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724A - 위생 무게중심 주방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위생 무게중심 주방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724A
KR20130127724A KR1020120051461A KR20120051461A KR20130127724A KR 20130127724 A KR20130127724 A KR 20130127724A KR 1020120051461 A KR1020120051461 A KR 1020120051461A KR 20120051461 A KR20120051461 A KR 20120051461A KR 20130127724 A KR20130127724 A KR 20130127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kitchen
container
mount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윤
Original Assignee
이세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윤 filed Critical 이세윤
Priority to KR1020120051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7724A/ko
Publication of KR20130127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원은 주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음식의 조리 등에 사용되는 주방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원의 제 1 측면은, 손잡이부(10); 상기 손잡이부(10)와 연계되며, 'S' 자 형태의 굴곡부를 포함하는 몸체부(20); 및, 상기 몸체부와 연계되는 조리부(30):를 포함하는, 주방 조리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의하면 국자 등의 주방 조리기구를 사용하는 도중에 주방 조리기구를 잠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싱크대 등의 바닥면에 놓더라도 주방 조리기구에 묻은 음식이 바닥면에 묻지도 않고, 바닥면의 오염원이 주방 조리기구에 묻지 않아 위생상의 안전함을 제공하고, 별도의 받침접시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리를 위한 주방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위생 무게중심 주방 조리기구 {KITCHEN TOOL HAVING PRINSIPLE OF CENTER OF MASS}
본원은 주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음식의 조리 등에 사용되는 주방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조리에 사용되는 국자, 주걱, 스패츌라, 기름솔, 또는 뒤집게 등의 주방 조리기구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는 일자형의 몸체부, 및 몸체부의 끝단에 장착되고 음식을 떠 담거나 뒤집고 퍼는 조리부로 형성되어 있고, 보관을 위해 상기 손잡이부 상단에 천공된 홀을 편의에 따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인 주방 조리기구의 형태이다.
그러나, 종래의 이와 같은 주방 조리기구는, 주방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도중에 양념을 준비하거나 다른 음식을 준비하는 동안 주방 조리기구를 싱크대 위에 그대로 올려 놓고 또는 조리 중인 음식이 담긴 용기에 넣어 놓은 상태에서 음식 조리를 위한 다른 일을 보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주방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음식의 조리 도중에 주방 조리기구를 바닥에 놓여진 상태의 사진으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조리기구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음식을 조리하던 도중 종래의 주방 조리기구를 싱크대 등의 바닥면에 놓게 되면 주방 조리기구의 조리부가 싱크대 등의 바닥면과 접촉하게 되는 결과 위생상의 큰 문제점이 있는데, 이런 문제점은 매우 빈번하게 일어나지만 조리를 하는 동안의 다른 음식을 준비해야 하는 주부들에게는 신경도 쓸 시간 없이 그냥 지나치게 되고, 설사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시 등을 이용하여 싱크대 바닥위에 접시를 올려 놓고, 그 접시 위에 주방 조리기구를 올려 놓는다고 하더라도 다양한 주방 조리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같은 접시 위에 음식이 서로 섞이는 문제점이 있고 이용에 불편함이 항시 존재 한다.
한편, 국자와 같은 주방 조리기구는 냄비에 있는 국을 실시간으로 옮겨 담기 위해 냄비 속에 국자를 담궈 놓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국자의 길이가 냄비의 폭과 깊이보다 작은 경우에는 국자가 음식물 속에 침지되어 위생상에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6-0019736 호(이하 '비교대상발명 1' 이라 함)는, 도 2에서와 같이 용기에 담겨진 국물을 다른 용기로 옮기기 위한 국자에 있어서, 상기 국물이 담겨지는 용기부(2)와; 상기 용기부를 지탱하기 위해 소정 길이로 형성된 지지부(3)와; 상기 지지부에 연장되어 일단부위에 형성되는 손잡이(4)와; 그리고 상기 지지부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테두리 부분에 걸려지는 고정 걸이(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자(1)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비교대상발명 1은 고정 걸이부가 'ㄱ' 자 형태로 국자를 싱크대 바닥면에 올려 놓는 경우 바닥면의 이물질이 조리부 또는 상기 용기부(2)에 묻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더불어, 국자, 주걱, 스패츌라, 기름솔, 또는 뒤집게 등의 주방 조리기구의 보관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싱크대 벽면 또는 내부 측면에 홀더를 포함하여 거치시키는 방법으로 보관되고 있으나, 보관 시 항상 조리부가 벽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점과 거부감은 항상 존재하고 있다.
웰빙의 요청에 의해 음식의 조리의 전 과정에서 위생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음에도 음식을 조리하는 주부 또는 조리사의 무의식적 분주함과 싱크대 위에 접시 등을 올려 놓을 수 없는 공간상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더불어, 음식을 조리한 후 주방 조리기구를 보관하는 일체적인 흐름 속에서 위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냄비 등에 항상 거치 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리기구가 냄비 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주방 조리기구에 대한 제시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나, 아직 이에 대한 대안은 없는 실정이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한 것으로서, 음식의 조리 시 사용되는 국자 등의 주방 조리기구를 사용하는 측면에서, 음식이 담긴 용기의 상주연에 국자 등의 주방 조리기구를 거치시켜도 용기 내로 침지되거나 용기 밖으로 떨어지지 않으며, 싱크대 등의 바닥면에 놓은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주방 조리기구의 조리부에 묻은 음식이 싱크대 등의 바닥면과 접촉하지 않아 위생상 안전하며,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주방 조리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국자 등의 주방 조리기구의 보관 시 싱크대 서랍함의 보관에서 발생하는 조리부의 바닥면과의 접촉상의 위생문제 또는 벽에 장착하여 홀더를 이용하여 보관하는 경우에서의 벽면과의 접촉상의 위생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주방 조리기구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제 1 측면은,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계되며, 'S' 자 형태의 굴곡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계되는 조리부:를 포함하는, 주방 조리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 자 형태의 굴곡부는, 조리부측 방향에 위치하며 용기내벽에 지지되는 내측지지부; 상기 내측지지부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용기 상주연 또는 보관행거에 거치되는 제 1 거치부; 상기 제 1 거치부에서 조리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용기외벽에 지지되는 외측지지부; 및, 상기 외측지지부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바닥면과 접촉되는 몸체바닥접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거치부 변곡점의 수선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지지부의 변곡점과 상기 외측지지부의 변곡점 사이의 법선 거리 D는, -5 ≤ D ≤ 10 mm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주방 조리기구는, 상기 'S' 자 형태의 굴곡부가 조리부측 방향에 위치하며 용기내벽에 지지되는 내측지지부; 상기 내측지지부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용기 상주연 또는 보관행거에 거치되는 제 1 거치부; 상기 제 1 거치부에서 조리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용기외벽에 지지되는 외측지지부; 및, 상기 외측지지부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바닥면과 접촉되는 몸체바닥접촉부:를 포함하고, 관계식 : P1 > P2 을 만족하는 {여기서, P1 = (제 1 거치부의 변곡점에서 용기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조리부측의 무게중심까지의 길이)× (제 1 거치부의 변곡점에서 용기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조리부측의 조리기구 무게) 이며, P2 = (제 1 거치부의 변곡점에서 용기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손잡이부측의 무게중심까지의 길이)× (제 1 거치부의 변곡점에서 용기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손잡이부측의 조리기구 무게) 임} 주방 조리기구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주방 조리기구는, 상기 'S' 자 형태의 굴곡부가 조리부측 방향에 위치하며 용기내벽에 지지되는 내측지지부; 상기 내측지지부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용기 상주연 또는 보관행거에 거치되는 제 1 거치부; 상기 제 1 거치부에서 조리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용기외벽에 지지되는 외측지지부; 및, 상기 외측지지부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바닥면과 접촉되는 몸체바닥접촉부:를 포함하고, 관계식 : P3 < P4 을 만족하는 {여기서, P3 = (몸체 바닥접촉부의 접촉점에서 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조리부측의 무게중심까지의 길이)× (몸체 바닥접촉부의 접촉점에서 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조리부측의 조리기구 무게) 이며, P4 = (몸체 바닥접촉부의 접촉점에서 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손잡이부측의 무게중심까지의 길이)× (몸체 바닥접촉부의 접촉점에서 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손잡이부측의 조리기구 무게) 임} 주방 조리기구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부위에 'ㄱ' 형상의 제 2 거치부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상기 주방 조리기구를 거치시키는 주방 조리기구 거치대로서,
거치대바닥부: 상기 거치대바닥부 양측에서 상향으로 위치하는 거치지지부; 상기 거치지지부의 일측에서 거치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며, 주방 조리기구의 조리부를 받치는 조리부거치부; 상기 거치지지부의 상부에서 거치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며, 주방 조리기구의 제 1 거치부 또는 제 2 거치부를 받치는 사다리꼴 파형의 제 1 상단거치부; 및, 상기 거치지지부의 상부에서 거치지지부를 상호연결하되 상기 제 1 상단거치부와 평행선 상에 위치하고, 주방 조리기구의 제 1 거치부 또는 제 2 거치부를 받치며 상기 제 1 상단거치부의 사디리꼴 파형과 상하 대칭인 사다리꼴 파형의 제 2 상단거치부:를 포함하는, 주방 조리기구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의하면 국자 등의 주방 조리기구를 사용하는 도중에 주방 조리기구를 잠시 사용하지 않는 경우 싱크대 등의 바닥면에 놓더라도 주방 조리기구에 묻은 음식이 바닥면에 묻지도 않고, 바닥면의 오염원이 주방 조리기구에 묻지 않아 위생상의 안전함을 제공하고, 별도의 받침접시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리를 위한 주방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음식이 담긴 용기의 상주연에 주방 조리기구를 거치시키더라도 용기 내로 주방 기기가 침지되거나, 밖으로 떨어지지 않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용기의 상주연에 거치시킬 수 있어, 빈번히 국자 등의 주방 조리기구를 사용할 필요성 있는 사용자에 대해 편리함과 위생상의 안전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주방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음식의 조리 도중에 주방 조리기구를 바닥에 놓여진 상태의 사진
도 2 는 종래의 국자 등의 주방 조리기구의 예시도
도 3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주방 조리기구의 사시도
도 4 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원의 주방 조리기구를 냄비의 상주연에 거치시킨 상태의 사진 및 거치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무게중심을 이용한 거치원리 설명도
도 6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무게중심을 이용한 바닥에 놓인 상태의 평형 설명도
도 7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제 2 거치부를 포함한 주방용기의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
도 8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원의 주방 조리기구를 거치시킬 수 있는 주방 조리기구 거치대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9 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원의 주방 조리기루를 주방 조리기구 거치대에 거치한 상태의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전에" 또는 "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또는 어느 장치와 "연계"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장치)가 다른 단계(장치)와 직접 연동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두 단계 사이에 또 다른 단계가 존재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 는 "∼를 위한 단계" 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구현예를 통해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주방 조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주방 조리기구' 의 의미는, 조리에 사용되는 국자, 주걱, 스패츌라, 기름솔, 또는 뒤집게 등과 같이 조리부, 몸체부, 및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음식을 뒤집거나, 퍼거나, 누르거나, 거르는 등의 요리작업을 할 때 사용될 수 있는 기구를 의미하며, 상기 열거된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 을 참조하여 본원을 설명하면, 본원의 제 1 측면은, 손잡이부(10); 상기 손잡이부(10)와 연계되며, 'S' 자 형태의 굴곡부(21)를 포함하는 몸체부(20); 및, 상기 몸체부와 연계되는 조리부(30):를 포함하는, 주방 조리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0)는 주방 조리기구를 손으로 파지하는 부위로서 다양한 형태와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구현될 수 있는 일체의 것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시적인 구현예로서 상기 손잡이부는 일자형, 굴곡형 등일 수 있고, 그 재질은 스테인레스, 실리콘, 열경화성수지, 고무, 나무 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리부(30)는 음식을 퍼거나, 뒤집거나 기타의 조리행위 시 음식과 접촉되는 부위로서, 그 형태는 반원형의 국자형태, 납작한 형태, 체형태, 포크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몸체부(20)는 상기 손잡이부(10)와 연계되며, 'S' 자 형태의 굴곡부(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원의 주방 조리기구를 냄비의 상주연에 거치시킨 상태의 사진 및 거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상기 몸체부(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 자 형태의 굴곡부는, 조리부측 방향에 위치하며 용기내벽(41)에 지지되는 내측지지부(100); 상기 내측지지부(100)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용기 상주연(43) 또는 보관행거(도시 안함)에 거치되는 제 1 거치부(200); 상기 제 1 거치부(200)에서 조리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용기외벽(42)에 지지되는 외측지지부(300); 및, 상기 외측지지부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바닥면과 접촉되는 몸체바닥접촉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거치부 변곡점(A)의 수선(B)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지지부의 변곡점(M)과 상기 외측지지부의 변곡점(N) 사이의 법선 거리 D 는, -5 ≤ D ≤ 10 mm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내측지지부의 변곡점(M)은 냄비 등의 용기내벽(41)에 접해질 수 있는 부위이며, 상기 외측지지부의 변곡점(N)은 용기외벽(42)에 접해질 수 있는 부위를 의미한다.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S' 자 형태의 굴곡부는 스테인레스 스틸, 열경화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열경화성 수지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지니고 있는데, 상기 내측지지부의 변곡점(M)과 외측지지부의 변곡점(N) 사이의 법선 거리 D 는 -5 ≤ D ≤ 1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D 가 -5 mm 라는 의미는 외측지지부의 변곡점(N)이 내측지지부의 변곡점(M) 의 법선거리 쪽으로 더 들어간 것을 의미하는데, 이 경우 몸체부의 재질인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열경화성 수지 등이 지니는 탄성으로 인해 용기의 상주연에 걸치면서 그 탄성에 의해 용기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주방 조리기구가 거치될 수 있다. 이 때, 법선 거리 D 가 -5 mm 미만인 경우에는 주방 조리기구를 용기의 상주연에 거치시키기 어려운 문제점 또는 몸체부 재질인 스테인레스 스틸이나 열경화성 수지가 지니는 복원력을 잃게 되어 몸체부가 휘어져 버리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법선 거리 D 가 10 mm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기의 상주연에 거치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수 있음에 수치한정의 의의가 있다.
한편, 상기 법선 거리 D 가 -5 ≤ D ≤ 10 mm 인 경우 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법선 거리 D 가 10 mm 를 초과하는 경우에서도 본원의 주방 조리기구가 용기의 외주연(43)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시소의 평형원리에서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시소의 평형관계식은 아래의 (식 1) 과 같이 정의(그림 (1) 참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식 1) ----- L1 × m1 = L2 × m2
이 때, m1 은 중심점(a)의 좌측에서의 전체질량이며, L1 은 중심점(a)으로 부터 좌측의 전체질량의 무게중심점(Zm1) 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m2 는 중심점(a)의 우측에서의 전체질량이며, L2 은 중심점(a)으로 부터 우측의 전체질량의 무게중심점(Zm2) 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 관계를 유지하는 경우에 시소는 평형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를 본원에 반영한 것으로서, 도 5 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무게중심을 이용한 거치원리 설명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 자 형태의 굴곡부는, 조리부측 방향에 위치하며 용기내벽에 지지되는 내측지지부(100); 상기 내측지지부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용기 상주연(43) 또는 보관행거(미도시)에 거치되는 제 1 거치부(200); 상기 제 1 거치부에서 조리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용기외벽에 지지되는 외측지지부(300); 및, 상기 외측지지부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바닥면과 접촉되는 몸체바닥접촉부(400):를 포함하고, 관계식 : P1 > P2 을 만족하는 {여기서, P1 = (제 1 거치부의 변곡점(A)에서 용기바닥면에 대한 법선(B)에서 조리부측의 무게중심(S11)까지의 길이(L11)× (제 1 거치부의 변곡점(A)에서 용기바닥면에 대한 법선(B)에서 조리부측의 조리기구 무게(W11)) 이며, P2 = (제 1 거치부의 변곡점(A)에서 용기바닥면에 대한 법선(B)에서 손잡이부측의 무게중심(S21)까지의 길이(L21))× (제 1 거치부의 변곡점(A)에서 용기바닥면에 대한 법선(B)에서 손잡이부측의 조리기구 무게(W21)) 임}인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법선 거리 D 가 10 mm 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냄비의 상주연에 거치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여 거치되는 원리를 요약하면, L11 × W11 > L21 × W21 의 관계를 유지하여야 하며, 상기 관계식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주방용기가 용기 내부 또는 외부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음에 파라미터 정의의 의의가 있다.
도 6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무게중심을 이용한 바닥에 놓인 상태의 평형 설명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S' 자 형태의 굴곡부는, 조리부측 방향에 위치하며 용기내벽에 지지되는 내측지지부; 상기 내측지지부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용기 상주연 또는 보관행거에 거치되는 제 1 거치부; 상기 제 1 거치부에서 조리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용기외벽에 지지되는 외측지지부; 및, 상기 외측지지부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바닥면과 접촉되는 몸체바닥접촉부:를 포함하고, 관계식 : P3 < P4 을 만족하는, {여기서, P3 = (몸체 바닥접촉부의 접촉점(B)에서 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조리부측의 무게중심(S12)까지의 길이(L12))× (몸체 바닥접촉부의 접촉점(B)에서 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조리부측의 조리기구 무게(W12)) 이며, P4 = (몸체 바닥접촉부의 접촉점(B)에서 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손잡이부측의 무게중심(S22)까지의 길이(L22))× (몸체 바닥접촉부의 접촉점에서 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손잡이부측의 조리기구 무게(W22)) 임}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앞서 설명한 시소의 평형관계식 및 그 원리와 같은 내용이며, 본원에서 이를 도 6 을 참조로 하여 요약하면, L12 × W12 < L22 × W22 의 관계를 유지하여야 하며, 상기 관계식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주방용기의 조리부가 싱크대 등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위생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음에 파라미터 정의의 의의가 있다.
도 7 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제 2 거치부를 포함한 주방용기의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며,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는 손잡이부(10)와 연결되는 부위에 'ㄱ' 형상의 제 2 거치부(50)를 추가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의 (b) 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거치부(50)는 낮은 형태의 음식 용기에서 주방 조리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거치부를 용기의 상주연에 거치시킬 수 있는 편리함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원의 주방 조리기구를 거치시킬 수 있는 주방 조리기구 거치대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9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원의 주방 조리기루를 주방 조리기구 거치대에 거치한 상태의 사진이다.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본원을 설명하면, 본원의 제 2 측면은, 상기 주방 조리기구를 거치시키는 주방 조리기구 거치대로서, 거치대바닥부(510): 상기 거치대바닥부 양측에서 상향으로 위치하는 거치지지부(520); 상기 거치지지부의 일측에서 거치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며, 주방 조리기구의 조리부를 받치는 조리부거치부(530); 상기 거치지지부의 상부에서 거치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며, 주방 조리기구의 제 1 거치부 또는 제 2 거치부를 받치는 사다리꼴 파형의 제 1 상단거치부(540); 및, 상기 거치지지부의 상부에서 거치지지부를 상호연결하되 상기 제 1 상단거치부와 평행선 상에 위치하고, 주방 조리기구의 제 1 거치부(도 4의 200) 또는 제 2 거치부(도 7의 50)를 받치며 상기 제 1 상단거치부의 사디리꼴 파형과 상하 대칭인 사다리꼴 파형의 제 2 상단거치부(550):를 포함하는, 주방 조리기구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상기 주방 조리기구 거치대는 스테인레스스틸, 플라스틱, 나무 등의 다양한 종류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거치대바닥부(510)는 거치대를 지지하며, 제조단가의 차원 및 공간 활용성의 면에서 타원형의 형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거치지지부(520)는 상기 조리부거치부(530), 제 1 거치부(540) 또는 제 2 거치부(55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조리부거치부(530)는 본원의 주방 조리기구의 조리부(도 3의 30, 및 도 9 참조)가 거치되는 곳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대 바닥부가 타원인 경우 장축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수평이 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의 (a)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리부거치부(530)가 타원 형태의 거치대 바닥부의 장축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과 수평이 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주방 조리기구의 'S' 자 형태의 굴곡부가 상기 제 1 상단거치부(540) 또는 제 2 상단거치부(550)에 거치되는데, 상기 제 1 상단거치부(540) 및 제 2 상단거치부(550)는 서로 평행의 구조를 지니면서 앞서 설명한 주방 조리기구의 'S' 자 형태의 굴곡부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지니기 때문에, 주방 조리기구가 거치된 경우 매우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 및 도 9를 계속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 1 상단거치부(540)는 상기 거치지지부(530)의 상부에서 거치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며, 주방 조리기구의 제 1 거치부(도 4의 100) 또는 제 2 거치부(도 7의 50)를 받치는 사다리꼴 파형의 형태를 지닐 수 있으며, 하기에서 설명할 제 2 상단거치부(550)와의 수평적 위치를 지님과 동시에 제 2 상단거치부(550)와의 간격이 주방 조리기구의 'S' 자 형태의 굴곡부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지녀 공간 효율적으로 주방조리기구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상단거치부(550)는 상기 거치지지부의 상부에서 거치지지부(530)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제 1 상단거치부(540)와 평행선 상에 위치하고, 주방 조리기구의 제 1 거치부(도 4의 200) 또는 제 2 거치부(도 7의 50)를 받치며 상기 제 1 상단거치부(540)의 사디리꼴 파형과 상하 대칭인 사다리꼴 파형을 지니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상단거치부와의 간격과 평형적 위치, 그리고 조리부 거치부의 위치에 맞게 공간 효율적으로 주방조리기구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이상, 구현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10 : 손잡이부 20 : 몸체부
30 : 조리부 100 : 내측 지지부
200 : 제 1 거치부 300 : 외측 지지부
400 : 몸체바닥접촉부 510 : 거치대바닥부
520 : 거치지지부 530 : 조리부거치부
540 : 제 1 상단거치부 550 : 제 2 상단거치부

Claims (6)

  1.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계되며, 'S' 자 형태의 굴곡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연계되는 조리부:를 포함하는,
    주방 조리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 자 형태의 굴곡부는, 조리부측 방향에 위치하며 용기내벽에 지지되는 내측지지부;
    상기 내측지지부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용기 상주연 또는 보관행거에 거치되는 제 1 거치부;
    상기 제 1 거치부에서 조리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용기외벽에 지지되는 외측지지부; 및,
    상기 외측지지부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바닥면과 접촉되는 몸체바닥접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거치부 변곡점의 수선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지지부의 변곡점과 상기 외측지지부의 변곡점 사이의 법선 거리 D는, -5 ≤ D ≤ 10 mm 인 것인,
    주방 조리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 자 형태의 굴곡부는, 조리부측 방향에 위치하며 용기내벽에 지지되는 내측지지부;
    상기 내측지지부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용기 상주연 또는 보관행거에 거치되는 제 1 거치부;
    상기 제 1 거치부에서 조리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용기외벽에 지지되는 외측지지부; 및,
    상기 외측지지부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바닥면과 접촉되는 몸체바닥접촉부:를 포함하고,
    관계식 : P1 > P2 을 만족하는,
    {여기서, P1 = (제 1 거치부의 변곡점에서 용기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조리부측의 무게중심까지의 길이)× (제 1 거치부의 변곡점에서 용기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조리부측의 조리기구 무게) 이며, P2 = (제 1 거치부의 변곡점에서 용기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손잡이부측의 무게중심까지의 길이)× (제 1 거치부의 변곡점에서 용기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손잡이부측의 조리기구 무게) 임}
    주방 조리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 자 형태의 굴곡부는, 조리부측 방향에 위치하며 용기내벽에 지지되는 내측지지부;
    상기 내측지지부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용기 상주연 또는 보관행거에 거치되는 제 1 거치부;
    상기 제 1 거치부에서 조리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용기외벽에 지지되는 외측지지부; 및,
    상기 외측지지부에서 손잡이부 방향으로 변곡되어 바닥면과 접촉되는 몸체바닥접촉부:를 포함하고,
    관계식 : P3 < P4 을 만족하는,
    {여기서, P3 = (바닥접촉부의 접촉점에서 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조리부측의 무게중심까지의 길이)× (바닥접촉부의 접촉점에서 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조리부측의 조리기구 무게) 이며, P4 = (바닥접촉부의 접촉점에서 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손잡이부측의 무게중심까지의 길이)× (바닥접촉부의 접촉점에서 바닥면에 대한 법선에서 손잡이부측의 조리기구 무게) 임}
    주방 조리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부위에 'ㄱ' 형상의 제 2 거치부를 추가 포함하는 것인,
    주방 조리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주방기구를 거치시키는 주방 조리기구 거치대로서,
    거치대바닥부:
    상기 거치대바닥부 양측에서 상향으로 위치하는 거치지지부;
    상기 거치지지부의 일측에서 거치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며, 주방기구의 조리부를 받치는 조리부거치부;
    상기 거치지지부의 상부에서 거치지지부를 상호 연결하며, 주방기구의 제 1 거치부 또는 제 2 거치부를 받치는 사다리꼴 파형의 제 1 상단거치부; 및,
    상기 거치지지부의 상부에서 거치지지부를 상호연결하되 상기 제 1 상단거치부와 평행선 상에 위치하고, 주방기구의 제 1 거치부 또는 제 2 거치부를 받치며 상기 제 1 상단거치부의 사디리꼴 파형과 상하 대칭인 사다리꼴 파형의 제 2 상단거치부:를 포함하는,
    주방 조리기구 거치대.
KR1020120051461A 2012-05-15 2012-05-15 위생 무게중심 주방 조리기구 KR20130127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461A KR20130127724A (ko) 2012-05-15 2012-05-15 위생 무게중심 주방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461A KR20130127724A (ko) 2012-05-15 2012-05-15 위생 무게중심 주방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724A true KR20130127724A (ko) 2013-11-25

Family

ID=4985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461A KR20130127724A (ko) 2012-05-15 2012-05-15 위생 무게중심 주방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77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153B1 (ko) * 2014-02-24 2014-10-22 김태곤 주방용 조리기구
KR20180064176A (ko) 2016-12-05 2018-06-14 (주)효성피엔지 주방용 조리기구
KR102225121B1 (ko) 2019-09-17 2021-03-09 오성신 조리기구 손잡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153B1 (ko) * 2014-02-24 2014-10-22 김태곤 주방용 조리기구
KR20180064176A (ko) 2016-12-05 2018-06-14 (주)효성피엔지 주방용 조리기구
KR102225121B1 (ko) 2019-09-17 2021-03-09 오성신 조리기구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2636B1 (en) Angel hair pasta basket
US20150164268A1 (en) Combination Lid and Utensil Holder
US10165893B2 (en) Cookware item with spoon receiving recess
CA2489633A1 (en) Food handling implement
KR20130127724A (ko) 위생 무게중심 주방 조리기구
US20110031361A1 (en) Utensil holder
US20140008315A1 (en) Holder for cookware and cooking utensils
CN203059159U (zh) 支架茶壶
WO2013177066A1 (en) Cookware article having utensil supporting means
KR20180125197A (ko) 뾰족 국자
JP2011139880A (ja) 調理器具置き器
US11191379B2 (en) Device for securing utensils to serveware
EP1683455B1 (en) Food handling implement
CN204245892U (zh) 防甩出式快速翻炒锅
CN217610678U (zh) 一种具有容纳流下液体的立式厨具及厨具配件
CN220937817U (zh) 铲勺与烹饪器具
JP2019170449A (ja) 調理用鍋
CN215738569U (zh) 一种大型食堂用调味品刻度营养勺
CN217592574U (zh) 固定筷子和勺子的锅盖钮及锅盖
CN214317857U (zh) 一种厨具支架及厨具
CN204467836U (zh) 多功能扣盖辅件、扣盖及其盖把
KR200245650Y1 (ko) 만곡재치턱이 설치된 조리기구
KR200427590Y1 (ko) 미끄럼 방지 스테인리스 국자
CN207220724U (zh) 一种多功能火锅汤勺
JP3042326U (ja) 調理器具用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