protein than the sustained release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stained release of the pVEGF complex coated on the fibrous porous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ead to long-term transfection of cells and sustained expression of the tracked material.

Claims (18)

서로 이격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얽힌 솜털(fluffy) 형태의 삼차원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표면 또는 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세포, 약물, 생리활성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구비한, 조직 재생용 패치.
A fluffy three-dimensional support in which biodegradable polymer fi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And a cell, a drug, a bioactive substance, or a combination thereof contained in or on the surface or the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지지체는, 서로 이격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얽힌 솜털(fluffy) 형태의 특성으로 인해, 부착된 조직의 팽창 또는 수축에 연동하여 가역적으로 1차원적, 2차원적 또는 3차원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것인 조직 재생용 패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uffy form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fi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reversible one-dimensional, two-dimensional in conjunction with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the attached tissue Or a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that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in three dimensions.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이격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얽힌 솜털(fluffy) 형태의 삼차원 지지체는 목적 조직에 직접 부착이 가능한 것인 조직 재생용 패치.
The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uffy three-dimensional support in which the biodegradable polymer fi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is directly attachable to the target tiss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지지체는, 서로 이격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얽힌 솜털(fluffy) 형태의 특성으로 인해, 하나 이상의 양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해 전체 부피 및 서로 얽힌 고분자 섬유들 사이의 공극을 부풀릴 수 있는 것인 조직 재생용 패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fluffy form of the biodegradable polymer fi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pplying one or more physical forces in both directions between the total volume and intertwined polymer fibers A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that can inflate voi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지지체 내 도입된 세포가 증식됨에 따라 전체 부피 및 서로 얽힌 고분자 섬유들 사이의 공극 크기가 조절되는 것인 조직 재생용 패치.
The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re size between polymer fibers intertwined with the total volume is controlled as the cells introduced into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are expan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의 두께는 50 ㎛ 이상 1.5 ㎝ 이하인 것인 조직 재생용 패치.
The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tch has a thickness of 50 µm or more and 1.5 c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지지체는 공극의 직경이 50 ㎛ 이상 300 ㎛ 이하인 것인 조직 재생용 패치.
The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has a pore diameter of 50 µm or more and 300 µ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지지체는 50 내지 90%의 공극률을 보유하는 것인 조직 재생용 패치.
The patch of claim 1,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has a porosity of 50-9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차원 지지체는 섬유길이 방향의 분포도가 무작위적이지 아니하고 일정한 배향성이 부여된 것인 조직 재생용 패치.
The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support is not random in the fiber length direction and is given a constant orien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은 심장, 간, 피부, 골, 신경, 또는 췌장인 것인 조직 재생용 패치.
The patch of claim 1, wherein the tissue is heart, liver, skin, bone, nerve, or pancrea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의 두께는 0.5 내지 3.5 mm인 것인 조직 재생용 패치.
The patch of claim 10, wherein the patch has a thickness of 0.5 to 3.5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용 패치.
The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lls are stem ce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조직 재생에 관여하는 유전자, 줄기세포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유전자 또는 재생 단백질인 것인 조직 재생용 패치.
The patch for regenerating tissue of claim 1, wherein the drug is a gene involved in tissue regeneration, a gen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tem cells, or a regeneration protei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단백질은 혈관 내피 성장 인자인 (VEGF)-A, VEGF-A, VEGF-B, VEGF-C, VEGF-D, VEGF-E, 뉴로필린, (FGF)-1, FGF-2 (bFGF), FGF-3, FGF-4, FGF-5, FGF-6, 안지오포이에틴 1, 안지오포이에틴 2, 에리쓰로포이에틴, BMP-2,BMP-4, BMP-7, TGF-베타, IGF-1, 오스테오폰틴, 플레이오트로핀, 액티빈, 엔도쎌린-1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조직 재생용 패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regenerative protein is (VEGF) -A, VEGF-A, VEGF-B, VEGF-C, VEGF-D, VEGF-E, neurophylline, (FGF) -1, FGF-2 (bFGF), FGF-3, FGF-4, FGF-5, FGF-6, Angiopoietin 1, Angiopoietin 2, Erythropoietin, BMP-2, BMP-4, BMP -7, TGF-beta, IGF-1, osteopontin, iotropin, activin, endorphin-1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ssue regeneration pa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트산(P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엘-락트산(PLLA), 폴리(D,L-락트산-co-글리콜산)(poly(D,L-lactide-co-glycolide); PLGA), 폴리(카프로락톤), 디올/디애시드계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아미드/폴리에스테르-우레탄 등의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성 고분자인 것인 조직 재생용 패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iodegradable polymer is polylactic acid (PLA), polyglycolic acid (PGA), polyel-lactic acid (PLLA), poly (D, L-lactic acid-co-glycolic acid) (poly (D, L-lactide-co-glycolide); biodegradable aliphatic polyesters such as PLGA), poly (caprolactone), diol / diacid based aliphatic polyester, polyester-amide / polyester-urethane, and poly (valerolactone) And at least one synthetic poly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 (hydroxybutyrate) and poly (hydroxy valerate).
(a) 생분해성 고분자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방사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방사액을 방사기를 이용하여 방사함과 동시에 상기 유기용매를 휘발시켜 생분해성 고분자 섬유들이 서로 이격 가능하면서 서로 얽힌 지지체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제조된 지지체에 하나 이상의 양방향으로 물리적인 힘을 가해 전체 부피 및 서로 얽힌 고분자 섬유들 사이의 공극을 부풀려 솜털 형태의 지지체를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지지체에 세포, 약물, 생리활성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도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직 재생용 패치의 제조방법.
(A) dissolving the biodegradable polymer alone or mixed in an organic solvent to prepare a spinning solution;
(b) spinning the spinning solution using a spinning machine and simultaneously volatilizing the organic solvent to prepare a support in which biodegradable polymer fibe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ntangled with each other;
(c) applying one or more bidirectional physical forces to the prepared support to inflate pores between the entire volume and intertwined polymeric fibers to provide a downy support; And
(d) introducing a cell, a drug, a bioactive substance or a combination thereof into the support, a method for producing a tissue regeneration patch.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기는 전기 방사기인 것인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emitter is an electrospinn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지지체의 두께를 50 ㎛ 이상 1.5 ㎝ 이하로 확장시키는 것인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in step (c),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is expanded to 50 cm or more and 1.5 cm or less.

KR1020130066172A 2012-06-08 2013-06-10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comprising fibrous 3-dimensional scaffold KR10154084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1818 2012-06-08
KR1020120061818 2012-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153A true KR20130138153A (en) 2013-12-18
KR101540845B1 KR101540845B1 (en) 2015-07-31

Family

ID=4971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172A KR101540845B1 (en) 2012-06-08 2013-06-10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comprising fibrous 3-dimensional scaffol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0845B1 (en)
WO (1) WO2013183976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4880A (en) * 2019-09-27 2019-11-19 中国医学科学院生物医学工程研究所 A kind of artificial langerhans ' islet or artificial pancrea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1041842B2 (en) 2016-02-23 2021-06-22 Noul Co., Ltd. Culturing patch, culturing method, culture test method, culture test device, drug test method, and drug test device
CN114225106A (en) * 2021-12-23 2022-03-25 广东工业大学 Porous nanofiber biological membrane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US11360005B2 (en) 2016-02-23 2022-06-14 Noul Co., Ltd. Contact-type patch, stain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6507A1 (en) * 2016-02-23 2017-08-31 노을 주식회사 Culture patch, culture method,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cultur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medicine
US10018615B2 (en) 2016-03-08 2018-07-10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Three-dimensional electronic scaffold for cardiac applications
CN108079378B (en) * 2017-12-22 2020-09-18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Organic/inorganic composite myocardial patch material with active ion release function and nano struc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00073787A (en) 2018-12-14 2020-06-24 글라드아이 주식회사 Biocompatible porous bio-patches in which stem cells are cultured
CN111714248A (en) * 2020-05-08 2020-09-29 南开大学 Vascular stent for promoting rapid cell proliferation and extracellular matrix deposition and acellular matrix artificial blood vessel
CN111785446A (en) * 2020-08-11 2020-10-16 广东工业大学 Two-dimensional material-based cardiac pacemaker connecting wi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2210888B (en) * 2020-10-23 2021-06-25 中原工学院 Polylactic acid elastic non-woven material beneficial to tissue regenera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454631B1 (en) * 2022-03-02 2022-10-14 이하민 Cosmetic including stem cell-derived ingredi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9873B2 (en) * 2001-02-02 2005-05-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thod of forming micro-tubular polymeric materials
KR100496354B1 (en) * 2002-03-27 2005-06-20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Hybrid Grafts Including Biodegradable Polymer Supporting Layer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100571478B1 (en) * 2003-10-28 2006-04-17 이승진 Fibrous porous support made of biodegradable 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100564366B1 (en) * 2003-11-19 2006-04-0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Nonwoven nanofibrous membranes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and their fabrication method
KR100875189B1 (en) * 2005-08-26 2008-12-1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brous three-dimensional porous support for tissue regeneration using electrospinning and its preparation method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1842B2 (en) 2016-02-23 2021-06-22 Noul Co., Ltd. Culturing patch, culturing method, culture test method, culture test device, drug test method, and drug test device
US11208685B2 (en) 2016-02-23 2021-12-28 Noul Co., Ltd. Diagnostic method and device performing the same
US11360005B2 (en) 2016-02-23 2022-06-14 Noul Co., Ltd. Contact-type patch, stain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366043B2 (en) 2016-02-23 2022-06-21 Noul Co., Ltd. Contact-type patch, stain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385144B2 (en) 2016-02-23 2022-07-12 Noul Co., Ltd. Antibody-providing kit, antibody-containing patch, method and device for immunoassay using the same
US11740162B2 (en) 2016-02-23 2023-08-29 Noul Co., Ltd. Contact-type patch, stain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808677B2 (en) 2016-02-23 2023-11-07 Noul Co., Ltd. Polymerase chain reaction patch,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s using the same
US11898947B2 (en) 2016-02-23 2024-02-13 Noul Co., Ltd. Diagnostic method and device performing the same
CN110464880A (en) * 2019-09-27 2019-11-19 中国医学科学院生物医学工程研究所 A kind of artificial langerhans ' islet or artificial pancrea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4225106A (en) * 2021-12-23 2022-03-25 广东工业大学 Porous nanofiber biological membrane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845B1 (en) 2015-07-31
WO2013183976A1 (en)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845B1 (en)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comprising fibrous 3-dimensional scaffold
Zhuang et al. Bioprinting of 3D in vitro skeletal muscle models: A review
Sepantafar et al. Stem cells and injectable hydrogels: synergistic therapeutics in myocardial repair
Qazi et al. Biomaterials based strategies for skeletal muscle tissue engineering: existing technologies and future trends
Wolf et al. Naturally derived and synthetic scaffolds for skeletal muscle reconstruction
Tian et al. Biomaterials to prevascularize engineered tissues
Ravichandran et al. Poly (glycerol sebacate)/gelatin core/shell fibrous structure for regeneration of myocardial infarction
Wang et al. Cellular cardiomyoplasty and cardiac tissue engineering for myocardial therapy
Prabhakaran et al. Biomimetic material strategies for cardiac tissue engineering
Serpooshan et al. The effect of bioengineered acellular collagen patch on cardiac remodeling and ventricular function post myocardial infarction
Kenar et al. Design of a 3D aligned myocardial tissue construct from biodegradable polyesters
US11045500B2 (en) Tissue engineering construct comprising fibrin
US20190060517A1 (en) Scaffold for cardiac patch
Qasim et al. Current research trends and challenges in tissue engineering for mending broken hearts
Ravichandran et al. Minimally invasive cell-seeded biomaterial systems for injectable/epicardial implantation in ischemic heart disease
Georgiadis et al. Cardiac tissue engineering: renewing the arsenal for the battle against heart disease
Dunn et al. Biomimetic materials design for cardiac tissue regeneration
KR101226629B1 (en) Patch for tissue regeneration comprising fibrous 3-dimensional scaffold
Leor et al. Renovation of the injured heart with myocardial tissue engineering
Biazar Application of polymeric nanofibers in soft tissues regeneration
Xu et al. Biomaterial property-controlled stem cell fates for cardiac regeneration
Feiner et al.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of functional cardiac muscle
Biazar Application of polymeric nanofibers in medical designs, part II: neural and cardiovascular tissues
Liu et al. Decellularized extracellular matrix materials for treatment of ischemic cardiomyopathy
Chen et al. Using cell-seeded electrospun patch for myocardial injury: in-vitro and in rat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