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5005A -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5005A
KR20130125005A KR1020120048354A KR20120048354A KR20130125005A KR 20130125005 A KR20130125005 A KR 20130125005A KR 1020120048354 A KR1020120048354 A KR 1020120048354A KR 20120048354 A KR20120048354 A KR 20120048354A KR 20130125005 A KR20130125005 A KR 20130125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r
serving cell
drx
subframe
pdc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범
안재현
허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048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5005A/ko
Priority to PCT/KR2013/004003 priority patent/WO2013168993A1/ko
Publication of KR20130125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5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2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명세서는 DRX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DRX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머의 값의 증가를 결정하는 서빙셀에서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포함하는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타이머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DRX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PDCCH 서브프레임을 각 서빙셀 수준에서 정의하고, 각 서빙셀 수준에서 정의되는 PDCCH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지속시간 타이머 값의 증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DRX 타이머의 운용 방식이 명확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CONTINUOUS RECEPTION IN 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무선자원(radio resource)은 일반적으로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 시간 영역 및 코드영역에서 정의된다. 무선통신에서는 단말(user equipment: UE)과 기지국(base station: BS)이 각각 주어진 무선자원을 이용하여야 한다.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무선경로를 상향링크(uplink)라 하며,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는 무선경로를 하향링크(downlink)라 한다. 한편, 하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자원과,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자원이 겹치지 않도록 구분하는 방식이 필요한데, 이러한 방식을 듀플렉스(duplex)라고 한다.
서로 다른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한 다중접속기술(multiple access scheme)에서와 마찬가지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구분은 주파수, 시간 및 코드 영역에서 가능하다. 듀플렉스 방식은 크게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주파수로 구분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과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시간으로 구분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나뉜다. TDD 방식은 단방향(uni-directional) 통신만이 허용되는 반-듀플렉스(half-duplex) 방식 중 하나이다.
FDD 방식에서는 주파수 영역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구분되므로, 기지국과 단말간의 데이터의 전송이 각 링크에서 시간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DD 방식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주파수를 대칭적으로 할당하고 있어, 음성통화와 같은 대칭형 서비스(symmetric service)에 적절하여 많이 사용되었으나, 최근들어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비대칭형 서비스(asymmetric service)에는 TDD 방식이 적합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TDD 방식은 상향링크, 하향링크에 서로 다른 비율의 시간 슬롯을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비대칭형 서비스에 적합하다는 이점이 있다. TDD 방식의 또 다른 장점으로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송수신되므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채널 상태가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신호를 수신하면 바로 채널상태를 추정할 수 있어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기술등에 적합하다. TDD 방식은 전체 주파수 대역을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로 사용하되, 시간영역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분하고 있으므로, 일정 시간 동안은 상향링크로 사용하고, 또 다른 일정 시간 동안은 하향링크로 사용하므로 기지국과 단말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은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의미한다. 반송파 집성이란 조각난 작은 대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로 주파수 영역에서 물리적으로 비연속적인(non-continuous) 다수 개의 밴드를 묶어 논리적으로 큰 대역의 밴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은 주파수 영역에서 구별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들을 지원한다. 요소 반송파는 상향링크에 사용되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하향링크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가 합쳐져 하나의 서빙셀(serving cell)이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만으로 하나의 서빙셀이 구성될 수도 있다.
TDD 방식에 있어서, 서로 같은 밴드(intra-band)의 서빙셀들이 집성되는 경우, 각 서빙셀에는 동일한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uplink/downlink configuration)이 할당된다. 이는 같은 밴드내의 서빙셀들간에는 주파수 간격이 가깝기 때문에 서로 다른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할당되는 경우 서빙셀들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반면, 서로 다른 밴드(inter-band)의 서빙셀들이 집성되는 경우, 각 서빙셀에는 서로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할당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임의의 서브프레임이 제1 서빙셀에 대해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일 수 있으나, 제2 서빙셀에 대해서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단말이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operation)이 이러한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수행되는지에 관하여 아직까지 정해진 바가 없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서빙셀이 단말에 구성된 경우, 활동 시간(active time)을 카운팅(counting)하는 기준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서빙셀의 관점에서 정의되는 PDCCH 서브프레임의 개념을 기반으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기반의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DRX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DRX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타이머의 시작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가 진행 중인 활동 시간(active time) 동안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하는(monitor) 단계, 및 상기 타이머의 값의 증가를 결정하는 서빙셀(serving cell)에서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포함하는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타이머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시간 분할 듀플렉스 기반의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DRX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DRX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타이머의 시작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타이머가 진행 중인 활동 시간 동안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하는 DRX 동작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DRX 동작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의 값의 증가를 결정하는 서빙셀에서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포함하는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타이머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타이머의 값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PDCCH 서브프레임을 각 서빙셀 수준에서 정의하고, 각 서빙셀 수준에서 정의되는 PDCCH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지속시간 타이머 값의 증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DRX 타이머의 운용 방식이 명확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프레임 구조의 다른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구성되는 서빙셀들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밴드간 반송파 집성시 서빙셀들간에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의 차이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DRX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지속구간 타이머가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지속구간 타이머가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지속구간 타이머가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DRX 비활동 타이머가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DRX 재전송 타이머가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DRX 재전송 타이머가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DRX 동작을 위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에 의한 DRX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단말에 의한 DRX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기지국에 의한 DRX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과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설명하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해당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시스템(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네트워크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해당 무선 네트워크에 결합한 단말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 채널을 전송한다'라는 의미는 특정 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채널은 일례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혹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특정한 셀(cell)(15a, 15b, 15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섹터라고 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기지국(11)은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femto) 기지국, 가내 기지국(Home nodeB), 릴레이(relay)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셀은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단말(12;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11)에서 단말(12) 방향의 전송링크(transmission link)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2)에서 기지국(11) 방향으로의 전송링크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2)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11)의 일부분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FDMA),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은 복수의 반송파가 지원되는 통신방식으로서, 스펙트럼 집성 또는 대역폭 집성(bandwidth aggregation)이라고도 한다. 반송파 집성에 의해 묶이는 개별적인 단위 반송파를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라고 한다. 각 요소 반송파는 대역폭과 중심 주파수로 정의된다. 반송파 집성은 증가되는 수율(throughput)을 지원하고, 광대역 RF(radio frequency) 소자의 도입으로 인한 비용 증가를 방지하고,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20MHz 대역폭을 갖는 반송파 단위의 그래뉼래리티(granularity)로서 5개의 요소 반송파가 할당된다면, 최대 100MHz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이다.
반송파 집성은 주파수 영역에서 연속적인 요소 반송파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인접(contiguous) 반송파 집성과 불연속적인 요소 반송파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비인접(non-contiguous) 반송파 집성으로 나눌 수 있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집성되는 반송파들의 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 수와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 수가 동일한 경우를 대칭적(symmetric) 집성이라고 하고, 그 수가 다른 경우를 비대칭적(asymmetric) 집성이라고 한다.
요소 반송파들의 크기(즉 대역폭)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70MHz 대역의 구성을 위해 5개의 요소 반송파들이 사용된다고 할 때, 5MHz 요소 반송파(carrier #0)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1)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2) + 20MHz 요소 반송파(carrier #3) + 5MHz 요소 반송파(carrier #4)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이라 함은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인접 반송파 집성 및/또는 비인접 반송파 집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대칭적 집성 또는 비대칭적 집성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다. 서빙셀(serving cell)은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multiple component carrier system)에 기반하여 반송파 집성에 의해 집성될 수 있는 요소 주파수 대역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서빙셀에는 주서빙셀(primary serving cell: PCell)과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 SCell)이 있다. 주서빙셀은 RRC 연결(establishment) 또는 재연결(re-establishment) 상태에서, 보안입력(security input)과 NAS 이동 정보(mobility information)을 제공하는 하나의 서빙셀을 의미한다. 단말의 성능(capabilities)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셀이 주서빙셀과 함께 서빙셀의 집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을 부서빙셀(secondary serving cell)이라 한다. 하나의 단말에 구성되는 서빙셀의 집합은 하나의 주서빙셀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의 주서빙셀과 적어도 하나의 부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주서빙셀은 항상 활성화되는(activated) 반면, 부서빙셀은 특정 조건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는 서빙셀이다. 상기 특정 조건은 기지국의 활성화/비활성화 지시자를 수신하였거나 단말내의 비활성화 타이머가 만료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활성화는 트래픽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행해지거나 준비 상태(ready state)에 있는 것을 말한다. 비활성화(deactivation)는 트래픽 데이터와 상기 트래픽 데이터에 대한 제어정보의 송신 또는 수신이 불가능하고, 측정이나 최소 정보의 송신/수신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주요소 반송파(DL PCC)라 하고, 주서빙셀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주요소 반송파(UL PCC)라 한다. 또한, 하향링크에서,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하향링크 부요소 반송파(DL SCC)라 하고, 상향링크에서, 부서빙셀에 대응하는 요소 반송파를 상향링크 부요소 반송파(UL SCC)라 한다. 하나의 서빙셀에는 하향링크 요소 반송파만이 대응할 수도 있고, DL CC와 UL CC가 함께 대응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프레임 구조의 다른 예이다. 이는 TDD 무선 프레임 구조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두 개의 하프프레임(half-frame)을 포함한다. 각 하프프레임의 구조는 동일하다. 하프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과 3개의 필드(field)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DwPTS), 보호구간(Guard Period) 및 UpPTS(Uplink Pilot Time Slot)을 포함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표 1은 무선 프레임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UL/DL configuration)의 일 예를 나타낸다.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하나의 무선 프레임내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reserved) 서브프레임 및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예약된 서브프레임을 정의한다. 즉,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하나의 무선프레임내의 모든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와 하향링크가 어떠한 규칙에 의해 할당(또는 예약)되는지를 알려준다.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전환시점 주기
서브프레임 번호
0 1 2 3 4 5 6 7 8 9
0 5 ms D S U U U D S U U U
1 5 ms D S U U D D S U U D
2 5 ms D S U D D D S U D D
3 10 ms D S U U U D D D D D
4 10 ms D S U U D D D D D D
5 10 ms D S U D D D D D D D
6 5 ms D S U U U D S U U D
표 1을 참조하면, 'D'는 서브프레임이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내고, 'U'는 서브프레임이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낸다. 'S'는 특별 서브프레임으로서, 서브프레임이 특별한 용도로 쓰임을 나타내며, 프레임 동기(sync)를 맞추거나, 또는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하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을 간단히 하향링크 서브프레임(downlink subframe)이라 하고,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서브프레임을 간단히 상향링크 서브프레임(downlink subframe)이라 한다. 각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마다 하나의 무선 프레임내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배치(position) 및 개수가 서로 다르다.
하향링크에서 상향링크로 변경되는 시점 또는 상향링크에서 하향링크로 전환되는 시점을 전환시점(switching point)이라 한다. 전환시점의 주기성(Switch-point periodicity)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과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전환되는 양상이 동일하게 반복되는 주기를 의미하며, 5ms 또는 10ms 이다. 예를 들어,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에서 보면, 0번째부터 4번째 서브프레임까지 D->S->U->U->U로 전환되고, 5번째부터 9번째 서브프레임까지 이전과 동일하게 D->S->U->U->U로 전환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ms이므로, 전환시점의 주기성은 5ms이다. 즉, 전환시점의 주기성은 하나의 무선 프레임 길이(10ms)보다 적으며, 무선 프레임내에서 전환되는 양상이 1회 반복된다.
표 1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시스템 정보를 통해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은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바뀔 때마다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의 인덱스만을 전송함으로써 무선 프레임의 상향링크-하향링크 할당상태의 변경을 단말에 알려줄 수 있다. 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방송정보로서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을 통해 셀내의 모든 단말에 공통으로 전송되는 제어정보일 수 있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은 주서빙셀 및/또는 부서빙셀등과 같은 복수의 서빙셀들을 운용한다. 주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주서빙셀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정의한다.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부서빙셀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및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정의한다. 따라서 단말에 구성된 복수의 서빙셀들이 각기 독립적으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를 셀-특정 TDD 구성(cell-specific TDD configuration)이라 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 1에서 주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2번이고,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5번이라 하자. 이때 7번 서브프레임은 주서빙셀에 대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나, 부서빙셀에 대하여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구성되는 서빙셀들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스템 대역폭은 밴드(band) A와 B를 포함하고, 밴드 A는 주서빙셀(PCell) 및 제1 부서빙셀(SCell 1)을 포함하며, 밴드 B는 제2 부서빙셀(SCell 2) 및 제3 부서빙셀(SCell 3)을 포함한다. 주서빙셀과 제1 부서빙셀의 반송파 집성은 A 밴드 내(intra-band) 집성이다. 마찬가지로 제2 부서빙셀과 제3 부서빙셀의 반송파 집성은 B 밴드 내 집성이다. 반면, 제1 부서빙셀과 제2 부서빙셀의 반송파 집성 또는 주서빙셀과 제2 부서빙셀의 반송파 집성, 또는 주서빙셀과 제3 부서빙셀의 반송파 집성은 밴드 간(inter-band) 집성이다. 또는 제1 부서빙셀과 제3 부서빙셀의 반송파 집성 또한 밴드 간 집성이다. 밴드 내 집성시, 동일 밴드내의 서빙셀들은 모두 동일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가져야 하나, 밴드 간 반송파 집성시에는 서로 다른 밴드내의 서빙셀간에 서로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서빙셀간에 서로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전체-듀플렉스(full-duplex) 모드인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반-듀플렉스 모드인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밴드 간 집성에서 서빙셀간에 서로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동일한 밴드내에서 TDS-CDMA나 WiMAX등 다른 공존하는 TDD 시스템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저 주파수 밴드 상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이 많은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따르고, 고 주파수 밴드 상에서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들이 많은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유도함으로써 커버리지 확장에 도움을 주고, 피크 수율(peak throughput)에 영향을 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밴드간 반송파 집성시 서빙셀들간에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의 차이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이는 도 3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일 밴드에 포함되는 서빙셀들간에는 동일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적용되고, 서로 다른 밴드간에는 서로 독립적으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적용된다. 이러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밴드 특정(band-specific)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밴드 A에 포함되는 주서빙셀과 제1 부서빙셀에는 모두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번이 적용되고, 밴드 B에 포함되는 제2 부서빙셀 및 제3 부서빙셀에는 모두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1번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제1 부서빙셀과 제2 부서빙셀간에 반송파 집성이 이루어지면, 밴드간 반송파 집성이 된다. 물론 주서빙셀과 제2 부서빙셀의 반송파 집성, 주서빙셀과 제3 부서빙셀의 반송파 집성, 제1 부서빙셀과 제3 부서빙셀의 반송파 집성 또한 밴드 간 집성이다. 제1 부서빙셀과 제2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살펴보면, 4번과 9번 서브프레임은 제1 부서빙셀에서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인데 반해 제2 부서빙셀에서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다.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상 서브프레임 4번과 9번에서 서브프레임 상충(subframe conflict)이 발생한다. 서브프레임 불일치는 비교되는 2개 이상의 서빙셀에서의 서브프레임 전송방향이 다른 상황을 의미하며, 상기 4번과 9번 서브프레임은 상충 서브프레임(conflicting subframe)이라 불릴 수 있다.
듀플렉스 모드에 따라 서브프레임 불일치에 대한 단말의 동작이 다르다. 예를 들어, 전체-듀플렉스 모드인 경우 단말은 4번과 9번 서브프레임에서 제1 부서빙셀상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2 부서빙셀상으로 하향링크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반-듀플렉스 모드인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통신이 가능하므로, 단말은 4번 서브프레임에서 제1 부서빙셀과 제2 부서빙셀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고, 선택된 부서빙셀을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충 서브프레임은 기준(reference)으로 설정된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충 서브프레임에서 어떤 링크방향으로 선택하여 통신을 수행할지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이 단말로 미리 알려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말은 9번 서브프레임에서도 제1 부서빙셀과 제2 부서빙셀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고, 선택된 부서빙셀을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4번과 9번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서브프레임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구성되므로, 단말은 어느 하나의 서빙셀을 선택할 필요가 없이 모든 부서빙셀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단말의 고유한 식별자인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TPC(transmission power control)-PUCCH-RNTI, TPC-PUSCH-RNTI와 SPS(semi persistent scheduling)-RNTI를 기반으로 PDCCH의 모니터링(monitor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RNTI들 중 하나로 스크램블링(scrambled)된 PDCCH의 모니터링은 DRX 동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DRX에 관한 파라미터는 기지국이 RRC 메시지에 의해 단말로 전송해준다. 단말은 상기 RNTI들 이외에 SI(system information)-RNTI, P(paging)-RNTI 등은 상기 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관 DRX 동작과는 무관하게 항상 수신하여야 한다. 여기서 C-RNTI로 스크램블링된 PDCCH를 제외한 나머지 PDCCH들은 항상 주서빙셀의 공용검색공간(common search space)를 통해 수신된다.
단말이 RRC 연결 상태(connected state)에서 DRX 파라미터가 구성되어 있다면, 단말은 DRX 동작에 기반하여 PDCCH에 대한 불연속적인(discontinuous)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반면, 만일 DRX 파라미터가 구성되어 있지 않다면 단말은 연속적인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불연속적인 PDCCH 모니터링이란 단말이 정해진 특정한 서브프레임에서만 PDCCH를 모니터링함을 의미하고, 연속적인 PDCCH 모니터링이란 단말이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함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절차와 같은 DRX와 무관한 동작에서 PDCCH 모니터링이 필요한 경우, 단말은 해당 동작의 요구사항에 따라 PDCCH를 모니터한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DRX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DRX 동작은 DRX 사이클(cycle, 500) 단위로 반복되는데, DRX 사이클(500)은 비활동(inactivity)이 가능한 구간을 따라오는 지속구간(On Duration, 505)의 주기적인 반복으로 정의된다. 한 주기의 DRX 사이클(500)은 지속구간(505)과 DRX 기회(opportunity for DRX, 510)를 포함한다. RRC 계층에서는 DRX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몇 개의 타이머(timer)들을 관리한다. DRX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머에는 지속구간 타이머(onDurationTimer), DRX 비활동 타이머(drxInactivity Timer), DRX 재전송 타이머(drxRetransmission Timer)가 있다.
지속구간 타이머 또는 DRX 비활동 타이머 또는 DRX 재전송 타이머가 진행 중인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활동 시간(active time)이라 한다. 또는 활동 시간은 단말이 PDCCH를 모니터할 수 있는 모든 구간을 의미할 수도 있다. DRX 사이클(500)이 구성되어 있을 때, 활동 시간은 지속구간 타이머 또는 DRX 비활동 타이머 또는 DRX 재전송 타이머의 시간을 포함한다. 단말은 활동 시간 동안, PDCCH 서브프레임(PDCCH subframe)에 대해 PDCCH를 모니터한다.
DRX 동작은 단말에 구성되고 활성화된 서빙셀에 대해 수행된다. 또한 모든 서빙셀들에는 단일 DRX 동작이 적용된다. 즉, 각 서빙셀별로 DRX 동작이 따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DRX 사이클, DRX 파라미터, 타이머를 기준으로 모든 서빙셀들이 DRX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말에 구성되고 활성화된 모든 서빙셀들은 동일한 활동 시간을 가진다.
이 밖에 DRX 동작을 제어하는 파라미터로서 장기 DRX 사이클(longDRX-Cycle), DRX 개시 오프셋(drxStartOffset)이 있고, 기지국은 선택적으로 DRX 단기 사이클 타이머(drxShortCycleTimer)와 단기 DRX-사이클(shortDRX-Cycle)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 하향링크 HARQ 프로세스(process)마다 HARQ 왕복시간(round trip time: RTT) 타이머(timer)가 정의된다.
DRX 개시 오프셋은 DRX 사이클(500)이 시작되는 서브프레임을 규정한 값이다. DRX 단기 사이클 타이머는 단말이 반드시 단기 DRX 사이클을 따라야하는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정의하는 타이머이다. HARQ RTT 타이머는 단말에 의해 하향링크 HARQ 재전송이 기대되는 구간 이전의 최소 서브프레임 개수를 정의하는 타이머이다.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각 서빙셀마다 서로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전술된 상충 서브프레임의 문제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DRX 동작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DRX 동작을 위해 기지국이 구성하는 각 타이머들에 대한 동작기준이 명확히 정의되어야 한다. 따라서, DRX 동작에서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기준으로 카운트(count)되는 타이머들인 지속구간 타이머, DRX 비활동 타이머, DRX 재전송 타이머의 동작기준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를 개시한다.
먼저, PDCCH 서브프레임의 정의를 규정한다.
단일 반송파 시스템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은 PDCCH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 with PDCCH)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TDD 방식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PDCCH 서브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DwPTS 구간을 포함하는 특별 서브프레임 또한 PDCCH 서브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다. 반면, 단말이 다수의 서빙셀을 운용하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는 각 서빙셀에서 PDCCH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서브프레임 k에서, 제1 서빙셀상으로 PDCCH1이 전송되고, 제2 서빙셀상으로 PDCCH2가 전송되며, 제3 서빙셀상으로는 어떠한 PDCCH도 전송되지 않을 경우, 서브프레임 k는 제1 서빙셀과 제2 서빙셀에 대하여는 PDCCH 서브프레임이 맞지만, 제3 서빙셀에 대하여는 PDCCH 서브프레임이 아니다. 즉, 동일한 서브프레임이라도 서빙셀별로 PDCCH 서브프레임일 수도 있고, PDCCH 서브프레임이 아닐 수도 있다.
이는 TDD 방식의 시스템에서 각 서빙셀마다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다른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경우, 서브프레임 4는 주서빙셀과 제1 부서빙셀에 대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제2 부서빙셀과 제3 부서빙셀에 대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다. 따라서 서브프레임 4는 주서빙셀과 제1 부서빙셀에 대해 PDCCH 서브프레임이 아니고, 제2 부서빙셀과 제3 부서빙셀에 대해 PDCCH 서브프레임이다.
만약, 이러한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일 반송파 시스템에서와 같이 각 서빙셀별 특수성을 무시한 채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PDCCH 서브프레임 또는 비 PDCCH 서브프레임으로 정의하면, 단말은 PDCCH가 전송되지 않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에서 PDCCH를 모니터하는 기이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밴드 간 집성에서 서빙셀마다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개별적으로 정해지는 규칙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의 관점에서는 PDCCH 서브프레임이 서빙셀마다 개별적으로 결정되며, TDD 방식의 시스템에서도 PDCCH 서브프레임이 서빙셀마다 개별적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단말은 전체-듀플렉스, 반-듀플렉스와 무관하게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의 PDCCH 서브프레임에서 PDCCH를 모니터할 수 있다.
여기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PDCCH 서브프레임으로 가정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 반-듀플렉스 단말의 경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라도 상황에 따라 PDCCH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상충시 주서빙셀의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을 우선시하고 다른 부서빙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을 무시하는 것으로 약속된 경우, 부서빙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PDCCH 서브프레임이 아니다. 또는 예를 들어, PDCCH나 SPS 자원할당 기준에 따라 PDCCH를 포함하지 않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PDCCH 서브프레임이 아니다. 반면, 전체-듀플렉스 단말의 경우,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PDCCH 서브프레임이다.
또한, 비활성화된 서빙셀의 경우, 해당 서빙셀의 모든 서브프레임은 PDCCH 서브프레임이 될 수 없다. 왜냐하면 단말은 비활성화된 서빙셀에 대한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자원할당 제어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PDCCH, 즉 C-RNTI로 스크램블링 되어 있으며 상기 비활성화된 서빙셀을 위해 설정된 단말특정검색공간(UE-specific search space)을 모니터링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의 관점에서 정의되는 PDCCH 서브프레임을 기반으로,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의 지속구간 타이머, DRX 비활동 타이머, DRX 재전송 타이머의 동작을 개시한다.
1. 지속구간 타이머(on duration timer)
지속구간 타이머는 DRX 사이클의 시작에 의해 시작된다. 즉, 지속구간 타이머의 시작시점은 DRX 사이클의 시작시점과 일치한다. 지속구간 타이머의 값은 일정 조건이 만족될 때에 1씩 증가하며, 지속구간 타이머 값이 미리 설정된 제1 만료 값과 같아지는 때에 만료된다. 지속구간 타이머 값이 제1 만료 값과 같아지기 전까지는 지속구간 타이머는 유효하게 진행된다.
이때 지속구간 타이머 값이 어떠한 조건으로 증가하는지가 문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반송파 시스템 하에서 지속구간 타이머는 연속적인(consecutive) PDCCH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명시하므로, 매 PDCCH 서브프레임마다 지속구간 타이머 값이 1씩 증가한다. 그런데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 하에서는 각 서빙셀마다 PDCCH 서브프레임이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조건으로 지속구간 타이머 값이 증가하는지 결정될 필요가 있다. 지속구간 타이머 값이 증가하는 조건이 다름은 결국 지속구간 타이머의 정의가 다름을 의미할 수 있다. 지속구간 타이머의 정의가 다름은 또한 지속구간 타이머의 동작 방식이 다름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지속구간 타이머의 동작 방식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개시한다.
(1) 일 예로서,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지속구간 타이머 값은, 현재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된 경우, 1만큼 증가할 수 있다. 즉, 현재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모든 서빙셀에 걸쳐 PDCCH 서브프레임이 하나도 없으면, 지속구간 타이머 값은 직전 서브프레임에서의 값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지속구간 타이머는 DRX 사이클의 시작을 기점으로, 단말에 구성된 서빙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된 서빙셀에 대해 연속적인(consecutive) 또는 누적적인(accumulative) PDCCH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명시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은 단말에 구성되고, 활성화된 서빙셀인 것을 전제로 한다. 구체적인 동작 방식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지속구간 타이머가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에 주서빙셀(PCell)과 부서빙셀(SCell)이 구성된 상태이다.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은 모두 활성화된 서빙셀이다. TDD 방식의 시스템으로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에는 각각 서로 다른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이 할당된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주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번(conf 0)이 할당되고, 부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3번(conf 3)이 할당된다. 주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서브프레임 0번에서 다음 무선 프레임내의 서브프레임 5번까지 D->S->U->U->U->...->U->D와 같이 형성된다. 부서빙셀의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은, 서브프레임 0번에서 다음 무선 프레임내의 서브프레임 5번까지 D->S->U->U->U->D->D->D->D->D->...->U->D와 같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나 특별 서브프레임은 PDCCH 서브프레임이라 간주한다.
DRX 사이클의 주기가 8ms이고, 지속시간 타이머에 관한 제1 만료 값은 psf3으로 설정되었다고 하자. 서브프레임 0번에서 DRX 사이클이 시작하면, 이와 함께 지속시간 타이머도 시작한다. 지속시간 타이머의 시작으로써 단말은 활동 시간에 진입하며, 단말은 활동 시간동안에 PDCCH 서브프레임에 대해 PDCCH를 모니터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0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모두 PDCCH 서브프레임이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1이 된다.
서브프레임 1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특별 서브프레임으로서, 모두 PDCCH 서브프레임이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1만큼 증가하여 2가 된다. 서브프레임 2, 3, 4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모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모두 PDCCH 서브프레임이 아니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계속 2로 유지된다. 물론, 활동 시간은 계속 진행된다.
서브프레임 5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모두 PDCCH 서브프레임이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1만큼 증가하여 3이 된다.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이 3이면 이는 제1 만료 값 psf3과 같으므로, 지속시간 타이머가 만료되고, 활동 시간도 끝난다. 그런데 아직 DRX 사이클 주기가 끝나지 않았으므로 나머지 서브프레임 6, 7번에서 단말은 비활동 시간으로 진입한다. 한편, 서브프레임 7번에서 DRX 사이클 8ms 주기가 끝나므로, 첫 번째 DRX 사이클이 끝난다.
서브프레임 8번에서 두 번째 DRX 사이클이 시작되는데, 이때 마찬가지로 지속시간 타이머가 시작한다. 이때에도 제1 만료 값은 psf3이다. 지속시간 타이머의 시작으로써 활동 시간도 시작되며, 활동 시간 동안에 단말은 매 PDCCH 서브프레임에서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서브프레임 8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고, 부서빙셀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된다. 주서빙셀에서는 PDCCH 서브프레임이 없으나, 부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므로,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1이 된다.
서브프레임 9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고, 부서빙셀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된다. 이는 서브프레임 8번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2가 된다.
다음 무선 프레임내의 서브프레임 0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에서 모두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된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3이 된다.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이 3이면 이는 제1 만료 값 psf3과 같으므로, 지속시간 타이머가 만료되고, 활동 시간도 끝난다. 그런데 아직 DRX 사이클 주기가 끝나지 않았으므로 서브프레임 1, 2, 3, 4, 5번에서 단말은 비활동 시간으로 진입한다.
(2) 다른 예로서,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지속구간 타이머는, 현재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단말에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된 경우, 1만큼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현재 서브프레임에서 모든 서빙셀에 걸쳐 하나만이라도 PDCCH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 지속구간 타이머는 직전 서브프레임에서의 값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지속구간 타이머는 DRX 사이클의 시작을 기점으로, 단말에 구성된 모든 활성화된 서빙셀에 대해 연속적인 또는 PDCCH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명시한다. 구체적인 동작 방식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지속구간 타이머가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에 주서빙셀(PCell)과 부서빙셀(SCell)이 구성된 상태이다.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은 모두 활성화된 서빙셀이다. TDD 방식의 시스템으로서, 주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번(conf 0)이 할당되고, 부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3번(conf 3)이 할당된다.
DRX 사이클의 주기가 8ms이고, 지속시간 타이머에 관한 제1 만료 값은 psf3으로 설정되었다고 하자. 서브프레임 0번에서 DRX 사이클이 시작하면, 이와 함께 지속시간 타이머도 시작한다. 지속시간 타이머의 시작으로써 단말은 활동 시간에 진입하며, 단말은 활동 시간동안에 PDCCH 서브프레임에 대해 PDCCH를 모니터할 수 있다.
먼저 서브프레임 0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모두 PDCCH 서브프레임이다. 이는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1이 된다.
서브프레임 1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특별 서브프레임으로서, 모두 PDCCH 서브프레임이다. 이는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1만큼 증가하여 2가 된다. 서브프레임 2, 3, 4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모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모두 PDCCH 서브프레임이 아니다. 이는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계속 2로 유지된다. 물론, 활동 시간은 계속 진행된다.
서브프레임 5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모두 PDCCH 서브프레임이다. 이는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1만큼 증가하여 3이 된다.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이 3이면 이는 제1 만료 값 psf3과 같으므로, 지속시간 타이머가 만료되고, 활동 시간도 끝난다. 그런데 아직 DRX 사이클 주기가 끝나지 않았으므로 나머지 서브프레임 6, 7번에서 단말은 비활동 시간으로 진입한다. 한편, 서브프레임 7번에서 DRX 사이클 8ms 주기가 끝나므로, 첫 번째 DRX 사이클이 끝난다.
서브프레임 8번에서 두 번째 DRX 사이클이 시작되는데, 이때 마찬가지로 지속시간 타이머가 시작한다. 이때에도 제1 만료 값은 psf3이다. 지속시간 타이머의 시작으로써 활동 시간도 시작되며, 활동 시간 동안에 단말은 매 PDCCH 서브프레임에서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서브프레임 8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고, 부서빙셀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된다. 부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나, 부서빙셀에서는 PDCCH 서브프레임이 없으므로,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0이 된다. 모든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에 구성되어 있지 않다고 하여, 반드시 단말이 PDCCH 모니터링을 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의 증가와 PDCCH의 모니터링은 별개의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빙셀에서라도 PDCCH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면,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변하지 않더라도 단말은 해당 PDCCH 서브프레임을 모니터할 수 있다. 이는 활동 시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또는, 하나의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있다 하더라도 모든 서빙셀에 대해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은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단말의 성능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반-듀플렉스 단말의 경우 상향링크 전송과 하향링크 수신을 동시에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서브프레임 9번은 8번과 마찬가지로 부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나, 부서빙셀에서는 PDCCH 서브프레임이 없으므로,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0으로 유지된다.
다음 무선 프레임내의 서브프레임 0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에서 모두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된다. 이는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1이 된다.
서브프레임 1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에서 모두 특별 서브프레임이 구성된다. 이는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2가 된다.
서브프레임 2, 3, 4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모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모두 PDCCH 서브프레임이 아니다. 이는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계속 2로 유지된다. 물론, 활동 시간은 계속 진행된다.
서브프레임 5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에서 모두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된다. 이는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3이 된다.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이 3이면 이는 제1 만료 값 psf3과 같으므로, 지속시간 타이머가 만료되고, 활동 시간도 끝난다.
도 6과 도 7의 실시예를 비교하면, DRX 사이클 내에서 활동 시간의 주기가 다름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DRX 사이클에서, 도 7의 경우에는 활동시간이 DRX 사이클 전체를 점유하나, 도 6의 경우에는 활동시간이 3개 서브프레임으로서 더 짧다. 기준을 서빙셀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활동 시간이 길어질 수도 있고, 짧아질 수도 있다. PDCCH 서브프레임을 각 서빙셀 수준에서 정의하고, 각 서빙셀 수준에서 정의되는 PDCCH 서브프레임에 기반하여 지속시간 타이머 값의 증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DRX 타이머의 운용 방식이 명확해질 수 있다.
(3) 또 다른 예로서,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지속구간 타이머는, 현재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단말에 구성된 주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된 경우, 1만큼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현재 서브프레임에서 다른 부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었다 하더라도 주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지 않은 경우, 지속구간 타이머는 직전 서브프레임에서의 값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지속구간 타이머는 DRX 사이클의 시작을 기점으로, 단말에 구성된 주서빙셀에 대해 연속적인 또는 PDCCH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명시한다. 구체적인 동작 방식은 도 8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지속구간 타이머가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에 주서빙셀(PCell)과 부서빙셀(SCell)이 구성된 상태이다.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은 모두 활성화된 서빙셀이다. TDD 방식의 시스템으로서, 주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2번(conf 2)이 할당되고, 부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번(conf 0)이 할당된다.
DRX 사이클의 주기가 8ms이고, 지속시간 타이머에 관한 제1 만료 값은 psf3으로 설정되었다고 하자. 서브프레임 0번에서 DRX 사이클이 시작하면, 이와 함께 지속시간 타이머도 시작한다. 지속시간 타이머의 시작으로써 단말은 활동 시간에 진입하며, 단말은 활동 시간동안에 PDCCH 서브프레임에 대해 PDCCH를 모니터할 수 있다.
먼저 서브프레임 0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모두 PDCCH 서브프레임이다. 이는 주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1이 된다.
서브프레임 1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특별 서브프레임으로서, 모두 PDCCH 서브프레임이다. 이는 구성된 주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1만큼 증가하여 2가 된다.
서브프레임 2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모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모두 PDCCH 서브프레임이 아니다. 이는 구성된 주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계속 2로 유지된다. 물론, 활동 시간은 계속 진행된다.
서브프레임 3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고 부서빙셀이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다. 즉, 주서빙셀에만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된다. 이는 구성된 주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1만큼 증가하여 3이 된다.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이 3이면 이는 제1 만료 값 psf3과 같으므로, 지속시간 타이머가 만료되고, 활동 시간도 끝난다. 그런데 아직 DRX 사이클 주기가 끝나지 않았으므로 나머지 서브프레임 4, 5, 6, 7번에서 단말은 비활동 시간으로 진입한다. 한편, 서브프레임 7번에서 DRX 사이클 8ms 주기가 끝나므로, 첫 번째 DRX 사이클이 끝난다.
서브프레임 8번에서 두 번째 DRX 사이클이 시작되는데, 이때 마찬가지로 지속시간 타이머가 시작한다. 이때에도 제1 만료 값은 psf3이다. 지속시간 타이머의 시작으로써 활동 시간도 시작되며, 활동 시간 동안에 단말은 매 PDCCH 서브프레임에서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서브프레임 8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고, 부서빙셀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된다. 이는 주서빙셀의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1이 된다.
이는 서브프레임 9번 및 다음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0번에서도 동일한 조건이므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은 2, 3으로 증가하며, 서브프레임 0번에서 지속시간 타이머가 만료된다.
활동 시간 동안 부서빙셀에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된 상태라면, 주서빙셀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된 상태라 하더라도 단말은 부서빙셀의 PDCCH 서브프레임을 모니터할 수 있다.
2. DRX 비활동 타이머(DRX inactivity timer)
DRX 비활동 타이머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CCH를 성공적으로 복호한 시점부터 연속적인 PDCCH 서브프레임 개수로 정의될 수 있다. 지속적인 데이터 수신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이 지속적으로 PDCCH를 모니터해야 하는 시간이다. DRX 비활동 타이머는 단말이 PDCCH 서브프레임에서 HARQ 최초 전송에 대한 PDCCH를 성공적으로 복호한 때에 시작 또는 재시작된다. PDCCH를 모니터하기 위해서는 단말이 DRX 동작 중 활동 시간에 진입한 상태여야 한다. 따라서, DRX 비활동 타이머가 시작하기 위해서는 지속시간 타이머 등에 의해 단말이 활동 시간에 진입할 것, PDCCH 서브프레임이 존재할 것, 그리고 PDCCH 디코딩에 성공할 것이 요구된다.
DRX 비활동 타이머의 값은 일정 조건이 만족될 때에 1씩 증가하며, DRX 비활동 타이머 값이 미리 설정된 제2 만료 값과 같아지는 때에 만료된다. DRX 비활동 타이머 값이 제2 만료 값과 같아지기 전까지는 DRX 비활동 타이머는 유효하게 진행된다.
이때 DRX 비활동 타이머 값이 어떠한 조건으로 시작 또는 증가하는지가 문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반송파 시스템 하에서 DRX 비활동 타이머는 PDCCH의 성공적 복호시점부터 연속적인 PDCCH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명시하므로, 매 PDCCH 서브프레임마다 DRX 비활동 타이머 값이 1씩 증가한다.
그런데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 하에서는 각 서빙셀마다 PDCCH 서브프레임이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조건으로 DRX 비활동 타이머 값이 증가하는지 결정될 필요가 있다. DRX 비활동 타이머 값이 증가하는 조건이 다름은 결국 DRX 비활동 타이머의 정의가 다름을 의미할 수 있다. DRX 비활동 타이머의 정의가 다름은 또한 DRX 비활동 타이머의 동작 방식이 다름을 의미할 수 있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DRX 비활동 타이머는 현재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된 경우로서, 단말이 PDCCH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시작한다. 또한,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DRX 비활동 타이머 값은, 현재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된 경우, 1만큼 증가한다. 다시 말하면, 현재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모든 서빙셀에 걸쳐 PDCCH 서브프레임이 하나도 없으면, DRX 비활동 타이머 값은 직전 서브프레임에서의 값을 그대로 유지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의 어떠한 서빙셀을 통해서라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모든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것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은 단말에 구성되고, 활성화된 서빙셀인 것을 전제로 한다. 이하에서 DRX 비활동 타이머의 동작 방식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개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DRX 비활동 타이머가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9를을 참조하면, 단말에 주서빙셀(PCell)과 부서빙셀(SCell)이 구성된 상태이다.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은 모두 활성화된 서빙셀이다. TDD 방식의 시스템으로서, 주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번(conf 0)이 할당되고, 부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3번(conf 3)이 할당된다.
DRX 사이클의 주기가 8ms이고, DRX 비활동 타이머에 관한 제2 만료 값은 psf3으로 설정되었다고 하자. 서브프레임 0번에서 DRX 사이클이 시작하면, 이와 함께 지속시간 타이머가 시작하고, 단말은 활동 시간으로 진입한다. 단말은 활동 시간 동안에 PDCCH 서브프레임에 대해 PDCCH를 모니터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0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모두 PDCCH 서브프레임이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또한 단말이 주서빙셀의 PDCCH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므로, DRX 비활동 타이머가 시작하며, DRX 비활동 타이머의 값은 1이 된다.
서브프레임 1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특별 서브프레임으로서, 모두 PDCCH 서브프레임이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DRX 비활동 타이머의 값은 1만큼 증가하여 2가 된다. 서브프레임 2, 3, 4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모두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모두 PDCCH 서브프레임이 아니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따라서, DRX 비활동 타이머의 값은 계속 2로 유지된다. 물론, 활동 시간은 계속 진행된다.
서브프레임 5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으로서, 모두 PDCCH 서브프레임이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DRX 비활동 타이머의 값은 1만큼 증가하여 3이 된다. DRX 비활동 타이머의 값이 3이면 이는 제2 만료 값 psf3과 같으므로, DRX 비활동 타이머가 만료되고, 활동 시간도 끝난다. 그런데 아직 DRX 사이클 주기가 끝나지 않았으므로 나머지 서브프레임 6, 7번에서 단말은 비활동 시간으로 진입한다. 한편, 서브프레임 7번에서 DRX 사이클 8ms 주기가 끝나므로, 첫 번째 DRX 사이클이 끝난다.
서브프레임 8번에서 두 번째 DRX 사이클이 시작되는데, 이때 마찬가지로 지속시간 타이머가 시작하고, 단말은 활동 시간으로 진입한다. 활동 시간이므로, 단말은 PDCCH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그런데, 서브프레임 8번에서는 단말이 PDCCH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지 않으므로, DRX 비활동 타이머가 시작되지 않는다.
서브프레임 9번에서 단말이 PDCCH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한다. 서브프레임 9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고, 부서빙셀에서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된다. 이는 서브프레임 8번과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DRX 비활동 타이머가 시작하며, DRX 비활동 타이머의 값은 1이 된다.
다음 무선 프레임내의 서브프레임 0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에서 모두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된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DRX 비활동 타이머의 값은 2가 된다.
다음 서브프레임 1번을 기준으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에서 모두 특별 서브프레임이 구성된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조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DRX 비활동 타이머의 값은 3이 된다.
DRX 비활동 타이머의 값이 3이면 이는 제2 만료 값 psf3과 같으므로, DRX 비활동 타이머가 만료되고, 활동 시간도 끝난다. 그런데 아직 DRX 사이클 주기가 끝나지 않았으므로 서브프레임 1, 2, 3, 4, 5번에서 단말은 비활동 시간으로 진입한다.
3. DRX 재전송 타이머(DRX retransmission timer)
DRX 재전송 타이머는 단말에 의해 곧 하향링크 재전송이 기대되는 PDCCH 서브프레임의 연속적인 수의 최대 값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타이머이다. DRX 재전송 타이머는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재전송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시작되는 타이머이다. 단말은 DRX 재전송 타이머가 진행 중인 동안에 HARQ 프로세스에서 재전송되는 데이터의 수신을 모니터할 수 있다. DRX 재전송 타이머의 설정은 RRC 계층의 MAC-MainConfig 메시지에 의해서 정의된다.
DRX 재전송 타이머의 값은 일정 조건이 만족될 때에 1씩 증가하며, DRX 재전송 타이머 값이 미리 설정된 제3 만료 값과 같아지는 때에 만료된다. DRX 재전송 타이머 값이 제3 만료 값과 같아지기 전까지는 DRX 재전송 타이머는 유효하게 진행되거나, 경우에 따라 중지된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 하에서는 각 서빙셀마다 PDCCH 서브프레임이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조건으로 DRX 재전송 타이머 값이 시작하거나 증가하는지 결정될 필요가 있다. DRX 재전송 타이머 값이 증가하는 조건이 다름은 결국 DRX 재전송 타이머의 정의가 다름을 의미할 수 있다. DRX 재전송 타이머의 정의가 다름은 또한 DRX 재전송 타이머의 동작 방식이 다름을 의미할 수 있다.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DRX 재전송 타이머는 전체-듀플렉스 단말의 경우 i)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되고, ii) HARQ 재전송이 진행 중인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된 경우에 시작한다. 또한,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DRX 재전송 타이머 값은, HARQ 재전송이 진행 중인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된 경우, 1만큼 증가한다. 다시 말하면, HARQ 재전송이 진행 중인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없으면, DRX 재전송 타이머 값은 직전 서브프레임에서의 값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는 HARQ 재전송 발생 여부 및 운영 동작은 각 서빙셀마다 독립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HARQ 재전송이 진행되는 서빙셀에 한정된 PDCCH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타이머를 카운트(count)하는 것이 DRX 재전송 타이머의 설계 의도에 부합되는 것이다.
반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DRX 재전송 타이머는 반-듀플렉스 단말의 경우, i)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되고, ii) HARQ 재전송이 진행 중인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며, iii) 기준 셀(reference cell)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지 않은 경우에 시작한다. DRX 재전송 타이머가 시작된 이후에, ii)와 iii)조건이 만족되면 DRX 재전송 타이머의 값이 1만큼 증가한다. 이에 따르면, 결국 현재 서브프레임 기준으로, 단말에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될 것을 요구한다.
한편,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DRX 재전송 타이머는 i) DRX 재전송 타이머가 진행 중에, ii) HARQ 재전송이 일어나는 서빙셀에서 단말이 PDCCH와 PDSCH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한 경우에 중지된다.
이와 같이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DRX 재전송 타이머의 시작 조건은 단말의 성능에 따라 달리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체-듀플렉스 단말의 경우와 반-듀플렉스 단말의 경우를 나누고 각 경우에 따른 DRX 재전송 타이머의 동작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전체-듀플렉스 단말의 DRX 재전송 타이머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DRX 재전송 타이머가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에 주서빙셀(PCell)과 부서빙셀(SCell)이 구성된 상태이다.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은 모두 활성화된 서빙셀이다. TDD 방식의 시스템으로서, 주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번(conf 0)이 할당되고, 부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3번(conf 3)이 할당된다.
서브프레임 0번의 부서빙셀상에서 단말은 PDCCH와 PDSCH를 수신한다.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지만, HARQ 동작과 관련된 부서빙셀만이 PDCCH 서브프레임으로 간주된다. PDCCH와 PDSCH이 수신에 의해, 단말의 HARQ RTT 타이머가 시작된다.
HARQ RTT 타이머는 단말이 예상하는 하향링크 재전송이 있기 전의 최소한의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특정한다. 예를 들어, FDD 시스템인 경우 HARQ RTT 타이머는 8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다. 반면 TDD 시스템인 경우 HARQ RTT 타이머는 k+4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는데, k는 하향링크 전송과 HARQ 피드백의 전송간의 인터벌로 정의된다. HARQ RTT 타이머는 하향링크 HARQ 프로세스마다 정의된다. HARQ RTT 타이머가 진행되는 동안 단말은 해당 HARQ 프로세스에 대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이 없을 것이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단말은 해당 HARQ 프로세스에 대한 수신동작을 진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만일 단말이 HARQ 프로세스 이외에 어떠한 하향링크 데이터의 수신동작을 하지 않으며 해당 서브프레임이 활동 시간에 포함되지 않는다면, 단말은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만약, 서브프레임 0번에서 PDSCH의 복호에 실패하면, 단말은 4 서브프레임 이후인 서브프레임 4번에서 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HARQ RTT 타이머는 서브프레임 7번에서 만료되고, 서브프레임 8번의 부서빙셀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므로, PDCCH 서브프레임에 해당한다. 이는 i)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되고, ii) HARQ 재전송이 진행 중인 부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됨을 만족한다. 따라서, 단말은 DRX 재전송 타이머를 시작하며, 이때 DRX 재전송 타이머의 값은 1이 된다.
서브프레임 9를 기준으로, 여전히 i)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되고, ii) HARQ 재전송이 진행 중인 부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됨을 만족한다. 따라서, DRX 재전송 타이머의 값은 2로 증가한다.
다음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0을 기준으로, 여전히 i)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되고, ii) HARQ 재전송이 진행 중인 부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됨을 만족한다. 따라서, DRX 재전송 타이머의 값은 3으로 증가한다.
서브프레임 1을 기준으로, 여전히 i)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되고, ii) HARQ 재전송이 진행 중인 부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됨을 만족한다. 따라서, DRX 재전송 타이머의 값은 4로 증가한다. 이 시점에서 DRX 재전송 타이머가 만료될 수 있는데, 동시에 단말은 PDCCH와 PDSCH를 수신하고,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DRX 재전송 타이머를 중지할 수 있다.
(2) 반-듀플렉스 단말의 DRX 재전송 타이머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DRX 재전송 타이머가 동작하는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에 주서빙셀(PCell)과 부서빙셀(SCell)이 구성된 상태이다.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은 모두 활성화된 서빙셀이다. TDD 방식의 시스템으로서, 주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0번(conf 0)이 할당되고, 부서빙셀에는 TDD 상향링크/하향링크 구성 3번(conf 3)이 할당된다.
서브프레임 0번의 부서빙셀상에서 단말은 PDCCH와 PDSCH를 수신한다.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지만, HARQ 동작과 관련된 부서빙셀만이 PDCCH 서브프레임으로 간주된다. PDCCH와 PDSCH이 수신에 의해, 단말의 HARQ RTT 타이머가 시작된다.
만약, 서브프레임 0번에서 PDSCH의 복호에 실패하면, 단말은 4 서브프레임 이후인 서브프레임 4번에서 NACK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HARQ RTT 타이머는 서브프레임 7번에서 만료된다. 이때, DRX 재전송 타이머가 시작되는 조건을 판단해 보면, 서브프레임 8번에서 주서빙셀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부서빙셀에는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된다. 즉, 서브프레임 8번은 상충 서브프레임이다. 기준 셀이 주서빙셀이라 할 때, i)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되고, ii) HARQ 재전송이 진행 중인 부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됨을 만족하나, iii) 기준 셀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지 않은 경우라는 조건을 만족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부서빙셀의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은 PDCCH 서브프레임으로 간주되지 않고, DRX 재전송 타이머도 시작되지 않는다. 서브프레임 7번과 9번도 서브프레임 8번과 마찬가지이다.
한편, 다음 무선 프레임내의 서브프레임 0번에서, 주서빙셀과 부서빙셀에 모두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된다. 따라서 i)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되고, ii) HARQ 재전송이 진행 중인 부서빙셀에서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며, iii) 기준 셀에서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지 않은 경우를 만족한다. 따라서, DRX 재전송 타이머가 시작되고, DRX 재전송 타이머의 값은 1이 된다. 이때부터 활동시간이 시작되고, 단말은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서브프레임 1을 기준으로, 여전히 i), ii), iii) 조건을 만족하므로, DRX 재전송 타이머의 값은 2로 증가한다. 이 시점에서 DRX 재전송 타이머가 만료되지는 않으나, 단말은 PDCCH와 PDSCH를 수신하고,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DRX 재전송 타이머를 중지할 수 있다. 이로써 활동시간이 종료된다.
또 다른 예로써, DRX 재전송 타이머의 시작은 i)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되고, iv) 상기 HARQ RTT 타이머가 구동된 HARQ 프로세스의 버퍼 내 데이터의 디코딩이 실패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가능하나, DRX 재전송 타이머의 카운팅은 i), ii), iii)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동작한다. 따라서 DRX 재전송 타이머는 PDCCH 서브프레임이 아니더라도 시작 가능하므로 활동 시간은 HARQ RTT 타이머가 만료된 서브프레임부터 항상 시작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DRX 동작을 위한 단말과 기지국 간의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로 DRX 구성 정보를 전송한다(S1100). DRX 구성정보는 DRX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의 집합으로서,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 DRX 비활동 타이머의 값, DRX 재전송 타이머의 값을 명시한다(specify). 한편, DRX 구성정보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ing radio bearer: SRB)와 데이터 무선 베어러(DRB)를 위한 MAC 계층의 주요 구성을 명시하는데 사용되는 RRC 메시지인 MAC-MainConfig 메시지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DRX 구성 정보는 예를 들어 아래의 표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DRX-Config ::= CHOICE {
release NULL,
setup SEQUENCE {
onDurationTimer ENUMERATED {
psf1, psf2, psf3, psf4, psf5, psf6,
psf8, psf10, psf20, psf30, psf40,
psf50, psf60, psf80, psf100,
psf200},
drx-InactivityTimer ENUMERATED {
psf1, psf2, psf3, psf4, psf5, psf6,
psf8, psf10, psf20, psf30, psf40,
psf50, psf60, psf80, psf100,
psf200, psf300, psf500, psf750,
psf1280, psf1920, psf2560, psf0-v1020,
spare9, spare8, spare7, spare6,
spare5, spare4, spare3, spare2,
spare1},
drx-RetransmissionTimer ENUMERATED {
psf1, psf2, psf4, psf6, psf8, psf16,
psf24, psf33},
} OPTIONAL -- Need OR
}
표 2를 참조하면, DRX 구성정보는 지속시간 타이머의 값을 한정하는 onDurationTimer 필드와, DRX 비활동 타이머의 값을 지시하는 drx-InactivityTimer 필드와 DRX 재전송 타이머의 값을 지시하는 drx-RetransmissionTimer 필드를 포함한다. onDurationTimer 필드는 {psf1, psf2, psf3,...psf200}의 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psf는 PDCCH 서브프레임을 의미하고, psf뒤의 숫자는 PDCCH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나타낸다. 즉, psf는 PDCCH 서브프레임의 개수로서 타이머의 만료 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onDurationTimer 필드=psf1이면, 지속시간 타이머는 DRX 사이클이 시작된 서브프레임을 포함하여 누적적으로 1개의 PDCCH 서브프레임까지 진행된 후 만료된다. 또는 onDurationTimer 필드=psf4이면, 지속시간 타이머는 DRX 사이클의 시작에서부터 누적적으로 4개의 PDCCH 서브프레임까지 진행된 후 만료된다.
drx-InactivityTimer 필드는 {psf1, psf2, psf3,...psf2560}의 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rx-InactivityTimer 필드=psf3이면, DRX 비활동 타이머는 구동된 시점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여 누적적으로 3개의 PDCCH 서브프레임까지 진행된 후 만료된다. drx-RetransmissionTimer 필드는 {psf1, psf2, psf4,...psf33}의 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rx-RetransmissionTimer 필드=psf4이면, DRX 재전송 타이머는 구동된 시점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여 누적적으로 4개의 PDCCH 서브프레임까지 진행된 후 만료된다.
단말은 DRX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DRX 관련 타이머를 설정한다(S1205). DRX 관련 타이머는 지속시간 타이머, DRX 비활성 타이머, DRX 재전송 타이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지속시간 타이머의 제1 만료 값을 psf3으로 설정하고, DRX 비활성 타이머의 제2 만료 값을 psf2로 설정하며, DRX 재전송 타이머의 제3 만료 값을 psf4로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도 6 내지 도 1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 타이머의 시작 조건과 타이머 값의 증가 조건, 중지 조건 및 만료 조건에 기반하여, DRX 사이클 내의 활동 시간을 진행하며, 활동 시간 동안 PDCCH를 모니터링한다(S1210).
활동 시간 동안 기지국은 단말에 필요한 PDCCH 서브프레임을 전송한다(S1215). PDCCH 서브프레임은 활성화된 서빙셀상에서 구성되며, 각 서빙셀마다 개별적으로 취급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단말에 의한 DRX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DRX 구성정보를 수신한다(S1300).
단말은 DRX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DRX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DRX 관련 타이머를 구동한다(S1305). 여기서, DRX 관련 타이머는 지속시간 타이머, DRX 비활동 타이머를 포함한다. 그리고 단계 S1305는 지속시간 타이머와 DRX 비활동 타이머의 시작조건이 만족되었다고 가정한다. 지속시간 타이머와 DRX 비활동 타이머가 구동되었다는 것은 단말이 DRX 사이클에서 활동 시간에 진입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말은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1310). PDCCH의 모니터링은 PDCCH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에 수행된다.
단말은 타이머 값의 증가를 결정하는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었는지 확인한다(S1315). 일 예로서, 단말에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어야 타이머 값이 증가하는 경우, 타이머 값의 증가를 결정하는 서빙셀은 단말에 구성된 모든 서빙셀이다. 따라서, 단말은 단말에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로서, 단말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어야 타이머 값이 증가하는 경우, 타이머 값의 증가를 결정하는 서빙셀은 단말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이다. 따라서, 단말은 단말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또 다른 예로서, 주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어야 타이머 값이 증가하는 경우, 타이머 값의 증가를 결정하는 서빙셀은 주서빙셀이다. 따라서, 단말은 주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단계 S1315에서 만약, 타이머 값의 증가를 결정하는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됨을 단말이 확인한 경우, 단말은 타이머 값을 1만큼 증가시킨다(S1320).
그리고 단말은 현재 서브프레임에서의 타이머의 값이 해당 타이머에 관해 미리 설정된 만료 값과 동일한지 확인한다(S1325). 만약, 상기 타이머의 값이 상기 만료 값과 동일하면, 단말은 타이머를 만료시킨다(S1330).
다시 단계 S1315에서 만약, 타이머 값의 증가를 결정하는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지 않았음을 단말이 확인한 경우, 단말은 타이머 값을 유지시키고 다음 PDCCH 서브프레임을 수신한다(S1335).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단말에 의한 DRX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DRX 구성정보를 수신한다(S1400).
단말은 DRX 구성정보에 기반하여 DRX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DRX 재전송 타이머를 구동한다(S1405). 그리고 단계 S1405는 DRX 재전송 타이머의 시작조건이 만족되었다고 가정한다. DRX 재전송 타이머가 구동되었다는 것은 단말이 DRX 사이클에서 활동 시간에 진입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말은 PDCCH 서브프레임에서 PDCCH의 모니터링을 수행한다(S1410). PDCCH의 모니터링은 PDCCH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에 수행된다.
단말은 HARQ 재전송 또는 동작을 진행하는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었는지 확인한다(S1415). 여기서, 단말의 성능에 따라 PDCCH 서브프레임이 달리 정의된다. 예를 들어, 전체-듀플렉스 단말의 경우, PDCCH 서브프레임은 도 10에 기반하여 정의되고, 반-듀플렉스 단말의 경우, PDCCH 서브프레임은 도 11에 기반하여, 주서빙셀과 상충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에 한하여 PDCCH 서브프레임으로 간주된다.
단계 S1415에서 만약, HARQ 재전송 또는 동작을 진행하는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됨을 단말이 확인한 경우, 단말은 DRX 재전송 타이머 값을 1만큼 증가시킨다(S1420).
단말은 HARQ 재전송의 수신에 성공하였는지 확인한다(S1425). 만약,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된 HARQ 하향링크 데이터(PDCCH와 PDSCH 포함)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면, 단말은 DRX 재전송 타이머를 정지시킨다(S1430). 만약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된 HARQ 하향링크 데이터(PDCCH와 PDSCH 포함)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지 못하면, 단말은 DRX 재전송 타이머 값이 제3 만료 값과 같은지 확인한다(S1440).
단계 S1440에서, 만약 DRX 재전송 타이머 값이 제3 만료 값과 같으면, 단말은 DRX 재전송 타이머를 만료시킨다(S1445). 이로써 활동 시간이 종료된다. 반면, 만약 DRX 재전송 타이머 값이 제3 만료 값과 같지 않으면, 단말은 다음 PDCCH 서브프레임을 수신한다(S1435).
다시 단계 S1415에서, 만약, HARQ 재전송 또는 동작을 진행하는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지 않거나, 구성되었다 하더라도 기준 셀의 서브프레임 상충이 발생함을 단말이 확인한 경우, 단말은 DRX 재전송 타이머 값을 유지시키고 다음 PDCCH 서브프레임을 수신한다(S1435).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기지국에 의한 DRX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부서빙셀 구성정보를 전송한다(S1500). 부서빙셀 구성정보는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에 2개 이상의 서빙셀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로서, RRC 연결 재구성(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되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은 DRX 구성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S1505). DRX 구성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표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RX 동작에 관련된 파라미터의 집합이다.
기지국은 단말에 구성되고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의 PDCCH 서브프레임상에서 PDCCH 및 PDSCH를 단말로 전송한다(S1510).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과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말(1600)은 수신부(1605), 단말 프로세서(1610) 및 전송부(1620)를 포함한다. 단말 프로세서(1610)는 다시 DRX 동작 제어부(1611) 및 데이터 생성부(1612)를 포함한다.
수신부(1605)는 DRX 구성정보, PDCCH, PDSCH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PDCCH 또는 PDSCH는 단말(1600)에 구성된 다수의 서빙셀 중 어떠한 서빙셀상에서도 수신될 수 있다.
DRX 동작 제어부(1611)는 DRX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DRX 관련 타이머를 설정한다. DRX 관련 타이머는 지속시간 타이머, DRX 비활성 타이머, DRX 재전송 타이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RX 동작 제어부(1611)는 지속시간 타이머의 제1 만료 값을 psf3으로 설정하고, DRX 비활성 타이머의 제2 만료 값을 psf2로 설정하며, DRX 재전송 타이머의 제3 만료 값을 psf4로 설정할 수 있다. DRX 동작 제어부(1611)는 도 6 내지 도 1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 타이머의 시작 조건과 타이머 값의 증가 조건, 중지 조건 및 만료 조건에 기반하여, 각 타이머를 시작하거나, 각 타이머의 값을 변경하거나, 각 타이머를 중지시키거나, 각 타이머를 만료시키며, DRX 사이클 내의 활동 시간을 관리하고, 활동 시간 동안 PDCCH를 모니터링한다.
타이머가 지속시간 타이머 또는 DRX 비활성 타이머인 경우, DRX 동작 제어부(1611)는 타이머 값의 증가에 요구되는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었는지 확인한다. 일 예로서, 단말(1600)에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어야 타이머 값이 증가하는 경우, DRX 동작 제어부(1611)는 단말(1600)에 구성된 모든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로서, 단말(1600)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어야 타이머 값이 증가하는 경우, DRX 동작 제어부(1611)는 단말(1600)에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또 다른 예로서, 주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어야 타이머 값이 증가하는 경우, DRX 동작 제어부(1611)는 주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타이머 값의 증가에 요구되는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됨을 DRX 동작 제어부(1611)가 확인한 경우, DRX 동작 제어부(1611)는 타이머 값을 1만큼 증가시킨다. 그리고 DRX 동작 제어부(1611)는 현재 서브프레임에서의 타이머의 값이 해당 타이머에 관해 미리 설정된 만료 값과 동일한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타이머의 값이 상기 만료 값과 동일하면, DRX 동작 제어부(1611)는 타이머를 만료시킨다.
다음으로, 타이머가 DRX 재전송 타이머인 경우, DRX 동작 제어부(1611)는 HARQ 재전송 또는 동작을 진행하는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단말(1600)의 성능에 따라 PDCCH 서브프레임이 달리 정의된다. 예를 들어, 전체-듀플렉스 단말의 경우, PDCCH 서브프레임은 도 10에 기반하여 정의되고, 반-듀플렉스 단말의 경우, PDCCH 서브프레임은 도 11에 기반하되, 주서빙셀과 상충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에 한하여 PDCCH 서브프레임으로 간주된다.
만약, HARQ 재전송 또는 동작을 진행하는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됨을 DRX 동작 제어부(1611)가 확인한 경우, DRX 동작 제어부(1611)는 타이머 값을 1만큼 증가시킨다.
HARQ 동작 제어부(1612)는 HARQ 재전송의 수신에 성공하였는지 확인한다. 만약, 수신부(1605)가 기지국(1650)으로부터 재전송된 HARQ 하향링크 데이터(PDCCH와 PDSCH 포함)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였음을 HARQ 동작 제어부(1612)가 확인하면, DRX 동작 제어부(1611)는 타이머를 정지시킨다. 만약 수신부(1605)가 기지국(1650)으로부터 재전송된 HARQ 하향링크 데이터(PDCCH와 PDSCH 포함)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하지 못하였음을 HARQ 동작 제어부(1612)가 확인하면, DRX 동작 제어부(1611)는타이머 값이 제3 만료 값과 같은지 확인한다.
만약 타이머 값이 제3 만료 값과 같으면, DRX 동작 제어부(1611)는 타이머를 만료시킨다. 이로써 활동 시간이 종료된다. 반면, 만약 타이머 값이 제3 만료 값과 같지 않으면, 수신부(1605)는 다음 PDCCH 서브프레임을 수신한다.
만약, HARQ 재전송 또는 동작을 진행하는 서빙셀에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지 않거나, 구성되었다 하더라도 기준 셀의 서브프레임 상충이 발생함을 DRX 동작 제어부(1611)가 확인한 경우, DRX 동작 제어부(1611)는 DRX 재전송 타이머 값을 유지시키고, 수신부(1605)는 다음 PDCCH 서브프레임을 수신한다.
전송부(1620)는 HARQ 동작 제어부(1612)에 의해 생성되는 ACK/NACK 신호를 기지국(1650)으로 전송한다.
기지국(1650)은 전송부(1655), 수신부(1660) 및 기지국 프로세서(1670)를 포함한다. 기지국 프로세서(1670)는 제어정보 생성부(1671) 및 HARQ 동작 제어부(1672)를 포함한다.
전송부(1655)는 DRX 구성정보, PDCCH, PDSCH를 단말(1600)로 전송한다.
수신부(1660)는 ACK/NACK 신호를 단말(1600)로부터 수신한다.
제어정보 생성부(1671)는 예를 들어 표 2와 같은 DRX 구성정보를 생성하여 전송부(1655)로 보낸다. 또한 제어정보 생성부(1671)는 PDCCH에 맵핑되는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HARQ 동작 제어부(1672)는 전송부(1655)가 단말(1600)로 전송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응하여 수신부(1660)가 NACK 신호를 단말(1600)로부터 수신한 경우, 해당 HARQ 프로세스 번호를 관리하고 HARQ 재전송 데이터가 최대 재전송 횟수이내에서 단말(1600)로 재전송되도록 HARQ 동작을 제어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기반의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방법에 있어서,
    DRX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DRX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타이머의 시작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가 진행 중인 활동 시간(active time) 동안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하는(monitor) 단계; 및
    상기 타이머의 값의 증가를 결정하는 서빙셀(serving cell)에서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포함하는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타이머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셀에서 상기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타이머의 값은 변경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상기 DRX 동작에 관한 DRX 사이클(cycle)이 시작될 때 상기 시작 조건이 만족되는 지속시간 타이머(onduration timer)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값의 증가를 결정하는 서빙셀은 상기 단말에 구성된 모든 서빙셀들이거나,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이거나, 주서빙셀(primary SCe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상기 단말에 의해 성공적으로 디코딩(decoding)될 때 상기 시작 조건이 만족되는 DRX 비활동 타이머(inactive timer)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값의 증가를 결정하는 서빙셀은 상기 단말에 구성된 서빙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의해 지시되는 물리 하향링크 공용채널의 재전송을 HARQ RTT(round trip time) 타이머의 만료시까지 수신하지 못한 때에 상기 시작 조건이 만족되는 DRX 재전송 타이머(retransmission timer)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값의 증가를 결정하는 서빙셀은 상기 물리 하향링크 공용채널의 재전송이 진행되는 서빙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수신 방법.
  9. 시간 분할 듀플렉스 기반의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DRX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에 있어서,
    DRX 동작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DRX 구성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타이머의 시작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를 시작하고, 상기 타이머가 진행 중인 활동 시간 동안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하는 DRX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DRX 동작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의 값의 증가를 결정하는 서빙셀에서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포함하는 PDCCH 서브프레임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타이머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타이머의 값을 변경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RX 동작 제어부는, 상기 DRX 동작에 관한 DRX 사이클이 시작될 때 상기 시작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취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DRX 동작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 구성된 모든 서빙셀들,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 및 주서빙셀(primary SCell)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타이머의 값의 증가를 결정하는 서빙셀로 취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RX 동작 제어부는,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상기 단말에 의해 성공적으로 디코딩될 때 상기 시작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취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DRX 동작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 구성된 서빙셀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빙셀을 상기 타이머의 값의 증가를 결정하는 서빙셀로 취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RX 동작 제어부는, 상기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에 의해 지시되는 물리 하향링크 공용채널의 재전송을 HARQ RTT 타이머의 만료시까지 수신하지 못한 때에 상기 시작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취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DRX 동작 제어부는, 상기 물리 하향링크 공용채널의 재전송이 진행되는 서빙셀을 상기 타이머의 값의 증가를 결정하는 서빙셀로 취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20048354A 2012-05-08 2012-05-08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30125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354A KR20130125005A (ko) 2012-05-08 2012-05-08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PCT/KR2013/004003 WO2013168993A1 (ko) 2012-05-08 2013-05-08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354A KR20130125005A (ko) 2012-05-08 2012-05-08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5005A true KR20130125005A (ko) 2013-11-18

Family

ID=4955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354A KR20130125005A (ko) 2012-05-08 2012-05-08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125005A (ko)
WO (1) WO2013168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7138A1 (zh) * 2017-12-27 2019-07-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管理定时器的方法和终端设备
CN113038630B (zh) * 2021-03-03 2022-09-06 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一种基于大数据的信息收集分析方法及***
BR112023026133A2 (pt) * 2021-06-16 2024-03-1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étodo e aparelho para iniciar um temporizador de recepção descontínua,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e, meio de armazenamento de computad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8521B2 (en) * 2008-03-14 2013-07-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Behavior for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and MAC control elements for LTE DRX operations
US8606336B2 (en) * 2008-03-20 2013-12-10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timing synchronization in conjunction with discontinuous reception
KR101642309B1 (ko) * 2008-11-06 2016-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KR101717522B1 (ko) * 2009-04-27 2017-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94760A (ko) * 2010-02-17 2011-08-24 주식회사 팬택 다수의 요소 반송파를 운영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활성/비활성 지시 메시지 송신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8993A1 (ko)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297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KR20140014544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418806B1 (ko) 비연속적 수신 설정 방법 및 시스템
US10455503B2 (en) Method for monitoring down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216249B1 (ko) 무선 자원의 용도 변경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0781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1702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694535B2 (en) Uplink transmiss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RU2687958C2 (ru)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между устройствам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того
WO2016064194A9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200382B1 (en) Monitoring method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and device for same
TWI592049B (zh) 在長期演進技術載波聚合中之副分量載波未來排程
WO2014209040A1 (ko) 무선 자원의 용도 변경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200541B1 (en) Method for receiving signal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and device for same
KR102330528B1 (ko) 반송파 집성 기법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989897B1 (ko) 반송파 집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2148142A2 (ko) 캐리어 병합을 위한 오류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57618B1 (ko) 서빙셀별로 듀플렉스 방식을 달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59694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셀 선택적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30125005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JP6421234B2 (ja) 搬送波集成を支援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D2D(Device−to−Device)信号の受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EP2528405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in TDD Time Division Duplex mode
KR20140040445A (ko) 교차 반송파 스케줄링에서 불연속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20034521A (ko)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40112756A (ko) 전이중통신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