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814A -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가 우수한 토목·건축건자재 - Google Patents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가 우수한 토목·건축건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814A
KR20130122814A KR1020120045884A KR20120045884A KR20130122814A KR 20130122814 A KR20130122814 A KR 20130122814A KR 1020120045884 A KR1020120045884 A KR 1020120045884A KR 20120045884 A KR20120045884 A KR 20120045884A KR 20130122814 A KR20130122814 A KR 20130122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ynthetic resin
tensile strength
mixed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7753B1 (ko
Inventor
문우철
장상무
Original Assignee
문우철
장상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우철, 장상무 filed Critical 문우철
Priority to KR20120045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753B1/ko
Publication of KR20130122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06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without chemical reactions
    • C08J11/08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without chemical reactions using selective solvents for polymer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가 우수한 토목·건축건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는 일정온도, 일정속도 및 일정시간의 조건에서 혼합하여 조성된 제1혼합물;과, PP(PolyPropylene)의 유기첨가제;와, 유리섬유의 무기첨가제를 일정온도, 일정시간의 조건에서 교반하여 조성된 혼합재질을 이용하여 토목·건축건자재가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가 우수한 토목·건축건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가 우수한 토목·건축건자재{MATERIAL OF CONSTRUCTION WITH SUPERIOR TENSILE STRENGTH PRODUCED BY WASTE RUBBER AND WASTE PLASTIC}
본 발명은 대부분 매립 또는 소각되어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산업폐기물의 폐고무, 폐합성수지의 혼합물질에 폐고무의 입자크기, 상용화제 구성, 무기물의 혼합을 고려하여 인장강도, 굴곡강도, 내충격강도 등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켜 이를 상하수도관, 흄관, 파이프, 팔레트, 플라스틱 포대, 차광판, 충격흡수대의 제조에 적용하는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가 우수한 토목·건축건자재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급성장 및 산업구조가 고도화됨에 따라 산업폐기물의 배출 양은 물론 그 종류가 다양화됨으로써, 그 처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종래 대표적인 산업폐기물의 처리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매립의 경우 매립지확보의 어려움, 매립지 선정에 따른 지역주민 간의 갈등 야기, 2차적으로 발생하는 지하수 오염 및 그에 따른 질병발생의 우려가 커 점차 매립에 의한 산업폐기물의 처리를 규제하고 있으며, 소각의 경우 다양한 물질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편리한 방법이기는 하나, 입자상태의 분진과 gas상태의 SOx, NOx, CO, HCl, Dioxin 등의 배출가스 문제와 특히 폐합성수지, 고무, 신발, 피혁류 등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 고무와 고분자 폐기물의 경우 많은 유해 gas, 분진, 매연이 발생하여 그 처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산업폐기물 처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활용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폐고무의 경우 재활용을 위한 분쇄기술에 집중되고 있으며, 폐합성수지의 경우에는 열분해 등을 통한 오일, 차르, 가스 등의 재생산 기술에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재활용 기술은 초기 투자비용이 높기 때문에 사업화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산업폐기물의 재활용도가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기존의 설비를 통해서도 재생산이 가능하여 산업폐기물의 재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며, 이와 같은 재활용도를 높임으로써 자원의 절약은 물론 더 나아가 환경오염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의 제시가 필요하다.
또한, 종래 폐플라스틱 등의 폐기물을 이용한 흄관(등록실용신안 20-0211173), 파이프(등록특허 10-0292274)에 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인장강도 등의 물성이 떨어져 실무에서는 그 사용을 꺼리고 있어 실질적으로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물성을 갖는 토목·건축건자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11173(등록일자 2000년11월1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92274(등록일자 2001년03월21일)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산업폐기물인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인장강도, 굴곡강도, 내충격강도의 물성을 향상시켜 재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인장강도가 뛰어난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을 이용한 토목·건축건자재의 제공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로 제조된 토목·건축건자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혼합재질은 폐고무 10 ~ 30wt%와 폐합성수지 70 ~ 90wt%를 140 ~ 170℃에서 40 ~ 50rpm의 교반 속도로 5 ~ 10분간 혼합하여 조성된 제1혼합물 80 ~ 90wt%;와,
PP(PolyPropylene)의 유기첨가제 5 ~ 10wt%;와,
유리섬유의 무기첨가제 5 ~ 10wt%;를 150 ~ 200℃에서 2 ~ 5분간 교반하여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가 우수한 토목·건축건자재를 주요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장강도가 뛰어난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을 이용한 토목·건축건자재는 폐고무의 미분말화와, 상용화제의 구성 및 무기물의 적절한 사용으로 인해 인장강도, 굴곡강도, 내충격강도 등의 물성이 뛰어나며, 특히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함으로써 자원 절약은 물론 환경문제를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발명의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적용되는 토목·건축건자재는 다양하나, 구체적으로 언급하자면 상하수도관, 흄관, 파이프, 팔레트, 플라스틱 포대, 차광판, 충격흡수대가 있다.
먼저 상기 제1혼합물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제1혼합물은 폐고무 10 ~ 30wt%와 폐합성수지 70 ~ 90wt%를 140 ~ 170℃에서 5 ~ 10분간 40 ~ 50rpm의 교반 속도로 혼합하여 조성되는 것이다.
상기 폐고무는 고무(rubber) 40%, 카본블랙(carbon black) 19%, 연화오일 10%, 섬유 10%, 철심 10%, 가황보조제 5%, 산화아연 5%, 황 1%의 조성을 갖는 폐타이어에서 철심, 섬유를 제거한 25 ~ 50mesh 크기의 폐타이어 조각을 분쇄기에 5kg/hr로 투입하면서 11,000rpm의 고속회전으로 분쇄하여 200 ~ 450㎛의 미분말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폐고무의 입자 크기는 토목·건축건자재의 물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으로서, 폐타이어의 철심, 섬유부분 등을 제거한 후 상온 파쇄 또는 냉동 파쇄의 방법으로 폐고무 분말로 가공된다.
상기 폐고무의 입자 크기가 200㎛ 미만인 경우에는 분쇄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450㎛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조된 토목·건축건자재의 인장강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폐타이어 미분말은 200 ~ 450㎛의 입경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고무는 제1혼합물 전체 중량의 10 ~ 30wt%로 사용되는 것으로, 10wt% 미만인 경우에는 인장강도가 떨어질 수 있고, 3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폐합성수지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내충격강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폐고무는 제1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해 10 ~ 30wt%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합성수지는 PP(polyprop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PVC(polyvinyl, choloride), PS(polystyr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중 선택되는 어느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조성된 혼합 폐합성수지 80 ~ 90wt%에 EPR과 SBS가 1:1 중량비율로 혼합된 상용화제 5 ~ 10wt%와 적니(red mud) 5 ~ 10wt%를 첨가하여 200℃에서 550rpm으로 블랜드한 것이다.
상기 폐합성수지는 상용화제와 무기물을 함께 사용하여 제조된 토목·건축건자재의 내충격강도, 인장강도의 기계적 물성 향상을 가져오는 것으로서, 상기 혼합 폐합성수지의 구체적인 배합비율은 PP(polypropylene) 10 ~ 50wt%,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10 ~ 50wt%,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10 ~ 50wt%, PVC(polyvinyl, choloride) 10 ~ 50wt%, PS(polystyrene) 10 ~ 50wt%,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10 ~ 50wt%이다.
상기 제1혼합물을 이루기 위한 폐합성수지의 사용량은 70 ~ 90wt%로서, 70wt% 미만인 경우에는 토목·건축건자재의 내 충격강도가 떨어질 수 있고, 9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폐고무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인장 강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폐합성수지는 제1혼합물 전체 중량의 70 ~ 90wt%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는 140 ~ 170℃에서 40 ~ 50rpm의 교반 속도로 5 ~ 10분간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이루게 되며, 140℃, 40rpm, 5분 미만에서의 조건에서는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교반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170℃, 50rpm, 10분을 초과하는 조건에서는 교반이 잘 이루어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무의미하다.
그리고, 상기 폐합성수지는 혼합 폐합성수지 80 ~ 90wt%에 EPR과 SBS가 1:1 중량비율로 혼합된 상용화제 5 ~ 10wt%와 적니(red mud) 5 ~ 10wt%를 첨가하여 200℃에서 550rpm으로 블랜드한 것으로서, 상기 상용화제는 EPR 또는 SBS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EPR과 SBS를 1:1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경우에 물성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상기 적니는 인장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5 ~ 10wt%의 범위에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1혼합물과 PP(polypropylene)의 유기첨가제, 유리섬유의 무기첨가제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토목·건축건자재 재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상기 토목·건축건자재 재질은 제1혼합물 80 ~ 90wt%와, PP(polypropylene)의 유기첨가제 5 ~ 10wt%와, 유리섬유의 무기첨가제 5 ~ 10wt%를 150 ~ 200℃로 2 ~ 5분간 교반하여 조성된다.
상기 제1혼합물의 사용량이 80wt% 미만인 경우에는 토목·건축건자재의 인장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고, 9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유기첨가제의 양이 줄어들어 굴곡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제1혼합물은 토목·건축건자재 재질의 전체중량에 대해 80 ~ 90wt%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P(polypropylene)의 유기첨가제의 사용량이 5wt% 미만인 경우에는 굴곡강도가 떨어지고, 10wt%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어느 일정범위 이상이 되어 오히려 인장강도 등의 물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PP(polypropylene)의 유기첨가제의 사용량은 5 ~ 10wt%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의 무기첨가제의 사용은 강도의 증가와 증량효과에 따른 원가절감효과를 갖게 되는 것으로, 그 사용량이 5wt%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의 증가와 증량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1혼합물 또는 유기첨가제의 사용량이 줄어들어 토목·건축건자재의 물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유리섬유의 무기첨가제는 5 ~ 10wt%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의 기술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고자 한다.
< 폐고무 >
철심, 섬유부분이 제거된 30mesh의 폐타이어를 분쇄기에 5kg/hr로 투입하면서 11,000rpm의 고속회전으로 분쇄하여 400㎛의 미분말로 제조한다.
< 폐합성수지 >
폐합성수지의 PP(polypropylene) 20wt%,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20wt%,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20wt%, PVC(polyvinyl, choloride) 20wt%, PS(polystyrene) 10wt%,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10wt%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 폐합성수지 85wt%;에 EPR 50wt%와 SBS 50wt%가 혼합된 상용화제 5wt%;와 적니(red mud) 10wt%;를 첨가하여 200℃에서 550rpm으로 블랜드한다.
< 제1혼합물 >
상기 실시예 1의 폐고무 30wt%와 상기 실시예 2의 폐합성수지 70wt%를 100rpm으로 5 ~ 10분간 혼합한다.
< 토목·건축건자재 재질 >
상기 실시예 3의 제1혼합물 80wt%에 PP(polypropylene) 10wt%와 유리섬유 10wt%를 첨가한 후에 150℃에서 5분간 교반한다.
하기의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10은 토목·건축건자재의 제조에 대한 실시예로서, 상기 실시예 4의 재질을 이용하여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10에서 제시된 조건에서 제조가 이루어진다면 종래 사용되던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 팔레트 >
상기 실시예 4의 재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220kg/㎠의 압력, 150℃의 열을 이용하여 압축 성형하여 이송용 컨베이어 팔레트를 제조한다.
< 상하수도관 >
상기 실시예 4의 재질을 이용하여 150℃에서, 용융 냉각수 온도 25℃ 조건으로 용융 압출하고, 파이프 성형장치를 통해 튜브 형태의 도관으로 제조한다.
< 흄관 >
흄관의 제조는 먼저 흄관 틀을 제조한 후에 상기 실시예 4의 재질을 150℃의 온도에서 교반 혼합된 상태로 흄관 틀에 채운다. 그리고, 상온에서 자연냉각시켜 흄관을 제조한다.
< 파이프 >
상기 실시예 4의 재질을 압출기를 통해 압출하여 성형한 후에, 성형 된 파이프를 냉각수로 냉각한 후에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파이프를 제조한다.
< 플라스틱 포대 >
상기 실시예 4의 재질을 일축 압출기를 구비한 인플레이션 성형기를 사용하여 두께가 30㎛으로 필름을 제조하고, 그 필름을 열 밀봉하여 포대를 제조한다.
< 차광판 >
상기 실시예 4의 재질을 200℃를 유지하는 단일 금형(single mould) 사출성형하여 제조한다.
< 충격흡수대 >
상기 실시예 4의 재질을 220℃를 유지하는 단일 금형(single mould) 사출성형하여 제조한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5 내지 10의 토목/건자재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측정은 시편을 제작하여 상온에서 1,000N load cell을 장착한 후 grip으로 일정속도로 인장 시켜 UTM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의 계산식은 아래의 식(1)과 같다.
Tb = Pb / t×b ----------------------------------------------- (1)
여기에서,
Tb : 인장강도(Kgf/㎟)
Pb : 최대하중(Kgf)
t : 시험편의 두께(mm)
b : 시험편의 나비(mm)
실시 예 5 내지 11의 인장강도 측정 결과
대상 인장강도(Kgf/㎟)
실시 예 5 2.26
실시 예 6 2.23
실시 예 7 2.25
실시 예 8 2.26
실시 예 9 1.95
실시 예 10 2.26
실시 예 11 2.26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 예 5 내지 11의 인장강도(Kgf/㎟)는 동일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토목·건축건자재의 시편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팔레트 2.26, 상하수도관 2.23, 흄관 2.25, 파이프 2.26, 플라스틱 포대 1.95, 차광판 2.26, 충격흡수대 2.26으로서 제조과정에서의 물성변화에 따른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2.23 내지 2.26 범위에서의 우수한 인장강도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목·건축건자재는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산업폐기물의 재활용에 따른 환경개선 효과와 높은 물성에 의한 자재로서의 품질이 높아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5)

  1.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로 제조된 토목·건축건자재에 있어서,
    상기 혼합재질은 폐고무 10 ~ 30wt%와 폐합성수지 70 ~ 90wt%를 140 ~ 170℃에서 40 ~ 50rpm의 교반 속도로 5 ~ 10분간 혼합하여 조성된 제1혼합물 80 ~ 90wt%;와,
    PP(PolyPropylene)의 유기첨가제 5 ~ 10wt%;와,
    유리섬유의 무기첨가제 5 ~ 10wt%;를 150 ~ 200℃에서 2 ~ 5분간 교반하여 조성된 것으로, 상기 혼합재질을 이용하여 토목·건축건자재가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가 우수한 토목·건축건자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혼합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토목·건축건자재는
    상하수도관, 흄관, 파이프, 팔레트, 플라스틱 포대, 차광판, 충격흡수대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가 우수한 토목·건축건자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폐고무는 성분조성비가 고무(rubber) 40%, 카본블랙(carbon black) 19%, 연화오일 10%, 섬유 10%, 철심 10%, 가황보조제 5%, 산화아연 5%, 황 1%인 폐타이어에서 철심, 섬유를 제거한 25 ~ 50mesh 크기의 폐타이어 조각을 분쇄기에 5kg/hr로 투입하면서 11,000rpm의 고속회전으로 분쇄하여 200 ~ 450㎛의 미분말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가 우수한 토목·건축건자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폐합성수지는 PP(polypropylene),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PVC(polyvinyl, choloride), PS(polystyr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중 선택되는 어느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조성된 혼합 폐합성수지 80 ~ 90wt%에 EPR과 SBS가 1:1 중량비율로 혼합된 상용화제 5 ~ 10wt%와 적니(red mud) 5 ~ 10wt%를 첨가하여 200℃에서 550rpm으로 블랜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가 우수한 토목·건축건자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혼합 폐합성수지는 PP(polypropylene) 10 ~ 50wt%,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10 ~ 50wt%,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10 ~ 50wt%, PVC(polyvinyl, choloride) 10 ~ 50wt%, PS(polystyrene) 10 ~ 50wt%,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10 ~ 5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가 우수한 토목·건축건자재.
KR20120045884A 2012-05-01 2012-05-01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가 우수한 토목·건축건자재 KR101487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5884A KR101487753B1 (ko) 2012-05-01 2012-05-01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가 우수한 토목·건축건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45884A KR101487753B1 (ko) 2012-05-01 2012-05-01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가 우수한 토목·건축건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814A true KR20130122814A (ko) 2013-11-11
KR101487753B1 KR101487753B1 (ko) 2015-01-29

Family

ID=49852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45884A KR101487753B1 (ko) 2012-05-01 2012-05-01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가 우수한 토목·건축건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7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008B1 (ko) * 2014-01-29 2014-08-20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2종 이상의 수지, 유리장섬유, ldpe 및 고무계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04774386A (zh) * 2015-04-10 2015-07-15 芜湖中源赛特管业有限公司 再生管材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948583A (zh) * 2018-07-10 2018-12-07 中喜(宁夏)新材料有限公司 一种粉煤灰石墨烯强化塑料的方法
CN109081973A (zh) * 2018-07-30 2018-12-25 界首市成龙塑业有限公司 一种利用废旧橡胶制备塑料颗粒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092B1 (ko) * 2002-06-03 2005-10-05 한춘 폐플라스틱/폐타이어 복합소재 및 이를 이용한 성형물
JP2008184534A (ja) 2007-01-30 2008-08-14 Yashima Kensetsu Kk 廃複合樹脂組成物の改質方法
KR100985573B1 (ko) * 2008-09-05 2010-10-05 장상무 폐고무와 폐합성수지의 혼합재질의 야광 부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008B1 (ko) * 2014-01-29 2014-08-20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2종 이상의 수지, 유리장섬유, ldpe 및 고무계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04774386A (zh) * 2015-04-10 2015-07-15 芜湖中源赛特管业有限公司 再生管材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948583A (zh) * 2018-07-10 2018-12-07 中喜(宁夏)新材料有限公司 一种粉煤灰石墨烯强化塑料的方法
CN109081973A (zh) * 2018-07-30 2018-12-25 界首市成龙塑业有限公司 一种利用废旧橡胶制备塑料颗粒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753B1 (ko)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83856B (zh) 一种轮胎橡胶粉改性的再生塑料及其制备方法
US8568645B2 (en) Method of making structural members using waste and recycled plastics
CN102924939B (zh) 一种废旧轮胎橡胶粉填充塑木型材及其制备方法
CN101851363A (zh) 一种废旧聚乙烯的再生方法
CN103665524A (zh) 一种造纸污泥-聚烯烃型复合型材及其制备方法
KR20130122814A (ko) 폐고무와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장강도가 우수한 토목·건축건자재
CN101899178A (zh) 一种废旧塑料改性供排水管道专用料及制备方法
CN103509356A (zh) 沥青混合料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400042B (zh) 一种利用工业废渣固化的活化飞灰生产标准砖的制备方法
KR101831852B1 (ko) 현무암 석분슬러지와 폐아스콘을 활용한 재생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Zare 3Recycled Polymer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CN100586891C (zh) 一种路用水泥混凝土橡胶颗粒表面改性剂
Bhavi et al. Effect of different percentages of wast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fibres on the properties of fibre reinforced concrete
Wakchaure et al. Waste tyre crumb rubber particle as a partial replacement to fine aggregate in concrete
CN114316614A (zh) 一种再生资源制备多功能沥青混合料改性剂及其制备方法
CN101352899A (zh) 复合式环保材质成型制备方法
KR101462082B1 (ko) 섬유강화 아스팔트/시멘트 콘크리트용 폐카페트 재생 섬유,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섬유강화 아스팔트/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KR20220006586A (ko) 높은 기계적 성능을 갖는 역청 집성체용 첨가제 제조방법
CN112805307A (zh) 用于生产塑料复合材料的新型组合物及其方法
CN102557539A (zh) 一种高性能橡胶混凝土
KR101538492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건축용 각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19092B1 (ko) 폐플라스틱/폐타이어 복합소재 및 이를 이용한 성형물
CN110591148A (zh) 一种脱硫过程中不添加任何助剂的再生胶及其制备方法
Jain Plastic waste Modified Bituminous Surfacing for Rural Roads
KR20220162221A (ko) 폐고무 및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토목건축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